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278763B1 - 자동차용컴팩트디스크플레이어 - Google Patents

자동차용컴팩트디스크플레이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78763B1
KR100278763B1 KR1019980017002A KR19980017002A KR100278763B1 KR 100278763 B1 KR100278763 B1 KR 100278763B1 KR 1019980017002 A KR1019980017002 A KR 1019980017002A KR 19980017002 A KR19980017002 A KR 19980017002A KR 100278763 B1 KR100278763 B1 KR 1002787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y
main chassis
disc
loading
moto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170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84933A (ko
Inventor
아키라 다카하시
Original Assignee
안응수
주식회사다함이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응수, 주식회사다함이텍 filed Critical 안응수
Priority to KR10199800170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78763B1/ko
Publication of KR199900849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849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787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78763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Landscapes

  • Automatic Disk Chang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 운전석의 전면판넬에 장착되는 컴팩트디스크플레이어(compact disc player)에 관한 것으로, 종래에 제안된 디스크플레이어의 대부분은 다수 매의 디스크가 수납되는 카드리지형의 디스크매가진을 사용하기 때문에 디스크를 수납하거나 교환하고자 할 때에 본체에서 디스크매가진을 일단 인출하여야 하는 등의 문제가 있었던 바, 메인샤시(10)의 디스크 수납공간에 디스크(1)가 수납되는 덮개트레이(640) 및 그의 내하부에 중첩 지지되는 다수 매의 트레이(650)를 설치하고, 메인샤시(10)의 내부 양측에 덮개트레이(640)를 제외한 나머지 트레이(650)를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트레이가이드(320)를 설치하며, 메인샤시(10)의 양측면 외측에 트레이 이송플레이트(90)(100)를 설치하여 트레이 이송플레이트(100)와 접속되는 트레이 모터(810)를 통해 각 트레이(640)(650)를 승강시킬 수 있도록 한 것 등을 특징으로 하는 본 발명에 의하면 새로운 디스크를 곧바로 메인샤시 내부의 트레이에 수납하거나 트레이로부터 기존 디스크를 인출할 수 있게 되므로 디스크의 수납 및 교환작업이 극히 간편하게 되고, 디스크의 전후방향의 이동공간을 줄일 수 있게 되어 디스크플레이어의 콤팩트화를 도모할 수 있게 될 뿐 아니라 로딩로울러(590)의 회전방향에 따라 작동하는 셔터아암(560)을 통해 디스크(1)의 오삽입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되고, 로딩모터(910)를 로딩기구 및 픽업이송기구에 선택적으로 연결하여 디스크의 로딩/언로딩은 물론 픽업(335)의 이송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 때문에 부품의 절감과 구조의 단순화를 도모할 수 있게 되어 부품비용, 조립비용 등의 제작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되는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자동차용 컴팩트디스크플레이어
본 발명은 자동차 운전석의 전면판넬에 장착되는 컴팩트디스크플레이어(compact disc player)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 말하자면 다수 매의 컴팩트디스크를 동시에 수납한 후 운전자가 선택한 특정 컴팩트디스크를 재생시킬 수 있도록 하는 디스크체인지장치(disc changer)를 구비한 자동차용 컴팩트디스크플레이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전면판넬에 장착되는 컴팩트디스크플레이어는 한장의 컴팩트디스크(이하 디스크라 함)만을 재생할 수 있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다른 디스크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기존의 디스크를 인출해낸 후 재생하고자 하는 다른 디스크를 데크 내부로 수납하여야 한다.
이와 같은 불편함을 해결하기 위하여, 다수 매의 디스크를 동시에 수납한 후 선택한 디스크만을 재생하도록 하는 디스크체인지장치를 장착한 디스크플레이어가 제공되고 있다. 이와 같이 디스크체인지장치를 장착한 디스크플레이어는, 데크의 일측에 다수매의 디스크가 수납된 카드리지형의 디스크매가진을 장착할 수 있도록 하는 디스크매가진 수용공간이 마련되고, 데크의 타측에 디스크 재생공간이 마련되는 구조를 갖는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디스크플레이어는, 데크의 일측에 착탈이 자유롭게 설치되는 디스크매가진의 수용공간으로부터 재생하고자 하는 디스크가 데크의 타측의 재생공간으로 인출되어 재생되는 형태를 갖게 되므로 데크의 크기가 커지게 되어 자동차의 운전석 전면판넬에 설치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디스크플레이어는 그 본체를 트렁크 등의 운전석 외부에 설치하고, 운전석에는 그의 조작스위치판넬만을 설치하기 때문에 디스크의 수납과 교환이 매우 번거롭게 되는 불편함이 있었다.
이에따라 최근에는 디스크체인지장치를 갖추고서도 운전석의 전면판넬에 직접 설치할 수 있도록 콤팩트화된 디스크플레이어가 제안되었는 바, 이러한 디스크플레이어는 다수 매의 디스크가 수납된 디스크매가진의 각 디스크 층을 상하방향으로 분리 가능하게 하는 구조를 갖는다. 즉, 이 디스크플레이어는 재생하고자 하는 디스크만을 상승시킨 후 그 하부에 턴테이블 및 픽업을 설치하여 선택된 디스크를 재생할 수 있게 되는 것으로, 별도의 디스크 재생공간이 필요없기 때문에 운전석의 전면판넬에 장착할 수 있는 작은 크기로 제작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종래에 제안된 이러한 형태의 디스크플레이어의 대부분은 다수 매의 디스크가 수납되는 카드리지형의 디스크매가진을 사용하기 때문에 새로운 디스크를 수납하거나 수납된 디스크 중에 특정 디스크를 교환하고자 할 때에 본체에서 디스크매가진을 일단 인출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종래의 디스크플레이어에 있어서 특정 디스크를 교환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우선 디스크매가진을 본체로부터 인출한 후 교환대상의 디스크를 디스크매가진으로부터 빼내고, 빼낸 자리에 새로운 디스크를 수납한 후 디스크매가진을 다시 본체에 설치하여야 하므로 그 작업이 번거롭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체의 내부에 설치된 다수 매의 디스크 중에 특정 디스크를 선택하여 재생할 수 있도록 하는 디스크플레이어에 있어서, 디스크의 설치 및 교환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자동차용 컴팩트디스크플레이어를 제공하는 데에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보다 적은 수의 부품으로 디스크를 선택, 재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에 의해 부품비용 및 제작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하고, 더욱 콤팩트하게 본체를 구성할 수 있도록 하는 자동차용 컴팩트디스크플레이어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제1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컴팩트디스크플레이어의 트레이 설치부위 및 트레이 승강부위의 분해사시도이다.
제2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컴팩트디스크플레이어의 덮개트레이와 그 하부 트레이의 분해사시도이다.
제3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컴팩트디스크플레이어의 트레이부 위의 평면도이다.
