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281947B1 - 광 디스크 - Google Patents

광 디스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81947B1
KR100281947B1 KR1019980708275A KR19980708275A KR100281947B1 KR 100281947 B1 KR100281947 B1 KR 100281947B1 KR 1019980708275 A KR1019980708275 A KR 1019980708275A KR 19980708275 A KR19980708275 A KR 19980708275A KR 100281947 B1 KR100281947 B1 KR 1002819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area
track
sector
head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Lifetim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7082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05490A (ko
Inventor
겐지 고이시
순지 오하라
다카시 이시다
이사오 사토
요시나리 다케무라
도요지 구시마
히로노리 데구치
요시타카 미투이
Original Assignee
모리시타 요이찌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모리시타 요이찌,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모리시타 요이찌
Publication of KR200000054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54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819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81947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Lifetim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24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 G11B7/2407Tracks or pits;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thereof
    • G11B7/24085Pi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9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9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 G11B27/24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sensing features on the record carrier other than the transducing track ; sensing signals or marks recorded by another method than the main record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9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 G11B27/28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 G11B27/3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on the same track as the main recording
    • G11B27/3027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on the same track as the main recording used signal is digitally coded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04Recording, reproducing or erasing methods; Read, write or erase circuits therefor
    • G11B7/005Reproducing
    • G11B7/0053Reproducing non-user data, e.g. wobbled address, prepits, BCA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07Arrangement of the information on the record carrier, e.g. form of tracks, actual track shape, e.g. wobbled, or cross-section, e.g. v-shaped; Sequential information structures, e.g. sectoring or header formats within a track
    • G11B7/00718Groove and land recording, i.e. user data recorded both in the grooves and on the land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07Arrangement of the information on the record carrier, e.g. form of tracks, actual track shape, e.g. wobbled, or cross-section, e.g. v-shaped; Sequential information structures, e.g. sectoring or header formats within a track
    • G11B7/00745Sectoring or header formats within a track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07Arrangement of the information on the record carrier, e.g. form of tracks, actual track shape, e.g. wobbled, or cross-section, e.g. v-shaped; Sequential information structures, e.g. sectoring or header formats within a track
    • G11B7/0079Zoned data area, e.g. having different data structures or formats for the user data within data layer, Zone Constant Linear Velocity [ZCLV], Zone Constant Angular Velocity [ZCAV], carriers with RAM and ROM area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4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using self-clocking codes
    • G11B20/1403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using self-clocking cod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two levels
    • G11B20/1423Code representation depending on subsequent bits, e.g. delay modulation, double density code, Miller code
    • G11B20/1426Code representation depending on subsequent bits, e.g. delay modulation, double density code, Miller code conversion to or from block codes or representations thereof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2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 G11B20/1217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on discs
    • G11B2020/1259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on discs with ROM/RAM area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5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is based on a specific recording technology
    • G11B2220/2537Optical discs
    • G11B2220/2562DVDs [digital versatile discs]; Digital video discs; MMCDs; HDCD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8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 G11B7/09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with provision for moving the light beam or focus plane for the purpose of maintaining alignment of the light beam relative to the record carrier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e.g. to compensate for surface irregularities of the latter or for track following
    • G11B7/0901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with provision for moving the light beam or focus plane for the purpose of maintaining alignment of the light beam relative to the record carrier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e.g. to compensate for surface irregularities of the latter or for track following for track following only
    • G11B7/0906Differential phase difference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Optical Recording Or Reproduction (AREA)
  • Optical Record Carriers And Manufacture Thereof (AREA)
  • Signal Processing For Digit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Abstract

광 디스크는 재기록 가능한 제 1 기록영역 및 판독 전용의 제 2 기록영역을 갖는다. 제 1 기록영역은 나선 혹은 동심원 형태로 교대로 광 디스크 기판 상에 형성된 홈트랙 및 랜드트랙으로 구성된 제 1 트랙을 포함한다. 제 1 트랙 각각은 복수의 제 1 섹터로 분할되고, 제 1 섹터 각각은 제 1 섹터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 데이터를 갖는 제 1 헤더영역 및 기록표면의 광학특성을 변경하여 기록마크를 형성함으로써 사용자 데이터를 기록하기 위한 제 1 데이터 영역을 포함한다. 제 2 기록영역은 나선 혹은 동심원 형상으로 광 디스크 기판 상에 배열된 물리적인 오목 및 볼록 형상의 피트 로우로 형성된 제 2 트랙을 포함한다. 제 2 트랙 각각은 복수의 제 2 섹터로 분할되고, 제 2 섹터 각각은 제 2 섹터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 데이터를 갖는 제 2 헤더영역 및 피트 로우로서 기록된 판독 전용 데이터를 갖는 제 2 데이터 영역을 포함한다. 제 1 헤더영역은 물리적인 오목 및 볼록 형상의 제 1 피트 로우를 포함한다. 제 1 피트 로우의 각각의 피트는 홈트랙의 폭과 거의 동일한 광 디스크의 방사방향 폭을 가지며 홈트랙의 피치의 약 4분의 1만큼 홈트랙의 중심선으로부터 바깥쪽 혹은 안쪽으로 워블되어 있다. 제 2 헤더영역은 물리적인 오목 및 볼록 형상의 제 2 피트 로우를 포함한다. 제 2 피트 로우의 각각의 피트는 홈트랙의 폭보다 작은 광 디스크의 방사방향 폭을 가지며 거의 제 2 트랙의 중심선을 따라 형성된다.

