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261708B1 - 공기 조화기의 용량 가변형 숏튜브의 구조 - Google Patents

공기 조화기의 용량 가변형 숏튜브의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61708B1
KR100261708B1 KR1019970067466A KR19970067466A KR100261708B1 KR 100261708 B1 KR100261708 B1 KR 100261708B1 KR 1019970067466 A KR1019970067466 A KR 1019970067466A KR 19970067466 A KR19970067466 A KR 19970067466A KR 100261708 B1 KR100261708 B1 KR 1002617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ort tube
tube
air conditioner
side circulation
circulation pip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674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48701A (ko
Inventor
김병순
김주원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10199700674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61708B1/ko
Publication of KR199900487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487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617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61708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1/00Tubular elements; Assemblies of tubular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2275/00Fastening; Joining
    • F28F2275/10Fastening; Joining by force join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ther Air-Conditioning Systems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발명은 공기 조화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응축기측 순환관과 증발기측 순환관을 연결하고 있는 연결관에 교축작용을 하는 숏튜브를 나사결합시킴으로서 공기 조화기의 냉동싸이클 용량에 적합한 숏튜브를 자유롭게 교체할수 있도록 하여 성능향상과 부품 축소 그리고 유효공간확보 등을 얻을 수 있도록 안출된 것으로,
공기 조화기의 팽창기구로 사용되는 모세관과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숏튜브를 공기 조화기의 부하변동에 따라 유량조절이 가능토록 교체시키기 위하여 응축기측 순환관과 증발기측 순환관 사이에 결합되는 연결관과,
상기 연결관으로 결합되어 응축기측 순환관으로 순환되는 냉매를 감압하여 증발기측 순환관으로 공급하는 감압공이 형성된 숏튜브와,
상기 숏튜브를 연결관으로 분해조립이 용이토록 결합하는 숏튜브의 제1결합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의 용량 가변형 숏튜브의 구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공기 조화기의 용량 가변형 숏튜브의 구조
본발명은 공기 조화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응축기측 순환관과 증발기측 순환관을 연결하고 있는 연결관에 교축작용을 하는 숏튜브를 나사결합시킴으로서 공기 조화기의 냉동싸이클 용량에 적합한 숏튜브를 자유롭게 교체할수 있도록 하여 성능향상과 부품 축소 그리고 유효공간확보 등을 얻을 수 있도록된 공기 조화기의 용량 가변형 숏튜브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동 싸이클은 저온,저압의 기체냉매를 흡입하여 고온,고압으로 압축 하는 압축기와, 상기 압축기에서 공급받은 고온,고압의 기체냉매를 공기중에 방열하여 액체화하는 응축기와, 상기 응축기에서 응축기측 순환관(1)을 통해 공급받은 중온,고압의 액체를 감압하여 저온,저압으로 액체화 하는 모세관(2)과, 상기 모세관(2)에서 증발기측 순환관(3)으로 저온저압의 액체를 공급받아 외부의 열을 빼앗아 증발하는 증발기를 구비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즉, 상기의 모세관(2)은 도1와 같이 응축기측 순환관(1)과 증발기측 순환관(3)을 용접에 의해 연결하고 있기 때문에 부하변동에 따라 유량조절이 불가능하게 된다.
즉, 상기 냉동싸이클의 부하 즉, 용량이 다를 경우 모세관(3)에 형성된 감압공(13)의 지름이나 길이를 달리하고 있는 다른 모세관(3)으로 교환하여야 한다.
그러나, 응축기측 순환관(1)과 증발기측 순환관(3)을 용접에 의해 연결하고 있는 모세관(2)을 교환하기란 쉬운일이 아니며 교환을 하기 위해서는 모세관(2)부위를 일체로 바꿔야 한다.
