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267782B1 - 타이밍체크가 가능한 칩(chip) - Google Patents

타이밍체크가 가능한 칩(chip)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67782B1
KR100267782B1 KR1019980004198A KR19980004198A KR100267782B1 KR 100267782 B1 KR100267782 B1 KR 100267782B1 KR 1019980004198 A KR1019980004198 A KR 1019980004198A KR 19980004198 A KR19980004198 A KR 19980004198A KR 100267782 B1 KR100267782 B1 KR 1002677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ip
control
flop group
clock signal
chip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041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69753A (ko
Inventor
안영준
Original Assignee
김영환
현대반도체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환, 현대반도체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영환
Priority to KR10199800041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67782B1/ko
Publication of KR199900697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697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677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67782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29/00Checking stores for correct operation ; Subsequent repair; Testing stores during standby or offline operation
    • G11C29/04Detection or location of defective memory elements, e.g. cell constructio details, timing of test signals
    • G11C29/50Marginal testing, e.g. race, voltage or current testing
    • G11C29/50012Marginal testing, e.g. race, voltage or current testing of tim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29/00Checking stores for correct operation ; Subsequent repair; Testing stores during standby or offline operation
    • G11C29/02Detection or location of defective auxiliary circuits, e.g. defective refresh counters
    • G11C29/028Detection or location of defective auxiliary circuits, e.g. defective refresh counters with adaption or trimming of parameters

Landscapes

  • Tests Of Electronic Circu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칩 테스트시 테스트용 데이터의 출력 타이밍을 조절하여 보다 정확한 칩 테스트가 가능한 타이밍체크가 가능한 칩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써, 복수개의 조합회로와 순차회로로 구성된 반도체칩에 있어서, 시리얼 입출력단을 갖고 상기 조합회로의 입력측에 구성되는 제 1 플립플롭군과, 상기 조합회로의 출력측에 구성되어 제 1 플립플롭군의 시리얼 입출력단과 별도의 시리얼 입출력단를 갖는 제 2 플립플롭군과, 상기 시리얼 입력단을 통해 들어오는 시리얼 데이터를 상기 제 1 플립플롭군과 제 2 플립플롭군에 선택적으로 인가하고, 상기 제 2 플립플롭군의 클럭신호의 타이밍을 조절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컨트롤회로부와, 상기 제어신호에 따라 제 2 플립플롭군의 클럭신호 발생타이밍을 조절하는 클럭발생 타이밍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타이밍체크가 가능한 칩(CHIP)
본 발명은 반도체 칩에 관한 것으로 특히, 칩 테스트시 기능체크 뿐만 아니라 타이밍체크가 가능하도록하여 보다 정확한 테스트를 할 수 있도록 하는데 적당한 타이밍체크가 가능한 칩(CHIP)에 관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종래 반도체 칩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칩(Chip)의 구조로써 다수의 플립플롭(flip-flop)들과 다수의 조합회로로 구성된다.
일반적으로 하나의 칩은 다수의 조합회로(Combinational Circuit)와 다수의 순차회로(Sequential Circuit)로 구성된다.
상기 플립플롭들은 조합회로의 입력측 플립플롭(11)과 출력측 플립플롭(13)으로 나뉘어 지며 조합회로는 입력측 플립플롭(11)으로부터 데이터를 받아 동작하여 출력측 플립플롭(13)으로 인가한다.
종래에는 이와같은 칩을 테스트하기 위해 다수의 플립플롭(F/F)들을 시리얼(serial)하게 연결하여 시리얼하게 데이터를 입력하고 시리얼하게 데이터를 출력하였다.
즉, 칩 설계자가 원하는 데이터와 출력되는 데이터를 비교하여 서로 동일하면 상기 칩은 아무런 이상이 없는 것으로 관주하고, 만일 서로 동일하지 않으면 칩에 이상이 있는 것으로 관주한다.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순차회로는 다수의 플립플롭(F/F)(11a,11b,11c,그리고 13a,13b,13c)들이 시리얼하게 연결되어 시리얼하게 데이터의 입출력이 이루어진다.
