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286163B1 - 주소인식방법, 주소인식장치 및 지엽류 자동처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주소인식방법, 주소인식장치 및 지엽류 자동처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86163B1
KR100286163B1 KR1019950024342A KR19950024342A KR100286163B1 KR 100286163 B1 KR100286163 B1 KR 100286163B1 KR 1019950024342 A KR1019950024342 A KR 1019950024342A KR 19950024342 A KR19950024342 A KR 19950024342A KR 100286163 B1 KR100286163 B1 KR 1002861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ame
neighborhood
character
address
neighborhood nam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243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08620A (ko
Inventor
니시지마야스오
사까마또야스하루
야마우찌도시후미
가네꼬이찌로
Original Assignee
가네꼬 히사시
닛뽕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네꼬 히사시, 닛뽕덴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가네꼬 히사시
Publication of KR9600086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86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861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86163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0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7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using pattern recognition or machine learning
    • G06V10/768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using pattern recognition or machine learning using context analysis, e.g. recognition aided by known co-occurring patter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30/00Character recognition; Recognising digital ink; Document-oriented image-based pattern recognition
    • G06V30/10Character recogn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Character Discrimination (AREA)
  • Sorting Of Articles (AREA)

Abstract

[목적] 방대한 수의 동네이름을 등록하는 일 없이 주소를 고속·고정도로 읽어낸다.
[구성] 지엽류상에 기재되는 동네이름별로 대응하는 동네이름 코드, 도도부현시구 동네이름 및 주거표시번호를 포함하는 주소를 나타내는 입력문자열을 화상추출하고, 화상추출된 입력문자열을 1 문자별로 슬라이스하여, 각각의 문자를 미리 문자정보가 등록된 문자사전 (105) 의 내용과 조회하고 문자인식하는 문자인식부 (104) 와, 문자인식부 (104) 에 있어서의 문자인식결과에 의거하여 입력문자열의 각 문자의 문자종류를 판정하는 문자종류 판정부 (106) 와, 입력문자열을 선두부분으로부터 순차 문자종류를 체크해 가고, 동네이름 코드 및 주거표시번호를 검출하고, 검출된 동네이름 코드 및 주거표시번호를 함께 주소로서 인식하는 주소인식부 (107) 를 갖는다.

