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289932B1 - 광섬유 분배 장치의 광섬유 분배/절체용 트레이 - Google Patents

광섬유 분배 장치의 광섬유 분배/절체용 트레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89932B1
KR100289932B1 KR1019980038167A KR19980038167A KR100289932B1 KR 100289932 B1 KR100289932 B1 KR 100289932B1 KR 1019980038167 A KR1019980038167 A KR 1019980038167A KR 19980038167 A KR19980038167 A KR 19980038167A KR 100289932 B1 KR100289932 B1 KR 1002899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y
optical fiber
optical
optical cable
distribut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381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19859A (ko
Inventor
제임스 알 바이랜더
이정환
박찬술
강길례
김창하
김운하
양태수
이호경
안보영
원영준
김희중
Original Assignee
김진찬
주식회사머큐리
권문구
엘지전선주식회사
폴 디 러스
한국쓰리엠주식회사
이계철
한국전기통신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진찬, 주식회사머큐리, 권문구, 엘지전선주식회사, 폴 디 러스, 한국쓰리엠주식회사, 이계철, 한국전기통신공사 filed Critical 김진찬
Priority to KR10199800381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89932B1/ko
Publication of KR200000198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98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899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89932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44Mechanical structures for providing tensile strength and external protection for fibres, e.g. optical transmission cables
    • G02B6/4439Auxiliary devices
    • G02B6/444Systems or boxes with surplus lengths
    • G02B6/4452Distribution frames
    • G02B6/44524Distribution frames with frame parts or auxiliary devices mounted on the frame and collectively not covering a whole width of the frame or rack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02B6/3807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 G02B6/3833Details of mounting fibres in ferrules; Assembly methods; Manufacture
    • G02B6/3855Details of mounting fibres in ferrules; Assembly methods; Manufacture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anchoring or fixing the fibre within the ferrule
    • G02B6/3858Clamping, i.e. with only elastic deformation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02B6/3807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 G02B6/3873Connectors using guide surfaces for aligning ferrule ends, e.g. tubes, sleeves, V-grooves, rods, pins, balls
    • G02B6/3885Multicore or multichannel optical connectors, i.e. one single ferrule containing more than one fibre, e.g. ribbon typ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42Coupling light guides with opto-electronic elements
    • G02B6/4201Packages, e.g. shape, construction, internal or external details
    • G02B6/4256Details of housings
    • G02B6/4257Details of housings having a supporting carrier or a mounting substrate or a mounting plat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ight Guides In General And Application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더 광케이블과 분배 광케이블, 그리고 분배 광케이블과 인입 광케이블의 연결 지점에서 이들 광케이블의 분배/절체를 수행하도록 광섬유 분배 장치내에 장착되는 트레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트레이는 피더 광케이블과 분배 광케이블, 또는 분배 광케이블과 인입 광케이블을 예정된 배선 관계로 상호 접속시키기 위한 다수의 다심 광케이블 접속자를 트레이에 스냅식으로 탈착 가능한 모듈형 유닛으로 형성하고, 트레이의 본체에는 이 접속자 모듈을 수용할 수 있는 개구부를 형성하며, 이 개구부 둘레의 소정 부위에 상기 접속자 모듈을 스냅식으로 고정·유지하는 로크부를 구비한다.

Description

광섬유 분배 장치의 광섬유 분배/절체용 트레이
본 발명은 피더 광케이블 망과 분배 광케이블 망의 연결 지점, 또는 분배 광케이블 망과 인입 광케이블 망의 연결 지점에 설치되어, 광케이블을 분배/절체할 수 있는 광섬유 분배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카드 형태의 트레이와 기계식 접속자를 사용하는 광섬유 분배 장치에 있어서, 광섬유의 분배/절체를 담당하는 기계식 접속자 모듈이 트레이에 탈착 가능하게 구성된 광섬유 분배 장치의 광섬유 분배/절체용 트레이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광섬유 분배 장치로서는 광커넥터와 어댑터를 사용하여 광케이블의 분배 기능을 수행하는 분배 장치가 잘 알려져 있다.
