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265874B1 - 합성수지제 단열용기 및 합성수지제 단열뚜껑 - Google Patents

합성수지제 단열용기 및 합성수지제 단열뚜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65874B1
KR100265874B1 KR1019980705218A KR19980705218A KR100265874B1 KR 100265874 B1 KR100265874 B1 KR 100265874B1 KR 1019980705218 A KR1019980705218 A KR 1019980705218A KR 19980705218 A KR19980705218 A KR 19980705218A KR 100265874 B1 KR100265874 B1 KR 1002658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heat
heat insulating
synthetic resin
heat transf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7052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77083A (ko
Inventor
히데후미 카마치
마사시 야마다
타카후미 후지이
켄수케 후루야마
아츠히코 타나카
Original Assignee
쓰치야 히로오
닛폰산소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쓰치야 히로오, 닛폰산소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쓰치야 히로오
Publication of KR199900770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770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658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65874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1/00Thermally-insulated vessels, e.g. flasks, jugs, ja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1/00Thermally-insulated vessels, e.g. flasks, jugs, jars
    • A47J41/0055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elements forming the thermal insulation
    • A47J41/0072Double walled vessels comprising a single insulating layer between inner and outer walls
    • A47J41/0077Double walled vessels comprising a single insulating layer between inner and outer walls made of two vessels inserted in each othe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ackages (AREA)
  • Thermally Insulated Containers For Foo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합성수지제의 이중벽 구조의 단열용기에서, 입구부로부터의 전열 손실을 저감시킨 단열성능이 양호한 합성수지제 단열용기에 관한 것이다.
합성수지제의 내용기 4와 외용기 3이 각각 입구부 12, 11에서 공간부를 두고 연결되고, 상기 내용기 4와 외용기 3의 공간부를 단열층 6으로 하여 이루어지는 합성수지제 단열용기에 있어서, 내용기 4의 입구부 12 근방의 벽에 두께를 감소시킨 벽을 갖는 전열 저감부 14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용기 1이다.

Description

합성수지제 단열용기 및 합성수지제 단열뚜껑
종래부터, 보온병이라든가 보온 도시락 등에 이용되는 단열용기에 있어서, 경량, 성형의 용이성, 제조 비용이 낮은 이점을 갖는 합성수지제 단열용기의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이와 같은 합성수지제 단열용기로서, 다음 구성의 용기체와 이에 계합되는 뚜껑체로 이루어지는 뚜껑달린 용기가 제안되어 있다. 즉, 용기체는 내용기와 외용기를 합성수지로 형성하고, 내용기와 이보다 치수가 큰 외용기를 공극을 두고 조합시키고, 이들 내·외용기를 각각의 입구에서 결합하여 이중벽 구조의 용기로 하고, 이 내·외용기의 공극에 크세논, 크립톤, 아르곤 중의 적어도 1 종으로 이루어지는 저열전도율 기체를 봉입하여 이루어지는 단열용기가 있다. 마찬가지로 뚜껑체는 상면벽과 하면벽을 합성수지로 형성하고, 하면벽과 상면벽을 공극을 두고 조합시키고, 이들 상·하면벽을 각각의 입구에서 결합하여 이중벽 구조의 뚜껑으로 하고, 이 상·하면벽의 공극에 바람직하게는 크세논, 크립톤, 아르곤 중의 적어도 1 종으로 이루어지는 저열전도율 기체를 봉입하여 이루어지는 단열뚜껑이 있다.
이와 같은 단열용기 또는 단열뚜껑에 있어서는, 단열의 효과를 높이기 위해 단열층으로 저열전도율 기체를 봉입하는 것에 더하여, 적어도 내용기 또는 하면벽의 단열층측의 면에 금속박을 설치하여 열복사에 의한 열손실을 방지하는 것이 행하여 진다. 이들은 어느 것이나 단열층의 두께 방향의 단열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법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단열용기 내에 보온될 내용물을 수용하고 뚜껑으로 덮어 보온하는 경우, 내용물에 접촉하는 부분으로부터 내용기 벽면을 따라 내용기 입구부로 열이 전도되어, 이 내용기 입구부로부터 용기 외부로 열손실이 일어나는 것과 같은 내용기 입구부로부터의 전열 손실도 무시할 수 없다. 마찬가지로, 내용물의 수용 공간에 면하는 하면벽의 주변부로부터의 전열 손실도 고려할 필요가 있다.
이들 내용기 입구부 또는 하면벽 주변부로부터의 전열 손실은 각각 단열층을 두껍게 한다거나, 단열층으로 저열전도율 기체를 봉입한다거나, 내용기 또는 하면벽의 단열층측 표면에 금속박을 설치하는 방법 등으로는 저감화할 수 없다. 그래서, 특히 단열용기를 입구가 넓은 형상으로 하는 경우에는 용기 입구부로부터 전열 손실의 비율이 높게 되므로, 종래 형태의 단열용기에서는 보온 또는 보냉 성능이 불충분하게 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은 보온병, 쿨러 박스, 아이스 박스, 밥그릇, 국그릇, 단열 컵, 보온 도시락 등에 사용되는 단열용기 및 단열뚜껑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용기의 입구부 또는 뚜껑의 가장자리부로부터의 열전달에 의한 전열(傳熱) 손실이 저감화된 합성수지제 단열용기 및 합성수지제 단열뚜껑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는 일본 특허출원(특원평8-312360호)에 기초한 것으로, 당해 일본국 출원의 기재 내용은 본 명세서의 일부로서 도입되는 것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합성수지제 단열용기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일부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합성수지제 단열용기의 입구부 부근을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합성수지제 단열뚜껑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일부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합성수지제 단열뚜껑의 주변부 부근을 나타낸 단면도.
