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257896B1 - 광기록 매체 - Google Patents

광기록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57896B1
KR100257896B1 KR1019930028695A KR930028695A KR100257896B1 KR 100257896 B1 KR100257896 B1 KR 100257896B1 KR 1019930028695 A KR1019930028695 A KR 1019930028695A KR 930028695 A KR930028695 A KR 930028695A KR 100257896 B1 KR100257896 B1 KR 1002578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tical recording
layer
recording medium
full
charg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286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16048A (ko
Inventor
정희태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300286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57896B1/ko
Priority to JP5337926A priority patent/JP2763263B2/ja
Priority to US08/175,839 priority patent/US5503890A/en
Publication of KR9400160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16048A/ko
Priority to US08/487,350 priority patent/US551656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578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57896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24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 G11B7/2403Layers;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thereof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24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 G11B7/241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 G11B7/242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of recording layers
    • G11B7/243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of recording layers comprising inorganic materials only, e.g. ablative laye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24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 G11B7/241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 G11B7/242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of recording layers
    • G11B7/244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of recording layers comprising organic materials only
    • G11B7/246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of recording layers comprising organic materials only containing dyes
    • G11B7/248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of recording layers comprising organic materials only containing dyes porphines; azaporphines, e.g. phthalocyanine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24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 G11B7/241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 G11B7/252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of layers other than recording layers
    • G11B7/254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of layers other than recording layers of protective topcoat lay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Optical Record Carriers And Manufacture Thereof (AREA)
  • Thermal Transfer Or Thermal Recording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종래 광에 의한 열 및 포톤을 이용하여 광기록을 행하는 방식에서 탈피 광에 의한 전하의 이동을 통하여 광기록을 행하는 신규한 광기록 매체를 제공하는 것으로, 기판위에 반사층, 전하발생층, 전하수송층, 전장변색소자가 차례로 적층되고 필요에 따라 전장변색소자 상단에 스페이서를 형성하는 공기층을 구성하고 공기층 상단 또는 상기 전장변색소자의 상단에 보호층이 적층된 광기록 매체로서 레이저 광을 조사하여 전하 발생층에서 전하를 발생시키고, 발생된 전하를 전하수송층에서 수송하여 전장변색소자의 색을 변색시켜 기록을 행하는 것으로 종래의 기록매체에 비해 매체의 안정성, 기록 및 소거시간, 제조공정, 감도등이 우수한 광기록 매체를 얻는다.

Description

광기록 매체
제1도는 본 발명 광기록 매체의 일시시예 구성도.
제2도는 본 발명 광기록 매체의 기록상태 구성도.
제3도는 본 발명 광기록 매체의 소거상태 구성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기판 2 : 반사층
3 : 전하발생층 4 : 전하수송층
5 : 전장변색소자 6 : 스페이서
7 : 공기층 8 : 보호층
본 발명은 레이저를 이용하여 기록, 재생 및 소거가 가능한 유기 광기록용 매체에 관한 것이다. 이 매체는 고밀도 대용량의 정보 기록재료로서 각종 정보기록용 매체 또는 화상기록용 매체로 사용될 수 있다.
사회전반의 고도 정보화에 따른 각종정보의 폭발적인 증가는 기억매체의 고밀도화, 대용량화 및 고속화를 필수적으로 요구하고 있다.
최근 가장 많이 실용화된 기억방식은 자기방식으로 정보가 자기매체 자성체의 자화방향에 따라 정보를 기록하게 된다. 이의 사용예로서는 비디오테이프, 오디오테이프, 플로피디스크등 여러가지를 들 수 있다.
