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255882B1 - 유압실린더 제어를 이용한 스웨이 제동용 쉬브 작동 시스템 - Google Patents

유압실린더 제어를 이용한 스웨이 제동용 쉬브 작동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55882B1
KR100255882B1 KR1019980020182A KR19980020182A KR100255882B1 KR 100255882 B1 KR100255882 B1 KR 100255882B1 KR 1019980020182 A KR1019980020182 A KR 1019980020182A KR 19980020182 A KR19980020182 A KR 19980020182A KR 100255882 B1 KR100255882 B1 KR 1002558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ave
hydraulic cylinder
sway
trolley
plc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201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00529A (ko
Inventor
우종식
박영현
김현홍
차주용
배경수
Original Assignee
추호석
대우중공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추호석, 대우중공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추호석
Priority to KR10199800201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55882B1/ko
Publication of KR200000005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05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558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55882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3/00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13/18Control systems or devices
    • B66C13/48Automatic control of crane drives for producing a single or repeated working cycle; Programme contr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1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 B66C1/101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for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3/00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13/18Control systems or devices
    • B66C13/40Applications of devices for transmitting control pulses; Applications of remote control devices
    • B66C13/42Hydraulic transmit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3/00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13/18Control systems or devices
    • B66C13/50Applications of limit circuits or of limit-switch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ntrol And Safety Of Cranes (AREA)
  • Carriers, Traveling Bodies, And Overhead Traveling C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컨테이너를 지지하고 있는 트롤리의 쉬브를 적절히 제어하여 로프 하강의 입사각을 조절하여 신속하게 스웨이를 방지하는 유압실린더 제어를 이용한 스웨이 제동용 쉬브 작동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트롤리(1)의 양측에는 쉬브(2)가 설치되며 각각의 쉬브(2)는 유압실린더(5)에 의해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유압실린더(5)에는 리니어 볼티지 디퍼렌설 트랜스미터가 내장되어 유압실린더의 이동거리를 감지하여 신호를 PLC로 보내며, 쉬브(2)의 중심축의 양단에는 치차휠(6)이 설치되고 치차휠(6)은 트롤리의 치차레일(7)에 맞물려 있고 치차레일(7)의 내측에는 일정간격을 두고 2개의 리미트 스위치(8)가 설치되며 리미트 스위치(8)는 쉬브(2)가 유압실린더(5)에 의해서 이동되어 접촉하게 되면 비상정지 신호를 PLC로 보내고 PLC(9)는 리미트 스위치(8)로부터 신호를 받으며 콘트롤 로직을 통해 비례제어밸브(30)로 신호를 보내고 각각의 비례제어밸브(30)는 유압실린더(5)에 제어용 유압을보내고 유압실린더(5)의 작동에 따라 스웨이 앵글 센서가 스웨이 앵글을 검출하여 PLC(9)로 보내게 구성된다.