Description

주소인식방법, 주소인식장치 및 지엽류 자동처리 시스템
제1도는 본 발명의 제 1 의 실시형태 (실시형태 1) 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제2도는 지엽류에 기재된 주소의 일예를 나타내는 도면.
제3도는 문자사전의 일예를 나타내는 도면.
제4도는 실시형태 1 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 차트.
제5도는 입력문자열과 문자위치 P (ⅰ) 와의 관계, 사전 NO. D(j) 와 사전, 카테고리, 문자종류와의 관계, r (ⅰ) 에 격납되는 조회결과의 카테고리, 문자인식부로부터 출력되는 문자인식결과를 나타내는 도면.
제6도는 문자종류와 카테고리와의 관계, f (1)~f (m) 에 격납되는 최종결과의 카테고리, 문자종류 판정부로부터 출력되는 문자종류판정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
제7도는 본 발명의 제 2 형태 (실시형태 2) 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제8도는 동네이름 문자수 테이블의 일예를 나타내는 도면.
제9도는 시구명 테이블의 일예를 나타내는 도면.
제10도는 실시형태 2 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 챠트.
제11도는 본 발명의 제 3 의 실시형태 (실시형태 3) 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제12도는 시구명 테이블의 일예를 나타내는 도면.
제13도는 동네이름 테이블의 일예를 나타내는 도면.
제14도는 실시형태 3 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 챠트.
제15도는 인식한 주소를 바코드 코드로 변환하고 지엽류상에 인자하여 처리를 행하는 우편물 자동처리 시스템의 개요를 예시하는 도면.
제16도는 중국 및 한국의 우편물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
제17도는 종래의 주소 인식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 : 화상추출부 102 : 주소위치검출부
103 : 문자 슬라이스부 104 : 문자인식부
105 : 문자사전 106 : 문자종류 판정부
107 : 주소인식부 201 : 동네이름 문자수 검색부
202 : 동네이름 문자수 테이블 203 : 시구명 검색부
204 : 시구명 테이블 205 : 주소인식부
301 : 시구명 검색부 302 : 시구명 테이블
303 : 동네이름 검색부 304 : 동네이름 테이블
305 : 동네이름 문자수 검색부 306 : 주소인식부
1 A : 동네이름 코드 1 B : 시구명/동네이름
1 C : 주거표시번호
본 발명은, 지엽류 구분기 등에 있어서 지엽류상에 기재된 주소를 고속이면서 고정도(高精度) 로 일어내는 주소인식방법, 주소인식장치 및 그 읽어낸 주소를 바코드에 변환하여 지엽류상에 인자하고 처리하는 지엽류 자동처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주소인식장치에 대해서 제 17 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주소인식장치에서는, 먼저, 화상추출부 (121) 에 있어서, 지엽류상에 기재된 문자패턴이 입력되어서 화상신호로 변환되고, 화상신호중 주소에 해당하는 부분의 문자패턴이 추출된다. 그리고, 문자 인식부 (122) 에 있어서 화상 추출부 (121) 에서 추출된 문자패턴에 대해서, 문자 슬라이스처리가 행해진다. 그리고, 이후, 문자인식부 (122) 에서, 사전 (123) 에 미리 격납되어 있는 문자와 1 문자별로 슬라이스된 문자가 비교되고, 문자인식이 행해진다.
다음에, 단어인식부 (124) 에 있어서, 문자인식부 (122) 에서 인식된 문자열에 대하여, 미리 단어가 격납된 단어사전 (125) 으로부터 단어가 읽히고, 그 읽어낸 단어와 인식된 문자열을 비교조회함으로써, 단어인식이 행해진다. 그리고, 주소 인식부 (126) 에서, 미리 주소가 격납된 주소사전 (127) 으로부터 읽어낸 주소와 단어인식부 (124) 에서 인식된 단어를 비교조회함으로써, 주소인식이 행해진다.
그리고, 읽어내기의 대상이 되는 주소명을 미리 주소사전에 등록해 두고, 지엽류상의 문자열의 읽어낸 결과와 주소사전으로부터 읽어낸 주소명을 비교조회하여, 주소명을 인식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에를 들면 일본국 특개평 2-181287 호 공보나 USPS 수신 주소자동읽어내기 구분기 (NEC 기보 통권 187 호 Vol. 38 No.4 P41~47 USPS 수신 주소자동읽어내기 구분기 (1985) 에 개시되어 있다.
또, 지엽류상에 기재된 문자를 주사하고, 주사패턴을 단어단위로서 추출하는 단어추출수단과, 주소를 나타내는 미리 설정된 사전패턴을 격납하는 기억수단과, 단어추출수단으로부터 추출된 단어를 지엽류 상에 기재된 순서에 따라서 조회하면서 사전패턴과 비교하는 비교수단을 설치하고, 이 비교수단에서의 비교결과로부터 가장 유사도가 높은 조합을 선별함으로써 주소를 인식하는 방법에 대해서, 예를 들면 일본국 특공소 62-62388 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주소인식장치에서는, 읽기의 대상이 되는 주소명을 전부 주소사전에 등록하지 않으면 안된다. 예를 들면, 일본국에 있어서, 도도부현시구 (都道府縣市區) 명까지 약 3000 개, 동네이름까지 포함하면 약 120000 개의 주소명을 등록하지 않으면 안되며, 주소사전의 내용이 방대해 진다. 이로써, 장치가 대규모로 되어 버린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 비교조회할 건수가 매우 많기 때문에, 처리속도가 매우 늦다는 문제도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으로 하는 것은, 방대한 수의 동네이름을 등록하는 일 없이, 주소를 고속이면서 고정도로 읽을 수 있는 주소 인식방법 및 주소인식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또, 그 읽은 주소를 바코드로 변환하여 지엽류 상에 인자하고 처리하는 지엽류 자동처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제 1 및 2 발명 (청구항 제 1 항 에 관한 발명) 및 제 6 및 7 발명 (청구항 제 6 항에 관한 발명) 은, 지엽류 상에 기재되는 동네이름별로 대응하는 동네이름 코드, 지역명 (도도부현시구 동네이름) 및 주거표시번호를 포함하는 주소를 나타내는 입력문자열을 화상추출하고, 이 화상추출한 입력문자열을 1 문자별로 슬라이스하여, 각각의 문자를 미리 문자정보가 등록된 문자사전의 내용과 비교조회하여 문자인식하고, 이 문자인식결과에 의거하여 동네이름 코드 및 주거표시번호를 검출하고, 그 검출한 동네이름 코드 및 주거표시번호를 함께 주소로서 인식하고, 문자인식결과에 의거하여 입력문자열의 각 문자의 문자종류를 판정하는 것으로 하고, 입력문자열을 그 선두부분으로부터 순차 문자종류를 체크함으로써, 동네이름 코드 및 주거표시번호를 검출하도록 한 것이다.
예를 들면, 문자인식결과에 의거하여, 입력문자열의 각 문자의 문자종류(한자, 숫자, 기호 등의 구별) 를 판정하고, 입력문자열을 그 선두부분으로부터 순차 문자종류를 체크해 가고, 최초로 숫자 또는 기호가 연속하는 부분을 동네이름 코드로 보고, 또, 문자종류의 변화에 의거하여, 예를 들면, 입력문자열에 있어서 한자로부터 숫자나 기호로 문자종류가 변하였을 때에, 그 숫자나 기호를 주거표시번호로 검출한다.
제 3 발명 (청구항 제 3 항에 관한 발명) 및 제 8 발명 (청구항 제 8 항에 관한 발명) 은, 제 2 발명 및 제 7 발명에서, 동네이름 코드에 대응하는 동네이름의 문자수를 미리 등록한 제 1 테이블과 시구명을 미리 등록한 제 2 테이블을 설치하고, 문자인식결과에 의거하여 동네이름 코드를 검출하고, 그 동네이름 코드에 대응하는 동네이름의 문자수를 제 1 테이블로부터 검색하는 것으로 하고, 문자인식결과에 의거하여, 제 2 테이블로부터 입력문자열을 구성하는 시구명을 검색하는 것으로 하고, 이로써 검색한 동네이름의 문자수와 시구명에 의거하여 주거표시번호를 검출하는 것으로 한 것이다.
예를 들면, 제 3 발명 및 제 8 발명에서는, 문자인식결과에 의거하여, 숫자 또는 기호가 연속하는 부분을 동네이름 코드로 보고, 그 동네이름 코드에 대응하는 동네이름의 문자수를 제 1 테이블로부터 검색한다. 또한, 문자인식결과에 의거하여, 입력문자열을 구성하는 시구명을 제 2 테이블로부터 검색한다. 그리고, 제 1 테이블로부터 검색된 동네이름의 문자수 및 제 2 테이블로부터 검색된 시구명에 의거하여 주거표시번호의 개시위치를 검출하고, 그 개시위치 이후의 문자열을 주거표시번호로 본다.
제 4 발명 (청구항 제 4 항에 관한 발명) 및 제 9 발명 (청구항 제 9 항에 관한 발명) 은, 제 3 발명 및 제 8 발명에 있어서, 제 2 테이블에 등록된 시구명중 미리 지정된 특정지역의 시구명에 동네이름 플래그를 부가하는 것으로 하고, 검색한 시구명에 동네이름 플래그가 부가되어 있는 경우, 문자인식결과 및 검색한 시구명에 의거하여, 동네이름 플래그가 부가된 시구명에 대응하는 동네이름 및 그 동네이름에 대응하는 동네이름 코드가 미리 등록된 제 3 테이블로부터 입력문자열에 기재된 동네이름 및 그 동네이름에 대응하는 동네이름 코드를 검색하는 것으로 하고, 이 검색한 시구명 및 동네이름에 의거하여 주거표시번호를 검출하도록 한 것이다.
제 5 발명 (청구항 제 5 항에 관한 발명) 및 제 10 발명 (청구항 제 10 항에 관한 발명) 은, 제 4 발명 및 제 9 발명에 있어서, 동네이름 플래그가 부가되는 특정지역을, 지역별로 취급하는 지엽류의 수량에 의거하여 미리 지정하도록 한 것이다.