Description

광 디스크
광 디스크는 기록된 데이터를 재생만 할 수 있게 하는 판독 전용형과, 사용자가 데이터를 기록할 수 있게 하는 재기록 가능형으로 분류된다. 판독 전용 광 디스크는 디스크 기판 상에 나선형 혹은 동심원 형태로 형성된 트랙을 갖고 있다. 오목 및 볼록부(피트) 어레이는 기록될 정보에 따라 트랙을 따라 물리적으로 형성된다. 재기록 가능한 광 디스크는 디스크 기판 상에 나선형 혹은 동심원 형태로 형성된 홈을 갖고 있으며 이 홈 위에 형성된 기록막을 갖고 있다. 홈은 트랙을 정한다. 사용자가 디스크에 데이터를 기록할 때, 디스크는 트랙을 따라 레이저 빔으로 조사되고, 레이저 빔의 강도는 기록될 데이터에 따라 변조되어 기록막 상에 상이한 광학특성(기록마크)을 갖는 영역을 형성한다.
일반적으로, 광 디스크에서 광 디스크의 한 회전에 대응하는 하나의 트랙은 광 디스크 상에서 필요 데이터의 위치를 유지하고 고속 데이터 재생을 실현하기 위해서, 데이터를 기록 및 재생하기 위한 단위(데이터 단위)로서의 복수의 섹터로 분할된다.
판독 전용 광 디스크 및 재기록 가능 광 디스크는 서로 상이한 데이터 형식 및 변조 코드를 갖는다. 모든 섹터에 사용자가 데이터를 기록할 수 있도록, 재기록 가능 광 디스크의 데이터 형식은 예를 들면, 각 섹터의 기록영역의 헤드에 레이저 파워를 설정하기 위한 영역 및 기록 영역의 말미에 스핀들 모터의 회전변동을 없애기 위한 영역을 갖고 있어야 한다. 사용자에 의해 어떠한 데이터도 재기록 되지 않는 판독 전용 광 디스크의 경우, 정보는 고정밀로 광 디스크 제작시 광 디스크에 정보가 기록되고 사용자에 의한 데이터 기록을 위한 어떠한 별도의 영역도 필요없다.
도 21은 재기록 가능 영역 및 판독 전용 영역을 갖는 종래의 광 디스크(301)를 도시한 것이다. 광 디스크(301)는 사용자가 광 디스크에 데이터를 기록할 수 있고 이로부터 데이터를 재생할 수 있도록 디스크 기판 상에 형성된 기록막을 갖고 있다. 도 21에서, 광 디스크(301)는 이의 내외부 상에 위치한 판독 전용 영역(302 및 303), 및 판독 전용 영역(302 및 303) 사이에 위치한 재기록 영역(305)를 갖고 있다.
판독 전용 영역(302 및 303)에서, 정보 및 데이터는 물리적으로 오목하고 볼록한 형태의 피트 어레이(304)를 형성함으로써 사전에 미리 기록되어 있다. 재기록 가능 영역(305)에서, 사용자가 트랙의 홈(홈 트랙) 혹은 인접한 홈 사이의 랜드(랜드 트랙)를 트래킹함으로써 정보 및 데이터를 기록 및 재생할 수 있도록 홈형태의 안내 트랙(306)이 미리 형성되어 있다.
도 22는 도 21에 도시한 광 디스크(301)에 데이터를 기록 및 이로부터 재생하기 위한 종래의 광 디스크 기록/재생 장치(300)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2에서, 광 디스크 기록/재생 장치(300)는 데이터를 기록 혹은 재생하기 위한 광학 헤드(307), 재기록 가능 영역(305)으로부터 공급된 재생된 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제 1 신호 처리부(320), 판독 전용 영역(302 및 303)으로부터 공급된 재생된 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제 2 신호 처리부(330), 및 광학 헤드(307)로부터 재생된 신호를 제 1 신호 처리부(320)나 제 2 신호 처리부(330)로 접속하기 위한 스위치(308)를 포함한다. 제 1 신호 처리부(320)는 제 1 디지털화 회로(309), 제 1 PLL(위상 록 루프; 310), 제 1 타이밍 발생회로(311), 및 제 1 복조기(312)를 포함한다. 마찬가지로, 제 2 신호 처리부(330)는 제 2 디지털화 회로(313), 제 2 PLL(314), 제 2 타이밍 발생회로(315), 및 제 2 복조기(316)를 포함한다.
재기록 가능 영역(305) 상에 기록된 데이터가 재생될 때, 스위치(308)는 제 1 신호 처리부(320)로 접속되도록 단자 A로 스위치된다. 재생된 신호는 먼저 제 1 디지털화 회로(309)에 의해 디지털 신호로 변환되고, 제 1 PLL(310)에 의해서 클럭킹된다. 제 1 타이밍 발생회로(311)는 사용자 데이터를 읽기 위한 게이트 신호를 발생하고, 사용자 데이터는 제 1 복조기(312)에 의해서 2진 데이터로 복조된다. 복조된 데이터는 제 1 출력단자(317)로부터 출력된다.
종래의 광 디스크(301)에서,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재기록 영역(305) 및 판독 전용 영역(302 및 303)에서 상이한 데이터 형식 및 변조 코드가 사용된다. 따라서, 판독 전용 영역을 위한 제 2 신호 처리부(330)는 판독 전용 영역(302 혹은 303)에 기록된 데이터가 재생될 때 별도로 필요하게 된다. 그러므로, 판독 전용 영역(302 혹은 303) 상의 데이터가 재생될 때, 스위치(308)는 제 2 신호 처리부(330)로 접속되도록 단자 B로 스위치된다. 상기 기술된 제 1 신호 처리부(320)와 같이, 재생된 신호는 먼저 제 2 디지털화 회로(313)에 의해서 디지털 신호로 변환되고, 제 2 PLL(314)에 의해서 클럭킹된다. 이어서, 제 2 타이밍 발생회로(315)는 사용자 데이터를 읽기 위한 게이트 신호를 발생하고, 사용자 데이터는 제 2 복조기(316)에 의해서 2진 데이터로 복조된다. 복조된 데이터는 제 2 출력단자(318)로부터 출력된다.
도 23은 종래의 재기록 가능 광 디스크(301)의 섹터(400)의 데이터 형식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23에서, 섹터(400)는 그 헤드에 섹터 식별 데이터 영역(401), 이에 이어서 갭 영역(402), VFO 영역(403), 정보 데이터 영역(450) 및 버퍼영역(409) 순서로 포함한다. 섹터 식별 데이터 영역(401)은 섹터의 관리를 위한 주소 정보 등을 저장한다. 갭 영역(420)은 데이터 기록 시작시 신호교란을 없애고 기록을 위한 레이저 파워를 설정한다. 정보 데이터 영역(450)에 저장된 데이터는 복수의 데이터 블록(405a, 405b, ...)으로 분할되며, 각각의 데이터 블록 앞에 데이터 동기열(404a, 404b,..)이 있다. 데이터 동기열(404; 404a, 404b,...) 각각은 기록 코드로 변조함으로써 얻어진, 다른 영역 내의 데이터에 나타나지 않는 특정 코드 패턴을 저장한다. VFO 영역(403)은 재생시 클럭킹을 안정화하기 위해서 단일 주기의 코드의 반복패턴을 저장한다. 버퍼영역(409)은 기록 말미에서 회전변동을 제거한다.
상기 구성의 데이터 형식을 사용하여, 재생은 다음과 같이 수행된다. 먼저, PLL 회로의 클럭킹은 VFO 영역(403) 내에 저장된 반복패턴에 의해서 안정화된다. 클럭이 충분히 안정화된 후에, 데이터 동기열(404a)이 검출되고 정보 데이터 영역(450)의 헤드로 인식된다. 인식이 된 때, 제 1 데이터 블록(405a)이 재생된다. 이어서, 다음 데이터 동기열(404b)이 검출되어 다음 데이터 블록(405b)을 재생한다. 이러한 동작을 반복함으로써, 정보 데이터 영역(450) 상의 데이터가 안정하게 재생될 수 있다.
데이터 동기열(404)이 각각의 데이터 블록(405) 앞에 있으므로 하나의 데이터 블록에서 데이터 재생이 드롭아웃과 같은 에러에 기인하여 동기에서 벗어나게 되어도, 다음 데이터 블록으로부터 동기화가 재개될 수 있어 데이터 재생이 계속되게 한다.
그러나, 종래의 광 디스크에서, 재기록 가능 영역 및 판독 전용 영역에서 사용된 데이터 형식 및 변조 코드는 상기 기술된 바와 같이 서로 상이하다. 광 디스크와 같은 종래의 기록/재생 장치는 재기록 가능 영역 및 판독 전용 영역을 위한 2개의 분리된 신호 처리회로가 있어야 하는데, 이것은 장치의 회로를 복잡하게 하며 회로가 커지게 한다.
본 발명은 광 디스크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재기록 가능 영역 및 판독 전용 영역을 갖는 광 디스크의 데이터 형식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광 디스크의 재기록 가능 영역 및 판독 전용 영역의 구성예를 도시한 도면.
도 2a 내지 도 2h는 본 발명에 따른 일예의 광 디스크에 사용되는 데이터 형식 및 재생신호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광 디스크로부터 데이터를 재생하기 위한 재생신호 처리부를 도시한 도면.
도 4a 내지 4h는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광 디스크에 사용된 데이터 형식 및 재생신호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위상 에러 검출방법에 의한 트래킹 제어의 원리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인접한 트랙 상에 동일한 데이터열이 기록될 때 얻어진 트래킹 에러 신호의 파형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인접한 트랙 상에 다른 데이터열이 기록될 때 얻어진 트래킹 에러 신호의 파형을 도시한 도면.
도 8a 내지 8d는 본 발명에 다른 일예의 더미 데이터 영역의 데이터 형식을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일예에서 섹터 제어를 위한 더미 데이터가 기록된 광 디스크를 도시한 도면.
도 10a 및 도 10b는 본 발명에 따른 일예에서 재기록 가능 영역의 데이터 형식을 도시한 도면.
도 11a 및 도 11b는 본 발명에 다른 일예에서 판독 전용 영역의 데이터 형식을 도시한 도면.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일예에서 스크램블된 데이터를 발생하기 위한 회로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13은 변조 코드의 변환 테이블의 예를 도시한 도면.
도 14a 및 도 14b는 본 발명에 따른 일예의 광 디스크의 재기록 영역 및 판독 전용 영역의 데이터 형식을 도시한 도면.
도 15는 상기 예에서 제 2 데이터 동기열의 패턴 특성을 비교한 도면.
도 16은 제 2 데이터 동기열에 대한 검출회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17은 제 2 데이터 동기열에 대한 검출방법 및 검출범위를 도시한 도면.
도 18a 내지 도 18c는 2진코드로 변환하기 위한 슬라이스 레벨의 시프트을 도시한 도면.
도 19a 및 도 19b는 재생신호에 에러가 없을 때 얻어진 패턴 1 및 패턴 4의 자기상관함수를 도시한 도면.
도 20a 및 도 20b는 에지 시프트가 동기패턴 검출 윈도우 내의 3개의 위치 중 한 위치에서 발생한 때 얻어진 패턴 1 및 패턴 4의 자기상관함수를 도시한 도면.
도 20c 및 도 20d는 슬라이스 레벨이 시프트된 때 얻어진 패턴 1 및 패턴 4의 자기상관함수를 도시한 도면.
도 21은 종래의 광 디스크를 도시한 도면.
도 22는 종래의 광 디스크로부터 데이터를 재생하기 위한 재생신호 처리회로를 도시한 도면.
도 23은 종래의 광 디스크의 데이터 형식을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301 : 광 디스크 2, 3, 302, 303 : 판독 전용 영역
5 : 재기록 가능 영역 6 : 안내홈
7 : 홈트랙 8 : 랜드트랙
9 : 트랙 10 : 섹터
11 : 제 1 헤더영역 12 : 미러 마크 영역
13 : 갭 영역 20 : 정보영역
97 : 검출 윈도우 91 : 제 1 시프트 레지스터
92 : 제 2 레지스터 93 : 일치수 카운터
94 : 임계치 회로 95 : 동기 검출 허가 발생 회로
110 : 2부분 광학 검출기 111 : 합산 증폭기
112 : 차동 증폭기 113 : 스위치 회로
114 : 디지털화 회로 115 : PLL 회로
116 : PID 재생회로 117 : 타이밍 발생회로
118 : 복조기 120 : 엔벨로프 검출회로
150 : 시프트 레지스터 200 : PSY 검출회로
300 : 광 디스크 기록/재생 장치 301 : 광 디스크
302, 303 : 판독 전용 영역 307 : 광학 헤드
전술한 문제점을 고려하여, 본 발명은 재기록 가능 영역 및 판독 전용 영역을 가지며, 기록/재생 장치의 회로 크기를 감소시킬 수 있으며 안정된 재생을 제공하는 광 디스크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이 예의 광 디스크는 재기록 가능한 제 1 기록영역 및 판독 전용의 제 2 기록영역을 가지며, 상기 제 1 기록영역은 홈들로 구성된 홈트랙 및 인접한 홈들간의 공간으로 이루어진 랜드트랙으로 구성된 제 1 트랙을 포함하며, 상기 홈트랙 및 상기 랜드트랙은 나선 혹은 동심원 형태로 교대로 광 디스크 기판 상에 형성되며, 상기 제 1 트랙 각각은 복수의 제 1 섹터로 분할되고, 상기 제 1 섹터 각각은 상기 제 1 섹터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 데이터를 갖는 제 1 헤더영역 및 기록표면의 광학특성을 변경하여 기록마크를 형성함으로서 사용자 데이터를 기록하기 위한 제 1 데이터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제 2 기록영역은 나선 혹은 동심원 형상으로 상기 광 디스크 기판 상에 배열된 물리적인 피트 로우로 형성된 제 2 트랙을 포함하며, 상기 제 2 트랙 각각은 복수의 제 2 섹터로 분할되고, 상기 제 2 섹터 각각은 상기 제 2 섹터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 데이터를 갖는 제 2 헤더영역 및 상기 피트 로우로서 기록된 판독 전용 데이터를 갖는 제 2 데이터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헤더영역은 물리적인 제 1 피트 로우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피트 로우의 각각의 피트는 상기 홈트랙의 폭과 거의 동일한 상기 광 디스크의 방사방향 폭을 가지며 상기 홈트랙의 피치의 약 4분의 1만큼 상기 홈트랙의 중심선으로부터 바깥쪽 혹은 안쪽으로 워블되어 있고, 상기 제 2 헤더영역은 물리적인 제 2 피트 로우를 포함하며, 상기 제 2 피트 로우의 각각의 피트는 상기 홈트랙의 폭보다 작은 상기 광 디스크의 방사방향 폭을 가지며 거의 상기 제 2 트랙의 중심선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제 1 헤더영역의 데이터 시퀀스 및 상기 제 2 헤더영역의 데이터 시퀀스는 동일한 변조 코드로 변조되고, 상기 제 1 데이터 영역의 데이터 시퀀스 및 상기 제 2 데이터 영역의 데이터 시퀀스는 동일한 변조 코드로 변조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헤더영역의 상기 식별 데이터 및 상기 제 2 헤더영역의 상기 식별 데이터는 동일 데이터 시퀀스 및 동일 데이터 용량을 갖는 데이터 형식을 가지며, 상기 제 1 데이터 영역 및 상기 제 2 데이터 영역은 동일 데이터 시퀀스 및 동일 데이터 용량을 갖는 데이터 형식을 갖는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기록 영역 내의 상기 제 1 헤더영역과 상기 제 1 데이터 영역간 데이터 비트 간격은 상기 제 2 기록영역 내의 상기 제 2 헤더영역과 상기 제 2 데이터 영역간 데이터 비트 간격과 실제적으로 동일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재기록 가능한 제 1 기록영역에서, 상기 제 1 섹터 각각은 상기 제 1 헤더영역과 상기 제 1 데이터 영역 사이에 형성된 미러 마크 영역, 갭 영역, 및 제 1 더미 데이터 영역, 상기 제 1 데이터 영역과 다음 제 1 섹터의 제 1 헤더영역 사이에 형성된 안내 데이터 영역 및 버퍼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제 2 기록 영역에서, 상기 제 2 섹터 각각은 상기 제 2 헤더영역과 상기 제 2 데이터 영역 사이에 형성된 제 2 더미 데이터 영역, 및 상기 제 2 데이터 영역과 다음 제 2 섹터의 제 2 헤더 영역 사이에 형성된 제 3 더미 데이터 영역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더미 데이터 영역, 상기 제 2 더미 데이터 영역, 및 상기 제 3 더미 데이터 영역 각각은 기록될 데이터의 변조에 사용되는 변조 코드의 특정한 시퀀스 패턴을 갖는다.
대안으로, 이 예의 광 디스크는 재기록 가능한 제 1 기록영역 및 판독 전용의 제 2 기록영역을 가지며, 상기 제 1 기록영역은 홈들로 구성된 홈트랙 및 인접 홈들간의 공간으로 이루어진 랜드트랙으로 구성된 제 1 트랙을 포함하며, 상기 홈트랙 및 상기 랜드트랙은 나선 혹은 동심원 형태로 교대로 광 디스크 기판 상에 형성되며, 상기 제 1 트랙 각각은 복수의 제 1 섹터로 분할되고, 상기 제 1 섹터 각각은 상기 제 1 섹터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 데이터를 갖는 제 1 헤더영역 및 기록표면의 광학특성을 변경함으로써 기록마크로서 사용자 데이터를 기록하기 위한 제 1 데이터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제 2 기록영역은 나선 혹은 동심원 형상으로 상기 광 디스크 기판 상에 배열된 물리적인 피트 로우로 형성된 제 2 트랙을 포함하며, 상기 제 2 트랙 각각은 복수의 제 2 섹터로 분할되고, 상기 제 2 섹터 각각은 상기 제 2 섹터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 데이터를 갖는 제 2 헤더영역 및 상기 피트 로우로서 기록된 판독 전용 데이터를 갖는 제 2 데이터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및 제 2 기록영역의 데이터열은 동일한 변조 코드로 변조되고, 상기 제 1 및 제 2 헤더영역은 동일한 데이터 시퀀스를 가지며, 상기 제 1 및 제 2 데이터 영역은 동일한 데이터 시퀀스 및 동일한 데이터 용량을 갖는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제 1 섹터 각각은 상기 제 1 헤더영역과 상기 제 1 데이터 영역 사이에 형성된 제 1 더미 데이터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제 2 섹터 각각은 상기 제 2 헤더영역과 상기 제 2 데이터 영역 사이에 형성된 제 2 더미 데이터 영역 및 상기 제 2 데이터 영역과 다음 제 2 섹터의 제 2 헤더영역 사이에 형성된 제 3 더미 데이터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제 2 및 제 3 더미 데이터 영역 각각은 이의 적어도 일부분에 상기 광 디스크 기판 상의 인접한 트랙 안쪽이나 바깥쪽에, 대응하는 데이터 영역의 데이터열과 상이한 데이터열의 데이터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제 2 및 제 3 더미 데이터 영역 각각은 적어도 그 일부분에, 인접 트랙 상의 대응하는 더미 데이터 영역 상에 제공된 데이터열과 실제적으로 상관성이 없는 랜덤 데이터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디스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랜덤 데이터열은 M-열 시퀀스에 의해 발생된 데이터열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제 2 및 제 3 더미 데이터 영역 각각은 그의 일부분에, 인접 트랙 상의 대응하는 더미 데이터 영역 상에 형성된 데이터열과 실제적으로 상관성이 없는 랜덤 데이터열 및 상기 랜덤 데이터열 다음에 제공된 변조 코드 내에 포함된 특정 시퀀스 패턴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제 2 및 제 3 더미 데이터 영역 각각은 이의 적어도 일부분에, 상기 제 2 데이터 영역의 시작 타이밍 위치를 명시하기 위한 데이터 동기열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제 2 및 제 3 더미 데이터 영역에 포함된 상기 데이터 동기열은 상기 데이터 동기열의 패턴이 복수의 상이한 데이터 동기패턴 중에서 매 트랙마다 스위치되도록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제 2 및 제 3 더미 데이터 영역 각각은 이의 적어도 일부분에, 상기 섹터 식별 데이터 내의 주소정보에 기초하여 소정의 데이터를 스크램블하고 상기 스크램블된 데이터를 상기 변조 코드로 변조하여 발생된 패턴을 갖는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하나의 에러 정정 블록은 상기 제 1 혹은 제 2 섹터의 소정 개수 k(k는 정수)를 포함하며, 데이터는 k의 배수개의 섹터 상에 기록되고, 더미 데이터는 k보다 작은 잔유 섹터에 기록된다.
또한, 본 발명의 광 디스크는 재기록 가능한 제 1 기록영역 및 판독 전용의 제 2 기록영역을 가지며, 상기 제 1 기록영역은 홈들로 구성된 홈트랙 및 인접 홈들간의 공간으로 이루어진 랜드트랙으로 구성된 제 1 트랙을 포함하며, 상기 홈트랙 및 상기 랜드트랙은 나선 혹은 동심원 형태로 교대로 광 디스크 기판 상에 형성되며, 상기 제 1 트랙 각각은 복수의 제 1 섹터로 분할되고, 상기 제 1 섹터 각각은 상기 제 1 섹터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 데이터를 갖는 제 1 헤더영역 및 기록표면의 광학특성을 변경하여 얻어진 기록마크를 형성함으로써 사용자 데이터를 기록하기 위한 제 1 데이터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제 2 기록영역은 나선 혹은 동심원 형상으로 상기 광 디스크 기판 상에 배열된 물리적인 피트 로우로 형성된 제 2 트랙을 포함하며, 상기 제 2 트랙 각각은 복수의 제 2 섹터로 분할되고, 상기 제 2 섹터 각각은 상기 제 2 섹터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 데이터를 갖는 제 2 헤더영역 및 상기 피트 로우로서 기록된 판독 전용 데이터를 갖는 제 2 데이터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및 제 2 데이터 영역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데이터 영역의 시작 타이밍 위치를 명시하는 상기 데이터 영역의 헤드에 제공된 제 1 데이터 동기열; 상기 데이터 영역의 시작 타이밍 위치를 명시하는 상기 제 1 데이터 동기열에 선행하는 제 2 데이터 동기열; 및 상기 제 2 데이터 동기열에 선행하며 상기 데이터 영역 내의 변조 코드의 특정한 반복 시퀀스 패턴을 갖는 제 3 데이터 동기열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데이터 영역은 복수의 데이터 블록으로 분할되고, 상기 제 1 데이터 동기열은 상기 데이터 블록 각각의 헤드에 제공되고, 상기 제 2 데이터 동기열은 상기 복수의 데이터 블록 중 제 1 블록의 헤드에 제공된 상기 제 1 데이터 동기열에 선행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제 2 데이터 동기열 내의 "1" 및 "0"을 각각 "1", "-1"로 변환하고 모든 값을 합산하여 얻어진 디지털 합산값은 실제적으로 제로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제 2 데이터 동기열은 데이터 영역의 마크 길이("1" 혹은 "0" 레벨) 및 스페이스 길이("0" 혹은 "1" 레벨)의 변조 코드 규칙 하에서 한계값으로서 최대길이 및 최소길이를 만족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제 2 데이터 동기열의 상기 마크 길이 및 스페이스 길이의 평균은 상기 제 3 데이터 동기열의 마크 길이 및 스페이스 길이보다 크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제 2 데이터 동기열은 4비트 코드 심벌, "100", "10", "1000", "1", "0" 중 복수의 어느 것의 조합으로 구성된 데이터열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제 2 데이터 동기열은 코드열, "0000 0100 0100 1000 0010 0001 0010 0000 1000 0010 0001 0000"을 포함하는 데이터열이다.