제4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컴팩트디스크플레이어의 트레이의 정면도이다.
제5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컴팩트디스크플레이어의 트레이가이드에 의한 트레이 지지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제6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컴팩트디스크플레이어의 트레이 설치상태 및 트레이 승강부위 설치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제7도는 제6도의 우측면도이다.
제8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컴팩트디스크플레이어의 트레이 셀렉트부위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제9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컴팩트디스크플레이어의 트레이 셀렉트부위의 평면도이다.
제10도는 제9도의 좌측면도이다.
제11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컴팩트디스크플레이어의 픽업상승부위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제12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컴팩트디스크플레이어의 픽업상승부위의 요부 부품 분해사시도이다.
제13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컴팩트디스크플레이어의 픽업상승부위의 평면도이다.
제14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컴팩트디스크플레이어의 디스크로딩부위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제15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컴팩트디스크플레이어의 로딩모터 구동부위의 평면도이다.
제16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컴팩트디스크플레이어의 디스크 로딩부위의 평면도이다.
제17도는 제16도의 정면도이다.
제18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컴팩트디스크플레이어의 디스크 로딩부위의 요부 측면도이다.
제19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컴팩트디스크플레이어의 콘트롤 캠의 정면도이다.
제20a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컴팩트디스크플레이어의 디스크 셀렉트부위의 최초상태의 위치도이다.
제20b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컴팩트디스크플레이어의 디스크 셀렉트부위의 트레이셀렉터를 후방으로 당긴 상태의 위치도이다.
제20c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컴팩트디스크플레이어의 디스크 셀렉트부위의 픽업베이스를 회전시킨 상태의 위치도이다.
제20d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컴팩트디스크플레이어의 디스크 셀렉트부위의 디스크 릴리스상태의 위치도이다.
제21a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컴팩트디스크플레이어의 콘트롤 캠의 디스크 인출시의 상태도이다.
제21b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컴팩트디스크플레이어의 콘트롤 캠의 디스크 수납시의 상태도이다.
제22a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컴팩트디스크플레이어의 픽업베이스의 최초상태의 위치도이다.
제22b도는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컴팩트디스크플레이어의 픽업베이스의 회전상태의 위치도이다.
제23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컴팩트디스크플레이어의 픽업베이스 회전시의 로딩모터 접속상태도이다.
제24a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컴팩트디스크플레이어의 트레이의 디스크 릴리스 전의 상태도이다.
제24a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컴팩트디스크플레이어의 트레이의 디스크 릴리스 후의 상태도이다.
제25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컴팩트디스크플레이어의 전체 조립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디스크 10 : 메인샤시
20 : 픽업플레이트 30,40 : 샤시브라켓트
50,60 : 트레이 릴리스아암 70 : 픽업 콘트롤플레이트
80 : 샤프트브라켓트 90,100 : 트레이 이송플레이트
110,120 : 픽업 이송플레이트 130 : 링크아암
140 : 셀렉트아암 150,160,170 : 모터브라켓트
180 : 트레이 콘트롤플레이트 190 : 트레이 리세트플레이트
200 : 트레이 셀렉트플레이트 210 : 스윙아암
220 : 로울러아암 280,300 : 록크플레이트
290 : 링크아암 320 : 트레이가이드
330 : 픽업베이스 340 : 트레이셀렉터
540 : 디스크가이드 560 : 셔터아암
570 : 콘트롤캠 590 : 로딩로울러
640 : 덮개트레이 650 : 트레이
660 : 디스크 홀더아암 700,710 : 링크샤프트
730,770,780 : 스프링 810 : 트레이모터
890 : 셀렉트모터 900 : 픽업모터
910 : 로딩모터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구성은, 본체의 내부에 다수의 트레이를 승강 가능하게 설치하여 본체 전방으로부터 각 트레이마다에 디스크를 직접 수납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각 트레이에서 본체 전방으로 디스크를 직접 인출할 수 있도록 한 것 등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로 하여 더욱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트레이 장착상태도가 도시되어 있는데, 본 발명에서는 양측이 상향으로 절곡된 메인샤시(10)의 내부 양측에 각 트레이(650)를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트레이가이드(320)가 설치된다. 각 트레이가이드(320)는 외측 전방과 후방에 지지막대(321)가 돌출 형성하고, 각 지지막대(321)의 전면 전방에 덮개트레이(640)를 제외한 각 트레이(650)의 걸림돌기(654)가 삽입되는 걸림홈(322)이 형성된다.
상기한 트레이(650)는 도 2와 같이 덮개트레이(640)의 하부에 동일 형상으로 다수개 중첩되는 형태를 갖는다.
덮개트레이(640)는 양측 전방과 후방에 트레이가이드(320)의 지지막대(321)에 삽입되는 삽입홈(641)이 형성되고, 각 삽입홈(641)의 전방 외측면에 메인샤시(10)의 양측면 전방과 중앙부에 형성되는 가이드장공(11)에 삽입 결합되는 돌출핀(642)이 설치되며, 각 삽입홈(641)의 전방 내측면에 각 트레이(650)의 걸림돌기(654)가 결합되는 걸림홈(643)이 형성된다.
덮개트레이(640)를 포함한 각 트레이(650)의 저면 양측 후방에는 중앙부에 회동중심(661)이 마련되고 후단에 타격돌기(662)가 형성되며 선단부 내측 하부에 받침편(663)이 마련된 디스크 홀더아암(660)이 스프링(780)을 통해 탄성지지되어 회동이 자유롭게 설치된다.
덮개트레이(640)를 제외한 나머지 트레이(650)의 양측단 전방과 후방에는 덮개트레이(640)의 걸림홈(643)에 삽입 결합되는 걸림돌기(654)가 돌출 형성되며, 후단 일측에는 전방에 걸림단턱(651)이 마련된 당김편(652)이 마련되고, 그 일측에 당김홈(653)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부의 트레이(650)를 후방으로 당길 때에는 그 하부의 모든 트레이(650)가 동시에 당겨지게 되고 하부의 트레이(650)를 당길 때에는 그 상부의 트레이(650)는 당겨지지 않게 되며, 반대로 하부의 트레이(650)를 전방으로 밀때에는 상부의 모든 트레이(650)가 전방으로 이동되고 상부의 트레이(650)를 밀 때에는 상부의 트레이는 이동되지 않게 된다.
