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275071B1 - 이동통신기지국의스마트안테나시스템용송수신장치 - Google Patents

이동통신기지국의스마트안테나시스템용송수신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75071B1
KR100275071B1 KR1019980023623A KR19980023623A KR100275071B1 KR 100275071 B1 KR100275071 B1 KR 100275071B1 KR 1019980023623 A KR1019980023623 A KR 1019980023623A KR 19980023623 A KR19980023623 A KR 19980023623A KR 100275071 B1 KR100275071 B1 KR 1002750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frequency
signals
digital
wideband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236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02724A (en
Inventor
전민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800236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75071B1/ko
Priority to US09/330,881 priority patent/US6252548B1/en
Priority to GB9914039A priority patent/GB2339079A/en
Priority to DE19927710A priority patent/DE19927710A1/de
Priority to JP17532999A priority patent/JP3302340B2/ja
Priority to RU99113023/09A priority patent/RU2180986C2/ru
Priority to CNB991087003A priority patent/CN1147024C/zh
Publication of KR200000027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27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750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75071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8Access point devi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3/00Arrangements for changing or varying the orientation or the shape of the directional pattern of the waves radiated from an antenna or antenna system
    • H01Q3/26Arrangements for changing or varying the orientation or the shape of the directional pattern of the waves radiated from an antenna or antenna system varying the relative phase or relative amplitude of energisation between two or more active radiating elements; varying the distribution of energy across a radiating aperture
    • H01Q3/30Arrangements for changing or varying the orientation or the shape of the directional pattern of the waves radiated from an antenna or antenna system varying the relative phase or relative amplitude of energisation between two or more active radiating elements; varying the distribution of energy across a radiating aperture varying the relative phase between the radiating elements of an array
    • H01Q3/34Arrangements for changing or varying the orientation or the shape of the directional pattern of the waves radiated from an antenna or antenna system varying the relative phase or relative amplitude of energisation between two or more active radiating elements; varying the distribution of energy across a radiating aperture varying the relative phase between the radiating elements of an array by electrical means
    • H01Q3/42Arrangements for changing or varying the orientation or the shape of the directional pattern of the waves radiated from an antenna or antenna system varying the relative phase or relative amplitude of energisation between two or more active radiating elements; varying the distribution of energy across a radiating aperture varying the relative phase between the radiating elements of an array by electrical means using frequency-mix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21/00Antenna arrays or systems
    • H01Q21/0006Particular feeding systems
    • H01Q21/0025Modular array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3/00Arrangements for changing or varying the orientation or the shape of the directional pattern of the waves radiated from an antenna or antenna system
    • H01Q3/26Arrangements for changing or varying the orientation or the shape of the directional pattern of the waves radiated from an antenna or antenna system varying the relative phase or relative amplitude of energisation between two or more active radiating elements; varying the distribution of energy across a radiating aper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3/00Arrangements for changing or varying the orientation or the shape of the directional pattern of the waves radiated from an antenna or antenna system
    • H01Q3/26Arrangements for changing or varying the orientation or the shape of the directional pattern of the waves radiated from an antenna or antenna system varying the relative phase or relative amplitude of energisation between two or more active radiating elements; varying the distribution of energy across a radiating aperture
    • H01Q3/28Arrangements for changing or varying the orientation or the shape of the directional pattern of the waves radiated from an antenna or antenna system varying the relative phase or relative amplitude of energisation between two or more active radiating elements; varying the distribution of energy across a radiating aperture varying the amplitud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14Relay systems
    • H04B7/15Active relay systems
    • H04B7/155Ground-based st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Variable-Direction Aerials And Aerial Arrays (AREA)
  • Transceivers (AREA)
  • Superheterodyne Receivers (AREA)
  • Radio Transmission System (AREA)

Abstract

이동통신 기지국의 스마트 안테나 시스템용 송수신 장치를 개시한다. 수신장치는, N개의 배열로 이루어진 안테나와, N개의 안테나로부터 입력된 신호를 서로 다른 주파수로 하향 변환하기 위한 수단, 변환된 N개의 신호를 결합하기 위한 N:1 전력 결합기, 결합된 신호를 기저 주파수대역으로 하향 변환하기 위한 수단, 하향 변환된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광대역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 디지털 변환된 신호를 분리하기 위한 N개의 디지털 필터 및 L명의 가입자를 위한 L개의 빔 형성 모듈을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송신장치는, 가중치들이 곱해진 송신신호들을 계산하는 L명의 가입자를 위한 L개의 빔 형성 모듈, 빔 형성 모듈들에서 계산된 신호들을 더하는 N개의 신호 가산기, 신호 가산기로부터 신호를 입력받아 각각 다른 주파수로 상향 변환하는 N개의 디지털 변조기, N개의 디지털 변조기로부터의 변조된 신호들을 결합하는 디지털 신호 결합기, 디지털 신호 결합기로부터 입력한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바꾸는 광대역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 광대역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로부터 아날로그 신호를 입력하는 광대역송수신기, 광대역 송수신기의 출력신호를 입력하여 N개의 신호로 나누는 1:N 전력분배기, 1:N 전력분배기로부터 신호를 입력하여 송신주파수로 변환하는 N개의 AFEU, AFEU로부터 각각 신호를 입력받아 방사하는 N개의 배열로 이루어진 안테나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이동통신 기지국의 스마트 안테나 시스템용 송수신 장치{A transceiver for SMART antenna system of mobile telecommunication base station}
본 발명은 이동통신 기지국의 스마트 안테나 시스템용 송수신 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N개의 안테나 배열로부터의 신호를 모두 주파수 분할 다중화(FDM: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에 의하여 결합한 후, 광대역 송수신기에 의하여 처리되어지는 기술로서 기저대역의 빔 형성 모듈에 N개의 안테나로부터의 모든 정보를 그대로 전할 수 있어서 적응적인 빔 형성(adaptive beam forming)을 할 수 있는 장치에 관하여 개시한다.
일반적으로 스마트 안테나는 지능적(intelligent)이고 적응 배열(adaptive arrays)을 갖는다. 그리고 신호환경에 응답하여 방사 패턴(radiation pattern)을 자동적으로 변화시켜줄 수 있고, 원하는 고객의 방향을 향한 최적의 지향 빔(optimum directional beam)과 다른 간섭방향을 향해 패턴 널(pattern nulls)의 특성을 갖는다. 즉, 스마트 안테나는 신호를 수신한 다음 그 신호들로부터 SNIR(SNR + 간섭신호)을 최대로 하는 빔의 방향을 찾아준다. 그리고 임의의 빔 합성이 가능하고, 가장 강한 신호의 빔 선택, 이동체 동적 추적, 채널 간섭신호제거 및 전방향 신호를 이용한다.