제 11 발명 (청구항 제 11 항에 관한 발명) 은, 반송 (搬送) 되어 오는 지엽류상에 기재된 주소를 나타내는 입력문자열로부터 제 2 발명의 주소인식방법으로 주소를 인식하고, 이 인식한 주소를 바코드로 변환하여 상기 지엽류상에 인자하고, 이 바코드에 인자된 지엽류를 그 인자된 바코드에 따라서 처리하도록 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형태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지엽류상에 기재되어 있는 주소는, 예를 들면, 일본의 경우, 시구명에 대응하는 우편번호, 도도부현시구 동네이름 및 주거표시 등으로 이루어지며, 일반적으로 도도부현시구 동네이름은 대략 한자로 기재되고, 주거표시번호는 숫자 및 하이픈 등의 기호로 표기되어 있다. 여기에서 이하에 설명하는 실시형태에서는, 주소의 선두에는 동네이름에 대응하는 숫자 등으로 이루어지는 코드 (이하, 동네이름 코드라 부른다) 가 부가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이하, 이 동네이름 코드, 도도부현시구 동네이름 및 주거표시번호를 포함하여 주소라 부르기로 한다.
여기에서, 주소의 일예를 제 2 도에 나타낸다. 동 도면에 있어서, 1 A 는 동네이름 코드, 1 B 는 시구명/동네이름, 1 C 는 주거표시번호이다. 이 주소의 예에서는, 동네이름 코드 1 A 의 위 3 자리 즉 「183」은, 현재 정해져있는 우편번호에 상당하는 것이며, 이 경우는, 「府中市 (부중시)」를 나타내는 것이다. 동네이름 코드 1 A 의 아래 3 자리 즉 「123」은 동네이름인 「日新町 (일신정)」에 대응되어 있는 것이다.
[실시형태 1]
다음에,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 (실시형태 1) 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실시형태는, 주소에 해당하는 입력문자열을 1 문자별로 문자인식하고, 그 인식결과에 의거하여 문자종류 (한자, 숫자, 기호 등의 구별) 을 판정한다. 그리고, 입력문자열의 선두로부터 순차 문자종류를 체크해 가고, 먼저, 숫자 또는 기호가 연속하는 부분을 동네이름 코드로 본다. 또한, 문자종류가 한자로부터 숫자 또는 기호로 변하는 위치를 검출하고, 그 이후의 부분을 주거표시번호로 본다. 이 동네이름 코드와 주거표시번호를 함께 주소로서 인식하는 것이다.
제 1 도는, 실시형태 1 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며, 화상추출부 (101)는, 지엽류상의 문자나 부호 등을 전기적인 화상신호로 변환한다.
주소위치 검출부 (102) 는, 화상추출부 (101) 에서 변환된 화상신호로부터, 그 문자열의 길이, 방향 및 열의 수 등의 정보를 검출하고, 검출한 정보에 의거하여 지엽류상에 기재된 주소에 해당하는 문자열을 검출한다. 이 경우의 주소위치 검출기술로서, 예를 들면 본 출원인에 의한 일본국 특공소 59-39065 호 공보에 나타나 있는 기술의 채용을 생각할 수 있다.
일본국 특공소 59-39065 호 공보에서는, 정속도로 주행하는 우편물의 수신인명 기재측의 어느 정해진 넓이의 범위를 주사하고, 그것에 의해 얻어지는 문자열을 어느 일정기간별로 압축조작을 행하고, 그것에 의해 얻어지는 일정기간의 압축화 문자열의 문자열 개시 및 종점위치를 검출하고, 그것에 의해 얻어지는 압축문자열의 조합으로부터 우편물상의 수신인명 기입군 및 그 행, 위치, 수신인명 문자의 크기와, 행의 경사 등을 판별하도록 하고 있다.
문자 슬라이스부 (103) 는, 주소로서 검출된 문자열을 1 문자별로 슬라이스 처리를 행한다. 이 경우의 문자 슬라이스 기술로서, 예를 들면 본 출원인에 의한 일본국 특공소 63-57831 호 공보에 나타내고 있는 기술의 채용을 생각할 수 있다.
일본국 특공소 63-57831 호 공보에서는, 입력조작신호를 주사선의 방향과 직각방향으로 압축하면서 갱신함과 동시에, 압축된 주사신호의 문자블럭별로 압축폭을 순차 기억해 가고, 압축된 주사신호와 입력주사신호를 비교하고, 압축되어 연속한 문자블럭에 대응하는 입력주사신호에 문자를 나타내는 부분이 없는 경우에 문자 슬라이스가 행해지는 것을 검출하는 것으로 하고, 문자 슬라이스의 타이밍으로 기억되어 있는 압축폭을 읽어내도록 하고 있다.
문자인식부 (104) 는, 슬라이스된 문자와, 미리 등록해 둔 문자사전 (105)을 비교조회하고, 슬라이스된 문자를 인식한다. 문자사전 (105) 에는, 약 3000 개의 한자, 숫자 및 기호 등이 미리 등록되어 있으며, 문자인식부 (104) 에 있어서의 문자인식결과는 예를 들면 JIS 코드로 출력된다. 즉, 슬라이스된 문자가 「1」이나 「府(부)」의 경우에는, 문자인식부 (105) 에서의 문자인식결과는, 각각 JIS 코드의 「2331」및 「495C」로서 출력된다. 이 경우의 문자인식기술로서, 예를 들면 본 출원인에 의한 일본국 특개평 1-94490 호 공보나 일본국 특개평 2-137080 호 공보에 나타나 있는 기술의 채용을 생각할 수 있다.
일본국 특개평 1-94990 호 공보에서는, 인식용 사전에서 동일 카테고리의 표준도형을 블럭화하고, 그 카테고리내에서, 조회를 도중에 중지하는 설정치를 순서적으로 작은 것으로 갱신하고, 또, 불일치가 0 일 때, 그 카테고리의 조회을 중지하고, 또한 1 카테고리당의 하나의 최소불일치수를 결과로서 출력하도록 하고 있다.
일본국 특개평 2-137080 호 공보에서는, 특징패턴 기억부로부터 특징패턴신호를 읽고, 참조패턴 기억부로부터 각 읽기대상 문자별로의 참조패턴을 읽고, 특징 패턴의 각 부분영역과 참조패턴상의 대응하는 부분영역의 사이의 상이도를 구할 때에, 특징패턴의 각 부분영역의 특징을 기술하는 각 방향의 특징계열과 각 특징계열에 대하여 인접하는 부분영역상의 인접하는 특징계열의 일부를 부가함으로써 얻어지는 계열을 복수로 부가하는 방법으로 복수종류의 특징계열을 작성하고, 각 방향에 대하여 원특징계열 및 작성된 복수종류의 특징계열의 각각과 원특징계열에 대응하는 참조패턴의 특징계열 사이에서 비선형 매칭을 행하고, 각 방향의 비선형매칭의 평가치가 최소의 것의 총합을 부분영역간의 상위도로 정함으로써 문자패턴과 각 문자종류의 참조패턴의 상위도를 결정하고, 상위도에 따라서 분류를 행하고, 분리결과를 출력하도록 하고 있다.
문자종류 판정부 (106) 는, 문자인식부 (104) 로부터 출력된 주소에 이용되고 있는 문자의 인식결과에 의거하여, 문자종류 (한자, 숫자 기호 등) 를 판정한다. 즉, 문자인식부(104) 에 있어서의 문자인식결과가 JIS 코드로서 출력된 경우, 그 JIS 코드가 2300 번대 (코드의 위 3 자리 233) 라면, 그 문자는 「0」~「9」의 산용숫자로 판정하고, 또, JIS 코드가 3000 번대 이상 (코드의 1 자리째는 3 이상)이라면, 그 문자는 한자(漢字) 인 것으로 판정한다. 하이픈 등의 기호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판정한다. 제 3 도에 문자종류의 판정결과의 일예를 나타낸다.
주소인식부 (107)는, 먼저, 문자종류 판정부 (106) 에 있어서는 판정결과에 의거하여, 주소에 대응하는 입력문자열을 그 선두부분으로부터 순차 문자종류를 체크해 가고, 숫자 또는 기호가 연속하는 부분을 동네이름 코드로 보고, 일시 기억해 둔다. 또한 입력 문자열에 있어서 문자종류가 한자로부터 숫자로 변하는 점, 즉 주거표시번호의 개시위치를 검출하고, 이 개시위치 이후의 숫자 및 기호를 주거 표시번호로 본다. 그리고, 일시 기억해둔 동네이름와 주거표시번호를 함께, 주소로서 인식한다.
다음에, 이 주소인식장치에 대해서,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지엽류상에는, 예를 들면, 제 2 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주소에 해당하는 문자열 「183-123 府中市 日新町 (부중시 일신정) 1-10」가 기재되어 있다. 그리고, 이 문자열은, 주소의 선두에 기재되어 있는 동네이름코드 1 A, 도도부현시구 동네이름 1 B 및 주거표시번호 1C 로부터 구성되어 있다.
먼저, 화상추출부 (101) 는, 이 지엽상의 문자나 부호 등을 전기적인 화상신호로 변환한다 (제 4 도에 나타내는 스텝 (401)). 이 추출된 화상신호는 주소위치 검출부 (102) 로 보내진다. 주소위치 검출부 (102) 는, 주소위치를 검출하고 (스텝 (402)), 주소에 해당하는 입력문자열, 즉 「183-123 府中市 日新町 (부중시 일신정) 1-10」의 화상신호를 추출한다.
그리고, 주소위치 검출부 (102) 에서 추출된 입력문자열은, 문자 슬라이스부 (103) 에서 1 문자별로 슬라이스된다 (403). 그리고, 이 슬라이스된 문자가 각각, 문자 인식부 (104) 에서, 문자사전 (105) 의 내용과 조회된다. 즉, 문자인식부 (104) 는, 문자위치의 초기화를 행함과 동시에 (i=1 : 스텝 (404)), 사전 NO. 의 초기화를 행하고 (j=1 : 스텝 (405)), 문자위치 P (i) 의 문자와 사전 NO. D (j) 의 문자를 비교 조회한다 (스텝 (406)). 제 5 도 (a) 에 입력문자열과 문자위치 P (i) 의 관계를 나타낸다. 제 5 도 (b) 에 사전 NO. D (j) 와 사전, 카테고리 (JIS 코드), 문자종류와의 관계를 나타낸다.
문자 인식부 (104) 는, 문자위치 P (i) 의 문자와 사전 NO. D (j) 의 문자가 일치하지 않으면, j=j + 1 로한 후에 (스텝 (408)), 스텝 (406) 으로 되돌아간다. 문자위치 P (i) 의 문자와 사전 NO. D (j) 의 문자가 일치하면, 스텝 (409) 으로 진행한다. 스텝 (409) 에서는, r (i) 에 조회결과의 카테고리 (JIS 코드) 를 격납하고 (제 5 도 (c) 참조), i=n 인지 여부를 체크하고 (스텝 (410)), i=n 이 아니면, i=i+1 로 한 후 (스텝 (411)), 스텝 (405) 로 되돌아간다. 스텝 (410)에서 i=n 이라면, 문자인식부 (104) 로부터 문자종류 판정부 (106) 로 조회결과 r (1) ~ r (n) 를 출력한다. 즉, 조회결과 r (1) ~ r (n) 를 문자인식결과로서, 제 5 도 (d)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JIS 코드로 출력한다.