그러나 사회발전에 따른 정보량의 증가는 대용량의 기록매체를 요구하게 되어 광자기 방식의 기록매체가 등장하게 되었다. 광자기에서는 자기 기록매체에 사용되는 자성물질과는 달리 자화방향이 기록막의 표면과 수직 방향으로 되어 있고 자화방향을 유지하려는 보자력이 자기매체에 비해 5~10배 높아 외부자계로 자기방향을 전환하기 어렵다. 자기방향을 변화시키기 위해 레이저를 사용하여 1㎛ 이하로 광을 접속시켜 큐어리온도 이상으로 가열한 상태에서 외부의 자계로 자기방향을 바꿈으로서 자기방향에 따라 정보를 기록할 수 있다. 이 방식으로 기록하면 정보기록 단위가 1㎛ 이하로 작아져 자기 기억방식에 비해 10~1000배의 기록밀도를 갖을 수 있으며 비접촉시 기억재생방법을 사용하여 기록보존이 용이하고 수명이 길어진다.
그러나 이 방법은 중금속계의 자성체를 사용하고 제조공정상에 진공증착 또는 스퍼터링 장치를 필요로하여 제조상의 많은 어려움이 있다. 이러한 단점을 해결하기 위해 유기 광기록 재료를 사용하려는 시도가 있어왔다.
유기 광기록 재료는 소거가능 여부에 따라, 1회 기록후 읽기만 하는 WORM(Write Once Read Many)형과 기록후 소거가 가능한 RW(Rewritable)형으로 나눌수 있다.
WORM형은 일본 공개특허공보 소 57-46362, 58-197088, 59-5096, 63-179792등에 언급된 바와같이, 반사층위에 레이저를 흡수할 수 있는 색소를 고분자 수지와 섞어 기록층을 코팅형성한 후 그위에 보호층을 코팅 형성하여 만든다. 기록시에는 레이저를 1㎛ 파장이내로 기록층에 집광시키면 레이저를 흡수하는 색소에 의해 열이 발생하는 고분자 수지를 분해시켜 피트(pit)가 형성되어 기록이 가능해진다. 기록재생시에는 피트가 있는 부분과 없는 부분의 반사율 차이로 정보를 읽게된다. WORM형에서는 기록된 부분이 고분자의 분해형태로 되기때문에 기록의 소거후 재기록이 불가능하다.
RW형은 광을 열로써 이용하는 열방식과 광의 광자를 이용하는 포톤(photon) 방식으로서 각각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열방식의 경우 기록광을 기록층위에 조사하여 국부적으로 융해, 증발, 열변형, 열전이등을 일으켜 그때 발생하는 광학적 변화에 의하여 기록, 재생을 행하는 방법이다. 이러한 방법을 이용한 광기록 매체로서 CdFe, TbFe, TbFeCo등을 이용하여 파라데이 효과, 카트 효과를 이용한 광자기 기록매체와 Te계로 대표되는 TeOX, Te-Ge, Te-Ge-Sb, Te-Ge-Sb-Tl등을 사용하는 무기계가 활발히 연구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광기록 매체는 인체에 유해한 재료를 사용할뿐만 아니라, 금속 화합물을 스퍼터링법등에 의하므로 매체의 안정성이 낮고 제조공정이 어려운 단점이 있다. 또한 매체의 특성에 있어서도 기록 감도가 낮고 기록 상태의 안정성과 고속 소거시 오브라이트성도 만족되지 않고 있다. 따라서 무해하고 저가격의 매체로서 신뢰성과 고속, 고감도화가 가능한 기록매체가 요양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재료로서 무독하며 저가격의 유기 고분자 재료가 제안되고 있다. 이러한 유기계에 있어서는 열가소성 수지와 근적외선 흡수 색소를 이용한 방법(일본공개특허 5848245) 및 폴리마 블랜드를 이용한 방법(미국특허 4722595)이 제안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기록감도와 기록/소거 반복성에 역시 문제가 있다. 또한 액정의 상변이를 이용한 방법(일본특개소 59-10930, 60-114823, 63-74135, 미국특허 4,855-976등)이 알려지고 있지만 전극을 이용하기 때문에 매체의 구성이 매우 복잡하여 기록감도, 응답성 및 신뢰성에 문제가 있다. 저분자 액정의 제조성, 신뢰성을 개선하기 위하여 미국특허 4,293,435등에 고분자액정을 이용하는 것이 제안되고 있으나, 기록감도, 콘트라스트(contrast), 반복소거성에 문제가 있고 응답성도 늦어 실용화에는 이르지 못하고 있다. 이러한 응답성을 개선하기 위하여 광이성화 방법(일본특개소 62-109245 호)이 제안 되었는바, 포토크로믹분자가 포토크로믹액정층을 이루는 액정고분자의 측쇄에 결합 또는 혼합되고, 포토크로믹분자가 광이성화작용을 수행하여 광기록이 되도록 한것이다. 