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285764B1 - 광디스크 장치의 트랙 서보 제어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광디스크 장치의 트랙 서보 제어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85764B1
KR100285764B1 KR1019990003613A KR19990003613A KR100285764B1 KR 100285764 B1 KR100285764 B1 KR 100285764B1 KR 1019990003613 A KR1019990003613 A KR 1019990003613A KR 19990003613 A KR19990003613 A KR 19990003613A KR 100285764 B1 KR100285764 B1 KR 1002857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ea
tracking error
gain
error signal
servo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036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55151A (ko
Inventor
이정준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10199900036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85764B1/ko
Publication of KR200000551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551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857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85764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8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 G11B7/09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with provision for moving the light beam or focus plane for the purpose of maintaining alignment of the light beam relative to the record carrier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e.g. to compensate for surface irregularities of the latter or for track following
    • G11B7/0938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with provision for moving the light beam or focus plane for the purpose of maintaining alignment of the light beam relative to the record carrier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e.g. to compensate for surface irregularities of the latter or for track following servo format, e.g. guide tracks, pilot signal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8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 G11B7/09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with provision for moving the light beam or focus plane for the purpose of maintaining alignment of the light beam relative to the record carrier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e.g. to compensate for surface irregularities of the latter or for track following
    • G11B7/0925Electromechanical actuators for lens position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12Heads, e.g. forming of the optical beam spot or modulation of the optical beam
    • G11B7/135Means for guiding the beam from the source to the record carrier or from the record carrier to the detector
    • G11B7/1372Lenses
    • G11B7/1374Objective lense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12Heads, e.g. forming of the optical beam spot or modulation of the optical beam
    • G11B7/135Means for guiding the beam from the source to the record carrier or from the record carrier to the detector
    • G11B7/1381Non-lens elements for altering the properties of the beam, e.g. knife edges, slits, filters or stop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5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is based on a specific recording technology
    • G11B2220/2537Optical discs
    • G11B2220/2562DVDs [digital versatile discs]; Digital video discs; MMCDs; HDCDs
    • G11B2220/2575DVD-RAM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Optical Recording Or Reprod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록영역과 미기록영역에서 서로 다른 크기로 검출되는 트랙킹 서보 신호를 균일화하도록 한 트랙 서보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기록영역과 미기록영역을 판별하고, 기록영역과 미기록영역에서 검출되는 트랙킹 서보신호의 크기를 검출하여, 트랙킹 에러신호의 크기에 의해 기록영역과 미기록영역에서 서보 루프 이득이 일정하게 되도록 서보 루프 이득을 조정하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기록영역과 미기록영역에서 검출되는 트랙킹 에러신호의 신호레벨을 동일하게 함으로써 안정된 트랙킹 서보를 구현할 수 있음은 물론, 광디스크 자체에 결함영역이 존재하거나 광디스크 자체의 편심이 다소 존재하는 경우에도 안정된 트랙킹 서보를 수행할 수 있고 목적 트랙에 대한 시크(seek) 속도를 줄일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광디스크 장치의 트랙 서보 제어방법 및 장치{Track Servo Control Method in Optical Disc Apparatus and Apparatus Thereof}
본 발명은 광디스크에 정보를 기록하거나 재생하기 위한 광디스크장치의 서보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기록영역과 미기록영역에서 서로 다른 크기로 검출되는 트랙킹 서보 신호를 균일화하도록 한 트랙 서보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CD 및 DVD 등의 광디스크는 레이저광을 기록면에 조사하여 정보가 기록되거나 재생되어진다. 이러한 광디스크는 재생전용과 재기록 가능한 매체로 대별되며 전자의 경우 CD-ROM, DVD-ROM 등과 같은 ROM 타입이 있으며, 후자의 경우 재기록 가능 횟수에 따라 WORM(Write Once Read Many) 타입, Rewritable 타입, RAM 타입 등으로 나뉘어진다.
