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252138B1 - 연료 이송 튜브용 원격 폐쇄 장치 - Google Patents

연료 이송 튜브용 원격 폐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52138B1
KR100252138B1 KR1019960059230A KR19960059230A KR100252138B1 KR 100252138 B1 KR100252138 B1 KR 100252138B1 KR 1019960059230 A KR1019960059230 A KR 1019960059230A KR 19960059230 A KR19960059230 A KR 19960059230A KR 100252138 B1 KR100252138 B1 KR 1002521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ng
latch
cover
groove
transfer tub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Lifetim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592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40097A (ko
Inventor
프랜시스 엑스 맥도널드
스캇 에이 캔더릭
에드워드 에프 라모리욱
피트 레옴브루니
에드워드 쥐 시리카
프랭크 제이 포마넥
Original Assignee
벨 주니어 로버트 에스.
에이비비 컴버스쳔 엔지니어링 뉴클리어 파워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벨 주니어 로버트 에스., 에이비비 컴버스쳔 엔지니어링 뉴클리어 파워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벨 주니어 로버트 에스.
Priority to KR10199600592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52138B1/ko
Publication of KR199800400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400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521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52138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Lifetim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CNUCLEAR REACTORS
    • G21C19/00Arrangements for treating, for handling, or for facilitating the handling of, fuel or other materials which are used within the reactor, e.g. within its pressure vessel
    • G21C19/18Apparatus for bringing fuel elements to the reactor charge area, e.g. from a storage plac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30/00Energy generation of nuclear origin
    • Y02E30/30Nuclear fission reacto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lasma & Fu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Gasket Seals (AREA)

Abstract

원자력 발전소 연료 이송 튜브 용 원격 폐쇄 장치(10)는 밀봉링으로서의 축소링(20)과 커버 어셈블리(60)로 구성된다. 축소링(20)은 이송 튜브 하우징 플랜지(12)에 볼트 체결된다. 척 키의 회전은 폐쇄 래치(78)를 축소링(20)상의 홈(40) 안으로 이송시키는 커버 어셈블리 상에서 조(jaw)를 전진시킨다. 각 래치(78)의 상부 표면(80)은 홈(40)의 경사면(42)에 물리도록 경사면(82)을 갖는다. 래치(78)가 홈의 경사면(42)과 결합할 때, 전체 커버 어셈블리(60)가 축소링(20)을 향해 일정하게 끌려온다. 기계가공된 밀봉면(13, 30, 44, 68)과 O링(36, 74)은 이송 튜브 하우징 플랜지(12)와 밀봉링(20) 및 커버 어셈블리(60)와 밀봉링(20)사이에서 타이트하게 액체 및 에어 밀봉된다. 래치 어셈블리(64)안의 벨리블 스프링(86)은 래치(78)가 축소링(20)과 결합하고 다른 열 팽창 효과를 보상하는 래치 예압을 제공할 때 독립적으로 움직이게 되며, 커버 어셈블리(60)를 기계적 액츄에이터(62)가 하드스톱될 때 까지 회전시켜 간단하게 설치된다.

