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90428B1 - Voice signal frequency deviation device for wireless telephone - Google Patents
Voice signal frequency deviation device for wireless telephon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290428B1 KR100290428B1 KR1019970077226A KR19970077226A KR100290428B1 KR 100290428 B1 KR100290428 B1 KR 100290428B1 KR 1019970077226 A KR1019970077226 A KR 1019970077226A KR 19970077226 A KR19970077226 A KR 19970077226A KR 100290428 B1 KR100290428 B1 KR 10029042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voice signal
- frequency
- channel
- varactor diode
- voltag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10—Frequency-modulated carrier systems, i.e. using frequency-shift keying
- H04L27/12—Modulator circuits; Transmitter circuits
-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C—MODULATION
- H03C3/00—Angle modulation
- H03C3/02—Details
- H03C3/09—Modifications of modulator for regulating the mean frequency
- H03C3/0908—Modifications of modulator for regulating the mean frequency using a phase locked loop
- H03C3/095—Modifications of modulator for regulating the mean frequency using a phase locked loop applying frequency modulation to the loop in front of the voltage controlled oscilla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ransceivers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무선전화기의 음성신호 주파수 편이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음성신호를 각 채널의 VCO 발진을 위한 전위의 변화에 영향을 받지 않도록 주파수 편이시키고자 한 무선전화기의 음성신호 주파수 편이장치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일반적으로, 다중채널 무선전화기는 각 가입자들이 혼선없이 통화를 할 수 있도록 선택된 채널에 의해서 통화가 이루어지는데, 이 채널 전위가 변하는 점에서 음성신호가 주파수 편이 되도록 설계되어 있다.In general, multichannel radiotelephones are communicated by a channel selected so that subscribers can talk without confusion, and are designed such that the voice signal is frequency shifted at the point where the channel potential changes.
첨부한 도면 도1은 종래 무선전화기에 적용된 음성신호 주파수 편이장치(음성신호 변조장치) 회로도이다.1 is a circuit diagram of a voice signal frequency shifter (voice signal modulator) applied to a conventional wireless telephone.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랙터 다이오드(D1)에 의해 채널 선택을 위한 DC전위를 인가하여 채널 주파수를 생성하며. 동시에 상기 바랙터 다이오드(D1)를 이용하여 음성 신호(또는 데이터)를 변조하도록 구성되었다.As shown therein, the DC frequency for channel selection is applied by the varactor diode D1 to generate the channel frequency. At the same time, the varactor diode D1 is configured to modulate a voice signal (or data).
따라서, 채널 변화에 따른 PLL(phase locked loop) IC의 검출 단자에서의 DC전위가 변하는 점에서 상기 바랙터 다이오드(D1)의 정전용량도 변하게 되어 음성 신호의 주파수 편이시 점유 주파수 대역폭도 상대적으로 변화하게 되어 음성신호의 변조도도 변하게 된다.Therefore, the capacitance of the varactor diode D1 is also changed at the point where the DC potential at the detection terminal of the PLL (phase locked loop) IC changes according to the channel change, so that the occupied frequency bandwidth of the voice signal is shifted relatively. As a result, the modulation degree of the voice signal is also changed.
따라서 이러한 종래의 음성신호 변조장치는 채널의 선택에 따라서 음성 신호의 변조도가 일정하지 않아 음성신호의 음량이 각 채널마다 달라져 음질이 저하되는 문제점을 발생 하였다.Therefore, the conventional voice signal modulator has a problem that the quality of the voice signal is different for each channel because the modulation degree of the voice signal is not constant according to the channel selection.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음성신호 변조장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제안된 것으로,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to solve all the problems of the conventional voice signal modulation device,
본 발명은 음성신호를 각 채널의 VCO 발진을 위한 전위의 변화에 영향을 받지 않도록 주파수 편이시키고자 한 무선전화기의 음성신호 주파수 편이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voice signal frequency shifting device for a radiotelephone which attempts to frequency shift a voice signal so as not to be affected by a change in potential for VCO oscillation of each channel.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장치는,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각 채널에 따라 VCO 발진을 위한 DC전압을 인가하여 채널 주파수를 생성하는 바랙터 다이오드(D1)를 포함하는 DC전압 인가부와;A DC voltage applying unit including a varactor diode (D1) generating a channel frequency by applying a DC voltage for VCO oscillation according to each channel;
고정된 역 바이어스 전압을 갖는 바랙터 다이오드(D2)를 구비하여 입력되는 음성 신호를 주파수 편이시켜 음성신호를 변조시키는 음성신호 변조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The voice signal modulator includes a varactor diode (D2) having a fixed reverse bias voltage and modulates the voice signal by frequency shifting the input voice signal.
