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289416B1 - 폐수방류수 및 냉각수계 금속의 부식 및 스케일 억제방법 - Google Patents

폐수방류수 및 냉각수계 금속의 부식 및 스케일 억제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89416B1
KR100289416B1 KR1019960063887A KR19960063887A KR100289416B1 KR 100289416 B1 KR100289416 B1 KR 100289416B1 KR 1019960063887 A KR1019960063887 A KR 1019960063887A KR 19960063887 A KR19960063887 A KR 19960063887A KR 100289416 B1 KR100289416 B1 KR 1002894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rrosion
scale
ppm
cooling water
zinc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Lifetim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638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45677A (ko
Inventor
최동진
유광희
박준원
김영기
Original Assignee
조민호
에스케이케미칼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민호, 에스케이케미칼주식회사 filed Critical 조민호
Priority to KR10199600638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89416B1/ko
Publication of KR199800456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456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894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89416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Lifetim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5/00Softening water; Preventing scale; Adding scale preventatives or scale removers to water, e.g. adding sequestering agents
    • C02F5/08Treatment of water with complexing chemicals or other solubilising agents for softening, scale prevention or scale removal, e.g. adding sequestering agents
    • C02F5/10Treatment of water with complexing chemicals or other solubilising agents for softening, scale prevention or scale removal, e.g. adding sequestering agents using organic substances
    • C02F5/105Treatment of water with complexing chemicals or other solubilising agents for softening, scale prevention or scale removal, e.g. adding sequestering agents using organic substances combined with inorganic substanc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3/00Specific treatment goals
    • C02F2303/08Corrosion inhibi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3/00Specific treatment goals
    • C02F2303/22Eliminating or preventing deposits, scale removal, scale prevent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reventing Corrosion Or Incrustation Of Met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폐수방류수 및 냉각수계에 수처리제 조성물을 첨가하여 부식 및 스케일을 억제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아연염, 오르쏘인산염, 다인산염, 포스포네이트, 아졸계 화합물 및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를 함유하는 수처리제 조성물을 첨가하여 폐수방류수로 인한 배수관의 부식 및 스케일 형성을 억제하고 폐수방류수를 냉각수로 재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수처리제 조성물을 첨가하면 각종 산업용 수배관에서 발생할 수 있는 부식을 방지하고 스케일을 억제하는데 효과적이며 개방 또는 밀폐 순환식 냉각수계, 일과식 냉각수계가 사용 대상이 될 수 있으며 그 중에서도 농축운전으로 염류가 농축되어 부식 성향과 스케일 성향이 높은 개방 순환식 냉각수계의 수처리에 특히 효과적이다.

