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277044B1 - Color access method for highlighting OSD - Google Patents

Color access method for highlighting OS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77044B1
KR100277044B1 KR1019980014469A KR19980014469A KR100277044B1 KR 100277044 B1 KR100277044 B1 KR 100277044B1 KR 1019980014469 A KR1019980014469 A KR 1019980014469A KR 19980014469 A KR19980014469 A KR 19980014469A KR 100277044 B1 KR100277044 B1 KR 1002770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or
osd
highlight
lookup table
access method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1446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9990080894A (en
Inventor
배성옥
이경윤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10199800144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77044B1/en
Priority to DE19918046A priority patent/DE19918046B4/en
Priority to US09/296,528 priority patent/US6462746B1/en
Priority to GB9909470A priority patent/GB2336748B/en
Publication of KR199900808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8089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770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77044B1/en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Landscapes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지탈 티브이(DTV), 디지탈 브이씨알(DVCR) 등의 디지탈 영상표시기기에 있어서, 화면상에 표시되는 OSD의 원하는 부분의 색깔을 변경시켜 그 부분을 하이라이트(high light)시키도록 함에 있어, 변경되는 색을 액세스(access)할 수 있도록 하는 오에스디(OSD)의 하이라이트 처리를 위한 칼러 액세스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change the color of the desired portion of the OSD displayed on the screen in the digital image display device, such as digital TV (DTV), digital VCR (DVCR) to highlight the portion (high ligh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lor access method for highlight processing of an OSD that allows access to a changed color.

종래 하이라이트 칼러 액세스 방법은 추가로 하이라이트용 칼러 룩업 테이블을 하드웨어에 구성하여야 하므로써, 하드웨어의 부담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다.The conventional highlight color access method has a problem in that the burden on the hardware is increased by additionally configuring the highlight color lookup table in hardware.

본 발명에서는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하이라이트를 요구하는 부분에 대한 비트맵 영역으로 부터 얻어지는 데이타중 최상위 비트(MSB)만 반전시켜 주므로써, 칼러 룩업 테이블의 어드레스를 변경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하여 추가로 하이라이트용 칼러 룩업 테이블을 구성하지 않고도 간단히 하이라이트를 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In order to solve the problem, the present invention inverts only the most significant bit (MSB) of the data obtained from the bitmap region for the portion requiring the highlight, so that the effect of changing the address of the color lookup table can be obtained. In addition, you can easily handle highlights without configuring a color lookup table for highlights.

Description

오에스디(OSD)의 하이라이트 처리를 위한 칼러 액세스 방법Color access method for highlight processing of OSD

본 발명은 디지탈 티브이(DTV), 디지탈 브이씨알(DVCR) 등의 디지탈 영상표시기기에 있어서, 화면상에 표시되는 OSD의 원하는 부분의 색깔을 변경시켜 그 부분을 하이라이트(high light)시키도록 함에 있어, 변경되는 색을 액세스(access)할 수 있도록 하는 오에스디(OSD)의 하이라이트 처리를 위한 칼러 액세스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change the color of the desired portion of the OSD displayed on the screen in the digital image display device, such as digital TV (DTV), digital VCR (DVCR) to highlight the portion (high ligh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lor access method for highlight processing of an OSD that allows access to a changed color.

일반적으로 OSD 기능은 티브에 표시되고 있는 영상위에 도형, 문자 등의 또다른 영상을 표시하여 줄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In general, the OSD function is to display another image such as figures and characters on the image displayed on the TV.

OSD는 이와 같은 메모리영역에 저장된 OSD 정보를 이용하여 기기 또는 사용자가 원하는 영상을 표시되고 있는 원영상위에 표시하여 주게 되는 바,The OSD displays the desired image of the device or the user on the original image by using the OSD information stored in the memory area.

도 1은 이와 같은 OSD 동작 기능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를 나타낸 것으로, 도 1에서와 같이, 호스트 프로세서(host processor)(1)로 부터 OSD 명령 제어신호(CMD;command)가 영상처리 IC(2)로 전달되면, 영상 처리 IC(2)에서는 영상신호복호기(2a)가 영상(Video)신호를 디코딩(decoding)하여 OSD 제어기(2b)로 주게 된다.FIG. 1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the configuration of an OSD operation function. As shown in FIG. 1, an OSD command control signal (CMD; 2), the image processing decoder 2a decodes a video signal to the OSD controller 2b.

