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283536B1 - 로드셀 - Google Patents

로드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83536B1
KR100283536B1 KR1019980019875A KR19980019875A KR100283536B1 KR 100283536 B1 KR100283536 B1 KR 100283536B1 KR 1019980019875 A KR1019980019875 A KR 1019980019875A KR 19980019875 A KR19980019875 A KR 19980019875A KR 100283536 B1 KR100283536 B1 KR 1002835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ain
load
load cell
plate
weight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198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86749A (ko
Inventor
이종천
Original Assignee
유권호
봉신로드셀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권호, 봉신로드셀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유권호
Priority to KR10199800198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83536B1/ko
Publication of KR199900867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867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835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83536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Landscapes

  • Force Measurement Appropriate To Specific Purposes (AREA)
  • Measurement Of Force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롤링 장치의 하중을 측정하기 위한 로드 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로드 셀 엘리먼트의 마운팅 플레이트에 대하여 수평 하중에 비례하는 변위를 갖도록 웨이팅 플레이트가 가용성 서포트 빔의 개재에 의해 연결되고, 로드 셀 엘리먼트의 중앙에는 웨이팅 플레이트의 변위에 비례하여 탄성 변형이 가능하도록 스트레인 포스트가 형성되며, 스트레인 포스트의 양쪽 측면 중앙에는 리세스에 의해 웨브가 형성되고, 스트레인 포스트의 상부에는 수직 하중의 전달을 차단하는 스톱 홀이 형성된다. 그리고, 웨브의 양쪽 면에 스트레인 게이지가 부착되며, 스트레인 게이지는 웨브의 변형량에 비례하는 전기 신호를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롤링 장치에 작용되는 수평 하중을 웨이팅 플레이트의 변위를 지지하는 스트레인 포스트의 탄성 변형에 의해 측정하는 방식으로 구성되므로, 사용 범위가 폭 넓게 확대되며, 용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로드 셀 엘리먼트와 스트레인 게이지로 단순하게 구성되므로, 조립 공정이 용이해져 조립성이 향상될 뿐만 아니라, 조립 부품수가 감소되어 생산 비용이 절감된다.

Description

로드 셀
본 발명은 롤링 장치의 하중을 측정하기 위한 로드 셀(load cell)에 관한 것이다.
로드 셀은 하중에 따라 응력에 비례한 변형, 예를 들어 비틀림, 휨을 발생시키는 로드 셀 엘리먼트(load cell element)를 가지며, 이 로드 셀 엘리먼트의 변형을 전기 저항으로 변환시키는 스트레인 게이지(strain gauge)에 의해 측정한 후 디지털 신호로 변환시켜 하중을 측정하는 장치이다. 로드 셀의 종류에는 압축형과 인장형 및 이 둘을 병용한 것 등이 있다.
한편, 재료의 소성 변형을 이용한 제조 방법에는 압연 및 인발 가공, 그리고 롤 성형 등이 있다. 압연 가공은 시트(sheet), 예를 들어 강판, 필름, 인쇄 원지 등의 제조에 이용되고, 인발 가공은 봉 또는 선, 관 등의 제조에 이용되며, 롤 성형은 시트의 굽힘 가공에 이용된다. 이러한 소성 가공에는 재료의 가공과 그 가공물의 이송, 와인딩을 위하여 롤링 장치, 예를 들어 롤러 밀, 이송 및 안내 롤러 등이 사용되고 있다.
