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281226B1 - 환상딤플을갖고있는골프공 - Google Patents

환상딤플을갖고있는골프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81226B1
KR100281226B1 KR1019980026369A KR19980026369A KR100281226B1 KR 100281226 B1 KR100281226 B1 KR 100281226B1 KR 1019980026369 A KR1019980026369 A KR 1019980026369A KR 19980026369 A KR19980026369 A KR 19980026369A KR 100281226 B1 KR100281226 B1 KR 1002812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mples
golf ball
annular
circular
dimp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263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07178A (ko
Inventor
황인홍
Original Assignee
이승수
주식회사 볼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승수, 주식회사 볼빅 filed Critical 이승수
Priority to KR10199800263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81226B1/ko
Priority to US09/140,243 priority patent/US5957787A/en
Publication of KR200000071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71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812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81226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37/00Solid balls; Rigid hollow balls; Marbl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37/00Solid balls; Rigid hollow balls; Marbles
    • A63B37/0003Golf balls
    • A63B37/0004Surface depressions or protrus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37/00Solid balls; Rigid hollow balls; Marbles
    • A63B37/0003Golf balls
    • A63B37/0004Surface depressions or protrusions
    • A63B37/0006Arrangement or layout of dimples
    • A63B37/00065Arrangement or layout of dimples located around the pole or the equato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37/00Solid balls; Rigid hollow balls; Marbles
    • A63B37/0003Golf balls
    • A63B37/0004Surface depressions or protrusions
    • A63B37/0007Non-circular dimples
    • A63B37/001Annula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37/00Solid balls; Rigid hollow balls; Marbles
    • A63B37/0003Golf balls
    • A63B37/0004Surface depressions or protrusions
    • A63B37/0012Dimple profile, i.e. cross-sectional view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37/00Solid balls; Rigid hollow balls; Marbles
    • A63B37/0003Golf balls
    • A63B37/0004Surface depressions or protrusions
    • A63B37/0019Specified dimple depth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37/00Solid balls; Rigid hollow balls; Marbles
    • A63B37/0003Golf balls
    • A63B37/0004Surface depressions or protrusions
    • A63B37/002Specified dimple diamete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Abstract

구체를 구상 20 면체로 나누고 다시 이 구상 20 면체를 이루는 구상 삼각형의 각 변의 중간점을 마주보는 꼭지점과 연결하여 생기는 선분들을 서로 연장하여 생기는 대원들로 다시 구체를 나눈 후 얻어지는 큰 구상 오각형의 중심을 극으로 하고, 그 극을 같은 꼭지점으로 하는 구상 20 면체를 구성하는 구상 삼각형의 두 변을 따라 극에서 적도까지 직선으로 연장시킨 선으로 구체를 다시 나누어 딤플들을 배열한 골프공으로서, 각 구상 삼각형의 중심 부위에 원형 딤플들 중 제일 큰 원형 딤플들을 배열하고, 그 꼭지점들에도 제일 큰 원형 딤플을 배열하고 그 원형 딤플과 같은 중심을 갖는 환상 딤플을 그 원형 딤플의 바깥쪽에 배열하여, 저속 영역에서의 항력 계수를 낮추어 비거리를 향상시키고, 또한 이 환상 딤플의 중심이 공기의 흐름 방향의 직각 방향에 있을 때에는 확실한 회전축으로 작용을 하여 회전을 더 길게 유지시켜 비행 안정성을 주며 비거리를 늘릴 수 있는 골프공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환상 딤플을 갖고 있는 골프공{A golf ball having annular dimples}
기술 분야
본 발명은 비행 안정성을 유지하며 비거리를 늘릴 수 있는 골프공의 딤플 배열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저속 비행시에 일반적인 원형 딤플들의 배열로 이루어진 골프공보다 더욱 우수한 비거리 특성을 갖게 되는 골프공에 관한 것이다.
종래 기술
구상 다면체로 구체의 표면을 분할하여 원형 딤플들을 표면에 배열한 골프공은 오래전부터 사용되어 온 것이다. 이러한 골프공들은 편하게 좌우 대칭성도 주고 공기의 저항을 골프공의 전체 표면에 고르게 분산시켜 비거리를 늘릴 수 있는 장점을 갖고 있는 것이다. 구체의 분할 구도로서 현재 많이 사용되는 것으로는 구상 20 면체, 구상 20 - 12 면체, 구상 8 면체, 구상 6 면체, 구상 6 - 8 면체, 구상 12 면체, 또는 이러한 것들을 더 작은 면체로 나눈 것 등인 데, 실제로는 위에서 언급된 분할 구도에서 특별히 변형된 것 외에는 같은 크기의 골프공에서는 위에 언급된 분할 구도들을 서로 겹쳐 놓을 수 있기 때문에 광의로 해석한다면 모두 같은 구도라고도 해석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의 분할 구도상에 원형 딤플들을 배열하였다면 결국은 그 골프공의 비행 성능은 딤플들이 차지하는 면적율과 체적율에 의해 차이가 생기게 된다. 그러나 서로 같은 재질과 조성 그리고 같은 제조 방법으로 만들어진 여러 가지 서로 다른 분할 구도의 골프공들 중에서 딤플이 차지하는 면적율이나 체적율의 차이가 약 5% 이내인 골프공들은 서로 비슷한 비행 성능을 갖고 있고 비거리도 서로 비슷하였다.
이에 본 발명자는 여러 가지 골프공들의 비행 특성을 면밀히 살펴본 결과 다음과 같이 비행 안정성을 갖으며 비거리를 늘킬 수 있는 본 발명을 창안하게 된 것이다.
골프공을 타격하면 골프 클럽 헤드로 부터 가해지는 힘에 의해 골프공에 강력한 반발 탄성을 일으킴과 동시에 클럽 헤드의 로프트 각도에 의한 역회전이 발생된다. 이렇게 임팩트된 골프공은 골프 클럽이 드라이버인 경우에는 시속 약 190 KM ∼ 300 KM 의 초속으로 튀어나감과 동시에 매분 약 2200 ∼ 4500 회전의 초기 상태에서의 역회전이 주어지게 된다. 이때에 딤플의 역할은 고속으로 흐르는 공기 속을 회전하며 날라가는 골프공에 있어서 경계층의 난류 천이를 촉진시켜 앞부분에서는 경계층 내외의 유체 입자가 서로 혼합되어 헝클어지게 되고 경계층 밖에서 에너지가 공급되어 박리가 일어나기 어렵게 되어 결과적으로 박리 점을 뒷쪽으로 이동시켜 줌으로써 박리 영역의 폭을 작게 해주어 항력 계수를 작게 해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때에 역회전하는 골프공의 아래쪽에서는 공기의 압력이 높아지게 되고 윗쪽에서는 압력이 낮아져서 결과적으로 베르누이의 원리로 중력의 약 4 ∼ 5 배의 양력이 생기게 되어 골프공의 비거리를 증대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또한 임계 레이놀즈 수를 낮춰주어 저속 영역까지 항력 계수를 작게 해준다.