이러한 스마트 안테나의 장점은, 높은 안테나 이득, 간섭(inteference)/다중경로(multipath)의 리젝션(rejection), 공간의 다양성(spatial diversity), 양호한 전력효율(power efficiency), 양호한 레인지(range)/커버리지(coverage), 용량 증가, 높은 비트율(bit rate) 및 낮은 전력소모에 있다.
반면에 스마트 안테나의 단점은 전파환경에 최적한 빔을 찾기 위한 계산량이 많다는 점이다. 그래서 실시간 처리가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러한 원리를 뒷받침해주기 위한 하드웨어의 개발이 부진하다는 점이다.
이러한 스마트 안테나의 종류에는 섹터 안테나(sectored antenna), 다이버시티 안테나(diversity antenna), 스위치 빔 안테나(switched beam antenna) 및 적응형 배열 안테나(adaptive array antenna)가 있다.
스마트 안테나 시스템은 N개의 배열 안테나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이용하여, 각각의 가입자들에게 적응적인 빔을 형성하여 SIR(Signal to Interference Ratio)과 SNR(Signal to Noise Ratio)을 높여, 기존의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시스템보다 커버리지(coverage)와 용량을 증가시킬 수 있는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의 핵심 기술분야이다.
도 1은 종래의 스마트 안테나 시스템을 위한 CDMA 기지국 시스템 구성도이다. 도 1과 같은 스마트 안테나 시스템은 N개의 배열 안테나를 이용함으로써, 스마트 안테나 시스템을 사용하지 않는 CDMA 기지국보다 N개의 송수신단이 필요하게 된다.
도 1에서 알 수 있듯이 N개의 배열 안테나(10)에 각각의 AFEU(Antenna Front End Unit)(50), HPA(High Power Amplifier)(60)와 송수신기(transceiver)(70)가 필요하며, 또한 N개의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90)와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80)가 필요하다. N개의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90)와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80)는 L명의 가입자(subscriber)를 처리할 수 있는 L개의 빔형성 모듈(beam forming module)(110)에 모두 연결되어 있다. 도 1에서 N개임을 나타내기 위해 "#1, #2,…, #N"으로 표시하였고,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80)와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90)도 각각 "D/A #1, D/A #2,…, D/A #N"와 "A/D #1, A/D #2,…, A/D #N"으로 표시하였으며, 빔형성 모듈(110)은 L개임을 나타내기 위해 "BM #1, BM #2,…, BM #L"로 표시하였다.
이러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은 N개의 안테나 증가로 인한 송수신단의 각각의 모듈들의 개수가 증가할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한 시스템의 구성이 복잡해지며, 소모 전력의 증가, 제작비의 증가, 시스템 형상 크기의 증가, 관련 케이블들의 증가를 가져오게 되어, 물리적으로 시스템 구성이 어렵게 된다는 점이다.
다른 종래 기술로는 미국특허 제 5,610,617 호 "Directive beam selectivity for high speed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1995년 7월 18일 출원되어 1997.3.11 특허공보에 실림)를 들 수 있다.
이 기술의 목적은 무선통신 네트워크를 위한 직접 빔(directive beam)을 선택하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이다. 그리고 이 기술은 버틀러 매트릭스 결합기(Butler matrix combiner), 송수신기와 안테나 배열간의 스위칭 회로로 구성되어 있고, 좁은 빔폭(narrow beam width)을 이용하여 최적한 신호 품질을 얻기 위하여 적절한 전송선로를 선택하게 구성되어 있는 것이 특징이다.
이 종래 기술에 있어서, 안테나 배열은 전력 소비를 줄이고, 적용범위(coverage range)를 증가시키고, 안테나 배열의 효율을 개선시키며, 제작비가 적게 든다는 이점을 갖는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그러나 이 기술은 안테나 배열과 송수신기간의 스위칭에 의하여 가장 최적한 송수신 경로를 선택하는 기술에 관한 것으로서, N개의 안테나 배열과 1개의 송수신기 사이를 스위칭하여, 최적한 송수신 경로를 선택하므로 적응적인 빔을 형성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들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단일의 송수신기를 이용하여 N개의 안테나 배열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처리하는, 이동통신 기지국 시스템의 스마트 안테나 시스템용 송수신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과 장점은 하기된 발명의 상세한 설명을 읽고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 보다 명백해질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이동통신 기지국의 스마트 안테나 시스템 구성도.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에 의한 이동통신 기지국의 스마트 안테나 시스템용 송수신 장치의 구성도.
도 3은 광대역 송수신기에 입력된 신호의 스펙트럼도.
도 4는 도 3의 신호가 광대역 송수신기를 통과하여 기저대역으로 하향 변환된 경우의 스펙트럼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210: 배열 안테나
20, 220: 송신 대역통과 필터(Tx BPF: Transmission Band Pass Filter)
30, 230: 수신 대역통과 필터(Rx BPF: Receipt Band Pass Filter)
40, 240: 저잡음 증폭기(LNA: Low Noise Amplifier)
50, 250: AFEU(Antenna Front End Unit)
60,260: 고출력 전력 증폭기(HPA: High Power Amplifier)
70: 송수신기(Transceiver) 80: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
90: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 100: 신호 가산기
110, 400: 가입자용 빔형성 모듈 270: 주파수 발생기
280: 주파수 혼합기 290: 주파수 혼합기
300, 310: 대역 통과 필터(BPF: Band Pass Filter)
320: 1:N 전력분배기(Power Divider)
330: N:1 전력결합기(Power Combiner)
340: 광대역 송수신기(Wideband Transceiver)
350: 광대역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
360: 광대역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
370: 디지털 신호 결합기
380: 디지털 변조기(Digital Modulator)
390: 신호 가산기 410: 디지털 필터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기지국의 스마트 안테나 시스템용 수신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도 2a 및 도 2b에 보인 바와 같이,
N개의 배열로 이루어진 안테나(210)와;
상기 N개의 안테나(210)로부터 입력된 각각의 신호를 서로 다른 주파수로 하향 변환하기 위한 수단;
상기 변환된 N개의 신호를 하나로 결합하기 위한 N:1 전력 결합기(330);
상기 결합된 신호를 기저주파수 대역으로 하향 변환하기 위한 수단;
상기 하향 변환된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광대역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360);
상기 변환된 디지털 신호를 N개의 서로 다른 주파수로 분리하기 위한 N개의 디지털 필터(410); 및
상기 N개의 디지털 필터(410) 각각에 의해 분리된 N개의 디지털 신호를 하나씩 입력받아 적응적인 빔 형성을 하며, 가입자 수만큼 L개로 이루어진 빔 형성 모듈(400)을 구비하고 있다. 도 2b에서 광대역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360)는 "광대역 A/D"로 표시하였고, N개의 디지털 필터(410)는 "DF #1, DF #2,…, DF #N"으로 표시하였으며, L개의 빔 형성 모듈(400)은 "BM #1, BM #2,…, BM #L로 표시하였다.
