[go: up one dir, main page]

KR100291100B1 - 신규한잠열축열조성물 - Google Patents

신규한잠열축열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91100B1
KR100291100B1 KR1019930021115A KR930021115A KR100291100B1 KR 100291100 B1 KR100291100 B1 KR 100291100B1 KR 1019930021115 A KR1019930021115 A KR 1019930021115A KR 930021115 A KR930021115 A KR 930021115A KR 100291100 B1 KR100291100 B1 KR 1002911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tent heat
heat storage
gelatin
sodium
storage composit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Lifetim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211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11586A (ko
Inventor
박정환
이현국
권오룡
김준
Original Assignee
성재갑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재갑,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성재갑
Priority to KR10199300211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91100B1/ko
Publication of KR9500115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115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911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91100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Lifetim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5/00Heat-transfer, heat-exchange or heat-storage materials, e.g. refrigerants; Materials for the production of heat or cold by chemical reactions other than by combustion
    • C09K5/02Materials undergoing a change of physical state when used
    • C09K5/06Materials undergoing a change of physical state when used the change of state being from liquid to solid or vice versa
    • C09K5/063Materials absorbing or liberating heat during crystallisation; Heat storage materia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적어도 1 종 이상의 무기수화물 90 내지 98중량%, 1 종 이상의 조핵제 0.5 내지 3중량% 및 증점제로서 젤라틴 0.01 내지 10중량%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잠열 축열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잠열 축열조성물은 선행 기술분야에서 통상 문제시 되고 있는 조핵제의 비활성화와 무기수화물의 상분리문제 뿐만 아니라, 무기수화물의 과냉각에 따른 잠열량 감소의 문제점들을 해결한다.

Description

신규한 잠열 축열조성물
제 1 도는 증점제로서 젤라틴과 셀룰로즈계 유도체를 사용했을 때의 발열 시작 온도의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제 2 도는 초산 나트륨 3 수화물, 조핵제로서의 파이로 인산나트륨 10 수화물 및 젤라틴을 첨가한 시차 주사열량계(DSC)용 셀을 80℃까지 가열한 후 다시 냉각시켰을 때의 발열 현상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제 3 도는 젤라틴을 첨가한 본 발명의 잠열 축열조성물과 젤라틴을 첨가하지 않은 대조용 잠열 축열조성물을 비교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
제 4 도는 초산 나트륨 3 수화물, 조핵제로서 파이로 인산나트륨 10 수화물 및 젤라틴을 첨가한 시차 주사열량계(DSC)용 셀을 75℃ 까지 가열한 후 다시 냉각시켰을 때의 가열시간에 따른 열적 특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제 5 도는 초산 나트륨 3 수화물-요소, 조핵제로서 파이로 인산나트륨 10 수화물 및 젤라틴을 첨가한 시차 주사열량계(DSC)용 셀을 15℃ 에서 35℃ 까지 가열과 냉각을 반복시켰을 경우의 DSC 곡선이다.
본 발명은 난방 및 보온에 이용할 수 있는 신규한 잠열 축열조성물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하게는 적어도 1 종 이상의 무기수화물, 1 종 이상의 조핵제 및 증점제로서의 젤라틴을 포함한 잠열 축열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대체 에너지원인 태양에너지, 폐열에너지 및 전기에너지는 시간적으로나 질적으로 변화하여 발산되는 저급에너지이므로, 이러한 에너지를 안정화 및 균일화시켜 집중된 고급에너지 형태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에너지 저장법의 개발이 필요하다. 이러한 방법은 광범위하게 현열을 이용하는 방법과 잠열을 이용하는 방법으로 구분할 수 있다.
자갈과 물을 사용하여 가능한 한 많은 양의 열을 저장하는 현열 이용법은 저렴하고 구입이 용이하다는 장점 때문에, 현재 실용화되어 많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 방법은 충분한 양의 열을 저장하기 위해서는 그만큼 많은 양의 자갈과 물이 필요할 뿐만 아니라 이들을 저장할 큰 공간이 필요하다는 단점을 안고 있다.
한편, 물질의 상변화시 발생되는 열인 잠열 이용법은 현열 이용법보다 단위 부피 또는 단위 무게당 더 많은 양의 열을 저장할 수 있다.
