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277949B1 - 인버터 전압/주파수 추종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인버터 전압/주파수 추종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77949B1
KR100277949B1 KR1019930022339A KR930022339A KR100277949B1 KR 100277949 B1 KR100277949 B1 KR 100277949B1 KR 1019930022339 A KR1019930022339 A KR 1019930022339A KR 930022339 A KR930022339 A KR 930022339A KR 100277949 B1 KR100277949 B1 KR 1002779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ad
current
pattern
control method
tracking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223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13003A (ko
Inventor
신우석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10199300223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77949B1/ko
Publication of KR9500130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130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779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77949B1/ko

Links

Landscapes

  • Control Of Ac Motor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버터 전압/주파수 추종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속도센서없이 전류신호에 의해 부하상태를 감지하고 V/f패턴을 최적으로 출력하여 전동기의 효율과 역률을 개선시키기 위해 인버터에 의한 유도전동기 구동시 부하의 상태를 감지하여 마이크로 컴퓨터에 의해 최적 전압/주파수패턴을 제어하는 인버터 전압/주파수 추종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컴퓨터가, 실행신호에 의해 100%부하에 맞는 V/f1패턴을 출력하고 일정시간 지난 후, 피드백된 전류가 안정되었을때 기존에 설정되어 있는 부하레벨과 비교하여 부하1보다 크면 상기 피드백된 전류가 과여자에 의한 전류인지 실부하에 의한 전류인지를 판단하기 위해 레지스터에 상기 전류값을 저장한 다음, 기준신호보다 10%낮은 신호를 내보내고 일정시간 지난 후, 현재의 부하전류값과 상기 레지스터에 저장된 전류값을 비교하여 출력할 V/f패턴을 결정하는 기능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버터 전압/주파수 추종제어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인버터 전압/주파수 추종제어방법
제1도는 종래의 인버터 구동시스템 구성도,
제2도는 종래의 인버터 구동시스템의 전압/주파수 출력 알고리즘을 나타낸 도면,
제3도는 전압/주파수 제어 개념도,
제4도는 유도전동기 등가회로도,
제5도는 전압변화에 따른 유도전동기 부하특성도,
제6도는 본 발명의 인버터 전압/주파수 제어에 있어서의 부하상태 판단루프을 나타낸 도면,
제7도는 인버터 구동시 기준신호에 대한 전류응답을 나타낸 도면.
본 발명은 인버터 전압/주파수 추종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속도센서없이 전류신호에 의해 부하상태를 감지하고 전압/주파수(V/f)패턴을 최적으로 출력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인버터 구동시스템은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되며, 각종 명령을 마이크로 컴퓨터(1)가 받아들이고 3상 기준신호를 인버터(2)로 출력하면 이 신호에 의해 주파수와 전압을 제어한다.
유도전동기(4)에서 토크는 T=K(V/f1)2·f2이므로 전압과 1차 주파수(f1)를 제어함으로써 속도와 토크를 제어할 수 있게 된다.
종래의 V/f(전압/주파수)출력 알고리즘은 제2도와 같다.