광디스크를 기록/재생하기 위한 광디스크장치에는 트랙킹 에러신호에 기초하여 트랙킹 서보를 수행하는 트랙킹 서보 제어장치가 마련되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광디스크에 광을 조사하여 디스크로부터 반사되는 광을 광전변환하는 광픽업(2)과, 대물렌즈를 구동하기 위한 액츄에이터(12)와, 광픽업(2)과 액츄에이터(12) 사이에 직렬 접속된 프리앰프(4), 게인조정용 증폭기(6), 서보필터(8) 및 전력 증폭기(10)를 구비하는 종래의 트랙 서보 제어장치가 도시되어 있다. 디스크로부터 반사되는 반사광은 광픽업(2)의 2분할 또는 4분할 광검출기에 의해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된다. 프리앰프(4)는 광검출기로부터 공급되는 트랙방향의 2분할 반사광 신호를 차등 증폭하여 트랙킹 에러신호(TE1)를 검출하게 된다. 게인조정용 증폭기(6)는 광디스크 종류에 따라 반사율의 차이가 나게 되므로 트랙킹 에러신호의 레벨이 소정 기준값 이상이 되도록 트랙킹 에러신호(TE1)를 증폭하게 된다. 이를 예로 들면, CD 계열의 광디스크에서 CD-RW의 반사율은 CD-ROM 또는 CD-R의 반사율에 비하여 대략 1/5정도로 낮기 때문에 검출되는 트랙킹 에러신호(TE1)가 매우 낮게 된다. 이에 따라 게인조정용 증폭기(6)는 CD-RW를 억세스할 때 CD-ROM 또는 CD-R을 억세스할 때보다 더 큰 증폭률로 트랙킹 에러신호(TE1)를 증폭하게 된다. 또한, 게인조정용 증폭기(6)는 현재 억세스되는 광디스크가 기록 가능한 광디스크 예를 들면, CD-RW 또는 CD-R 등이라면 기록영역과 미기록영역 중 어느 하나를 기준으로 이득을 조정하게 된다. 서보필터(8)는 게인조정용 증폭기(6)로부터 공급되는 트랙킹 에러신호(TE2)에 대하여 저역 이득 보상과 고주파 대역에서의 위상 보상을 함으로써 서보 시스템에서 요구되는 저역 게인을 보상하게 된다. 전력 증폭기(10)는 액츄에이터(12)의 구동에 적합한 구동전력으로 서보필터(8)의 출력신호를 증폭하는 역할을 한다.
그러나 종래의 트랙킹 서보장치는 기록 가능한 광디스크를 억세스하는 경우, 트랙킹 서보 루프(tracking Servo loop)의 이득을 이미 기록된 영역(이하 '기록영역'이라 함)과 미기록된 영역(이하 '미기록영역'이라 함) 중 어느 일측 영역을 기준으로 고정(fix)시키기 때문에 트랙킹 제어가 불안정하게 되는 단점이 있다. 이를 도 2를 결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를 참조하면, 기록 가능한 광디스크는 산과 골의 트랙이 스파이럴(spiral) 상 또는 동심원상으로 배치되어 있다. 데이터는 CD-RW 등의 광디스크에서는 골의 트랙에 피트(pit) 형태로 기록되어지며, DVD-RAM 등의 광디스크에서는 산과 골 트랙들 모두에 피트 형태로 기록되어진다. 기록영역에서는 피트에 의해 광이 난반사되어 반사되는 광의 반사율이 낮게 되고 미기록영역에서는 피트가 없는 미러구간이 연속되어 거의 전반사되므로 반사되는 광의 강도가 높게 된다. 그러므로 광검출기에 의해 광전변환된 트랙방향의 2분할 반사광 신호의 합신호로서 검출되는 고주파신호(RF)는 피트 존재 여부에 따라 기록영역에서만 검출되고 미기록영역에서는 검출되지 않게 된다. 또한, 트랙킹 에러신호(TE1)는 기록영역에서 검출될 때보다 미기록영역에서 더 큰 첨두치 레벨(또는 크기)로 검출된다.
종래의 트랙 서보 제어장치에 있어서 현재 억세스되는 광디스크에 대하여 기록영역을 기준으로 서보 루프 이득이 고정된다면 미기록영역에서의 트랙킹이 불안정하게 된다. 즉, 결함영역에 적절히 대응하여 트랙킹 서보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서보 루프 이득이 작아야하는데 기록영역을 기준으로 서보 루프 이득이 고정되면 미기록영역에서는 서보 루프 이득이 상대적으로 커지게 되므로 미기록영역에서의 트랙킹 서보 수행시 결함영역이 존재하게 되면 트랙킹 서보가 매우 불안정하게 된다. 아울러, 미기록영역을 기준으로 서보 루프 이득이 고정되면 기록영역에서는 서보 루프 이득이 작아지게 되므로 트랙킹 서보 수행시 기록영역에서는 목적 트랙에 대한 시크(seek) 속도가 오래 걸리게 된다.
이와 달리, 디스크의 편심량 등에 적절히 대응하여 트랙킹 서보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서보 루프 이득이 커야되지만 미기록영역을 기준으로 서보 루프 이득이 고정되면 기록영역에서는 서보 루프 이득이 상대적으로 작아지게 되므로 기록영역에서의 트랙킹 서보 수행시 편심에 대하여는 트랙킹 서보가 매우 불안정하게 된다. 아울러, 기록영역을 기준으로 서보 루프 이득이 고정되면 미기록영역에서의 트랙킹 서보 수행시 목적 트랙에 대한 시크(seek) 속도가 오래 걸리게 된다.