그러나 골프공의 타격 초기의 속도나 회전력은 계속 유지되는 것이 아니고 비행 탄도 정점으로부터 착지점까지의 후반부에서는 빠르게 감소되어 임계 레이놀즈 수도 급격히 올라가서 항력 계수도 급격히 커지게 됨으로써 전술한 일반적인 원형 딤플만의 배열을 갖는 골프공에서는 비거리의 증진이 어려웠다. 이점은 단순히 여러 다른 종류의 구상 면체로 구체를 분할하여 원형 딤플들을 배열하여도 같은 현상이 발생되었다.
대체로 원형 딤플에 있어서 딤플의 직경을 크게 하면 저속 영역에서는 항력 계수를 작게 해주지만, 고속 영역에서는 반대로 항력 계수를 크게 해주는 경향이 있고, 딤플의 직경을 작게 하면 고속 영역에서는 항력 계수를 작게 해주지만, 저속 영역에서는 반대로 항력 계수를 크게 해주는 경향이 있다. 그래서 최근에는 직경이 큰 딤플과 작은 딤플을 적절하게 섞어 딤플들을 배열함으로써 골프공의 표면을 만들었으나 이 역시 한계가 있는 것이었다.
골프공의 비거리를 늘려주기 위해서는 고속 영역에서나 저속 영역에서 공기의 저항을 최소화하여 주는 우수한 딤플 배열이 필요하나 사실상 모든 것을 충족시키는 방법은 없는 것이다. 한편 원형 딤플들로 이루어진 골프공의 딤플들이 차지하는 체적율에 있어서도 골프공의 정해진 크기로 인하여 딤플들이 차지하는 면적율과 상관 관계가 있는 것으로서 기본적인 양력을 얻기 위한 체적율 외에 딤플 직경을 무시하고 마음대로 체적을 변화시킬 수 있는 커바 성형용 캐비티를 제작하는 것은 불가능한 일인 것이다. 즉, 원형 딤플들이 차지하는 면적율이 골프공 전체 표면적의 약 75 ∼ 84% 라면 그에 따르는 딤플들의 총 체적은 약 350 ∼ 500mm3로서, 기본적인 양력을 얻을 수 있을 체적율은 결국 딤플의 직경이 커지면 그 딤플의 체적도 커지고 딤플의 직경이 작아지면 그 딤플의 체적도 따라서 작아지게 되는 것이었다.
물체의 항력이란 압력 항력과 마찰 항력이 더해진 것인 데, 물체의 항력 중 압력 항력의 크기는 물체의 형상과 그 물체에 대한 흐름의 방향에 따라 영향을 받고 마찰 항력의 크기는 물체의 표면에 따르는 유체의 점성으로 인한 전단력의 크기 및 그 표면의 조도에 따라 변한다. 또한 항력 계수는 레이놀즈 수에 따라 그 값이 달라지게 되어 있는 것이다. 따라서 골프공을 타격한 직후로부터 비행 탄도 정점까지의 고속 영역에서는 레이놀즈 수가 높아짐에 따른 항력 계수가 낮기 때문에 비거리에 문제점이 없으나 정점 이후로부터 낙하 지점까지의 저속 영역에서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그래서 골프공의 비거리를 늘리기 위해서는 특히 저속 영역에서의 항력 계수를 줄여주는 것이 바람직한 데, 딤플의 크기만 크게 하면 그에 따른 체적율이 올라가서 고속 영역에서의 항력 계수를 늘켜주기 때문에 비거리가 향상되지 못했다. 이는 큰 딤플의 상대적으로 높은 체적율 때문에 고속 영역에서의 압력 항력 계수가 높아진 것으로써 전체 항력을 줄일 수 없었다.
이에 본 발명자는 고속 영역에서의 압력 항력 계수를 줄이면서 저속 영역에서도 항력을 줄일 수 있는 방법으로 원형 딤플 외측에 같은 중심을 갖는 환상 딤플을 만들어 위와 같은 여러 가지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었다. 이 환상 딤플은 저속 영역에서의 공기의 흐름에 마주칠 때에는 직경이 큰 딤플과 같은 역할을 하지만, 고속 영역에서는 환상 딤플의 체적이 같은 직경의 일반적인 원형 딤플보다 작아 마치 작은 딤플의 역할을 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이 환상 딤플이 공기 흐름 방향의 직각 방향에 놓이게 될 때에는 확실한 회전 축으로 작용을 하여 회전을 더 길게 유지시켜 줄 수 있어서 비거리를 획기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물론 본 발명에 있어서도 일반적인 원형 딤플의 배열과 같이 기본적인 좌우 대칭을 이룰 수 있으며 골프공 표면 전체에 저항의 균형을 유지할 수 있는 구상 다면체로 구체의 표면을 분할하여 딤플들을 배열하였다.
도 1 은 본 발명에 의한 골프공의 표면을 극쪽에서 본 그림으로서, 구상 20 면체로 구체를 나누고 다시 이 구상 20 면체를 이루는 구상 삼각형의 각 변의 중간점을 마주보는 꼭지점과 연결하여 생기는 선분들을 서로 연장하여 생기는 대원들로 다시 구체를 분할한 후 딤플을 배열한 것으로, 구상 20 면체를 이루는 각 구상 삼각형의 꼭지점을 중심으로 하는 원형 딤플과 같은 중심을 갖는 환상 딤플을 그 원형 딤플의 바깥쪽 둘레에 배열한 것인 데, 사선으로 검게 표시된 원형 딤플들은 골프공의 표면의 여러 종류의 원형 딤플 중에서 가장 큰 딤플로서 그 구상 삼각형의 각 꼭지점과 중심점 주위에 전기의 분할선에 균형을 이루며 배열된 것을 나타낸 그림이다.
도 2 는 본 발명에 의한 딤플들을 도 1 과 같이 배열하기 위해 구체의 표면을 분할한 것을 극쪽에서 본 그림이다.
도 3 은 본 발명에 의한 환상 딤플을 갖고 있는 딤플들의 배열과 비교하기 위해 구상 20 - 12 면체로 구체의 표면을 분할하여 원형 딤플들을 배열한 기존의 일반적인 딤플 배열을 나타낸 그림이다.