잠열 이용법에서 사용되는 물질(이하 "상변화 물질" 또는 "잠열 축열 물질"이라 한다)은 큰 잠열, 원하는 온도범위에서의 흡열 및 발열, 양호한 열응답 속도, 장기간의 안정성, 무독성과 같은 특성을 가져야 하며, 또한 경제적이고 부식성이 없어야 한다.
여러가지 물질 가운데 일정한 온도에서 상변화를 일으키는 무기수화물이 상기 조건들을 만족시키는 것으로 알려 있으며, 따라서 상기 무기 수화물을 이용하고자 하는 노력이 진행되어 왔다(NBSIR81-2422, National Bureau of Standards, Washington (1982)). 그러나, 무기 수화물은 다음과 같은 두가지 문제점을 갖고 있어서 실용상 장애가 되어 왔다.
그 첫번째는 상분리에 관한 문제이다. 무기수화물이 고체에서 액체로 용융될때 빠져나온 결정수와 그만큼 결정수에 녹지못한 무수염간에 상분리가 일어나서, 물은 상층으로, 무수염은 침전에 의해 하층으로 분리된다. 그 다음, 냉각시 경계면의 무수염 중 일부분은 다시 물을 흡수하여 무기수화물로 되돌아오지만, 그 나머지의 무수염은 경계면에서 이미 고체상태로 변해버린 무기수화물로 인해 물을 공급받지 못하므로 무기수화물로 되돌아오지 못한다. 따라서, 이러한 잠열 축열재를 사용할 경우, 잠열량이 크게 감소한다(Solar Energy Vol. 33, No. 314, pp 373-375, Takahiro Wada).
두번째는 심한 과냉각 현상에 대한 문제이다. 액체상태의 무기수화물은 냉각됨에 따라 고체로 변해야 하지만, 발열이 일어나는 융점에서 고체화되지 않고 그 융점보다 매우 낮은 온도에서 고체화되기 시작한다. 예를 들면, 초산 나트륨 3 수화물이 고체화하기 시작하는 온도는 냉각시의 융점보다 30℃ 낮으므로, 필요한 시기에 열을 제공하지 못한다(Bull. Chem. Soc. Jpn, 56, 3287-3289 (1983) Takahiro Wada).
따라서, 이러한 과냉각 현상을 억제하고자, 조핵제를 첨가하여 결정화를 촉진시키는 방법을 연구한 사례가 알려져 있다. 조핵제는 무기수화물에 따라 선택적으로 작용하므로, 주어진 무기수화물에 따라 조핵제를 선택하는 그 자체가 하나의 기술이다. 현재, 조핵제를 첨가하여 과냉각 현상을 억제하는, 즉, 물질이 고체화되기 시작하는 온도와 냉각되는 온도를 줄이는 다수의 시스템이 알려져 있다. 예를 들면, 황산칼륨과 파이로 인산나트륨 10 수화물은 초산 나트륨 3 수화물의 조핵제로 효과가 있고, 황산나트륨과 황화 스트론튬은 티오황산나트륨 5 수화물의 조핵제로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KAIST Sol. Energy Mat. Sol. Cells, 27, 161-172 (1992)).
이러한 조핵제의 필수 조건은 작동온도 범위에서 용융되지 않아야 한다는 것이다. 왜냐하면 일단 용융되어 액체상태로 된 조핵제는 더 이상 조핵제로서의 역할을 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나우만(Naumann)의 문헌 (J. Therm. Anal. Vol 33, 685-688 (1988))에 의하면, 초산 나트륨 3 수화물의 조핵제로 사용된 파이로 인산나트륨 10 수화물의 융점은 75℃ 이므로, 이를 75℃ 이상의 온도로 가열하였을 때 결정화를 촉진시키는 작용을 더 이상하지 못하게 된다.
또한, 조핵제는 액체상태의 무기수화물 보다 비중이 크기 때문에 반복 사용시 침전으로 인해 조핵제로서의 역할이 떨어지게 되므로, 결국 잠열 물질이 제 기능을 발휘하지 못하게 된다.
