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260549B1 - 광 디스크 재생장치의 리드채널회로 - Google Patents

광 디스크 재생장치의 리드채널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60549B1
KR100260549B1 KR1019980013092A KR19980013092A KR100260549B1 KR 100260549 B1 KR100260549 B1 KR 100260549B1 KR 1019980013092 A KR1019980013092 A KR 1019980013092A KR 19980013092 A KR19980013092 A KR 19980013092A KR 100260549 B1 KR100260549 B1 KR 1002605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s
signal
control signal
error signal
delay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130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80092A (ko
Inventor
김천섭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800130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60549B1/ko
Priority to US09/289,987 priority patent/US6236628B1/en
Publication of KR199900800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800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605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60549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8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 G11B7/09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with provision for moving the light beam or focus plane for the purpose of maintaining alignment of the light beam relative to the record carrier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e.g. to compensate for surface irregularities of the latter or for track following
    • G11B7/0901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with provision for moving the light beam or focus plane for the purpose of maintaining alignment of the light beam relative to the record carrier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e.g. to compensate for surface irregularities of the latter or for track following for track following only
    • G11B7/0906Differential phase difference system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02Analogue recording or reproduc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8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 G11B7/09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with provision for moving the light beam or focus plane for the purpose of maintaining alignment of the light beam relative to the record carrier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e.g. to compensate for surface irregularities of the latter or for track following
    • G11B7/094Methods and circuits for servo offset compensation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8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 G11B7/09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with provision for moving the light beam or focus plane for the purpose of maintaining alignment of the light beam relative to the record carrier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e.g. to compensate for surface irregularities of the latter or for track following
    • G11B7/0941Methods and circuits for servo gain or phase compensation during operation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04Recording, reproducing or erasing methods; Read, write or erase circuits therefor
    • G11B7/005Reproduc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Optical Recording Or Reproduction (AREA)

Abstract

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광 디스크 재생장치의 리드채널회로에 관한 것이다.
나.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서보제어를 위해 필요한 서보에러신호의 검출을 디지털신호처리하여 얻음으로써 서보제어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광 디스크 재생장치의 리드채널회로를 제공함에 있다.
다.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서보제어의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해 서보에러신호의 검출을 디지털신호처리하여 얻음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위해 기준신호를 인가하여 회로적 구성요소들에 의해 발생되는 오프셋 성분을 우선적으로 보정하고, 이후 광 디스크 재생중 리드되는 신호로부터 발생되는 피트 깊이 차이에 의한 오프셋 성분을 보정함으로써 서보제어의 안정성을 확보함과 아울러 리드채널회로의 소비전력을 절감시킬 수 있다.
라. 발명의 중요한 용도:DVD-램, DVD-롬 드라이브와 같은 광 디스크 재생장치에 사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광 디스크 재생장치의 리드채널회로{READ CHANNEL CIRCUIT FOR OPTICAL DISC REPRODUCTION DEVICE}
본 발명은 광 디스크 재생장치의 리드채널회로에 관한 것으로, 특히 기록데이터의 안정적인 신호재생과 서보제어의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한 광 디스크 재생장치의 리드채널회로에 관한 것이다.
데이터 저장장치인 광 디스크 재생장치는 오늘날 그 보급속도가 급속히 신장되고 있다. 특히 새로운 광 기록매체의 개발과 데이터 압축방법을 통해 데이터 저장용량이 방대해 졌으며, 이와 같이 방대한 용량의 데이터를 고속으로 서치하여 재생하기 위한 재생장치 또한 꾸준히 연구개발되고 있다. DVD-롬(Digital Versatile Disc-ROM), DVD-램(RAM), CD-R/W(ReWritable) 드라이브와 같은 광 디스크 재생장치가 오늘날 각광을 받고 있는 광 디스크 재생장치의 좋은 예라 할 것이다.
광 디스크 재생장치는 크게 기계적 구성과 회로적 구성으로 구분할 수 있는데, 상기 기계적 구성요소로는 광 디스크와 광 디스크를 회전시키기 위한 스핀들모터, 기록데이터를 픽업하기 위한 픽업과 픽업을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모터들을 예로 들 수 있다. 그리고 회로적 구성으로는 상기 픽업을 통해 리드된 신호를 EFM 복조하기 이전까지 증폭 및 파형등화한후 디지털데이터로 변환 출력하는 한편 상기 리드신호로부터 서보에러신호들을 발생하여 출력하는 리드채널회로와, 디지털변환된 데이터를 신호처리하여 변조 이전의 데이터로 복원하여 출력하는 디지털 신호 처리부와, 호스트컴퓨터와 광 디스크 재생장치 사이에 데이터를 인터페이싱하는 인터페이스회로와, 발생된 서보에러신호들을 보정하여 상기 기계적 구성요소들의 서보를 제어하는 서보 프로세서와, 광 디스크 재생장치의 전반적인 제어동작을 수행하는 메인 프로세서(일반적으로 마이컴으로 칭함)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이러한 광 디스크 재생장치에서는 안정적인 신호재생과 서보제어의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해서 기구적 구성요소들의 오프셋과 회로적 구성요소들의 오프셋 성분을 보정해 주어야 한다. 하기 설명에서는 기구적 구성요소들(예를 들면 픽업의 오프셋, 피트 깊이의 차)에 의해 발생하는 오프셋을 피트 깊이 오프셋이라 칭하고 이의 보정을 "피트 깊이 보정"이라 칭하기로 한다. 그리고 회로적 구성요소들에 의해 발생하는 오프셋을 단순히 오프셋 이라 칭하고 이의 보정을 "오프셋 보정"이라 칭하기로 한다.
