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254657B1 - 파력 발전 방법 및 그 장치 - Google Patents

파력 발전 방법 및 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54657B1
KR100254657B1 KR1019960011790A KR19960011790A KR100254657B1 KR 100254657 B1 KR100254657 B1 KR 100254657B1 KR 1019960011790 A KR1019960011790 A KR 1019960011790A KR 19960011790 A KR19960011790 A KR 19960011790A KR 100254657 B1 KR100254657 B1 KR 1002546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ure fluid
frame
power generation
barge
wav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117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70546A (ko
Inventor
심현진
Original Assignee
심현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심현진 filed Critical 심현진
Priority to KR10199600117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54657B1/ko
Priority to GB9619566A priority patent/GB2312253B/en
Priority to GB9828828A priority patent/GB2331333B/en
Priority to US08/710,848 priority patent/US5854516A/en
Priority to AU65794/96A priority patent/AU704096B2/en
Priority to CA002186397A priority patent/CA2186397C/en
Priority to NZ299450A priority patent/NZ299450A/xx
Priority to RU96120070/06A priority patent/RU2146774C1/ru
Priority to NO964145A priority patent/NO964145L/no
Priority to ZA968198A priority patent/ZA968198B/xx
Priority to ARP960104708A priority patent/AR003860A1/es
Publication of KR9700705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705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546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54657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B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 F03B13/00Adapt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for special use; Combin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with driving or driven apparatus; Power stations or aggregates
    • F03B13/12Adapt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for special use; Combin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with driving or driven apparatus; Power stations or aggregates characterised by using wave or tide energy
    • F03B13/14Adapt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for special use; Combin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with driving or driven apparatus; Power stations or aggregates characterised by using wave or tide energy using wave energy
    • F03B13/16Adapt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for special use; Combin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with driving or driven apparatus; Power stations or aggregates characterised by using wave or tide energy using wave energy using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a wave-operated member, i.e. a "wom" and another member, i.e. a reaction member or "rem"
    • F03B13/18Adapt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for special use; Combin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with driving or driven apparatus; Power stations or aggregates characterised by using wave or tide energy using wave energy using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a wave-operated member, i.e. a "wom" and another member, i.e. a reaction member or "rem" where the other member, i.e. rem is fixed, at least at one point, with respect to the sea bed or shore
    • F03B13/1805Adapt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for special use; Combin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with driving or driven apparatus; Power stations or aggregates characterised by using wave or tide energy using wave energy using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a wave-operated member, i.e. a "wom" and another member, i.e. a reaction member or "rem" where the other member, i.e. rem is fixed, at least at one point, with respect to the sea bed or shore and the wom is hinged to the rem
    • F03B13/181Adapt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for special use; Combin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with driving or driven apparatus; Power stations or aggregates characterised by using wave or tide energy using wave energy using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a wave-operated member, i.e. a "wom" and another member, i.e. a reaction member or "rem" where the other member, i.e. rem is fixed, at least at one point, with respect to the sea bed or shore and the wom is hinged to the rem for limited rotation
    • F03B13/1815Adapt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for special use; Combin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with driving or driven apparatus; Power stations or aggregates characterised by using wave or tide energy using wave energy using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a wave-operated member, i.e. a "wom" and another member, i.e. a reaction member or "rem" where the other member, i.e. rem is fixed, at least at one point, with respect to the sea bed or shore and the wom is hinged to the rem for limited rotation with an up-and-down move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B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 F03B13/00Adapt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for special use; Combin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with driving or driven apparatus; Power stations or aggregates
    • F03B13/12Adapt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for special use; Combin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with driving or driven apparatus; Power stations or aggregates characterised by using wave or tide energy
    • F03B13/14Adapt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for special use; Combin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with driving or driven apparatus; Power stations or aggregates characterised by using wave or tide energy using wave energ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30Energy from the sea, e.g. using wave energy or salinity gradi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ther Liquid Machine Or Engine Such As Wave Power Use (AREA)
  • Constitution Of High-Frequency Hea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파력발전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으로, 해수중 일정 깊이에 설치되는 프레임 상에 다수개의 부선을 승강 및 선회가능하게 설치하고 파도에 의한 부선의 승강운동을 회전운동으로 전환시키고 이 회전력에 의해 펌프등의 압력유체 발생수단을 가동시키며, 압력유체 발생수단에서 발생된 압력유체를 취합하여 터빈을 가동시키며 터빈에 의하여 발전기를 가동시킴으로써 전기를 발생시키는 것으로, 해상에 설치하는 것이므로 설치장소에 제약을 받지 않으며 에너지의 고갈이나 환경오염의 염려가 없고 기후 조건의 변화에 관계없이 항상 전력을 얻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부선은 파도의 방향에 자동적으로 대응하여 파력을 동력으로 활용하는 데 최적한 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과도한 허용압력이상이 걸리는 경우에는 가버너 스필밸브의 작동에 의하여 압력을 허용치로 유지시켜 안전이 유지된다.

Description

파력 발전 방법 및 그 장치
제1도는 본 발명에 의한 파력 발전 장치의 전체구성을 보인 개략 측면도.
제2도는 본 발명의 프레임 구조를 보인 개략 평면도.
제3도는 본 발명의 선회지지수단의 선회중심을 보인 개략 평면도.
제4도는 본 발명의 부분 확대 평면도.
제5도는 제4도의 "A"부 상세도로서, 부분평면도.
제6도는 본 발명의 프레임 지지수단을 보인 개략도.
제7도는 앵커블럭과 앵커로프의 연결구조를 보인 것으로,
(a)는 앵커블럭의 부분 측면도.
(b)는 앵커블럭의 부분 저면도.
(c)는 앵커프로가 연결된 상태의 프레임의 부분 측면도.
(d)는 앵커프로가 연결된 상태의 프레임의 부분 저면도.
제8도는 본 발명의 선회수단과 승강지지수단 및 부선의 조립상태를 보인 것으로,
(a)는 사시도.
(b)는 측면도.
(c)는 평면도.
제9도는 부선의 작동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a)는 부선과 해수면과의 관계를 보인 측면도.
(b)는 수평파력이 부선을 상승시키는 힘으로 작용하는 것을 보인 개략도.
제10도는 지주부재에 대한 선회지지수단의 상단측 연결구조를 보인 측면도.
제11도는 지주부재에 대한 선회지지수단의 하단측 연결구조를 보인 측단면도.
제12도는 승강지지수단을 보인 것으로,
(a)는 와이어 로프와 연결간 및 부선의 연결구조를 보인 개략 평면도.
(b)는 제12a도의 "B"부 확대도.
(c)는 제12c도의 평면도.
(d)는 제12c도의 평면도.
제13도는 부선과 회전력 발생수단과 일방향 전동수단 및 압력유체발생수단을 보인 것으로,
(a)는 부분 절개 종단정면도.
(b)는 종단측면도.
(c)는 회전력 발생수단과 일방향 전동수단을 보인 단면도.
(d)는 회전드럼에 대한 구동용 와이어 로프의 권취시단부 안전고정구조를 보인 종단측면도.
(e)는 (d)의 xllle - xllle 선 단면도.
제14도는 압력유체 이송수단의 평면배치도.
제15도는 압력유체 이송수단의 취합이송관과 주이송관 및 서지탱크를 보인 것으로,
(a)는 평면도.
(b)는 측단면도.
제16도는 서지탱크의 구조를 보인 것으로,
(a)는 회단면도.
(b)는 (a)의 xvlb - xvlb 선 단면도.
제17도는 본 발명의 가버너 스필 밸브의 구조를 보인 것으로,
(a)는 종단측면도.
(b)는 (a)의 xvllb - xvllb 선 단면도.
(c)는 정면도.
(d)는 밀착수단의 배열을 보인 사시도.
제18도는 발전섹터의 구조와 터빈 및 발전기의 배치구조를 보인 것으로,
(a)는 평면도.
(b)는 종단측면도.
(c)는 종단정면도.
제19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례를 보인 개략 평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프레임 110 : 프레임 주부재
120 : 보강부재 160 : 보조프레임
S1 : 발전섹터 S2 : 압력유체 발생섹터
200 : 프레임 지지수단 210 : 앵커블럭
220 : 앵커로프 250 : 장력조절수단
300 : 선회수단 310 : 지주부재
321, 330 : 회전링부재 323 : 암부재
400 : 승강지지수단 410 : 와이어 로프
420 : 연결간 423 : 상하굴절부
500 : 부선(艀船) 520 : 드럼캐이싱
600 : 회전력 발생수단 610 : 회전드럼
620 : 구동용 와이어 로프 630 : 회전탄성부재
640 : 안전연결수단 641 : 홈
642 : 안전핀 700 : 압력유체 발생수단
800 : 일방향 전동수단 810 : 전동축
820 : 일방향 클러치 830 : 구동스프로킷
840 : 종동스프로킷 850 : 체인
900 : 압력유체 이송수단 910 : 압력유체 이송호스
982 : 고정활차 983 : 로프
984 : 중량추 985, 986 : 방향전환활차
T : 터빈 G : 발전기
본 발명은 파력 발전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파도의 진행 방향에 무관하게 유효한 전력을 얻을 수 있으며, 파력에 의하여 플로트가 파손되거나 유실되는 일이 없도록 한 파력 발전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근래 에너지 문제는 여러 가지 면에서 국제적인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그 중의 하나는 화석에너지의 사용에 따른 대기오염을 들 수 있으며, 다른 하나는 화석에너지의 고갈을 들 수 있다.
따라서 어떠한 문제에 비추어 보더라도 대체 에너지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며, 이러한 대체 에너지로서는 상기한 두가지 문제점을 배제할 수 있는 것이어야 함은 두말할 나위도 없는 것이다.
예로부터 전력을 얻는 방법으로서 수력 발전이 있으나, 이를 위해서는 넓은 지역을 수몰시켜야 하므로 국토의 감소를 초래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또한 풍력을 이용한 발전설비도 사용되어 왔으나, 이는 충분한 전력을 얻기 위하여 강한 바람을 필요로하는 것으로 평상시 충분한 전력을 공급할 수 없는 것이었다.
한편, 현재 개발되어 이용되고 있는 화석에너지의 대체 에너지로서는 원자력 에너지가 그 주종을 이루고 있으나, 이 또한 핵 폐기물의 처리와 방사능 유출로 인한 폐해가 국제 사회에서 커다란 문제점으로 논란의 대상이 되고 있으며, 국내에서도 지역이기주의 내지는 원자력발전의 안정성에 대한 불신퐁조로 원자력 발전시설이나 핵 폐기물 재처리시설을 마련하기 위한 장소를 선정하는 데 많은 어려움이 있는 실정이다.
또한 이러한 문제점을 배제한 소위 무공해 에너지로서 태양열 에너지를 이용하는 기술이 활발히 연구개발되고 있으며, 대기권밖에서는 어느 정도 유효한 전력을 얻을 수 있어 우주정거장이나 인공위성등에서는 활용되고 있으나, 대기권내에서는 기후에 따라 일조량의 변동이 매우 심하고 대기오염으로 인하여 충분한 양의 태양광선을 얻기가 어려워 효율성이 높지 않으므로 가정용 난방시설 정도에 국한되어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조수간만의 차를 이용한 조력 발전방법이 개발되고 있으나 이 또한 조수간만의 차이가 큰 장소에만 국한되는 것일 뿐만 아니라 수요를 충족하는 데는 제약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실정을 감안하여 파도의 힘을 이용하는 파력 발전 방법이 개발되고 있으며, 그 일례로서 본 발명자가 창안한 대한민국 특허 제35,913호(해당미국특허 제5,066,867호)가 있다.
