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270818B1 - 나선형 차단판을 갖는 에어필터용 소켓 및 그 사출금형장치 - Google Patents

나선형 차단판을 갖는 에어필터용 소켓 및 그 사출금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70818B1
KR100270818B1 KR1019970037284A KR19970037284A KR100270818B1 KR 100270818 B1 KR100270818 B1 KR 100270818B1 KR 1019970037284 A KR1019970037284 A KR 1019970037284A KR 19970037284 A KR19970037284 A KR 19970037284A KR 100270818 B1 KR100270818 B1 KR 1002708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spiral
core
air filter
movabl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Lifetim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372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13205A (ko
Inventor
안종길
Original Assignee
안종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종길 filed Critical 안종길
Priority to KR10199700372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70818B1/ko
Publication of KR199900132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32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708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70818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Lifetim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84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provided with safety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1742Mounting of moulds; Mould supports
    • B29C45/1744Mould support plat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26Moulds
    • B29C45/2602Mould construction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40Removing or ejecting moulded articles
    • B29C45/44Removing or ejecting moulded articles for undercut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14Fil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관체의 내경으로 나선형의 이물질 차단판을 갖는 에어필터용 소켓을 제공하여 에어필터장치의 내부로 유입되는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차단하고, 또한 에어필터용 소켓을 사출성형할 수 있는 금형장치를 제공하여 나선형 사출물의 사출성형기술을 파급하므로서 다양한 산업분야에 응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즉, 통체(2) 내경의 중공축(4)을 중심으로 나선형 차단판(3)이 일체로 성형되어 나선형 유도로(3a)를 형성한 에어필터용 소켓(1)을 제공하고, 고정금형(100)과 가동금형(200)으로 대분된 금형장치(A)를 구성하되, 상기 가동금형(200)에는 구동실(202a)을 형성하여 유압실린더(403)에 의해 구동하는 래크(402)와 피니언(400)을 내설하고, 상기 피니언(402)이 회전기어(303)를 회전시켜 회전축(300)상단의 회전코어(301)를 회전시킴으로서 나선형 사출물의 언더컷처리를 용이하게 하고, 상기 회전코어(301)는 120°로 분할된 나선코어(301a, 301b, 301c)로 구성하고 결합링(306)으로 결합하여 일체화하므로서 제작기술을 혁신코져하는 것이다.

