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284970B1 - Screen splitter with recording method for frame video - Google Patents

Screen splitter with recording method for frame video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84970B1
KR100284970B1 KR1019980016023A KR19980016023A KR100284970B1 KR 100284970 B1 KR100284970 B1 KR 100284970B1 KR 1019980016023 A KR1019980016023 A KR 1019980016023A KR 19980016023 A KR19980016023 A KR 19980016023A KR 100284970 B1 KR100284970 B1 KR 1002849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screen
image
output
dram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1602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9990084350A (en
Inventor
박이규
Original Assignee
박이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이규 filed Critical 박이규
Priority to KR10199800160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84970B1/en
Publication of KR199900843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8435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849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84970B1/en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Landscapes

  • Closed-Circuit Television Systems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4화면 분할기를 통하여 디스플레이 되는 영상을 녹화함에 있어서, 기존의 쿼드형 녹화방식을 프레임형 녹화방식으로 전환하여 4화면 분할 디스플레이 및 선택화면 전면 디스플레이를 할 수 있는 프레임 영상으로 녹화하는 방식이 첨가된 화면분할기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쿼드형 녹화방식을 프레임형 녹화방식으로 전환하기 위해 카메라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신호를 각각 프레임단위로 저장하고 출력시는 일정한 시간 타이밍에 따라 번갈아 가면서 출력하고, 또한 각 프레임 영상신호에 화면번호를 어드레싱하여 녹화되도록 하여 재생시 각 프레임 영상신호에 어드레싱된 화면번호를 독취하여 기존의 4화면 분할기와 같은 형태로 디스플레이 되고 사용자가 원하는 화면 선택시 상기 4화면 중 선택된 화면이 하나의 독립된 화면으로 출력되어 식별이 곤란한 화면을 확대하여 출력하는 프레임 영상으로 녹화하는 방식이 첨가된 화면분할기가 제시되어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in recording the image displayed through the four-screen splitter, by converting the existing quad-type recording method to the frame-type recording method, a method of recording a frame image capable of four-screen split display and the front screen of the selected screen is added. It is about splitter. In order to convert the existing quad-type recording method to the frame-type recording method, the video signal input through the camera is stored in each frame unit, and the output is alternately output according to a certain time timing when outputting, and the screen number is assigned to each frame video signal. It reads out the address number addressed to each frame video signal during playback by displaying addressing and recording, and displays it in the same form as the existing four-screen divider.When the user selects the desired screen, the selected screen among the four screens is output as one independent screen. A screen splitter with a method of recording a frame image that enlarges and outputs a difficult-to-identify screen is presented.

Description

프레임 영상으로 녹화하는 방식이 첨가된 화면분할기Screen splitter with recording method for frame video

본 발명은 4화면 분할기를 통하여 디스플레이 되는 영상을 녹화함에 있어서, 기존의 쿼드형 녹화방식을 프레임형 녹화방식으로 전환하여 4화면 분할 디스플레이 및 선택화면 전면 디스플레이를 할 수 있는 프레임 영상으로 녹화하는 방식이 첨가된 화면분할기(The quad display device added the record function of frame screen)에 관한 것이다.In the present invention, in recording the image displayed through the four-screen splitter, by converting the existing quad-type recording method to the frame-type recording method, a method of recording a frame image capable of four-screen split display and the front screen of the selected screen is added. The quad display device added the record function of frame screen.

일반적으로 시시티브이(CCTV) 시스템은 보통 여러개의 감시카메라를 장착하고 상기 카메라로부터 입력된 영상신호를 영상처리하여 모니터 및 TV를 통하여 디스플레이 하는 것이다. 상기 시시티브이(CCTV) 시스템은 보통 다수개의 카메라를 사용하여 피사체를 촬영하고 디스플레이 하는 방식도 4화면 분할기를 이용하여 하나의 화면에 4개의 카메라로부터 입력된 영상신호가 4개의 화면으로 분할 디스플레이 하여 동시에 카메라가 설치된 곳을 감시할 수 있으며 녹화가 필요한 경우 VCR에 연결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을 녹화한다.In general, a CCTV system is usually equipped with a plurality of surveillance cameras, and processes image signals input from the cameras and displays them through a monitor and a TV. The CCTV system usually uses a plurality of cameras to capture and display a subject. A 4-screen splitter divides and displays video signals inputted from four cameras into four screens at the same time. Where the camera is installed can be monitored and if the recording is required to connect to the VCR to record the displayed image.

상기와 같은 방식은 특허 공고 92-5058에 제시된 4화면 분할 표시 장치에 제시된 기술과 유사하며 상기 4화면 분할 표시 장치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above-described method is similar to the technique described in the four-screen split display shown in Patent Publication 92-5058. The four-screen split display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일반적인 4화면 분할 표시장치의 시스템 구성도이다.1 is a system configuration diagram of a general 4-screen split display device.

도 2는 일반적인 4화면 분할 표시장치의 회로도이다.2 is a circuit diagram of a general 4-screen split display device.