한편, 메인샤시(10)의 양측면 외측에는 각각 트레이 이송플레이트(90)(100)가 설치된다. 각 트레이 이송플레이트(90)(100)의 전방과 후방에는 덮개트레이(640)의 양측면에 설치된 돌출핀(642)이 결합되는 경사형의 지지장공(91)(101)이 서로 반대방향의 경사로 형성된다. 양 트레이 이송플레이트(90)(100)는 각각 하단 내측에 결합편(92)(102)이 형성되며, 메인샤시(10)의 하단에 결합되는 회전중심(131)이 중앙에 마련되고 양측 하부에 결합핀(132)이 형성된 링크아암(130)의 양 결합핀(132)이 각 트레이 이송플레이트(90)(100)의 결합편(92)(102)에 결합되어 양 트레이 이송플레이트(90)(100)는 함께 같은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일측이 트레이 이송플레이트(100)의 상단 후방에는 트레이모터(810)와 접속되는 이송래크(103)가 형성된다. 트레이모터(810)는 도 1 및 도 6, 도 7과 같이 메인샤시(10)의 일측면에 설치되는 모터브라켓트(160)에 의해 지지되며, 그의 회전축에 설치되는 워웜기어(811)가 연결기어(812)(813)(814)를 통해 일측 트레이 이송플레이트(100)의 이송래크(103)와 접속된다.
한편 도 8에서 도 10까지와 같이 타측 트레이 이송플레이트(90)의 외측 후방에 설치되는 모터브라켓트(150)에는 셀렉트모터(890)가 설치되며, 이 셀렉트모터(890)는 그의 회전축에 결합되는 워웜기어(891) 및 연결기어(892)(893)(894)를 통해 메인샤시(10)의 상부면 일측에 설치되는 셀렉트아암(140)의 이송래크(141)에 접속된다.
셀렉트아암(140)은 그 일측에 이송래크(141)가 마련되고, 타측 중앙에 회전중심(142)이 마련되며, 전방에 록크플레이트(280)(300)를 인출, 수납할 수 있도록 하는 링크아암(290)과 접속되는 돌출핀(143)이 마련되고, 후방에 트레이 콘트롤플레이트(180)와 접속되는 접속편(144)이 마련된다.
링크아암(290)은 그의 중앙에 마련된 회전중심(291)이 메인샤시(10)의 하부면 전방 중앙에 결합되어 좌우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그 전후방에 마련된 연결장공(292)에 각 록크플레이트(280)(300)의 내측에 마련된 연결핀(281)(301)이 연결되며, 링크아암(290)에 연결되는 각 록크플레이트(280)(300)의 외측에는 록크편(282)(302)이 마련된다.
한편 트레이 콘트롤플레이트(180)는 메인샤시(10)의 하부면 후방에 좌우방향으로 이송 가능하게 설치되고, 그 전방 일측에 셀렉트아암(140)과 연결되는 접속편(181)이 마련되며, 상면 중앙 일측에 트레이 셀렉트플레이트(200)와 연결되는 가이드 장공(182)이 마련되고, 타측 후방에 픽업 콘트롤플레이트(70)와 연결되는 돌출편(183)이 마련된다.
메인샤시(10)의 상부면 후방 일측에 설치되는 트레이 셀렉트플레이트(200)는 중앙에 회전중심(201)이 마련되며, 그 양단에 마련되는 접속핀(202)을 통해 트레이 콘트롤플레이트(180) 및 트레이 리세트플레이트(190)에 연결된다. 메인샤시(10)의 상부면 후방 일측에 전후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트레이 리세트플레이트(190)는 그의 상면 일측 중앙에 트레이셀렉터(340)가 결합되는 결합공(191)이 마련되고, 일측면에 트레이셀렉터(340)의 승강돌기(344)가 결합되는 수직방향의 가이드장공(193)이 마련되며, 타측 후방에 트레이 셀렉트플레이트(200)의 접속핀(202)이 결합되는 접속홈(192)이 마련된다.
트레이셀렉터(340)는 그의 전방에 트레이(650)의 당김홈(653)에 결합되는 당김돌기(341)가 마련되고, 하단 중앙에 트레이 리세트플레이트(190)의 결합공(191)에 결합되는 결합돌기(342)가 마련되며, 외측면 중앙에 트레이 리세트플레이트(190)의 가이드장공(193)에 결합되는 승강돌기(344)가 마련되고, 상부 전방에 픽업플레이트(20)의 접속핀(21)이 결합되는 연결장공(343)이 형성된다.
도 11 및 도 12, 그리고 도 13과 같이 메인샤시(10)의 양측 후방에는 픽업 이송플레이트(110)(120)가 각각 전후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각 픽업 이송플레이트(110)(120)의 측면 중앙 상부에는 픽업플레이트(20)의 접속핀(21)이 결합되는 경사형의 지지장공(111)(121)이 서로 반대방향의 경사로 형성된다.
그리고 양 픽업 이송플레이트(110)(120)는 각각 하단 내측에 결합공(112)(122)이 형성되며, 메인샤시(10)의 하단에 결합되는 회전중심(131)이 중앙에 마련되고 양측 하부에 결합핀(132)이 형성된 링크아암(130)의 양 결합핀(132)이 각 픽업 이송플레이트(110)(120)의 결합공(112)(122)에 결합되어 양 픽업 이송플레이트(110)(120)는 함께 같은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일측의 픽업 이송플레이트(110)의 상단 후방에는 픽업모터(900)와 접속되는 이송래크(113)가 형성된다. 픽업모터(900)는 메인샤시(10)의 일측면에 설치되는 모터브라켓트(150)에 전술한 셀렉트모터(890)와 함께 지지되며, 그의 회전축에 설치되는 워엄기어(901)가 연결기어(902)(903)(904)를 통해 일측 픽업 이송플레이트(110)의 이송래크(113)와 접속된다.
메인샤시(10)의 후방 상부에는 샤시브라켓트(40)가 설치되고, 그 하부에 상하 방향으로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픽업플레이트(20)는 그의 양측 전방 하부에 각 픽업 이송플레이트(110)(120)의 지지장공(111)(121)에 결합되는 접속핀(21)이 마련되고, 하부면 후방에 픽업 콘트롤플레이트(70)가 좌우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픽업 콘트롤플레이트(70)는 그 전방 일측에 디스크 릴리스아암(50)(60)과 접속되는 접속장공(71)이 형성되고, 후방 타측에 전술한 트레이 콘트롤플레이트(180)의 돌출편(183)과 결합되는 결합돌기(72)가 마련되며, 상면 일측에 픽업베이스(330)의 회동링크(331)의 일측에 설치된 접속핀(332)과 결합되는 접속공(73)이 형성된다.
픽업 콘트롤플레이트(70)의 전방에 설치되는 한 쌍의 디스크 릴리스아암(50)(60)은 그들의 내측에 서로 끼워맞춤되는 결합돌기(51)와 결합요홈(61)이 형성되며, 외측 전방에 전술한 디스크 홀더아암(660)의 타격돌기(662)와 대응되는 타격편(52)(62)이 마련되고, 일측 디스크 릴리스아암(60)의 하부면 내측에 픽업 콘트롤플레이트(70)의 접속장공(71)에 삽입되는 접속핀(63)이 마련된다.