그러나, 커넥터를 사용하는 이러한 종래의 분배 장치는 많은 커넥터와 어댑터가 소요되므로 커넥터 구성에 많은 시간과 노력이 필요하며, 커넥터 배열과 피그테일의 접속 및 여장 처리를 위한 많은 공간이 필요하게 되어 분배 장치 전체의 크기 및 설치 비용을 증가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광케이블의 분배/절체시에 연결하고자 하는 커넥터간의 거리와 관계없이 동일한 길이(일반적으로 가장 먼 거리에 떨어져 있는 커넥터간의 연결을 고려하여 가장 긴 길이를 적용하게 됨)의 광점퍼 코드를 사용함으로써 서로 다른 길이의 점퍼 코드의 여장의 정리 및 이에 따른 광심선의 관리 등의 유지 보수가 어려운 단점이 있다.
그리고, 광섬유의 분배/절체를 위하여 크게 광섬유 저장부, 인입 케이블과 피그테일 접속을 위한 접속부 및 커넥터 접속을 위한 커넥터 패널부와, 각 커넥터간 분배/절체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점퍼 코드의 저장 및 정리부로 각각 별개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대용량의 광심선 수용에 있어서 각 광심선 경로가 복잡하여 유지 보수 등이 어렵고, 작업 시간이 증가하게 되며, 또한, 광섬유 분배 장치의 전체 부피가 커지기 때문에 설치 위치에 많은 제약을 받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Kennth J. Vidacovich 등에게 특허 허여되어 3M Company에 공동 양도된 미국 특허 제5,402,515호에는 커넥터와 어댑터 대신에 카드 형태의 트레이와 기계식 접속자를 사용하여 광섬유의 분배/절체를 이루도록 한 광섬유 분배 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
이 광섬유 분배 시스템에 의하면, 외부 캐비넷 또는 함체에 대하여 피벗 운동을 하도록 부착된 다수의 트레이를 구비한 내부 모듈들을 포함한다. 각 트레이는 광섬유 정리부, 기계식 접속자를 포함하는 광심선 절체부, 그리고 점퍼 광심선 정리부를 구비한다. 트레이 내로 인입된 광섬유는 광심선 절체부의 기계식 접속자의 한 쪽에 연결되고, 점퍼 광심선 정리부에 저장되는 점퍼 광심선이 상기 기계식 접속자의 다른 쪽에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점퍼 광심선은 다른 내부 모듈의 트레이나 같은 모듈의 다른 트레이에서 인입 광케이블과 접속 가능하게 됨으로써, 광케이블간의 분배/절체가 이루어지게 된다.
당업계에서는 공지된 사실이지만, 국가마다, 또는 광통신 사업자마다 광심선의 개수가 다른 광케이블을 사용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며, 또 기존에 사용되던 광케이블과는 광심선의 개수와 다른 개수의 광심선을 구비한 광케이블로 교체하는 경우도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이 광심선의 수가 다른 케이블을 사용하는 경우, 광심선을 연결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기계식 접속자의 광심선 접속부의 개수도 달라져야 한다.
그러나, 종래의 트레이의 경우, 기계식 접속자가 트레이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기계식 접속자의 광심선 접속부의 개수가 다르거나 또는 변경된 경우, 그에 맞는 트레이를 제조하여야 한다. 따라서, 트레이 제조업자는 적용될 케이블에 맞는 기계식 접속자를 구비한 여러가지 종류의 트레이를 제조하기 위한 금형을 별도로 갖추고 있지 않으면 안된다. 그러나, 트레이의 구조가 매우 복잡하기 때문에, 그 트레이를 제조하기 위한 금형의 가격이 매우 비싸며, 따라서 여러 종류의 금형을 보유하기 위해서는 상당한 비용을 투자하지 않으면 안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일정 형태의 광케이블의 적용 범위가 좁아서, 그 트레이의 수요가 예상에 미치지 못하는 경우도 많기 때문에, 트레이의 가격은 그 만큼 상승될 수밖에 없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를 해결함으로써, 트레이의 제조 비용을 절감하는데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본 발명의 목적은 기계식 접속자를 트레이에 스냅식으로 탈착 가능한 모듈형 유닛으로서 형성하고 트레이의 본체부는 항상 동일한 구조로서 성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되는 광분배/절체 시스템의 사양에 맞춰 기계식 접속자 모듈만을 제작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트레이 제조업자의 투자 비용을 절감하고, 또한 제품의 단가를 대폭 낮출 수 있는 트레이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트레이가 장착될 광섬유 분배 장치의 설치용 함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트레이를 삽입하는 방식을 보여주는 도 1의 광섬유 분배 장치의 내부 모듈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복수의 트레이가 장착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하여, 트레이 장착부가 전방으로 피벗된 상태에서 도시한 광섬유 분배 장치의 내부 모듈의 사시도.