이하 상술한 피트 깊이 보정과 오프셋 보정을 위해 일반적인 광 디스크 재생장치에서 채용하고 있는 리드채널회로의 구체적인 구성과 동작을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광 디스크 재생장치의 픽업을 통해 리드된 신호가 EFM 복조되기 이전까지 경유하는 리드채널회로 예시도를 도시한 것이며, 도 2는 광 디스크 재생장치의 픽업을 통해 리드된 신호가 EFM 복조되기 이전까지 경유하는 또 다른 리드채널회로 예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4분할(A,B,C,D)된 포토 다이오드(Photo Diode:PD라함)에 의해 픽업된 신호(리드신호라함)들 각각은 I/V 증폭기 102,104,106,108에서 전압형태로 증폭출력된후 데이터 재생 처리부 200과 트랙킹 에러신호 검출부 300 및 포커싱 에러신호 검출부 400으로 각각 전송된다.
데이터 재생 처리부 200으로 전송된 리드신호는 가산기 AGC(Autumatic Gain Control)회로(AGC & SUM) 202를 통해 이득조절 및 가산(summing)되어 RF신호(A+B+C+D)로 출력된다. 이러한 RF신호는 파형등화회로 204에 의해 파형등화된후 데이터 슬라이스 회로 206을 통과함으로써 파형정형되고 방형파 펄스로 변환된다. 이와 같이 데이터 슬라이스 회로 206에 의해 디지털데이터로 변환된 EFM신호는 디지털 신호 처리부인 DSP(Digital Signal Processor) 208에서 EFM변조 이전의 데이터로 복조된후 인터페이스(도시하지 않았음)를 통해 호스트컴퓨터로 출력된다.
한편, 트랙킹 에러신호 검출부 300으로 전송된 리드신호 각각(A,B,C,D)은 버퍼 302,304,306,308의 출력단에 접속된 각각의 딜레이회로 310,312,314,316에서 딜레이량 조정되어 가산기 318,320으로 입력된다. 상기 딜레이회로 310,312,314,316으로 입력되는 DCS①, DCS② 각각은 피트 깊이(pit depth)를 보정하기 위한 딜레이 제어신호(Delay Control Signal:DCS라함)를 나타낸 것으로 이들 신호에 의해 리드신호(A,B,C,D)가 튜닝(tuning) 출력된다. 상기 DCS①, DCS②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서보제어를 수행하는 서보 프로세서에서 출력될 수도 있고, 메인 프로세서에서 출력될 수도 있다.
한편, 딜레이회로 310과 314에서 출력된 리드신호 A와 C는 가산증폭기 318에서 가산증폭된후 레벨 비교기 322에서 기준전압레벨()과 비교됨으로써 비교결과에 따른 디지털데이터가 출력된다. 그리고 레벨 비교기 324에서도 리드신호 B와 D의 가산된 값(B+D)이 기준전압레벨()과 비교됨으로써 비교결과에 따른 디지털 데이터가 출력된다. 이와 같이 두개의 레벨 비교기(322,324) 각각에서 출력된 디지털데이터는 이후 딜레이회로 1,2(326,328)에서 DCS③,DCS④에 의해 딜레이 량이 조정된후 위상 검출기 330으로 입력된다. 상기 DCS③,DCS④는 각각 회로적 구성요소들의 오프셋 성분을 보정하기 위한 딜레이 제어신호를 나타낸 것으로 역시 서보 프로세서 혹은 메인 프로세서에서 출력된다. 위상 검출기 330에서는 A+C신호와 B+D신호의 위상차에 따른 전압신호를 출력하고, 이러한 전압신호는 LPF(Low Pass Filter) 332에서 필터링되어 트랙킹 에러신호(Tracking Error Signal:TES라함)로 출력된다. 그리고 이러한 트랙킹 에러신호 TES는 후술하는 포커싱 에러신호(Focusing Error Signal:FES라함)와 함께 서보 프로세서(도시하지 않았음)로 입력됨으로써 서보제어가 수행될 수 있다.
한편, 포커싱 에러신호 검출부 400으로 전송된 리드신호 각각(A,B,C,D)은 가산증폭기 402,404에서 가산증폭되어 A+C, B+D신호로 출력되고, 이와 같이 가산된 A+C, B+D신호는 레벨 비교기 406에서 비교됨으로써 비교결과에 따른 데이터가 LPF 408에서 필터링되어 포커싱 에러신호 FES로 출력된다.
