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273106B1 - 온풍기겸용성에제거장치 - Google Patents

온풍기겸용성에제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73106B1
KR100273106B1 KR1019980003276A KR19980003276A KR100273106B1 KR 100273106 B1 KR100273106 B1 KR 100273106B1 KR 1019980003276 A KR1019980003276 A KR 1019980003276A KR 19980003276 A KR19980003276 A KR 19980003276A KR 100273106 B1 KR100273106 B1 KR 1002731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ing means
hot air
power source
heating
h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032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69191A (ko
Inventor
이상훈
Original Assignee
이상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상훈 filed Critical 이상훈
Priority to KR10199800032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73106B1/ko
Publication of KR199900691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691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731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73106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23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including defroster or demisting means
    • B60S1/026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including defroster or demisting means using electrical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38Wiper blades
    • B60S1/3803Wiper blades heated wiper blades
    • B60S1/3805Wiper blades heated wiper blades electric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54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using gas, e.g. hot ai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38Wiper blades
    • B60S2001/3827Wiper blades characterised by the squeegee or blade rubber or wiping el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성에를 녹이면서 제거하고 송풍장치의 토출구에 설치하여 온풍을 공급할 수 있도록, 전원이 공급되면 열을 발생시키는 발열수단과, 발열수단을 지지하고 발열수단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선이 내장되는 몸체와, 몸체에 공기가 통과하도록 형성하여 설치되고 전원이 공급되면 열을 방출하는 가열수단을 포함하는 온풍기 겸용 성에 제거장치를 제공한다.
발열수단은 띠형상의 열선으로 이루어지고, 몸체에는 전지가 삽입되는 전지장착부와 자석을 이용하여 이루어지고 송풍장치의 토출구에 설치하기 위한 고정수단이 설치되며, 가열수단은 소정의 간격으로 몸체에 설치되는 복수의 히터코일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온풍기 겸용 성에 제거장치
본 발명은 온풍기 겸용 성에 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열선을 이용하여 성에를 녹이면서 제거하고 송풍장치에 설치하여 온풍을 발생시키는 온풍기 겸용 성에 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겨울철에는 자동차의 유리창이나 건물의 유리창에 성에가 끼는 일이 많이 발생한다.
상기와 같이 유리창에 성에가 끼면 외부의 관측이 어렵게 되고, 특히 자동차에 있어서는 운행이 불가능하므로 성에를 제거하여야 한다.
종래에는 유리창에 낀 성에를 나무나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진 판이나 칼형상의 부재로 긁어서 제거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종래의 성에 제거방법에 의하면, 유리창에 낀 성에를 나무나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진 부재로 힘을 가하여 제거하므로 많은 힘이 소모되고 유리에 흠집이 생길 수도 있으며, 성에가 완벽하게 제거되지 않고 유리면에 일부가 남아 있는 경우가 많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열선을 이용하여 성에를 녹이면서 제거하고 송풍장치의 토출구에 설치하여 온풍을 공급할 수 있는 온풍기 겸용 성에 제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 온풍기 겸용 성에 제거장치는 전원이 공급되면 열을 발생시키는 발열수단과, 상기한 발열수단을 지지하고 상기한 발열수단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선이 내장되는 몸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한 발열수단은 띠형상의 열선으로 이루어지고, 상기한 몸체에는 전지가 삽입되는 전지장착부가 설치된다.
또 본 발명 온풍기 겸용 성에 제거장치는 상기한 몸체에 공기가 통과하도록 형성하여 설치되고 전원이 공급되면 열을 방출하는 가열수단을 더 포함한다.
상기한 가열수단은 소정의 간격으로 상기한 몸체에 설치되는 복수의 히터코일로 이루어지고, 상기한 몸체에는 송풍장치의 토출구에 설치하기 위한 고정수단이 더 설치된다.
상기한 고정수단은 자석을 이용하여 이루어지고, 자석이 설치되는 하나이상의 흡착부재와 상기한 몸체에 설치되고 상기한 자석에 달라붙는 부착부재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 온풍기 겸용 성에 제거장치는 상기한 몸체에 지지되는 발열수단인 열선에 전원을 공급하여 열선에서 열을 발생시키고 유리창의 성에가 낀 부위에 열선부분을 근접시키면 성에가 열에 의해 녹아서 제거된다.