픽업베이스(330)에는 일측에 턴테이블모터(333) 및 턴테이블(334)이 설치되고, 타측에 픽업(335)이 턴테이블(334) 쪽과 그 반대쪽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타측의 결합보스(338)가 메인샤시(10)의 후방 일측에 설치되는 샤프트브라켓트(80)와 결합되어 메인샤시(10)의 중심쪽으로 회동가능하게 된다.
상기 픽업베이스(330)의 일측 상부에 설치되는 회동링크(331)는 중앙부를 중심으로 양측이 절곡된 형태로, 그 일측에 픽업베이스(330)에 결합되는 회동중심(336)이 마련되고, 타측에 픽업 콘트롤플레이트(70)의 접속공(73)에 결합되는 접속핀(332)이 마련된다. 그리고, 픽업베이스(330)의 상면과 회동링크(331)의 사이에는 진동 흡수를 위한 판스프링(337)이 설치되며, 픽업베이스(330)의 전방 일측에는 후술할 로딩 모터 스윙아암(210)과 대응되는 타격면(339)이 마련된다.
한편 도 14 및 도 15와 같이 메인샤시(10)의 후방 일측에 설치되는 모터브라켓트(170)에는 로딩모터(910)가 내장되는 스윙아암(210)이 좌우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스윙아암(210)은 그 일측과 모터브라켓트(170)의 일측 사이에 설치되는 스프링(770)을 통해 탄성지지된다.
이 스프링(770)의 탄성력을 극복하는 외력이 가해지지 않는 상태에서 로딩모터(910)의 회전축에 결합되는 구동기어(911)는 스윙아암(210)의 내부 일측에 설치되는 연결기어(211)와 모터브라켓트(170)에 설치되는 연결기어(171)를 거쳐 메인샤시(10)의 일측 하부에 설치되는 링크샤프트(700)의 일단부에 설치되는 연결기어(701)와 접속되며, 픽업베이스(330)의 타격면(339)에 의해 스윙아암(210)이 일측으로 회전하게 되면 스윙아암(210)의 내부 일측의 연결기어(211)는 모터브라켓트(170)의 연결기어(171)와 분리되고 로딩모터(910)의 구동기어(911)는 스윙아암(210)의 내부 타측에 설치된 연결기어(212)(213)를 거쳐 픽업이송기어(335a)에 접속된다.
한편 메인샤시(10)의 일측 하부에 설치되는 링크샤프트(700)는 그의 선단에 설치되는 연결기어(702)와 메인샤시(10)에 설치되는 연결기어(703)를 통해 메인샤시(10)의 전방 하부에 설치되는 로울러아암(220)에 관통 설치되는 링크샤프트(710)와 연결된다. 로울러아암(220)의 링크샤프트(710)는 그의 양단에 연결기어(711)가 설치되고, 일단부의 연결기어(711)는 메인샤시 일측 하부의 링크샤프트(700)와 접속되며, 각 연결기어(711)는 도 14 및 도 17과 같이 로울러아암(220)의 양측에 지지되는 연결기어(221)를 통해 로울러아암(220)의 상부 양측에 설치된 한 쌍의 로딩로울러(590)의 외측에 설치된 로울러기어(591)에 접속된다. 로울러아암(220)은 상부 양측에 로딩로울러(590)가 설치되고, 상부 중앙에 결여공간부(222)가 마련된다.
메인샤시(10)의 전방 상부에는 샤시브라켓트(30)가 설치되고, 그의 하부 양측에는 디스크가이드(540)가 설치되며, 각 디스크가이드(540)의 상단에는 포토센서(541)가 설치되고, 각 디스크가이드(540)의 전방에는 셔터아암(560)이 상하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셔터아암(560)은 그의 일측 하부에 셔터편(561)이 돌출 형성되고, 타측 후방에 콘트롤캠(570)과 접속되는 접속돌기(562)가 형성되며, 그의 상단부와 디스크 가이드(540)의 사이에 설치되는 스프링(730)에 의해 탄성지지된다.
디스크가이드(540)의 외측에 전후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각 콘트롤캠(570)은 그 하단이 도 17 및 도 18과 같이 로딩로울러(590)의 상단에 접촉하게 되며, 도 19와 같이 그의 내측에 캠홈(571)이 형성된다.
한편 본 발명에 있어서 트레이모터(810), 셀렉트모터(890), 픽업모터(900), 로딩모터(910), 턴테이블모터(333)를 비롯한 전기제어수단은 별도의 제어회로에 접속됨은 물론이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컴팩트 디스크 플레이어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새로운 디스크를 특정 트레이(640)(650)에 수납하기 위해 디스크 수납스위치 중에 어느 하나를 선택하면 도 11 및 도 13에 나타낸 픽업모터(900)가 회전하게 된다.
픽업모터(900)가 회전하게 되면 그의 회전력이 전달되는 픽업 이송플레이트(110)(120)가 후방으로 이동되고, 각 픽업 이송플레이트(110)(120)의 지지장공(111)(121)에 접속핀(21)을 통해 결합된 픽업플레이트(20) 및 그의 접속핀(21)에 연결장공(343)이 결합된 트레이셀렉터(340)가 상승하게 된다.
픽업모터(900)의 회전 및 트레이셀렉터(340)의 상승은 수납하고자 하는 트레이(650)의 바로 아래 트레이(650)의 당김홈(652)에 트레이셀렉터(340)의 당김돌기(341)가 위치되면 정지된다.
트레이셀렉터(340)가 수납하고자 하는 트레이(650)의 직하부의 트레이(650)까지 상승한 후에는 도 8에서 도 10까지의 셀렉트모터(890)가 회전하게 된다.
도 20a의 최초상태에서 셀렉트모터(890)가 회전하게 되면 도 20b와 같이 셀렉트아암(140)이 시계 반대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며, 셀렉트아암(140)에 연결된 트레이 콘트롤플레이트(180)가 좌측으로 이동하게 되어 다단으로 된 트레이 콘트롤플레이트(180)의 가이드장공(182)에 접속핀(202)을 통해 결합된 트레이 셀렉트플레이트(20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일측이 트레이 콘트롤플레이트(180)에 결합된 트레이 셀렉트플레이트(20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그의 타측에 결합된 트레이 리세트플레이트(190)가 후방으로 당겨지게 되며, 이 트레이 리세트플레이트(190)의 일측면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가이드장공(193)에 승강돌기(344)가 결합된 트레이셀렉터(340)가 후방으로 이동하게 되므로 트레이셀렉터(340)의 당김돌기(341)에 당김홈(653)이 위치된 트레이(650)와 그 하부의 트레이(650)가 후방으로 당겨지게 되며, 후방으로 이동되는 각 트레이(650)는 그의 걸림돌기(654)가 트레이가이드(320)의 걸림홈(322)에 끼워지게 된다.
디스크를 수납하고자 하는 트레이(650)의 아래쪽의 트레이(650) 모두를 트레이가이드(320)에 지지한 후에는 도 1 및 도 6, 도 7의 트레이모터(810)가 회전하게 된다.