도 4 는 본 발명에 의한 골프공이 비행시에 공기의 흐름 방향의 직각 방향에 있는 환상 딤플의 중심을 안정된 축으로 하여 역회전하며 비행하는 것을 나타낸 그림이다.
도 5 는 도 3 에서 나타낸 일반적인 구상 20 - 12 면체의 구도로 딤플 배열이 되어 있는 골프공이 저속으로 비행할 때, 구상 20 - 12 면체를 이루는 구상 오각형의 딤플 배열의 주위에서 공기의 흐름을 나타낸 것이다.
도 6 은 도 1 의 설명에서 나타낸 본 발명에 인용된 구도로 된 골프공이 저속으로 비행할 때, 본 구도를 이루는 큰 구상 오각형의 딤플 배열의 주위에서 환상 딤플의 영향을 받는 공기의 흐름을 나타낸 것이다.
도 7 은 본 발명에서의 동일한 중심을 갖는 원형 딤플과 환상 딤플의 크기, 깊이 등의 촌법을 나타낸 그림이다.
본 발명은 구체를 구상 20 면체로 나누고 다시 이 구상 20 면체를 이루는 구상 삼각형의 각 변의 중간점을 마주보는 꼭지점과 연결하여 생기는 선분들을 서로 연장함으로써 생기는 대원들로 다시 구체를 나눈 후 얻어지는 큰 구상 오각형의 중심을 극으로 하고, 그 극을 같은 꼭지점으로 하는 구상 20 면체를 구성하는 구상 삼각형의 두 변을 따라 극에서 적도까지 직선으로 연장시킨 선으로 구체를 다시 나누어 딤플들을 배열한 골프공으로서, 각 구상 삼각형의 중심 부위에 원형 딤플들 중 제일 큰 원형 딤플들을 배열하고, 그 꼭지점들에도 제일 큰 원형 딤플을 배열하고 그 원형 딤플과 같은 중심을 갖는 환상 딤플을 그 원형 딤플의 바깥쪽에 배열하여, 저속 영역에서의 항력 계수를 낮추어 비거리를 향상시키고, 또한 이 환상 딤플의 중심이 공기의 흐름 방향의 직각 방향에 있을 때에는 확실한 회전축으로 작용을 하여 회전을 더 길게 유지시켜 비행 안정성을 주며 비거리를 늘릴 수 있는 골프공에 관한 것이다.
실시예
제시된 도면 중 도 2 에 나타내었듯이 선 ( 30, 34, 39 ), 선 ( 30, 31, 35 ), 선 ( 33, 34, 38 ), 선 ( 31, 32, 36 ), 선 ( 32, 33, 37 ) 등과 같은 큰 구상 삼각형 20 개를 갖는 구상 20 면체로 구체를 나누고, 제시된 도면 중 도 2 에 나타낸 선( 32, 33, 37 ) 으로 이루어진 구상 20 면체를 이루는 큰 구상 삼각형에서 하나의 꼭지점 ( 4 ) 과 마주보는 변 ( side ) 인 선 ( 33 ) 의 중간점을 통과하는 선을, 선 ( 33 ) 을 같은 변으로 사용하는 선 ( 34, 33, 38 ) 으로 된 구상 20 면체를 이루는 큰 구상 삼각형의 하나의 꼭지점 ( 6 ) 과 연결하고, 같은 방법으로 구체의 뒷쪽 ( 그림 상으로는 보이지 않는 반대쪽 ) 도 연장시켜서 연결하여 얻은 선 ( 21 ; 도 1 에서의 선 (21) 과 동일한 선 ), 그리고 선 ( 30, 31, 35 ) 으로 된 구상 20 면체를 이루는 큰 구상 삼각형에서 하나의 꼭지점 ( 3 ) 과 마주보는 변 ( side ) 인 선 (30) 의 중간점을 통과하는 선을, 선 ( 30 ) 을 같은 변으로 사용하는 선 ( 30, 34, 39 ) 으로 된 구상 20 면체를 이루는 큰 구상 삼각형의 하나의 꼭지점 ( 6 ) 과 연결하고, 같은 방법으로 구체의 뒷쪽 ( 그림 상으로는 보이지 않는 반대쪽 ) 도 연장시켜서 연결하여 얻은 선 ( 22 ; 도 1 에서의 선 ( 22 ) 과 동일한 선 ), 다시 선 ( 30, 34, 39 ) 으로 된 구상 20 면체를 이루는 큰 구상 삼각형에서 하나의 꼭지점 ( 2 ) 과 마주보는 변 ( side ) 인 선 ( 34 ) 의 중간점을 통과하는 선을, 선 ( 34 ) 을 같은 변으로 사용하는 선 ( 33, 34, 38 ) 으로 된 구상 20 면체를 이루는 큰 구상 삼각형의 하나의 꼭지점 ( 5 ) 과 연결하고 같은 방법으로 구체의 뒷쪽 ( 그림 상으로는 보이지 않는 반대쪽 ) 도 연장시켜서 연결하여 얻은 선 ( 23 ; 도 1 에서의 선 ( 23 ) 과 동일한 선), 그리고 선 (31, 32, 36 ) 으로 된 구상 20 면체를 이루는 큰 구상 삼각형에서 하나의 꼭지점 ( 3 ) 과 마주보는 변 ( side ) 인 선 ( 32 ) 의 중간점을 통과하는 선을, 선 ( 32 ) 을 같은 변으로 사용하는 선 ( 32, 33, 37 ) 으로 이루어진 구상 20 면체를 이루는 큰 구상 삼각형의 하나의 꼭지점 ( 5 ) 과 연결하고 같은 방법으로 구체의 뒷쪽 ( 그림 상으로는 보이지 않는 반대쪽 ) 도 연장시켜서 연결하여 얻은 선 ( 24 ; 도 1 에서의 선 ( 24 ) 과 동일한 선 ), 그리고 선 ( 30, 31, 35 ) 으로 된 구상 20 면체를 이루는 큰 구상 삼각형의 하나의 꼭지점 ( 2 ) 과 마주보는 변 ( side ) 인 선 ( 31 ) 의 중간점을 통과하는 선을, 선 ( 31 ) 을 같은 변으로 사용하는 선 ( 31, 32, 36 ) 으로 이루어진 구상 20 면체를 이루는 큰 구상 삼각형의 하나의 꼭지점 ( 4 ) 과 연결하고 같은 방법으로 구체의 뒷쪽 ( 그림 상으로는 보이지 않는 반대쪽 ) 도 연장시켜서 연결하여 얻은 선 ( 25 ; 도 1 에서의 선 ( 25 ) 과 동일한 선 ) 을 구하고, 이러한 방법들로 얻어지는 선 ( 21 ), 선 ( 22 ), 선 ( 23 ), 선 ( 24 ), 선 ( 25 ) 등으로 구체의 표면을 다시 나눈다. 그렇게 하여 얻어지는 큰 구상 오각형의 중심 (1) 을 극점으로 하여 그 극점을 같은 꼭지점으로 하는 구상 20 면체를 구성하는 각각의 큰 구상 삼각형의 두 변을 따라 극점으로부터 적도까지 직선으로 각각 연장시킨 선들로 구체를 다시 나눈다. 그런 다음 구상 20 면체를 이루는 각 구상 삼각형의 각 변의 중간 점들을 서로 이웃하는 것끼리 선을 연결하여 얻어지는 선 (11), 선 (12), 선 (13), 선 (14), 선 (15), 선 (16) 등으로 형성되는 일반적인 구상 20 - 12 면체 중에서 선 (16) 을 적도로 한다.