각 플립플롭은 클럭신호(clk), 테스트 인에이블신호(test en),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칩내 다른 플립플롭으로부터 인가되는 데이터를 입력하는 입력단(D), 그리고 칩 테스트모드시 테스트를 위한 데이터가 입출력되는 시리얼 입력(serial in)단과 시리얼 출력(serial out)단이 구성된다.
여기서, 칩 테스트를 위한 데이터는 칩의 외부에서 입력된다.
그리고, 최초로 시리얼 데이터를 입력받은 플립플롭의 시리얼 출력(serial out)은 다음단 플립플롭의 시리얼 입력(serial in)과 연결된다.
이와같은 다수의 플립플롭들은 서로 시리얼하게 연결됨과 동시에 조합회로와도 연결되어 있다.
상기의 구성을 갖는 칩의 테스트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칩 테스트전, 정상적인 동작을 할 때는 테스트 인에이블신호(test en)는 "0"이 된다.
이후, 테스트모드가 되면, 상기 테스트 인에이블신호는 "1"이되고, 칩 내부의 플립플롭으로 시리얼하게 데이터가 입력된다.
즉, 테스트 인에이블신호가 "1"이되고 이때 클럭신호가 인가될 때마다 시리얼 데이터는 순차적으로 입력측 플립플롭(11) 및 출력측 플립플롭(13)들에 셋팅된다.
이때, 플립플롭의 수가 N개이면, 클럭신호도 N번 트리거된다.
이와같이, 클럭신호에 따라 각 플립플롭들을 셋팅한 후, 다시 테스트 인에이블신호(test en)를 "0"으로하여 1사이클(cycle)동안 칩을 정상동작시킨다.
칩을 동작시킴에 따라 상기 입력측 플립플롭(11)으로부터 데이터를 받아 조합회로가 동작하여 그 결과를 출력측 플립플롭(13)으로 인가한다.
따라서, 출력측 플립플롭(13)으로 조합회로의 출력값이 래치(latch)된다.
이와같이 1사이클 동안 칩을 정상동작 시킨 다음, 다시 테스트 인에이블신호를 "1"로 하고 시리얼 입력단을 통해 시리얼 데이터가 입력되어 각 플립플롭에 시리얼하게 데이터가 셋팅된다.
이때, 그전에 각 플립플롭(11a,11b,11c,13a,13b,13c)에 셋팅된 데이터는 순차적으로 시리얼 출력단을 통해 출력되는데 칩 설계자는 시리얼하게 출력되는 데이터와 원하는 데이터를 비교하여 서로 일치하면 현재 칩은 정상적이라고 판단하고, 만일 시리얼하게 출력되는 데이터와 원하는 데이터가 일치하지 않으면 현재 칩은 비정상적이라고 판단한다.
