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81231B1 - Battery unit - Google Patents
Battery unit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281231B1 KR100281231B1 KR1019980708949A KR19980708949A KR100281231B1 KR 100281231 B1 KR100281231 B1 KR 100281231B1 KR 1019980708949 A KR1019980708949 A KR 1019980708949A KR 19980708949 A KR19980708949 A KR 19980708949A KR 100281231 B1 KR100281231 B1 KR 10028123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attery
- spacer
- elastic conductor
- battery device
- hol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 239000004020 conductor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6
- 125000006850 spacer group Chemical group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1
- POIUWJQBRNEFGX-XAMSXPGMSA-N cathelicidin Chemical compound C([C@@H](C(=O)N[C@@H](CCCNC(N)=N)C(=O)N[C@@H](CCCCN)C(=O)N[C@@H](CO)C(=O)N[C@@H](CCCCN)C(=O)N[C@@H](CCC(O)=O)C(=O)N[C@@H](CCCCN)C(=O)N[C@@H]([C@@H](C)CC)C(=O)NCC(=O)N[C@@H](CCCCN)C(=O)N[C@@H](CCC(O)=O)C(=O)N[C@@H](CC=1C=CC=CC=1)C(=O)N[C@@H](CCCCN)C(=O)N[C@@H](CCCNC(N)=N)C(=O)N[C@@H]([C@@H](C)CC)C(=O)N[C@@H](C(C)C)C(=O)N[C@@H](CCC(N)=O)C(=O)N[C@@H](CCCNC(N)=N)C(=O)N[C@@H]([C@@H](C)CC)C(=O)N[C@@H](CCCCN)C(=O)N[C@@H](CC(O)=O)C(=O)N[C@@H](CC=1C=CC=CC=1)C(=O)N[C@@H](CC(C)C)C(=O)N[C@@H](CCCNC(N)=N)C(=O)N[C@@H](CC(N)=O)C(=O)N[C@@H](CC(C)C)C(=O)N[C@@H](C(C)C)C(=O)N1[C@@H](CCC1)C(=O)N[C@@H](CCCNC(N)=N)C(=O)N[C@@H]([C@@H](C)O)C(=O)N[C@@H](CCC(O)=O)C(=O)N[C@@H](CO)C(O)=O)NC(=O)[C@H](CC=1C=CC=CC=1)NC(=O)[C@H](CC(O)=O)NC(=O)CNC(=O)[C@H](CC(C)C)NC(=O)[C@@H](N)CC(C)C)C1=CC=CC=C1 POIUWJQBRNEFGX-XAMSXPGMSA-N 0.000 description 3
- 230000004308 accommod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51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35939 shock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804 wi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82 alumi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XAGFODPZIPBFFR-UHFFFAOYSA-N aluminium Chemical compound [Al] XAGFODPZIPBFF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073 displacement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P—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PERATIONS; UNIVERSAL MACHINE TOOLS
- B23P15/00—Making specific metal objects by operations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or a group in this subclas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Abstract
물리적으로 직렬로 배열된 제 1 및 제 2 배터리(1) 사이에서 직접적인 물리적 접촉을 방지하기 위하여 스페이서(6)를 가진 배터리 장치이다. 탄성 도체(7)는 제 1 배터리의 중심 전극(3)과 제 2 배터리의 말단 전극(4) 사이에서 전기적 접촉을 제공한다. 회중 전등은 상기 배터리 장치를 포함한다.It is a battery device with a spacer 6 to prevent direct physical contact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batteries 1 that are physically arranged in series. The elastic conductor 7 provides electrical contact between the center electrode 3 of the first battery and the end electrode 4 of the second battery. The flashlight includes the battery device.
