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275882B1 - 비디오디스크플레이어의템포제어방법 - Google Patents

비디오디스크플레이어의템포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75882B1
KR100275882B1 KR1019970052436A KR19970052436A KR100275882B1 KR 100275882 B1 KR100275882 B1 KR 100275882B1 KR 1019970052436 A KR1019970052436 A KR 1019970052436A KR 19970052436 A KR19970052436 A KR 19970052436A KR 100275882 B1 KR100275882 B1 KR 1002758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memory
signal
disc
speed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524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31649A (ko
Inventor
임건화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10199700524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75882B1/ko
Publication of KR199900316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16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758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75882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9/00Driving, starting, stopp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Driving both disc and head
    • G11B19/20Driving; Starting; Stopping; Control thereof
    • G11B19/28Speed controlling, regulating, or indicating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1/00Details of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1/36Accompaniment arrangements
    • G10H1/361Recording/reproducing of accompaniment for use with an external source, e.g. karaoke systems
    • G10H1/363Recording/reproducing of accompaniment for use with an external source, e.g. karaoke systems using optical disks, e.g. CD, CD-ROM, to store accompaniment information in digital form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10/00Aspects or methods of musical processing having intrinsic musical character, i.e. involving musical theory or musical parameters or relying on musical knowledge, as applied in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10/375Tempo or beat alterations; Music timing control
    • G10H2210/385Speed change, i.e. variations from preestablished tempo, tempo change, e.g. faster or slower, accelerando or ritardando, without change in pitch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For Digit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디오 디스크 플레이어의 템포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가라오케 영상 음반을 재생할 때, 템포(tempo)를 사용자가 조절할 수 있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 템포제어방법은, 고속 또는 저속재생모드에 따라서 디스크의 회전속도를 제어하는 제 1 단계와; 상기 제 1 단계에 의한 고속 또는 저속재생모드로 재생된 데이터를 디코딩하는 제 2 단계와; 상기 제 2 단계에서 디코딩 된 데이터를 메모리에 임시 저장하는 제 3 단계와; 메모리의 데이터 저장량을 감시하고, 오버플로우 또는 언더플로우 발생에 따른 메모리의 데이터 출력을 제어하는 제 4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비디오 디스크 플레이어의 템포제어방법.
본 발명은 비디오 디스크 플레이어의 템포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가라오케 영상 음반을 재생할 때, 템포(tempo)를 사용자가 조절할 수 있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비디오 디스크(이하 '비디오 CD'라고 함)는 가라오케, 멀티미디어 퍼스널 컴퓨터, 게임기 등에 이용되는 기록매체로서 다양한 형태로 많은 발전이 거듭되고 있다. 이 비디오 디스크에 기록되는 데이터는, 일반적인 문자, 영상 등의 정지화상에서부터 동화상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하고 있으며, 이 기록된 데이터들은 광픽업장치에 의해서 읽혀져서 신호처리된 후,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된다.
한편, 상기 가라오케, 멀티미디어 퍼스널 컴퓨터, 게임기 등과 같은 비디오 플레이어와, 상기 비디오 플레이어와 호환되어서 데이터를 디코딩하는 디코더(예를 들면 MPEG)는 서로 구분화되어 있다. 이는 다시 말해서 상기 비디오 디스크에 기록되어 있는 데이터를 광픽업장치를 이용해서 읽어내는 속도와, 상기 광픽업장치로부터 읽혀진 데이터를 복호화해서 디스플레이하는 신호처리과정에서의 처리속도가 다름을 의미한다.
그래서 상기 세퍼레이트(seperate)화 된 플레이어와 디코더 사이의 데이터 전송속도를 일정하게 제어하기 위한 신호처리가 필요하다.