문자종류 판정부 (106) 는, 문자 인식부 (104) 로부터의 조회결과 r (1) ~ r (n) 을 얻고, 조회결과의 격납위치를 초기화한다 (i=1:스텝 (412)). 그리고, 조회결과 r (i) 의 카테고리에 의해 문자종류를 판정하고 (스텝 (413)), 그 판정한 문자종류를 k (i) 에 격납한다 (스텝 (414)). 제 6 도 (a) 에 문자종류와 카테고리 (JIS 코드) 의 관계를 나타낸다. 즉, 「2330」≤r (i) ≤ 「2339」라면 숫자로 판정하고, r (i) = 「213D」라면 기호로 판정하고, r (i) ≥「3000」이라면 한자로 판정하고, 그 판정결과를 k (i) 에 격납한다. 그리고, i=n 인지 여부를 체크하고 (스텝 (415)), i=n 이 아니라면, i= i+1 로 한후에 (스텝 (416)), 스텝 (413) 으로 되돌아 간다. 스텝 (415) 에서 i=n 으로 되면, 문자종류 판정부 (106) 로부터 주소인식부 (107) 로 판정결과 k (1) ~ k (n) 을 출력한다. 즉, 판정결과 k (1) ~ k (n) 를 문자판정결과로서, 제 6 도 (c)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출력한다.
주소인식부 (107) 는, 문자종류 판정부 (106) 로부터의 판정결과 k (1) ~ k (n) 를 얻어서, 조회결과 및 판정결과의 격납위치를 초기화함과 동시에 (i=1:스텝 (417)), 최종결과의 격납위치를 초기화한다 (j=1:스텝 (418)). 그리고, 판정결과 k (i) 를 체크하고 (스텝 (419)), 숫자 또는 기호라면, 조회결과 r (i) 의 카테고리를 최종결과 f (i) 에 격납하고 (스텝 (420)), j=j+1 로 하고 (스텝 (421)), 스텝 (422) 으로 진행한다. 스텝 (419) 에서, 그 판정결과 k (i) 가 한자이면, 바로 스텝 (422) 으로 진행한다. 스텝 ((422)) 에서는, i=n 인지의 여부를 체크하고, i=n 이 아니면, i=i+1 로한 후에 (스텝 (423)), 스텝 (419) 으로 되돌아간다. 스텝 (422) 에서, i=n 으로 되면, 스텝 (420) 에서 얻어진 최종결과 f (1) ~ f (m) 를 주소로서 인식한다 (제 6 도 (b) 참조).
즉, 주소 인식부 (107) 는, 주소에 대응하는 입력문자열을 그 선두부분으로 부터 순차 문자종류를 체크하고, 먼저, 숫자 또는 기호가 연속하는 부분 「183-123」을 동네이름 코드로 보고, 일시 기억한다. 또한, 입력문자열에 있어서, 문자종류가 한자로부터 숫자로 변하는 점, 즉 주거표시번호의 개시위치를 검출하고, 그 개시위치 이후의 숫자 및 기호 「1-10」을 주거표시번호로 본다. 그리고, 일시 기억된 동네이름 코드 「183-123」와 주거표시번호 「1-10」를 함께 주소로서 인식한다.
[실시형태 2]
다음에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 (실시형태 2) 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실시형태는, 주소에 해당하는 입력문자열을 1 문자별로 문자인식하고, 먼저 입력문자열중의 시구명을 인식함으로써, 시구명과 동네이름의 경계위치를 검출하고, 또한 동네이름 코드를 검출하고, 그 동네이름 코드에 대응하는 동네이름의 문자수를 검출한다. 그리고, 시구명과 동네이름의 경계위치와 동네이름의 문자수에 의거하여 주거표시번호의 기재개시위치를 검출하고, 그 개시위치 이후의 입력문자열을 주거표시번호로서 검출한다. 이 주거표시번호와 동네이름 코드를 함께 주소인식결과로 하는 것이다.
제 7 도는, 실시형태 2 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며, 화상추출부 (101), 주소위치검출부 (102), 문자 슬라이스부 (103), 문자 인식부 (104) 및 문자사전 (105)은, 상술한 실시형태 1 의 구성과 동일하므로, 중복부분의 설명은 생략한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문자인식부 (104) 에 있어서의 문자인식결과를, 동네이름 문자수 검색부 (201), 시구명 검색부 (203) 및 주소 인식부 (205) 로 보내지도록 하고 있다.
동네이름 문자수 검색부 (201) 는, 문자인식부 (104) 에 있어서의 문자인식 결과인 주소에 대응하는 입력문자열을 선두부분으로부터 순차 체크해 가고, 동네이름 코드를 검출하여 일시 기억해 둔다. 그리고, 이 동네이름 코드에 대응하는 동네이름의 문자수를, 제 8 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동네이름 코드와 그 동네이름 코드에 대응하는 동네이름의 문자수가 미리 등록된 동네이름 문자수 테이블 (202) 로부터 검색한다.
시구명 검색부 (203) 는, 문자인식부 (104) 에서의 문자인식결과와 시구명이 미리 등록된 시구명 테이블 (204) 의 내용을 비교하여 시구명을 검색한다. 그리고, 시구명을 검색함으로써, 입력문자열에 있어서의 시구명과 그 후에 계속하여 기재되는 동네이름의 경계위치를 검출한다. 여기에서, 시구명 테이블 (204) 에는, 제 9 도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일본전국의 시구명과 그에 대응하는 문자의 JIS 코드가 등록되어 있다. 그리고, 이 시구명 테이블 (204) 의 용량은, 현상으로서 약 3000 의 시구명에 한정되어 있는 관계상, 동네이름이 등록된 테이블의 용량과 비교하여 매우 작다.
주소 인식부 (205) 는, 동네이름 문자수 검색부 (201) 에서 검색된 동네이름 코드에 대응하는 동네이름의 문자수 및 시구명검색부 (203) 에서 검출된 시구명과 동네이름의 경계위치에 의거하여 주거표시번호의 개시위치를 검출한다. 그리고, 이 주거표시번호와 동네이름 문자수 검색부 (201) 에서 일시 기억된 동네이름 코드를 함께 주소의 인식결과로 한다.
다음에, 이 주소인식 장치에 대해서,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도, 지엽류 상에는 제 2 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주소에 해당하는 문자열 「183-123 府中市 日新町 (부중시 일신정) 1-10」가 기재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먼저 화상추출부 (101) 는, 이 지엽류상의 문자나 부호 등을 전기적인 화상 신호 변환한다 (제 4 도에 나타내는 스텝 (401)), 이 추출된 화상신호는 주소위치 검출부 (102) 로 보내진다. 주소위치 검출부 (102) 는, 주소위치를 검출하고 (스텝 (402)), 주소에 해당하는 입력문자열, 즉 「183-123 府中市 日新町 (부중시 일신정) 1-10」의 화상신호를 추출한다.
그리고, 주소위치 검출부 (102) 에서 추출된 입력문자열은, 문자 슬라이스 부 (103) 에서 1 문자별로 슬라이스된다 (스텝 (403)). 그리고, 이 슬라이스된 문자가 각각 , 문자 인식부 (104) 에서, 문자사전 (105) 의 내용과 조회된다. 이하, 실시형태 1 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한 처리를 행하고 (스텝 (404) ~ (411)), 문자인식부 (104) 는 조회결과 r (1) ~ r (n) 을 문자인식결과로서, 제 5 도 (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JIS 코드로 출력한다.
동네이름 문자수 검색부 (201) 는, 문자 인식부 (104) 로부터의 조회결과 r (1) ~ r (n) 을 얻어서, 이 조회결과 r (1) ~ r (n) 을 선두부분으로부터 순차 체크해 가고, 동네이름 코드에 해당하는 카테고리를 추출한다 (제 10 도에 나타내는 스텝 (501)). 즉, 문자인식부 (104) 에서의 문자인식결과인 주소에 대응하는 문자열을 선두부분으로부터 체크해 가고, 동네이름 코드 「183-123」을 검출하고 일시 기억한다. 그리고, 이 동네이름 코드 「183-123」에 대응하는 동네이름 「日新町 (일신정)」의 문자수 「3」을 제 8 도에 나타내는 동네이름 문자수 테이블 (202) 로부터 검색하고, 그것을 CNO 에 격납한다 (CNO = 「3」: 스텝 (502)).
이 동네이름 문자수 검색부 (201) 에서의 처리와 동시에, 시구명 검색부 (203) 는, 문자 인식부 (104) 에 있어서의 문자 인식결과와 시구명이 미리 등록된 시구명 테이블 (204) 의 내용을 비교하고, 시구명 「府中市 (부중시)」를 검색한다. 그리고 그 시구명 「府中市 (부중시)」를 검색함으로써, 도도부현시구 동네이름이 기재된 부분의 입력문자열 「府中市 日新町 (부중시 일신정)」에 있어서의 시구명 「府中市 (부중시)」와 동네이름 「日新町 (일신정)」의 경계위치를 검출한다.
즉, 시구명 검색부 (203) 는, 시구명의 선두위치를 i=8 로 하여 설정한다 (스텝 (503)). 그리고, 시구명의 테이블 위치를 초기화하고 (j=1 : 스텝 (504)), 시구명 테이블 (204) 의 C (j) 의 문자코드 r (8) 이후의 결과를 조회한다. (스텝 (505)). 시구명 테이블 (204) 의 C (j) 의 문자코드와 r (8) 이후의 결과가 일치하면, 스텝 (506) 에서의 아니오에 응하여 스텝 (507) 으로 진행하고, j=j+1 로 하고, 스텝 (505) 으로 되돌아 간다. 시구명 테이블 (204) 의 C (j) 의 문자 코드 r (8) 이후의 결과가 일치하면, 스텝 (506) 에서의 예에 응하여 스텝 (508) 으로 진행한다. 스텝 (508) 에서는, 시구명과 동네이름의 경계, 즉 동네이름의 선두위치를 CST 에 격납한다. 이 경우, 시구명이 「府中市 (부중시)」로 하여 얻어지기 때문에 CST = 「11」로 된다.
