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272328B1 - 렌즈의 공기 간격 조절장치 - Google Patents

렌즈의 공기 간격 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72328B1
KR100272328B1 KR1019930029032A KR930029032A KR100272328B1 KR 100272328 B1 KR100272328 B1 KR 100272328B1 KR 1019930029032 A KR1019930029032 A KR 1019930029032A KR 930029032 A KR930029032 A KR 930029032A KR 100272328 B1 KR100272328 B1 KR 1002723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air gap
barrel
elastic member
retain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290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19880A (ko
Inventor
강건모
Original Assignee
이중구
삼성테크윈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19372089&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0272328(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이중구, 삼성테크윈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중구
Priority to KR10199300290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72328B1/ko
Priority to US08/360,287 priority patent/US5548450A/en
Priority to DE4445773A priority patent/DE4445773A1/de
Priority to CN94120787A priority patent/CN1044158C/zh
Publication of KR9500198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198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723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72328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26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using retaining rings or spring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ens Barrels (AREA)

Abstract

경통에 조립된 렌즈를 분리시키지 않고 외부에서 렌즈의 공기 간격을 최적의 상태로 조정 가능하게 함으로써, 렌즈의 성능을 향상시킴과 아울러 핀트의 조정을 정확하게 실현할 수 있는 렌즈의 공기 간격 조절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에 따라 전방에 턱이 형성됨과 아울러 직경이 다르게 형성된 제1,2 안착홀이 형성된 경통과; 상기한 경통의 턱에 의해 지지되고, 제1 안착 홀에 배치된 제1렌즈와; 상기한 제1렌즈와 소정 거리 이격되어 제1 안착 홀에 배치되는 제2렌즈와, 상기한 제1,2렌즈간의 공기 간격을 유지시키는 탄성부재와; 상기한 제1,2렌즈가 배치되는 직경보다 큰 제2 안착 홀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배치됨과 아울러 제2렌즈의 후단부 가장자리에 접촉된 제3렌즈와; 상기한 제3렌즈의 후단부 가장자리를 감싸고, 경통의 외주면에 조임 설치됨과 아울러 제1,2렌즈 간의 공기 간격을 조절하는 리테이너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구성에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렌즈의 공기 간격 조절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공기 간격 조절장치의 측단면도.
제2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제3(a),(b)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관련하는 판 스프링의 사시도.
제4도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제5도는 종래의 렌즈의 공기 간격 조절장치의 측단면도.
제6도는 종래의 공기 간격 조절장치에 관련하는 스페이서의 사시도.
제7도는 종래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스페이서의 사시도이다.
[발명의 분야]
본 발명은 렌즈의 공기 간격 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경통에 조립된 렌즈를 분해시키지 않고 외부에서 렌즈의 공기 간격을 최적의 상태로 조정 가능하게 함으로써, 렌즈의 성능을 향상시킴과 아울러 핀트의 조정을 정확하게 실현할 수 있도록 한 렌즈의 공기 간격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술]
주지된 바와 같이 카메라의 렌즈 구조는 분산율과 굴절율이 다른 각종 광학 유리로된 렌즈를 몇 장씩 겹쳐 맞추게 되며, 이들 하나 하나의 렌즈는 경통안에 정해진 곳에 바르게 배치됨으로써, 정확한 상태의 화상, 윤곽이 선명하고 밝은 화상을 얻을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각각의 렌즈 사이의 간격, 즉 공기간격은 광학계의 상점 위치의 변화 등 렌즈의 성능에 커다란 영향을 주는 요소로서, 공기 간격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는 실정이다.
즉, 공기 간격의 변화는 렌즈 셔터용 카메라에 적용되는 2군 줌 렌즈는 제2군, 제3군 줌 렌즈는 제3군에 해당하는 보상부(Compensator)의 경우 공기 간격의 변화는 특히 망원단에서 있어서 뒷초점거리의 변화에 커다란 영향을 미치게 됨에 따라 렌즈의 성능을 저하시키게 되는 요인이 된다.
예를 들면, 렌즈 셔터용 줌 렌즈의 경우 소형 경량화와 함께 고배율화가 추구되고 있는 바, 공기 간격의 오차 민감도가 대단히 크게 나타난다.