Description

연료 이송 튜브용 원격 폐쇄 장치
본 발명은 큰 직경 튜브용 패쇄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원자력 발전소의 연료 이송 튜브용 폐쇄 장치에 관한 것이다.
원자력 발전소 연료는 원자로 코어로 그리고 원자로 코어로부터 이송될 때 사람과 장비의 방사선 노출을 최소로 하기 위해서 반드시 물속에 담겨 있어야 한다. 연료는 원자로 내부장치로 그리고 내부장치로부터 연료 이송 튜브를 통하여 이송된다. 연료 이송 튜브는, 튜브가 활동적으로 사용되지 않을 때, 튜브의 내부 장치 측면에 막힌 플랜지 폐쇄장치를 이용하도록 디자인되고 설치된다. 상기 플랜지 폐쇄 장치는 폐쇄 장치를 튜브에 장착시키기위해 복수의 스터드와 너트를 이용한다. 폐쇄 장치의 설치는 막힌 플랜지가 스터드와 적절하게 배열되고 위치될 필요가 있다. 너트는 각 스터디상에 나사결합되고 예정된 값으로 토크된다. 상기 공정은 폐쇄 장치를 제거할때는 반대로 된다. 상기와 같은 절차는 시간이 소요되고 높은 작동 비용이 들며 사람에게 높은 방사선 누출을 가져온다.
게다가, 스터드와 너트는 너트가 설치되거나 스터드로부터 제거될 때 마모나 횡단 쓰레드(cross-threading)되게 된다. 손상된 스터드는 폐쇄 장치의 적절한 밀봉을 위해 교환해야만하며 이것은 추가적인 작동 비용과 사람의 방사선 노출을 가져온다.
본 발명의 목적은 원자력 발전소 연료 이송 튜브용의 새롭고 개선된 폐쇄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보다 적은 설치 시간이 소요됨으로서 작동 비용을 줄이고 사람의 방사선 노출을 줄여주는 새롭고 향상된 원자력 발전소 연료 이송 튜브용 폐쇄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원격 수단으로 설치함으로서 사람의 방사선 노출을 줄여주는 새롭고 향상된 원자력 발전소 연료 이송 튜브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목적은 작동하는데 필요한 너트/스터드를 줄여줌으로서 작동 비용과 사람의 방사선 노출을 줄여주는 새롭고 향상된 원자력 발전소 연료 이송 튜브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은 도면 및 명세서에 의해 명확해 질 것이다.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용 원격 폐쇄 장치의 사시도.
제2도는 제1도의 폐쇄 장치의 확대 정면도.
제3도는 제2도의 3-3 라인을 따른 제1도의 폐쇄 장치의 확대 단면도.
제4도는 제3도의 A 부분의 확대도.
제5도는 제2도의 5-5 라인을 따른 래치 어셈블리의 확대 단면도.
제6도는 제5도의 래치 어셈블리의 부분 단면도.
제7도는 제1도의 오퍼레이터 폴의 확대도.
제8도는 제2도의 8-8 라인을 따른 커버 어셈블리 리프팅 러그와 리프팅 플레이트의 확대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4 : 스터드 15 : 너트
20 : 축소 링 28 : 오리피스
30 : 뒷면 32, 34 : 원주형 밀봉홈
36 : O링 40 : 결합홈
60 : 커버 어셈블리 64 : 래치 어셈블리
66 : 커버 플레이트
본 발명에 따른 폐쇄 장치는 축소링과 커버 어셈블리로 구성된다. 축소링은 최초 장비 스터드 및 너트를 이용하여 이송 튜브 하우징 플랜지에 볼트 체결된다. 축소링의 뒷면은 스무스하게 기계가공되고 이송 튜브 하우징 플랜지에 밀봉을 제공하기위해 한쌍의 원주형 밀봉홈에 배치된 O링을 갖는다. 축소링은 원주형 결합홈을 갖는 측면으로 향한 표면을 갖는다.
커버 어셈블리는 커버 플레이트, 기계적 액츄에이터 및 8개의 래치어셈블리를 갖는다. 커버 플레이트의 뒷면은 스무스하게 기계가공되고 축소링상에서 앞 밀봉면과 밀봉되도록 한쌍의 원주형 밀봉홈에 배치된 O링을 갖는다. 척 키의 회전은 폐쇄 래치를 축소링 결합홈 안으로 이송시키는 8개의 조(jaw)를 전진시키거나 후진시킨다. 각 래치의 상부 표면은 결합홈의 경사면에 대응하는 경사면을 갖는다. 래치가 결합홈 경사면에 결합할때, 전체 커버 어셈블리는 축소링을 향해 균일하게 끌려당겨지고, O링을 압축해 밀봉을 형성한다.
각각의 폐쇄 래치 어셈블리는 래치와 벨리블 스프링으로 구성된다. 벨리블 스프링은 몇개의 중요한 기능을 수행한다. 첫째로, 스프링은, 래치가 축소링에 결합할 때, 래치가 독립적으로 움직이도록 한다. 이것은 커버 어셈블리의 자기중심 잡기 기능을 향상시키며, 한개 또는 두개의 래치가 먼저 결합하고 액츄에이터를 정지시켜 다른 래치가 소정의 놓여지는 힘에 도달하는 것을 막는 상황을 배제시킨다. 둘째로, 벨리블 스프링은 다른 열팽창을 보상하기 위해서 래치 예압을 제공한다. 마지막으로는, 벨리블 스프링의 스프링 상수는 눈금있는 토크 렌치의 필요성을 제거하고 기계적 액츄에이터가 하드스톱 될때까지 회전시킴으로서 커버 어셈블리를 간단히 설치할 수 있게하는 행정(travel)과 하중 처짐 곡선(1oad deflection curve)를 갖도록 디자인된다.
본 발명에 따른 폐쇄 장치는 크레인과 같은 유용한 플랜트 장비를 사용하여 원격에서 설치되고 제거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원격 작동은 사람의 방사선 누출을 크게 감소 시킨다.