도 3은 일반적인 4화면 분할 표시 예시도이다.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general 4-screen split display.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4화면 분할 표시 장치는 영상신호로부터 휘도신호(Y) 및 색차신호(R-Y,B-Y)를 분리하기 위한 Y/C분리기(1)와, 상기 Y/C분리기(1)의 출력신호를 선택하는 선택부(2)와, 상기 선택부(2)에서 선택된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탈 신호로 변환시키는 A/D변환기(3)와, 상기 A/D변환기(3)에서 출력되는 디지탈 영상신호를 RAM(4)에 기록/해독하는 제어부(5)와, 상기 제어부(5)의 출력신호를 일시적으로 홀드시키는 래치부(6)와, 영상신호의 수평 및 수직 동기를 분리하는 동기 분리기(7)와, 상기 래치부(6)에서 출력되는 디지탈의 휘도신호 및 색차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는 다수개의 D/A변환기(8-10)와, 상기 다수개의 D/A변환기(8-10)에서 출력되는 휘도신호(Y) 및 색차신호(R-Y,B-Y)를 합성영상신호로 변환하는 엔코더(11)와, 칼라 버스트신호 및 블랭킹신호 등을 발생시켜 엔코더(11)에 인가하는 동기발생기(12)와, 화면에 문자를 표시하는 온스크린 발생부(13,13')와, 년, 월, 일, 요일, 시간, 초 증을 발생시키는 타이머(14)와, 삭부를 제어하는 마이컴(15)과, 상기 마이컴(15)에 클럭신호를 발생시켜 주는 클럭 발생부(16)와, 현재 상태에 대한 여러 가지 정보 등을 정전시를 대비하여 저장하는 EEPROM(17)과, 컴퓨터 등과의 신호 인터페이스를 위한 라인버퍼(18)와, 카메라로부터 입력되는 4개의 신호를 임의로 선택하는 아날로그 스위칭부(19)와, 상기 온스크린 발생부(13')와 아날로그 스위칭부(19)에서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합성하여 문자로 표시하는 영상 신호 합성부(20)와, 상기 영상신호 합성부(20)에서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증폭하여 출력단자(21,22)에 각각 연결되는 모니터, TV수상기 및 VCR 등에 출력시키는 버퍼(23)를 상호연결 하여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것으로 여기서 미설명 부호 (가)-(라)는 영상신호 처리부로서 동일한 구성이고, 24는 스위칭부로서 영상신호 및 문자신호를 선택적으로 출력시키는 기능을 갖는다. 이와같이 구성된 4화면 분할 표시 장치의 작용효과를 도 1 및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As shown in FIG. 1, a four-screen split display device includes a Y / C separator 1 for separating the luminance signal Y and a color difference signal RY, BY from a video signal, and the Y / C separator 1. A selector 2 for selecting an output signal, an A / D converter 3 for converting an analog signal selected by the selector 2 into a digital signal, and a digital image output from the A / D converter 3 A control unit 5 for recording / decoding a signal into the RAM 4, a latch unit 6 for temporarily holding an output signal of the control unit 5, and a synchronous separator for separating horizontal and vertical synchronization of the video signal ( 7), a plurality of D / A converters 8-10 for converting digital luminance signals and color difference signals output from the latch unit 6 into analog signals, and the plurality of D / A converters 8-10. Encoder 11 for converting the luminance signal Y and the color difference signal RY, BY outputted from the < RTI ID = 0.0 > To generate an encoder and apply it to the encoder 11, the on-screen generators 13 and 13 'that display characters on the screen, and generate year, month, day, day of the week, time, and seconds. The timer 14, the microcomputer 15 for controlling the cutting part, the clock generator 16 for generating the clock signal to the microcomputer 15, various information on the current state, etc. in preparation for power failure An EEPROM 17 for storing, a line buffer 18 for signal interface with a computer, an analog switching unit 19 for arbitrarily selecting four signals input from a camera, and the on-screen generator 13 ' And a video signal synthesizing unit 20 for synthesizing the video signals output from the analog switching unit 19 and displaying them as characters, and amplifying the video signals output from the video signal synthesizing unit 20 to output terminals 21 and 22. Buffer 23 to be output to a monitor, a TV receiver and a VCR connected to In this case, reference numerals (a) to (d) denote the same configuration as the image signal processing unit, and 24 has a function of selectively outputting the image signal and the text signal as the switching unit. The effects of the four-screen split display device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and 3.

먼저 4개의 감시용 카메라로부터의 영상신호는 각각 영상신호 처리부(가)-(라)를 통해 디지탈 신호로 변환되는데, 이때 Y/C분리기(1)에서는 카메라로부터 입력되는 영상신호를 휘도신호(Y) 및 색차신호(R-Y,B-Y)로 분리하게 되고, 동기 분리기(7)에서는 수평 및 수직 동기신호를 분리하여 제어부(5)에 입력 시키게 된다. 또한 Y/C분리기(1)를 통해 분리된 각각의 신호(Y,R-Y,B-Y)는 제어부(5)에 입력시키게 된다. 또한 Y/C분리기(1)를 통해 분리된 각각의 신호(Y,R-Y,B-Y)는 제어부(5)에 의해 제어되는 선택부(2)를 통해 A/D변환기(3)에 입력되므로 A/D변환기(3)에서는 입력된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탈 신호로 변환시켜 제어부(5)에 입력시키게 된다.First, the video signals from the four surveillance cameras are converted into digital signals through the video signal processing unit (a) and (d). At this time, the Y / C separator 1 converts the video signals input from the camera into the luminance signal (Y). ) And the color difference signals RY and BY, and the sync separator 7 separates the horizontal and vertical sync signals and inputs them to the controller 5. In addition, the signals Y, R-Y, and B-Y separated through the Y / C separator 1 are input to the controller 5. In addition, the respective signals Y, RY and BY separated through the Y / C separator 1 are inputted to the A / D converter 3 through the selector 2 controlled by the controller 5. The D converter 3 converts the input analog signal into a digital signal and inputs it to the control unit 5.

따라서 제어부(5)에서는 이 디지탈 신호를 RAM(4)에 저장하기도 하고 해독하기도 하는데, 만약 읽더들일때는 그 데이터를 래치(6)를 통해 D/A변환기(8-10)를 입력시키게 되므로 각각의 디지탈신호(Y,R-Y,B-Y)는 각각 D/A변환기(8-10)를 통해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되는 것이다.Therefore, the controller 5 stores or decodes the digital signal in the RAM 4, and when reading, the data is inputted through the latch 6 to the D / A converter 8-10. The digital signals (Y, RY, BY) are converted into analog signals through the D / A converters 8-10, respectively.

이때 엔코더(11)에서는 동기 발생기(12)로부터 입력되는 수평 및 수직 동기신호(H,V)와 칼라 버스트신호를 입력받아 입력된 휘도신호(Y) 및 색차신호(R-Y,B-Y)를 영상신호로 합성하게 되고, 동기 발생기(12)의 출력에 의해 동작하는 온스크린 발생부(13)의 문자데이터는 래치부(6)의 출력과 함께 D/A변환기(8-10)에 가해져 영상신호내에 문자에 대한 데이터가 실리게 된다.At this time, the encoder 11 receives the horizontal and vertical synchronization signals H and V and the color burst signal input from the synchronization generator 12 and converts the input luminance signal Y and the color difference signal RY and BY into image signals. Character data of the on-screen generator 13, which is operated by the output of the synchronization generator 12, is added to the D / A converter 8-10 together with the output of the latch 6 so that the characters in the video signal are combined. The data for is loaded.

또한, 엔코더(11)를 통해 합성된 영상신호는 마이컴(15)에 의해 제어되는 스위치(24)를 통해 모니터 또는 TV수상기에 출력되므로 각각의 영상신호 처리부(가)-(라)에서 출력되는 신호가 하나의 화면에 제 3도와 같이 4분할 되어 나타나게 되는 것이다.In addition, since the video signal synthesized through the encoder 11 is output to the monitor or TV receiver through the switch 24 controlled by the microcomputer 15, the signal output from each video signal processing unit (a)-(d). Is divided into 4 parts as shown in FIG. 3 on one screen.