상술한 구성을 갖는 리드채널회로를 채용한 광 디스크 재생장치에서는 배속이 증가할수록 아나로그신호처리로 인한 신호의 왜곡이 증가한다. 특히 아나로그신호를 처리하는 파형등화회로 204는 배속이 증가할수록 그 특성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가 증가하기 때문에 출력신호의 안정성을 확보하기 힘들고 설계상의 어려움이 수반된다. 또한 트랙킹 에러신호 검출부 300과 포커싱 에러신호 검출부 400에 사용되는 아나로그 신호처리 소자들의 소비전력은 배속이 증가할수록 증가되는 단점이 있다. 특히 배속이 증가할수록 피트 깊이와 회로적 구성요소들의 오프셋을 보정하기 위한 딜레이특성을 제어하기가 어렵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정밀한 서보제어를 수행할 수 없게 된다.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또 다른 리드채널회로의 구성과 동작을 설명하면, 우선 도 2에 도시된 리드채널회로의 트랙킹 에러신호 검출부 300과 포커싱 에러신호 검출부 400의 구성은 도 1에 도시한 리드채널회로내의 트랙킹 에러신호 검출부 300과 포커싱 에러신호 검출부 400의 구성과 동일하므로 하기 설명에서는 그 구성 및 동작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데이터 재생 처리부 200의 구성 및 동작을 설명하면, 우선 4분할(A,B,C,D)된 포토 다이오드 PD에 의해 픽업된 리드신호들 각각은 I/V 증폭기 102,104,106,108에서 전압형태로 증폭출력된후 데이터 재생 처리부 200의 가산기 AGC회로(AGC & SUM) 202로 입력된다. 그 결과 리드신호들 각각은 이득조절 및 가산된후 앤티-에일리어싱 필터(anti-aliasing filter) 210으로 입력되어 노이즈 제거된다. 노이즈 제거된 리드신호는 ADC(Analog-to-Digital Converter) 212에서 샘플링클럭 SCLK에 의해 샘플링되어 디지털데이터로 출력된다. 이와 같이 출력된 디지털데이터는 이후 디지털 파형등화회로/LPF 214에 의해 파형등화 및 저역 필터링되어 타이밍 복원(Timing Recovery)회로 218과 DSP 216으로 입력된다. 상기 타이밍 복원회로 218은 파형등화회로/LPF 214로부터 출력되는 리드신호와 기준 샘플링 포인트와의 차이에 따른 제어전압(디지털 위상동기루프인 경우에는 디지털데이터의 형태)을 발생하여 출력한다. 전압제어발진기인 VCO 220은 상기 타이밍 복원회로 218로부터 입력되는 제어전압의 레벨에 대응되게 주파수 및 위상이 가변된 샘플링클럭 주파수 SCLK를 발진한다.
도 2의 구성을 갖는 리드채널회로를 채용한 광 디스크 재생장치에서는 디지털 신호처리를 하는 파형등화회로가 사용되기 때문에 데이터 재생특성이 도 1에 도시한 리드채널회로 보다는 안정적이다. 그러나 트랙킹 에러신호 검출부 300과 포커싱 에러신호 검출부 400에 사용되는 아나로그 신호처리 소자들의 소비전력은 배속이 증가할수록 증가되는 단점이 있고, 피트 깊이와 회로적 구성요소들의 오프셋을 보정하기 위한 딜레이특성 제어시에 디지털 노이즈가 발생할 확률이 높기 때문에 서보 제어를 위한 회로구성 및 배치등에 상당한 주위가 필요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피트 깊이 보정과 회로적 구성요소들의 오프셋을 보정하기 위해 필요한 서보에러신호의 검출을 디지털신호처리하여 얻음으로써 서보제어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광 디스크 재생장치의 리드채널회로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기록데이터의 재생을 위한 신호처리소자들과 서보제어를 위해 필요한 신호처리소자들의 소비전력을 절감시킬 수 있는 광 디스크 재생장치의 리드채널회로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4분할된 포토 다이오드를 이용하여 위상차를 검출하는 광 디스크 재생장치의 리드채널을 단축시킬 수 있는 리드채널회로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트랙킹 에러신호를 최소화하기 위한 오프셋 보정용 제어신호와 피트 깊이 보정용 제어신호를 발생하여 출력하는 서보 프로세서를 구비하는 광 디스크 재생장치의 리드채널회로에 있어서,
서로 다른 채널을 통하여 입력되는 신호들 각각을 증폭하여 디지털데이터로 변환출력하는 데이터 변환부와,
디지털데이터로 변환된 상기 신호들을 가산하여 파형등화 처리하고, 파형등화 처리된 신호와 기준 샘플링 포인트간의 위상차이를 검출하여 그 차이값을 보상하기 위한 샘플링클럭 주파수를 발진하여 상기 데이터 변환부로 출력하는 데이터 재생 처리부와,
상기 오프셋 보정용 제어신호와 피트 깊이 보정용 제어신호가 각각 지시하는 위상 만큼 상기 데이터 변환부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들 각각을 지연시키고, 지연된 신호들을 복수개의 신호로 가산한후 가산된 신호 상호간의 위상차 비교에 따른 트랙킹 에러신호를 발생하여 출력하는 서보에러신호 검출부를 적어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광 디스크 재생장치의 픽업을 통해 리드된 신호가 EFM 복조되기 이전까지 경유하는 리드채널회로 예시도.
도 2는 광 디스크 재생장치의 픽업을 통해 리드된 신호가 EFM 복조되기 이전까지 경유하는 또 다른 리드채널회로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드채널회로도.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리드채널회로도.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동작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하기 설명 및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한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드채널회로도를 도시한 것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리드채널회로도를 도시한 것이다.