상기 N개의 안테나(210)로부터 입력된 각각의 신호를 서로 다른 주파수로 하향 변환하기 위한 수단은, 상기 안테나(210) 각각에 하나씩 연결된 N개의 AFEU(Antenna Front End Unit)(250)이며,
상기 AFEU(250) 각각은,
상기 안테나(210)로부터 입력된 신호를 받아들이는 수신 대역통과 필터(230);
상기 수신 대역통과 필터(230)를 통과한 신호를 증폭하는 저잡음 증폭기(240);
상기 AFEU(250) 각각을 구분짓기 위해 서로 다른 주파수 fi(i=1~N)를 발생하는 주파수 발생기(270);
상기 저잡음 증폭기(240)를 통해 증폭된 신호와 상기 주파수 발생기(270)로부터 발생된 신호를 혼합하여 상기 증폭된 신호의 주파수로부터 상기 주파수 발생기(270)에서 발생된 특정 주파수의 차만큼 중간 주파수 대역으로 하향 변환하는 주파수 혼합기(290);
상기 주파수 혼합기(290)를 통과한 신호를 특정 통과대역 주파수로 필터링시킨 후 상기 N:1 전력 결합기(330)로 출력하는 대역 통과 필터(310)를 포함한다.
상기 결합된 신호를 기저 주파수 대역으로 하향 변환하기 위한 수단은, 광대역 송수신기(wide band transceiver)(340)이다. 도 2a에서 수신 대역 통과 필터(230)는 "Rx BPF"로 표시하였고, 저잡음 증폭기(240)는 "LNA"로 표시하였으며, 대역 통과 필터(310)는 "BPF"로 표시하였다.
또한 상기 각 안테나(210)로부터 수신된 신호는 중심 주파수가 fRc이고 주파수 대역폭이 BW이며, 상기 저 잡음 증폭기(240)를 통해 증폭된 신호의 중심 주파수는 fRc이고 주파수 대역폭이 BW이며, 상기 주파수 혼합기(290)를 통해 중간 주파수 대역으로 하향 변환된 신호의 중심 주파수는 fRc-fi(i=1~N)이고 주파수 대역폭은 BW이다.
상기 광대역 송수신기(340)에 의해 주파수 하향 변환된 신호의 주파수 대역폭은 각각 BW의 주파수 대역폭을 갖는 N개의 상기 AFEU(250) 각각으로부터 받은 신호가 주파수별로 서로 중첩되지 않도록 변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코드분할 다중 접속을 사용하는 이동통신 기지국의 스마트 안테나 시스템용 송신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도 2a 및 도 2b에 보인 바와 같이,
각기 다른 가중치를 가지고 있고, 송신하고자 하는 신호에 상기 가중치를 곱하여 서로 다른 N개의 신호로 나누어 출력하는, 가입자수만큼 L개로 이루어진, 빔 형성 모듈(400);
상기 빔 형성 모듈(400) 각각으로부터 출력된 N개의 신호들을 입력받아 하나로 더하는 N개의 신호 가산기(390);
상기 신호 가산기(390) 각각으로부터 더해진 신호를 입력받아 각각 다른 주파수로 상향 변환하는 N개의 디지털 변조기(380);
상기 N개의 디지털 변조기(380)를 통해 주파수 변환된 신호들을 디지털 방식으로 하나로 결합하는 디지털 신호 결합기(370);
상기 디지털 신호 결합기(370)를 통해 결합된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바꾸는 광대역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350);
상기 광대역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350)를 통해 변환된 상기 아날로그 신호를 주파수 상향 변환하는 광대역 송수신기(340);
상기 광대역 송수신기(340)의 출력신호를 동일하게 N개의 신호로 나누는 1:N 전력 분배기(320);
상기 1:N 전력 분배기(320)를 통해 나뉘어진 N개의 신호중 하나의 신호를 입력받아 송신 주파수로 변환하는 N개의 AFEU(250); 및
상기 N개의 AFEU(250)로부터 각각 신호를 입력받아 방사하는 N개의 배열로 이루어진 안테나(210)를 구비한다. 도 2b에서 N개의 디지털 변조기(380)는 "DM #1, DM #2,…, DM #N"으로 표시하였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AFEU(250) 각각은,
상기 1:N 전력 분배기(320)로부터 분배된 N개의 신호중 하나의 신호를 입력 받아 특정 주파수 대역으로 필터링하는 대역 통과 필터(300);
상기 AFEU(250) 각각을 구분짓기 위해 서로 다른 주파수를 발생하는 주파수 발생기(270);
상기 주파수 발생기(270)로부터 발생된 신호와 상기 대역 통과 필터를 통해 필터링된 신호를 혼합하는 주파수 혼합기(280);
상기 주파수 혼합기(280)의 출력신호를 증폭하는 고출력 전력 증폭기(260); 및
상기 고출력 전력 증폭기(260)의 출력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배열 안테나(210)로 출력하는 송신 대역통과 필터(220)를 포함한다. 도 2a에서 송신 대역 통과 필터(220)는 "Tx BPF"로 표시하였고, 고출력 전력 증폭기(260)는 "HPA"로 표시하였으며, 대역 통과 필터(300)는 "BPF"로 표시하였다.