종래, 데이터 전송속도를 일정속도로 제어하는 일 예를 간단히 살펴보면, 가라오케와 같은 플레이어에서는 스피드 제어기능이 있다. 그래서 이 기능과 소정크기의 SRAM을 이용해서 최소의 버퍼 크기로 데이터 전송을 실현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비디오 디스크를 재생하는 비디오 플레이어는 디스크로부터 항상 일정한 속도(약 1.5Mbps)로 데이터를 읽어내고, 그 읽어낸 데이터를 상기 소정크기의 SRAM을 이용하여 화면에 디스플레이 하기까지도 일정한 속도로 신호처리를 하고 있다.
그렇기 때문에 사용자들이 가라오케를 이용하여 비디오 디스크를 재생하는 경우, 자신이 부르고 싶은 템포로 디스크를 재생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되었다.
이는 종래의 비디오 플레이어에서는 비디오 디스크로부터 일정한 비트 레이트(bit rate)로 데이터를 재생하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디스크로부터 데이터를 읽어내는 비트 레이트를 가변시킬 경우, 디코더에 입력된 비트 스트림을 디코딩하는 과정에서 메모리에 언더플로우(underflow) 또는 오버플로우(overflow)가 발생하여, 영상이 순간적으로 홀딩(언더플로우 발생시)되거나 또는 영상의 일부분이 깨지는 현상(오버플로우 발생시)이 발생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비디오 디스크로부터 데이터를 읽어내는 속도(bit rate)를 가변할 수 있는 비디오 디스크 플레이어의 템포제어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비디오 디스크 플레이어의 템포제어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비디오 디스크 플레이어의 템포제어방법을 위한 동작 흐름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비디오 디스크 3 : 픽업장치
5 : 서보부 7 : 키매트릭스
9 : 디스플레이부 11 : 마이크로 프로세서
13 : CD신호처리부 15 : 메모리
17 : MPEG 디코더 19 : 디지털 비디오 엔코더
21 : 디지털/비디오 엔코더 23 : 키제어부
25 : 고주파증폭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비디오 디스크 플레이어의 템포제어방법은, 고속 또는 저속재생모드에 따라서 디스크의 회전속도를 제어하는 제 1 단계와; 상기 제 1 단계에 의한 고속 또는 저속재생모드로 재생된 데이터를 디코딩하는 제 2 단계와; 상기 제 2 단계에서 디코딩 된 데이터를 메모리에 임시 저장하는 제 3 단계와; 메모리의 데이터 저장량을 감시하고, 오버플로우 또는 언더플로우 발생에 따른 메모리의 데이터 출력을 제어하는 제 4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비디오 디스크 플레이어의 템포제어방법은, 가라오케용 영상음반디스크로부터 데이터를 읽어내는 속도를 사용자 선택에 따라 가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비디오 디스크 플레이어의 템포제어방법은, 디스크로부터 읽어내는 속도를 가변시킬 경우, 발생되는 디코더의 언더플로우 또는 오버플로우를 억제하기 위해서 디코더 및 상기 디코딩된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비디오 디스크 플레이어의 템포제어방법은, 디스크로부터 읽어내는 속도를 가변시킴으로서 발생되는 오디오 톤의 변화를 제어하기 위해서 최종 오디오 출력단에 키제어에 의한 원래의 톤으로 환원하는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해서 본 발명에 따른 비디오 디스크 플레이어의 템포제어방법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비디오 디스크 플레이어의 템포제어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구성을 살펴보면,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는 비디오 디스크(1)와, 상기 디스크(1)로부터 데이터를 읽어내는 픽업장치(3)와, 상기 픽업장치(3)로부터 읽어내는 신호를 증폭, 2치화, 포커싱에러 및 트랙킹에러신호를 출력하는 고주파증폭부(25)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픽업장치(3)의 렌즈와 디스크 신호면과의 거리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포커스서보제어와, 트랙 피트에 추종하도록 하는 트랙킹서보와, 픽업을 내외주에 이동하는 슬라이드서보 등을 포함한 서보부(5)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고주파증폭부(25)에서 증폭된 신호를 입력하고, 변조되었던 신호를 복조하고, 에러정정 등의 신호처리를 수행하는 CD 신호처리부(13)를 포함한다. 상기 CD 신호처리부(13) 및 서보부(5) 등은 마이크로 프로세서(11)의 제어를 받아 동작되고,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11)는 사용자가 입력하는 키신호를 키 매트릭스(7)로부터 입력하며, 또한 소정의 OSD 정보를 디스플레이부(9)에 표시한다.