도 4는 도 3의 트레이 내의 기계식 접속자 모듈의 장착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도 5는 도 4의 기계식 접속자 모듈 및 트레이의 마련된 접속자 모듈 장착부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
도 6a 내지 6c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기계식 접속자 모듈의 내부를 보여주는 평면도.
도 7a 및 7b는 도 3의 본 발명의 트레이에 장착된 광섬유 고정 클램프의 정면도 및 평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4 : 트레이
4b, 4c : 로크부
5 : 기계식 접속자 모듈
5a : 커버
5b, 5c : 돌기부
18, 19, 21 : 고정 클램프
이러한 목적은 기계식 접속자를 트레이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별도의 모듈 형태로 형성하고, 트레이 본체에는 이 접속자 모듈을 수용할 수 있는 개구부(開口部)를 마련함과 아울러, 이 개구부 둘레의 소정 부위에 접속자 모듈을 스냅식으로 고정·유지하는 로크부를 마련함으로써 달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태양에 따르면, 광심선 정리부의 둘레의 돌출벽에 근접하여 종축선이 그 돌출벽에 거의 수직인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개구부를 형성하며, 상기 접속자 유닛의 일단부에는 돌기를 형성하고 타단부에는 요부(凹部), 접속자 유닛이 개구부에 결합되었을 때 상기 돌기의 위치와 일치하는 위치에 상기 돌기 삽입용 구멍을 형성하며, 결합시 상기 접속자 유닛의 타단부가 위치될 개구부의 단부에 상기 요부와 스냅식으로 체결되는 로크부를 형성할 수 있다.
특히, 트레이에 접속자가 유닛을 결합하기가 용이하고, 일단 결합되면 전혀 움직임이 없이 확고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트레이의 본체는 얇은 탄성체로 구성하고, 상기 돌출벽과 상기 로크부간의 거리가 접속자 유닛의 양단간 거리와 실질적으로 일치하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우선 접속자 유닛의 일단부에 마련된 돌기를 돌기 삽입용 구멍에 삽입한 후에, 본체를 탄성적으로 약간 변형시킨 상태에서 접속자 유닛을 개구부에 수납시킨 후 본체에 가해진 힘을 제거하기만 하면 접속자 유닛이 트레이에 자동적으로 체결될 수 있으며, 또한 원상 복귀된 트레이 본체에 의해 체결부에 힘이 가해짐으로써 접속자 유닛을 더욱 확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광섬유 분배/절체용 트레이의 구체적인 구성, 작용 및 효과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트레이가 적용된 광섬유 분배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에서, 광섬유 분배 장치는 외부 환경으로부터 광섬유 접속부 등의 내부 구조를 보호하는 기능을 하는 외부 함체(1)와, 인접한 맨홀이나 수공으로부터의 케이블 인입 및 지면으로부터의 습기를 차단하는 밀폐 공간을 제공하도록 밑바닥에 설치되어 외부 함체(1)를 고정하여 지지하는 기초대(2)와, 외부 함체(1)내에 고정되는 적어도 하나의 내부 모듈(3)과, 이 내부 모듈(3) 안에 장착되는 다수의 트레이로 구성된다.