AFEU(250) 각각의 주파수 발생기(270)로부터 발생된 신호의 주파수 fi(i=1~N)는 서로 다르고, 상기 주파수 혼합기(280)에 의해 혼합된 신호의 중심 주파수는 fTc이며, 상기 1:N 전력 분배기(320)로부터 입력되어 상기 각 대역 통과 필터(300)를 통과한 신호의 중심 주파수는 fTc- fi(i=1~N)이며, 상기 광대역 송수신기(340)에 의해 상향 변환된 신호의 주파수는 fTc- fi(i=1~N)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코드분할 다중 접속을 사용하는 이동통신 기지국의 스마트 안테나 시스템용 송수신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도 2a 및 도 2b에 보인 바와 같이,
N개의 배열로 이루어진 안테나(210);
상기 N개의 안테나(210)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서로 다른 N개의 중간 주파수 대역으로 하향 변환시키거나, 상기 N개의 안테나(210)를 통해 각기 다른 N개의 중간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무선 송신 주파수로 상향 변환시켜 송신하는, N개로 이루어진 AFEU(250);
상기 하향 변환된 N개의 중간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결합하는 N:1 전력 결합기(330);
상기 N개의 AFEU(250)에 각기 다른 N개의 중간 주파수 대역의 송신신호를 하나씩 공급하는 1:N 전력 분배기(320);
상기 N:1 전력 결합기(330)에 의해 결합된 수신신호를 기저 주파수 대역으로 하향 변환하거나, 아날로그 송신신호를 주파수 상향 변환하여 상기 1:N 전력 분배기(320)에 공급하는 광대역 송수신기(340);
상기 광대역 송수신기(340)에 의해 하향 변환된 수신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광대역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360);
상기 변환된 디지털 신호를 N개의 서로 다른 신호로 분리하는 N개의 디지털 필터(410);
디지털 송신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바꾸어 상기 광대역 송수신기(340)에 전달하는 광대역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350);
상기 N개의 디지털 필터(410)의 각각에 의해 분리된 N개의 디지털 수신신호를 하나씩 입력받아 적응적 빔을 형성 하거나, 각각의 송신신호에 가중치를 곱하여 각기 N개의 신호로 나누어 출력하는, 가입자 수만큼 구성된 빔 형성 모듈(400)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광대역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350)와 상기 빔 형성 모듈(400) 사이에, 상기 각 빔 형성 모듈(400)로부터 하나씩 출력된 N개의 송신 신호들을 하나로 더하는 N개의 신호 가산기(390);
상기 각 신호 가산기(390)로부터 더해진 신호를 입력받아 각각 다른 주파수로 상향 변환하는 N개의 디지털 변조기(380);
상기 N개의 디지털 변조기(380)를 통해 주파수 변환된 신호들을 디지털 방식으로 결합하여 상기 광대역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350)로 전달하는 디지털 신호 결합기(370)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AFEU(250) 각각은,
상기 안테나(210)로부터 입력된 신호를 받아들이는 수신 대역통과 필터(230);
상기 수신 대역통과 필터(230)를 통과한 신호를 증폭하는 저잡음 증폭기(240);
상기 AFEU(250) 각각을 구분짓기 위해 서로 다른 주파수를 발생하는 주파수 발생기(270);
상기 저잡음 증폭기(240)를 통해 증폭된 신호와 상기 주파수 발생기(270)로부터 발생된 신호를 혼합하여 상기 증폭된 신호의 주파수로부터 상기 주파수 발생기(270)에서 발생된 특정 주파수의 차만큼 중간 주파수 대역으로 하향 변환하는 주파수 혼합기(290);
상기 주파수 혼합기(290)를 통과한 신호를 특정 통과대역 주파수로 필터링 시킨후 상기 N:1 전력 결합기(330)로 출력하는 대역 통과 필터(310);
상기 1:N 전력 분배기(320)로부터 분배된 N개의 신호중 하나를 입력 받아 특정 주파수 대역으로 필터링하는 대역 통과 필터(300);
상기 주파수 발생기(270)로부터 발생된 신호와 상기 대역 통과 필터(300)를 통해 필터링된 신호를 혼합하는 주파수 혼합기(280);
상기 주파수 혼합기(280)의 출력신호를 증폭하는 고출력 전력 증폭기(260); 및
상기 고출력 전력 증폭기(260)의 출력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배열 안테나(210)로 출력하는 송신 대역통과 필터(220)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이동통신 기지국의 스마트 안테나 시스템용 송수신 장치의 구성도를 나타낸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동작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편의상 본 발명의 동작원리를 수신과정과 송신과정으로 구분하여 설명한다.
먼저 수신과정을 설명한다. N개의 배열된 안테나(210)를 통해 수신된 신호는 fRc의 중심주파수와 BW의 주파수 대역폭을 갖는다. 수신 대역통과 필터(230)를 통과한 신호는 저잡음 증폭기(240)에 의하여 증폭된 후, AFEU(250) 각각의 주파수 발생기(270)에 의해 발생된 각 AFEU(250)별로 서로 다른 주파수 fi(i=1~N)와 주파수 혼합기(290)에 의해 혼합되어 각각 fRc- f1, fRc- f2,…, fRc- fN의 주파수로 하향 변환된다.
주파수 혼합기(290)를 거친 신호들은 각각의 통과대역 주파수를 갖는 대역 통과 필터(310)에 의하여 필터링된다.
이상과 같이 N개의 배열 안테나(210)로부터 수신된 신호는 N개의 AFEU(250)를 통과한 후, 서로 다른 주파수로 변환되며, 이 N개의 신호들이 N:1 전력 결합기(330)를 통과한 후 광대역 송수신기(340)의 수신 입력단(Rx)에 입력된다.
도 3은 광대역 송수신기(340)에 입력된 신호의 스펙트럼이다. 도 3의 신호가 광대역 송수신기(340)를 통과하여 기저대역으로 각각 하향 변환되면 도 4와 같은 스펙트럼을 갖게 된다. 도 4에 나타낸, fI1, fI2,…, fIN의 중간 주파수들(Intermediate Frequencies)을 갖는 신호는, 광대역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360)에 의하여 디지털 신호로 변환된 후 중심 주파수 fI1, fI2,…, fIN의 주파수를 갖는 N개의 디지털 필터(410)에 의하여 다시 분리된다. 이 N개의 신호들은 N개의 안테나(210)로부터 수신된 신호와 같은 신호들로서 L명의 가입자들의 적응가능한 빔을 형성하기 위하여 1에서 L번째까지의 빔 형성 모듈(400)에 모두 입력된다. 빔 형성 모듈(400)에서는 N개의 신호들을 처리하여 적응 가능한 빔을 형성하게 되어 스마트 안테나 시스템의 기능을 다하게 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의한 송신단의 송신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가입자 수만큼 L개가 있는 각 빔 형성 모듈(400)은 서로 다른 값을 갖는 가중치를 가지며, 각 빔 형성 모듈(400)마다 각각의 가중치와 송신신호를 곱하여 서로 다른 N개의 신호들을 출력하고, 도 2b에서와 같이 디지털 변조기(380) 전단에서 각각 더해진다. 상기 디지털 변조기(380)를 거친 N개의 신호들은 fI1, fI2,…, fIN의 주파수를 갖게되고, 이 신호들은 디지털 방식으로 모두 결합된 다음, 광대역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350)에 의하여 다시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된다.