롤링 장치는 롤러의 양쪽이 베어링에 의해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되고, 롤러의 외주면에 가공물이 감겨져 가공 또는 이송되게 된다. 그리고, 롤러의 외주면에 가공물이 감겨져 이송될 때 가공물에는 장력(tension)이 부여되며, 이 가공물의 장력이 적정하게 유지되지 못할 경우에는 가공물의 이송이 원활하지 않게 되거나 가공물 또는 롤링 장치의 파손이 발생된다. 가공물 또는 롤링 장치의 파손이 발생될 경우에는 해당 가공 라인을 정지시켜야 하므로, 이것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가공물의 장력을 측정하여 적정하게 유지시켜야 한다. 이러한 가공물의 장력을 측정하는 방법으로 롤러에 부여되는 하중을 측정하는 로드 셀이 채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로드 셀에 대한 예를 도 1a 및 도 1b에 나타내어 설명하면, 롤링 장치(10)는 롤러(12)의 양쪽이 베어링 하우징(14)의 베어링(16)에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되어 구성된다. 마운팅 브래킷(20)의 상면 한쪽에 포크(22)가 축구멍(24)을 갖도록 형성되고, 마운팅 브래킷(20)은 설비, 예를 들어 압연 및 인발기의 프레임(18)에 설치된다. 마운팅 브래킷(20)의 포크(22)에 웨이팅 브래킷(30)의 커넥터(32)가 결합되며, 커넥터(32)는 포크(22)의 축구멍(24)과 대응되는 축구멍(34)을 갖는다. 포크(22)의 축구멍(24)과 커넥터(32)의 축구멍(34)에는 축(36)이 조립되고, 이로 인하여 웨이팅 브래킷(30)은 축(36)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또한, 마운팅 브래킷(20)의 상면 다른쪽에 로드 셀 엘리먼트(40)가 설치되며, 로드 셀 엘리먼트(40)는 웨이팅 브래킷(30)의 하면이 지지되는 로드 버튼(42)을 갖는다. 로드 셀 엘리먼트(40)의 로드 버튼(42)에는 스트레인 게이지(50)가 연결되고, 웨이팅 브래킷(30)의 상면 중앙에 롤링 장치(10)의 베어링 하우징(14)이 고정된다.
따라서, 롤러(12)의 외주면에 가공물(W)이 감겨져 이송될 때 발생되는 장력에 의해 롤러(12)와 베어링(14)에 하중이 부여되며, 이 하중은 가공물(W)의 감김각에 대하여 수직 하중과 수평 하중으로 작용된다. 이러한 수직 하중에 의해 웨이팅 브래킷(30)이 축(36)을 중심으로 회전되면서 로드 셀 엘리먼트(40)의 로드 버튼(42)을 눌러주게 되고, 이로 인하여 로드 버튼(42)에 탄성 변형이 발생된다. 로드 버튼(42)의 탄성 변형은 스트레인 게이지(50)에 의해 전기 저항으로 변환되어 측정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로드 셀은, 웨이팅 브래킷(30)이 수직 하중에 의해 축(36)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방식이므로, 로드 셀의 사용 범위가 크게 제한되는 문제가 있었다. 즉, 가공물(W)이 웨이팅 브래킷(30)의 회전이 가능하도록 웨이팅 브래킷(30)을 기준으로 롤러(12)의 외측에 수직 하중을 부여하는 방향으로 감겨져야 하며, 이와 반대로 롤러(12)의 내측에 감겨질 경우에는 웨이팅 브래킷(30)의 회전이 불가능해져 하중을 측정할 수 없게 되는 것이다. 이로 인하여 롤링 장치(10)의 하부에 위치되도록 로드 셀을 설치한 후 웨이팅 브래킷(30)을 기준으로 가공물(W)이 롤러(12)의 외측에 감겨지게 해야만 하는 것이다. 또한, 축(36)이 하중에 의해 파손될 우려가 높기 때문에 로드 셀의 용량이 제한되는 문제가 있었다.
한편, 마운팅 브래킷(20)의 축구멍(22)에 웨이팅 브래킷(30)의 축(36)이 회전 가능하도록 끼워져 설치되며, 마운팅 브래킷(20)의 상면에 로드 셀 엘리먼트(40)가 설치되므로, 조립 공정이 복잡하고 번거로워져 조립성이 저하될 뿐만 아니라, 조립 부품수의 증가로 인하여 생산 비용이 상승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 범위가 확대되도록 한 로드 셀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조립성이 향상되며, 생산 비용이 감소되도록 한 로드 셀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 1a 및 도 1b는 종래 로드 셀의 예를 나타낸 정면도 및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로드 셀의 설치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로드 셀을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로드 셀을 나타낸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로드 셀을 나타낸 단면도,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로드 셀에서 스트레인 게이지를 나타낸 정면도 및 회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로드 셀에서 수평 하중에 의한 로드 셀 엘리먼트의 변형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8은 도 7의 확대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로드 셀에서 수직 하중에 의한 로드 셀 엘리먼트의 변형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10a 및 도 10b는 본 발명의 따른 로드 셀의 실시예를 부분적으로 나타낸 정면도 및 단면도,
도 11은 도 10에서 스트레인 게이지를 나타낸 정면도,
도 12는 도 10에서 로드 셀 엘리먼트의 변형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롤링 장치 12: 롤러
60: 로드 셀 엘리먼트 70: 마운팅 플레이트
80: 웨이팅 플레이트 90: 서포트 빔
100: 스트레인 포스트 102: 리세스
104: 웨브 110: 스톱 홀
112: 수평 날개 120: 관통구멍
122: 레그 200, 300: 스트레인 게이지
202, 302: 베이스 필름 204, 206, 304: 게이지 와이어
208, 306: 리드 와이어 220: 제어부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마운팅 플레이트와, 수평 하중의 작용시 마운팅 플레이트에 대하여 길이 방향으로 변위를 일으킬 수 있도록 복수개의 가요성 서포트 서포트 빔을 개재하여 마운팅 플레이트에 형성되는 웨이팅 플레이트와, 이 웨이팅 플레이트의 변위에 비례하여 탄성 변형을 일으킬 수 있도록 마운팅 플레이트와 서포트 플레이트 사이에 수직으로 형성되는 스트레인 포스트로 구성되는 로드 셀 엘리먼트와; 스트레인 포스트에 부착되어 스트레인 포스트의 변형량에 비례하는 전기 신호를 발생하는 스트레인 게이지를 포함하는 로드 셀에 있다.
