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269597B1 - 반도체 메모리 - Google Patents

반도체 메모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69597B1
KR100269597B1 KR1019970021681A KR19970021681A KR100269597B1 KR 100269597 B1 KR100269597 B1 KR 100269597B1 KR 1019970021681 A KR1019970021681 A KR 1019970021681A KR 19970021681 A KR19970021681 A KR 19970021681A KR 100269597 B1 KR100269597 B1 KR 1002695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mory cell
cell array
word line
data
bi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216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85566A (ko
Inventor
전영현
김태형
Original Assignee
김영환
현대반도체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환, 현대반도체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영환
Priority to KR10199700216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69597B1/ko
Priority to US08/943,251 priority patent/US5883848A/en
Priority to DE19807014A priority patent/DE19807014B4/de
Publication of KR199800855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855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695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69597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7/00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 G11C7/10Input/output [I/O] data interface arrangements, e.g. I/O data control circuits, I/O data buffers
    • G11C7/1015Read-write modes for single port memories, i.e. having either a random port or a serial port
    • G11C7/1042Read-write modes for single port memories, i.e. having either a random port or a serial port using interleaving techniques, i.e. read-write of one part of the memory while preparing another part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7/00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11/0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 G11C11/005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comprising combined but independently operative RAM-ROM, RAM-PROM, RAM-EPROM ce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Dra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반도체 메모리에 관한 것으로, 다수개의 메모리 셀을 구비한 제 1 메모리 셀 어레이와, 상기 제 1 메모리 셀 어레이와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많은 수의 메모리 셀을 구비한 제 2 메모리 셀 어레이와, 로우 어드레스를 입력받아 이를 디코딩하여 상기 제 1 메모리 셀 어레이외 워드 라인 활성화 신호를 출력하는 제 1 로우 디코더와, 로우 어드레스를 입력받아 이를 디코딩하여 상기 제 2 메모리 셀 어레이의 워드 라인 활성화 신호를 출력하는 제 2 로우 디코더와, 컬럼 어드레스를 입력받아 이를 디코딩하여 상기 제 1 메모리 셀 어레이 및 상기 제 2 메모리 셀 어레이의 비트 라인 선택 신호를 출력하는 컬럼 디코더와, 상기 비트 라인 선택 신호를 통하여 선택된 비트 라인에 연결되어 상기 비트 라인의 전위차를 검출하고 이를 증폭하여 하이 레벨 또는 로우 레밸의 이진 논리값을 갖는 데이타가 출력되도록 하고 상기 데이타가 읽혀진 메모리 셀에 상기 데이타와 동일한 데이타를 다시 기록해 넣는 센스 앰프를 포함하여 이루어져서, 워드 라인이 활성화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감소시켜 전체적인 데이타 출력 속도를 향상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반도체 메모리
본 발명은 반도체 메모리에 관한 것으로, 특히 워드 라인 활성화 시간을 단축하여 데이타 출력 속도를 향상시킨 반도체 메모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컴퓨터 시스템이나 기타 프로그램 구동 방식의 시스템에서 필수적으로 사용되는 반도체 메모리는 그 종류가 다양하다. 그 중에서 디램(DRAN)이나 에스램(SRAN)은 가장 일반화된 기억 장치인데, 에스램은 속도가 빠른 대신 집적도가 낮고 가격이 비싸기 때문에 일반 퍼스널 컴퓨터 등에서는 비교적 속도가 느리고 저가인 디램을 채용하고 있다.
제1도는 종래의 반도체 메모리 셀 어레이와 그 주변 회로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며, 특히 디램(DRAN)의 경우를 나타낸 것이다.
로우 디코더(11)에서는 로우 어드레스를 디코딩한 다음 이를 통하여 메모리 셀 어레이(12)의 워드 라인들을 선택적으로 활성화시킨다.
메모리 셀 어레이(12)의 임의의 워드 라인이 활성화되면, 컬럼 디코더(14)에서는 컬럼 어드레스를 디코딩한 다음 이를 통하여 소정의 비트 라인을 선택하여 활성화된 워드 라인에 연결되어 있는 메모리 셀의 데이타를 센스 앰프(sense amplifier; 13)를 통하여 순차적으로 센싱 및 증폭한 다음 출력 버퍼(15)로 출력한다.
