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255425B1 - 선박이 추진되는 동안의 조파 에너지 흡수기 - Google Patents

선박이 추진되는 동안의 조파 에너지 흡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55425B1
KR100255425B1 KR1019930700251A KR930700251A KR100255425B1 KR 100255425 B1 KR100255425 B1 KR 100255425B1 KR 1019930700251 A KR1019930700251 A KR 1019930700251A KR 930700251 A KR930700251 A KR 930700251A KR 100255425 B1 KR100255425 B1 KR 1002554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w
conductor
energy absorber
legs
outlets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199307002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 엠마뉴엘 페트로마놀라키스
Original Assignee
이. 엠마뉴엘 페트로마놀라키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 엠마뉴엘 페트로마놀라키스 filed Critical 이. 엠마뉴엘 페트로마놀라키스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554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55425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00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 B63B1/32Other means for varying the inherent hydrodynamic characteristics of hulls
    • B63B1/40Other means for varying the inherent hydrodynamic characteristics of hulls by diminishing wave resistan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00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 B63B1/02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deriving lift mainly from water displacement
    • B63B1/04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deriving lift mainly from water displacement with single hull
    • B63B1/06Shape of fore par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70/00Maritime or waterways transport
    • Y02T70/10Measures concerning design or construction of watercraft hul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Other Liquid Machine Or Engine Such As Wave Power Use (AREA)
  • Heat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AREA)
  • Non-Reversible Transmitting Devices (AREA)
  • Vibration Preven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체 역학적인 기술분야에 관한 것이며, 특히 조파 에너지 흡수기 또는 외부 콘덕터의 설치에 관한 것이다. 조파 에너지 흡수기 또는 외부 콘덕터는 필요에 따라서 뱃머리의 앞부분에 설치되고, 뱃머리의 후미로 연장되어 있다. 콘덕터는 선박이 완전한 부하 및 무부하 상태를 고려하여 바닷물 높이의 아래 또는 아래위로 연장된다. 상기한 조파 에너지 흡수기, 즉 외부 콘덕터는 뱃머리의 앞부분에 장착되고, 뱃머리의 후미로 뻗어있는 다리들을 갖추거나 갖추고있지 않으며, 대칭적으로 구성되어 있다. 뱃머리의 앞부분에 위치하는 외부콘덕터, 즉 조파 에너지 흡수기는 일정하거나 또는 나누어지거나 또는 합쳐지는 구간, 또는 이러한 구간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구간의 다리들을 갖추거나 또는 갖추지 않은 콘덕터로서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발명의 명칭]
선박이 추진되는 동안의 조파 에너지 흡수기
[발명의 상세한 설명]
[기술분야]
본 발명은 유체 역학 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흡수기라 불리는 외부 콘덕터의 설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콘덕터(conductor)는 선박의 뱃머리 앞쪽에 위치하여 뱃머리의 후미로 뻗어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 단일 콘덕터 또는 두 부분으로 나누어진 콘덕터로서 사용된다.
[종래 기술]
현재의 해당 기술분야에서 직면하고 있는 문제는 선박의 추진에 관계된 것으로, 조파 에너지(the wave making energy)의 손실이다. 이 손실을 부분적으로 감소시키기 위해서 선박의 전단부에 보울보우스(bolbous) 뱃머리를 설치하거나 또는 선박의 내부에 콘덕터 또는 콘덕터 장치를 설치한다. 콘덕터는 선박의 뱃머리로부터 선박의 측면 또는 후미 단부로 뻗어있다. 그러나, 에너지의 손실을 부분적으로 감소시키기 위한 이러한 방법에 따라 콘덕터의 길이가 길어지기 때문에 마찰력이 상당히 감소하게 되고, 콘덕터들이 선박의 전체 길이를 따라서 뻗어있는 경우에 콘덕터의 부피로 인한 배수량의 감소를 수반하게 된다. 결과적으로, 운반된 부피 또는 배수량의 m3당 추진력(HP/m3)은 증가한다. 즉, 동일한 동력에 대하여 더 적은 운반용량을 갖게될 것이다. 이것은 동일하게 운반된 뱃짐 용량에 대하여 연료용 오일 및 윤활제의 소비가 증가된 것과 같다.