이와 같은 조핵제의 비활성화와 무기수화물의 상분리를 억제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액체 상태시 이들 물질의 점도를 증가시키는 방안이 제안되었다. 액체 상태시 이들 물질의 점도를 증가시키는 방안이 제안되었다. 즉, 조핵제와 무기수화물에 수용성 고분자 물질을 첨가하여 증점시키거나 또는 이들을 젤과 같이 고점도로 인해 유동성이 거의 없는 물질로 만들므로써 상분리를 억제하고 더 나아가 조핵제의 침전을 방지하기 위한 방법이 제안되었다. 이러한 수용성 고분자 물질의 실례는 셀룰로즈 유도체(일본국 특허 공개 제 86-022194 호 및 제 84-152982 호), 아크릴 아미드, 아크릴산 유도체, 폴리비닐 알코올(일본국 특허 공개 제 85-031586 호) 등과 같은 합성 유기물, 및 고무계, 키틴질, 알부민등과 같은 천연유기물(일본국 특허 공개 제 88-230785 호)이다.
이외에도, 가교결합 가능한 고분자 물질을 사용하여 상분리를 방지하기 위한 방법도 제안되었다(일본국 특허 공개 제 82-030873 호, 제 82-048027 호, 제 83-132075 호 및 제 84-102977 호와 미합중국 특허 제 4708812 호).
그러나, 영국 특허 제 2252327 호에 의하면, 상기 점도 증가방법에 의해 제조된 잠열 축열재는 장기간동안 상온 안정성을 유지하지 못하므로 황산나트륨 10 수화물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물의 양을 조절하여 가교결합 가능한 고분자 물질을 사용하는 방법이 제안되어 있다.
이와 같이 잠열 축열물질에 조핵제 및 증점제를 함께 첨가하는 방법이 어느 정도는 효과를 나타내고 있지만 다음과 같은 커다란 문제점이 있다: 그 첫번째는 점도가 증가함에 따라 대류에 의한 열전도도가 느려 열응답 속도가 감소하며, 두번째는 잠열의 양이 무기수화물 자체 잠열의 80 내지 90%로 감소한다는 것이다(KAIST Sol. Energy Mat. Sol. Cells, 161-172 (1992), T. Wada, R. Yamamoto, Solar energy, 33, 373, 1984; 영국 특허 제 2252327A/1992 호; 일본국 특허 공개 제 88-230785 호). 또한, 가교결합 가능한 고분자 물질의 경우에는 반응을 시켜야 하는 번거로움이 따른다.
일본국 특허 공개 제 88-230785 호에는 무기수화물의 증점제로서 젤라틴을 포함하는 천연 고분자 물질을 사용하는 방법이 기재되어 있다. 상기 특허는 증점제 및 보수제를 포함하는 잠열 축열재에 관한 것으로서, 젤라틴을 증점제의 일종으로 사용할 수 있다고 명세서에 언급하고 있으나 실제 실험한 결과가 어떠한 지는 제시하고 있지 않다. 또한, 보수제는 용융시 결정수를 흡수하여 저장하는 역할만하기 때문에 조핵제로서의 기능을 나타내지 못하므로, 과냉각 문제를 해결할 수 없으며, 보수제에 의한 잠열 감소 및 점도 증가에 따른 잠열 축열물질의 유동성이 감소하여 열전달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증점제들과 조핵제의 비활성화의 관계도 제시되어 있지 않다. 뿐만 아니라, 이 방법은 초산 나트륨 3 수화물-요소와 같은 공융 혼합물에 적용하기가 곤란하다.
본 발명자들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예의 연구하던 중 축열 무기수화물에 조핵제 및 0.01 내지 10중량% 의 젤라틴을 첨가함으로써 축열 물질의 점도 증가를 약화시키면서 잠열의 변화가 거의 없도록 할 수 있음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적어도 1 종 이상의 무기수화물, 1 종 이상의 조핵제 및 증점제로서의 젤라틴을 포함한 잠열 축열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잠열 축열조성물은 조핵제를 사용하여 과냉각을 방지하고, 젤라틴을 사용하여 온도상승으로 인한 조핵제의 비활성화 억제 및 조핵제의 고른 분산을 유도하며, 이로 인해 축열물질의 상분리를 억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초사 나트륨 3 수화물-요소와 같은 공융 혼합물에 대해서 적용시킬 수 있다는 데에 그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무기수화물로는 예를 들면, 잠열이 크고 융점이 10 내지 100℃ 인 무기수화물로서, 초산 나트륨 3 수화물, 티오황산나트륨 5 수화물, 염화칼슘 6 수화물, 황산나트륨 10 수화물, 제 2 인산나트륨 12 수화물 또는 공융 혼합물인 초산 나트륨 3 수화물-요소등을 들 수 있으며, 사용량은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90 내지 98중량%이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결정수가 적은 초산 나트륨 3 수화물, 티오황산 나트륨 5 수화물 또는 초산 나트륨 3 수화물-요소가 유용하다. 필요에 따라서, 결정수를 포함하지 않은 무수염에 수산화 나트륨 용액을 첨가하여 pH 를 조절한 것을 사용할 수도 있다. pH 를 조절하는 이유는 젤라틴이 pH 7 이상에서 분산되기 때문이다. 작동온도 범위를 조절하기 위해 무기수화물에 유기물을 첨가한 공융 혼합물인 초산 나트륨 3 수화물-요소중의 요소 성분은 20 내지 60중량%, 바람직하게는 40중량% 이다. 기타 공융 혼합물도 무기수화물로서 사용될 수 있다.