OSD 제어기(2b)에서는 메모리(3)로 부터 OSD 정보를 입력받아 OSD 출력 데이타를 만든후에 영상신호복호기(2a)에서 오는 영상출력신호와 생성한 OSD 출력신호를 이용하여 티브이, 또는 PC 모니터 등과 같은 표시수단(4)에 표시하여 주게 된다.The OSD controller 2b receives OSD information from the memory 3 to generate OSD output data, and then uses the video output signal from the video signal decoder 2a and the generated OSD output signal, such as a TV or a PC monitor. It is displayed on the display means 4.

상기에서와 같이, 메모리(3)에는 영상(video) 정보와 OSD 정보가 저장되어 있으며, 이러한 OSD 정보가 저장된 OSD 메모리는 커멘드(command)영역과 비트맵(bitmap)영역으로 나눌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video information and OSD information are stored in the memory 3, and the OSD memory storing such OSD information may be divided into a command area and a bitmap area.

이때, 비트맵 영역에있어, 임의의 위치에 대한 데이타의 일예로써, 도 2의 (가)에서와 같이 각 N 비트로 표현할 수 있으며, 각 N 비트내의 인덱스(index)는 커멘드 영역에 저장되어 있는 도 2의 (나)에서와 같이 색 룩업 테이블(CLUT; Color Look Up Table)의 어드레스로 사용하게 된다.At this time, in the bitmap area, as an example of data for an arbitrary position, as shown in (a) of FIG. 2, each N bit may be represented, and an index in each N bit is stored in the command area. As shown in 2 (b), it is used as an address of a color look up table (CLUT).

즉, 도 2의 (나)에서와 같은 색 룩업 테이블을 이용하여 OSD 정보를 표시수단(4)에 OSD가 가능하게 되도록 하는 것이다.That is, the OSD is displayed on the display means 4 using the color lookup table as shown in FIG.

물론, 영상처리 IC(2)와 표시수단(4)의 사이에는 티브이 엔코더가 구성되어, 색룩업테이블에서 나오는 휘도신호(Y) 및 색신호(Cb,Cr)를 R,G,B 아날로그 색신호로 변환시켜 OSD를 표현하도록 한다.Of course, a TV encoder is configured between the image processing IC 2 and the display means 4 to convert the luminance signal Y and the color signals Cb and Cr from the color lookup table into R, G and B analog color signals. To display the OSD.

이와 같이 표현되는 OSD에 있어서, 일반적으로 하이라이트 기능이라함은 OSD 정보의 내용 변경없이 색을 변경시켜 다른 부분과의 차이를 나타내는 방법을 말하는 것으로,In the OSD expressed as described above, the highlight function generally refers to a method of expressing a difference from other parts by changing color without changing the contents of OSD information.

상기에서와 같이 하이라이트를 실행하기 위하여서는 원하는 부분을 설정하여 그 부분에 대하여 칼러 액세스 과정을 실행하게 되는 바,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칼러 액세스 방법에 관한 것이다.In order to execute the highlight as described above, the desired part is set and the color access process is executed on the par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such a color access method.

칼러 액세스 과정을 실행하기 이전에 하이라이트를 원하는 부분을 설정하는 방법은 일반적으로 윈도우를 기반으로 하는 방법(window based method)을 사용하게 되는 바,Before performing the color access process, the method of setting the desired part of the highlight is generally based on the window based method.

먼저, 윈도우 기반 하이라이트 방법을 일예로써, 간략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First, the window-based highlighting method is briefly described as an example.

윈도우 기반 하이라이트 방법은 도 3에서와 같이, 화면상에 OSD가 표시되고 있을때, 표시되는 화면의 위치정보를 지정하기 위하여 P1(start point)과 P2(stop point)를 지정하여 윈도우를 설정하게 된다.In the window-based highlighting method, as shown in FIG. 3, when an OSD is displayed on a screen, a window is set by designating P1 (start point) and P2 (stop point) to designat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displayed screen.

이와 같이 설정된 윈도우에 대한 정보를 커멘드(command)로 지정하고, 이와 같이 커멘드 형태의 하이라이트 정보를 받아 그 윈도우내의 내용을 하이라이트 시킨다.The information on the window set as described above is designated as a command, and the command type highlight information is received to highlight the contents of the window.

그러면, 이와 같이 하이라이트가 요구되는 부분에 대한 종래 하이라이트 칼러 액세스 방법을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n, a conventional highlight color access method for a portion requiring highlighting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4.