Description

유압실린더 제어를 이용한 스웨이 제동용 쉬브 작동 시스템
본 발명은 컨테이너를 지지하고 있는 트롤리의 쉬브(Sheave)를 적절히 제어하여 로프 하강(Rope Fall)의 입사각을 조절하여 신속하게 스웨이(Sway)를 방지하는 유압실린더 제어를 이용한 스웨이 제동용 쉬브 작동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항만에 운행중인 컨테이너 크레인의 헤드블록(Head Block) 및 스프레더(Spreader)는 트롤리 주행 후 목표지점에 이르렀을 때 흔들림(Sway)이 발생되어 작업지연을 초래한다.
이러한 흔들림을 제어하는 것은 크레인의 작업능률 향상을 위해 컨테이너 이동을 자동화시키는 방안인 데, 기존에는 전동모터에 의한 트롤리 위치제어만을 수행하고 있어 목표지점에서 헤드블록 또는 스프레더 흔들림 미세조정시 트롤 리가 계속 움직이므로 인하여 목표지점을 포착하기 어렵다.
종래의 안티 스웨이 시스템은 전동모터, PLC, 고정 쉬브(Fixed Sheave)로 구성되고, 헤드블록의 진자운동을 영상으로 감지하고 트롤리 구동용 전동모터를 제어하여 스웨이를 제동하므로, 목표지점 근처에서 헤드블록의 적은 동작에도 트롤 리가 움직이므로 낙하장소를 포착하기 어렵고 이로 인하여 시간지연을 초래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러한 흔들림을 신속히 제동하여 작업능률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컨테이너를 지지하고 있는 트롤리의 쉬브를 유압실린더로 적절히 제어하여 스웨이를 방지하고 컨테이너선의 셀가이드 내부 작업시에는 입사각을 줄여 와이어 로프의 파손을 방지하여 안정성 및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유압실린더 제어를 이용한 스웨이 제동용 쉬브 작동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의 쉬브 작동 시스템이 적용되는 메인 호스트 메카니즘을 도시하는 도면
도2는 본 발명의 쉬브 작동 시스템이 적용되는 트롤리 트레블 메카니즘을 도시하는 도면
도3은 본 발명의 쉬브 작동 시스템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4은 본 발명의 유압실린더 제어를 이용한 스웨이 제동용 쉬브 작동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하는 평면도
도5는 도3의 A 부분 확대도
도6는 본 발명의 쉬브 작동 시스템의 세부 구성도
도7은 본 발명의 쉬브 작동 시스템의 작동 모드를 도시하는 플로우챠트
<도면의 부호에 대한 설명>
1: 트롤리 2: 쉬브 3: 와이어 로프
4:헤드블록 5: 유압실린더 6: 치차휠
7: 치차레일 8:리미트 스위치 9:PLC
30: 비레제어밸브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컨테이너 선적 및 하역에 사용되는 운반기계의 일종인 레일 마운티드 키사이드 컨테이너(Rail Mounted Quay Side Crane)은 동작 목적에 따라 도1에 도시된 메인 호이스트 메카니즘(Main Hoist Mechanism)(10), 도2에 도시된 트롤리 트레블 메카니즘(Trolley Travel Mechanism)(20), 붐 호이스 메카니즘(Boom Hoist Mechanism), 캔트리 트레블 메카니즘(Gantry Travel Mechanism)으로 나뉜다. 여기서 본 발명의 흔들림 방지장치(Anti-Sway device)와 관련있는 것은 메인 호이스트 메카니즘과 트롤리 트레블 메카니즘이다.
메인 호이스트 메카니즘(10)은 컨테이너를 들어올리거니 내리는 기능을 하는 장치로 이에는 전동모터, 기어박스, 메인 호이스트 드럼(11)으로 구성되는 동력발생부와 이 동력을 와이어 로프(12)를 통하여 헤드블록(13)까지 전달하는 장치를 일컬으며, 헤드블록(13)은 트롤리(14)의 쉬브(15)로부터 연장된 와이어 로프(12)에 매달려있고 헤드블록(13)에는 앵글 센서(16)가 설치되어 있다.
와이어 로프(12)의 신축에 의하여 헤드블록(13)이 경사진 방향에 따라서 트림(Trim), 리스트(List) 및 스큐(Skew)라 부른다.
트롤리 메카니즘(20)은 컨테이너를 매단 메인 호이스트 로프(21)를 지지하고 있는 트롤리(22)를 붐 끝에서 거더까지 움직여주는 장치로 이에는 전동모터, 기어박스, 트롤리 트레블 드럼(23)으로 구성되는 동력발생부와 이 동력을 와이어 로프(21)로 트롤리(22)에 전달하는 장치를 일컬는다.