트레이모터(810)가 회전하게 되면 그의 회전력이 전달되는 각 트레이 이송플레이트(90)(100)가 후방으로 이동하게 되고, 각 트레이 이송플레이트(90)(100)의 지지장공(91)(101)에 돌출핀(642)을 통해 결합된 덮개트레이(640) 및 그의 걸림홈(643)에 걸림돌기(654)가 결합된 트레이(650) 모두가 상승하게 된다.
트레이모터(810)의 회전 및 덮개트레이(640)를 비롯한 각 트레이(650)의 상승은 덮개트레이(640)의 결합된 트레이(650) 중에 최하부의 트레이(650), 즉 디스크를 수납하고자 하는 트레이(650)가 로딩로울러(590) 상단의 디스크 투입위치와 수평을 이룰 때에 정지된다.
트레이모터(810)에 의하여 트레이(650)가 디스크 투입위치로 상승한 후에는 도 14에서 도 17도까지의 로딩모터(910)가 수회 회전하게 되며, 이러한 로딩모터(910)의 회전력은 메인샤시(10) 일측 하부의 링크샤프트(700) 및 로울러아암(220) 내하부의 링크샤프트(710)를 거쳐 각 로딩로울러(590)를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된다.
로딩로울러(590)가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로딩로울러(590)의 원심력에 의해 로딩로울러(590) 및 로울러아암(220) 전체가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며, 그에 따라 로딩로울러(590)의 상단에 접촉되는 콘트롤캠(570)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도 21b와 같이 콘트롤캠(570)의 캠홈(571)에 결합된 셔터아암(560)의 접속돌기(562)가 도 21a와 같이 전방 하부로 이동되므로 우측 셔터아암(560)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좌측 셔터아암(560)이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며, 그에 따라 각 셔터아암(560)의 셔터편(561)이 메인샤시(10)의 상부쪽으로 상승되면서도 17과 같이 로딩로울러(590) 상단부의 디스크 투입공간이 열리게 되므로 디스크를 투입시킬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이러한 디스크 수납준비과정이 제어회로에 의해 신속하게 이루어짐은 물론이다.
한편 디스크 선택스위치를 조작하여 디스크 수납준비가 마쳐진 후에 디스크를 로딩로울러(590)의 상단에 마련되는 투입공간으로 살짝 투입하게 되면 포토센서(541)가 디스크의 투입을 감지하게 된다. 포토센서(541)에 의해 디스크의 투입이 감지되면 도 14에서 도 17도까지의 로딩모터(910)가 회전하게 되며, 로딩모터(910)의 회전력은 메인샤시(10) 일측 하부의 링크샤프트(700) 및 로울러아암(220) 내하부의 링크샤프트(710)를 거쳐 각 로딩로울러(590)에 전달된다.
도 18의 최초위치에서 로딩로울러(59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디스크를 트레이(560)쪽으로 수납하는 과정에서는 로딩로울러(590)의 원심력에 의해 로딩로울러(590) 및 로울러아암(220) 전체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며, 그에 따라 로딩로울러(590)의 상단에 접촉되는 콘트롤캠(570)이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도 21a와 같이 콘트롤캠(570)의 캠홈(571)에 결합된 셔터아암(560)의 접속돌기(562)가 도 21b와 같이 후상부로 이동되므로 도 17을 기준으로 우측 셔터아암(560)이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좌측 셔터아암(560)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며, 그에 따라 각 셔터아암(560)의 셔터편(561)이 로딩로울러(590) 쪽으로 하강하면서 로딩로울러(590) 상단부의 디스크 투입공간을 밀폐하게 되어 다른 디스크를 투입시킬 수 없게 한다.
한편 각 로딩로울러(590)의 회전을 통해 디스크가 해당 트레이(650)에 안착하게 되면 로딩모터(910)의 구동은 정지되고, 트레이모터(810)가 디스크 로딩시와는 반대방향으로 회전하게 되어 덮개트레이(640) 및 그에 결합된 각 트레이(650)는 최초위치로 하강하게 된다.
상승되었던 각 트레이(640)(650)가 모두 원위치로 하강하게 되면 픽업모터(900)가 디스크로 로딩시와는 반대방향으로 회전하게 되어 픽업플레이트(20) 및 트레이셀렉터(340)가 최초위치로 하강하게 되고, 트레이셀렉터(340)의 당김돌기(341)는 최하부의 트레이(650)의 당김홈(653)에 위치하게 된다.
트레이셀렉터(340)가 원위치로 하강하게 되면 셀렉트모터(890)가 디스크 로딩시와는 반대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며, 그에 따라 트레이 리세트플레이트(190) 및 트레이셀렉터(340)가 전진하게 되므로 트레이셀렉터(340)의 당김돌기(341)가 최하부의 트레이(650)의 당김홈(653)을 전방으로 이동시키게 되어 후방으로 당겨졌던 모든 트레이(650)는 트레이가이드(320)로부터 이탈되어 덮개트레이(640)쪽으로 복귀하게 된다.
한편 각 트레이에 안착된 디스크 중에서 특정 디스크를 재생하기 위해 특정 디스크 재생스위치를 조작하게 되면 전술한 바와 같이 우선 픽업모터(900)가 회전하게 되어 픽업플레이트(20)와 트레이셀렉터(340)가 재생하고자 하는 디스크가 수납된 트레이(650)의 직하부의 트레이(650)까지 상승하게 되고, 셀렉트모터(890)가 회전하게 되어 트레이셀렉터(340)를 후방으로 당김으로써 재생하고자 하는 디스크가 수납된 트레이(650)의 아래쪽의 트레이(650) 모두를 트레이가이드(320)에 지지하게 되며, 트레이모터(810)가 회전하게 되어 덮개트레이(640) 및 그에 잔류한 모든 트레이(650)가 상승하게 된다.
트레이모터(810)의 회전을 통해 재생하고자 하는 디스크가 수납된 트레이(650)가 상승된 후에는 도 20b의 상태에서 다시 셀렉터모터(890)가 트레이셀렉터(340)를 당길 때와 같은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며, 그에 따라 셀렉트아암(140)이 좀더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트레이 콘트롤플레이트(180)가 좀더 좌측으로 이동된다.
트레이 콘트롤플레이트(180)가 도 20c와 같이 좀더 좌측으로 이동하게 되면 트레이콘트롤플레이트(180) 일측 후방의 돌출편(183)에 결합돌기(72)를 통해 결합된 픽업 콘트롤플레이트(70)가 트레이 콘트롤플레이트(180)와 함께 좌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도 22a에서 픽업콘트롤플레이트(70)가 좌측으로 이동하게 되면 도 22b와 같이 그의 상면 일측에 마련된 접속공(73)에 결합된 회동링크(331)의 접속핀(332)이 좌측으로 당겨지게 되므로 픽업베이스(330)가 결합보스(338)를 중심으로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하게 되어 턴테이블(334)이 재생하고자 하는 디스크의 정중앙 하부에 위치하게 된다.