또한, 스트레인 포스트의 상부에는 수직 하중의 전달을 차단하는 스톱 홀이 형성되고, 스트레인 포스트와 웨이팅 플레이트는 수평 날개에 의해서 서로 연결되어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로드 셀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로드 셀을 설명하기 위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로드 셀 엘리먼트(60)는 서로 평행한 마운팅 플레이트(70)와 웨이팅 플레이트(80)를 가지며, 마운팅 플레이트(70)와 웨이팅 플레이트(80)는 폭과 길이가 동일한 대략 사각 형상으로 형성된다. 마운팅 플레이트(70)와 웨이팅 플레이트(80)는 수직으로 나란한 복수개의 가요성 서포트 빔(90)들에 의해 일체로 연결되도록 형성되고, 서포트 빔(90)들은 그 탄성 변형에 의해 웨이팅 플레이트(80)의 변위, 즉 웨이팅 플레이트(80)가 마운팅 플레이트(70)에 대하여 길이 방향의 좌측 또는 우측으로 움직이는 것을 지지하게 된다. 로드 셀 엘리먼트(60)의 마운팅 플레이트(70)와 웨이팅 플레이트(80)에는 나사구멍(72, 82)이 각각 형성되며, 마운팅 플레이트(70)의 하면 중앙에 설치홈(74)이 형성되고, 이 설치홈(74)에는 마운팅 플레이트(7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선구멍(76)이 이어져 형성된다. 도면에서 서포트 빔(80)들은 마운팅 플레이트(70)와 웨이팅 플레이트(80)의 중앙을 지지하는 두 개와, 양쪽 측면을 지지하는 두 개가 형성된 것을 나타냈으나, 서포트 빔(80)들의 숫자 및 위치는 필요에 따라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포트 빔(80)들은 마운팅 플레이트(70)와 웨이팅 플레이트(80)의 중앙을 지지하거나 측면을 지지하는 두 개씩만 형성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로드 셀 엘리먼트(60)의 마운팅 플레이트(70)는 설비, 예들 들어 압연 및 인발기의 프레임(18)에 나사구멍(72)을 통한 체결 수단, 예들 들어 볼트의 체결에 의해 설치된다. 웨이팅 플레이트(80)의 상면 중앙에는 롤링 장치(10)가 나사구멍(82)을 통한 체결 수단의 체결에 의해 설치되며, 롤링 장치(10)는 롤러(12)의 양쪽이 베어링 하우징(14)의 베어링(16)에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되어 구성되고, 롤러(12)의 외주면에는 가공물(W)이 감겨져 가공 또는 이송된다. 도면에는 롤러(12)의 외주면에 강판 등과 같은 시트가 감겨져 이송되는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도 4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로드 셀 엘리먼트(60)의 중앙에는 웨이팅 플레이트(80)의 변위에 비례하여 탄성 변형이 가능한 스트레인 포스트(100)가 형성된다. 즉, 스트레인 포스트(100)는 그 폭이 마운팅 플레이트(70)와 웨이팅 플레이트(80)의 폭보다 작아지도록 형성되어 웨이팅 플레이트(80)의 움직임을 탄성 변형에 의해 지지하게 된다. 스트레인 포스트(100)의 폭방향 양쪽 측면에는 대략 사각 형상으로 움푹 파여져 들어가는 리세스(recess: 102)에 의해 웨브(web: 104)가 형성되고, 리세스(102)와 설치홈(74)은 스트레인 포스트(90)의 수직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배선구멍(106)에 의해 이어진다.