실제적으로, 외부 함체(1)의 내부에는 2대의 내부 모듈(3)이 상하로 고정되고, 각 내부 모듈(3)에는 다수의 트레이가 장착되며 외부 함체(1)의 밑면에 케이블 인입구를 통해 인입된 케이블은 외부 함체 옆면 보강대에 설치된 케이블 고정 장치에 고정되고 접지된 후 내부 모듈(3)로 인입되어 각 트레이로 분배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트레이가 적용된 광섬유 분배 장치의 내부 모듈의 사시도이다. 도 2에서, 내부 모듈(3)은 인입 케이블과 점퍼 광심선의 저장, 분배/절체가 이루어지는 다수의 트레이(4)를 고정하여 보호하는 기능을 한다. 이 내부 모듈(3)은 그 밑면에 형성된 트레이로의 광심선 인입 튜브(15)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홈(7), 그 전면 하부에 형성되며 트레이의 전후 슬라이딩을 위한 회전축 고정부(12), 그리고 트레이로부터 인출되는 점퍼 광심선을 보호하기 위한 점퍼 광심선 보호 가이드(13)를 구비한다. 각 트레이(4)들은 트레이 고정 가이드(14)로 인해 전면 상부로의 트레이의 움직임 등이 인접 트레이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서로 일정 간격을 유지하게 된다. 또한, 트레이에 부착된 걸림쇠가 고정되는 트레이 고정 가이드(14)와 내부 모듈의 한 쪽에 고정되는 점퍼 광심선 여장 정리 얼레를 구비한다. 내부 모듈(3)은 외부 함체의 뒤쪽 내벽에 장착되거나 랙(rack)을 이용하여 고정된다.
도 3은 광섬유 분배 장치의 내부 모듈에 고정되는 본 발명의 트레이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트레이 내의 기계식 접속자 모듈의 장착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5는 도 4의 기계식 접속자 모듈 및 트레이에 마련된 접속자 모듈 장착부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각 트레이(4)는 광심선 인입 튜브(15), 인입 광심선 정리부(16), 기계식 접속자 모듈(5), 이 접속자 모듈을 스냅식으로 탈착 가능하게 수납하기 위해 트레이 본체에 형성된 홈, 그리고 점퍼 광심선 정리부(17)와 광심선 보호를 위해 장착되는 클램프(18, 19, 21)를 포함한다. 내부 모듈의 밑면에 고정된 광심선 인입 튜브(15)를 통해 트레이(4)내로 인입된 광섬유는 인입 광심선 고정 클램프(18)에 의해 고정되고, 인입 광심선 정리부(16)에서 정리된 후, 트레이(4)의 본체에 스냅식으로 착탈 가능하게 장착된 기계식 접속자 모듈(5)의 한 쪽에 연결된다.
점퍼 광심선은 기계식 접속자 모듈(5)의 다른 쪽에 연결되어, 점퍼 광심선 정리부(17)에 저장된 후, 점퍼 광심선 고정 클램프(21)를 통해 내부 모듈에 고정되어 있는 점퍼 광심선 여장 정리 얼레에 여장이 정리된다. 상기 점퍼 광심선은 다른 내부 모듈의 트레이 또는 같은 모듈의 다른 트레이에서 인입 케이블과 접속 가능하며, 서로 다른 케이블간을 연결함으로써 광케이블간의 분배 또는 절체가 가능하게 된다. 즉, 절체함 내로 인입된 광케이블간의 새로운 분배나 절체는 기계식 접속자 모듈(5)에 연결된 점퍼 광심선의 루트를 변경함으로써 가능하다.
점퍼 광심선으로는 길이가 0.9 mm인 광심선을 사용하며, 스풀(spool)에 감겨 있는 광심선에서 원하는 길이만큼 잘라 사용할 수 있으므로 여장 처리 등이 용이하게 된다.
또한, 인입 광섬유 정리부(16)와 점퍼 광심선 정리부(17)가 서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내부 모듈(3)이나 각 트레이(4) 사이를 점퍼 광심선으로 연결하는 크로스커넥션(Cross-connection) 뿐만 아니라 인입 광섬유간을 직접 연결하는 인터커넥션(Interconnection)이 가능하게 된다.