즉, 최초에 시리얼하게 출력되는 데이터는 조합회로의 출력값이 출력측 플립플롭(13)에 셋팅되어 있다가 시리얼 데이터의 입력으로 인하여 시리얼하게 출력되기 때문에 조합회로가 이상이 있을 경우에는 해당 출력측 플립플롭에 셋팅되는 데이터가 칩 설계자가 원하는 데이터와 일치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칩 설계자는 시리얼하게 출력되는 데이터와 원하는 데이터를 비교함으로써 칩의 정상여부를 검출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칩(chip)에 있어서는 시리얼하게 출력된 데이터가 원하는 데이터와 서로 일치하지 않을 경우 칩의 상태가 비정상적이라는 것을 판단할 수는 있지만 비정상적인 원인이 칩 내부의 이상에 의한 것인지 아니면 회로의 딜레이에 의한 것인지는 판단할 수가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써, 시리얼하게 출력되는 데이터의 타이밍을 조절하여 칩이 비정상적일 경우 그 원인이 회로의 딜레이에 의한 것인지 아니면 칩 내부의 이상에 의한 것인지를 판단할 수 있도록하여 보다 정확한 칩 테스트가 가능한 타이밍체크가 가능한 칩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 반도체 칩의 구성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타이밍체크가 가능한 칩의 구성블록도
도 3a은 본 발명에 따른 컨트롤회로부의 상세구성도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클럭발생 타이밍 제어부의 상세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클럭발생 타이밍을 도시한 타이밍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1 : 컨트롤회로부 21a : 레지스터부
21b : 디코더부 21c : 멀티플렉싱부
22 : 클럭발생 타이밍 제어부 22a : 딜레이 컨트롤부
22b,22c : 제 1, 제 2 딜레이부 23 : 제 1 플립플롭군
25 : 제 2 플립플롭군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타이밍체크가 가능한 칩은 복수개의 조합회로와 순차회로로 구성된 반도체칩에 있어서, 시리얼 입출력단을 갖고 상기 조합회로의 입력측에 구성되는 제 1 플립플롭군과, 상기 조합회로의 출력측에 구성되어 제 1 플립플롭군의 시리얼 입출력단과 별도의 시리얼 입출력단를 갖는 제 2 플립플롭군과, 상기 시리얼 입력단을 통해 들어오는 시리얼 데이터를 상기 제 1 플립플롭군과 제 2 플립플롭군에 선택적으로 인가하고, 상기 제 2 플립플롭군의 클럭신호의 타이밍을 조절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컨트롤회로부와, 상기 제어신호에 따라 제 2 플립플롭군의 클럭신호 발생타이밍을 조절하는 클럭발생 타이밍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타이밍체크가 가능한 칩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타이밍체크가 가능한 칩의 내부구성도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타이밍체크가 가능한 칩은 크게 복수개의 플립플롭(F/F)들과, 조합회로들, 컨트롤 회로부(21), 그리고 클럭발생 타이밍 제어부(22)로 구성된다.
상기 플립플롭(F/F)들은 종래에는 입력측 플립플롭과 출력측 플립플롭으로 구성되고 입력측과 출력측이 시리얼하게 연결되었으나 본 발명은 입력측 플립플롭(본 발명에서는 "제 1 플립플롭(群)(23)"이라 칭함)과 출력측 플립플롭(본 발명에서는 "제 2 플립플롭(群)(25)"이라 칭함)을 분리하였다.
즉, 제 1 플립플롭군(23)이나 제 2 플립플롭군(25)모두 별도의 시리얼 입력단과 시리얼 출력단을 갖는다.
그리고 제 1 플립플롭군(23)은 제 1 클럭신호(clk1)에 의해 동작하고 제 2 플립플롭군(25)은 제 2 클럭신호(clk2)에 의해 동작한다.
상기의 서로다른 제 1, 제 2 클럭신호(clk1,clk2)의 발생은 클럭발생 타이밍 제어부(22)에서 이루어진다.
여기서, 클럭발생 타이밍 제어부(22)는 하기에서 언급하기로 하고 먼저 컨트롤회로부(21)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컨트롤회로부(21)는 외부로부터 시리얼하게 컨트롤 데이터를 받아 디코딩하여 제 1 플립플롭군(23)과 제 2 플립플롭군(25)에 선택적으로 컨트롤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입력하고, 또한 상기 클럭발생 타이밍 제어부(22)로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이와같은 컨트롤회로부(21)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컨트롤회로부의 상세구성도이다.
도 3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컨트롤 데이터를 저장하는 레지스터부(21a)와, 상기 레지스터부(21a)에 저장된 데이터를 디코딩하는 디코더부(21b)와, 상기 컨트롤 데이터 및 칩 테스트를 위한 스캔(scan)데이터를 제 1 플립플롭군(23) 및 제 2 플립플롭군(25)으로 선택적으로 인가하기 위한 멀티플렉싱부(21c)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컨트롤 데이터에는 제 2 플립플롭군(25)의 제 2 클럭신호(clk2)를 어느정도 빠르게 또는 느리게할 것인지를 결정하는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다.
