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251977B1 - 자동차용 발놀림 파킹 브레이크 및 이것에 사용되는 일방향 댐퍼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발놀림 파킹 브레이크 및 이것에 사용되는 일방향 댐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51977B1
KR100251977B1 KR1019920019089A KR920019089A KR100251977B1 KR 100251977 B1 KR100251977 B1 KR 100251977B1 KR 1019920019089 A KR1019920019089 A KR 1019920019089A KR 920019089 A KR920019089 A KR 920019089A KR 100251977 B1 KR100251977 B1 KR 1002519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mber
coil spring
circumferential surface
brake pedal
cylind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190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07740A (ko
Inventor
가쓰히코 야마모토
마사미쓰 고지마
가토가즈오
Original Assignee
구로이시 이쿠오
구로이시뎃고가부시끼가이샤
에구사 도시유키
오일레스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3311983A external-priority patent/JPH05229411A/ja
Priority claimed from JP4117948A external-priority patent/JPH05286425A/ja
Priority claimed from JP25751392A external-priority patent/JP3163780B2/ja
Application filed by 구로이시 이쿠오, 구로이시뎃고가부시끼가이샤, 에구사 도시유키, 오일레스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구로이시 이쿠오
Publication of KR9300077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77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519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51977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7/00Brake-action initiating means
    • B60T7/02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 B60T7/08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hand actuat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1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using liquid only; using a fluid of which the nature is immaterial
    • F16F9/12Devices with one or more rotary vanes turning in the fluid any throttling effect being immaterial, i.e. damping by viscous shear effect on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7/00Brake-action initiating means
    • B60T7/02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 B60T7/04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foot actuated
    • B60T7/045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foot actuated with locking and release means, e.g. providing parking brake applic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4/00Machine element or mechanism
    • Y10T74/20Control lever and linkage systems
    • Y10T74/20528Foot operat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4/00Machine element or mechanism
    • Y10T74/20Control lever and linkage systems
    • Y10T74/20576Elements
    • Y10T74/20636Detents
    • Y10T74/2066Fric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4/00Machine element or mechanism
    • Y10T74/20Control lever and linkage systems
    • Y10T74/20576Elements
    • Y10T74/20888Ped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Braking Elements And Transmission Devices (AREA)
  • Mechanical Control Devices (AREA)

Abstract

일방향 댐퍼(1)는, 한 쪽의 수용실형성체로서의 내통(7)과, 내주면(4)을 가지며, 내주면(4)과 내통(7)의 외주면(3) 사이에서 통형상의 점성유체 수용실(5)을 형성하며, 또 내통(7)에 대하여 축중심(6)을 A 및 B 방향으로 회전이 자유롭게 되도록, 내통(7)의 외주면(3)에 장착되어 내통(7)에 대하여 배치된 다른 쪽의 수용실형성체로서의 외통(2)과, 외통(2)의 외주면(8)에 감아 붙여진 코일 스프링(9)과, 점성유체 수용실(5)에 배치된 실리콘 오일등의 점성유체(10)를 구비하고 있다.

Description

자동차용 발놀림 파킹 브레이크 및 이것에 사용되는 일방향 댐퍼
제 1 도는 본 발명에 관한 일방향 댐퍼의 바람직한 하나의 구체예의 단면도.
제 2 도는 제 1 도에 나타내는 구체예의 측면도.
제 3 도는 제 1 도에 나타내는 구체예를 파킹 브레이크에 적용한 설명도.
제 4 도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구체예의 측면도.
제 5 도는 제 4 도에 나타내는 구체예의 정면도.
제 6 도는 제 4 도에 나타내는 구체예의 일부 단면도.
제 7 도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구체예의 일부 단면도.
제 8 도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구체예의 일부 단면도.
제 9 도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구체예의 일부 단면도.
제 10 도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구체예로서, 제 11도에 나타내는 X-X선 단면도.
제 11 도는 제 10 도에 나타내는 XI-XI선 화살표에서 본 도면.
제 12 도는 제 10 도에 나타내는 XII-XII선 화살표에서 본 도면.
제 13 도는 제 10 도에 나타내는 수용실형성체의 본체부재의 단면도.
제 14 도는 제 13 도에 나타내는 본체부재의 우측면도.
제 15 도는 제 10 도에 나타내는 수용실형성체의 덮개부재의 단면도.
제 16 도는 제 15 도에 나타내는 덮개부재의 좌측면도.
제 17 도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구체예로서, 제 18 도에 나타내는 XVII-XVII선 단면도.
제 18 도는 제 17 도에 나타내는 XVIII-XVIII선 화살표에서 본 도면.
제 19 도는 제 17 도에 나타내는 XIX-XIX선 화살표에서 본 도면.
제 20 도는 제 17 도에 나타내는 XX-XX선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댐퍼 2, 221, 520 : 외통
3, 8, 141, 202, 225, 327, 411 : 외주면
4, 210, 224, 226, 227 : 내주면
5, 105 : 점성유체 수용실 6 : 축중심
7 : 내통 9, 112, 166 : 코일 스프링
10 : 점성유체 21, 66, 332 : 작은 직경부
22, 68, 330 : 큰 직경부 23 : 고리형상 덮개부
24 : 고리형상 돌기 25 : 고리형상 홈
31 : 내통의 내부면 32, 33 : 원호면
34, 35 : 평탄면 41, 111, 151, 191, 163, 167 : 한 쪽단
51, 52, 53 : 시일링 61 : 브레이크 페달
72 : 브라케트 62 : 프레임
63 : 본체 65, 121, 201 : 축부
67 : 통부 68 : 통부의 큰 직경부
69 : 페달아암 70 : 고리형상 큰 직경부
71, 400 : 가느다란 홈 73 : 복귀 스피링
101, 300, 500 : 파킹 브레이크 114 : 해제장치
123 : 페달 142, 153, 168, 164 : 다른 쪽단
161, 185 : 축 162 : 해제레버
169 : 해제 케이블 170 : 보울트
171 : 안내편 172 : 구부림부
173, 195, 196 : 구멍 186 : 스토퍼 로울러
187 : 센서 190 : 파킹 케이블
203, 211, 222 : 덮개 204, 213 : 통체
212 : 덮개부착 통체 215 : 부시
314 : 자유단 315 : 간격유지수단
325, 523 : 본체부재 326, 526 : 덮개부재
328 : 오목홈 329, 355, 530 : 돌기
331 : 연결부 333 : 후크부
334 : 관통구벙 450, 451 : 틈새
본 발명은, 자동차용 발놀림 파킹 브레이크 및 이것에 이용되는 일방향 댐퍼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종류의 파킹 브레이크는, 최근에 수동식의 것 이외에 발놀림식의 것이 이용되고 있다.
발놀림식의 파킹 브레이크는, 일반적으로 브레이크 페달과 이 브레이크 페달을 밟았을 때에 그 위치를 유지하는 래치트 기구와 래치트 해제에 있어서 브레이크 페달을 초기위치로 복귀시키는 리턴 스프링을 구비하고 있다.
그런데 이와같은 발놀림식의 파킹 브레이크에 있어서, 상기 기구에 부가하여 피스톤 및 이 피스톤을 수용한 실린더로 구성되는 쇽업 쇼바형의 댐퍼를 이용하여, 리턴 스프링에 의한 브레이크 페달의 초기위치에의 복귀시의 충격을 이 댐퍼에 의하여 완화하고, 브레이크 페달의 급격한 복귀에 기인하는 소음의 발생을 방지하고 있는 차종이 있으나, 이와같은 댐퍼는 페달아암과 차체 사이의 공간에 배치할 필요가 있고, 브레이크 페달 주위가 좁게되는 결점을 가진다.