아날로그로 변환된 이 신호는 광대역 송수신기(340)의 송신 입력단(Tx)에 입력되어 fTc- f1, fTc- f2,…, fTc- fN의 주파수로 상향 변환된 후, 1:N 전력 분배기(320)를 통해 N개의 신호로 나뉘어져 각각의 AFEU(250)에 입력된다. 각각의 AFEU(250)에는 중심주파수 fTc- f1, fTc- f2,…, fTc- fN를 갖는 각각의 대역통과 필터(300)를 통과한 후, f1에서 fN의 각 AFEU(250)별로 다른 주파수를 발생하는 주파수 발생기(270)의 신호와 주파수 혼합기(280)에 의해 혼합되어 fTc의 송신 주파수로 상향 변환된다. 이 신호들은 고출력 전력 증폭기(260)와 송신 대역 통과 필터(220)를 거쳐 각각의 배열 안테나(210)를 통해서 방사된다.
본 발명은 CDMA_PCS(Code Division Multiple Access_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s), CDMA_DCS(Code Division Multiple Access_Digital Communication Services), IMT2000(International Mobile Telephone 2000) 등의 이동통신 주파수 효율 및 용량 증대를 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N개의 안테나 배열로부터의 신호를 모두 FDM에 의하여 결합한 후, 광대역 송수신기에 의하여 처리되어지므로, 기저대역의 빔 형성 모듈에 N개의 안테나로부터의 모든 정보를 그대로 전할 수 있어서, 적응적인 빔 형성이 가능하다. 특히 N개의 안테나 배열에 각각 필요하였던 송수신기를 한 개의 광대역 송수신기와 광대역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 광대역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등을 이용하므로, 전체시스템의 복잡도, 제조 단가, 소모 전력등을 크게 줄일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을 이용하여 단일 송수신기를 사용하여 스마트 안테나 시스템을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으로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N개의 배열 안테나를 사용하여, 증가하는 N개의 송수신기를 단일 송수신기로 줄임으로써, 전체 시스템의 형상의 크기, 소모 전력, 제작비, 관련 케이블과 시스템의 복잡성을 크게 줄일 수 있다.

Claims (17)

  1. N개의 배열로 이루어진 안테나(210)와;
    상기 N개의 안테나(210)로부터 입력된 각각의 신호를 서로 다른 주파수로 하향 변환하기 위한 수단;
    상기 변환된 N개의 신호를 하나로 결합하기 위한 N:1 전력 결합기(330);
    상기 결합된 신호를 기저주파수 대역으로 하향 변환하기 위한 수단;
    상기 하향 변환된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광대역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360);
    상기 변환된 디지털 신호를 N개의 서로 다른 주파수로 분리하기 위한 N개의 디지털 필터(410); 및
    상기 N개의 디지털 필터(410) 각각에 의해 분리된 N개의 디지털 신호를 하나씩 입력받아 적응적인 빔 형성을 하며, 가입자 수만큼 L개로 이루어진 빔 형성 모듈(400)을 포함하는, 이동통신 기지국의 스마트 안테나 시스템용 수신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N개의 안테나(210)로부터 입력된 각각의 신호를 서로 다른 주파수로 하향 변환하기 위한 수단은, 상기 안테나(210) 각각에 하나씩 연결된 N개의 AFEU(Antenna Front End Unit)(250)인, 이동통신 기지국의 스마트 안테나 시스템용 수신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AFEU(250) 각각은,
    상기 안테나(210)로부터 입력된 신호를 받아들이는 수신 대역통과 필터(230);
    상기 수신 대역통과 필터(230)를 통과한 신호를 증폭하는 저잡음 증폭기(240);
    상기 AFEU(250) 각각을 구분짓기 위해 서로 다른 주파수 fi(i=1~N)를 발생하는 주파수 발생기(270);
    상기 저잡음 증폭기(240)를 통해 증폭된 신호와 상기 주파수 발생기(270)로부터 발생된 신호를 혼합함으로써, 상기 증폭된 신호의 주파수로부터 상기 주파수 발생기에서 발생된 특정 주파수의 차만큼 상기 증폭된 신호를 중간 주파수 대역으로 하향 변환하는 주파수 혼합기(290); 및
    상기 주파수 혼합기(290)를 통과한 신호를 특정 통과대역 주파수로 필터링 시킨후 상기 N:1 전력 결합기(330)로 출력하는 대역 통과 필터(310)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기지국의 스마트 안테나 시스템용 수신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된 신호를 기저 주파수 대역으로 하향 변환하기 위한 수단은, 광대역 송수신기(340)인, 이동통신 기지국의 스마트 안테나 시스템용 수신 장치.
  5. 각기 다른 가중치를 가지고 있고, 송신하고자 하는 신호에 상기 가중치를 곱하여 서로 다른 N개의 신호로 나누어 출력하는, 가입자수만큼 L개로 이루어진, 빔 형성 모듈(400)과;
    상기 빔 형성 모듈(400) 각각으로부터 출력된 N개의 신호들을 입력받아 하나로 더하는 N개의 신호 가산기(390);
    상기 N개의 신호 가산기(390) 각각으로부터 더해진 신호를 입력받아 각각 다른 주파수로 상향 변환하는 N개의 디지털 변조기(380);
    상기 N개의 디지털 변조기(380)를 통해 주파수 변환된 신호들을 디지털 방식으로 하나로 결합하는 디지털 신호 결합기(370);
    상기 디지털 신호 결합기(370)를 통해 결합된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바꾸는 광대역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350);
    상기 광대역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350)를 통해 변환된 상기 아날로그 신호를 주파수 상향 변환하는 광대역 송수신기(340);
    상기 광대역 송수신기(340)의 출력신호를 동일하게 N개의 신호로 나누는 1:N 전력 분배기(320);
    상기 1:N 전력 분배기(320)를 통해 나뉘어진 N개의 신호중 하나의 신호를 입력받아 송신 주파수로 변환하는 N개의 AFEU(250); 및
    상기 N개의 AFEU(250)로부터 각각 신호를 입력받아 방사하는 N개의 배열로 이루어진 안테나(210)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기지국의 스마트 안테나 시스템용 송신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AFEU(250) 각각은,
    상기 1:N 전력 분배기(320)로부터 분배된 N개의 신호중 하나의 신호를 입력 받아 특정 주파수 대역으로 필터링하는 대역 통과 필터(300);
    상기 AFEU(250) 각각을 구분짓기 위해 서로 다른 주파수를 발생하는 주파수 발생기(270);
    상기 주파수 발생기(270)로부터 발생된 신호와 상기 대역 통과 필터(300)를 통해 필터링된 신호를 혼합하는 주파수 혼합기(280);
    상기 주파수 혼합기(280)의 출력신호를 증폭하는 고출력 전력 증폭기(260); 및
    상기 고출력 전력 증폭기(260)의 출력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배열 안테나(210)로 출력하는 송신 대역통과 필터(2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이동통신 기지국의 스마트 안테나 시스템용 송신 장치.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210) 각각으로부터 수신된 신호는 중심 주파수가 fRc이며, 주파수 대역폭이 BW 인, 이동통신 기지국의 스마트 안테나 시스템용 수신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저 잡음 증폭기(240)를 통해 증폭된 신호의 중심 주파수는 fRc이며, 주파수 대역폭이 BW 인, 이동통신 기지국의 스마트 안테나 시스템용 수신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주파수 혼합기(290)를 통해 중간 주파수 대역으로 하향 변환된 신호의 중심 주파수는 fRc-fi(i=1~N)이며, 주파수 대역폭은 BW 인, 이동통신 기지국의 스마트 안테나 시스템용 수신 장치.