따라서 컨트롤회로부(21)는 상기 컨트롤 데이터에 따라 클럭발생 타이밍 제어부(22)에 제어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이어,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클럭발생 타이밍 제어부의 상세구성도이다.
도 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컨트롤회로부(21)로부터 제어신호를 받아 제 1, 제 2 클럭신호(clk1,clk2)의 타이밍을 제어하는 딜레이 컨트롤부(22a)와, 상기 제 1 클럭신호(clk1)를 딜레이시키는 제 1 딜레이부(22b)와, 상기 제 1 클럭신호(clk1)을 받아 상기 제 1 딜레이부(22b)의 딜레이시간보다 더 길거나 혹은 짧게하여 제 2 클럭신호(clk2)로써 출력하는 제 2 딜레이부(22c)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 1, 제 2 딜레이부(22b,22c)에는 입력되는 제 1 클럭신호(clk1)가 공통적으로 인가되는데 상기 딜레이 컨트롤부(22a)의 제어신호에 따라 제 1 딜레이부(22b)의 딜레이시간과 제 2 딜레이부(22c)의 딜레이시간이 서로 다르므로 결국 입력되는 제 1 클럭신호(clkl)와 다른 또하나의 제 2 클럭신호(clk2)를 발생할 수가 있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타이밍체크가 가능한 칩의 동작설명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컨트롤회로부(21)의 컨트롤 레지스터부(21a)에 컨트롤 데이터가 셋팅되면, 디코더(21b)는 컨트롤 레지스터부(21a)에 셋팅된 데이터를 디코딩하여 멀티플렉싱부(21c)를 제어한다.
여기서, 상기 레지스터부(21a)에 셋팅되는 컨트롤 데이터에는 제 2 클럭신호(clk2)를 제 1 클럭신호(clk1)에 비해 어느정도 빠르게 할 것인지 아니면 느리게 할 것인지를 결정하는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다.
멀티플렉싱부(21c)는 컨트롤 데이터를 제 1 플립플롭군(23)과 제 2 플립플롭군(25)으로 나누어 시리얼 입력단을 통해 순차적으로 셋팅시킨다.
이때, 디코더(21b)는 테스트 인에이블신호를 "1"로 출력한다.
즉, 본 발명에서는 제 1, 제 2 플립플롭군(23,25)의 수를 각각 3개로 가정하고, 제 1 플립플롭군(23)에 데이터가 입력되고 이후의 데이터는 제 2 플립플롭군(25)에 입력된다고 가정하면, 제 1 클럭신호(clk1)에 맞추어 컨트롤 데이터가 제 1 플립플롭군(23)을 구성하고 있는 3개의 플립플롭(23a,23b,23c)에 순차적으로 셋팅된다.
이후, 멀티플렉싱부(21c)에 의해 데이터 입력단이 제 2 플립플롭군(25)으로 바뀌고 이후에 들어오는 컨트롤 데이터는 제 2 플립플롭군(25)을 구성하는 3개의 플립플롭(25a,25b,25c)에 순차적으로 셋팅된다.
이와 같이, 제 1, 제 2 플립플롭군(23,25)의 모든 플립플롭에 데이터가 셋팅되고 나면, 칩을 1사이클(cycle)동안 정상동작 시킨다.
이때, 상기 제 1 플립플롭군(23)의 각 플립플롭(23a,23b,23c)에 셋팅되어 있던 데이터가 조합회로를 거쳐 제 2 플립플롭군(25)으로 래치된다.
여기서, 제 2 플립플롭군(25)은 제 2 클럭신호(clk2)에 의해 동작하므로 제 2 클럭신호(clk2)에 맞추어 제 2 플립플롭군(25)으로 래치된다.
일예로 제 2 클럭신호(clk2)가 제 1 클럭신호(clk1)보다 2nsec정도 늦게 발생하도록 타이밍을 조절하였을 경우(엔지니어에 의해 조절됨), 도 3b의 클럭발생 타이밍 제어부는 다음과 같이 동작한다.