OSD 메모리는 OSD 화면의 위치, OSD 화면사이즈, OSD 하이라이트 정보 등이 포함되는 커멘드 영역과 OSD 영상표현을 위한 색신호 데이타를 저장하는 비트맵 영역으로 나눌 수 있는 바,The OSD memory can be divided into a command area including the position of the OSD screen, the OSD screen size, and the OSD highlight information, and a bitmap area for storing color signal data for displaying the OSD image.

OSD를 표현하고자 하는 부분에 대한 OSD 메모리의 비트맵 영역(100)으로 부터 8비트 데이타에 저장되는 인덱스(Index)를 어드레스(address)로 사용하여 OSD 메모리의 커멘드 영역에 포함되는 칼러 룩업 테이블(CLUT; Color Look Up Table)(200)의 해당 색신호 데이타(Yn,Cbn,Crn)를 액세스하게 된다.Color lookup table (CLUT) included in the command area of the OSD memory using an index stored in 8-bit data from the bitmap area 100 of the OSD memory for the portion to display the OSD as an address. The color signal data (Yn, Cbn, Crn) of the Color Look Up Table (200) is accessed.

이와 같이 액세스된 색신호 데이타(Yn,Cbn,Crn)는 표시수단의 화면(400)에 표시된다.The color signal data Yn, Cbn, and Crn accessed in this way are displayed on the screen 400 of the display means.

이때, 하이라이트를 요하는 부분에 대한 칼러 액세스는 상기의 일반적인 OSD 칼러 룩업 테이블(200)를 사용하지 않고, 별개로 구성된 하이라이트용 칼러 룩업 테이블(H-CLUT)(300)을 사용하게 되는 바,In this case, the color access to the portion requiring highlights does not use the general OSD color lookup table 200, but uses a separate color highlight lookup table (H-CLUT) 300,

상기에서와 같이 하이라이트를 요하는 부분에 대한 설정이 완료되어 커멘드로 지정되면, 해당 위치에 해당하는 비트맵 영역(100)의 8비트 데이타에 포함되어 있는 인덱스를 어드레스로 하여 하이라이트용 칼러 룩업 테이블(300)의 해당 색신호 데이타(Yn',Cbn',Crn')를 액세스하여 화면(400)에 표시하여 주게 된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setting for the portion requiring highlighting is completed and designated as a command, the color lookup table for highlighting is performed by using the index included in the 8-bit data of the bitmap area 100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as an address. The corresponding color signal data Yn ', Cbn', and Crn 'of 300 are accessed and displayed on the screen 400.

따라서, OSD 영역(Region)(H1)은 하이라이트처리가 되는 것이다.Therefore, the OSD region H1 is to be highlighted.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하이라이트 칼러 액세스 방법은 추가로 하이라이트용 칼러 룩업 테이블을 하드웨어에 구성하여야 하므로써, 하드웨어의 부담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such a conventional highlight color access method has a problem in that the burden of hardware is increased by additionally configuring the highlight color lookup table in hardware.

본 발명에서는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하이라이트를 요구하는 부분에 대한 비트맵 영역으로 부터 얻어지는 데이타의 일부를 반전시켜 주므로써, 칼러 룩업 테이블의 어드레스를 변경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하여 추가로 하이라이트용 칼러 룩업 테이블을 구성하지 않고도 간단히 하이라이트를 처리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In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by inverting a part of data obtained from the bitmap area for the part requiring the highlight, the effect of changing the address of the color lookup table can be obtained. This is a simple way to handle highlights without having to build a color lookup table.

특히, 본 발명에서는 설정된 비트를 최상위 비트로 하여 최상위 비트만을 반전시키도록 하므로써, 칼러 룩업 테이블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In particular,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lor lookup table can be used efficiently by inverting only the most significant bit by setting the set bit as the most significant bit.

도 1은 일반적인 OSD 동작 기능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1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general OSD operation function.

도 2의 (가)는 OSD 메모리의 비트맵 영역에 있어, 임의의 위치에 대한 데이타의 일예를 나타낸 도면, (나)는 색 룩업 테이블(CLUT; Color Look Up Table)를 나타낸 도면.2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data for an arbitrary position in the bitmap area of the OSD memory, and (b) a color look up table (CLUT).

도 3은 일반적인 윈도우 기반(window based) 하이라이트 처리 방법을 나타낸 도면.3 illustrates a general window based highlighting method.