  10.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광대역 송수신기(340)에 의해 주파수 하향 변환된 신호의 주파수 대역폭은 각각 BW의 주파수 대역폭을 갖는 상기 N개의 AFEU(250) 각각으로부터 받은 신호가 주파수별로 서로 중첩되지 않도록 변환된, 이동통신 기지국의 스마트 안테나 시스템용 수신 장치.
  11. 제6항에 있어서, 상기 AFEU(250) 각각의 주파수 발생기(270)로부터 발생된 신호의 주파수 fi(i=1~N)는 서로 다른, 이동통신 기지국의 스마트 안테나 시스템용 송신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주파수 혼합기(280)에 의해 혼합된 신호의 중심 주파수는 fTc인, 이동통신 기지국의 스마트 안테나 시스템용 송신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1:N 전력 분배기(320)로부터 입력되어 상기 각 대역 통과 필터(300)를 통과한 신호의 중심 주파수는 fTc- fi(i=1~N)인, 이동통신 기지국의 스마트 안테나 시스템용 송신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광대역 송수신기(340)에 의해 상향 변환된 신호의 주파수는 fTc- fi(i=1~N)인, 이동통신 기지국의 스마트 안테나 시스템용 송신 장치.
  15. N개의 배열로 이루어진 안테나(210)와;
    상기 N개의 안테나(210)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서로 다른 N개의 중간 주파수 대역으로 하향 변환시키거나, 상기 N개의 안테나(210)를 통해 각기 다른 N개의 중간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무선 송신 주파수로 상향 변환시켜 송신하는, N개로 이루어진 AFEU(250);
    상기 하향 변환된 N개의 중간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결합하는 N:1 전력 결합기(330);
    상기 N개의 AFEU(250)에 각기 다른 N개의 중간 주파수 대역의 송신신호를 하나씩 공급하는 1:N 전력 분배기(320);
    상기 N:1 전력 결합기(330)에 의해 결합된 수신신호를 기저 주파수 대역으로 하향 변환하거나, 아날로그 송신신호를 주파수 상향 변환하여 상기 1:N 전력 분배기(320)에 공급하는 광대역 송수신기(340);
    상기 광대역 송수신기(340)에 의해 하향 변환된 수신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광대역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360);
    상기 변환된 디지털 신호를 N개의 서로 다른 신호로 분리하는 N개의 디지털 필터(410);
    디지털 송신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바꾸어 상기 광대역 송수신기(340)에 전달하는 광대역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350); 및
    상기 N개의 디지털 필터(410)의 각각에 의해 분리된 N개의 디지털 수신신호를 하나씩 입력받아 적응적 빔을 형성하거나, 각각의 송신신호에 가중치를 곱하여 각기 N개의 신호로 나누어 출력하는, 가입자 수만큼 구성된 빔 형성 모듈(400)을 포함하는, 이동통신 기지국의 스마트 안테나 시스템용 송수신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광대역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350)와 상기 빔 형성 모듈(400) 사이에, 상기 빔 형성 모듈(400) 각각으로부터 하나씩 출력된 N개의 송신 신호들을 하나로 더하는 N개의 신호 가산기(390)와;
    상기 신호 가산기(390) 각각으로부터 더해진 신호를 입력받아 각각 다른 주파수로 상향 변환하는 N개의 디지털 변조기(380); 및
    상기 N개의 디지털 변조기(380)를 통해 주파수 변환된 신호들을 디지털 방식으로 결합하여 상기 광대역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350)로 전달하는 디지털 신호 결합기(370)를 추가로 포함하는, 이동통신 기지국의 스마트 안테나 시스템용 송수신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AFEU(250) 각각은,
    상기 안테나(210)로부터 입력된 신호를 받아들이는 수신 대역통과 필터(230)와;
    상기 수신 대역통과 필터(230)를 통과한 신호를 증폭하는 저잡음 증폭기(240);
    상기 AFEU(250) 각각을 구분짓기 위해 서로 다른 주파수를 발생하는 주파수 발생기(270);
    상기 저잡음 증폭기(240)를 통해 증폭된 신호와 상기 주파수 발생기(270)로부터 발생된 신호를 혼합하여 상기 증폭된 신호의 주파수로부터 상기 주파수 발생기(270)에서 발생된 특정 주파수의 차만큼 중간 주파수 대역으로 하향 변환하는 주파수 혼합기(290);
    상기 주파수 혼합기(290)를 통과한 신호를 특정 통과대역 주파수로 필터링 시킨 후 상기 N:1 전력 결합기(330)로 출력하는 대역 통과 필터(310);
    상기 1:N 전력 분배기(320)로부터 분배된 N개의 신호중 하나를 입력받아 특정 주파수 대역으로 필터링하는 대역 통과 필터(300);
    상기 주파수 발생기(290)로부터 발생된 신호와 상기 대역 통과 필터(300)를 통해 필터링된 신호를 혼합하는 주파수 혼합기(280);
    상기 주파수 혼합기(280)의 출력신호를 증폭하는 고출력 전력 증폭기(260); 및
    상기 고출력 전력 증폭기(260)의 출력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배열 안테나(210)로 출력하는 송신 대역통과 필터(220)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기지국의 스마트 안테나 시스템용 송수신 장치.