그러나, 보울 보우스(bolbous) 뱃머리는 조파 저항(wave making resistance)을 감소시키지만, 이러한 감소는 본 발명에 따른 조파 에너지 흡수기의 배치에 의해서 얻어지는 감소보다도 상당히 작다.
결론적으로, 종래 기술은 본 발명과 비교하여 볼때 경제적이지 못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조파 에너지 흡수기를 설치함으로써, 추진 저항의 감소로 선체 효율이 향상되며 선박의 배수량이 변함없이 유지된다. 본 발명에 따라 얻은 효율은 종래 기술에 따라 얻은 효율보다 훨씬 크다. 본 발명은 조파 저항을 실질적으로 감소시킨다.
[도면의 간단한 설명]
본원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들이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들에게 명백하게 이해될수 있도록 하기에 기술된다.
제1도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로서 뱃머리에 본 발명에 따른 콘덕터형태의 조파 에너지 흡수기가 설치된 선박의 측면도이다.
제2도는 제1도의 선 A-A를 따라 도시한 평면도이다.
제3도는 제1도의 선 B-B 를 따라 도시한 정면도이다.
제4도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로서, 본 발명에 따른 콘덕터형태의 조파에너지 흡수기가 뱃머리에서 선박의 양측면에 뻗어있는 한쌍의 다리로 분할하여 설치된 선박의 측면도이다.
제5도는 제4도의 선 C-C를 따라 도시한 평면도이다.
제6도는 제4도의 선 D-D를 따라 도시한 정면도이다.
첨부된 도면에서 도면번호와 대응하는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명칭은 다음과 같다.
도면번호 1은 선박 또는 선체이고, 2는 조파 에너지 흡수기로 작용하는 뱃머리의 앞부분에 위치한 콘덕터이고, 3은 지지 및 강화 요소들이고, 4는 뱃머리의 양 측면에 뻗어있는 콘덕터(2)의 다리들을 나타낸다.
[발명의 상세한 설명]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르면, 외부 콘덕터(external conductor)는 선박의 뱃머리 앞부분에 장착되어, 선박의 수선(water line) 아래 또는 아래위로 뻗어있다. 본 발명의 조파 에너지 흡수기는 콘덕터(2)로 구성되며, 상기 콘덕터는 조파 에너지의 손실을 근절하거나 또는 줄이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일정한 길이를 갖추고 있다. 바닷물이 하나 이상의 유입구를 통해서 유입되어 하나 이상의 배출구를 통해서 배출되는 경우에, 선박에 의한 파도의 발생이 줄어든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제1도에 측면도로 도시되어 있고, 제1도의 선 A-A 및 선 B-B 를 따라 제2도 및 제3도에 평면도 및 정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제1도에 도시된 측면도에는 콘덕터(2)의 높이 및 선박(1)의 외부면으로부터 콘덕터까지의 거리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라서, 조파 에너지 흡수기로 작용하는 상기 콘덕터는 뱃머리의 후미로 뻗어있고, 적어도 2개의 다리들로 나뉘어 있다. 각각의 다리에는 하나의 배출구가 제공되어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라서, 다리들의 앞부분에 뻗어있는 콘덕터를 생략할 수 있으므로, 바닷물이 선박의 양측면에 뻗어있는 하나 이상의 다리내로 직접 들어가고, 하나 이상의 배출구를 통해서 배출된다.
그러므로, 바다에서 선박이 항해(추진)하는 동안에 파도를 만드는데 따른 에너지의 손실이 완화되고 감소된다. 결과적으로, 선박의 동일한 배수량에 대하여 적은 동력이 필요하게 되고, 뱃짐을 부피 단위로 운반하는 비용이 저렴해진다.
콘덕터 지지요소(3)는 선체(1)상에서 콘덕터(2)를 지지하고, 콘덕터 자체 또는 양 측면에 뻗어있는 다리(4)들은 이러한 배열의 최선의 예상 효율을 얻기 위하여 유체역학적인 형상을 갖추고 있다.
