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285186B1 - 전화사서함시스템 - Google Patents

전화사서함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85186B1
KR100285186B1 KR1019980008632A KR19980008632A KR100285186B1 KR 100285186 B1 KR100285186 B1 KR 100285186B1 KR 1019980008632 A KR1019980008632 A KR 1019980008632A KR 19980008632 A KR19980008632 A KR 19980008632A KR 100285186 B1 KR100285186 B1 KR 1002851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lephone
mailbox
personal
user
datab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086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74804A (ko
Inventor
김승현
김형년
Original Assignee
김승현
김형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승현, 김형년 filed Critical 김승현
Priority to KR10199800086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85186B1/ko
Publication of KR199900748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748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851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85186B1/ko

Links

Landscapes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전화사서함시스템은 전화국내에 가입자 및 이 가입자가 사용하는 타인의 연락가능한 번호들 즉, 개인별 전화번호부를 사서함형태의 데이터베이스로 구축하여 가입자들이 전화를 통해 최대한 편리성을 제공받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사용자의 전화번호부 관련 신상내역 및 이 가입자가 사용하는 타인들의 연락가능한 번호들을 레코드로 담고 있는 사서함형태의 데이터베이스(DB)와, 데이터베이스(DB)를 사용하는 가입자 및 사용자 사이에서 DB를 액세스하기 위한 사용자들의 모든 요구를 처리하는 데이타베이스관리시스템(DBMS)이 전화국내에 구비되며, 데이터베이스관리시스템(DBMS)내에는 각 개인사서함, 음성사서함, 서비스센타DB, 지역상호(地域商號)전화번호DB, 주요기관전화번호DB, 민원실전화번호DB, 정보제공DB 등등의 소분류된 전화번호부DB가 마련되고, 사용자가 전화기의 수화기를 드는 동작만으로 데이터베이스관리시스템(DBMS)내의 개인사서함에 바로 연결되어 소분류된 전화번호DB 상태에서는 이름 또는 상호등의 중복될 확률이 매우 적으므로 상대방의 이름 초성이나 음성입력으로 상대방과 자동으로 전화연결되도록 구성된다. 그 밖에도, 개인용컴퓨터(PC,PDA)와도 자동연결 가능하여 많은 정보를 주고받을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사용자가 전화번호를 일일이 기억할 필요가 없어 편리하며, 변경된 번호를 가입자와 관련된 상대방 DB를 자동으로 수정하므로써 평생동안 원하는 상대방(상대방이 원할경우)과 연락할 수 있고, 자신이 현재 연락 가능한 단말기를 개인사서함에 선택 지정 할 수 있어 100% 통화 성공률을 갖을수 있고, 전화안내원으로부터 서비스를 받을 필요가 없어 인력 및 비용관리면에서 잇점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전화사서함시스템