Description

폐수방류수 및 냉각수계 금속의 부식 및 스케일 억제방법
본 발명은 폐수방류수 및 냉각수계 금속의 부식 및 스케일 억제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아연염, 오르쏘인산염, 다인산염, 포스포네이트, 아졸계 화합물 및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를 함유하는 수처리제 조성물을 폐수방류수에 첨가하여 배수관의 부식 및 스케일 형성을 억제하고 폐수방류수를 냉각수로 재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금속에 물과 같은 전해질 물질이 접촉되면 금속면에 접해있는 전해질의 상태가 불균일하게 되어 금속표면에 전위차를 형성하고, 또한 금속표면에 부식생성물이나 스케일, 슬라임 등이 부착될 경우 용존산소의 양에 따라 국부부식이 발생하게 되므로 실제 산업현장에 설치된 냉각탑, 열교환기를 비롯한 각종 수배관을 사용한 산업용 설비에서 부식 및 스케일이 발생하여 순환시스템에 커다란 장애를 주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개방 순환식 냉각수계는 고농축으로 운전하므로 용해되어 있는 염이 열교환기 등의 열전달면에 다공질의 침전물을 형성하고 이에 따라 국부부식을 유발하거나 칼슘염, 마그네슘염 등의 스케일이 발생하게 된다.
특히, 폐수방류수의 수질은 염소이온 및 전기전도도 등의 수치가 높아 공업용수와는 다르게 부식 및 스케일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인자들이 많으므로 산업현장의 관리가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이전의 수처리제 조성물로는 크롬염을 사용하거나 인산염과 아졸계 화합물을 사용하거나 아크릴계 중합체, 말레익계 중합체와 인산염을 사용하거나 리그닌, 탄닌 등을 사용하였다.
특히 아연염은 부식반응중 음극반응을 억제하며 소량으로도 부식을 방지하는데 유용하다고 알려져 있는 바, 미국특허 제 4,149,969호에는 아연염, 몰리브덴산염, 망간염, 니켈염, 아졸계 화합물, 포스포네이트의 조성물이 기술되어 있으며, 미국특허 제 4,324,684호와 제 4,411,865호에는 아연염, 크롬염, 인산염,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의 조성물이 기술되어 있으며, 미국특허 제 4,530,955호에는 아연염과 무수말레익 중합체의 조성물이 기술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수처리제 조성물들은 부식을 방지하는 효과나 스케일을 억제하는 능력에서 다소 차이는 있지만 만족할 만한 효과를 기대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특히 크롬염의 경우에는 공해유발, 인체독성, 안정성 등의 여러 문제점으로 사용이 규제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함과 동시에 폐수방류수를 재활용하여 냉각수로 사용가능하도록 사용이 간편하고 안전한 수처리제 조성물을 폐수방류수 및 냉각수계에 첨가하여 부식 및 스케일을 억제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에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아연염, 오르쏘인산염, 폴리인산염, 포스포네이트, 아졸계 화합물,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를 함유하는 조성물을 폐수방류수 및 냉각수계에 첨가하되, 아연염을 아연 이온 기준으로 0.05 ∼ 5ppm, 오르쏘인산염을 오르쏘포스페이트 이온 기준으로 0.5 ∼ 30ppm, 폴리인산염을 폴리포스페이트 이온 기준으로 0.5 ∼ 30ppm, 포스포네이트를 오르가닉 포스페이트 이온 기준으로 0.5 ∼ 30ppm, 아졸계 화합물을 0.1 ∼ 10ppm,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를 0.1 ∼ 30ppm의 농도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식 및 스케일의 억제방법이다.
이하, 본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제 조성물은 아연염으로는 염화아연, 황산아연, 질산아연 등을, 오르쏘인산염으로는 제1인산소다, 제2인산소다, 제3인산소다, 인산 등을, 다인산염으로는 헥사메타인산소다, 피로인산소다, 피로인산칼륨 등을, 포스포네이트는 하이드록시에틸린디포스포닉산, 하이드록시포스포노카르복실산, 아미노트리메틸렌포스포닉산, 포스포노부탄트리카르복실산 등을 사용할 수 있고, 아졸계 화합물은 톨릴트리아졸, 머캅토벤조씨아졸, 벤조씨아졸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는 아연염, 탄산염을 비롯한 2가 금속염의 스케일 형성을 억제하기 위해 사용되며 다음 (1)식과 같은 구조를 나타낸다.
상기식에서 m,n은 각각 5내지 1,000의 정수이고,는 각각 수소원자, 알킬기 또는 하이드록시기를 나타내며,,는 각각 수소원자, 메틸기 또는 에틸기를 나타내며,는 수소원자 또는 탄소수 1 내지 5의 알킬기를 나타내며,는 탄소수 1 내지 10의 알킬기 또는 탄소수 8 내지 10의 아르알킬(Aralkyl)기를 나타내며, X, Y는 각각 수소원자, 1가의 금속원자 또는 N(R')(R″)(여기에서 R',R″는 각각 수소원자, 탄소수 1 내지 5의 알킬기 또는 탄소수 1 내지 5의 하이드록시 알킬기)를 나타낸다.
부식반응중 음극반응을 억제하는 기능을 갖는 아연염의 함량은 수처리제 프로그램 적용시의 아연이온을 기준으로 0.05 내지 5ppm,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4.5ppm 이 좋은 바, 함량이 0.05 ppm 미만이 되면 냉각수계에 부식이 생길 가능성이 있고 5ppm 을 초과하면 하천방류시 어패류에 위험을 줄 수 있다.
부식반응중 양,음극반응을 억제하는 기능을 갖는 오르쏘인산염의 함량은 수처리제 프로그램 적용시의 오르쏘포스페이트 이온을 기준으로 0.5 내지 30ppm,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25ppm 이 좋은 바, 함량이 0.5ppm 미만이면 방식능력이 저하되고 30ppm 을 초과하면 칼슘염 스케일의 위험성을 내포하게 된다.