본 발명은 용기 입구부로부터의 전열 손실을 저감화한 합성수지제 단열용기와 뚜껑 주변부로부터의 전열 손실을 저감화한 합성수지제 단열뚜껑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합성수지제 단열용기는, 합성수지제의 내용기와 외용기가 각각의 입구부에서 공간을 두고 연결되고, 상기 내용기와 외용기 사이의 공간을 단열층으로 하여 이루어지는 합성수지제 단열용기에 있어서, 내용기의 입구부 근방에 두께를 감소시킨 벽을 갖는 전열 저감부(傳熱 低減部)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단열층에, 공기보다 열전도율이 작은 저열전도율 기체가 봉입되는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상기 내용기의 단열층에 면하는 표면 중, 전열 저감부 이외의 부분에 금속박을 설치하여도 좋다.
본 발명의 합성수지제 단열뚜껑은, 합성수지제의 상면벽과 하면벽이 공간을 두고 각각의 가장자리부에서 연결되고, 상기 상면벽과 하면벽 사이의 공간을 단열층으로 하여 이루어지는 합성수지제 단열뚜껑에 있어서, 하면벽의 가장자리부 근방에 두께를 감소시킨 벽을 갖는 전열 저감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단열층에, 공기보다 열전도율이 작은 저열전도율 기체가 봉입되는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상기 하면벽의 단열층에 면하는 표면 중, 전열 저감부 이외의 부분에 금속박을 설치하여도 좋다.
본 발명의 합성수지제 단열용기(이하 단열용기라 한다) 및 합성수지제 단열뚜껑(이하 단열뚜껑이라 한다)은, 내용물에 접촉하는 내용기의 입구부 근방 또는 용기 내부 공간에 면하는 하면벽의 주변부 근방에 두께를 감소시킨 벽을 갖는 전열 저감부를 설치하는 것에 의해, 내용기의 입구부 또는 하면벽의 주변부로의 단위 시간당 전열량(전열 속도)을 저하시킨 것이다.
본 발명의 단열용기의 전열 저감부에 있어서, 「두께를 감소시킨」 것은 전열 저감부 형성 장소의 양측(상측 및 하측) 또는 하측의 두께 보다 전열 저감부의 중앙 부근의 두께를 얇게 형성한 것을 말한다. 마찬가지로, 본 발명의 단열뚜껑의 전열 저감부에 있어서, 「두께를 감소시킨」 것은 전열 저감부 형성 장소의 양측(중앙측 및 주변측) 또는 중앙측의 두께 보다 전열 저감부의 중앙 부근의 두께를 얇게 형성한 것을 말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단열용기 1,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단열뚜껑 2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단열뚜껑 2는 단열용기 1에 끼워 맞춰 이를 밀폐하도록 되어 있다.
이 용기 1은 바람직하게는 내열·내수성의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폴리프로필렌 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 ABS 수지, 더욱 바람직하게는 폴리카보네이트와 폴리에스테르를 7:3의 비율로 혼합한 혼합수지 등을 이용하여, 사출성형 등의 방법으로 성형된 외용기 3과 내용기 4로부터 이루어지고, 내·외용기 사이의 공간부 5를 단열층 6으로 하는 이중벽 구조의 주발 형상 또는 사발 형상의 용기이다.
용기 1의 성형에, 폴리카보네이트와 폴리에스테르를 7:3의 비율로 혼합한 혼합수지를 이용하면, 내약품성이 높기 때문에 도금막 형성시 도료에 함유된 용제에 의해 솔벤트 크랙이 발생한다거나, 사용할 때에 내용물, 세제, 표백제 등에 의한 크랙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이 수지는 기체 장벽성도 높기 때문에 단열층에 저열전도율 기체를 봉입하는 경우 특히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폴리에스테르로서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가 포함된다.
외용기 3 저부의 중앙에는 관통공 7이 형성되고, 관통공 7의 주위에는 외용기 3의 외면측에 관통공 7을 중심으로 동심원상으로 오목부 8이 형성된다. 이 오목부 8은 봉지판 9를 끼워 맞추어 접착하기 위한 것으로, 오목부 8의 깊이는 내·외용기와 동일한 수지로 형성되는 봉지판 9의 두께와 동일하게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용기 1을 맞출 때 용기 1 저부의 관통공 7 부위를 평활하게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외관상 또는 취급상 우수하고 세정도 용이하다.