본 발명은 전화사서함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화국내에 가입자 및 이 가입자가 사용하는 타인의 전화번호들을 사서함형태의 데이타베이스로 구축하여 관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전화사서함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현대사회는 통신으로 거의 모든 일을 처리할 수 있을 정도로 통신기술이 발달하였다. 그중 우리 실생활에 편리함과 유익함을 가져다 준 것의 하나로 전화의 발견을 들 수 있다. 전화로 우리는 먼 거리에 있는 상대방에게 빠른 시간내에 연락을 할 수도 또는 받을 수도 있다. 개인 휴대통신의 급격한 발전으로 연락하고자 하는 상대방과의 통화확률이 예전의 약 50%정도에서 약 90%정도로 증가하게 되었고, 개인이 소유할 수 있는 전화번호도 또한 집전화번호, 회사전화번호, 호출기번호, 휴대폰(시티폰,PCS, … )번호, 이-메일(e-mail) 아이디(ID) 등등으로 늘어나게 되었다.
하지만, 각종 휴대통신의 발달로 개인이 가질 수 있는 전화번호 및 ID의 종류가 증가되었고, 그에 따른 변동 또한 잦아졌다. 그로 인해, 한 개인이 필요로 하는 전화번호 및 ID의 관리가 난해해졌을 뿐 만 아니라 변경된 번호를 모든 관련된 자에게 통보하기가 어렵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 개인의 각종 ID를 포함한 전화번호부를 전화국내의 데이터베이스에 개인이 필요한 정보를 구축하여 관리하므로써, 각종 ID 및 전화번호의 효율적인 관리와 불편 해소 및 전화를 통해 최대로 누릴 수 있는 편리함을 위한 전화사서함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화사서함시스템의 개략적 구성도,
도 2a-2c는 도 1 데이타베이스관리시스템내의 개인사서함 연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3은 도 1의 개인사서함에 관계된 전화번호DB를 통해 상대방연결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4는 도 1의 개인사서함에 관계된 전화번호DB에 등록된 본인정보 갱신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5는 도 1의 개인사서함에 관계된 전화번호DB에 상대정보 등록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6은 도 1의 개인사서함에 관계된 전화번호DB에 등록된 정보 수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7은 도 1의 개인사서함에 관계된 전화번호DB에 등록된 상대정보 삭제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30 : 전화기 20 : 데이타베이스관리시스템(DBMS)
21,22 : 개인사서함 23 : 지역상호 전화번호DB
24 : 서비스센터 전화번호DB 25 : 소분류 전화번호DB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전화사서함시스템은, 전화시스템에 있어서, 개인별 전화번호부를 갖는 개인사서함과 각종 전화번호들이 소분류된 전화번호데이타베이스(DB)를 구비하는 데이터베이스와,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하는 가입자 및 사용자 사이에서 데이타베이스를 액세스하기 위한 사용자들의 모든 요구를 처리하는 데이타베이스관리시스템(DBMS), 및 상기 데이타베이스관리시스템과 전화접속되어 사용자들이 상기 데이타베이스를 이용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기술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화사서함시스템의 개략적 구성도를 나타낸다. 도 1에 나타낸 시스템은 사용자 개개의 개인사서함(21,22), 개인사서함(21,22)에 관계되어 있는 각종 전화번호데이터베이스(DB)들 즉, 서비스센터 전화번호DB(24), 지역상호 전화번호DB(23), 그리고 주요기관이나 민원실전화번호DB, 정보제공DB 등등의 소분류된 전화번호로 이루어진 DB(25)를 구비한다. 도 1 시스템은 또한, 개인사서함(21,22) 및 각종 전화번호DB들(23∼25)을 관리 및 운용하기 위한 데이터베이스관리시스템(DBMS)(20)을 구비하며, 이들은 모두 전화국내에 설치된다. 