KR1019980023623A 1998-06-23 1998-06-23 이동통신기지국의스마트안테나시스템용송수신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1002750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23623A KR100275071B1 (ko) 1998-06-23 1998-06-23 이동통신기지국의스마트안테나시스템용송수신장치
US09/330,881 US6252548B1 (en) 1998-06-23 1999-06-11 Transceiver arrangement for a smart antenna system in a mobile communication base station
DE19927710A DE19927710A1 (de) 1998-06-23 1999-06-17 Transceiveranordnung für ein Smart-Antennensystem in einer mobilen Kommunikationsbasisstation
GB9914039A GB2339079A (en) 1998-06-23 1999-06-17 Beam former and signal processor for a phased array
JP17532999A JP3302340B2 (ja) 1998-06-23 1999-06-22 移動通信基地局のスマートアンテナシステム用送受信装置
RU99113023/09A RU2180986C2 (ru) 1998-06-23 1999-06-22 Приемопереда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интеллектуальной антенной системы в базовой станции мобильной связи
CNB991087003A CN1147024C (zh) 1998-06-23 1999-06-23 移动通信基站智能天线系统的收发信机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23623A KR100275071B1 (ko) 1998-06-23 1998-06-23 이동통신기지국의스마트안테나시스템용송수신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2724A KR20000002724A (en) 2000-01-15
KR100275071B1 true KR100275071B1 (ko) 2000-12-15

Family

ID=195404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23623A Expired - Fee Related KR100275071B1 (ko) 1998-06-23 1998-06-23 이동통신기지국의스마트안테나시스템용송수신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6252548B1 (ko)
JP (1) JP3302340B2 (ko)
KR (1) KR100275071B1 (ko)
CN (1) CN1147024C (ko)
DE (1) DE19927710A1 (ko)
GB (1) GB2339079A (ko)
RU (1) RU2180986C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I107666B (fi) * 1997-08-14 2001-09-14 Nokia Networks Oy Menetelmä lähetyksen optimoimiseksi ja lähetin
US6067324A (en) * 1998-06-30 2000-05-23 Motorola, Inc. Method and system for transmitting and demodulating a communications signal using an adaptive antenna array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JP4077084B2 (ja) * 1998-09-18 2008-04-16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送信装置及び送信方法
CN1107358C (zh) * 2000-02-24 2003-04-30 信息产业部电信科学技术研究院 分布式智能天线系统
GB0005120D0 (en) * 2000-03-03 2000-04-26 Roke Manor Research Combining adaptive beamforming with multi-user detection
KR20010092919A (ko) * 2000-03-27 2001-10-27 손창동 대출력 컴바인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0840177B1 (ko) * 2000-05-31 2008-06-23 주식회사 세스텍 파워 방법을 이용하여 수신단말의 수신파워가 최대로 되는최적 웨이트 벡터를 산출하기 위한 스마트 안테나시스템의 신호처리 방법 및 장치
KR100840175B1 (ko) * 2000-05-31 2008-06-23 주식회사 세스텍 그라디언트 온오프 방법을 이용하여 수신단말의수신파워가 최대로 되는 최적 웨이트 벡터를 산출하기위한 스마트 안테나 시스템의 신호처리 방법 및 장치
KR100840176B1 (ko) * 2000-05-31 2008-06-23 주식회사 세스텍 공액기울기 방법을 이용하여 수신단말의 수신파워가최대로 되는 최적 웨이트 벡터를 산출하기 위한 스마트안테나 시스템의 신호처리 방법 및 장치
CN1107424C (zh) * 2000-06-12 2003-04-30 信息产业部电信科学技术研究院 在频分双工无线通信系统中使用智能天线的方法与装置
US6731678B1 (en) * 2000-10-30 2004-05-04 Sprint Communications Company, L.P. System and method for extending the operating range and/or increasing the bandwidth of a communication link
KR100563565B1 (ko) * 2000-11-03 2006-03-28 주식회사 케이엠더블유 안테나
US6876337B2 (en) 2001-07-30 2005-04-05 Toyon Research Corporation Small controlled parasitic antenna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to optimally improve signal quality
CN100463375C (zh) * 2001-10-20 2009-02-18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智能天线接收方法和装置
US6687492B1 (en) * 2002-03-01 2004-02-03 Cognio, Inc. System and method for antenna diversity using joint maximal ratio combining
WO2003075471A2 (en) * 2002-03-01 2003-09-12 Cognio, Inc. System and method for joint maximal ratio combining
US6785520B2 (en) * 2002-03-01 2004-08-31 Cognio, Inc. System and method for antenna diversity using equal power joint maximal ratio combining
US6862456B2 (en) * 2002-03-01 2005-03-01 Cognio, Inc. Systems and methods for improving range for multicast wireless communication
US6873651B2 (en) * 2002-03-01 2005-03-29 Cognio, Inc. System and method for joint maximal ratio combining using time-domain signal processing
US6871049B2 (en) * 2002-03-21 2005-03-22 Cognio, Inc. Improving the efficiency of power amplifiers in devices using transmit beamforming
CN1172549C (zh) * 2002-03-27 2004-10-20 大唐移动通信设备有限公司 智能天线移动通信系统传输高速下行包交换数据的方法
EP1502364A4 (en) 2002-04-22 2010-03-31 Ipr Licensing Inc TRANSMITTER-RECEIVER RADIO WITH MULTIPLE INPUTS AND OUTPUTS
CN101166030B (zh) * 2002-04-22 2013-01-16 Ipr许可公司 多输入多输出无线电收发机
US6728517B2 (en) * 2002-04-22 2004-04-27 Cognio, Inc. Multiple-input multiple-output radio transceiver
US7327800B2 (en) * 2002-05-24 2008-02-05 Vecima Networks Inc. System and method for data detec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US7386309B1 (en) * 2002-05-31 2008-06-10 Extreme Networks, Inc. Method and system for distributed wireless access
ES2318176T3 (es) * 2002-07-30 2009-05-01 Ipr Licensing Inc. Sistema y metodo de comunicacion por radio con multiple entrada multiple salida (mimo).