도 2는 위에 언급한 메모리 셀 어레이(12)를 구성하는 단위 메모리 셀을 나타낸 회로도로서, 하나의 트랜지스터와 하나의 캐패시터로 이루어진 가장 일반적인 구성을 나타내 었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단위 메모리 셀(MC1)은 엔모스 트랜지스터(Q1)의 드레인과 접지(VSS) 사이에는 캐패시터(C1)가 연결되며, 또 엔모스 트랜지스터(Q1)의 소스는 비트 라인(BIT)엔 연결되며 게이트는 워드 라인(WLn)에 연결된다.
또한 이와 같은 단위 메모리 셀(MC1)과 더불어 엔모스 트랜지스터(Q2)와 캐패시터(C2)로 구성된 또 다른 단위 메모리 셀(NC2)이 워드 라인(WLn+1)과 비트 라인(/BIT)에 연결된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이 워드 라인(WLn)이 활성화되면 엔모스 트랜지스터(Q1)가 턴 온 되고, 워드 라인(WLn+1)이 활성화되면 엔모스 트랜지스터(Q2)가 턴 온 된다.
캐패시터(C1)(C2)는 데이타의 논리 값에 따라 전하가 충전되거나, 아니면 방전된 상태로 되며, 읽기 모드에서 워드 라인(WLn)(WLn+1)이 활성화되면 충전되어 있는 데이타가 턴 온된 엔모스 트랜지스터(Q1)(Q2)를 통하여 방전되어 비트 라인(BIT)(/BIT)에 인가되며, 만약 충전되어 있지 않은 상태라면 비트 라인(BIT)(/BIT)의 전압은 변화하지 않는다.
이와 같은 두 개의 비트 라인(BIT)(/BIT)은 모두 VCC/2의 전압으로 프리차지(precharge)되어 있으며, 메모리 셀(MC1)(MC2)의 엔모스 트랜지스터(Q1)(Q2)가 턴온 되어 캐패시터(C1)(C2)의 데이타가 각각의 비트 라인(BIT)(/BIT)에 인가되면, 센스 앰프는 이와 같은 두 개의 비트 라인(BIT)(/BIT)의 전압차를 비교하여 증폭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종래의 반도체 메모리의 데이타 읽기 동작을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히 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과 도 2는 전술한 바와 같고, 도 3은 종래의 반도체 메모리의 읽기 동작을 나타낸 타이밍 차트로서 메모리 셀에 'O'의 데이타가 저장되어 있는 경우를 예로 들었다.
먼저 도 3(1)은 로우 어드레스 스트로브 신호(row address strobe, 이하 /RUS라 칭함), 도 3(2)는 컬럼 어드레스 스트로브 신호(column address strobe, 이하 /CAS라 칭함), 도 3(3)은 쓰기 인에이볼 신호(write enab1e, 이하 /WE라 칭함), 도 3(4)는 워드 라인의 전압, 도 3(5)는 비트 라인 쌍(BIT, /BIT)의 전압, 도 3(6)은 컬럼 디코더에서 출력되는 비트 라인 선택 신호(CD)이다.
로우 어드레스 스트로브 신호(/RAS)는 로우 어드레스가 입력되었음을 알리는 신호이며, 컬럼 어드레스 스트로브 신호(/CM)는 컬럼 어드레스가 입력되었음을 알리는 신호이다.
쓰기 동작 인에이블 신호(/WE)는 메모리의 읽기 동작과 쓰기 동작을 결정하는 신호로서 쓰기 동작 인에이볼 신호(/WE)가 로우 레벨인 경우에는 쓰기 동작이 이루어지고 하이 레벨인 경우에는 읽기 동작이 이루어진다.
도 3에서 시점(t0)은 대기 상태로서, 워드 라인의 전압은 로우 레벨이고, 도 2의 메모리 셀 구조에 나타낸 두 개의 비트 라인(BIT)(/BIT)이 전술한 바와 같이 전원 전압(VCC)의 절반(즉, VCC/2)에 해당하는 전위로 프리차지 되어 있다.
다음으로 시점(t1)에서는 도 2의 두 개의 비트 라인(BIT)(/BIT)이 프리차지 전위(VCC/2)를 유지한 채 외부의 영향을 받지 않는 플로팅(floating) 상태로 된다.
시점(t2)에서는 로우 디코더(11)가 외부에서 입력된 로우 어드레스를 디코딩하여 하나의 워드 라인(일례로 WLn)을 선택한 다음 전원 전압(VCC)과 모스 트랜지스터 임계 전압(Vt)의 합, 즉 워드 라인 활성화 전위(VCC+Vt)의 레벨로 상승시켜서 워드 라인을 활성화시킨다.