이와 같이, 기록영역과 미기록영역에 따라 달라지는 서보 루프 이득에 의하여 도 2에서와 같이 광픽업이 재생위치 a에서 다수의 기록영역과 미기록영역을 횡단하여 기록위치 b로 이동하여 정보를 기록하게 될 때 트랙킹 서보가 매우 불안정하게 되고 목적 트랙을 시크하는 데에 시간 소모가 많아지게 된다.
한편, DVD-RAM과 같은 광디스크는 그 구조상 산과 골의 트랙 모두에 사용자 데이터가 기록되는 사용자 정보영역과, 사용자 정보영역에 대한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헤더영역이 사용자 정보영역에 교번적으로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광디스크에서는 산과 골의 트랙에서 트랙킹 에러신호(TE)의 위상이 반전되어야 함과 아울러, 사용자 정보영역에서만이 트랙킹 서보가 수행되도록 제어되어야 한다.
도 3은 DVD-RAM에 대한 트랙킹 에러신호 검출회로를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3의 구성에서, DVD-RAM의 트랙킹 서보장치는 프리앰프(4)로부터 트랙킹 에러신호(TE1)가 공통으로 입력되는 제1 증폭기(21) 및 가산기(25)와, 제1 증폭기(21)의 출력단과 가산기(25)의 입력단 사이에 직렬 접속된 제1 절환기(22), 제1 로패스필터&홀더(23) 및 제2 증폭기(24)와, 가산기(25)의 출력단에 공통으로 접속된 인버터(26) 및 버퍼(27)와, 인버터(26) 및 버퍼(27)에 공통으로 접속된 제2 절환기(28)와, 제2 절환기(28)의 출력단에 접속된 제2 로패스필터&홀더(29)와, 제2 로패스필터&홀더(29)의 출력단에 접속된 제3 증폭기(30)를 구비한다.
제1 절환기(22)에는 미러 윈도우(mirror window) 영역을 나타내는 미러 윈도우 판단신호가 제어신호로서 입력된다. 여기서, 미러 윈도우 영역은 대물렌즈가 광축으로부터 벗어남에 따라 트랙킹 에러신호(TE1)에 포함되는 직류옵셋을 검출하기 위해 사용자 정보영역에 소정구간 배치된다. 제2 절환기(28)에는 사용자 정보영역에서 산의 트랙과 골의 트랙을 식별할 수 있도록 산의 트랙과 골의 트랙에서 서로 다른 논리값을 갖는 산/골 판단신호와, 헤더영역과 사용자 정보영역을 식별할 수 있도록 헤더영역과 사용자 정보영역에서 서로 다른 논리값을 갖는 헤더영역 판단신호가 제어신호로서 입력된다.
프리앰프(4)로부터 2분할 반사광 신호에 기초하여 검출되는 트랙킹 에러신호(TE1)는 제1 증폭기(21)에 의해 소정 이득값만큼 증폭되어 제1 절환기(22)에 입력된다. 제1 절환기(22)는 미러 윈도우 판단신호의 논리값에 따라 현재 억세스되는 영역이 미러 윈도우 영역이면 기준접점(1a)이 제2 선택접점(1c)에 접속되고, 사용자 정보영역 또는 헤더영역인 경우이면 기준접점(1a)이 제1 선택접점(1b)에 접속된다. 이에 따라, 제1 절환기(22)는 미러 윈도우 영역에서 트랙킹 에러신호(TE1)에 포함된 직류옵셋(DC offset)을 검출하는 역할을 한다. 이 직류옵셋은 제1 로패스필터&홀더(23)에 의해 적분화되고 프리앰프(4)로부터 검출되는 트랙킹 에러신호(TE1)와 레벨 정합되도록 제2 증폭기(24)에 의해 증폭되어 가산기(25)에 입력된다. 가산기(25)는 프리앰프(4)로부터 입력되는 트랙킹 에러신호(TE1)와 가산기(24)로부터 입력되는 직류옵셋을 가산하여 트랙킹 에러신호(TE1)에 포함된 직류옵셋을 제거하게 된다. 직류옵셋이 제거된 트랙킹 에러신호는 인버터(26)와 버퍼(27)에 공통으로 입력된다. 제2 절환기(28)는 산/골트랙 판단신호와 헤더영역 판단신호의 논리값에 따라 기준접점(2a)을 선택적으로 제1 선택접점(2b), 제2 선택접점(2c) 또는 제3 선택접점(2d)에 접속시키게 된다. 제2 절환기(28)의 기준접점(2a)은 산/골트랙 판단신호의 논리값이 변하는 시점에서, 제3 선택접점(2d)에서 제1 선택접점(2b)으로 또는 제1 선택접점(2b)에서 제3 선택접점(2d)으로 접속된다. 또한, 제2 절환기(28)의 기준접점(2a)은 헤더영역 판단신호에 의해 현재 억세스되는 영역이 헤더영역으로 판단되면 제2 선택접점(2c)에 접속된다. 이에 따라, 가산기(25)로부터 출력되는 트랙킹 에러신호는 현재 억세스되는 영역이 산의 트랙에서 골의 트랙 또는 골의 트랙에서 산의 트랙으로 이동되는 시점에 위상이 반전됨과 아울러, 헤더영역에서는 홀드(hold)되어진다.