우선 도 3에서 A,B,C,D는 기준신호와 4분할된 포토 다이오드 PD에 의해 픽업된 리드신호가 전송될 수 있는 채널을 표시한 것이다. 상기 기준신호라함은 광 디스크 재생장치의 회로적 구성요소들의 오프셋을 보정하기 위해서 인가되는 신호로써, 광 디스크 재생장치의 초기화 동작중에 서보 프로세서(800) 혹은 메인 프로세서에 의해 인가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회로적 구성요소들의 오프셋 보정이 기준신호 인가후에 이루어지고, 피트 깊이 보정은 광 디스크 재생시 리드되는 신호에 의해 이루어진다.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회로적 구성요소들의 오프셋 보정과 피트 깊이 보정을 순차적으로 설명하면, 우선 광 디스크 재생장치의 구동전원이 입력되면 서보 프로세서(800) 혹은 메인 프로세서에 의해 A,B,C,D채널에는 회로적 구성요소들의 오프셋을 보정하기 위한 기준신호가 입력된다. 이와 같이 입력된 기준신호는 데이터 변환부 500의 일구성요소인 앤티-에일리어싱 필터1,2,3,4(502,504,506,508)에 의해 노이즈 제거된다. 노이즈 제거된 기준신호 A,B,C,D 각각은 샘플링클럭 주파수 SCLK에 따라 샘플링되어 디지털데이터로 변환 출력된다. 이러한 디지털데이터는 데이터 재생 처리부 600과 서보에러신호 검출부 700으로 입력된다. 상기 데이터 재생 처리부 600은 파형등화된 기준신호와 기준 샘플링 포인트간의 차이를 검출하여 그 차이값을 보상하기 위한 샘플링클럭 주파수 SCLK를 발진하여 상기 데이터 변환부 500으로 출력한다.
한편 서보에러신호 검출부 700은 서보 프로세서 800으로 부터 입력되는 오프셋 보정용 제어신호(Offset revision Control Signal:OCS라함)와 피트 깊이 보정용 제어신호(Pit depth revision Control Signal:PCS라함)가 지시하는 위상 만큼의 딜레이 제어신호들(Delay Control Signal:DCS①,②,③,④)을 발생하여 상기 데이터 변환부 500으로 부터 입력되는 신호들 각각을 지연시키고, 지연된 신호들을 복수개의 신호(A+C,B+D)로 가산한후 가산된 신호 상호간의 레벨차와 위상차 비교에 따른 포커싱 에러신호(Focusing Error Signal:FES라함)와 트랙킹 에러신호(Tracking Error Signal:TES라함)를 발생하여 출력한다. 이와 같이 출력된 트랙킹 에러신호 TES와 포커싱 에러신호 FES는 각각 서보제어를 수행하는 서보 프로세서 800에 입력된다. 회로적 구성요소들의 오프셋을 보정하기 위해 트랙킹 에러신호 TES를 이용한다. 서보 프로세서 800은 입력되는 트랙킹 에러신호 TES를 최소화하기 위한 오프셋 보정용 제어신호 OCS와 피트 깊이 보정용 제어신호 PCS를 발생하여 출력한다. 즉, 서보 프로세서 800은 기준신호 입력시에 가산신호 A+C와 B+D의 위상차를 최소화(제로)시키기 위한 오프셋 보정용 제어신호 OCS를 출력하고, 초기 리드신호 입력시에 가산신호 A+C와 B+D의 위상차를 최소화시키기 위한 피트 깊이 보정용 제어신호 PCS를 출력한다.
한편, 서보에러신호 검출부 700의 일 구성요소인 딜레이 제어부 720은 상기 피트 깊이 보정용 제어신호 PCS와 오프셋 보정용 제어신호 OCS를 입력하여 상기 데이터 변환부 500으로 부터 입력되는 신호들의 위상을 지연시키기 위한 딜레이 제어신호 DCS①,②,③,④를 발생하여 딜레이회로 1,2,3,4(702,704,706,708)로 출력한다.
이하 상술한 서보에러신호 검출부 700의 상세 동작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우선 데이터 변환부 500에서 출력된 디지털 형태의 기준신호 A,B,C,D는 가산기 602에서 가산된후 디지털 파형등화회로/LPF 604에 의해 파형등화 및 저역 필터링되어 타이밍 복원회로 608과 DSP 606으로 입력된다. 상기 타이밍 복원회로 608은 파형등화회로/LPF 604로부터 출력되는 기준신호와 기준 샘플링 포인트와의 위상차이에 따른 제어전압(디지털 위상동기루프인 경우에는 디지털데이터의 형태)을 발생하여 출력한다. 전압제어발진기인 VCO 610은 상기 타이밍 복원회로 608로부터 입력되는 제어전압의 레벨에 대응되도록 주파수 및 위상이 가변되는 샘플링클럭 주파수 SCLK를 발진하여 출력한다. 이에 따라 데이터 변환부 500의 ADC 510,512,514,516에서는 상기 샘플링클럭 주파수 SCLK에 따라 입력되는 기준신호가 샘플링되어 디지털 변환된다. 그리고 DSP 606에는 디시젼(decision)블럭이 내장되어 저역필터링된 리드신호를 슬라이스하여 "하이", "로우"상태의 논리레벨값을 결정하여 준다.