도 1 은 종래 무선전화기에 적용된 음성신호 주파수 편이장치 회로도,1 is a circuit diagram of a voice signal frequency shifter applied to a conventional wireless telephone;
도 2 는 본 발명에 의한 무선전화기의 음성신호 주파수 편이장치 회로도,2 is a circuit diagram of an audio signal frequency shifting device of a radio teleph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 은 본 발명에 의한 주파수 편이장치를 실제 무선전화기 시스템에 적용한 일예도.3 is an example of applying the frequency shif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o an actual wireless telephone system.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DC전압 인가부 20: 음성신호 변조부10: DC voltage applying unit 20: voice signal modulator
30: 음성신호 주파수 편이부 40: PLL부30: audio signal frequency shift part 40: PLL part
50: 저역 필터부 60: 전력 증폭부50: low pass filter 60: power amplifier
70: 대역 필터부 80: 듀플렉서70: band filter unit 80: duplexer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첨부한 도면 도2는 본 발명에 의한 무선전화기의 음성신호 주파수 편이장치 회로도이다.2 is a circuit diagram of an audio signal frequency shifting device of a wireless teleph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채널에 따른 VCO 발진을 위한 DC전압을 인가하는 바랙터 다이오드를 포함하는 DC전압 인가부(10)와; 입력되는 음성 신호를 주파수 편이시켜 음성신호를 변조하는 고정된 역 바이어스 전압을 갖는 바랙터 다이오드를 포함하는 음성신호 변조부(20)로 구성된다.As shown therein, a DC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무선전화기의 음성신호 주파수 편이장치는, DC전압 인가부(10)내의 바랙터 다이오드(D1)는 채널 선택을 위한 DC전위만 인가하여 음성 신호 변조에는 영향을 주지 않도록 하며, 음성 변조부(20)내의 바랙터 다이오드(D2)는 음성 신호(또는 데이터)를 주파수 편이 되도록 하는 기능만을 한다.In the voice signal frequency shifting device of the wireless teleph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the varactor diode D1 in the DC
즉, 기존의 바랙터 다이오드(D1)는 각 채널에 따른 VCO 발진을 위해서만 사용 하도록 하며, 당량에 관계된 음성 신호 변조는 별도로 회로를 구성하여 항상 고정된 역 바이어스 전압을 인가하도록 설계하여 채널 변경에 따른 직류 전위의 변화에도 영향이 없도록 하였다.In other words, the existing varactor diode (D1) should be used only for the VCO oscillation according to each channel, and the voice signal modulation related to the equivalent is designed to apply a fixed reverse bias voltage at all times by configuring a separate circuit. The change of the direct current potential was not affected.
따라서 음성신호를 주파수 편이시키기 위한 바랙터 다이오드(D2)는 항상 일정한 역 바이어스 전압으로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정전용량 C값은 변하지 않으며, 입력신호의 크기에 의해서만 변한다.Therefore, since the varactor diode D2 for frequency shifting the voice signal is always fixed at a constant reverse bias voltage, the capacitance C value does not change, but only by the magnitude of the input signal.
이와 같은 회로 구성은 가변 커패시터를 갖는 병렬 공진회로로 볼 수 있다.Such a circuit configuration can be seen as a parallel resonant circuit having a variable capacitor.
식 Δf = 1/2πCR에서 보면 점유 주파수 대역폭은 정전 용량 C값에 따라 반비레 함으로 바랙터 다이오드(D2)의 역 바이어스 전압이 커지면 상기 정전 용량 C값이 작아져 점유 주파수 대역폭이 커짐을 알 수 있다.From the equation Δf = 1 / 2πCR, the occupied frequency bandwidth is half-rendered according to the capacitance C value. As the reverse bias voltage of the varactor diode D2 increases, the capacitance C value decreases to increase the occupied frequency bandwidth. .