따라서, 여기 기술된 본 발명은 광 디스크를 사용하는 기록/재생 장치의 회로크기를 감소시키며 안정된 재생을 제공할 수 있는 재기록 가능 영역 및 판독 전용 영역을 갖는 광 디스크를 제공하는 잇점을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의 이들 및 다른 잇점은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읽고 이해할 때 이 분야에 숙련된 자들에게 명백하게 될 것이다.
(예 1)
이 예의 광 디스크는 사용자가 광 디스크에 데이터 기록 및 이로부터 데이터를 재생할 수 있도록 디스크 기판 상에 형성된 기록막을 갖는다. 도 1에서, 이 예의 광 디스크(1)는 이의 내외부에 위치한 판독 전용 영역(2 및 3), 및 판독 전용 영역(2)와 (3) 사이에 위치한 재기록 가능 영역(5)을 포함한다.
판독 전용 영역(2, 3)에서, 나선형 혹은 동심원 형태로 형성된 오목 및 볼록한 형태의 피트 로우는 트랙을 형성한다. 피트 로우 내의 각각의 피트의 길이 및 위치는 판독 전용 영역(2, 3) 상에 기록된 판독 전용 데이터에 따라 결정되어 있다. 재기록 가능 영역(5)에서, 안내홈(안내트랙; 6)은 디스크 기판 상에 나선형 혹은 동심원 형태로 형성된다. 정보 및 데이터는 안내홈의 홈부인 홈트랙 혹은 인접한 홈들 사이의 랜드트랙을 따라 기록된다. 이하, 홈트랙 및 랜드트랙을 일괄하여 정보트랙이라 칭한다. 도 1에서, 어느 한 영역 상의 나선형 트랙이 도시되었다.
재기록 가능 영역(5) 내의 각각의 정보트랙은 복수의 섹터로 분할된다. 각각의 섹터는 섹터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 데이터를 갖는 제 1 헤더영역 및 기록막의 광학특성을 변경함으로써 기록마크를 형성하여 사용자 데이터를 저장하는 제 1 데이터 영역을 포함한다. 마찬가지로, 판독 전용 영역(2 및 3) 내의 각각의 트랙은 복수의 섹터로 분할된다. 각각의 섹터는 섹터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 데이터를 갖는 제 2 헤더영역 및 피트 로우 형태로 기록된 판독 전용 데이터를 갖는 제 2 데이터 영역을 포함한다. 이러한 식으로, 광 디스크의 한 회전에 대응하는 각각의 트랙을 복수의 섹터(데이터 단위)로 분할함으로써, 광 디스크 상의 필요 데이터의 위치 유지 및 고속 데이터 재생이 실현될 수 있다.
도 2a 내지 도 2h는 이 예에서 광 디스크(1)의 데이터 형식을 도시한 것이다. 재기록 가능 영역(5)의 데이터 형식에 대해 먼저 기술한다. 도 2a는 재기록 영역(5)의 각각의 섹터(10)의 데이터 형식의 예를 도시한 것이며, 도 2c는 정보트랙의 대응하는 물리적 형상을 도시한 것이다. 도 2a는 도 2c와 비교하기 위해 물리적 형상에 대응하여 2개의 정보트랙의 데이터 형식을 도시한 것이다. 도 2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안내트랙(6)의 홈부는 홈트랙(7)에 대응하는 반면, 홈간부(inter-groove portion)는 랜드트랙(8)에 대응한다. 따라서, 홈트랙(7) 및 랜드트랙(8)은 번갈아가며 광 디스크(1)의 재기록 가능 영역(5)에 나타난다. 사용자는 홈트랙(7) 및 랜드트랙(8)을 따로따로 트래킹함으로써 홈트랙(7) 및 랜드트랙(8) 모두에 소망하는 정보(사용자 데이터)를 기록할 수 있다.
도 2a에서, 섹터(10)는 제 1 헤더영역(11)(섹터 식별 데이터(PID1 및 PID2)) 및 정보영역(20)을 포함한다. 미러 마크(12)(M) 및 갭 영역(13)(GAPa 및 GAPb)은 제 1 헤더영역(11)과 정보영역(20) 사이에 형성된다. 정보영역(20)은 이하 상세히 기술되는, 제 1 더미 데이터 영역(15)(VFO 영역(VFOa 및 VFOb)), 제 1 데이터 영역(17; DATAa 및 DATAb), 및 보호 데이터 영역(18; GDa 및 GDb)를 포함한다. 버퍼영역(19)(BUFa 및 BUFb)은 정보영역(20)과 다음 섹터(10')의 제 1 헤더영역(11') 사이에 형성된다. 상기 약칭된 코드(예를 들면, VFOa 및 DATAa)의 접사 a는 영역이 홈트랙(7) 상에 형성됨을 나타내며, 접사 b(예를 들면, VFOb 및 DATAb)는 영역이 랜드트랙(8) 상에 형성됨을 나타낸다. 이것은 다른 것이 명시되지 않는 한, 다음 설명에서도 적용될 수 있다.
도 2c에서, 제 1 헤더영역(11)은 물리적으로 형성된 오목 및 볼록 형태의 피트 로우(21)(21a 및 21b)를 포함한다. 광 디스크의 방사방향으로 피트 로우(21)의 각 피트의 폭은 안내홈(6)(홈트랙(7))의 폭과 거의 같다. 피트 로우(21a 및 21b)는 안내홈(6)의 피치(즉, 홈피치 Tp)의 약 4분의 1만큼, 안내홈(6)의 중심선으로부터 밖으로 그리고 안쪽으로 변위되어 있다. 즉 워블되어 있다. 이 예에서, 제 1 헤더영역(11)은 전반부(11a)와 후반부(11b)로 분할된다. 전반부(11a)에 대응하는 피트 로우(21a)는 광 디스크(1)의 주변으로 밖으로 변위되어 있고, 후반부(11b)에 대응하는 피트 로우(21b)는 안쪽으로 변위되어 있다.
이와 같이 피트 로우(21a 및 21b)가 안내홈(6)(안내트랙(7))의 중심선으로부터 변위되어 있어, 제 1 헤더영역(11)은 홈트랙(7) 및 랜드트랙(8)의 서보 트래킹에 공통으로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홈트랙(7) 및 랜드트랙(8)용의 별도의 전용 헤더영역이 필요없다.
전용 헤더영역이 홈트랙(7) 및 랜드트랙(8)용으로 필요하다면, 홈트랙(7) 및 랜드트랙(8) 상의 각각의 피트 로우가 서로 겹치지 않도록 안내홈(6)보다 작은 폭을 갖는 피트 로우를 형성하는 기술이 필요하다. 이러한 협 피트는 안내홈(6)을 커팅하기 위한 광빔과는 상이한 광빔을 사용하여 형성될 수도 있다. 그러나, 2개의 빔간의 위치 정확성을 안정하게 유지하기란 곤란하다.
이 예에서, 안내홈(6)을 커팅하기 위한 광빔은 커팅을 위한 또 다른 빔을 사용하지 않고 고정밀도로 쉽게 광 디스크(1) 상에 제 1 헤더영역(11)(피트 로우(21))을 형성하기 위해서 AO 변조기 등을 사용하여 안내홈(6)(안내트랙(7))의 중심선으로부터 좌우측으로 워블된다.
헤더 영역(11) 다음의 미러 마크 영역(12)은 홈트랙(7)이나 랜트트랙(8) 중 어느 트랙이 트래킹되고 있는지 결정하는데 사용된다.
갭 영역(13)(13a 및 13b)은 광 디스크(1)의 회전에 기인하여 지터가 발생한 때 정보영역(20)의 헤드(14)가 미러 마크 영역(12)이나 제 1 헤더 영역(11)에 겹치는 것을 회피하기 위해서 홈트랙(13a) 및 랜드트랙(13b) 상에 형성된다.
정보영역(20)은 사용자가 소망하는 데이터를 기록할 수 있는 영역으로 상기 기술된 바와 같이 제 1 더미 데이터 영역(15; VFOa 및 VFOb), 제 1 데이터 영역(17; DATAa 및 DATAb), 및 보호 데이터 영역(18; GDa 및 GDb)을 포함한다(도 2a 참조). 정보는 기록막의 광학특성을 변경시키기 위해서 레이저 빔으로 광 디스크(1) 상에 형성된 기록막을 조사함으로써 정보영역(20)에 기록된다. 예를 들면, 기록막의 조사된 부분은 결정질 상태에서 비정질 상태로 변화되어 다른 부분과는 다른 반사율을 가진 기록마크를 형성하게 된다. 도 2c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록마크 어레이(22a)는 홈트랙(7) 상에 형성되며, 기록마크 어레이(22b)는 랜드트랙(8) 상에 형성된다.
버퍼영역(19)은 어떠한 데이터도 포함하지 않으나, 갭 영역(13)의 경우와 같이 광 디스크(1)의 회전에 기인하여 지터가 발생한 때, 정보영역(20)의 말미가 다음 섹터(10')의 헤더영역(11')에 겹치는 것을 회피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재기록 가능 영역(5)에서, 데이터는 상기 기술된 데이터 형식에 따라 홈트랙(7) 및 랜드트랙(8)에 기록된다.
다음에, 판독 전용 영역(2 및 3)의 데이터 형식에 대해 도 2b 및 도 2d를 참조하여 기술한다. 도 2b는 판독 전용 영역(2 및 3)의 각각의 섹터(10)의 데이터 형식의 예를 도시한 것이며, 도 2d는 대응하는 피트 어레이의 트랙의 물리적 형상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판독 전용 영역(2 및 3)에서, 트랙(9)은 기록되어 있는 피트 로우(29)(프리-피트 로우)로 구성된다. 도 2d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피트 로우는 판독 전용 영역(2 및 3) 내의 전체 데이터 영역에 걸쳐 동일한 물리적 형식에 따라 형성된다. 즉, 광 디스크(10)의 방사방향으로 피트 로우(29)의 폭은 재기록 가능 영역(5) 내에 형성된 안내홈(6)(안내트랙(7))의 폭보다 작으며, 모든 피트는 트랙의 중심선을 따라 거의 일렬로 되어 있다.
재기록 가능 영역(5)처럼, 판독 전용 영역(2)의 각각의 트랙은 광 디스크 상의 필요 정보 데이터의 위치를 유지하고 고속 데이터 재생을 실현하도록 데이터 기록을 위한 복수의 섹터(30)로 분할된다. 판독 전용 영역(2 및 3) 및 재기록 가능 영역(5)의 섹터들이 동일한 방식으로 관리되고 섹터 재생과 같은 처리가 단일화된다면 실제적인 정보 기록/재생에서 바람직할 것이다. 이러한 단일화된 처리를 실현하기 위해서, 이 예에서, 판독 전용 영역(2 및 3) 내의 각 섹터의 길이 및 각각의 섹터의 헤더 영역 및 데이터 영역의 길이는 재기록 가능 영역(5) 내의 각 섹터의 길이 및 헤더영역과 데이터 영역의 길이와 동일하게 만들어져, 판독 전용 영역 내의 데이터 형식과 재기록 가능 영역 내의 데이터 형식이 일치하게 된다.
판독 전용 영역(2 및 3)의 특정한 데이터 형식에 대해 예로서 기술하겠다. 도 2b에서, 섹터(30)는 제 2 헤더영역(31)(섹터 식별 데이터(PID1 및 PID2)) 및 제 2 데이터 영역(37)을 포함한다. 제 2 더미 데이터 영역(35)(VFO1)은 제 2 헤더영역(31)과 제 2 데이터 영역(37) 사이에 형성된다. 제 3 더미 데이터 영역(38)(VFO2)은 제 2 데이터 영역(37)과 다음 섹터(30')의 제 2 헤더 영역(31) 사이에 형성된다.
도 2d에서, 제 2 헤더영역(31)의 피트 로우(29)는 트랙(9)의 중심선을 따라 실제적으로 일렬로 되어 있고, 재기록 가능 영역(5) 내의 제 1 헤더영역(11)과 같이 바깥쪽 및 안쪽으로 변위되어 있지 않다. 판독 전용 영역(2 혹은 3) 내의 피트 로우(29)(광 디스크(1)의 방사방향으로 피트폭)는 홈폭과 거의 동일한 재기록 가능 영역(5) 내의 피트 로우(21) 상의 폭과 달리 홈폭보다 작다.
제 2 데이터 영역(37)에서, 역시 오목 및 볼록한 형태의 피트 로우는 기록을 위한 데이터에 따라 광 디스크(1) 상의 트랙(9)의 중심선을 따라 사전에 형성되어 있다.
도 2a 및 도 2b로부터 알 수 있듯이, 재기록 가능 영역(5) 내의 제 1 헤더영역(11)과 판독 전용 영역(2) 내의 제 2 헤더영역(31)은 데이터 용량, 데이터 형식(신호 시퀀스), 및 변조 코드가 동일하다.
또한, 재기록 가능 영역(5) 내의 제 1 데이터 영역(17) 및 제 2 데이터 영역(37) 내의 제 2 데이터 영역(37)은 데이터 용량, 데이터 형식(신호 시퀀스), 및 변조 코드가 동일하다.
더욱이, 도 2a 및 도 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재기록 가능 영역(5)의 제 1 데이터 영역(17) 내의 헤드(시작 타이밍)(16) 및 판독 전용 영역(2 및 3)의 제 2 데이터 영역(37) 내의 헤드(시작 타이밍)(37)는 서로 일치하고 있다.
따라서, 제 1 및 제 2 헤더영역(11 및 31)에 대해 동일한 형식(신호 시퀀스), 재기록 가능 영역(5) 및 판독 전용 영역(2 및 3) 내의 제 1 및 제 2 데이터 영역(17 및 37)에 대해 동일한 형식을 사용함으로써, 하나의 재생신호 처리회로를 양쪽 형태의 영역이 공유할 수 있고, 따라서 회로 크기를 줄일 수 있다.
제 2 더미 데이터 영역(35)은 제 2 헤더 영역(31)과 제 2 데이터 영역(37) 사이에 어떠한 피트 로우도 형성되어 있지 않을 경우 발생할 수 있는 트래킹 에러의 불연속에 기인하여 서보 트래킹이 불안정하게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형성된다. 제 2 더미 데이터 영역(35)은 예를 들면, 재기록 가능 영역(5)의 제 1 더미 데이터 영역(VFO 영역)(15)에 대해 사용된 것과 동일한 변조 코드의 특정한 데이터 패턴을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으로, 재생된 신호 처리 회로의 PLL이 신속하고 안정하게 클럭킹될 수 있다. 랜덤 데이터 혹은 임의의 다른 데이터 또한 서보 트래킹을 안정화하기 위해서 사용될 수도 있다.
제 3 더미 데이터 영역(38)은 제 2 더미 데이터 영역(35)에서처럼, 트래킹 에러 신호의 불연속에 기인하여 서보 트래킹이 불안정하게 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기술된 바와 같이, 판독 전용 영역(2 및 3)에서, 제 2 헤더영역(31) 및 제 2 데이터 영역(37)에서 피트 로우는 트랙(9)의 중심선을 따라 일렬로 되어 있다. 더욱이, 제 2 및 제 3 더미 데이터 영역(35 및 38)은 섹터(30)의 제 2 헤더영역(31)과 제 2 데이터 영역간 공간과, 섹터(30)의 제 2 데이터 영역(37)과 다음 섹터(30')의 제 2 헤더영역(31')간 공간을 채운다. 결국, 피트 로우(29)의 물리적 구성은 판독 전용 영역(2 및 3) 전체에 걸쳐 트랙을 따라 균일하다.
따라서, 이 예의 광 디스크(1)의 데이터 형식에 따라, 제 1 헤더영역(11)은 홈트랙(7) 및 랜드트랙(8) 모두의 트래킹에 공통으로 사용된다. 따라서, 홈트랙(7) 및 랜드트랙(8)용의 별도의 전용 헤더영역이 필요없다.
제 1 헤더영역(11)은 트랙중심으로부터 좌우측으로 안내홈(6)(홈트랙(7))을 커팅하기 위한 광빔을 워블링함으로써 광 디스크 상에 쉽고 정밀하게 형성될 수 있기 때문에, 제 1 헤더영역을 형성하기 위한 별도의 전용 광원은 필요하지 않다. 따라서, 이 예의 광 디스크(1)의 재기록 가능 영역(5) 내에 프리포맷을 커팅용 단일 광원을 사용하여 쉽게 형성할 수 있어 이 광 디스크(1)를 위한 기록/재생 장치의 회로크기를 줄인다.
도 3은 상기 기술된 데이터 형식을 갖는 이 예의 광 디스크(1)에 데이터를 기록 및 이로부터 데이터를 재생하는 광 디스크 기록/재생 장치(100)의 재생신호 처리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에서, 광 디스크 기록/재생 장치(100)의 재생신호 처리부는 2부분 광학 검출기(110), 합산 증폭기(111), 차동 증폭기(112), 스위치 회로(113), 디지털화 회로(114), PLL(위상 록 루프; 115), PID 발생회로(116), 타이밍 발생회로(117), 복조기(118), 및 엔벨로프 검출회로(120)를 포함한다.
광학 헤드(도시없음) 내에 배치된 2부분 광학 검출회로(110)(110a 및 110b)는 광 디스크(1)의 재기록 가능 영역(5) 내의 홈트랙(7) 및 랜드트랙(8)(기록마크 어레이(22) 및 피트 로우(21))으로부터 반사된 광 및 판독 전용 영역(2, 3) 내의 트랙(9)(피트 로우(29))으로부터 반사된 광을 수신하여, 재생신호로 변환한다.
합산 증폭기(111)는 2부분 광학 검출회로(110)의 2부분(110a, 110b)으로부터 얻어진 2개의 검출신호의 합을 나타내는 합신호(S1)를 생성하여 스위치 회로(113)로 공급한다. 차동 증폭기(112)는 2개의 검출신호들간 차이를 나타내는 차신호(S2)를 생성하여 엔벨로프 검출회로(120)로 공급한다.
스위치 회로(113)는 합신호(S1)와 차신호(S2)간에 스위치하여 어느 한 신호를 디지털화 회로(114)로 공급한다. 엔벨로프 검출회로(120)는 차신호(S2)의 엔벨로프를 검출한다. 소정 임계치를 넘는 진폭이 차신호(S2)에서 관찰될 때, 제어신호(S3)가 스위치 회로(113)에 공급되어 스위치 회로(113)를 강제로 스위치시켜 출력신호(S4)로서 차신호(S2)를 출력하게 한다.
도 2a 내지 도 2d에 도시한 데이터 형식을 사용한 경우, 차신호(S2)는 이하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재기록 가능 영역(5)의 제 1 헤더영역(11)으로부터 얻어질때만 얻어진다. 따라서, 엔벨로프 검출회로(120)로부터 출력된 제어신호(S3)는 재기록 가능 영역(5)의 제 1 헤더영역(11)이 검출될 때만 하이로 된다(도 2e). 그러므로 스위치 회로(113)로부터 출력신호(S4)는 단지 제 1 헤더영역(11)에서의 차신호(S2)와 동일하다. 스위치 회로(113)로부터 출력신호(S4)는 재기록 가능 영역(5) 및 전체 판독 전용 영역(2, 3) 내의 정보영역(20)에서 합신호(S1)와 동일하다.
스위치 회로(113)로부터 출력신호(S4)(합신호(S1) 혹은 차신호(S2))는 디지털화 회로(114)에 의해서 2진 신호로 디지털화된다. 예를 들면, 디지털화 회로(114)는 합신호(S1) 및 차신호(S2) 각각에 대한 임계치에 따라 신호(S4)를 디지털화하여 디지털신호(S5)를 PLL(115)로 출력한다.
PLL(115)은 디지털신호(S5)로부터 재생클럭을 추출하여, 헤더영역으로부터 섹터 식별신호를 재생하는 PID 발생회로(116)로 재생클럭을 출력한다. 타이밍 발생회로(117)는 데이터 영역(17, 37))에 기록된 사용자 데이터를 읽기 위한 시작 타이밍(도 2a에 도시한 기록 데이터의 헤드(16) 및 도 2b에 도시한 기록 데이터의 헤드(36))을, PID 발생회로(116)로부터의 섹터 식별신호에 기초하여 결정하여, 제어신호(S6)를 공급함으로써 복조기(118)를 초기화한다. 복조기(118)는 사용자 데이터를 복조하여 그 결과를 출력한다.
이하, 재기록 가능 영역(5)의 정보트랙에 기록된 데이터(즉, 정보영역(20)에 미리 기록된 사용자 데이터)가 2진 신호로 변환될 때까지 재생될 때 얻어진 신호의 파형을 기술한다. 도 2g는 재기록 가능 영역(5)으로부터 얻어진 합신호(S1)의 출력파형이며, 도 2f는 차신호(S2)의 출력파형이다.
도 2g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재기록 영역(5)의 제 1 헤더영역(11)에 대응하는 합신호(S1)의 부분은 그 진폭(41)이 디지털화하기 위한 소정의 임계치(40)보다 작기 때문에 디지털화 회로(114)에 의해서 검출되지 않는다. 진폭이 작은 이유는 제 1 헤더영역(11)의 피트 로우는 홈트랙의 중심선으로부터 바깥쪽(11a)이나 안쪽(11b)으로 약간 변위되어 있기 때문이다. 이것은 광(광학 헤드로부터 광빔)이 피트 로우(21a 및 21b)에 의해 회절되게 하며, 이에 따라 광학 검출회로(110)에 의해 수신된 광량을 감소시킨다.
반대로, 데이터가 기록되어 있는 정보영역(20)에 대응하는 합신호(S1)의 진폭(42)은 기록마크(22)가 정보트랙의 중심선을 따라 형성되기 때문에 디지털화하기 위한 임계치(40)을 초과한다. 그러므로, 합신호는 디지털화 회로(114)에 의해서 검출되고, 재생신호가 얻어진다.
도 2f는 재기록 가능 영역(5)으로부터 얻어진 차신호(S2)의 출력을 도시한 것이다. 재기록 가능 영역(5)의 제 1 헤더영역(11)의 영역(11a) 내의 피트 로우(21a)가 바깥쪽으로 변위되어 있기 때문에, 대량의 반사광이 2부분 광학 검출 회로(110)의 바깥쪽 부분(110a)으로 회절된다. 따라서, 2부분 광학 검출회로(110)로부터 출력된 차신호(S2)는 도 2f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지털화하기 위한 정임계치(positive threshold)(50a)를 초과하는 진폭(51a)을 갖는다. 그러므로 차신호는 디지털화 회로(114)에 의해서 검출되어, 재생신호가 얻어진다.
마찬가지로, 제 1 헤더영역(11)의 영역(11b) 내의 피트 로우(21b)는 안쪽으로 변위되어 있기 때문에, 대량의 반사광이 2부분 광학 검출회로(110)의 안쪽 부분(110a)으로 회절된다. 따라서, 2부분 광학 검출회로(110)로부터 출력된 차신호(S2)는 도 2f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지털화하기 위한 부임계치(negative threshold)(50b)를 초과하는 진폭(51b)을 갖는다. 그러므로 차신호(S2)는 디지털화 회로(114)에 의해서 검출되어, 재생신호가 얻어진다.
반대로, 재기록 가능 영역(5)의 정보영역(20)에서, 기록마크 어레이(22)는 정보트랙의 중심선을 따라 형성되기 때문에, 2부분 광학 검출회로(110)의 바깥쪽 및 안쪽부분(110a, 110b)에 의해 수신된 광량은 거의 동일하다. 그러므로, 차신호(S2)의 진폭(52)은 너무 작아 도 2f에 도시한 바와 같은 디지털화하기 위한 임계치(51a)(51b)에 도달할 수 없다. 마찬가지로, 판독 전용 영역(2, 3)에서, 피트 로우(29)는 트랙(9)의 중심선을 따라 형성되기 때문에, 2부분 광학 검출회로(110)의 바깥쪽 및 안쪽부분(110a, 110b)에 의해 수신된 광량은 거의 동일하다. 그러므로, 제 1 헤더영역(11) 이외의 영역에서, 차신호(S2)는 디지털화에 의해서 검출되지 않으므로, 어떠한 재생신호도 얻어지지 않는다.
도 2h는 판독 전용 영역(2, 3)으로부터 얻어진 합신호(S1)의 출력파형을 도시한 것이다. 도 2h에서, 피트 로우(29)는 판독 전용 영역(2, 3)에서 서보 트래킹을 위해 트랙(9)의 중심선을 따라 형성되기 때문에, 합신호(S1)는 디지털화함으로써 검출되기에 충분히 큰 진폭(43)을 갖는다. 그러므로, 제 2 헤더영역(31) 및 제 2 데이터 영역(37)을 포함하는 재생전용 영역(2, 3) 내의 모든 영역으로부터 신호는 합신호(S1)를 사용하여 2진 신호로 변환될 수 있다. 그러므로, 판독 전용 영역(2, 3)을 위한 스위치회로(113)를 스위치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상기 기술된 데이터 형식을 갖고, 광 디스크(1)로부터 정보를 재생하기 위한 광 디스크 기록/재생 장치(100)에서, 재기록 가능 영역 및 재생전용 영역을 위한 별도의 재생신호 처리 회로가 필요하지 않고 공통의 신호처리부를 사용할 수 있다. 이것은 광 디스크 기록/재생 장치의 회로크기를 줄이며, 간단한 회로구성 및 높은 신뢰성을 갖는 재생신호 처리회로를 실현한다.
(예 2)
도 4a 내지 도 4h는 본 발명에 따른 예 2의 광 디스크의 데이터 형식을 도시한 것이다. 이 예의 광 디스크의 기본구성은 예 1의 광 디스크(1)와 동일하다. 동일 구성요소는 동일 참조부호로 표시하였으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 예에서, 광 디스크의 한 회전에 대응하는 하나의 트랙은 복수의 섹터로 분할된다. 각각의 섹터는 섹터의 주소정보를 나타내는 섹터 식별 데이터를 포함하는 헤더영역으로 시작한다. 이 예에서, 판독 전용 영역에서의 데이터 형식을 주로 설명하겠다.
도 4a는 재기록 가능 영역(5) 내의 각각의 섹터(10)의 데이터 형식의 예를 보인 것이며, 도 4c는 대응하는 물리적 형상을 도시한 것이다. 도 4c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홈 형상 안내트랙(6)의 홈부는 홈트랙(7)을 구성하며, 홈간부는 랜드트랙(8)을 구성한다. 이러한 홈트랙(7) 및 랜드트랙(8)은 광 디스크(1)의 재기록 가능 영역(5)에서 번갈아 가며 나타난다. 사용자는 홈트랙(7) 및 랜드트랙(8)을 별도로 트래킹함으로서 홈트랙(7) 및 랜드트랙(8)에 소망하는 정보(사용자 데이터)를 기록할 수 있다.
이 예에서, 도 4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홈트랙(7) 및 랜드트랙(8)은 정보트랙(6')으로서 일괄 지칭한다. 재기록 가능 영역(5) 내의 섹터(10)는 헤드에 제 1 헤더영역(11)을 포함한다. 제 1 헤더영역(11)은 전반부(11a)(섹터 식별 데이터(PID1)) 및 후반부(11b)(섹터 식별 데이터(PID2))로 분할된다. 물리적인 오목 및 볼록 형상의 피트 로우(21a, 21b)는 각각 전반부(11a) 및 후반부(11b)에 대응하여 형성된다.
도 4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스크의 방사방향으로 피트 로우(21a, 21b)의 각각의 피트의 폭은 안내홈(6)(홈트랙(7))의 폭과 거의 동일하다. 피트로우(21)는 안내홈(6)의 피치(홈피치 Tp)의 약 4분의 1만큼 안내홈(6)의 중심선으로부터 바깥쪽이나 안쪽(즉, 반대 방향으로)으로 변위(워블)된다. 이 예에서, 피트 로우(21a)는 안쪽으로 변위되어 있고 피트 로우(21b)는 바깥쪽으로 변위되어 있다.
따라서, 안내홈(6)(안내트랙(7))의 중심선으로부터 피트 로우(21a, 21b)를 변위시킴으로써, 제 1 헤더영역(11)을 홈트랙(7) 및 랜드트랙(8) 중 어느 트랙을 트래킹하는데 공통으로 사용된다. 따라서, 홈트랙(7) 및 랜드트랙(8)용의 별도의 전용 헤더영역은 필요없다.