호이스트 로프(21)는 린 어저스트 시스템(24)에 의해서 인장상태가 유지되며, 호이스트 로프(21)의 진자운동을 멈추게 하는 제어를 안티 스웨이(Anti-Sway)라 한다.
린 어저스트 시스템(Lean Adjust System)은 메인 호이스트 드럼에서 헤드블록까지 연결된 와이어 로프를 제어신호에 의하여 잡아당기거나 풀어주는 장치로 이 행위로 말미암아 헤드블록의 트림, 리스트 및 스큐를 교정하게 된다.
안티 스웨이 시스템은 메인 호이스트 로프가 트롤리에 안내되어 헤드블록에 인도되는데 트롤리가 움직이고 정지함에 따라 헤드블록은 흔들리게 된다. 이 흔들림을 정지시키기 위한 장치이다.
본 발명의 유압실린더 제어를 이용한 스웨이 제동용 쉬브 작동 시스템은 리니어 볼티지 디퍼렌설 트랜스미터(LVDT) 내장용 유압실린더, 비례제어밸브, 스웨이 앵글 센서, PLC 및 이동 쉬브(Moveable Sheave)로 구성되어 스웨이가 헤드블록에 설치된 2개의 XY 2축 각도 스웨이 앵글 센서에 의하여 감지하며, 트롤리 구동용 전동모터 및 이동 쉬브로 스웨이를 제동하여 흔들림이 많은 목표지점 근처까지는 전동모터에 의하여 스웨이를 잡고, 흔들림이 적은 목표지점에 이르러서는 이동 쉬브를 제어하여 제동하게 작동된다.
도3에는 본 발명의 쉬브 작동 시스템이 도시되는데, 트롤리(1)에는 쉬브(2)가 설치되고 와이어 로프(3)는 쉬브(2)로부터 연장하여 헤드블록(4)을 매달고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헤드블록(4)에는 2개의 스웨이 앵글 센서가 설치되어 있다.
도4에는 본 발명의 유압실린더 제어를 이용한 스웨이 제동용 쉬브 작동 시스템의 구성이 평면도로서 도시되는데, 트롤리(1)의 양측에는 쉬브(2)가 설치되며, 도5를 참조하면 쉬브(2)는 유압실린더(5)에 의해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유압실린더(5)에는 리니어 볼티지 디퍼렌설 트랜스미터가 내장되어 유압실린더의 이동거리를 감지하여 신호를 PLC로 보낸다.
쉬브(2)의 중심축의 양단에는 치차휠(6)이 설치되고 치차휠(6)은 트롤리의 치차레일(7)에 맞물려 있다. 한편 치차레일(7)의 내측에는 일정간격을 두고 2개의 리미트 스위치(8)가 설치된다. 리미트 스위치(8)는 쉬브(2)가 유압실린더(5)에 의해서 이동되어 접촉하게 되면 비상정지 신호를 PLC로 보낸다.
도6에는 본 발명의 쉬브 작동 시스템의 세부 구성도가 도시되는데, PLC(9)는 8개의 리미트 스위치(8)로부터 신호를 받으며 콘트롤 로직을 통해 비례제어밸브(30)로 신호를 보낸다. 각각의 비례제어밸브(30)는 유압실린더(5)에 제어용 유압을 보내고 유압실린더(5)의 작동에 따라 스웨이 앵글 센서가 스웨이 앵글을 검출하여 PLC(9)로 보낸다.
본 발명의 쉬브 작동 시스템은 목표지점 근처에서 쉬브 구동 시스템을 제어하여 컨테이너를 하강시킨다. 트롤리의 컨테이너 지지용 쉬브(2)가 유압실린더(5)에 의해서 치차휠(6)과 치차레일(7)의 경로(Path)를 따라서 움직일 수 있는 메커니즘을 지닌다. 트롤리 이동 제어는 목표지점에서 스웨이 앵글(Sway Angle) 10도 이상만 트롤리 구동모터에 의하여 제어하고, 스웨이 앵글 10도 이하가 되면 자동적으로 쉬브 작동 시스템이 작동하여 스웨이를 제동한다. 그리고 스프레더 착상시에도 본 발명의 시스템을 미조정하여 진동요소를 제거한다.
도7에는 본 발명의 쉬브 작동 시스템의 작동 모드가 도시되는데, 본 발명의 작동 모드는 완전자동, 수동 및 반자동 모드로 설정될 수 있다.
작업자가 콘솔에서 작업모드를 설정하면 완전자동 모드는 Mode 1, 수동모드는 Mode 2, 반자동 모드는 Mode 3 로 진행된다.
완전자동 모드에서는 먼저 유압실린더의 이동거리와 스웨이 앵글을 검출하고 스웨이 앵글이 10 도 이상이면 전동모터를 제어하고, 10도 미만이면 유압실린더를 제어한다. 그 후 비상정지 신호가 접수되지 않거나 스웨이 앵글이 0.4 보다 크면 상기 단계를 반복한다. 만약 비상정지 신호가 접수되거나 스웨이 앵글이 0.4도 이하이면 작동을 종료한다.
수동모드에서는 유압실린더의 이동거리와 스웨이 앵글을 검출하고 수동으로 조작한 후 작동을 종료한다.
반자동 모드에서는 유압실린더의 이동거리와 스웨이 앵글을 검출하고 유압실린더를 제어하며 비상정지 신호가 접수되지 않거나 스웨이 앵글이 0.4 보다 크면 상기 단계를 반복한다. 만약 비상정지 신호가 접수되거나 스웨이 앵글이 0.4도 이하이면 작동을 종료한다.
본 발명의 유압실린더 제어를 이용한 스웨이 제동용 쉬브 작동 시스템에 따르면 크레인 생산성 증대 및 선내 작업시 안정성이 확보되는 효과가 얻어진다.