상기 관통공 7은 외용기 3의 저부에 설치되는데, 용기 1의 제조 공정에서 내·외용기를 접합하여 이중벽 구조의 용기로 한 후 저열전도율 기체로 치환 봉입하기 위한 배출 및 도입구로 되고, 봉입후 접착제로 봉지되는 것이다. 도 1에 나타낸 예는, 중심에 관통공 7이 형성된 오목부 8을 외용기 3에 설치한 예를 나타내는데, 이 대신에 내용기 4에 설치하여도 좋다. 그러나, 제조 공정의 편의상 및 미관상, 통상 외용기 3의 저부 중앙에 형성된다.
상기 외용기 3과 내용기 4는 각각의 입구부 11, 12에 있어서, 진동 용착 또는 스핀 용착 등의 방법으로 이중벽 구조의 용기로 되도록 접합되어 있다. 이와 같이 진동 용착 또는 스핀 용착에 의해 접합되어 있으므로, 내·외용기 접합부의 밀폐도가 높고 그 접합 강도도 크다.
외용기 3과 내용기 4 사이에 형성된 단열층 6에는 크세논, 크립톤, 아르곤 중 적어도 1 종의 저열전도율 기체가 봉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 기체의 열전도율은 크세논(k = 0.52 x 10-2W·m-1·K-1; 0 ℃), 크립톤(k = 0.87 x 10-2W·m-1·K-1; 0 ℃), 아르곤(k = 1.63 x 10-2W·m-1·K-1; 0 ℃)으로, 공기(k = 2.41 x 10-2W·m-1·K-1; 0 ℃) 보다도 작아, 이들을 단독으로 이용하거나 2 종 이상의 혼합기체로 하여 이용할 수 있다. 이들 저열전도율 기체를 이용하는 것에 의해, 단열성능이 높은 용기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관통공 7은 외용기 3의 오목부 8로 봉지판 9를 끼워 맞춤 접착하는 것에 의해 봉지된다. 즉, 봉지판 9는 관통공 7을 시아노아크릴레이트계의 접착제로 봉지후, 시아노아크릴레이트계의 접착제를 붙여 외용기 3의 오목부 8에 끼워 맞춤 접착시키는 것으로, 이에 의해 접착부가 외부로부터 보호된다. 또한, 오목부 8에 봉지판 9가 끼워 맞춤 접착되므로, 이중벽 구조의 용기 제조시 봉지판 9의 위치결정도 용이하게 되고 봉지판 9가 위치 어긋나는 일도 없다.
내용기 4와 외용기 3의 공간부 5에 면하는 면에는, 적어도 내용기 4의 표면에 열복사 방지재로서 금속박 13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단열용기의 열복사에 의한 열전달을 억제할 수 있다. 더욱이 외용기 3의 내면에도 금속박(도시하지 않음)을 설치하여 두면, 열복사에 의한 열전달을 보다 작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금속박 13으로서는, 알루미늄박, 동박, 은박 등이 이용되는데, 접착제라든가 양면 테이프에 의해 값싸고도 간편하게 취부할 수 있다. 또는 금속증착 테이프를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내용기 4의 입구부 12 근방에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두께를 감소시킨 벽을 갖는 전열 저감부 14가 형성되어 있다. 이 예에서는, 내용기 4에 단차부가 형성되고, 이 단차부 상면 15에서 구배를 감소시키면서 내용기 두께가 감소되도록 하여 전열 저감부 14가 형성되어 있고, 또한 상방으로 향하여 내벽측이 오목 곡면(단열층측이 볼록 곡면)을 그리도록 재차 구배를 증가하여 용기의 가장자리를 형성하는 입구부 12에 이르는데, 이 입구부 12에서 외용기 3의 입구부 11과 접합되어 있다.
내용기 4의 전열 저감부 14 이외 부위의 두께 a는 단열용기로서 요구되는 단열성능, 중량, 크기에 의해 결정되며, 바람직하게는 1.5∼4.0 mm, 보다 바람직하게는 2.0∼3.0 mm로 하는데 대하여, 전열 저감부 14의 최소 두께 b는 그의 강도와 전열 저감 효과에 맞추어 결정되어, 바람직하게는 0.5∼2.0 mm, 보다 바람직하게는 1.0∼2.0 mm로 한다. 전열 저감부 14의 최소 두께 b가 0.5 mm 보다 얇으면 용기 1로서 필요한 강도가 손상될 우려가 있다.
이 전열 저감부 14는 내용기 4의 사출 성형시에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형성이 용이하고 공정수가 증가되지 않는다. 또한, 내용기 4의 형성에 필요한 합성수지의 양도 감소하므로, 전열 저감부 14 형성에 의해 제조 비용이 상승하는 것은 아니다.
또, 전열 저감부 14는 용기 뚜껑의 하면벽 주변의 볼록 곡면 형상에 끼워 맞추는 형상으로 하면, 단열용기 1과 단열뚜껑 2를 면접촉시키는 것이 가능하므로 단열뚜껑 2의 계합을 안정화시켜, 단열용기 1과 단열뚜껑 2의 밀폐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단열용기 1을 사용할 때에는 단차부의 각부 16이 내용물의 상한 눈금으로 되기 때문에, 이에 따라 뚜껑을 덮을 때 단열용기 1로부터 내용물이 넘치거나 전열 저감부 14가 내용물에 접촉하여 전열 저감 효과를 손상시키는 일을 방지할 수 있다.