한편 데이터 변환부 500에서 출력된 디지털 형태의 기준신호 A,B,C,D는 각각 딜레이회로1,2,3,4(702,704,706,708)를 통해 가산기 710과 712로 입력된다. 이에 따라 기준신호 A와 C는 가산기 710에서 가산된후 레벨비교기 714와 위상검출기 716으로 출력되고, 기준신호 B, D 역시 가산기 712에서 가산된후 레벨비교기 714와 위상검출기 716으로 출력된다. 따라서 레벨비교기 714에서는 가산된 기준신호 A+C와 B+D의 레벨차에 따른 포커싱 에러신호 FES가 발생되어 출력되고, 위상검출기 716에서는 가산된 기준신호 A+C와 B+D의 위상차에 따른 트랙킹 에러신호 TES가 발생되어 출력된다. 따라서 서보 프로세서 800에서는 트랙킹 에러신호 TES를 최소화시키기 위한 오프셋 보정용 제어신호 OCS가 출력된다. 상기 오프셋 보정용 제어신호 OCS 입력에 응답하여 딜레이 제어부 720에서는 가산신호 A+C와 B+D 상호간의 위상차를 최소화시키도록 딜레이량 조정된 딜레이 제어신호 DCS①,②,③,④가 출력되고, 이와 같이 출력된 딜레이 제어신호 DCS①,②,③,④는 각각 딜레이회로1,2,3,4(702,704,706,708)에 인가됨으로써, 각각의 딜레이회로1,2,3,4(702,704,706,708)에서는 인가된 딜레이 제어신호의 위상 만큼 입력신호가 지연출력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가산신호 A+C와 B+D 상호간의 위상차는 최소가 되고, 리드채널회로내의 회로구성요소들이 가지고 있는 오프셋 성분을 보정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기구적 구성요소들의 피트 깊이를 보정하는 과정을 살펴보면 상기 데이터 변환부 500에 입력되는 신호와, 서보 프로세서 800으로 부터 출력되는 피트 깊이 보정용 제어신호 PCS에 차이가 있을 뿐 나머지 신호처리과정은 상술한 오프셋 보정과 동일하게 이루어진다.
이를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우선 광 디스크 재생동작중에 4분할된 포토 다이오드 PD에 의해 픽업된 리드신호 A,B,C,D 각각은 도 1에서와 같이 I/V증폭기 102,104,106,108에서 전압형태로 증폭출력된후 데이터 변환부 500에서 노이즈 제거된다. 노이즈 제거된 리드신호 각각은 데이터 재생 처리부 600으로 부터 입력되는 샘플링 클럭 SCLK에 따라 디지털 변환되어 서보에러신호 검출부 700으로 입력된다. 이와 같이 입력된 리드신호 각각은 딜레이회로 1,2,3,4(702,704,706,708)를 통해서 가산기 710과 712에 입력되어 A+C와 B+D형태의 신호로 출력되고, 위상검출기 716에서는 입력되는 리드신호 A+C와 B+D의 위상차에 따른 트랙킹 에러신호 TES가 발생되어 출력된다. 따라서 서보 프로세서 800에서는 트랙킹 에러신호 TES를 최소화시키기 위한 피트 깊이 보정용 제어신호 PCS가 출력되고, 상기 피트 깊이 보정용 제어신호 PCS 입력에 응답하여 딜레이 제어부 720에서는 가산신호 A+C와 B+D 상호간의 위상차를 최소화시키도록 딜레이량 조정된 딜레이 제어신호 DCS①,②,③,④가 출력된다. 이와 같이 출력된 딜레이 제어신호 DCS①,②,③,④는 각각 딜레이회로1,2,3,4(702,704,706,708)에 인가됨으로써, 각각의 딜레이회로1,2,3,4(702,704,706,708)에서는 인가된 딜레이 제어신호의 위상 만큼 입력신호가 지연출력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가산신호 A+C와 B+D 상호간의 위상차는 최소가 되고, 광 디스크 재생중 발생할 수 있는 피트 깊이 오프셋 성분을 보정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를 종합해 보면, 딜레이 제어부 720에서는 시스템 초기구동시 오프셋 보정용 제어신호 OCS에 근거한 딜레이 제어신호 DCS①,②,③,④가 출력되고, 이와 더불어 광 디스크 재생중 피트 깊이 보정용 제어신호 PCS에 근거한 딜레이 제어신호 DCS①,②,③,④가 출력됨으로서 회로 구성에 의한 오프셋 성분과 피트 깊이 오프셋 성분을 최소화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리드채널회로의 구성 및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하기 설명에서는 오프셋 보정을 위한 기준신호를 A+B, -B+C, C+D의 형태로 만들어 데이터 변환부 500으로 입력시키는 것으로 가정한다. 이러한 가정하에서 상기 기준신호들 각각은 앤티-에일리어싱 필터 1,2,4(502,504,508)에 의해 노이즈 제거된다. 노이즈 제거된 A+B, -B+C, C+D형태의 기준신호 각각은 ADC 510,512,516에서 디지털데이터로 변환 출력된다. 그리고 디지털데이터로 변환된 데이터중에서 A+B와 C+D만이 데이터 재생 처리부 600으로 입력되어 데이터 재생시에 이용된다. 한편 서보에러신호 검출부 700은 A+B, -B+C, C+D를 입력받아 서보에러신호(TES,FES) 발생에 이용한다. 하기 설명에서는 데이터 재생 처리부 600의 구성 및 동작이 도 3에 도시된 데이터 재생 처리부 600의 구성과 동일하기 때문에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고, 구성을 달리하는 서보에러신호 검출부 700의 구성 및 동작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데이터 변환부 500에서 출력되는 신호 A+B, -B+C, C+D와 인버터 726에서 반전된 B-C신호 각각은 딜레이회로 1,1',2,2'(702,704,706,708)를 통해서 가산기 710, 712로 입력된다. 이에 따라 가산기 710과 712에서는 각각 A+C와 B+D형태의 가산신호가 출력되고, 이러한 출력신호들은 딜레이회로 3,4(722,724)를 통해서 레벨비교기 714와 위상검출기 716으로 출력된다. 