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70271B1 - Position control system for a movable machine - Google Patents
Position control system for a movable machin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270271B1 KR100270271B1 KR1019970044162A KR19970044162A KR100270271B1 KR 100270271 B1 KR100270271 B1 KR 100270271B1 KR 1019970044162 A KR1019970044162 A KR 1019970044162A KR 19970044162 A KR19970044162 A KR 19970044162A KR 100270271 B1 KR100270271 B1 KR 10027027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late
- sensor
- sets
- moving
- control uni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0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3247 decreasing effect Effects 0.000 abstract 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1065 in-situ storage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20 conduc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1/00—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 G05D1/02—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 G05D1/021—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specially adapted to land vehicles
- G05D1/0212—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specially adapted to land vehicles with means for defining a desired trajectory
-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1/00—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 G05D1/02—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 G05D1/021—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specially adapted to land vehicles
- G05D1/0231—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specially adapted to land vehicles using optical position detect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Warehouses Or Storage Devices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좌우 또는 상하로 이동하는 기계장치가 복수개의 정지위치를 갖는 경우 목표하는 정위치에 정확하게 이동기계장치를 정지시키기 위한 제어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복수개의 위치표시용 불투광성 플레이트와 2조의 플레이트 감지센서를 구비하므로써 목표위치에서 정확한 정위치를 잡을수 있도록 오차를 보정할수 있는 이동기계장치의 정위치 제어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일반적으로 레일이나 컨베이어시스템과 같은 운송시스템상에서 이동대차나 스태커크래인 등과 같은 이동기계장치가 좌우로 이동하면서 목표위치에 정지하여 작업하거나 엘리베이트와 같이 상하로 이동하면서 복수개의 정위치를 갖는 시스템에 있어서는 목표로 하는 지점에 정확히 정위치를 잡는 것이 대단히 중요하다. 따라서, 종래에는 운송시스템의 레일이나 컨베이어시스템상의 소정위치에 직립형의 플레이트를 설치하고 상기 운송시스템의 이동기계장치에 한 개의 말굽형 광전스위치를 부착하므로써 이동기계장치의 정위치 제어를 달성하였다.In general, in a transport system such as a rail or a conveyor system, a moving machine such as a moving truck or a stacker crane moves left and right to stop at a target position, or a system having a plurality of fixed positions while moving up and down like an elevator. It is very important to position it exactly at the point. Therefore, in the related art, the in-situ control of the mobile machinery is achieved by installing an upright plate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n a rail or a conveyor system of the transportation system and attaching a horseshoe type photoelectric switch to the mobile machinery of the transportation system.
이러한 종래의 이동기계장치의 정위치 제어시스템에 대한 일 예가 첨부도면 제1도 및 제2도에 도시되어 있는바, 이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도1은 종래의 이동기계장치의 정위치 제어시스템에 대한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것이고, 도2는 도1에 적용된 플레이트와 플레이트감지 센서를 도시한 것이다.An example of a conventional position control system of a mobile machine is shown in FIGS. 1 and 2 of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ere, FIG. 1 shows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position control system of a conventional mobile machine, and FIG. 2 shows a plate and a plate sensing sensor applied to FIG.
