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264817B1 - 광대역 마이크로스트립 다이폴 안테나 어레이 - Google Patents

광대역 마이크로스트립 다이폴 안테나 어레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64817B1
KR100264817B1 KR1019980021305A KR19980021305A KR100264817B1 KR 100264817 B1 KR100264817 B1 KR 100264817B1 KR 1019980021305 A KR1019980021305 A KR 1019980021305A KR 19980021305 A KR19980021305 A KR 19980021305A KR 100264817 B1 KR100264817 B1 KR 1002648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tenna array
dipole antenna
printed circuit
array
microstrip dip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213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01181A (ko
Inventor
이고르 이. 티모피예프
김제우
한경섭
Original Assignee
박태진
삼성톰슨시에스에프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태진, 삼성톰슨시에스에프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박태진
Priority to KR10199800213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64817B1/ko
Priority to GB9913358A priority patent/GB2338346B/en
Priority to US09/328,374 priority patent/US6239764B1/en
Publication of KR200000011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11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648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64817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3/00Waveguide horns or mouths; Slot antennas; Leaky-waveguide antennas; Equivalent structures causing radiation along the transmission path of a guided wave
    • H01Q13/08Radiating ends of two-conductor microwave transmission lines, e.g. of coaxial lines, of microstrip lin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9/00Electrically-short antennas having dimensions not more than twice the operating wavelength and consisting of conductive active radiating elements
    • H01Q9/04Resonant antennas
    • H01Q9/06Details
    • H01Q9/065Microstrip dipole antenna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52Means for reducing coupling between antennas; Means for reducing coupling between an antenna and another structure
    • H01Q1/521Means for reducing coupling between antennas; Means for reducing coupling between an antenna and another structure reducing the coupling between adjacent antennas
    • H01Q1/523Means for reducing coupling between antennas; Means for reducing coupling between an antenna and another structure reducing the coupling between adjacent antennas between antennas of an arra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21/00Antenna arrays or systems
    • H01Q21/0087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ntenna array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21/00Antenna arrays or systems
    • H01Q21/06Arrays of individually energised antenna units similarly polarised and spaced apart
    • H01Q21/061Two dimensional planar arrays
    • H01Q21/062Two dimensional planar arrays using dipole aeri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9/00Electrically-short antennas having dimensions not more than twice the operating wavelength and consisting of conductive active radiating elements
    • H01Q9/04Resonant antennas
    • H01Q9/16Resonant antennas with feed intermediate between the extremities of the antenna, e.g. centre-fed dipo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Variable-Direction Aerials And Aerial Arrays (AREA)

Abstract

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본 발명은 인쇄 다이폴 안테나 어레이(printed-dipole antenna array)에 관한 것이다.
나.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큰 공기저항 면적, 다이폴들 사이의 현저한 상호 결합, 나쁜 엘리먼트 패턴, 가장자리 현상, 불충분한 통풍 등을 개선시킬 수 있는 광대역 마이크로스트립 다이폴 안테나 어레이를 제공한다.
다.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다이폴들과 피드를 가진 PCB들 사이에 금속 펜스들을 접지 스크린 대신에 평행하게 설치한다.
라. 발명의 중요한 용도
각종 광대역 통신 시스템, 레이다, ESM 및 ECM 시스템 등에 이용한다.