한편 마이컴(15)에 연결된 타이머(14)는 시간 및 날짜 등을 발생시키게 되고, EEPROM(17)에는 현재 상태의 여러 가지 정보를 저장하여 정전시를 대비하기 위한 것이며, 라인 버퍼(18)는 회부의 컴퓨터 등과 데이터를 교환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아날로그 스위칭부(19)는 마이컴(15)으로부터 출력되는 제어신호에 의해 카메라의 영상신호를 순차적으로 선택할 수 있으며, 온스크린 발생부(13')와 영상신호 합성기(20)는 아날로그 스위칭부(19)가 자동선택모드에 있을 때 화면내에 문자를 표시하기 위한 것이고, 영상 출력단자(22)는 VCR 등을 통해 영상신호를 녹화하기 위한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timer 14 connected to the microcomputer 15 generates a time and date, etc., the EEPROM 17 stores various information of the current state to prepare for power failure, and the line buffer 18 is referred to. Interface function for exchanging data with a computer. In addition, the analog switching unit 19 may sequentially select the video signal of the camera by the control signal output from the microcomputer 15, the on-screen generator 13 'and the image signal synthesizer 20 is an analog switching unit When (19) is in the automatic selection mode, a character is displayed on the screen, and the image output terminal 22 is for recording a video signal through a VCR or the like.

한편, 마이컴(15)에서의 알람 입력단자는 카메라 주변에 설치된 센서 등의 출력단에 연결되어 이상 유무를 마이컴(15)에 알리기 위한 단자이고, 알람 출력단자는 VCR 등과 접속되어 알람 입력에 이상이 발생되면 마이컴(15)으로부터 아날로그 스위칭부(19)를 선택하여 이상이 발생한 카메라의 영상신호를 TV수상기 또는 모니터에 출력시킴과 동시에 VCR을 통해 녹음을 시키기 위한 단자이며, 발광다이오드(LED)표시 단자는 키 버튼을 누룰때나 현재의 시스템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것이고, 키 입력단자는 조작키로부터의 데이터를 입력받기 위한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alarm input terminal of the microcomputer 15 is connected to an output terminal such as a sensor installed around the camera to inform the microcomputer 15 of the presence or absence of an abnormality, the alarm output terminal is connected to the VCR, etc. when an abnormality occurs in the alarm input The analog switching unit 19 is selected from the microcomputer 15 to output a video signal of a camera that has an abnormality to a TV receiver or a monitor, and to record via VCR. The LED display terminal is a key. It is used to display the current system status when the button is pressed and the key input terminal is to receive data from the operation keys.

상기와 같이 일반적인 4화면 분할 표시 장치에서 모니터 및 TV수상기로 디스플레이 되는 영상을 저장하여 후에 재생하게 되면 한 개의 모니터 및 TV수상기에 4개의 화면이 분할되어 디스플레이 되기 때문에 화면을 식별하는데 어려움이 있었고 전체 영상을 다중녹화시에는 고가의 영상다중녹화장비를 별도로 구입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image displayed by the monitor and the TV receiver is stored in the general 4-screen display device and played back later, four screens are divided and displayed on one monitor and the TV receiver. In the case of multi-recording, there was a problem in that an expensive video multiplexing equipment must be separately purchased.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4개의 영상신호를 1대의 모니터 또는 TV수상기에 녹화후 재생함에 있어서 4개의 영상신호를 4화면 분할하여 1대의 모니터 혹은 TV수상기에 디스플레이 하거나 또는 전체화면으로도 디스플레이가 되도록 하면서 녹화시에는 각 영상신호를 돌아가면서 프레임 단위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VCR에 입력시켜 재생시 4화면 분할 디스플레이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화면을 선택하면 프레임 단위로 저장된 개별화면이 전체화면으로 디스플레이 되는 프레임 영상으로 녹화하는 방식이 첨가된 화면분할기를 제공하는데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divide four video signals into four screens by recording four video signals on one monitor or TV receiver and then to reproduce one screen or TV. When recording on the receiver or displaying in full screen, each video signal is rotated and inputted to the VCR at regular intervals in the unit of fram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creen splitter with a method of recording a frame image in which the stored individual screens are displayed in full screen.

도 1은 일반적인 4화면 분할 표시장치의 시스템 구성도1 is a system configuration diagram of a general 4-screen split display device

도 2는 일반적인 4화면 분할 표시장치의 회로도2 is a circuit diagram of a general 4-screen split display device.

도 3은 일반적인 4화면 분할 표시 예시도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general 4-screen split display.

도 4는 프레임 영상으로 녹화하는 방식이 첨가된 화면분할기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4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screen splitter to which a method of recording a frame image is added.

도 5는 4화면 분할 디스플레이 및 선택 디스플레이 화면을 나타내는 예시도5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a four-screen split display and a selection display scree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30: 감시카메라1 31: 감시카메라330: surveillance camera 1 31: surveillance camera 3

32: 감시카메라2 33: 감시카메라432: surveillance camera 2 33: surveillance camera 4

34,38: 디코더V1 35,39: 디코더V334,38: decoder V1 35,39: decoder V3

36,40: 디코더V2 37,41: 디코더V436,40: decoder V2 37,41: decoder V4

42,43: A/D컨버터 44: V1,V3 GDRAM42,43: A / D converter 44: V1, V3 GDRAM

45: V2,V4 GDRAM 46: V1 DRAM45: V2, V4 GDRAM 46: V1 DRAM

47: V3 DRAM 48: V2 DRAM47: V3 DRAM 48: V2 DRAM

49: V4 DRAM 50,51: D/A컨버터49: V4 DRAM 50, 51: D / A converter

52: 쿼드 엔코더 53: QOSD52: quad encoder 53: QOSD

54: 모니터 55: 프레임 엔코더54: Monitor 55: frame encoder

56: FOSD 57: VCR56: FOSD 57: VCR

58: 키입력부 59: 마이컴58: key input unit 59: microcomputer

60: VCR INPUT 61: 프레임 분석부60: VCR INPUT 61: frame analyzer

62: 제어부 100: 영상입력부62: control unit 100: image input unit

200: 쿼드 영상처리부 300: 디스플레이부200: quad image processing unit 300: display unit

400: 영상재생부 500: 프레임 영상처리부400: image playback unit 500: frame image processing unit

600: 기록부600: register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실시예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고자 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for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embodiment for achieving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프레임 영상으로 녹화하는 방식이 첨가된 화면분할기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4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screen splitter to which a method of recording a frame image is added.