이 특허의 방법은 해상에 부상시킨 부선이 파도의 진행에 따라 반복적으로 승강되는 힘을 체인과 스프로킷에 의하여 회전력으로 변환시키고 이 회전력을 이용하여 발전기를 구동시키는 것이었다.
이러한 파력 발전방법은, 심해에서의 파도는 잔잔하다고 간주하는 경우에도 1m이상의 파고를 가지는 것이므로 항시 전력을 얻어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지표면의 78%를 차지하는 해양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설치장소 선정에 거의 제약을 받지 않게 되며, 지상에 설치됨에 따른 지표면의 감소를 초래하던 종래의 발전방법과 비교하여 오히려 지표면의 확장효과를 가져오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에서는 부선을 해상에 설치된 프레임 상의 회전지주 상단에 고정된 고정 와이어 로프의 끝단에 그 저면 중심부분을 고정함과 아울러 그 저면 중심부분에 일단이 고정된 가동 와이어를 발전기를 회전구동하는 체인의 끝단에 연결하고, 체인의 타단에는 중량추를 고정하여 부선이 파도에 의하여 부상할 때는 가동 와이어 로프에 연결된 체인이 상향 주행하고, 부선이 하강할 때는 중량추의 중량에 의하여 체인이 하향 주행하게 되며, 체인이 상향 주행할 때는 일방향 클러치에 의하여 발전기 축이 회전되고 체인이 하향 주행할 때는 일방향 클러치에 의하여 발전기 축이 회전되고 체인이 하향 주행할 때는 일방향 클러치에 의하여 발전기 축이 회전되지 않게되는 작동에 의하여 발전기를 단속(斷續)적으로 구동시키는 것이므로 실질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양질의 전력을 대량으로 얻는 데는 제약이 뒤따랐다.
또한 이러한 장치에서 파도의 진행방향이 고정 와이어 로프쪽에서 부선쪽을 향하여 진행되면서 부선이 고정 와이어 로프쪽에서 위로 들리도록 하는 것이 이상적이다. 그러나, 회전지주의 상단이 해수중에서 깊이 들어간 상태로 설치될 뿐만 아니라, 회전지주의 상단에 고정된 고정 와이어 끝단에 부선의 저면 중심부가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파도가 강하게 진행될 경우에는 부선이 45°이상으로 세워지면서 파력이 부선의 저면에 전면적(全面的)으로 작용하게 되는 등 부선에 매우 강한 힘이 걸리게 된다. 따라서 부선이 고정 와이어 로프로부터 이탈되거나 고정 와이어 로프가 절단될 염려가 있으며, 또한 이 강한 힘이 회전지주와 이를 통하여 프레임에 전달되어 장치 전체가 파손될 우려를 안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는 고정 와이어 로프와 가동 와이어 프로의 끝단이 부선의 저면 중심부에 고정되어 있으며, 회전지주의 상단이 해수면 하부에 위치하기 때문에 파도가 고정 와이어 로프쪽에서 부선쪽으로 진행되는 경우에도 부선의 파도에 대면하는 쪽이 크게 들어올려지기가 쉽고, 파도에 대면하는 쪽이 들리게 되면 파력은 부선을 상승시키려는 힘보다 수평방향의 힘이 더 강하게 나타나게 되므로 발전기 구동에 필요한 힘보다는 부선을 수평방향으로 밀쳐내려는 힘이 더욱 강하게 되기 때문이다.
또 파도의 진행 방향이 와이어 로프로부터 부선을 향하는 경우에는 상술한 발전작용이 발생되지만 파도의 진행 방향이 전환되어 부선의 측방이나 전방으로부터 와이어 로프를 향하는 경우에는 부선이 이에 자동적으로 대응하지 못하게 되어 와이어 로프가 휘어지면서 발전기를 회전시키지 못하게 되는 것이어서 발전효율이 더욱 저하되는 것이었다.
더욱이 부선을 지지하고 있는 고정 와이어 로프와 중량추가 고정된 가동 와이어 프로가 서로 엉키기 쉬어 발전이 이루어지지 않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위와 같은 발전수단은 프레임에 설치되며, 이 프레임에는 발전된 전력을 변전 및 송전하는 시설과 발전시설의 관리 및 보수유지 등 각종 업무를 수행하는 상주원들의 사무실 및 숙소등의 시설물이 설치되어야 하는 바, 프레임 전체가 해저면에 고정된 앵커블럭에 연결된 와이어에 연결되어 파도의 진행 방향에 따라 표류하면서 상술한 발전 작용을 일으키도록 하는 것이므로 파도가 강할 경우에는 프레임 전체가 심하게 흔들리면서 그 전체가 유실되거나 프레임 상에 설치된 프레임 상에 설치된 시설물이 파손되는 등의 사고가 발생되는 염려가 있다.
또한 발전기나 이에 회전력을 부여하는 장치등의 해저 10m이상에는 설치되는 것이므로 이들을 보수, 유지하는 데 큰 어려움이 있는 것이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파력에 의한 부선의 승강작동에 의하여 발생되는 동력으로 각 부선에 대응하여 설치되는 액체펌프나 공기펌프 등의 압력유체 발생수단을 구동시키고, 각 압력유체 발생수단에서 얻어지는 압력유체를 취합하여 그 취합된 압력유체에 의하여 발전기의 터빈을 가동시킴으로써 항상 일정한 전력을 얻을 수 있도록 함으로써 발전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한 파력 발전 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파도의 진행 방향이 전환되더라도 부선이 파도의 진행 방향에 따라 자동적으로 대응하여 파력을 부선의 승강작동으로 전환시키는 데 최적한 상태로 유지되도록 함으로써 파력을 발전에 필요한 동력으로 전환하는데 효율적이며, 부선의 훼손이나 유실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부선을 지지하는 와이어 로프등이 서로 엉키는 일이 없어 항상 원활한 발전이 이루어지도록 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부선에 의하여 구동되는 압력유체 발생수단에 의해 발생되는 압력유체의 압력이 설정치 이상으로 상승된 경우 터빈과 관로 등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부선의 승강운동을 회전력으로 전환시키는 회전력 발생 수단과 이 회전력 발생수단에 의하여 가동되어 압력유체를 발생시키는 압력유체 발생수단을 항상 해수면상에 부유하는 부선상에 설치함으로써 이들의 유지, 보수가 매우 간편하게 되도록 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설치장소의 년중 기후조건을 감안하여 설정되는 최대 파고 이상의 파고를 가지는 파도가 치는 경우에 시설물들이 파손되는 일이 없도록 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들은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드러나게 될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해수중에 설치된 격자상 프레임상에 설치된 다수개의 지주부재에 연결되어 해수면상에 위치한 다수개의 부선이 파도에 의하여 승강작동하는 단계와; 각 부선의 승강운동을 회전운동으로 변환시키는 단계와; 이 회전운동에 의하여 각 부선에 설치된 압력유체 발생수단을 작동시키는 단계와; 이 압력유체 발생수단 작동단계에서 발생되는 압력유체를 주이송관으로 이송함과 아울러 압력유체의 압력이 설정치 이상으로 되었을 때 가버너 스필 밸브가 자동적으로 열려 압력을 강하시키고 다시 압력유체의 압력이 설정치 이하로 되면 가버너 스필 밸브가 자동적으로 닫혀 정상적인 이송이 이루어지도록 하며, 이송경로중에 설치된 서지탱크에 의하여 압력유체의 맥동현상의 완화되도록 하는 단계와; 상기 주이송관으로 이송된 압력유체를 이용하여 터빈을 작동시키는 단계와; 터빈에 연동되는 발전기를 작동시켜 전력을 발생시키는 단계;로 구성되는 파력 발전 방법이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해상에 일정한 범위내에서 해저 일정한 깊이에 설치되며 중앙의 발전섹터와 이 발전섹터를 중심으로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는 다수개의 압력유체발생섹터를 가지며, 일부는 내부에 압축공기가 주입되어 부력을 가지고 다른 일부는 압력유체의 이송을 위한 파이프라인으로 이용되는 프레임과; 이 프레임을 해상에 유동가능하게 지지하는 프레임 지지수단과; 상기 프레임의 압력유체발생섹터에 각각 설치되어 그 상단 일부가 해수면상으로 돌출되는 다수개의 선회수단과; 이 선회수단의 상단에 연결되는 승강지지수단과; 상기 각 승강지지수단의 선단에 연결되어 해수면상에서 파도에 의하여 승강운동하는 부선과; 이 부선에 설치되어 부선의 승강운동을 회전력으로 전환시키는 회전력 발생수단과; 각 부선의 상면에 설치되는 압력유체 발생수단과; 상기 회전력 발생수단의 일방향 회전력만을 압력유체 발생수단측으로 전달하는 일방향 전동수단과; 각 압력유체 발생수단에서 토출되는 압력유체를 발전섹터로 이송하는 압력유체 이송수단과; 상기 발전섹터에 설치되어 상기 압력유체 이송수단에서 이송되는 압력유체에 의하여 발전에 필요한 동력을 발생시키는 터빈 및; 이 터빈에 의하여 구동되는 발전기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파력 발전 장치가 제공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파력 발전 방법 및 그 장치를 첨부도면에 도시된 실시례에 따라서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에 의한 파력 발전 방법을 구현 위한 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보인것으로, 해상에 일정한 범위내에서 유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중앙의 발전섹터(S1)와 이 발전섹터(S1)를 중심으로 일정 간격으로 배열되는 다수개의 압력유체 발생섹터(S2)를 가지는 격자상 프레임(100)과; 이 프레임(100)을 해저 일정 깊이에 지지하는 프레임 지지수단(200)과; 상기 프레임(100)의 압력유체 발생섹터(S2)에 각각 설치되어 그 상단 일부가 해수면상으로 돌출되는 다수개의 선회수단(300)과; 이 선회수단(300)의 상단에 연결되는 승강지지수단(400)과; 각 승강지지수단(400)의 선단에 연결되어 해수면상에서 파도에 의하여 승강운동하는 부선(500)과; 이 부선(500)에 설치되어 부선의 승강운동을 회전력으로 전환시키는 회전력 발생수단(600)과; 각 부선(500)의 상면에 설치되는 압력유체 발생수단(700);과 상기 회전력 발생수단(600)의 일방향 회전력만을 압력유체 발생수단(700)측으로 전달하는 일방향 전동수단(800)과; 각 압력유체 발생수단(700)에서 토출되는 압력유체를 발전섹터(S1)로 이송하는 압력유체 이송수단(900)과; 상기 발전섹터(S1)에 설치되어 상기 압력유체 이송수단(900)에서 이송되는 압력유체에 의하여 발전에 필요한 동력을 발생시키는 터빈(T) 및 ; 이 터빈(T)에 의하여 구동되는 발전기(G)로 구성된다.
상기 프레임(100)에는, 제1도 내지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앙 발전섹터(S1)에는 터빈(T)과 발전기(G)외에 각종 업무를 수행하는 상주원들의 사무실과 숙소 등의 시설이 설치되고, 압력유체발생섹터(S2)에는 선회수단(300)과 승강지지수단(400)과 부선(500)들이 설치되어 압력유체를 발생시키도록 되어 있는 것으로, 제2도 및 제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공관체로 된 프레임 주부재(110)를 격자상으로 배열하고, 이들 프레임 주부재(110)를 보강부재(120)로 연결하여 보강한 구조를 가진다.
도시예에서는 상기 보강부재(120)로서 타이로드를 사용하고 있으나, 반드시 이로서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형강부재 또는 중공관체를 용접 또는 나사체결이나 리벳으로 결합하는 구조를 채용할 수도 있다.