Description

광대역 마이크로스트립 다이폴 안테나 어레이
본 발명은 안테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인쇄 다이폴 안테나 어레이(printed-dipole antenna array)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인쇄 다이폴 안테나 어레이와 같은 종류의 안테나 어레이는 포인트-투-포인트(point-to-point), 무선 중계(radio relay), 셀룰러(cellular), PCS(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 위성(satellite) 통신 등과 같은 광대역 통신 시스템 뿐만아니라 레이다(radar), ESM(Electromagnetic Support Measurement) 및 ECM(Electromagnetic Counter Measurement) 시스템 등에서 이용될 수 있다.
인쇄 어레이 안테나 기술은 경량이며 저비용인 안테나 구조를 만드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이러한 인쇄 어레이들에 대해서 가장 널리 알려진 엘리먼트(element) 중의 하나는 UHF(Ultra High Frequency)대역에서 Ka대역까지 다양한 주파수 범위를 사용하는 마이크로스트립 다이폴(microstrip dipole)이다. 이에 대해서는 1994년에 아테크 하우스(Artech House)에서 발행한 R.J.Mailloux 저 "Phased Arrary Antenna Handbook"(이하 "위상 배열 안테나 핸드북"이라 함)의 251페이지에 언급되어 있다.
상기한 위상 배열 안테나 핸드북의 310,311페이지에는 충분히 저비용으로 제작할 수 있는 통상적인 마이크로스트립 다이폴 어레이가 기술되어 있다. 마이크로스트립 다이폴들 및 마이크로스트립 통합 피드(microstrip corporate feed)는 동일한 인쇄회로기판, 즉 PCB(Printed Circuit Board)에 함께 에칭(etching)되며, 마이크로스트립 통합 피드는 이상기(phase shifter)들 및 집적 디바이스(integrated device)들을 가진다. 1993년에 뉴욕, 맥그로우 힐(McGraw Hill)에서 발행한 R.C. Johnson 저 "Antenna engineering Handbook" 3판(3d. edition)의 32-22 및 20-29에는 유사한 구조(architecture)를 가진 인쇄 다이폴 어레이 안테나의 2개의 또다른 샘플이 기술되어 있다.
도 1은 통상적인 인쇄 다이폴 안테나 어레이의 구성을 사시도로서 보인 것이다. 이에 대하여는 상기한 위상 배열 안테나 핸드북의 그림 5.28A를 참조하는 바와 같다. 도 1에서 마이크로스트립 다이폴들(12) 및 피드(feed)(14)를 가지는 PCB들(10)은 서로 평행하게 설치되고, 안테나 어레이 구조를 제공하는 공통 평판 접지 스크린(common flat ground screen)(18)에 대해 수직하게 설치된다. 그리고 피드(12)는 증폭기들, 이상기들 등의 집적회로 디바이스들(16)을 구비한다. 접지 스크린(18)은 어레이의 배면 방사(back radiation)를 없애고 다이폴 영역과 피드 영역을 분리하기 위해 사용된다. 1983년 4월 발행된 IEEE APS Newsletter,25에 게재된 H.E. Schrank 저, "Low Sidelobe Phased Arrary Antennas"의 5-9페이지를 참조하듯이, 엘리먼트의 수가 많을 때 이 타입의 안테나 어레이에 의해 15%∼20% 정도의 상대적으로 넓은 대역폭에 대한 낮은 사이드 로브(sidelobe) 레벨이 성취될 수 있으며, 이들 인쇄 다이폴 어레이 안테나는 많은 응용에서 이런 식으로 널리 사용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통상적인 다이폴 어레이는 다음과 같은 주요한 기술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첫 번째로 정면방향으로부터 큰 공기저항 면적(wind-loaded area)의 문제점이 있는데, 이는 접지 스크린이 솔리드(solid)이기 때문이다. 공기저항을 받는 면적을 줄이기 위해 특별한 레이돔(radome)이 사용되므로 안테나 시스템의 비용이 증가된다.
두 번째로 상호 결합현상(mutual coupling phenomena)에 기인한 대역폭 및 광각 스캔 제한(wide-angle scan limitation)의 문제점이 있다. 상호 결합은 광대역 안테나 어레이 동작을 제한하는 주요 팩터(factor)들 중에 하나이다. 상호 결합은 H-플레인(H-plane)에서는 1/r에 비례하고 E-플레인에서는 1/r2에 비례한다. 여기서 r은 다이폴들간의 거리이다. 이런 식으로 H-플레인에서의 상호 결합은 E-플레인에서의 상호 결합보다 현저하다. 이에 대하여는 1966년 3월 발행된 IEEE Trans.,v.AP-14에 게재된 Hannan,P.W. 저 "The Ultimate Decay of Mutual Coupling in a Planar Array Antenna"의 246-248 페이지를 참조하는 바와 같다. 그러므로 H-플레인에서 상호 결합을 줄이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상기한 위상 배열 안테나 핸드북의 6장에서 보듯이, 상호 결합은 스캔영역에서 임피던스 부정합(miss matching)을 발생시키고, 대역폭 및 스캔각(sacn angle)을 줄이며, 비교적 작은 어레이의 경우에는 사이드 로브를 증가시킨다.