더욱이, 열복사방지재로서 내용기 4의 단열층 6 측 표면에 금속박 13을 점착할 때, 전열 저감부 14의 단열층 6 측 볼록 곡면의 하단 부근에 금속박 13을 위치결정하여 점착하면 금속박 13의 고정이 용이하고, 금속박을 개재하여 용기 입구부 12로부터 전열 손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3 및 도 4는 상기 용기 1의 개구부를 계합 가능하게 덮는 단열뚜껑 2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이 단열뚜껑 2는 내열·내수성의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폴리프로필렌 수지, ABS 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 더욱 바람직하게는 폴리카보네이트와 폴리에스테르를 7:3의 비율로 혼합한 혼합수지 등을 이용하여 사출성형 등의 방법으로 성형된 상면벽 21과 하면벽 22로부터 이루어지고, 상·하면벽 사이의 공간부 23을 단열층 24로 하는 모자 형상의 것이다.
단열뚜껑 2의 성형에, 폴리카보네이트와 폴리에스테르를 7:3의 비율로 혼합한 혼합수지를 이용하면, 내약품성이 높기 때문에 도금막의 형성시 도료에 함유된 용제에 의해 솔벤트 크랙이 발생한다든가, 사용할 때에 내용물, 세제, 표백제 등에 의한 크랙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이 수지는 기체 장벽성도 높기 때문에 단열층 24에 저열전도율 기체를 봉입하는 경우 특히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폴리에스테르로서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가 포함된다.
상면벽 21의 중앙에는 관통공 25가 형성되고, 관통공 25의 주위에는 상면벽 21의 상면측에 관통공 25를 중심으로 동심원상으로 오목부 26이 형성된다. 이 오목부 26은 봉지판 27을 끼워 맞추기 위한 것으로, 오목부 26의 깊이는 상·하면벽과 동일한 수지로 형성되는 봉지판 27의 두께와 동일하게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단열뚜껑 2의 상면벽 21의 관통공 25의 주변을 평활하게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외관상 또는 취급상 우수하고 세정도 용이하다.
상기 관통공 25는 단열뚜껑 2의 제조 공정에서 상·하면벽을 접합하여 이중벽 구조의 뚜껑으로 한 후 저열전도율 기체로 치환 봉입하기 위한 배출 및 도입구로 되고, 봉입후 접착제로 봉지되는 것이다. 도 3에 나타낸 예는, 중심에 관통공 25가 형성된 오목부 26을 상면벽 21에 설치한 예를 나타내는데, 이 대신에 하면벽 22에 설치하여도 좋다.
단열뚜껑 2는 상면벽 21과 하면벽 22 사이에 공간부 23을 두고 상·하면벽 21, 22의 가장자리부 29, 30에서 일체로 연결되어, 진동 용착 또는 스핀 용착 등의 방법으로 이중벽 구조의 뚜껑으로 되도록 접합되어 있다. 이와 같이 진동 용착 또는 스핀 용착에 의해 접합되어 있으므로, 접합부의 밀폐도가 높고 그 접합 강도도 크다.
상면벽 21과 하면벽 22 사이에 형성된 단열층 24에는 크세논, 크립톤, 아르곤 중 적어도 1 종의 저열전도율 기체가 봉입되어 있다. 이들 기체의 열전도율은 공기 보다도 작아, 이들을 단독으로 이용하거나 2 종 이상의 혼합기체로 하여 이용할 수 있다. 이들 저열전도율 기체를 이용하는 것에 의해, 단열성능이 높은 단열뚜껑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관통공 25는 상면벽 21의 오목부 26으로 봉지판 27을 끼워 맞춤 접착하는 것에 의해 봉지된다. 즉, 봉지판 27은 관통공 25를 시아노아크릴레이트계의 접착제로 봉지후, 시아노아크릴레이트계의 접착제를 붙여 상면벽 21의 오목부 26에 끼워 맞춤 접착시키는 것으로, 이에 의해 접착부가 외부로부터 보호된다. 또한, 오목부 26에 봉지판 27이 끼워 맞춤 접착되므로, 이중벽 구조의 뚜껑 제조시 봉지판 27의 위치결정도 용이하게 되고 봉지판 27이 위치 어긋나는 일도 없다.
상면벽 21과 하면벽 22의 공간부 23에 면하는 면에는, 적어도 하면벽 22의 면에 열복사 방지재로서 금속박 31이 설치되어 있어, 이에 의해 단열뚜껑의 열복사에 의한 열전달을 억제할 수 있다. 더욱이 상면벽 21의 면에도 열복사 방지재(도시하지 않음)을 설치하여 두면, 열복사에 의한 열전달을 보다 작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금속박 31로서는, 알루미늄박, 동박, 은박 등이 이용되는데, 이들은 접착제라든가 양면 테이프에 의해 값싸고도 간편하게 상기 소정의 면에 취부할 수 있다. 또는 금속증착 테이프를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하면벽 22의 가장자리부 30 근방에는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두께를 감소시킨 벽으로 이루어지는 전열 저감부 32가 형성되어 있다. 이 예에서는, 단열뚜껑 2 주변부의 하부 모퉁이에 상당하는 부분에, 하면벽 22의 두께를 감소시키면서 오목부로서 전열 저감부 32가 형성되고, 이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어 하면벽 22의 가장자리부 30으로 되어, 이 하면벽 22의 가장자리부 30에서 상면벽 21의 가장자리부 29와 접합되어 있다.