위와 같은 방법의 구도로써 본 발명의 환상 딤플들을 포함하는 원형 딤플들의 배열을 제시된 도면 중 도 1 에 나타내었다. 본 발명에서 또 하나의 중요한 점은 각 부위에서 항력을 일정하게 하기 위한 것인 데, 도 1 의 전술한 구도로 만들어진 골프공 (G) 에서 사선으로 검게 표시된 원형 딤플 ( 원형 딤플 중 가장 큰 딤플 ) 의 배치처럼 구상 20 면체를 이루는 큰 구상 삼각형의 중심 부위의 제일 큰 원형 딤플들을 배열하면 꼭지점들에도 제일 큰 원형 딤플을 배열하여 균형을 이루게 하였다.
한편 본 발명의 가장 중요한 요체인 환상 딤플 (R) 의 배열은 그 꼭지점을 중심으로 하는 제일 큰 원형 딤플의 바깥쪽으로 같은 중심을 사용하도록 하였는 데 이는 환상 딤플이 본 발명에서의 목적하는 고속 영역에서 압력 항력을 줄이면서 저속 영역에서 전체 항력을 줄일 수 있기 위한 크기로 커져야 하기 때문이다. 만일 그 크기가 너무 작아지면 원하는 목적을 달성할 수 없기 때문이다. 또한 일정 크기의 환상 딤플의 내측에 상대적으로 너무 작은 원형 딤플을 배치하거나 딤플이 없다면 필요없는 랜드 부위 ( 딤플이 없는 부위 ) 가 많아져서 충분한 양력을 얻기가 어렵게 된다. 이 환상 딤플 (R) 의 배열은 아주 중요한 것으로서 도 1 에 나타내었듯이 극점 (P) 에 중심을 갖는 환상 딤플을 배치하였다면 다른 나머지 환상 딤플들은 서로 동일한 거리 상에 같은 크기로 골프공 전체 표면 위에 균형을 유지하며 존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일 서로 균형을 이루지 못하거나 그 크기가 서로 다르면 골프공 표면의 각 부위의 항력의 차이가 심하게 나타나게 되는 데 특히 마찰 항력 계수가 너무 다르게 되어 비행중에 안정성을 유지하지 못하고 흔들림이 오던가 쉽사리 비행 방향이 바뀌게 될 가능성이 생기게 된다.
저속 영역에서의 일반적인 원형 딤플들로 이루어진 골프공의 급격한 항력의 상승은 공기의 흐름이 고속 영역에서처럼 빠르지 못하고 늦어짐으로써 뒷쪽에 있던 박리 영역에서의 와류가 앞쪽으로 옮겨진 것에 기인하는 데, 이때의 공기의 흐름은 딤플의 배열 패턴에 따라 심대한 영향을 받게 된다. 도 3 의 일반적인 원형 딤플로만 이루어진 구상 20 - 12 면체의 골프공의 구상 오각형의 주위에서 저속 영역에서의 공기의 흐름이 딤플 배열 패턴에 의해 서로 엇갈리며 헝크러져 결국은 와류가 쉽게 생성됨을 도 5 의 그림에서 상징적으로 나타내었다. 반대로 본 발명에서 인용된 구도에 의한 큰 구상 오각형의 주위에서는 중앙의 환상 딤플에 의해 저속 영역에서의 공기의 흐름이 엇갈리지 않고 환상 딤플을 거쳐 양쪽으로 갈라지며 와류를 뒷쪽으로 보낼 수 있는 것을 도 6 의 그림에서 나타내었다. 위의 도 5 와 도 6 에서 비교하여 나타내었듯이 본 발명에 의한 골프공은 저속 영역에서 임계 레이놀즈 수를 상대적으로 낮춰주어 항력을 낮출 수 있는 것이다.