한편, 도 1 시스템은 사용자가 전화교환망을 통해 데이터베이스관리시스템(DBMS)(20)내의 개인사서함(21,22)에 접근하기 위한 전화기(10,30)를 구비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도 1의 전화사서함시스템에 대한 동작을 도 2 내지 도 7를 참조하여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은 사용자 개인의 데이타베이스를 전화국내에 구축하는 것으로부터 시작하며, 이 데이터베이스(database; DB)는 오라클(oracle)에서 제공하는 객체-관계(object-relationship)형 데이타베이스시스템(ORDBMS)으로 작성됨이 바람직하다. 객체는 정보를 저장하는 항목으로 속성(attribute)에 의해 정의되며, 관계는 테이블형태의 평명화일로 몇개의 속성으로 구성되는 것이다. 여기서, 각 개인사서함(21,22) 및 전화번호DB(23∼25) 내부는 객체형으로 작성되며, 객체들간의 연결을 위해 관계형으로도 작성된다. 더욱이, 데이터베이스 내부 화일들은 페어런트(parents)/차일드(child)구조를 갖는다. 즉, 가입자 및 사용자의 전화번호 관련 신상내역, 이 가입자 및 사용자가 사용하는 타인들의 전화번호들을 레코드로 담고 있는다. 이러한 레코드들은 사용자의 입력에 의해 초기 작성된다. 그 초기입력을 위한 수단으로는 음성안내에 따른 전화기의 키패드를 이용할 수 있고 일반 퍼스널컴퓨터(PC) 또는 PDA를 사용할 수도 있다. PC를 이용할 경우, PC상에서 작성된 관리대상 전화번호들의 문서를 데이터베이스(DB)로 구축할 뿐 아니라 부가적으로 메모리(memory)기능이 있는 개인 휴대폰이나 PCS로 송신하여 개인이 일일이 필요한 전화번호를 메모리시켜놓지 않아도 이를 수신하여 자동메모리하는 것도 가능하게 된다. 일단 개개의 가입자 및 사용자에 대한 데이타베이스가 작성되면, 그 이후의 갱신은 (1) 전화번호 변경시 전화번호변경을 알 수 있는 전화국에서 가입자의 의사 따라 전화국 수정방법, (2) 음성안내에 따른 전화기의 키패드를 이용 수정보완하는 방법, (3) 사용자가 새로운 전화번호로 전화를 걸거나 걸려올 경우 이를 자동으로 임시등록후 가입자 및 사용자가 수정보완하여 등록하는 방법, 및 (4) PC 또는 PDA를 이용 수정보완하는 방법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서로 관련된 타인의 데이터베이스도 자동으로 갱신하게 된다. 즉, A라는 사람의 전화번호가 B 및 C라는 사람들의 개인데이타베이스들 둘 다에 들어있는 상황에서 A라는 사람의 전화번호가 변경되면, 전화국내의 데이타베이스관리시스템은 B 및 C의 개인데이타베이스 두 곳에 저장되어 있는 A라는 사람의 전화번호를 변경된 전화번호로 갱신시킨다. 본 실시예에서, 전화국내의 데이터베이스관리시스템(DBMS)(20)에는 사용자 개개인의 개인사서함(21,22)과, 서비스센터 전화번호DB(24), 지역상호 전화번호DB(23), 주요기관 및 민원실 전화번호DB, 정보제공DB 등등의 소분류된 전화번호DB(25), 그리고 정보제공을 위한 데이타베이스가 구축된다. 이러한 전화국내의 개인사서함(21,22) 및 전화번호DB들(23∼25)에 사용자가 접근하는 방법으로는, 별도의 전화번호 입력 대신에 전화를 걸기위한 예비동작 예를 들면, 사용자가 휴대폰의 자판뚜껑을 여는 동작(flip) 또는 일반 전화기의 수화기를 드는 동작만으로 가입전화국의 교환기와 연결(calling)상태가 되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대해 좀더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a-2c는 도 1 데이터베이스관리시스템(DBMS)(20)내의 개인사서함(21,22) 연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2a를 보면, 사용자가 전화기(10)의 수화기를 들고(단계 201), 전화번호를 누르면(단계 202), 전화국내의 마련된 데이터베이스관리시스템(DBMS)(20)은 전화교환망(미도시)을 통해 입력된 번호가 사용자의 개인사서함(21) 비밀번호(password)인지 혹은 전화걸기 원하는 상대방 전화번호(telephone number)인지를 체크한다(단계 203). 단계 203의 체크결과 비밀번호이면, 데이터베이스관리시스템(DBMS)(20)은 일단 그 사용자의 개인사서함(21)과 연결된다(단계 204). 반대로, 전화번호이면 데이터베이스관리시스템(DBMS)(20)은 그 전화번호를 소유한 상대방의 개인사서함(22)이 개설되어 있으면 그 개인사서함(22)을 통해 그 전화번호에 대응하는 상대방 전화기(30)에 전화접속하여 상대방과 연결하고(단계 205), 개설되어 있지 않으면 바로 그 전화번호에 대응하는 상대방 전화기(30)에 전화접속하여 상대방과 직접연결한다(단계 206). 단계 204에서, 연결된 자신의 개인사서함(21)을 통해 원하는 상대방과 전화접속하는 경우에 대해서는 도 3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데이터베이스관리시스템(DBMS)(20)은 단계 205에 의해 연결된 상대방 개인사서함(22)에 연락가능한 여러가지 번호들중 하나의 번호로만 연결되도록 고정전화연결이 지정되어 있으면, 입력된 전화번호에 상관없이 지정된 번호로 상대방과 연결시킨다.