그러나 음성 신호를 주파수 편이 시킬때 채널 변경에 따른 DC전위의 변화에 대해서도 도2와 같이 별도의 음성 신호 변조 회로를 구성하면, 정전 용량이 변하지 않기 때문에 식 Δf = 1/2πCR에서와 같이 변조도에 의한 대역폭의 변화를 줄일 수 있으며, 상대적으로 음성신호 변조시 안정도가 높음을 알 수 있다.However, if a separate voice signal modulation circuit is configured as shown in Fig. 2 for the change of the DC potential due to the channel change when the voice signal is frequency shifted, since the capacitance does not change, it is determined by the modulation degree as shown in the equation Δf = 1 / 2πCR. The change in bandwidth can be reduced, and the stability of voice signal can be relatively high.
첨부한 도면 도3은 본 발명에 의한 음성신호 주파수 편이장치를 실제 무선전화기 시스템에 적용한 일예이다.Figure 3 is an example of applying a voice signal frequency shif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o a real wireless telephone system.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상 동기를 위한 PLL부(40)와, 상기 PLL부(40)에서 출력되는 주파수를 저역 필터링하여 발진을 위한 DC전압을 출력하는 저역 필터부(50)와, 상기 저역 필터부(50)에서 출력되는 전압으로 주파수 편이를 위한 DC전위를 인가하고 입력되는 음성 신호를 주파수 편이시키는 DC전압 인가부(10)와 음성신호 변조부(20)를 포함하는 음성신호 주파수 편이부(30)와, 상기 음성신호 주파수 편이부(30)에서 출력되는 변조된 음성 신호를 전력 증폭하는 전력 증폭부(60)와, 상기 전력 증폭부(60)에서 출력되는 주파수를 설정 대역으로 필터링하는 대역 필터부(70)와, 상기 대역 필터부(70)에서 출력되는 송신 주파수는 안테나(90)로 전달해주고, 상기 안테나(90)에서 수신된 신호는 수신단으로 절체해주는 듀플렉서(80)로 구성 된다.As shown therein, the
이와 같이 구성된 무선전화기 시스템은, 중앙처리장치(도면에는 미도시)에서 채널 데이터를 받아 PLL부(40)에서 자체 발진하고 있는 5KHz와 위상 비교하여 A점의 전위를 결정한다.The radiotelephone system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receives the channel data from the central processing unit (not shown) and compares the phase with 5 KHz oscillated by the
이 전위는 저역 필터부(50)를 거치게 되면 B점에서는 거의 DC에 가까운 전위가 형성되며 이 전압에 따라 DC전압 인가부(10)내의 바랙터 다이오드(D1)의 정전 용량 C값이 결정되어 해당 채널 주파수가 생성된다.When the potential passes through the low
이때 음성신호는 별도로 구성된 바랙터 다이오드(D2)를 이용하여 주파수 편이되며, 각 채널에 따른 DC전압의 변동으로 인한 음성 변조도는 영향을 받지 않게 된다.In this case, the voice signal is shifted in frequency by using the varactor diode D2 configured separately, and the voice modulation degree due to the variation of the DC voltage for each channel is not affected.
즉, 상기 바랙터 다이오드(D2)의 역 바이어스 전압이 항상 일정하기 때문에 정전 용량 C값이 항상 일정하게 되며, 따라서 각 채널에 따른 점유 주파수 대역폭은 변하지 않게 된다.That is, since the reverse bias voltage of the varactor diode D2 is always constant, the capacitance C value is always constant, so that the occupied frequency bandwidth of each channel does not change.
이와 같이 바랙터 다이오드(D2)를 추가하여 채널 변경에 따른 VCO발진을 위한 DC전위의 변화에 영향을 받지 않도록 음성 신호를 주파수 편이시키면 채널간의 음성신호 변조도는 항상 동일하게 유지된다.In this way, when the voice signal is frequency shifted so that the varactor diode D2 is added so as not to be affected by the DC potential change for the VCO oscillation according to the channel change, the voice signal modulation degree between the channels is always maintained the same.