Description

나선형 차단판을 갖는 에어필터용 소켓 및 그 사출금형장치
본 발명은 공랭식 엔진탑재 차량(대형 중장비, 전차 등)의 에어필터용 소켓과 그 사출금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랭식 엔진장치를 탑재한 대형 중장비나 전차(戰車) 등의 에어필터장치는 고압으로 공기를 흡인할 시 1,2차 여과블럭을 경유한 청정한 공기를 흡인하는 구조로 된 것인바, 상기 1차 여과블럭에 천설된 다수의 결합공에는 에어필터용 소켓을 결합하여 비교적 직경이 큰 고형물을 걸러주는 역할을 수행하고, 2차 여과블럭에서는 미세한 분진을 여과하여 청정한 공기를 공급하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1차 여과블럭의 고정판에 결합되는 소켓의 구조적 문제점을 집중 개량한 것으로, 종래의 에어필터용 소켓의 통체 내부에는 직경이 큰 이물의 유입을 방지하기 위한 직선형의 차단판이 형성되어 있으나 이는 통체내경 크기의 이물은 차단되나 차단판의 배열간격(120°) 면적보다 작은 직경의 이물은 직선유도로를 통하여 그대로 투입되어 2차 여과블럭의 파손과 막힘현상을 일으켜 에어필터장치의 잦은 고장을 유발하고 공기의 흡인효율을 저하시키는 요인이 되었다.
그리고, 상기 에어필터용 소켓의 사출금형장치는 국내에 전무한 실정에 있는 것으로 전량 수입에 의존하여 막대한 외화손실을 가져오는 것이었다.
본 발명은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종래의 에어필터용 소켓이 갖는 문제점을 해결하고 그 사출금형장치를 제공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소켓의 통체 내부에 형성된 차단판을 120°간격으로 배열하되 차단판을 나선형으로 형성하므로서 큰직경의 이물질이 유도로를 직진하여 2차 여과블럭의 내부로 투입되는 현상을 일소하여 에어필터장치의 잦은 고장을 방지하고 공기흡인 효율을 배가시키고자하는 것이며, 상기 소켓의 내부에 형성된 나선형 차단판을 성형할 수 있는 사출금형장치를 제공함에 있어 회전코어의 합리적인 구성과 함께 성형품(소켓:1)의 언더컷처리를 유압피스톤으로 래크와 피니언을 구동하는 방식으로 제공코져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적인 특징을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제1(a)도는 본 발명중 에어필터용 소켓의 일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제1(b)도는 본 발명중 에어필터용 소켓의 작용을 보인 단면도.
제2도는 에어필터용 소켓을 1차 여과블럭에 결합한 상태도.
제3(a)도는 종래의 에어필터용 소켓을 보인 사시도.
제3(b)도는 종래의 에어필터용 소켓의 작용을 보인 단면도.
제4도는 본 발명중 사출금형장치의 작용과정을 보인 단면도로서,
제4(a)도는 용융수지의 투입전 형체(型締) 상태의 단면도.
제4(b)도는 용융수지의 고화완료 후 형개(型開) 상태의 단면도.
제4(c)도는 성형품(소켓:1)의 취출상태의 단면도.
제4(d)도는 성형품(소켓:1)의 취출완료상태의 단면도.
제5(a), 제5(b)도는 회전축의 구동상태를 보인 평면도.
제6도는 회전코어의 체결상태를 보인 분리사시도.
제7도는 회전코어의 체결상태를 보인 일부절결정면도.
제8도는 제7도의 B-B선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소켓 2 : 통체
2a : 삽입환턱 2b : 파지부
3 : 나선형 차단판 3a : 나선형 유도로
4 : 중공축 5 : 직선형 차단판
5a : 직선형 유도로 6 : 에어필터장치
7 : 1차 여과블럭 7a : 결합공