Description
건전지 배터리는 통상적으로 회중 전등, 장난감 등과 같은 포터블 장치에 사용되고 원통형이며 중심 전극과 말단 전극을 구비한다. 중심 전극은 통상적으로 배터리의 외경보다 매우 작은 직경을 가진 돌출부와 같은 핀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중심 전극은 통상적으로 양극을 형성한다. 배터리의 다른 단부에는 말단 전극이 중심 전극보다 매우 큰 직경을 가진 편평한 접촉부로서 성형되어 형성된다. 종종, 배터리들은 제 1 배터리의 중심 전극이 제 2 배터리의 말단 전극과 직접 접촉되도록 물리적뿐만아니라 전기적으로 직렬로 배열된다. 두개 이상의 배터리가 구비된다면, 제 2 배터리의 중심 전극은 제 3 배터리 등의 말단 전극과 직접 접촉된다.Batteries Batteries are typically used in portable devices such as flashlights, toys and the like and are cylindrical and have a center electrode and end electrodes. The center electrode is typically formed of a fin, such as a protrusion, having a diameter much small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battery. This center electrode typically forms an anode. At the other end of the battery the end electrode is formed as a flat contact with a diameter much larger than the center electrode. Often, the batteries are arranged in series as well as physically so that the center electrode of the first battery is in direct contact with the end electrode of the second battery. If two or more batteries are provided, the center electrode of the second battery is in direct contact with the end electrode of the third battery or the like.
회중 전등에서 예를 들면, 전기 회로는 배터리의 한 전극 즉, 맨앞 배터리의 중심 전극으로부터 도체를 통하여 스위치로 연결되고, 그런 다음에 한 전극은 전구에 연결되어 회로가 형성된다. 전기회로는 전구의 필라멘트를 통하여 통과한 후에 전구의 제 2 전극이 도체와 전기적으로 접촉되어 통하며, 이는 회중 전등의 하우징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회중 전등의 하우징 자체가 금속으로 제조된 경우 또는 하우징의 내부를 따라 도체가 연장되어 있는 경우 즉, 하우징이 플라스틱으로 제조된 경우에는 배터리의 다른 전극 즉, 맨 뒤 배터리의 말단 전극과 접촉하는 일반적으로 스프링 요소인 전기 도체에 전기 도체성 통로가 통상적으로 구비된다. 전기회로를 완성하기 위한 스위치 작동은 전류가 필라멘트를 통하여 흐르게 하며 이에 의해 광선 빔을 형성하도록 통상적으로 반사경에 의해 초점이 맞게 되는 빛을 발생시킨다.In a flashlight, for example, the electrical circuit is connected to the switch from one electrode of the battery, ie the center electrode of the front battery, via a conductor, and then one electrode is connected to the bulb to form a circuit. The electrical circuit passes through the filament of the bulb and then the second electrode of the bulb is in electrical contact with the conductor, which is in electrical communication with the housing of the flashlight. If the housing of the flashlight itself is made of metal or if the conductor extends along the interior of the housing, i.e. if the housing is made of plastic, it is usually in contact with the other electrode of the battery, i.e. the terminal electrode of the last battery. Electrical conductors are typically provided in the electrical conductor, which is a spring element. Switch operation to complete the electrical circuit causes current to flow through the filaments, thereby generating light that is typically focused by a reflector to form a beam of light.
경찰의 공공 안전 목적 및 소방수를 위한 회중 전등에 종종 중형 및 대형 배터리 또는 충전 배터리가 사용되는 경우에, 배터리의 전극들은 회중 전등이 받을수도 있는 물리적 충격에 의해 변형될 수도 있다. 한편, 말단 전극은 비교적 큰 직경을 가지고 있으며 그 때문에 낮은 강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변형될 수도 있다. 다른 한편, 중심 전극은 그 직경이 작기 때문에 비교적 높은 압축 응력을 받기 때문에 변형될 수도 있다. 특히, 핀형 돌출부 자체 변형이 일어나는 것 이외에 배터리의 중심축을 따라 전체 핀형 돌출부의 밀림에 의한 다른 변형이 종종 일어난다. 비록 상기 문제점은 두 개의 배터리가 직렬로 연결될 때에만 일어날지라도, 전극들은 다수의 배터리 즉, 네 개 또는 다섯 개의 배터리가 기둥을 이룰 때 배터리 전체의의 무게는 많은 배터리가 제공될 때 더 무겁기 때문에 더욱 쉽게 변형 될 수 있다. 그러므로, 전극이 받는 충돌 충격은 배터리의 갯수가 많을수록 증가한다. 변형 가능성은 큰 외경을 가진 무거운 배터리가 사용된다면 충돌 충격이 더욱 증가하기 때문에 더욱 높아진다. 전극의 과도한 변형이 일어난다면, 맨뒤 전극은 대체적으로 스프링 도체인 맨 뒤 도체와 접촉되지 않을 것이며 또는 맨앞의 전극은 전구의 두 전극들중의 하나의 전극에 연결된 도체와 접촉이 되지 않을 수도 있다. 더욱이, 배터리의 전극들은 길이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서로 접촉이 되질 않을 가능성이 있다. 이 경우에 있어서, 전기 회로는 더 이상 폐쇄 할 수 없으며 이에 의해 더 이상 스위치를 켤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When medium and large batteries or rechargeable batteries are often used in police flashlights for public safety purposes and for firefighters, the electrodes of the battery may be modified by the physical shock that the flashlight may receive. On the other hand, the terminal electrode may be deformed because it has a relatively large diameter and therefore has a low rigidity. On the other hand, the center electrode may be deformed because of its relatively small compressive stress because of its small diameter. In particular, in addition to the deformation of the fin-like protrusions