즉, 2군 또는 3군 줌 방식에 있어서 부(負)의 굴절력을 갖는 보정판의 공기 간격의 민감도는 망원단에서 대단히 큰 것이 보편적인 바, 2배 줌 렌즈의 경우 망원단에서의 보상부의 공기 간격 변화에 대한 뒷초점거리의 변화는 15배 내외, 3배 줌 렌즈의 경우에는 30배 이상 되고 있다.
이와 같은 공기 간격의 오차는 ±0.05mm정도가 일반적이므로 2배 줌 렌즈의 뒷초점거리의 허용 오차는 ±0.75mm 내외, 3배 줌 렌즈의 경우에는 ±1.50mm 내외가 된다.
따라서 공기 간격의 민감도에 따라 렌즈의 성능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렌즈의 조립에 따른 공기 간격의 오차를 극소화하는 연구 개발이 행하여지 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렌즈의 공기 간격을 유지시키는 방법으로는 렌즈의 유효경 밖에서 렌즈끼리 접촉시키는 가장자리 접촉 방법, 그리고 오목렌즈의 경우에는 심취면끼리 접촉시키는 면 접촉 방법, 렌즈 사이에 스페이서나 링 등의 간격 조절부재를 개재시켜 유지시키는 방법 및 경통의 형상에 의해 유지시키는 방법 등이 널리 알려져 있다.
상기한 공기 간격 조절부재가 각각의 렌즈 사이에 적용된 종래의 공기 간격 조절장치의 구성을 살펴보면 제5도와 같다.
도시된 바와 같이 경통(50)에는 턱(50a)에 의애 위치가 고정되는 제1렌즈(52)와, 상기 제1렌즈(52)와 공기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동일한 직경의 내주면에 배치되어 슬라이드 가능하게 배치된 제2렌즈(54) 및 상기 제1,2렌즈(52)(54)가 배치된 직경 보다 큰 직경의 내주면에 배치됨과 아울러 제2렌즈(54)의 후단부 가장자리에 접촉 되어 슬라이드 가능하게 배치된 제3렌즈(56)가 배치되어 경통(50)의 외주면에서 조임 고정하는 리테이너(58)에 의해 일체화되어 있다.
상기한 제1렌즈(52)와 제2렌즈(54) 사이에는 간격 조절부재(60)가 개재되어 공기 간격을 선택적으로 조절하게 되어 있는 바, 상기 간격 조절부재(60)는 제6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두께가 다른 도너츠 형상의 판상이나, 제7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직경이 다른 링이 다수개 형성되어 렌즈의 성능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하게 되어 있다.
따라서 경통(50)에 제1렌즈(52)를 삽입한 다음, 도너츠 타입의 판상이나 링 등의 간격 조절부재(60)를 개재하여 제2렌즈(54) 및 제3렌즈(56)를 순차적으로 삽입한 후, 리테이너(58)로 조이면 각각의 렌즈(52,54,56)가 경통(50)에 조립되어 그 기능을 실현할 수 있게 된다.
하지만, 각각의 렌즈(52,54,56)와 경통(50)의 제조 오차를 조립 공정에서 보완하기 힘들기 때문에 이를 극복하지 못할 경우 핀트 조정을 실시하여 그 허용 오차를 만족시킬 수 있는 데, 상기 핀트 조정이 어려운 경우에는 경통(50)에 조여진 리터이너(58)를 풀고, 제3렌즈(56) 및 제2렌즈(54)를 해체한 다음 간격 조절부재(60)의 두께가 다른 것으로 교환하여 재조립을 해야 하기 때문에 작업성이 저하됨과 아울러 최적 상태의 공기 간격을 조절할 수 없기 때문에 2배 또는 3배 줌 렌즈의 뒷초점거리의 변화가 허용 오차의 한계 보다 크게 발생되어 배율 및 소형화에 영향을 주는 등의 렌즈의 성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내포되어 있다.
[발명의 요약]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경통에 조립된 렌즈를 분리하지 않고 외부에서 렌즈의 공기 간격을 최적의 상태로 조정 가능하게 함으로써, 렌즈의 성능을 향상시킴과 아울러 핀트의 조정을 정확하게 실현할 수 있는 렌즈의 공기 간격 조절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실현하기 위해 본 발명은, 전방에 턱이 형성됨과 아울러 직경이 다르게 형성된 제1,2안착 홀이 형성된 경통과; 상기한 경통의 턱에 의해 지지되고, 제1안착 홀에 배치된 제1렌즈와; 상기한 제1렌즈와 소정 거리 이격되어 제1안착 홀에 배치되는 제2렌즈와, 상기한 제1,2렌즈간의 공기 간격을 유지시키는 탄성부재와; 상기한 제1,2렌즈가 배치되는 직경보다 큰 제2안착 홀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배치됨과 아울러 제2렌즈의 후단부 가장자리에 접촉된 제3렌즈와; 상기한 제3렌즈의 후단부 가장자리를 감싸고, 경통의 외주면에 조임 설치됨과 아울러 제1,2렌즈 간의 공기간격을 조절하는 리테이너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렌즈의 공기 간격 조절장치를 제공한다.