따라서 레벨비교기 714에서는 가산된 기준신호 A+C와 B+D의 레벨차에 따른 포커싱 에러신호 FES가 발생되어 출력되고, 위상검출기 716에서는 가산된 리드신호 A+C와 B+D의 위상차에 따른 트랙킹 에러신호 TES가 발생되어 출력된다. 따라서 서보 프로세서 800에서는 트랙킹 에러신호 TES를 최소화시키기 위한 오프셋 보정용 제어신호 OCS가 출력되고, 상기 오프셋 보정용 제어신호 OCS 입력에 응답하여 딜레이 제어부 720에서는 가산신호 A+C와 B+D 상호간의 위상차를 최소화시키도록 딜레이량 조정된 딜레이 제어신호 DCS③,④가 출력된다. 이와 같이 출력된 딜레이 제어신호 DCS③,④는 각각 딜레이회로3,4(722,724)에 인가됨으로써, 딜레이회로3,4(722,724)에서는 인가된 딜레이 제어신호의 위상 만큼 입력신호가 지연출력되어 회로 구성요소들에 의한 오프셋 성분이 제거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피트 깊이를 보정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우선 광 디스크 재생동작중에 4분할된 포토 다이오드 PD에 의해 픽업된 리드신호들을 A+B, -B+C, C+D의 형태로 가산하여 데이터 변환부 500으로 입력시키면, 상기 A+B, -B+C, C+D의 형태로 가산된 신호들은 앤티-에일리어싱 필터 1,2,4(502,504,508)에 의해 노이즈 제거된다. 노이즈 제거된 A+B, -B+C, C+D형태의 가산신호 각각은 데이터 재생 처리부 600으로 부터 입력되는 샘플링 클럭 SCLK에 따라 디지털 변환되어 서보에러신호 검출부 700으로 입력된다. 그리고 입력된 상기 가산신호 각각은 딜레이회로 1,1',2,2'(702,704,706,708)를 통해서 가산기 710과 712에 입력되어 A+C와 B+D형태의 신호로써 딜레이회로 3,4(722,724)에 입력된다. 딜레이회로 3,4(722,724)에 입력된 A+C,B+D형태의 신호는 딜레이 제어신호 DCS③,④가 지시하는 위상 만큼 지연되어 레벨 비교기 714와 위상검출기 716으로 입력된다. 따라서 위상검출기 716에서는 A+C와 B+D신호 상호간의 위상차에 따른 트랙킹 에러신호 TES가 발생되며, 서보 프로세서 800에서는 상기 트랙킹 에러신호 TES를 최소화시키기 위한 피트 깊이 보정용 제어신호 PCS를 출력하게 된다. 그리고 피트 깊이 보정용 제어신호 PCS 입력에 응답하여 딜레이 제어부 720에서는 상기 가산신호 A+C와 B+D 상호간의 위상차를 최소화시키도록 딜레이량 조정된 딜레이 제어신호 DCS①,②를 출력함으로서, 딜레이회로1,1',2,2'(702,704,706,708)에서는 인가된 딜레이 제어신호의 위상 만큼 입력신호가 지연출력되게 된다. 이에 따라 광 디스크 재생중 발생할 수 있는 회로적 구성요소들의 오프셋 성분과 기구적인 오프셋 성분 모두를 보정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서보에러신호의 검출을 디지털신호처리하여 얻음으로써 기구적 구성요소들의 오프셋(피트 깊이)보정과 회로적 구성요소들의 보정이 정확하게 이루어져 서보제어의 안정성이 확보되는 한편, 고배속 데이터 재생시에 아나로그 신호처리로 인한 신호의 왜곡현상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또한 4분할된 포토 다이오드를 이용하여 위상차를 검출하는 광 디스크 재생장치의 리드채널 수를 단축시켜, 결과적으로 소비전력을 절감시킬 수 있는 효과도 있다.

Claims (8)

  1. 트랙킹 에러신호를 최소화하기 위한 오프셋 보정용 제어신호와 피트 깊이 보정용 제어신호를 발생하여 출력하는 서보 프로세서를 구비하는 광 디스크 재생장치의 리드채널회로에 있어서,
    서로 다른 채널을 통하여 입력되는 신호들 각각을 증폭하여 디지털데이터로 변환출력하는 데이터 변환부와,
    디지털데이터로 변환된 상기 신호들을 가산하여 파형등화 처리하고, 파형등화 처리된 신호와 기준 샘플링 포인트간의 위상차이를 검출하여 그 차이값을 보상하기 위한 샘플링클럭 주파수를 발진하여 상기 데이터 변환부로 출력하는 데이터 재생 처리부와,
    상기 오프셋 보정용 제어신호와 피트 깊이 보정용 제어신호가 각각 지시하는 위상 만큼 상기 데이터 변환부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들 각각을 지연시키고, 지연된 신호들을 복수개의 신호로 가산한후 가산된 신호 상호간의 위상차 비교에 따른 트랙킹 에러신호를 발생하여 출력하는 서보에러신호 검출부를 적어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광 디스크 재생장치의 리드채널회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변환부는;
    상기 서로 다른 채널을 통하여 입력되는 신호들 각각에 포함되어 있는 노이즈를 제거하기 위한 앤티-에일리어싱 필터들과,
    상기 필터들 각각에 접속된 아나로그/디지털 컨버터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광 디스크 재생장치의 리드채널회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서보에러신호 검출부는;
    상기 오프셋 보정용 제어신호와 피트 깊이 보정용 제어신호가 각각 지시하는 위상 만큼의 딜레이 제어신호들을 발생하여 출력하는 딜레이 제어부와,
    상기 데이터 변환부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들 각각을 상기 딜레이 제어신호에 따라 지연출력하는 딜레이 수단들과,
    상기 딜레이 수단들 각각으로 부터 출력되는 신호들중 소정 갯수의 신호들을 가산하여 출력하는 가산기들과,
    상기 가산기들로부터 출력되는 신호 상호간의 위상차를 검출하여 트랙킹 에러신호를 발생시키는 위상검출기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광 디스크 재생장치의 리드채널회로.