하면벽 22의 전열 저감부 32 이외 부위의 두께 c는 단열뚜껑 2로서 요구되는 단열성능, 중량, 크기에 의해 결정되고, 바람직하게는 1.5∼4.0 mm, 보다 바람직하게는 2.0∼3.0 mm로 하는데 대하여, 전열 저감부 32의 최소 두께 d는 그의 강도와 전열 저감 효과에 맞추어 결정되고, 바람직하게는 0.5∼2.0 mm, 보다 바람직하게는 1.0∼2.0 mm로 한다. 전열 저감부 32의 최소 두께 b가 0.5 mm 보다 얇으면 단열뚜껑 2로서 필요한 강도가 손상될 우려가 있다.
이 전열 저감부 32는 하면벽 22의 사출 성형시에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형성이 용이하고 공정수가 증가되지 않는다. 또한, 하면벽 22의 형성에 필요한 합성수지의 양도 감소하므로, 전열 저감부 32 형성에 의해 제조 비용이 상승하는 것은 아니다.
또, 하면벽 22의 전열 저감부 32로부터 가장자리부 30에 이르는 볼록면 33을 내용기 4의 입구부 근방에 끼워 맞추는 형상, 예를 들어 상기 용기 1의 경우 전열 저감부 14의 내벽측 오목면에 끼워 맞추는 형상으로 하면, 단열용기 1과 단열뚜껑 2를 면접촉시키는 것이 가능하므로 단열뚜껑 2의 계합을 안정화시켜, 단열용기 1과 단열뚜껑 2의 밀폐성을 높일 수 있다.
더욱이, 열복사방지재로서 하면벽 22의 단열층 24 측 표면에 금속박 31을 점착할 때, 전열 저감부 32의 단열층 24 측 면에 금속박 31이 접촉하지 않도록 하면, 금속박 31을 개재하여 뚜껑 주변부로부터의 전열 손실을 방지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금속박 31이 전열 저감부 32에 이르지 않도록 직경을 조절한다든가, 금속박 31의 가장자리를 하면벽 22 표면으로부터 뜨도록 하여 점착하거나 하면 좋다.
[실시예 1]
도 1에 나타낸 단열용기 1을 제조하였다.
내용기 4와 외용기 3을, 폴리카보네이트와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를 7:3의 비율로 혼합한 혼합수지를 이용하여 사출성형에 의해 제작하였다(구경 130 mm). 내용기 4의 전열 저감부 14의 두께를 1 mm, 그 밖의 부위의 두께는 모두 2.5 mm로 하였다. 그 후, 내용기 4의 외면(공간부 5에 면하는 면)에 15 ㎛ 두께의 알루미늄박의 선단을 전열 저감부 14의 하단부에 위치결정하여, 양면 테이프로 점착하였다.
다음에, 내·외용기 3, 4의 단부를 진동 용착기(도시하지 않음)를 이용하여 접합 일체화하여 이중벽 구조의 용기로 하였다. 이 이중벽 구조의 용기를 기체 치환 봉입 봉지 장치(도시하지 않음)에 도치시키고, 이중벽 사이 극간의 공기를 진공배기한 후 여기에 크세논 기체를 대기압 정도로 봉입하고, 그 후 시아노아크릴레이트계의 접착제를 이용하여 봉지판 9로 관통공 7을 봉지하여 단열용기 1로 하였다.
한편, 마찬가지로 도 3에 나타낸 단열뚜껑 2를 제조하였다.
상면벽 21과 하면벽 22를, 폴리카보네이트와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를 7:3의 비율로 혼합한 혼합수지를 이용하여 사출성형에 의해 제작하였다. 하면벽 22의 두께가 얇은 부위의 두께를 1 mm, 그 밖의 부위의 두께는 모두 2.5 mm로 하였다. 그 후, 하면벽 22의 상면(공간부 23에 면하는 면)에 15 ㎛ 두께의 알루미늄박을, 그 선단이 하면벽 22에 접촉하지 않도록 하여 양면 테이프로 점착하였다.
다음에, 상·하면벽 21, 22의 단부를 진동 용착기를 이용하여 접합 일체화하였다. 이 이중벽 구조의 뚜껑을 기체 치환 봉입 봉지 장치에 의해, 먼저 이중벽 사이의 공간부 23의 공기를 진공배기한 후 당해 공간부 23에 크세논 기체를 대기압 정도로 충전하고, 그 후 시아노아크릴레이트계의 접착제를 이용하여 봉지판 27로 관통공 25를 봉지하여, 상기 크세논 기체를 봉입한 단열뚜껑 2로 하였다.
[실시예 2]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열복사 방지재로서 알루미늄박을 설치하지 않은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단열용기와 단열뚜껑을 제작하였다.
[실시예 3]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체치환을 행하지 않고 단열층에 공기를 유지한 채로 접합한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단열용기와 단열뚜껑을 제작하였다.