그러나 이것 또한 콘트라스트, 반복소거성, 보존성에 문제가 있고 단파장 광원의 사용등으로 인하여 공업적으로 사용되고 있지 않다. 한편 포톤법의 광기록 방식은 고감도, 고속의 광기록 매체로서 주목을 받고 있으며 스피로 피란계(일특개소 60-208390), 폴기드(일특개소 63-273688), 폴리디아세틸렌(일특개소 63-163341)등을 이용한 포토크로믹 재료가 광기록매체로서 제안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우수한 특성을 갖는 반면 광에 의한 내광성이 나쁘기 때문에 발색상태의 안정성 및 반복소거성이 좋지 않은 점이 있다. 또한 일반적으로 포토크로믹 화합물의 경우 기록광이 자외선이면 소거광은 가시광선이기 때문에 기록의 안정한 보존이 어렵고 포토크로믹 반응시 역반응을 일으키기 쉽다.
이러한 이유등으로 인하여 고밀도 고속성의 장점을 갖고 있으면서도 개발이 급속히 진전되지 않고 있다.
이상에서 볼때 서환 가능한 유기계 기록매체는 안정성과 감도, 소거시 스템의 복잡성 측면에서의 보완이 반드시 필요하며 새로운 광기록 방식으로의 전환을 위해서는 이러한 측면을 반드시 고려한 새로운 매체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기존의 광에 의한 열 및 포톤을 이용하여 광기록을 행하는 방식에서 탈피하여 광에 의한 전하의 이동을 통하여 감도와 반복기록 소거성 및 안정성이 우수한 광기록 매체를 구성하고자 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서환가능한 유기광기록 매체에 관한 것이며 기존의 광기록과는 다른 절차를 이용하여 광기록을 수행하는 것으로, 앞에서 상술한 종래의 광기록매체에서 문제점을 제시하고 있는 안정성, 기록 및 소거시간, 제조공정, 감도등의 측면에서 장점을 구비한, 특히 기록특성중 기록감도, 안정성이 우수한 신규한 기록매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보다 상세히 말하면, 본 발명은 기판, 반사층, 전하발생층, 전하수송층, 전장 변색소자가 적층되고 그 상단에 보호층이 적층된 유기광기록 매체로서, 필요에 따라 상기 전장 변색소자 상단에 스페이서를 형성하여 공기층을 구성할수도 있다. 이때 기록방법은 집광된 레이저 광을 기록할 표면에 조사하여 전하발생층의 전하발생 물질이 조사된 레이저 파장대역에 흡수되어 기록을 표면에 전하를 발생시키고 발생된 전하를 전하 수송층에서 전장 변색소자(전장발색소자) 표면까지 수송하여 광조사 부위에 형성된 표면의 전기장 효과가 생성되고, 이러한 전하의 영향에 의해 전장변색소자층의 색이 다른 부위와 다른색을 형성하게 함으로써 광기록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광기록용 매체의 구성은 제1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기판(1), 반사층(2), 전하발생층(3), 전하수송층(4), 전장변색소자(5), 스페이서(6), 공기층(7), 보호층(8)으로 구성되며, 때로는 스페이서(6) 및 공기층(7)을 형성하지 않을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기록시에는 먼저 집광된 레이저광이 기록할 표면을 조사함으로써 전하발생층(3)의 전하발생 물질이 조사한 레이저 파장대역에서 흡수되어 전하를 전하발생층 표면에 발생시키고, 발생된 전하는 전하수송층(4)에 의해 전장변색소자(5) 표면까지 수송함으로써, 광조사 부위에서 형성된 표면의 전기장 효과가 생성된다(제2도). 이러한 전하의 영향에 의하여 광조사 부위에서는 전하가 존재하고 있는 상태이므로 전장변색소자층의 색이 다른 부위와는 다른 색을 형성하게 된다. 이러한 특성에 의하여 기록이 이루어지며 기록을 읽을시에는 기록시보다는 약한 세기, 즉 전하발생층(3)에서 전하를 발생시킬 에너지 이하의 레이저 세기를 조사함으로서 기록된 상태의 반사 혹은 투과된 양의 차이를 이용하여 읽음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소거시에는 기록표면의 전하를 방전시켜 표면에 형성된 전하를 제거함으로서 기존의 유기광기록 소거 시스템에 비하여 훨씬 간단하게 소거가 이루어진다(제3도).