또한, 도2와 같이 모세관과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응축기측 순환관(11)과 증발기측 순환관(13)을 연결하고 있는 숏튜브(12)도 마찬가지로 부하변동에 따라 유량조절이 불가능하게 되어 부하변동에 따른 숏튜브(12)교체시에 숏튜브(12)부위를 일체로 바꿔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 등을 해결 보완하기 위하여 본발명은,
공기 조화기 냉동싸이클의 부하변동에 따라 적정의 숏튜브로 교체하여 유량조절이 용이토록 하는 동시에 성능향상과 부품 축소 그리고 유효공간확보 등을 얻을수 있는 목적을 제공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발명은,
공기 조화기의 증발기측순환관과 응축기측순환관을 연결관으로 연결하고 상기 연결관의 내부로는 공기 조화기 냉동싸이클의 부하용량과 맞는 감압공을 형성하고 있는 숏튜브를 모세관 대신 나사결합시키면 본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의 감압공이 형성된 숏튜브를 응축기측 순환관과 증발기측 순환관을 연결하고 있는 서비스밸브의 유출관에 모세관이 삭제된 상태로 나사결합시켜도 본발명의 목적을 달성할수 있게 된다.
도1은 종래 공기 조화기에 장착되는 모세관을 나타낸 일부단면도
도2는 종래 공기 조화기에 장착되는 숏튜브를 나타낸 일부단면도
도3은 본발명 공기 조화기에 장착되는 용량 가변형 숏튜브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제1실시예의 단면도
도4는 본발명 공기 조화기의 서비스밸브에 장착되는 용량 가변형 숏튜브의 결합 상태를 나타낸 제2실시예의 단면도
<도면중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1-숏튜브 102-감압공
103-숫나사부 104-평면부
111-연결관 112-암나사부
121-응축기측 순환관 122-증발기측 순환관
131-서비스밸브 132-유입관
133-유출관 134-암나사부
201-숏튜브 202-감압공
203-숫나사부 204-평면부
본발명의 구성을 도3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공기 조화기의 팽창기구로 사용되는 모세관과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숏튜브(101)를 공기 조화기의 부하변동에 따라 유량조절이 가능토록 교체시키기 위하여 응축기측 순환관(121)과 증발기측 순환관(122)사이에 결합되는 연결관(111)과,
상기 연결관(111)으로 결합되어 응축기측 순환관(121)으로 순환되는 냉매를 감압 하여 증발기측 순환관(122)으로 공급하는 감압공(102)이 형성된 숏튜브(101)와,
상기 숏튜브(101)를 연결관(111)으로 분해조립이 용이토록 결합하는 숏튜브의 제1결합수단을 구비한 구성이다.
그리고, 상기 숏튜브의 제1결합수단은 숏튜브(101)의 외주면에 형성된 숫나사부(103)와,
상기 숫나사부(103)와 나사결합되는 연결관(111)에 형성된 암나사부(112)로 구비하였다.
또한, 상기 숏튜브(101)를 렌치에 의해 회전시켜서 연결관(111)으로 결합 또는 분리시킬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숏튜브(101)의 감압공(102)출구에 형성되는 다수개의 평면부(104)를 더 구비하였다.
한편, 본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구성을 도4에 의해 설명하기로 한다.
공기 조화기의 팽창기구로 사용되는 모세관과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숏튜브(101)를 공기 조화기의 부하변동에 따라 유량조절이 가능토록 교체시키기 위하여 응축기측 순환관(121)과 증발기측 순환관(122)사이에 위치되는 서비스밸브(131)로 결합되어 응축기측 순환관(121)으로 순환되는 냉매를 감압하여 증발기측 순환관(122)으로 공급하는 감압공(202)이 형성된 숏튜브(201)와,
상기 숏튜브(201)를 서비스밸브(131)로 분해조립이 용이토록 결합하는 숏튜브의 제2결합수단을 구비한 구성이다.
그리고, 상기 숏튜브의 제2결합수단은 숏튜브(201)의 외주면에 형성된 숫나사부(203)와,
상기 숫나사부(203)와 나사결합되는 서비스밸브(131)의 유출관(133)내부에 형성된 암나사부(134)로 구비하였다.
또한, 상기 숏튜브(201)를 렌치에 의해 회전시켜서 서비스밸브(131)의 유출관(133)으로 결합 또는 분리 시킬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숏튜브(201)의 감압공(202)출구에 형성되는 다수개의 평면부(204)를 더 구비하였다.
도면중 미설명부호 135는 샤프트밸브 136은 밀봉캡이다.
이와같이된 본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3과 같은 제1실시예에서는 압축기에서 고온고압으로 압축된 냉매가 응축기(121)에 응축된후 응축기측 순환관(121)으로 안내되어 숏튜브(101)의 감압공(102)으로 흐르는 상태가 된다.