또한, 스트레인 포스트(100)의 상부에는 웨이팅 플레이트(80)에 작용되는 수직 하중의 전달이 차단되도록 스톱 홀(stop hole: 110)이 형성되고, 스트레인 포스트(100)와 웨이팅 플레이트(80)는 수평 날개(112)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스톱 홀(110)은 스트레인 포스트(100)를 기준으로 웨이팅 플레이트(8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양쪽으로 길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로드 셀 엘리먼트(60)는 경도가 높고 인장 강도가 큰 합금강, 예를 들어 니켈 크롬 몰리브덴강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로드 셀 엘리먼트(60)는 절삭 가공에 의해 제작한 후 열처리를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 도 6a 및 도 6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웨브(104)의 양쪽 면에는 스트레인 게이지(200)가 각각 부착되고, 스트레인 게이지(200)는 접착에 의해 부착할 수 있다. 스트레인 게이지(200)는 베이스 필름(202)에 수미크론의 두께로 금속 박판을 접착한 후 에칭에 의해 중앙을 중심으로 양쪽에 한쌍의 게이지 와이어(204, 206)를 형성하며, 이 게이지 와이어(204, 206)의 양쪽 끝에 전원을 인가시키는 리드 와이어(208)를 연결하여 구성한다. 이때, 게이지 와이어(204, 206)는 서로 반대 방향으로 경사지는 시어 타입(shear type)으로 형성되고, 게이지 와이어(204, 206)가 시어 타입으로 형성된 것을 시어 타입 스트레인 게이지라 부르고 있다. 또한, 스트레인 게이지(200)는 베이스 필름(202)에 여러번 접어서 감겨진 가느다란 한쌍의 게이지 와이어(204, 206)를 부착하여 구성할 수도 있으며, 스트레인 게이지(200)는 필요에 따라 스트레인 포스트(100)의 양쪽 측면에 설치할 수도 있다.
그리고, 웨브(104)의 양쪽 면에 설치되는 스트레인 게이지(200)의 게이지 와이어(204, 206)는 휘트스톤 브리지(wheats bridge)로 구성한다. 이와 같이 휘트스톤 브리지를 구성할 경우에는 큰 출력값을 얻을 수 있으며, 하중을 정밀하게 측정할 수 있게 된다. 마운팅 플레이트(70)의 설치홈(74)에 커넥터(210)가 설치되고, 커넥터(210)에는 스트레인 포스트(100)의 배선구멍(106)을 통하여 스트레인 게이지(200)의 리드 와이어(208)가 접속되며, 커넥터(210)는 마운팅 플레이트(70)의 배선구멍(76)을 통하여 배선되는 케이블(212)에 의해 제어부(220)와 연결되고, 제어부(220)는 스트레인 게이지(200)로부터 입력되는 전기 저항값을 연산하여 하중을 산출한다. 제어부(220)는 예를 들어 출력 장치, 카운터, 프린터 등에 연결되어 산출된 하중값을 표시하게 되며, 제어부(220)는 일반적인 마이크로컴퓨터에 의해 구성할 수 있다.
도 10a 및 도 10b,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트레인 포스트(100)는 폭방향으로 형성되는 대략 사각 형상의 관통구멍(120)을 사이에 두고 평행하게 연장되는 한쌍의 레그(122)를 구비하고, 이 레그(122)의 대향면 상하부에는 스트레인 게이지(300)가 각각 부착된다. 스트레인 게이지(300)의 베이스 필름(302)에는 게이지 와이어(304)가 벤딩 타입(bending)으로 형성되며, 게이지 와이어(304)의 양쪽 끝에 전원을 인가시키기 위한 리드 와이어(306)가 연결된다. 게이지 와이어(304)가 벤딩 타입으로 형성된 것을 벤딩 타입 스트레인 게이지라 부르고 있으며, 스트레인 게이지(300)의 게이지 와이어(304)는 앞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하게 휘트스톤 브리지로 구성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로드 셀의 작동 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롤링 장치(10)의 롤러(12)에 가공물(W)이 감겨져 가공 또는 이송될 때 발생되는 장력에 의해 롤러(12)와 베어링 하우징(14)에 하중이 부여되며, 이 하중은 가공물(W)의 감김각에 대하여 수직 하중과 수평 하중으로 작용된다. 이러한 수평 하중에 의해 웨이팅 플레이트(80)가 가공물(W)의 이송 방향과 동일한 수평 방향으로 움직이게 되고, 웨이팅 플레이트(80)의 움직임은 가용성 서포트 빔(90)과 스트레인 포스트(100)의 탄성 변형에 의해 지지된다. 즉, 서포트 빔(90)들과 스트레인 포스트(100)는 마운팅 플레이트(70)에 대한 웨이팅 플레이트(80)의 변위를 탄성 변형에 의해 지지하는 것이다.