도 4a에서, 미러영역(12)(M)은 제 1 헤더영역(11) 다음에 있다. 미러영역(12)은 이에 홈이나 피트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평탄한 것으로 서보 트래킹의 오프셋을 결정하는데 사용된다.
갭 영역(13)(GAP)은 미러영역(12) 다음에 있다. 갭 영역(13)(GAP)은 광 디스크(1)의 회전에 기인하여 지터가 발생한 때 정보영역(20)의 헤드(24)가 미러영역(12) 혹은 제 1 헤더영역(11)과 겹치는 것을 회피하도록 정보트랙(6') 상에 형성된다.
정보 및 데이터를 저장하는 정보영역(20)은 제 1 안내 데이터 영역(23), 제 1 더미 데이터 영역(15)(VFO), 제 1 데이터 영역(17)(DATA), 및 제 2 안내 데이터 영역(18)(GD2)를 포함한다. 버퍼영역(19)(BUF)는 정보영역(20)과 다음 섹터(10')의 제 1 헤더영역(11') 사이에 형성된다.
제 1 보호 데이터 영역(23)은 재생신호 처리회로의 안정성을 확보하도록 형성된다. 제 1 더미 데이터 영역(15)(VFO)은 재생신호 처리회로의 PLL을 신속하고 안정하게 클럭킹하기 위해서 데이터의 변조에 사용되는 변조 코드의 특정 패턴(특정 비트 길이)이 실제적으로 기록되는 VFO 영역이다. 데이터 정정 코드를 포함하는 소망하는 사용자 데이터는 제 1 데이터 영역(17)에 기록된다. 제 2 안내 데이터 영역(18)은 재생신호 처리회로의 안정성을 확보하도록 제 1 데이터 영역(17) 다음에 형성된다. 아무 데이터도 없는 버퍼영역(19)은 갭 영역(13)과 같이, 광 디스크(1)의 회전에 기인하여 지터가 발생한 때 정보영역(20)의 말미가 다음 섹터(10')의 헤더영역(11')과 겹치는 것을 회피하기 위해 형성된다.
정보는 기록막의 광학특성(반사율)을 변경하도록 광 디스크(1)의 디스크 기판 상에 형성된 기록막을 조사함으로써 정보영역(20) 상에 기록된다. 예를 들면, 기록막의 조사된 부분은 결정질 상태에서 비정질 상태로 변화되어 다른 부분과 다른 반사율을 가진 기록마크를 형성할 수 있다. 도 4c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록마크 어레이(22a)는 홈트랙(7) 상에 형성되며, 기록마크 어레이(22b)는 랜드트랙(8) 상에 형성된다.
따라서, 재기록 가능 영역(5)의 각각의 영역에서, 홈트랙(7) 및 랜드트랙(8)은 그 영역에 데이터를 기록하기 위한 상기 언급된 데이터 형식에 따라 형성된다.
도 4b 및 도 4d에서, 판독 전용 영역(2, 3)에 데이터 형식을 기술한다. 이 예에서, 예 1과 같이, 판독 전용 영역의 데이터 형식은 재기록 가능 영역의 데이터 형식과 일치한다. 도 4b는 판독 전용 영역(2, 3) 내의 각각의 섹터(30)의 데이터 형식의 예를 도시한 것이며, 도 4b는 피트 로우로 구성된 트랙의 대응하는 물리적 형상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판독 전용 영역(2, 3)에서, 트랙(9)은 미리 기록된 피트 로우(프리-피트)로 구성된다. 도 4d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판독 전용 영역(2, 3) 내의 모든 피트 로우는 예 1과 같이 균일한 물리적 형식에 따라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광 디스크(1)의 방사방향으로 피트 로우(29)의 폭(피트폭)은 재기록 가능 영역(5)에 형성된 안내홈(6)(안내트랙(7))보다 작으며, 모든 피트는 서보 트래킹을 위한 트랙의 중심선을 따라 실제적으로 일렬로 되어 있다.
도 4b에서 판독 전용 영역(2, 3) 내의 섹터(30)는 제 2 헤더영역(31)(섹터 식별 데이터(PID1, PID2)) 및 제 2 데이터 영역(37)(DATA)을 포함한다. 제 2 더미 데이터 영역(33)(DMY1)은 제 2 헤더 영역(31)과 제 2 데이터 영역(37) 사이에 형성된다. 제 3 더미 데이터 영역(34)(DMY2)는 제 2 데이터 영역(37)과 다음 섹터(30')의 제 2 헤더영역(31') 사이에 형성된다.
제 2 헤더영역(31)의 섹터 식별 데이터(PID1, PID2)는 제 1 헤더영역(11)의 섹터 식별 데이터(PID1, PID2)에 따라, 각각 제 2 헤더영역(31)의 전반부와 후반부에 반복하여 기록됨으로써, 제 2 헤더영역(31)의 길이는 실제적으로 제 1 헤더영역(11)과 동일하게 된다. 그러나, 제 2 헤더영역의 오목 및 볼록 형상의 피트 로우는 제 1 헤더영역(11)의 피트 로우(21a, 21b)처럼 워블되지 않고, 서보 트래킹을 위한 트랙(9)의 중심선을 따라 일렬로 된다.
하나의 섹터(30)의 제 2 데이터 영역(37)에 기록된 정보량은 재기록 가능 영역(5)의 한 섹터(10)에 기록된 것과 동일하게 만들어져, 재기록 가능 영역(5)과 동일한 형식은 부가된 에러 정정 코드 등용으로 사용된다. 이러한 구성으로 제 2 데이터 영역의 길이는 제 1 데이터 영역(17)의 길이와 실제적으로 동일하다.
일반적으로, 부조에 의해서 판독 전용 영역에 데이터를 기록하는 것은 디스크 제조시 고정밀도로 수행될 수 있다. 판독 전용 영역에서, 데이터는 재생만 되고, 사용자에 의해 재기록하는 것에 응답하는 어떠한 구성도 필요하지 않다. 그러므로, 재기록 가능 영역에 형성된 갭 영역(13)과 같은 영역, 제 1 보호 데이터 영역(23), 제 2 보호 데이터 영역(18) 및 버퍼영역(19)은 판독 전용 영역에서 필요하지 않다. 이들 영역은 광 디스크의 기록용량이 우선적으로 고려된다면 삭제되어야 한다. 그러나, 이들 영역이 삭제된다면, 판독 전용 영역의 데이터 형식은 재기록 가능 영역의 데이터 형식과는 다르게 된다. 이것은 판독 전용 영역이나 재기록 가능 영역용 타이밍 발생회로 및 복조기를 각각 포함하는 2개의 별도의 전용 신호처리부를 설치하여 상기 기술된 종래의 장치처럼 상기 2개의 처리부를 스위치할 것을 필요로 한다. 재기록 가능 영역(5) 내의 갭 영역(13), 제 1 보호 데이터 영역(23) 제 2 보호 데이터 영역(18) 및 버퍼영역(19)에 대응하는 영역들이 재생 타이밍을 동기화하기 위해 판독 전용 영역에 형성되고, 어떠한 피트 로우도 이들 영역에 형성되지 않는다면, 트래킹 에러 신호는 이들 영역에서 불연속하게 되어, 판독 전용 영역에서 서보 트래킹을 불안정하게 만든다.
상기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서, 이 예에서, 제 2 더미 데이터 영역(33)은 헤더영역(31)과 각각의 섹터(30)의 데이터 영역(37) 사이에 형성되고, 제 3 더미 영역(34)은 데이터 영역(37)과 다음 섹터(30')의 헤더영역(31') 사이에 형성된다.
재기록 가능 영역(5)의 제 1 더미 데이터 영역(15)(VFO)처럼 데이터의 변조(특정의 펄스폭 및 펄스간격에 대응하는 특정 비트 길이의 패턴)에 사용되는 변조 코드의 특정한 패턴은 예를 들면, 제 2 및 제 3 더미 데이터 영역(33, 34)에 연속적으로 기록될 수 있다. 이러한 특정한 패턴을 사용하여, 재생신호 처리 회로의 PLL의 신속하고 안정한 클럭킹이 실현될 수 있다.
미러영역은 재기록 가능 영역과 같이 헤더영역(31)과 제 2 더미 영역(33)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이 예의 광 디스크에 기록된 데이터가 재생될 때, 도 3에 도시한 광 디스크 기록/재생 장치(100)로 예 1에 기술된 바와 동일한 과정이 사용될 수 있다. 이 경우, 엔벨로프 검출신호의 파형, 재기록 가능 영역으로부터 얻어진 차신호, 재기록 가능 영역으로부터 얻어진 합신호, 및 판독 전용 영역으로부터 얻어진 합신호는 각각 도 4e 내지 도 4h에 도시한 바와 같다.
따라서, 이 예에서, 재기록 가능 영역 및 판독 전용 영역의 데이터 형식의 섹터 길이 및 주요부분은 실제적으로 서로 동일하게 만들어진다. 이러한 구성으로, 판독 전용 영역 및 재기록 가능 영역의 섹터들은 동일한 방법으로 관리될 수 있고, 섹터 재생과 같은 처리는 단일화될 수 있다. 따라서, 하나의 재생된 신호처리 회로는 재기록 가능 영역 및 판독 전용 영역에 공통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것은 회로의 크기를 감소시킨다.
이 예에서, 재기록 가능 영역의 데이터 영역(17) 및 판독 전용 영역의 제 2 데이터 영역(37)은 도 4a 내지 도 4b에 도시한 바와 같은 동일한 타이밍으로 시작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단일화된 섹터 관리는 이들 데이터 영역이 동일한 길이인 한 서로 대치되는 경우에도 실현될 수 있다.
(예 3)
본 발명에 따른 제 3 예를 기술한다. 이 예에서, 판독 전용 영역에 기록된 데이터의 재생시 안정한 서보 트래킹을 실현하는 데이터 시퀀스를 기술한다. 이 예에서 광 디스크의 데이터 형식은 재기록 가능 영역 및 판독 전용 영역 모두에서 예 2에 기술된 광 디스크의 것들과 동일하다.
일반적으로, 광 디스크의 트랙을 따른 트래킹 제어는 여러 가지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위상차 검출방법을 도 4d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피트 로우(29)로 구성된 트랙에 대한 유효한 트래킹 방법으로 사용된다.
예 2에 기술된 바와 같이, 도 4b에 도시한 제 2 및 제 3 더미 데이터 영역(33, 34) 각각은 데이터의 변조(특정한 펄스폭 및 펄스간격에 대응하는 특정 비트 길이의 패턴)에 사용되는 변조 코드의 특정한 반복 패턴을 포함한다. 그러나, 이러한 특정한 반복 패턴이 인접 트랙 상에 형성될 때, 위상차 검출방법에 의한 서보 트래킹은 불안정하게 된다.
서보 트래킹이 불안정하게 되는 이유를 다음에 상세히 기술한다.
도 5는 위상차 검출방법에 의해 트래킹 에러신호를 얻는 원리를 도시한 것이다. 빔 스포트(57)는 판독 전용 영역 내의 트랙(9)을 구성하는 볼록 및 오목 형상의 피트 로우(29)를 트랙한다. 빔 스포트(57)의 광은 피트 로우(29)에 의해서 반사되며, 이 반사된 광은 4부분 광학 검출회로(58)에 의해서 검출된다. 4부분 광학 검출회로(58)는 수신된 광을 전기신호로 변환한다. 4부분 광학 검출회로(58)는 4부분 A, B, C, D를 포함한다. A + C의 합에 대응하는 합신호(S11)는 연산증폭기(59)에 의해서 발생되며, B + D의 합에 대응하는 합신호(S12)는 연산증폭기(60)에 의해서 발생된다. 위상 비교기(61)는 합신호(S11, S12)의 위상들을 비교하여 트래킹 에러 신호(S13)을 발생한다.
빔 스포트(57)가 트랙(9)의 중심선으로부터 바깥쪽으로 변위되어 있을 때, 반사광은 피트 로우(29)의 끝에서 회절되고, 따라서 A + C의 합신호(S11)의 위상은 앞선다. 반대로, 빔 스포트(57)가 트랙(9)의 중심선으로부터 안쪽으로 변위되어 있을 때, B + D의 합신호(S12)의 위상이 앞선다. 합신호(S11)와 (S12)간 위상차는 위상 검출기(61)에 의해서 검출되어 전기신호로 변환됨으로써, 트랙(9)의 중심선으로부터 빔 스포트(57)의 변위를 나타내는 트래킹 에러신호(S13)를 얻는다.
도 6 및 도 7은 빔 스포트(57)가 트랙의 중심선으로부터 변위되어 있을 때 위상차 검출방법에 의해서 얻어진 에러신호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트랙될 목표트랙(9a)(피트 로우(29a)) 및 인접 트랙(9b)(피트 로우(29b))에 완전히 동일한 데이터 패턴이 기록되어 있어 빔 스포트(57)가 목표 트랙(9a)으로부터 벗어나 있을 때 얻어진 합신호(S11, S12)의 출력파형을 도시한 것이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빔 스포트(57)의 경로(64)는 목표 트랙(9a)으로부터 변위된다.
상기 경우에서, 빔 스포트(57)의 광은 목표 트랙(9a)의 피트 로우(29a)의 바깥쪽 끝에 의해서 상기 4부분 광학 검출 회로(58)의 A + B쪽으로 회절된다. 그러나, 이 때, 인접 트랙(9a)은 동일한 패턴의 피트 로우(29b)를 갖고 있기 때문에, 빔 스포트(57)의 광은 인접 트랙(9b)의 피트 로우(29b)의 안쪽 끝에 의해서 C + D쪽으로 동시에 회절된다. 결국,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A + C의 합신호(S11)와 B + D의 합신호(S12)간에 어떠한 위상차도 존재하지 않는다. 따라서, 트래킹 에러 신호(S13)의 출력은 빔 스포트(57)가 목표 트랙(9a)으로부터 실제로 변위되어도 제로이다.
상기 기술된 바와 같이, 서로 인접한 트랙(9a 및 9b)이 완전히 동일한 패턴의 피트 로우를 갖고 있을 때, 트래킹 에러신호(S13)은 빔 스포트가 트랙으로부터 벗어날 때라도 발생되지 않는다. 이것은 서버 트래킹을 불안정하게 만든다.
도 7은 목표 트랙(9a)의 데이터열과 상이한 데이터열이 목표트랙(9a)에 인접한 인접 트랙(9b)에 기록되어 있을 때 합신호(S11, S12)의 출력파형을 도시한 것이다. 도 6과 같이, 빔 스포트(57)는 목표트랙(9a)으로부터 변위된 경로(64)를 따라 트랙한다.
상기 경우에, 도 6에 도시한 경우와 같이, 빔 스포트(57)의 광은 목표트랙(9a)의 피트 로우(29a)의 바깥쪽 끝에 의해서 A + B쪽으로 회절된다. 이 때, 빔 스포트(57)의 광은 인접한 트랙(9b)의 피트 로우(29b)의 안쪽 끝에 의해 부분 C 및 D 쪽으로 또한 회절된다. 그러나, 이 경우, 피트 로우의 패턴은 목표트랙(9a)과 인접한 트랙(9b)간에 상이하다. 따라서, 2개의 인접한 트랙 상의 피트의 끝은 위치(65, 66)을 제외하고는 일치하지 않기 때문에, 도 6에 도시한 경우와 같이 위치(65, 66)에서 합신호(S11, S12)의 출력들이 동일해도 합신호(S11)와 (S12) 사이에 위상차가 발생된다.
목표트랙(9a) 및 인접한 트랙(9b)의 피트 로우의 패턴이 서로 상관없이 랜덤할 때, 인접 트랙의 피트의 끝이 도 7에 도시한 위치(65, 66)과 일치하는 위치 역시 랜덤하게 나타난다. 그러므로, 이러한 끝 일치가 발생하는 주파수는 충분히 작다. 이와 같이 피트 끝 일치의 랜덤한 발생은 서보 트래킹에 사용되는 주파수 범위에서 트래킹 에러 신호(S13)의 발생에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그러나,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2 혹은 제 3 더미 데이터 영역(33 혹은 34)에 걸쳐 위상차가 얻어지지 않을 때, 예를 들면, 트래킹 에러신호(S13)는 빔 스포트가 목표트랙으로부터 벗어날 때라도 거의 발생하지 않아 서보 트래킹 제어가 불안정하게 된다.
이하, 상기 기술된 서보 트래킹의 교란을 방지하는데 효과적인 제 2 및 제 3 더미 데이터 영역(33, 34)의 데이터 형식을 기술한다.
도 8a는 제 2 및 제 3 더미 데이터 영역(33, 34)이 각각 M-열 랜덤 데이터(73, 74)를 포함하는 형식의 예를 도시한 것이다. 적어도 인접한 2개의 트랙에 대한 M-열 랜덤 데이터의 상이한 초기값을 설정함으로서, 인접 트랙 상의 피트 로우의 패턴은 서로 관련이 없고, 따라서, 인접한 트랙간의 피트 끝의 일치는 랜덤하게 된다. 결국, 위상 에러 검출방법에 의한 서보 트래킹은 비교적 안정하게 제어될 수 있다.
도 8b는 도 8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2 더미 데이터 영역(33)이 M-열 랜덤 데이터(73) 및 재기록 가능 영역의 VFO 영역(15)에 사용된 것과 같이(도 4a 참조) 데이터의 변조에 사용되는 변조 코드의 특정 패턴을 포함하는 형식의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8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2 더미 데이터 영역(33)의 후자 부분에 VFO 영역(75)(VFO1)을 포함함으로서, 연이은 다음 데이터 영역(37)에 대한 재생신호 처리회로의 PLL의 클럭킹이 안정화될 수 있다. 트래킹 에러신호(S13)은 VFO 영역(75)으로부터 발생되지 않는다. 그러나, VFO 영역(75)은 더미 데이터 영역의 부분을 구성하기 때문에, 서버 트래킹은 VFO 영역(75) 전후에 안정화될 수 있다. 그러므로, 어떠한 실제적인 문제도 일어나지 않는다.
도 8c 및 도 8d는 제 2 더미 데이터 영역(33)이 데이터 영역(37)의 시작의 타이밍을 명시할 수 있는 데이터 동기열(76, 77)을 각각 포함하는 형식의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8c 및 도 8d는 우수 트랙 및 기수 트랙의 섹터를 각각 도시한 것이다.
상기 기술된 바와 같이, 위상차 검출방법에 의해 안정한 서보 트래킹을 확보하기 위해서, 인접 트랙은 서로 상이한 데이터열을 가질 필요가 있다. 그러므로 상이한 데이터 동기열(76, 77)은 우수 트랙(도 8c) 및 기수 트랙(도 8d)에 제공된다.
도 8c에서, 우수 트랙의 데이터 동기열(76)은 마지막 값 FF(16진수)로 상향계수된다. 이러한 구성으로, 동기열(76)의 규칙성(상향계수됨)에 기인하여, 타이밍은 제 2 더미 데이터 영역(33)에 의해 데이터 영역(37)의 시작에 이르기까지 실시간으로 검출될 수 있다. 이것은 데이터 영역(37)의 시작을 확실하게 식별하게 한다.
도 8d에서, 기수 트랙의 데이터 동기열(77)은 마지막 값 00(16진수)으로 하향 계수된다. 이러한 구성으로, 데이터 동기열(77)의 규칙성(하향 계수됨)에 기인하여, 타이밍은 우수 트랙의 경우와 같이 제 2 더미 데이터 영역(33)에 의해 데이터 영역(37)의 시작에 이르기까지 실시간으로 검출될 수 있다.
따라서, 상이한 데이터 동기열이 인접 트랙의 제 2 더미 데이터 영역(33)에 제공된 경우인 도 8c 및 도 8d에 도시한 예시된 형식은 서보 트래킹을 안정화시킬 수 있으며 데이터 영역(37)의 시작을 확실하게 검출할 수 있게 한다.
이 예에서, 위상차 검출방법에 의한 서보 트래킹은 인접 트랙의 제 2 더미 데이터 영역(33)에 대한 랜덤 데이터열을 사용하여 비교적 안정하게 제어될 수 있다. 또한, 인접 트랙의 제 2 더미 데이터 영역(33)에 대해 상이한 데이터 동기열을 사용함으로서, 안정한 서보 트래킹뿐만 아니라, 데이터 영역(37)의 시작의 검출을 확실하게 할 수 있다.
서보 트래킹에 적합한 데이터 시퀀스는 제 2 더미 데이터 영역(33)에 대해 상기 기술된 바와 유사한 방법으로 제 3 더미 데이터 영역(34)에도 사용될 수 있다. 이 예에서, 판독 전용 영역에서 데이터 재생(서보 트래킹)을 기술하였다. 재기록 가능 영역에서 데이터 재생은 광 디스크 기록/재생 장치(100)를 참조하여 예 1에 기술된 방법으로(도 3) 수행될 수 있다.
(예 4)
상기 예 3에서, 더미 데이터 영역에 기록된 데이터의 패턴(코드)은 데이터 재생시 직접 발생될 수 있다. 이 예에서, 변조 코드는 인접 트랙 상에 기록된 더미 데이터간 상관성을 감소시키는 데 사용된다.
더미 데이터 영역에 기록될 데이터로부터 하나의 값이 초기에 결정된다. 이 값은 스크램블되어 거의 상관성이 없는 데이터를 발생한다. 예를 들면, 16진수 표현으로 (FF), (00), 등은 0 또는 1로 구성된다. 이 값에 기초하여, 데이터가 쉽게 발생될 수 있다. 스크램블링은 먼저 소정의 초기값으로부터 M열과 같은 랜덤 데이터를 발생하여, 이 랜덤 데이터와 기록될 데이터간 배타논리-OR를 행하여 실현된다. 스크램블된 데이터를 발생하는 방법을 나중의 예에서 상세히 기술하도록 하겠다.
기록될 동일 데이터 및 동일 초기값이 사용되는 경우, 스크램블링한 후에 얻어진 데이터는 동일한다. 그러나, 초기값이 상이한 반면 기록될 데이터가 동일하다면, 스크램블링한 후에 얻어진 2개의 데이터간 상관성은 감소될 수 있다. 그러나, 모든 섹터에 대해 상이한 초기값을 사용하는 것은 상당히 많은 량의 초기값을 보유해야 하므로 어렵다. 그러나, 실제로 인접 섹터에 대해 상이한 초기값을 사용하는 것은 인접 트랙의 더미 데이터 영역들간 상관성을 감소시키기에 충분하다. 즉, 동일 트랙의 섹터에 동일 초기값이 사용될 수 있다. 한 트랙에 포함된 섹터수가 달라지는 경우, 동일 초기값을 갖는 연속한 섹터수는 한 트랙에 포함된 섹터의 적어도 최소수가 되어야 한다. 동일 초기값을 갖는 연속한 섹터수가 M이고 초기값수가 N이라고 가정한다. M 및 N의 실제값은 편의상 섹터 식별 데이터에 포함된 섹터 주소정보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3바이트 데이터가 섹터 주소정보로서 사용된다면, 약 16,770,000 섹터를 다룰 수 있다. M 및 N의 값이 2의 멱이면, 스트램블된 데이터는 쉽게 발생될 수 있다. 이 예에서, M = 16 및 N = 16의 경우를 기술한다. N 초기값은 예를 들면, 다음 방법으로 얻어질 수 있다. 먼저, 섹터 식별 데이터에 포함된 주소정보는 2진 표시로 표현되고, 최하위 비트로부터 제 5 내지 제8 비트에 대응하는 4비트 데이터가 사용된다. 이 4비트 데이터를 사용하여, N = 16 초기값이 얻어질 수 있다. 초기값은 매 M = 16 섹터마다 갱신되고, 하나의 트랙은 256개의 섹터를 포함한다.
16개의 연속한 섹터는 동일한 초기값을 가지므로, 스크램블링을 위한 초기값은 16 내지 256 섹터를 각각 갖는 트랙에 대해 인접한 섹터간 상이함이 확실하게 된다. 기록될 데이터는 이들 초기값 중 하나를 사용하여 스트램블되며, 기록 코드로 변조되고, 더미 데이터 영역에 기록된다.
이러한 식으로, 인접 트랙(대응하는 섹터)간 상이한 초기값을 사용하여 동일 데이터를 스크램블함으로써, 상이한 데이터열이 인접 트랙의 대응 섹터의 더미 데이터 영역에 기록될 수 있다.
따라서, 이 예에서, 랜덤 데이터열은 인접 트랙의 더미 데이터 영역에 대해 효율적으로 얻어질 수 있기 때문에, 위상 에러 검출방법에 의한 서보 트래킹은 판독 전용 영역에서 비교적 안정하게 제어될 수 있다.
(예 5)
본 발명에 따른 제 3 예를 기술한다. 이 예에서, 효율적인 섹터 유지관리를 실현하기 위한 재기록 가능 영역이나 판독 전용 영역 내의 데이터열을 기술한다.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여 상기 예에서 기술된 바와 같이, 예를 들면 광 디스크에 기록될 데이터는 각각의 섹터의 데이터 영역(17)(재기록 가능 영역) 혹은 데이터 영역(17)(판독 전용 영역)에 대응하는 소정의 데이터 용량에 대한 부분으로 분할된다. 상기 기술된 바와 같이 각각의 섹터에 대한 데이터에 에러 정정 코드가 부가된다. 이러한 에러 정정 코드는 각 섹터 내에 갖추어질 수 있다. 대안으로, 에러 정정 코드는 한 세트의 복수의 섹터에 대해 수행될 수 있다. 이러한 한 블록의 복수의 섹터를 ECC 블록이라 칭한다. 환언하여, ECC 블록은 에러 정정 코딩을 위한 유닛이다. 하나의 ECC 블록이 k개의 섹터로 구성된 때(예를 들면, k = 한 세트의 16개 섹터), 약 한 섹터의 길이를 갖는 에러가 정정될 수 있다. 이러한 에러 정정 코드를 사용하여, 재기록 가능 영역의 섹터수 및 판독 전용 영역의 섹터수는 하나의 ECC 블록 내의 섹터수의 수 배가 된다. 환언하여 k배인 섹터수가 기록된다.
한편, 광 디스크의 섹터를 효율적으로 유지관리하기 위해서, 재기록 가능 영역 및 판독 전용 영역의 섹터는 바람직하게 트랙 기조로 유지관리된다. 그러나, 한 트랙에 포함된 섹터수는 반드시 한 ECC 블록에 포함된 섹터수의 배수일 필요는 없다. 따라서, 데이터가 복수의 ECC 블록의 섹터에 기록될 때, 그 데이터는 한 트랙의 말미에 반드시 적합하게 갖추어질 필요는 없으나, 대부분 한 트랙의 중간에서 끝난다. 재기록 가능 영역에서, 트래킹 제어는 아무 데이터도 기록되어 있지 않은 섹터가 잔유해 있어도 가능하며, 이것은 홈 혹은 랜드트랙이 안내트랙으로서 형성되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판독 전용 영역에서, 피트 로우는 아무 데이터도 기록되어 있지 않는 섹터에 의해서 불연속하게 되고, 이에 따라 트래킹 제어는 불안정하게 된다.
상기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서, 이 예에서, 더미 데이터는 트랙 기조로 섹터 유지관리를 실현하기 위해서 전체 트랙을 데이터로 채우도록 데이터를 기록한 후에 기록되지 않고 남아있는 섹터에 기록된다. 이러한 더미 데이터의 예는 재기록 가능 영역 내의 VFO 영역(15)과 같이 변조 코드(특정 펄스 폭 및 펄스 간격)의 특정한 반복 패턴이다. 더미 데이터로서 이러한 패턴을 사용하여, 재생신호 처리회로의 PLL은 사용자 데이터가 기록되어 있지 않은 섹터에 대해 안정하게 동작될 수 있다.
이 예에서, 예 3에 기술된 제 2 더미 데이터 영역과 같이 M-열 랜덤 데이터 및 데이터 동기열, 및 예 4와 같이 스크램블된 데이터가 사용될 수 있다. 도 9는 이 예의 광 디스크(1')을 도시한 것이다.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더미 데이터는 안쪽 판독 전용 영역(3)과 재기록 가능 영역(5)간 연접에서 판독 전용 영역(3) 내의 섹터(71) 상에 기록된다. 마찬가지로, 더미 데이터는 바깥쪽 판독 전용 영역(2)과 재기록 가능 영역(5)간 연접에서 판독 전용 영역(2) 내의 섹터(72) 상에 기록된다.