그리고 또 주차 브레이크에 이용되는 댐퍼로서는, 발놀림에서는 충분하게 적은 저항을, 복귀시에는, 바람직한 완충력을 발생하는 일방향성의 것이어야 하고, 종래의 쇽업쇼바형의 댐퍼로 이 기능을 갖게한 것으로 비교적 고가로 된다.
또, 발놀림식의 파킹 브레이크에 이용되고 있는 래치트 기구는, 래치트 이(齒)에 로크 이를 항상 걸어맞춤시켜서 페달아암의 위치를 유지시키도록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브레이크 페달의 발놀림 중에 래치트 이와 로크 이의 걸어맞춤에 기인하는 이상음을 발생시킨다.
그리고 이와같은 래치트기구에서는 필연적으로 래치트 이 및 로크 이에 마모가 발생하고, 따라서 그 대책이 충분하게 되어 있지 않으면, 소망하는 내구성 및 신뢰성이 얻어지지 않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여러 점들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자동차에 적용하여도 그 만큼 설치장소를 요하지 않고, 브레이크 페달 주위를 충분하게 넓게할 수 있는 한편, 간단한 구성에 의하여 브레이크 페달의 발놀림에 있어서는 충분하게 적은 저항을, 복귀시에 있어서는, 바람직한 완충력을 발생할 수 있는 일방향 댐퍼 및 이것을 사용한 자동차용 발놀림 파킹 브레이크를 제공함에 있다.
또, 본 발명의 목적으로 하는 바는, 소음의 발생이 적고 내구성 및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자동차용 발놀림 파킹 브레이크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목적은, 한 쪽의 수용실 형성체와, 이 수용실 형성체 사이에서 점성유체 수용실을 형성하고, 또 수용실 형성체에 대하여 회전이 자유롭게 되도록 배치된 다른 쪽의 수용실 형성체와, 이 다른쪽의 수용실 형성체에 감아붙여진 코일 스프링과, 점성유체수용실에 배치된 점성유체를 구비하고 있고, 자동차용 발놀림 파킹 브레이크에 사용되는 일방향 댐퍼에 의하여 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술의 일방향 댐퍼를 사용한 자동차용 발놀림 파킹 브레이크로서, 브레이크 페달이 탄성력에 의하여 초기위치로 복귀되도록 복귀 스프링에 의하여 탄발되어있고, 코일 스프링의 한 쪽단이 브레이크 페달 및 프레임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되어 있고, 한 쪽의 수용실 형성체가 브레이크 페달 및 프레임 중 어느 다른 하나에 연결되어 있으며, 브레이크 페달의 발놀림 행정에서는, 다른 쪽의 수용실형성체에 대하여 코일 스프링이 상대적으로 공회전하며, 브레이크 페달의 초기위치에의 복귀행정에서는, 다른 쪽의 수용실형성체에 코일 스프링이 고마찰저항을 가지고 접촉되도록, 코일 스프링의 감김방향이 설정되어 있는 자동차용 발놀림 파킹 브레이크에 의해서도 달성된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목적은, 프레임과, 이 프레임에 회전운동이 자유롭게 부착된 브레이크 페달과, 프레임에 고정설치된 한 쪽의 수용실형성체와, 이 수용실형성체와의 사이에서 점성유체 수용실을 형성하고 또 이 수용실형성체에 대하여 회전이 자유롭게 배치된 다른 쪽의 수용실형성체와, 점성유체 수용실에 배치된 점성유체와, 다른 쪽의 수용실형성체에 대하여 공회전하며, 브레이크 페달의 초기위치에의 복귀행정에서는, 다른 쪽의 수용실형성체에 고마찰저항을 가지고 접촉되도록, 감김방향이 설정되어 다른 쪽의 수용실형성체에 배치된 제 1 코일 스프링과, 한 쪽단이 프레임에 연결되어 있고, 브레이크 페달의 발놀림 행정에서는, 브레이크 페달에 부드럽게 접촉하고, 브레이크 페달의 초기위치에의 복귀행정에서는, 브레이크 페달에 고마찰저항을 가지고 접촉되도록, 감김방향이 설정되어 브레이크 페달에 배치된 제 2 코일 스프링과, 탄성력에 의하여 브레이크 페달을 초기위치로 복귀시키도록, 프레임 및 브레이크 페달 사이에 팽팽하게 설치된 복귀스프링과, 제 2 코일 스프링의 브레이크 페달에의 고마찰저항을 가진 접촉을 해제하는 해제위치를 구비하는 자동차용 발놀림 파킹 브레이크에 의하여 달성된다.
본 발명의 하나에서는, 한 쪽의 수용실형성체는 외통이고 다른 쪽의 수용실형성체는 이 외통의 내주면에 장착된 내통이며, 외통의 내주면과 내통의 외주면 사이에 점성유체 수용실이 형성되어 있으며, 코일 스프링은 내통의 내주면에 감아붙여져 있으며, 다른 하나에서는, 한 쪽의 수용실형성체는 내통이고, 다른 쪽의 수용실형성체는 이 내통의 외주면에 장착된 외통이며, 외통의 내주면과 내통의 외주면 사이에 점성유체 수용실이 형성되어 있으며, 코일 스프링은 외통의 외주면에 감아붙여져 있다.
이 예에서도 명확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코일 스프링을 감아붙이는 것은, 외측에서 다른 쪽의 수용실형성체에 코일 스프링을 감아 붙이는, 다시 말하면 다른 쪽의 수용실형성체의 외측주위를 따라서 코일 스프링을 배치하는 것 및 다른 쪽의 수용실형성체가 내통과 같이, 내주면을 가지는 통형상체등인 경우에는, 내측으로부터 다른 쪽의 수용실형성체에 코일 스프링을 감아 붙이는, 다시 말하면 다른 쪽의 수용실형성체의 내측주위를 따라서 코일 스프링을 배치하는 것을 말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또, 수용실형성체로서는, 상기 외통, 내통과 같은 통형상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원판형상체 또는 기둥형상체도 포함하는 것이다.
수용실형성체는 각각 금속제이어도 좋으나, 경량화를 도모하기 위하여는 합성수지제가 바람직하다.
점성유체수용실은, 여기에 수용되는 점성유체의 점성전던저항을 주로 이용하여 완충작용을 얻을 경우에는, 점성유체가 매우 얇고 넓은 필름형상으로 늘어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 예로서 0.05mm에서 1mm 정도의 두께를 들 수 있으나, 고점성유체를 수용하는 경우에는, 1mm 이상의 두께이어도 좋고, 반대로 기계적 치수정도가 충분히 얻어지는 경우에는, 0.05mm 보다도 더 얇은 두께여도 좋다.
또 이 점성유체수용실을 형성하는 대향하는 수용실형성체의 면은, 요철이 없이 평평하게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양수용실형성체의 상대적인 회전에 있어서 견고하게 점성유체를 포착하도록 하는 관점에서는, 요철을 가지는 형성이 좋다.
점성유체수용실은, 하나의 고리형상, 원판형상 또는 원통형상의 형태이어도 좋으나, 동심형상 또는 병행으로 배치하여 각각 독립한 또는 각각 상호 연통한 여러 개의 고리형상, 원판형상 또는 원통형상등의 형태의 분실(分室)로 되어도 좋다.