부식반응중 음극반응을 억제하는 기능 및 스케일 억제기능을 갖는 다인산염의 함량은 수처리제 프로그램 적용시의 폴리포스페이트 이온을 기준으로 0.5 내지 30ppm,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30ppm 이 좋은 바, 함량이 0.5ppm 미만이면 방식능력이 저하되고 30ppm 을 초과하면 경제성이 떨어진다.
부식반응중 음극반응을 억제하는 기능 및 칼슘염 스케일 억제 기능이 우수한 포스포네이트의 함량은 수처리제 프로그램 적용시의 오르가닉 포스페이트 이온을 기준으로 0.5 내지 30ppm, 바람직하게는 1.0내지 25ppm 이 좋은 바, 함량이 0.5ppm 미만이면 효과가 저하되고 30ppm 을 초과하면 경제성이 떨어진다.
특히 구리 및 구리화합물의 부식억제 능력이 탁월한 아졸계 화합물은 수처리제 프로그램 적용시의 농도 기준으로 0.1 내지 10ppm, 바람직하게는 0.3 내지 8ppm 이 좋은 바, 함량이 0.1ppm 미만이면 방식효과가 저하되고 10ppm 을 초과하면 경제성이 떨어진다.
수중의 스케일 억제 기능을 갖는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는 수처리제 프로그램 적용시의 농도 기준으로 0.1 내지 30ppm,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25ppm 이 좋은 바, 함량이 0.1ppm 미만이면 스케일 억제 효과가 떨어지고 30ppm 을 초과하면 경제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수처리제 조성물은 각종 산업용 수배관에서 발생할 수 있는 부식을 방지하고 스케일을 억제하는데 보다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으므로 개방 또는 밀폐 순환식 냉각수계, 일과식 냉각수계가 사용 대상이 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농축운전으로 염류가 농축되어 부식 성향과 스케일 성향이 높은 개방 순환식 냉각수계의 수처리제로 사용할 때에 특히 효과적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통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겠는 바, 실시예로 인하여 본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3, 비교예 1∼3〉
온도 45 ℃에서 탄소강 시험편(0.218dm2)을 회전속도 170rpm으로 5일간 회전시켜서 부식속도를 측정하였다.
이때 다음 표 1의 시험수질에 표 2에 표시된 수처리제 성분의 각 농도를 유지시킨 후 시험편의 부식속도의 결과를 표 3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4∼6, 비교예 4∼6〉
테스트 용액을 밀폐시키고 50℃ 에서 25시간 정체시킨 후 No.5C 여과지로 여과하여 총경도를 측정하여 스케일 억제율을 측정하였다.
이때 다음 표 1의 시험수질에 표 2에 표시된 수처리제 성분의 각 농도를 유지시킨 후 스케일 억제율의 결과를 표 4에 나타내었다.
억제율(%)=(시험전의 시험액중의 총경도/시험후의 시험액중의 총경도)×100
구 분 # 1 # 2 # 3
pH 8.7 8.2 7.7
전기전도도 (μmho/cm) 1,480 2,945 4,890
Ca-H (ppm) 150 300 500
Mg-H (ppm) 50 100 170
Cl-(ppm) 200 400 670
주) pH : 0.5N 수산화나트륨 수용액과 0.5N 황산 수용액으로 조절
Ca-H(칼슘경도) : 염화칼슘으로 조절
Mg-H(마그네슘경도) : 황산마그네슘으로 조절
Cl-: 염화나트륨으로 조절
성분 함량(ppm)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오르쏘포스페이트 10 12 14 0 10 10
폴리포스페이트 4 8 8 0 12 0
오르가닉 포스페이트 4 4 4 0 0 4
톨릴트리아졸 2 3 3 0 2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5 10 10 0 4 5
아연 이온 2.5 2.0 1.5 0 0 2
주)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 Rohm & Haas 사의 Acumer 2000
구 분 부식속도(mdd, mg/(dm2·day))
# 1 # 2 # 3
실시예 1 5.2 8.4 12.5
실시예 2 4.6 6.4 9.2
실시예 3 6.8 8.5 11.0
비교예 1 257.8 275.2 266.1
비교예 2 22.9 32.1 54.1
비교예 3 10.1 14.7 17.4
스케일 억제율(%)
# 1 # 2 # 3
실시예 1 87 82 79
실시예 2 95 93 90
실시예 3 93 91 85
비교예 1 33 27 24
비교예 2 75 67 58
비교예 3 84 79 73
상기 표 3에 의하면 표 1 의 수질에 대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3 의 부식속도는 비교예 1∼3 보다 부식속도가 훨씬 느렸으며, 또한 상기 표 4에 의하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4∼6의 스케일 억제율이 비교예 4∼6의 경우 보다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수처리제는 금속의 부식 및 스케일 생성을 방지하는 효과가 매우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본 발명은 산화피막형, 침전피막형을 겸비하고 있으므로 금속표면에서 발생할 수 있는 전기화학반응인 양극과 음극반응을 억제하여 부식이 일어날 수 있는 조건을 최대한 축소시키므로써 뛰어난 방식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며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와 포스포네이트가 2가 금속염의 스케일을 억제하는 능력이 우수하고, 특히 총경도 1,500ppm, 전기전도도 6,000μmho/cm, M-알카리도 500ppm, 염소이온 1,500ppm, 실리카 이온 150ppm, 탁도 20NTU 이하의 수질에서 발생할 수 있는 부식 및 스케일을 동시에 억제하는 기능이 뛰어나다.