따라서, 이 예에서, 에러 정정 블록(ECC)과 같은 모든 소정의 기록 유닛에 의해 데이터가 기록될 때, 아무 데이터도 기록되어 있지 않고 남아있는 섹터는 더미 데이터로 채워진다. 이러한 구성으로, 재기록 가능 영역 및 판독 전용 영역은 항상 트랙의 헤드에서 시작한다. 이것은 광 디스크의 섹터를 효율적으로 유지관리할 수 있게 한다.
(예 6)
본 발명에 따른 예 6에서, 재기록 가능 영역 내의 섹터(10)의 데이터 형식 및 판독 전용 영역의 섹터(30)의 데이터 형식의 특정한 예를 기술한다.
도 10a 및 도 10b는 재기록 가능 영역 내의 섹터(10)의 레이아웃을 도시한 것이며, 도 11a 및 도 11b는 판독 전용 영역 내의 섹터(30)의 레이아웃을 도시한 것이다. 먼저, 섹터(10)의 제 1 데이터 영역(17) 및 섹터(30)의 제 2 데이터 영역(37)에 기록될 데이터의 생성을 기술한다.
한 섹터 상에 기록된 데이터량이 섹터(10, 30)에 대해 2048(B는 바이트이며, 이는 계속되는 설명에서도 적용함)이라 가정한다. 이 양에 대해서, 데이터 영역 번호(섹터 주소)를 나타내는 데이터 ID에 대해 4B, 데이터 ID의 에러 검출을 위한 IED에 대해 2B, 여분으로서 RSV에 5B, 및 전체 데이터의 에러검출을 위한 EDC에 4B가 더해진다. 이들 모든 데이터를 일괄하여 제 1 데이터 단위라 칭한다. 제 1 데이터 단위의 데이터 길이는 이에 따라 2048 + 4 + 2 + 6 + 4 = 2064(B)가 된다.
다음에 이하 기술되는 바와 같이 예 4에서 더미 데이터 영역에 사용된 바와 동일한 방식으로 정보 데이터 부분(2048B)이 스크램블된다.
먼저, 시프트 레지스터는 소위 M-열 데이터가 발생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초기값이 결정된다. 이 초기값은 의사랜덤 데이터를 발생하기 위해서 정보 데이터에 동기하여 시프트 레지스터를 통해 연속적으로 시프트된다. 의사랜덤 데이터와 기록된 정보 데이터간에 배타논리-OR가 비트씩 수행되어 스크램블링이 실현된다.
정보 데이터는 2의 11 멱인 2048B이기 때문에, 2의 11 이상의 멱의 원시 다항식이 M 열로서 필요하다. M 열을 구성하는 원시 다항식 중에서 2의 11 이상의 멱 항을 갖는 3항식 내지 5항식의 그 다음 더 높은 차수는 제 15이다. 다음 설명에서, 2의 제 15 멱 항을 갖는 원시 3항식(X15+ X4+ 1)을 예로서 사용한다. 도 12는 시프트 레지스터(150)를 사용하여 이러한 원시 다항식의 실현을 도시한 것이다.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프트 레지스터(150)의 길이는 15비트(엔트리 r14 내지 r0)이다. 시프트 레지스터(150)는 엔트리 r14의 비트와 엔트리 r10의 비트간 배타논리-OR를 계산하여 그 결과를 엔트리 r0로 다시 보낸다. 소정의 15비트 초기값은 시프트 레지스터(150)에 대해 설정되고 비트 클럭에 응답하여 연속적으로 시프트되어 의사랜덤 데이터를 발생한다. 이어서, 시프트 레지스터(150)의 8번째 하위 비트(엔트리 r7 내지 r0)와 정보 데이터의 8개의 비트(1B)간에 배타논리-OR가 매 8개의 클럭마다 계산되고, 이 연산은 2048번 반복된다. 결국, 한 섹터에 대한 정보 데이터가 스크램블된다. 시프트 레지스터(150)는 초기값을 리셋시키기 위해 모든 섹터를 리셋하여, 각 섹터의 정보 데이터가 독립적으로 스트램블된다(서로간에 실제적인 상관성은 전혀 없다).
동일한 초기값을 갖는 연속한 섹터수가 M이고 초기값 수가 N이라 가정한다. M 및 N값들은 식별 데이터에 포함된 섹터 주소정보로부터 얻어질 수 있다. M 및 N 값들이 2의 멱이면, 스크램블된 데이터가 쉽게 발생될 수 있다. 이 예에서, M = 16 및 N = 16인 경우를 기술한다. N 초기값은 예를 들면, 다음 방식으로 얻어질 수 있다. 먼저, 섹터 식별 데이터에 포함된 주소 정보는 2진수 표기로 표현되며(섹터 주소가 3B이면 24비트 길이), 최하위 비트로부터 제 4 내지 제8 비트에 대응하는 4비트 데이터가 사용된다. 이 4비트 데이터를 사용하여, N = 16 초기값이 얻어질 수 있다. 4비트 값과 초기값 사이의 대응관계는 대응테이블 등의 형태로 사전에 결정된다. 초기값은 매 M =16 섹터마다 갱신되고, 하나의 트랙은 256개의 섹터를 포함한다.
16 섹터의 스트램블된 제 1 데이터 단위를 모아 리드-솔로몬 코딩에 의한 에러 정정 코드를 구성한다. 한 섹터의 데이터 단위는 172B x 12 로우의 어레이로 배열되고 이러한 16섹터의 단위들을 모아 172B x 192 로우의 어레이를 형성한다. 16B 외부 코드가 192개의 로우의 각 컬럼에 부가되고, 10B의 내부 코드가 이 어레이의 각 로우에 부가된다. 182B x 208 로우(37856B)의 데이터 블록이 이에 따라 형성되며, 이를 ECC 블록이라 칭한다.
다음에, ECC 블록은 인터리브됨으로서 16B의 외부 코드는 각 섹터 내에 포함된다. 각 섹터의 데이터는 이 때 182B x 13 로우 = 2366B가 된다.
다음에, 데이터는 기록코드로 변조된다. 변조후에 런 렌스를 제한하는 RLL(run length limited) 코드가 기록코드로서 사용된다. 이 예에서, 8비트 데이터를 16 채널 비트로 변환하는 8/16 변환 코드가 기록코드로서 사용된다. 이 변환은 소정의 변환 테이블에 따라 수행된다. 이 변환 테이블에 의해서 하나의 8비트 데이터는 4가지 형태의 16 채널 비트 데이터에 대응하게 된다. 그 형태를 여기에선 상태라 칭한다. 다음 데이터의 변환에 사용될 상태 또한 이 변환 테이블 내에 미지 정해진다.
도 13은 이러한 변환 테이블의 예를 도시한 것이다. 예를 들면, 상태 1(St= 1) 하에서 제 1 데이터(Dt)를 변환함으로써, 16비트 코드열(Yt)이 얻어진다 다음 데이터는 선행 변환에서 명시된 상태(St-1) 하에서 선택된다. 이와 같이 상태 선택을 제어함으로서, 이 제어방법의 자세한 것을 여기 생략하였지만 기록 코드에 포함된 DC 성분이 억제될 수 있다.
이 때, 최소 및 최대 비트 길이는 3 채널 비트 및 11 채널 비트로 각각 제한된다. 또한, 재생을 동기화하기 위해서, 2B 동기코드가 매 91B, 즉 182B의 한 로우의 반에 삽입된다. 동기코드로서, 정상적으로는 8/16 변환코드에 나타나지 않는 몇몇의 상이한 32 채널 비트 코드가 미리 정해진다. 이에 따라, 한 섹터의 데이터량은 186B x 13 로우 = 2418B가 된다.
상기 기술된 데이터 구성은 공통적으로 재기록 가능 영역 및 판독 전용 영역에서 사용된다. 이에 따라 얻어진 2418B 데이터는 도 10a에 도시한 바와 같은 재기록 가능 영역 내의 섹터(10)의 제 1 데이터 영역(17) 혹은 도 11a에 도시한 바와 같은 판독 전용 영역 내의 섹터(30)의 제 2 데이터 영역(37)에 기록된다.
도 10a에서, 재기록 가능 영역에서, 1B 포스트앰블 영역(45)(PA)은 제 1 데이터 영역(17) 다음에 있다. 8/16 변환코드는 데이터가 재생시 정확하게 복조될 수 있도록 기록코드의 말미에 말미 마크를 가질 필요가 있다. 그러므로, 포스트앰블 영역(45)은 말미 마크로서 변환규칙에 따라 소정의 코드를 복조함으로써 얻어진 패턴을 갖는다.
프리싱크 영역(44)(PS)은 제 1 데이터 영역(17)에 선행하며, 여기서 프리싱크 데이터는 제 1 데이터 영역(17)의 시작을 표시하고 바이트 동기화를 제공하기 위해서 기록된다. 프리싱크 데이터는 3B(48 채널 비트)의 폭이 되도록 미리 결정되며 높은 자기상관도를 갖는 패턴을 갖는 코드로 구성된다. 예를 들면, NRZI 코드로 표현되는 바와 같이 "0000 0100 0100 1000 0010 0001 0010 0000 1000 0010 0001 0000"의 패턴이 사용된다.
도 10a에 도시한 VFO 영역(15), 제 1 보호 데이터 영역(23), 제 2 보호 데이터 영역(18), 갭 영역(13), 버퍼 영역(19), 및 미러영역(12)은 도 4a를 참조하여 기술된 VFO 영역(15)(VFO), 제 1 보호 데이터 영역(23)(GD1), 제 2 보호 데이터 영역(18)(GD2), 갭 영역(13)(GAP), 버퍼영역(19)(BUF), 및 미러영역(12)(M)과 동일하다. 보호 데이터 영역(23), VFO 영역(15), 및 PS 영역(44)은 제 1 더미 데이터 영역(15')을 구성한다. 도 10a에서, 각각의 영역 밑에 도시한 숫자는 그 영역의 바이트 길이를 나타낸다. 이것은 도 10b, 11a, 11b에도 적용된다.
도 10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1 더미 데이터 영역(15')에서, VFO 영역(15)은 PS 영역(44)에 선행한다. VFO 영역(15)은 재생신호 처리회로의 PLL을 신속하고 안정하게 클럭킹하기 위해 특정 패턴이 기록된 영역이다. PLL의 클럭킹을 위해서, 코드는 더 많은 반전(즉, NRZI 코드로 표현되는 바와 같이 더 많은 "1")을 포함하는 것이 좋다. 그러나, 고밀도 기록을 위해서, 변조 코드의 가장 짧은 비트길이가 반복될 때, 재생신호의 진폭 및 C/N 모두 감소되어, 안정한 클럭킹을 얻는 것을 어렵게 만든다. 그러므로, 제 2 가장 짧은 비트 길이인 4 채널 비트를 가진 패턴의 반복, 즉, NRZI 코드로 표현되는 바와 같이 "...1000 1000..."이 사용된다. VFO 영역(15)의 길이는 반전 개수 및 안정한 클럭킹에 필요한 클럭킹 시간을 확실하게 하기 위해서 35B이다.
제 1 보호 데이터 영역(23)은 VFO 영역(15)에 선행하며, 제 2 보호 데이터 영역(18)은 포스트앰블 영역(45)(PA) 다음에 있다. 예 4에 기술된 바와 같이, 재기록 가능 광 디스크에서 기록 및 소거가 반복될 때, 열 부하에 기인하여 기록부의 시작 및 말미에서 악화가 증가한다. 안내 데이터 영역은 상기 악화가 VFO 영역부터 PA 영역까지의 영역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방지하도록 제공된다.
기록매체는 동일 데이터가 동일 위치에 반복하여 기록될 때 더욱 더 악화되는 경향이 있다. 이러한 문제를 회피하기 위해서, 제 1 데이터 영역(17)의 기록 위치는 데이터 영역(17)에 선행하며 그 뒤에 오는 제 1 및 제 2 안내 데이터 영역(23, 18)을 확장하고 단축시킴으로써 시프트된다. 그러나, 제 1 및 제 2 안내 데이터 영역(23, 18)의 전체 길이는 그대로임을 이해해야 한다. 실험 결과로부터, 제 1 및 제 2 보호 데이터 영역(23, 18)의 길이는 각각 (15 + k)B 및 (45 - k)B이며, 시프트량은 k = 0 내지 7B임을 알았다. 2개의 보호 데이터 영역의 전체 길이는 60B로 고정된다. VFO 영역(15)에 사용된 4채널 비트 패턴 "... 1000 1000 ..."의 반복은 예를 들면, 보호 데이터 영역에 기록될 데이터로서 사용된다.
따라서, 제 1 안내 데이터 영역(23), VFO 영역(15), 프리싱크 영역(44), 제 1 데이터 영역(17), 포스트앰블 영역(45), 및 제 2 안내 데이터 영역(18)은 2517B의 데이터 길이로 데이터가 기록되는 정보 기록 영역을 구성한다.
갭 영역(13)은 레이저 파워를 설정하는데 사용되며, 레이저 파워 설정에 필요한 시간을 확보하기 위해서 10B의 길이를 갖는다. 버퍼영역(19)은 디스크 모터 회전 변동 및 디스크의 편심에 기인하여 기록 데이터의 말미가 다음 섹터에 겹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영역(시간폭)을 확보하기 위해 아무 데이터도 기록되어 있지 않다. 버퍼영역(19)은 40B의 길이를 갖는다. 미러영역(12)은 서보 트래킹의 오프셋을 결정하는데 필요한 시간을 확보하기 위해서 2B의 길이를 갖는다.
도 11a를 참조하여, 판독 전용 영역 내의 섹터(30)를 기술한다. 도 11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섹터(30)는 헤더영역(90), 제 2 더미 데이터 영역(33), 제 2 데이터 영역(37), 및 제 3 더미 데이터 영역(34)을 포함한다. 상기 기술된 바와 같이, 제 2 데이터 영역(37)의 데이터 길이는 제 1 데이터 영역(17)의 데이터 길이, 즉 2418B와 같다. 섹터(10)과 같이, 1B 포스트앰블 영역(47)(PA), 제 2 패드 영역(85), 포스트앰블 영역(86)(PA)은 이 순서로 제 2 데이터 영역(37) 다음에 온다.
이 예에서, 예 2와 같이, 제 2 더미 데이터 영역(33)은 헤더 영역(90)과 제 2 데이터 영역(37) 사이에 형성되며, 제 2 더미 데이터 영역(34)은 데이터 영역(37)과 다음 섹터의 헤드 사이에 형성된다. 재기록 가능 영역 내의 섹터(10)와 같이, 제 2 더미 데이터 영역(33)은 데이터 영역(37)으로부터 데이터 재생시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해서 35B의 VFO 영역(84) 및 3B의 프리싱크 영역(46)(PS)을 포함한다. 도 11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2 더미 데이터 영역(33)은 30B의 제 1 패드 영역(82) 및 포스트앰블 영역(83)(PA)를 더 포함한다. 제 3 더미 데이터 영역(34)은 포스트램블 영역(47), 제 2 패드 영역(85), 및 포스트앰블 영역(86)을 포함한다.
VFO 영역(84) 및 프리싱크 영역(46) 상에 기록될 데이터의 패턴 및 길이는 도 10a에 도시한 VFO 영역(15) 및 프리싱크 영역(44)에 기록된 것과 동일하다. 제 2 및 제 3 더미 데이터 영역에 기록될 데이터로서, 인접 섹터간 상이한 초기값을 사용하여 16진수(FF) 데이터를 스크램블하고 그 결과를 예 4에 기술된 바와 같이 8/16 변환 코드로 변조함으로써 얻어진 데이터열이 사용된다. 스크램블링은 상기 데이터 영역(37)에 사용된 것과 동일 방법으로 수행된다. 초기값으로서, 이하 기술될 PID의 최하위비트로부터 제 5 내지 제8 비트에 대응하는 4비트 데이터가 사용된다. 4비트 데이터에 대응하는 초기값은 상기 데이터 영역(37)에 사용된 것과 동일하다.
8/16 변환 코딩은 예를 들면, 도 13에 도시한 변환테이블에서 상태 4부터 시작한다. 이와 같이 발생된 데이터열은 제 1 및 제 2 패드영역(82, 85)에 기록된다. 제 1 패드영역(82)은 갭 영역(13) 및 도 10a에 도시한 제 1 보호 데이터 영역(23)에 대응하며, 제 2 패드 영역(85)은 제 2 보호 데이터 영역(18) 및 도 10a에 도시한 버퍼영역(19)에 대응한다.
재기록 가능 영역에서, 제 1 및 제 2 보호 데이터 영역(23, 18)의 길이는 달라진다. 판독 전용 영역에서, 패드영역의 길이는 대응하는 제 1 및 제 2 보호 데이터 영역(23, 18)의 평균길이에 대응한다. 이에 따라, 제 1 및 제 2 패드 영역(82, 85)의 길이는 각각 28B 및 80B이다. 1B 포스트앰블 영역(83, 86)은 각각 제 1 및 제 2 패드 영역(82, 85) 다음에 오며, 변조 코드의 끝을 이룬다.
재기록 가능 영역 및 판독 전용 영역 내의 헤더 영역을 기술한다. 도 4a를 참조하여 예 2에 기술된 바와 같이, 재기록 가능 영역 내의 헤더영역(11)은 전반부(11a)(섹터 식별 데이터(PID1) 및 후반부(11b)(섹터 식별 데이터(PID2))로 분할된다. 대응하는 피트 로우(21a, 21b)는 홈피치의 약 4분의 1만큼 홈트랙(7)(안내홈(6))의 중심선으로부터 방사방향으로 변위된다. 더구나, 피트 로우(21a, 21b)는 서로 대향하는 방향으로 변위하도록 배열된다. 이 예에서, 헤더영역(80)은 동일한 방식으로 형성된다.
도 10b는 재기록 가능 영역 내의 섹터(10)의 헤더영역(80)의 데이터 형식을 도시한 것이다. 도 10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헤더영역(80)은 배열 순서로 PID1, PID2, PID3, PID4로 표시한 4세트의 섹터 식별 데이터(PID)로 구성된다. 64B의 전반부를 구성하는 PID1 및 PID2는 바깥쪽에 변위되며, 64B의 후반부를 구성하는 PID3 및 PID4는 예를 들면, 안쪽으로 변위된다.
각각의 섹터 식별 데이터 PID에서, 섹터 주소 정보를 나타내는 Pid 영역에 4B가 할당되며, 섹터 번호에 3B가 할당되고, PID 영역의 개수와 같이 섹터의 여러 가지 형태의 정보에 1B가 할당된다. 홈트랙(7) 상의 섹터의 주소 정보로부터 헤더영역이 중심선에 관하여 변위되는데, 이 주소정보는 후반부에 PID3의 Pid3 영역(213) 및 PID4의 Pid4 영역(218)에 기록된다. 홈트랙(7)에 인접한 바깥쪽의 랜드트랙(8) 상의 섹터의 주소 정보는 전반부에서 PID1의 Pid1 영역(203) 및 PID2의 Pid2 영역(208) 상에 기록된다.
각각의 2B 에러 검출 코드는 Pid 영역에 부가되며, IED 영역(204, 209, 214, 219)에 기록된다. Pid 영역 및 IED 영역의 데이터는 상기 기술된 8/16 변환코드로 변조된다. 이 변조는 예를 들면 상태 1부터 시작하여, 도 13에 도시한 변환 테이블을 사용하여 각각의 Pid 영역의 헤드에서 초기화된다. 각각의 1B의 포스트앰블 영역(205, 210, 215, 220)은 대응하는 IED 영역 다음에 와서, 변조 코드의 끝을 이룬다.
AM 영역(202, 207, 212, 217)은 대응하는 Pid 영역(203, 208, 213, 218)에 선행하며, Pid 영역의 시작을 나타내며 바이트 동기화를 실현하는 주소 마크를 갖는다. 주소 마크로서, 8/16 변환 코드에서 나타나지 않는 패턴, 예를 들면, 3B(48 채널 비트) 길이의 코드가 선택된다. 예를 들면, NRZI 코드로 표현되는 바와 같이 패턴 "0001 0001 0000 0000 0000 0100 0100 0100 0000 0000 0001 0001"이 사용될 수 있다. 이 패턴은 변조 코드의 가장 긴 비트 길이, 즉, 11 채널 비트 길이보다 긴 2배의 14채널 비트 패턴을 포함한다. 그러므로, 정규 데이터의 재생시 주소 마크를 잘못 검출할 가능성이 감소한다.
VFO 영역은 각각의 섹터 식별 데이터 PID의 헤드에 제공된다. VFO 영역은 재생신호 처리회로의 PLL을 신속하고 안정하게 클럭킹하기 위한 특정 패턴의 데이터를 갖는다. 예를 들면, 4채널 비트 패턴의 반복 "....1000 1000..."은 예 2에서 기술된 VFO 영역에서처럼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기술된 바와 같이, 세트로서 전반부 PID1 및 PID2 및 한 세트의 헤더영역(80)으로서 후반부 PID3 및 PID4는 방사 대향 방향을 향하여 변위된다. 여러 세트의 헤더영역(80)의 헤드인 제 1 VFO 영역(201, 211)은 비트 동기화를 확실하게 하기 위해서 비트 동기화를 위해 또 다른 기회를 부여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제 1 VFO 영역은 재동기화를 위해서만 사용되므로 짧을 수 있는 제 2 VFO 영역(206, 216)보다 길게 만들어진다. 이 예에서, 제 1 VFO 영역(201, 211)의 길이는 36B이며, 제 2 VFO 영역(206, 216)의 길이는 8B이다.
따라서, 예를 들면 PID1은 헤드부터 다음의 순서로 VFO 영역(201)(VFO1), AM영역(202), Pid 영역(203), IED 영역(204) 및 포스트앰블 영역(205)을 포함하며 46B의 길이를 갖는다. 마찬가지로, PID2는 헤드부터 다음의 순서로, VFO 영역(206)(VFO2), AM 영역(207), Pid 영역(208), IED 영역(209) 및 포스트앰블 영역(210)을 포함하며, 18B의 길이를 갖는다. 후반부의 PID3 및 PID4는 상기한 구성과 유사하다.
판독 전용 영역에서 헤더영역의 데이터 구성을 도 11a 및 도 11b를 참조하여 기술한다. 예 2(도 4a 및 4b)에 기술된 바와 같이, 판독 전용 영역 내의 헤더영역(31)의 데이터 구성은 재기록 가능 영역 내의 헤더영역(11)의 데이터 구성과 일치하나, 헤더영역(31) 상의 피트 로우는 트랙(9)의 중심선을 따라 일렬로 되어 있다. 이 예에서 헤더영역(90)은 예 2에 기술된 방식으로 형성된다. 즉, 판독 전용 영역 내의 헤더영역(90)의 데이터 시퀀스 및 길이(비트 길이)는 재기록 가능 영역 내의 헤더영역(80)의 것과 동일하게 만들어진다(도 10a). 구체적으로, 도 11a에 도시한 바와 같이, 128B의 길이를 갖는 헤더영역(90)은 4개의 섹터 식별 데이터 PID(PID1 내지 PID4)로 구성된다. 도 11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예를 들면 PID1는 헤드부터 다음의 순서로, 제 1 VFO 영역(231)(VFO1), AM 영역(232), Pid 영역(233), IED 영역(234), 및 포스트앰블 영역(235)을 포함하며 46B의 길이를 갖는다. 마찬가지로, PID2는 헤드부터 다음의 순서로, 제 2 VFO 영역(236)(VFO2), AM 영역(237), Pid 영역(238), IED 영역(239), 및 포스트앰블 영역(240)을 포함하며, 18B의 길이를 갖는다. 후반부의 PID3 및 PID4는 상기 구성과 유사하다.
따라서, 이 예에서, 상이한 데이터열은 판독 전용 영역 내의 인접한 트랙 상의 더미 데이터 영역(33 혹은 34)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이것은 상기 데이터 영역(37) 상에 기록된 데이터에 대한 것과 동일한 방식으로 소정의 일정한 데이터(예를 들면, FF)을 스크램블링하고 인접한 섹터간에 상이한 초기값을 사용하여 실현될 수있다. 결과적인 스크램블된 데이터는 이어서 상기 데이터 영역(37) 상의 데이터용으로 사용되는 기록코드로 변조되어 패드영역(82 혹은 85) 상에 기록된다. 이러한 식으로, 위상 에러 검출방법에 의한 서보 트래킹은 판독 전용 영역에서 비교적 안정하게 제어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영역(37)에 기록될 데이터를 발생하는데 사용되는 스트램블링 회로 및 기록 코딩 회로는 패드영역(82 및 85)에 기록될 데이터를 발생하는 데에도 사용될 수 있다. 이것은 기록신호 처리회로의 구성을 간단하게 하며, 회로크기를 줄일 수 있다.
이 예에서, 데이터 영역(17)의 위치는 재기록 가능 영역에서 제 1 및 제 2 안내 데이터 영역(23, 18)을 크게 하고 축소시킴으로써 시프트되었다. 대안으로, 갭 영역(13) 및 버퍼 영역(19)을 크게 할 수 있고 축소시킬 수 있다. 이들 영역의 확대 및 축소하는 것을 조합한 것 또한 사용될 수 있다.
(예 7)
예 6에서, 재기록 가능 영역 및 판독 전용 영역 내의 섹터(10) 상의 데이터열의 예를 기술하였다. 도 10a 및 11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프리싱크 영역(44)은 재기록 가능 영역 내의 VFO 영역(15) 다음에 오고 데이터 영역(17)에 선행하여 형성되며, 프리싱크 영역(46)은 판독 전용 영역 내의 VFO 영역(84) 다음에 오고 데이터 영역(37)에 선행하여 형성된다.
도 23에 도시한 바와 같은 종래의 광 디스크에서, 예를 들면 데이터 영역(450)은 VFO 영역(403) 바로 다음에 온다. 데이터 영역(450)은 데이터 동기열(404a, 404b,...)이 대응하는 데이터 블록에 선행되게 복수의 데이터 블록(405a, 405b,...)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종래의 데이터 형식에서, 재생시, VFO 회로에 의해 PLL회로를 안정하게 클럭킹한 후, 데이터 동기열(404a)이 검출된다. 데이터 동기열(404a)의 검출에 의해서, 데이터 영역(450)의 헤드가 식별되어 제 1 데이터 블록(405a)을 재생한다.
상기 종래의 구성은 다음과 같은 결점이 있다. 예를 들면, 제 1 데이터 블록(405a)에 대해 시작 타이밍을 명시하는 제 1 데이터 동기열(404a)의 부분에서 광 디스크의 기록막이 손상되면, 읽혀질 동기 데이터에서 에러가 발생하여, 제 1 데이터 블록(405a)의 시작 위치를 명시할 수 없게 된다.
더욱이, 제 1 데이터 블록(405a)의 시작 위치를 명시할 수 없을 때, 제 1 데이터 블록(405a) 뿐만 아니라 그 다음 연이은 데이터 블록(405b)의 블록 번호를 명시할 수 없다. 그러므로 전체 섹터의 데이터 영역(450)에 걸쳐 에러가 발생하고 데이터 판독이 불가능하게 된다.
그러나, VFO 영역 다음에 프리싱크 영역을 갖는 상기 기술된 예 6에서 데이터 형식에 따라, 제 1 데이터 블록의 시작 타이밍은 데이터 영역의 제 1 데이터 동기열에서 에러가 발생하여도 높은 신뢰성으로 검출될 수 있다.
예 7에서, 프리싱크 영역을 상세히 기술한다.