이 환상 딤플은 골프공이 비행중에 고속 영역에서나 저속 영역에서 공기의 흐름과 직각 방향에 놓이게 될 때에는 도 4 에 나타낸 것처럼 그 환상 딤플의 중심은 확실한 회전축의 역할을 하여 골프공의 역회전을 오래도록 유지시켜 비거리의 증진에 기여하게 된다. 이것은 공기 흐름의 직각 방향에서는 환상 딤플의 홈안의 공기나 그 주변의 공기가 원을 그리며 회전하기 때문인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환상 딤플의 크기나 그의 깊이, 폭 등은 같은 중심을 갖는 원형 딤플의 크기, 깊이 등과 결부되어 상당히 중요한 것이다. 도 7 에서의 나타낸 촌법에서 만일 환상 딤플의 외경의 크기(RD1) 가 10mm 이상이면 비행 중에 저속 영역에서 옆바람의 영향을 쉽게 받아 비행 안정성이 나빠지기 쉽고, 외경의 크기 (RD1) 가 4mm 이하이면 그 영향력이 너무 작아 본 발명의 목적을 이루기 어렵다. 그리고 이 환상 딤플의 환의 폭 (RW) 은 환상 딤플의 내경 (RD2) 과 상관 관계가 있는 데, 그의 크기는 0.5mm ∼ 2.5mm 가 적절한 데 만일 0.5mm 보다 작아지면 본 발명의 목적을 이루기 어렵고, 2.5mm 보다 크면 오히려 저속 영역에서 마찰 항력 계수를 올려주어 비거리에 나쁜 영향을 줄 수 있다. 환상 딤플의 안쪽의 원형 딤플의 경우, 그 크기는 본 발명에 의한 딤플 배열에서의 원형 딤플 중 가장 큰 딤플이어야 한다. 이는 환상 딤플과 동일 중심을 갖고 있어 일정 크기 이하인 경우, 환상 딤플이 너무 작아 본 발명에 맞는 목적을 이룰 수 없게 된다. 만일 환상 딤플은 크게 하고 원형 딤플만 작게 하면 불필요한 랜드 부위가 커져서 전반적인 딤플 면적율을 낮추어 필요한 양력을 얻지 못하게 된다. 환상 딤플 안쪽의 원형 딤플의 직경의 크기 (DW) 는 1.5mm ∼ 4mm 가 적절한 데, 만일 1.5mm 보다 작아지면 저속 영역에서의 임계 레이놀즈 수를 낮추기 어려워 결과적으로 항력 계수를 낮추기 어렵고, 4mm 보다 크면 같은 중심을 갖는 환상 딤플의 크기가 너무 커져 비행중 저속 영역에서 옆바람의 영향으로 비행 안정성이 나빠지고 고속 영역에서의 지나친 압력 항력 계수의 상승으로 오히려 비거리의 감소를 주게 된다. 이 환상 딤플과 그리고 같은 중심을 갖는 원형 딤플의 사이, 즉 랜드 부위 (LW)의 크기는 아주 중요한 변수인 데 0.01mm ∼ 1mm 가 알맞다. 만일 0.01mm 보다 작아지면 실질적으로 본 발명에 맞는 금형 캐비티를 제작하기 어렵고, 1mm 보다 커지면 불필요한 랜드 부위가 많이 생겨 양력을 얻기 어려워 비거리를 늘리기 어렵고 공기의 흐름에도 심대한 영향을 미치게 되어 나쁜 결과를 초래케 된다.
한편 이 환상 딤플과 그리고 같은 중심을 갖는 원형 딤플의 깊이의 경우에는 골프공 전체 표면의 딤플들의 체적율과 결부하여 그 깊이를 결정해야만 한다. 그리고 같은 중심을 갖고 있기 때문에 그 촌법의 경우, 원형 딤플은 원형 딤플의 엣지 (테두리) 와 엣지를 직선으로 연결하는 선에서 가장 깊은 곳 (CH) 을 그의 깊이로 하게 된다. 또한 환상 딤플의 경우에도 환상 딤플의 엣지 (테두리) 와 엣지를 직선으로 연결하는 그 선에서 가장 깊은 곳 (RH) 을 그의 깊이로 하게 된다. 원형 딤플의 깊이 (CH) 는 0.1mm ∼ 0.2mm 가 알맞은 데, 만일 0.1mm 보다 얕으면 필요한 양력을 얻기 어렵고, 0.2mm 보다 깊으면 고속 영역에서 항력 계수를 지나치게 높여주어 오히려 비거리를 저하시킨다. 환상 딤플의 깊이 (RH) 는 0.07mm ∼ 0.17mm 가 알맞은 데, 0.07mm 보다 얕아지면 본 발명의 목적을 이룰 수 없고, 0.17mm 보다 깊어지면 고속 영역에서 환상 딤플 내부의 부분적인 진공에 의한 드랙 현상 (골프공 진행 방향의 반대쪽으로 끌리는 현상) 으로 인한 비거리의 손실이 오게 된다. 또한 저속 영역에서도 마찰 항력 계수가 올라가고 비행 안정성도 나빠지며 비거리의 손실을 초래케 된다.
상기와 같이 균형 잡힌 구상 다면체로 구체의 표면을 분할하여 동일한 거리에 환상 딤플들과 그리고 그 환상 딤플들과 각각 같은 중심을 갖는 원형 딤플들을 원형 딤플들 사이에 균일하게 배열하여, 일반적인 원형 딤플들로만 배열된 골프공에 비해 저속 영역에서의 임계 레이놀즈 수를 낮추고 항력 계수를 낮추어 비거리의 향상과 비행 안정성을 얻게 되었다.

Claims (18)

  1. 표면에 환상 딤플들과 원형 딤플들을 갖는 골프공으로서, 구상 20 면체로 구체를 나누고, 다시 이 구상 20 면체를 이루는 구상 삼각형의 각 변의 중간점을 마주보는 꼭지점과 연결하여 생기는 선분들을 서로 연장함으로써 생기는 대원들로 다시 구체를 나눈 후 얻어지는 큰 구상 오각형의 중심을 극으로 하여, 그 극을 같은 꼭지점으로 하는 구상 20 면체를 구성하는 구상 삼각형의 두 변을 따라 극에서 적도까지 직선으로 연장시킨 선으로 구체를 다시 나누어 딤플들을 배열한 골프공에 있어서, 구상 20 면체를 이루는 각 구상 삼각형의 중심 부위에 원형 딤플들 중 제일 큰 원형 딤플들을 배열하고, 그 꼭지점들에도 제일 큰 원형 딤플을 배열하고 그 원형 딤플과 같은 중심을 갖는 환상 딤플을 그 원형 딤플의 바깥쪽에 배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공.
  2. 제 1 항에 있어서, 환상 딤플의 외경이 4mm 보다 크고 10mm 보다 작으며, 그 환의 폭이 0.5mm ∼ 2.5mm 인 골프공.
  3. 제 2 항에 있어서, 환상 딤플의 깊이가 0.07mm ∼ 0.17mm 인 골프공.
  4. 제 1 항에 있어서, 환상 딤플과 동일한 중심을 갖는 원형 딤플의 직경이 1.5mm ∼ 4mm 인 골프공.
  5. 제 4 항에 있어서, 원형 딤플의 깊이가 0.1mm ∼ 0.2mm 인 골프공.
  6. 제 1 항에 있어서, 환상 딤플과 그리고 같은 중심을 갖는 원형 딤플과의 사이인 랜드 부위의 폭이 0.01mm ∼ 1mm 인 골프공.
  7. 제 4 항에 있어서, 원형 딤플들의 직경이 여러 종류로 이루어진 골프공.
  8. 제 4 항에 있어서, 원형 딤플들의 직경이 같은 종류로 이루어진 골프공.
  9. 제 5 항에 있어서, 원형 딤플들의 직경이 여러 종류로 이루어지고 원형 딤플들의 깊이가 여러 종류로 이루어진 골프공.
  10. 제 5 항에 있어서, 원형 딤플들의 직경이 여러 종류로 이루어지고 원형 딤플들의 깊이가 같은 종류로 이루어진 골프공.