themselves, other deformations often occur by the sliding of the entire fin-like protrusions along the central axis of the battery. Although the problem only occurs when two batteries are connected in series, the electrodes are more likely because the weight of the whole battery is heavier when a large number of batteries are provided when a large number of batteries, ie four or five batteries form a pillar. Can be easily deformed. Therefore, the impact shock that the electrode receives increases as the number of batteries increases. The deformation potential is higher because of the increased impact impact if heavy batteries with large outer diameters are used. If excessive deformation of the electrode occurs, the rear electrode will not be in contact with the rear conductor, which is typically a spring conductor, or the front electrode may not be in contact with the conductor connected to one of the two electrodes of the bulb. Moreover,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electrodes of the battery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re not in contact with each other. In this cas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electric circuit can no longer be closed and thereby no longer switch on.
본 발명은 배터리의 전극들을 보호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for protecting the electrodes of a battery.
도 1은 인접한 배터리 사이에 배열된 배터리 장치의 제 1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first embodiment of a battery device arranged between adjacent batteries.
도 2는 배터리 장치의 제 1 실시예의 정면도이다.2 is a front view of a first embodiment of a battery device.
도 3은 배터리 장치의 제 1 실시예의 단면도이다.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battery device.
도 4는 인접한 배터리 사이에 배열된 배터리 장치의 제 2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4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 second embodiment of a battery device arranged between adjacent batteries.
도 5는 배터리 장치의 제 2 실시예의 정면도이다.5 is a front view of a second embodiment of a battery device.
도 6은 배터리 장치의 제 2 실시예의 단면도이다.6 is a sectional view of a second embodiment of a battery device.
도 7은 배터리 장치가 구비된 회중 전등을 도시한 단면도이다.7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flashlight with a battery device.
도 8은 도 7과 유사하나 부가적으로 맨앞에 배터리 장치를 가진 회중 전등을 도시한 단면도이다.FIG. 8 is a cross-sectional view similar to FIG. 7 but additionally showing a flashlight with a battery device in front.
도 9는 배터리 사이에 배열된 탄성 도체 부분을 가진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배터리를 도시한 단면도이다.9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battery of another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th elastic conductor portions arranged between the batteries.
도 10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장치를 도시한 측면도이다.10 is a side view illustrating a battery device according to a third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배터리 장치를 도시한 정면도이다.FIG. 11 is a front view illustrating the battery device illustrated in FIG. 10.
도 12는 도 10에 도시된 배터리 장치를 도시한 배면도이다.FIG. 12 is a rear view of the battery device shown in FIG. 10.
도 13은 배터리들 사이에 배열된 탄성 도체를 가진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장치의 다른 종류를 도시한 제 4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Fig. 13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 fourth embodiment showing another kind of batter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an elastic conductor arranged between batteries.
도 14는 제 4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장치를 도시한 측면도이다.14 is a side view illustrating the battery device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도 15는 도 13에 도시된 배터리 장치를 도시한 전면도이다.FIG. 15 is a front view illustrating the battery device illustrated in FIG. 13.
도 16은 도 13에 도시된 배터리 장치를 도시한 배면도이다.FIG. 16 is a rear view of the battery device shown in FIG. 13.
본 발명의 목적은 배터리 전극을 보호하기 위한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장치는 단부로부터 배터리의 끝을 변위시키기 위한 스페이서와 전극의 변위를 효과적으로 극복하기 위하여 연신되는 탄성 도체를 포함한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apparatus for protecting a battery electrode. The apparatus includes a spacer for displacing the end of the battery from the end and an elastic conductor that is elongated to effectively overcome displacement of the electrode.