도 14a는 이 예의 광 디스크의 재기록 가능 영역 내의 하나의 섹터의 데이터 형식을 도시한 것이다. 도 14b는 이 예의 광 디스크의 판독 전용 영역 내의 한 섹터의 데이터 형식을 도시한 것이다. 도 14a 및 도 14b에서, 앞의 예와 동일한 구성요소를 동일한 참조부호로 표시하였다.
도 14a에서, 섹터(10)는 헤더영역(80)(섹터 식별 데이터(PID)), 미러 영역(12)(M), 갭 영역(13)(GAP), 제 1 보호 데이터 영역(23)(GD1), VFO 영역(15), 프리싱크 영역(44)(PSY), 제 1 데이터 영역(17)(DATA), 포스트앰블 영역(45)(PA), 제 2 보호 데이터 영역(18)(GD2), 및 버퍼영역(19)(BUF)을 포함한다. 제 1 데이터 영역(17)은 복수의 데이터 블록(5a, 5b,...)로 분할되며, 제 1 데이터 동기열(4a, 4b,..)는 각각의 데이터 블록에 선행한다.
미러 영역(12)은 그 위에 어떠한 피트나 홈도 형성되지 않는 평탄한 부분이며 트래킹의 오프셋을 얻기 위해 사용된다. 제 1 및 제 2 보호 데이터 영역(23, 18)은 열 부하에 기인한 사이클 저하를 보상하기 위한 소정의 데이터 패턴을 저장한다. 제 1 보호 데이터 영역(23)은 기록 데이터의 헤드에 위치되고, 제 2 보호 데이터 영역(18)은 기록 데이터의 말미에 위치해 있다. 갭 영역(13)은 데이터 기록의 시작 말미에서 신호 교란을 제거하며 기록 레이저 파워를 설정한다. VFO 영역(15)은 단일 주기의 소정의 코드가 연속적으로 기록되는 제 3 데이터 동기열을 포함한다. 프리싱크 영역(44)은 데이터 재생의 시작 위치를 명시하는 제 2 데이터 동기열을 포함하며, 이것을 이 예에서 기술한다. 포스트앰블 영역(45)은 변조 코드의 끝을 이루며, 재생신호 처리에 의해서 다음 섹터로 안정되게 시프트되게 한다.
도 14b에서, 판독 전용 영역에서, 섹터(30)는 재기록 가능 영역에서 갭 영역(13) 및 제 1 보호 데이터 영역(23) 대신 패드영역(82)(DMY) 및 포스트앰블 영역(83)(PA)을 포함하며, 트래킹을 안정화하기 위해서, 재기록 가능 영역 내의 제 2 보호 데이터 영역(18) 및 버퍼영역(19) 대신 패드 영역(85)(DMY) 및 포스트앰블 영역(86)(PA)을 포함한다. 다른 부분은 도 14a에 도시한 섹터(10)의 것들과 동일하다. 이하, 재기록 가능 영역 내의 섹터(10)의 프리싱크 영역(44) 상에 기록된 제 2 데이터 동기열 및 판독 전용 영역 내의 섹터(30)의 프리싱크 영역(46)을 상세히 기술한다. 다음 설명에서, 섹터(10)의 프리싱크 영역(44)은 예로서 설명될 것이다. 섹터(30)의 프리싱크 영역(46)에도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상기 기술된 바와 같이, 이 예의 데이터 형식은 데이터 영역의 헤드로서 제 1 데이터 동기열(4a)과 제 3 데이터 동기열(VFO 영역(15 혹은 84)) 사이에 제 2 데이터 동기열(프리싱크 영역(44 혹은 46))을 부가하는 데이터 시퀀스를 포함한다. 높은 자기상관성을 가지며 다른 데이터 부분에서 나타나지 않는 소정의 패턴은 코드 시퀀스 내에서 특정의 위치가 검출될 수 있도록 제 2 데이터 동기열에 대해 사용된다.
신호 재생에서, 제 3 데이터 동기열(VFO 영역(15))이 먼저 재생되어, PLL 회로가 단일 주기 반복 패턴을 검출함으로써 클럭킹되어 안정화되게 한다. 클럭킹이 충분히 안정화된 후, 제 2 데이터 동기열의 위치(프리싱크 영역(44))가 검출된다. 이 검출된 위치로부터, 데이터 영역의 헤드에 위치한 제 1 데이터 동기열(4a)의 판독 시작 위치가 명시될 수 있다. 데이터 영역(17)의 데이터에 동기화는 제 1 데이터 동기열(4a)를 사용하여 형성되고 이에 따라 데이터는 더욱 정밀한 타이밍으로 재생될 수 있다.
데이터 영역(17)이 도 14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의 데이터 블록으로 분할된 경우, 복수의 제 1 데이터 동기열(4a, 4b, ..)는 데이터 영역(17) 상에 형성된다. 이것은 용장성을 증가시키므로, 사용자 데이터를 위한 충분한 기록영역을 확보하기 위해서, 각각의 데이터 동기열은 짧아야 한다. 반대로, 단지 하나의 제 2 데이터 동기열(PSY(44))이 한 섹터 내에 존재하기 때문에, 제 2 데이터 동기열은 길어 질 수 있다.
따라서, 이 예에서, 비교적 긴 제 2 데이터 동기열(PSY(44))의 위치는 실패없이 검출될 수 있다. 제 2 데이터 동기열(PSY(44))의 검출된 위치로부터, 데이터 영역(17)의 헤드에 위치한 제 1 데이터 동기열(4a)의 판독 시작 위치가 식별될 수 있다. 이것은 안정된 검출을 감소시키지 않고 제 1 데이터 동기열(4a)이 짧아지게 한다.
제 2 데이터 동기열의 코드 패턴의 예를 기술한다. 이 예에서, 기록코드로서, 8/16 코드가 사용되며, 이것은 8비트 데이터를 최소 3채널 비트의 비트 길이 내지 최대 11채널 비트를 갖는 기록 코드의 16채널 비트로 변환한다. 한 채널 비트의 간격를 T로 나타내었다. 데이터는 신호레벨이 비트 "1"에서 반전되고 비트 "0"에서 반전되지 않는 NRZI 코드로 표현된다. 제 2 데이터 동기열은 기록코드의 마크/스페이스 길이의 제한치를 만족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가장 짧은 기록 비트 길이는 "100"이다. 안정된 재생을 확실하게 하기 위해서, 제 3 데이터 동기열(VFO 영역(15))은 가장 짧은 기록 비트보다 긴 주기를 가질 필요가 있고, PLL의 클럭킹을 확실하게 하는 많은 에지(edge) 정보(레벨 반전)을 포함한다. 그러므로, 이 예에서, "1000"의 반복으로 구성된 코드열은 VFO 영역(15)에 기록될 제 3 데이터 동기열로서 사용된다. 따라서 VFO 영역(15)의 마크/스페이스 길이는 4T이다.
프리싱크 영역(44)의 제 2 데이터 동기열은 상기 기술된 바와 같이 VFO 영역(15)의 제 3 데이터 동기열에 의해 클럭 동기화 후에 검출되기 때문에, 매 4T마다 동기화할 수 있는 코드를 사용하는 것이 동기된 재생을 더 확실하게 한다. 결국, 제 2 데이터 동기열로서 4채널 비트 패턴의 조합을 사용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제 2 데이터 동기열의 마크/스페이스 길이의 평균이 VFO 영역의 제 3 데이터 동기열의 반복 패턴(이하 VFO 패턴이라 함)의 주기에 가까운 경우, NRZI 코드로 표현된 심벌 "1"은 2개의 데이터 동기열 간 유사한 위치에 놓여있다. 이것은 제 2 데이터 동기열에 대해 VFO 패턴을 잘못 검출할 가능성을 증가시킨다. 그러므로, 이 예에서, 제 2 데이터 동기열과 VFO 패턴간 상호-코드 거리는 크게 된다. 그러나, VFO 패턴의 주기 4T보다 작은 제 2 데이터 동기열의 마크/스페이스 길이의 평균을 취하기 위해서, 가장 짧은 기록 비트 길이인 패턴 3T가 빈번하게 포함될 필요가 있다. 이것은 데이터 재생시 안정성을 감소시킨다. 이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서, 제 2 데이터 동기열의 마크/공간 길의 평균은 VFO 패턴의 주기 4T보다 길게 만들어 진다.
이 예에서 제 2 데이터 동기열은 4비트이며, 단일 레벨 반전, 즉 "1", "10", "100", "1000"을 갖는 코드심벌 및 어떠한 레벨 반전도 갖지 않는 즉 "0"을 갖는 코드심벌을 포함하는 복수의 코드 심벌의 조합으로 구성된다.
제 2 데이터 동기열을 구성하는 코드열의 더 특정한 예를 기술한다. 이 예에서, 상기 기술된 8/16 변환코드가 사용된다. 나중에 기술되는 바와 같이, 제 1 데이터 동기열로서 2바이트 코드가 사용되기 때문에, 제 2 데이터 동기열에 3개의 바이트가 사용된다. 8/16 변환코드로 변환될 때, 제 2 데이터 동기열은 기록 채널 비트로서 48비트의 길이를 갖는다. 즉, 4비트 코드 심벌의 상기 조합 면에서, 12 심벌의 길이를 갖는다. 이하, 코드열의 4개의 특정예를 기술한다.
(1) 코드열의 제 1 예(패턴 1)
"0100 0010 0100 0010 0010 0010 0100 0100 1000 0010 0100 1000"
패턴 1은 ISO/IES 10089에서 표준화된 패턴과 동일하며, 3형태의 심벌, "100", "10", "1000"으로 구성된다.
(2) 코드열의 제 2 예(패턴 2)
"1000 0100 0100 1000 0010 0001 0000 1000 0010 0100 0100 0001"
패턴 2는 4형태의 심벌, "100", "10", "1000", "1", "0"으로 구성된다.
(3) 코드열의 제 3 예(패턴 3)
"0000 0100 0100 1000 0010 0001 0010 0000 1000 0010 0001 0001"
패턴 3은 패턴 2와 동일한 4형태의 심벌로 구성된다.
(4) 코드열의 제 4 예(패턴 4)
"0000 0100 0100 1000 0010 0001 0010 0000 1000 0010 0001 0000"
패턴 4는 패턴 2와 동일한 4형태의 심벌로 구성된다. 이 패턴은 본 발명의 발명자에 의해 유일하게 발견되었으며, VFO 영역(15)와 데이터 영역(17) 사이에 개재된 PSY 영역(44)의 데이터열로서 에러에 대한 내성 및 우수한 검출결과를 나타낸다.
도 15는 마크/스페이스 길이의 평균, 마크/공간 길의 최대 및 최소, 패턴을 구성하는 심벌수, 및 디지털 합산값의 값(DSV의 절대치)에 관하여 상기 패턴 1 내지 4의 특성비교를 도시한 것이다.
도 15로부터 알 수 있듯이, 모든 패턴에서 발생된 마크/스페이스 길이의 최대 및 최소값은 각각 3T 및 6T이며, 8/16 변조 코드(최대길이 11T, 최소길이 3T)로 변조하기 위한 한계값을 만족한다.
패턴 1 내지 4의 마크/공간 길의 평균은 상기 기술된 바와 같이 제 3 데이터 동기열의 반복 주기 4T와 다른 것이 바람직하다. 도 15로부터 알 수 있듯이, 패턴 1의 마크/스페이스 길이의 평균은 비교적 4T에 가까운 3.7T이다. 이것은 패턴 1의 코드열을 구성하는 3가지 형태의 심벌 전부 4비트 중 "1"을 포함하기 때문이다. 패턴 1은 심벌 "0"을 포함하지 않기 때문에, 4T보다 긴 마크/스페이스 길이의 평균을 얻는 것은 어렵다.
반대로, 패턴 2 내지 4의 코드열은 심벌 "0"을 포함하는 4가지 형태의 심벌로 구성되기 때문에, 마크/스페이스 길이의 평균은 4T보다 길게 만들어질 수 있다.
디지털 합산값(DSV)는 기록코드의 특성을 나타내는 표시자로서 사용될 수 있다. DSV는 NRZI코드로 표현된 "1" 및 "0"을 각각 "1" 및 "-1"로 변환하고, 코드의 모든 비트를 합함으로써 얻어진다. 디지털 합산값이 제로일 때, 기록코드 내에 포함된 DC 성분은 제로이며, 이에 따라 재생신호 내의 DC 성분은 달라지지 않는다. 이것은 재생신호를 2진값으로 안정되게 변환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각 패턴의 디지털 합산값을 도 15에 도시하였다. DSV는 패턴 4에 대해 0이다.
제 2 데이터 동기열(PSY 영역)의 검출을 기술한다.
도 16은 제 2 데이터 동기열을 검출하는 PSY 검출회로(200)를 도시한 것이다. 도 16에서, PSY 검출회로(200)는 제 1 시프트 레지스터(91), 제 2 레지스터(92), 일치수 카운터(93), 임계치 회로(94), 동기 검출 허가 발생 회로(95), 및 AND 회로(96)를 포함한다. 이 예에서, 상기 기술된 바와 같이, 제 2 데이터 동기열은 48비트를 갖는 것으로 가정되며, 제 2 데이터 동기열을 구성하는 12개의 4비트 심벌은 S0내지 S11로 표시하였다. 그러므로 제 2 데이터 동기열의 패턴은 심벌 시퀀스 S0, S1, S2,...S11로 표현된다.
먼저, 제 2 데이터 동기열의 패턴(심벌 시퀀스) S0, S1, S2,...S11는 제 2 레지스터(92)에서 취해진다. 다음에, PSY 검출을 위한 재생신호는 연속적으로 시프트되면서 제 1 시프트 레지스터(91)로 입력된다. 제 2 레지스터(92)에 취해진 제 2 동기열 S0내지 S11은 이어서 4비트마다, 즉 모든 심벌마다 재생신호와 비교된다. 일치된 심벌의 개수는 일치수 카운터(93)에 의해서 계수되며, 계수된 값은 임계치 회로(94)로 출력된다. 임계치 회로(94)는 제 2 데이터 동기열이 검출되었는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미리정한 임계치를 갖는다. 일치수 카운터(93)로부터 출력된 계수값이 임계치를 초과할 때, 검출신호가 임계치 회로(94)로부터 출력된다.
예를 들면, 임계치가 8로 정해졌다고 하면, 임계치 회로(94)는 입력된 재생신호 및 제 2 동기열 S0내지 S11이 8개의 심벌 이상 일치한 때 검출신호를 출력한다. 재생신호에 어떠한 에러도 발생하지 않는 한, 제 2 데이터 동기열이 하나씩 제 1 시프트 레지스터(91)의 각각의 비트를 시프트함으로서 정확하게 검출된 때 12개 심벌 전부는 제 1 시프트 레지스터(91)의 신호값과 일치한다. 동기 검출 허가 발생회로(95)는 제 2 데이터 동기열이 검출되야 하는 시간구간을 나타내는 게이트신호를 출력한다. 임계치 회로(94)가 이 검출 시간구간 동안 제 2 데이터 동기열을 검출할 때, 제 2 데이터 동기열에 대한 검출신호는 AND 회로(96)에서 시스템 제어회로(도시없음)로 출력된다.
이 예에서, 패턴일치는 4비트 심벌마다 수행되었다. 패턴일치는 또 다른 비트수, 예를 들면 모든 비트에 대해 또한 수행되었다.
각 영역에 특정 코드 패턴이 할당된 도 14a에 돗한 데이터 형식의 특정예를 기술한다. 도 17은 VFO 영역(15)에서 제 1 데이터 블록(5a)까지 데이터 형식의 부분의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7에서, VFO 영역(15)은 제 3 데이터 동기열로서 "1000"의 반복 패턴의 적어도 64비트를 갖는다. PSY 영역(44)의 제 2 데이터 동기열 다음에 오는 데이터 영역(17)의 제 1 데이터 동기열(4a)은 "0001 0010 0100 0100 0000 0000 0000 0100 01"의 32비트 패턴(4a-1) 혹은 "0001 0010 0000 0100 0000 0000 0001 0001"의 32비트 패턴(4a-2)를 갖는다. 제 1 데이터 동기열(4a) 다음에 오는 데이터 블록(5a)의 헤드부분은 임의로 16비트로 가정한다.
이하, PSY 검출에서 얻어진 패턴일치를 상기 기술된 제 2 데이터 동기열(패턴 1 내지 4)의 패턴 1 및 4를 사용하여 기술한다.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2 데이터 동기열의 검출은 48비트 검출 윈도우(97)을 사용하여 수행된다. 기준위치는 에러가 발생하지 않는 한 모든 12개 심벌의 일치가 얻어져야 하는 위치로서 정해진다. 검출에서, 검출 윈도우(97)는 기준위치로부터 -64 비트 내지 +48비트의 범위로 시프트된다. 입력신호의 4비트마다 상기 기술된 제 2 데이터 동기열의 각각의 심벌과 비교되어, 패턴일치 개수를 얻는다. 그 결과는 도19a 및 도 19b에 도시하였다. 도 19a 및 도 19b에 도시한 그래프는 일반적으로 자기상관 함수도라 칭한다. 패턴일치수의 임계치는 8개 심벌로 기설정되고, 8개 이상의 심벌이 일치한 위치는 제 2 데이터 동기열에 대한 검출위치로서 결정된다.
제 2 데이터 동기열의 검출에서 제 1 데이터 동기열(4a) 및 데이터 블록(5a)의 영향을 고려하기 위해서, 도 19a 및 도 19b에 도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결정되었다. 제 1 데이터 동기열의 패턴(4a-1 및 4a-2) 중 하나는 선택된 것이 각각의 시간에서 더 많은 패턴일치수를 제공하도록 선택된다(즉, 제 2 데이터 동기열의 검출에 더 악영향을 미치는 것이 선택된다). 검출 윈도우(97)가 약 40비트 이상 기준위치로부터 우측으로 시프트된 때, 제 1 데이터 동기열(4a) 다음에 오는 데이터 블록(5a)은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검출 윈도우(97)의 범위 내에 포함된다. 이 경우, 데이터 블록(5a)의 패턴(16비트)는 제 2 데이터 동기열의 검출에 크게 영향을 미친다. 최악의 경우를 대비하기 위해서, 패턴일치수가 더 큰 데이터 블록(5a)(16비트)의 패턴이 이 예에서 사용된다.
결국, 도 19a 및 도 19b로부터 알게 되겠지만, 검출 윈도우(97)는 기준위치로부터 좌측으로 시프트되며(즉, 비트 시프트의 위치 0), 패턴일치의 최대수는 패턴 1에 대해 5이며, 패턴 4에 대해 4이다. 또한, 기준위치로부터 40비트의 범위 내에서 검출 윈도우(97)가 기준위치로부터 우측으로 시프트된 때, 패턴일치의 최대수는 패턴 1에 대해 6이며 패턴 4에 대해 4이다. 검출 윈도우(97)이 기준위치로부터 시프트된 때 패턴일치수는 가능한 한 작게 하여 제 2 데이터 동기열이 잘못하여 검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 따라서, 비트 시프트에 관하여 자기상관 특성은 패턴 4가 사용될 때 더 양호하다.
에지 시프트 혹은 슬라이스 레벨 변동이 발생한 때 제 2 데이터 동기열의 각각의 패턴의 자기상관을 검사하였다. 여기서, 1비트 에지 시프트를 예를 들면 "100"이어야 하는 재생신호가 "1000" 혹은 "10"으로 변경된 경우로 언급한다. 도 18a 내지 도 18c는 슬라이스 레벨 변동을 보이는 그래프이다. 슬라이스 레벨은 재생신호를 2진값으로 디지털화하기 위한 척도로서 사용된다. 샘플된 재생신호의 값이 슬라이스 레벨보다 클 때, "1"로 설정된다. 디지털화된 2진값의 결과는 NRZI코드로 표현된다. 슬라이스 레벨은 통상은 도 18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재생신호의 진폭의 중심에 설정된다. 그러나, 슬라이스 레벨은 도 18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승할 수도 있고 도 18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떨어질 수도 있어 2진값으로 디지털화하기 위한 척도를 가변시킨다. 결국, 도 18a에 도시한 바와 같이 NRZI 코드로 "10001000"으로서 재생되어야 하는 신호열은 슬라이스 레벨이 상승할 때(도 18b) "10010000"으로 재생되거나, 슬라이스 레벨이 하강할 때(도 18c) "10000100"으로 재생된다.
도 20a 및 도 20b는 제 2 데이터 동기열을 검출하기 위한 검출 윈도우(97)의 범위 내에서 3개의 위치 중 어느 하나에서 1비트 에지 시프트가 발생한 때 패턴일치의 최악의 값의 결과를 도시한 것이다. 도 20c는 슬라이스 레벨의 상승에 기인하여, VFO 영역(15)의 패턴이 원래의 "10001000"에서 시프트된 "10010000"으로 변경되고 PSY 영역의 제 2 데이터 동기열 역시 유사하게 변화된 때 얻어진 패턴일치의 결과를 도시한 것이다. 마찬가지로, 도 20d는 슬라이스 레벨이 하강한 때 패턴일치의 결과를 도시한 것이다.
도 20a 및 도 20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에지 시프트의 개수가 1만큼 증가함에 따라 패턴일치의 수는 전체로서 거의 전부 비트위치에서 1만큼 증가한다. 결국, 도 20a로부터 알 수 있듯이, 패턴 1의 경우, 에지 시프트가 2개의 위치에서 발생한 때, 패턴일치수는 검출 윈도우(97)의 기준위치 밖의 위치들에서도 8이 된다. 이것은 오검출을 야기한다. 그러나, 패턴 4의 경우, 패턴일치의 수는 에지 시트프가 2개의 위치에서 발생한 때라도 검출 윈도우(97)의 기준위치 밖의 위치에서 최대 6이다. 그러므로 오검출 가능성이 작다.
도 20c로부터 알 수 있듯이, 패턴 1의 경우, 검출 윈도우(97)가 검출을 위해 64 내지 48비트만큼 기준위치로부터 좌측으로(도면에서 음의 수쪽으로) 시프트된 때, 즉 슬라이스 레벨변동된 VFO 영역(15)의 신호열로 패턴일치가 수행된 때, 패턴일치수가 급격하게 증가하는 위치(그 값은 8)가 존재한다. 이것은 제 2 데이터 동기열로서 잘못 검출될 것이다. 그러나, 패턴 4의 경우, 패턴일치 수는 슬라이스 레벨이 변해도 검출윈도우(97)의 기준위치의 좌측 위치들에서 최대 5이다. 그러므로 오검출 가능성이 작다.
따라서, 패턴 4는 기록 코드로서 양호한 특성을 가지며 에지 시프트 혹은 슬라이스 레벨의 변동에 기인하여 동기신호의 오검출 가능성이 더 작기 때문에 PSY 영역에 기록된 제 2 동기열로서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광 디스크에 따라, 제 1 헤더영역의 섹터 식별 데이터는 홈트랙 및 랜드트랙 어느 하나가 추적될 때 재생된다. 이것은 홈트랙 및 랜드트랙 각각에 대한 전용 헤더영역을 제공할 필요성을 제거한다.
재기록 가능 영역의 프리포맷에 관하여, 제 1 헤더영역은 홈트랙의 중심선으로부터 바깥쪽 및 안쪽으로 안내홈(홈트랙)을 커팅하여 형성하기 위한 광빔을 워블링함으로써 고정밀도 쉽게 광 디스크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이것은 재기록 가능 영역 내의 헤더영역을 형성하기 위한 부가적인 전용 광원을 제공할 필요성을 제거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광 디스크에 따라, 재기록 가능 영역의 프리포맷은 커팅을 위한 단일의 광원을 사용하여 고정밀로 쉽게 형성될 수 있다. 이것은 재기록 가능 영역 및 판독 전용 영역이 하나의 광 디스크 상에 형성될 때 종래의 커팅기계를 사용하여 프리포맷을 형성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에 따라, 판독 전용 영역 내의 각 섹터의 섹터 길이, 헤더영역의 길이, 및 데이터 영역의 길이는 재기록 가능 영역 내의 각 섹터의 섹터 길이, 헤더영역의 길이 및 데이터 영역의 길이와 동일하게 만들어진다. 결국, 판독 전용 영역의 데이터 형식은 재기록 가능 영역의 데이터 형식과 일치한다. 이것은 섹터 재생과 같은 처리를 단일화하기 위해서 판독 전용 영역 및 재기록 가능 영역의 섹터 유지관리를 단위화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에 따라, 판독 전용 영역의 정보 데이터 영역에 선행하며 이 다음에 오는 더미 데이터 영역이 제공된다. 이러한 구성으로, 판독 전용 영역의 섹터에 기록될 섹터 길이, 헤더영역의 길이 및 데이터 길이는 재기록 가능 영역의 섹터에 기록될 섹터 길이, 헤더영역의 길이 및 데이터 길이와 실제적으로 같게 만들어 질 수 있다. 이것은 섹터 재생과 같은 처리를 단일화하기 위해서 판독 전용 영역 및 재기록 가능 영역의 섹터 유지관리를 단위화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의 광 디스크에 따라, 재기록 가능 영역 및 판독 전용 영역용의 개별 재생신호 처리회로들이 필요하지 않고 재기록 가능 영역 및 판독 전용 영역이 하나의 광 디스크 상에 형성될 때 하나의 재생신호 처리회로를 공유할 수 있다. 이것은 광 디스크 기록/재생 장치의 회로크기를 줄일 수 있게 한다. 따라서, 간단한 회로구성 및 고신뢰성의 재생신호 처리회로를 실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트래킹 에러 신호는 위상 에러 검출방법을 서보 트래킹하는데 사용할 때라도 안정되게 검출될 수 있어, 비교적 안정된 서보 트래킹이 가능하다. 또한, 인접 트랙 상의 제 2 더미 데이터 영역에 대해 상이한 데이터 동기열을 사용함으로서, 서보 트래킹이 안정화될 수 있고 정보 데이터 영역의 시작을 실패없이 검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아무 데이터도 기록되지 않은 채 있는 판독 전용 영역의 섹터는 더미 데이터로 채어진다. 이와 같이 채움으로서, 재기록 가능 영역은 항상 트랙의 헤드부터 시작할 수 있어 유효한 섹터 유지관리가 실현된다.
본 발명에 따라, 높은 자기상관을 가진 제 2 데이터를 프리싱크 영역에 사용한다. 이것은 고신뢰성으로 프리싱크 영역을 검출할 수 있게 한다. 결국, 프리싱크 영역 다음에 오는 데이터의 시작 위치를 정밀하게 명시할 수 있다. 이것은 기록된 데이터를 안정하게 재생할 수 있게 한다.
제 2 데이터 동기열의 구조에 따라, 제 2 데이터 동기열의 마크/스페이스 길이의 평균은 VFO 영역의 것보다 길게 만들어진다. 이것은 제 2 데이터 동기열이 VFO 영역용으로 사용된 데이터 동기열의 패턴과 일치되지 않게 한다. 이것은 재생신호에 어떠한 에러도 발생하지 않는 경우나 에지 시프트가 발생하거나 슬라이스 레벨이 변화된 경우에도 유효하다. 따라서, 프리싱크 영역에 사용된 이러한 제 2 데이터 동기열은 에러에 내성이 있으며 우수한 검출결과를 제공한다.
제 2 데이터 동기열의 디지털 합산값을 실제적으로 제로로 설정함으로서, DC 성분은 변화하지 않으며, 따라서 재생신호의 안정성은 제 2 데이터 동기열의 부가에 기인하여 저하되지 않는다.
변조 코드 규칙 하에서 제한값을 만족하는 제 2 데이터 동기열은 광 디스크 상에 기록된 너무 작은 기록마크에 기인하여 파형간섭, 너무 큰 마크에 의해 신호의 너무 긴 반전 간격에 기인하여 불안정한 클럭 동기화와 같은 문제를 방지한다.

