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262569B1 - 차량이 abs을 사용한 전자 제어 현가 방법 - Google Patents

차량이 abs을 사용한 전자 제어 현가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62569B1
KR100262569B1 KR1019950066810A KR19950066810A KR100262569B1 KR 100262569 B1 KR100262569 B1 KR 100262569B1 KR 1019950066810 A KR1019950066810 A KR 1019950066810A KR 19950066810 A KR19950066810 A KR 19950066810A KR 100262569 B1 KR100262569 B1 KR 1002625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bs
wheel
vehicle
speed sensor
wheel speed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668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34245A (ko
Inventor
한백규
Original Assignee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몽규
Priority to KR10199500668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62569B1/ko
Publication of KR9700342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342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625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62569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7/00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 B60G17/015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the regulating means comprising electric or electronic elements
    • B60G17/0195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the regulating means comprising electric or electronic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regulation being combined with other vehicle control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7/00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 B60G17/015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the regulating means comprising electric or electronic elements
    • B60G17/016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the regulating means comprising electric or electronic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ir responsiveness, when the vehicle is travelling, to specific motion, a specific condition, or driver input
    • B60G17/0165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the regulating means comprising electric or electronic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ir responsiveness, when the vehicle is travelling, to specific motion, a specific condition, or driver input to an external condition, e.g. rough road surface, side win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4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detected, measured or calculated conditions or factors
    • B60G2400/20Speed
    • B60G2400/208Speed of wheel rot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4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detected, measured or calculated conditions or factors
    • B60G2400/80Exterior conditions
    • B60G2400/82Ground surface
    • B60G2400/821Uneven, rough road sensing affecting vehicle body vib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6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particular elements, systems or processes used on suspension systems or suspension control systems
    • B60G2600/02Retarders, delaying means, dead zones, threshold values, cut-off frequency, timer interrup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8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type of movement or to the condition of the vehicle and to the end result to be achieved by the control action
    • B60G2800/90System Controller type
    • B60G2800/91Suspension Control
    • B60G2800/912Attitude Control; levelling contr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8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type of movement or to the condition of the vehicle and to the end result to be achieved by the control action
    • B60G2800/90System Controller type
    • B60G2800/92ABS - Brake Contro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Regulating Braking Force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각 휠에 설치된 휠 속도 센서를 사용하는 ABS를 이용하여 전자 제어 현가(ECS;Electronic Control Suspension)를 수행하는 방법으로서, 각각의 휠 속도 센서의 출력 신호를 받아 각 신호에 대해 적분을 수행하는 단계; 적분한 값들을 사용하여 각각 거친 정도(roughness) 값을 산출하는 단계; 및 산출된 거친 정도 값을 소정의 임계치와 비교하는 단계; 비교 단계로부터 거친 도로로 판정된 경우 ABS(ABS; Antilock Braking System) 작동시 각각의 휠 제동 제어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ESC 및 ABS 장착 차량의 경우 종래의 중력 센서를 사용하지 않아 경제적이다.