따라서 도 2의 워드 라인(WLn)에 게이트가 연결된 엔모스 트랜지스터(Q1)가 턴온 되어 캐패시터(C1)에 저장된 데이타가 비트 라인(BIT)에 인가되고, 비트 라인(BIT)에 캐패시터의 데이타에 따라 프리차지 전압(VCC/2)보다 조금 낮거나 조금 높은 전위를 갖게된다. 이때에도 비트 라인(/BIT)은 프리차지 전압(VCC/2)을 그대로 유지하므로 두 개의 비트 라인(BIT)(/BIT) 사이에는 소정의 전위차가 발생한다.
시점(t3)에서 시점(t4) 사이에는 센스 앰프(13)가 활성화되어 비트 라인(BIT)과 또 다른 비트 라인(/BIT)의 전위차를 증폭한다.
시점(t5)에서 시점(t6) 사이에는 센스 앰프(13)의 증폭 동작이 어느 정도 이루어진 상태에서 비트 라인(BIT)에는 접지 전압을 인가하고 또 다른 비트 라인(/BIT)에는 전원 전압(VCC)을 인가함으로써 하이 레벨의 워드 라인(WLn) 전압에 의해 턴온된 엔모스 트랜지스터(Q1)를 통하여 0볼트 즉 접지 전압(VSS)의 전위를 캐패시터(C1)에 저장하여 데이타를 복구(rewrite)시킨다.
이와 같은 동작은 캐패시터(C1)에 저장되어 있던 데이타가 "0"일 때에 이루어지며, 만약 캐패시터(C1)의 데이타가 "1"일 때에는 상술한 동작의 반대 동작이 이루어진다.
센스 앰프(13)의 증폭 동작이 어느 정도 이루어져서 두 개의 비트 라인(BIT)(/BIT) 사이의 전위자가 통상적인 피모스 트랜지스터와 엔모스 트랜지스터의 각각의 임계 전압의 합, 즉 "|Vtn|+|Vtp|" 이상으로 되면 컬럼 디코더(14)에서 출력되는 비트 라인 선택 신호(CD)에 대응하는 비트 라인(BIT)의 신호가 데이타 버스를 통하여 출력 버퍼(15)로 전달된다.
시점(t7)에서는 워드 라인(WLn)을 비활성화시켜서 캐패시터(C1)에 저장된 데이타가 유지되도록 한다.
시점(t8)에서는 다음 데이타 출력 동작을 위하여 두 개의 비트 라인(BIT)(/BIT)을 프리차지 전압(VCC/2)으로 균등화(equalize)하여 대기 상태를 유지한다.
이와 같은 종래의 반도체 메모리의 데이타 출력 동작에 있어서, 그 출력 속도를 결정하는 여러 가지 요소 가운데 워드 라인이 활성화되기까지 소요되는 시간은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즉, 워드 라인이 활성화된 시점에 따라 센스 앰프의 동작 개시 시점과 컬럼 디코더의 선택 신호 출력 시점이 결정되기 때문에, 워드 라인의 전압이 접지 전압(VSS)의 전위에서 활성화 전위(VCC+Vt)까지 도달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이 전체 데이타 출력 동작 시간을 결정하는 것이며, 또한 이러한 사실은 데이타의 쓰기 동작에서도 역시 중요한 요소가 된다.
따라서 반도체 메모리의 데이타 입촐력 동작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시키기 위한 새로운 기술이 요구된다
이에 본 발명은 반도체 메모리의 워드 라인이 활성화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감소시켜서 전체적인 데이타 출력 속도를 향상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제1도는 종래의 반도체 메모리 셀 어레이 및 주변 회로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제2도는 종래의 메모리 셀 어레이를 구성하는 단위 메모리 셀을 나타낸 회로도.
제3도는 종래의 반도체 메모리의 읽기 동작을 나타낸 타이밍 차트.
제4도는 본 발명의 반도체 메모리 셀 어레이 및 주변 회로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제5도는 본 발명의 이원화된 몌모리 셀 어레이의 워드 라인 활성화 전압 특성 곡선을 나타낸 그래프.