Claims (22)

  1. 재기록 가능한 제 1 기록영역 및 판독 전용의 제 2 기록영역을 갖는 광 디스크에 있어서,
    상기 제 1 기록영역은 홈들로 구성된 홈트랙 및 홈간부들로 구성된 랜드트랙으로 구성된 제 1 트랙을 포함하며, 상기 홈트랙 및 상기 랜드트랙은 나선 혹은 동심원 형태로 교대로 광 디스크 기판 상에 형성되며, 상기 제 1 트랙 각각은 복수의 제 1 섹터로 분할되고, 상기 제 1 섹터 각각은 상기 제 1 섹터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 데이터를 갖는 제 1 헤더영역 및 기록표면의 광학 특성을 변경하여 기록마크를 형성함으로써 사용자 데이터를 기록하기 위한 제 1 데이터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제 2 기록영역은 나선 혹은 동심원 형상으로 상기 광 디스크 기판 상에 배열된 물리적인 오목 및 볼록 형상의 피트 로우로 형성된 제 2 트랙을 포함하며, 상기 제 2 트랙 각각은 복수의 제 2 섹터로 분할되고, 상기 제 2 섹터 각각은 상기 제 2 섹터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 데이터를 갖는 제 2 헤더영역 및 상기 피트 로우로서 기록된 판독 전용 데이터를 갖는 제 2 데이터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헤더영역은 물리적인 오목 및 볼록 형상의 제 1 피트 로우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피트 로우의 각각의 피트는 상기 홈트랙의 폭과 거의 동일한 상기 광 디스크의 방사방향 폭을 가지며 상기 홈트랙의 피치의 약 4분의 1만큼 상기 홈트랙의 중심선으로부터 바깥쪽 혹은 안쪽으로 워블되어 있고,
    상기 제 2 헤더영역은 물리적인 오목 및 볼록 형상의 제 2 피트 로우를 포함하며, 상기 제 2 피트 로우의 각각의 피트는 상기 홈트랙의 폭보다 작은 상기 광 디스크의 방사방향 폭을 가지며 실제적으로 상기 제 2 트랙의 중심선을 따라 형성되는 광 디스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헤더영역의 데이터 시퀀스 및 상기 제 2 헤더영역의 데이터 시퀀스는 동일한 변조 코드로 변조되고,
    상기 제 1 데이터 영역의 데이터 시퀀스 및 상기 제 2 데이터 영역의 데이터 시퀀스는 동일한 변조 코드로 변조되는 광 디스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헤더영역의 상기 식별 데이터 및 상기 제 2 헤더영역의 상기 식별 데이터는 동일 데이터 시퀀스 및 동일 데이터 용량을 갖는 데이터 형식을 가지며,
    상기 제 1 데이터 영역 및 상기 제 2 데이터 영역은 동일 데이터 시퀀스 및 동일 데이터 용량을 갖는 데이터 형식을 갖는 광 디스크.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재기록 가능한 제 1 기록 영역 내의 상기 제 1 헤더영역과 상기 제 1 데이터 영역간 데이터 비트 간격은 상기 판독 전용의 제 2 기록 영역 내의 상기 제 2 헤더영역과 상기 제 2 데이터 영역간 데이터 비트 간격과 실제적으로 동일한 광 디스크.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재기록 가능한 제 1 기록영역에서, 상기 제 1 섹터 각각은: 상기 제 1 헤더영역과 상기 제 1 데이터 영역 사이에 형성된 미러 마크 영역, 갭 영역, 및 제 1 더미 데이터 영역과; 상기 제 1 데이터 영역과 다음 제 1 섹터의 제 1 헤더영역 사이에 형성된 보호 데이터 영역 및 버퍼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제 2 기록 영역에서, 상기 제 2 섹터 각각은: 상기 제 2 헤더영역과 상기 제 2 데이터 영역 사이에 형성된 제 2 더미 데이터 영역과; 상기 제 2 데이터 영역과 다음 제 2 섹터의 제 2 헤더 영역 사이에 형성된 제 3 더미 데이터 영역을 포함하는 광 디스크.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더미 데이터 영역, 상기 제 2 더미 데이터 영역, 상기 제 3 더미 데이터 영역 각각은 기록될 데이터의 변조에 사용되는 변조 코드의 특정한 시퀀스 패턴을 갖는 광 디스크.
  7. 재기록 가능한 제 1 기록영역 및 판독 전용의 제 2 기록영역을 갖는 광 디스크에 있어서,
    상기 제 1 기록영역은 홈들로 구성된 홈트랙 및 홈간부들로 이루어진 랜드트랙으로 구성된 제 1 트랙을 포함하며, 상기 홈트랙 및 상기 랜드트랙은 나선 혹은 동심원 형태로 교대로 광 디스크 기판 상에 형성되며, 상기 제 1 트랙 각각은 복수의 제 1 섹터로 분할되고, 상기 제 1 섹터 각각은 상기 제 1 섹터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 데이터를 갖는 제 1 헤더영역 및 기록표면의 광학특성을 변경함으로써 기록마크로서 사용자 데이터를 기록하기 위한 제 1 데이터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제 2 기록영역은 나선 혹은 동심원 형상으로 상기 광 디스크 기판 상에 배열된 물리적인 피트 로우로 형성된 제 2 트랙을 포함하며, 상기 제 2 트랙 각각은 복수의 제 2 섹터로 분할되고, 상기 제 2 섹터 각각은 상기 제 2 섹터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 데이터를 갖는 제 2 헤더영역 및 상기 피트 로우로서 기록된 판독 전용 데이터를 갖는 제 2 데이터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및 제 2 기록영역의 데이터열은 동일한 변조 코드로 변조되고,
    상기 제 1 및 제 2 섹터들은 동일한 데이터 용량을 가지며,
    상기 제 1 및 제 2 헤더영역은 동일한 데이터 시퀀스를 가지며,
    상기 제 1 및 제 2 데이터 영역은 동일한 데이터 시퀀스 및 동일한 데이터 용량을 갖는 광 디스크.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섹터 각각은 상기 제 1 헤더영역과 상기 제 1 데이터 영역 사이에 형성된 제 1 더미 데이터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제 2 섹터 각각은 상기 제 2 헤더영역과 상기 제 2 데이터 영역 사이에 형성된 제 2 더미 데이터 영역 및 상기 제 2 데이터 영역과 다음 제 2 섹터의 제 2 헤더영역 사이에 형성된 제 3 더미 데이터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제 2 및 제 3 더미 데이터 영역 각각은 적어도 그 일부분에 상기 광 디스크 기판 상의 인접한 트랙 안쪽이나 바깥쪽에, 대응하는 데이터 영역의 데이터열과 상이한 데이터열의 데이터를 포함하는 광 디스크.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및 제 3 더미 데이터 영역 각각은 적어도 그 일부분에, 인접 트랙 상의 대응하는 더미 데이터 영역 상에 제공된 데이터열과 실제적으로 상관성이 없는 랜덤 데이터열을 포함하는 광 디스크.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랜덤 데이터열은 M-열 시퀀스에 의해 발생된 데이터열인 광 디스크.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및 제 3 더미 데이터 영역 각각은 적어도 그 일부분에, 인접 트랙 상의 대응하는 더미 데이터 영역 상에 형성된 데이터열과 실제적으로 상관성이 없는 랜덤 데이터열 및 상기 랜덤 데이터열 다음에 제공된 변조 코드 내에 포함된 특정 시퀀스 패턴을 포함하는 광 디스크.
  12.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및 제 3 더미 데이터 영역 각각은 적어도 그 일부분에, 상기 제 2 데이터 영역의 시작 타이밍 위치를 명시하기 위한 데이터 동기열을 포함하는 광 디스크.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및 제 3 더미 데이터 영역에 포함된 상기 데이터 동기열은 상기 데이터 동기열의 패턴이 복수의 상이한 데이터 동기패턴 중에서 매 트랙마다 스위치되도록 제공되는 광 디스크.
  14.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및 제 3 더미 데이터 영역 각각은 적어도 그 일부분에, 상기 섹터 식별 데이터 내의 주소정보에 기초하여 소정의 데이터를 스크램블하고 상기 스크램블된 데이터를 상기 변조 코드로 변조하여 발생된 패턴을 갖는 광 디스크.
  15. 제 7 항에 있어서, 하나의 에러 정정 블록은 상기 제 1 혹은 제 2 섹터의 소정 개수 k(k는 정수)를 포함하며, 데이터는 k의 배수개의 섹터 상에 기록되고, 더미 데이터는 k보다 작은 개수의 나머지 섹터에 기록되는 광 디스크.
  16. 재기록 가능한 제 1 기록영역 및 판독 전용의 제 2 기록영역을 갖는 광 디스크에 있어서,
    상기 제 1 기록영역은 홈들로 구성된 홈트랙 및 홈간부들로 이루어진 랜드트랙으로 구성된 제 1 트랙을 포함하며, 상기 홈트랙 및 상기 랜드트랙은 나선 혹은 동심원 형태로 교대로 광 디스크 기판 상에 형성되며, 상기 제 1 트랙 각각은 복수의 제 1 섹터로 분할되고, 상기 제 1 섹터 각각은 상기 제 1 섹터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 데이터를 갖는 제 1 헤더영역 및 기록표면의 광학특성을 변경하여 얻어진 기록마크를 형성함으로써 사용자 데이터를 기록하기 위한 제 1 데이터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제 2 기록영역은 나선 혹은 동심원 형상으로 상기 광 디스크 기판 상에 배열된 물리적인 오목 및 볼록 형상의 피트 로우로 형성된 제 2 트랙을 포함하며, 상기 제 2 트랙 각각은 복수의 제 2 섹터로 분할되고, 상기 제 2 섹터 각각은 상기 제 2 섹터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 데이터를 갖는 제 2 헤더영역 및 상기 피트 로우로서 기록된 판독 전용 데이터를 갖는 제 2 데이터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및 제 2 데이터 영역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데이터 영역의 시작 타이밍 위치를 명시하는 상기 데이터 영역의 헤드에 제공된 제 1 데이터 동기열과;
    상기 데이터 영역의 시작 타이밍 위치를 명시하는 상기 제 1 데이터 동기열에 선행하는 제 2 데이터 동기열과;
    상기 제 2 데이터 동기열에 선행하며 상기 데이터 영역 내의 변조 코드의 특정한 반복 시퀀스 패턴을 갖는 제 3 데이터 동기열을 포함하는 광 디스크.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영역은 복수의 데이터 블록으로 분할되고,
    상기 제 1 데이터 동기열은 상기 데이터 블록 각각의 헤드에 제공되고,
    상기 제 2 데이터 동기열은 상기 복수의 데이터 블록 중 제 1 블록의 헤드에 제공된 상기 제 1 데이터 동기열에 선행하는 광 디스크.
  18.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데이터 동기열 내의 "1" 및 "0"을 각각 "1", "-1"로 변환하고 모든 값을 합산하여 얻어진 디지털 합산값은 실제적으로 제로인 광 디스크.
  19.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데이터 동기열은 데이터 영역의 마크 길이("1" 혹은 "0" 레벨) 및 스페이스 길이("0" 혹은 "1" 레벨)의 변조 코드 규칙 하에서 제한값으로서 최대 길이 및 최소 길이를 만족하는 광 디스크.
  20.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데이터 동기열의 상기 마크 길이 및 스페이스 길이의 평균은 상기 제 3 데이터 동기열의 마크 길이 및 스페이스 길이보다 큰 광 디스크.
  21.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데이터 동기열은 4비트 코드 심벌, "100", "10", "1000", "0" 중 복수의 어느 것의 조합으로 구성된 데이터열인 광 디스크.
  22.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데이터 동기열은 코드열, "0000 0100 0100 1000 0010 0001 0010 0000 1000 0010 0001 0000"을 포함하는 데이터열인 광 디스크.
KR1019980708275A 1996-04-11 1997-04-09 광 디스크 Expired - Lifetime KR10028194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9)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6-89236 1996-04-11
JP8923696 1996-04-11
JP15394896 1996-06-14
JP96-153948 1996-06-14
JP16264396 1996-06-24
JP96-162643 1996-06-24
JP19188796 1996-07-22
JP96-191887 1996-07-22
PCT/JP1997/001223 WO1997038420A1 (fr) 1996-04-11 1997-04-09 Disque optiqu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5490A KR20000005490A (ko) 2000-01-25
KR100281947B1 true KR100281947B1 (ko) 2001-02-15