세 번째로 어레이에 있어서 다이폴의 엘리먼트 패턴(element pattern)은 이상적인 "톱 플래트(top-flat)" 엘리먼트 패턴과는 매우 다른 문제점이 있다. 톱 플래트 엘리먼트 패턴은 스캔각 영역에서는 일정한 레벨을 나타내고 다른 각(angle) 영역에서는 0(zero) 레벨이다. 톱 플래트 엘리먼트의 경우에 스캔 손실은 최소화되고, 격자 로브(grating lobe)는 억제된다. 예를 들어 뾰족한 유전체 바(dielectric bar)들과 같은 톱 플래트 방사기(radiator)들을 사용하면 엘리먼트들의 수 및 위상 배열(phased array)의 비용(cost)을 극적으로 줄일 수 있다. 더욱이 톱 플래트 엘리먼트 패턴은 고정 빔(fixed-beam) 안테나 어레이의 경우, 멀리 떨어진 사이드 로브를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매우 유용하다.
네 번째로 가장자리(edge) 다이폴들은 중앙의 다이폴들에 비해 매우 다른 파라미터(parameter)들을 가지고 있다. 상기 파라미터들은 예를 들어 엘리먼트 패턴, 임피던스, 편극 특성(polarization properties) 등이 있다. 이에 대하여는 상기한 위상 배열 안테나 핸드북의 330페이지를 참조하는 바와 같다. 이러한 가장자리 현상은 후방 및 사이브 로브의 증가를 초래하는데, 특히 엘리먼트 개수 N이 4∼100 정도인 작은 어레이의 경우에 그러하다.
다섯 번째로 액티브 어레이의 경우에 있어서 접지 스크린은 불충분한 통풍(poor ventilation)으로 인해 고전력 증폭기(high power amplifier)들과 같은 능동 디바이스(active device)들의 효과적인 냉각을 방해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광대역 마이크로스트립 다이폴 안테나 어레이는 큰 공기저항 면적, 다이폴들 사이의 현저한 상호 결합, 나쁜 엘리먼트 패턴, 가장자리 현상(edge phenomena), 불충분한 통풍 등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큰 공기저항 면적, 다이폴들 사이의 현저한 상호 결합, 나쁜 엘리먼트 패턴, 가장자리 현상, 불충분한 통풍 등을 개선할 수 있는 광대역 마이크로스트립 다이폴 안테나 어레이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통상적인 마이크로스트립 다이폴 안테나 어레이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대역 마이크로스트립 다이폴 안테나 어레이의 구성도,
도 3은 도 2에 보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스트립 다이폴 안테나 어레이의 단면도,
도 4는 다이폴과 금속 펜스 사이의 거리에 대한 상호 결합 계수의 측정된 의존성을 보여주는 그래프도,
도 5는 H-플레인에 있어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어레이의 측정된 엘리먼트 패턴을 보여주는 그래프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대역 마이크로스트립 다이폴 안테나 어레이의 구조를 보인 단면도.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다이폴들과 피드를 가진 PCB들 사이에 금속 펜스(metal fence)들을 접지 스크린 대신에 평행하게 설치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 설명 및 첨부 도면에서 구체적인 안테나 어레이의 구조나 형상과 같은 많은 특정 상세들이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나타나 있으나, 이들 특정 상세들은 본 발명의 설명을 위해 예시한 것으로 본 발명이 그들에 한정됨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하기 설명에서 도면들 중에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을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대역 마이크로스트립 다이폴 안테나 어레이의 구성을 사시도로서 보인 것이다. 도 2에 보인 안테나 어레이(20)는 PCB들(22) 및 얇은 금속 펜스들(32)로 이루어지는 주기적인 구조를 갖는다. PCB들(22)에는 마이크로스트립 다이폴들(24)과 마이크로스트립 피드(26)와 집적회로 디바이스들(28)이 조립된다. 금속 펜스들(32)은 PCB들(22) 사이에 평행하게 위치된다. 만일 PCB들(22)의 개수가 N개라면 금속 펜스들(32)의 개수는 (N+1)개이다.