상기한 탄성부재는 압축 스프링이 적용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한 탄성부재는 웨이브 타입 또는 탄성편이 형성된 판 스프링이 적용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탄성부재는 경통에 형성된 탄성 돌기가 적용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탄성 돌기는 탄성력의 작용이 확실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제2렌즈와 접촉되는 면 쪽으로 경사지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공기 간격 조절장치는, 경통의 제1안착 홀에 제1렌즈를 삽입 배치한 다음, 탄성부재를 개재하여 제2렌즈 및 제3렌즈를 순차적으로 삽입 배치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경통에 제공되는 리테이너를 조이면, 각각의 렌즈의 조립이 완료됨과 동시에 렌즈의 성능 저하가 초래되지 않도록 상기 리테이너를 적당한 상태로 조임으로써, 제2렌즈는 탄성부재의 탄성력을 극복하고 슬라이드 이동됨에 따라 제1렌즈와의 공기 간격을 최적의 상태로 조절할 수 있게 됨으로써, 렌즈의 성능이 저하되지 않게 되어 2배 또는 3배 줌 렌즈에 적용되는 경우 뒷초점거리의 변화가 허용 오차의 한계를 만족시킬수 있게 된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 발명에 의한 제1실시예의 공기 간격 조절장치의 측단면도로서, 경통(1)의 전방에 형성된 턱(3)에 지지되고, 제1안착 홀(5)에 제1렌즈(7)가 배치되어 있다.
상기한 제1안착 홀(5)의 후방부(5a)에 배치됨과 아울러 제1렌즈(7)와 소정거리 이격되어 제2렌즈(9)가 슬라이드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1,2렌즈(7)(9) 사이에는 이들의 공기 간격을 유지시켜 주는 탄성부재(11)가 탄발 설치되고 있는 바, 상기 탄성부재(11)는 압축 스프링이 적용되어 있다.
또한, 상기한 경통(1)의 제1안착 홀(5) 보다 직경이 크게 형성된 제2안착 홀(13)의 내주면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배치된 제3렌즈(15)는 제2렌즈(9)의 후단부 가장자리와 접촉 설치되어 제1,2렌즈(7)(9)를 지지하도록 하고 있다.
상기한 제3렌즈(15)의 후단부 가장자리를 감싸고, 경통(1)의 외주면에 조임 설치되는 리테이너(17)는 제1,2렌즈(7)(9) 간의 공기 간격을 조절하도록 하고 있는 바, 이는 각 부품들의 제조 공정시 발생되는 허용 오차를 극복하여 렌즈의 성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공기 간격 조절장치는, 경통(1)의 제1안착 홀(5)에 제1렌즈(7)를 삽입 배치한 다음, 탄성부재(11)를 개재하여 제2렌즈(7) 및 제3렌즈(9)를 순차적으로 삽입 배치한다.
이와 같이 각각의 렌즈(7)(9)(15)의 조립이 완료됨과 동시에 렌즈의 성능 저하가 초래되지 않도록 상기 리테이너(17)를 적당한 상태로 조임으로써, 제2렌즈(9)는 탄성부재(11)의 탄성력을 극복하고 슬라이드 이동됨에 따라 제1렌즈(7)와의 공기 간격을 최적의 상태로 조절할 수 있게 됨으로써, 렌즈의 성능이 저하되지 않게 되어 2배 또는 3배 줌 렌즈에 적용되는 경우 뒷초점거리의 변화가 허용 오차의 한계를 만족시킬 수 있게 된다.
제2도 및 제3도는 본 발명에 의한 제2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제2실시예에 관련하는 탄성부재의 사시도로서, 탄성부재(11)가 웨이브 타입의 판스프링 (110) 또는 탄성편(111)이 형성된 판 스프링(112)이 적용됨으로써, 그 작용 효과는 제1실시예와 동일하다.