  11. 제 5 항에 있어서, 원형 딤플들의 직경이 같은 종류로 이루어지고 원형 딤플들의 깊이가 여러 종류로 이루어진 골프공.
  12. 제 5 항에 있어서, 원형 딤플들의 직경이 같은 종류로 이루어지고 원형 딤플들의 깊이가 같은 종류로 이루어진 골프공.
  13. 제 2 항에 있어서, 환상 딤플들의 크기가 여러 종류로 이루어진 골프공.
  14. 제 2 항에 있어서, 환상 딤플들의 크기가 같은 종류로 이루어진 골프공.
  15. 제 3 항에 있어서, 환상 딤플들의 크기가 여러 종류로 이루어지고 환상 딤플들의 깊이가 여러 종류로 이루어진 골프공.
  16. 제 3 항에 있어서, 환상 딤플들의 크기가 여러 종류로 이루어지고 환상 딤플들의 깊이가 같은 종류로 이루어진 골프공.
  17. 제 3 항에 있어서, 환상 딤플들의 크기가 같은 종류로 이루어지고 환상 딤플들의 깊이가 여러 종류로 이루어진 골프공.
  18. 제 3 항에 있어서, 환상 딤플들의 크기가 같은 종류로 이루어지고 환상 딤플들의 깊이가 같은 종류로 이루어진 골프공.
KR1019980026369A 1998-07-01 1998-07-01 환상딤플을갖고있는골프공 KR1002812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26369A KR100281226B1 (ko) 1998-07-01 1998-07-01 환상딤플을갖고있는골프공
US09/140,243 US5957787A (en) 1998-07-01 1998-08-26 Golf ball having annular dimpl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26369A KR100281226B1 (ko) 1998-07-01 1998-07-01 환상딤플을갖고있는골프공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7178A KR20000007178A (ko) 2000-02-07
KR100281226B1 true KR100281226B1 (ko) 2001-04-02

Family

ID=195426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26369A KR100281226B1 (ko) 1998-07-01 1998-07-01 환상딤플을갖고있는골프공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5957787A (ko)
KR (1) KR10028122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041721B2 (en) * 1995-06-07 2006-05-09 Acushnet Company Highly neutralized polymer golf ball compositions including oxa acids and methods of making same
US7015300B2 (en) * 1995-06-07 2006-03-21 Acushnet Company Multilayered golf ball and composition
US6796912B2 (en) * 2001-11-21 2004-09-28 Acushnet Company Golf ball dimples with a catenary curve profile
US7641572B2 (en) * 1997-09-03 2010-01-05 Acushnet Company Golf ball dimples with a catenary curve profile
US6658371B2 (en) 1997-09-03 2003-12-02 Acushnet Company Method for matching golfers with a driver and ball
US6729976B2 (en) * 1997-09-03 2004-05-04 Acushnet Company Golf ball with improved flight performance
US6998445B2 (en) 1998-03-26 2006-02-14 Acushnet Company Low compression, resilient golf balls with rubber core
US6162136A (en) * 1998-12-10 2000-12-19 Acushnet Company Golf ball dimple
US6299552B1 (en) * 1999-04-20 2001-10-09 Acushnet Company Low drag and weight golf ball
US6413171B1 (en) * 1999-08-19 2002-07-02 Bridgestone Sports Co., Ltd. Golf ball
US7105628B2 (en) 2002-08-27 2006-09-12 Acushnet Company Compositions for golf equipment
US8455609B2 (en) * 1999-12-03 2013-06-04 Acushnet Company Castable polyurea formulation for golf ball covers
US7211624B2 (en) * 1999-12-03 2007-05-01 Acushnet Company Golf ball layers formed of polyurethane-based and polyurea-based compositions incorporating block copolymers
US20040266971A1 (en) * 1999-12-03 2004-12-30 Shenshen Wu Golf equipment incorporating polyamine/carbonyl adducts as chain extenders and methods of making same
US6964621B2 (en) * 1999-12-03 2005-11-15 Acushnet Company Water resistant polyurea elastomers for golf equipment
US7202303B2 (en) * 1999-12-03 2007-04-10 Acushnet Company Golf ball layers formed of polyurethane-based and polyurea-based compositions incorporating block copolymers
US7214738B2 (en) * 1999-12-03 2007-05-08 Acushnet Company Golf ball layers formed of polyurethane-based and polyurea-based compositions incorporating block copolymers
US7217764B2 (en) 1999-12-03 2007-05-15 Acushnet Company Golf ball layers formed of polyurethane-based and polyurea-based compositions incorporating block copolymers
US7786243B2 (en) 2002-02-06 2010-08-31 Acushnet Company Polyurea and polyurethane compositions for golf equipment
US7772354B2 (en) * 1999-12-03 2010-08-10 Acushnet Company Golf ball layer compositions comprising modified amine curing agents
US6958379B2 (en) * 1999-12-03 2005-10-25 Acushnet Company Polyurea and polyurethane compositions for golf equipment
US6835794B2 (en) * 1999-12-17 2004-12-28 Acushnet Company Golf balls comprising light stable materials and methods of making the same
US7041769B2 (en) * 1999-12-17 2006-05-09 Acushnet Company Polyurethane compositions for golf balls
US8227565B2 (en) * 1999-12-17 2012-07-24 Acushnet Company Polyurethane compositions for golf balls
US6626772B1 (en) * 2000-06-20 2003-09-30 The Top-Flite Golf Company Golf ball with elevated dimple portions
US7098274B2 (en) 2002-08-27 2006-08-29 Acushnet Company Compositions for golf equipment
US8033933B2 (en) 2002-02-15 2011-10-11 Acushnet Company Golf ball surface patterns comprising variable width/depth multiple channels
US7309298B2 (en) 2002-02-15 2007-12-18 Acushnet Company Golf ball with spherical polygonal dimples
US6905426B2 (en) * 2002-02-15 2005-06-14 Acushnet Company Golf ball with spherical polygonal dimples
US8808113B2 (en) 2002-02-15 2014-08-19 Acushnet Company Golf ball surface patterns comprising a channel system
US6945880B2 (en) * 2003-01-06 2005-09-20 Acushnet Company Golf ball with improved flight performance
US7938745B2 (en) * 2002-03-14 2011-05-10 Acushnet Company High performance golf ball having a reduced-distance
US7815528B2 (en) 2002-03-14 2010-10-19 Acushnet Company High performance golf ball having a reduced-distance
US7481723B2 (en) * 2002-03-14 2009-01-27 Acushnet Company High performance golf ball having a reduced-distance
US20070093319A1 (en) * 2002-03-14 2007-04-26 Sullivan Michael J High Performance Golf Ball Having a Reduced-Distance
US7138477B2 (en) 2002-08-27 2006-11-21 Acushnet Company Compositions for golf equipment
US7157545B2 (en) 2002-08-27 2007-01-02 Acushnet Company Compositions for golf equipment