8 : 2차 여과블럭 A : 금형장치
100 : 고정금형 101 : 고정취부판
102 : 런너취출판 103 : 고정형판
200 : 가동금형 201 : 가동취부판
202 : 스페이스블럭 203 : 가동형판
204 : 스트리퍼판 205 : 사이드코어
206 : 유압실린더 207 : 안치대
208 : 유압실린더 209 : 스톱퍼
210 : 캐비티 300 : 회전축
301 : 회전코어 301a, 301b, 301c : 나선코어
302 : 삽입돌기 303 : 회전기어
304 : 삽입공 305 : 체결핀
306 : 결합링 400 : 피니언
401 : 축봉 402 : 래크
403 : 유압실린더 404 : 슬라이더홀더
405 : 보조홀더
제1(a)도는 본 발명중 에어필터용 소켓의 일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제1(b)도는 본 발명중 에어필터용 소켓의 작용을 보인 단면도, 제2도는 에어필터용 소켓을 1차 여과블럭에 결합한 상태도를 각각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에어필터용 소켓(a)의 구성을 먼저 살펴보면, 통체(2) 일측 단부에 삽입환턱(2a)과 파지부(2b)가 형성되고, 통체(2) 내측에는 중공축(4)을 중심으로 120°간격으로 직선형 차단판(5)이 일체로 성형되어 직선형 유도로(5a)를 갖는 통상의 에어필터용 소켓(1)(제3(a)도, 제3(b)도 참조)에 있어서, 상기 통체(2) 내경의 중공축(4)을 중심으로 나선형 차단판(3)이 일체로 성형되어 나선형 유도로(3a)를 형성하여서 된 것이다.
상기 나선형 차단판(3)은 120°의 간격으로 배열함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나선형 차단판(3)이 통체(2)와 일체로 성형되어 나선형 유도로(3a)가 형성된 것에 특징이 있는 본 발명의 에어필터용 소켓(1)의 작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즉, 에어필터장치(6)의 내부에 마련된 1차 여과블럭(7)의 결합공(7a)에 소켓(1)의 삽입환턱(2a)을 삽입고정하면 간단히 소켓(1)의 설치가 완료되고 중장비 등의 엔진이 가동되면 외부공기가 에어필터장치(6)를 경유하여 엔진의 내부로 흡인된다. 이때 작업지역의 환경조건에 의해 발생하는 분진과 각종 이물질(대소의 고형물, 진흙, 먼지 등)이 에어필터용 소켓(1)의 통체(2)내부로 유입되는바, 통체(2)내부로 유입된 미세분진과 공기는 나선형 유도로(3a)를 통과하여 2차 여과블럭(8)으로 유입되고, 비교적 큰 직경의 이물질은 나선형 차단판(3)의 차단막(제1(b)도 참조)효과로 나선형 유도로(3a)를 통과하지 못하므로서 소켓(1)내부에 잔류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에어필터장치(6)의 장치의 상세한 내부구성과 엔진의 작동으로 외부공기가 유입되어 에어필터장치(6)의 1,2차 여과블럭(7,8)을 경유하여 엔진내부로 유입되는 과정은 극히 일반적인 널리 알려진 기술내용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키로 한다.
상기와 같이 소켓(1)내부에 잔류하는 이물질의 제거는 1차 여과블럭(7)을 에어필터장치(6)로부터 분리하여 에어분사 등의 방법으로 제거하면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나선형 차단판(3)을 갖는 에어필터용 소켓(1)을 사출성형하기 위한 금형장치(A)의 구성과 작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사출성형기(도시생략)의 고정설치판에 결합되는 고정금형(100)과 상기 사출성형기의 가동설치판에 결합되는 가동금형(200)으로 대분되는 사출금형장치(A)를 구성함에 있어서, 사출성형기의 고정설치판(도시생략)에 취부되는 고정취부판(101)과 스프루부시(101b)의 런너를 취출하는 런러취출판(102) 및 상코어(103a)가 결합되는 고정형판(103)을 순차적으로 결합하여 고정금형(100)을 구성한다.