숫자로 각 부분을 나타낸 도면과 함께, 본 발명에 따른 연료 이송 튜브 빠른 폐쇄 장치가 숫자 10으로 나타나고 있다. 폐쇄 장치는 축소링(20)과 커버어셈블리(60)로 구성된다.
도 1, 3, 및 4에 축소링(20)이 최초 장비 스터드(14)와 너트(15)를 이용하여 이송 튜브 하우징 플랜지(12)에 볼트 체결된다. 최초 장비가 손상되었을 경우 새로운 스터드와 너트가 이용된다. 링(20)은 외부, 중간부 및 내부(22, 24, 26)로 구성된다. 외부(22)에는 장착되는 스터드(14)를 수용하기도록 복수의 오리피스(28)를 갖는다. 외부(22)의 뒷면(30)은 이송 튜브 하우징 플랜지(12)의 앞면에서 장착 표면인 밀봉면(13)에 스무스한 밀봉이 되도록 기계가공된다. 축소링 외부(22)의 뒷면(30)은 제 1 및 제 2 원주형 밀봉 홈(32,34)을 갖는다. 한쌍의 EPDM O링(36)이 밀봉 홈(32, 34)에 배치된다. O링(36)은, 너트(15)가 장착된 스터드(14)상에서 조여질 때, 압축되어 밀봉부를 형성한다. 중간부(24)는 원주형 결합홈(40)을 갖는 측방향(내향 반경방향으로)표면(38)인 동심 환형 앞면을 갖는다. 결합홈(40)의 경사면(42)은 그것의 하부 폭이 상부 폭 보다 작은 경사면을 갖는다. 내부(26)는 기계가공된 표면을 가지는 앞 밀봉면(44)인동심 환형 앞면을 갖는다. 내부(26)의 앞 밀봉면(44)은 이송 튜브 하우징 플랜지(12)의 밀봉면(13)과 실제적으로 동일 평면(즉, 수직으로 배열된)이다.
도 2, 도 3, 및 도 4와 관련하여, 커버 어셈블리(60)는 2인치 두께(1.99 cm)의 커버 플레이트(66), 기계적 액츄에이터(62) 및 8개의 래치 어셈블리(64)로 구성된다. 커버 플레이트(66)의 뒷면(68)은 기계가공되고 제 1 및 제2의 환형의 밀봉홈(70, 72)을 갖는다. 한 쌍의 EPDM O링은 밀봉홈(70, 72)안에 배치된다. 척 키의 회전은 폐쇄 래치(78)를 축소링 중간부(24) 안의 결합홈(40)안으로 이송시키는 8개의 조를 전진 및 후퇴 시킨다. 각 래치(78)의 상부표면(80)은 결합홈(40)의 경사면(42)에 해당하는 경사면을 갖는다. 래치(78)가 결합홈 경사면(42)과 결합함으로서, 전체 커버 어셈블리(60)는 축소링 내부(26)의 앞 밀봉면(44)을 향해 균일하게 끌려오고, 밀봉을 위해 O링(74)을 압축한다.
기계적 액츄에이터(62)는 선반과 다른 기계장치들에서 보통 사용되는 스크롤 조 척(scroll jaw chuck)과 유사한 메커니즘이다. 액츄에이터(62)는 일반적으로 일측에서 사각 스크롤 나사와 타측에서 헬리컬 기어를 가진 베어링지지체 상의 스크롤 플레이트로 구성된다. 그 경로내에 함유된 조는 상기 스크롤 나사와 접촉하는 치형부를 통하여 스크롤 판 회전과 함께 반경방향으로 변형된다. 플레이트는 필요한 기어를 통해 스크롤 플레이트에 맞물리는 척키를 회전시킴으로서 회전된다. 척 키는 오프셋 드라이브 기어박스(84)에 연결된다. 기어박스(84)는 척의 원격 작동을 위해 편리한 지점에 키를 위치시킨다. 기어 축소는 원격 폴(100)로 척을 작동 시키기 위한 토크를 최소화시킨다.
각 폐쇄 래치 어셈블리(64)는 래치(78), 결합 부재(87) 및 벨리블 스프링(86)으로 구성된다. 각 래치(78)는 안내부(88)에 의해 유지되며, 슬라이드 플레이트(90)를 거쳐 커버 플레이트(66)에 의해 지지된다. 래치(78)는 17-4 Ph스틸 또는 유사한 재료로 구성된다. 슬라이드 플레이트(90)는 우수한 내마멸성 및 낮은 마찰 계수 성질을 갖는 니트로닉 60 스틸 또는 유사한 재료로 구성된다. 각 래치(78)의 경사면(82)은 축소링 결합홈(40)의 경사면(42)에 맞도록 기계가공된다. 래치 경사면(82)은 갤링(galling)을 방지하고 마모를 최소로 하기 위하여 크롬 도금을 한다. 각 래치(78)는 막힌 축 보어(89)을 갖는다. 결합 부재(87) 및 벨리블 스프링(86)은 막힌 보어(89)안에 하우징된다. 결합 부재(87)는 제 1 단부의 직경이 제 2 단부의 직경보다 큰 제 1 및 제 2 단부(97, 93)를 가지며, 상기 제 1 및 제 2 단부(97, 93)는 견부(91)를 규정한다. 벨리블 스프링(86)은 결합 부재(87)의 제 2 단부(93) 주위에 배치되며, 결합 부재 견부(91)와 막힌 보어(89)의 벽 단부(96)에 접하여 지지된다. 벨리블 스프링(86)은 결합 부재(87)의 제 1 단부(97)를 막힌 보어(87) 외부로 그리고 액츄에이터(62)에 결합되게 바이어스시킨다.
벨리블 스프링(86)은 몇몇 중요한 설계 기능을 수행한다. 첫째로, 스프링(86)은 래치(78)가 축소링(20)에 결합할 때 까지 독립적으로 움직이게 한다. 이것은 커버 어셈블리(60)의 자기 중심 설정 기능을 향상시키며 한개 또는두개의 래치가 먼저 결합하고 액츄에이터를 정지시켜 다른 래치가 소정의 놓여지는 힘에 도달하는 것을 방해하는 상황을 배제시킨다. 벨리블 스프링(86)은 상기 타입의 보다 작은 디자인에는 필요없다. 둘째로, 벨리블 스프링(86)은 다른 열 팽창 효과를 보상하는 래치 예압을 제공한다. 정상 조건에서는 설치와 플랜트 작동 사이의 온도에는 중요한 변화가 없다. 그러나, 187.78℃(370℉)에서 냉각제 손실/주 스팀 라인 파괴 조건에서는, 스프링 요소가 존재하지 않는다면, 이송 튜브 하우징 플랜지와 유지링의 직경 팽창은 설치 예압에 약간의 손실을 가져온다. 마지막으로는, 벨리블 스프링의 스프링 상수는, 기계적 액츄에이터가 하드스톱 될 때 까지 그것을 회전 시킴으로서, 커버 어셈블리가 간단히 설치될 수 있게 하는 하중 처짐 곡선과 행정으로 설계된다. 따라서, 눈금있는 토크 렌치가 필요없다. 각 벨리블 스프링(86)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일 스프링 또는 래치 어셈블리(64) 안에서 시리즈 또는 평행한 복수의 스프링으로 구성된다.