한편, DVD-RAM으로부터 검출되는 트랙킹 에러신호 역시 전술한 CD-R 또는 CD-RW에서와 같이 기록영역과 미기록영역에 따라 반사되는 광량차에 의해 그 첨두치 레벨이 달라지게 된다. 도 4를 참조하면, 제3 증폭기(30)로부터 출력되는 트랙킹 에러신호(TE2)는 헤더영역에서는 홀드되어지고 사용자 정보영역의 기록 여부에 따라 그 첨두치 레벨이 상이하게 나타난다. 즉, 사용자 정보영역에서 기록영역으로부터 검출되는 트랙킹 에러신호(TE2)의 첨두치 레벨은 미기록영역으로부터 검출되는 트랙킹 에러신호(TE2)의 그것에 비하여 더 크게 나타난다. 따라서, 기록영역과 미기록영역 중 어느 하나에 트랙킹 서보 루프 이득이 고정되면 전술한 바와 같이 불안정한 트랙킹 서보가 될 수밖에 없다. 더욱이, DVD-RAM과 같은 광디스크는 CD 계열의 광디스크에 비하여 디스크 구조가 더욱 고밀도화되므로 트랙이 조밀화되어 더욱 정밀한 트랙킹 서보가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기록영역과 미기록영역에서 트랙킹 에러신호가 균일하게 되도록 한 광디스크 장치의 트랙 서보 제어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종래의 트랙 서보 제어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
도 2는 기록 가능한 광디스크에 있어서 기록영역과 미기록영역에서 검출되는 트랙킹 에러신호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DVD-RAM에 대한 트랙킹 에러신호 검출회로를 나타내는 블럭도.
도 4는 DVD-RAM으로부터 검출되는 고주파신호와 트랙킹 에러신호를 나타내는 전압 파형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광디스크 장치의 트랙 서보 제어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트랙 서보 제어장치의 출력 파형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광디스크 장치의 트랙 서보 제어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광디스크 장치의 트랙 서보 제어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광픽업 4 : 프리앰프
6,16 : 게인조정용 증폭기 8,18 : 서보필터
10,20 : 전력 증폭기 12 : 액츄에이터
21,30,24 : 증폭기 22,28 : 절환기
23,29 : 로패스필터&홀더 25 : 가산기
26 : 인버터 27 : 버퍼
32 : 기록/미기록영역 판단기 34 : 트랙킹 에러신호 크기 측정기
36 : 제어기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광디스크장치의 트랙 서보 제어방법은 기록영역과 미기록영역을 판별하는 단계와, 기록영역과 미기록영역에서 검출되는 트랙킹 에러신호의 크기를 검출하는 단계와, 트랙킹 에러신호의 크기에 의해 기록영역과 미기록영역에서 서보 루프 이득이 일정하게 되도록 서보 루프 이득을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광디스크장치의 트랙 서보 제어장치는 기록영역과 미기록영역을 판별하는 영역 판별수단과, 기록영역과 미기록영역에서 검출되는 트랙킹 에러신호의 크기를 검출하는 크기 검출수단과, 트랙킹 에러신호의 크기에 의해 기록영역과 미기록영역에서 서보 루프 이득이 일정하게 되도록 서보 루프 이득을 조정하는 제어수단을 구비한다.
상기 목적 외에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특징들은 첨부 도면을 참조한 실시 예들에 대한 설명을 통하여 명백하게 드러나게 될 것이다.