한편,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트레인 포스트(100)의 탄성 변형과 동시에 웨브(104)의 탄성 변형이 발생되며, 이때 웨브(104)의 탄성 변형은 대각선을 따라 압축과 인장으로 나타난다. 이러한 웨브(104)의 탄성 변형에 의해 게이지 와이어(204, 206)의 전기 신호값이 증감되고, 이 게이지 와이어(204, 206)의 전기 신호값은 제어부(220)에 입력되며, 제어부(220)는 스트레인 게이지(200)의 게이지 와이어(204, 206)로부터 입력되는 전기 신호값을 연산하여 롤러(12)와 베어링 하우징(14)에 부여되는 하중을 산출하게 된다. 그리고, 제어부(220)의 산출값을 근거로 가공물(W)에 부여되는 장력을 적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도 3 및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롤링 장치(10)의 롤러(12)와 베어링 하우징(14)에 작용되는 수직 하중은 스톱 홀(110)의 차단에 의해 스트레인 포스트(100)에 전달되는 것이 효과적으로 방지되므로, 스트레인 포스트(100)가 수직 하중에 의해 압축 변형되는 현상이 방지된다. 이로 인하여 로드 셀의 측정 정도를 보다 향상시킬 수 있어 신뢰성이 향상된다. 도면에는 로드 셀에 허용되는 수직 하중의 크기를 수배로 크게 하여 시험한 상태가 나타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로드 셀은 롤링 장치(10)의 수평 하중을 웨이팅 플레이트(80)의 변위를 지지하는 스트레인 포스트(100)의 탄성 변형에 의해 측정하는 방식이므로, 롤러(12)의 외주면에 감겨지는 가공물(W)의 감김 방향과 형태에 관계없이 사용할 수 있다. 즉, 로드 셀 엘리먼트(60)의 웨이팅 플레이트(80)를 기준으로 롤러(12)의 내외측중 어느 곳이라도 가공물(W)이 감겨져 가공 및 이송될 경우에 웨이팅 플레이트(80)가 수평 하중에 의해 변위를 갖게 되어 작용되는 하중을 측정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로드 셀의 사용 범위가 폭 넓게 확대된다. 또한, 로드 셀 엘리먼트(60)의 웨이팅 플레이트(80)에 롤링 장치(10)의 베어링 하우징(14)이 지지되기만 하면 하중의 측정이 가능하므로, 로드 셀 엘리먼트(60)의 설치 위치 및 장소를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다.
한편, 웨이팅 플레이트(80)의 변위가 서포트 빔(90)들과 스트레인 포스트(100)의 탄성 변형에 의해 지지되어 파손이 효과적으로 방지되므로, 로드 셀의 용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그리고, 로드 셀이 로드 셀 엘리먼트(60)와 스트레인 게이지(200)로 단순하게 구성되므로, 조립 공정이 용이해져 조립성이 향상될 뿐만 아니라, 조립 부품수가 감소되어 생산 비용이 절감된다.
도 10a 및 도 10b,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트레인 포스트(100)의 중앙에 관통구멍(120)을 사이에 두고 평행하게 연장되는 한쌍의 레그(122)가 형성되고, 이 레그(122)의 대향면 상하부에는 스트레인 게이지(300)가 각각 부착된 경우에는, 롤링 장치(10)의 롤러(12)와 베어링 하우징(14)에 작용되는 수평 하중에 의해 웨이팅 플레이트(80)의 변위가 발생되면, 웨이팅 플레이트(80)의 변위가 서포트 빔(80)들과 스트레인 포스트(100)의 탄성 변형에 의해 지지된다. 스트레인 포스트(100)의 탄성 변형은 그 상하부에서 인장과 압축으로 나타나며, 이러한 스트레인 포스트(100)의 탄성 변형에 의해 게이지 와이어(304)의 전기 신호값이 증감된다. 따라서,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어부(220)는 스트레인 게이지(200)의 게이지 와이어(204, 206)로부터 입력되는 전기 신호값을 연산하여 롤러(12)와 베어링 하우징(14)에 부여되는 하중을 산출하게 된다.