점성유체수용실에 수용되는 점성유체로서는, 충분한 점성저한, 특히 점성전단저항이 얻어지도록 고점도의 유체인 것이 바람직하며, 또 한냉지에서도 충분하게 안정하게 기능하는 부동의 유체가 바람직하며, 이와 같은 것의 예로서 실리콘오일을 들 수 있다.
점성유체에는 공기가 혼입되지 않은 것이 바람직하며, 따라서 점성유체는 점성유체수용실에 틈새가 없이 충만되어 있을 특별한 필요는 없으나, 바람직하게는 완전충만되어 있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의 코일 스프링은, 이것에 대한 다른 쪽의 수용실형성체 또는 페달아암의 상대적인 회전으로, 축소직경 또는 확대직경하면 좋고, 따라서 인접하는 각 코일부분이 서로 접촉하도록 밀접한 피치를 가지고 감겨져 있어도 좋다. 코일 스프링의 선재의 단면은 원형일 필요는 없고, 예를들면 직사각형이어도 좋다.
본 발명의 다른 예에서는, 프레임은 속이 비지 않은 축부 또는 속이 빈 것, 즉 통형상의 축부를 구비하고 있다. 축부가 속이 비지 않은 부인 경우, 한 쪽의 수용실형성체를 이 축부의 외주면 그 자체로 구체화하여도, 또는 축부 외주면에 고정하여 장착된 내통으로 구체화하여도 좋고, 축부가 통형상인 경우, 한 쪽의 수용실형성체를 축부의 외주면 또는 내주면 그 자체로 구체화하여도, 또는 축부 외주면 또는 내주면에 장착된 내통 또는 외통으로 구체화하여도 좋다.
한 쪽의 수용실형성체를 축부의 외주면 그 자체로 구체화한 경우, 다른 쪽의 수용실형성체를 통체로 형성하고, 이 통체를 축부의 외주면에 장착하고, 축부의 외주면과 통체의 내주면 사이에 점성유체 수용실을 형성하며, 제 1 코일 스프링을 통체 외주면에 감아 붙여도 좋고, 한편, 한쪽의 수용실형성체를 축부의 외주면 또는 내주면 그 자체로 구체화한 경우, 다른 쪽의 수용실형성체를 통체로 형성하고, 이 통체를 축부의 외주면 또는 내주면으로 장착하고, 축부의 외주면과 통체의 내주면 사이 또는 축부의 내주면과 통체의 외주면 사이에 점성유체 수용실을 형성하고, 제 1 코일 스프링을 통체 외주면 또는 내주면에 감아 붙여도 좋다.
한 쪽의 수용실형성체를 축부의 외주면에 장착된 내통으로 구체화한 경우, 다른 쪽의 수용실형성체를 이 내통의 외주면에 장착된 외통으로 구체화하고, 내통의 외주면과 외통의 내주면 사이에 점성유체 수용실을 형성하며, 제 1 코일 스프링을 외통의 외주면에 감아붙여도 좋고, 한편, 한 쪽의 수용실형성체를 축부의 내주면에 장착된 외통으로 구체화한 경우, 다른 쪽의 수용실형성체를 이 외통의 내주면에 장착된 내통으로 구체화하고, 외통의 내주면과 내통의 외주면 사이에 점성유체 수용실을 형성하고, 제 1 코일 스프링을 내통의 내주면에 감아 붙여도 좋다.
본 발명의 브레이크 페달의 하나에서는, 프레임 축부와 동심한 통부를 구비하고 있고, 이 통부의 내주면 또는 외주면에 제 2 코일 스프링이 감겨져 있고, 다른 예에서는, 프레임 축부와 동심한 원기둥부를 구비하고 있고, 이 원기둥부의 외주면에 제 2 코일 스프링이 감겨져 있다.
본 발명의 해제장치는, 회전운동하므로서 한 쪽단이 제 2 코일 스프링의 다른 쪽단에 걸어맞춤하여 제 2 코일 스프링의 코일직경을 확대 또는 축소시키며, 제 2 코일 스프링의 브레이크 페달의 고마찰저항을 가진 접촉을 해제하도록, 프레임 회전운동이 자유롭게 부착된 해제레버와, 이 해제레버의 일단의 제 2 코일 스프링의 타단에의 걸어맞춤을 해제하도록, 해제레버를 탄성력으로 탄발하는 스프링을 구비하고 있어도 좋다. 여기에서, 해제레버의 타단은 스프링의 탄성력에 저항하여 이 해제레버를 회전운동시키는 해제케이블을 연결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또 본 발명에서는, 브레이크 페달의 통부의 자유단과 다른 쪽의 수용실형성체 사이에, 이 통부의 자유단과 다른 쪽의 수용실형성체와의 간격을 유지하는 간격유지수단이 배치되어 있어도 좋다.
가공 및 조립용이성의 관점에서 간격유지수단의 하나의 바람직한 예는, 다른 쪽의 수용실형성체에 일체적으로 형성된 돌기이지만, 한편 이와같은 돌기를 브레이크 페달의 통부의 자유단에 용접등으로 부착하여도 좋다.
본 발명의 일방향 댐퍼에서는, 코일 스프링의 수용실형성체에 대한 일방향의 상대적인 회전으로, 코일 스프링, 예를들면 직경이 확대된다. 이와같은 확대직경에서는 다른 쪽의 수용실형성체에 의하여 느슨하게 감겨지도록 코일 스프링이 배치되어 있으면, 코일 스프링은 다른 쪽의 수용실형성체에 대하여 미끄럽게 공회전하며, 그 결과 코일 스프링의 회전은 다른 쪽의 수용실형성체에 전달되지 않고, 따라서 양수용실형성체 사이에는 상대적 회전은 생기지 않고, 점성유체 수용실에 수용된 점성유체에는, 예를들면 점성전단력은 생기지 않는다. 이에따라 코일 스프링은 저항없이 상대적으로 회전한다.
한편, 코일 스프링의 다른 쪽의 수용실형성체에 대한 한 쪽방향과 반대의 방향의 상대적인 회전으로, 코일 스프링의 직경이 축소되면, 코일 스프링은 다른 쪽의 수용실형성체에 의하여 강하게 감아붙여지고, 코일 스프링과 다른 쪽의 수용실형성체와는 같은 방향으로 회전하여 코일 스프링의 회전은 다른 쪽의 수용실형성체에 전달되며, 따라서 양수용실형성체 사이에 상대적 회전이 생겨서 점성유체 수용실에 수용된 점성유체에 점성전단력이 생긴다. 이 점성유체로부터 생기는 점성전단저항에 따라 코일 스프링의 회전은 천천히 이루어진다.
이와같은 일방향 댐퍼는 페달아암의 축지지부에 설치될 수 있기 때문에, 자동차에 적용하여도 그만큼 설치장소에 구애되지 않고, 브레이크 페달의 주위를 충분히 넓게 할 수 있는 한편, 간단한 구성으로 브레이크 페달의 발놀림에 있어서는 충분하게 작은 저항을, 복귀시에 있어서는 소망하는 완충력을 발생시킬 수 있으며, 스토퍼등에의 충돌에 의한 소음 발생을 피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자동차용 발놀림 파킹 브레이크에서는, 브레이크 페달의 발놀림에 의한 다른 쪽의 수용실형성체에 대한 제 1 코일 스프링의 상대적인 회전 및 제 2 코일 스프링에 대한 페의 상대적인 회전으로, 제 1 및 제 2 코일 스프링은 예를들면 직경이 확대된다.