먼저, 도1에 도시된 바와같이 이동기계장치(3)가 이동하는 레일(1)상에는 복수개의 플레이트(2)가 운송시스템의 정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플레이트(2)는 도2에 도시된 것과 같은 형태를 가지는 것으로서 플레이트의 직립형 상부평판은 광을 투과시키지 않는 불투명성의 재질로 이루어진 것이다. 또한, 이동기계장치(3)의 하부의 소정위치에는 말굽형의 광전스위치(4)가 설치되어 있고 이 광전스위치(4)는 도2에서와 같이 투광부(5)와 수광부(6)를 구비하는 것으로서 이동기계장치(3)가 운송시스템을 이동함에 따라 정위치에 설치된 플레이트(2)에 도달하면 플레이트에 의해 광의 전송이 차단되므로써 플레이트를 감지하게 된다.First, as shown in FIG. 1, on the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정위치 제어시스템의 정위치 보정동작은 아래와 같이 기술되는 바, 이를 보다 쉽게 이해하기 위하여 첨부도면 제3도의 플로우챠트를 사용하도록 하겠다. 이동기계장치(3)의 내부에 내장된 전자제어유닛(ECU)의 설정부에 이동기계장치의 방향, 목표위치 및 지연시간이 입력되면 상기 전자제어유닛(ECU)은 설정된 방향과 목표위치에 근거하여 구동모터를 구동하므로써 이동기계장치를 이동시키게 된다.The exact position correcting operation of the exact position control system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is described as follows. In order to more easily understand this, the flowchart of FIG. 3 is used. When the direction, target position, and delay time of the mobile mechanism are input to the setting unit of the electronic control unit (ECU) embedded in the
만약, 설정된 방향이 정방향이고 목표위치가 N이면 이동기계장치는 출발지점을 출발하여 목표위치(N)를 향해 이동하게 되는데 이때 각 정위치에 설정된 위치표시용 플레이트(2)를 통과하게 되면 광전스위치(4)가 작동해서 그 검출신호를 전자제어유닛(ECU)의 감지부에 전달하게된다. 이렇게 감지부에서 감지된 신호는 위치카운터에 의해 카운터된후 전자제어유닛(ECU)의 연산부에 전달되고, 상기 연산부는 이 카운터된 값과 설정된 목표위치를 비교하여 설정값이 더 클 경우에는 속도설정부를 통해 모터를 구동하여 이동기계장치를 정방향으로 계속 이동시킨다.If the set direction is the forward direction and the target position is N, the moving mechanism starts from the starting point and moves toward the target position N. At this time, when passing through the
이러한 감지, 비교, 속도설정의 과정을 반복하면서 이동기계장치가 목표 정위치(N)의 바로 전단계(N-1)에 도달하여 N-1 번째 플레이트에 의해 광전스위치가 작동되면 위치카운터가 N-1을 카운터하게 되고, 전자제어유닛은 속도설정부를 통해 모터의 속도를 줄여 이동기계장치를 감속시킨다. 이렇게 저속으로 움직이던 이동기계장치가 최종적으로 목표위치(N)에 도달하여 N번째로 감지센서가 작동하면 전자제어유닛의 감지부가 이를 감지하여 타이머를 작동시키고 타이머의 작동시간과 설정된 지연시간이 일치할 때 브래이크가 온(ON)됨으로써 이동기계장치는 원하는 목표위치에 정지하게 된다.Repeating this process of sensing, comparing, and setting speed, when the moving mechanism reaches the previous stage (N-1) of the target exact position (N) and the photoelectric switch is operated by the N-1th plate, the position counter becomes N- It counters 1 and the electronic control unit decelerates the moving mechanism by reducing the speed of the motor through the speed setting unit. When the moving mechanism that moves at low speed finally reaches the target position (N) and the Nth detection sensor is operated, the detection unit of the electronic control unit detects it to start the timer and the timer operation time matches the set delay time. When the brake is turned on, the moving mechanism stops at the desired target position.
상술한 종래의 정위치 제어시스템은 한 개의 플레이트 감지센서만을 사용하여 정위치를 감지하기 때문에 플레이트의 너비 L구간내에서는 모두 정지 정위치로 인식되어 오차의 범위가 크다.Since the conventional position control system described above uses only one plate sensor to detect the position, all of the plates are recognized as the stationary position within the width L section of the plate, so the range of error is large.