보강부재(120)로서 타이로드를 사용한 경우에는 제4도 및 제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프레임 주부재(110)들의 교차점사이의 구간의 중간부에 브래키트(130)를 고정하고, 이 브래키트(130)의 네모서리에 각각 보강부재(120)의 끝단부에 형성된 연결부(121)를 고정부재(140)로 고정연결한다.
또한 상기 프레임(100)의 발전섹터(S1)에는 터빈(T)와 발전기(G)를 설치하기 위하여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프레임(100)의 상면보다 높은 위치로 연장설치되는 보조프레임(160)이 설치되어 있다.
보조프레임(160)은 제1도 및 제15도(a)(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프레임(100)의 발전섹터(S1)상에 다수개의 지주(161)를 수직으로 설치하고 그 상단에 H빔으로 된 장방형 상틀체(162)를 설치함과 아울러 상기 지주(161)들을 보강부재(163)로 보강지지하고 상틀체(162)도 보강부재(164)로 보강한 구조로 되어 있다.
여기서 지주(161)들의 보강부재(163)는 형강을 사용하여 용접이나 나사체결 또는 리벳에 의하여 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틀체(162)는 티이로드를 사용하여 상술한 프레임(100)의 보강부재(120)와 동일한 방법으로 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로서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프레임 지지수단(200)은, 제6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해저면에 안착되는 다수개의 앵커블럭(210)과, 상기 프레임(100)과 각 앵커블럭(210)을 연결하는 앵커로프(220)로 구성된다.
상기 앵커블럭(210)은 콘크리트 블록으로 구성되며, 상기 프레임(100)과 앵커블럭(210)을 연결함에 있어서는 제6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앵커블럭(210)의 상면에 앵커로프(220)의 하단을 고정하고 이 앵커로프(220)의 상단에 연결된 다수개(도면에서는 6개)의 분지로프(221)를 프레임(100)에 고정하는 것에 의하여 프레임(100)를 수평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제6도 및 제7도(a)(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앵커블럭(210)에는 앵커핀(211)이 배설되어 그 상면 중앙에 앵커로프(220)의 하단을 연결하기 위한 앵커링(212)이 돌출되어 있으며, 프레임(100)의 저면에는 제7도(c)(d)와 같이 분지로프(221)의 상단을 연결하기 위한 앵커연결편(240)이 고정부착되어 있으며 이 앵커연결편(240)에는 연결공(241)이 천공되어 있다.
도시예에서는 상기 분지로프(221)들은 제6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앵커로프(220)마다 6개씩 연결되고 있으나 반드시 이로서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프레임(100)과 이 프레임(100)에 작용하는 전 하중을 고려하여 그 숫자는 결정된다.
또한 제7도(c)(d)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프레임(100)의 저면에 부착된 앵커연결편(240)과 분지로프(221)의 상단은 장력조절수단(250)에 의하여 연결하여 각 앵커로프(220)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각 앵커로프(220)에 작용하는 장력이 균등하게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장력조절수단(250)은 제 7도(c)(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서로 대양하는 끝단부에 롤러(253)(254)가 굴대설치(軸設)된 연결고리(251)(252)를 연결하고 상기 롤러(253)(254)사이에 조임용 와이어 로프(255)를 권회하여 당기는 것에 의하여 앵커로프(220)에 걸리는 장력을 조절하고 조절이 완료된 후에는 조임용 와이어 로프(255)의 끝단을 연결고리(251)(252)중 어느 한쪽에 결속고정하는 것에 의하여 조절된 상태로 유지되도록 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장력조절수단(250)에 의하여 장력을 조절함에 있어서는 장력게이지(도시되지 않음)을 이용함으로써 각 앵커로프(220)와 분지로프(221)에 걸리는 장력을 균등하게 조절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조임용 와이어 로프(255)는 각 앵커로프(220)에 걸리는 인장하중을 감안하여 그 굵기가 권회수를 설정하는 것인 바, 예컨대 각 앵커로프(220)에 걸리는 하중이 6톤이고, 각 앵커로프(220)에 6개의 분지로프(221)가 연결된 경우 분지로프(221)에 걸리는 인장하중은 분지로프(211)의 각도에 따라 다르나 대략 1톤이라고 가정할 때 200Kg의 안전인장강도를 가진 조임용 와이어 로프(221)를 사용하여 3회 권회하면 조임용 와이어 로프(221)는 6가닥이 되므로 1통의 하중을 지탱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시예에서는 앵커블럭(210)을 해저면에 안착시키고 프레임(100)과의 사이에 앵커로프(220)를 연결한 구조를 예시하고 있으나, 해상이나 해저면의 조건에 따라서는 전체 또는 부분적으로 앵커봉을 해저면에 박아넣고 이에 앵커로프(220)를 연결할 수도 있는 것이다.
상기 선회수단(300)은 제8도(a)(b)(c)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압력유체발생섹터(S2)에 회전가능하게 수직으로 설치되는 지주부재(310)로 구성된다.
상기 지주부재(310)는, 제10도 및 제1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대략 유선형단면을 갖는 중공축으로서 내부에 압력유체의 이송경로로 이용되는 중공관체부(312)와, 그 중공관체부(312)와 일체로 형성되어 해수와의 접촉저항을 줄일 수 있도록 대략 삼각형의 단면을 갖는 유선형부(313)로 구성되며, 다수개의 보강지지부재(311)에 의하여 프레임(100)상에 보강 지지된다.
여기서 지주부재(310)는 프레임(100)을 구성하는 프레임 주부재(110)의 교차점에 설치되는 것으로, 그의 중단부와 하단부가 회전링부재(322)(330)에 의해 보강지지부재(311)의 상단 및 주부재(110)의 교차점에서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며, 그의 상단 소정부위에는 해수중에서 하향경사지게 연장되는 암(Arm)부재(323)가 지주부재(310)와 함께 회전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다.
상기 암부재(323)는 제10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주부재(310)의 소정부위에 볼트·너트를 이용하여 플랜지결합에 의해 소정의 하향경사각을 갖도록 고정된다.
이와 같이 지주부재(310)와 함께 회전하도록 고정되는 암부재(323)는 제1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측단부는 지주부재(310)의 회전지지점 즉, 상측회전링부재(322)와 인접하는 부위의 지주부재(310)에 고정되고 타측단부는 암부재(323)의 끝단부와 연결되는 타이로드(324)에 의해 보강지지된다.
또한, 상기 지주부재(310)의 하단부는 제1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프레임(100)의 주부재(110)의 교차점에 고정설치된 하측회전링부재(330)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상기 하측회전링부재(330)는 상기 프레임(100)의 주부재(110)에 고정된 하측부재(331)와, 상측내주면에 회전링(332)이 구비되고, 상기 하측부재(331)와 체결된 상측부재(333)로 구성된다. 상기 지주부재(310)의 하단부외측에는 원통상의 링부재(314)가 고정되어 지주부재(310)의 회전시 상기 상측부재(333)의 회전링(332)에 의해 안내지지 되도록 되어 있으며, 그 링부재(314)의 하단부에는 지주부재(310)의 회전시 발생되는 충격을 흡수하기 위하여 고무파이프(315)가 연결되고, 그 고무파이프(315)에는 하단부에 프랜지부(316a)가 구비된 힌지파이프(316)가 연결된다.
또한, 상기 프레임(100)의 주부재(110)의 교차점에는 그 주부재(110)로 일단 유입된 압력유체가 지주부재(310)의 중공관체부(312)를 통하여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체크밸브(317)가 설치되고, 그 체크밸브(317)는 상기 힌지파이프(316)의 프랜지부(316a)와 고무링(318)의 개재하에 서로 결합되어, 지주부재(310)의 원활한 회전과 기밀유지가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지주부재(310)의 상단부는 평균 파고가 10m이고 프레인(100)이 해수면하 11m에 설치된 경우 해수면상에서 2m정도 돌출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는 설치장소의 조건에 따라서 조정되는 것이다.
상기 승강지지수단(400)은 제8도(a)(b)(c)(d) 및 제12도(a)(b)(c)(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선회수단(300)의 상단에 고정연결되는 와이어 로프(410)와, 이 와이어 로프(410)의 선단에 연결되는 연결간(420)으로 구성된다.
상기 연결간(420)은 와이어 로프(410)에 연결되는 후단부가 좁고 선단으로 갈수록 넓어지는 삼각형상의 철골구조로 이루어지며, 그 후단에는 제12도(b)에서 잘 나타난 바와 같이 와이어 로프(410)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고리(421)가 설치되고, 그 선단에는 제12도(c)(d)에서 잘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부선(500)을 상, 하 회동가능하게 연결하기 위한 힌지핀(422)이 고정설치된다.
또한 상기 연결간(420)은 파력에 의하여 상하유동되는 과정에서 연결간(420)에 작용하는 힘을 완화시키기 위하여 제8도(a) 및 제12도(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간에 상하굴절부(423)를 설치하여 연결간(420) 자체가 상하로 굴절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상기 와이어 로프(410)를 포스트부재(326)와 연결간(420)의 연결고리(421)에 연결함에 있어서는 새클이나 와이어 클램프 등 통상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와이어 로프 연결구조를 채용하는 것으로 구체적인 설명 및 도시는 생략하였다.
상기 부선(500)은 제8도(a)(b)(c) 및 제13도(a)(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저면의 형상이 중앙부에서 가장자리로 갈수록 완만하게 경사 또는 만곡된 대략 장방형의 배모양으로 밀폐형성되어 소정의 부력을 갖도록 되어 있으며, 그 일측 장변의 중간부가 상기 연결간(420)의 선단에 상, 하 회동가능하게 히지연결된다.
여기서 부선(500)의 일측 장변을 연결간(420)에 연결한 것은 부선(500)의 장축이 항상 파도의 진행방향에 대하여 직각을 이루도록 함으로써 부선(500)의 바닥면과 해수면과의 접촉면적을 최대로 하기 위함이다.
부선(500)의 선단측 가장자리는 제13도(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해수의 수평방향 저항을 최소화 하기 위하여 예각화(銳角化) 또는 유선형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부선(500)은 그 자체의 무게 중심을 중심부에서 후단측(파도의 진행방향에서 볼 때는 후방측)으로 편위된 위취에 있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한 바, 예컨대 그 무게중심이 단축의 하둔측 1/3위치에 위치하도록 하는 것이다.
부선(500)의 선단 연부 중앙부에는 제8도(a)(b)(c) 및 제12도(c)(d)에 도시하 바와 같이 한쌍의 히지편(510)이 고정설치되어 상기 연결간(420)의 선단에 고정설치된 히지편(422)에 힌지핀(511)으로 연결된다.
또한, 부선(500)은 그의 내부가 수개의 격벽(501)으로 구획되어 있어 부분적으로 파손되더라도 전체적인 작동에 영향을 받지 않도록 되어 있으며, 부선(500)의 대략 중앙부에는 제13도(a)(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회전력 발생수단(600)을 구성하는 회전드럼(610)(후술함)이 설치되는 드럼케이싱부(520)가 형성된다.
이 드럼케이싱부(520)는 전후방향 중앙에서 후단측으로 편위된 위치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한 바, 이는 부선(500)의 무게중심을 중앙에서 후단부측으로 편위되도록 함으로써 부선(500)의 후단측은 들리지 않고 해수중에 잠김과 아울러 선단측은 대부분이 해수면상으로 노출되도록 함으로써 파력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특히, 부선(500)과 이에 설치되는 회전력 발생수단(600) 및 압력유체 발생수단(700)을 포함한 전체 무게중심을 단축의 후단측으로부터 1/3지점에 위치토록 함으로써 부선(500)의 선단측 장변(연결간(420)과 연결된 장변)은 해수면에 잠기지 않는 상태에서 선단측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는 상태로 유지되도록 함으로써 부선(500)에 작용하는 수평방향 파압의 수직분력이 부선(500)을 상승시키는 힘으로서 작용하게 되어 부선(500)의 승강 작동이 더욱 활발하게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다.