각 트레이(4)는 내부 모듈(3)에 세로로 장착되며 트레이의 회전축(23)은 내부 모듈의 전면 하부의 트레이 회전축 고정부에 고정된다. 유지 보수 등이 필요한 경우, 트레이(4)에 접근하기 위해서는 트레이 고정 가이드에 고정된 트레이 걸림쇠(24)를 약간 밀고 앞으로 당기면 일정 각도만큼 트레이가 움직인 후 다시 두 번째 걸림쇠(25)에 의해 트레이 고정 가이드(14)에 고정된다. 두 번째 걸림쇠를 약간 밀고 다시 앞으로 당기면 트레이가 90도 회전되어 완전 개방 상태가 되므로 유지보수 작업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트레이의 기계식 접속자 모듈(5)은 8심 단위 리본형 다심 광케이블의 수용을 고려하여 16심의 접속자를 수용한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트레이에 장착되는 16심의 기계식 접속자 모듈(5)의 서로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다. 이 접속자 모듈(5) 위에는 도 2에서와 같이 광섬유 접속점을 외부의 기계적 충격이나 먼지 등의 환경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도 6c와 같은 커버(5a)가 장착된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트레이(4)는 도 6a 및 도 6b에서와 같이 접속자의 종류에 따라 서로 다른 형태로 형성된 접속자 모듈(5)을 필요에 따라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트레이(4) 본체에 형성된 개구부(4a)에 상기 접속자 모듈(5)의 장/탈착이 가능하다. 즉, 이 개구부(4a) 둘레의 소정 부위에는 접속자 모듈(5)이 트레이의 개구부(4a)에 결합될 때 접속자 모듈(5)의 소정 부위에 형성된 돌기부(5b, 5c)와 스냅식으로 체결되는 로크부(4b, 4c)가 형성됨으로써, 접속자 모듈(5)을 트레이(4)에 결합시키기 용이하게 된다.
도 7a 및 도 7b에는 본 발명의 트레이에 장착되는 광섬유 고정 클램프(18)가 도시되어 있다. 이 클램프(18)는 트레이 내로 인입되는 광섬유가 이탈하지 않도록 광섬유를 고정한다. 즉, 상기 클램프(18)는 트레이의 고정 홈에 고정되도록 그 고정부(18a)가 후크(hook)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고정홈에 고정되지 않는 손잡이부(18b)가 트레이(4)와 일정한 각도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클램프의 장착 및 탈착이 작은 힘으로도 가능하게 되며, 이에 따라 광섬유 고정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광심선 및 점퍼 광심선 정리부에 장착되는 광심선 고정 클램프(19, 21)는 각각 인입 광심선 정리부(16)로부터 접속자 모듈(5)로 향하는 광섬유와, 점퍼 광심선 정리부(17)로부터 점퍼 광심선 여장 처리용 얼레로 향하는 광심선을 각각 고정하게 됨으로써, 인입 광심선 정리부(16)와 점퍼 광심선 여장 처리 얼레에서 발생하는 광심선에 작용하는 인장력이 접속자 모듈(5)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기계식 접속자를 트레이에 스냅식으로 탈착 가능한 모듈형 유닛으로서 형성함으로써, 사용되는 광분배/절체 시스템의 사양에 맞춰 기계식 접속자 모듈만을 제작하고, 트레이의 본체부는 항상 동일한 구조로서, 환언하면 동일한 금형을 사용하여 성형할 수 있다. 따라서, 트레이 제조업자의 투자 비용을 현저히 저감시키고, 또한 제품가가 저렴해질 수 있다.