즉, 상기의 응축기측 순환관(121)에서 공급된 냉매는 숏튜브(101)의 감압공(102)을 통과하면서 단열팽창되어 증발기측 순환관(122)으로 공급된후 증발기로 흘러들어 가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냉동싸이클에서 부하의 용량차이가 발생하였을 경우에는 숏 튜브(101)에 형성된 감압공(102)의 직경과 길이 등을 상기 용량에 맞추어서 교환할 필요가 있게된다.
이때에는 상기 증발기측 순환관(122)을 연결관(111)으로부터 분리시킨 뒤 연결관(111)에 결합된 숏튜브(101)를 분리하여 용량에 맞는 숏튜브(101)와 교체를 하게 되는바, 상기 숏튜브(101)의 감압공(102)입구에 형성된 평면부(104)로 렌치를 결합하여 회전시키면 숏튜브(101)의 숫나사부(103)가 연결관(111)의 암나사부(112)로 부터 풀려나와 분리되어진다.
상기와 같이 분리되어진 숏튜브(101)대신 용량에 맞는 숏튜브(101)를 상기한 바와 반대작용으로 렌치에 의해 연결관(111)내부로 나사결합시킨 뒤 증발기측순환관(122)을 다시 조립하면 용이하게 솟튜브(101)를 교체시킬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숏튜브(101)에 형성된 숫나사부(103)와 연결관(111)에 형성된 암나사부(112)는 관용나사로 형성시켰기 때문에 우수한 기밀을 유지할수 있게 된다.
한면, 도4과 같은 제2실시예에서는 압축기에서 고온고압으로 압축된 냉매가 응축기(121)에 응축된후 응축기측 순환관(121)으로 안내되어 서비스밸브(131)의 유입관(132)로 공급되고 상기 유입관(132)으로 유입된 냉매는 유출관(133)에 결합된 숏튜브(101)의 감압공(102)으로 흐르는 상태가 된다.
즉, 상기의 응축기측 순환관(121)에서 공급된 냉매는 숏튜브(201)의 감압공(202)을 통과하면서 단열팽창되어 증발기측 순환관(122)으로 공급된후 증발기로 흘러들어가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냉동싸이클에서 부하의 용량차이가 발생하였을 경우에는 서비스밸브(131)에 결합된 숏튜브(201)의 감압공(202)직경과 길이 등을 상기 용량에 맞추어서 교환할 필요가 있게된다.
이때에는, 상기 증발기측 순환관(122)을 서비스밸브(131)의 유출관(133)으로 부터 분리시킨 뒤 유출관(133)내부에 결합된 숏튜브(201)를 분리하여 용량에 맞는 숏튜브(201)와 교체를 하게 되는바, 상기 숏튜브(201)의 감압공(202)입구에 형성된 평면부(204)로 렌치를 결합하여 회전시키면 숏튜브(201)의 숫나사부(203)가 유출관(133)의 암나사부(134)로 부터 풀려나와 분리되어진다.
상기와 같이 분리되어진 숏튜브(201)대신 용량에 맞는 숏튜브(201)를 상기한 바와 반대작용으로 렌치에 의해 유출관(133)내부로 나사결합시킨 뒤 증발기측 순환관(122)을 다시 조립하면 용이하게 솟튜브(201)를 교체시킬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숏튜브(201)에 형성된 숫나사부(203)와 유출관(133)에 형성된 암나사부(134)는 관용나사로 형성시켰기 때문에 우수한 기밀을 유지할수 있게 된다.
이와같이된 본발명은 공기 조화기의 증발기측순환관과 응축기측순환관을 연결관으로 연결하고 상기 연결관의 내부로는 공기 조화기 냉동싸이클의 부하용량과 맞는 감압공을 형성하고 있는 숏튜브를 모세관 대신 나사결합시키고 또한, 상기의 감압공이 형성된 숏튜브를 응축기측 순환관과 증발기측 순환관을 연결하고 있는 서비스밸브의 유출관에 모세관이 삭제된 상태로 나사결합시킴으로서 공기 조화기 냉동싸이클의 부하 변동에 따라 적정의 숏튜브로 교체하여 유량조절이 용이토록 하는 동시에 공기 조화기의 성능 향상과 부품 축소 그리고 유효공간을 확보할수 있는 등의 유용한 효과를 갖는다.