  4. A,B,C,D로 4분할된 포토 다이오드와, 트랙킹 에러신호를 최소화하기 위한 오프셋 보정용 제어신호와 피트 깊이 보정용 제어신호를 발생하여 출력하는 서보 프로세서를 구비하는 광 디스크 재생장치의 리드채널회로에 있어서,
    서로 다른 채널을 통해 A+B, C+D, -B+C형태로 가산되어 입력되는 신호들을 디지털 변환하여 출력하는 데이터 변환부와,
    상기 A+B, C+D형태의 신호를 가산하여 파형등화 처리하고, 파형등화 처리된 신호와 기준 샘플링 포인트간의 위상차이를 검출하여 그 차이값을 보상하기 위한 샘플링클럭 주파수를 발진하여 상기 데이터 변환부로 출력하는 데이터 재생 처리부와,
    상기 피트 깊이 보정용 제어신호가 지시하는 위상 만큼 상기 데이터 변환부로부터 입력되는 A+B, -B+C, C+D신호들 각각을 제1지연시키고, 제1지연된 상기 신호들을 복수개의 신호로 가산하여 상기 오프셋 보정용 제어신호가 지시하는 위상 만큼 제2지연시킨후 제2지연 출력된 신호들 상호간의 위상차 비교에 따른 트랙킹 에러신호를 발생하여 출력하는 서보에러신호 검출부를 적어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광 디스크 재생장치의 리드채널회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변환부는;
    상기 A+B, -B+C, C+D신호에 포함되어 있는 노이즈를 각각 제거하는 앤티-에일리어싱 필터들과,
    상기 필터들 각각에 접속된 아나로그/디지털 컨버터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광 디스크 재생장치의 리드채널회로.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서보에러신호 검출부는;
    상기 오프셋 보정용 제어신호와 피트 깊이 보정용 제어신호가 각각 지시하는 위상만큼의 오프셋 보정용 딜레이 제어신호와 피트 깊이 보정용 딜레이 제어신호들을 발생하여 출력하는 딜레이 제어부와,
    디지털 변환된 상기 -B+C신호를 반전출력하는 인버터와,
    상기 컨버터들과 인버터 각각으로 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입력되는 피트 깊이 보정용 딜레이 제어신호에 따라 지연출력하는 제1딜레이 수단들과,
    상기 제1딜레이 수단들 각각으로 부터 출력되는 신호들을 가산하여 A+C와 B+D신호로 각각 출력하는 가산기들과,
    상기 가산기 각각으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입력되는 상기 오프셋 보정용 딜레이 제어신호에 따라 지연출력하는 제2딜레이 수단들과,
    상기 제2딜레이 수단들로부터 출력되는 신호 상호간의 위상차를 검출하여 트랙킹 에러신호를 발생시키는 위상검출기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광 디스크 재생장치의 리드채널회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보 프로세서는;
    구동전원 입력시에 상기 데이터 변환부로 기준신호를 인가하여 발생되는 트랙킹 에러신호에 근거하여 오프셋 보정용 제어신호를 발생하고, 광 디스크 재생중 리드되는 신호에 의해 발생되는 트랙킹 에러신호에 근거하여 피트 깊이 보정용 제어신호를 발생함을 특징으로 하는 광 디스크 재생장치의 리드채널회로.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서보 프로세서는;
    구동전원 입력시에 상기 데이터 변환부로 기준신호를 인가하여 발생되는 트랙킹 에러신호에 근거하여 오프셋 보정용 제어신호를 발생하고, 광 디스크 재생중 리드되는 신호에 의해 발생되는 트랙킹 에러신호에 근거하여 피트 깊이 보정용 제어신호를 발생함을 특징으로 하는 광 디스크 재생장치의 리드채널회로.