또한, 종래와 같이 감지센서가 목표위치의 플레이트를 감지한후 일정한 지연시간후에 정지하도록 정위치 제어를 수행하는 것은 이동기계장치의 하중이 변동하는 대차 등에 있어서는 하중에 의한 관성이나 슬립현상으로 인해 미끄럼오차가 발생되어 정확한 정위치를 잡을수가 없다. 또한, 종래기술은 상기와 같은 정위치 제어의 오차가 발생하더라도 이를 인식할수 없어 기구의 파손을 초래할 뿐만아니라 발생된 오차를 보정할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performing the position control so that the sensor stops after a certain delay time after detecting the plate of the target position as in the prior art is slippery due to the inertia or slip phenomenon caused by the load in the bogie in which the load of the moving mechanism changes. An error has occurred and the correct position cannot be obtained. In addition, the prior art has a problem that can not be recognized even if the error of the position control as described above can not be recognized and cause damage to the mechanism as well as can not correct the error.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단일한 플레이트 감지센서를 2조의 정방향 및 역방향 감지센서로 대치하므로써 정위치 제어의 오차범위를 줄이고 오차의 발생을 검출할수 있을 뿐만아니라 발생된 오차를 수정할수 있는 이동기계장치의 정위치 제어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was devised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reduce the error range of the position control by replacing a single plate sensor with two sets of forward and reverse sensor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in-situ control system of a mobile machine that can not only detect the occurrence of an error but also correct the generated error.
또한, 본 발명의 또 하나의 다른 목적은 목표위치에 이동기계장치가 도달된후 발생된 오차를 간단하게 인식하고 이 인식된 오차에 근거하여 정위치를 보정할수 있는 이동기계장치의 정위치 제어방법을 제공함에 있다.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n exact position control method of a mobile machine which can simply recognize the error generated after the mobile machine reaches the target position and correct the correct position based on the recognized error. In providing.
도1은 종래의 이동기계장치의 정위치 제어시스템에 대한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Figure 1 shows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position control system of a conventional mobile machine.
도2는 도1에 적용된 플레이트와 플레이트감지 센서를 도시한 것이다.FIG. 2 illustrates a plate and a plate sensing sensor applied to FIG. 1.
도3는 도1의 시스템에 대한 동작흐름을 플로우챠트로 도시한 것이다.3 shows a flow chart of the operation of the system of FIG.
도4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기계장치의 정위치 제어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Figure 4 shows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n exact position control system of a mobile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5는 도4에 적용된 플레이트와 플레이트감지 센서를 도시한 것이다.FIG. 5 illustrates a plate and a plate sensing sensor applied to FIG. 4.
도6은 도4에 적용된 이동기계장치에 내장된 전자제어유닛(ECU)의 블록구성도를 도시한 것이다.FIG. 6 shows a block diagram of an electronic control unit (ECU) incorporated in the mobile machine apparatus shown in FIG.
도7은 본발명에 따른 이동기계장치의 정위치 제어방법에 대한 플로우챠트를 도시한 것이다.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controlling the position of the mobile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Symbols for Major Parts of Drawings>
12: 위치표시용 플레이트 14: 정방향 감지센서12: Plate for position display 14: Forward direction sensor
18: 역방향 감지센서 20: 전자제어유닛(ECU)18: Reverse direction sensor 20: Electronic control unit (ECU)
21: 설정부 22: 연산부21: setting unit 22: calculating unit
23: 속도설정부 24: 정,역 감지부23: speed setting unit 24: forward, reverse detection unit
25; 정위치 감지부25; Position sensor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어시스템은 복수개의 정지위치를 갖는 운송시스템의 각 정지위치에 직립형의 플레이트를 설치하고, 상기 운송시스템에서 이동하는 이동기계장치의 소정위치에 2조의 플레이트 감지센서를 부착하여 이를 상기 이동기계장치의 전자제어유닛(ECU)에 연결하므로써 상기 2조의 플레이트 감지센서의 검출신호에 따라 정방향 혹은 역방향으로 이동기계장치를 이동시켜 정위치를 보정하므로써 정확한 정위치 제어를 달성할수 있다.The control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to install a plate of the upright type at each stop position of the transport system having a plurality of stop positions, two sets of plates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mobile machine moving in the transport system By attaching a sensor and connecting it to the electronic control unit (ECU) of the mobile device, the exact position is controlled by correcting the position by moving the mobile device in the forward or reverse direction according to the detection signal of the two sets of plate sensors. Can be achieved.