도 2b는 본인의 전화기(PCS, 핸드폰, 유·무선 일반전화기, … ) 사용시의 상대방 연결방법으로, 사용자가 본인이 소유한 번호의 전화기(10)의 수화기를 들거나 또는 뚜껑을 엶과 동시에 바로 데이타베이스관리시스템(20)에 의해 자신의 개인사서함(21)에 접근하여 상대방과 연결됨을 보여준다. 즉, 사용자가 본인 전화기(10)의 수화기를 들거나 또는 뚜껑를 열면(단계 211), 전화국의 데이타베이스관리시스템(20)은 그 전화기의 번호를 가진 사람의 개인사서함(21)과 일단 연결한다(단계 212). 그런 다음, 데이터베이스관리시스템(20)은 연결된 개인사서함(21)에 등록되어 있는 상대번호로 전화접속시켜(단계 213), 상대방과 연결하게 된다(단계 214).
도 2c는 타인 혹은 공중전화기 사용시의 상대방 연결방법으로, 사용자가 타인의 전화기 혹은 공중전화기의 수화기를 들고(단계 221), 자신의 개인사서함연결전화번호 및 사서함비밀번호를 입력한다(단계 222). 예를 들면, 사용자는 전화기 키패드상에 "*"를 입력한 다음 본인 개인사서함연결전화번호를 입력하고, 음성안내에 따라 사서함비밀번호를 차례로 입력한다. 단계 222에 의해 사용자 본인의 개인사서함 연결을 위한 전화번호 및 비밀번호가 입력되면, 데이터베이스관리시스템(DBMS)(20)은 입력된 전화번호 및 비밀번호에 일치하는 개인사서함과 연결한다(단계 223). 단계 223에 의해 타인 혹은 공중전화기를 사용하더라도 본인의 개인사서함에 일단 연결되면, 원하는 상대방과의 전화접속을 위한 단계들(단계 224,225)은 도 2b의 대응되는 단계와 동일하다. 이처럼, 타인 혹은 공중전화기를 사용하더라도 본인의 개인사서함에 연결가능하므로, 연결된 개인사서함을 통해 전화통화시 그 요금을 적산할 수 있어 타인전화기를 빌려쓰기 용이해지며, 동전이나 전화카드없이도 언제 어디서나 필요한 곳에서 전화통화를 할 수 있다.
이러한 동작에 의해 그 전화기(10)는 자동으로 전화국내의 데이터베이스관리시스템(DBMS)(20)에서 관리·운용되는 본인의 개인사서함(21)에 접근할 수 있는 상태가 되며, 사용자가 원하는 결과를 얻기 위한 조작, 예를 들면, 전화하려는 타인의 이름을 입력하면, 전화국내의 데이타베이스관리시스템(DBMS)(20)은 사용자의 입력에 대응하는 이름과 전화번호를 사용자가 확인가능토록 음성안내한다. 문자표시가 가능한 전화기일 경우, 데이터베이스관리시스템(DBMS)(20)은 입력에 대응하는 이름과 전화번호를 문자전송하여 문자안내한다. 여기서, 입력방법은 다양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본출원인에 의해 1997년 12월 31일자로 특허출원된 특허출원번호 제 82262호의 "전화기를 이용한 문자입력시스템"(한글자판이 없는 전화기 키패드로 입력이 가능함)에 기재된 방법을 사용한다. 이는 전화기의 자판상에 원하는 글자형상이 되도록 숫자들을 조합시켜 입력하는 방법으로, 여기서는 이름전체를 다 입력하지 않고 초성만을 입력하는 것으로 한다.
도 3은 도 1의 개인사서함에 관계된 전화번호DB를 통해 상대방연결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에서, 도 2를 통해 전술한 바와 같이 전화국내 데이타베이스관리시스템(DBMS)(20)내의 본인 개인사서함(21)과 연결된 상태에서, 사용자는 전화기(10)의 자판상에 상대방 이름 초성이 형상되도록 하여 입력한다(단계 301). 예를 들면, 상대방 이름이 "김승현"이면, 이 이름 대신에 한글자음 "ㄱ" "ㅅ" "ㅎ"을 입력하는 것으로, "ㄱ"은 전화기의 자판상에 ㄱ형상이 되도록 예를 들면, "1, 2, 5"의 조합 또는 "5, 6, 9"의 조합을 통해 "ㄱ"을 입력시키고, "ㅅ"은 "2, 4, 2, 6." 또는 "2, 4, 8,"을 "ㅎ"은 "2, 4, 5, 6, 0"의 조합을 입력시킨다. 