본 발명에서 전하발생층(3) 및 전하수송층(4)은 무기계 재료를 이용할 수도 있으며 이 경우에는 한개의 층으로만 이용할 수 있다. 이는 일반적으로 무기계재료는 전하발생 및 전하수송의 특성을 함께 지니고 있기 때문이며 이때 사용될 수 있는 무기계 재료로서는 셀레늄계, 카드뮴 설파이드계, 징크 옥사이드계, 아몰퍼스 실리콘계등을 들수있다.
한편 이들층을 유기재료로 할 경우 전하발생층(3)은 전하발생물질을 수지에 분산시켜 코팅을 하는 것으로 이때 사용하는 수지로는 기록파장 대역의 광에 대하여 80%이상이 투과할 수 있는 재료이여야 하며 폴리카보네이트,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폴리스테렌, 아몰퍼스 폴리올레핀등이 있으나 폴리카보네이트 수지가 일반적이며, 수지에 분산되는 전하발생 물질로서의 유기재료로는 폴리아조계, 페릴렌 테트라카르복시 디이미드계, 폴리사이클릭 퀴논계, 프탈로시아닌계, 스퀴아릴륨계, 시아피릴륨계 등에서 적어도 1종이상을 수지에 분산시켜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전하수송층(4)은 상기한 수지에 전하수송물질로서 프탈로 시아닌계, 하이드라존계, 피라졸린계, 스틸벤즈계(Stylbenes), 트리페닐메탄계, 헤테로사이클계, 컨주게이트 아릴아미드계등을 적어도 1종이상 분산시켜 코팅하여 사용될수 있다. 이때 전하발생층(3)은 0.1~0.3㎛의 두께가 적당하고, 전하수송층(4)은 3~30㎛가 적당하나 더욱 좋기로는 10~30㎛가 적당하다. 전하발생층(3) 및 전하수송층(4)의 재료선정은 기록할 레이저의 파장대역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해야 한다.
본 발명에서 전장변색소자(5)는 기록재료의 고반사율을 나타내기 위하여 70% 이상의 광이 투과될 수 있는 재료로서 전기장에 의하여 변색이 되는 도전성 폴리머의 모든재료를 포함하나, 하기의 일반식 I~VII의 화합물이 바람직하고, 이중에서 특히 일반식 III의 폴리피롤이 가장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n은 4이상의 정수; R1~R9은 수소, 알킬기, 알콕시기 또는 페닐기; X-는 ClO4-, BF4-, AsF5-이다).
이들 소재를 사용할 경우 전해중합하여 20㎛ 이하의 두께이어야 하며, 이때 소재의 함량은 너무 적으면 전장에 의한 변색정도가 너무 낮아 기록특성에 문제가 있고 너무 많을 경우에는 광에 의한 흡수가 커서 기록을 형성할 반사율에 이르지 못하게 되며, 따라서 용매에 대해 0.2~20중량%가 적합하다.
이와같은 전장변색소자에 따라 예를들어 폴리피롤을 사용할 경우 산화상태에서는 푸른색, 환원상태에서는 황록색을 나타내어 변색됨을 쉽게 알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전장변색소자(5)위의 양쪽측면에 스페이서(5)를 두어공기층(7)을 유지시킬 수도 있으며, 이 경우에는 그위에 최종적으로 보호층(8)을 형성시킨다. 바람직한 스페이서(6) 재료로는 글래스비드를 들수있고 보호층(8)은 기판(1)과 같은 재료로서 바람직하게는 폴리카보네이트를 들수 있다. 본 발명에서 반사층(2)은 금속성분으로 바람직하게 금 또는 알루미늄을 50~1000Å으로 증착시켜 조성한다.