도 5는 4화면 분할 디스플레이 및 선택 디스플레이 화면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5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a four-screen split display and a selection display screen.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에 대해 설명하면, 본 발명은 두가지의 복합적인 기능의 일체로 하나는 영상입력부(100)와 쿼드 영상처리부(200), 디스플레이부(300)로 구성된 디스플레이장치이고 다른 하나는 프레임 영상처리부(500)와, 기록부(600)로 구성된 녹화장치이다. 먼저,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해 설명하면, 사용자가 원하는 장소에 설치하여 상기 장소의 모습을 촬영하는 감시카메라1(30), 감시카메라2(32), 감시카메라3(31), 감시카메라4(33)와, 상기 감시카메라1(30), 감시카메라2(32), 감시카메라3(31), 감시카메라4(33)로부터 촬영되어 출력된 영상신호의 쿼드(QURD)처리 및 디지탈변환을 할 수 있도록 적합한 영상신호로 영상처리하며, 녹화영상 재생시 녹화된 프페임 화면을 출력할 수 있도록 영상처리하는 디코더V1(34), 디코더V2(36), 디코더V3(35), 디코더V4(37)와, 상기 디코더V1(34), 디코더V2(36), 디코더V3(35), 디코더V4(37)에서 출력된 영상신호 V1, V2, V3, V4를 일시 저장할 수 있도록 아날로그에서 디지탈로 변환하는 A/D컨버터(42)와, 상기 A/D컨버터(42)에서 출력된 디지탈 영상신호를 각각 두 개를 한 묶음으로 하여 V1, V3 영상신호를 일시 저장하는 V1,V3 GDRAM(Graphic Dynamic RAM)(44)과, V2, V4 영상신호를 일시 저장하는 V2,V4 GDRAM(Graphic Dynamic RAM)(45)과, 상기 V1,V3 GDRAM(44) 및 V1,V3 GDRAM(44)에 저장된 영상신호를 화면으로 출력할 수 있도록 디지탈에서 아날로그로 변환하는 D/A컨버터(50)와, 상기 D/A컨버터(50)에서 출력되는 아날로그 영상신호를 각각 4화면 분할되어 출력될 수 있도록 각 영상신호 V1, V3, V2, V4를 혼합하여 하나의 화면으로 합성하는 쿼드 엔코더(52)와, 사용자가 상기 V1, V3, V2, V4의 영상신호에 대한 메모를 할 수 있도록 마이컴(59)의 제어에 따라 OSD화면을 출력시키는 QOSD(QURD OSD)(53)와, 상기 쿼드 엔코더(52)에서 출력되는 복합영상신호를 출력하는 모니터(54)로 구성된다.Referring to FIG. 4,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display device including an image input unit 100, a quad image processing unit 200, and a display unit 300. The other is a recording apparatus including a frame image processing unit 500 and a recording unit 600. First, the display device will be described. The surveillance camera 1 (30), the surveillance camera 2 (32), the surveillance camera 3 (31), and the surveillance camera 4 (33) installed at a place desired by the user to capture the state of the place. In addition, quadrature (QURD) processing and digital conversion of the image signal photographed and output from the surveillance camera 1 (30), surveillance camera 2 (32), surveillance camera 3 (31), and surveillance camera 4 (33). A decoder V1 (34), a decoder V2 (36), a decoder V3 (35), a decoder V4 (37) for processing the video with a suitable video signal and outputting the recorded frame screen when the recorded video is reproduced; A / D for converting the video signals V1, V2, V3, and V4 outputted from the decoders V1 34, V2 36, decoder V3 35 and decoder V4 37 to be temporarily stored. The converter 42 and the digital video signals output from the A / D converter 42 are grouped into two bundles, respectively, to convert the V1 and V3 video signals. V1, V3 GDRAM (Graphic Dynamic RAM) 44 for storing, V2, V4 GDRAM (Graphic Dynamic RAM) 45 for temporarily storing V2, V4 video signals, and V1, V3 GDRAM (44), V1, Four screens are divided into a D / A converter 50 for converting a video signal stored in the V3 GDRAM 44 to a screen and an analog video signal output from the D / A converter 50, respectively. Quad encoder 52 that mixes each video signal V1, V3, V2, V4 and combines them into one screen so that the video signal can be outputted, and a user can take notes on the video signals of V1, V3, V2, and V4. QOSD (QURD OSD) 53 for outputting an OSD screen under the control of the microcomputer 59, and a monitor 54 for outputting a composite video signal output from the quad encoder 52.