또 본 발명 온풍기 겸용 성에 제거장치는 상기한 흡착부재를 송풍장치의 토출구쪽에 흡착시키고 상기한 몸체에 설치된 부착부재를 상기한 흡착부재에 설치되는 자석에 달라붙게 한 다음, 상기한 가열수단인 히터코일에 전원을 공급하여 가열시키면, 송풍장치로부터 토출되는 공기가 히터코일의 주위를 통과하면서 가열되어 온풍이 공급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온풍기 겸용 성에 제거장치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온풍기 겸용 성에 제거장치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3은 도 2의 A-A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온풍기 겸용 성에 제거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부분단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온풍기 겸용 성에 제거장치의 일실시예를 자동차의 디프로스터 노즐부분에 사용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보조온풍장치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온풍기 겸용 성에 제거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온풍기 겸용 성에 제거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온풍기 겸용 성에 제거장치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도 1∼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온풍기 겸용 성에 제거장치의 일실시예는 전원으로부터 전류가 공급되면 열을 발생시키는 발열수단과, 상기한 발열수단을 지지하고 성에를 제거하는 몸체(1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한 발열수단은 띠형상의 열선(2)으로 이루어지고, 상기한 열선(2)은 소정의 탄성과 유연성을 보유하도록 형성한다.
상기한 열선(2)은 외부의 충격이나 접촉에 의하여 쉽게 손상을 입는 것을 방지 또는 사용자가 화상을 입거나 감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열전달율이 좋은 소정의 절연부재로 피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열선(2)의 양 옆쪽에는 길이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상기한 몸체(10)에 일체로 긁기부재(14)를 설치한다.
상기한 긁기부재(14)는 끝부분을 성에를 긁기에 편하도록 날카롭고 소정의 각으로 경사지도록 형성한다.
또 상기한 긁기부재(14)는 접촉하는 유리창에 흠집을 내지 않도록 유리보다 경도가 작은 재질(예를 들면 나무 또는 고무나 합성수지 등)을 이용하여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발열수단인 열선(2)에 전류를 공급하는 전원으로는 상기한 몸체(10)에 내장하는 전지(8)나 외부 전원(도면에 나타내지 않음)을 사용한다.
상기한 외부 전원으로는 자동차의 유리창에 낀 성에를 제거하는 경우에는 자동차 축전지를 이용하고, 이 경우에는 자동차의 오디오 패널쪽에 설치되는 시거라이터용 커넥터를 이용하여 자동차 축전지에 연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시거라이터용 커넥터에 접속하여 사용하는 어댑터는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구성과 마찬가지의 구성으로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도면에 나타내는 것과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한 전지(8)로는 충전하여 재사용하는 것이 가능한 2차전지가 바람직하고, 자동차 특히 12V 축전지를 사용하는 승용차에 사용하는 경우에는 12V용 전지를 사용하며, 24V 축전지를 사용하는 상용차나 승합차에 사용하는 경우에는 24V용 전지를 사용한다.
또 상기한 몸체(10)에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한 전지(8)가 삽입되는 전지장착부(12)가 설치된다.
상기한 전지장착부(12)에는 상기한 열선(2)에 연결되는 전원공급선(3)과 상기한 외부 전원에 연결되는 외부연결선(6)이 연결 설치된다.
상기한 외부연결선(6)의 끝부분에는 외부 전원에 연결하기 위한 어댑터(도면에 나타내지 않음)의 커넥터와 연결되는 커넥터(7)가 설치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온풍기 겸용 성에 제거장치의 일실시예는 전원인 전지(8) 또는 외부 전원으로부터 전류를 상기한 발열수단인 열선(2)으로 인가하면 상기한 열선(2)에서 열이 발생한다.
상기와 같이 열선(2)에서 열이 발생하는 상태에서 상기한 열선(2) 부분을 유리창에 낀 성에 부분에 근접시키면 성에가 열에 의해 녹게 되고, 상기한 몸체(10)에 형성되는 상기한 긁기부재(14)로 녹기 시작한 성에를 긁어내어 제거한다.
상기에서 유리창에 견고하게 얼어붙은 성에를 발열수단인 열선(2)의 열에 의해 녹이면서 긁기부재(14)로 제거하므로 성에 제거에 큰 힘이 소요되지 않으며 유리창에 흠집이 발생하지 않는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온풍기 겸용 성에 제거장치의 다른 실시예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한 몸체(10)에는 상기한 발열수단인 열선(2)의 열에 의해 성에가 녹은 물을 흡수하여 제거하기 위한 물기제거수단이 설치된다.