Claims (6)

  1. 아연염, 오르쏘인산염, 폴리인산염, 포스포네이트, 아졸계 화합물,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를 함유하는 조성물을 폐수방류수 및 냉각수계에 첨가하되, 아연염을 아연 이온 기준으로 0.05 ∼ 5ppm, 오르쏘인산염을 오르쏘포스페이트 이온 기준으로 0.5 ∼ 30ppm, 폴리인산염을 폴리포스페이트 이온 기준으로 0.5 ∼ 30ppm, 포스포네이트를 오르가닉 포스페이트 이온 기준으로 0.5 ∼ 30ppm, 아졸계 화합물을 0.1 ∼ 10ppm,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를 0.1 ∼ 30ppm의 농도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식 및 스케일의 억제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아연염은 염화아연, 황산아연 또는 질산아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식 및 스케일의 억제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포스포네이트는 포스포노부탄트리카르복실산, 하이드록시에틸린디포스포닉산, 하이드록시포스포노카르복실산 또는 아미노트리메틸렌포스포닉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식 및 스케일의 억제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폴리인산염은 헥사메타인산소다, 피로인산소다 또는 피로인산칼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식 및 스케일의 억제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아졸계 화합물로는 톨릴트리아졸, 머캅토 벤조씨아졸 또는 벤조씨아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식 및 스케일의 억제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는 하기식 (1)과 같은 구조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식 및 스케일의 억제방법.
    상기식에서 m,n은 각각 5내지 1,000의 정수이고,는 각각 수소원자, 알킬기 또는 하이드록시기를 나타내며,,는 각각 수소원자, 메틸기 또는 에틸기를 나타내며,는 수소원자 또는 탄소수 1 내지 5의 알킬기를 나타내며,는 탄소수 1 내지 10의 알킬기 또는 탄소수 8 내지 10의 아르알킬(Aralkyl)기를 나타내며, X, Y는 각각 수소원자, 1가의 금속원자 또는 N(R')(R″)(여기에서 R',R″는 각각 수소원자, 탄소수 1 내지 5의 알킬기 또는 탄소수 1 내지 5의 하이드록시 알킬기)를 나타낸다.
KR1019960063887A 1996-12-10 1996-12-10 폐수방류수 및 냉각수계 금속의 부식 및 스케일 억제방법 Expired - Lifetime KR1002894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63887A KR100289416B1 (ko) 1996-12-10 1996-12-10 폐수방류수 및 냉각수계 금속의 부식 및 스케일 억제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63887A KR100289416B1 (ko) 1996-12-10 1996-12-10 폐수방류수 및 냉각수계 금속의 부식 및 스케일 억제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5677A KR19980045677A (ko) 1998-09-15
KR100289416B1 true KR100289416B1 (ko) 2001-05-02