주소 인식부 (205) 는, 동네이름 문자 검색부 (201) 에서 검색된 동네이름 코드에 대응하는 동네이름 문자수 「3」(CNO = 「3」) 및 시구명 검색부 (203) 에 있어서 검출된 시구명 「府中市 (부중시)」과 동네이름 「日新町 (일신정)」의 경계 위치 (CST= 「11」) 에 의거하여 주거표시번호의 개시위치 JST 를 산출하고 (JST= CNO+CST : 스텝 (509)), 이 주거표시번호의 개시위치 JST 이후에 기재된 문자 「1-10」을 주거표시번호로 본다. 그리고, 이 주거표시번호 「1-10」과 동네이름 문자수 검색부 (201) 에서 일시 기억된 동네이름 코드 「183-123」을 함께 주소의 인식결과 「183-123 1-10」로 한다.
즉, 주소인식부 (205) 는, 동네이름 코드에 해당하는 조회결과 r (1) ~ r (7) 를 최종결과 f (1) ~ f (7) 에 격납하고 (스텝 (510)), 주거표시번호에 해당하는 조회결과 r (JST) 이후를 최종결과 f (8) 이후에 격납한다 (스텝 (511)). 이로써, 제 6 도 (b)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최종 결과 f (1) ~ f (m) 이 얻어진다.
[실시형태 3]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형태 (실시형태 3) 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실시형태는, 예를 들면, 취급할 지엽류의 량이 매우 많은 특정지역을 미리 지정해 두고, 이 지정된 특정지역에 있어서는, 주소에 해당하는 입력문자열중에 동네이름 코드가 기재되어 있지 않은 경우라도, 주소를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에 있다. 즉, 이 특정지역에 있어서는, 동네이름 및 그 동네이름에 대응하는 동네이름 코드를 등록한 사전을 준비하고, 입력문자열중에 기재되어 있는 동네이름으로 부터 동네이름 코드를 찾아내려 한 것이다.
제 11 도는, 실시형태 3 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며, 화상추출부 (101), 주소위치 검출부 (102), 문자 슬라이스부 (103), 문자인식부 (104) 및 문자사전 (105) 은, 상술한 실시형태 (1) 의 구성과 동일하므로, 중복부분의 설명은 생략한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문자 인식부 (104) 에 있어서의 문자인식결과를, 시구명 검색부 (301), 동네이름 문자수 검색부(303), 동네이름 문자수 검색부 (305) 및 주소인식부 (306) 로 보내도록 하고 있다.
시구명 검색부 (301) 는, 문자인식부 (104) 에 있어서의 문자인식결과와 문자명이 미리 등록된 시구명 테이블 (302) 의 내용을 비교하여 시구명을 검색한다. 그리고, 시구명을 검색함으로써, 도도부현시구 동네이름이 기재된 부분의 문자열에 있어서의 시구명의 동네이름과의 경계위치를 검출하고, 그 검출결과를 동네이름 검색부 (303) 및 주소 인식부 (306) 에 출력한다.
또, 시구명 테이블 (302) 에는, 제 12 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등록된 시구명중 미리 지정된 특정지역에 해당하는 시구명에는 동네이름 플래그 「있음」과, 또, 해당하지 않는 시구명에는 동네이름 플래그 「없음」으로 등록되어 있다. 그리고, 시구명 검색부 (301) 에서 검색된 시구명에 대응하는 동네이름 플래그 「있음」인 경우에는, 동네이름 검색부 (303) 에 동네이름 플래그 「있음」이 출력된다. 또, 검색된 시구명의 동네이름 플래그가 「없음」인 경우에는, 동네이름 문자수 검색부 (305) 에 동네이름 플래그 「없음」이 출력된다. 여기에서, 동네이름 플래그가 「있음」으로 될 시구명은, 예를 들면, 취급되는 지엽류가 다른 지역과 비교하여 매우 많은 지역이 지정된다.
동네이름 검색부 (303) 는, 시구명 검색부 (301) 로부터 동네이름 플래그 「있음」의 출력을 받은 경우에, 시구명 검색부 (301) 로부터 출력되는 시구명과 동네이름의 경계위치 및 문자 인식부 (104) 로부터 출력되는 문자인식결과에 의거하여, 시구명 이후의 문자열의 문자인식결과와 미리 특정지역의 동네이름이 등록된 동네이름 테이블을 비교조회하고, 동네이름을 검색한다. 이 동네이름 테이블에는, 제 13 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동네이름 및 그 동네이름에 대응하는 동네이름 코드가 등록되어 있다. 동네이름 검색부 (303)는, 그 검색한 동네이름 및 동네이름에 대응하는 동네이름 코드를 출력한다. 그리고, 이 동네이름 테이블에 등록되어 있는 동네이름은 미리 지정된 특정지역내의 동네이름뿐이며, 일본 전국의 동네이름을 등록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그 사용용량은 매우 적다.
동네이름 문자수 검색부 (305) 는, 시구명 검색부 (301) 로부터 동네이름 플래그 「없음」의 출력을 받은 경우, 문자 인식부 (104) 에 있어서의 문자인식결과인 주소인 대응하는 입력문자열을 선두부분으로부터 순차 체크해 가고, 동네이름 코드를 검출하여 일시 기억해 둔다. 그리고, 이 코드에 대응하는 동네이름의 문자수를, 제 8 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동네이름 코드와 그 동네이름 코드에 대응하는 동네이름의 문자수가 미리 등록된 동네이름 문자수 테이블 (202) 로부터 검색한다.
주소인식부 (306) 는, 시구명 검색부 (301) 에 있어서 동네이름 플래그가 「있음」으로 검색된 경우에는, 문자 인식부 (104) 로부터 출력되는 입력 문자열의 문자인식결과, 시구명 검색부 (301) 로부터 출력되는 시구명과 동네이름의 경계위치 및 동네이름 검색부 (303) 로부터 출력되는 동네이름에 의거하여 주거표시번호를 검출하고, 이 주거표시 번호와 동네이름 검색부 (303) 로부터의 동네이름 코드와 함께 주소를 인식한다.
또, 시구명 검색부 (301) 에 있어서 동네이름 플래그가 「없음」으로 검색된 경우에는, 문자 인식부 (104) 로부터 출력되는 입력 문자열의 문자인식결과, 시구명 검색부 (301) 로부터 출력되는 시구명과 동네이름의 경계위치 및 동네이름 문자수 검색부 (305) 로부터 출력되는 동네이름의 문자수에 의거하여 주거표시번호 개시 위치를 검출하고, 그 개시위치 이후의 문자를 주거표시번호로서 검출한다. 그리고, 이 주거표시번호와 동네이름 문자수 검색부 (305) 에 있어서 일시 기억된 동네이름 코드를 함께 주소로서 인식한다.
다음에, 이 주소인식장치에 있어서,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도, 지엽류 상에는 제 2 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주소에 해당하는 문자열 「183-123 府中市 日新町 (부중시 일신정) 1-10」이 기재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먼저, 화상추출부 (101) 는, 이 지엽류상의 문자나 부호 등을 전기적인 화상신호로 변환한다 (제 4 도에 나타내는 스텝 (401)). 이 추출된 화상신호는 주소위치 검출부 (102) 로 보내진다. 주소위치 검출부 (102) 는, 주소위치를 검출하고 (스텝 (402)), 주소에 해당하는 입력 문자열, 즉 「183-123 府中市 日新町 (부중시 일신정) 1-10」의 화상신호를 추출한다.
그리고, 주소위치 검출부 (102) 에서 추출된 입력문자열은, 문자 슬라이스부 (103) 에서 1 문자별로 슬라이스된다 (스텝 (403)). 그리고, 이 슬라이스된 문자가 각각, 문자 인식부 (104) 에서, 문자사전 (105) 의 내용과 조회된다. 이하, 실시형태 1 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한 처리를 행하고 (스텝 (404)~(411)), 문자 인식부 (104) 는 조회결과 r (1) ~(n) 를 문자인식결과로서, 제 5 도 (d) 에 나타내는 것과 같은 JIS 코드로 출력한다.
시구명 검색부 (301) 는, 문자인식부 (104) 에 있어서의 문자인식결과와 시구명이 미리 등록된 시구명 테이블 (302) 의 내용을 비교하고, 시구명 「府中市 (부중시)」를 검색한다. 그리고, 시구명을 검색함으로써, 도도부현시구 동네이름이 기재된 부분의 입력문자열에 있어서의 시구명 「府中市 (부중시)」와 동네이름 「日新町 (일신정)」의 경계위치를 검출하고, 그 검출결과를 동네이름 검색부 (303) 및 주소인식부 (306) 에 출력한다. 또, 검색된 시구명의 「府中市 (부중시)」는, 제 12 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미리 지정된 특정지역에 해당하므로, 동네이름 플래그 「있음」이 검출된다. 이로써, 동네이름 검색부 (303) 에, 동네이름 플래그 「있음」이 출력된다. 이 경우, 동네이름 문자수 검색부 (305) 는, 시구명 검색부 (301) 로부터 동네이름 플래그 「없음」이 보내지지 않기 때문에 동작하지 않는다.
동네이름 검색부 (303) 는, 시구명 검색부 (301) 로부터 동네이름 플래그 「있음」의 출력을 받아서, 시구명 검색부 (301) 로부터 출력되는 시구명 「府中市 (부중시)」과 동네이름 「日新町 (일신정)」의 경계위치 및 문자인식부 (104) 로부터 출력되는 문자인식결과에 의거하여, 동네이름 테이블 (304) 로부터 동네이름 「日新町 (일신정)」을 검색하고, 그 검색한 동네이름 및 동네이름에 대응하는 동네이름 코드를 주소인식부 (306) 에 출력한다.