추가적으로, 이름뿐만 아니라 전화번호종류도 지정가능하다. 만약, 핸드폰을 지정할 경우 "ㅎ"을, 사무실전화번호를 지정할 경우 "ㅅ"를 입력하면 된다. 이 외에도 직접 음성으로 상대방 이름을 입력시켜도 된다. 전화국내의 데이터베이스관리시스템(20)은 전화교환망을 통해 접속된 사용자 전화기(10)로부터 상대방 이름초성(음성)이 입력되면(단계 301), 연결된 사용자의 개인사서함(21)에 관계된 전화번호DB에 입력된 상대방이름으로 등록되어 있는 연결가능한 번호를 자동응답안내(ARS)하여(단계 302), 사용자로 하여금 연결번호종류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단계 303). 각 개인사서함(21,22)은 개인의 관리가 필요한 전화번호들, 즉 본인의 신상내역 및 본인이 필요한 타인의 집전화번호, 호출기, 휴대폰, 사무실전화번호, 팩스(FAX)번호, 도메인명, 이-메일(E-MAIL)주소등이 담겨져 있는 전화번호부형태의 데이터베이스(DB)와 관계형으로 연결되어 있다. 데이터베이스관리시스템(20)은 연결번호종류가 선택되면(단계 303), 그 선택된 번호로 전화를 걸어 상대방과 연결시켜 준다(단계 304). 즉, 데이터베이스관리시스템(DBMS)(20)은 선택된 전화번호에 대응하여 상대방 개인사서함(22)이 개설되어 있으면, 그 개인사서함(22)에 접근하여 상대방과 전화연결된다. 만약, 상대방 개인사서함(22)이 개설되어 있지 않으면 상대방과 바로 전화연결된다. 한편, 데이터베이스관리시스템(20)은 상대방 전화연결시 전화건 사람의 신상내역을 음성 혹은 문자로 안내하여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전화를 받을 수 있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사용자가 개인사서함(21,22)에 다양한 호출음중 하나를 지정할 수 있도록 하여, 전화를 걸거나 받을 때 지루하지 않도록 할 수도 있다.
도 4는 도 1의 개인사서함에 관계된 전화번호DB에 등록된 본인정보 갱신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사용자는 본인의 개인사서함(21) 등록정보(사서함비밀번호, 집전화번호, 휴대폰번호, 호출기번호, 사무실전화번호, FAX번호, 도메인명, E-MAIL주소, 번호공개여부, 고정연결체크, …)를 갱신하고자 할 경우 도 2 단계들을 통해 개인사서함(21) 연결상태에서, 전화기(10)의 자판을 통해 본인정보 갱신을 위한 코드(예를 들어, *7771)를 입력한다(단계 401). 전화국내의 데이타베이스관리시스템(20)은 연결된 사용자 전화기(10)를 통해 본인정보 갱신코드가 입력되면, 자신에 대해 등록되어 있는 신상내역을 안내하여 수정할 내용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고(단계 402), 사용자가 그 안내에 따라 수정내용을 선택하여 입력하면(단계 403), 본인정보가 들어있는 모든 사서함과 연결하여(단계 404), 선택된 수정내용을 입력내용으로 모두 자동 수정처리한다(단계 405). 물론, 본인정보가 등록되어 있는 상대방의 모든 사서함중 선택적으로 수정처리하여 본인정보의 수정내용을 알리고 싶지 않은 상대방의 사서함에 대해서는 수정처리하지 않을 수도 있다.
도 5는 도 1의 개인사서함에 관계된 전화번호DB에 상대정보 등록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사용자가 본인의 개인사서함(21)에 새로운 상대방정보(이름, 집전화번호, 휴대폰번호, 호출기번호, 사무실전화번호, FAX번호, 도메인명, E-MAIL주소)를 등록하고자 할 경우, 개인사서함(21) 연결상태에서 사용자는 전화기(10)의 자판을 통해 상대정보등록을 위한 코드(예를 들면, *7772)를 입력한다(단계 501). 그리고, 상대정보를 입력한다(단계 502). 여기서, 입력수단으로는 PC를 사용하여 정보의 입력, 수정 및 검색도 할 수 있다. 데이타베이스관리시스템(20)은 상대정보가 입력되면, 이중등록이 되지 않도록 개인사서함(21)에 관계된 전화번호DB를 검색하여(단계 503), 새로운 상대방정보만을 등록처리한다(단계 504). 이처럼, 사용자가 직접 상대정보를 등록하지 않더라도 본인의 개인사서함(21)에 등록되어 있지 않은 새로운 전화번호로 전화를 걸거나 받는 동작만으로도 자동으로 등록시킬 수 있다. 물론, 그 전화번호에 스테터스(status)를 주어 선택적으로 등록시킬 수도 있다. 그리고, 일정기간마다 본인의 개인사서함(21)에 등록되어 있는 정보를 수첩으로 배부하여 자동 등록된 번호를 본인이 직접 사서함정리 및 관리할 수 있도록 한다.