조핵제로서는 과냉각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각 무기수화물에 대해 효과가 있다고 알려진 조핵제들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들중에서 파이로 인산나트륨 10 수화물(J. Therm. Anal. 33(3)685-90, 1988), 제 3 인산나트륨 12 수화물(Kagaku Kogaku Ronbunshu 17(5), 1035-40, 1991), 제 2 인산 나트륨 12 수화물(Sol. Energy 46(2), 97-100, 1991) 또는 셀레늄산 나트륨(Kagaku Kogaku Ronbunshu 18(4), 448-454, 1992)이며, 이들의 바람직한 사용량은 0.5 내지 3중량% 이다.
점도를 증가시키는데 사용되는 젤라틴의 농도는 제한이 없으나, 본 발명의 효과를 보다 높이기 위해서는 소량, 즉, 0.01 내지 10중량% 가 바람직하며, 1 내지 3중량%가 특히 바람직하다. 이때 사용되는 젤라틴은 물에서 등전점이 pH 4.7 이고 블룸(Bloom)이 70 내지 225인 젤라틴이다.
젤라틴 이외에도, 필요에 따라서 공지된 하나 이상의 증점제를 추가로 첨가할 수 있으며, 이때 첨가되는 증점제의 양은 낮은 점도유지를 위해 전체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2중량%를 초과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용될 수 있는 증점제로는 셀룰로즈 유도체, 아크릴 아미드, 아크릴산 유도체, 폴리비닐 알코올 등의 합성유기물, 및 고무계 증점제, 키틴질, 카제인, 알부민 등의 천연유기물을 들 수 있다. 천연 유기물 증점제는 상분리 억제의 효과를 기대하기 보다는 단지 점도 증가를 위한 목적으로 사용된다.
본 발명에서 젤라틴을 사용하여 점도를 증가시킨 경우가 기존의 수용성 고분자 물질을 사용한 경우 보다 자연대류에 의한 열응답성이 양호하면서도 조핵제에 흡착되어 조핵제의 분산 안정성을 도와 상분리 및 조핵제의 분리를 방지하는 잇점이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의 경우, 기존의 증점제를 사용한 경우와는 달리 잠열량의 감소가 없으며, 기존의 증점제보다 적은 농도로도 젤부분과 액체부분으로 나뉘는 상분리를 없앨 수 있다. 또한, 젤라틴은 조핵제의 온도증가에 따른 비활성화를 억제하므로써 작동온도의 상한 온도를 높이는 잇점이 있다.
나우만등의 문헌(J. Therm. Anal. vol 33, 685-688, 1988)에는 초산나트륨 3 수화물, 및 조핵제로서 파이로인산나트륨 10 수화물로 이루어진 잠열 축열재의 온도를 75℃ 이상으로 노출시킬 경우 시스템의 과냉각 현상이 재현되어 축열 효과가 떨어진다고 기록되어 있지만, 본 발명의 경우에는 80℃ 에서도 과냉각 현상을 제어할 수 있다. 더우기, 제조시 고분자 물질의 가교결합 반응이 없기 때문에 무기수화물 및 조핵제와 추가로 반응시킬 필요가 없으므로 제조가 간편한 잇점이 있다.