컨트롤회로부(21)로부터 제 2 클럭신호(clk2)가 제 1 클럭신호(clk1)보다 2nsec 늦게 발생되도록 하라는 제어신호를 받은 딜레이 컨트롤부(22a)는 제 1 딜레이부(22b)와 제 2 딜레이부(22c)를 제어한다.
도면에도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딜레이부(22b)와 제 2 딜레이부(22c)는 제 1 클럭신호(clk1)를 공통으로 입력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 딜레이 컨트롤부(22a)는 제 2 딜레이부(22c)의 딜레이시간을 제 1 딜레이부(22b)의 딜레이시간보다 2nsec정도 길게가져간다.
즉, 제 2 딜레이부(22c)의 딜레이시간을 길게 함으로써 제 1 딜레이부(22b)를 통해 출력되는 제 1 클럭신호(clk1)에 비해 2nsec후에 제 2 딜레이부(22c)를 통해 제 2 클럭신호(clk2)가 출력된다.
각 제 2 딜레이부(22c)의 출력은 제 2 플립플롭군(25)의 각 플립플롭과 연결되고, 제 1 딜레이부(22b)의 출력은 제 1 플립플롭군(23)의 각 플립플롭에 연결된다.
이와같이, 제 2 클럭신호(clk2)에 의해 조합회로의 출력이 제 2 플립플롭군(25)의 각 플립플롭(25a,25b,25c)에 래치된다.
여기서, 상기 제 1, 제 2 딜레이부(22b,22c)는 인버터를 시리얼하게 연결하여 딜레이시간을 조절한다.
결과적으로 컨트롤 데이터에 포함되어 있는 타이밍 딜레이값에 의해 제 2 클럭신호(clk2)의 발생타이밍을 조절하여 원하는 타이밍에서 데이터를 래치시킬 수 있다.
이를 도 4에 도시하였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제 2 클럭신호(clk2)가 제 1 클럭신호(clk1)의 전,후에 발생할 수 있도록 발생타이밍을 조절하여 엔지니어가 원하는 타이밍에 칩테스트용 데이터를 출력할 수가 있다.
이후, 엔지니어는 제 2 플립플롭군(25)에 래치된 데이터와 원하는 데이터를 비교하여 현재 칩의 상태가 불량인지 아닌지를 판별할 수 있고, 만일 불량일 경우, 칩 내부 원인에 의한 것인지 아니면 회로의 딜레이에 의한 것인지를 판별할 수가 있다.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타이밍체크가 가능한 칩은 컨트롤회로부와 클럭발생 타이밍 제어부를 추가하여 조합회로의 입력측 플립플롭과 출력측 플립플롭의 클럭신호를 별도로 제어하여 원하는 타이밍에 데이터를 출력시킬 수 있도록함으로써 칩이 비정상적일 경우, 칩내부의 원인에 의한 것인지 아니면 회로의 딜레이에 의한 것인지를 판단할 수 있으므로 보다 정확한 칩테스트가 가능하다.