여기서, 상기 직립형의 플레이트는 광을 투과하지 않는 재질로 이루어진 불광투과성 플레이트이다. 또한, 상기 2조의 플레이트 감지센서는 이동기계장치가 이동하는 경로를 따라 순차적으로 역방향 감지센서와 정방향 감지센서를 부착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간격이 플레이트 너비와 동일한 길이를 갖는다.Here, the upright plate is an impermeable plate made of a material that does not transmit light. In addition, the pair of plate detection sensor is made by attaching the reverse direction sensor and the forward direction sensor sequentially along the path that the moving mechanism moves, the interval has the same length as the plate width.
여기서, 상기 정방향 및 역방향 감지센서는 투광부와 수광부를 갖는 말굽모양의 갭형 광전스위치이다.Here, the forward and reverse sensor is a horseshoe-shaped gap photoelectric switch having a light transmitting portion and a light receiving portion.
또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이동기계장치의 정위치 제어방법은 작업자가 이동기계장치의 전자제어유닛(ECU)의 설정부에 목표위치 및 방향을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설정부에서 설정된 방향에 따라 이동기계장치가 운송시스템을 따라 이동하면 그 이동경로를 따라 순차적으로 이동기계장치에 부착된 역방향 및 정방향 감지센서가 각 정지위치에 설치된 플레이트를 감지하여 그 검출신호를 전자제어유닛의 감지부에 전달하므로써 위치 카운터를 하나씩 증가시키는 단계와, 상기 위치카운터가 목표위치(N) 바로 전단계(N-1)를 가리키면 전자제어유닛의 속도설정부가 이동기계장치를 저속으로 감속하는 단계와, 저속으로 이동하던 이동기계장치가 목표위치(N)에 근접하게 되면 전자제어유닛의 정위치 감지부가 2조의 플레이트 감지센서의 동작상태 여부를 체크하는 단계와, 상기에서 체크된 정방향 및 역방향 감지센서의 동작상태에 근거하여 전자제어유닛이 정방향 및 역방향으로 미세하게 정지위치를 보정하는 단계 및 목표위치(N)에서 정방향 및 역방향 감지센서가 모두 온상태이면 전자제어유닛의 연산부가 브래이크를 작동시켜 이동기계장치를 정지시키는 단계로 이루어진다.In addition,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osition control method of the mobile machine to the operator setting the target position and the direction to the setting unit of the electronic control unit (ECU) of the mobile machine, and the direction set by the setting unit When the moving mechanism moves along the transportation system, the reverse and forward detection sensors attached to the moving mechanism sequentially follow the moving path to detect the plates installed at each stop position, and the detection signal of the electronic control unit Increasing the position counter one by one, and when the position counter indicates the previous position (N-1) just before the target position (N), the speed setting unit of the electronic control unit decelerates the moving mechanism at low speed, and at low speed. When the moving mechanism moves closer to the target position (N), the position detection part of the electronic control unit operates the two sets of plate detection sensors. Checking whether the electronic control unit finely stops the forward and reverse directions based on the operation state of the forward and reverse detection sensors checked above, and the forward and reverse detection sensors at the target position (N). When all of the state is on, the operation unit of the electronic control unit is to operate the brake to stop the moving mechanism.