본 발명의 제 1 양태에 있어서, 장치는 환형으로 배열된 스페이서와 스페이서에 의해 변위될 배터리의 전극과 연결될 배터리의 전극의 전기적 접촉이 이루어지도록 제 1 방향으로의 스페이서의 외측으로 연장된 탄성 도체를 포함한다.In a first aspect of the invention, the device comprises an annular spacer and an elastic conductor extending outward of the spacer in the first direction such that electrical contact is made between the electrode of the battery to be connected with the electrode of the battery to be displaced by the spacer. Include.
본 발명의 제 2 양태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선택된 표준 배터리의 배터리 케이싱 직경에 부합되는 직경의 스페이서로서 비전도체 링을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스페이서는 배터리의 단부로부터 돌출된 중심 전극의 연장부를 초과하는 충분한 길이이어야 한다. 이들 관계는 장치를 제 위치에 위치시키며 표준 건전지 배터리 전극상의 충격 응력을 회피하는데 도움이 된다.In a second aspect of the invention, the device may comprise a non-conducting ring as a spacer of a diameter corresponding to the battery casing diameter of the selected standard battery. The spacer should be of sufficient length beyond the extension of the center electrode protruding from the end of the battery. These relationships help to position the device in place and avoid impact stress on standard battery battery electrodes.
본 발명의 제 3 양태에 있어서, 탄성 도체와 스페이서를 갖는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탄성 도체는 배터리의 터미널에 위치한 탄성 구조의 중심 도체 요소에 의해 형성된다. 스페이서는 배터리 터미널의 높이까지 또는 그 이상 연장된 케이스 상의 연장부에 의해 형성된다. 탄성 도체는 케이스상의 상기 연장부의 외측으로 연장된다.In a thir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apparatus having an elastic conductor and a spacer is provided. The elastic conductor is formed by the central conductor element of the elastic structure located at the terminal of the battery. The spacer is formed by an extension on the case that extends to or above the height of the battery terminal. The elastic conductor extends outwardly of the extension on the case.
본 발명의 제 4 양태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양태를 가진 장치는 건전지 배터리가 물리적으로 직렬로 배열되는 회중 전등에 위치된다. 상기 장치없이, 본 장치는 회중 전등의 축방향 충격에 의해 배터리 전극에 손상을 야기하는 결과를 낳는다. 본 장치는 전극을 보호한다.In a fourth aspect of the invention, a device having one or more aspects is located in a flashlight in which a dry battery is physically arranged in series. Without this device, the device results in damage to the battery electrode by the axial impact of the flashlight. The device protects the electrodes.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통상적인 건전지 배터리의 전극을 보호하는 장치를 제공한다. 다른 목적들 및 잇점은 하기 설명에 나타나 있다.Accordingly,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device for protecting the electrodes of a conventional dry cell battery. Other objects and advantages are set forth in the description below.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배터리(1)가 일렬로 기둥을 형성하도록 직렬로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기둥은 전기 장치의 하우징 또는 배럴(2)내에 구비된다. 각 배터리(1)는 통상적으로 양극인 중심 전극(3)과; 통상적으로 음극인 말단 전극(4)을 구비한다. 전체적으로 도면 부호 5로 지정되어 있는 배터리 장치(5)는 인접한 배터리(1)들 사이에 개재된다. 배터리 장치(1)는 또한 도 2 및 도 3에 별개로 도시되어 있다.As shown in Fig. 1, a plurality of batteries 1 are connected in series to form pillars in a row. This pillar is provided in the housing or barrel 2 of the electrical device. Each battery 1 comprises a center electrode 3 which is typically a positive electrode; The terminal electrode 4 which is normally a cathode is provided. The battery device 5, designated generally at 5, is interposed between adjacent batteries 1. The battery device 1 is also shown separately in FIGS. 2 and 3.