또한, 녹화장치는 상기 원하는 위치의 모습을 촬영하는 감시카메라1(30), 감시카메라2(32), 감시카메라3(31), 감시카메라4(33)와, 상기 감시카메라1(30), 감시카메라2(32), 감시카메라3(31), 감시카메라4(33)로부터 촬영되어 출력된 영상신호의 프레임(FRAME)처리 및 디지탈변환을 할 수 있도록 적합한 영상신호로 영상처리하는 디코더V1(38), 디코더V2(40), 디코더V3(39), 디코더V4(41)와, 상기 디코더V1(38), 디코더V2(40), 디코더V3(39), 디코더V4(41)에서 출력된 영상신호 V1, V2, V3, V4를 일시 저장할 수 있도록 아날로그에서 디지탈로 변환하는 A/D컨버터(43)와, 상기 A/D컨버터(43)에서 출력된 각 디지탈 영상신호에서 V1 영상신호를 일시 저장하는 V1 DRAM(Dynamic RAM)(46)과, V2 영상신호를 일시 저장하는 V2 DRAM(Dynamic RAM)(48)과, V3 영상신호를 일시 저장하는 V3 DRAM(Dynamic RAM)(47)과, V4 영상신호를 일시 저장하는 V4 DRAM(Dynamic RAM)(49)과, 상기 V1 DRAM(46), V2 DRAM(48), V3 DRAM(47), V4 DRAM(49)을 제어하여 상기 램에 저장된 각 영상신호를 각각 프레임단위로 1/30초 마다 번갈아 가면서 출력하도록 하는 제어기(62)와, 상기 V1 DRAM(46), V2 DRAM(48), V3 DRAM(47), V4 DRAM(49)으로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녹화할 수 있도록 디지탈에서 아날로그로 변환하는 D/A컨버터(51)와, 상기 D/A컨버터(51)에서 출력되는 각 영상신호 V1, V3, V2, V4가 제어기(62)의 제어에 따라 각각 한 프레임씩 입력되면, 상기 각 프레임이 해당하는 화면번호를 어드레싱하는 프레임 엔코더(55)와, 사용자가 상기 V1, V3, V2, V4의 영상신호에 대한 메모를 할 수 있도록 마이컴(59)의 제어에 따라 OSD화면을 출력시키는 FOSD(FRAME OSD)(56)와, 상기 프레임엔코더(55)에서 출력되는 복합영상신호를 녹화하는 VCR(57)로 구성된다. 마지막으로 상기의 구성이외에 상기 VCR(57)에서 녹화된 영상의 재생을 하기 위한 영상재생부(400)는 상기 녹화영상이 입력되는 VCR INPUT(60)과, 상기 VCR INPUT(60)을 통하여 입력된 프레임 화면에서 상기 프레임 엔코더(55)에서 어드레싱한 각 프레임의 화면번호를 독취하여 각 번호에 해당하는 디코더에 상기 프레임 영상신호를 출력하며, 사용자가 선택화면 스위칭시 상기 선택화면에 해당하는 프레임 영상신호만을 출력하도록 하는 프레임분석부(61)록 구성되며, 상기 영상재생부(400)를 통하여 출력되는 영상신호의 OSD를 사용한 메모입력 및 선택화면 스위칭시 키를 입력하는 키입력부(58)와, 상기의 키입력부(58)와 연결되어 상기 입력에 따른 모든 동작을 제어하며, 특히 프레임분석부(61), 제어기(62), QOSD(53) 및 FOSD(56)를 제어하는 마이컴(59)으로 본 발명은 구성된다.In addition, the recording apparatus surveillance camera 1 (30), surveillance camera 2 (32), surveillance camera 3 (31), surveillance camera 4 (33) and the surveillance camera 1 (30), Decoder V1 which processes video into a suitable video signal for frame processing and digital conversion of video signals captured and output from surveillance camera 2 (32), surveillance camera 3 (31) and surveillance camera 4 (33). 38), the image output from the decoder V2 (40), the decoder V3 (39), the decoder V4 (41), and the decoder V1 (38), the decoder V2 (40), the decoder V3 (39), and the decoder V4 (41). A / D converter 43 for converting signals from analog to digital so that signals V1, V2, V3, and V4 can be temporarily stored, and V1 video signals are temporarily stored in the digital video signals output from the A / D converter 43. V1 DRAM (Dynamic RAM) 46, V2 DRAM (Dynamic RAM) 48 for temporarily storing V2 video signals, V3 Dynamic RAM (47) for temporarily storing V3 video signals, and V4 video Signal The V4 DRAM (Dynamic RAM) 49 which temporarily stores, the V1 DRAM 46, the V2 DRAM 48, the V3 DRAM 47, and the V4 DRAM 49 are controlled to respectively store the respective image signals stored in the RAM. A controller 62 for alternately outputting every 1/30 second on a frame-by-frame basis, and video signals output to the V1 DRAM 46, V2 DRAM 48, V3 DRAM 47, and V4 DRAM 49. The D / A converter 51 and the video signals V1, V3, V2, and V4 output from the D / A converter 51 and the D / A converter 51 convert the digital signal into analog, respectively. When inputted frame by frame, the frame encoder 55 addresses the screen number corresponding to each frame, and the microcomputer 59 controls the user to take notes on the video signals of V1, V3, V2, and V4. Accordingly, it is composed of a FOSD (FRAME OSD) 56 for outputting an OSD screen and a VCR 57 for recording a composite video signal output from the frame encoder 55. Lastly, in addition to the above configuration, the image reproducing unit 400 for reproducing the video recorded by the VCR 57 is input through the VCR INPUT 60 to which the recorded video is input and through the VCR INPUT 60. Reads the screen number of each frame addressed by the frame encoder 55 from the frame screen and outputs the frame video signal to the decoder corresponding to each number, and the frame video signal corresponding to the selection screen when the user switches the selection screen. And a frame analysis unit 61 configured to output only a key input unit 58 for inputting a memo input using a OSD of an image signal output through the image reproducing unit 400 and switching a selected screen; It is connected to the key input unit 58 of the to control all operations according to the input, in particular seen as a microcomputer 59 for controlling the frame analysis unit 61, controller 62, QOSD 53 and FOSD 56 Invention is composed The.

상기의 구성으로 된 본 발명의 실시예의 작용을 보면 다음과 같다.Looking at the operation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is as follows.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먼저 디스플레이 장치는 다음과 같다. 사용자가 촬영하고 싶은 장소를 정하여 감시카메라1(30), 감시카메라3(31), 감시카메라2(32), 감시카메라4(33)를 설치하면, 상기 카메라는 상기 장소의 모습을 촬영하여 영상신호로 디코더V1(34), 디코더V3(35), 디코더V2(36), 디코더V4(37)에 출력한다. 상기 감시카메라1(30), 감시카메라3(31), 감시카메라2(32), 감시카메라4(33)에서 출력된 영상신호는 디코더V1(34), 디코더V3(35), 디코더V2(36), 디코더V4(37)에서 영상신호의 쿼드(QURD)처리 및 디지탈변환을 할 수 있도록 적합한 영상신호로 영상처리하여 A/D컨버터(42)로 출력한다. 상기 디코더V1(34), 디코더V3(35), 디코더V2(36), 디코더V4(37)에서 출력된 아날로그 영상신호는 A/D컨버터(42)에서 디지탈 영상신호로 변환된다. 상기 A/D컨버터(42)에서 디지탈로 변환된 영상신호 V1, V2, V3, V4에서 V1 및 V3는 V1,V3 GDRAM(44)에서 일시 저장되며, V2,V4는 V2,V4 GDRAM(45)에서 일시저장된다. 상기 V1,V3 GDRAM(44) 및 V2,V4 GDRAM(45)에서 일시 저장된 디지탈 영상신호는 D/A컨버터(50)에서 아날로그 영상신호로 변환된다. 상기 D/A컨버터(50)에서 아날로그로 변환된 영상신호는 쿼드 엔코더(52)에서 4화면 분할되어 출력될 수 있도록 각 영상신호 V1, V3, V2, V4를 혼합하여 하나의 화면으로 합성되어 모니터(54)를 통하여 최종적으로 디스플레이 된다. 상기에서 4화면으로 분할 디스플레이된 화면에서 사용자가 각 화면에 적합한 내용을 메모하고 싶으면 키입력부(58)를 사용하여 OSD출력버튼을 스위칭한다. 상기 스위칭과 동시에 마이컴(59)은 QOSD(53)를 구동하여 모니터(54) 화면에 OSD화면이 출력되고 상기 OSD화면을 통해 사용자는 입력하고 싶은 메모를 입력하면 된다.Referring to FIGS. 4 and 5, first, the display apparatus is as follows. If the user selects a location to be photographed and installs the surveillance camera 1 (30), the surveillance camera 3 (31), the surveillance camera 2 (32), and the surveillance camera 4 (33), the camera captures the image of the place and the image. The signal is output to the decoder V1 34, the decoder V3 35, the decoder V2 36, and the decoder V4 37 as a signal. The video signals output from the surveillance camera 1 (30), surveillance camera 3 (31), surveillance camera 2 (32), and surveillance camera 4 (33) are decoder V1 (34), decoder V3 (35), decoder V2 (36). In order to perform quadrature (QURD) processing and digital conversion of the video signal, the decoder V4 37 processes the video into an appropriate video signal and outputs the video signal to the A / D converter 42. The analog video signals output from the decoder V1 34, decoder V3 35, decoder V2 36, and decoder V4 37 are converted to digital video signals by the A / D converter 42. The video signals V1, V2, V3, and V4 digitally converted by the A / D converter 42 are temporarily stored in the V1 and V3 GDRAMs 44, and V2 and V4 are V2 and V4 GDRAMs 45. Temporarily stored in The digital video signals temporarily stored in the V1 and V3 GDRAMs 44 and V2 and V4 GDRAMs 45 are converted into analog video signals by the D / A converter 50. The video signal converted to analog in the D / A converter 50 is synthesized into one screen by mixing each video signal V1, V3, V2, V4 so that the quad encoder 52 can be divided into 4 screens and output. Finally it is displayed via 54. If the user wants to memorize the contents suitable for each screen in the screen divided into four screens, the OSD input button is switched using the key input unit 58. Simultaneously with the switching, the microcomputer 59 drives the QOSD 53 to output an OSD screen on the monitor 54 screen, and a user inputs a memo to be input through the OSD screen.