제4도는 본 발명에 의한 제3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탄성부재(11)가 경통(1)에 형성된 탄성 돌기(113)가 적용되고 있는 데, 상기한 탄성 돌기(113)는 탄성력의 작용이 확실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제2렌즈(9)와 접촉되는 면 쪽으로 경사지게 형성됨으로써, 작용 효과는 제1실시예와 동일하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공기 간격 조절장치는, 경통에 조립된 렌즈를 해체하지 않고 공기 간격을 최적의 상태로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렌즈의 조립에 따른 작업성이 향상되고, 특히 2배 줌 렌즈나 3배 줌 렌즈의 공기 간격의 민감도를 만족시킴으로써, 뒷초점거리의 허용 오차를 만족시켜 렌즈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또한 렌즈의 핀트를 보다 정확하게 맞출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5)

  1. 렌즈 경통과; 상기 렌즈 경통 내에 결합되는 제1렌즈 및 제2렌즈와; 상기 제1렌즈와 제2렌즈 사이의 공기 간격을 유지하기 위하여 상기 제1렌즈와 제2렌즈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탄성부재와; 상기 제1렌즈와 제2렌즈 사이의 공기 간격을 더 크게 또는 더 작게 조정하기 위하여 렌즈 경통에 전, 후 이동이 가능하게 결합되어 조임 또는 풀림에 의하여 상기 제1,2렌즈 중에서 어느 하나의 렌즈가 전진 또는 후진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하는 리테이너;를 포함하는 렌즈의 공기 간격 조절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압축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렌즈의 공기 간격 조절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웨이브 타입 또는 탄성편이 형성되어 있는 판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렌즈의 공기 간격 조절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경통에 형성된 탄성 돌기로 이루어지는 렌즈의 공기 간격 조절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돌기는 탄성력의 작용이 확실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제2렌즈와 접촉되는 면 쪽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렌즈의 공기 간격 조절장치.
KR1019930029032A 1993-12-22 1993-12-22 렌즈의 공기 간격 조절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1002723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29032A KR100272328B1 (ko) 1993-12-22 1993-12-22 렌즈의 공기 간격 조절장치
US08/360,287 US5548450A (en) 1993-12-22 1994-12-21 Device for adjusting air gap between lenses
DE4445773A DE4445773A1 (de) 1993-12-22 1994-12-21 Vorrichtung zum Einstellen eines Luftzwischenraums zwischen Linsen
CN94120787A CN1044158C (zh) 1993-12-22 1994-12-22 用于调整透镜间空气隙的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29032A KR100272328B1 (ko) 1993-12-22 1993-12-22 렌즈의 공기 간격 조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9880A KR950019880A (ko) 1995-07-24
KR100272328B1 true KR100272328B1 (ko) 2001-02-01

Family

ID=193720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29032A Expired - Fee Related KR100272328B1 (ko) 1993-12-22 1993-12-22 렌즈의 공기 간격 조절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5548450A (ko)
KR (1) KR100272328B1 (ko)
CN (1) CN1044158C (ko)
DE (1) DE4445773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7855B1 (ko) * 2000-07-17 2004-07-02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광학 렌즈의 초점 위치 조정 기구를 갖는 광학 렌즈 유닛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54332B2 (ja) 2000-07-17 2007-08-08 株式会社東芝 光学レンズユニット及びカメラモジュール
JP4061936B2 (ja) * 2002-03-22 2008-03-19 コニカミノルタ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撮像装置
US7548374B2 (en) * 2006-06-07 2009-06-16 Genie Lens Technologies, Llc Packaging system providing spatial or focusing gaps between lenticular lenses and paired interlaced images
KR100503036B1 (ko) * 2002-09-27 2005-07-21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프로젝터용 렌즈 배럴 어셈블리
US7522355B2 (en) * 2004-03-31 2009-04-21 Konica Minolta Opto, Inc. Lens uni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DE102004049871B4 (de) * 2004-10-13 2017-05-24 Robert Bosch Gmbh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Objektivaufnahme für ein Objektiv einer Kamera und Kamera für Kraftfahrzeuganwendungen
US7088530B1 (en) * 2005-01-28 2006-08-08 Eastman Kodak Company Passively aligned optical elements
US7457039B2 (en) * 2006-06-07 2008-11-25 Genie Lens Technologies, Llc Lenticular display system with a lens sheet spaced apart from a paired interlaced image
JP4994753B2 (ja) * 2006-09-11 2012-08-08 キヤノン株式会社 レンズユニット及びそれを用いた画像読取装置
FR2907196B1 (fr) * 2006-10-17 2009-05-15 Valeo Vision Sa Dispositif de fixation d'une lentille d'un projecteur elliptique de vehicule automobile sur un support constitutif de ce projecteur