배터리 장치(1)는 스페이서(6)와 탄성 도체(7)를 구비한다. 스페이서(6)는 탄성 도체(7)를 수용하고 있는 두 개의 대향 요홈(8)을 가진다. 스페이서(6)는 완전히 관통하여 연장된 구멍에 환형으로 배열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이는 회중 전등의 배럴(2) 등에 맞추어지는 하나의 링으로 구성된다. 스페이서(6)는 주어진 표준 치수의 배터리에 대하여 배터리 케이싱(10)의 단부(9)에 대하여 맞도록 치수 결정되고 배터리 케이싱의 단부 이상 연장되는 표준 건전지 배터리의 주어진 치수에 중심 전극의 거리보다 길다. 이러한 회중 전등의 배럴(2)이 특정한 표준 치수의 배터리(1)를 수용하도록 치수 결정되어 있기 때문에, 스페이서(6)는 배터리 케이싱(10)의 단부(9)에 대하여 인접하도록 배럴(2)내에 적절하게 위치된다.The battery device 1 has a spacer 6 and an elastic conductor 7. The spacer 6 has two opposing grooves 8 which accommodate the elastic conductor 7. The spacer 6 is annularly arranged in a hole extending completely through. As shown, it consists of a single ring fitted to the barrel 2 of the flashlight and the like. The spacer 6 is longer than the distance of the center electrode to a given dimension of a standard battery battery that is dimensioned to fit against the end 9 of the battery casing 10 for a battery of a given standard dimension and extends beyond the end of the battery casing. Since the barrel 2 of such a flashlight is dimensioned to receive a battery 1 of a certain standard dimension, the spacer 6 is in the barrel 2 such that it is adjacent to the end 9 of the battery casing 10. Appropriately positioned.
탄성 도체(7)는 판금 스트립으로부터 벤딩에 의해 일체로 형성된다. 두 개의 리프 스프링은 서로에 대하여 실제적으로 같은 모양으로 형성되나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들의 중간 부분에서 서로 이격되어 약간 만곡되어 있다. 루프는 형성된 두 개의 리프 스프링을 연결한다.The elastic conductor 7 is formed integrally by bending from the sheet metal strip. The two leaf springs are formed in substantially the same shape with respect to each other but are slightly curved away from each other in their middle portion, as shown in FIG. 3. The loop connects the two leaf springs formed.
인접한 배터리(1)들 사이에서의 전기적 접촉은 탄성 도체(7)에 의해 제공된다. 탄성 도체(7)는 적절한 접촉을 보장하도록 탄성 도체(7)가 전극(3, 4)에 대하여 가압되도록 인접 배터리(1)에 의해 탄성적으로 변형된다.Electrical contact between adjacent batteries 1 is provided by the elastic conductor 7. The elastic conductor 7 is elastically deformed by the adjacent battery 1 such that the elastic conductor 7 is pressed against the electrodes 3, 4 to ensure proper contact.
도 4 내지 도 6은 전체적으로 도면 부호 11로 도시된 배터리 장치의 제 2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면들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 도체(12)는 둥근판을 나선형으로 프레스 및 절단하고 나선형 축방향으로 연신되도록 변형시켜서 나선형 스프링으로 형성된다. 더욱이, 둥근판은 환형 림(13)을 제공하도록 펀칭된다. 제 2 실시예에 따른 스페이서(14)는 그 내부에 환형 림(13)이 삽입되는 환형 요홈(15)을 구비한다.4 to 6 show a second embodiment of the battery device, shown generally at 11. As shown in the figures, the elastic conductor 12 is formed into a spiral spring by pressing and cutting the round plate into a spiral and deforming it to be stretched in the spiral axial direction. Moreover, the round plate is punched to provide an annular rim 13. The spacer 14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has an annular groove 15 into which an annular rim 13 is inserted.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페이서 부분(14)은 제 1 실시예에서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배터리 케이싱의 단부(9)들 사이에 개재되어 있다. 중심 전극(3)은 가장 작은 직경을 가진 스프링의 가장 안쪽 권선에 대하여 스파이럴 스프링으로 형성된 탄성 도체(12)에 대하여 가압된다. 한편, 말단 전극(4)은 스프링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권선에 대하여 가압된다.As shown in FIG. 4, the spacer portion 14 is interposed between the ends 9 of the battery casing, as already described in the first embodiment. The center electrode 3 is pressed against the elastic conductor 12 formed of a spiral spring against the innermost winding of the spring with the smallest diameter. On the other hand, the terminal electrode 4 is pressed against one or more windings of the spring.