도 6은 도 1의 개인사서함에 관계된 전화번호DB에 등록된 정보 수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사용자는 본인의 개인사서함(21)에 연결된 상태에서, 그 개인사서함(21)에 기등록되어 있는 정보를 수정하기 위한 코드(예를 들어, *7773)를 입력한 후(단계 601), 수정할 자신의 페어런트부분의 이름 초성을 도 3에서 설명한 바와 마찬가지로 전화기(10)의 자판을 통해 입력하거나 음성입력한다(단계 602). 그리고, 수정내용을 선택하여 입력하면(단계 603), 전화국내의 데이타베이스관리시스템(20)은 무조건 수정처리하지 않고 입력된 수정내용이 본인의 개인사서함(21)에 등록되어 있는 내용인지 혹은 수정불가능한 내용인지를 검색한 후(604), 수정처리한다(단계 605).
도 7은 도 1의 개인사서함에 관계된 전화번호DB에 등록된 상대정보 삭제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개인사서함(21) 연결상태에서, 사용자는 본인의 개인사서함(21)에 기등록되어 있는 상대정보를 삭제하기 위하여 해당 코드(예를 들어, *7774)를 입력한다(단계 701). 그런 다음, 사용자는 삭제할 상대방 이름 초성을 도 3과 마찬가지로 전화기(10)의 자판을 통해 입력하거나 음성입력을 하고(단계 702), 삭제내용을 선택한다(단계 703). 전화국내의 데이타베이스관리시스템(20)은 무조건 삭제하지 않고 삭제할 내용이 본인의 개인사서함(21)에 기등록되어 있는 지 혹은 삭제해도 무방한 내용인지 검색한 후(단계 704), 삭제처리한다(단계 705). 여기서, 삭제내용에 삭제코드를 부여하여 차후 다시 등록할 수 있도록 한다.
이처럼, 사용자 각 개인사서함(21,22)을 통해 상대방 전화연결뿐 만 아니라 데이타베이스관리시스템(20)내의 들어있는 다른 전화번호DB들(23∼25)의 이용도 전술한 바와 동일하다. 즉, 서비스센터 전화번호DB(24)를 이용할 경우, 사용자는 본인의 개인사서함(21)과 연결된 상태에서 서비스센터 전화번호DB(24)이용을 위한 코드(예를 들어, *9977)를 입력한 후, 서비스센터 업종명의 초성문자(혹은 음성)를 입력한다. 그러면, 데이타베이스관리시스템(20)은 연결된 개인사서함(21)의 사용자 신상내역에 근거하여 서비스센터 전화번호DB(24)의 내용을 검색한다. 데이터베이스관리시스템(20)은 서비스센터 전화번호DB(24)에서 사용자 주소지역의 선택된 서비스업종의 전화번호를 검색하여 사용자에게 확인시킨 후 자동으로 전화걸기를 통해 연결시켜준다. 지역상호 전화번호DB(23) 및 긴급연락처나 그 밖의 소분류전화번호DB(25)도 해당 상호명 및 긴급연락처명의 초성문자를 입력하면 자동으로 연결된다.
이밖에도, 각종 부가서비스 제공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필요한 메모사항을 녹음해놓을 수 있는 메모방, 필요한 정보(뉴스, 증권정보, 날씨, 스포츠중계, 신문기사,…)를 요청할 수 있는 정보요청방, 고객이 정보요청방에서 요구한 정보를 수집해놓는 정보배달방, 동일메세지(결혼, 장례소식,…)를 여러사람에게 전달하고자 할 때 개인사서함에 등록되어 있는 모든 사람에게 또는 선택적으로 음성메세지를 전달하는 동보음성배달, 이를 문자메세지로 전달하는 동보문자배달, 전자우편내용을 음성 또는 문자로 확인하는 E-MAIL검색등이 있을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전화사서함시스템은 상대방의 연락가능한 모든 번호를 각 개인사서함에 등록시켜 쉽게 상대방과 연결시켜 주므로, 사용자가 직접 일일이 전화번호를 외우거나 수첩에 기재하여 관리할 필요가 없어 안전하면서도 편리함을 제공한다. 또한, 공중전화 이용시 개인사서함으로 연결하면 자동으로 요금청구를 할 수 있어 동전이나 전화카드없이도 언제 어디서나 필요한 곳에서 전화통화를 할 수 있고, 간단한 글자입력으로 원하는 상대방과 전화연결이 되어 유료서비스인 전화안내원의 의존도가 줄게 되어 인력관리 및 비용면에서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다. 아울러, 전화번호를 분실할 염려가 없으며, 변경전 전화번호를 추적할 수 있어 연락이 끊길염려가 없다.