Family

ID=375177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63887A Expired - Lifetime KR100289416B1 (ko) 1996-12-10 1996-12-10 폐수방류수 및 냉각수계 금속의 부식 및 스케일 억제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8941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3371B1 (ko) * 2006-11-07 2013-06-11 에스케이케미칼주식회사 개방 순환 냉각시스템의 수처리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9354B1 (ko) * 2003-11-26 2010-03-26 에스케이케미칼주식회사 고 전도도 수질에 적합한 수처리 방법
KR101137459B1 (ko) * 2005-05-30 2012-04-20 에스케이케미칼주식회사 금속의 부식 및 스케일 형성을 억제하는 수처리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3371B1 (ko) * 2006-11-07 2013-06-11 에스케이케미칼주식회사 개방 순환 냉각시스템의 수처리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5677A (ko) 1998-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42540A (en) Compositions for controlling scale formation in aqueous system
US4018702A (en) Corrosion inhibition with amine adducts of maleic anhydride polymers
US3933427A (en) Process for preventing corrosion and the formation of scale in water circulating system
US4298568A (en) Method and composition for inhibiting corrosion of nonferrous metals in contact with water
EP1208248B1 (en) Corrosion inhibition method suitable for use in potable water
US4057511A (en) Process for preventing corrosion and the formation of scale in water circulating system
KR101137459B1 (ko) 금속의 부식 및 스케일 형성을 억제하는 수처리 방법
AU2002214357B2 (en) Multifunctional water-treating composition and method of water-treating using the same
CA2125224C (en) Methods and composition for controlling scale formation in aqueous systems
KR20040053571A (ko) 냉각시스템에서 금속 부식 및 스케일 형성을 억제하기위한 수처리 방법
KR100289416B1 (ko) 폐수방류수 및 냉각수계 금속의 부식 및 스케일 억제방법
AU2002214357A1 (en) Multifunctional water-treating composition and method of water-treating using the same
US5344590A (en) Method for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s using polytartaric acids
KR100949354B1 (ko) 고 전도도 수질에 적합한 수처리 방법
KR100310168B1 (ko) 부식및스케일형성을억제하기위한수처리제조성물및그를이용한수처리방법
KR100297807B1 (ko) 금속의부식방지용수처리제조성물
KR100315438B1 (ko) 밀폐순환냉각시스템의부식및스케일억제수처리제조성물및그방법
KR100290808B1 (ko) 보일러의 부식 및 스케일방지용 수처리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보일러의 부식 및 스케일 억제방법
KR100285937B1 (ko) 글루콘산염을 이용한 부식방지 및 스케일 형성을 억제하기위한 수처리 프로그램 및 수처리 방법
KR100310166B1 (ko) 금속의부식방지및수중이온의스케일형성을억제하기위한수처리프로그램및수처리방법
KR100315437B1 (ko) 금속의부식및수중이온의스케일형성을방지하기위한수처리제조성물및수처리방법
KR100310167B1 (ko) 개방순환냉각시스템의부식및스케일형성을억제하기위한수처리제조성물및그를이용한수처리방법
KR19990024319A (ko) 수배관의 부식 및 스케일 억제용 수처리제 조성물 및 그 방법
KR101190519B1 (ko) 개방 순환 냉각시스템의 전처리용 수처리제 조성물 및수처리 방법
KR100297808B1 (ko) 수중금속의부식방지용수처리제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61210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90210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19961210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0122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1022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1022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012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012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0125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205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204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210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209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128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127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21

Year of fee payment: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121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0

Year of fee payment: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220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17

Year of fee payment: 1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217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9

Year of fee payment: 1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219

Start annual number: 16

End annual number: 16

EXPY Expiration of term
PC1801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