도 3은 상기한 도 2에 보인 안테나 어레이(20)의 단면도이며, 편의상 피드(26)는 도시하지 않고 생략하였다. 도 3에서 참조부호 A는 금속 플레이트(metal plate)(30)가 없는 영역을 나타내고, 참조부호 B는 금속 플레이트(30)가 있는 영역을 나타낸다. 또다른 참조부호들 a,b,d,h,t1,t2은 각 부분의 사이즈(size)들을 나타낸다. 도 3에서 알 수 있듯이 PCB들(22) 각각의 사이즈는 a+b와 같은데, a는 다이폴 영역의 사이즈이고 b는 피드 영역의 사이즈이다. 사이즈 d는 PCB들(22) 사이의 간격을 나타내고, 사이즈 t1은 PCB들(22) 각각의 두께를 나타내며, t2는 금속 펜스들(32) 각각의 두께를 나타낸다. 그리고 금속 펜스(32) 각각의 사이즈는 b+h와 같은데, 사이즈 h는 0부터 a까지 변할 수 있다. 또한 사이즈 a 및 d는 통상적인 다이폴 어레이 안테나에 관한 한 하기 수학식 1과 같은 동일한 설계 원리에 기초하여 선택된다.
상기 수학식 1에서, λ는 자유공간에서의 파장이고, βo는 최대 스캔각이며, k 는 어레이의 사이즈에 의존하는 계수(coffecient)로서 0.7∼0.9이다.
먼저 상기한 도 2 및 도 3에 보인 본 발명의 안테나 어레이(20)를 기구적인 관점에서 고찰한다. 도 3에서 알 수 있듯이, 공기흐름(34)은 안테나 어레이(20)를 통해서 쉽게 통과할 수 있으므로 안테나 어레이(20)의 공기저항 면적은 전술한 도 1에 보인 동일한 통상적인 안테나 어레이의 공기저항 면적보다 현저히 작다. 줄어든 공기저항 면적은 하기 수학식 2에 의해 근사적으로 계산될 수 있다.
상기 수학식 1에서 Sa는 종래 기술의 공기저항 면적이고 Sb는 본 발명의 안테나 어레이(20)의 공기저항 면적이며 다른 파라미터들은 도 3에 나타나 있다. 공기저항 면적은 10∼100배까지 줄일 수 있는데, 왜냐하면 t1,t2≪d이기 때문이다. 액티브 안테나 어레이(20)의 경우, 공기흐름(34)은 집적 능동 디바이스들(28)로부터의 열전달을 일으켜 도 1에 보인 종래의 어레이에 비해 좀 더 효과적인 냉각작용을 제공한다.
이제 상기한 도 2 및 도 3에 보인 본 발명의 안테나 어레이(20)의 전기적인 측면에서 고찰한다. 금속 펜스들(32)의 동작은 도 3에 나타낸 A영역과 B영역에 있어서 다르다. A영역에서 금속 펜스들(32)은 임피던스 정합(matching) 및 어레이 엘리먼트 패턴 형성을 제공하고, B영역에서 금속 펜스들(32)은 배면 방사를 제거하기 위해 사용된다. A영역에서 금속 펜스들(32)은 다이폴들(24)의 임피던스 정합을 최적화하기 위해 안테나 어레이(20)에 또다른 치수를 추가하여 사이즈 h의 변화에 의해 광스캔각(wide scan angle) 정합을 향상시킨다. 이것은 금속 펜스들(32)이 H-플레인에 있어서 다이폴들(24) 사이의 상호 결합을 감소시키므로 성취된다. 사이즈 h에 대한 상호 결합 계수의 측정된 의존성이 도 4에 보여진다. 도 4는 h/a의 변경에 따른 상호 결합 계수를 측정하여 보인 것으로, S21은 상호 결합 계수이다. 그리고 도 4에서 " * "로 표시한 위치는 금속 펜스들(32)을 사용치 않는 경우의 상호 결합 계수를 나타낸다. 도 4에서 알 수 있듯이, 금속 펜스들(32)은 상호 결합 계수를 10∼15㏈정도로 현저하게 감소시키며, 이런 방식으로 다이폴의 임피던스는 H-플레인에서의 스캔이 진행되는 동안 사실상 변하지 않으므로, 좀더 넓은 광대역 및 좀더 넓은 광각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금속 펜스들(32)은 사이즈 h의 변화에 의해 어레이 엘리먼트 패턴의 모양을 최적화하는데 도움이 된다. 금속 펜스들(32)에 의해 상호 결합이 크게 억제되기 때문에 H-플레인에서의 엘리먼트 패턴은 2개의 이웃한 금속 펜스에 주로 의존하게 되며, 사이즈 h,d,a의 선택에 의해 톱 플래트 엘리먼트 패턴을 얻는 것이 가능하다. 도 5에는 이에 대해 도시되어 있다. 도 5에서 곡선 x로 나타낸 측정된 엘리먼트 패턴은 스캔 섹터(scan sector) ±30°에서 편평하고, 이 스캔 섹터 바깥쪽에서 갑자기 감소한다. 여기서 엘리먼트 패턴이 편평한 것은 스캔각에서 어레이의 일정한 이득을 제공하며, 스캔 섹터 외부에서 감자기 감소하는 것은 스캔 섹터 바깥에서 격자 로브 억제를 포함한 사이드 로브 감소를 제공한다. 이것은 안테나 어레이(20)의 간격 d를 증가시키므로 결과적으로 PCB들(22)의 개수 N을 감소시켜서 통상적인 기술에 비해 안테나의 전반적인 비용을 절감시킨다. 또한 비교를 위하여 종래의 어레이의 엘리먼트 패턴을 도 5에 곡선 y로 도시하였다. 도 5에서 알 수 있듯이, 통상적인 어레이의 엘리먼트 패턴은 이상적인 톱 플래트를 나타내는 곡선 z와는 다르나, 본 발명의 안테나 어레이(20)의 최적화된 엘리먼트 패턴을 나타내는 곡선 x은 이상적인 곡선 z에 가깝다.