이와같은 확대직경에서는, 제 1 코일 스플링은 다른 쪽의 수용실형성체에 대하여 원활하게 공회전하고 그 결과 제 1 코일 스프링의 회전은 다른 쪽의 수용실형성체에 전달되지 않고, 따라서 양수용실형성체 사이에는 상대적 회전은 생기지 않고, 점성유체 수용실에 수용된 점성유체에는, 예를들면 점성전단력은 생기지 않는다.
또, 페은 제 2 코일 스프링에 의한 미끄럼 운동 마찰저항을 거의 일으키지 않으며, 이에 따라 페달아암은 저항없이 회전된다. 브레이크 페달의 발놀림력을 해제되면, 페달아암은 브레이크 페달에 의하여 초기위치로 복귀하는 회전이 되도록 하였으나, 이 때 제 2 코일 스프링은, 예를들면 직경이 축소되어 페달아암의 복귀회전을 저지하여 페달아암을 로크하며, 페달아암을 그 회전위치로 유지한다. 이 로크가 해제장치에 의하여 해제되면, 브레이크 페달의 탄성력에 의한 상기와 반대의 페달아암의 회전으로 제 1 코일 스프링, 예를들면 직경이 축소되면, 제 1 코일 스프링은 다른 쪽의 수용실형성체에 의하여 강하게 감겨지며, 제 1 코일 스프링과 다른 쪽의 수용실형성체와는 같은 방향으로 회전하여 제 1 코일 스프링의 상대적 회전은 다른 쪽의 수용실형성체에 전달되며 따라서 양수용실형성체 사이에 상대적 회전이 생겨서 점성유체 수용실에 수용된 점성유체에 점성전단력이 생긴다. 이 때, 점성유체로부터 발생되는 점성유체 전단저항에 의하여 제 1 코일 스프링에 연결된 페달아암의 회전은 천천히 이루어진다.
그리하여 이와같은 자동차용 발놀림 파킹 브레이크는, 브레이크 페달의 주위를 충분히 넓게할 수 있는 데다가 간단한 구성에 의하여 브레이크 페달의 발놀림에서는 충분하게 적은 저항을, 복귀시에는 바람직한 완충력을 발생할 수 있고, 스토퍼등의 격돌에 의한 소음 및 이의 이맞춤에 의한 소음발생을 피할 수 있으며 매우 정숙한 파킹 브레이크작동을 이룰 수 있다.
간격유지수단이 배치된 본 발명의 자동차용 발놀림 파킹 브레이크에서는, 발놀림 방향과 교차하는 경사하는 방향의 힘이, 페달아암에 가해져도 통부의 자유단측이 크게 변위하는 것을 간격유지수단에 의하여 저지할 수 있고, 따라서 회전중에 통부의 내주면이 과도하게 코일 스프링에 접촉하고 소음 또는 발놀림 저항을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또 간격유지수단이 코일 스프링의 축방향 이동을 저지하고 있기 때문에, 코일 스프링이 수용실형성체로부터 벗어난다고 하는 사태도 없게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도시하는 바람직한 구체예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이에따라 상기 발명 및 다른 발명이 보다 더 명료해질 것이다. 또 본 발명은 구체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구체예]
제 1 도 및 제 2 도에서 본 예의 일방향 댐퍼(1)는, 한쪽의 수용실형성체로서의 내통(7)과, 내주면(4)을 가지며, 내주면(4)과, 내통(7)의 외주면(3)과의 사이에서, 통형상의 점성유체 수용실(5)을 형성하고, 내통(7)에 대하여 축중심(6)을 중심으로 하여 A 및 B 방향으로 회전이 자유롭게 되도록 내통(7)의 외주면(3)에 장착되어 내통(7)에 대향하여 대치된 다른쪽의 수용실형성체로서의 외통(2)과, 외통(2)의 외주면(8)에 감아붙여진 코일스프링(9)과, 점성유체수용실(5)에 배치된 실리콘오일등의 점성유체(10)를 구비하고 있다.
폴리아세탈수지등의 합성수지로 형성된 외통(2)는 작은 직경부(21)와 작은 직경부(21)에 일체 형성된 큰 직경부(22)와 고리형상 덮개부(23)를 구비하고 있고, 고리형상 덮개부(23)는 이 고리형상덮개부(23)에 형성된 고리형상돌기(24)가 큰 직경부(22)에 형성된 고리형상 홈(25)에 넣어져 큰 직경부(22)와 내통(7)과의 사이에 끼워져 있다.
폴리아세탈수지등의 합성수지로 형성된 내통(7)의 내주면(31)은 대향하는 원호면(32) 및 (33)과 함께 대향하는 평탄면(34) 및 (35)를 가지고 형성되어 있다.
코일스프링(9)는 한 끝단(41)에서는 U자형상으로 구부러져 있고, 다른 끝단(도시하지 않음)에서는 외주면(8)상에서 자유단으로서 끝나게 되어있다.
코일스프링(9)는 외주면(8)상에 감겨진 부위에서는 그 내경이 큰 직경부(22)의 외경과 거의 같게 되도록 형성되어 있고, 따라서, 축소된 직경도 확대된 직경도 되지 않은 통상의 경우에는 코일스프링(9)의 외주면(8)상에 감아진 부위는 소정 마찰저항이 얻어지는 정도로 느슨하게 외주면(8)에 접촉하고 있다.
또, 큰 직경부(22) 및 내통(7)의 각각과, 고리형상 덮개체(23)과의 사이 및 큰 직경부(22)와 내통(7)과의 사이에는, 각각 점성유체수용실(5)을 액이 가득차게 유지하는 시일링(51), (52), (53)이 배치되어 있다.
이와같이 형성된 일방향 댐퍼(1)는 제 3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파킹 브레이크의 브레이크 페달에 적용된다. 여기에서 차체에 부착된 프레임으로서의 브라케트(62)는 본체(63)과, 본체(63)과 일체 형성된 축부(65)를 가지고 있고, 축부(65)의 내통(7)의 내주면(31)이 끼워져서 일방향 댐퍼(1)가 브라케트(62)에 장착되어 있다. 축부(65)의 외형은 내통(7)의 내주면(31)은 형상에 대응하고 있고, 이에 따라 내통(7)은 축부(65)에 고정되어 A 및 B방향에는 회전할 수 없도록 되어 있다. 브레이크 페달은 페달 아암(69)과 페달 아암(69)의 한 끝단에 부착된 페달(123)과 페달 아암(69)에 고정부착된 통부(67)를 구비하고 있고, 통부(67)는 페달 아암(69)에 끼워진 작은 직경부(66)와 작은 직경부(66)에 일체형성된 큰 직경부(68)로 이루어 진다.
통부(67)는 외통(2)에 대하여 A 및 B 방향으로 회전이 자유롭게 되도록 외통(2)의 외측으로 대치되어 있고, 통부(67)의 큰 직경부(68)는 고리형 상부 일단면(70)에는 가느다란 홈(71)이 형성되어 있고 코일스프링(9)의 U자 형상의 한쪽단(41)은 가느다란 홈(71)을 통하여 늘어나 있고, 이에 따라 코일스프링(9)은 그 한쪽단(41)에서 통부(67)에 걸리어 연결되어 있다. 외통(2)은 축부(65), 내통(7) 및 통부(67)에 대하여 A 및 B 방향으로 상대회전이 자유롭게 배치되어 있다. 브라케트(62)에 부착된 다른 브라케트(72)와 페달 아암(69)과의 사이에는 복귀스프링(73)이 부착되어 있고, 복귀스프링(73)의 탄성력에 탄발되어 페달 아암(69)은 초기 위치로 복귀되도록 되어 있다. 브라케트(72)에는 페달 아암(69)의 축중심(6)을 중심으로 하는 B 방향의 필요이상의 회전운동을 저지하는 스토퍼(74)가 부착되어 있다. 일방향 댐퍼(1)를 이용한 자동차용 발놀림 파킹브레이크는 다음과 같이 동작한다.