부선(500)의 상면에는 그 내부에 설치되는 제반설비들의 보수, 유지를 위한 맨홀(530)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회전력 발생수단(600)은 제8도(a) 및 제13도(a)(b)(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부선(500)의 드럼케이싱부(520)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드럼(610)과, 이 회전드럼(610)에 권취시단부가 고정된 채 권취되어 그 끝단이 상기 암부재(323) 선단에 고정연결된 구동용 와이어 로프(620) 및, 상기 회전드럼(610)에 상시 구동용 와이어 로프(620)를 권취하는 방향으로 회전력을 부여하는 회전탄성부재(630)로 구성된다.
상기 회전드럼(610)은 제13도(c)(d)에 도시한 바와 같이 드럼케이싱부(520)내에서 좌우방향 수평으로 고정된 고정축(614)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것으로, 구동용 와이어 로프(620)가 권취되는 원통부(611)와, 이 원통부(611)의 양측에 고정되는 원판부(612)로 구성되며, 원판부(612)의 중심부에는 베어킹 박스(613)가 형성되어 원판부(612)를 고정축(614)에 대하여 지지하기 위한 베어링(615)이 삽입설치된 구조로 되어 있다.
도시예에서는 상기 회전탄성부재(630)로서 회전드럼(610)의 내부에서 내측단은 고정축(614)에 고정되고 외측단은 권취드럼(610)의 원통부(611)에 고정되는 스파이럴 스프링이 사용되고 있으나, 반드시 이로써 국한되는 것은 아니로 회전드럼(610)을 상시 구동용 와이어 로프(620)가 권취되는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회전복원되도록 할 수 있는 구조라면 다른 종류의 구조를 채용할 수도 있는 것이다.
한편, 구동용 와이어 로프(620)의 권취길이는 설치장소의 예상되는 파고를 감안한 길이로 설정되는 것으로, 예상되는 파고보다 높은 파고의 파도가 칠 경우에는 구동용 와이어 로프(620)가 회전드럼(610)으로부터 완전히 풀린 상태로 되고, 이 상태에서 계속되는 파도에 의하여 부선(500)이 상스압력을 받게 되면 구동용 와이어 로프(620)가 절단되거나 그 힘이 회전드럼(610), 부선(500), 승강지지수단(400), 선회수단(300)등에 전달되어 이들을 파손시킬 염려가 있게 되는 바,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안전연결수단(640)이 구비된다.
상기 안전연결수단(640)은 제13도(c)(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회전드럼(610)에는 구동용 와이어 로프(620)의 권취시단부가 고정되는 부위에 법선방향으로 형성되는 홈(641)과, 이 홈(641)에 끼워져 외측단이 돌출되는 안전핀(642)으로 구성되며, 상기 안전핀(642)의 돌출단에 구동용 와이어 로프(620)의 권취시단부가 연결되어 상기 구동용 와이어 로프(620)가 회전드럼(610)으로부터 완전히 풀렸을 때 그 권취시단부가 회전드럼(610)으로부터 이탈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안전핀(642)은 구동용 와이어 로프(620)의 견인력에 따른 모멘트에 의하여 내측단은 권취방향 반대측이 홈(641)내면에 밀착되고 외측단은 권취방향측이 홈(641)내면에 밀착되도록 함으로써 구동용 와이어 로프(620)가 완전히 풀려 구동용 와이어 로프(620)에 작용하는 견인력이 회전드럼(610)의 법선방향으로 작용할 경우 안전핀(642)이 쉽게 이탈되도록 하기 위하여 제13도(d)에 도시한 바와 같이 권취 방향 측면에는 내측 단에 만곡형 절취부(643)가 형성되고 권취반대방향 측면에는 내측단에 밀착부(644)를 제외하고 절취부(645)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13도(e)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홈(641)의 일측에는 브래키드(646)가 인접설치되고 이에 상기 홈(641)내의 안전핀(642)을 누르는 조임나사(647)가 체결되어 안전핀(642)이 불필요하게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회전드럼(610)에 권취된 구동용 와이어 로프(620)는 회전드럼(610)으로부터 인출되는 위치가 그 중심부에서 후단측(파도의 진행방향에서 볼때는 후방측)으로 편위된 위치에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후단측에서 단축의 1/3지점에 위치하도록 하는 것이 가장바람직하다.
상기 압력유체 발생수단(700)은 제8도(a)(b) 및 제13도(a)(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드럼케이싱부(520)의 상부에 설치되며, 토출구(도시되지 않음)가 상기 압력유체 이송호스(910)에 연결된다.
압력유체 발생수단(700)으로서는 액체펌프 또는 공기펌프를 사용할 수 있으며, 피스톤 펌프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압력유체 발생수단(700)으로서 액체펌프를 사용한 경우에는 흡입구(도시되지 않음)을 부선(500)의 저념에 위치시켜 항상 해수면에 잠기도록 하며, 압력유체 발생수단(700)으로서 공기펌프를 사용한 경우에는 해수가 침입하지 않도록 상부측에 위치시킨다.
상기 일방향 전동수단(800)은 부선(500)이 파력에 의하여 상승하면서 회전드럼(610)에 권취된 구동용 와이어 로프(620)가 풀릴 때 발생되는 회전드럼(610)의 회전력만을 압력유체 발생수단(700)측으로 전달하기 위한 것으로, 제13도(a)(b)(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회전드럼(610)의 일측 원판부(612)에서 축반향으로 연장되는 전동축(810)과, 이 전동축(810)에 일방향 클러치(820)로 연결된 구동스프로킷(830)과, 상기 압력유체 발생수단(700)의 축에 고정되는 종동스프로킷(840) 및 양측 스프로킷(830)(840)사이에 걸쳐지는 체인(850)으로 구성된다.
일방향 클러치(820)는 회전드럼(610)이 구동용 와이어 로프(620)가 풀리는 방향으로 회전할 때만 그 회전력을 구동스프로킷(830)에 전달되도록 하고 그 반대, 즉 구동용 와이어 로프(620)가 잠기는 방향으로 회전할 때는 그 회전력이 구동스크로킷(830)에 전달되지 않도록 하는 것으로 도시예에서는 일방향 클러치(820)로서 일방향 클러치 베어링을 사용하고 있으나, 반드시 이로서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회전드럼(610)의 일방향 회전력만을 압력유체 발생수단(700)측으로 전달할 수 있는 구조라면 어떠한 구조를 채용할 수도 있는 것이다.
상기 압력유체 이송수단(900)은 제9도(a)(b), 제14도 내지 제17도(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압력유체 발생수단(700)의 토출구에 연결되어 상기 지주부재(310)의 상단에 연결되는 이송호스(910)와, 상기 지주부재(310)의 내부에 형성되는 압력유체이송용 중공관체부(312)와, 상기 지주부재(310)의 중공관체부(312)와 연결되어 압력유체의 이송용으로 이용되는 일부의 프레임(100)과, 상기 발전섹터(S1)에 수직으로 설치되어 상기 압력유체이송용 프레림(100)과 상기 터빈(T) 사이에 연결되는 주이송관(950)으로 구성된다.
상기 압력유체 이송호스(910)은 상기 선회수단(300)의 지주부태(310)의 상단에 삽입연결되는 것으로, 이때 지주부재(310)의 상단에 회전가능하면서도 기밀을 유지할 수 있는 캡부재(911)를 설치하고 이 캡부재(911)에 압력유체 이송호스(910)를 패킹(도시되지 않음)을 개재하여 연결하는 것에 의하여 선회수단(300)이 어느 방향으로 선회하더라도 압력유체 이송호스(910)가 비틀리거나 꼬이는 일이 없도록 되어 있다.
이를 위하여 지주부재(310)의 상단과 캡부재(911)의 사이에는 통상적인 회전부위의 누설방지를 위한 메카니칼 실(Mechanincal Seal)(도시되지 않음)이 설치된다.
상기 압력유체 이송호스(910)는 승강지지수단(400)의 연결간(420)과 와이어 로프(410), 선회수단(300)의 지주부재(310) 등에 결석되어 유동되지 않도록 설치된다.
상기 압력유체이송용프레임(100)은 가압수를 효율적으로 이송할 수 있도록 전체설비의 외측으로부터 중앙측의 주이송관(950)으로 갈수록 그 구경이 점차커지도록 되어 있다.
즉, 제1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격자형프레임구조를 전체적으로 4등분하여 중앙측에 위치한 프레임(100)에 그 이외의 프레임(100)들이 가압수를 보내고, 그 중앙부의 프레임(100)은 주이송관(950)과 직접연결되어 양측으로부터 모아지는 가압수를 주이송관(950)으로 이송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그의 말달부위에는 이와 같이, 압력유체이송용으로 이용되는 프레임(100) 즉, 제14도에 도시된 프레임(100)이외의 프레임(100)에는 내부에 압축공기를 충진하여 프레임구조물에 필요한 충분한 부력을 얻을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주이송관(950)은 프레임(100)의 발전섹터(S1)에 상당하는 위치에 상향 설치된 보조프레임(160)의 상부로 연장설치된다.
상기 주이송관(950)과 압력유체이송용 프레임(100)의 사이에는 압력유체의 이송과전에서 발생되는 맥동현상을 완화시킴과 아울러 발전섹터(S1)에 설치된 각종 시설들의 하중을 지지하기 위한 부력을 부여하기 위한 서지탱크(960)가 설치된다.
상기 서지탱크(960)는 제15도(a)(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프레임(100)의 저면에 고정설치되며, 주이송관(950)의 하단부를 감싸는 원통부(961)와, 이 원통부(961)의 상,하단면을 구성하는 상,하부 구면판(962)(963)으로 구성되며, 하부 구면판(963)DML 중앙에는 맨홀(964)이 설치된다.
상기 서지탱크(960)의 원통부(961)는 제16도(a)(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중관으로 형성하여 그 내부에 압축공기가 충전되는 에어포킷(965)이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압력유체 발생수단(700)으로서 액체펌프를 사용한 경우에는 압력유체이송용 프레임(100)에서 이송된 압력유체, 즉 압력수가 일정수위를 유지하도록 설정되며, 그 내부 압력수(W)의 상부에는 일정압력을 가지는 압축공기가 충전된 에어챔버(966)가 형성된다.
또한 서지탱크(960)내의 압력수(W)가 주이송관(950)의 하단을 통하여 빨려나갈때 공기가 빨려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서지탱크(960)내부의 압력수(W) 수위가 일정 높이를 유지하도록 설정된다.
즉, 주이송관(950)의 하단에서 서지탱크(960) 내부의 압력수(W) 수면까지의 높이가 낮을 경우에는 주이송관(950)의 하단을 통하여 압력수(W)가 빨려나갈 때 그 공기가 빨려들어가게 되며, 이와 같이 압력수중에 에어챔버(966)의 공기 빨려들어가게 되면 이송관내에 수격(Water Hammer)현상이 발생하게 되고 터빈(T)에 심각한 영향을 초래하는 바, 이를 감안하여 설계되어야 하는 것이다.