도 3에서 가장자리 펜스들(32a,32b)은 가장자리 PCB들(22a,22b)의 금속 플레이트(30)로 전류 누설을 방지하므로 배면 방사가 감소된다. 왜냐하면 전술한 바와 같이 H-플레인에 있어서 안테나 어레이(22)에 있는 다이폴(24)의 패턴에 영향을 주는 주요 팩터는 2개의 이웃한 금속 펜스들(30)의 영향 때문인데, 어레이에 있어서 중앙 및 가장자리의 모든 엘리먼트들의 패턴은 거의 동일하며 가장자리 현상은 도 2에 보인 통상적인 어레이의 경우보다 더 약하다.
도 3에 보인 B영역에 있어서 금속 펜스들(30)과 PCB들(22)의 금속 플레이트(30)는 평행판 컷오프 도파관 시스템(system of parallel plate cutoff waveguides)을 형성한다. 실제로 이러한 도파관의 벽간 거리는 d/2이고 컷오프 거리인 dc=λ/2 보다는 작다. 이런식으로 전자기파는 B영역에서 전파하지 않으며, 만일 사이즈 b가 λ/4∼λ/2 보다 크면 안테나 어레이(20)의 전후방 비율(front-to-back ratio)은 25∼35dB 이상이다. 동일 편파(copolarized wave)인 TE(Transverse Electric)파는 A영역과 B영역간의 경계로부터 반사되고 교차 편파(cross-polarized wave)인 TM(Transverse Magnetic)파는 후방으로 전파한다. 그러므로 안테나 어레이(20)는 도 1에 보인 등가의 통상적인 어레이에 비하여 주빔(main beam) 방향에 있어서 3dB만큼 작은 교차 편파의 레벨을 가지고 있다. 이것은 특히 광대역 어레이에 대해서 유용한데, 왜냐하면 넓은 암(arm)을 구비한 광대역 마이크로스트립 다이폴은 교차 편파의 현저한 레벨을 가질 수 있기 때문이다. 이에 대하여는 전술한 위상 배열 안테나 핸드북의 5.1.2장을 참조하는 바와 같다.
한편 도 6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어레이가 도시되어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안테나 어레이의 전후방 비율을 향상시키기 위해 2N개의 가느다란 원형 도체(cylindrical conductor)인 와이어(wire)들(36)이 PCB(22)와 금속 펜스(32) 사이에 추가적으로 놓여진다. 이와 같이 추가되는 와이어들(36)은 전후방 비율을 5∼10dB만큼 향상시키고 추가적인 치수를 주어 어레이의 다이폴 파라미터, 즉 엘리먼트 패턴 및 정합을 최적화한다.
참고적으로 본 발명에 따라 6×6 엘리먼트, 즉 엘리먼트 개수 N이 36인 인쇄 다이폴 안테나 어레이 시작품(prototype)을 이상기없이 제조하여 시험하였다. 이러한 시험결과, 1100∼2000GHz 또는 60%의 대역폭의 매우 넓은 광대역 작동특성, 50%이상의 높은 안테나 효율, -20dB이하의 낮은 사이드 로브, -25dB이하의 낮은 교차 편파, 25dB이상의 좋은 전후방 비율, 작은 공기저항 면적이 증명되었다. 공기저항 면적은 종래 기술의 등가의 어레이보다 30배정도 작았다.
따라서 종래 기술과 비교하여 본 발명이 갖는 주요한 기술적 잇점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 번째로 공기저항 면적은 10배이상 감소된다. 두 번째로 H-플레인에서 다이폴간의 상호 결합은 대략 10dB만큼 감소되었으며, 이는 대역폭을 증가시키고 사이드 로브를 감소시킨다. 이것은 또한 가장자리 현상을 약화시키고 소자패턴을 최적화하는 가능성을 포함한다. 세 번째로 교차 편파는 3dB만큼 감소될 수 있다. 네 번째로 최적의 엘리먼트 패턴, 즉 톱 플래트 패턴 합성 가능성에 기인한 PCB 개수를 감소시킴으로써 어레이의 비용은 10∼15%만큼 감소될 수 있다. 다섯 번째로 만일 능동 디바이스들이 어레이에 존재한다면, 이 능동 디바이스들은 좀 더 효과적으로 냉각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PCB에 능동 디바이스가 함께 형성된 예를 보였으나, 능동 디바이스를 반드시 포함하여야만 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PCB와 금속 펜스의 형태도 직사각형이 아닌 다른 형태가 될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적용된다. 따라서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특허청구범위의 균등한 것에 의해 정하여져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다이폴들과 피드를 가진 PCB들 사이에 금속 펜스들을 접지 스크린 대신에 평행하게 설치함으로써 큰 공기저항 면적, 다이폴들 사이의 현저한 상호 결합, 나쁜 엘리먼트 패턴, 가장자리 현상, 불충분한 통풍 등을 개선시킬 수 있는 잇점이 있다.