상기 사출성형기의 가동설치판(도시생략)에 취부되는 가동취부판(201)이 마련되고, 상기 가동취부판(201)의 상측에는 스페이스블럭(202)이 입설되며, 상기 스페이스블럭(202)의 상단에는 가동형판(203)을 안치하고, 체결볼트(201a)로서 가동취부판(201)과 스페이스블럭(202) 및 가동형판(203)을 체결하여 가동금형(200)을 구성하되, 상기 가동형판(200)의 상단에는 상주면에 단턱(204a)이 돌설되고 사방에 정지홈(204b)이 요설되며 축공(309)이 천설된 스트리퍼판(204)을 안치하고 상기 정지홈(204b)에 스토퍼(209)를 삽입하여 가동형판(203)에게 체결한다.
상기 스트리퍼판(204)의 양측면에는 유압실린더(206)가 안치고정된 안치대(207)를 마련하여 고정볼트(207a)로서 결합하며, 상기 스트리퍼판(204)의 상측에는 캐비티(210)가 형성된 1쌍의 사이드코어(205)를 각각 안치하되 캐비티(210)타측에는 유압실린더(208)의 로드(208a)단부에 결합된 푸싱헤드(208b)가 삽입되는 결림요구(205a)가 요설되고 저면에는 스트리퍼판(204)의 단탁(204a)에 걸림되어 사이드코어(205)의 이동거리를 제한하는 걸림홈(205b)이 요설된다.
한편, 스페이스블럭(202)에 의해 마련된 구동실(202a)에는 스트리퍼판(204)을 승강시키는 유압실린더(206)를 내설하고, 가동형판(203)에 고정볼트(404a, 405a)로서 슬라이더홀더(404)와 보조홀더(405)를 각각 체결하여 안내홈(404b)을 형성하며, 안내돌기(402b)가 형성되고 일측에 걸림요구(402a)가 요설된 래크(402)를 상기 슬라이드홀더(404)의 안내홈(404b)에 슬라이딩되도록 삽입한다.
상기 래크(402)의 걸림요구(402a)에는 유압실린더(403)의 로드(403a)단부에 결합된 푸싱헤드(403b)를 삽입하되 상기 유압실린더(403)는 가동형판(203)의 일측에 마련된 안치대(2403c)상에 체결고정토록 하고, 상기 래크(402)에 피니언(400)을 접설하되 피니언(400)은 양단이 가동형판(203)과 가동취부판(201)에 축지된 축봉(401)에 의해 회전자재토록한다.
상기 가동금형(200)에 수직관통된 축공(309)에는 회전축(300)을 삽설하되 일단은 피니언(400)과 접설되는 회전기어(303)를 마련하여 가동취부판(201)에 축지하고, 타단은 회전코어(301)를 체결하여 사이드코어(205)의 캐비티(210)내에 삽입토록한다.
상기 회전축(300)의 일단에 삽입되는 회전코어(301)는 120°로 분할된 나선코어(301a, 301b, 301c)로 구성된 것으로, 체결공(302a)이 천설된 삽입돌기(302)를 형성한 나선코어(301a, 301b, 301c)를 결합링(306)으로서 결합하여 일체화하고, 회전축(300)의 삽입공(304)에 삽지하여 체결핀(305)으로서 체결고정하며, 회전코어(301)를 관통하는 중공부(308)에는 코어핀(310)을 삽입하여서 된 것이다.
상기 체결핀(305)은 나선코어(301a)와 나선코어(301b)를 체결하고 나선코어(301b)와 나선코어(301c)를 각각 체결하는 것이다.
도면중 미설명부호 101a는 로케이트링, 104는 서포트핀, 105는 런러취출봉, 211은 가이드핀을 나타낸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사출성형 금형장치(A)의 작용을 살펴보면, 사출성형기에 통상적인 체결방법으로 체결된 고정금형(100)과 가동금형(200)은 용융수지가 금형장치(A) 내부로 투입되기 전 제4(a)도와 같이 형체(型締) 상태로 작동되고, 용융수지는 사출성형기의 노즐(도시생략)로부터 고압으로 주입되어 상코어(103a)내부에 형성된 게이트(부호생략)로 진입하여 캐비티(210)내부로 충진된다.