이렇게 하여, 파도 발생의 감소 때문에 선박이 추진하는 동안에 총저항이 감소하게 될 것이며, 파도 발생의 감소에 상응하는 추진력을 더 얻게 될 것이다. 동일한 선박의 배수량 및 속도에 대한 연료용 오일 및 윤활제의 소비가 감소하게 된다. 결국, 파도의 발생을 감소시키므로서, 상기한 바와같이 보다 경제성 있는 운송을 제공할수 있게 된다.
지지요소의 유체 역학적인 형상 뿐만아니라 콘덕터의 유체 역학적인 형상(필요한 경우) 및 크기, 외부 콘덕터의 중앙선으로부터의 거리는 선박의 크기, 설계 또는 순항속도 및 배수량에 의존한다.
단일의 콘덕터, 두개의 다리, 또는 유입 구에서 배출구까지 직선으로 통해 있는 두개의 다리로 나누어진 콘덕터(2)는 선형 또는 만곡된 형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고, 주위로 밀집된 구조를 이룰 것이며, 세로로 한정된 상부면 또는 하부면 들인 부분적인 개구부들을 포함할 것이다. 압력의 균형에 의해서 이루어지는 개구부들, 슬롯들 또는 안내 리브(guide rib)들의 바람직한 수, 형태 및 배열은 유입구 또는 유입구들, 및 배출구 또는 배출구들 사이의 유동 지역에 제공될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선박의 후미로 뻗어있는 다리(4)들 또는 선박의 앞부분에 장착된 콘덕터(2)의 일부분은 선박내로 통합될 것이다. 이것에 의하여 뱃머리의 기하학적인 형태가 적당하게 변경될 것이다. 반면에, 콘덕터 또는 다리들이 뱃머리를 구의 형상으로 만드는 기술에 따라 선체상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한 모든 사실들은 뱃머리가 수직한 선박 뿐만아니라 바람직한 기울기로 경사진 뱃머리를 갖춘 선박 모두에 유용하다. 조파 에너지 흡수기를 바람직하게 장착시키는 본 발명에 따른 배열이 전체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화물이 적재된 선박 및 화물이 적재되지 않은 선박에 동등하게 사용될 수 있 다.
본 발명은 바람직한 형상 또는 크기로 제공될 수 있다.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을 제한하지 않으며, 단순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불과하다.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내에서 이탈하지 않는 다양한 수정 및 변경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철 및 강판 또는 다른 바람직한 형상의 재료들로 구성된다.
이러한 재료들의 치수는 선박의 치수 및 설계 또는 순항 속도에 비례하여 결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콘덕터(Conductor)”라는 말은 원형 구간중의 하나 뿐만아니라 가로 및 세로 구간중의 하나를 의미한다. 이러한 구간은 일정하거나 또는 모아지거나 또는 벌어지는 구간이며, 상기 구간들의 둘 이상의 결합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은 파도의 발생으로 인해 일어나는 에너지 손실을 줄이는데 효과적이다.
“지지물”은 강으로 구성된 물건을 의미하는데, 이것은 상기 뱃머리의 콘덕터(외부, 또는 선체에 부분적으로 통합되어 있음)의 지지물로서 사용되며, 유체 역학적인 형상 또는 그 이외의 형상을 갖춘다.