[실시예 4]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 3의 방법으로, 열복사방지재로서 알루미늄박을 설치하지 않은 단열용기와 단열뚜껑을 제작하였다.
[비교예 1∼4]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열 저감부를 설치하지 않고, 그 밖의 조건은 실시예 1∼4의 각 실시예와 동일한 방법으로 한 단열용기와 단열뚜껑을 제작한 것을, 각 실시예 1∼4에 대응하여 비교예 1∼4로 하였다.
이들 실시예 1∼4, 비교예 1∼4의 단열용기내에 약 95 ℃의 탕을 300 cc 넣고, 각각의 단열뚜껑으로 상기 단열용기의 개구를 덮은 상태로 20 ℃의 분위기 온도로 1 시간 유지하고 그 후의 탕온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표 1에 함께 나타낸다.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열 저감부 14, 32를 설치한 실시예 1∼4의 단열용기와 단열뚜껑은, 실시예 각각에 대응하는 전열저감부 14, 32를 설치하지 않은 비교예 1∼4의 단열용기와 단열뚜껑에 비하여 단열효과가 우수한 것을 알 수 있다.
또 실시예 1과 비교예 1의 온도차(4 ℃)와 실시예 2와 비교예 2의 온도차(3 ℃)가, 실시예 3과 비교예 3의 온도차(1 ℃)와 실시예 4와 비교예 4의 온도차(1 ℃)를 상회하였다. 이로부터, 단열용기와 단열뚜껑의 단열층에 공기를 봉입한 것(실시예 3 및 4와, 이들에 대응하는 비교예 3 및 4) 보다 단열층에 크세논 기체를 봉입한 것(실시예 1 및 2와, 이들에 대응하는 비교예 1 및 2)이, 본 발명의 전열 저감부 14, 32의 유무에 의한 전열 손실 저감 효과에 미치는 영향이 현저한 것을 알 수 있다.
특히, 단열층 6, 24에 크세논 기체를 봉입하고 알루미늄박을 열복사 방지재로서 설치한 위에, 전열 저감부 14, 32를 형성한 실시예 1에 대해서는 1 시간 후의 탕온이 77 ℃로, 양호한 보온성능을 갖고 동체부로부터의 전열 손실을 저감하는 만큼 본 발명의 효과가 큰 것을 나타내고 있다.
단열용기 단열뚜껑 1시간후탕온(℃) 온도차(℃)
전열저감부 봉입기체 Al박 전열저감부 봉입기체 Al박
실시예 1비교예 1 유무 크세논크세논 유유 유무 크세논크세논 유유 7773 4
실시예 2비교예 2 유무 크세논크세논 무무 유무 크세논크세논 무무 6966 3
실시예 3비교예 3 유무 공기공기 유유 유무 공기공기 유유 6463 1
실시예 4비교예 4 유무 공기공기 무무 유무 공기공기 무무 6059 1
본 발명의 합성수지제 단열용기 및 합성수지제 단열뚜껑은, 내용기의 입구부 근방 또는 하면벽의 가장자리부 근방에 두께를 감소시킨 전열 저감부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내용기 입구부로부터의 전열 손실 또는 뚜껑 주변부로부터의 전열 손실을 저감화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입구가 넓은 형상의 단열용기로 하는 경우에도 양호한 단열성능을 부여할 수 있다.
상기 구성의 전열 저감부는, 내용기 또는 하면벽의 사출성형시에 동시에 형성할 수 있으므로 형성이 용이하고 공정수를 증가시키는 일이 없으며, 또 내용기 형성에 필요한 합성수지의 양도 감소하므로 전열 저감부 형성에 의해 제조 비용이 상승하는 일은 없다.
더욱이, 전열 저감부의 두께가 얇기 때문에, 내용기의 입구부 근방 또는 하면벽 가장자리부 근방의 유연성이 높게 되므로 제조시, 사용할 때에 이하와 같은 이점을 갖는다.
종래는, 내용기와 외용기, 또는 상면벽과 하면벽을 용착할 때 이들을 겹쳐 합하는 위치가 어긋나면 용착불량으로 되어, 엄밀하게 겹쳐 합하는 위치를 관리할 필요가 있었으나, 본원 발명의 단열용기에 있어서는 내용기와 외용기, 또는 상면벽과 하면벽의 겹쳐 합하는 위치에 다소의 어긋남이 생겨도 전열 저감부의 탄성에 의해 이것을 흡수할 수 있기 때문에 용착공정의 관리가 용이하게 된다.
또, 단열용기가 식기 세정기에서의 세정 등으로 고온에 폭로되는 경우, 전열 저감부의 탄성에 의해 단열층의 내압상승에 의한 변형을 전열 저감부의 탄성에 의해 흡수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단열용기와 단열뚜껑의 단열층에 공기보다 열전도율이 작은 저열전도율 기체가 봉입되는 구성으로 하면, 본 발명의 전열 저감부의 전열 손실 저감 효과가 보다 높아질 수 있다.