도 7은 배터리(1)와 배터리(1)들 사이에 개재된 제 1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장치(5)를 구비한 회중 전등의 단면을 도시한다. 배터리(1)와 배터리 장치(5)는 원통형 배럴(17)과, 테일 캡(18)과, 헤드 조립체(19)를 구비한 회중 전등 하우징(16)내에 배열되어 있다. 도면을 간략화하기 위하여, 오직 두 개의 배터리(1)만을 도시하였다. 회중 전등의 길이가 얼마나 긴가에 따라 배터리(1)와 배터리 장치(5)가 구비되는데, 5개의 배터리(1)가 사용된다면 4개의 배터리 장치(5)가 배터리들 사이에 개재된다.7 shows a cross section of a flashlight with a battery device 5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interposed between the battery 1 and the batteries 1. The battery 1 and the battery device 5 are arranged in a flashlight housing 16 having a cylindrical barrel 17, a tail cap 18 and a head assembly 19. For the sake of simplicity, only two batteries 1 are shown. Depending on how long the flashlight is, a battery 1 and a battery device 5 are provided. If five batteries 1 are used, four battery devices 5 are interposed between the batteries.
테일 캡(18)은 맨뒤의 배터리(1)의 말단 전극(4)과 접촉하고 있는 스프링형 전기 도체(20)를 구비한다. 한편, 맨앞 배터리(1)의 중심 전극(3)은 다른 스프링형 도체(21)에 의해 접촉되어 있다. 상기 도체(21)는 도면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전구(24)의 제 1 전극(23)에 스위치(22)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제 1 전극(23)은 전구(24)의 필라멘트(25)에 연결되어 있다. 상기 필라멘트(24)는 이어서 전구(24)의 소켓(26)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소켓(26)은 알루미늄으로 제조된 회중 전등 하우징(16)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버튼(27)을 눌러서 스위치(22)가 폐쇄되었을 경우에, 전류는 배터리(1)와 맨앞 배터리(1)의 중심 전극(3)사이의 배터리 장치(5)를 통하여 흐르고, 스프링형 도체(21)와 전극(23)과, 필라멘트(25)와, 소켓(26)과, 회중 전등 하우징(16)과, 나사이(28)를 통하여 스위치(22)와 테일캡(18)과 스프링형 후방 도체(20)와 맨 뒤 배터리(1)의 말단 전극(4)을 통하여 흐른다. 스위치(22)를 켜면, 전구에 불이 들어 온다. 배터리(1)들이 배터리 전극(3, 4)에 의해 직접 접촉되는 것이 아니라 배터리 장치(5)에 의해 서로 접촉되기 때문에, 배터리(1)는 변형되지 않으며 이에 의해 영구적인 전기적 접촉이 배터리(1)들의 전극(3, 4)들 사이에 제공된다.The tail cap 18 has a spring type electrical conductor 20 in contact with the terminal electrode 4 of the rear battery 1. On the other hand, the center electrode 3 of the front battery 1 is contacted by another spring-type conductor 21. The conductor 21 is connected by a switch 22 to the first electrode 23 of the bulb 24, as schematically shown in the figure. The first electrode 23 is connected to the filament 25 of the bulb 24. The filament 24 is then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ocket 26 of the bulb 24. The socket 26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lashlight housing 16 made of aluminum. When the switch 22 is closed by pressing the button 27, current flows through the battery device 5 between the battery 1 and the center electrode 3 of the front battery 1, and the spring conductor 21 And switch 22, tail cap 18 and spring-type rear conductor (22) via electrode 23, filament 25, socket 26, flashlight housing 16, screw 28 20) and through the terminal electrode 4 of the rear battery (1). When the switch 22 is turned on, the bulb is lit. Since the batteries 1 are not in direct contact by the battery electrodes 3, 4 but in contact with each other by the battery device 5, the batteries 1 are not deformed, whereby permanent electrical contact is caused by the battery 1. Is provided between the electrodes 3, 4.