이하,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광디스크장치의 트랙 서보 제어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5의 구성에서, 본 발명에 따른 광디스크장치의 트랙 서보 제어장치는 광디스크에 광을 조사하여 디스크로부터 반사되는 광을 광전변환하는 광픽업(2)과, 대물렌즈를 구동하기 위한 액츄에이터(12)와, 광픽업(2)과 액츄에이터(12) 사이에 직렬 접속된 프리앰프(4), 게인조정용 증폭기(16), 서보필터(18) 및 전력 증폭기(20)와, 광픽업(2)의 출력단에 접속되어 고주파신호(RF)가 입력되는 기록/미기록영역 판단기(32)와, 프리앰프(4)의 출력단에 접속되어 트랙킹 에러신호(TE1)가 입력되는 트랙킹 에러신호 크기 측정기(34)와, 기록/미기록영역 판단기(32)와 트랙킹 에러신호 크기 측정기(34)의 출력단에 공통으로 접속됨과 아울러 게인조정용 증폭기(16)의 제어신호 입력단자에 접속된 제어기(36)를 구비한다. 디스크로부터 반사되는 반사광은 광픽업(2)의 2분할 또는 4분할 광검출기에 의해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된다. 광픽업(2)으로부터 광전변환되는 트랙방향의 2분할 반사광 신호는 도시하지 않은 가산 증폭기에 의해 가산된다. 이 가산 증폭기에 의해 검출되는 고주파신호(RF)는 기록/미기록영역 판단기(32)에 입력된다. 기록/미기록영역 판단기(32)는 자신에게 입력되는 고주파신호(RF) 존재 여부에 따라 특정 논리값을 갖는 영역판단신호를 발생하여 제어기(36)에 공급한다. 프리앰프(4)는 광검출기로부터 공급되는 트랙방향의 2분할 반사광 신호를 차등 증폭하여 트랙킹 에러신호(TE1)를 검출하게 된다. 트랙킹 에러신호 크기 측정기(34)는 프리앰프(34)로부터 입력되는 트랙킹 에러신호(TE1)의 첨두치(Peak-to-peak value) 레벨 즉, 크기를 검출하여 제어기(36)에 공급한다. 게인조정용 증폭기(16)는 광디스크 종류에 따라 반사율의 차이가 나게 되므로 트랙킹 에러신호의 레벨이 소정 기준값 이상이 되도록 트렉킹 에러신호(TE1)를 증폭하게 된다. 또한, 게인조정용 증폭기(16)는 현재 억세스되는 광디스크가 기록 가능한 광디스크 예를 들면, CD-RW 또는 CD-R 등이라면 기록영역 또는 미기록영역에서 검출되는 트랙킹 에러신호에 대하여 제어기(36)의 제어에 의해 조정되는 이득값에 의해 트랙킹 에러신호를 증폭하게 된다. 즉, 게인조정용 증폭기(16)는 광디스크 종류에 따라 달라지는 트랙킹 에러신호의 크기를 소정 기준값 이상이 되도록 증폭함과 아울러 기록영역 또는 미기록영역에 따라 달라지는 트랙킹 에러신호의 크기를 서로 다른 이득값으로 증폭함으로써 균일한 크기를 가지는 트랙킹 에러신호(TE2)를 서보필터(18)에 공급하게 된다. 서보필터(18)는 게인조정용 증폭기(16)로부터 공급되는 트랙킹 에러신호(TE2)에 대하여 저역 이득 보상과 고주파 대역에서의 위상 보상을 함으로써 서보 시스템에서 요구되는 저역 게인을 보상하게 된다. 전력 증폭기(20)는 액츄에이터(12)의 구동에 적합한 구동전력으로 서보필터(18)의 출력신호를 증폭하는 역할을 한다. 액츄에이터(12)는 광픽업(2)에 와이어 스프링 또는 판스프링에 의해 유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대물렌즈 및 보빈(도시하지 않음)을 전력 증폭기(20)로부터 공급되는 전류의 극성과 레벨에 따라 트랙의 내주방향 또는 외주방향으로 이동시켜 대물렌즈가 트랙의 중심을 추종하도록 한다.
제어기(36)는 기록/미기록영역 판단기(32)로부터 입력되는 영역 판단신호에 따라 현재 억세스되는 영역을 판단하여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록영역과 미기록영역에서 서로 다른 크기(M1,M2)로 검출되는 트랙킹 에러신호(TE1)가 동일한 소정 기준 크기(M_ref)가 되도록 게인조정용 증폭기(16)의 이득값을 조정하게 된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트랙 서보 제어장치의 출력파형을 도시한 파형도로서, 광픽업이 기록/미기록 영역이 반복되는 있는 디스크를 위치 a에서 위치 b로 이동하는 경우에 검출되는 트랙킹 에러신호(TE1), 고주파신호(RF) 및 기록영역과 미기록영역에 따라 조정되는 이득 조정에 의해 보정되는 트랙킹 에러신호(TE2)를 나타낸다.