또 서지탱크(960)의 내부 압력수(W)는 지구의 자전과 관련한 전향력(轉向力)에 의하여 북반구(北半球)에서는 평면에서 보아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려는 힘을 받게 되고 남반구(南半球)에서는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려는 힘을 받게 되는 바, 이와 같은 힘에 의하여 압력수(W)는 와류를 형성하게 되고 이와 같이 와류가 형성되는 경우 외곽부에서는 수위가 상승하는 반면 중심부에서는 수위가 강하하게 되므로 중심부의 수면에서 주이송관(950)의 하단에 이르는 높이가 낮아지게 되어 에어챔버(966)으로부터 공기가 빨려들어가게 된다.
따라서 제16도(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서지탱크(960)의 내부에 위치하는 압력유체이송용 프레임(100)의 끝단부에 절곡부(101)를 형성하여 그 절곡부(101)에서 서지탱크(960)로 유입되는 압력수가 서지탱크(960)의 중심부를 향하지 않고 상술한 전향력에 의한 와류현상을 상쇄하는 방향을 향하도록 설치하여 압력유체이송용 프레임(100)에서 서지탱크(960)로 유입되는 압력수가 지구의 자전력에 의한 와류현상을 상쇄하는 방향을 향하도록 설치하여 압력유체이송용 프레임(100)에서 서지탱크(960)로 유입되는 압력수가 지구의 전전력에 의하여 발생되는 와류와 반대방향으로 유입되면서 리를 상쇄하도록 한다.
이를 감안하여 북반구에서는 와류의 방향이 반시계방향으로 형성되므로 서지탱크(960)로 유입되는 압력수가 시계방향으로 유입되도록 하며, 남반구에서는 와류의 시계방향으로 형성되므로 서지탱크(960)로 유입되는 압력수가 반시계방향으로 유입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주이송관(950)은 제15도(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상단은 폐쇄되며, 그직하부 양측에는 터빈(T)에 연결되는 분지관(952)이 연결되어 있으며, 그 분지점에는 제17도(a) 내지 (d)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버너 스필 밸브(970)가 설치되어 터빈(T)에 공급되는 압력유체의 압력이 항상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가버너 스필 밸브(970)는 제17도(a) 내지 (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주이송관(950)의 분지점에 천공된 스필공(Spill Hole)(972)과, 이 스필공(971)의 외측에 부착된 스필 웨이(Spill Way)(972)와, 상기 주이송관(950)의 외벽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스필 웨이(972)를 개폐하는 개폐판(973)과, 이 개폐판(973)을 스필 웨이(972)의 외측단에 밀착시키는 밀착수단(980)으로 구성된다.
상기 스필 웨이(972)는 제17도(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측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좁아지는 리듀서(Reducer)형으로 형성되며 그 외측단에는 패킹(974)이 설치된다.
상기 개폐판(973)은 제17도(a)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상단을 주이송관(950)의 주벽에 고정되는 브래키트(975)에 지지축(976)으로 지지하는 것에 의하여 회동개폐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밀착수단(980)은 제17도(a) 내지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개폐판(973)을 스필 웨이(972)의 외측단에 밀착시켜 기밀을 유지할수 있는 것이라면 어떠한 구조라도 무방하나, 도시예에서와 같이 상기 개폐판(973)의 하단 양측에 굴대설치된 가동활차(981)와 이에 대응하여 주이송관(950)의 주벽 양측에 굴대설치된 고정활차(982)와, 가동활차(981)에 시단부가 고정되고 가동활차(981)와 고정활차(982) 사이에 감기는 밀착용 와이어 로프(983)와, 이 로프(983)의 종단부에 고정되어 로프(983)를 당기는 하중을 부여하는 중량추(984)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스필 웨이(972) 외단부에 대한 밀착력은 개폐판(973)의 자중과 그 외부에 작용하는 수압에 의하여 닫히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힘과 중량추(984)의 중량에 의하여 와이어 로프(983)에 작용하여 가동활차(982)측으로 당기는 힘의 합력으로되며, 이 힘은 안전을 고려하여 설정하는 것으로, 상기 가동활차(981)와 고정활차(982)를 다중활차구조를 채용함으로써 경량의 중량추를 사용하면서도 원하는 밀착력을 얻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다중활차구조를 설명하면, 제17도(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주이송관(950)의 주벽 일측에 설치된 제1고정활차(982a)에 와이어 로프(983)의 시단부를 고정하고 이를 개폐판(973)의 하단 일측에 설치된 제1가동활차(981a)→ 제1고정활차(982a)와 동축으로 설치된 제2고정활차(982b)→ 제1가동활차(981a)와 동축으로 설치된 제2가동활차(981b)→ 주이송관(950)의 주벽 타측에 설치된 제3고정활차(982c)→ 개폐판(973)의 타측에 설치된 제3가동활차(981c)→ 제3고정활차(982c)와 동축으로 설치된 제4고정활차(982d)→ 제3가동활차(981c)와 동축으로 설치된 제4가동활차(981d)→ 제4고정활차(982d)와 동축으로 설치된 제5고정활차(982e)의 순으로 수평방향으로 권회하고, 다시 방향전환활차(985)(986)을 통하여 수직방향으로 권회방향으로 전환하여 그 끝단에 중량추(984)를 고정설치하는 것이다.
상기 중량추(984)는 일정 중량을 가지는 추몸체(984a)와 이 추몸체(984a)의 상단에 착탁가능한 미세조절용 보조추(984b)로 구성되어 압력유체의 허용압력에 따라 중량추(984) 전체의 중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터빈(T)와 발전기(G)는 통상적으로 발전용에 사용되는 것이 사용된다.
제18도(a)(b)(c)는 발전섹터(S1)에 설치되는 각종 시설물을 보인 것으로, 주이송관(950)의 분지관(952)에 각각 나선관(953)으로 연결되는 터빈(T)과, 이 터빈(T)에 의하여 구동되는 발전기(G)가 설치되며, 컨트롤러(991)들과 변전 및 송전시설(992) 및 사물실과 상주원들의 숙소(993)등이 배치된다.
상기 터빈(T)과 발전기(G)은 프레임(100)의 발전섹터(S1)에는 일정높이를 가지고 설치되는 보조프레임(160)에 장착된다.
여기서, 보조프레임(160)은 프레임(100)에서 상부로 돌출설치되어 해수면보다 높은 위치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터빈(T)의 배출구(170)가 해수면보다 높은 위치에 높이게 된다.
한편, 압력유체 발생수단(700)으로서 액체펌프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터빈(T)의 배출구(170)에서 배출되는 가압수를 해수면상으로 유출시키기 위한 배수로(D)를 설치하며, 공기펌프를 사용한 경우에는 터빈(T)을 가동시킨 압축공기를 대기중으로 배출시키면 되므로 배수로등의 설치는 생략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터빈(T)은 도시예에서와 같이 상기 압력유체 발생수단(700)으로서 액체펌프가 사용된 경우에는 일반적인 수력 발전에 사용되는 수력터빈이 사용되며, 공기펌프가 사용된 경우에는 압축공기에 의하여 구동되는 에어터빈이 사용된다.
여기서 상기 나선관(953)DMS 북반구에서는 전향력에 의하여 반시계방향으로 진행되려는 힘을 받게 되므로 그 나선방향을 반시계방향으로 형성하고, 남반구에서는 전향력에 의하여 시계방향으로 진행되려는 힘을 받게 되므로 그 나선방향을 시계방향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에서는 압력유체 발생수단(700)으로서 액체펌프를 사용하고 터빈(T)으로서 수퍽터빈을 사용한 예이므로 압력수의 배출통로가 형성되어 있으나 공기펌프와 에어터빈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에어터빈을 구동시킨 압축공기는 대기중으로 배출시키도록 설치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파력 발전 방법의 작동을 설명한다.
먼저, 시공과정을 설명하면, 상기 프레임(100)과 이에 설치되는 각종 설비들은 면적과 중량이 매우 큰 것으로 해상에 설치함에 있어서 전체를 완전히 조립한 상태에서 설치장소로 이동시킬 경우에는 매우 큰 바지선들이 필요하고 이동시키는 데 많은 시간이 소요되며, 또한 작업중 해상의 기후가 급변하여 해안으로 급히 대피하여야 할 경우도 종종 발생하게 되므로 제3도에 2점쇄선으로 구획 표시한 바와 같이 다수개의 부분으로 나누어 각 부분별로 모든 설비를 설치한 상태에서 설치장소로 이동시킨 다음 각 부분을 조립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설치장소로 이동된 다음에는 각 부분들을 서로 조립연결하고, 다수개의 앵커블럭(210)과 앵커로프(220)와 분지로프(221)로 구성되는 프레임 지지수단(200)에 의하여 프레임(100)이 해수중의 소정 깊이에 떠있는 상태로 지지한다. 여기서 프레임(100)의 설치 위치는 압축공기가 주입된 프레임(100)에 의한 부상력과 앵커로프(220)와 분지로프(221)의 길이 및 장력에 의하여 결정되는 것으로, 파도가 강하게 치더라도 약간의 유동은 있으나 그 장소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는 상태로 설치되는 것이다.
이때, 앵커로프(220)와 분지로프(221)에 걸리는 장력에 차이가 있을 경우에는 외력은 가장 큰 장력을 가지는 로프(220)(221)에만 걸리는 상태로 되고 이 가장 큰 장력을 가지는 로프(220)(221)가 외력에 의하여 파단되면 그 다음 번으로 큰 장력을 가지는 로프(220)(221)가 파단되는 식으로 순차적으로 모두 파단되므로 각 앵커로프(220)와 분지로프(221)에 걸리는 장력을 일정하게 조절한다.
앵커로프(220)와 분지로프(221)의 장력은 장력조절수단(250)에 의하여 조절하는 것으로, 제7도(a) 내지 (d)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분지로프(221)의 상단과 프레임(100)의 저면에 각각 고정된 연결고리(251)(252)에 굴대 설치된 롤러(263)(264)사이에 감기는 조임용 와이어 로프(255)를 조이는 것에 의하여 이루어지며, 이때 조임용 와이어 로프(255)의 끝단부에 장력게이지(도시되지 않음)를 부착함으로써 앵커로프(220)와 분지로프(221)의 장력을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해상이나 해저 조건등에 따라서는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해저면에 앵커봉을 타입하고 이에 앵커로프(220)를 연결할 수도 있다.
상기 서지탱크(960)는 조립완료된 상태에서는 에어포킷(965)과 에어챔버(966)로 인하여 매우 큰 부력을 가지게 되어 해수중에 가라앉히는 데 큰 어려움이 있으므로 여러부분(제15도(b)에서는 4부분)으로 분해하여 설치장소로 운반하여 해수중에 조립한 다음 에어포킷(965)과 에어챔버(966)내에 압축공기를 주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서지탱크(960)는 주벽에 형성된 에어포킷(965)과 내부에 형성되는 에어챔버(966)에 의한 부력에 의하여 그 상부, 즉 발전섹터(S1)에서 집중적으로 가해지는 중량을 충분히 지탱하게 된다.
다음, 발전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부선(500)의 승강작동을 설명하면, 제8도(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부선(500)은 항상 해수면상에 부상한 상태로 되는 것으로, 파도가 없을 때는 평균해수면(M.S.L)상에 위치하고, 파도가 있을 때에는 파도의 산과 골사이에서 승강작동하게 된다.
이때, 선회수단(300)의 지주부재(310)의 상단이 해수면위로 돌출되어 있고, 그 상단에 승강지지수단(400)을 구성하는 와이어 로프(410)와 연결간(420)이 해수면을 향해 하향 경사지게 연결된 상태에서 그 연결간(420)의 선단부에 부선(500)의 선단측 가장 자리가 힌지편(422)(510)과 힌지핀(511)으로 상하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므로 강한 파도가 치더라도 부선(500)의 후단측이 해수중에 가라앉는 상태를 유지하면서 파도의 높이, 즉 파도의 산과 골간의 높이 차이만큼 승강작동하게 된다.