상기와 같은 일반적인 작용에 의해 캐비티(210)내부에 충진된 용융수지의 고화가 완료되면 제4(b)도와 같이 사출성형기의 작동으로 고정금형(100)과 가동금형(200)은 분리되어 형개(型開)상태로 유지되고, 제4(c)도와 같이 구동실(202a)에 마련된 유압실린더(206)의 로드(206a)의 작동으로 스트리퍼판(204)은 상승하고, 이와 동시에 제5(a)도, 제5(b)도와 같이 가동형판(203)에 설치된 유압실린더(403)가 작동하여 래크(402)를 구동하면 래크(402)와 접설된 피니언(400)이 회전하고, 상기 피니언(400)과 접설된 회전기어(303)가 회전하여 회전축(300)이 회동을 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과정에서 스트리퍼판(204)의 상승진행과 회전축(300)의 회동이 동시에 이루어지므로 성형품(소켓:1)의 언더컷처리는 원활히 이루어지는 것이다.
상기 스트리퍼판(204)은 상승을 진행하면서 정지홈(204b)에 삽입된 스톱퍼(209)에 의해 상승을 멈추게 되고, 회전축(300)의 회전코어(301)가 성형품(소켓:1)으로부터 이탈되어 언더컷처리가 완료되고, 제4(d)도와 같이 스트리퍼판(204)의 안치대(207)에 안치된 유압실린더(208)의 작동으로 사이드코어(205)는 걸림요구(205a)에 걸림된 로드(208a)의 푸싱헤드(208b)에 의해 슬라이딩되어 개방되므로서 성형품(소켓:1)의 취출이 완료되는 것이다.
상기 성형품(소켓:1)의 나선형 차단판(3)은 회전코어(301)에 의해 성형되는 것으로, 상기 회전코어(301)는 제6도와 같이 각각 독립적으로 분할(120°간격)구성된 나선코어(301a,301b,301c)를 결합링(306)으로 체결하므로서 나선홈(307)이 형성되어 상기 나선형 차단판(3)을 성형하는 캐비티부(부호생략)가 되는 것이며, 회전코어(301)의 삽입돌기(302)를 회전축(300)의 삽입공(304)에 삽지하여 체결핀(305)(제8도 참조)으로서 간단히 고정체결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상세히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에어필터용 소켓(1)의 통체(2) 내부에 성형된 나선형 차단판(3)의 차단막효과로 에어필터장치(6)의 내부로 유입되는 큰직경의 이물질의 투입을 공기의 최초 흡입과정에서 근원적으로 차단하므로서 에어필터장치(6)의 내부 파손을 방지하고, 공기의 흡인효율을 배가시키게 되는 것이며, 상기 에어필터용 소켓(1)과 유사 성형품의 내측 나선성형부의 언더컷처리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한 금형장치(A)를 제공하므로서 국내 금형기술향상과 함께 수입대체로 인한 경제적 실익을 득할 수 있는 등 그 기대되는 가치가 다대한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본 발명은 관체의 내경으로 나선형의 이물질 차단판을 갖는 에어필터용 소켓을 제공하므로서 험한 지형을 운행, 작업하는 대형 중장비나 전차(戰車)등의 에어필터장치의 1차 여과블럭에서 진흙이나 비교적 큰 직경의 이물질 유입을 효과적으로 차단하고, 또한 에어필터용 소켓을 사출성형할 수 있는 금형장치를 제공하여 나선형 사출물의 사출성형기술을 파급하므로서 다양한 산업분야에 응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Claims (3)