제6도는 본 발명의 이원화된 메모리 셀 어레이의 데이타 출력 동작을 나타낸 타이밍 차트.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21F, 21N : 로우디코더 12, 22F, 22N : 메모리 셀 어레이
13, 23 : 센스 앰프 14, 24 : 컬럼 디코더
15, 25 : 출력 버퍼 BIT, /BIT : 비트라인
WL : 워드 라인 Q1, Q2 : 엔모스 트랜지스터
C1, C2 : 캐패시터 MC1, MC2 : 메모리 셀
이와 같은 목적의 본 발명은 다수개의 메모리 셀을 구비한 제 1 메모리 셀 어레이와, 상기 제 1 메모리 셀 어레이와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많은 수의 메모리 셀을 구비한 제 2 메모리 셀 어레이와, 로우 어드레스를 입력받아 이를 디코딩하여 상기 제 1 메모리 셀 어레이의 워드 라인 활성화 신호를 출력하는 제 1 로우 디코더와, 로우 어드레스를 입력받아 이를 디코딩하여 상기 제 2 메모리 셀 어레이의 워드 라인 활성화 신호를 출력하는 제 2 로우 디코더와, 컬럼 어드레스를 입력받아 이를 디코딩하여 상기 제 1 메모리 셀 어레이 및 상기 제 2 메모리 셀 어레이외 비트 라인 선택 신호를 출력하는 컬럼 디코더와, 상기 비트 라인 선택 신호를 통하여 선택된 비트 라인에 연결되어 상기 비트 라인의 전위차를 검출하고 이를 증폭하여 하이 레벨 또는 로우 레벨의 이진 논리값을 갖는 데이타가 출력되도록 하고 상기 데이타가 얽혀진 메모리 셀에 상기 데이타와 동일한 데이타를 다시 기록해 넣는 센스 앰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4는 본 발명의 반도체 메모리 셀 어레이와 그 주변 회로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메모리 셀 어레이는 적은 수의 메모리 셀을 갖는 고속 메모리 셀 어레이(22F)부분과, 상대적으로 많은 수의 메모리 셀을 갖는 노멀 메모리 셀 어레이(22N)의 두부분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각각의 메모리 셀 어레이의 워드 라인이 상호 분리되어 있어서 두 개의 메모리 셀 어레이(22F)(22N)의 워드 라인은 서로 다른 두 개의 로우 디코더(21F)(21N)에 의해 독립적으로 활성화된다.
고속 메모리 셀 어레이(22F)의 임의의 워드 라인이 활성화되면, 컬럼 디코더(24)에서는 컬럼 어드레스를 디코딩한 다음 이를 통하여 고속 메모리 셀 어레이(22F)의 해당 비트 라인을 선택하여 활성화된 워드 라인에 연결되어 있는 메모리셀의 데이타를 센스 앰프(23)를 통하여 순차적으로 센싱 및 증폭한 다음 출력 버퍼(25)를 통하여 출력한다.
이와 같은 고속 메모리 셀 어레이(22F)의 워드 라인이 구동해야 할 메모리 셀의 수가 적기 때문에 그 배선 길이 또한 짧아져서 워드 라인이 갖는 저항값(R)과 기생용량(C)등이 감소하여 결과적으로 워드 라인이 갖는 시정수(RC) 또한 감소한다.
또한 고속 메모리 셀 어레이(22F)의 워드 라인은 노멀 메모리 셀 어레이(22N)보다 상대적으로 적은 수의 메모리 셀이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활성화될 때에 상대적으로 적은 양의 전하만으로도 충분히 활성화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이유로 고속 메모리 셀 어레이(22F)의 워드 라인이 활성화되는데 소요되는 시간이 노멀 메모리 셀 어레이(22N)의 워드 라인이 활성화되는데 소요되는 시간보다 상대적으로 짧은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이미 워드 라인이 활성화된 고속 메모리 셀 어레이(22F)의 데이타가 액세스(access)되는 동안 노멀 메모리 셀 어레이(22N)의 워드 라인이 활성화되도록함으로써 데이타의 액세스 시점을 앞당기고, 고속 메모리 셀 어레이(22F)의 액세스된 데이타가 출력되는 동안 노멀 메모리 셀 어레이(22N)의 활성화돤 워드 라인에 연결된 메모리 셀에서 데이타를 액세스 하도록 함으로써 전체 메모리 셀 어레이의 데이타 액세스 동작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데이타 출력 동작을 도 5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는 본 발명의 이원화된 메모리 셀 어레이의 워드 라인 활성화에 따른 전압특성 곡선을 나타낸 그래프로서, (1)은 고속 메모리 셀 어레이(22F)의 워드 라인의 전압 특성 곡선, (2)는 노멀 메모리 셀 어레이(22N)의 워드 라인의 전압 특성 곡선, (3)은 메모리 셀 어레이가 이원화되지 않은 경우에 예측할 수 있는 전체 워드라인의 전압 특성 곡선이다.