Claims (4)

  1. 복수개의 조합회로와 순차회로로 구성된 반도체칩에 있어서,
    시리얼 입출력단을 갖고 상기 조합회로의 입력측에 구성되는 제 1 플립플롭군과, 상기 조합회로의 출력측에 구성되어 제 1 플립플롭군의 시리얼 입출력단과 별도의 시리얼 입출력단를 갖는 제 2 플립플롭군과,
    상기 시리얼 입력단을 통해 들어오는 시리얼 데이터를 상기 제 1 플립플롭군과 제 2 플립플롭군에 선택적으로 인가하고, 상기 제 2 플립플롭군의 클럭신호의 타이밍을 조절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컨트롤회로부와,
    상기 제어신호에 따라 제 2 플립플롭군의 클럭신호 발생타이밍을 조절하는 클럭발생 타이밍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밍체크가 가능한 칩.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클럭신호와 제 2 클럭신호는 클럭발생 타이밍이 서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밍체크가 가능한 칩.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회로부는 칩 외부로부터 들어오는 컨트롤 데이터를 저장하는 레지스터와, 레지스터에 저장된 컨트롤 데이터를 디코딩하는 디코더부와, 상기 디코더부의 제어신호에 의해 상기 컨트롤 데이터 또는 칩 테스트를 위한 스캔데이터를 상기 제 1 플립플롭군, 제 2 플립플롭군에 선택적으로 인가하는 멀티플렉싱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밍체크가 가능한 칩.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클럭발생 타이밍 제어부는 상기 컨트롤 회로부에서 출력되는 제어신호를 받아 상기 제 1 클럭신호와 제 2 클럭신호의 발생타이밍을 제어하는 딜레이 컨트롤부와, 상기 딜레이 컨트롤부의 제어하에 제 1 클럭신호를 딜레이시키는 제 1 딜레이부와, 상기 딜레이 컨트롤부의 제어하에 상기 제 1 딜레이부의 딜레이시간과 다른 딜레이시간으로 제 1 클럭신호를 딜레이시켜 제 2 클럭신호로써 출력하는 제 2 딜레이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밍체크가 가능한 칩.
KR1019980004198A 1998-02-12 1998-02-12 타이밍체크가 가능한 칩(chip) Expired - Fee Related KR1002677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04198A KR100267782B1 (ko) 1998-02-12 1998-02-12 타이밍체크가 가능한 칩(chip)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04198A KR100267782B1 (ko) 1998-02-12 1998-02-12 타이밍체크가 가능한 칩(chip)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69753A KR19990069753A (ko) 1999-09-06
KR100267782B1 true KR100267782B1 (ko) 2000-10-16

Family

ID=195329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04198A Expired - Fee Related KR100267782B1 (ko) 1998-02-12 1998-02-12 타이밍체크가 가능한 칩(chip)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6778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21947A (ko) 2015-04-13 2016-10-21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반도체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69753A (ko) 1999-09-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78055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verifying a single phase clocking system including testing for latch early mode
US7941720B2 (en) Scan test circuit and scan test control method
KR100432923B1 (ko) 넓은 주파수 대역에 대응할 수 있는 레지스터 및 이를이용한 신호 발생 방법
US6512707B2 (en)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device allowing accurate evaluation of access time of memory core contained therein and access time evaluating method
US6073260A (en) Integrated circuit
KR20040047612A (ko) 반도체 기억 장치의 테스트 방법 및 반도체 기억 장치의테스트 회로
US5848075A (en) Test device employing scan path having circuitry at switches between a scan in signal transmitted and previously held at a predetermined clock timing
US7117394B2 (en) Built-in self-test circuit
KR100267782B1 (ko) 타이밍체크가 가능한 칩(chip)
US7183829B2 (en) Semiconductor device including a plurality of circuit blocks provided on a chip and having different functions
JP5077806B2 (ja) メモリ試験装置
US6182255B1 (en) IC tester
US20050246599A1 (en) System and method for testing input and output characterization on an integrated circuit device
JP3368572B2 (ja) 周期発生装置
US6335645B1 (en)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having built-in self-test circuit
JP2006058242A (ja) 集積回路
KR100396096B1 (ko) 반도체 집적 회로의 테스트 회로
JP2001228213A (ja) 半導体集積回路装置及びクロックスキューの検証方法
KR970002062B1 (ko) 바운더리 스캔 구조의 테스트 데이타 출력 장치
US20050044461A1 (en) Semiconductor device test circuit and semiconductor device
JP4186559B2 (ja) スキャンフリップフロップ
JPH04361179A (ja) 半導体集積回路装置
JP2001176300A (ja) メモリ検査装置
JPH11344534A (ja) フルスキャンテストが可能な半導体集積回路及びテストデータ生成方法
JP3236235B2 (ja) トグルフリップフロッ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80212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80212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005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0070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0070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3062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061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062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0619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622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619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624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624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