상기한 물기제거수단은 상기한 발열수단인 열선(2)의 한쪽 또는 양쪽 옆에 길이방향으로 설치한다.
상기한 물기제거수단은 상기한 몸체(10)에 회전가능하게 상기한 열선(2)의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는 로울러(17)와, 상기한 로울러(17)의 원주면에 부착되는 흡수부재(16)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흡수부재(16)는 천(예를 들면 부직포 등)이나 합성수지(예를 들면 스폰지 등) 등의 수분흡수율이 높은 재료를 사용하여 형성한다.
상기한 몸체(10)에는 상기한 흡수부재(16)에 흡수된 수분을 짜내도록 상기한 로울러(17)의 길이방향으로 수분제거부(18)를 일체로 형성하고, 상기한 수분제거부(18)에 의하여 흡수부재(16)로부터 짜내어진 수분을 모아서 배출시키는 수분저장부(19)를 상기한 수분제거부(18)와 연결하여 일체로 형성한다.
상기에서 로울러(17)의 중심으로부터 상기한 흡수부재(16) 표면까지의 거리보다 로울러(17)의 중심으로부터 상기한 수분제거부(18) 끝면까지의 거리를 더 가깝게 형성하는 것에 의하여 상기한 수분제거부(18)에 의해 흡수부재(16)가 눌려지면서 흡수된 수분이 쥐어짜내진다.
상기한 수분저장부(19)는 상기한 수분제거부(18)에 연결되어 오목하게 형성되는 홈으로 이루어지고, 한쪽에는 모아지는 수분을 배출시키기 위한 배출구멍(도면에 나타내지 않음)을 상기한 수분저장부(19)에 연결하여 형성한다.
상기한 배출구멍은 호스를 연결할 수 있도록 형성하고, 필요에 따라 호스를 통하여 자동차의 외부로 수분을 배출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상기한 물기제거수단은 실외에서 사용할 때에는 필요가 없지만, 유리창의 실내쪽에 낀 성에를 상기한 열선(2)에 의하여 녹여 제거하는 경우에는 성에가 녹은 물이 실내로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필요하다.
특히 자동차의 경우에는 일반적인 경우에는 유리창의 실내쪽에는 성에가 잘 끼지 않지만, 실내의 습도가 높고 기온이 낮은 경우에는 유리창의 실내쪽에 성에가 끼므로 이 때에는 상기한 물기제거수단이 있는 것이 효과적이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온풍기 겸용 성에 제거장치의 일실시예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공기가 통과하도록 형성하여 상기한 몸체(10)에 설치하고 전원이 공급되면 열을 방출하는 가열수단을 더 포함한다.
상기한 가열수단은 소정의 간격으로 상기한 몸체(10)에 설치되는 복수의 히터코일(4)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복수의 히터코일(4)은 전원인 상기한 전지(8) 또는 외부전원에 상기한 발열수단인 열선(2)과 병렬로 연결되고, 상기한 발열수단인 열선(2)과 평행 또는 수직한 방향으로 설치한다.
상기한 실시예에서는 상기한 가열수단인 복수의 히터코일(4)을 상기한 발열수단인 열선(2)과 평행하게 설치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상기한 열선(2)과 수직한 방향으로 상기한 몸체(10)에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에서 몸체(10)의 중앙부는 공기가 통과하도록 빈 공간으로 형성하고, 상기한 가열수단인 히터코일(4)은 상기한 몸체(10)의 중앙부를 가로질러 설치한다.
상기한 히터코일(4)은 외부의 충격이나 접촉에 의하여 쉽게 손상을 입는 것 또는 사용자가 화상을 입거나 감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열전달율이 좋은 소정의 절연부재로 피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한 몸체(10)의 상기한 발열수단인 열선(2)이 설치되는 반대쪽 모서리에는 손으로 잡기 편하도록 손잡이(30)를 설치한다.
상기한 실시예에서는 상기한 몸체(10)를 대략 네모진 고리형상으로 형성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말굽형상으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온풍기 겸용 성에 제거장치의 일실시예는 송풍장치의 토출구(예를 들면 자동차의 디프로스터 노즐부 등)에 설치하기 위한 고정수단을 더 포함한다.