도 6을 참조하면, 제어기(36)에 의해 기록영역과 미기록영역에 따라 게인조정용 증폭기(16)의 이득값이 조정되어 게인조정용 증폭기(16)로부터 서보필터(18)로 공급되는 트랙킹 에러신호(TE2)의 크기는 기록영역과 미기록영역에 무관하게 동일한 소정 기준 크기(M_ref)를 갖게 된다. 따라서, 광픽업이 재생위치 a에서 다수의 기록영역과 미기록영역을 횡단하여 기록위치 b로 이동하여 정보를 기록하게 될 때 기록영역 또는 미기록영역에서 결함영역이 존재하거나 광디스크 자체의 편심이 다소 존재하는 경우에도 안정된 트랙킹 서보를 수행할 수 있음은 물론, 목적 트랙에 대한 시크(seek) 속도를 줄일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기록영역과 미기록영역에 무관하게 트랙킹 에러신호의 크기가 동일하도록 전술한 실시 예에서와 같이 게인조정용 증폭기(16)의 이득을 기록영역과 미기록영역에 따라 조정함은 물론, 도 7 및 도 8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게인조정용 증폭기(16) 대신에 서보필터(18) 또는 전력 증폭기(20)의 이득을 조정할 수도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광디스크장치의 트랙 서보 제어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7에 있어서, 도 5에 도시된 블록들과 동일한 기능을 하는 블록들에 대하여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이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7의 구성에서, 본 발명에 따른 광디스크장치의 트랙 서보 제어장치는 광디스크에 광을 조사하여 디스크로부터 반사되는 광을 광전변환하는 광픽업(2)과, 대물렌즈를 구동하기 위한 액츄에이터(12)와, 광픽업(2)과 액츄에이터(12) 사이에 직렬 접속된 프리앰프(4), 게인조정용 증폭기(16), 서보필터(18) 및 전력 증폭기(20)와, 광픽업(2)의 출력단에 접속되어 고주파신호(RF)가 입력되는 기록/미기록영역 판단기(32)와, 프리앰프(4)의 출력단에 접속되어 트랙킹 에러신호(TE1)가 입력되는 트랙킹 에러신호 크기 측정기(34)와, 기록/미기록영역 판단기(32)와 트랙킹 에러신호 크기 측정기(34)의 출력단에 공통으로 접속됨과 아울러 서보필터(18)의 제어신호 입력단자에 접속된 제어기(37)를 구비한다. 게인조정용 증폭기(16)는 광디스크 종류에 따라 반사율의 차이가 나게 되므로 트랙킹 에러신호의 레벨이 소정 기준값 이상이 되도록 트렉킹 에러신호(TE1)를 증폭하게 된다. 서보필터(18)는 게인조정용 증폭기(16)로부터 공급되는 트랙킹 에러신호(TE2)에 대하여 저역 이득 보상과 고주파 대역에서의 위상 보상을 함으로써 서보 시스템에서 요구되는 저역 게인을 보상하게 된다. 또한, 서보필터(18)는 현재 억세스되는 광디스크가 기록 가능한 광디스크 예를 들면, CD-RW 또는 CD-R 등이라면 기록영역 또는 미기록영역에서 검출되는 서로 다른 크기의 트랙킹 에러신호에 대하여 제어기(36)의 제어에 의해 조정되는 이득값에 의해 서보 루프의 전체 이득을 조정하게 된다. 전력 증폭기(20)는 액츄에이터(12)의 구동에 적합한 구동전력으로 서보필터(18)의 출력신호를 증폭하는 역할을 한다. 제어기(36)는 기록/미기록영역 판단기(32)로부터 입력되는 영역 판단신호에 따라 현재 억세스되는 영역을 판단하여 기록영역과 미기록영역에서 서로 다른 크기로 검출되는 트랙킹 에러신호(TE1)가 동일한 소정 기준 크기(M_ref)를 가지도록 서보필터(18)의 이득값을 조정하게 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광디스크장치의 트랙 서보 제어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8에 있어서, 도 5에 도시된 블록들과 동일한 기능을 하는 블록들에 대하여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이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8의 구성에서, 본 발명에 따른 광디스크장치의 트랙 서보 제어장치는 광디스크에 광을 조사하여 디스크로부터 반사되는 광을 광전변환하는 광픽업(2)과, 대물렌즈를 구동하기 위한 액츄에이터(12)와, 광픽업(2)과 액츄에이터(12) 사이에 직렬 접속된 프리앰프(4), 게인조정용 증폭기(16), 서보필터(18) 및 전력 증폭기(20)와, 광픽업(2)의 출력단에 접속되어 고주파신호(RF)가 입력되는 기록/미기록영역 판단기(32)와, 프리앰프(4)의 출력단에 접속되어 트랙킹 에러신호(TE1)가 입력되는 트랙킹 에러신호 크기 측정기(34)와, 기록/미기록영역 판단기(32)와 트랙킹 에러신호 크기 측정기(34)의 출력단에 공통으로 접속됨과 아울러 전력 증폭기(20)의 제어신호 입력단자에 접속된 제어기(36)를 구비한다. 