축소링(20)은 튜브 하우징 플랜지(12)와 커버 어셈블리(60)를 도 4에 도시된 바와같이 축소링(20) O링 세트(36, 74)에 이송시키기 위해 축소링(20)을 테스팅하는 플러그 수단으로서의 누출 연결부(46, 48)를 갖는다. 축소링 외부(22)의 뒷면(30)은 제 1 및 제 2의 환형 밀봉홈(32, 34)의 중간에 위치한 환형 테스트홈(50)을 갖는다. 축소링 내부(26)의 앞 밀봉면(44)은, 커버 어셈블리(60)가 설치될 때 커버 플레이트 뒷면(68) 상의 제 1 및 제 2의 밀봉홈(70, 72)의 중간에 위치된 환형 테스트홈(52)을 갖는다. 축소 링 뒷면의 테스트홈(50) 및 밀봉면의 테스트홈(52)은 내부 막힌 보어(54, 55, 57, 58)를 거쳐 누출 연결부(46, 48)와 유체 연통된다. 튜브 하우징(12) 밀봉체와 커버 어셈블리(60)를 축소링(20) 밀봉체에 이송시키기 위하여 축소링(20)은 누출 연결부(46, 48), 보어(54) 및 테스트홈(50, 52)을 경유하여 누출 테스트를 받는다.
커버 어셈블리(60)는 빠르게 설치되어 작동 비용을 줄이고 사람의 방사선 노출을 최소화 시킨다. 축소링(20)은 영구적으로 설치된다. 설치 절차는 최초 장비 폐쇄의 그것과 실제적으로 동일하다. 커버 어셈블리(60)용 O링(74)은 커버 어셈블리의 각각의 설치 이전에 교체된다. 설치이전에, 래치(78)는 완전히 후진된 위치에 있게된다.
크레인(도시 안된)과 운송 수단으로서의 리프팅 플레이트(110)가 커버 어셈블리(60)를 위치결정하기 위해 이용된다. 리프팅 플레이트(110)는 커버어셈블리(60)상의 러그(92)와 결합하는 슬롯(112)을 포함한다. 리프팅 플레이트(110)는 축소링(20)을 깨끗히 하기 위하여 그리고 커버 어셈블리(60)의 중력중심 라인과 일렬로 픽 포인트를 위치잡기 위해 이격된다. 리프팅 라인(도시안됨)은 리프팅 플레이트(110)의 최상부 중심에 연결된다. 택 라인(120)은 리프팅 플레이트(110) 밖의 단부에 연결된다.
커버 어셈블리(60)는 폐쇄 플레이트 안내부 종동절(94)이 축소링 종동절 안내부(56)에 접촉할때 까지 크레인에 의해서 상승 및 하강한다. 커버 어셈블리(60)의 안내는 택 라인(120)을 사용함으로서 수행된다. 한번 중심을 잡으면, 크레인은 커버 어셈블리(60)가 축소링(20) 안으로 이송할때 까지 후진된다.
한번 위치를 잡으면, 오퍼레이터 수단으로서의 원격 폴(100)은 액츄에이터 메커니즘(62)을 회전시키는데 이용된다. 폴(100)은 브릿지 난간 및 안전끈에 연결된 방진구/지지대(도시 안됨)를 갖는다. 폴(100)은 안내 깔때기(104)가 기계적 액츄에이터 육각 너트(63)위에 위치될 때 까지 수작업에 의해 하강된다. 리프트 플레이트(110)안의 도려내기부(114)는 안내 깔때기(104)를 안내하는 역활을 함으로서 상기 작동을 용이하게 한다.
액츄에이터(62)는 그때 폴(100)을 사용하여 회전된다. 래치(78)의 외부방향 이송은 래치(78)를 유지링 결합홈(40)과 결합시켜, 커버 어셈블리(60)를 위치로 끌어당긴다. 폴의 회전은 폴의 예정된 회전수와 관련되는 하드스톱까지 계속된다. 어셈블리(60)는 결합표면의 적합한 밀봉여부를 확실히 하기 위하여 누출 테스트를 받는다.
커버 어셈블리(60)는 상기 절차를 거꾸로 함으로서 제거된다. 리프팅플레이트(110)는 하강되고 커버 러그(92)상에 결합된다. 크레인은 스프링 행거가 커버 중량과 동일한 하중을 받도록 조정된다. 래치는 그때 풀어진다. 축소링(20)으로 부터 크레인의 외부 이송은 이송을 위해 커버 어셈블리(60)를 풀어준다.
지금까지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가 도시되고 기술되었지만 본 기술분야의 기술자에 의해 본 발명의 정신 및 영역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개조와 변형이 가능한 것으로 이해된다.
본 발명의 효과는 원자력 발전소 연료 이송 튜브용의 새롭고 개선된 폐쇄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효과는 보다 적은 설치 시간이 소요됨으로서 작동비용을 줄이고 사람의 방사선 노출을 줄여주는 새롭고 향상된 원자력 발전소 연료 이송 튜브용 폐쇄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효과는 원격 수단으로 설치함으로서 사람의 방사선 노출을 줄여주는 새롭고 향상된 원자력 발전소 연료 이송 튜브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효과는 작동하는데 필요한 너트/스터드를 줄여줌으로서 작동 비용과 사람의 방사선 노출을 줄여주는 새롭고 향상된 원자력 발전소 연료 이송 튜브를 제공하는데 있다.