먼저 고속 메모리 셀 어레이의 워드 라인의 전압 특성 곡선(1)은 시점(t2)에서 활성화 전위(VCC+Vt)에 도달하며, 시점(t2)에서 일정 시간(ta)이 경과한 시점(t6)에서 센스 앰프가 활성화된다.
이때 시점(t2)과 시점(t6)사이의 일정 시간(ta)은 설계자가 메모리의 다른 입출력 동작과의 관계를 고려하여 임의로 결정하는 값으로서, 워드 라인이 활성화 전위(VCC+Vt)에 도달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이 외부 영향에 의해 변화할 수 있으므로 센스 앰프 활성화 시점(t6)까지의 시간적 여유를 갖도록 함으로써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데이타 입출력 동작에서는 필수적인 시간 요소이다.
다음으로 노멀 메모리 셀 어레이의 워드 라인의 전압 특성 곡선(2)은 시점(t2')에서 활성화 전위(VCC+Vt)에 도달하며, 일정 시간(tb)이 경과한 시점(t6')에서 센스 앰프가 활성화된다.
도 5은 본 발명의 이원화된 메모리 셀 어레이의 연속적인 데이타 출력 동작을 나타낸 타이밍 차트로서, (1)은 쓰기 동작 인에이블 신호, (2)는 데이타 액세스 신호인 컬럼 액세스 신호, (3)은 출력되는 데이타를 나타낸 것이다.
먼저 쓰기 동작 인에이블 신호(/WE)가 하이 레벨로 되어 읽기 동작이 활성화되면, 시점(t5)에서 센스 앰프가 동작하여 데이타의 센싱과 증폭이 이루어져서 데이타 액세스가 가능해지면 고속 메모리 셀 어레이의 비트 라인 선택 신호(2)가 출력되어 비트 라인애 실려있는 데이타(F)를 출력 버퍼로 출력하고, 이어서 노멀 메모리 셀 어레이의 데이타(N)를 연속적으로 출력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반도체 메모리의 워드 라인이 활성화되는데 소용되는 시간을 감소시켜 전체적인 데이타 출력 속도를 향상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Claims (1)

  1. 다수개의 메모리 셀을 구비한 제 1 메모리 셀 어레이와, 로우 어드레스를 입력받아 이를 디코딩하여 상기 제 1 메모리 셀 어레이의 워드라인 활성화 신호를 출력하는 제 1 로우 디코더와, 컬럼 어드레스를 입력받아 이를 디코딩하여 상기 제 1 메로리 셀 어레이의 비트 라인 선택 신호를 출력하는 컬럼 디코더와, 상기 비트 라인 선택 신호를 통하여 선택된 비트라인에 연결되어 상기 비트 라인의 전위차를 검출하고 이를 증폭하고 하이 레벨 또는 로우 레벨의 이진 논리값을 갖는 데이타가 출력되도록 하고, 상기 데이타가 읽혀진 메모리 셀에 상기 데이터와 동일한 데이타를 다시 기록해 넣은 다음 출력 퍼버를 통해 출력하도록 하는 센스 엠프를 포함하는 반도체 메모리에 있어서, 상기 제 1 메모리 셀 어레이 보다 많은 수의 메모리 셀을 구비한 제 2 메모리 셀 어레이와, 로우 어드레스르를 입력받아 이를 디코딩하여 상기 제 2 메모리 셀 어레이의 워드 라인 활성화 신호를 출력하는 제 2 로우 디코더를 포함하여 이루어져서, 상기 제 1 메모리 셀 어레이의 워드 라인이 갖는 부하의 크기가 상기 제 2 메모리 셀 어레이의 워드 라인이 갖는 부하의 크기보다 상대적으로 작아서, 상기 제 1 메모리 셀 어레이의 워드라인을 활성화시키는데 필요한 전하량이 상기 제 2 메모리 셀 어레이의 워드라인을 활성화시키는데 필요한 전하량보다 적고, 상기 제 1 메모리 셀 어레이의 워드라인이 활성화되어 데이타가 출력되는 동안에 상기 제 2 메모리 셀 어레이의 워드라인을 활성화시키는데 필요한 전하량보다 적고, 상기 제 1 메모리 셀 어레이의 워드라인이 활성화되어 데이터가 출력되는 동안에 상기 제 2 메모리 셀 어레이의 워드라인이 활성화되고, 상기 제 1 메모리 셀 어레이의 데이타 출력이 완료되면 활성화된 상기 제 2 메모리 셀 어레이의 데이타 출력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KR1019970021681A 1997-05-29 1997-05-29 반도체 메모리 Expired - Fee Related KR1002695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21681A KR100269597B1 (ko) 1997-05-29 1997-05-29 반도체 메모리
US08/943,251 US5883848A (en) 1997-05-29 1997-10-17 Semiconductor device having multiple sized memory arrays
DE19807014A DE19807014B4 (de) 1997-05-29 1998-02-19 Halbleiterspeicherelement mit verbesserter Datenausgabegeschwindigkei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21681A KR100269597B1 (ko) 1997-05-29 1997-05-29 반도체 메모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85566A KR19980085566A (ko) 1998-12-05
KR100269597B1 true KR100269597B1 (ko) 2000-10-16

Family

ID=195077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21681A Expired - Fee Related KR100269597B1 (ko) 1997-05-29 1997-05-29 반도체 메모리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5883848A (ko)
KR (1) KR100269597B1 (ko)
DE (1) DE19807014B4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78646B1 (en) 1998-07-08 2001-08-21 Enhanced Memory Systems, Inc. Multi-array memory device, and associated method, having shared decoder circuitry
US6064620A (en) * 1998-07-08 2000-05-16 Enhanced Memory Systems, Inc. Multi-array memory device, and associated method, having shared decoder circuitry
US7354990B2 (en) * 2003-08-26 2008-04-08 General Electric Company Purified polymeric materials and methods of purifying polymeric materials
US7675806B2 (en) * 2006-05-17 2010-03-09 Freescale Semiconductor, Inc. Low voltage memory device and method thereof