Claims (12)

  1. 선박이 추진하는 동안의 조파 에너지 흡수기에 있어서, 상기 조파 에너지 흠수기는 외부 콘덕터로 구성되며, 뱃머리의 앞부분에 장착되고, 상기 콘덕터는 하나 이상의 유입구 및 배출구, 및 상기 유입구 및 배출구 사이에 바닷물이 유동할 수 있게 형성되어 있는 통로를 포함하고, 수선(water line)의 높이에, 또는 상기 수선 높이의 아래 또는 아래 위로 뻗어 있으며, 상기 콘덕터의 하나 이상의 유입구를 통해서 유입되어 하나 이상의 배출구를 통해서 배출되는 바닷물이 조파(wave making) 손실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파 에너지 흡수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콘덕터가 뱃머리 선의 후미로 뻗어있고, 2개 이상의 다리로 나뉘어 있으며, 상기 다리 각각에는 바닷물이 유동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유입구 및 배출구가 제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파 에너지 흡수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콘덕터 또는 상기 뱃머리선의 후미에 위치한 2개 이상의 다리가 일정하거나, 벌어지거나 또는 모아지는 구간, 또는 상기 구간들의 둘 이상의 조합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파에너지 흡수기.
  4. 제3항에 있어서, 뱃머리 선의 후미에 세로로 뻗어있는 2이상의 다리를 포함하며, 상기 다리들 각각은 바닷물이 유동하는 하나 이상의 배출구를 포함하고, 상기 바닷물이 상기 뱃머리의 양측면에 뻗어있는 2개 이상의 다리속으로 바로 유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파 에너지 흡수기.
  5. 제1항 내지 제4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유입구로부터 하나 이상의 배출구로 뻗어있는 콘덕터의 길이 전체 또는 일부, 또는 상기 뱃머리 선의 후미로 바로 뻗어있는 2개 이상의 다리의 길이 전체 또는 일부가 상기 콘덕터 및 다리들 주위의 부분 또는 전체를 따라서 세로방향으로 유체 역학적인 형상을 갖추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파 에너지 흡수기.
  6. 제1항 내지 제4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유입구 및 하나 이상의 배출구 사이에 바닷물이 유동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는 상기 통로는 바람직한 수, 형상 및 배열을 갖춘 개구부들, 슬롯들 또는 안내 리브들을 포함하며, 상기 개구부들, 슬롯들 또는 안내 리브들이 압력의 평형에 영향을 끼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파 에너지 흡수기.
  7. 제1항 내지 제4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뱃머리의 앞부분에 장착된 콘덕터 또는 뱃머리의 후미로 뻗어있는 다리들의 일부는 선박내로 통합되고, 이것에 의하여 뱃머리가 적당한 기하학적 형상을 갖추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파 에너지 흡수기.
  8. 제1항 내지 제4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기가 보울보우스 뱃머리를 형성하는 기술에 따라 상기 선박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파 에너지 흡수기.
  9. 제1항 내지 제4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유입구 및 배출구 사이로 바닷물이 유동할 수 있게 형성되어 있는 상기 통로가 직선형 또는 만곡된 형상을 갖추고 있고, 전체 길이에 걸쳐서 주변으로 밀집된 구조를 이루고 있으며, 상기 하나 이상의 유입구 및 배출구가 단일의 콘덕터, 또는 상기 뱃머리의 양 측면에 뻗어있는 상기 다리들을 갖춘 콘덕터에 제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파 에너지 흡수기.
  10. 제1항 내지 제4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유입구 및 배출구 사이로 바닷물이 유동할 수 있게 형성되어 있는 상기 통로가 직선형 또는 만곡된 형상을 갖추고 있고, 상기 통로를 세로로 형성하는 상부면 또는 하부면들에 전체적 또는 부분적으로 개방되어 있으며, 상기 하나 이상의 유입구 및 배출구가 단일의 콘덕터, 또는 상기 뱃머리의 양측면에 뻗어있는 상기 다리들을 갖춘 콘덕터에 제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파 에너지 흡수기.
  11. 제1항 내지 제4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선박이 잔잔한 바다에 위치해 있는 경우에, 상기 조파 에너지 흡수기가 장착되는 상기 선박의 뱃머리선이 수직선에 대하여 평행하거나 또는 바람직한 기울기를 갖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파 에너지 흡수기.
  12. 제1항 내지 제4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필요한 경우에 상기 콘덕터가 지지요소들에 의해서 상기 선박에 장착되며, 상기 지지요소가 물 유동방향에 대하여 유체 역학적인 형상을 갖추거나 또는 갖추고 있지 않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파 에너지 흡수기.