본 발명에서는 또한 전하의 안정한 상태를 유지시키기 위하여 전장 변색소자 (5)위에 포토마스크를 두면 더욱 안정한 기록상태를 유지시킬수 있으며, 이때 이 포토마스크는 기록할 레이저의 촛점크기 정도로 분할되어 있어야 하며 3㎛이하, 더욱 좋기로는 1~3㎛ 정도가 적당하다.
본 발명에 따른 광기록매체의 기록 및 소거절차는 상술한 바와같으나 각각 제2도 및 제3도에 개략적 원리도로 도시하였다. 이같은 본 발명에 따라 제공되는 유기광기록용 매체는 기록감도와 안정성이 현저히 향상된다.
이하에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더욱 설명한다.
[실시예 1]
폴리 카보네이트 기판에 금(Au)을 800Å 증착한후, 그위에 전하발생물질로 프탈로시아닌계인 상품명 프로젠(ICI사제)을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와 중량비 50 : 50으로 용매에 녹인후 0.2㎛로 스핀코팅한후 80℃에 10시간 보관하여 용매를 건조시켰다. 전하발생층위에 다시 전하수송물질을 폴리카보네이트와 중량비 50 : 50 비율로 용매에 녹인후 같은 조건으로 건조하였다. 이때 전하수송물질로는 상품명 프로트란티(ICI사제 : 히드릭존계)을 이용하였다. 이 위에 전장 변색소자(5)로서 전해중합한 일반식(III)의 폴리피롤을 용매에 대해 5중량%로 녹인후 5㎛두께로 스핀코팅하고 오븐에서 5시간 80℃로 가열하여 용매를 충분해 건조시킨다. 이때 기록층 재료로 사용된 상기 폴리피롤의 구체적 분자식은 하기표 1에(III-1)로 표시하였다. 여기에 다시 측면에 스페이서 물질(글레스 비드)를 형성시킨후 그 위에 폴리카보네이트 기판을 붙인다. 이렇게 완성된 매체의 반사율을 측정한 결과 780nm 파장의 광원에 대하여 45%의 반사율을 얻어 기록매체로서의 높은 반사율을 보였다. 이에 10mW의 레이저(λ=780nm)를 0.1μ초, 600rpm, 300kHz로 변조하여 기록을 하였다. 이렇게 하였을때 기록 부위는 정전하에 의하여 황록색을 나타냄을 확인하였으며 기록후에 1.0mW의 레이저(780nm)를 같은 조건으로 조사하여 기록을 읽은 후에 C/N비(CNR)를 측정하였다.
측정 결과 57dB의 C/N비를 얻었다. 이는 일반적인 여타의 소거 가능한 유기광기록재료에 비하여 우수한 기록 특성임을 알수있었다. 광기록 매체를 다시 40℃, 80% 상대습도에 10일간 방치후및 -10℃에서 10일 방치후의 결과도 거의 56dB이어서 어떤 환경에서도 안정한 유기 광기록 매체임을 판명하였다. 또한 기록, 재생을 50회 반복시에도 56dB의 우수한 기록 및 소거 특성을 나타내었다.
[실시예 2]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광기록 매체를 제조하되 전장 변색소자로 일반식(VI)의 화합물(구체분자식은 VI-1)로 표1에 표기)을 사용하여 코팅형성한 후 기록, 소거, 신뢰성, 실험을 반복 실시하고, 앞과 같은 평가를 실시한 결과 실시예 1에 비해서 반사율은 비슷하고 기록/소거/신뢰성 실험시의 CNR이 약간 떨어지나 여타 기록재료에 비해서는 기록 매체로서 우수한 특성을 나타내었다.