상기 CD 신호처리부(13)에서 출력되는 비트 스트림을 디코딩하는 MPEG 디코더(17)와, 상기 디코더(17)에 입력된 비트 스트림을 디코딩하는 과정에서 소정의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외부 메모리(15)와, 상기 디코더(17)에서 출력되는 비디오신호를 텔레비젼 수상기에 출력 가능하게 변환시키는 엔코더(19)와, 상기 디코더(17)에서 출력되는 오디오신호를 출력하기 위해서 아날로그신호로 변환하는 오디오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21)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MPEG 디코더(17)에서부터 출력되는 오디오신호는 자체내에 포함된 키제어부(23)를 통해서 출력되는데, 상기 키제어부(23)는 출력되는 오디오 톤을 원래의 톤으로 복귀시키기 위한 구성이다.
다음은 상기 구성에 따른 본 발명의 비디오 디스크의 템포제어를 위한 동작과정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비디오 디스크 플레이어의 템포제어방법을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일명, 가라오케라고 불리우는 비디오 플레이어는 영상 음반을 재생하는 기기이다. 따라서 이 가라오케를 이용하여 비디오 디스크를 재생하는 경우, 사용자들은 자신이 부르고 싶은 템포로 디스크를 재생해야 한다.
이러한 필요에 의해서 사용자는 현재 턴테이블에 장착된 비디오 디스크(1)를 정상재생모드로 재생을 할 것인지 또는 고속 및 저속에 따른 변속재생모드로 재생을 할 것인지를 선택한다. 이 선택은 키 매트릭스(7)에 포함된 정상재생키 또는 변속재생키를 선택함에 의해서 이루어진다. 따라서 사용자가 키매트릭스(7)에 포함된 정상재생키를 선택하면, 마이크로 프로세서(11)는 종래와 동일한 방법에 의해서 일정한 속도로 비디오 디스크(1)로부터 데이터를 읽어내어 신호처리를 수행하도록 제어를 한다.
그러나 사용자가 키매트릭스(7)에서 변속재생키를 선택하면(제 101 단계), 마이크로 프로세서(11)는 디스크(1)의 변속재생모드가 선택되었음을 인식하고 CD신호처리부(13)와 서보부(5)를 제어하여 디스크(1)로부터 데이터를 읽어내는 속도(비트 레이트)를 조절하게 된다.
즉, 제 101 단계에서의 변속재생모드 선택시, 마이크로 프로세서(11)는 사용자가 고속재생을 선택했는 지 또는 저속재생을 선택했는 지를 판단하게 된다(제 103 단계).
상기 제 103 단계에서 저속 재생을 선택하면, 마이크로 프로세서(11)는 서보부(5)에 저속재생에 따른 제어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이때 서보부(5)는 디스크(1)의 회전속도를 제어하는 모터에 저속제어에 따른 신호를 출력하여, 디스크(1)가 저속상태로 회전되도록 한다(제 115 단계).
따라서 픽업장치(3)로부터 디스크(1)에 기록된 데이터를 읽어내는 속도는 느려지게 될 것이고, 정상속도보다 느리게 읽혀진 데이터는 고주파증폭부(25) 및 CD 신호처리부(13)에서 CD의 재생에 필요한 신호처리가 이루어져서 출력된다.
그 다음으로 상기 CD 신호처리부(13)에서 출력되는 비트 스트림은 디코딩과정을 수행하게 되는데, 상기 CD신호처리부(13)에서 신호처리된 비트 스트림을 메모리(15)에 저장하고 있다가 MPEG 디코더(17)에서 디코딩하기에 적당한 데이터 량(통상 한 화면 량)이 되면, 상기 MPEG 디코더(17)에서 디코딩과정이 이루어진다.