주소인식부 (306) 는, 문자인식부 (104) 로부터 출력되는 입력문자열의 문자인식결과, 시구명검색부 (301) 로부터 출력되는 시구명 「府中市 (부중시)」와 동네이름 「日新町 (일신정)」의 경계위치 정보 및 동네이름 검색부 (303) 로부터 출력되는 동네이름에 의거하여, 주거표시번호 「1-10」를 검출하고, 이 주거표시번호「1-10」와 동네이름 검색부 (303) 로부터의 동네이름 코드 「183-123」을 함께 주소 「183-123, 1-10」로서 인식한다.
즉, 시구명 검색부 (301) 는, 문자인식부 (104) 로부터의 조회결과 r (1) ~(n) 를 받아서, 시구명의 테이블 위치를 초기화한다 (j=1 : 제 10 도에 나타내는 스텝 (504)). 그리고, 시구명 테이블 C (j) 의 문자코드 r (8) 이후의 결과를 조회하고 (스텝 (505)), 일치하면, 그때의 j 를 CFL 에 격납한다 (CFL=j : 제 14 도에 나타내는 스텝 (601)). 그리고, 동네이름 플래그 g (CFL) 의 유.무 를 체크하고 (스텝 (602)), 동네이름 플래그 g (CFL) 이 없으면, 스텝 (603) 에서의 아니오에 응하여, 동네이름 플래그 「없음」을 동네이름 문자수 검색부 (305) 로 보낸다. 이로써, 제 10 도에 나타낸 스텝 (508) 이후의 처리가, 동네이름 검색부 (305) 및 주소인식부 (306) 에 의해서 실행된다. 동네이름 플래그 g (CFL) 가 있으면, 스텝 (603) 에서의 예에 응하여, 동네이름의 선두위치를 CST 에 격납한 후에 (스텝 (604)), 그 동네이름의 선두위치 (CST) 및 동네이름 플래그 「있음」을 동네이름 검색부 (303) 로 보낸다.
동네이름 검색부 (303) 는, 시구명 검색부 (301) 로부터의 동네이름 플래그 「있음」을 받아서, 동네이름의 테이블 위치를 초기화하고 (j=1 : 스텝 (605)), 동네이름 테이블 t (j) 의 문자코드와 r (CST) 이후의 결과를 조회한다 (스텝 (606)). 동네이름 테이블 t (j) 의 문자코드와 r (CST) 이후의 결과가 일치하지 않으면, 스텝 (607) 에서의 아니오에 응하여 스텝 (608) 으로 진행하고, j=j+1 로 하고, 스텝 (606) 으로 되돌아간다. 동네이름 테이블 t (j) 의 문자코드와 r (CST) 이후의 결과가 일치하면, 스텝 (607) 에서의 예에 응하여 스텝 (609) 으로 행한다. 스텝 (609) 에서는, r (CST) 이후의 결과와 일치한 동네이름 테이블 t (j) 이 나타내는 동네이름과 동네이름 코드를, 주소인식부 (306) 로 출력한다. 이때, 동네이름 코드에 대해서는, 그 각 문자의 카테고리를 선두로부터 r' (1) ~ r' (7) 에 격납하고, 이를 조회결과 r' (1) ~ r' (7) 로서 주소인식부 (306) 에 출력한다.
주소인식부 (306) 는, 시구명 검색부 (301) 로부터의 시구명과 동네이름의 경계위치, 즉 동네이름의 선두위치 (CST) 및 동네이름 검색부 (303) 로부터의 주거 표시번호의 선두위치 JST 를 구한다 (스텝 (610)). 또, 동네이름 검색부 (303) 로부터의 조회결과 r' (1) ~ r' (7) 를 최종결과 f (1) ~ f (7) 에 격납한다 (스텝 (611)). 또, 주거표시번호의 선두위치 JST 이후의 조회결과 (JST) 를 주거표시번호로 보고, 이 주거표시번호에 해당하는 조회결과 r (JST) 이후를 최종결과 f (8) 이후에 격납한다. 이로써, 제 6 도 (b) 에 나타낸 것과 동일한 최종결과 f (1) ~ f (m) 를 얻을 수 있다.
[우편물 자동처리 시스템]
그리고, 상기 각 실시형태에 있어서 주소로서 인식된 「183-123 1-10」을 예를 들면, 바코드 코드 등으로 변환하고, 그 바코드 코드를 지엽류상에 인쇄하면, 자동처리 시스템의 처리를 매우 효율화할 수 있다. 이 경우의 우편물 자동처리 시스템의 처리를 매우 효율화할 수 있다. 이 경우의 자동우편물처리 시스템의 개요를 제 15 도에 예시한다. 동 도면에 있어서, (2-1) 은 지엽류 공급부, (2-2) 는 광학문자 인식부, (2-3) 은 바코드인자부, (2-4) (2-4l ~ 2-4n) 은 집적부, (2-5) 는 게이트 컨트롤러, (2-6) 은 반송로, (2-7) (2-71 ~ 2-7n) 은 게이트이다. 또, (3-1) 은 지엽류 공급부, 3-2 는 바코드 리드부, (3-3) (3-31 ~ 3-3n) 은 집적부, (3-4) 는 게이트 컨트롤러, (3-5) 는 반송로, (3-6) (3-61 ~ 3-6n) 은 게이트이다.
이 우편물처리 시스템에서는, 지엽류 공급부 (2-1) 로부터의 지엽류 (4) 가, 반송로 (2-6) 에 공급된다. 지엽류 (4) 가 광학문자 인식부 (2-2) 에 달하면, 광학문자 인식부 (2-2) 는, 지엽류 (4) 상에 기재된 주소에 해당하는 문자열을 검출하고, 본 발명에 의한 방식으로 주소로 인식한다. 즉, 지엽류 (4) 에 「183-123 府中市 日新町 (부중시 일신정) 1-10」 이라고 기재되어 있다면, 「183-123 1-10」을 주소로서 인식한다. 그리고, 광학문자 인식부 (2-2) 는, 이 인식한 주소 「183-123 1-10」을 바코드 인자부 (2-3) 로 보낸다. 바코드 인자부 (2-3) 는, 광학문자인식부 (2-2) 로부터의 주소 「183-123 1-10」을 바코드로 변환하고, 이를 광학문자 인식부 (2-2) 를 거쳐서 보내져 오는 지엽류 (4) 의 소정의 부분에 인자한다.
이 바코드가 인자된 지엽류 (4) 는 집적부 (2-4) 로 보내진다. 여기에서, 광학문자 인식부 (2-2) 에서 인식한 지엽류 (4) 의 주소 「183-123 1-10」는 게이트 컨트롤러 (2-5) 에도 보내지고, 게이트 컨트롤러 (2-5) 는 이 보내져오는 주소 「183-123 1-10」에 의거하여 게이트 (2-71) ~ (2-7n) 의 개폐를 제어한다. 이로써, 지엽류 (4) 는, 광학문자인식부 (2-2) 에서 인식된 주소 「183-123 1-10」에 대응하는 집적부 (2-4) 에 집적된다.
지엽류 공급부 (3-1) 로부터의 지엽류 (4) 는, 즉 상술한 방법에 의해서 바코드가 인자된 지엽류 (4) 는, 반송로 (3-5) 에 공급된다. 지엽류 (4) 가 바코드 리드부 (3-2) 에 달하면, 바코드 리드부 (3-2) 는, 지엽류 (4) 상에 인자된 바코드를 읽는다. 그리고, 이 읽어낸 바코드의 내용을 게이트 컨트롤러 (3-4) 로 보낸다. 게이트 컨트롤러 (3-4) 는, 이 보내져오는 바코드의 내용에 의거하여 게이트 (3-61) ~ (3-6n) 의 개폐를 제어한다. 이로써, 지엽류 (4) 는, 바코드 리드부 (3-2) 에서 읽힌 바코드가 나타내는 주소에 대응하는 집적부 (3-3) 에 집적된다.
또, 상술한 각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일본국내를 대상으로서, 주소형태를 한자, 기호 및 숫자의 조합으로 설명하였지만, 중국이나 한국 등의 지엽류에 대해서도 동일한 방법을 적용할 수 있다. 중국의 우편물의 예를 제 16 도 (a) 에, 한국의 우편물의 예를 제 16 도 (b) 에 나타낸다. 중국의 우편물이라도 일본과 동일하게 도도부현시구 동네이름에 상당하는 부분이 한자로 기재되어 있으며, 주거표시 번호가 숫자로 표기되어 있다. 또, 한국의 우편물에서는, 도도부현시구 동네이름에 상당하는 부분이 한글로 기재되어 있으며, 주거표시번호가 숫자 및 하이픈 등의 기호로 표기되어 있다.
이상 설명한 것으로부터 확실해지듯이 본 발명에 의하면, 제 1 발명 및 제 6 발명에서는, 동네이름 코드 및 주거표시 번호를 함께 주소로서 인식하도록 하였으므로, 미리 숫자 등으로 이루어지는 동네이름 코드를 대응시킴으로써, 방대한 수의 동네이름을 등록하는 일 없이, 주소를 고속이면서 고정도로 읽어낼 수 있게 된다.
제 2 발명 및 제 7 발명에서는, 제 1 발명 및 제 6 발명에 있어서, 입력문자열을 그 선두부분으로부터 순차 문자종류를 체크함으로써 동네이름 코드 및 주거표시번호를 검출하도록 하였으므로, 제 1 발명 및 제 6 발명의 효과에 더하여, 동네이름 코드 및 주거표시번호의 검출을 확실하게 할 수 있다는 효과를 얻는다.
제 3 발명 및 제 8 발명에 에서는, 제 1 발명 및 제 6 발명에 있어서, 동네이름 코드에 대응하는 동네이름의 문자수를 제 1 테이블로부터 검색한 것으로 하고, 입력문자열을 구성하는 시구명을 제 2 테이블로부터 검색한 것으로 하고, 그 검색한 동네이름의 문자수와 시구명에 의거하여 주거표시번호를 검출하도록 하였으므로, 제 1 발명 및 제 6 발명의 효과에 더하여, 동네이름 코드 및 주거표시번호의 검출을 확실하게 할 수 있다는 효과를 얻는다.
제 4 발명 및 제 9 발명에서는, 제 3 발명 및 제 8 발명에 있어서, 제 2 테이블에 등록된 시구명중 미리 지정된 특정지역의 시구명에 동네이름 플래그를 부가한 것으로 하고, 검색한 시구명에 동네이름 플래그가 부가되어 있는 경우, 문자인식결과 및 검색한 시구명에 의거하여, 제 3 테이블로부터 입력문자열에 기재된 동네이름 및 그 동네이름에 대응하는 동네이름 코드를 검색하는 것으로 하고, 이 검색한 시구명 및 동네이름에 의거하여 주거표시번호를 검출하도록 하였으므로, 제 3 발명 및 제 8 발명의 효과에 더하여, 동네이름 코드가 기재되어 있지 않은 경우라도, 주소를 확실하게 인식할 수 있다는 효과를 얻는다.
제 5 발명 및 제 10 발명에서는, 제 4 발명 및 제 9 발명에 있어서, 동네이름 플래그가 부가되는 특정지역을 지역별로 취급되는 지엽류의 수량에 의거하여 미리 지정하도록 하였으므로, 제 4 발명 및 제 9 발명의 효과에 가하여, 적어도 동네이름의 등록에 의해서 매우 큰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제 11 발명에서는, 반송되어서 오는 지엽류상에 기재된 주소를 나타내는 입력문자열 보다 제 1 발명의 주소인식 방법으로 주소를 인식하고, 이 인식한 주소를 바코드로 변환하여 상기 지엽류상에 인자하고, 이 바코드가 인자된 지엽류를 그 인자된 바코드에 따라서 처리하도록 하였으므로, 제 1 발명의 효가에 더하여, 바코드 즉 인식한 주소에 따라서, 지엽류를 자동적으로 분류하여 집적할 수 있는 것이 가능해진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Claims (7)