도 8은 도 7에 도시된 것과 유사한 구조를 가진 회중 전등의 단면을 도시한다. 동일 또는 유사한 요소에는 같은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반복을 회피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실시예의 차이점은 맨앞 배터리(1)의 중심 전극(3)과 접촉하는 스프링 도체(21) 대신에 맨앞 배터리 장치(5)에 의해 전기적 접촉을 제공하는 실제적으로 비탄성 도체(36)가 설치된 것이다.FIG. 8 shows a cross section of a flashlight having a structure similar to that shown in FIG. 7. The same or similar elements are give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description thereof is omitted to avoid repetition. The difference between the embodiments shown in FIGS. 7 and 8 is that the substantially inelastic conductor provides electrical contact by the front battery device 5 instead of the spring conductor 21 in contact with the center electrode 3 of the front battery 1. 36 is installed.
도 9는 중심 전극(29)과 말단 전극(30)의 변형에 대하여 보호되도록 설계된 배터리(32)가 사용되는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탄성 도체(31)는 전극(29, 30)들이 서로 이격되어 있는 동안에 인접 배터리들 사이에서 전기적 접촉을 제공한다. 탄성 도체(31)를 수용하기 위한 컵형 수용 공간(33)은 중심 전극(29)을 둘러싸고 있는 환형 림(34)으로 형성된 스페이서(34)에 의해 경계지워 진다. 컵형 수용 공간(33)은 인접 배터리(32)의 말단 전극(30)에 의해 폐쇄된다. 도시된 실시예에 따라서, 탄성 도체(31)는 중심 전극(29)에 고정된다. 그러나, 탄성 도체(31)는 수용 공간(33)내에 헐렁하게 고정될 수도 있고 인접한 전극(29, 30)에 대하여 탄성적으로 가압된다.9 shows another embodiment in which a battery 32 is designed that is designed to be protected against deformation of the center electrode 29 and the end electrode 30. The elastic conductor 31 provides electrical contact between adjacent batteries while the electrodes 29, 30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he cup-shaped accommodating space 33 for accommodating the elastic conductor 31 is bounded by a spacer 34 formed of an annular rim 34 surrounding the center electrode 29. The cup-shaped receiving space 33 is closed by the end electrode 30 of the adjacent battery 32. According to the embodiment shown, the elastic conductor 31 is fixed to the center electrode 29. However, the elastic conductor 31 may be loosely fixed in the accommodation space 33 and elastically pressed against the adjacent electrodes 29 and 30.
도 10, 도 11 및 도 12는 배터리(32)를 개별적으로 도시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탄성 도체(31)말단 전극(30)이 컵형 수용 공간(33)내로 돌출되어 있기 때문에 환형 림(34) 이상 돌출되지 않는다. 그러나, 말단 전극(30)은 또한 편평 또는 요홈이 져 있을 수도 있고 탄성 도체(31)는 인접한 배터리(32)의 말단 전극(30)과 접촉하도록 환형 림(34) 이상 돌출되는 것도 가능하다. 중심 전극(29)과 말단 전극(30)은 동일하게 성형될 수도 있고 탄성 도체(31)를 구비하는 것도 가능하다.10, 11 and 12 show the battery 32 individually. As shown in FIG. 10, the terminal 30 of the elastic conductor 31 of the present embodiment does not protrude beyond the annular rim 34 because it protrudes into the cup-shaped accommodation space 33. However, the terminal electrode 30 may also be flat or recessed and the elastic conductor 31 may protrude beyond the annular rim 34 to contact the terminal electrode 30 of the adjacent battery 32. The center electrode 29 and the terminal electrode 30 may be formed in the same manner or may have an elastic conductor 31.