Claims (2)

  1. 트롤리(1)에는 쉬브(2)가 설치되고 와이어 로프(3)는 쉬브(2)로부터 연장하여 헤드블록(4)을 매달고 있는 컨테이너 크레인에 있어서,
    트롤리(1)의 양측에는 쉬브(2)가 설치되며 각각의 쉬브(2)는 유압실린더(5)에 의해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유압실린더(5)에는 리니어 볼티지 디퍼렌설 트랜스미터가 내장되어 유압실린더의 이동거리를 감지하여 신호를 PLC로 보내며, 쉬브(2)의 중심축의 양단에는 치차휠(6)이 설치되고 치차휠(6)은 트롤리의 치차레일(7)에 맞물려 있고 치차레일(7)의 내측에는 일정간격을 두고 2개의 리미트 스위치(8)가 설치되며 리미트 스위치(8)는 쉬브(2)가 유압실린더(5)에 의해서 이동되어 접촉하게 되면 비상정지 신호를 PLC로 보내고 PLC(9)는 리미트 스위치(8)로부터 신호를 받으며 콘트롤 로직을 통해 비례제어밸브(30)로 신호를 보내고 각각의 비례제어밸브(30)는 유압실린더(5)에 제어용 유압을 보내고 유압실린더(5)의 작동에 따라 스웨이 앵글 센서가 스웨이 앵글을 검출하여 PLC(9)로 보내게 구성된 유압실린더 제어를 이용한 스웨이 제동용 쉬브 작동 시스템.
  2. 트롤리 이동 제어는 목표지점에서 스웨이 앵글 10도 이상만 트롤리 구동모터에 의하여 제어하고, 스웨이 앵글 10도 이하가 되면 자동적으로 쉬브 작동 시스템이 작동하여 스웨이를 제동하며, 스프레더 착상시에도 미조정하여 진동요소를 제거하는 유압실린더 제어를 이용한 스웨이 제동용 쉬브 작동 시스템.
KR1019980020182A 1998-06-01 1998-06-01 유압실린더 제어를 이용한 스웨이 제동용 쉬브 작동 시스템 Expired - Fee Related KR1002558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20182A KR100255882B1 (ko) 1998-06-01 1998-06-01 유압실린더 제어를 이용한 스웨이 제동용 쉬브 작동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20182A KR100255882B1 (ko) 1998-06-01 1998-06-01 유압실린더 제어를 이용한 스웨이 제동용 쉬브 작동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0529A KR20000000529A (ko) 2000-01-15
KR100255882B1 true KR100255882B1 (ko) 2000-05-01

Family

ID=195380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20182A Expired - Fee Related KR100255882B1 (ko) 1998-06-01 1998-06-01 유압실린더 제어를 이용한 스웨이 제동용 쉬브 작동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5588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68219B1 (ko) * 2004-10-01 2006-04-05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KR101112156B1 (ko) * 2010-04-08 2012-02-22 한국과학기술원 다단 트롤리 컨테이너 크레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0529A (ko) 2000-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50486B1 (en) Integrated balanced wire rope reeving system for cargo container handling cranes
US3653518A (en) Stabilized reeving for cranes
US3945503A (en) Crane with a variable center rope suspension system
US3707922A (en) Self-propelled vehicle system for use in transfer of materials
EP0841296A1 (en) Container crane
KR20070086913A (ko) 엘리베이터 장치
EP1953107B1 (en) Brake system for elevator
US3825128A (en) Sway-arrest system
CN113184725A (zh) 一种折臂伸缩式半主动补偿起重机
KR100255882B1 (ko) 유압실린더 제어를 이용한 스웨이 제동용 쉬브 작동 시스템
JPH03172418A (ja) 浮遊浚渫装置
JP2014189389A (ja) クレーンとその制御方法
JPH10265171A (ja) 吊荷の振れ止め制御装置
JP2004161469A (ja) クレーン
KR970003507B1 (ko) 콘테이너 크레인의 안티 스웨이 시스템
JPH06255982A (ja) 吊荷の振れ止め装置
KR100567466B1 (ko) 컨테이너 흔들림 제어장치
JP7542412B2 (ja) クレーン装置、揺動制御方法及び揺動制御プログラム
JP3249352B2 (ja) マントロリー装置
SU885143A1 (ru) Грузоподъемный кран
JPS5817029Y2 (ja) 吊荷の振れ止め装置
JPH10279276A (ja) クレーンにおける吊り物の振れ止め停止装置
KR200301286Y1 (ko) 화물흔들림방지장치
CN206345611U (zh) 船用封舱盖起吊机
KR200145925Y1 (ko) 콘테이너 크레인용 트롤리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R17-X000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7-oth-X000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218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060218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060218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