  1. 지엽류상에 기재되는 동네이름별로 대응하는 일련의 숫자 또는 숫자와 기호 양자로 이루어진 동네이름 코드, 일련의 한글이나 한자 또는 영문으로 이루어진 지역명 및 일련의 숫자 또는 숫자와 기호 양자로 이루어진 주거표시번호를 포함하는 주소를 나타내는 입력문자열을 화상추출하고, 이 화상추출한 입력문자열을 1 문자별로 슬라이스하여, 각각의 문자를 미리 상기 동네이름코드와 상기 주거표시번호의 문자종류로 한정된 문자 정보가 등록된 문자사전의 내용과 비교 조회하되, 일련의 숫자 또는 숫자와 기호 양자로 이루어진 상기 동네이름코드와 상기 주거표시번호만을 문자인식하고, 이 문자인식결과에 의거하여 상기 동네이름 코드 및 상기 주거표시번호만을 검출하고, 그 검출한 동네이름 코드 및 주거표시번호를 함께 주소로서 인식하도록 하되, 상기 문자인식결과에 의거하여 상기 입력문자열의 각 문자의 문자종류를 판정하는 것으로 하고, 상기 입력문자열을 그 선두부분으로부터 순차 문자종류를 체크함으로써, 동네이름 코드 및 주거표시번호를 검출하도록 하고, 동네이름 코드에 대응하는 동네이름의 문자수를 미리 등록한 제 1 테이블과 시구명(市區名)을 미리 등록한 제 2 테이블을 설치하고, 상기 문자 인식결과에 의거하여 동네이름 코드를 검출하고, 그 동네이름 코드에 대응하는 동네이름의 문자수를 상기 제 1 테이블로부터 검색하는 것으로 하고, 상기 문자인식결과에 의거하여, 상기 제 2 테이블로부터 상기 입력문자열을 구성하는 시구명을 검색하는 것으로 하고, 이로써 검색한 동네이름의 문자수와 시구명에 의거하여 주거표시번호를 검출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소인식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테이블에 등록된 시구명중 미리지정된 특정지역의 시구명에 동네이름 플래그를 부가하는 것으로 하고, 검색한 시구명에 동네이름 플래그가 부가되어 있는 경우, 상기 문자인식결과 및 검색한 시구명에 의거하여, 동네이름 플래그가 부가된 시구명에 대응하는 동네이름 및 그 동네이름에 대응하는 동네이름 코드가 미리 등록된 제 3 테이블로부터 입력문자열에 기재된 동네이름 및 그 동네이름에 대응하는 동네이름 코드를 검색하는 것으로 하고, 이 검색한 시구명 및 동네이름에 의거하여 주거표시번호를 검출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소인식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동네이름 플래그를 부가하는 특정지역을, 지역별로 취급하는 지엽류의 수량에 의거하여 미리 지정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소인식방법.
  4. 지엽류상에 기재되는 동네이름별로 대응하는 일련의 숫자 또는 숫자와 기호 양자로 이루어진 동네이름 코드, 일련의 한글이나 한자 또는 영문으로 이루어진 지역명 및 일련의 숫자 또는 숫자와 기호 양자로 이루어진 주거표시번호를 포함하는 주소를 나타내는 입력문자열을 화상추출수단과, 이 화상추출수단에 의해 화상추출된 입력문자열을 1 문자별로 슬라이스하여, 각각의 문자를 미리 상기 동네이름코드와 상기 주거표시번호의 문자종류로 한정된 문자정보가 등록된 문자사전의 내용과 비교 조회하되, 일련의 숫자 또는 숫자와 기호 양자로 이루어진 상기 동네이름코드와 상기 주거표시번호만을 문자인식하는 문자인식수단과, 이 문자인식수단에서의 문자인식결과에 의거하여 상기 동네이름 코드 및 상기 주거표시번호만을 검출하는 검출수단과, 이 검출수단으로 검출된 동네이름 코드 및 주거표시번호를 함께 주소로서 인식하는 주소인식수단을 구비하되, 상기 검출수단은, 상기 문자인식수단에서의 문자인식결과에 의거하여 상기 입력문자열의 각 문자의 문자종류를 판정하는 문자종류판정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입력문자열을 그 선두부분으로부터 순차 문자종류를 체크함으로써, 동네이름 코드 및 주거표시번호를 검출하며, 상기 검출수단은 동네이름 코드에 대응하는 동네이름의 문자수가 미리 등록된 제 1 테이블과 시구명이 미리 등록된 제 2 테이블과, 상기 문자인식수단에서의 문자인식수단에 의거하여 동네이름 코드를 검출하고, 그 동네이름 코드에 대응하는 동네이름의 문자수를 상기 제 1 테이블로부터 검색하는 동네이름 문자수 검색수단과, 상기 문자인식수단에서의 문자인식결과에 의거하여, 상기 제 2 테이블로부터, 상기 입력문자열을 구성하는 시구명을 검색하는 시구명 검색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동네이름 검색수단에서 검색된 동네이름의 문자수와 상기 시구명 검색수단에서 검색된 시구명에 의거하여 주거표시번호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소인식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테이블에 등록된 시구명중 미리 지정된 특정지역의 시구명에는 동네이름 플래그가 부가되어 있으며, 상기 시구명 검색수단에서 검색된 시구명에 동네이름 플래그가 부가되어 있는 경우에, 상기 문자인식수단에서의 문자인식결과 및 상기 시구명 검색수단에서 검색된 시구명에 의거하여, 상기 동네이름 플래그가 부가된 시구명에 대응하는 동네이름 및 그 동네이름에 대응하는 동네이름 코드가 미리 등록된 제 3 테이블로부터 상기 입력문자열에 기재된 동네이름 및 그 동네이름에 대응하는 동네이름 코드를 검색하는 동네이름 검색수단과, 상기 시구명 검색수단에서 검색된 시구명 및 상기 동네이름 검색수단에서 검색된 동네이름에 의거하여 주거표시번호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소인식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동네이름 플래그가 부가되는 특정지역은, 지역별로 취급하는 지엽류의 수량에 의거하여 미리 지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소인식장치.
  7. 반송되어 오는 지엽류상에 기재된 주소를 나타내는 입력문자열로부터 청구항 제1항의 주소인식방법으로 주소를 인식하는 주소인식수단과, 이 주소인식수단에 의해 인식된 주소를 바코드로 변환하여 상기 지엽류상에 인자하는 바코드 인자수단과, 이 바코드에 인자수단에 의해서 바코드가 인자된 지엽류를 그 인자된 바코드에 따라서 처리하는 처리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엽류 자동처리 시스템.
KR1019950024342A 1994-08-08 1995-08-07 주소인식방법, 주소인식장치 및 지엽류 자동처리 시스템 Expired - Fee Related KR10028616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4-185564 1994-08-08
JP18556494 1994-08-0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8620A KR960008620A (ko) 1996-03-22
KR100286163B1 true KR100286163B1 (ko) 2001-04-16