상기한 고정수단은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자석을 이용하여 이루어지고, 자석(35)이 설치되는 하나이상의 흡착부재(34)와 상기한 몸체(10)에 설치되고 상기한 자석(35)에 달라붙는 부착부재(36)로 구성된다.
상기한 부착부재(36)는 손잡이(30)를 형성하는 경우에는 손잡이(30)에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한 부착부재(36)는 자석이나 상자성을 보유하는 재료로 형성하고, 상기한 흡착부재(34)는 소정의 탄성과 유연성을 보유하는 재료(예를 들면 폴리에틸렌이나 폴리염화비닐 또는 폴리프로필렌 등의 합성수지 또는 고무 등)로 중앙부가 오목하게 이루어지는 직각보다 큰 내각을 갖는 원추형으로 형성한다.
상기한 흡착부재(34)는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빨판형상으로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와 같이 가열수단을 설치하는 본 발명에 따른 온풍기 겸용 성에 제거장치의 일실예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한 고정수단인 흡착부재(34)를 예를 들면 자동차(60)의 유리(62) 등에 부착시킨 상태에서 상기한 몸체(10) 또는 손잡이(30)에 설치한 부착부재(36)를 상기한 흡착부재(34)의 자석(35)에 붙여 몸체(10)가 온풍을 공급하고자 하는 부분 예를 들면 자동차의 디프로스터 노즐(64) 부분에 위치하도록 고정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전원인 전지(8) 또는 외부 전원으로부터 전류를 상기한 가열수단인 히터코일(4)로 인가하면 상기한 히터코일(4)에서 열이 발생하고, 송풍장치(히터의 블로워 등)를 작동시키면 토출되는 공기가 상기한 히터코일(4)에 접촉하면서 가열되어 온풍이 공급된다.
상기에서는 자동차(60)의 디프로스터 노즐(64) 부분에 설치하여 사용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운전석이나 조수석 쪽의 토출구에 부착하여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온풍기 겸용 성에 제거장치의 일실시예는 도 1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한 몸체(10)에 스위치(40)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스위치(40)는 예를 들면 3개의 모드로 구성하여 제1모드는 발열수단인 열선(2)으로 전원을 공급하고, 제2모드는 전원의 차단 및 충전을 행하며, 제3모드는 가열수단인 히터코일(4)로 전원을 공급하도록 구성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온풍기 겸용 성에 제거장치의 일실시예는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한 몸체(10)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보조몸체(52)와, 상기한 보조몸체(52)에 공기가 통과하도록 설치하는 가열수단으로 이루어지는 보조온풍장치(50)를 더 포함한다.
상기에서 보조몸체(52)에는 돌기(53)를 형성하고, 상기한 몸체(10)에는 상기한 돌기(53)가 삽입되는 결합홈(11)을 형성하여, 상기한 보조몸체(52)를 몸체(10)에 결합시킨다.
상기한 보조온풍장치(50)의 가열수단은 상기한 몸체(10)에 설치되는 가열수단과 마찬가지의 구성으로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한 보조온풍장치(50)의 가열수단은 상기한 몸체(10)에 설치되는 가열수단과 전기적으로 병렬로 설치하여 상기한 가열수단의 전원을 함께 사용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고, 상기한 보조몸체(52)에 별도의 보조전원을 설치하여 사용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한 보조전원으로 전지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상기한 보조몸체(52)에 상기한 몸체(10)에 형성한 전지장착부(12)와 마찬가지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전지장착부(도면에 나타내지 않음)를 형성한다.
상기한 몸체(10)와 보조몸체(52)는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것이 전류가 외부 전원으로부터 상기한 몸체(10)에 설치된 전지 또는 가열수단으로 공급될 때에 보조몸체(52)에 설치된 전지 또는 가열수단에도 동시에 전류가 공급되므로 바람직하다.
즉 상기한 보조몸체(52)의 돌기(53)와 몸체(10)의 결합홈(11)을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한 보조몸체(52)에도 상기한 몸체(10)에 설치한 부착부재(36)를 하나이상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한 보조몸체(52)의 돌기(53)가 형성된 반대쪽 모서리에는 상기한 돌기(53)가 삽입되는 결합홈(54)을 형성하여 복수의 보조몸체(52)를 계속하여 연결시킬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보조온풍장치(50)는 송풍장치의 토출구(예를 들면 자동차의 디프로스터 노즐 등)가 길게 형성되어 있을 경우에 필요에 따라 하나이상을 연결하여 사용한다.