또한 부선(500)은 그 자체의 무게 중심이 중심부에서 후단측으로 편위된 상태로 형성되거나, 그 위에 설치되는 드럼케이싱부(520)와 회전드럼(610)과 일방향 전동수단(800) 및 압력유체 발생수단(700)의 배치에 의하여 그 전체 무게 중심이 중앙부에서 후단측으로 편위된 상태로 설치되어 있으며, 구동용 와이어 로프(620)의 인출 위치가 중심부에서 후단측으로 편위되어 있으므로 승강지지수단(400)의 연결간(420)에 연결된 부선(500)의 선단측(파도의 진행방향에서 볼 때는 전방측)이 해수중에 가라앉지 않고 항상 들리게 되며 후단측(파도의 진행방향에서 볼 때는 후방측)은 항상 해수중에 가라앉는 식으로 되어 부선(500)의 후단측으로 하향 경사진 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부선(500)의 승강작동은 매우 원활하게 이루어진다.
즉, 부선(500)의 무게 중심이 중앙부에 있고 구동용 와이어 로프(620)의 인출위치가 중심부에 있을 경우에는 부선(500)에 대해 하방으로 작용하는 힘은 부선(500)의 단축방향 전체에 걸쳐서 균등하게 작용하게 되므로 선,후단부가 동일한 높이를 유지하게 되므로 부선(500)의 선단부(파도의 진행방향에서 볼 때는 전방측)에 부선(500)의 승강운동과는 무관하며 오히려 나쁜 영향을 주는 파도의 수평파압이 가해지게 되어 부선(500)의 승강운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을 뿐만 아니라 수평파압에 의하여 부선(500)과 이를 지지하고 있는 수단(300)(400)들에 강한 힘이 작용하게 되어 부선과 이들 지지수단의 파손을 초래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게 되는 바, 본 발명에서는 제9도(a)와 같이 부선(500)의 무게중심과 구동용 와이어 로프(620)의 인출위치가 중앙부로부터 후단측으로 편위되어 있고, 특히 후단에는 1/3지점에 있으므로 부선(500)에 대하여 하방으로 작용하는 힘은 후단부에서 강하고 선단측으로 갈수록 작아지게 되어 부선(500)은 그 후단측이 해수중에 잠기고 선단측은 항상 해수면 상에 노출되어 후단을 향하여 하향 경사진 상태로 유지되므로 파고에 의한 부선(500)의 승강운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될 뿐만 아니라 더욱이 제9도(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부선(500)의 선단측이 예각화되어 있으므로 선단측에 작용하는 수평파압(P)이 후단을 향하여 하향 경사진 부선(500)의 저면에 작용하면서 그 수직분력(Pv)이 부선(500)을 상승시키는 작용을 하게 되므로 부선(500)의 승강작동은 더욱 원활하고 강력하게 이루어지게 되며, 부선(500)이 상승할 때의 힘을 이용하여 회전력 발생수단(600)을 작동시키게 되는 것이므로 더욱 큰 동력을 얻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파도의 진행방향이 승강지지수단(400)에서 부선(500)쪽을 향할 경우에는 부선(500)은 상술한 작용으로 제8도(b)(c)와 같이 파도에 따라 승강작동을 계속하게 되는 바, 파도의 진행방향이 전환되면 부선(500)이 파도에 의하여 파도의 진행방향으로 밀리게 되며, 부선(500)을 밀고 있는 파력은 부선(500)을 지지하고 있는 승강지지수단(400)과 선회수단(300)에 작용하게 되고, 이 힘은 승강지지수단(400)을 선회시켜 선회수단(300)의 선회중심과 부선(500)의 중심부를 잇는 수평연장선이 파도의 진행방향과 일치되도록 하는 힘으로 작용하게 된다.
따라서 파도의 진행방향이 전환되는 초기에는 승강지지수단(400)의 와이어 로프(410)가 약간 휘어지려고 하나 곧바로 와이어 로프(410)가 고정되어 있는 지주부재(310) 전체가 선회하면서 승강지지수단(400)의 연장선의 파도의 진행방향과 일치하게 되어 제8도(b)(c)에 도시한 상태로 원상복귀되어 부선(500)의 승강작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결국, 부선(500)은 파도의 진행방향에 자동적으로 대응하여 항상 선단부측으로부터 진행되어 오는 파도만 받게 되므로 부선(500)이 후단측이나 측방으로부터 파도를 받더라도 부선(500)의 선단측이 들리거나 세워져 강한 파력 진행방향 힘이 부선의 저면에 그대로 걸리면서 부선(500)이나 여타 승강지지수단(400) 및 선회수단(300) 등을 파손시키는 일이 없이 파력은 주로 부선(500)을 승강작동시키는 힘으로서 작용하게 되어 파력을 보다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부선(500)은 연결간(420)의 선단에 힌지편(422)(510)과 힌지핀(511)에 의하여 상하 회동가능하게 연결되어 있으므로 회전력 발생수단(600)이 설치된 위치, 즉 중심에서 후방으로 편위된 위치에서의 승강폭이 크게 되어 후술하는 회전력 발생수단(600)의 작동이 더욱 원활하고 크게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상술한 부선(500)의 승강작동에 따른 회전력 발생과정을 설명하면 부선(500)이 파도의 산위치로 상승하는 과정에서는 암부재(323)의 선단에 고정된 구동용 와이어 로프(620)가 당겨지게 되므로 회전드럼(610)에 권취된 구동용 와이어 로프(620)가 풀리게 되며 구동용 와이어 로프(620)의 풀려나오는 길이에 대응하여 회전드럼(610)이 회전탄성부재(630)에 대항하여 회전하게 된다.
회전드럼(610)이 회전하게 되면, 이 회전드럼(610)을 구성하고 있는 원판부(612)중 일측판에 연결된 일방향 전동수단(800)을 통하여 연결된 압력유체 발생수단(700)이 가동된다.
즉, 회전드럼(610)이 구동용 와이어 로프(620)가 풀리는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그 원판부(612)중 일측에 고정된 전동축(810)과, 이 전동축(810)에 일방향 클러치(820)를 통하여 연결된 구동스프로킷(830)이 회전하게 되고, 이 회전력이 체인(850) 및 종동스프로킷(840)을 통하여 전달되어 압력유체 발생수단(700)이 가동되며, 이에 따라 압력유체를 발생시키게 된다.
여기서 압력유체 발생수단(700)이 액체펌프인 경우에는 그 흡입구(도시되지 않음)이 해수중에 잠겨 있으므로 해수를 흡입, 가압하여 토출구(도시되지 않음)을 통하여 압력유체 이송호스(910)로 토출하게 되며, 압력유체 발생수단(700)이 공기펌프인 경우에는 대기중에 노출된 흡입구를 통하여 외기를 흡입, 가압하여 토출구를 통하여 압력유체 이송호스(910)로 토출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회전드럼(610)에 권취되는 구동용 와이어 로프(620)는 설치장소에 따라 예상되는 파고를 감안하여 그 권취길이가 설정되어 있으므로 그 예상되는 파고보다 높은 파도가 치게 되어 구동용 와이어 로프(620)는 회전드럼(610)으로부터 완전히 풀리게 되고 이에 따라 구동용 와이어 로프(620)는 회전드럼(610)에 대하여 법선(法線)방향으로 당겨지게 되면, 구동용 와이어 로프(620)는 안전연결수단(640)의 작용으로 회전드럼(610)으로부터 이탈되어 부선(500)을 상승시키는 파력은 구동용 와이어 로프(620)에는 전달되지 않게 되고 승강지지수단(400)에만 전달되어 부선(500)의 승강운동에 따라 승강지지수단(400)이 승강유동하면서 그 파압을 흡수하게 되므로 구동용 와이어 로프(620)나 부선(500) 및 각 지지수단등을 파손시키는 일이 없게 된다.
즉, 구동용 와이어 로프(620)은 그 권취시단부가 회전드럼(610)에 법선방향으로 형성된 홈(641)에 끼워진 안전핀(642)의 돌출단에 연결되어 있으므로 구동용 와이어 로프(620)가 완전히 풀린 상태에서 계속하여 회전드럼(610)의 법선방향으로 구동용 와이어 로프(620)에 작용하는 힘에 의하여 안전핀(642)이 빠지면서 구동용 와이어 로프(620)가 회전드럼(610)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이다.
상기 안전핀(642)은 홈(641)의 일측에 설치된 브래키트(646)에 체결된 조임나사(647)에 의하여 조여져 있어 평상시에는 안전핀(642)이 홈(641)으로부터 임의로 이탈되는 일이 없도록 되어 있으나, 상술한 바와 같은 구동용 와이어 로프(620)를 회전드럼(610)의 법선방향으로 당기는 힘이 작용할 때 안전핀(642)이 빠져나오는 데는 하등의 지장을 주지 않게 되어 상술한 안전작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부선(50)이 제8도(b)의 점선으로 표시한 파도의 골의 위치로 하강할 때는 구동용 와이어 로프(620)는 처지를 상태로 되고 회전드럼(610)은 회전탄성부재(630)에 의하여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면서 구동용 와이어 로프(620)를 감게 되는 바, 회전드럼(610)이 회전력을 압력유체 발생수단(700)에 전달하는 일방향 전동수단(800)의 일방향 클러치(820)는 회전드럼(610)이 구동용 와이어 로프(620)가 풀리는 방향으로 회전할때만 그 회전력이 구동스프로킷(830)에 전달되고, 이와 반대로 구동용 와이어 로프(620)가 감기는 방향으로 작용할 때는 그 회전력이 구동스프로킷(830)에 전달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회전드럼(610)만 회전하게 되고, 구동스프로킷(830)은 회전하지 않게 되어 이 구동스프로킷(830)에 체인(850)과 종동스프로킷(840)으로 연결된 압력유체 발생수단(700)은 가동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압력유체 발생수단(700)은 항상 펌핑작용이 일어나는 일방향으로만 작동하면서 반복적인 작동을 하게 된다.
상술한 압력유체 발생수단(700)의 가동에 따른 압력유체의 이송과정을 설명하면, 각 압력유체 발생수단(700)에서 토출된 압력유체는 압력유체 이송수단(900)을 통해 터빈(T)에 공급되어 터빈(T)을 가동시키게 된다.
압력유체의 이송과정은 각 압력유체 발생수단(700)의 토출구에 연결된 압력유체 이송호스(910)와, 이 이송호스(910)와 연결되는 지주부재(310)의 중공관체부(312)를 통해 압력유체이송용 프레임(100)에 취합된 다음 주이송관(950)측으로 이송된다.
이때, 각 압력유체이송용 프레임(100)의 말단부측에는 역류방지밸브(CV1,CV2,CV3)들이 설치되어 있으므로 각 단계별 이송과정에서 압력유체가 역류되는 일이 없이 항상 주이송관(950)을 향하여 이송되므로 압력유체의 손실을 배제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압력유체이송용 프레임(100)을 통과한 압력유체는 그 끝단에서 서지탱크(960)를 통해 주이송관(950)으로 이송되고 주이송관(950)에서 터빈(T)으로 공급되어 터빈(T)을 가동시키게 되며 터빈(T)의 가동에 따라 발전기(G)가 가동되어 전기를 발생시키게 되는 것이다.