Family

ID=161730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24342A Expired - Fee Related KR100286163B1 (ko) 1994-08-08 1995-08-07 주소인식방법, 주소인식장치 및 지엽류 자동처리 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286163B1 (ko)
CN (1) CN1102461C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2327B1 (ko) * 1999-07-01 2007-03-09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세이사쿠쇼 지명 표현 방법, 지명 문자열 인식 방법 및 장치
KR100697689B1 (ko) * 2005-08-10 2007-03-20 (주)공영디비엠 비정형 데이터베이스의 정형화 장치를 이용한 정형화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51012A (ja) * 1999-03-01 2000-09-14 Hitachi Ltd 帳票処理方法およびシステム
JP2001134716A (ja) * 1999-11-09 2001-05-18 Toshiba Corp 所在情報認識方法と認識アプリケーションと記録媒体と所在情報認識装置
CN1300739C (zh) * 2005-01-25 2007-02-14 邮政科学上海研究所 信函校验识别方法
CN101887519B (zh) * 2010-08-16 2012-04-18 同方知网(北京)技术有限公司 文字识别、编改的方法
FR2965193B1 (fr) * 2010-09-23 2012-08-31 Solystic Procede de tri postal avec un recouvrement des informations de traitement usager entre les passes de tri
JP6203084B2 (ja) * 2014-03-06 2017-09-27 株式会社東芝 配達物区分処理システム、および配達物区分処理方法
JP2015176241A (ja) * 2014-03-13 2015-10-05 株式会社東芝 データベース管理装置、および住所認識装置
CN104624509B (zh) * 2015-01-16 2017-06-13 浙江百世技术有限公司 一种快递自动分拣系统及自动分拣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16725A (en) * 1990-10-31 1993-06-01 Environmental Research Institute Of Michigan Apparatus and method for separating handwritten characters by line and word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69033A (en) * 1974-12-04 1976-06-15 Furuta Denki Kk Nosakubutsuno bosohoho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16725A (en) * 1990-10-31 1993-06-01 Environmental Research Institute Of Michigan Apparatus and method for separating handwritten characters by line and word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2327B1 (ko) * 1999-07-01 2007-03-09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세이사쿠쇼 지명 표현 방법, 지명 문자열 인식 방법 및 장치
KR100697689B1 (ko) * 2005-08-10 2007-03-20 (주)공영디비엠 비정형 데이터베이스의 정형화 장치를 이용한 정형화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48221A (zh) 1997-04-23
CN1102461C (zh) 2003-03-05
KR960008620A (ko) 1996-03-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27373B1 (en) Mail address reading apparatus and mail sorting apparatus
KR100286163B1 (ko) 주소인식방법, 주소인식장치 및 지엽류 자동처리 시스템
KR100401685B1 (ko) 소재정보의 인식장치, 소재정보의 인식방법 및 기록매체
US5581628A (en) Characters reading apparatus having collating means of envelope
US20060291692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having learning function for character dictionary
JP2004533069A (ja) 住所を1つより多くの言語で自動的に読み取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JP2910630B2 (ja) 住所認識方法,住所認識装置および紙葉類自動処理システム
US7711642B2 (en) Payment form discrimination method and apparatus
JPH07271899A (ja) 文字認識装置
CA2620180A1 (en) Method for retrieving text blocks in documents
JP3425257B2 (ja) 郵便物読取区分装置
JP2991594B2 (ja) 郵便物の宛名読取装置
JP3243000B2 (ja) 郵便物処理装置および郵便物処理方法
JP3160347B2 (ja) 郵便物の宛名読取装置
JP2001025713A (ja) 郵便区分システム
JP3088036B2 (ja) 宛名読取区分機
JP3088038B2 (ja) 郵便物区分装置と郵便物区分方法
JPH07116606A (ja) 郵便物あて名認識装置及びあて名認識方法
JP3660405B2 (ja) 区分機、宛名認識装置及び宛名認識方法
JPH0793467A (ja) 住所読取システム
JPH07271909A (ja) 文字認識装置及び文字認識方法
US20020178408A1 (en) Method for ascertaining error types for incorrect reading results
JPH01316887A (ja) 宛名情報読取装置
JPH01161587A (ja) 郵便番号読取装置
JPH07105321A (ja) 単語認識装置、住所認識装置及び単語認識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50807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50807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199811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19990527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19981130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PJ0201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Patent event date: 19990831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code: PJ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90527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J02011S01I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Decision date: 20001016

Appeal identifier: 1999101003229

Request date: 19990831

AMND Amendment
PB0901 Examination by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19990930

Patent event code: PB09011R02I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date: 19990831

Patent event code: PB09011R01I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19990305

Patent event code: PB09011R02I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1999121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B701 Decision to grant
PB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Patent event date: 20001016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B07012S01D

Patent event date: 19991124

Comment text: Transfer of Trial File fo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Patent event code: PB07011S01I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1011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1011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010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011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011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110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107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109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111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222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1222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212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