US8253780B2 (en) * 2008-03-04 2012-08-28 Genie Lens Technology, LLC 3D display system using a lenticular lens array variably spaced apart from a display screen
US8102611B2 (en) * 2008-09-26 2012-01-24 Itt Manufacturing Enterprises, Inc. Backlash reducing device for an objective lens assembly
TWI627377B (zh) * 2013-05-23 2018-06-21 信泰光學(深圳)有限公司 瞄準裝置
CN207340018U (zh) * 2016-11-28 2018-05-08 宁波舜宇光电信息有限公司 摄像模组
US11294104B2 (en) 2017-04-03 2022-04-05 Signify Holding B.V. Optical output system and lighting unit comprising the system
DE102020125369A1 (de) * 2020-09-29 2022-03-31 Sick Ag Linsenmodul
KR20220056698A (ko) 2020-10-28 2022-05-06 삼성전기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CN112326610A (zh) * 2020-10-28 2021-02-05 瑞莱生物科技江苏有限公司 一种定量荧光检测光学装置
US12216384B1 (en) 2022-03-22 2025-02-04 Adam Khan Dynamic lens filter and illuminated filter tray assembly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905054A (en) * 1954-07-07 1959-09-22 Sandy B Logan Reading glass and mounting
US3402003A (en) * 1965-04-27 1968-09-17 Ednalite Corp Mount for lens assembly
NL182031C (nl) * 1980-11-06 1987-12-16 Philips Nv Optisch stelsel dat een gekollimeerde lichtbundel levert.
JPH02119601U (ko) * 1989-03-13 1990-09-26
JPH0365110U (ko) * 1989-10-31 1991-06-25
CH681493A5 (ko) * 1991-02-20 1993-03-31 Peter Gerbe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7855B1 (ko) * 2000-07-17 2004-07-02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광학 렌즈의 초점 위치 조정 기구를 갖는 광학 렌즈 유닛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5548450A (en) 1996-08-20
DE4445773A1 (de) 1995-07-13
CN1115859A (zh) 1996-01-31
CN1044158C (zh) 1999-07-14
KR950019880A (ko) 1995-07-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72328B1 (ko) 렌즈의 공기 간격 조절장치
US3897998A (en) Definition correcting device incorporated in a mechanism for the axial adjustment of components of an optical system
US7184227B2 (en) Optical unit, exposure unit and optical devices
US4548481A (en) Variable magnification observation optical device
US8917461B2 (en) Optical device and optical instrument
US5570237A (en) Lens unit cemented at circumference of each of lens elements and optical system including the same
US5914819A (en) Image pickup apparatus having lens holding unit and adjustment mechanism
US4099847A (en) Zoom lens system capable of close-up photography
JPS6223289B2 (ko)
JPH01133014A (ja) ズームレンズの光学系相対移動装置
US4474461A (en) Copying apparatus having a magnification changing function
EP0525523B1 (en) Arrangements for, methods of, and lenses configured to provide thermal compensation in lens element mounts
JPH0443849Y2 (ko)
JP2001343573A (ja) レンズ鏡筒の構造、結像装置、画像読取装置、画像投影装置、画像拡大装置およびレンズ鏡筒の組立方法
US4953958A (en) Variable magnification duplicator lens system
JP7630943B2 (ja) レンズ装置および撮像装置
JP2019152781A (ja) レンズ鏡筒
JP2019133113A (ja) レンズ装置
US20240053577A1 (en) Lens barrel
US4991946A (en) Finite conjugate projection lens system
JPS58158615A (ja) レンズ保持機構
KR100246222B1 (ko) Lcd 프로젝터용 대구경 줌 렌즈
JPH1145853A (ja) 投影露光装置及び投影露光方法
JPH06347681A (ja) レンズ鏡筒
CN116338892A (zh) 一种变焦红外镜头镜片间轴向间隔的装调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R17-X000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7-oth-X000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1-asn-PN2301

T11-X000 Administrative time limit extens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U-3-3-T10-T11-oth-X000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R17-X000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7-oth-X00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7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9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4-asn-PN230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0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4-asn-PN230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1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728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120825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120825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