여기서, 목표위치(N)에서 체크된 상기 2조의 플레이트 감지센서의 동작상태가 역방향 감지센서가 온(ON)이고 정방향 감지센서가 오프(OFF)이면 정방향으로 이동기계장치를 이동시켜 정위치를 보정하고, 반대로 역방향 감지센서가 오프(OFF)이고 정방향 감지센서가 온(ON)이면 역방향으로 이동기계장치를 이동시켜 정위치를 보정한다.Here, when the operation state of the two sets of plate detection sensor checked at the target position (N) is the reverse detection sensor is ON and the forward detection sensor is OFF, the mobile device is moved in the forward direction to correct the correct position. On the contrary, if the reverse direction sensor is OFF and the forward direction sensor is ON, the mobile device is moved in the reverse direction to correct the correct position.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정위치 제어시스템에 따른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첨부도면 제4도 내지 제6도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When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ures 4 to 6 the preferre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osition control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as follows.
여기서,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기계장치의 정위치 제어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것이고, 도5는 도4에 적용된 플레이트와 플레이트감지 센서를 도시한 것이며, 도6은 도4에 적용된 이동기계장치에 내장된 전자제어유닛(ECU)의 블록구성도를 도시한 것이다.4 shows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n exact position control system of a mobile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5 shows a plate and a plate sensing sensor applied to FIG. 4, and FIG. 6 is applied to FIG. A block diagram of an electronic control unit (ECU) embedded in a mobile machine is shown.
도4에서와 같이 스태커크래인(13)은 운송레일(11)에서 이동하면서 작업지점에 정지하여 하역 등의 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이때 상기 운송레일(11)상에는 복수개의 위치표시용 플레이트(12)가 각 작업지점의 정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위치표시용 플레이트(12)는 도5에 도시된 것과 같이 너비 L을 가지고 수직으로 직립한 상판과 상기 상판을 지지하는 하판으로 이루어지는데 상기 상판은 광이 투과되지 않는 불투명성의 얇은판으로서 광의 전송을 방해하는 역할을 하고, 상기 하판은 상판을 지지하여 운송레일상에 플레이트를 부착시키는 역할을 하게된다.As shown in FIG. 4, the
이러한 플레이트(12)는 도4에서와 같이 운송레일(11)상의 각 작업지점에 설치되어 스태커크래인(13)의 이동에 방해되지 않으면서 아래에 기술될 말굽형 광전스위치(14, 18)의 전송광을 차단하여 작업지점의 위치를 감지시키는 위치표시용 플레이트이다. 상기한 플레이트(12)의 너비는 일률적으로 정해지는 것은 아니며 이동기계장치의 종류와 작업환경에 따라 적절히 선택되는 것으로서 반드시 상술한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도4에 도시된 2조의 플레이트 감지센서(14, 18)는 스태커크레인(13)의 하부에 적절히 배치되는 것으로서 스태커크레인(13)의 진행방향을 기준으로 전방에 역방향 감지센서(18)를 후방에 정방향 감지센서(14)를 설치한다.Such a
여기서, 상기 역방향 및 정방향 감지센서의 설치 간격은 플레이트의 너비와 동일하거나 조금 작도록 한다. 도5와 같이 상기한 역방향 및 정방향 감지센서(18, 14)는 말굽형으로 생긴 광전스위치로서 그 양단끝에는 광을 투사하는 투광부(15)와 광을 받아들이는 수광부(16)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말굽형 감지센서(18, 14)의 상단에는 이동기계장치의 전자제어유닛(ECU)과 감지센서를 연결하는 연결도선(17)이 부착되어 감지센서가 검출한 신호를 도6에 도시된 전자제어유닛(ECU)의 감지부(26, 27)에 전달한다. 상기 감지센서는 평소에는 투광부(15)에서 수광부(16)로 광이 원활하게 전송되나 이동기계장치가 정위치에 도달하면 상기한 위치표시용 플레이트(12)가 감지센서의 전송광을 차단하게 되어 작동하게 된다.Here, the installation interval of the reverse and forward sensors are to be equal to or slightly smaller than the width of the plate. As shown in FIG. 5, the reverse and
따라서, 이동기계장치가 운송레일(11)을 따라 이동하면 각 정위치에서 감지센서가 작동하게 되고 이에따라 전자제어유닛(ECU)은 이동기계장치가 현재 운송레일(11)상의 어느 지점에 도달하였는지를 알수있게 된다.Therefore, when the moving mechanism moves along the
상술한 것은 이동기계장치가 좌우로 이동하는 스태커크래인(13)인 경우를 상정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동대차 뿐만아니라 상하로 이동하는 엘리베이터에도 적용할수 있음은 물론이다.The above description assumes the case of the
상기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정위치 제어시스템의 동작 및 작용을 첨부도면 제6도 및 제7도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The operation and action of the position control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6 and 7 of the accompanying drawings.