또한 픽업베이스(330)가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도 15 및 도 22b, 도 23과 같이 픽업베이스(330)의 일측에 위치하는 픽업이송기어(335a)가 스윙아암(210)의 내부에 위치하는 연결기어(213)(212)에 접속되어 로딩모터(910)의 구동기어(911)에 접속되며, 픽업베이스(330)의 일측에 마련된 타격면(339)이 로딩모터(910)를 지지하는 스윙아암(210)의 일측면을 밀게 되고, 그에 따라 스윙아암(210)이 시계반대방향으로 약간 회전하게 되어 로딩기어(910)의 일측에 접속된 연결기어(211)가 모터브라켓트(170)의 연결기어(171)와 분리되므로 링크샤프트(700)(710)에 의한 로딩로울러(590)로의 로딩모터(910)의 구동력 전달은 차단된다.
한편 픽업베이스(330)의 턴테이블(334)이 디스크의 하부에 위치된 후에는 트레이모터(810)가 다시 회전하게 되어 덮개트레이(640) 및 그에 지지되고 있는 각 트레이(650)가 다시 하강하게 되며, 이 때 트레이모터(890)의 회전 및 트레이(640)(650)의 하강은 덮개트레이(640)의 최하부에 위치하는 트레이(650)의 재생예정 디스크가 턴테이블(334)에 삽입되고 그 상부에 약간의 압력이 가해질 때까지 진행된다.
재생예정 디스크에 턴테이블(334)이 삽입된 후에는 턴테이블모터(333)가 구동되어 턴테이블(334)을 수회 회전시킴으로써 디스크를 척킹하게 된다. 턴테이블(334)에 디스크가 척킹된 후에는 다시 셀렉트모터(890)가 회전하게 되며, 그에 따라 도 20d와 같이 셀렉트아암(140)이 시계반대방향으로 좀더 회전하게 되고, 트레이 콘트롤플레이트(180) 및 픽업 콘트롤플레이트(70)가 좌측으로 좀더 이동하게 된다.
픽업 콘트롤플레이트(70)가 좌측으로 좀더 이동하게 되면 픽업 콘트롤플레이트(70)의 전방에 형성된 다단의 접속장공(71)에 결합된 일측 디스크 릴리스아암(60)의 접속핀(63)이 후방으로 단차 이동하게 되며, 그에 따라 도 24a를 기준으로 좌측 디스크 릴리스아암(60)의 타격편(62)은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하면서 트레이(650)의 좌측 디스크 홀더아암(660)의 타격돌기(662)를 밀게 되고, 우측 디스크 릴리스아암(50)의 타격편(52)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트레이(650)의 우측 디스크 홀더아암(660)의 타격돌기(662)를 밀게 된다.
따라서 좌측 디스크 홀더아암(660)은 시계방향으로, 우측 디스크 홀더아암(660)은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하게 되어 도 24a와 같이 디스크(1)의 내측 하부에 위치하던 양 디스크 홀더아암(660)의 받침편(663)은 도 24b와 같이 디스크(1)의 외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디스크(1)가 트레이(650)의 디스크 홀더아암(660)으로부터 자유롭게 되면 다시 트레이모터(810)가 작동하여 덮개트레이(640) 및 그에 지지되는 모든 트레이(650)를 상승시키게 되며, 이와 같이 재생준비가 완료되면 턴테이블모터(333)와 로딩모터(910)가 동시에 작동하여 턴테이블(334)에 척킹된 디스크(1)를 회전시키는 동시에 픽업(335)을 디스크(1)의 중심쪽과 바깥쪽 사이로 왕복 이동시키면서 디스크(1)를 재생하게 된다.
디스크(1)의 재생상태에서는 도 20a에서와 같이 메인샤시(10)의 외측으로 각각 돌출되어 록크편(282)(302)이 메인샤시(10)의 양측에 설치되는 댐퍼브라켓트(260)(270)에 고정되어 있던 양 록크플레이트(280)(300)가 셀렉트아암(140)의 시계반대방향으로의 꾸준한 회전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는 링크아암(290)의 시계방향으로의 회전에 의해 도 20d와 같이 각각 메인샤시(10)의 내측으로 이동하게 되어 픽업베이스(330) 등의 상하유동이 자유롭게 된다.
한편 재생중인 디스크(1)의 재생을 정지시키기 위해 정지스위치를 조작하게 되면 우선 턴테이블모터(333)와 로딩모터(910)가 정지하게 되고, 트레이모터(810)가 회전하여 덮개트레이(640)와 그에 지지되는 트레이(650)를 하강시키게 된다.
이 때 트레이모터(890)의 회전 및 트레이(640)(650)의 하강은 덮개트레이(640)의 최하부에 위치하는 트레이(650)의 내부 상부면이 턴테이블(334)의 디스크 척킹부위를 약간 가압할 때까지 진행된다.
트레이(650)가 하강된 후에는 다시 턴테이블모터(333)를 척킹시와 반대방향으로 수회 회전시킴으로써 디스크(1)의 척킹을 해제하게 된다.
디스크(1)의 척킹이 해제된 후에는 셀렉트모터(890)가 재생시와는 반대방향으로 약간 회전하게 되며, 그에 따라 도 20d의 셀렉트아암(140)이 시계방향으로 약간 회전하게 되고, 트레이 콘트롤플레이트(180) 및 픽업 콘트롤플레이트(70)가 우측으로 약간 이동하게 되어 일측 디스크 릴리스아암(60)의 접속핀(63)이 전방으로 단차 이동하게 되므로 스프링(780)을 통해 탄성지지되는 양 디스크 홀더아암(660)의 받침편(663)은 도 24a와 같이 디스크(1)의 내측 하부로 이동하게 된다.
디스크(1)가 다시 트레이(650)에 지지되면 트레이모터(810)가 작동되어 트레이(650)를 약간 상승시키게 되며, 디스크(1)를 턴테이블(334)으로부터 완전 분리한 후에 셀렉트모터(890)가 재생동작시와 반대방향으로 회전하게 되어 셀렉트아암(140)을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고, 트레이 콘트롤플레이트(180)를 우측으로 이동시키게 되며, 그에 따라 픽업베이스(33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도 22a 상태로 복귀하게 된다.
픽업베이스(330)가 복귀한 후에는 다시 트레이모터(810)가 작동되어 덮개트레이(640) 및 그에 지지된 트레이(650)를 최초위치로 하강시키게 되며, 각 트레이(640)(650)가 모두 원위치로 하강하게 되면 픽업모터(900)가 디스크 재생시와는 반대방향으로 회전하게 되어 픽업플레이트(20) 및 트레이셀렉터(340)가 최초위치로 하강하게 된다.