그러나 상기 메모리(15)는 정상재생에 따른 속도일 때, 상기 MPEG 디코더(17)의 디코딩량을 제어하기 위해서 구성하고 있는 크기가 한정된 메모리이다. 그렇기 때문에 저속재생에 따른 재생모드에서는 상기 메모리(15)에 언더플로우가 발생될 염려가 있다.
따라서 마이크로 프로세서(11)는 상기 메모리(15)에 저장되는 데이터량을 항상 감시하고 있다가, 언더플로우가 발생될 우려가 검출되면(제 117 단계), 현재 디코딩되어 출력된 화면을 1회 반복해서 출력하도록 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한다(제 119 단계).
그리고 그 동안 계속해서 픽업장치(3)로부터 읽혀지는 데이터는 고주파증폭부(25) 및 CD 신호처리부(13)를 통해서 소정의 신호처리 후, 메모리(15)에 저장되고, 따라서 상기 메모리(15)에 소정량의 데이터가 저장되면, 다시 MPEC 디코더(17)에서 디코딩과정이 수행된다. 즉, 언더플로우 발생 우려가 있을 때, 새로운 화면을 구성하기 위한 비트 스트림은 1 필드 지연되어 디코딩된다.
그리고 상기 디코더(17)에서 디코딩되어 출력되는 비디오신호는 디지털 비디오 엔코더(19)에서 텔레비젼 모니터에 디스플레이 가능하게 신호 변환이 이루어져서 출력된다.
한편, 상기 제 115 단계에 의한 저속 재생모드에 따라 디스크(1)로부터 데이터를 재생하는 속도가 늦어지기 때문에, 상기 디코더(17)에서 디코딩된 후의 오디오신호 출력 톤은 기준 톤보다 낮게 된다.
따라서 마이크로 프로세서(11)는 상기 디코딩 후의 오디오 톤을 감시하고, 정상재생시보다 오디오 톤이 낮을 때(제 121 단계), MPEG 디코더(17)에 포함된 키제어부(23)에 정상재생에 따른 오디오 톤으로 변환시키라는 제어신호를 출력한다(제 123 단계).
상기 과정에 의해서 상기 MPEG(17)에서 출력되는 오디오신호는 정상적인 톤의 오디오신호를 갖게 되고, 이 출력되는 오디오신호는 상기 디지털 비디오 엔코더(19)에서 출력되는 비디오신호에 동기되어 출력된다.
이상의 과정에 의해서 정상재생속도보다 느린 속도로 디스크(1)에 기록된 데이터를 재생가능하고, 결국 사용자가 요구하는 느린 템포에 의해서 가라오케 음반은 재생된다.
다음, 상기 제 103 단계에서 사용자가 디스크(1)의 고속재생을 선택했을 경우, 마이크로 프로세서(11)는 서보부(5) 및 CD 신호처리부(13)에 고속재생에 따른 제어신호를 출력한다(제 105 단계).
상기 제 105 단계에서의 수행에 의해서 서보부(5)는 디스크(1)를 정상재생시보다 빠른 속도로 회전시킨다. 그러면, 상기 픽업장치(3)에 의해서 디스크(1)로부터 데이터를 읽어내는 속도는 정상재생시보다 빨라지게 되고, 이 빨라진 속도에 의한 데이터가 고주파증폭부(25) 및 CD 신호처리부(13)를 통해서 MPEG 디코더(17)로 전송된다.
상기 MPEG 디코더(17)에서는 입력되는 데이터를 소정단위로 디코딩하게 되고, 이때 상기 디코더(17)에서의 디코딩속도는 상기 디스크(1)로부터 읽혀진 데이터가 CD 신호처리후 메모리(15)에 입력되는 속도보다 느리기 때문에, 상기 메모리(15)는 오버플로우가 발생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마이크로 프로세서(11)는 상기 메모리(15)에 저장되는 데이터량을 항상 감시하고 있다가 오버플로우 발생 우려가 있을 때(제 107 단계), 상기 디스크(1)로부터 읽혀진 I-picture, P-picture, B-picture 데이터 중에서 B-picture를 제외한 나머지 데이터만을 디코딩하라는 제어신호를 출력한다(제 109 단계). 즉, 상기 제 109 단계에서는 B-picture를 스킵한다.