  1. 통체(2) 일측 단부에 삽입환턱(2a)과 파지부(2b)가 형성되고, 통체(2) 내측에는 중공축(4)을 중심으로 120°간격으로 직선형 차단판(5)이 일체로 성형되어 직선형 유도로(5a)를 갖는 통상의 에어필터용 소켓(1)에 있어서, 상기 통체(2) 내경의 중공축(4)을 중심으로 나선형 차단판(3)이 일체로 성형되어 나선형 유도로(3a)를 형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필터용 소켓.
  2. 나선형 차단판(3)을 갖는 에어필터용 소켓(1)을 사출성형하기 위한 금형장치(A)를 구성함에 있어서, 사출성형기의 고정설치판에 취부되는 고정취부판(101)과 스프루부시(101b)의 런너를 취출하는 런러취출판(102) 및 상코어(103a)가 결합되는 고정형판(103)을 순차적으로 결합하여 고정금형(100)을 구성하고, 상기 사출성형기의 가동설치판에 취부되는 가동취부판(201) 상측에는 스페이스블럭(202)을 입설하여 상단에 체결볼트(201a)로서 가동취부판(201)과 스페이스블럭(202) 및 가동형판(203)을 체결하여 가동금형(200)을 구성하되, 상기 가동형판(203)의 상단에는 상주면에 단턱(204a)이 돌설되고 사방에 정지홈(204b)이 요설되며 축공(309)이 천설된 스트리퍼판(204)을 안치하고 상기 정지홈(204b)에 스토퍼(209)를 삽입하여 가동형판(203)에 체결하고, 상기 스트리퍼판(204)의 양측면에는 유압실린더(206)가 안치고정된 안치대(207)를 고정볼트(207a)로서 결합하며, 상기 스트리퍼판(204)의 상측에는 캐비티(210)가 형성된 1쌍의 사이드코어(205)를 각각 안치하되 캐비티(210)타측에는 유압실린더(208)의 로드(208a)단부에 결합된 푸싱헤드(208b)가 삽입되는 결림요구(205a)가 요설되고 저면에는 스트리퍼판(204)의 단턱(204a)에 걸림되어 사이드코어(205)의 이동거리를 제한하는 걸림홈(205b)을 요설하며, 상기 스페이스블럭(202)의 구동실(202a)에는 스트리퍼판(204)을 승강시키는 유압실린더(206)를 내설하고, 가동형판(203)에 고정볼트(404a, 405a)로서 슬라이더홀더(404)와 보조홀더(405)를 각각 체결하여 안내홈(404b)을 형성하며, 안내돌기(402b)가 형성되고 일측에 걸림요구(402a)가 요설된 래크(402)를 상기 슬라이드홀더(404)의 안내홈(404b)에 슬라이딩되도록 삽입하고, 상기 래크(402)의 걸림요구(402a)에는 유압실린더(403)의 로드(403a)단부의 푸싱헤드(403b)를 삽입하되, 상기 유압실린더(403)는 가동형판(203) 일측의 안치대(403c)상에 체결고정토록 하고, 상기 래크(402)에 피니언(400)을 접설하되, 피니언(400)은 양단이 가동형판(203)과 가동취부판(201)에 축지된 축봉(401)에 의해 회전자재토록 하며, 상기 가동금형(200)에 수직관통된 축공(309)에는 회전축(300)을 삽설하되 일단은 피니언(400)과 접설되는 회전기어(303)를 마련하여 가동취부판(201)에 축지하고, 타단은 회전코어(301)를 체결하여 사이드코어(205)의 캐비티(210)내에 삽입토록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금형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300)의 일단에 삽입되는 회전코어(301)는 120°로 분할된 나선코어(301a,301b,301c)로 구성하되, 체결공(302a)이 천설된 삽입돌기(302)를 형성한 나선코어(301a,301b,301c)를 결합링(306)으로서 결합하여 일체화하고, 회전축(300)의 삽입공(304)에 삽지하여 체결핀(305)으로서 체결고정하며, 회전코어(301)를 관통하는 중공부(308)에는 코어핀(310)을 삽입하되 상기 체결핀(305)은 나선코어(301a)와 나선코어(301b)를 체결하고 나선코어(301b)와 나선코어(301c)를 각각 체결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금형장치.
KR1019970037284A 1997-07-30 1997-07-30 나선형 차단판을 갖는 에어필터용 소켓 및 그 사출금형장치 Expired - Lifetime KR1002708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37284A KR100270818B1 (ko) 1997-07-30 1997-07-30 나선형 차단판을 갖는 에어필터용 소켓 및 그 사출금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37284A KR100270818B1 (ko) 1997-07-30 1997-07-30 나선형 차단판을 갖는 에어필터용 소켓 및 그 사출금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3205A KR19990013205A (ko) 1999-02-25
KR100270818B1 true KR100270818B1 (ko) 2000-11-01