US7105623B2 (en) 2002-08-27 2006-09-12 Acushnet Company Compositions for golf equipment
US7138475B2 (en) 2002-08-27 2006-11-21 Acushnet Company Compositions for golf equipment
US7101951B2 (en) 2002-08-27 2006-09-05 Acushnet Company Compositions for golf equipment
US7138476B2 (en) 2002-08-27 2006-11-21 Acushnet Company Compositions for golf equipment
US7378483B2 (en) 2002-08-27 2008-05-27 Acushnet Company Compositions for golf equipment
US7115703B2 (en) 2002-08-27 2006-10-03 Acushnet Company Compositions for golf equipment
US8617004B2 (en) 2007-02-16 2013-12-31 Acushnet Company Golf ball with translucent cover
US20040176184A1 (en) * 2003-03-07 2004-09-09 Morgan William E. Multi-layer golf ball with translucent cover
US20040176185A1 (en) * 2003-03-07 2004-09-09 Morgan William E. Multi-layer golf ball with translucent cover
US20040176188A1 (en) 2003-03-07 2004-09-09 Morgan William E. Multi-layer golf ball with translucent cover
JP4230267B2 (ja) * 2003-04-08 2009-02-25 Sriスポーツ株式会社 ゴルフボール
US7008972B2 (en) * 2003-06-12 2006-03-07 Acushnet Company Golf ball comprising microporous materials and methods for improving printability and interlayer adhesion
US7198576B2 (en) * 2003-06-17 2007-04-03 Acushnet Company Golf ball comprising UV-cured non-surface layer
JP4304443B2 (ja) * 2003-08-07 2009-07-29 ブリヂストンスポーツ株式会社 ゴルフボール
US7151148B2 (en) 2003-09-16 2006-12-19 Acushnet Company Castable golf ball components using acrylate functional resins
US7342073B2 (en) 2003-12-22 2008-03-11 Acushnet Company High CoR golf ball using zinc dimethacrylate
US7148262B2 (en) * 2004-02-04 2006-12-12 Acushnet Company Method for drying and using swarf in golf balls
WO2005077304A1 (en) 2004-02-06 2005-08-25 Georgia Tech Research Corporation Load bearing biocompatible device
EP1786485A4 (en) 2004-02-06 2012-05-30 Georgia Tech Res Inst CELLULAR IMPLANTATION WITH SURFACE ADHESION
US7163994B2 (en) * 2004-04-08 2007-01-16 Acushnet Company Golf ball composition with improved temperature performance, heat resistance and resiliency
US7226983B2 (en) * 2004-04-08 2007-06-05 Acushnet Company Golf ball compositions with improved temperature performance, heat resistance, and resiliency
US7226975B2 (en) * 2004-05-12 2007-06-05 Acushnet Company Golf ball core compositions
US7157514B2 (en) * 2004-05-12 2007-01-02 Acushnet Company Golf ball core compositions
US7265195B2 (en) 2004-06-02 2007-09-04 Acushnet Company Compositions for golf equipment
US7253242B2 (en) 2004-06-02 2007-08-07 Acushnet Company Compositions for golf equipment
US7253245B2 (en) 2004-06-02 2007-08-07 Acushnet Company Compositions for golf equipment
US7256249B2 (en) 2004-06-02 2007-08-14 Acushnet Company Compositions for golf equipment
US7276570B2 (en) 2004-06-02 2007-10-02 Acushnet Company Compositions for golf equipment
US7279529B2 (en) * 2004-06-07 2007-10-09 Acushnet Company Non-ionomeric silane crosslinked polyolefin golf ball layers
US8883057B2 (en) * 2004-06-07 2014-11-11 Acushnet Company Non-ionomeric silane crosslinked polyolefin golf ball layers
US7160954B2 (en) * 2004-06-25 2007-01-09 Acushnet Company Golf ball compositions neutralized with ammonium-based and amine-based compounds
US7572508B2 (en) * 2004-07-12 2009-08-11 Acushnet Company Polyurea coatings for golf equipment
USD536756S1 (en) 2004-07-19 2007-02-13 Qolf Sporting Products Ball
US7481956B2 (en) * 2004-07-26 2009-01-27 Acushnet Company Method for molding castable light stable polyurethane and polyurea golf balls
US7135529B2 (en) * 2004-08-09 2006-11-14 Acushnet Company Golf ball comprising saturated rubber/ionomer block copolymers
US8617003B2 (en) * 2006-01-18 2013-12-31 Acushnet Company Golf ball having specific spin, moment of inertia, lift, and drag relationship
US7250012B1 (en) * 2006-07-11 2007-07-31 Callaway Golf Company Dual dimple surface geometry for a golf ball
US7399239B2 (en) * 2006-12-04 2008-07-15 Acushnet Company Use of engineering thermoplastic vulcanizates for golf ball layers
US20090247325A1 (en) * 2006-12-05 2009-10-01 Sullivan Michael J High performance golf ball having a reduced distance
US7901301B2 (en) * 2007-02-16 2011-03-08 Acushnet Company Golf ball having visually enhanced non-uniform thickness intermediate layer
US7922607B2 (en) 2007-02-16 2011-04-12 Acushnet Company Noncontact printing on subsurface layers of translucent cover golf balls
US8070626B2 (en) 2007-02-16 2011-12-06 Acushnet Company Golf ball with a translucent layer comprising composite material
US9295882B2 (en) 2007-02-16 2016-03-29 Acushnet Company Golf ball having a translucent layer containing fiber flock
US7601080B2 (en) * 2007-04-23 2009-10-13 Acushnet Company Golf ball dimples with spiral depressions
US7785216B2 (en) 2007-08-27 2010-08-31 Acushnet Company Golf balls including mechanically hybridized layers and methods of making same
US20090062035A1 (en) * 2007-08-30 2009-03-05 Shawn Ricci Golf equipment formed from castable formulations with resiliency comparable to ionomer resins
US7994269B2 (en) 2007-08-30 2011-08-09 Acushnet Company Golf equipment formed from castable formulation with unconventionally low hardness and increased shear resistance
US8044136B2 (en) 2007-11-01 2011-10-25 E.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Golf balls with cores or intermediate layers prepared from highly-neutralized ethylene copolymers and organic acids
US7897694B2 (en) * 2007-12-21 2011-03-01 Acushnet Company Polyacrylate rubber compositions for golf balls