스태커크래인(13)이 운송레일(11)상의 출발지점을 출발하기에 앞서 스태커크래인(13)의 전자제어유닛(ECU)(20)의 설정부(21)에는 작업자에 의해 혹은 원격제어장치에 의해 설정된 목표위치 및 이동방향이 입력된다. 여기서는 설정된 목표위치와 이동방향이 각각 N 및 정방향인 경우를 상정하도록 한다. 설정부(21)에 목표위치(N)와 정방향이 입력되면 설정된 이동방향에 따라 구동모터(28)가 구동되어 스태커크래인(13)이 운송레일(11)상을 이동하게 된다. 스태커크래인(13)이 이동하면 스태커크래인의 하부에 부착된 2조의 플레이트 감지센서(18, 14)가 각 정위치 지점에 설치된 위치표시용 플레이트(12)를 감지하게 된다.Before the
이때 상기 2조의 플레이트 감지센서는 역방향 및 정방향 감지센서(18, 14)로 이루어지는바, 2조의 감지센서가 모두 온(ON)상태가 되면 그 검출신호가 각기 전자제어유닛(20)의 정방향 및 역방향 센서감지부(27, 26)로 입력된후 정역감지부(24)를 거쳐 연산부(22)에 입력되므로써 위치카운터(도면에 미도시)가 카운터된다.At this time, the two sets of plate detection sensors are composed of the reverse direction and the forward
이와같이, 각각의 위치표시용 플레이트(12)를 통과할 때 마다 상기한 과정이 반복되어 위치카운터의 카운터값은 증가되고 스태커크래인(13)이 설정된 목표위치(N)의 바로 전단계 지점(N-1)에 도달하면 그 정위치에 설치된 (N-1)번째 위치표시용 플레이트(12)를 2조의 플레이트 감지센서(18, 14)가 감지하여 이를 전자제어유닛의 연산부(22)에 전달하므로써 위치카운터는 C=N-1을 카운터 하게된다. 이때, 전자제어유닛의 연산부(22)는 속도설정부(23)를 통해 저속의 속도를 설정하여 구동모터(28)를 감속 제어하므로서 스태커크래인(13)의 속도를 줄인다. 이렇게 저속으로 이동하던 스태커크래인(13)이 목표위치에 도달하게 되면 2조의 감지센서(18, 14)에서 검출된 신호는 전자제어유닛의 정역감지부(24)로 전달되지 않고 정위치감지부(25)로 전달되어 정위치 보정제어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As described above, the above process is repeated every time the
즉, 역방향 감지센서(18)가 온(ON)되고 정방향 감지센서(14)는 오프(OFF)상태가 되면 스태커크래인(13)이 목표지점의 정위치로 진입하는 단계이므로 전자제어유닛의 연산부(22)는 속도설정부(23)를 통해 구동모터(28)를 정방향으로 구동 제어하므로써 스태커크래인을 정방향으로 이동시킨다. 반면에, 역방향 감지센서(18)는 온(ON)상태이고 정방향 감지센서(14)가 오프(OFF)상태이면 스태커크래인(13)이 정위치를 지나친 것이므로 전자제어유닛의 연산부(22)는 속도설정부를 거쳐구동모터(28)를 역방향으로 구동 제어하므로써 스태커크래인(13)을 역방향으로 이동시킨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작업이 반복되는 과정에서 역방향 및 정방향 감지센서(18, 14)가 모두 온(ON)상태가 되면 이는 스태커크래인(13)이 정위치에 정확히 도달한 것을 나타내므로 전자제어유닛의 연산부(22)는 브래이크(29)를 작동시켜 구동모터(28)의 구동을 차단하여 스태커크래인(13)을 정지시킴으로써 정위치 제어를 완료하게 된다.That is, when the
상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개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여기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disclosed to aid the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possible, of course, within the scope of equivalents of the claims to be described.