US8848438B2 (en) * 2010-10-05 2014-09-30 Stec, Inc. Asymmetric log-likelihood ratio for MLC flash channel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7596A (ja) * 1994-06-24 1996-01-12 Fujitsu Ltd 半導体メモリ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78946B2 (ja) * 1993-08-31 2001-06-25 沖電気工業株式会社 半導体記憶装置及びその駆動方法
JP3824689B2 (ja) * 1995-09-05 2006-09-20 株式会社ルネサステクノロジ 同期型半導体記憶装置
KR0161868B1 (ko) * 1995-12-27 1999-01-15 문정환 메모리 주소제어회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7596A (ja) * 1994-06-24 1996-01-12 Fujitsu Ltd 半導体メモリ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9807014B4 (de) 2008-05-08
DE19807014A1 (de) 1998-12-03
KR19980085566A (ko) 1998-12-05
US5883848A (en) 1999-03-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80908B1 (ko) Sram 회로
US5969995A (en) Static semiconductor memory device having active mode and sleep mode
US7606097B2 (en) Array sense amplifiers, memory devices and systems including same, and methods of operation
US6950368B2 (en) Low-voltage sense amplifier and method
US20070268764A1 (en) Low voltage sense amplifier and sensing method
KR100678427B1 (ko) 소비 전력이 감소되고 시험 시간이 단축된 반도체 기억 장치
US20040114424A1 (e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CN114664349A (zh) 半导体器件
US6088820A (en) Static semiconductor memory device having test mode
KR100259577B1 (ko) 반도체 메모리
US8358524B1 (en) Methods and circuits for limiting bit line leakage current in a content addressable memory (CAM) device
US5796651A (en) Memory device using a reduced word line voltage during read operations and a method of accessing such a memory device
US6108233A (en) Ultra low voltage static RAM memory cell
US5995431A (en) Bit line precharge circuit with reduced standby current
KR100269597B1 (ko) 반도체 메모리
KR102707588B1 (ko) 메모리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 온 칩
JP3082670B2 (ja) 半導体記憶装置
US5504709A (e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US6137715A (en) Static random access memory with rewriting circuit
US5285416A (e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with restricted potential amplitude of data lines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US6487138B2 (en) Semiconductor memory
US6781894B2 (e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achieving fast random access
US6731556B2 (en) DRAM with bias sensing
US7142465B2 (en) Semiconductor memory
KR0165987B1 (ko) 빠른 판독 동작 속도를 갖는 동적 랜덤 억세스 메모리 소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7052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70529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0021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0071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0072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0072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3062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061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062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0619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622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619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624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624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627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25

Year of fee payment: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625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406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