Claims (26)

  1. 장착 표면(13)과 이로부터 돌출되며 나사산이 형성된 복수의 장착 스터드(14)를 갖는 연료 이송 튜브용 원격 폐쇄 장치(10)에 있어서,
    제 1 및 제 2 동심 환형 앞면인 제 1 및 제 2 표면(38, 44), 상기 연료 이송 튜브 장착 표면(13)에 접하는 뒷면인 제 3표면(30)을 가지는 구조적 부재와, 상기 이송 튜브 스터드(14)를 수용하는 복수의 오리피스(28)를 포함하는 링 수단(20)으로서, 상기 제 1 표면(38)이 경사면(42)을 가지는 환형 홈(40)을 가지는 상기 연료 이송 튜브상에 장착된 링 수단(20)과,
    상기 제 3 표면(30)이 상기 장착 표면(13)에 밀봉되게 접하도록 상기 링 수단(20)을 상기 이송 튜브에 고정시키기 위한 상기 연료 튜브 스터드(14)상에 장착된 복수의 너트 수단(15)과,
    상기 링 수단(20)상에 장착가능한 커버 수단(60)으로서, 상기 커버 수단(60)은 앞면 및 뒷면(68)을 가지는 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커버 뒷면(68)은 상기 커버 수단(60)이 상기 링 수단(20)에 장착될 때 상기 링 수단 제 2 표면(44)에 밀봉되게 접하고, 상기 커버 수단(60)은 그 위에 장착된 래치 수단(64)과 래치되지 않은 위치로부터 래치된 위치까지 상기 래치 수단(64)를 이동시키는 래치 액츄에이터 수단(62)을 가지며, 상기 래치 수단(64)은 상기 래치된 위치에 있을 때 상기 링 수단 제 1 표면(38)의 상기 홈(40)과 결합되는 커버수단(60)을 포함하는 원격 폐쇄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 수단(64)은 복수의 래치(78)를 포함하며, 각각의 상기 래치(78)는 경사면을 가지는 제 1 단부를 포함하며, 상기 래치 제 1 단부의 경사면(82)이 상기 홈 경사면(42)을 지지함으로서 상기 래치수단이(64) 상기 래치된 위치로 이송될때 상기 커버 수단 뒷면(68)은 상기 링수단 제 2 표면(44)에 타이트하게 결합되게 끌어당겨지는 원격 폐쇄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래치 수단(64)은 상기 래치와 상기커버 앞면 사이의 마찰을 감소시키기 위한 수단을 추가적으로 포함하며, 상기 마찰 감소 수단이 슬라이드 플레이트(90)를 포함하며, 상기 슬라이드 플레이트(90)가 상기 래치(78)와 상기 커버 수단 앞면 사이에 배치된 원격 폐쇄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플레이트(90)는 니트로닉 60TM재료로 구성된 원격 폐쇄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각 래치(78)는 17-4 Ph 재료로 구성된 원격 폐쇄 장치.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링 제 1 표면(38)의 홈은 내향 반경방향으로 향하며, 각각의 상기 래치(78)는 각각이 반경방향으로 배향된 축을 따라 연장되며, 결합 부재(87) 및 스프링 수단(86)을 포함하며 상기 스프링 수단(86)은 상기 액츄에이터 수단(62)를 향해 상기 결합 부재(87)를 바이어스시키는 원격폐쇄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78)는 개방 단부를 가지는 막힌 축 보어(89), 결합부재(87) 및 상기 보어내에 배치된 스프링 수단(86)을 포함하며, 상기 보어(89)가 벽 단부(96)를 갖고, 상기 결합 부재가 제 1 단부(97)와 제 2단부(93)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단부(97)는 직경 D1을 갖고, 상기 제 2 단부(93)는 직경 D2를 가지며 D1이 D2보다 커서 D1과 D2가 견부(91)를 규정하며, 상기 스프링 수단(86)이 상기 결합 부재 제 2 단부(93) 주위에 배치되고, 상기 스프링 수단(86)이 상기 결합 부재 견부(91)에 맞닿는 제 1 단부와 상기 보어 벽 단부(96)에 맞닿는 제 2 단부를 가짐으로서 상기 결합 부재 제 1 단부(97)를 상기 액츄에이터 수단(62)과 접촉하도록 바이어스 시키는 원격 폐쇄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수단(86)은 벨리블 스프링을 포함하며, 상기 스프링은, 모든 상기 스프링 수단(86)이 완전히 압축되고 상기 액츄에이터 수단(62)이 하드스톱될 때 까지 상기 액츄에이터 수단을 작동 시킴으로서, 상기 래치 수단(64)이 상기 래치된 위치까지 이송되게하는 하중 처침 곡선과 행정을 가지는 원격 폐쇄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링 수단 제 3 표면(30)은 제 1, 제 2 및 제 3환형 훔(32, 34, 50)을 포함하는 원격 폐쇄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링 수단(20)은 상기 제 1 홈(32)에 장착된 제 1 O링과 상기 제 2 홈(34)에 장착된 제 2 O링(36)을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원격 폐쇄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수단 뒷면(68)은 제 1 및 제 2 홈(70, 72)을 포함하는 원격 폐쇄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수단은 상기 제 1 홈(70)에 장착된 제1 O링과 상기 제 2 홈(72)에 장착된 제 2 O링(74)을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원격 폐쇄 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링 수단 구조 부재는 제 1 막힌 보어(55)안에 배치된 제 4 환형 홈(52)과, 상기 링 수단 제 2 표면(44)을 추가적으로 포함하며, 상기 제 1 막힌 보어(55)가 상기 링 수단 제 4 홈(52)과 유체 연통되는 단부를 갖고, 제 2 막힌 보어(58)가 상기 링 수단 제 3 홈(50)과 유체 연통되는 단부를 갖고, 제 3 및 제 4 막힌 보어(54, 57)가 상기 상기 제 1 및 제 2 막힌 보어(55, 58)와 유체 연통되고 상기 제 3 및 제 4 막힌 보어(54, 57)의 각각이 상기 개방 단부안에 배치된 플러그 수단(46, 48)과 개방 단부를 갖는 원격 폐쇄 장치.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액츄에이터 수단(62)을 작동하기 위해 상기 액츄에이터 수단(62)과 결합가능한 오퍼레이터 수단(100)을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원격 폐쇄 장치.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수단(60)을 운송하기 위해 상기 커버수단(60)과 결합가능한 운송 수단(110)을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원격 폐쇄 장치.