Description

차량의 ABS을 사용한 전자 제어 현가 방법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ABS을 사용한 전자 제어 현가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본 발명은 차량의 전자 제어 현가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차량의 ABS을 사용하여 차량의 전자 제어 현가 방법을 구현하도록 한 차량의 ABS을 사용한 전자 제어 현가 방법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는 주행중 바퀴를 통해서 노면으로부터 끊임없이 진동이나 충격을 받고 있다. 따라서 프레임과 차축과의 사이에 완충 장치를 설치하여 충격이나 진동이 직접 프레임에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고, 승차원의 승차감을 좋게 하며 차량에 따라서는 적재한 하물의 손상을 방지하고, 무리한 충격에 의해서 차체 각부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또한 바퀴의 불규칙한 진동을 억제하여 주행의 안전을 도모하고 있다. 이 완충 장치를 포함해서 프레임과 차축을 연결하고 있는 기구를 현가 장치라고 한다.
전자식 제어 현가(ECS;Electronic Control Suspension) 장치에 있어서는 상기한 바와 같은 제반 사항을 만족시키기 위해서 제어기가 필요로 하는 데이타를 얻기 위해서 통상 중력 센서(Gravity Sensor; G-센서)를 이용하여 주행 중 차량의 SQUAT(자동 변속기의 차량의 시프트시 발생), ROLL(출발시 SQUAT 회전시의 드라이브 롤)이나 DIVE 현상, 또는 거친 도로 상태를 판정하여 ECS를 제어하도록 하고 있다.
현재의 시스템으로는 G-센서를 이용하여 능동적으로 ECS 제어가 가능하며, 이는 근본적으로 G-센서를 사용하는 것에 기초하고 있다.
본 발명에서는 종래의 전자식 현가 장치에서 이용되는 G-센서를 사용하지 않고, 미끄럼 방지 제동 장치(ABB;Antilock Braking System) 장착 차량에서 사용되는 휠(바퀴) 속도 센서를 이용하여 저가이면서도 각 휠의 현가 제어가 독립적이며 효율적인 ECS 제어 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며, 이를 본 발명의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언급한 바와 같이 ABS 장착 차량의 휠 속도 센서를 이용한 전자 제어 현가 방법을 제공하는 것으로, 본 발명은 차량의 각 휠에 설치된 휠 속도 센서를 사용하는 ABS를 이용하여 전자 제어 현가(ECS;Electronic Control Suspension)을 수행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휠 속도 센서의 출력 신호를 받아 각 신호에 대해 적분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적분한 값들을 사용하여 각각 거친 정도(roughness) 값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산출된 거친 정도 값을 소정의 임계치와 비교하는 단계;
상기 비교 단계로부터 거친 도로로 판정된 경우 ABS(Antilock Braking System) 작동시 각각의 휠 제동 제어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ABS을 사용한 전자 제어 현가 방법이다.
상기 구성과 같이, 본 발명은 ABS 기능을 이용하고 있으므로, ABS 및 ECS를 동시에 장착한 차량의 경우 적은 원가로 ECS를 구현할 수 있어 경제적인 잇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한 보다 상세한 것을 첨부한 도면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ABS 장착 차량의 휠 속도 센서를 이용한 전자 제어 현가 방법은 휠 속도 센서의 신호를 각 휠로부터 얻어 각각의 휠의 도로의 거친 정도를 판정한 후 이 데이타에 따라 ECS 작동시에는 공기압을 조절하고 ABS 작동시에는 이에 따른 휠 제어를 행하도록 한다.
이와 같은 것은 제1도에 도시한 본 발명을 설명하는 흐름도에 보듯이, 먼저 스텝 S1과 같이 각 휠에서의 속도를 검출하기 위해서 휠 속도 센서 신호를 얻는다.
휠 속도 센서는 잘 알려진 바와 같이 휠이 회전할 때, 휠 속도에 비례하는 주파수를 갖는 교류 전압을 출력한다. 각 휠의 이들 신호들은 차량에 장착된 마크크로컴퓨터를 포함하는 전자 제어기로 입력된다.
입력된 센서 신호는 대응하는 디지탈 신호들로 변환되어 데이타로서 활용된다. 본 발명에서는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진 각 휠에 대응하는 4개의 신호들에 대해서 각각에 대해 제1도의 스텝 S2와 같이, 세그먼트 적분(segment integration)을 수행하도록 한다. 거친 정도에 대해서는 입력된 신호들의 구분별 적분을 수행한 결과치에 의해서 판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결과값으로 각 휠에 대한 각각의 센서 신호들에 대해 적분치를 도출한다.
상기 단계에서 각각 도출된 값들을 사용하여 스텝 S3와 같이 필터링을 통해 각각 거친 정도(roughness) 값, A1, A2, A3, A4을 휠마다에 대해 계산하고, 각각의 거친 정도 임계치로서 B1, B2, B3, B4를 사용하여 다음과 같이 두개의 값을 비교하여 거친 정도를 최종 판정하도록 한다.
상기 스텝 S3에서 임계치와 실제 거친 정도의 대응치를 각각 구한 후, 스텝 S4로 진행하여 각각의 신호들 끼리 서로 비교하도록 한다. 이 판정 단계의 결과에 따라서 소정의 도로의 거친 정도가 판정될 수 있다.
스텝 S4에서 만약 거친 정도 값(An)이 임계치(Bn)(여기서 n은 1 내지 4의 값)보다 크다면 도로의 거친 정도가 비교적 큰 것이므로 스텝 S6으로 진행하며, 본 판정 단계에서 An이 Bn보다 작으면 임계치 이하이므로 평탄한 길임이 판명되어 스텝 S5로 진행되고 본 루틴을 종료된다.
본 발명은 거친 도로에서의 현가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므로, 상기 단계 S5에서 An 〉 Bn인 경우 스텝 S6의 거친 도로임을 판정한 단계로 진행되어 곧 스텝 S7 또는 S8로 진행하여 이에 대한 처리를 다음과 같이 행한다.
차량이 ECS 작동인 경우에는 상기 스텝 S6에 이어 스텝 S7로 진행하여 차량의 쇽 업서버(shock absorber)의 댐퍼량(공기량)을 조절하여 거친 도로인 경우 차체의 높이를 상승시키고 그 반대의 경우에는 차체를 낮추는 동작이 수행되도록 한다. 이것을 종래의 G센서 사용 ESC의 과정의 일부를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한편으로 스텝 S7과 동일 단계로서 이에 택일적으로 ABS 탑재된 차량에 있어서 제동력을 각 휠마다 제어하여 ESC 작동의 경우와 동일한 효과를 얻도록 한다.
본 발명에서는 전자식 현가 방법의 구현으로서 종래의 G 센서를 사용함이 없이 ABS를 위한 휠 속도 센서를 사용하여 이 데이타를 이용하여 역시 ABS 시스템에 의한 현가 작용을 나타내도록 하고 있다.
ABS는 근본적으로 차량의 정지에 대해서 사용되는 것이지만, 주행 중에 있어서 거친 도로로 말미암은 현가 작용의 필요성을 ABS 시스템으로 만족시키도록 한 것이다. 따라서, 주행 중에 휠 속도 센서의 출력은 계속적으로 현가 기능 구현을 위해 취해져 이로부터 거친 정도를 나타내는 적합한 값들을 도출하여 ABS 작동을 주행중에도 행하여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한다.
본 발명에서는 또한 ECS와 ABS를 동시에 장착하는 차량의 경우 적은 원가로 ESC를 구현할 수 있어 유리한 잇점이 있다.