따라서 채널에 따라 음량 저하의 한가지 원인인 변조 방식을 각 채널의 VCO발진을 위한 전위의 변화에 영향을 받지 않도록 설계 함으로써 변조도 변화에 따른 음량 저하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Therefore, the modulation method, which is one of the causes of the volume decrease depending on the channel, is designed so as not to be affected by the change of the potential for the VCO oscillation of each channel.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채널 주파수 생성을 위한 바랙터 다이오드와 음성신호 변조를 위한 바랙터 다이오드를 각각 별도로 설계 함으로써 채널에 따라 음성 신호 변조도가 달라져 발생하는 음량 저하 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varactor diode for generating the channel frequency and the varactor diode for the voice signal modulation are separately designed to prevent the volume degradation caused by the change of the voice signal modulation degree according to the channel. It can be effective.
또한 채널에 따라 VCO발진 전압이 변하여도 음성 변조를 위한 변조도를 안정하게 유지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In addition, even if the VCO oscillation voltage changes depending on the channel, the modulation degree for voice modulation can be maintained stably.
Claims (1)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970077226A KR100290428B1 (en) | 1997-12-29 | 1997-12-29 | Voice signal frequency deviation device for wireless telephon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970077226A KR100290428B1 (en) | 1997-12-29 | 1997-12-29 | Voice signal frequency deviation device for wireless telephon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9990057178A KR19990057178A (en) | 1999-07-15 |
KR100290428B1 true KR100290428B1 (en) | 2001-07-12 |
Family
ID=375257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970077226A Expired - Fee Related KR100290428B1 (en) | 1997-12-29 | 1997-12-29 | Voice signal frequency deviation device for wireless telephon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290428B1 (en) |
-
1997
- 1997-12-29 KR KR1019970077226A patent/KR100290428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9990057178A (en) | 1999-07-1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5963100A (en) | Frequency synthesizer having a speed-up circuit | |
US6833769B2 (en) | Voltage controlled capacitive elements having a biasing network | |
KR20000035604A (en) | Phase lock loop and method therefor | |
US4211975A (en) | Local signal generation arrangement | |
CN1146273C (en) | Mobile telephone apparatus | |
CA2177536A1 (en) | Frequency modulation radio transmission device | |
KR20080036657A (en) | Phase-locked loop system with locking and tracking mode of operation | |
KR100871516B1 (en) | Output voltage modulation method of transmitter circuit and transmitter circuit | |
KR20020016838A (en) | Electronic circuit arrangement generating a transmit frequency | |
US5027429A (en) | Frequency modulator utilizing frequency synthesizer | |
KR100396880B1 (en) | Low noise frequency modulator having variable carrier frequency | |
KR100290428B1 (en) | Voice signal frequency deviation device for wireless telephone | |
DK162671B (en) | FREQUENCY MODULATED TRANSMISSION TO FM RADIO RUN DIVERSION | |
US5847622A (en) | Quadrature phase shift keying modulating apparatus | |
US7349672B2 (en) | Digital signal transceiver | |
KR100621169B1 (en) | Radio device comprising a frequency synthesizer and method of phase and/or frequency modulating a frequency synthesizer | |
KR20020000895A (en) | Communication system with frequency modulation and with a single local oscillator | |
GB2338128A (en) | Voltage controlled oscillators | |
KR100305580B1 (en) | Wide band data transmitter using triple modulation | |
US6625422B1 (en) | Signal generator | |
KR950002864Y1 (en) | Frequency Modulation Circuit Using Phase Synchronous Loop | |
AU747533B2 (en) | Frequency synthesisers | |
KR100353857B1 (en) | Voltage control oscillator of dual band intermediate frequency in a mobile station | |
KR100296025B1 (en) | A circuit capable of modulating into digital or analog in one high safe exciter | |
KR19980015962A (en) | Phase-locked loop circuit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71229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90310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19971229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10227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1030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0229 Year of fee payment: 12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304 Year of fee payment: 13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