  16. 환형 장착 표면(13)을 갖는 연료 이송 튜브용 원격 폐쇄 시스템(10)에 있어서,
    연료 이송 튜브상의 링 수단(20)으로서, 상기 링 수단(20)은 제 1 및 제 2 앞면인 제 1 및 제 2 표면(38, 44)과 뒷면인 제 3 표면(30)을 가지는 축소 링 형상의 구조적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표면(38)은 환형 홈(40)을 가지며, 상기 홈은 경사면(42)를 가지며, 상기 제 2 앞면(44)은 상기 튜브내에 위치되는 링 수단(20)과,
    상기 이송 튜브의 장착 표면(13)에 상기 링 수단(20)을 고정하는 너트 수단(15)과,
    상기 링 수단(20)상에 장착가능한 커버 수단(60)으로서, 상기 커버 수단(60)은 앞면 및 뒷면(68)을 가지는 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커버 수단(60)이 상기 링 수단(20)상에 장착될 때 상기 커버 뒷면(68)은 상기 링 수단 제 2 표면(44)과 결합되며, 상기 커버 수단(60)은 상기 커버 수단 앞면상에 단단하게 장착된 래치 수단(64)과 래치되지 않은 위치로부터 래치된 위치까지 상기 래치 수단(64)을 이동시키는 액츄에이터 수단(62)을 추가적으로 포함하며, 상기 래치 수단(64)은 복수의 래치(78)를 포함하고, 각각의 상기 래치(78)는 경사면(82)을 가지는 제 1 단부를 가지며, 상기 래치 제 1 단부의 경사면(82)은 상기 홈 경사면(42)과 접하므로, 상기 래치 수단(64)이 상기 래치된 위치로 이동될 때, 상기 커버 수단 뒷면(68)은 상기 링 수단 제 2 표면(44)과 단단하게 결합되도록 끌어당겨지는 커버 수단(60)과,
    상기 액츄에이터(62)를 원격으로 작동하기 위하여 상기 액츄에이터 수단(62)과 결합가능한 오퍼레이터 수단(100)과,
    상기 링 수단(20)과 일렬로 상기 커버 수단(60)을 위치시키기 위하여 상기 커버 수단과 결합가능한 운송 수단(110)을 포함하는 원격 폐쇄 장치.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각 래치(78)가 개방 단부 및 벽 단부(96)를 갖는 막힌 축 보어(89)와 축을 규정하며, 상기 각 래치(78)가 상기 보어(89)안에 배치된 스프링 수단(86)과 결합 부재(87)를 포함하며, 상기 결합 부재(87)가
    제 1 단부(97) 및 제 2 단부(93)를 갖고, 상기 제 1 단부(97)가 직경 D1을 갖고, 상기 제 2 단부(93)가 직경 D2를 갖고 D1이 D2 보다 커서 D1 및 D2가 견부(91)를 형성하고, 상기 스프링 수단이 상기 결합 부재 제 2 단부(93) 주위에 배치되며, 상기 스프링 수단(86)은 상기 결합 부재 견부(91)에 맞닿은 제 1 단부 및 상기 보어 벽 단부(96)에 맞닿은 제 2 단부를 가져, 상기 스프링 수단(86)이 상기 결합 부재 제 1 단부(97)를 상기 보어 개방 단부 밖으로 밀어내 상기 액츄에이터 수단(62)과 결합하게 바이어스시키는 원격 폐쇄 장치.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수단(86)은 벨리블 스프링을 포함하며, 상기 스프링은 모든 상기 스프링 수단(86)이 완전히 압축되고 액츄에이터 수단(62)이 하드스톱 될 때 까지 상기 액츄에이터 수단(62)을 작동시켜 래치 수단(62)을 상기 래치된 위치로 이송시키는 왕복 운동과 하중 처짐 곡선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 원격 폐쇄 시스템.
  19.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링 수단 제 3 표면(30)이 제 1, 제 2 및,제 3의 환형 홈(32, 34, 50)을 포함하며, 상기 커버 수단 뒷면(68)이 제 1 및, 제2의 환형 홈(70, 72)을 포함하며, 상기 장치는 제 1, 제 2, 제 3 및 제 4의 O링을 추가적으로 포함하며, 상기 제 1 의 O링이 상기 O링 수단의 제 3 표면 제1 홈(32)에 장착되고, 상기 제 2 의 O링(36)이 상기 링 수단의 제 3 표면 제 2홈(34)예 장착되고, 상기 제 3 의 O링이 상기 커버 수단의 뒷면 제 1 홈(70)에 장착되고, 상기 제 4 의 O링(74)이 상기 커버 수단의 뒷면 제 2 홈(72)에 장착되는 원격 폐쇄 장치.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링 수단 구조적 부재는 상기 링 수단 제 2표면(44)에 배치된 제 4 환형 홈(52)과 제 1 막힌 보어(55)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며, 상기 제 1 막힌 보어(55)가 상기 링 수단 제 4 홈(52)과 유체 연통되는 단부를 갖고, 제 2 막힌 보어(58)가 상기 링 수단 제 3 홈(50)과 유체 연통되는 단부를 갖고, 제 3 및 제 4 막힌 보어(54, 57)가 상기 제 1, 제 2 막힌 보어(55, 58)와 유체 연통되며, 상기 제 3 및 제 4 막힌 보어(54, 57) 각각이 개방 단부 및 상기 개방 단부에 배치된 플러그 수단(46, 48)을 갖는 원격 폐쇄 장치.
  21. 장착 표면(13)과 이로부터 돌출되며 나사산이 형성된 복수의 장착 스터드(14)를 갖는 연료 이송 튜브 폐쇄 방법에 있어서,
    제 1 및 제 2 동심 환형 앞면인 제 1 및 제 2 표면(38, 44), 상기 연료 이송 튜브 장착 표면(13)에 겁하는 뒷면인 제 3 표면(30)을 가지는 구조적부재와, 상기 이송 튜브 스터드(14)를 수용하는 복수의 오리피스(28)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표면(38)이 경사면(42)를 가지는 환형 홈(40)을 가지는 링 수단(20)을 상기 이송 튜브 장착표면(13)상에 장착하는 단계와,
    각각의 상기 장착 스터드(14)상에 하나 이상의 너트를 나사 결합시켜 상기 제 3 표면(30)이 상기 장착 표면(13)에 밀봉되게 접하게 함으로서 상기 축소 링(20)을 상기 연료 이송 튜브 장착 표면(13)에 부착하는 단계와,