Claims (13)

  1. 전화시스템에 있어서,
    개인별 전화번호부를 갖는 개인사서함과, 각종 전화번호들이 소분류된 전화번호데이타베이스(DB)를 구비하는 데이타베이스;
    상기 데이타베이스를 관리 및 운용하여, 데이타베이스를 액세스하기 위한 시스템 사용자들의 개인사서함 연결이나 상대방연결을 포함하는 요구를 처리하는 데이타베이스관리시스템(DBMS); 및
    상기 데이타베이스관리시스템과 전화접속되어, 데이타베이스로 구축될 관리대상 전화번호들의 문서를 작성하며 구출된 상기 데이타베이스를 액세스하여 이용하는 사용자 단말기를 포함하는 전화사서함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사용자의 입력에 의해 객체-관계형으로 작성되며, 사용자 본인의 신상내역 및 이 사용자가 사용하는 타인들의 전화번호들로 레코드(record)를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사서함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타베이스관리시스템은 상기 휴대전화기의 뚜껑을 여는 동작이나 일반전화기의 수화기를 드는 동작으로 상기 데이타베이스에 들어있는 사용자 개인사서함과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사서함시스템.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베이스관리시스템은 사용되는 전화기의 번호에 대응하는 개인사서함과 연결되며, 본인번호의 전화기를 사용할 경우 바로 본인의 개인사서함과 연결되고, 타인번호의 전화기를 사용할 경우 본인의 개인사서함 연결을 위해 지정코드와 본인 전화번호 및 비밀번호의 조합을 입력하여 본인의 개인사서함과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사서함시스템.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타베이스관리시스템은 타인 및 공중전화기를 사용하여 본인의 개인사서함에 연결되면, 연결된 개인사서함에 전화통화요금이 적산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사서함시스템.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타베이스관리시스템은 상기 전화기의 자판상에 눌러지는 숫자조합으로 형성되는 글자초성이나 음성으로 연결을 원하는 상대방을 입력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사서함시스템.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베이스관리시스템은 입력된 상대방 이름 및 연결된 개인사서함의 전화번호DB에 그 이름으로 등록되어 있는 전화번호를 사용자에게 음성안내 또는/및 문자표시로 확인시켜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사서함시스템.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타베이스관리시스템은 확인된 전화번호에 대응하는 상대방 개인사서함이 구축되어 있으면 그 개인사서함을 통해 상대방과 전화연결하고, 구축되어 있지 않으면 상대방과 바로 전화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사서함시스템.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개인사서함은 여러가지의 전화번호중 하나의 전화번호로만 고정시켜 전화받는 고정전화연결기능을 구비하며,
    상기 데이터베이스관리시스템은 연결된 상대방 개인사서함에 상기 고정전화연결기능이 설정되어 있으면, 고정된 전화번호로 전화연결시켜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사서함시스템.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개인사서함은 다양한 호출음중 하나의 호출음이 사용자 선택에 의해 지정가능하며,
    상기 데이터베이스관리시스템은 연결된 개인사서함에 지정된 호출음으로 전화걸거나 받을 때 발생시켜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사서함시스템.
  11.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타베이스관리시스템은 사용자 본인정보 갱신내용이 입력되면, 데이타베이스내의 사용자 본인정보가 들어있는 모든 사서함 내용을 입력내용으로 모두 갱신시키거나 그 사서함중 원하는 사서함만을 선택하여 갱신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사서함시스템.
  12.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타베이스관리시스템은
    본인 및 상대방정보 등록내용을 사용자에 의해 직접 입력받거나, 새로운 전화번호로 전화를 걸거나 받는 동작만으로 개인사서함 내용을 등록시키며,
    수정할 정보가 입력되면 본인의 개인사서함에 기등록되어 있는 해당내용을 수정하고,
    삭제할 정보가 입력되면 본인의 개인사서함에 기등록되어 있는 해당내용을 삭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사서함시스템.
  1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타베이스관리시스템은 단말기와 접속되어, 필요한 메모(memo)나 정보 그리고 음성 및 문자메세지의 전달, 이-메일(e-mail) 검색을 포함 및 상호연결하는 부가서비스를 수행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사서함시스템.
KR1019980008632A 1998-03-14 1998-03-14 전화사서함시스템 KR1002851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08632A KR100285186B1 (ko) 1998-03-14 1998-03-14 전화사서함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08632A KR100285186B1 (ko) 1998-03-14 1998-03-14 전화사서함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74804A KR19990074804A (ko) 1999-10-05
KR100285186B1 true KR100285186B1 (ko) 2001-03-15