Claims (4)

  1. 피더 광케이블과 분배 광케이블, 또는 분배 광케이블과 인입 광케이블의 연결 지점에서 이들 광케이블을 분배/절체할 수 있도록 광섬유 분배 장치내에 카드 형태로 장착되며, 상기 광케이블들의 광섬유를 정리된 상태로 유지하는 광섬유 정리부와, 광심선의 절체부 그리고 점퍼 광심선 정리부를 구비하는 광섬유 분배/절체용 트레이에 있어서,
    상기 피더 광케이블과 분배 광케이블, 또는 분배 광케이블과 인입 광케이블을 예정된 배선 관계로 상호 접속시키기 위한 다수의 다심 광케이블 접속자를 트레이에 스냅식으로 탈착 가능한 모듈형 유닛으로 형성하고, 트레이의 본체에는 이 접속자 모듈을 수용할 수 있는 개구부를 형성하며, 이 개구부 둘레의 소정 부위에 상기 접속자 모듈을 스냅식으로 고정·유지하는 로크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에 인접한 광심선 정리부의 둘레에 돌출벽을 또한 구비하며, 상기 개구부의 종축선은 상기 돌출벽에 거의 수직인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접속자 유닛의 일단부에는 돌기가 마련되어 있고 타단부에는 요부(凹部)가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돌출벽에는 접속자 유닛이 개구부에 결합되었을 때 상기 돌기의 위치와 일치하는 위치에 상기 돌기 삽입용 구멍이 마련되어 있고, 결합시 상기 접속자 유닛의 타단부가 위치될 개구부의 단부에는 상기 요부와 스냅식으로 체결되는 로크부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자 모듈에는 16심의 광케이블 접속자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이.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광심선을 트레이에 탈착 가능하게 유지하여 그 광심선의 이탈을 방지하며, 상기 트레이에 장, 탈착이 용이하도록 그 손잡이부가 트레이와 일정 각도를 가지도록 형성된 광심선 고정 클램프를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이.
KR1019980038167A 1998-09-16 1998-09-16 광섬유 분배 장치의 광섬유 분배/절체용 트레이 Expired - Fee Related KR1002899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38167A KR100289932B1 (ko) 1998-09-16 1998-09-16 광섬유 분배 장치의 광섬유 분배/절체용 트레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38167A KR100289932B1 (ko) 1998-09-16 1998-09-16 광섬유 분배 장치의 광섬유 분배/절체용 트레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9859A KR20000019859A (ko) 2000-04-15
KR100289932B1 true KR100289932B1 (ko) 2001-05-15

Family

ID=195507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38167A Expired - Fee Related KR100289932B1 (ko) 1998-09-16 1998-09-16 광섬유 분배 장치의 광섬유 분배/절체용 트레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8993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1382B1 (ko) 2010-07-27 2011-03-16 유한회사 유성통신건설 통신용 맨홀 내부함체 및 케이블 고정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8968B1 (ko) 2014-09-22 2017-03-22 임채현 적층형 광심선 저장함
KR102208460B1 (ko) 2017-09-07 2021-01-27 임채현 적층형 광심선 저장함
WO2024107584A1 (en) * 2022-11-15 2024-05-23 Afl Telecommunications Llc Telecommunications rack and method for routing
WO2024107586A2 (en) * 2022-11-15 2024-05-23 Afl Telecommunications Llc Telecommunications rack and method for routing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1382B1 (ko) 2010-07-27 2011-03-16 유한회사 유성통신건설 통신용 맨홀 내부함체 및 케이블 고정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9859A (ko) 2000-04-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428876B2 (en) Telecommunications cabinet with connector storage
US6845207B2 (en) Optical fiber enclosure system
JP4511530B2 (ja) 光ファイバケーブルの配線フレーム
EP0531628B1 (en) Device for dividing optical fibre cables and wires
KR100289932B1 (ko) 광섬유 분배 장치의 광섬유 분배/절체용 트레이
AU2016201870A1 (en) Multi-position fiber optic connector holder and method
HK1100699B (en) Telecommunications connection cabinet with holder for storing fiber optic connectors and corresponding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R17-X000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7-oth-X000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8-oth-X00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8-oth-X000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1-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3-asn-PN2301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1-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3-asn-PN2301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1-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3-asn-PN2301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1-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3-asn-PN2301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1-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3-asn-PN2301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1-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3-asn-PN2301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Fee payment year number: 1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Fee payment year number: 4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Fee payment year number: 5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Fee payment year number: 6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Fee payment year number: 7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1108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Fee payment year number: 8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Not in force date: 20090227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PC1903 Unpaid annual fee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090227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