    상기 커버 어셈블리(60)는 앞면 및 뒷면(68)을 가지는 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커버 뒷면(68)은 상기 커버 어셈블리(60)가 상기 링 수단(20)에 장착될 때 상기 링 수단 제 2 표면(44)에 밀봉되게 접하고, 상기 커버 어셈블리(60)는 그 위에 장착된 복수의 래치(78)와 상기 래치(78)를 래치되지 않은 위치로부터 래치된 위치까지 이동시키는 래치 액츄에이터 수단(62)을 가지며, 각각의 상기 래치(78)는 경사면(82)을 가지는 제 1 단부를 포함하는 커버 어셈블리(60)를 상기 축소 링(20)의 앞에 위치시키는 단게와,
    상기 래치의 제 1 단부의 경사면(82)이 상기 홈 경사면(42)에 접하여 지지되고, 상기 홈 경사면(42)이 상기 축소 링 제 2 표면(44)에 단단하게 결합되도록 상기 커버 수단 뒷면(68)을 끌어당겨 상기 연료 이송 튜브가 완전하게 밀봉되도록, 상기 래치(78)를 래치되지 않은 위치로부터 래치된 위치까지이동시키기 위하여 상기 래치(78)을 액츄에이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연료 이송 튜브 폐쇄방법.
  22. 제 21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78)에 예압을 가하는 단계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며, 상기 래치(78)가 결합 부재(87)와 벨리블 스프링(86)을 갖고, 상기 스프링(86)은 래치(78)가 예정된 예압을 받을 때 결합 부재(87)를 액츄에이터 수단(62)과 결합하도록 바이어스 시키는 연료 이송 튜브 폐쇄방법.
  2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링 수단(20)이 상기 너트 수단(15)에 의해 상기 이송 튜브의 장착 표면(13)에 부착될 때, 상기 링 수단(20)은 상기 튜브내에 위치된 상기 제 2 앞면(44)을 가지는 축소 링인 원격 폐쇄 장치.
  24. 장착 표면(13)과 이로부터 돌출되며 나사산이 형성된 복수의 장착 스터드(14)를 갖는 원격 폐쇄 장치(10)에 있어서,
    상기 연료 이송 튜브상에 장착된 링 수단(20)으로서, 상기 링 수단(20)은 제 1 및 제 2 환형 앞면인 제 1 및 제 2 표면(38, 44)을 가지는 구조적 부재와 상기 이송 튜브 스터드(14)를 수용하는 복수의 오리피스(28)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표면(38)은 경사면(42)를 가지는 환형 홈(40)을 가지는 링 수단(20)과,
    상기 링 수단(20)을 상기 이송 튜브에 부착하기 위하여 상기 이송 튜브 스터드상에 장착된 복수의 너트 수단(15)과,
    상기 링 수단(20)상에 장착가능한 커버 수단(60)으로서, 상기 커버 수단(60)은 앞면 및 뒷면(68)을 가지는 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커버 뒷면(68)은 상기 커버 수단(60)이 상기 링 수단(20)에 장착될 때 상기 링 수단 제 2 표면(44)에 밀봉되게 접하고, 상기 커버 수단(60)은 그 위에 장착된 래치 수단(64)과 래치되지 않은 위치로부터 래치된 위치까지 상기 래치 수단(64)을 이동시키는 래치 액츄에이터 수단(62)을 가지며, 상기 래치 수단(64)은 상기 래치된 위치에 있을 때 상기 링 수단 제 1 표면(38)의 상기 홈(40)과 결합되는 커버수단(60)과,
    상기 액츄에이터 수단(62)를 수용하기 위하여 상기 액츄에이터 수단(62)과 결합가능한 오퍼레이터 수단(100)을 포함하는 원격 폐쇄 장치.
  25.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수단(60)을 이송하기 위하여, 상기 커버수단과 결합가능한 운송 수단(110)을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원격 폐쇄 장치.
  26. 장착 표면(13)과 이로부터 돌출되며 나사산이 형성된 복수의 장착 스터드(14)를 갖는 연료 이송 튜브용 원격 폐쇄 장치(10)에 있어서,
    상기 연료 이송 튜브상에 장착된 링 수단(20)으로서, 상기 링 수단(20)은 제 1 및 제 2 동심 환형 앞면인 제 1 및 제 2 표면(38, 44)을 가지는구조적 부재와 상기 이송 튜브 스터드(14)를 수용하는 복수의 오리피스(28)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표면(38)이 경사면(42)을 가지는 환형 홈(40)을 가지는 링수단(20)과,
    상기 링 수단(20)을 상기 이송 튜브에 고정시키기 위하여 상기 연료 튜브 스터드(14)상에 장착된 복수의 너트 수단(15)과,
    상기 링 수단(20)상에 장착가능한 커버 수단(60)으로서, 상기 커버 수단은 앞면 및 뒷면(68)을 가지는 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커버 뒷면(68)은 상기커버 수단(60)이 상기 링 수단(20)에 장착될 때 상기 링 수단 제 2 표면(44)에 밀봉되게 접하고, 상기 커버 수단(60)은 그 위에 장착된 래치 수단(64)과 상기 래치 수단(64)을 래치되지 않은 위치로부터 래치된 위치까지 이동시키는 래치 액츄에이터 수단(62)을 가지며, 상기 래치 수단(64)은 상기 래치된 위치에 있을 때 상기 링 수단 제 1 표면(38)의 상기 홈(40)과 결합되는 커버 수단(60)을 포함하며,
    상기 링 수단(20)은, 상기 링 수단(20)이 상기 이송 튜브의 장착 표면(13)에 상기 너트 수단(15)에 의해 부착될 때, 상기 튜브내에 위치된 상기 제 2 앞면(44)을 가지는 축소 링인 원격 폐쇄 장치.
KR1019960059230A 1996-11-29 1996-11-29 연료 이송 튜브용 원격 폐쇄 장치 Expired - Lifetime KR1002521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59230A KR100252138B1 (ko) 1996-11-29 1996-11-29 연료 이송 튜브용 원격 폐쇄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59230A KR100252138B1 (ko) 1996-11-29 1996-11-29 연료 이송 튜브용 원격 폐쇄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0097A KR19980040097A (ko) 1998-08-17
KR100252138B1 true KR100252138B1 (ko) 2000-04-15