KR1019930700251A 1991-06-10 1992-05-27 선박이 추진되는 동안의 조파 에너지 흡수기 Expired - Fee Related KR10025542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R910100260 1991-06-10
GR91100260 1991-06-10
PCT/GR1992/000005 WO1992022456A1 (en) 1991-06-10 1992-05-27 Wave making energy absorber during vessel's propulsio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55425B1 true KR100255425B1 (ko) 2000-05-01

Family

ID=109407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700251A Expired - Fee Related KR100255425B1 (ko) 1991-06-10 1992-05-27 선박이 추진되는 동안의 조파 에너지 흡수기

Country Status (15)

Country Link
EP (1) EP0549741B1 (ko)
JP (1) JPH06500517A (ko)
KR (1) KR100255425B1 (ko)
CN (1) CN1030757C (ko)
BG (1) BG60355B2 (ko)
BR (1) BR9205299A (ko)
DE (1) DE69210575T2 (ko)
DK (1) DK0549741T3 (ko)
ES (1) ES2089531T3 (ko)
FI (1) FI109778B (ko)
GR (1) GR1000797B (ko)
NO (1) NO930339D0 (ko)
PL (1) PL297836A1 (ko)
RU (1) RU2131374C1 (ko)
WO (1) WO199202245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R1007178B (el) * 1995-02-22 2011-01-31 Πετρομανωλακης Εμμ. Πρωραιος αγωγος σκαφους με διατομην αεροτομης.
US5566634A (en) * 1995-02-22 1996-10-22 Petromanolakis; Emanuel E. Ship's stem duct with airfoil section
DE19538520C2 (de) * 1995-10-07 1997-09-11 Werner Knies Schiff mit geringer Wellenerzeugung
JP2001511550A (ja) 1997-07-25 2001-08-14 アフィメトリッ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プローブアレイチップ設計データベースを提供するための方法よびシステム
RU2188778C2 (ru) * 2000-10-27 2002-09-10 Военно-морская академия им. адмирала флота Советского Союза Н.Г.Кузнецова Нос судна
RU2249531C2 (ru) * 2001-05-14 2005-04-10 Широбоков Юрий Геннадьевич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снижения сопротивления движению корабля или самолета
RU2226476C2 (ru) * 2001-07-04 2004-04-10 Хаптаринов Леонид Александрович Устройство "лео", ускоряющее передвижение подводного средства
RU2238873C2 (ru) * 2002-12-24 2004-10-27 Военно-морская академия им. Адмирала Флота Советского Союза Н.Г. Кузнецова Нос судна
RU2336193C1 (ru) * 2007-03-13 2008-10-20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шего профессионального образования Военно-морская академия имени Адмирала Флота Советского Союза Н.Г. КУЗНЕЦОВА Нос судна
DE102008006479A1 (de) 2008-01-29 2009-07-30 Lieke, Michael, Dr. Auftriebsvorrichtungen für Wasserfahrzeuge zur Minimierung des Wasserwiderstandes während der Fahrt
BRPI1105093A2 (pt) * 2011-01-20 2015-09-08 Mauro Guimarães dispositivo de força motriz ou tomada de força para embarcações, acionado pelo fluxo de água gerado em um coletor/condutor incorporado ao casco
GR1007687B (el) 2011-07-18 2012-09-12 Εμμανουηλ Ευαγγελου Πετρομανωλακης Υδροδυναμικος αγωγος διαχειρισης της ροης στην πλωρη του πλοιου
GR20120100643A (el) * 2012-12-12 2014-07-18 Εμμανουηλ Ευαγγελου Πετρομανωλακης Πλοιο εφοδιασμενο με πρωραιο υδροδυναμικο αγωγο διαχειρισης της ροης
CN103770901A (zh) * 2014-01-14 2014-05-07 李晓亮 多压式船舶
CN105197179B (zh) * 2015-10-29 2017-10-13 上海交通大学 一种用于低速肥大型船的垂直艏和前缘引流组合减阻结构
CN106080955A (zh) * 2015-12-31 2016-11-09 李浩昌 消除兴波阻力的客货超高速船和超高速作战舰艇
DE102016012672A1 (de) 2016-10-24 2018-04-26 Herbert Trenner Reduzierung des Treibstoffverbrauches/Energieverbrauches von Wasserfahrzeugen durch das Anbringen/Befestigen/Montieren/ von zusätzlichen Konstruktionselementen