상기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하고, 본 발명의 적용 범위는 이와 같은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동일 사상의 범주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나타난 각 구성 요소의 형상 및 구조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로드 셀에 의하면, 롤링 장치에 작용되는 수평 하중을 웨이팅 플레이트의 변위를 지지하는 스트레인 포스트의 탄성 변형에 의해 측정하는 방식으로 구성되므로, 사용 범위가 폭 넓게 확대되며, 용량을 증가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로드 셀 엘리먼트와 스트레인 게이지로 단순하게 구성되므로, 조립 공정이 용이해져 조립성이 향상될 뿐만 아니라, 조립 부품수가 감소되어 생산 비용이 절감되는 것이다.

Claims (4)

  1. 마운팅 플레이트(70)와, 수평 하중의 작용시 상기 마운팅 플레이트(70)에 대하여 길이 방향으로 변위를 일으킬 수 있도록 복수개의 가요성 지지기둥(90)을 개재하여 상기 마운팅 플레이트(70)에 형성되는 웨이팅 플레이트(80)와, 이 웨이팅 플레이트(80)의 변위에 비례하여 탄성 변형을 일으킬 수 있도록 상기 마운팅 플레이트(70)와 상기 웨이팅 플레이트(80) 사이에 수직으로 형성되는 스트레인 포스트(100)로 구성되는 로드 셀 엘리먼트(60)와; 상기 스트레인 포스트(100)에 부착되어 상기 스트레인 포스트(100)의 변형량에 비례하는 전기 신호를 발생하는 스트레인 게이지(200)를 포함하는 로드 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레인 포스트(100)의 상부에는 수직 하중의 전달을 차단하는 멈춤구멍(110)이 형성되고, 상기 스트레인 포스트(100)와 상기 웨이팅 플레이트(80)는 수평 날개(122)에 의해서 서로 연결되는 로드 셀.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레인 포스트(100)는 웨브(104)를 사이에 두고 폭방향 양쪽 면에 형성되는 오목부(102)를 구비하고, 상기 스트레인 게이지(200)는 상기 웨브(104)의 양쪽 면에 부착되는 로드 셀.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레인 포스트(100)는 폭방향의 관통구멍(120)을 사이에 두고 평행하게 연장되는 한쌍의 레그(122)를 구비하고, 상기 레그(122)의 대향면에 스트레인게이지(300)가 부착되는 로드 셀.
KR1019980019875A 1998-05-29 1998-05-29 로드셀 Expired - Fee Related KR1002835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19875A KR100283536B1 (ko) 1998-05-29 1998-05-29 로드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19875A KR100283536B1 (ko) 1998-05-29 1998-05-29 로드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86749A KR19990086749A (ko) 1999-12-15
KR100283536B1 true KR100283536B1 (ko) 2001-03-02

Family

ID=658999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19875A Expired - Fee Related KR100283536B1 (ko) 1998-05-29 1998-05-29 로드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83536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86749A (ko) 1999-1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554025A (en) Force measuring device
US3763701A (en) Web tension devices
EP0738882A2 (en) Load cell
CA1115985A (en) Load cell
CN109959359A (zh) 应变传感器、多轴力传感器及机器人
US5777240A (en) Load cell and load cell beam assembly
US3411348A (en) Electronic dynamometer
EP0949493A1 (de) Kraftaufnehmer des doppelbalkentyps
CN103499413A (zh) 力杠杆和杠杆式力标准装置
JP2834282B2 (ja) ロードセル
EP0304226A1 (en) Web tension transducer
EP3368873B1 (en) A force measurement device
KR100283536B1 (ko) 로드셀
EP0800069A1 (en) Column force transducer
JP6037440B2 (ja) ロバーバル型ロードセル
JP5393975B2 (ja) 張力検出装置
US11320326B2 (en) Force sensor and sensing element thereof
KR102008637B1 (ko) 하중 검출기
US5186061A (en) Transducer beam and beam assembly
CN212585893U (zh) 一种带过载保护的穿透式张力传感器
US4945772A (en) Method of roll nip load measurement
JP3268450B2 (ja) 片持ち梁トランスデューサ
US4901585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oll nip load measurement
US7086299B2 (en) Multi-load beam apparatus to prevent improper operation due to off-axis loads
JP3175468B2 (ja) 荷重検出器および張力検出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8052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80529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0040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0112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0120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0121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3112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120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120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121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1009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1120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1028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1209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128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1128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8

Year of fee payment: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108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