US7130662B2 (en) * 2002-08-01 2006-10-31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Simple smart-antenna system for MUD-enabled cellular networks
AU2002343293A1 (en) * 2002-09-30 2004-04-19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A method and a unit for beam control of an array antenna
US7367261B2 (en) * 2002-10-31 2008-05-06 Star Manufacuring International Inc. Section divider ensemble for roller grill for cooking human food
US7327795B2 (en) 2003-03-31 2008-02-05 Vecima Networks Inc. System and method for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US7099678B2 (en) * 2003-04-10 2006-08-29 Ipr Licensing, Inc. System and method for transmit weight computation for vector beamforming radio communication
US7079870B2 (en) 2003-06-09 2006-07-18 Ipr Licensing, Inc. Compensation techniques for group delay effects in transmit beamforming radio communication
JP4099118B2 (ja) * 2003-08-08 2008-06-11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信号伝送装置及び信号伝送方法
KR100619814B1 (ko) * 2003-09-19 2006-09-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스마트 안테나 및 휴대단말기의 스마트 안테나 시스템 및 그 이용방법
US7257425B2 (en) * 2003-12-02 2007-08-14 Motia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 smart antenna
RU2289203C2 (ru) * 2004-03-09 2006-12-10 Александр Васильевич Гармонов Способ передачи сигнала (варианты)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го реализации (варианты)
RU2355079C2 (ru) * 2004-03-11 2009-05-10 Телефонактиеболагет Лм Эрикссон (Пабл) Система разнесения антенн
US7729726B2 (en) * 2004-03-26 2010-06-01 Nortel Networks Limited Feeder cable reduction
US7158814B2 (en) 2004-06-10 2007-01-02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utilizing smart antennas establishing a backhaul network
US8135086B1 (en) * 2004-08-09 2012-03-13 Rockstar Bidco, LP Cable reduction
US7683834B2 (en) * 2004-09-23 2010-03-23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Undulating transmit patterns for multiple simultaneous transmitters to support signal separation at a receiver
JP2006135814A (ja) * 2004-11-08 2006-05-25 Fujitsu Ltd 無線受信機
US8452333B2 (en) * 2005-12-12 2013-05-28 Apple Inc. Feeder cable reduction
EP2120493A1 (en) * 2008-03-19 2009-11-18 Nokia Siemens Networks Oy Mechanism for automated re-configuration of an access network element
GB2467771B (en) * 2009-02-13 2011-03-30 Socowave Technologies Ltd Communication system, network element and method for antenna array beam-forming
US8149165B2 (en) * 2009-07-30 2012-04-03 Qualcomm, Incorporated Configurable antenna interface
TW201328209A (zh) * 2011-12-20 2013-07-01 Chung Shan Inst Of Science 射頻收發裝置及其降低雜訊的方法
KR102205279B1 (ko) * 2013-11-06 2021-01-20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다중 빔을 이용하여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1772739B1 (ko) * 2014-12-23 2017-08-29 한국과학기술원 Rf 빔포밍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장치들
US9848370B1 (en) * 2015-03-16 2017-12-19 Rkf Engineering Solutions Llc Satellite beamforming
CN106332100A (zh) * 2015-07-09 2017-01-11 福建澳瀚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无线信号阻断的组网装置
US11700054B2 (en) * 2020-02-14 2023-07-11 Kymeta Corporation Modular metasurface antenna with high instantaneous bandwidth
US11265055B2 (en) * 2020-02-21 2022-03-01 Qualcomm Incorporated Flexible beamforming using frequency-division multiplexing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09769A (en) * 1980-02-25 1982-01-05 Harris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spread spectrum signals
GB2145570B (en) * 1983-07-30 1987-07-22 Gen Electric Co Plc Apparatus for use in an atenna arrangement
FR2607769B1 (fr) * 1986-12-08 1989-02-03 Alsthom Systeme de transmission bidirectionnel d'informations entre une station au sol et une station sur un vehicule ferroviaire
RU2033670C1 (ru) * 1990-04-02 1995-04-20 Одесская государственная морская академия Цифровая адаптивная многолучевая антенная система
RU2013827C1 (ru) * 1990-08-08 1994-05-30 Кузнецов Александр Семенович Адаптивная приемо-передающая антенная решетка
US5523761A (en) 1993-01-12 1996-06-04 Trimble Navigation Limited Differential GPS smart antenna device
SE513813C2 (sv) 1993-02-05 2000-11-06 Ericsson Ge Mobile Communicat Anordning med SAW-filter för duplexöverföring
GB2281176B (en) 1993-08-12 1998-04-08 Northern Telecom Ltd Base station antenna arrangement
EP0647978B1 (en) * 1993-08-12 2002-10-23 Nortel Networks Limited Base station antenna arrangement
GB2281010B (en) * 1993-08-12 1998-04-15 Northern Telecom Ltd Base station antenna arrangement
JPH0795112A (ja) 1993-09-20 1995-04-07 Fujitsu Ltd ディジタル移動無線装置
RU2054804C1 (ru) * 1993-12-27 1996-02-20 Фирма "NOOS Space Technologies Ltd" Спутниковая система связи
JPH08162834A (ja) * 1994-12-07 1996-06-21 Nippon Antenna Co Ltd アダプティブアレーアンテナ
JPH08293846A (ja) 1995-04-19 1996-11-05 Sony Corp 送受信装置
US5610617A (en) 1995-07-18 1997-03-11 Lucent Technologies Inc. Directive beam selectivity for high speed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US6160510A (en) * 1997-07-03 2000-12-12 Lucent Technologies, Inc. Delay line antenna array system and method thereof
GB2332305B (en) * 1997-12-11 2002-08-07 Motorola Ltd Signal processing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242621A (zh) 2000-01-26
KR20000002724A (en) 2000-01-15
US6252548B1 (en) 2001-06-26
GB9914039D0 (en) 1999-08-18
RU2180986C2 (ru) 2002-03-27
JP2000077925A (ja) 2000-03-14
CN1147024C (zh) 2004-04-21
GB2339079A (en) 2000-01-12
JP3302340B2 (ja) 2002-07-15
DE19927710A1 (de) 2000-0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75071B1 (ko) 이동통신기지국의스마트안테나시스템용송수신장치
US11503570B2 (en) Multi-antenna communication in a wireless network
KR101336531B1 (ko) 멀티-섹터, 옴니-기지국에서 결합기 손실을 감소시키는 방법 및 장치
KR102088984B1 (ko) 밀리미터파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저 복잡도의 공간분할다중접속 장치 및 방법
CN101622798B (zh) 具有数字控制的加权射频组合的切换波束天线系统和方法
EP1033819B1 (en) Base station device and transmission method
US20040219950A1 (en) Antenna arrangement and base transceiver station
JPH07336772A (ja) マルチ−バンド セルラ無線電話システムのアーキテクチャ
US7013166B2 (en) Multi-carrier receiver architecture
CN212785354U (zh) 一种wifi链路智能传输设备
WO1995034997A2 (en) Diversity combining for antennas
US20020077154A1 (en) Base station antenna sharing
AU8864798A (en) Adaptive radio system
AU677691B2 (en) Base station equipment using diversity reception
WO2001029988A1 (fr) Dispositif adaptatif d'antenne reseau et dispositif adaptatif d'antenne reseau pour station de base
US20190335483A1 (en) Millimeter Wave Wireless Broadband Connectivity
Erricolo et al. Massive MIMO: review and a case for the 12 GHz band
Monot et al. A fully programmable prototype for the experimentation of the SDMA concept and use of smart antennas for UMTS and GSM/DCS1800 networks
JP2001094332A (ja) 無線通信システム
WO2025090790A1 (en) Shared radio access network methods and apparatus
KR200297971Y1 (ko) 기지국 액티브 어레이 안테나
KR20000008276A (ko) 액티브 안테나를 적용한 씨디엠에이 방식의 이동통신 시스템의기지국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80623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80623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002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00907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0091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0092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3082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082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0824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082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810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804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804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