게인조정용 증폭기(16)는 광디스크 종류에 따라 반사율의 차이가 나게 되므로 트랙킹 에러신호의 레벨이 소정 기준값 이상이 되도록 트렉킹 에러신호(TE1)를 증폭하게 된다. 서보필터(18)는 게인조정용 증폭기(16)로부터 공급되는 트랙킹 에러신호(TE2)에 대하여 저역 이득 보상과 고주파 대역에서의 위상 보상을 함으로써 서보 시스템에서 요구되는 저역 게인을 보상하게 된다. 전력 증폭기(20)는 현재 억세스되는 광디스크가 기록 가능한 광디스크 예를 들면, CD-RW 또는 CD-R 등이라면 기록영역 또는 미기록영역에서 검출되는 트랙킹 에러신호에 대하여 액츄에이터(12)의 구동에 적합하도록 함과 아울러 기록영역 또는 미기록영역에서 서보 루프의 전체 이득이 일정하게 되도록 제어기(36)의 제어에 의해 조정되는 이득값에 의해 트랙킹 에러신호의 크기를 조정하게 된다. 제어기(36)는 기록/미기록영역 판단기(32)로부터 입력되는 영역 판단신호에 따라 현재 억세스되는 영역을 판단하여 기록영역과 미기록영역에서 서로 다른 크기로 검출되는 트랙킹 에러신호(TE1)에 따라 서보 루프의 전체 이득이 동일하게 되도록 전력 증폭기(20)의 이득값을 조정하게 된다.
한편, DVD-RAM과 같은 광디스크에 대한 트랙킹 서보방법은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와 같이 사용자 정보영역에서 기록영역과 미기록영역을 판별하고 기록영역과 미기록영역에서의 트랙킹 에러신호의 크기를 검출하여 도 3에서 프리앰프(4) 또는 제3 증폭기(30)의 이득을 조정하여 기록영역과 미기록영역에서 트랙킹 에러신호가 동일한 크기를 갖도록 하면 안정된 트랙킹 서보를 구현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광디스크장치의 트랙 서보 제어방법 및 장치는 기록영역과 미기록영역에서 검출되는 트랙킹 에러신호의 신호레벨을 동일하게 함으로써 안정된 트랙킹 서보를 구현할 수 있음은 물론, 광디스크 자체에 결함영역이 존재하거나 광디스크 자체의 편심이 다소 존재하는 경우에도 안정된 트랙킹 서보를 수행할 수 있고 목적 트랙에 대한 시크(seek) 속도를 줄일 수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 청구의 범위에 의해 정하여 져야만 할 것이다.

Claims (9)

  1. 기록영역과 미기록영역을 판별하는 단계와,
    상기 기록영역과 미기록영역에서 검출되는 트랙킹 에러신호의 크기를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트랙킹 에러신호의 크기에 의해 상기 기록영역과 상기 미기록영역에서 서보 루프 이득이 일정하게 되도록 상기 서보 루프 이득을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디스크장치의 트랙 서보 제어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영역과 미기록영역은 트랙방향의 2분할 반사광의 합신호로서 검출되는 고주파신호의 유무에 따라 판별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디스크장치의 트랙 서보 제어방법.
  3. 기록영역과 미기록영역을 판별하는 영역 판별수단과,
    상기 기록영역과 미기록영역에서 검출되는 트랙킹 에러신호의 크기를 검출하는 크기 검출수단과,
    상기 트랙킹 에러신호의 크기에 의해 상기 기록영역과 상기 미기록영역에서 서보 루프 이득이 일정하게 되도록 상기 서보 루프 이득을 조정하는 제어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디스크장치의 트랙 서보 제어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영역 판별수단은 트랙방향의 2분할 반사광의 합신호로서 검출되는 고주파신호의 유무에 따라 상기 기록영역과 상기 미기록영역을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디스크장치의 트랙 서보 제어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광픽업의 출력단에 접속되어 상기 트랙킹 에러신호를 검출하는 프리앰프와,
    대물렌즈가 취부되어 구동전류가 인가됨에 따라 상기 대물렌즈를 구동시키기 위한 액츄에이터와,
    상기 프리앰프와 상기 액츄에이터 사이에 접속되어 기록매체의 종류에 따라 크기가 달라지는 트랙킹 에러신호에 대하여 기준값 이상이 되도록 상기 기록매체의 종류에 따라 다른 이득값으로 상기 트랙킹 에러신호를 증폭하기 위한 이득조정용 증폭기와,
    상기 이득조정용 증폭기와 상기 액츄에이터 사이에 접속되어 상기 트랙킹 에러신호에 대하여 저역 이득 보상과 고주파 대역에서의 위상 보상을 수행하는 서보필터와,
    상기 서보필터와 상기 액츄에이터 사이에 접속되어 상기 액츄에이터의 구동에 적합한 레벨로 상기 서보필터의 출력신호를 증폭하기 위한 전력증폭기를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디스크장치의 트랙 서보 제어장치.