본 발명의 신규한 잠열 축열조성물의 제조방법은 우선 적당한 무기수화물과 조핵제를 선정한 다음, 무기수화물과 젤라틴을 혼합하고, 교반하면서 가열하여 젤라틴을 용해시킨 혼합액을 만들고, 이 용액에 10 내지 100㎛ 입경의 조핵제를 조금씩 첨가하여 조핵제를 상기 용액에 고르게 분산시킨다. 필요에 따라서, 기타 증점제를 조핵제의 첨가전에 첨가한다. 조핵제가 분산된 액체조성물을 용기에 충진시켜 그대로 사용할 수도 있으며, 이들 액체 조성물을 냉각시켜 고체로 사용할 수도 있다. 수득된 본 발명의 잠열 축열조성물은 기존의 것들보다 낮은 점도로 인해 가공성이 뛰어나므로 사용하기가 편리하다.
이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보다 자세히 설명하고자 하며, 이들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시차 주사열량계(DSC220, 세이코(Seiko)사제)용 알루미늄 셀에 증점제로서 젤라틴 2% 를 넣고, 여기에 초산 나트륨 3 수화물 10mg 을 첨가하여 혼합한 다음, 조핵제로서 파이로 인산나트륨 10 수화물 0.2mg 을 조금씩 나누어 넣었다. 그리고 셀을 80℃ 까지 가열한 후 다시 냉각시켰다. 발열은 제 2 도에 나타난 바와 같이 43℃ 에서 일어났다.
[비교예 1]
시차 주사열량계(DSC220, 세이코사제)용 알루미늄 셀에 초산 나트륨 3 수화물 10mg 을 넣고, 여기에 조핵제로서 파이로 인산나트륨 10 수화물 0.2.mg 을 첨가한 다음, 이들 혼합물을 80℃ 까지 가열한 후 다시 냉각시켰다. 이리하여 수득된 잠열 축열재를 본 발명의 잠열 축열재(실시예 1)와 비교한 결과, 제 3 도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젤라틴을 첨가한 본 발명의 잠열 축열재만 과냉각현상이 없었다.
[실시예 2]
시차 주사열량계(DSC220)용 알루미늄 셀에 증점제로서 젤라틴 2% 를 넣고, 여기에 초산 나트륨 3 수화물 10mg 을 첨가한 다음, 조핵제로서 파이로 인산나트륨 10 수화물 0.2.mg 을 첨가했다. 그리고 셀을 75℃ 까지 가열한 후 다시 냉각시켰을 경우, 제 4 도에 나타난 바와 같이 가열온도나 가열시간에 상관없이 46℃ 근처에서 발열이 일어났다.
[실시예 3]
용융된 초산 나트륨 3 수화물-요소 100g 에 젤라틴 2g 을 가하고, 교반하면서 가열하여 젤라틴을 용해시킨 다음, 이 용액에 조핵제로서 파이로 인산나트륨 10 수화물 2g 을 소량씩 첨가하였다. 수득한 혼합물 10g 을 알루미늄 셀에 넣은 다음, 15℃ 에서 35℃ 까지 가열과 냉각을 100회 반복시키면, 제 5 도에서 처럼 22℃ 에서 발열이 일어나며, 시차 주사열량계법으로 측정한 발열량은 260J/g 으로 일정하였다.
[실시예 4]
본 실시예는 젤라틴 이외의 기타 다른 증점제의 증점 효과를 보여주는 것이다.
젤라틴 2g 과 함께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즈 0.01 내지 1% 를 티오황산나트륨 5 수화물 및 초산 나트륨 3 수화물 100g 용액에 각각 첨가하여, 부룩 필드 점도계로 20℃ 내지 70℃ 에서 점도를 측정하였으며, 측정된 점도는 100 내지 700cP 였다. 젤라틴은 상의 안정을 유지하는 작용을 하며,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즈는 단지 점도만 조절하는 작용을 하였다.
[비교예 2]
두개의 시차 주사열량계[DSC220, 세이코사제]용 알루미늄 셀에 증점제로서 젤라틴과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즈를 각각 2% 씩 넣고, 여기에 초산 나트륨 3 수화물 10mg 을 첨가한 다음, 조핵제로서 파이로 인산나트륨 10 수화물을 각 셀에 0.2mg 씩 넣었다.