상술한 구성 및 작용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기계장치의 정위치 제어시스템은 2조의 플레이트 감지센서를 통해 정확히 정위치를 감지하므로써 오차범위를 최소화 할수 있을 뿐만아니라 오차의 발생을 인식하고 이를 간단하게 보정하므로써 오차로 인한 이동기계장치의 파손을 방지할수 있다.The exact position control system of the mobile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and action can not only minimize the error range but also recognize the occurrence of the error by simply detecting the exact position through two sets of plate sensors. By correcting,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breakage of mobile machinery due to errors.
Claims (1)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970044162A KR100270271B1 (en) | 1997-08-30 | 1997-08-30 | Position control system for a movable machin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970044162A KR100270271B1 (en) | 1997-08-30 | 1997-08-30 | Position control system for a movable machin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9990020694A KR19990020694A (en) | 1999-03-25 |
KR100270271B1 true KR100270271B1 (en) | 2000-10-16 |
Family
ID=195200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970044162A Expired - Fee Related KR100270271B1 (en) | 1997-08-30 | 1997-08-30 | Position control system for a movable machin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270271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395212B1 (en) * | 2001-03-27 | 2003-08-21 | 주식회사 포스코 | Device for recognizing the working position of transfer vehicle and stopping transfer vehicle |
CN116164640A (en) * | 2022-12-30 | 2023-05-26 | 苏州江泓电子科技有限公司 | A Photoelectric Sensing Soft Limit Detection Device Based on Heavy Motion Mechanism |
-
1997
- 1997-08-30 KR KR1019970044162A patent/KR100270271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9990020694A (en) | 1999-03-2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0395167C (en) | Elevator device | |
US7426424B2 (en) | Moving body system | |
KR100270271B1 (en) | Position control system for a movable machine | |
GB1584992A (en) | Control and monitoring apparatus for positioning a load-handling vehicle | |
KR102474188B1 (en) | Mulberry cotton manufacturing apparatus | |
KR102277215B1 (en) | Method of controlling operations of transport vehicle | |
KR20000044028A (en) | Error perceiving apparatus of moving machine | |
KR200221223Y1 (en) | Device for preventing strip from deviating of line | |
CA1176733A (en) | Positioning control device | |
JP2577886B2 (en) | Travel control device of transfer device | |
KR940001661Y1 (en) | Strip feed line stop device | |
CN222820887U (en) | A continuous and precise positioning device for electric furnace moving cloth belt | |
JPH09179610A (en) | Method for controlling conveyer | |
JP2577885B2 (en) | Travel control device of transfer device | |
KR100246525B1 (en) | Home position speed control device and method | |
JPH068102Y2 (en) | Carrier | |
JP2600894B2 (en) | How to protect encoders for unmanned vehicles | |
KR100851145B1 (en) | Apparatus for switching and position compensation of crane position detector | |
JP3308805B2 (en) | Traveling speed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for moving machine for coke oven operation | |
JP2515878Y2 (en) | Substrate spacing adjustment device | |
JP3264144B2 (en) | Stop control method of coke oven moving machine | |
JPS63228636A (en) | Wafer transfer apparatus | |
KR200148017Y1 (en) | Parking position control device in palletless parking facility | |
KR0125983Y1 (en) | Unmanned Carrier Control System Using Dotted Driving Guidelines | |
JPH06156626A (en) | Positioning method for carrier and its devic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70830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70830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1999112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00527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0072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00073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30708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3070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