US20100056300A1 (en) * 2008-08-26 2010-03-04 Scott Cooper Mutli-layer golf ball having inner covers with non-planar parting lines
US8016695B2 (en) 2008-09-22 2011-09-13 Acushnet Company Golf ball with improved flight performance
US8202925B2 (en) * 2009-05-26 2012-06-19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Golf balls with cores or intermediate layers prepared from highly-neutralized ethylene terpolymers and organic acids
US20120071275A1 (en) * 2010-09-16 2012-03-22 Byron Lovell Williams Golf Ball
US9056223B2 (en) 2012-03-26 2015-06-16 Acushnet Company Color golf ball
US9339843B2 (en) 2010-10-14 2016-05-17 Acushnet Company Multi-colored golf ball and method for visually enhancing dimple arrangement
US9199127B2 (en) 2012-03-26 2015-12-01 Acushnet Company Color golf ball
CA2837303C (en) 2011-05-26 2019-08-20 Cartiva, Inc. Tapered joint implant and related tools
KR101367277B1 (ko) 2012-04-26 2014-02-26 주식회사 볼빅 골프공의 표면에 딤플을 배열하는 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되는 골프공
KR101197666B1 (ko) 2012-07-02 2012-11-07 주식회사 볼빅 동일 중심의 방사상 요면이 형성된 원형 딤플을 갖는 골프공
US9403063B2 (en) 2013-12-20 2016-08-02 Acushnet Company Golf ball aerodynamic configuration
US9333396B2 (en) 2014-03-06 2016-05-10 Acushnet Company Color golf ball constructions incorporating durable and light-stable compositions
USD792534S1 (en) * 2015-03-17 2017-07-18 J. E. Pellegrino Golf ball
KR101550402B1 (ko) 2015-03-19 2015-09-08 주식회사 볼빅 콤마 형상 딤플을 구비한 골프공
US9776044B2 (en) 2015-03-19 2017-10-03 Volvik, Inc. Golf ball having comma-shaped dimples
US10758374B2 (en) 2015-03-31 2020-09-01 Cartiva, Inc. Carpometacarpal (CMC) implants and methods
WO2016161025A1 (en) 2015-03-31 2016-10-06 Cartiva, Inc. Hydrogel implants with porous materials and methods
KR101558488B1 (ko) 2015-04-14 2015-10-07 주식회사 볼빅 불연속 환상 딤플을 구비한 골프공
AU2016248062B2 (en) 2015-04-14 2020-01-23 Stryker Corporation Tooling for creating tapered opening in tissue and related methods
US9873019B2 (en) 2015-04-30 2018-01-23 Volvik Inc. Golf ball having surface divided by triangular concave sectors
KR101567595B1 (ko) 2015-04-30 2015-11-10 주식회사 볼빅 삼각 요면 섹터들에 의해 분할된 표면을 갖는 골프공
US11207571B2 (en) 2015-11-16 2021-12-28 Acushnet Company Golf ball dimple plan shape
US10814176B2 (en) 2015-11-16 2020-10-27 Acushnet Company Golf ball dimple plan shape
US10195484B2 (en) 2015-11-16 2019-02-05 Acushnet Company Golf ball dimple plan shape
US10486028B2 (en) 2015-11-16 2019-11-26 Acushnet Company Golf ball dimple plan shape
US11117021B2 (en) 2015-11-16 2021-09-14 Acushnet Company Golf ball dimple plan shape
US9993690B2 (en) 2015-11-16 2018-06-12 Acushnet Company Golf ball dimple plan shapes and methods of generating same
US9713748B2 (en) 2015-11-17 2017-07-25 Acushnet Company Golf ball with excellent interlayer adhesion between adjacent differing layers
US10486029B2 (en) 2015-11-17 2019-11-26 Acushnet Company Golf ball displaying improved adhesion between TiO2-pigmented layer incorporating silane-containing adhesion promoter and an adjacent differing layer
KR102023971B1 (ko) * 2017-09-05 2019-09-23 주식회사 볼빅 구상 유사 팔면체로 분할된 표면에 딤플이 대칭되게 배열된 골프공
KR101938854B1 (ko) 2018-08-13 2019-01-15 주식회사 볼빅 골프공
US20220161098A1 (en) * 2020-11-20 2022-05-26 Acushnet Company Dimple patterns for golf balls
US20230134882A1 (en) * 2021-11-02 2023-05-04 Acushnet Company Golf balls having reduced distance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15390A (en) * 1983-10-24 1990-04-10 Acushnet Company Golf ball
US4560168A (en) * 1984-04-27 1985-12-24 Wilson Sporting Goods Co. Golf ball
US5018741A (en) * 1989-07-24 1991-05-28 Spalding & Evenflo Companies, Inc. Golf ball
KR960016742B1 (ko) * 1994-01-25 1996-12-20 일야실업 주식회사 골프공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7178A (ko) 2000-02-07
US5957787A (en) 1999-09-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81226B1 (ko) 환상딤플을갖고있는골프공
KR960016742B1 (ko) 골프공
KR970005338B1 (ko) 골프공
JP2003154031A (ja) カテナリー曲線の形状を伴うゴルフボールディンプル
JP3000140B2 (ja) ゴルフボール
JP4009797B2 (ja) ゴルフボール
JP2937494B2 (ja) ゴルフボール
US10124212B2 (en) Dimple patterns for golf balls
JP3924467B2 (ja) 管状格子パターンを有するゴルフボール
US6059671A (en) Golf ball
JP3726231B2 (ja) ゴルフボール
US7988571B2 (en) Golf ball with polygonal dimple groupings
US20040157682A1 (en) Dimple pattern for golf balls
JP2002239031A (ja) ゴルフボールのディンプルパターン
JP2004236745A (ja) ゴルフボール
JPH03158178A (ja) ゴルフボール
US7503856B2 (en) Dimple patterns for golf balls
JP3365746B2 (ja) ゴルフボール
JP4672210B2 (ja) ゴルフボール
JP2002537038A (ja) 非対称ゴルフボールディンプル深さ断面
US9776044B2 (en) Golf ball having comma-shaped dimples
US20150105181A1 (en) Golf ball
US10150005B2 (en) Golf ball
JP2002306634A (ja) ゴルフボールのディンプルパターン
JP5827531B2 (ja) ゴルフボールのディンプルパター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8070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80701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006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01106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0111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0111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3102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111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1103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1115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1116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027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1027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