[실시예 3]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광기록 매체를 제조하되 전장 변색소자로 일반식(IV)의 화합물(구체 분자식은(IV-1)로 표 1에 표기)을 사용하여 코팅 형성한후 기록, 소거, 신뢰성 실험을 반복 실시하고 평가한 결과 실시예 2와 유사한 우수한 특성은 나타내었다.
[실시예 4]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광기록 매체를 제조하되 전장 변색소자로 일반식 (II)의 화합물(구체 분자식은(II-1)로 표 1에 표기)을 사용하여 코팅 형성한후 기록, 소거, 신뢰성 실험을 반복 실시하고, 평가한 결과 실시예 2와 유사한 우수한 특성을 나타내었다.
[실시예 5]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광기록 매체를 제조하되 전장 변색소자로 일반식 (VII)의 화합물(구체 분자식은(VII-1)로 표 1에 표기)을 사용하여 코팅 형성한후 기록, 소거, 신뢰성 실험을 반복 실시하였다.
[실시예 6]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광기록 매체를 제조하되 전장 변색소자로 일반식 (V)의 화합물(구체 분자식은(V-1)로 표 1에 표기)을 사용하여 코팅 형성한후 기록, 소거, 신뢰성 실험을 반복 실시하였다.
[실시예 7]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광기록 매체를 제조하되 전장 변색소자로 일반식 (I)의 화합물(구체 분자식은(I-1)로 표 1에 표기)을 사용하여 코팅 형성한후 기록, 소거, 신뢰성 실험을 반복 실시하였다.
[실시예 8]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광기록 매체를 제조하되 무기계 전하발생층(3)과 전하수송층(4) 대신에 무기계인 셀레늄을 0.5㎛의 두께로 증착하고 같은 방법으로 기록 및 소거를 실시하고 그결과를 표 1에 정리하였다.
[실시예 9]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광기록 매체를 제조하되 전장 백색소자(5) 위에 포토마스크를 두었으며, 같은 방법으로 기록 및 소거를 실시한결과, 실시예 1~8에서 2㎛의 기록 해상도를 형성한 반면에 실시예 3에서는 여타기록 특성이 비슷하면서 1.2㎛의 고해상도의 결과를 보여 포토마스크를 사용했을때 효과가 향상되는 결과를 보였다.
[비교예 1]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광기록 매체를 제조하되 전장 백색소자(5)를 용매에 대하여 25중량% 첨가하고 같은 방법으로 평가를 실시하였다. 평가결과 높은농도에서 광에의한 투과율이 낮아져 반사율이 상대적으로 낮기 때문에 전체적인 기록특성이 실시예에 비하여 낮은 특성을 나타내어 기록 재료로서는 문제가 있음을 나타내었다.
[비교예 2]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광기록 매체를 제조하되 수지를 폴리카보네이트 대신에 폴리프로필렌을 사용하고 같은 방법으로 기록/소거를 실시하였으나 반사율이 낮아 기록/소거가 불가능 하였다.
[표 1]

Claims (10)

  1. 기판위에 반사층, 전하발생층 및 전하수송층이 차례로 적층되고, 상기 전하수송층 상단에 전장 변색소자 및 보호층이 적층된 구조로 이루어지며, 레이저 광을 조사하여 전하발생층에서 전하를 발생하고 이를 전하 수송층에서 수송하여 전장변색소자의 색을 변색시킴으로써 광기록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기록매체.
  2. 전하발생층은 전하발생 물질로서 폴리아조계, 페닐렌 테트라 카르복시디이드계, 폴리사이클릭 퀴논계, 프탈로시아닌계, 스퀴아릴륨계, 시아피릴륨계를 적어도 1종이상을 수지에 분산시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기록 매체.
  3. 전하수송층은 전하수송물질로서 프탈로 시아닌계, 하이드라존계, 피라졸린계, 스틸벤즈계, 트리페닐 메탄계, 헤테로 사이클계, 컨쥬게이트 아릴아미드계를 적어도 1종 이상을 수지에 분산시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기록 매체.