KR1019980013092A 1998-04-13 1998-04-13 광 디스크 재생장치의 리드채널회로 Expired - Fee Related KR1002605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13092A KR100260549B1 (ko) 1998-04-13 1998-04-13 광 디스크 재생장치의 리드채널회로
US09/289,987 US6236628B1 (en) 1998-04-13 1999-04-13 Read channel circuit for optical disk reproducing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13092A KR100260549B1 (ko) 1998-04-13 1998-04-13 광 디스크 재생장치의 리드채널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80092A KR19990080092A (ko) 1999-11-05
KR100260549B1 true KR100260549B1 (ko) 2000-07-01

Family

ID=195361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13092A Expired - Fee Related KR100260549B1 (ko) 1998-04-13 1998-04-13 광 디스크 재생장치의 리드채널회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6236628B1 (ko)
KR (1) KR10026054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2399B1 (ko) 2016-07-14 2016-12-05 (주)로보틱케어 무선 핸드 안마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39393B2 (ja) * 1999-08-30 2003-08-25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トラッキング誤差検出装置
US7113460B2 (en) * 2000-03-06 2006-09-26 Sharp Kabushiki Kaisha Optical disk having pits of different depths formed therein, optical disk reproducing apparatus for reproducing the optical disk, and method of tracking the optical disk
US6940671B2 (en) * 2000-09-27 2005-09-06 Seagate Technology Llc System and method to determine the time domain equalized signal-to-noise ratio of a mass storage device
US7522480B2 (en) 2001-01-25 2009-04-21 Dphi Acquisitions, Inc. Digital tracking servo system with multi-track seek with an acceleration clamp
KR100382737B1 (ko) * 2001-03-26 2003-05-09 삼성전자주식회사 광 디스크 시스템의 재생 신호와 제어 신호 발생 장치 및방법
SG114553A1 (en) * 2001-06-29 2005-09-28 Seagate Technology Llc Systems, apparatus, and methods to determine thermal decay characterization from an equalized signal-to-noise ratio of a magnetic disc drive device
JP2003030879A (ja) * 2001-07-18 2003-01-3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トラッキング誤差検出装置
JP3900418B2 (ja) * 2002-04-30 2007-04-04 パイオニア株式会社 トラッキングエラー検出システム及び方法
TWI271726B (en) * 2003-02-14 2007-01-21 Ind Tech Res Inst Circuit for tracking error signal detection on an optical storage medium
US7633842B2 (en) * 2004-07-08 2009-12-15 Realtek Semiconductor Corp. Apparatus for generating tracking error signal in optical disc drive
TWI258740B (en) * 2004-07-08 2006-07-21 Realtek Semiconductor Corp Apparatus and method for generating a tracking error signal in an optical disc drive
US7583569B2 (en) * 2004-07-08 2009-09-01 Realtek Semiconductor Corp. Apparatus and related method for generating a tracking error signal in an optical disc drive
US7512043B2 (en) * 2004-07-08 2009-03-31 Realtek Semiconductor Corp. Apparatus and method for generating a tracking error signal in an optical disc drive
US20060072417A1 (en) * 2004-09-03 2006-04-06 Chao-Hsin Tseng Device for reducing power consumption of optical drive and method for the same
KR100712520B1 (ko) 2005-07-27 2007-04-30 삼성전자주식회사 다중위상클럭을 이용하여 트래킹에러 신호를 검출하는 장치및 방법
KR20090061248A (ko) * 2007-12-11 2009-06-16 삼성전자주식회사 트래킹 에러 신호 검출 방법 및 장치
JP2013030248A (ja) * 2011-07-28 2013-02-07 Sony Corp サーボ制御装置および光ディスク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28954A (en) * 1996-04-04 1998-10-27 Lucent Technologies Inc. Transmission system for digital audio broadcasting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2399B1 (ko) 2016-07-14 2016-12-05 (주)로보틱케어 무선 핸드 안마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80092A (ko) 1999-11-05
US6236628B1 (en) 2001-05-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60549B1 (ko) 광 디스크 재생장치의 리드채널회로
JP3739541B2 (ja) 情報再生装置
US8068389B2 (en) Tracking error signal detection device and optical disc apparatus
US6204787B1 (en) Circuits and methods for gain ranging in an analog modulator and systems using the same
JP2001016192A (ja) デジタルクロック信号復元回路及びその方法
US20060126473A1 (en) Dropout detection circuit and optical disc apparatus
US7525898B2 (en) Information playback apparatus, in-line circuit, and method for implementing in-line circuit on information playback apparatus
US7091895B2 (en) A/D converter, digital PLL circuit using the same, and information recording apparatus using the same
US20040213123A1 (en) Information memory and reproduction device
JP3411711B2 (ja) ディジタルデータ再生装置
US6552979B1 (en) Optical servo control circuits and methods using pulse width modulation and offset control for driving an electromechanical motor
US8121015B2 (en) Optical disk drive device and method
JP3797071B2 (ja) 光ディスク記録再生装置
KR19980059924A (ko) 트랙킹 에러 검출회로
US6810000B2 (en) Clock generator having a crosstalk removing circuit for use in a recording information reproduction apparatus
US20050128907A1 (en) PLL circuit and an optical disk apparatus thereof
KR100194221B1 (ko) 광 디스크 플레이어의 에러 보상형 데이터 재생장치
JP4113175B2 (ja) 情報再生装置、そのインライン回路、および情報再生装置のインライン回路の実装方法
JP4948450B2 (ja) 信号処理装置
JPH1027366A (ja) 光ディスク駆動方法及び光ディスク駆動装置
KR100214589B1 (ko) 디스크 표면의 결함 처리방법 및 장치
JP2002025076A (ja) データ再生装置
JP2009170005A (ja) クロック生成装置及びクロック生成方法
JPH11126431A (ja) ディスク再生装置
JPH07169192A (ja) 2値化回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80413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80413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0033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0040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0041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3032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033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033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0330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329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328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529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529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