또한, 녹화장치는 다음과 같다. 상기 감시카메라1(30), 감시카메라3(31), 감시카메라2(32), 감시카메라4(33)를 통하여 촬영된 영상신호는 디코더V1(38), 디코더V3(39), 디코더V2(40), 디코더V4(41)로 출력된다. 상기 감시카메라1(30), 감시카메라3(31), 감시카메라2(32), 감시카메라4(33)에서 출력된 영상신호는 디코더V1(38), 디코더V3(39), 디코더V2(40), 디코더V4(41)에서 영상신호의 프레임(FRAME)처리 및 디지탈변환을 할 수 있도록 적합한 영상신호로 영상처리하여 A/D컨버터(43)로 출력한다. 상기 디코더V1(38), 디코더V3(39), 디코더V2(40), 디코더V4(41)에서 출력된 아날로그 영상신호는 A/D컨버터(42)에서 디지탈 영상신호로 변환된다. 상기 A/D컨버터(43)에서 디지탈로 변환된 영상신호 V1, V2, V3, V4에서 V1는 V1 DRAM(46)에서 일시 저장되며, V3는 V3 DRAM(47)에서 일시 저장되며, V2는 V2 DRAM(48)에서 일시 저장되며, V4는 V4 DRAM(49)에서 일시 저장된다. 상기 V1 DRAM(46), V3 DRAM(47), V2 DRAM(48), V4 DRAM(49)에서 일시 저장된 각 화면에 해당하는 디지탈 영상신호는 제어기(62)의 제어에 따라 각각 1/30초씩 번갈아 가면서 D/A컨버터(50)로 출력되고, 상기 D/A컨버터(50)는 상기 디지탈 영상신호를 아날로그 영상신호로 변환한다. 상기 D/A컨버터(50)에서 아날로그로 변환된 프레임 영상신호는 프레임 엔코더(55)에서 각 프레임 영상신호의 화면번호가 구분될 수 있도록 V1, V3, V2, V4에 해당하는 화면번호를 각 프레임 영상신호에 어드레싱한다. 상기 프레임 엔코더(55)에서 어드레싱된 프레임 영상신호는 VCR(57)을 통하여 녹화된다. 또한, 상기 쿼드형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사용자가 QOSD(53)를 통하여 입력한 메모는 상기의 QOSD(53)와 동시에 FOSD(56)도 구동되어 상기 메모는 FOSD(56)화면으로 프레임 엔코더(55)에 인가되고 각 프레임 영상신호에 합성되어 녹화된다.In addition, the recording apparatus is as follows. The video signals photographed through the surveillance camera 1 (30), surveillance camera 3 (31), surveillance camera 2 (32), and surveillance camera 4 (33) are decoder V1 (38), decoder V3 (39), decoder V2 ( 40) to the decoder V4 (41). The video signals output from the surveillance camera 1 (30), surveillance camera 3 (31), surveillance camera 2 (32), and surveillance camera 4 (33) are decoder V1 (38), decoder V3 (39), decoder V2 (40). In order to perform frame processing and digital conversion of the video signal, the decoder V4 41 performs video processing on an appropriate video signal and outputs it to the A / D converter 43. The analog video signals output from the decoders V1 38, decoder V3 39, decoder V2 40, and decoder V4 41 are converted to digital video signals by the A / D converter 42. In the video signals V1, V2, V3, and V4 converted to digital by the A / D converter 43, V1 is temporarily stored in the V1 DRAM 46, V3 is temporarily stored in the V3 DRAM 47, and V2 is V2. Temporarily stored in the DRAM 48, V4 is temporarily stored in the V4 DRAM 49. The digital video signals corresponding to the screens temporarily stored in the V1 DRAM 46, the V3 DRAM 47, the V2 DRAM 48, and the V4 DRAM 49 are alternately 1/30 seconds each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62. The D / A converter 50 is output to the D / A converter 50, and the D / A converter 50 converts the digital video signal into an analog video signal. In the frame video signal converted into analog in the D / A converter 50, the screen numbers corresponding to V1, V3, V2, and V4 are divided into frames so that the screen numbers of the respective frame video signals can be distinguished by the frame encoder 55. Address to a video signal. The frame video signal addressed by the frame encoder 55 is recorded through the VCR 57. In addition, in the quad display 100, a memo input by the user through the QOSD 53 is also driven by the FOSD 56 at the same time as the QOSD 53, and the memo is displayed on the FOSD 56 screen by the frame encoder 55. ) Is synthesized and recorded on each frame video signal.

마지막으로 사용자가 상기 녹화된 영상을 재생하게 되는 경우는 다음과 같다.Finally, when the user plays the recorded video is as follows.