Claims (1)

  1. 차량의 각 휠에 설치된 휠 속도 센서로 ABS를 작동하는 전자 제어 현가 방법에 있어서, 상기 각 휠 속도 센서로부터 감지된 출력 신호를 받아 각 신호에 대한 적분을 수행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적분한 값들을 각각의 거친 정도 값을 산출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산출된 거친 정도 값을 임의로 설정된 소정의 임계치와 비교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비교 결과 거친 도로로 판정되고 ABS 작동시 각각의 휠 제동 제어를 수행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비교 결과 거친 도로로 판정되고 ESC 작동시 공기압 제어로 현가 기능을 수행하는 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ABS를 사용한 전자 제어 현가 방법.
KR1019950066810A 1995-12-29 1995-12-29 차량이 abs을 사용한 전자 제어 현가 방법 Expired - Fee Related KR1002625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66810A KR100262569B1 (ko) 1995-12-29 1995-12-29 차량이 abs을 사용한 전자 제어 현가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66810A KR100262569B1 (ko) 1995-12-29 1995-12-29 차량이 abs을 사용한 전자 제어 현가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34245A KR970034245A (ko) 1997-07-22
KR100262569B1 true KR100262569B1 (ko) 2000-08-01

Family

ID=194474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66810A Expired - Fee Related KR100262569B1 (ko) 1995-12-29 1995-12-29 차량이 abs을 사용한 전자 제어 현가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62569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34245A (ko) 1997-07-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12788B1 (en) Suspension control system
JP3422566B2 (ja) 4輪駆動車の車体速度算出方法
JP3855441B2 (ja) 車体ロール評価値演算装置
US4936604A (en) Vehicular height control system for automotive suspension system with improved height control characteristics on undulated road and/or rough road
US6202011B1 (en) Electronic controlled suspension system using wheel speed
KR19980031243A (ko) 차량의 반 능동 전자 제어 현가 장치 및 방법
US20020059023A1 (en) Rolling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of vehicle
US8326487B2 (en) Estimation of wheel normal force and vehicle vertical acceleration
JPH06234317A (ja) シャシ制御方法及び装置
US5852787A (en) Vehicle suspension control
US4821189A (en) Method for the damping force adjustment of motor vehicles as a function of output signals of a transmitter arranged at the vehicle body
JP4233116B2 (ja) 車両におけるブレーキ力分配の制御方法及び装置
KR100993168B1 (ko) 차량의 가변 댐퍼 제어방법
KR20000027739A (ko) 전자 제어 현가 장치
JP3285049B2 (ja) シャシ制御システムの駆動信号発生方法及び装置
EP0992411A2 (en) Device for detecting vehicle speed of four-wheeled vehicles for use in ABS
KR100262569B1 (ko) 차량이 abs을 사용한 전자 제어 현가 방법
JP2002019601A (ja) 悪路判定装置
JP2003220811A (ja) タイヤ空気圧低下検出方法および装置、ならびにタイヤ減圧判定のプログラム
US20040212159A1 (en) Method for adjusting a damping coefficient of a spring strut of a vehicle and arrangement therefor
JP3019608B2 (ja) 車輌用シェイク低減装置
JP2923071B2 (ja) 坂道判定方法
US5176431A (en) Vehicle deceleration prediction based on vehicle dive
KR100394142B1 (ko) 반능동 현가장치의 승차감 제어로직의 제어방법
KR20000055865A (ko) 전자 제어 현가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51229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70829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19951229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199909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0022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0050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0050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3042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031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042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503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0503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0806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