GR20190100102A (el) 2019-02-28 2020-09-16 Εμμανουηλ Ευαγγελου Πετρομανωλακης Πλoιο εφοδιασμενο με πρωραιο υδροδυναμικο αγωγο διαχειρισης της ροης με οριζοντιο πτερυγιο διαχειρισης κυματος επιφανειας
CN110040213B (zh) * 2019-04-15 2021-10-08 深圳市山年科技有限公司 一种流体分流减阻器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1017897A (fr) * 1949-10-03 1952-12-19 Eisengiesserei Wehinger & Co M Turbine comportant plusieurs couronnes à aubes emboîtées l'une dans l'autre
DE927256C (de) * 1950-02-07 1955-05-02 Erich Grund Wellenschluckeranlage
DE3224390A1 (de) * 1982-06-30 1984-01-05 Blohm + Voss Ag, 2000 Hamburg Bugwulst fuer schiffe
JPS5967191A (ja) * 1982-10-09 1984-04-16 Murakami Sosenjo:Kk 船舶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9210575T2 (de) 1996-11-28
FI109778B (fi) 2002-10-15
NO930339L (no) 1993-02-01
FI930558A0 (fi) 1993-02-09
WO1992022456A1 (en) 1992-12-23
RU2131374C1 (ru) 1999-06-10
DK0549741T3 (da) 1996-09-16
GR1000797B (el) 1993-01-25
CN1067624A (zh) 1993-01-06
DE69210575D1 (de) 1996-06-13
BR9205299A (pt) 1994-03-22
BG60355B2 (bg) 1994-11-30
CN1030757C (zh) 1996-01-24
JPH06500517A (ja) 1994-01-20
PL297836A1 (en) 1993-07-26
EP0549741A1 (en) 1993-07-07
FI930558L (fi) 1993-02-09
NO930339D0 (no) 1993-02-01
EP0549741B1 (en) 1996-05-08
ES2089531T3 (es) 1996-10-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55425B1 (ko) 선박이 추진되는 동안의 조파 에너지 흡수기
US6789491B2 (en) Friction reducing ship and method for reducing frictional resistance
US9862459B2 (en) Air lubrication system and vessel comprising such a system
FI68694C (fi) Oljebekaempningsfartyg
RU97104001A (ru) Глиссер
US6748891B2 (en) Frictional resistance reducing method, and ship with reduced frictional resistance
KR950011771A (ko) 방파제 케이슨
CA2022368C (en) Wave making resistance suppressing means in ship and ship provided therewith
AU2022203357B2 (en) Inflatable motor boat
EP2331391A1 (en) Hull form intended for vessels provided with an air cavity
US4899679A (en) Keel structure
US6338307B1 (en) Open passage water ballast twin hull apparatus
US5317982A (en) Ship
CN107585257B (zh) 一种千吨级散货船船型
US3366087A (en) Anti-pitch systems
KR100974537B1 (ko) 선박의 트랜섬 선미구조
US7281480B2 (en) Frictionally reduced hull
JP2008528375A (ja) 船首
RU2238879C2 (ru) Судно на подводных крыльях
AU663119B2 (en) Wave making energy absorber during vessel's propulsion
JP3077032B1 (ja) エアクッション船
US3165085A (en) Passive stabilizer system for a boat and the like
BG60357B2 (bg) Метод за извличане на олефинови нитрили
HK1213533B (en) Air lubrication system and vessel comprising such a system
KR20120060610A (ko) 선박의 인터셉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5-nap-PA0105

R17-X000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7-oth-X000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T11-X000 Administrative time limit extens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U-3-3-T10-T11-oth-X000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2-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224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050215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050215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