  6. 제 3 항 또는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프리앰프의 제어단자에 접속되어 상기 기록영역과 상기 미기록영역에 따라 상기 프리앰프의 이득값을 서로 다르게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디스크장치의 트랙 서보 제어장치.
  7. 제 3 항 또는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이득조정용 증폭기의 제어단자에 접속되어 상기 기록영역과 상기 미기록영역에 따라 상기 이득조정용 증폭기의 이득값을 서로 다르게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디스크장치의 트랙 서보 제어장치.
  8. 제 3 항 또는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서보필터의 제어단자에 접속되어 상기 기록영역과 상기 미기록영역에 따라 상기 서보필터의 이득값을 서로 다르게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디스크장치의 트랙 서보 제어장치.
  9. 제 3 항 또는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전력증폭기의 제어단자에 접속되어 상기 기록영역과 상기 미기록영역에 따라 상기 전력증폭기의 이득값을 서로 다르게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디스크장치의 트랙 서보 제어장치.
KR1019990003613A 1999-02-03 1999-02-03 광디스크 장치의 트랙 서보 제어방법 및 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1002857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03613A KR100285764B1 (ko) 1999-02-03 1999-02-03 광디스크 장치의 트랙 서보 제어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03613A KR100285764B1 (ko) 1999-02-03 1999-02-03 광디스크 장치의 트랙 서보 제어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55151A KR20000055151A (ko) 2000-09-05
KR100285764B1 true KR100285764B1 (ko) 2001-03-15

Family

ID=195732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03613A Expired - Fee Related KR100285764B1 (ko) 1999-02-03 1999-02-03 광디스크 장치의 트랙 서보 제어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8576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53874B1 (ko) * 1999-02-05 2006-02-24 삼성전자주식회사 광디스크 플레이어의 트랙킹 서보장치
KR100662285B1 (ko) * 2000-11-30 2007-01-02 엘지전자 주식회사 광 기록 재생기의 서보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55151A (ko) 2000-09-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16443B1 (en) Apparatus for discriminating optical disc and method therefor
US6760289B1 (en) Optical disc drive and method of discriminating various types of optical discs
KR100197623B1 (ko) 디스크종류판별방법 및 이를 적용한 dvd시스템
EP0926662B1 (en) Optical disc device
US6526007B1 (en) Recording medium driving device for rotationally driving a disk-shaped recording medium having tilt detection means and tilt detection method
KR100309717B1 (ko) 광디스크판별장치
JP3872619B2 (ja) バイアス電圧制御装置並びに情報再生装置及び情報記録装置
US2004024035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criminating optical disks
KR100285764B1 (ko) 광디스크 장치의 트랙 서보 제어방법 및 장치
KR100285633B1 (ko) 광디스크 장치의 트랙 서보 제어방법 및 장치
JP3219737B2 (ja) 浅/深グルーブ方式光ディスクのトラッキング方法およびその装置
EP1091352B1 (en) Focus servo controlling apparatus, information reproducing apparatus and information recording apparatus
JP4042272B2 (ja) 記録媒体駆動装置及びチルト検出方法
JP4122658B2 (ja) 記録媒体駆動装置及びチルト検出方法
KR100555704B1 (ko) 광 재생장치 및 그의 자동 이득 조정방법
US20050157617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cting a pre-pit signal
JP2000222747A (ja) 光ディスク装置およびサーボパラメータ調整装置
JP2000276743A (ja) 光磁気ディスクの記録再生方法及び記録再生装置
KR20040036663A (ko) 기록 및 재생 장치
KR100556495B1 (ko) 광 디스크 기록 재생 방법 및 장치
JP2007115329A (ja) サーボ制御信号生成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光ディスク装置
US20030202442A1 (en) Optical disk recording/reproduction apparatus and write power control method
JP2005092992A (ja) 光ディスク装置
KR100587266B1 (ko) 광 기록매체의 기록재생 방법
JPH08339550A (ja) 光ディスクドライブ装置用制御回路の調整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90203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pub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Comment text: Request for Early Opening

Patent event code: PG15011R01I

Patent event date: 19991112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0112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1010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1010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3122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122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120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1220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1220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