즉, 각종 입력신호가 입력되고 실행(run)신호가 떨어지면 주파수에 따라 V/f패턴에 의한 전압량이 결정되고 주파수를 출력하기 위한 타이머 인터럽트량이 결정되며 이것에 의해 3상 V/f기준신호가 출력되어 유도전동기를 제어하게 된다.
상술한 종래기술에 있어서는 유도전동기의 특성을 좌우하는 V/f패턴이 100%부하시에 맞추어져 단일패턴으로 구동함으로써 부하가 100%가 아닌 경우에는 효율과 역률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또한 기존에 사용된 전류센서는 단순히 어떤 전류 이상이 몇분동안 계속 흐를때 전동기의 소손을 방지하기 위해 인버터를 차단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되며 또한 부하에 따라 V/f패턴을 제어하기 위해 부하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속도센서를 부착해야 하기 때문에 가격상승과 함께 부가회로 추가가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속도센서없이 전류신호에 의해 부하상태를 감지하고 V/f패턴을 최적으로 출력하여 전동기의 효율과 역률을 개선시키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인버터 전압/주파수 추종제어방법은 인버터에 의한 유도전동기 구동시 부하의 상태를 감지하여 마이크로 컴퓨터에 의해 최적 전압/주파수패턴을 제어하는 인버터 전압/주파수 추종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컴퓨터가 실행신호에 의해 100%부하에 맞는 V/f1패턴을 출력하고 일정시간 지난 후, 피드백된 전류가 안정되면 기존에 설정되어 있는 부하레벨과 비교하여 부하1보다 크면 상기 피드백된 전류가 과여자에 의한 전류인지 실부하에 의한 전류인지를 판단하기 위해 레지스터에 상기 전류값을 저장한 다음, 10% 낮은 기준신호를 내보내고 나서 일정시간 지난 후, 현재의 부하전류값과 상기 레지스터에 저장된 전류값을 비교하여 출력할 V/f패턴을 결정하는 기능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제3도에 종래의 V/f제어와 본 발명의 V/f제어의 개념도를 비교하여 나타내었다.
종래의 V/f제어의 개념도는 제3도 (a)에 도시된 바와 같으며, 본 발명의 V/f제어 개념도는 제3도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류센서에 의해 부하판단 루프(loop)를 거쳐 부하상태를 감지하고 그에 따른 최적 V/f패턴을 출력한다.
즉, 유도전동기 등가회로는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으며, 1차 전류(I1)는 E/f1에 비례하므로 부하에 따라 효율과 역률이 좋은 지점에서 유도전동기를 구동하도록 V/f패턴을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전류센서에서 감지한 전류는 유도전동기 특성상 전압변화에 따른 유도전동기의 부하특성을 도시한 제5도의 Q점에서는 과여자에 의한 전류인지 실부하에 의한 전류인지를 판단하기가 어렵다. 따라서 제6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하상태 판단 루프를 실행함으로써 부하에 맞는 최적 V/f패턴으로 전동기를 구동시킨다.
즉, 각종 명령과 함께 실행(run)신호가 떨어지면 초기에는 기동력을 주기 위해 100%부하에 맞는 V/f1패턴을 출력하고 1초 기다린 후에 피드백되는 전류가 안정되면 기존에 설정되어 있는 부하레벨과 비교하여 부하1보다 크면 이것이 과여자에 의한 전류인지 실부하에 의한 전류인지를 판단하기 위해 일단 레지스터에 이 값을 저장하고, 10% 낮은 기준신호를 내보내고 나서 잠시 기다린 후에 현재의 부하전류와 레지스터값을 비교하여 출력할 V/f패턴을 결정한다.
이때의 기준신호에 대한 전류응답은 제7도에 도시한 바와 같으며, 동일한 기준신호에 의해 과여자된 경우는 (a)와 같이 전류가 떨어지고 실부하인 경우는 (b)와 같이 반대현상을 보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부하판단 루프에 의해 부하상태가 확인되고 그 부하상태에 맞는 최적 V/f패턴을 출력함으로써 효율과 역률을 현저하게 개선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부하에 따라 유도전동기의 특성을 좌우하는 V/f패턴을 제어함으로써 효율과 역률을 현저히 개선시킴에 따라 에너지 절약 효과와 함께 부하상태 감지를 위한 속도센서 부착이 불필요하게 되므로 가격절감 효과를 가져오게 된다.