도 10 및 도 11에 명백하게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 도체(31)는 제 1 실시예에 도시된 탄성 도체(7)와 약간 유사하다. 배터리(32)의 유사한 실시예가 도 13 내지 도 16에 도시되어 있다. 동일 또는 유사한 요소는 같은 참조 부호로 지정되어 있으며 그 설명은 반복을 회피하기 위하여 생략하였다. 도 9 내지 도 12에 도시된 실시예와 도 13 내지 도 16에 도시된 실시예의 주요한 차이점은 도면 부호 35로 지정된 탄성 도체의 형상이 다른 것이다. 상기 탄성 도체(35)는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제 2 실시예에 도시된 탄성 도체(12)와 유사하다. 더욱이, 말단 전극(30)이 도 13 및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컵형 수용 공간내로 돌출되어 있을지라도 탄성 도체(35)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페이서(34)를 지나서 돌출되어 있다.As clearly shown in Figs. 10 and 11, the elastic conductor 31 is slightly similar to the elastic conductor 7 shown in the first embodiment. Similar embodiments of the battery 32 are shown in FIGS. 13-16. The same or similar elements are designa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description thereof is omitted to avoid repetition. The main difference between the embodiment shown in Figs. 9 to 12 and the embodiment shown in Figs. 13 to 16 is that the shape of the elastic conductor designated by reference numeral 35 is different. The elastic conductor 35 is similar to the elastic conductor 12 shown in the second embodiment shown in FIGS. 4 to 6. Moreover, although the terminal electrode 30 protrudes into the cup-shaped receiving space, as shown in FIGS. 13 and 14, the elastic conductor 35 protrudes beyond the spacer 34, as shown in FIG. 14. .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배터리 장치를 구비하는 대신에, 도 9 내지 도 16에 도시된 실시예의 내부 배터리 장치와 탄성 도체(31 또는 35)와 함께 배터리(32)는 전극이 변형되는 것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하여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회중 전등내에 구비될 수 있다.Instead of having the battery device shown in FIGS. 1 to 6, the battery 32 together with the internal battery device and elastic conductor 31 or 35 of the embodiment shown in FIGS. It may be provided in the flashlight shown in FIGS. 7 and 8 for protection.
여기에서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가 설명되어 있지만 많은 변경, 수정, 다른 실시예 및 다른 재료를 본 발명을 달성하는데 사용될지라도 본 기술분야에 숙달된자들에게 명백할 것이다. 이러한 모든 다른 실시예는 첨부된 본발명의 특허청구의 범위내에서 고려될 수 있다.While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herein, many variations, modifications, other embodiments, and other materials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even if used to achieve the invention. All such other embodiments may be considered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Claims (9)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PCT/US1996/006514 WO1998027603A1 (en) | 1994-02-15 | 1996-05-06 | Battery devic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00010813A KR20000010813A (en) | 2000-02-25 |
KR100281231B1 true KR100281231B1 (en) | 2001-02-01 |
Family
ID=196357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980708949A Expired - Fee Related KR100281231B1 (en) | 1996-05-06 | 1996-05-06 | Battery unit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100281231B1 (en) |
UA (1) | UA48225C2 (en) |
-
1996
- 1996-05-06 KR KR1019980708949A patent/KR100281231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1996-06-05 UA UA98126400A patent/UA48225C2/en unknow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A48225C2 (en) | 2002-08-15 |
KR20000010813A (en) | 2000-02-2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5645955A (en) | Battery | |
US5804331A (en) | Battery device | |
US4527223A (en) | Flashlight | |
US4151583A (en) | Flashlight | |
US4760504A (en) | Magnetically activated flashlight | |
GB2239937A (en) | Flashlight | |
JP4290224B2 (en) | Surge protective arrester with gas with external short-circuit device | |
US20040114360A1 (en) | Rear pushbutton type switch arrangement for alluminum alloy flashlight | |
KR100281231B1 (en) | Battery unit | |
JP4956285B2 (en) | Battery with electrode protection device | |
US5800045A (en) | Lantern | |
RU2167472C2 (en) | Battery safety device | |
US4266158A (en) | Cathode ray tube socket with a spark gap | |
US7678499B2 (en) | Short-circuit free battery receptacle | |
HK1018286B (en) | Battery device | |
JP4681579B2 (en) | Battery electrode protection device | |
CN1115733C (en) | Battery device | |
US20060221603A1 (en) | Bi-directional flashlight | |
RU98121839A (en) | BATTERY DEVICE | |
US9240577B2 (en) | Cap assembly for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 |
MXPA98009202A (en) | Battery device | |
US5315493A (en) | Flashlight | |
JPS6210856A (en) | Battery | |
JPH0677155U (en) | Battery adapter | |
CO4480731A1 (en) | SERIAL PLACED BATTERY SEPARATOR DEVICE, INCLUDING A NON-CONDUCTIVE SEPARATOR AND AN ELASTIC CONDUCTOR AND THE ELECTRICAL FLASHLIGHT THAT INCORPORATES IT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5 | International application |
Patent event date: 19981106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81120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00822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0111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00111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3110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4111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5111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61110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71106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81110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91106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01115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11019 Year of fee payment: 12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11019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