Family

ID=194844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59230A Expired - Lifetime KR100252138B1 (ko) 1996-11-29 1996-11-29 연료 이송 튜브용 원격 폐쇄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5213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7454B1 (ko) * 2002-05-17 2004-09-13 주식회사 무진기연 원자력 발전소의 핵연료 이송 튜브용 블라인드 플랜지자동 개폐장치
KR100599817B1 (ko) * 2004-08-24 2006-07-14 주식회사 무진기연 핵연료 이송관용 블라인드 플랜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0097A (ko) 1998-08-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48709B2 (en) Fast blind plate switching device
US4519519A (en) Fuel transfer tube quick opening hatch
US4394022A (en) Mechanically expandable annular seal
EP0164524A1 (en) Boundary seal for vessel penetration
KR940001217B1 (ko) 해저 밸브용 작동기
US20220297859A1 (en) Radical latch interface system
US5625655A (en) Fuel transfer tube quick operating remote closure device
JPS62278492A (ja) 流体密接続部
CN111071500B (zh) 一种材料舱外暴露摩擦轮运动机构和在轨巡检装置
US20190063630A1 (en) Attachment structure for actuator-specific solenoid valve and actuator-equipped valve
KR100252138B1 (ko) 연료 이송 튜브용 원격 폐쇄 장치
US4678620A (en) Hatch assembly
JP2505614B2 (ja) キャスク開口のクロ―ジュア
GB2194314A (en) Valve testing
US4923219A (en) Quick coupling device for ducts
US7004045B2 (en) High thrust valve operator
US5375458A (en) Leak test fixture
US5513227A (en) Readily disconnectable nozzle arrangement for use with a nuclear reactor
US5400499A (en) Internal bushing removal tool
US6666230B1 (en) Pressure relief system with trigger activated valve
CN216112858U (zh) 升降装置、定位设备和腔室设备
JP3061344B2 (ja) 遠隔操作用脱着コネクタ
GB2251907A (en) Power actuated releasable connector for pressure containing bores
CN115199772B (zh) 一种常开式密封结构、真空隔离舱门、真空管道关闭方法
EP3794254A2 (en) Axial valve of the modular concept of construc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6112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61129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1999081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19990908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9102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0011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0011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3010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3123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123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1230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1229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103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107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1230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1229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1228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1227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27

Year of fee payment: 1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1227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30

Year of fee payment: 1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1230

Start annual number: 16

End annual number: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30

Year of fee payment: 1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1230

Start annual number: 17

End annual number: 17

EXPY Expiration of term
PC1801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