Claims (1)

  1. 인버터에 의한 유도전동기 구동시 부하의 상태를 감지하여 마이크로 컴퓨터에 의해 최적 전압/주파수패턴을 제어하는 인버터 전압/주파수 추종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컴퓨터가,
    실행신호에 의해 100%부하에 맞는 V/f1패턴을 출력하고 일정시간 지난 후, 피드백된 전류가 안정되었을때 기존에 설정되어 있는 부하레벨과 비교하여 부하1보다 크면 상기 피드백된 전류가 과여자에 의한 전류인지 실부하에 의한 전류인지를 판단하기 위해 레지스터에 상기 전류값을 저장한 다음, 기준신호보다 10%낮은 신호를 내보내고 일정시간 지난 후, 현재의 부하전류값과 상기 레지스터에 저장된 전류값을 비교하여 출력할 V/f패턴을 결정하는 기능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버터 전압/주파수 추종제어방법.
KR1019930022339A 1993-10-26 1993-10-26 인버터 전압/주파수 추종제어방법 KR1002779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22339A KR100277949B1 (ko) 1993-10-26 1993-10-26 인버터 전압/주파수 추종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22339A KR100277949B1 (ko) 1993-10-26 1993-10-26 인버터 전압/주파수 추종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3003A KR950013003A (ko) 1995-05-17
KR100277949B1 true KR100277949B1 (ko) 2001-01-15

Family

ID=668247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22339A KR100277949B1 (ko) 1993-10-26 1993-10-26 인버터 전압/주파수 추종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7794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5537B1 (ko) * 1999-07-20 2006-07-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역률제어 장치 및 방법
KR100737866B1 (ko) 2003-03-14 2007-07-12 무라타 기카이 가부시키가이샤 섬유기계에 있어서의 모터의 제어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4135B1 (ko) * 1997-07-15 2004-07-16 엘지산전 주식회사 인버터 시스템의 속도 추종 방법
KR100434137B1 (ko) * 1998-01-31 2004-08-31 엘지산전 주식회사 인버터 시스템의 속도추종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5537B1 (ko) * 1999-07-20 2006-07-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역률제어 장치 및 방법
KR100737866B1 (ko) 2003-03-14 2007-07-12 무라타 기카이 가부시키가이샤 섬유기계에 있어서의 모터의 제어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3003A (ko) 1995-05-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96789A (en) Apparatus for controlling brushless motors in response to switching transistor temperature
US4853605A (en) Load state detecting apparatus of an induction motor for controlling the spin dryer of a washing machine
US5010287A (en) Induction motor control system
KR920017326A (ko) 무 정류자 전동기의 구동 제어장치
KR870010679A (ko) Pwm 인버어터의 제어 시스템
US4986092A (en) Speed control for inverter driven washing machine
KR100277949B1 (ko) 인버터 전압/주파수 추종제어방법
EP0383949A4 (en) Current limiting system for a voltage-type inverter
EP0335599B1 (en) Inverter speed control unit
JP2886322B2 (ja) 電動機制御装置
KR19980026998A (ko) 부하 보정에 의한 아이들 조정장치 및 그 방법
JPH02133094A (ja) 誘導電動機の電力制御方法およびその方法に用いる誘導電動機の電力制御装置
JPH07267525A (ja) エレベータ用インバータ装置
JP4146570B2 (ja) 交流モータ駆動制御装置
KR0176818B1 (ko) 인버터 구동기기의 안정화회로
JP3097709B2 (ja) インバータの制御装置
KR970009437B1 (ko) 세탁기의 모터구속감지회로
EP0304775A1 (en) Circulation pump with an integrated flow control device
SU1718358A2 (ru) Система управлени возбуждением двигател посто нного тока
JPH06245576A (ja) インバータ装置
KR100375267B1 (ko) 위상지연을보상하기위한브러시리스직류전동기의제어장치
JPH0357717B2 (ko)
JPH0526109B2 (ko)
JPH01318587A (ja) 電力制御器用動作加速回路
KR930011133B1 (ko) 충전기의 충전 온/오프 제어방법 및 회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31026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80918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19931026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0082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0101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0101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3031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092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092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0919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927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926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926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009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