그리고 다시 상기 메모리(15)에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을 때, 정상적으로 데이터의 저장을 다시 수행하도록 제어한다.
이렇게 해서 상기 디코더(17)에서 디코딩되어 출력되는 비디오 데이터는 디지털 비디오 엔코더(19)로 입력되어 텔레비젼 모니터에 디스플레이 가능한 신호로 변환되어 출력된다.
또한, 상기 디코더(17)에서 디코딩되어 출력되는 오디오 데이터는 오디오용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21)에서 아날로그신호로 변환되어서 상기 디지털 비디오 엔코더(19)에서 출력되는 비디오신호에 동기되어서 출력된다. 그러나 이때 상기 디코더(17)에서 디코딩이 이루어진 직후의 데이터는 재생속도를 빨리함에 의해서 기준 오디오 톤보다 높은 톤으로 출력된다.
따라서, 마이크로 프로세서(11)는 상기 디코더(17)에서 디코딩이 이루어진 직후의 오디오신호를 감시하고, 정상적인 재생시보다 오디오신호 톤이 높을때(제 111 단계), 디코더(17) 자체에 내장된 키제어부(23)를 제어하여 기준 톤이 되도록 제어를 해서 출력을 시킨다(제 113 단계).
상기와 같은 과정에 의해서 디스크(1)에 기록된 데이터는 사용자가 요구하는 빠른 속도에 의해서 재생되고, 이는 결국 빠른 템포로 영상 음반이 재생됨을 의미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비디오 디스크의 템포제어방법은, 가라오케와 같은 플레이어에서 비디오 디스크의 재생동작시, 사용자가 디스크의 재생 템포를 저속으로 제어할 때, 디코더의 외부 메모리의 언더플로우 발생을 억제하여, 언더플로우에 의한 출력 영상의 순간적인 홀딩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비디오 디스크의 템포제어방법은, 가라오케와 같은 플레이어에서 비디오 디스크의 재생동작시, 사용자가 디스크의 재생 템포를 고속으로 제어할 때, 디코더의 외부 메모리의 오버플로우 발생을 억제하여, 오버플로우에 의한 출력 영상이 일부분 깨어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더불어 본 발명에 따른 비디오 디스크의 템포제어방법은, 디스크의 고속 또는 저속 재생에 의하여 오디오신호의 최종 출력이 높거나 낮아지는 것을 기준 레벨로 제어하여 시청자로 하여금 양질의 음질을 청취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고속 또는 저속재생모드에 따라서 디스크의 회전속도를 제어하는 제 1 단계와;
    상기 제 1 단계에 의한 고속 또는 저속재생모드로 재생된 데이터를 디코딩하는 제 2 단계와;
    상기 제 2 단계에서 디코딩 된 데이터를 메모리에 임시 저장하는 제 3 단계와;
    메모리와 데이터 저장량을 감시하고, 오버플로우 또는 언더플로우 발생에 따른 메모리의 데이터 출력을 제어하는 제 4 단계와; 상기 디코딩된 오디오신호를 기준레벨로 제어하는 제 5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비디오 디스크의 템포제어방법.
  2. 제 1 항 있어서,
    상기 제 4 단계의 메모리의 데이터 출력제어는, 메모리의 오버플로우 발생시 재생되는 데이터의 일부를 스킵시키고, 메모리의 언더플로우 발생시 출력된 1화면을 반복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디스크의 템포제어방법.