압력유체이송용 프레임(100)의 끝단에 이른 압력유체는 서지탱크(960)내로 유입되고, 서지탱크(960)에서는 각 방향에서 이송되는 압력유체의 맥동현상을 완화시켜 터빈(T)에 공급되는 압력유체의 압력과 유량의 변동을 감소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주이송관(950)을 통과하는 압력유체의 압력이 설정치 이상으로 상승되면 주이송관(950)의 상단에 설치된 가버너 스필 밸브(970)가 가동되어 압력을 강하시키게 되므로 터빈(T)측에는 항상 일정한 압력의 압력유체가 공급된다.
즉, 제15도(b) 및 제17도(a) 내지 (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주이송관(950)의 분지점 주벽에는 스필공(971)이 천공되고 이 스필공(971)의 외측에 스필 웨이(972)가 설치되며 이 스필 웨이(972)의 개구단은 개폐판(973)에 의하여 폐쇄함과 아울러 이 개폐판(973)을 밀착수단(980)에 의하여 항상 스필 웨이(972)의 개구단을 밀착 폐쇄하도록 하고 있는 바, 주이송관(950)내의 압력이 설정치 이상으로 되면, 내부의 압력이 밀착수단(980)에 의하여 개폐판(973)을 밀착시키고 있는 힘을 이기게 되어 개폐판(973)이 열리면서 압력유체를 해수중으로 배출시키고, 다시 주이송관(950)내의 압력이 설정치로 강하되면 밀착수단(980)의 밀착력에 의하여 개폐판(973)이 스필 웨이(972)를 폐쇄하게 되어 터빈(T)측에는 항상 일정한 압력의 압력유체가 공급되는 것이다.
밀착수단(980)의 작동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주이송관(950)의 주벽에 굴대설치된 고정활차(982)에 시단부가 고정된 와이어 로프(983)가 이 고정활차(982)와 개폐판(973)의 하단 양측에 굴대설치된 가동활차(981)사이에 감겨 그 끝단부에는 중량추(984)가 고정된 것으로서 중량추(984)의 수직방향으로 작용하는 중량이 방향전환활차(985)(986)를 통해 수평방향으로 전환되어 가동활차(981)와 고정활차(982)사이에 감긴 와이어 로프(983)를 긴장시키는 방향으로 작용하게 되고 이에 따라 가동활차(981)가 고정활차(982)쪽으로 당겨지는 상태로 되므로 가동활차(981)가 굴대설치된 개폐판(973)의 하단부는 고정활차(982)측, 즉 스필 웨이(972)의 개구부측으로 밀착된다.
여기서 개폐판(973)이 닫히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힘, 즉 개폐판 폐쇄력은 개폐판(973)의 자중에 의하여 닫히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힘과 개폐판(973)의 전면에 작용하는 수압 및 상기 밀착수단(980)에 의한 밀착력으로 결정되는 것인 바, 주이송관(950)내의 압력이 설정치 이하인 경우에는 주이송관(950)내의 압력과 폐쇄력이 상쇄되거나 폐쇄력이 크게 되어 개폐판(973)은 닫힌 상태로 유지되는 것이며, 주이송관(950)내의 압력이 설정치 이상으로 되면 그 압력이 상술한 폐쇄력을 이겨 개폐판(973)을 밀쳐내면서 주이송관(950)내의 압력유체가 해수중으로 배출되면서 내부압력이 강하되고, 이에 따라 주이송관(950)내의 압력이 다시 설정치 이하로 되면 폐쇄된 상태로 복귀되면서 주이송관(950)을 통하여 터빈(T)으로 공급되는 압력유체의 압력을 항상 일정하게 유지하는 것이다.
상기 밀착수단(980)은 가동활차(981)와 고정활차(982)를 각 1개씩 설치하여도 무방하나 이 경우 중량추((84)의 중량을 크게 하여야 하므로 도시예에서와 같이 제1 내지 제4 가동활차(981a..981d) 및 제1 내지 제5 고정활차(982a..982e)로 이루어지는 다단활차구조를 채용함으로써 중량추(984)의 중량을 줄일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압력유체 이송과정을 거쳐서 주이송관(950)에서 공급되는 압력유체는 분지관(952)에 연결된 나선관(953)을 통하여 터빈(t)으로 유입되는 것으로, 여기서 나선관(953)은 북반구의 경우 그 나선방향을 반시계방향으로 형성하고, 남반구인 경우에는 그 나선방향을 시계방향으로 형성하는 것이므로 지구의 자전에 따른 전향력에 의하여 유동저항을 받게 되는 것을 배제하여 압력유체를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압력유체 발생수단(700)이 액체펌프인 경우 터빈(T)을 가동시키고 배출되는 가압수는 터빈(T)의 배출구(170)를 통하여 해수면상으로 배출되는 바, 터빈(T)은 프레임(100)의 상면보다 높은 보조프레임(160)상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그 배출구(170)가 해수면보다 높은 위치에 있어 가압수는 배수로(D)를 통하여 원활하게 배수된다.
또 압력유체 발생수단(700)이 공기펌프인 경우에는 액체펌프의 경우와는 달리 공기 터빈을 가동시킨 압축공기는 대기중으로 배기되는 것이다.
제18도(a)(b)(c)는 본 발명에 사용되는 터빈(T)과 발전기(G)의 일례를 보인 것인바, 압력유체에 의하여 발전을 할 수 있는 구조의 것이라면 어떠한 것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발전기(G)에 의하여 발전된 전기는 발전섹터(S1)에서 변전된 후 해저 케이블이나 해상 가공선을 통하여 육상으로 송전된다.
제19도는 본 발명의 파력 발전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것으로, 여기서는 중앙부에 변전 및 송전시설과 사무실 및 숙소 등을 가지는 중앙통제기지(HQ)와, 이 중앙통제기지(HQ)의 주위에 배치되어 각각 발전섹터(S1)와 압력유체 발생섹터(S2)를 가지는 발전기지(SQ)를 구비하여 각 발전기지(SQ)에서 발전된 전력을 중앙통제기지(HQ)에서 취합하여 변전하고 해저케이블이나 해상 가공선을 통하여 육상으로 송전하도록 한 것이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발전기지(SQ)는 상주원들이 상주하는 것은 아니므로 상술한 발전섹터(S1)에 사무소나 숙소등을 설치할 필요는 없으며, 단지 각 발전기지(SQ)의 점검과 보수시 급작스런 기상의 변화로 인한 만일의 사태가 발생하여 때 임시로 대피할 수 있는 시설을 구비하면 되고, 평상적인 관리와 제어등은 중앙통제기지(HQ)에서 수행하도록 하면 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로서만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한 것이다.

Claims (7)

  1. 해수중에 설치된 격자상 프레임상에 설치된 다수개의 지주부재에 연결되어 해수면상에 위치한 다수개의 부선이 파도에 의하여 승강작동하는 단계와; 각 부선의 승강운동을 회전운동으로 변환시키는 단계와; 이 회전운동에 의하여 각 부선에 설치된 압력유체 발생수단을 작동시키는 단계와; 이 압력유체 발생수단 작동단계에서 발생되는 압력유체를 주이송관으로 이송함과 아울러 압력유체의 압력이 설정치 이상으로 되었을 때 가버너 스필 밸브가 자동적으로 열려 압력을 강하시키고 다시 압력유체의 압력이 설정치 이하로 되면 가버너 스필 밸브가 자동적으로 닫혀 정상적인 이송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이송경로중에 설치된 서지탱크에 의하여 압력유체의 맥동현상이 완화되도록 하는 단계와; 상기 주이송관으로 이송된 압력유체를 이용하여 터빈을 작동시키는 단계와; 터빈에 연동되는 발전기를 작동시켜 전력을 발생시키는 단계;로 구성되는 파력 발전 방법.
  2. 해상에 일정한 범위내에서 해저 일정한 깊이에 설치되며 중앙의 발전섹터(S1)와 이 발전섹터를 중심으로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는 다수개의 압력유체발생섹터(S2)를 가지며, 일부는 내부에 압축공기가 주입되어 부력을 가지고 다른 일부는 압력유체의 이송을 위한 파이프라인으로 이용되는 프레임(100)과; 이 프레임을 해상에 유동가능하게 지지하는 프레임 지지수단(200)과; 상기 프레임(200)의 압력유체발생섹터에 각각 설치되어 그 상단 일부가 해수면상으로 돌출되는 다수개의 선회수단(300)과; 이 선회수단의 상단에 연결되는 승강지지수단(400)과; 상기 각 승강지지수단(400)의 선단에 연결되어 해수면상에서 파도에 의하여 승강운동하는 부선(500)과; 이 부선(500)에 설치되어 부선의 승강운동을 회전력으로 전환시키는 회전력 발생수단(600)과; 각 부선(500)의 상면에 설치되는 압력유체 발생수단(700)과; 상기 회전력 발생수단(600)의 일방향 회전력만을 압력유체 발생수단(700)측으로 전달하는 일방향 전동수단(800)과; 각 압력유체 발생수단(700)에서 토출되는 압력유체를 발전섹터로 이송하는 압력유체 이송수단(900)과; 상기 발전섹터에 설치되어 상기 압력유체 이송수단에서 이송되는 압력유체에 의하여 발전에 필요한 동력을 발생시키는 터빈(T) 및; 이 터빈에 의하여 구동되는 발전기(G)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파력 발전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선회수단(300)은 상기 각 압력유체발생섹터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상단이 압력유체 발생수단에 연결됨과 아울러 하단이 상기 프레임에 연결되는 중공관체부(312)를 가지는 지주부재(310)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파력 발전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지지수단(400)은 선회수단의 해수면상으로 돌출된 상단부에 고정연결되는 와이어 로프(410)와, 선단이 좁고 후단으로 갈수록 점차 넓어지는 삼각형 구조로 형성되어 선단부가 상기 와이어 로프(410)에 연결되고 후단에 상기 부선(500)이 상하고 회동가능하게 힌지 연결되는 연결간(420)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파력 발전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부선(500)은 그 무게 중심이 중앙부에서 후단측으로 편위된 위치에 있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파력 발전 장치.
  6.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유체 이송수단(900)은 상기 압력유체 발생수단의 토출구에 연결되어 상기 지주부재(310)의 중공관체부(320) 상단에 연결되는 압력유체 이송호스(910)와, 상기 프레임(100)과 상기 터빈 사이에 연결되는 주이송관(950)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파력 발전 장치.
  7. 제2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유체 이송수단(900)을 구성하는 관로의 도중에는 압력유체의 맥동현상을 완화하기 위한 서지탱크(960)가 설치되고, 상기 주이송관(950)은 그 상단이 프레임(100)보다 상부로 연장되어 폐쇄되며 그 상단부근에는 가버너 스필 밸브(970)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력 발전 장치.