Claims (4)

  1. 공기 조화기의 응축기측 순환관과 증발기측 순환관을 연결하며 끝단 내주면에 나사산을 형성한 연결관과,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산이 상기 연결관의 내주면 나사산에 결합되며 내부에 감압공이 형성되어 팽창기구로 사용되는 숏튜브로 구성되어, 상기 숏튜브와 상기 연결관의 분해조립이 용이토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의 용량 가변형 숏튜브의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숏튜브를 렌치에 의해 회전시켜서 연결관으로 결합 또는 분리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숏튜브의 감압공 출구에 형성되는 다수개의 평면부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의 용량 가변형 숏튜브의 구조.
  3. 공기 조화기의 응축기측 순환관과 증발기측 순환관을 연결하기 위하여 설치된 서비스밸브와, 상기 서비스 밸브의 내주면 나사산에 결합되며 내부에 관통홀이 형성되어 팽창기기로 사용되는 숏튜브로 구성되어, 상기 숏튜브와 상기 서비스밸브의 분해조립이 용이토록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의 용량 가변형 숏튜브의 구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숏튜브를 렌치에 의해 회전시켜서 서비스밸브의 유출관으로 결합 또는 분리 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숏튜브의 감압공 출구에 형성되는 다수개의 평면부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의 용량 가변형 숏튜브의 구조.
KR1019970067466A 1997-12-10 1997-12-10 공기 조화기의 용량 가변형 숏튜브의 구조 Expired - Fee Related KR1002617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67466A KR100261708B1 (ko) 1997-12-10 1997-12-10 공기 조화기의 용량 가변형 숏튜브의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67466A KR100261708B1 (ko) 1997-12-10 1997-12-10 공기 조화기의 용량 가변형 숏튜브의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48701A KR19990048701A (ko) 1999-07-05
KR100261708B1 true KR100261708B1 (ko) 2000-07-15

Family

ID=195269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67466A Expired - Fee Related KR100261708B1 (ko) 1997-12-10 1997-12-10 공기 조화기의 용량 가변형 숏튜브의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6170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5014282A1 (ko) * 2023-07-11 2025-01-16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베이퍼 인젝션 모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48701A (ko) 1999-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30177782A1 (en) Method for increasing efficiency of a vapor compression system by evaporator heating
US6935128B2 (en) Vapor-compression-type refrigerating machine
JP2007315687A (ja) 冷凍サイクル
WO2004088219A1 (en) Improvement system of energy efficincy for refrigeration cycle
JPH04214157A (ja) 流体流量調整装置
JPS5855422B2 (ja) 冷媒流の紋り調節手段を備えた膨張器
JP2501677B2 (ja) 冷媒膨張装置
KR102224118B1 (ko) 일체형 커넥터가 구비된 이중관 열교환기
US20030079493A1 (en) Expansion valve
KR100261708B1 (ko) 공기 조화기의 용량 가변형 숏튜브의 구조
EP1364174B1 (en) Refrigeration manifold
JP2672416B2 (ja) 流体流量計測装置
US20040206094A1 (en) Dehumidifying air-conditioning apparatus
US6668574B2 (en) Refrigeration manifold
CN111189265B (zh) 一种吸气增压结构及制冷系统
KR19990023642A (ko) 2방향 유동 제어 장치
JP2615496B2 (ja) 2段圧縮冷凍サイクル
KR200160461Y1 (ko) 공기조화기의 팽창겸용 서비스밸브장치
KR100261713B1 (ko) 공기 조화기의 교축장치
JP2001263830A (ja) ブロック化ユニット及びブロック化ユニットを用いた冷凍サイクル装置
KR20030021797A (ko) 증발기와 모세관 연결장치
KR20030041688A (ko) 냉장고의 모세관과 증발기 연결장치
KR19990049045A (ko) 공기조화기의 냉매 교축장치
KR20050040396A (ko) 유니터리형 에어컨
KR100286297B1 (ko) 다중실내기가동용공기조화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7121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71210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1999112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00317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0042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0042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