  3. 고속 및 저속재생모드에 따른 디스크의 데이터 로딩 속도를 조절하는 제1단계와; 상기 로딩된 데이타를 메모리에 저장하는 제2단계와; 상기 메모리의 상태를 감시하여 소정의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제3단계와; 상기 제어신호에 따라 데이터를 디코딩하는 제4단계와; 상기 디코딩 된 데이터 중 오디오 데이터를 기준레벨로 조정하는 제5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비디오 디스크 템포제어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3단계에서 데이터가 오버플로우 발생시 화면삽입신호를 발생하고, 언더플로우 발생시 화면스킵신호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디스크 템포제어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스킵시에 비 픽쳐(B-picture)를 삭제하고, 화면삽입시에 전화면을 삽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디스크 템포제어방법.
KR1019970052436A 1997-10-14 1997-10-14 비디오디스크플레이어의템포제어방법 Expired - Fee Related KR1002758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52436A KR100275882B1 (ko) 1997-10-14 1997-10-14 비디오디스크플레이어의템포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52436A KR100275882B1 (ko) 1997-10-14 1997-10-14 비디오디스크플레이어의템포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1649A KR19990031649A (ko) 1999-05-06
KR100275882B1 true KR100275882B1 (ko) 2000-12-15

Family

ID=195226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52436A Expired - Fee Related KR100275882B1 (ko) 1997-10-14 1997-10-14 비디오디스크플레이어의템포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75882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63210A (ko) * 1996-02-02 1997-09-12 구자홍 영상 및 음성 신호의 속도/음정 조정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63210A (ko) * 1996-02-02 1997-09-12 구자홍 영상 및 음성 신호의 속도/음정 조정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1649A (ko) 1999-05-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75882B1 (ko) 비디오디스크플레이어의템포제어방법
KR20040018518A (ko) 필드 구조 포맷으로 리코딩된 비디오 표현을 위한 재생속도의 변경
JPH11134774A (ja) 音声・動画再生装置および方法
KR100280788B1 (ko) 광디스크 손상시 스트림 제어방법
KR100578368B1 (ko) 배경화면재생장치및그제어방법
KR100271966B1 (ko) 비디오콤팩트디스크재생장치에서고속탐색방법
KR100203715B1 (ko) 비디오 컴팩트 디스크 플레이어에서의 멀티디폴트 선택 기능 실행 방법
KR100236113B1 (ko) 광 디스크 플레이어의 탐색 재생방법
KR100263985B1 (ko) 광디스크재생방법
KR100220601B1 (ko) 디지탈 비디오 디스크 플레이어의 데이타 처리방법
KR20040067345A (ko) 광디스크 장치에서의 오디오 선별 저장 및 재생방법
KR20010073675A (ko) 디지털 영상녹화재생기에서의 영상 탐색장치 및 방법
KR19980079040A (ko) 비디오 컴팩트 디스크 플레이어의 기억 재생 방법
KR19980079039A (ko) 비디오 컴팩트 디스크 플레이어의 기억 재생 방법
KR20000034390A (ko) 컴팩트 디스크/비디오 컴팩트 디스크 겸용 재생 시스템의 재생방법
KR19980079017A (ko) 광디스크 체인저 시스템의 재생 방법
KR19980079016A (ko) 광디스크 체인저 시스템의 재생 방법
KR19990041942A (ko) 광디스크 및 광디스크 플레이어의 탐색 재생 방법
KR19980030591A (ko) 비디오 씨.디 플레이어의 인덱스 재생 방법
KR19980079038A (ko) 광디스크 체인저 시스템의 재생 방법
KR19980079034A (ko) 비디오 씨디(cd) 체인저의 정보 표시 방법
KR19980030579A (ko) 비디오 컴팩트 디스크 플레이어의 화면 특수 효과 발생방법
KR19980058831A (ko) 광 디스크 플레이어의 기억 재생 방법
KR20000041473A (ko) 광디스크 시스템의 반복 재생 방법
KR20050046981A (ko) Dvd/vcr 콤보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71014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71014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0022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0071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0092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0092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3070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072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0607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0627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629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629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