더욱이, 내용기 또는 하면벽의 단열층에 면하는 표면 중에 전열 저감부 이외의 부분에 금속박을 설치하면, 금속박에 의한 열복사방지 효과에 더하여 금속박을 개재하여 용기 입구부 또는 하면벽 가장자리부로부터의 전열 손실을 방지하는 효과가 얻어진다.

Claims (6)

  1. 합성수지제의 내용기와 외용기가 각각의 입구부에서 공간을 두고 연결되고, 상기 내용기와 외용기 사이의 공간부를 단열층으로 하여 이루어지는 합성수지제 단열용기에 있어서, 내용기의 입구부 근방의 벽에 두께를 감소시킨 전열 저감부(傳熱 低減部)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제 단열용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열층이, 공간부에 공기보다 열전도율이 작은 저열전도율 기체가 봉입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제 단열용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내용기의 단열층에 면하는 표면 중, 전열 저감부 이외의 부분에 금속박이 설치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제 단열용기.
  4. 합성수지제의 상면벽과 하면벽이 공간을 두고 각각의 가장자리부에서 연결되고, 상기 상면벽과 하면벽 사이의 공간부를 단열층으로 하여 이루어지는 합성수지제 단열뚜껑에 있어서, 하면벽의 가장자리부 근방의 벽에 두께를 감소시킨 전열 저감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제 단열뚜껑.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단열층이, 공간부에 공기보다 열전도율이 작은 저열전도율 기체가 봉입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제 단열뚜껑.
  6.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하면벽의 단열층에 면하는 표면 중, 전열 저감부 이외의 부분에 금속박이 설치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제 단열뚜껑.
KR1019980705218A 1996-11-22 1997-11-13 합성수지제 단열용기 및 합성수지제 단열뚜껑 KR10026587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8312360A JP2963664B2 (ja) 1996-11-22 1996-11-22 合成樹脂製断熱容器および合成樹脂製断熱蓋
JP08-312360 1996-11-2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77083A KR19990077083A (ko) 1999-10-25
KR100265874B1 true KR100265874B1 (ko) 2000-09-15

Family

ID=180283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705218A KR100265874B1 (ko) 1996-11-22 1997-11-13 합성수지제 단열용기 및 합성수지제 단열뚜껑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6152319A (ko)
EP (1) EP0888740A4 (ko)
JP (1) JP2963664B2 (ko)
KR (1) KR100265874B1 (ko)
CN (1) CN1145450C (ko)
CA (1) CA2243186C (ko)
TW (1) TW400221B (ko)
WO (1) WO199802200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63664B2 (ja) * 1996-11-22 1999-10-18 日本酸素株式会社 合成樹脂製断熱容器および合成樹脂製断熱蓋
US6516747B1 (en) * 2000-11-08 2003-02-11 Jw Pet Company, Inc. Non skid pet bowl
AT413258B (de) * 2001-09-18 2006-01-15 Bamed Ag Teller aus kunststoffmaterial sowie verfahren zu dessen herstellung
US7168581B2 (en) 2001-12-21 2007-01-30 Rexam Medical Packaging Inc. Closure for a retort processed container having a peelable seal
WO2004031052A1 (en) * 2002-09-30 2004-04-15 Zeunik Robert L Portable thermoplastic cryogenic vessels
DE10307100A1 (de) * 2003-02-19 2004-09-02 Quirin Gebert Gefäß zur Aufbewahrung von Flüssigkeiten
US7644902B1 (en) 2003-05-31 2010-01-12 Rexam Medical Packaging Inc. Apparatus for producing a retort thermal processed container with a peelable seal
ITTO20040276A1 (it) * 2004-05-03 2004-08-03 Soremartec Sa Contenitori per il confezionamento di prodotti alimentari congelati o semifreddi.