도 4는 종래 OSD의 하이라이트 처리를 위한 칼러 액세스 방법을 나타낸 도면.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lor access method for highlight processing of a conventional OSD.

도 5는 본 발명 OSD의 하이라이트 처리를 위한 칼러 액세스 방법을 나타낸 도면.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lor access method for highlight processing of the present invention OSD.

본 발명은 OSD 표현부분에 대하여 하이라이트 처리를 실행할 것인가를 판단하는 과정과,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rocess for determining whether or not to execute highlight processing on an OSD expression portion;

하이라이트 처리가 요구되지 않는 부분일 경우, 비트맵 영역의 해당위치로 부터 얻어지는 데이타의 정보 그대로 칼러 룩업 테이블의 색신호 데이타를 액세스하도록 하는 과정과,If the highlight processing is not required, accessing the color signal data of the color lookup table as is the information of the data obtained from the corresponding position in the bitmap region;

하이라이트를 요하는 부분일 경우, 하이라이트를 요하는 부분에 대한 비트맵 영역의 데이타의 설정된 비트만을 반전시켜 칼러 룩업 테이블의 색신호 데이타를 액세스 하도록 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case of a part requiring highlighting, the process of accessing the color signal data of the color lookup table by inverting only the set bits of the data of the bitmap area for the part requiring highlighting.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기 설정된 비트를 최상위 비트로 하여, 최상위 비트만을 반전시키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ost significant bit is inverted using the set bit as the most significant bit.

이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발명 칼러 액세스 방법을 첨부된 도면 5를 참조하여 그 방법 및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the attached color access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such features, the method and operation will be described below.

도 5는 비트맵 영역으로 부터 얻어지는 데이타의 처리 비트가 8비트일 경우를 실시예로 하여 상기 과정을 갖는 본 발명의 작용을 하드웨어적으로 표현한 도면으로써,FIG. 5 is a hardware representation of the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 process in the case where the processing bit of the data obtained from the bitmap area is 8 bits.

멀티플렉서(MUX)에는 반전기(I)를 이용하여 비트맵 영역으로 부터 얻어진 데이타의 최상위 비트(MSB)의 데이타만을 토글(toggle)시킨 하이라이트용 데이타(Hi)가 입력되고,The highlighter Hi is inputted into the multiplexer MUX by toggling only the data of the most significant bit MSB of the data obtained from the bitmap region using the inverter I.

또한, 또다른 입력단으로는 비트맵 영역으로 부터 얻어진 데이타(NON-Hi) 그대로 입력된다.In addition, as another input, data (NON-Hi) obtained from the bitmap area is input as it is.

멀티플렉서(MUX)에서는 OSD 메모리의 커멘드 영역으로 부터 하이라이트 정보를 받아 하이라이트를 요하는 부분인지, 하이라이트 처리를 하지 않을 부분인지에 따라서 상기 입력되는 하이라이트용 데이타(Hi) 및 하이라이트를 처리하지 않는 데이타(NON-Hi)를 출력하게 된다.The multiplexer (MUX) receives highlight information from the command area of the OSD memory, and the input highlight data Hi and non-highlight data (NON) according to whether a highlight is required or not. -Hi) will print.

이후, 멀티플렉서(MUX)에서 출력되는 데이타에 대한 인덱스를 어드레스로 하여 칼러 룩업 테이블(CLUT)의 색신호 데이타를 액세스하게 된다.Thereafter, the color signal data of the color lookup table CLUT is accessed using the index of the data output from the multiplexer MUX as an address.

즉, 하이라이트가 요구되어지는 부분에 대하여서는 비트맵 영역의 해당위치로 부터 얻어지는 데이타의 최상위 비트(MSB)만을 반전시켜 주므로써, 칼러 룩업 테이블(CLUT)로 부터 원래 얻어질 색신호 데이타(Yn,Cbn,Crn)와는 다른 색신호 데이타(Y128+n,Cb128+n,Cr128+n)가 액세스 되는 것이다.In other words, for the portion where highlighting is required, color signal data (Yn, Cbn) originally obtained from the color lookup table (CLUT) by inverting only the most significant bit (MSB) of the data obtained from the corresponding position in the bitmap area. Color signal data (Y 128 + n , Cb 128 + n , Cr 128 + n ) different from Crn is accessed.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하이라이트가 요구되어지는 부분에 대한 데이타의 설정된 비트만을 반전시켜 주므로써, 원래의 색신호 데이타와는 다른 색신호 데이타가 액세스되도록 하여 하이라이트 처리를 실행하도록 하므로써, 하드웨어의 부담없이 간단히 하이라이트를 처리할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by inverting only the set bits of the data for the portion for which highlight is required, the highlight processing is performed by allowing the color signal data different from the original color signal data to be accessed to perform highlight processing without burdening hardware. Can be processed.