Claims (8)

  1. 마이크로스트립 다이폴 안테나 어레이에 있어서,
    각각에 마이크로스트립 다이폴과 마이크로스트립 피드가 형성되며 등간격으로 평행하게 이격되게 배치되는 N개의 인쇄회로기판과,
    (N+1)개의 금속 펜스를 구비하며,
    상기 각각의 인쇄회로기판이 상기 금속 펜스들 사이에 평행하게 대칭적으로 배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광대역 마이크로스트립 다이폴 안테나 어레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회로기판과 금속 펜스가, 직사각형임을 특징으로 하는 광대역 마이크로스트립 다이폴 안테나 어레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펜스의 크기가, 상기 인쇄회로기판과 같거나 유사함을 특징으로 하는 광대역 마이크로스트립 다이폴 안테나 어레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각 인쇄회로기판상에 형성되는 능동 디바이스들을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광대역 마이크로스트립 다이폴 안테나 어레이.
  5. 마이크로스트립 다이폴 안테나 어레이에 있어서,
    각각에 마이크로스트립 다이폴과 마이크로스트립 피드가 형성되며 등간격으로 평행하게 이격되게 배치되는 N개의 인쇄회로기판과,
    (N+1)개의 금속 펜스와,
    상기 인쇄회로기판과 동일한 길이를 갖는 2N개의 평행한 가느다란 원형 도체를 구비하며,
    상기 각각의 인쇄회로기판이 상기 금속 펜스들 사이에 평행하게 대칭적으로 배치되고, 상기 원형 도체가 상기 금속 펜스들과 상기 인쇄회로기판들 사이에 평행하게 배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광대역 마이크로스트립 다이폴 안테나 어레이.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회로기판과 금속 펜스가, 직사각형임을 특징으로 하는 광대역 마이크로스트립 다이폴 안테나 어레이.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펜스의 크기가, 상기 인쇄회로기판과 같거나 유사함을 특징으로 하는 광대역 마이크로스트립 다이폴 안테나 어레이.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각 인쇄회로기판상에 형성되는 능동 디바이스들을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광대역 마이크로스트립 다이폴 안테나 어레이.
KR1019980021305A 1998-06-09 1998-06-09 광대역 마이크로스트립 다이폴 안테나 어레이 KR1002648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21305A KR100264817B1 (ko) 1998-06-09 1998-06-09 광대역 마이크로스트립 다이폴 안테나 어레이
GB9913358A GB2338346B (en) 1998-06-09 1999-06-09 Wide-band microstrip dipole antenna array
US09/328,374 US6239764B1 (en) 1998-06-09 1999-06-09 Wideband microstrip dipole antenna array and method for forming such arra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21305A KR100264817B1 (ko) 1998-06-09 1998-06-09 광대역 마이크로스트립 다이폴 안테나 어레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1181A KR20000001181A (ko) 2000-01-15
KR100264817B1 true KR100264817B1 (ko) 2000-09-01