US7798359B1 (en) 2004-08-17 2010-09-21 Momar Industries LLC Heat-sealed, peelable lidding membrane for retort packaging
CA2585570A1 (en) * 2005-03-23 2006-09-28 Thermos K.K. Heat insulated container
US20060219724A1 (en) * 2005-04-04 2006-10-05 Vladimir Melnik Thermos heated from the outside
US7780024B1 (en) 2005-07-14 2010-08-24 Rexam Closures And Containers Inc. Self peel flick-it seal for an opening in a container neck
US8100277B1 (en) 2005-07-14 2012-01-24 Rexam Closures And Containers Inc. Peelable seal for an opening in a container neck
US20070080163A1 (en) * 2005-10-12 2007-04-12 Sar Holdings International Ltd. Flexible mould for food baking
US8251236B1 (en) 2007-11-02 2012-08-28 Berry Plastics Corporation Closure with lifting mechanism
USD626705S1 (en) 2010-02-01 2010-11-02 J.W. Pet Company, Inc. Pet toy
US20100102057A1 (en) * 2008-10-29 2010-04-29 Gate Gourmet, Inc. Reusable container
US20100108693A1 (en) * 2008-11-04 2010-05-06 The Coca-Cola Company Insulated double-walled disposable plastic cup
US8783490B2 (en) * 2010-04-23 2014-07-22 Zuna Enterprises, Llc Composite microwave and oven safe food container system
USD659296S1 (en) 2011-03-29 2012-05-08 J.W. Pet Company, Inc. Pet bowl
USD738690S1 (en) * 2013-01-06 2015-09-15 Mark Spaulding Thermal insulator for a bowl
US9706862B2 (en) * 2013-11-22 2017-07-18 Adam Kasha Double-walled articles for receiving decorative filler materials
US9322588B2 (en) * 2014-01-29 2016-04-26 Fit & Fresh, Inc. Hot or cold dual insulating food service assembly
DE102017007487A1 (de) * 2016-08-09 2018-03-01 Hamilton Housewares Pvt. Ltd. Wiedererhitzbarer und waschfester Behälter mit Isolationseigenschaften
US20180085250A1 (en) * 2016-09-29 2018-03-29 Randy Howard Weinstein Cold Pack and Storage Container for Perishables
CN107048931A (zh) * 2017-06-15 2017-08-18 耒阳凌宝水晶玻璃工艺有限公司 一种减震效果好的玻璃保温杯
USD902661S1 (en) * 2019-07-09 2020-11-24 Tomonori Takahashi Bowl
USD926531S1 (en) * 2021-04-08 2021-08-03 Foshan Aishilan Cosmetics Co., Ltd. Porcelain bowl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1078642A (fr) * 1953-04-04 1954-11-19 Bidon calorifugé adaptable aux bicyclettes
GB8327095D0 (en) * 1983-10-11 1983-11-09 Cole A C Milk bottle container
DE3613298A1 (de) * 1986-04-19 1987-10-22 Bentz & Sohn Melitta Aus kunststoff gefertigtes, schalenfoermiges geschirrteil fuer mikrowellenherde
US4981234A (en) * 1989-02-06 1991-01-01 Kreme Kool, Inc. Food container
CA2031495C (en) * 1989-04-20 1995-10-24 Shoji Toida Heat insulating container
US4984707A (en) * 1989-07-25 1991-01-15 Frederick Fierthaler Thermally insulated beverage mug
JPH0646572A (ja) * 1992-03-26 1994-02-18 Sanshin Dengu Seizo Kk 逆変換装置
JPH0646572U (ja) * 1992-12-11 1994-06-28 高陵プラスチックス工業株式会社 保温汁椀
JPH06189861A (ja) * 1992-12-24 1994-07-12 Nippon Sanso Kk 金属製真空二重壁容器及びその製造方法
JP3108617B2 (ja) * 1995-11-22 2000-11-13 日本酸素株式会社 食器および食器の蓋
JP2920095B2 (ja) * 1995-10-06 1999-07-19 日本酸素株式会社 合成樹脂製断熱二重壁容器およびその外容器の成形方法
KR100260956B1 (ko) * 1995-09-13 2000-09-01 쓰치야 히로오 합성수지제 단열 이중벽 용기 및 합성수지제 단열 이중벽 덮개
JP2963664B2 (ja) * 1996-11-22 1999-10-18 日本酸素株式会社 合成樹脂製断熱容器および合成樹脂製断熱蓋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45450C (zh) 2004-04-14
CA2243186C (en) 2002-05-14
WO1998022007A1 (fr) 1998-05-28
CA2243186A1 (en) 1998-05-28
US6152319A (en) 2000-11-28
JP2963664B2 (ja) 1999-10-18
CN1209734A (zh) 1999-03-03
TW400221B (en) 2000-08-01
EP0888740A4 (en) 2000-02-23
KR19990077083A (ko) 1999-10-25
EP0888740A1 (en) 1999-01-07
JPH10151078A (ja) 1998-06-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65874B1 (ko) 합성수지제 단열용기 및 합성수지제 단열뚜껑
CA2176080C (en) Thermally-insulated double-walled synthetic-resin container
CA2419437C (en) Thermally insulated container
KR100234637B1 (ko) 단열 용기와 그 제조방법
KR100391030B1 (ko) 투명 단열 용기와 그의 제조 방법
KR100288007B1 (ko) 합성수지제 단열 용기 및 합성수지제 단열 뚜껑
EP0872431B1 (en) Heat insulating container of synthetic resin and heat insulating cover of synthetic resin
KR100280271B1 (ko) 합성수지제 단열 용기 및 합성수지제 단열 뚜껑
JP3049209B2 (ja) 合成樹脂製断熱容器および合成樹脂製断熱蓋
JP3108617B2 (ja) 食器および食器の蓋
KR100221279B1 (ko) 합성수지제 단열 용기 및 합성수지제 단열 덮개
JP2945342B2 (ja) 合成樹脂製断熱容器と合成樹脂製断熱蓋
KR100239158B1 (ko) 단열용기와 단열재료 및 단열용기의 제조방법
JPH0998892A (ja) 合成樹脂製断熱二重壁容器およびその外容器の成形方法
JP2920094B2 (ja) 合成樹脂製断熱二重壁容器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986924B2 (ja) 合成樹脂製断熱容器および合成樹脂製断熱蓋
JPS60238668A (ja) 冷水器
JP2000254016A (ja) 断熱容器及びその製造方法
JPH0269965A (ja) 半導体パッケージ及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80707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80707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0042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0061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0061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3050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060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031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0529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529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528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616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617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614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08

Year of fee payment: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608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