  4. 제2항 또는 3항에 있어서, 수지는 기록파장 대역의 광에 대하여 80%이상의 투과를 할 수 있는 폴리카보네이트, 폴리 메틸 메타 크릴레이트, 폴리스티렌, 아몰퍼스 폴리올레핀중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기록매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장변색소자는 하기일반식 (I) 내지 (VII)의 화합물중 적어도 1종 이상 선택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기록 매체.
    (여기에서, n은 4이상의 정수; R1~R9은 수소, 알킬기, 알콕시기 또는 페닐기; X-는 ClO4-, BF4-, AsF5-이다).
  6. 제1항 또는 5항에 있어서, 전장 변색소자는 용매에 대하여 0.2~20중량%로 첨가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기록 매체.
  7. 제1항에 있어서, 전장 변색소자는 그 위에 다시 포토마스크가 박막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기록 매체.
  8. 제1항에 있어서, 전장발생층 및 전하수송층은 하나의 무기증착 층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기록 매체.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장변색소자 상단에 스페이서를 형성하여 공기층을 이루고, 상기 공기층을 이루는 스페이서 상단에 보호층이 적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기록 매체.
  10. 제8항에 있어서, 무기증착층은 셀레늄계, 카드뮴 설파이드계, 징크옥사이드계, 아몰퍼스 실리콘계중 적어도 1종 이상인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기록 매체.
KR1019930028695A 1992-12-31 1993-12-21 광기록 매체 Expired - Fee Related KR1002578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28695A KR100257896B1 (ko) 1992-12-31 1993-12-21 광기록 매체
JP5337926A JP2763263B2 (ja) 1992-12-31 1993-12-28 光記録媒体
US08/175,839 US5503890A (en) 1992-12-31 1993-12-30 Optical recording medium
US08/487,350 US5516568A (en) 1992-12-31 1995-06-07 Optical recording mediu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20027205 1992-12-31
KR920027205 1992-12-31
KR1019930028695A KR100257896B1 (ko) 1992-12-31 1993-12-21 광기록 매체
KR92-27205 1993-12-2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16048A KR940016048A (ko) 1994-07-22
KR100257896B1 true KR100257896B1 (ko) 2000-06-01

Family

ID=668539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28695A Expired - Fee Related KR100257896B1 (ko) 1992-12-31 1993-12-21 광기록 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5789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54070B1 (ko) * 1999-02-10 2006-02-22 삼성전자주식회사 고밀도 광학적 저장매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16048A (ko) 1994-07-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642776B2 (ja) 情報記録媒体及び情報記録方法
US5019476A (en) Optical recording medium
US5049428A (en) Optical information recording medium
US5234799A (en) Photochromic material and rewritable optical recording medium
EP0527454B1 (en) Information recording medium having recording layer with organic polymer and dye contained therein
JP2763263B2 (ja) 光記録媒体
US5605779A (en) Optical memory medium
US5192644A (en) Optical memory device
US5579150A (en) Optical recording medium using a charge transfer complex
KR100257896B1 (ko) 광기록 매체
JPH07169057A (ja) 光記録媒体及びその記録再生方法
JP3490749B2 (ja) 光記録媒体の情報記録方法
US5164287A (en) Photochromic material and rewritable optical recording medium
EP0437863B1 (en) Infra-red laser beam sensitive recording material
Tang et al. Polymer and ormosil materials for optical data storage
JPH0648045A (ja) 光学記録媒体
JPH06251417A (ja) 光学記録媒体
JP2705475B2 (ja) 情報記録媒体並びに情報の記録方法及び消去方法
JPH0316785A (ja) 光記録媒体
JP3315707B2 (ja) 光記録媒体
JPS639578A (ja) 光記録媒体
CN1456591A (zh) 用于光信息存储的彩色三维存储材料及其制备方法
JPH07326076A (ja) 追記型光記録媒体の再生方法及び追記型光記録媒体
JPH06251418A (ja) 光学記録媒体
JPH02155790A (ja) 光記録媒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R17-X000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7-oth-X000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1-asn-PN2301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8-oth-X000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1-asn-PN2301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1-asn-PN2301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030307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030307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