Family

ID=195387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21305A KR100264817B1 (ko) 1998-06-09 1998-06-09 광대역 마이크로스트립 다이폴 안테나 어레이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6239764B1 (ko)
KR (1) KR100264817B1 (ko)
GB (1) GB233834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868045S1 (en) 2008-02-29 2019-11-26 Antennas Direct, Inc. Antenna
USD809490S1 (en) 2008-02-29 2018-02-06 Antennas Direct, Inc. Antenna
USD666178S1 (en) 2008-02-29 2012-08-28 Antennas Direct, Inc. Antenna
US8368607B2 (en) 2007-12-05 2013-02-05 Antennas Direct, Inc. Antenna assemblies with antenna elements and reflectors
US20140292597A1 (en) 2007-12-05 2014-10-02 Antennas Direct, Inc. Antenna assemblies with tapered loop antenna elements
USD867347S1 (en) 2008-02-29 2019-11-19 Antennas Direct, Inc. Antenna
USD881172S1 (en) 1975-11-03 2020-04-14 Antennas Direct, Inc. Antenna and base stand
US10957979B2 (en) 2018-12-06 2021-03-23 Antennas Direct, Inc. Antenna assemblies
WO2000059068A1 (en) * 1999-03-26 2000-10-05 Isis Innovation Limited Transponders
US6366259B1 (en) * 2000-07-21 2002-04-02 Raytheon Company Antenna structure and associated method
US6429816B1 (en) * 2001-05-04 2002-08-06 Harris Corporation Spatially orthogonal signal distribution and support architecture for multi-beam phased array antenna
US6943749B2 (en) * 2003-01-31 2005-09-13 M&Fc Holding, Llc Printed circuit board dipole antenna structure with impedance matching trace
US7271767B2 (en) * 2003-11-26 2007-09-18 The Boeing Company Beamforming architecture for multi-beam phased array antennas
US20050219140A1 (en) * 2004-04-01 2005-10-06 Stella Doradus Waterford Limited Antenna construction
TWI372489B (en) * 2004-04-16 2012-09-11 Hon Hai Prec Ind Co Ltd Multi-band antenna
US7692598B1 (en) * 2005-10-26 2010-04-06 Niitek,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time-domain radar signals
US7872430B2 (en) * 2005-11-18 2011-01-18 Cree, Inc. Solid state lighting panels with variable voltage boost current sources
KR100803123B1 (ko) * 2005-12-28 2008-02-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통신 단말기
US7400302B2 (en) * 2006-01-30 2008-07-15 Centurion Wireless Technologies, Inc. Internal antenna for handheld mobile phones and wireless devices
US7586410B2 (en) * 2006-03-09 2009-09-08 Zih Corp. RFID UHF stripline coupler
FR2906937A1 (fr) 2006-10-09 2008-04-11 Alcatel Sa Decouplage des reseaux d'elements rayonnants d'une antenne
FR2907264A1 (fr) * 2006-10-16 2008-04-18 Alcatel Sa Decouplage des reseaux d'elements rayonnants d'une antenne
EP2079132A4 (en) * 2007-04-27 2013-01-30 Nec Corp SECTOR ANTENNA
US20100007572A1 (en) * 2007-05-18 2010-01-14 Harris Corporation Dual-polarized phased array antenna with vertical features to eliminate scan blindness
US20080291345A1 (en) * 2007-05-23 2008-11-27 Antennas Direct, Inc. Picture frame antenna assemblies
US9316729B2 (en) * 2007-05-25 2016-04-19 Niitek, Inc.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trigger timing
US7649492B2 (en) * 2007-05-25 2010-01-19 Niitek, Inc.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delayed signals
US7652619B1 (en) 2007-05-25 2010-01-26 Niitek, Inc. Systems and methods using multiple down-conversion ratios in acquisition windows
US8182103B1 (en) 2007-08-20 2012-05-22 Raytheon Company Modular MMW power source
US7675454B2 (en) * 2007-09-07 2010-03-09 Niitek, Inc. System,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providing three-dimensional visualization of ground penetrating radar data
US8207885B2 (en) * 2007-09-19 2012-06-26 Niitek, Inc. Adjustable pulse width ground penetrating radar
US11929562B2 (en) 2007-12-05 2024-03-12 Antennas Direct, Inc. Antenna assemblies with tapered loop antenna elements
USD883264S1 (en) 2008-02-29 2020-05-05 Antennas Direct, Inc. Antenna
USD804459S1 (en) 2008-02-29 2017-12-05 Antennas Direct, Inc. Antennas
USD920962S1 (en) 2008-02-29 2021-06-01 Antennas Direct, Inc. Base stand for antenna
USD815073S1 (en) 2008-02-29 2018-04-10 Antennas Direct, Inc. Antenna
USD883265S1 (en) 2008-02-29 2020-05-05 Antennas Direct, Inc. Antenna
US8107894B2 (en) * 2008-08-12 2012-01-31 Raytheon Company Modular solid-state millimeter wave (MMW) RF power source
US8248320B2 (en) * 2008-09-24 2012-08-21 Raytheon Company Lens array module
JP5147637B2 (ja) * 2008-10-20 2013-02-20 古野電気株式会社 アンテナ装置
FR2954829B1 (fr) * 2009-12-31 2012-03-02 Art Fi Systeme pour mesurer un champ electromagnetique
DK2669700T3 (en) * 2010-04-08 2016-12-05 Elbit Systems Ew And Sigint - Elisra Ltd electronic modforanstaltningssystem
USD664126S1 (en) 2010-08-26 2012-07-24 Antennas Direct, Inc. Antenna
JP2012090223A (ja) * 2010-10-22 2012-05-10 Buffalo Inc シート状アンテナ装置
US20130082893A1 (en) * 2011-09-30 2013-04-04 Raytheon Company Co-phased, dual polarized antenna array with broadband and wide scan capability
US8552813B2 (en) 2011-11-23 2013-10-08 Raytheon Company High frequency, high bandwidth, low loss microstrip to waveguide transition
WO2014091228A1 (en) * 2012-12-14 2014-06-19 Bae Systems Plc Improvements in antennas
EP2744044A1 (en) * 2012-12-14 2014-06-18 BAE Systems PLC Improvements in antennas
US10186768B2 (en) 2013-01-25 2019-01-22 Bae Systems Plc Dipole antenna array
EP2760080A1 (en) * 2013-01-25 2014-07-30 BAE Systems PLC Dipole antenna array
US9331390B2 (en) * 2014-03-26 2016-05-03 Laird Technologies, Inc. Antenna assemblies
WO2015172807A1 (en) * 2014-05-12 2015-11-19 Nokia Solutions And Networks Gmbh & Co. Kg A method, apparatus and system
US9722305B2 (en) * 2015-08-20 2017-08-01 Google Inc. Balanced multi-layer printed circuit board for phased-array antenna
USD824884S1 (en) 2015-10-08 2018-08-07 Antennas Direct, Inc. Antenna element
US10128575B2 (en) 2015-09-02 2018-11-13 Antennas Direct, Inc. HDTV antenna assemblies
USD827620S1 (en) 2015-10-08 2018-09-04 Antennas Direct, Inc. Antenna element
US9761935B2 (en) 2015-09-02 2017-09-12 Antennas Direct, Inc. HDTV antenna assemblies
USD811752S1 (en) 2015-10-08 2018-03-06 Antennas Direct, Inc. Picture frame antenna
US10418722B2 (en) 2017-04-27 2019-09-17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Dipole antenna arrays
US10033100B1 (en) * 2017-10-03 2018-07-24 Vayyar Imaging Ltd. Floating dipole antenna with recess excitation
WO2019224949A1 (ja) * 2018-05-23 2019-11-28 三菱電機株式会社 アンテナ装置およびアレーアンテナ