특히, 최상위 비트를 반전시키도록 하므로써, 칼라 룩 업 테이블의 활용을 효율적으로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particular, by inverting the most significant bit, the color lookup table can be effectively utilized.

Claims (2)

OSD 표현부분에 대하여 하이라이트 처리를 실행할 것인가를 판단하는 과정과,Determining whether or not to execute highlight processing on the OSD expression; 하이라이트 처리가 요구되지 않는 부분일 경우, 비트맵 영역의 해당위치로 부터 얻어지는 데이타의 정보 그대로 칼러 룩업 테이블의 색신호 데이타를 액세스하도록 하는 과정과,When the highlight processing is not required, accessing the color signal data of the color lookup table as it is from the data obtained from the corresponding position in the bitmap region; 하이라이트를 요하는 부분일 경우, 하이라이트를 요하는 부분에 대한 비트맵 영역의 데이타의 설정된 비트를 반전시켜 칼러 룩업 테이블의 색신호 데이타를 액세스 하도록 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오에스디(OSD)의 하이라이트 처리를 위한 칼러 액세스 방법.In case of the highlight, the OSD highlights the process of accessing the color signal data of the color lookup table by inverting the set bit of the data in the bitmap area for the highlight. Color access method for treatment.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된 비트는 최상위 비트로 하여 최상위 비트만을 반전시키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오에스디(OSD)의 하이라이트 처리를 위한 칼러 액세스 방법.2.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set bit is the most significant bit so that only the most significant bit is inverted.
KR1019980014469A 1998-04-23 1998-04-23 Color access method for highlighting OSD Expired - Fee Related KR100277044B1 (en)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14469A KR100277044B1 (en) 1998-04-23 1998-04-23 Color access method for highlighting OSD
DE19918046A DE19918046B4 (en) 1998-04-23 1999-04-21 Memory structure for picture-in-picture display in a digital video display unit and method therefor
US09/296,528 US6462746B1 (en) 1998-04-23 1999-04-22 On screen display memory structure in a digital video display unit and method therefor
GB9909470A GB2336748B (en) 1998-04-23 1999-04-23 On screen display memory structure in a digital video display unit and method theref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14469A KR100277044B1 (en) 1998-04-23 1998-04-23 Color access method for highlighting OSD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80894A KR19990080894A (en) 1999-11-15
KR100277044B1 true KR100277044B1 (en) 2001-01-15

Family

ID=658904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14469A Expired - Fee Related KR100277044B1 (en) 1998-04-23 1998-04-23 Color access method for highlighting OS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77044B1 (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80894A (en) 1999-1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62746B1 (en) On screen display memory structure in a digital video display unit and method therefor
US5274753A (en) Apparatus for distinguishing information stored in a frame buffer
US6829015B2 (en) Device and method for realizing transparency in an on screen display
KR100232144B1 (en) Digital TV lookup table processing device and method thereof
KR100277044B1 (en) Color access method for highlighting OSD
US4870479A (en) Video graphics memory storage reduction technique
JPH04174497A (en) Display controlling device
KR100281509B1 (en) How to Blend Digital On-Screen Displays
KR0123758B1 (en) On screen display character processing circuit & method to be completed an association pattern
KR100277043B1 (en) How to handle highlights in multiple OSDs
KR100308008B1 (en) Clut access method for digital osd
JP3247595B2 (en) LCD display video signal generator
JP3250468B2 (en) OSD circuit
KR100249219B1 (en) OSD device
JPS6116984B2 (en)
US6061047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lipping text
JPH07307896A (en) Combining device for image data
KR19990018067A (en) Internet television device with electronic dictionary
JP2910691B2 (en) Lookup table
KR19980035081U (en) How to display outlines of OSD characters
JPH0728445A (en) Image display controller
KR970019478A (en) Multilingual OSD Character Display
JP2004514338A (en) High quality color key extraction device
JP2005003779A (en) Video display device
JPS63306490A (en) Wind back color genera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80423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80423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00707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0100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0100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3093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092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091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091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918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926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926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