시차 주사열량계법(DSC)에서 30℃ 내지 70℃ 까지 냉각과 가열을 17 회 반복시켰을 때 다시 발열을 시작하는 온도의 변화를 제 1 도에 나타내었다. 이때, 젤라틴을 증점제로 사용한 경우는 발열하는 온도가 일정한 반면,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즈를 사용한 경우에는 발열하는 온도가 점점 떨어지고 변화의 폭이 컸다.
[실시예 5]
실시예 3 에서 제조한 잠열 축열재와, 초산 나트륨 3 수화물-요소 100g 에 조핵제로서 파이로 인산나트륨 10 수화물 2% 만을 첨가하여 제조한 잠열 축열재를 각각 10g 씩 취해 시험관에 넣고, 15℃ 내지 45 까지 가열과 냉각을 100 회 반복한 후 pH 를 측정하였다. pH 의 변화는 요소가 분해되면서 발생되는 암모니아 가스에 의한 것으로, pH 의 변화가 없는 것이 안정한 상태이다. 두 시료 모두 초기 pH 는 9.1 이었지만, 젤라틴이 들어간 본 발명의 시료는 100 회 반복후에도 pH 가 9.1 인 반면, 젤라틴이 들어가지 않은 대조용 시료는 9.3 으로 변화가 있었다.
젤라틴의 상분리 억제효과
초산 나트륨 3 수화물 및 티오황산나트륨 5 수화물을 각각 100g 씩 별도로 시험관에 넣고, 여기에 젤라틴, 폴리비닐알코올, 카르복시 메틸 셀룰로즈를 각각 0.5%, 1%, 2%, 3% 및 4% 씩 첨가하고, 30℃ 에서 70℃ 까지 가열과 냉각을 반복한 후, 그 결과를 하기 표 1 에 나타내었다
하기 표 1 로 부터, 초산나트륨 3 수화물과 티오황산 나트륨 5 수화물 둘다의 경우 젤라틴은 0.5% 농도만으로도 상분리 억제효과가 우수함을 알 수 있다.
또한, 약 2% 의 젤라틴을 용융된 초산 나트륨 3 수화물에 첨가했을때 30℃ 에서 부터 70℃ 까지의 점도는 20 내지 300cP 이었으며, 이 수치는 초산 나트륨 3 수화물의 고유 점도 20 내지 200cP 의 값과 거의 유사하다고 볼 수 있다.
젤라틴의 초산 나트륨 3 수화물-요소의 공융 혼합물에 대한 상분리 억제 효과
용융된 초산 나트륨 3 수화물-요소 100g 에 0.5 내지 5% 의 젤라틴을 첨가하였다. 이때, 젤라틴(등전점 pH 4.7, 블룸(Bloom)225)은 낮은 온도에서도 매우 잘 녹기 때문에 고온에 의한 요소 변성을 막을 수 있다.
용융된 초산 나트륨 3 수화물-요소 100g 에 젤라틴, 폴리비닐 알코올, 카르복시 메틸 셀룰로즈를 각각 0.5%, 1%, 2,%, 3% 및 4% 씩 첨가시키고, 15℃ 에서 50℃ 까지 가열과 냉각을 반복시켰다. 이때, 젤부분과 액체부분의 상분리 결과는 하기 표 2 와 같다.
하기 표 2 로 부터, 젤라틴만이 상분리를 방지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으며, 또한, 0.5% 의 젤라틴만으로 상분리가 방지됨을 알 수 있다.

Claims (7)

  1. 적어도 1 종 이상의 무기수화물 90 내지 98중량%, 1 종 이상의 조핵제 0.5 내지 3중량% 및 증점제로서 젤라틴 0.01 내지 10중량% 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잠열 축열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젤라틴의 농도가 1 내지 3중량% 인 잠열 축열조성물.
  3. 제 1 항 또는 2 항에 있어서, 1 종 이상의 다른 증점제 0.01 내지 2중량% 를 추가로 포함하는 잠열 축열조성물.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다른 증점제가 셀룰로즈 유도체, 아크릴 아미드, 아크릴산 유도체, 폴리비닐 알코올 등의 합성유기물 및 고무계 증점제, 키틴질, 알부민등의 천연 유기물 중에서 선택되는 잠열 축열조성물.