Family

ID=195168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37284A Expired - Lifetime KR100270818B1 (ko) 1997-07-30 1997-07-30 나선형 차단판을 갖는 에어필터용 소켓 및 그 사출금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7081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5618B1 (ko) 2008-08-01 2011-01-05 (주)현우기술 사출에 의한 케닉스 믹서의 제조방법
KR102451717B1 (ko) 2022-05-03 2022-10-07 주식회사 에이비파트너스 에어필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5618B1 (ko) 2008-08-01 2011-01-05 (주)현우기술 사출에 의한 케닉스 믹서의 제조방법
KR102451717B1 (ko) 2022-05-03 2022-10-07 주식회사 에이비파트너스 에어필터
KR20230155339A (ko) 2022-05-03 2023-11-10 주식회사 에이비파트너스 에어필터
KR20230155338A (ko) 2022-05-03 2023-11-10 주식회사 에이비파트너스 에어필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3205A (ko) 1999-02-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15500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olding a plastic washing machine basket
CN1076403A (zh) 注塑机
CN114951588B (zh) 一种压铸工艺
DE19727749A1 (de) Seitlich einfahrender Roboter zur Entnahme von geformten Gegenständen
KR100270818B1 (ko) 나선형 차단판을 갖는 에어필터용 소켓 및 그 사출금형장치
DE69416777T2 (de) Spritzgiessmaschine vom vertikalen Typ
DE102006046528A1 (de) Kunststoff-Spritzgußwerkzeug
AT505692B1 (de) Antrieb für eine indexplatte eines spritzgiesswerkzeugs
US5718930A (en) Device for removing cast molded parts
DE10022192A1 (de) Einrichtung zum Entfernen von Spritzgießteilen
DE102005053979A1 (de) Verfahren und Kunststoffspritzvorrichtung zur Herstellung eines Lichtleitkörpers
DE19956190A1 (de) Vorrichtung zur Durchführung einer zweistufigen linearen Bewegung
EP0853537B1 (de) Formschliesseinheit mit einer einrichtung zur entfernung von spritzteilen
KR0138133Y1 (ko) 사출금형의 내측 언더컷 처리장치
DE10302248B3 (de) Spritzgießwerkzeug zum Herstellen von Spritzgußteilen mit Hinterschnitten aus Kunststoffen
DE3239838C2 (de) Schließ- und Ansaugvorrichtung für in einem Angußkanal einer Spritzgießform verbleibende Schmelze
DE10355163A1 (de) Vorrichtung zum Entformen von Teilen aus einem Kunststoffverarbeitungswerkzeug mittels Ultraschall
JP2005066949A (ja) 金型用クリーニング装置及び方法
JPH08258092A (ja) 射出成形装置
KR100203397B1 (ko) 성형제품의 이젝트장치_
EP1480808B1 (de) Schliesseinrichtung an einer kunststoff-spritzgiessmaschine
CN219381406U (zh) 一种管中管模具
CN222290876U (zh) 一种车灯导光条气辅柔性分级脱模机构
JPH0513718U (ja) 射出成形型の成形品突出し機構
KR20230126781A (ko) 인서트사출제품 자동 면취가공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7073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199903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19990628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19990329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PJ0201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Patent event date: 19990728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code: PJ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90628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J02011S01I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Decision date: 20000429

Appeal identifier: 1999101002844

Request date: 19990728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19990728

Effective date: 20000429

PJ1301 Trial decision

Patent event code: PJ13011S01D

Patent event date: 20000503

Comment text: Trial Decision on Objection to Decision on Refusal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 date: 19990728

Decision date: 20000429

Appeal identifier: 1999101002844

PS0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PS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mand of revocation

Patent event date: 20000530

Patent event code: PS07012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00519

Patent event code: PS07011S01I

Comment text: Notice of Trial Decision (Remand of Revoc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0080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0080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3072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080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0808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730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724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728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728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728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01

Year of fee payment: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801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30

Year of fee payment: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730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8

Year of fee payment: 1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728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07

Year of fee payment: 1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807

Start annual number: 16

End annual number: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9

Year of fee payment: 1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809

Start annual number: 17

End annual number: 17

EXPY Expiration of term
PC1801 Expiration of term

Termination date: 20180130

Termination category: Expiration of du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