트레이셀렉터(340)가 원위치로 하강하게 되면 다시 셀렉트모터(890)가 디스크 재생시와는 반대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며, 그에 따라 트레이 리세트플레이트(190) 및 트레이셀렉터(340)가 전진하게 되므로 트레이셀렉터(340)의 당김돌기(341)가 최하부의 트레이(650)의 당김홈(653)을 전방으로 이동시키게 되어 후방으로 당겨졌던 모든 트레이(650)는 트레이가이드(320)로부터 이탈되어 덮개트레이(640)쪽으로 복귀하게 된다.
디스크(1)의 정지상태에서는 도 20d와 같이 메인샤시(10)의 내측으로 위치되던 양 록크플레이트(280)(300)의 록크편(282)(302)이 메인샤시(10)의 외측의 댐퍼브라켓트에 고정되어 픽업베이스(330) 등의 상하유동을 제한하게 된다.
마지막으로 메인샤시(10) 내부의 각 트레이(640)(650)에 수납되어 있는 디스크(1)를 메인샤시(10)의 외부로 인출하기 위해 인출하고자 하는 특정 디스크의 인출스위치를 선택하게 되면 디스크 로딩시와 마찬가지로 우선 픽업모터(900)가 회전하게 되어 트레이셀렉터(340)를 인출하고자 하는 트레이(650)의 바로 아래 트레이(650)의 당김홈(652)에 트레이셀렉터(340)의 당김돌기(341)가 위치될 때까지 상승시키게 된다.
트레이셀렉터(340)가 인출하고자 하는 트레이(650)의 직하부의 트레이(650)까지 상승된 후에는 셀렉트모터(890)가 회전하게 되어 인출하고자 하는 디스크가 수납된 트레이(650)의 아래쪽의 트레이(650) 모두를 트레이가이드(320)에 지지하게 된다.
그리고 트레이모터(810)가 회전하게 되어 인출하고자 하는 디스크가 수납된 트레이(650)를 로딩로울러(590) 상단의 디스크 인출위치와 수평을 이룰 때까지 상승시키게 된다.
그 후에는 로딩모터(910)가 디스크 로딩시와는 반대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그에 따라 각 링크샤프트(700)(710) 등을 거쳐 로딩모터(910)의 회전력이 전달되는 각 로딩로울러(590)에 의해 디스크(1)가 메인샤시(10)의 외부로 인출된다.
이와 같은 디스크 인출시에는 로딩로울러(590)의 원심력에 의해 로딩로울러(590) 및 로울러아암(220) 전체가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하게 되어 로딩로울러(590)의 상단에 접촉되는 콘트롤캠(570)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므로 각 셔터아암(560)의 셔터편(561)이 메인샤시(10)의 상부쪽으로 회전하면서 로딩로울러(590) 상단부의 디스크 인출공간을 열게 된다.
한편 디스크의 인출이 완료되면 덮개트레이(640) 및 그에 결합된 각 트레이(650)는 최초위치로 하강하게 됨은 물론이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발명에 있어서는 우선 새로운 디스크를 수납하거나 기존 디스크를 인출하기 위해 카드리지형 디스크매거진을 장착한 종래의 디스크플레이어처럼 메인샤시로부터 디스크매거진을 인출할 필요없이 새로운 디스크를 곧바로 메인샤시 내부의 트레이에 수납하거나 트레이로부터 기존 디스크를 인출할 수 있게 되므로 디스크의 수납 및 교환작업이 극히 간편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는 한 쌍의 로딩로울러(590)의 사이에 결여공간부(222)를 마련한 구조로 하나의 로딩로울러를 사용하는 종래의 디스크플레이어보다 디스크의 전후방향의 이동공간을 줄일 수 있게 되어 디스크플레이어의 콤팩트화를 도모할 수 있게 될 뿐 아니라 로딩로울러(590)의 회전방향에 따라 작동하는 셔터아암(560)을 통해 디스크의 로딩시를 제외한 모든 상황에서 디스크를 메인샤시(10) 내부의 트레이(640)(650)에 수납할 수 없도록 하기 때문에 디스크의 오삽입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본 발명에 의하면 로딩모터(910)를 로딩기구 및 픽업이송기구에 선택적으로 연결하여 디스크의 로딩/언로딩은 물론 픽업(335)의 이송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 때문에 부품의 절감과 구조의 단순화를 도모할 수 있게 되어 부품비용, 조립비용 등의 제작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되며, 픽업베이스(330)와 회동링크(331)의 사이에 판스프링(337)을 설치하여 픽업베이스(330)의 회전동작시에 진동을 흡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픽업베이스(330)를 안정적으로 동작시킬 수 있게 되는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Claims (9)

  1. 메인샤시(10)의 내부에 디스크의 수납공간이 마련되고, 디스크 승강수단과 메인샤시의 일측으로부터 중심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픽업베이스(330)를 통하여 디스크 수납공간에 수납된 다수매의 디스크(1) 중에 특정 디스크를 선택하여 재생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메인샤시(10)의 디스크 수납공간에 디스크가 수납되는 덮개트레이(640) 및 그의 내하부에 중첩지지되는 다수매의 트레이(650)를 설치하고, 메인샤시(10)의 내부 양측에 덮개트레이(640)를 제외한 나머지 트레이(650)를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트레이가이드(320)를 설치하며, 메인샤시(10)의 양측면 외측에 트레이 이송플레이트(90)(100)를 설치하여 트레이 이송플레이트(100)와 접속되는 트레이모터(810)를 통해 각 트레이(640)(650)를 승강시킬 수 있도록 하는 컴팩트디스크플레이어에 있어서, 상기 덮개트레이(640)는 내부 양측 전후방에 다수의 걸림홈(643)이 형성되며, 덮개트레이(640)를 제외한 나머지 트레이(650)는 그의 양측단 전방과 후방에 덮개트레이(640)의 걸림홈(643)에 삽입 결합되는 걸림돌기(654)가 돌출 형성되고 후단 일측에 걸림단턱(651)이 마련된 당김편(652)과 당김홈(653)이 형성되어 상부의 트레이(650)를 후방으로 당길 때는 그 하부의 모든 트레이(650)가 함께 당겨져 트레이가이드(320)에 지지되고, 최하부의 트레이(650)를 전방으로 밀 때는 그 상부의 모든 트레이(650)가 전방으로 이동되어 덮개트레이(640)에 지지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컴팩트디스크플레이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메인샤시(10)의 전방 양측에 로딩모터(910)와 접속되는 한 쌍의 로딩로울러(590)를 설치하고, 양 로딩로울러(590)의 사이에 결여공간부(222)를 형성하여 메인샤시(10) 내부로의 디스크의 로딩/언로딩시에 디스크 이동공간을 축소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컴팩트디스크플레이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메인샤시(10)의 전방 하부에 로딩로울러(590)를 지지하는 로울러아암(220)을 전후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하고, 메인샤시(10)의 전방 상부에 설치되는 샤시브라켓트(30)의 하부 양측에 디스크가이드(540)를 설치하며, 각 디스크가이드(540)의 전방에 셔터아암(560)을 상하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하는 한편 각 디스크가이드(540)의 외측에 하단이 로딩로울러(590)의 상단에 접촉되는 콘트롤캠(570)을 전후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하는 동시에 각 콘트롤캠(570)과 각 셔터아암(560)을 접속하여 로딩로울러(590)의 회전방향에 따라 회전하는 로울러아암(220) 및 콘트롤캠(570)을 통해 셔터아암(560)을 회전시켜 로딩로울러(590) 상단의 디스크 투입공간을 개폐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컴팩트디스크플레이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메인샤시(10)의 후방 일측에 설치되는 모터브라켓트(170)에 로딩모터(910)가 내장되는 스윙아암(210)을 스프링(770)으로 탄성지지하여 좌우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하는 한편, 스윙아암(210)의 내부 일측과 타측에 각각 로딩모터(910)와 접속되는 연결기어(211)(212)를 설치하고, 픽업베이스(330)의 일측면에 스윙아암(210)의 일측면과 대응되는 타격면(339)을 마련하여 스프링(770)의 탄성력을 극복하는 외력이 가해지지 않는 상태에서 로딩모터(910)가 스윙아암(210)의 내부 일측의 연결기어(211)를 통해 디스크 로딩/언로딩 기구와 접속되도록 하고, 픽업베이스(330)의 타격면(339)에 의해 스윙아암(210)이 일측으로 회전한 상태에서 로딩모터(910)의 구동기어(911)가 스윙아암(210)의 내부 타측의 연결기어(212)를 거쳐 픽업이송기구와 접속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컴팩트디스크플레이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픽업베이스(330)의 상부면과 픽업베이스(330)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회동링크(331)의 사이에 판스프링(337)을 설치하여 픽업베이스(330)의 회전동작시에 진동을 흡수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컴팩트디스크플레이어.