페달(123)이 밟아져서 페달 아암(69)이 복귀스프링(73)이 탄성력에 저항하여 A 방향으로 회전운동되면 페달 아암(69)에 연결된 통부(67)도 A 방향으로 회전되고,
이에 따라 통부(67)에 한쪽단(41)에 연결되고, 또, 외통(2)의 외주면(8)에 접촉한 코일스프링(9)도 또, 외주면(8)상에서 미끄러지도록 하여 A방향으로 회전된다. 이 미끄러짐에 있어서, 코일 스프링(9)에는, 그 직경이 확대되도록 미끄럼운동 저항이 외통(2)의 외주면(8)로부터 미치게 되는 결과, 직경이 확대된 코일 스프링(9)은 외통(2)에 대하여 적은 저항을 가지고 공회전하고, 외통(2)은 코일 스프링(9)이 외통(2)에 대하여 공회전 하면, 페달 아암(69)은 거의 복귀 스프링(73)의 탄성력에 저항하는 힘만으로 A 방향으로 회전된다.
한쪽의 브레이크를 해제하는, 래치트 기구(도시하지 않음)가 벗겨지면, 페달 아암(69)은 복귀 스프링(73)에 탄발되어 B 방향으로 회전하기 시작한다. 페달 아암(69)의 B 방향의 회전운동으로 통부(67)도 또 B 방향으로 회전운동하고, 이에따라 통부(67)에 한 쪽단(41)이 연결되며 또 외통(2)의 외주면(8)에 접촉한 코일 스프링(9)도 또 외통(2)의 외주면(8)상에서 미끄러지도록 B 방향의 회전된다. 이 미끄러짐에서 코일 스프링(9)에는, 그 직경이 축소되는 미끄럼 운동 저항이 외통(2)의 외주면(8)으로부터 미치는 결과, 직경이 축소된 코일 스프링(9)은 외통(2)의 외주면(8)에 다시 강하게 감아지고 코일 스프링(9)과 외주면(8)과의 미끄럼운동 마찰저항이 증대하여 외통(2)은 코일 스프링(9)과 함께 B 방향으로 회전하기 시작한다. 내통(7)에 대한 외통(2)의 B 방향의 회전은, 점성유체 수용실(5)의 점성유체(10)에 점성전단저항력을 미치고, 이에따라 외통(2)은 점성유체(10)의 점성전단저항에 의하여 천천히 회전되는 것으로 되며, 결과로서 페달 아암(69)도 또 B 방향으로 천천히 회전운동되는 것으로 되며, 페달 아암969)이 스토퍼(74)에 결돌하여 소음이 발생하는 것을 피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일방향 댐퍼(1)를 사용한 자동차용 발놀림 파킹브레이크에서는, 브레이크 페달(61)이 탄성력에 의하여 초기위치로 복귀되도록 복귀 스프링(73)에 의하여 탄발되어 있으며, 코일 스프링(9)의 한 쪽단(41)은, 브레이크 페달(61) 및 브라케트(62)중 어느 하나에, 본 예에서는 브레이크 페달(61)에 연결되어 있으며, 내통(7)이 1 및 브라케트(62)중 어느 하나에, 본 예에서는 브라케트(62)에 연결되어 있으며, 브레이크 페달(61)의 발놀림 행정에서는, 즉 축중심(6)을 중심으로 하는 페달 아암(69)의 A 방향의 회전운동에서는, 외통(2)에 대하여 코일 스프링(9)이 상대적으로 공회전하며, 브의 초기위치에의 복귀행정에서는, 즉 축중심(6)을 중심으로 하는 페달 아암(69)의 B 방향의 회전운동에서는, 외통(2)에 코일 스프링(9)이 고마찰저항을가지고 접촉되도록, 코일 스프링(9)의 감김방향이 설정되어 있다.
또, 일방향 댐퍼(1)는, 페달 아암(69)의 축지지부에 콤팩트하게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페달 아암(69) 주위를 넓게 할 수 있다.
이어서, 본 발명의 다른 구체예를 제 4 도에서 제 6 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 4 도에서 제 6 도에 있어서, 본 예의 자동차용 발놀림 파킹 브레이크(101)는, 상술한 일방향 댐퍼(1)에 더하여, 통부(67)에 감겨진 제 2 코일 스프링(112)과, 해제장치(114)를 구비하고 있다.
즉, 파킹브레이크(101)는, 프레임(62)과, 프레임(62)에 회전운동이 자유롭게 부착된 브레이크 페달(61)과, 프레임(62)에 고정하여 설치된 한쪽방향의 수용실형성체로서의 내통(7)과, 내통(7)과의 사이에서 점성유체 수용실(5)을 형성하고, 또 내통(7)에 대하여 축중심(6)을 중심으로하여 A 및 B 방향으로 회전운동이 자유롭게 되도록, 내통(7)에 대면하여 동심형상으로 배치된 다른 쪽의 수용실형성체로서의 외통(2)과, 점성유체 수용실(5)에 배치된 실리콘 오일등의 점성유체(10)와, 한 쪽단(41)이 브레이크 페달(61)에 연결되어 있으며, 브레이크 페달(61)의 발놀림 행정, 즉 축중심(6)을 중심으로 한 A 방향의 회전에서는, 외통(2)에 대하여 공회전 하며, 브레이크 페달(61)의 초기위치에의 복귀행정, 즉 축중심(6)을 중심으로 한 B 방향의 회전에서는, 외통(2)의 고마찰저항을 가지고 접촉되도록, 감김방향이 설정되어 외통(2)에 배치된 제 1 코일 스프링(9)과, 한 쪽단(111)이 프레임(62)에 연결되어 있으며, 브레이크 페달(61)의 발놀림 행정에서는, 브레이크 페달(61)에 대하여 느슨하게 접촉하고, 브레이크 페달(61)의 초기위치에의 복귀행정에서는, 브레이크페달(61)에 고마찰저항을 가지고 접촉되도록, 감김방향이 설정되어 외통(2)에 배치된 제 2 코일 스프링(112)과, 탄성력에 의하여 브레이크 페달(61)을 초기위치로 복귀시키도록, 프레임(62) 및 브레이크 페달(61) 사이에 팽팽히 설치된 복귀 스프링(73)과, 코일 스프링(112)의 브레이크 페달(61)에의 고마찰저항을 가진 접촉을 해제하는 해제장치(114)를 구비하고 있다.
본 예의 프레임(62)은 통형상의 축부(121)를 가지고 있으며, 축부(121)에, 내통(7)이 고정하여 부착되어 있고, 본체(63)가 페달 아암(69)에 근접하여 배치되어 있다.