KR20200024408A (ko) * 2018-08-28 2020-03-09 삼성전자주식회사 안테나 어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CN110323553B (zh) * 2019-04-01 2021-07-16 深圳三星通信技术研究有限公司 天线的辐射单元及天线
KR102639717B1 (ko) * 2019-05-27 2024-02-23 삼성전자주식회사 안테나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102590941B1 (ko) * 2019-07-11 2023-10-19 삼성전자주식회사 다이폴 안테나를 포함하는 안테나 모듈 및 그것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CN112448157B (zh) * 2020-11-10 2022-04-22 安徽大学 基于多层pcb的毫米波集成对数周期天线
KR20220137487A (ko) * 2021-04-02 2022-10-12 삼성전자주식회사 안테나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CN119096422A (zh) * 2022-05-03 2024-12-06 华为技术有限公司 天线结构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587105A (en) 1968-09-12 1971-06-22 Warren E Neilson Picture framed antenna
US3681771A (en) 1970-03-23 1972-08-01 Macdowell Associates Inc Retroflector dipole antenna array and method of making
US3681769A (en) 1970-07-30 1972-08-01 Itt Dual polarized printed circuit dipole antenna array
US4360816A (en) 1971-07-21 1982-11-23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Navy Phased array of six log-periodic dipoles
US3836977A (en) * 1973-06-25 1974-09-17 Hazeltine Corp Antenna system having a reflector with a substantially open construction
DE3224545A1 (de) * 1982-07-01 1984-01-05 Licentia Patent-Verwaltungs-Gmbh, 6000 Frankfurt Gruppenantenne
US4471493A (en) 1982-12-16 1984-09-11 Gte Automatic Electric Inc. Wireless telephone extension unit with self-contained dipole antenna
DE3302876A1 (de) 1983-01-28 1984-08-02 Robert Bosch Gmbh, 7000 Stuttgart Dipolantenne fuer tragbare funkgeraete
US4514756A (en) * 1983-02-22 1985-04-30 At&T Bell Laboratories Single beam color CRT
US4623894A (en) * 1984-06-22 1986-11-18 Hughes Aircraft Company Interleaved waveguide and dipole dual band array antenna
US5061944A (en) * 1989-09-01 1991-10-29 Lockheed Sanders, Inc. Broad-band high-directivity antenna
JP3260781B2 (ja) 1990-09-06 2002-02-25 ルーセント テクノロジーズ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アンテナ組立体
WO1995005011A1 (en) 1993-08-09 1995-02-16 Motorola, Inc. Printed circuit dipole antenna
WO1996038881A1 (en) 1995-06-02 1996-12-05 Ericsson Inc. Multiple band printed monopole antenna
US5686928A (en) 1995-10-13 1997-11-11 Lockheed Martin Corporation Phased array antenna for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SE511079C2 (sv) * 1996-04-29 1999-08-02 Radio Design Innovation Tj Ab Modulärt antennsystem med en sluten ring av antennpaneler
IL121978A (en) * 1997-10-14 2004-05-12 Mti Wireless Edge Ltd Flat plate antenna array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GB2338346A (en) 1999-12-15
GB2338346B (en) 2000-09-27
KR20000001181A (ko) 2000-01-15
US6239764B1 (en) 2001-05-29
GB9913358D0 (en) 1999-08-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64817B1 (ko) 광대역 마이크로스트립 다이폴 안테나 어레이
Logan et al. A 1.2–12 GHz sliced notch antenna array
Puskely et al. High-gain dielectric-loaded Vivaldi antenna for $ K_ {a} $-band applications
US6087989A (en) Cavity-backed microstrip dipole antenna array
JP4440266B2 (ja) 広帯域フェーズドアレイ放射器
CN108511924B (zh) 一种用于毫米波通信系统的宽带端射天线阵列
Tianang et al. Ultra-wideband lossless cavity-backed Vivaldi antenna
WO2014184554A2 (en) Modular phased arrays using end-fire antenna elements
US5111214A (en) Linear array antenna with E-plane backlobe suppressor
Eldek Ultrawideband double rhombus antenna with stable radiation patterns for phased array applications
JPH02260704A (ja) 平面アンテナ
Thai et al. Design and development of a novel compact soft-surface structure for the front-to-back ratio improvement and size reduction of a microstrip Yagi array antenna
US11955733B2 (en) Millimeter-wave end-fire magneto-electric dipole antenna
Asci Wideband and stable-gain cavity-backed slot antenna with inner cavity walls and baffle for X-and Ku-band applications
US5151707A (en) Linear array antenna with e-plane backlobe suppressor
CN111009725A (zh) 一种漏波天线
SAKAKIBARA et al. Millimeter-wave slotted waveguide array antenna manufactured by metal injection molding for automotive radar systems
CN113690584A (zh) 基于基片集成脊波导的毫米波宽角扫描相控阵天线
EP0855760A2 (en) Microstrip collinear antenna
US5070339A (en) Tapered-element array antenna with plural octave bandwidth
CN211556129U (zh) 一种漏波天线
Bayderkhani et al. Wideband and low sidelobe linear series fed Yagi-like antenna array
Schaubert Endfire tapered slot antenna characteristics
Bayderkhani et al. Very-low-sidelobe printed tapered arc-shaped wide-slot antenna array
CN114336019B (zh) 一种具有共辐射体的5g大频率比波束扫描天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806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80609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000508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00525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0060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0060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3052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052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053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0602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531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529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528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517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527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604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30

Year of fee payment: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530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9

Year of fee payment: 1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529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7

Year of fee payment: 1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527

Start annual number: 16

End annual number: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9

Year of fee payment: 1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529

Start annual number: 18

End annual number: 1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8

Year of fee payment: 1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528

Start annual number: 19

End annual number: 19

EXPY Expiration of term
PC1801 Expiration of term

Termination date: 20181209

Termination category: Expiration of du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