상기에서는 몸체(10)에 결합홈(11)을 형성하고 보조몸체(52)에 돌기(53)를 형성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몸체(10)에 돌기를 형성하여 보조몸체(52)에 형성되는 결합홈(54)에 결합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온풍기 겸용 성에 제거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는 도 7 및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원으로부터 전류가 공급되면 열을 발생시키는 발열수단과, 상기한 발열수단을 지지하고 성에를 제거하는 몸체(70)와, 상기한 몸체(70)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온풍기몸체(72)와, 상기한 온풍기몸체(72)의 중앙부에 공기가 통과하도록 형성하여 설치되고 전원으로부터 전류가 공급되면 열을 방출하는 가열수단을 포함한다.
상기한 몸체(70)에는 안내돌기(71)를 형성하고, 상기한 온풍기몸체(72)에는 상기한 안내돌기(71)가 삽입되는 안내홈(73)을 형성하여 상기한 몸체(70)와 온풍기몸체(72) 사이의 결합 및 분리가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한 온풍기몸체(72)에는 외부전원(예를 들면 자동차의 축전지 등)에 연결하기 위한 어댑터(자동차의 시거라이터용 커넥터에 접속하기 위한 어댑터)가 삽입되는 커넥터(74)를 설치하고, 상기한 몸체(70)에는 상기한 온풍기몸체(72)가 결합되었을 때에 상기한 커넥터(74)와 결합되고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커넥터(75)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구성 이외에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은 상기한 일실시예의 구성과 마찬가지의 구성으로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즉 상기한 발열수단과 가열수단은 상기한 일실시예의 발열수단인 열선(2)과 가열수단인 히터코일(4)의 구성과 마찬가지의 구성으로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온풍기 겸용 성에 제거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한 몸체(70)와 온풍기몸체(72)를 분리하여 상기한 온풍기몸체(72)는 상기한 흡착부재(34)를 자동차(60)의 유리창(62)에 부착시킨 상태에서 상기한 커넥터(74)에 시거라이터용 커넥터에 접속된 어댑터를 연결하여 가열수단의 히터코일(4)을 가열시켜 디프로스터 노즐(64)로부터 토출되는 공기를 따뜻하게 함과 아울러, 상기한 몸체(70)에 장착된 전지(8)로부터 공급되는 전류에 의하여 발열수단인 열선(2)을 가열시켜 유리창(64)에 형성된 성에를 제거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온풍기 겸용 성에 제거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유리창(64)의 성에를 제거하면서 동시에 온풍기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도 2 및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온풍기 겸용 성에 제거장치의 일실시예 및 또 다른 실시예는 상기한 가열수단인 히터코일(4)에 소정의 시간(예를 들면 자동차의 엔진이 소정의 온도 이상으로 상승되는 데 걸리는 시간)동안 전원을 인가하고 그 뒤에는 차단하는 타이머(44)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한 가열수단은 자동차의 엔진이 소정의 온도 이상으로 상승되기 전에는 히터를 작동하여도 찬 바람이 토출되므로 토출되는 공기를 가열시키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므로, 자동차의 엔진이 소정의 온도 이상으로 상승되어 히터로부터 따뜻한 바람이 토출되는 경우에는 자동으로 가열수단의 작동이 정지(가열수단에 공급되는 전원이 차단)하도록 타이머(44)를 설치하는 구성이 더 효율적이다.
상기한 타이머(44)는 온시키면 설정된 시간동안 전원을 연결하거나 차단하고 오프상태로 복귀하는 통상의 타이머를 이용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고 작동되는 본 발명에 따른 온풍기 겸용 성에 제거장치에 의하면, 유리창에 낀 성에를 녹이면서 제거하므로 성에 제거에 큰 힘이 소요되지 않으며, 이에 따라 유리창에 흠집이 발생하지 않고 성에도 완벽하게 제거된다.
또 엔진이 가열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찬바람이 토출되는 자동차 디프로스터 노즐 등의 송풍장치 토출구에 본 발명에 따른 온풍기 겸용 성에 제거장치를 설치하면, 가열수단인 히터코일에 의하여 토출되는 공기가 따뜻한 바람으로 변화되어 공급된다.