코일 스프링(9)의 한 쪽단(41)은 본 예에서는, 바깥방향으로 구부러져서 통부(67)에 형성된 가느다란 홈 또는 절결부(71)를 통하여 외부로 돌출하고 있고, 이리하여 코일 스프링(9)의 한 쪽단(41)은 브레이크 페달(61)에 연결되어 있다. 코일 스프링(112)의 한 쪽단(111)에는 나사가 박혀있고, 너트(140)등을 통하여 한 쪽단(111)은 프레임(62)에 연결되어 있다.
코일 스프링(112)은 통부(67)의 외주면(141)상에 감겨져 있으며, 그 다른 쪽단(142)은 구부러져서 외방으로 수직배치되어 있다.
코일 스프링(112)은, 외주면(141)상에 감겨진 부위에서는, 그 내경이 통부(67)의 외경과 거의 같게되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따라서 축소직경, 확대직경도 없는 통상의 경우에는, 통부(67)의 외주면(141)상에 감겨진 코일 스프링(112)의 부위는 소정의 마찰저항이 얻어지는 정도로 느슨한 외주면(141)에 접촉하여 있다.
코일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복귀스프링(73)은, 한 쪽단(151)이 프레임(62)의 돌기부(152)에, 다른 쪽단(153)이 페달 아암(69)에 뚫려진 구멍(154)에 각각 걸어맞춤되어 페달 아암(69)을 그 탄성력에 의하여 B 방향으로 회전운동 탄발하여 프레임(62)과 브레이크 페달(61)과의 사이에 팽팽히 설치되어 있다.
해제장치(114)는, 축(161)을 통하여 프레임(62)에 회전운동이 자유롭게 부착된 해제레버(162)와, 해제레버(162)를 탄성력에 의하여 축(161)을 중심으로 하여 C 방향으로 회전운동 탄발하도록, 한 쪽단(163)이 해제레버(162)에, 다른 쪽단(164)이 프레임(62)의 돌기부(165)에 각각 걸어맞춤되어, 축(161)에 감겨진 코일 스프링(166)을 구비하고 있으며, 해제레버(162)가 코일 스프링(166)의 탄성력에 저항하여 축(161)을 중심으로 하여 D 방향으로 회전운동되면, 코일 스프링(112)의 다른 쪽단(142)에 맞닿아서 코일 스프링(112)의 다른 쪽단(142)을 눌러서 올리고 이리하여 코일 스프링(112)의 코일 직경을 확대하며 코일 스프링(112)의 통부(67)에의 고마찰저항을 가진 접촉을 해제한다.
코일 스프링(166)은, 해제레버(162)와, 해제레버(162)의 한 쪽 단(167)의 코일 스프링(112)의 다른 쪽단(142)에의 걸어맞춤을 해제하도록, 해제레버(162)를 그 탄성력에 의하여 탄발하고 있다.
해제레버(162)의 접혀진 다른 쪽단(168)에는, 코일 스프링(166)의 탄성력에 저항하여 해제레버(162)를 D 방향으로 회전운동시키는 해제 케이블(169)을 연결할 수 있도록, 구멍이 뚫려있다. 해제 케이블(169)은 프레임(62)에 보울트(170)등으로 부착된 안내편(171)의 구부림부(172)에 형성된 구멍(173)을 통하여 소정의 위치까지 인출된다.
프레임(62)에는, 축(185)을 통하여 스토퍼 로울러(186)가 부착되어 있으며, 스토퍼 로울러(186)는, 이것에 페달 아암(69)이 맞닿으므로서 페달 아암(69)의 B 방향의 필요이상의 회전을 저지하며, 페달 아암(69)을 초기 회전운동 위치로 유지한다. 또 프레임(62)에는 센서(187)가 부착되어 있으며, 센서(187)에 의하여 페달 아암(69)의 회전운동 위치가 전기적으로 검출된다. 또 페달 아암(69)에는 파킹 케이블(190)의 한 쪽단(19)이 고정되어 있으며, 파킹 케이블(190)은, 페달 아암(69)의 바깥 테두리에 형성된 홈(192)을 통하여 외부로 나오며 자동차의 브레이크기구(도시하지 않음)에 연결되어 있다.
이와같이 구성된 자동차용 발놀림 파킹브레이크(101)는, 프레임(62)에 뚫린 구멍(195) 및 (196)에 보울트등이 적용되어 차체에 부착되어 다음과 같이 동작한다. 페달(123)이 눌리워 페달 아암(69)이 복귀 스프링(73)의 탄성력에 저항하여 A 방향으로 회전운동되면 통부(67)도 A 방향으로 회전되고,
이에 따라 통부(67)에 한쪽단(41)이 연결되고, 또, 외통(2)의 외주면(8)에 접촉한 코일스프링(9)도 또, 외주면(8)상에서 미끄러지도록 하여 A 방향으로 회전된다. 이 미끄러짐에 있어서, 코일 스프링(9)에는, 그 직경이 확대되도록 미끄럼운동 저항이 외통(2)의 외주면(8)로부터 미치게되는 결과, 직경이 확대된 코일 스프링(9)은 외통(2)에 대하여 적은 저항을 가지고 공회전하고, 외통(2)은 코일 스프링(9)과 함께는 공회전하지 않고 정지한 상태로 된다.
한편, 통부(67)는 프레임(62)에 한 쪽단(111)이 연결되며 또 통부(67)의 외주면(141)에 접촉한 코일 스프링(112)을 외주면(141)상에서 미끄러지도록하여 A 방향의 회전되도록 하지만, 이 미끄러짐에서 코일 스프링(112)에는, 그 직경이 확대되는 미끄럼 운동 저항이 외주면(141)으로부터 미치는 결과, 통부(67)는 직경이 확대된 코일 스프링(112)에 대하여 적은 저항을 가지고 회전된다.
코일 스프링(9)이 외통(2)에 대하여 공회전하고, 통부(67)가 코일 스프링(112)에 대하여 공회전하면, 페달 아암(69)은 거의 복귀 스프링(73)의 탄성력에 저항하는 힘만으로 A 방향으로 회전운동하는 것으로 된다.
폐달 아암(69)의 A 방향의 회전에서는, 파킹 케이블(190)은, E 방향으로 끌려서 팽팽해지고 이에따라 브레이크가 걸려진다. 페달(123)에의 발놀림력이 없게 되면, 페달 아암(69)은 복귀스프링(73)에 의하여 B 방향으로 회전운동되도록 하지만, 이 때 코일 스프링(112)도 또 통부(67)의 외주면(141)상에서 글리어 미끄러져서 B 방향으로 회전운동되도록 하지만, 이 미끄러짐에 있어서 코일 스프링(112)에는, 그 직경이 축소되도록 미끄럼 운동 저항이 통부(67)의 외주면(141)으로부터 미치게 되는 결과 직경이 축소된 코일 스프링(112)은 외주면(141)에 다시 강하게 감아지며, 코일 스프링(112)과 외주면(141)의 미끄럼 운동 마찰저항이 증대하여 통부(67)의 B 방향의 회전은 저지되고, 페달 아암(69)은 그 발놀림 위치에서 유지되며, 브레이크를 건 상태를 유지한다.
한편, 브레이크를 해제하는 헤제 케이블(169)이 F 방향으로 끌리어 팽팽해지면 해제레버(162)는 D 방향으로 회전운동되어 한 쪽단(167)이 코일 스프링(112)의 다른 쪽단(142)에 맞닿아서 코일 스프링(112)을 직경을 확대시킨다. 코일 스프링(112)이 확대되면 통부(67)는 코일 스프링(112)에 대하여 공회전이 가능하고 이리하여 페달 아암(69)은 복귀스프링(73)에 탄발되어 B 방향으로 회전운동되기 시작한다.