  5. 제 1 항에 있어서, 무기수화물이 황산나트륨 10 수화물, 제 2 인산나트륨 12 수화물, 염화칼슘 6 수화물, 초산나트륨 3 수화물, 티오황산나트륨 5 수화물, 또는 공융 혼합물로서 초산나트륨 3 수화물-요소인 잠열 축열조성물.
  6. 제 5 항에 있어서, 초산 나트륨 3 수화물-요소중의 요소 성분이 20 내지 60중량% 인 잠열 축열조성물.
  7. 제 1 항에 있어서, 조핵제가 파이로 인산나트륨 10 수화물, 제 3 인산나트륨 12 수화물, 제 2 인산나트륨 12 수화물, 또는 셀레늄산 나트륨인 잠열 축열조성물.
KR1019930021115A 1993-10-12 1993-10-12 신규한잠열축열조성물 Expired - Lifetime KR1002911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21115A KR100291100B1 (ko) 1993-10-12 1993-10-12 신규한잠열축열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21115A KR100291100B1 (ko) 1993-10-12 1993-10-12 신규한잠열축열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1586A KR950011586A (ko) 1995-05-15
KR100291100B1 true KR100291100B1 (ko) 2001-10-22

Family

ID=375259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21115A Expired - Lifetime KR100291100B1 (ko) 1993-10-12 1993-10-12 신규한잠열축열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9110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4164B1 (ko) * 2014-09-25 2016-03-03 트윈에너지(주) 가열 및 냉각용 잠열 축열재 조성물
CN108913099A (zh) * 2018-07-10 2018-11-30 长沙鲜源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蓄冷剂的制备方法、蓄冷剂、蓄冷块及其应用
US11560503B2 (en) * 2020-04-15 2023-01-24 Ut-Battelle, Llc Stable salt hydrate-based thermal energy storage material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01309871D0 (en) * 2013-06-03 2013-07-17 Sunamp Ltd Improved phase change materials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142075A (en) * 1979-04-23 1980-11-06 Mitsubishi Electric Corp Thermal energy storage material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142075A (en) * 1979-04-23 1980-11-06 Mitsubishi Electric Corp Thermal energy storage material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4164B1 (ko) * 2014-09-25 2016-03-03 트윈에너지(주) 가열 및 냉각용 잠열 축열재 조성물
CN108913099A (zh) * 2018-07-10 2018-11-30 长沙鲜源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蓄冷剂的制备方法、蓄冷剂、蓄冷块及其应用
US11560503B2 (en) * 2020-04-15 2023-01-24 Ut-Battelle, Llc Stable salt hydrate-based thermal energy storage material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1586A (ko) 1995-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581708B2 (ja) 熱エネルギ貯蔵組成物
US4292189A (en) Thermal energy storage composition comprising sodium sulfate decahydrate; sodium carbonate decahydrate; and sodium tetraborate decahydrate
CN107556972A (zh) 常低温相变储能介质及其制备方法
KR100291100B1 (ko) 신규한잠열축열조성물
US4288338A (en) Static solar heat storage composition
JP2006131856A (ja) 潜熱蓄冷熱材組成物
JPS604583A (ja) 潜熱蓄熱材
JP2001031956A (ja) 潜熱蓄熱材組成物
RU2790484C1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теплоаккумулирующего материала на основе тригидрата двойной соли нитратов кальция-калия (варианты)
JPS5947239B2 (ja) 潜熱型蓄熱材
JPS62109885A (ja) 流動性蓄熱材組成物
JPS60203689A (ja) 蓄熱材
JPS6043388B2 (ja) 蓄熱材
JPS63230785A (ja) 潜熱蓄熱材
Kakiuchi Application of gels to latent heat thermal storage media
JPS61197668A (ja) 蓄熱材
JPH0443949B2 (ko)
JPH01245082A (ja) 蓄熱材
JPS63137982A (ja) 蓄熱材組成物
JPH03143984A (ja) 蓄熱剤組成物
JPS58221395A (ja) 蓄熱材
JPH0434583B2 (ko)
JPS58183785A (ja) 蓄熱材
JPH0562158B2 (ko)
JPS586399A (ja) 蓄熱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31012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81009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19931012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006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0121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1030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1030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3121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122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122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123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124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105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1222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1229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1214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7

Year of fee payment: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1227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EXPY Expiration of term
PC1801 Expiration of term

Termination date: 20140412

Termination category: Expiration of du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