Family

ID=274676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708275A Expired - Lifetime KR100281947B1 (ko) 1996-04-11 1997-04-09 광 디스크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5850382A (ko)
EP (3) EP0893792B1 (ko)
JP (1) JP3098258B2 (ko)
KR (1) KR100281947B1 (ko)
CN (2) CN1288639C (ko)
DE (3) DE69715690T2 (ko)
ID (1) ID16578A (ko)
MY (1) MY113649A (ko)
TW (1) TW367492B (ko)
WO (1) WO199703842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44051A (en) * 1996-04-11 2000-03-28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Optical information recording/reproducing device and method for recording, reproducing and erasing information on an optical information recording medium utilizing light beam radiation
DE69718073T2 (de) 1996-04-15 2003-10-02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Optische Platte und Aufzeichnungs/Wiedergabevorrichtung
TW357345B (en) 1996-06-26 1999-05-0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CD having re-write area and ROM area
DE69712219T2 (de) 1996-10-23 2002-12-12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Optische platte
JPH10143866A (ja) * 1996-11-11 1998-05-29 Nippon Conlux Co Ltd 光メモリカードのデータ記録方法および装置
JP3997564B2 (ja) * 1997-06-10 2007-10-24 ソニー株式会社 光学的記録媒体の製造方法
US6392829B1 (en) * 1997-10-23 2002-05-21 Seagate Technology Llc Alternate randomizing for even/odd data tracks
EP0926664B1 (en) * 1997-12-26 2006-05-31 Kabushiki Kaisha Toshiba Optical disk and optical disk apparatus
JP3204217B2 (ja) * 1998-06-17 2001-09-04 日本電気株式会社 記録符号変換方法及び復号方法並びに同期信号挿入方法
US6970522B1 (en) * 1999-04-16 2005-11-29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Data retrieval
KR100657239B1 (ko) * 1999-05-12 2006-12-18 삼성전자주식회사 광 기록 매체와 그 구동 장치 및 방법
US6687206B1 (en) * 1999-06-02 2004-02-03 Ricoh Company, Ltd. Information recording method and apparatus
US20030157292A1 (en) * 1999-06-23 2003-08-21 Dataplay, Inc. Miniature optical disk for data storage
US6580683B1 (en) 1999-06-23 2003-06-17 Dataplay, Inc. Optical recording medium having a master data area and a writeable data area
US6535477B1 (en) * 1999-06-28 2003-03-18 Pioneer Corporation Optical recording medium having groove and land track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0611955B1 (ko) * 1999-07-20 2006-08-11 삼성전자주식회사 스크램블러
KR100750624B1 (ko) * 1999-09-29 2007-08-20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데이터 기록매체, 데이터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 및기록매체 판별방법
DE60012376T2 (de) * 2000-01-14 2005-08-04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Kadoma Optischer Datenträger und Adressenleseeinrichtung und -verfahren für optischen Datenträger
US6823398B1 (en) 2000-03-31 2004-11-23 Dphi Acquisitions, Inc. File system management embedded in a storage device
US6990058B1 (en) 2000-04-03 2006-01-24 Dphi Acquisitions, Inc. Structure and method for storing data on optical disks
US6829671B1 (en) * 2000-04-04 2004-12-07 Promos Technologies Inc. Method and system for improved audio data retrieval from an optical media
US7054260B2 (en) * 2000-04-26 2006-05-30 Optical Disc Corporation Hybrid discs
JP3895181B2 (ja) * 2000-05-19 2007-03-22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データ記録媒体およびその再生装置
WO2001093035A2 (en) * 2000-05-30 2001-12-06 Dataplay, Inc. Defect management system for write-once storage disk
US6738333B1 (en) 2000-05-30 2004-05-18 Dphi Acquisitions, Inc. Format for recording data in a storage disk
US7051054B1 (en) 2000-05-30 2006-05-23 Dphi Acquisition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emulating read/write file system on a write-once storage disk
HU229588B1 (hu) * 2000-07-07 2014-02-28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Adathordozó, lejátszó berendezés és információs rendszer az adathordozóval és lejátszó berendezéssel
WO2002011139A1 (fr) * 2000-07-31 2002-02-07 Sony Corporation Support d'enregistrement, procede d'enregistrement et/ou de reproduction pour support d'enregistrement, et dispositif d'enregistrement et/ou de reproduction pour support d'enregistrement
JP2002093057A (ja) * 2000-09-19 2002-03-29 Sony Corp 光ディスク、光ディスク再生装置、および光ディスク再生方法、光ディスク記録装置、および光ディスク記録方法、並びに記録媒体
KR100379399B1 (ko) * 2000-10-02 2003-04-10 엘지전자 주식회사 광 기록매체의 헤더 영역 검출 방법 및 장치와 이를이용한 기록 재생 방법
US7126906B2 (en) * 2000-12-21 2006-10-24 Hitachi Maxell, Ltd. Optical record carrier, drive unit, data updating method and software version-up method
CN101188120B (zh) * 2000-12-26 2013-01-23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记录方法和再现方法
US7158464B2 (en) 2000-12-26 2007-01-02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Recording medium, recording method, reproduction method, recording apparatus and reproduction apparatus
KR100713097B1 (ko) * 2000-12-26 2007-05-02 파이오니아 가부시키가이샤 정보 기록 매체, 및 정보 재생 장치 및 방법
US7092322B2 (en) * 2001-01-25 2006-08-15 Dphi Acquisitions, Inc. Calibration of focus error signal offset in a focus servo system
US7672199B2 (en) 2001-01-25 2010-03-02 Dphi Acquisitions, Inc. Close focus algorithm in a digital focus servo system
US6882603B2 (en) * 2001-01-25 2005-04-19 Dphi Acquisitions, Inc. Digital tracking servo system with tracking skate detection
US6781929B2 (en) 2001-01-25 2004-08-24 Dphi Acquisitions, Inc. Digital tracking servo system with multi-track seek
US6937543B2 (en) 2001-01-25 2005-08-30 Dphi Acquisitions, Inc. Digital focus servo system with a sliding notch filter
US6847597B2 (en) 2001-01-25 2005-01-25 Dphi Acquisitions, Inc. Optical disk drive with a digital focus and tracking servo system
US6809995B2 (en) 2001-01-25 2004-10-26 Dphi Acquisitions, Inc. Digital focus and tracking servo system
US7414940B2 (en) 2001-01-25 2008-08-19 Dphi Acquisitions, Inc. Calibration of a focus error signal gain in a focus servo system
US6950380B2 (en) * 2001-01-25 2005-09-27 Dphi Acquisitions, Inc. Detector input dark current offset calibration in an optical disk drive digital servo
US6965547B2 (en) * 2001-01-25 2005-11-15 Dphi Acquisitions, Inc. Tracking and focus servo system with error signal inverse non-linearity calibration
US7593300B2 (en) 2001-01-25 2009-09-22 Dphi Acquisitions, Inc. Digital tracking servo system with off-format detection
US6738320B2 (en) 2001-01-25 2004-05-18 Dphi Acquisitions, Inc. System and method for moving optical pick up from current position to target position with smooth control
US6813228B2 (en) 2001-01-25 2004-11-02 Dphi Acquisitions, Inc. Tracking and focus servo system with direction sensor
US6885619B2 (en) 2001-01-25 2005-04-26 Dphi Acquisitions, Inc. Detector input stray light offset calibration in an optical disk drive
US6898164B2 (en) * 2001-01-25 2005-05-24 Dphi Acquisitions, Inc. Close tracking algorithm in a digital tracking servo system
US6958957B2 (en) * 2001-01-25 2005-10-25 Dphi Acquisitions, Inc. Digital tracking and focus servo system with TES to FES crosstalk calibration
US6930963B2 (en) 2001-01-25 2005-08-16 Dphi Acquistions, Inc. Tracking and focus servo system with head load
US7023776B2 (en) * 2001-01-25 2006-04-04 Dphi Acquisitions, Inc. Calibration initiation methods for a tracking and focus servo system
US6704261B2 (en) 2001-01-25 2004-03-09 Dphi Acquisitions, Inc. Spin motor control in an optical drive
US6762980B2 (en) 2001-01-25 2004-07-13 Dphi Acquisitions, Inc. Digital tracking servo system with a multi-track seeking and accelerated servo function for regaining a closed tracking loop
US6970410B2 (en) * 2001-01-25 2005-11-29 Dphi Acquisitions, Inc. Focus detection in a digital focus servo system
US6906985B2 (en) 2001-01-25 2005-06-14 Dphi Acquisitions, Inc. Calibration of tracking error signal gain in a tracking servo system
US7522480B2 (en) 2001-01-25 2009-04-21 Dphi Acquisitions, Inc. Digital tracking servo system with multi-track seek with an acceleration clamp
US6970403B2 (en) * 2001-01-25 2005-11-29 Dphi Acquisition, Inc. Calibration of tracking error signal offset in a tracking servo system
US6882601B2 (en) 2001-01-25 2005-04-19 Dphi Acquisitions, Inc. Digital servo system with feed-forward control loops
US7196979B2 (en) 2001-01-25 2007-03-27 Dphi Acquisitions, Inc. Calibration storage methods for a digital focus and tracking servo system with calibration
US7016280B2 (en) * 2001-01-25 2006-03-21 Dphi Acquisitions, Inc. Tracking and focus servo system with defect detection
US6956797B2 (en) * 2001-01-25 2005-10-18 Dphi Acquisitions, Inc. Digital servo system with error signal integrity testing
US6728182B2 (en) 2001-01-25 2004-04-27 Dphi Acquisitions, Inc. Tracking and focus servo system with a media type boundary crossing detector
US6891781B2 (en) * 2001-01-25 2005-05-10 Dphi Acquisitions, Inc. Digital servo system with second order compensator
US7680004B2 (en) * 2001-01-25 2010-03-16 Dphi Acquisitions, Inc. Digital servo system with inverse non-linearity compensation
US7095683B2 (en) * 2001-01-25 2006-08-22 Dphi Acquisitions, Inc. Tracking and focus digital servo system with write abort
US7260031B2 (en) 2001-01-25 2007-08-21 Dphi Acquisitions, Inc. Digital focus and tracking servo system with one-track jump
US6922380B2 (en) 2001-01-25 2005-07-26 Dphi Acquisitions, Inc. Tracking and focus servo system with anti-skate algorithm
US6813226B2 (en) 2001-01-25 2004-11-02 Dphi Acquisitions, Inc. Calibration of a focus sum threshold in a focus servo system
US6891789B2 (en) * 2001-01-25 2005-05-10 Dphi Acquisitions, Inc. Tracking and focus servo system with automatic media type detector
US7023766B2 (en) 2001-01-25 2006-04-04 Dphi Acquisitions, Inc. Flexible servicing of servo algorithms using a digital signal processor
US6904007B2 (en) * 2001-01-25 2005-06-07 Dphi Acquisitions, Inc. Digital servo system with loop gain calibration
US6909676B2 (en) 2001-01-25 2005-06-21 Dphi Acquisitions, Inc. Digital tracking servo system with multi-track seek with track zero crossing detection
US7492675B2 (en) * 2001-01-25 2009-02-17 Dphi Acquisitions, Inc. Digital servo system with calibrated notch filters
US6847596B2 (en) 2001-01-25 2005-01-25 Dphi Acquisitions, Inc. Tracking servo system including a multi-track seek algorithm with a track zero crossing period integrity test
US7782721B2 (en) * 2001-01-25 2010-08-24 Dphi Acquisitions, Inc. Digital focus and tracking servo system with multi-zone calibration
US7020054B2 (en) * 2001-01-25 2006-03-28 Dphi Acquisitions, Inc. Digital servo system with biased feed-forward
US6985426B2 (en) * 2001-02-23 2006-01-10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recording optical information including dummy data, and optical disk having such data recorded thereon
JP2002324349A (ja) * 2001-04-26 2002-11-08 Sony Corp 情報配信方法、情報配信システムおよび情報配信装置
JP3559540B2 (ja) * 2001-09-07 2004-09-02 株式会社東芝 多目的情報記憶媒体及び記憶方法及び再生方法及び再生装置
JP4101666B2 (ja) * 2002-01-22 2008-06-18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情報記録媒体、記録装置、再生装置、記録方法、再生方法
CN101051475B (zh) * 2002-01-22 2012-01-11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信息记录媒介,记录设备,再现设备,记录方法和再现方法
US20030229547A1 (en) * 2002-03-21 2003-12-11 Pierre Costa Video storage medium having read-only and writeable portions
US20040199780A1 (en) * 2002-03-22 2004-10-07 Heung-Chan Seung Copy-protected optical recording medium, a method for driving therefor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reof
ES2324499T3 (es) * 2002-05-30 2009-08-07 Lg Electronics, Inc. Medio de grabacion y metodo de grabacion de datos en un medio de grabacion.
JP3889365B2 (ja) * 2002-08-12 2007-03-07 パイオニア株式会社 光学式記録媒体、記録装置、記録方法及び光学式記録媒体の製造方法
TWI238392B (en) * 2002-09-02 2005-08-21 Samsung Electronics Co Ltd Optical information storage medium and method of and apparatus for recording and/or reproducing information on and/or from the optical information storage medium
KR100727919B1 (ko) 2003-02-03 2007-06-14 삼성전자주식회사 광정보 저장매체
JP2004295948A (ja) 2003-03-25 2004-10-21 Ricoh Co Ltd 光情報記録装置、情報処理装置、光情報記録媒体、光情報記録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憶媒体
US7725779B2 (en) * 2005-01-25 2010-05-25 Ternarylogic Llc Multi-valued scrambling and descrambling of digital data on optical disks and other storage media
US7804746B2 (en) * 2005-03-11 2010-09-28 Mediatek Inc. Land/groove track and pickup head movement direction detection
CN103562998A (zh) * 2012-03-21 2014-02-05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光盘记录介质、光盘装置及记录方法
JP7319603B2 (ja) * 2019-09-06 2023-08-02 株式会社東芝 磁気ヘッド及び磁気記録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L8500152A (nl) * 1985-01-22 1986-08-18 Philips Nv Registratiedragerlichaam voorzien van vooraf aangebrachte en optisch detekteerbare servospoorgedeelten en sektoradressen.
US5173886A (en) * 1986-02-07 1992-12-22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Composite optical disc having both a data read-only area and a data rewritable area, and a recording/reproducing system for use therewith
JPH0746474B2 (ja) * 1986-06-20 1995-05-17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情報記録再生装置
JPH01307020A (ja) * 1988-06-03 1989-12-12 Hitachi Ltd 光ディスク装置
JP2604871B2 (ja) * 1989-02-08 1997-04-30 富士通株式会社 光ディスク及び光ディスク装置
US5134601A (en) * 1989-08-08 1992-07-28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Optical disk sector servo patterns
JPH0383226A (ja) * 1989-08-25 1991-04-09 Sony Corp 記録媒体
WO1991003046A1 (fr) * 1989-08-25 1991-03-07 Sony Corporation Support d'enregistrement optique, methode d'enregistrement de donnees, et methode de reproduction de donnees
JPH0413221A (ja) * 1990-04-28 1992-01-17 Sony Corp 光ディスク及び光ディスクの再生装置
JPH0426959A (ja) * 1990-05-22 1992-01-30 Olympus Optical Co Ltd 同期情報記録再生装置
US5327408A (en) * 1990-09-07 1994-07-05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Optical disk with sector servo patterns compensating for variations in pattern size and/or radial velocity
JP2868682B2 (ja) * 1992-05-15 1999-03-10 シャープ株式会社 光ディスク
JPH0689473A (ja) * 1992-09-10 1994-03-2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光磁気記録媒体
US5452284A (en) * 1992-09-14 1995-09-19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Optical recording/reproducing medium and apparatus using land and groove encoded information signals and identification signals including position information
JP2663817B2 (ja) * 1992-12-02 1997-10-15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光ディスク及びそれを用いた光ディスク装置
JP3133509B2 (ja) * 1992-09-29 2001-02-13 パイオニア株式会社 光ディスク及び光ディスク駆動装置
JPH06176504A (ja) * 1992-12-08 1994-06-2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光ディスク記録および再生方法
JP2801495B2 (ja) * 1993-04-07 1998-09-21 シャープ株式会社 光記録再生装置
JP2881092B2 (ja) * 1993-05-25 1999-04-12 富士通株式会社 可換記憶媒体のファイル管理方法
JPH0750014A (ja) * 1993-08-05 1995-02-2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光記録媒体
US5508995A (en) * 1993-07-15 1996-04-16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Optical disk capable of recording information on both groove and land tracks
JP3240762B2 (ja) * 1993-07-26 2001-12-25 ソニー株式会社 光記録媒体の再生方法及び再生装置
US5444682A (en) * 1993-09-07 1995-08-22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Tracking control apparatus
JPH07130092A (ja) * 1993-11-05 1995-05-19 Sony Corp ディスク記録装置、ディスク再生装置およびディスク状記録媒体
JP2878574B2 (ja) * 1993-12-01 1999-04-05 シャープ株式会社 光ディスク及びその再生方法
JPH07211005A (ja) * 1994-01-21 1995-08-11 Toshiba Corp 光ディスク及び光ディスク記録再生装置
JPH0822640A (ja) * 1994-07-05 1996-01-2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光ディスクおよび光ディスク記録方法
US5703867A (en) * 1995-07-21 1997-12-30 Hitachi, Ltd. Optical recording medium having a dummy area at leading and/or trailing positions of recording area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893792A1 (en) 1999-01-27
TW367492B (en) 1999-08-21
JP3098258B2 (ja) 2000-10-16
EP0893792A4 (en) 2000-01-12
US5850382A (en) 1998-12-15
DE69713908D1 (de) 2002-08-14
EP1049078A2 (en) 2000-11-02
CN1495712A (zh) 2004-05-12
EP0981130A3 (en) 2000-04-05
KR20000005490A (ko) 2000-01-25
WO1997038420A1 (fr) 1997-10-16
HK1017941A1 (en) 1999-12-03
EP1049078B1 (en) 2002-09-18
EP1049078A3 (en) 2000-11-08
MY113649A (en) 2002-04-30
EP0981130B1 (en) 2002-07-10
HK1066091A1 (en) 2005-03-11
EP0981130A2 (en) 2000-02-23
ID16578A (id) 1997-10-16
CN1221509A (zh) 1999-06-30
DE69715690T2 (de) 2003-02-13
CN1144184C (zh) 2004-03-31
EP0893792B1 (en) 2001-02-21
DE69713908T2 (de) 2002-11-21
DE69704111T2 (de) 2001-08-02
DE69715690D1 (de) 2002-10-24
DE69704111D1 (de) 2001-03-29
CN1288639C (zh) 2006-1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81947B1 (ko) 광 디스크
US6269069B1 (en) Optical disk, optical disk device, and method of reproducing information on optical disk
JP2954083B2 (ja) 情報記録再生用媒体及び情報記録再生用媒体フォーマット装置並びに情報記録再生装置
KR100284190B1 (ko) 광디스크
JP3899861B2 (ja) 光ディスク、情報再生方法及び記録方法
KR100557724B1 (ko) 광디스크와 그 정보 기록 방법 및 장치
KR100279340B1 (ko) 정보 기록 매체 및 정보 기록 방법
US7196984B2 (en) Optical disk medium and optical disk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JP2000082219A (ja) 光ディスクおよび再生装置
JP3068093B2 (ja) 光ディスクおよび再生装置
US20060120263A1 (en) Optical recording medium and its information recording method, and recorder
JP3901150B2 (ja) 光ディスク、情報再生方法及び記録方法
JP2954130B2 (ja) 情報記録再生用媒体及び情報記録再生用媒体フォーマット装置並びに情報記録再生装置
JP2954134B2 (ja) 情報記録再生用媒体及び情報記録再生用媒体フォーマット装置並びに情報記録再生装置
JP2954129B2 (ja) 情報記録再生用媒体及び情報記録再生用媒体フォーマット装置並びに情報記録再生装置
JP2954132B2 (ja) 情報記録再生用媒体及び情報記録再生用媒体フォーマット装置並びに情報記録再生装置
JP2954133B2 (ja) 情報記録再生用媒体及び情報記録再生用媒体フォーマット装置並びに情報記録再生装置
JP2954128B2 (ja) 情報記録再生用媒体及び情報記録再生用媒体フォーマット装置並びに情報記録再生装置
JP2954135B2 (ja) 情報記録再生用媒体及び情報記録再生用媒体フォーマット装置並びに情報記録再生装置
JP2954131B2 (ja) 情報記録再生用媒体及び情報記録再生用媒体フォーマット装置並びに情報記録再生装置
HK1017941B (en) Optical disc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81012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81120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0083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0112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0112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PG1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Patent event code: PG17011E01I

Patent event date: 20010329

Comment text: Request for Publication of Correc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3110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110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111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1110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1106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1110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1110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1122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1028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02

Year of fee payment: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1102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01

Year of fee payment: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1101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04

Year of fee payment: 1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1104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16

Year of fee payment: 1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1016

Start annual number: 16

End annual number: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0

Year of fee payment: 1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1020

Start annual number: 17

End annual number: 17

EXPY Expiration of term
PC1801 Expiration of term

Termination date: 20171010

Termination category: Expiration of du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