페달 아암(69)의 B 방향의 회전운동으로 통부(67)도 또 B 방향으로 회전운동되고, 이에따라 통부(67)에 한 쪽단(41)이 연결되고, 또 외통(2)의 외주면(8)에 접촉한 코일 스프링(9)도 또 외통(2)의 외주면(8)상에서 미끄럼 운동되도록 하여 B 방향으로 회전된다. 이 미끄럼 운동에서 코일 스프링(9)에는, 그 직경이 축소되는 미끄럼 운동 저항이 외주면(8)에 미치는 결과, 축소된 코일 스프링(9)은 외주면(8)과의 미끄럼 운동 마찰 저항을 증대하여, 외통(2)은 코일 스프링(9)과 함께 B 방향으로 회전운동되기 시작한다.
내통(7)에 대한 외통(2)의 B 방향의 상대회전은, 점성유체 수용실(105)의 점성유체(10)에 점성전단력을 미치고, 이에따라 외통(2)은 점성유체(10)의 점성전단저항에 의하여 회전운동되도록 되며, 결과적으로 페달아암(69)도 B 방향으로 천천히 회전운동되는 것으로 되며, 페달아암(69)이 스토퍼 로울러(186)이 격돌하여 소음을 발생하는 것을 피할 수 있게 된다.
또 자동차용 발놀림 파킹 브레이크(101)에서는, 페달아암(69)의 로크를, 래치트 이등을 이용하는 일이 없이, 코일 스프링(112)등으로 행하기 때문에, 소음이 생기지 않고, 매우 정숙하게 파킹 크레이크 작동을 이룰 수 있다.
또 상술과 같이, 파킹 브레이크(101)는, 브의 축부(121) 주위에 콤팩트하게 설치할 수 있기 때문에 브레이크 페달(61)의 주위를 넓게 할 수 있다.
그런데, 상기예서는, 프레임(62)이 통형상의 축부(121)를 구비하며, 한 쪽의 수용실 형성체가 축부(121)의 외주면에 고정하여 장착된 내통(7)으로 되고, 다른 쪽의 수용실 형성체가 내통(7)의 외주면에 장착된 외통(2)으로 되며, 내통(7)의 외주면(3)과 외통(2)의 내주면(4) 사이에 점성유체 수용실(5)이 형성되며, 코일 스프링(9)이 외통(2)의 외주면(8)에 감아 붙여져 되는 것이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제 7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속이 찬 축부(201)를 구비하여 프레임(62)을 형성하고, 한 쪽의 수용실형성체를 축부(201)의 외주면(202)으로 구성하고, 전술의 외통(2)과 같이 다른 쪽의 수용실형성체로서의 덮개(203)가 달린 통체(204)를 축부(201)의 외주면(202)에 장착하고, 축부(201)의 외주면(202)과 통체(204)의 내주면(205) 사이에 점성유체 수용실(5)을 형성하고, 코일 스프링(9)을 통체(204)의 외주면(206)에 감아 붙여도 좋고, 또 제 8 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한 쪽의 수용실형성체를 통형상의 축부(121)의 내주면(210)으로 구성하고, 외통(2)과 같이 형성된 다른 쪽의 수용실형성체로서의 덮개(211) 달린 통체(212)를 축부(121)의 내주면(210)에 장착하고, 축부(121)의 내주면(210)과 통체(212)의 외주면(213) 사이에 점성유체 수용실(5)을 형성하며, 코일 스프링(9)을 통체(212)의 내주면(214)에 감아 붙이고, 브레이크 페달(61)의 통부(67)와 축부(121) 사이에 축받이 부시(215)를 배치하여 구성하여도 좋다.
제 8 도에 나타낸 예에서는, 코일 스프링(9)의 확대직경으로서 코일 스프링(9)은 내주면(214)에 다시 강하게 감아 붙이고, 코일 스프링(9)과 내주면(214)과의 미끄럼 운동 마찰저항이 증대하며, 코일 스프링(9)의 회전으로, 통체(212)도 또 회전되며, 반대로 직경이 축소되는 것에 의하여, 내주면(214)이 느슨하게 감아붙여지며, 코일 스프링(9)은 내주면(214)에 대하여 미끄러져 공회전하는 것으로 된다.
또 제 9 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한 쪽의 수용실형성체로서의 외통(221)을 통형상의 축부(121)의 내주면(210)에 장착하고, 다른 쪽의 수용실형성체로서의 덮개(222)달린 통체(213)를 외통(221)의 내주면(224)에 장착하고, 외통(221)의 내주면(224)과 내통(223)의 외주면(225) 사이에 점성유체 수용실(5)을 형성하며, 코일 스프링(9)을 내통(223)의 내주면(226)에 감아 붙이고, 코일 스프링(112)을 브레이크 페달(61)의 통부(67)의 내주면(227)에 감아 붙여도 좋다.
본 예에서는 코일 스프링(9)은 제 8 도에 나타낸 예와 같게 작용하며 한편, 코일 스프링(112)은, 이것에 확대된 직경으로 내주면(227)에 다시 강하게 감아 붙이며, 코일 스프링(112)과 내주면(227)과의 미끄럼 마찰운동 저항이 증대하여 통부(67)의 회전은 저지되며, 페달 아암(69)은 그 발놀림 위치에서 유지되며, 브레이크 페달(61)레이크를 건 상태가 유지되며, 반대로 코일 스프링(112)의 축소직경으로 통부(67)는 코일 스프링(112)에 대하여 공회전이 가능하게 된다. 또 제 8 도 및 제 9 도의 예에서는, 통부(67)의 측벽부에는 관통구멍(231)이 돌설되며, 코일 스프링(9)의 한 쪽단(41)은 관통구멍(231)에 끼워져서 브레이크 페달(61)에 연결되어 있다.
그런데, 상술의 파킹 브레이크에 대하여 다시, 제 10 도에서 제 12 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통부(67)의 자유단(314)과 외통(2)과의 사이의 간격(H)을 유지하는 간격유지수단(315)을, 통부(67)의 고리형상의 자유단(314)과 외통(2)의 사이에 배치하여 파킹 브레이크(300)를 형성하여도 좋다.
본 예의 파킹 브레이크(300)에 있어서, 수용실 형성체로서의 외통(2)은, 제 13 도에서 제 16 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폴리 아세탈수지로 일체형성된 통형상의 덮개부재(326)를 구비하고 있으며, 본체부재(325)는, 코일 스프링(9)이 감겨져 있는 그 외주면(327)에 축방향을 따라서 늘어나는 여러 개의 오목홈(328)을, 그 한 쪽단면에는축방향을 따라서 돌출하는 여러 개의 돌기(329)를 각각 구비하며, 덮개부재(326)는, 통형상의 큰 직경부(330)와, 큰 직경부(330)에 고리형상의 연결부(331)를 통하여 연결된 작은 직경부(332)를 구비하고 있으며, 큰 직경부(330)에는 오목홈(328)에 대응하여 여러 개의 후크부(333)가, 연결부(331)에는 돌기(329)에 대응하여 관통구멍(334)이, 작은 직경부(332)에는 가느다란 홈(400)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덮개부재(326)는, 그 후크부(333)가 오목홈(328)에 걸어맞추어져서 본체부재(325)에 끼워져 있으며, 이 때 본체부재(325)의 돌기(329)가 관통구멍(334)에 끼워져 있다.