상기 VCR(57)을 통해 녹화된 프레임 영상신호는 VCR(57)의 재생과 동시에 녹화된 영상신호는 VCR INPUT(60)을 통해 프레임 분석부(61)로 인가된다. 상기 프레임 분석부(61)는 VCR INPUT(60)에서 출력되는 프레임 영상신호의 각 프레임에 어드레싱되어 있는 화면번호를 디코딩하여 각 프레임에 해당하는 화면번호 즉, V1, V2, V3, V4에 해당하는 화면을 독취하여 V1 프레임 영상신호는 디코더V1(34), V2 프레임 영상신호는 디코더V2(36), V3 프레임 영상신호는 디코더V3(35), V4프레임 영상신호는 디코더V4(37)로 출력된다. 이후의 과정은 전술하였던 쿼드형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작용과 같이 진행되어 모니터(54)를 통하여 상기 녹화된 화면이 4분할 되어 디스플레이 된다. 상기의 모습은 도 5의 (a)와 같은 형태이고, 상기에서 화면이 4분할 되어 디스플레이 될 때, 사용자가 만약 식별의 어려움 또는 하나의 화면선택 필요시 키입력부(58)를 통하여 해당하는 화면번호를 스위칭하게 되면, 마이컴(59)은 상기 키입력부(58)의 입력에 따라 4분할 화면 중 하나의 화면만을 디스플레이 할 수 있도록 프레임 분석부(61)를 제어한다. 상기 마이컴(59)의 제어를 받은 프레임 분석부(61)는 VCR INPUT(60)에서 입력되는 프레임 영상신호에서 선택된 화면번호에 해당하는 영상신호만을 출력하여 도 5의 (b)와 같은 형태의 4화면 분할이 아닌 하나의 독립된 화면으로 디스플레이 된다. 상기에서 사용자가 만약 녹화시 OSD를 통하여 입력한 메모가 있을시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에는 OSD화면이 출력되게 된다.The frame video signal recorded through the VCR 57 is applied to the frame analyzer 61 through the VCR INPUT 60 simultaneously with the playback of the VCR 57. The frame analyzer 61 decodes the screen number addressed to each frame of the frame video signal output from the VCR INPUT 60 to correspond to the screen number corresponding to each frame, that is, V1, V2, V3, and V4. The V1 frame video signal is output to the decoder V1 (34), the V2 frame video signal is the decoder V2 (36), the V3 frame video signal is the decoder V3 (35), and the V4 frame video signal is output to the decoder V4 (37). . Subsequent processes are performed in the same manner as the operation of the quad type display apparatus 100 described above, and the recorded screen is divided into four sections through the monitor 54 and displayed. When the screen is divided into 4 parts and displayed, the screen number corresponding to the user through the key input unit 58 if the user has difficulty in identification or one screen selection is required. When switching to, the microcomputer 59 controls the frame analyzer 61 to display only one screen of the quad screen according to the input of the key input unit 58. The frame analysis unit 61 under the control of the microcomputer 59 outputs only the video signal corresponding to the screen number selected from the frame video signal input from the VCR INPUT 60 to 4 as shown in FIG. It is displayed as one independent screen instead of split screen. If the user inputs a memo through the OSD during recording, the OSD screen is displayed on the display screen.

상기의 모든 과정을 거쳐서 본 발명이 의도하는데로 프레임 영상으로 녹화하는 방식이 첨가된 화면분할기가 구현된다.Through all the above processes, a screen splitter having a method of recording a frame image is implemented as the present invention intends.

이상의 설명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기존의 4화면 분할기를 통하여 디스플레이 되는 영상을 녹화함에 있어서, 기존의 쿼드형 녹화방식을 프레임형 녹화방식으로 전환하기 위해 카메라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신호를 각각 프레임단위로 저장하고 출력시는 일정한 시간 타이밍에 따라 번갈아 가면서 출력하고, 또한 각 프레임 영상신호에 화면번호를 어드레싱하여 녹화되도록 하여 재생시 각 프레임 영상신호에 어드레싱된 화면번호를 독취하여 기존의 4화면 분할기와 같은 형태로 디스플레이 되고 사용자가 원하는 원하는 화면 선택시 상기 4화면 중 선택된 화면이 하나의 독립된 화면으로 출력되어 식별이 곤란한 화면을 확대하여 출력하는 효과 및 고가의 영상다중녹화장비를 별도로 구입하지 않고 한 대의 장치로 해결하여 비용을 줄이는 효과가 있다.As can be seen from the above descrip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for recording the image displayed through the existing four-screen splitter, the video signal input through the camera to convert the conventional quad-type recording method to the frame-type recording method, respectively When saving and outputting frame by frame, it outputs alternately according to the timing at a certain time. Also, by recording the screen number to each frame video signal, the screen number addressed to each frame video signal is read. Displayed in the form of a divider and when the user selects the desired screen, the selected screen among the 4 screens is output as one independent screen to enlarge and output the screen that is difficult to identify, and without purchasing expensive video multiplex equipment separately. Reduce costs by solving with one device It works.

Claims (3)