Family

ID=659089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08632A KR100285186B1 (ko) 1998-03-14 1998-03-14 전화사서함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8518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66332B1 (ko) * 2000-09-26 2002-12-31 김태형 인터넷상의 문자 전화번호 등록을 이용한 통화 중개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20029281A (ko) * 2000-10-12 2002-04-18 김삼열 인터넷 평생 1번호 서비스 시스템
JP3819232B2 (ja) * 2000-11-17 2006-09-06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着信転送通信システム
KR20020087819A (ko) * 2001-05-16 2002-11-23 유항재 전화번호 정리및 연결시스템
KR20040036347A (ko) * 2002-10-24 2004-04-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화교환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01243757B1 (ko) * 2011-01-19 2013-03-13 이중민 114 전화번호 안내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74804A (ko) 1999-10-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03748B2 (en) Location based masked communication
US6580790B1 (en) Calling assistance system and method
US6498797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mmunication services on a network
EP1157532B1 (en) Unified directory for caller id and electronic mail addresses
EP0947083B1 (en) Telephone directory apparatus and method
US20040076139A1 (en) Wireless name service registry and flexible call routing and scheduling
US7558562B2 (en) System for storing and supplying wireless contacts information
US20040058710A1 (en) Technique for synchronizing data in user devices through an information service
CN201142742Y (zh) 通讯录管理系统
US2004022964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hanging phone number information in an electronic phonebook
US7463909B1 (en) Method, device, and database for providing communication addresses for communication devices
KR20000054371A (ko) 개인휴대통신 및 유무선 인터넷 그리고 데이터 베이스관리시스템을 이용한 정보관리시스템
KR20010019801A (ko) 인터넷을 이용한 중앙 명함관리시스템
KR100262701B1 (ko) 다운로드기능을 갖춘 전화단말시스템
US20060172777A1 (en) Domain-driven abbreviated dialing
KR20000018247A (ko) 음성 인식/합성을 이용한 통신망에서의 음성 포탈 서비스시스템 및 그 서비스 방법
KR100285186B1 (ko) 전화사서함시스템
KR20000037021A (ko) 인터넷과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명함관리 시스템
KR200176473Y1 (ko) 전화번호를 e-메일 id로 발급하는 e-메일 시스템
US20040120504A1 (en) System for the automatic update of a subscriber&#39;s telephone number directory
KR20000060028A (ko) 지능망에서의 그룹단위 번호통합 서비스 방법
KR100764828B1 (ko) 모바일 홈페이지 제공 및 조회 서비스 시스템
JP4667148B2 (ja) 通信システム、端末装置、アドレス帳管理サーバ、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20030093595A (ko) 단일번호 호출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JP3451994B2 (ja) 電話端末及びその着信時の第三者応答処理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80314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80314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003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0092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0122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0123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3120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112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J202 Request for trial for correction [limitation]
PJ0202 Trial for correction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Patent event date: 20051207

Patent event code: PJ02022R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01229

Patent event code: PJ02021E01I

Appeal kind category: Correction

Decision date: 20061020

Request date: 20051207

Appeal identifier: 200510500006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122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CORRECTION REQUESTED 20051207

Effective date: 20061020

PJ1301 Trial decision

Patent event code: PJ13011S03D

Patent event date: 20061020

Comment text: Trial Decision on Correction (Patent, Utility Model)

Appeal kind category: Correction

Request date: 20051207

Decision date: 20061020

Appeal identifier: 200510500006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102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1231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1230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229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1229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