KR1019960011790A 1996-04-18 1996-04-18 파력 발전 방법 및 그 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1002546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11790A KR100254657B1 (ko) 1996-04-18 1996-04-18 파력 발전 방법 및 그 장치
GB9619566A GB2312253B (en) 1996-04-18 1996-09-19 Method for generating electric power using a wave force
GB9828828A GB2331333B (en) 1996-04-18 1996-09-19 Apparatus for generating electric power using wave force
US08/710,848 US5854516A (en) 1996-04-18 1996-09-23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electric power using wave force
AU65794/96A AU704096B2 (en) 1996-04-18 1996-09-23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electric power using wave force
CA002186397A CA2186397C (en) 1996-04-18 1996-09-24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electric power using wave force
NZ299450A NZ299450A (en) 1996-04-18 1996-09-25 Generating electric power from ocean waves by converting linear movement of buoys to rotational movement
RU96120070/06A RU2146774C1 (ru) 1996-04-18 1996-09-25 Способ генерирования электроэнергии, использующий энергию волн,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NO964145A NO964145L (no) 1996-04-18 1996-09-30 Fremgangsmåte og anordning for produksjon av elektrisk kraft med bölge-kraft
ZA968198A ZA968198B (en) 1996-04-18 1996-09-30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electric power using wave force
ARP960104708A AR003860A1 (es) 1996-04-18 1996-10-11 Un metodo y un aparato para generar energia electrica usando la fuerza de las ola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11790A KR100254657B1 (ko) 1996-04-18 1996-04-18 파력 발전 방법 및 그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70546A KR970070546A (ko) 1997-11-07
KR100254657B1 true KR100254657B1 (ko) 2000-05-01

Family

ID=194560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11790A Expired - Fee Related KR100254657B1 (ko) 1996-04-18 1996-04-18 파력 발전 방법 및 그 장치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5854516A (ko)
KR (1) KR100254657B1 (ko)
AR (1) AR003860A1 (ko)
AU (1) AU704096B2 (ko)
CA (1) CA2186397C (ko)
GB (1) GB2312253B (ko)
NO (1) NO964145L (ko)
NZ (1) NZ299450A (ko)
RU (1) RU2146774C1 (ko)
ZA (1) ZA968198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8138B1 (ko) 2013-10-17 2014-03-25 장한선 부유물을 이용한 파력 발전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69764B1 (ko) * 1996-11-30 2000-10-16 심현진 풍력 발전 장치
DK174156B1 (da) 2000-04-03 2002-07-29 Henrik Frans Christensen Vind- og bølgeenergianlæg
US6647716B2 (en) 2000-06-08 2003-11-18 Secil Boyd Ocean wave power generator (a “modular power-producing network”)
US7127886B2 (en) * 2004-02-17 2006-10-31 William Sheridan Fielder Self-winding generator
US7352073B2 (en) * 2004-06-28 2008-04-01 Ames P Foerd Ocean wave energy converter having an improved generator and ballast control
US7452803B2 (en) * 2004-08-12 2008-11-18 Megica Corporation Method for fabricating chip structure
NO20043825A (no) * 2004-09-13 2005-12-12 Power Vision As Bølgekraftverk
US20060232074A1 (en) * 2005-04-18 2006-10-19 Mario Chiasson Apparatus for generating electric power using wave force
BRPI0616549A2 (pt) * 2005-08-17 2012-12-25 Seapower Pacific Pty Ltd aparelho para capturar energia de uma onda em um corpo de Água tendo uma superfÍcie de Água e bomba de reciprocidade
WO2007065717A1 (en) * 2005-12-08 2007-06-14 Theo Devaney Tidal stream energy conversion system
NO326269B1 (no) * 2007-01-30 2008-10-27 Ernst Johnny Svelund Innretning for utnyttelse av havbolgeenergi.
US7468563B2 (en) * 2007-02-21 2008-12-23 Joseph J Torch Ocean wave air piston
GB0710822D0 (en) * 2007-06-05 2007-07-18 Overberg Ltd Mooring system for tidal stream and ocean current turbines
US8664789B2 (en) * 2008-08-26 2014-03-04 Seabased Ab Wave-power unit
DE102009018196A1 (de) * 2009-04-22 2010-10-28 Scheller, Gudrun Charlotte Flächengebilde
US20110049899A1 (en) * 2009-08-26 2011-03-03 Colin Hoffman Air or liquid-driven alternator and electrical generator
KR101787563B1 (ko) * 2010-12-09 2017-10-17 시베이스드 아베 전기 에너지를 생산하고 공급하는 전기 기기 및 방법, 복수의 전기 기기를 포함하는 파력발전, 적어도 하나의 전기 기기를 포함하는 전기 네트워크 및 전기기기의 사용 방법
US8836157B2 (en) * 2011-05-26 2014-09-16 Hoang Luu Vo Power generation device
US20130140821A1 (en) * 2011-06-03 2013-06-06 ISC8 Inc. Wave Energy Capture System
US8614520B2 (en) * 2011-11-05 2013-12-24 Rohrer Technologies, Inc. Submergable sloped absorption barrier wave energy converter
US8810056B2 (en) 2011-09-20 2014-08-19 P. Foerd Ames Ocean wave energy converter utilizing dual rotors
CN102650256A (zh) * 2012-05-23 2012-08-29 西北工业大学 一种双发电机的浮箱式海浪发电装置
CN104775980B (zh) * 2012-11-23 2017-02-22 郑凤芹 一种磁悬浮摇摆无定子发电装置
RU2544541C1 (ru) * 2014-02-13 2015-03-20 Олег Иванович Квасенков Способ производства мороженого сливочного с яйцом (варианты)
JP6761904B2 (ja) * 2016-07-22 2020-09-30 ガオ シャンリーGAO, Xianle 波力発電装置
GB2553800B (en) 2016-09-14 2018-10-24 Energwave Nautilus Ltd Producing compressed air from ocean waves
MD1184Z (ro) * 2017-02-10 2018-03-31 Технический университет Молдовы Instalaţie de conversiune a energiei valurilor
WO2020008242A1 (en) * 2018-07-06 2020-01-09 Kaboodvandy Rad Modjtaba Combined point wave energy convertor
CN114834621B (zh) * 2022-04-25 2023-03-24 浙江省水利河口研究院(浙江省海洋规划设计研究院) 一种利用光波互补工作的无人艇
US12258931B1 (en) 2024-09-25 2025-03-25 Piper Media Inc. Wave power generator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515889A (en) * 1967-08-14 1970-06-02 Lamphere Jean K Power generation apparatus
US3970415A (en) * 1975-04-10 1976-07-20 Kaj Widecrantz One way valve pressure pump turbine generator station
GB1507916A (en) * 1975-04-28 1978-04-19 Wavepower Ltd Apparatus for extracting energy from wave movement of water
US4013382A (en) * 1975-10-14 1977-03-22 Diggs Richard E Wave power apparatus supported and operated by floats in water
US4023515A (en) * 1975-12-08 1977-05-17 American Cyanamid Company Floating wave powered pump
US4092828A (en) * 1976-05-10 1978-06-06 Garza Roberto M Hydroelectric plant
US4163633A (en) * 1976-12-01 1979-08-07 Vriend Joseph A Apparatus for producing power from water waves
GB1575219A (en) * 1977-08-05 1980-09-17 Williams Inc Power generator for generating power from waves
US4248044A (en) * 1978-05-15 1981-02-03 Woodilla Marvin F Apparatus for wave power generation utilizing large mass dynamic energy absorption
US4241579A (en) * 1978-09-14 1980-12-30 Hydrodynamic Energy Systems Corporation Apparatus for producing electrical energy from multidirectional water wave action
US4560884A (en) * 1979-07-16 1985-12-24 Whittecar William C Wave power energizer
FR2465896A1 (fr) * 1979-09-19 1981-03-27 Martinez Ortega Ignacio Appareil pour la captation de l'energie hydraulique des vagues de la mer
US4408454A (en) * 1980-07-21 1983-10-11 Sea Energy Corporation Fluid coupled wave generator array with subsea structure
DE3115491A1 (de) * 1981-04-16 1982-11-04 Bernhard 6800 Mannheim Jöst Kombinierte wind- und wellen-nutzungsanlage
JPS5970887A (ja) * 1982-10-15 1984-04-21 Takahiko Masuda 浅海の敷設に好適な波力発電ブイ
US4568836A (en) * 1983-02-08 1986-02-04 Reenberg Howard R Ocean wave electric generators
US4622473A (en) * 1984-07-16 1986-11-11 Adolph Curry Wave-action power generator platform
JPS61129476A (ja) * 1984-11-26 1986-06-17 Tohoku Electric Power Co Inc 空気流逆止水弁装置
JPS6241974A (ja) * 1984-11-30 1987-02-23 Koichi Nishikawa 波力発電装置
US4684815A (en) * 1986-01-10 1987-08-04 Gary Gargos Power plant driven by waves
JPS6380078A (ja) * 1986-07-07 1988-04-11 ヒユン ジン シム 波力発電方法及び装置
KR880001911A (ko) * 1986-07-07 1988-04-27 심현진 파력발전방법 및 그 장치
US4781023A (en) * 1987-11-30 1988-11-01 Sea Energy Corporation Wave driven power generation system
JPH02112516A (ja) * 1988-10-21 1990-04-25 Takenaka Doboku Co Ltd 波浪エネルギー吸収装置
US5311064A (en) * 1991-08-19 1994-05-10 Bogumil Kumbatovic Equipment to extract ocean wave power
US5359229A (en) * 1993-08-06 1994-10-25 Youngblood George M Apparatus for converting wave motion into electrical energy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8138B1 (ko) 2013-10-17 2014-03-25 장한선 부유물을 이용한 파력 발전장치
WO2015056903A1 (ko) * 2013-10-17 2015-04-23 장한선 부유물을 이용한 파력 발전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GB2312253A (en) 1997-10-22
GB9619566D0 (en) 1996-10-30
ZA968198B (en) 1997-08-27
NZ299450A (en) 1998-12-23
NO964145D0 (no) 1996-09-30
AU6579496A (en) 1997-10-23
US5854516A (en) 1998-12-29
CA2186397C (en) 2000-12-05
CA2186397A1 (en) 1997-10-19
NO964145L (no) 1997-10-20
KR970070546A (ko) 1997-11-07
RU2146774C1 (ru) 2000-03-20
AR003860A1 (es) 1998-09-09
GB2312253A8 (en) 1998-08-17
AU704096B2 (en) 1999-04-15
GB2312253B (en) 2000-07-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54657B1 (ko) 파력 발전 방법 및 그 장치
EP0526604B1 (en) Wave energy generator
EP2232059B1 (en) Tidal flow power generation
US8737558B2 (en) System and method for storing energy
US8614523B2 (en) Turbine assembly
JP5118138B2 (ja) ベンチュリ・ポンプとして作用するパイプを用いた波又は流れの流動からエネルギーを変換する装置
US20090121486A1 (en) Tidal Power System
US8662792B2 (en) Seat portion structure for a hydraulic turbine engine
EP1366287A1 (en) Apparatus for production of energy from currents in bodies of water, a foundation, and a method for the installation of the apparatus.
GB2396666A (en) Marine turbine support structure with vertically displaceable mounting arrangement
EP2516843A1 (en) Device of a power plant
CN102947582A (zh) 海浪发电设备
RU96120070A (ru) Способ генерирования электроэнергии, использующий энергию волн,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KR20150041152A (ko) 파력에너지 변환장치
EP4123168A1 (en) Offshore wind turbine with a fluid supply assembly
KR20170114271A (ko) 파력 발전 시스템과 파력 발전 시스템의 운영 및 유지관리 방법
JP6721886B2 (ja) 浮体支持軸の軸構造および該浮体支持軸の軸構造を備えた水上発電装置
KR100221980B1 (ko) 파력 발전 방법 및 그 장치
US20230323849A1 (en) An Improved Apparatus And Method For Extracting Energy From A Fluid
JPH11159435A (ja) 波力発電方法及びその装置
GB2331333A (en) Wave power device using buoys anchored to the sea bed
CA2694150A1 (en) The helical pathway system and method for harvesting electrical power from water flows using oval helical turbines
US20250003381A1 (en) Tidal power generating apparatus using tide-inducing hydraulic pipeline and tidal power pipeline turbine
JP7569003B2 (ja) 柱状型浮体、柱状型浮体立起こしシステム、及び柱状型浮体立起こし方法
GB2335006A (en) Apparatus for harnessing tidal pow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60418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60711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19960418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199905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91102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0020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0020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204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3020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0701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