Claims (7)

  1. 하나이상의 모서리에 성에를 긁기 위한 긁기부재가 일체로 설치되고 한쪽 모서리에는 손잡이가 설치되는 몸체와;
    상기한 몸체의 한쪽 모서리에 설치되고 전원으로부터 전류가 공급되면 열을 발생시키는 발열수단과;
    상기한 몸체의 중앙부에 공기가 통과하도록 형성되며 전원으로부터 전류가 공급되며 열을 방출하는 가열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가열수단은 상기 몸체에 공기가 통과할 수 있는 상태로 복수개의 히터코일리 설치되는 온풍기 겸용 성에 제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발열수단은 소정의 탄성과 유연성을 보유하는 띠형상의 열선으로 이루어지는 온풍기 겸용 성에 제거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몸체에는 상기한 발열수단과 가열수단에 전류를 공급하는 전원인 전지가 장착되는 전지장착부와, 외부 전원에 연결하기 위한 커넥터를 더 설치하는 온풍기 겸용 성에 제거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가열수단에 공급하는 전류를 소정의 시간이 경과하면 차단하는 타이머를 더 설치하는 온풍기 겸용 성에 제거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몸체에 회전가능하게 상기한 발열수단의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는 로울러와, 상기한 로울러의 원주면에 부착되는 흡수부재로 이루어지는 물기제거수단을 더 포함하는 온풍기 겸용 성에 제거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자석이 설치되는 하나이상의 흡착부재와, 상기한 몸체에 설치되고 상기한 자석에 달라붙는 부착부재로 구성되는 고정수단을 더 포함하는 온풍기 겸용 성에 제거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몸체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보조몸체와, 상기한 보조몸체에 공기가 통과하도록 설치하고 전원으로부터 전류가 공급되면 열을 방출하는 가열수단으로 이루어지는 하나이상의 보조온풍장치를 더 포함하는 온풍기 겸용 성에 제거장치.
KR1019980003276A 1998-02-05 1998-02-05 온풍기겸용성에제거장치 KR1002731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03276A KR100273106B1 (ko) 1998-02-05 1998-02-05 온풍기겸용성에제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03276A KR100273106B1 (ko) 1998-02-05 1998-02-05 온풍기겸용성에제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69191A KR19990069191A (ko) 1999-09-06
KR100273106B1 true KR100273106B1 (ko) 2000-12-01

Family

ID=195325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03276A KR100273106B1 (ko) 1998-02-05 1998-02-05 온풍기겸용성에제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7310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4977B1 (ko) 2006-01-06 2007-11-08 나은주 다기능 성에 제거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4977B1 (ko) 2006-01-06 2007-11-08 나은주 다기능 성에 제거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69191A (ko) 1999-09-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08103888A2 (en) Windshield heater
JP2000107545A (ja) 活性炭フィルタを備えた空調装置
US5844202A (en) Portable automatic windshield defroster
KR100273106B1 (ko) 온풍기겸용성에제거장치
US4404705A (en) Car window defroster
US6008474A (en) Heated windshield wiper system
GB2328734A (en) Car windscreen de-icer/demister
US6140608A (en) Heated windshield wiper with removable heating element
CN108891354A (zh) 汽车后视镜的除霜和清洗装置
US3321792A (en) Windshield wiper with hot air
KR20160034880A (ko) 자동차 유리의 서리방지용 히터
KR200465015Y1 (ko) 자동차백미러 빗물 및 성에 제거장치
KR100457563B1 (ko) 공기조화기
ES2268976B1 (es) Sistema calefactor del parabrisas de automoviles.
KR100445880B1 (ko) 차량 유리창의 성에제거기
US20050155963A1 (en) Defrosting device
JPH0437813Y2 (ko)
JPS63195069A (ja) 自動車のタイヤハウジング融雪装置
CN222040348U (zh) 一种用于汽车后视镜的清洁装置
CN212073982U (zh) 车用清霜除冰器
KR960006430Y1 (ko) 자동차의 전면창 습기 및 성에제거장치
KR200147499Y1 (ko) 자동차의 착탈식 벤트 노즐
KR100427948B1 (ko) 이베퍼레이터의 에어 필터 장착 구조
KR200200289Y1 (ko) 자동차의 다목적 전기 청소기 시스템
KR200241593Y1 (ko) 자동차 비상램프 겸용 열풍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80205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80205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002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0053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0090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0090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