복수의 카메라로 촬영한 영상의 디스플레이 및 녹화하는 폐쇄회로 텔레비전에 있어서,In a closed circuit television for displaying and recording images taken by a plurality of cameras, 복수의 카메라로 구성된 영상입력부(100)와,Image input unit 100 composed of a plurality of cameras, 입력되는 영상신호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300)를 갖고,It has a display unit 300 for displaying an input video signal, 상기 영상입력부(300)로부터 수신된 복수의 영상신호를 모니터에 분할 디스플레이 시키기 위한 분할처리를 하는 쿼드영상처리부(200)와,A quad image processing unit 200 which performs division processing for dividing and displaying a plurality of image signals received from the image input unit 300 on a monitor; 상기의 영상입력부(100)로부터 수신된 복수의 영상신호를 프레임단위로 저장하기 위하여 신호처리를 하는 프레임영상처리부(500)와,A frame image processor 500 which performs signal processing to store a plurality of image signals received from the image input unit 100 in units of frames; 상기의 프레임영상처리부(500)에서 프레임단위로 처리된 영상신호를 저장하는 기록부(600)와,A recording unit 600 for storing the image signal processed in units of frames by the frame image processing unit 500; 상기 기록부(600)에서 수신된 프렘임영상신호를 재생하기 위한 영상재생부(400)와,An image reproducing unit 400 for reproducing the frame image signal received from the recording unit 600; 상기의 쿼드영상처리부(200), 프레임영상처리부(500) 및 영상재생부(400)의 제어신호를 공급하는 마이컴(59)과,A microcomputer 59 for supplying control signals from the quad image processing unit 200, the frame image processing unit 500, and the image reproducing unit 400; 상기 마이컴(59)에 사용자가 필요한 제어를 할 수 있도록 지시신호를 입력하는 키입력부(58)를 포함하고,And a key input unit 58 for inputting an instruction signal to the micom 59 so that a user can perform necessary control. 상기 디스플레이부(300)에서는 항상 쿼드영상처리부(200)의 출력신호인 분할영상을 디스플레이하고, 사용자의 지시에 따라서 영상재생부(400)에서 출력되는 프레임영상신호를 프레임 단위로 한 화면씩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임 영상으로 녹화하는 방식이 첨가된 화면분할기.The display unit 300 always displays the divided image which is the output signal of the quad image processing unit 200, and displays the frame image signal output from the image reproducing unit 400 one frame by frame according to a user's instruction. The screen splitter is added to the recording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the frame image. 청구항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영상처리부(500)는,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frame image processing unit 500, 4개의 카메라(30, 31, 32, 33)로부터 촬영되어 출력된 영상신호의 프레임(FRAME)처리 및 디지탈변환을 할 수 있도록 적합한 영상신호로 영상처리하는 디코더V1(38), 디코더V2(40), 디코더V3(39), 디코더V4(41)와,Decoder V1 (38) and decoder V2 (40) for image processing with a video signal suitable for frame conversion and digital conversion of image signals taken and output from four cameras (30, 31, 32, 33) Decoder V3 (39), decoder V4 (41), 상기 디코더V1(38), 디코더V2(40), 디코더V3(39), 디코더V4(41)에서 출력된 영상신호 V1, V2, V3, V4를 일시 저장할 수 있도록 아날로그에서 디지탈로 변환하는 A/D컨버터(43)와,A / D for converting the video signals V1, V2, V3, and V4 output from the decoders V1 (38), decoders V2 (40), decoders V3 (39), and decoders V4 (41) to be temporarily stored. Converter 43, 상기 A/D컨버터(43)에서 출력된 각 디지탈 영상신호에서 V1 영상신호를 일시 저장하는 V1 DRAM(46)과, V2 영상신호를 일시 저장하는 V2 DRAM(48)과, V3 영상신호를 일시 저장하는 V3 DRAM(47)과, V4 영상신호를 일시 저장하는 V4 DRAM(49)과,The V1 DRAM 46 temporarily stores the V1 video signal from each of the digital video signals output from the A / D converter 43, the V2 DRAM 48 temporarily stores the V2 video signal, and the V3 video signal. A V3 DRAM 47, a V4 DRAM 49 for temporarily storing a V4 video signal, 상기 V1 DRAM(46), V2 DRAM(48), V3 DRAM(47), V4 DRAM(49)을 제어하여 상기 램에 저장된 각 영상신호를 각각 프레임단위로 1/30초 마다 번갈아 가면서 출력하도록 하는 제어기(62)와,The controller controls the V1 DRAM 46, the V2 DRAM 48, the V3 DRAM 47, and the V4 DRAM 49 to alternately output each image signal stored in the RAM every 1/30 seconds in a frame unit. With 62, 상기 V1 DRAM(46), V2 DRAM(48), V3 DRAM(47), V4 DRAM(49)으로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녹화할 수 있도록 디지탈에서 아날로그로 변환하는 D/A컨버터(51)와,A digital-to-analog converter (D / A converter 51) for recording video signals output from the V1 DRAM 46, the V2 DRAM 48, the V3 DRAM 47, and the V4 DRAM 49; 상기 D/A컨버터(51)에서 출력되는 각 영상신호 V1, V3, V2, V4가 제어기(62)의 제어에 따라 각각 한 프레임씩 입력되면, 상기 각 프레임이 해당하는 화면번호를 어드레싱하는 프레임 엔코더(55)와,When each video signal V1, V3, V2, V4 output from the D / A converter 51 is input by one frame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62, a frame encoder for addressing the screen number corresponding to each frame is provided. With 55, 사용자가 상기 V1, V3, V2, V4의 영상신호에 대한 메모를 할 수 있도록 마이컴(59)의 제어에 따라 OSD화면을 출력시키는 FOSD(FRAME OSD)(56)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임 영상으로 녹화하는 방식이 첨가된 화면분할기.Recording as a frame image, characterized in that the FOSD (FRAME OSD) 56 to output the OSD screen under the control of the microcomputer 59 so that the user can take notes on the video signals of V1, V3, V2, V4 Splitter with added method. 청구항 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재생부(400)는,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image playback unit 400, 상기 녹화영상이 입력되는 VCR INPUT(60)과,A VCR INPUT 60 to which the recorded video is input; 상기 VCR INPUT(60)을 통하여 입력된 프레임 화면에서 상기 프레임 엔코더(55)에서 어드레싱한 각 프레임의 화면번호를 독취하여 각 번호에 해당하는 디코더에 상기 프레임 영상신호를 출력하며, 사용자가 선택화면 스위칭시 상기 선택화면에 해당하는 프레임 영상신호만을 출력하도록 하는 프레임분석부(61)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임 영상으로 녹화하는 방식이 첨가된 화면분할기.From the frame screen input through the VCR INPUT 60, the screen number of each frame addressed by the frame encoder 55 is read, and the frame video signal is output to the decoder corresponding to each number, and the user switches the selection screen. And a frame analyzing unit (61) configured to output only a frame image signal corresponding to the selection screen.
KR1019980016023A 1998-05-04 1998-05-04 Screen splitter with recording method for frame video Expired - Fee Related KR10028497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16023A KR100284970B1 (en) 1998-05-04 1998-05-04 Screen splitter with recording method for frame vide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16023A KR100284970B1 (en) 1998-05-04 1998-05-04 Screen splitter with recording method for frame video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84350A KR19990084350A (en) 1999-12-06
KR100284970B1 true KR100284970B1 (en) 2001-03-15

Family

ID=658921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16023A Expired - Fee Related KR100284970B1 (en) 1998-05-04 1998-05-04 Screen splitter with recording method for frame video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84970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7177B1 (en) * 2001-08-29 2004-04-14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Apparatus for recording and playing vcr in the closed-circuit television system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8915B1 (en) * 2001-10-04 2005-05-10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Apparatus and method for recording of time lapse vcr on the long time record mode
KR100439023B1 (en) * 2002-05-06 2004-07-05 최봉익 Digital Video Recording System
KR20040046538A (en) * 2002-11-27 2004-06-05 엘지전자 주식회사 Moving picture decoder and method for display using the sam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7177B1 (en) * 2001-08-29 2004-04-14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Apparatus for recording and playing vcr in the closed-circuit television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84350A (en) 1999-1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20005058B1 (en) 4-screen display
EP0484981A2 (en) Image data processing apparatus
KR100284970B1 (en) Screen splitter with recording method for frame video
JPH04119177U (en) Screen superimposition circuit
JP2000013784A (en) Multidisplay monitoring system
KR100200130B1 (en) Apparatus for processing multi-picture mpeg of television
JP2002252830A (en) Image recording device
US7421191B2 (en) Monitor connection destination setter connection destination setting method and connection destination setting program
KR0155596B1 (en) Image reproducing device with video capture function
KR100588934B1 (en) Screen splitter with multichannel input
KR100285893B1 (en) Screen division display device using scanning line conversion function
KR100274392B1 (en) 9-ch screen display apparatus using 8-ch ic of cctv
KR0168999B1 (en) Video cassette recorder
KR0134545B1 (en) Optional monitor output device and output method of screen
KR200254360Y1 (en) Multi-output screen-divider
JPH0438628Y2 (en)
KR0158727B1 (en) Sequence/non-sequence transforming apparatus of a supervisory system
KR19990024387A (en) Time Lapse VRC with Integrated Switch
JPS62171283A (en) Multi-image circuit for picture signal
KR100332745B1 (en) Picture-by-picture device of television receiver
JPH07154673A (en) Television system
JPS60248078A (en) Television picture monitor
JPH06292200A (en) Transmitting device and reception display device for still picture
JPH04245792A (en) Frame switcher
JPH11164202A (en) Frame convert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80504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80504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0081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0122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0122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