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메인샤시(10)의 일측에 설치한 셀렉트모터(890)를 메인샤시(10)의 상부면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셀렉트아암(140)과 접속하고, 이 셀렉트아암(140)을 메인샤시(10)의 하부면 후방에 좌우방향으로 이송가능하게 설치되는 트레이 콘트롤플레이트(180)에 접속하는 한편, 이 트레이 콘트롤플레이트(180)를 메인샤시(10) 후방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트레이 셀렉트플레이트(200)를 통해 메인샤시(10)의 상부면 후방 일측에 전후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트레이 리세트플레이트(190)와 접속하고, 이 트레이 리세트플레이트(190)에 메인샤시(10)의 후방 일측에 설치되는 트레이셀렉터(340)와 접속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컴팩트디스크플레이어.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한 메인샤시(10)의 양측 후방에 픽업모터(900)와 접속되는 픽업 이송플레이트(110)(120)를 각각 전후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하고, 픽업 이송플레이트(110)(120)를 메인샤시(10)의 후방 상부에 상하방향으로 승강가능하게 설치되는 픽업플레이트(20)와 접속하는 한편, 픽업플레이트(20)에 픽업 콘트롤플레이트(70)를 좌우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고, 픽업 콘트롤플레이트(70)의 일측에 픽업베이스(330)를 좌우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하며, 트레이 콘트롤플레이트(18)에 픽업 콘트롤플레이트(70)를 접속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컴팩트디스크플레이어.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한 셀렉트아암(140)의 일측에 메인샤시(10)에 좌우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링크아암(290)을 접속하고, 링크아암(290)의 양측에 록크플레이트(280)(300)를 좌우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컴팩트디스크플레이어.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한 픽업플레이트(20)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한 쌍의 트레이 릴리스아암(50)(60)을 픽업 콘트롤플레이트(70)에 접속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컴팩트디스크플레이어.
KR1019980017002A 1998-05-12 1998-05-12 자동차용컴팩트디스크플레이어 Expired - Fee Related KR1002787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17002A KR100278763B1 (ko) 1998-05-12 1998-05-12 자동차용컴팩트디스크플레이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17002A KR100278763B1 (ko) 1998-05-12 1998-05-12 자동차용컴팩트디스크플레이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84933A KR19990084933A (ko) 1999-12-06
KR100278763B1 true KR100278763B1 (ko) 2001-01-15

Family

ID=658922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17002A Expired - Fee Related KR100278763B1 (ko) 1998-05-12 1998-05-12 자동차용컴팩트디스크플레이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78763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31526A (ja) * 1993-01-29 1994-08-19 Victor Co Of Japan Ltd ディスク自動演奏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31526A (ja) * 1993-01-29 1994-08-19 Victor Co Of Japan Ltd ディスク自動演奏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84933A (ko) 1999-1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51251B1 (ko) 디스크형 기록 매체용 신호 기록 및 재생장치
US5621708A (en) Disk player equipped with disk changer
KR100278763B1 (ko) 자동차용컴팩트디스크플레이어
JPH10162478A (ja) ディスクローディング装置
JP4352292B2 (ja) ディスクの記録及び/又は再生装置の製造方法
JPH03222141A (ja) テーププレーヤのカセットオートチェンジ装置
JP4099565B2 (ja) ディスクの記録及び/又は再生装置
JP5158329B2 (ja) ディスク装置
JP2001101754A (ja) ディスクの記録及び/又は再生装置
JP4284833B2 (ja) ディスクの記録及び/又は再生装置
US5673244A (en) Disk loading and magnetic head lifting mechanism using a single power source for a minidisk player
JP4003357B2 (ja) ディスクの記録及び/又は再生装置
JP3552533B2 (ja) スライダ駆動切換え機構
JP3975624B2 (ja) ディスクの記録及び/又は再生装置
JPH06195849A (ja) マルチディスクプレーヤ
JP4221529B2 (ja) ディスクの記録及び/又は再生装置
JP2531641Y2 (ja) マルチディスクプレーヤのディスク取出し位置記憶装置
JPH04111081U (ja) マガジン収納式デイスクプレーヤ
JP2001101762A (ja) ディスクの記録及び/又は再生装置
JP4003358B2 (ja) ディスクの記録及び/又は再生装置
JP3945091B2 (ja) ディスク保持装置とディスクの記録及び/又は再生装置
JP3978954B2 (ja) ディスクの記録及び/又は再生装置
KR0125218Y1 (ko) 콤팩트디스크 플레이어의 콤팩트디스크 로딩장치
KR950010967B1 (ko) 콤팩트 디스크 오토체인저 플레이어
JPH10112155A (ja) ディスクチェンジャ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80512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80512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004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00927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0102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0102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3100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921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092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