이와같이 되는 외통(2)은, 축부(201), 내통(7) 및 통부(67)에 대하여 A 및 B 방향으로 상대적으로 회전이 자유롭게 배치되어 있다. 점성유체 수용실(5)은 내통(7)의 외주면(411)과 본체부재(325)의 내주면(412)의 사이에 형성되어 있다.
간극유지수단(315)은, 본 실시예에서는 본체부재(325)의 한 끝단에 일체적으로 형성된 여러개의 부채형상의 돌기(355)로 이루어지고, 돌기(355)의 꼭대기면(356)은 통부(67)의 내주면(227)에 미끄럼운동이 자유롭게 맞닿음하고 있다.
이와같이 형성된 자동차용 발놀림 파킹 브레이크(300)는 상술한 파킹브레이크(101)와 같이 동작한다.
그리고, 자동차용 발놀림 파킹 브레이크(300)에서는, 브레이크페달(61)의 고리형의 자유단(314)과 외통(2)과의 사이에는, 통부(67)의 자유단(314)과 외통(2)과의 간격(H)을 유지하는 간격유지수단(315)으로써 돌기(355)가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발놀림방향과 교차하는 경사방향의 힘이 페달아암(69)에 가해지더라도 통부(67)의 자유단(314) 쪽이 크게 변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따라서 회전중에 통부(67)의 내주면(227)이 과도하게 코일 스프링(9)에 접촉되고, 다른음 또는 발놀림저항이 발생하거나 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자동차용 발놀림 파킹 브레이크(300)에서는, 돌기(355)에 의하여 코일 스프링(9)의 축 방향 이동을 방지하고 있기 때문에, 코일 스프링(9)이 외통(2)에서 빠져 버리는 것과 같은 사태가 발생하는 일은 없다.
그런데 자동차용 발놀림 파킹 브레이크(300)에서, 통부(67)의 자유단(314) 쪽이 크게 변위하는 원인은, 많게는 페달아암(69)의 떨림에 있고, 따라서 페달아암(69) 자체의 떨림을 적게하기 위해서는, 통부(67)와 덮개부재(326)와의 틈새(450) 및 덮개부재(326)과 축부(201)와의 틈새(451)(간격)를 작게하는 것도 좋지만, 그러나 본체부재(325)의 돌기(329)가 덮개부재(326)의 관통구멍(334)에 끼워부침되고, 본체부재(325)와 덮개부재(326)가 서로 A 및 B 방향으로 회전할 수 없도록 되어 있는 상술한 외통(2)에 있어서, 틈새(450) 및 (451)을 작게하면, 통부(67), 덮개부재(326) 및 축부(201)의 열팽창 차에 의하여 고온 또는 저온시에 덮개부재(326)와 통부(67) 혹은 축부(201)의 사이에 조임값이 생겨서 그 사이의 마찰이 매우 크게되고, 상기 동작이 불량하게되는 우려를 가지고, 이때문에, 상술한 외통(2)에서는 열팽창 차를 고려하면 틈새(450) 및 (451)을 그만큼 작게하여 떨어뜨린다.
이 문제는, 통부(67) 및 축부(201)에 그속재료를 사용하여 외통(2)에 그것과 열팽창 차가 현저하게 다른 상술한 수지재료등을 사용한 경우에 현저하게 발생한다.
이와같은 문제를 해결하려고, 본체부재(325) 및 덮개부재(326)로 이루어지는 외통(2)에 대하여 제 17 도에서 부터 제 20 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외통(520)로 부터 본 발명의 자동차용 발놀림 파킹 브레이크(500)를 형성하여도 좋다. 즉 본 실시예의 수용실형성체로서 외통(520)은, 코일 스프링(9)이 감기게 되는 외주면(521)에 고리형상 홈(522)을 가지는 통형상의 본체부재(523)와, 여러개의 후크부(524)를 통형상 큰지름부(525)에 일체적으로 가지는 덮개부재(526)로 이루어지고, 덮개부재(526)은, 그 후크부(524)가 고리형상 홈(522)에 걸어맞춤되어서 본체부재(523)에 끼워붙임되어 있다. 본 외통(520)에서는 후크부(524)와 고리형상 홈(522)의 걸어맞춤에 의하여, 덮개부재(526)는 빠지지않도록 단단하게 본체부재(523)에 끼워붙임되는 한편, 상술한 덮개부재(326)와 다른 본체부재(523)에 대하여 축심(6)의 둘레에서 A 및 B 방향으로 상대적으로 회전가능하게 되어 있다. 따라서 이와같이 외통(520)을 수용실형성체로 사용하여서 자동차용 발놀림 파킹 브레이크(500)를 형성함으로서, 만일 열팽창 차이에 의하여 덮개부재(526)의 외면과 통부(67)의 내면과의 틈새(450) 또는 축부(201)의 외면과 덮개부재(526)의 통형상 작은지름부(527)의 내면과의 틈새(451)에 조임 값이 생겨서 그 틈새의 마찰이 매우 크게되어도 페달아암(69)의 회동에서는, 본체부재(523)와 덮개부재(526)이 A 및 B 방향으로 서로 관계없이 상대적으로 회전하여 얻는결과, 상기와 같은 동작불량이 생기는 우려가 없게되며, 틈새(450) 및 (451)를 충분히 작게하여 페달아암(69) 자체의 떨림을 적게할 수 있다.
또한, 자동차용 발놀림 파킹 브레이크(300)에서는, 간격유지수단(315)를 여러개의 부채형상의 돌기(355)로 구성하거나, 이것을 본체부재(523)에 일체적으로 형성한 고리형상의 돌기(500)로 구성하여도 좋다.

Claims (15)

  1. 한 쪽의 수용실형성체와, 이 한 쪽의 수용실형성체와의 사이에서 점성유체 수용실(5)을 형성하고 또 한 쪽의 수용실형성체에 대하여 회전이 자유롭게 되도록, 한 쪽의 수용실형성체에 대향하여 배치된 다른 쪽의 수용실형성체와, 이 다른 쪽의 수용실형성체에 감아 붙여진 코일 스프링과, 점성유체 수용실(5)에 배치된 점성유체(10)를 구비하고 있는 자동차용 발놀림 파킹 브레이크에 사용되는 일방향 댐퍼.
  2. 제 1 항에 있어서, 한 쪽의 수용실형성체는 외통(2)이고, 다른 쪽의 수용실형성체는 이 외통(2)의 내주면에 장착된 내통(7)이며, 외통(2)의 내주면과 내통(7)의 외주면 사이에 점성유체 수용실(5)이 형성되어 있으며, 코일 스프링(9)은 내통(7)의 내주면에 감아 붙여져 있는 자동차용 발놀림과 파킹 브레이크에 사용되는 일방향 댐퍼.
  3. 제 1 항에 있어서, 한 쪽의 수용실형성체는 내통이고, 다른 쪽의 수용실형성체는 이 내통의 외주면에 장착된 외통이며, 외통의 내주면과 내통의 외주면 사이에 점성유체 수용실(5)이 형성되어 있으며, 코일 스프링은 외통의 외주면에 감아 붙여져 있는 자동차용 발놀림 파킹 브레이크에 사용되는 일방향 댐퍼.
  4. 제 1 항 내지 제 3 중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일방향 댐퍼(1)를 이용한 자동차용 발놀림 파킹 브레이크로서, 브레이크 페달(61)은, 탄성력에 의하여 초기위치로 복귀되도록 복귀스프링(73)에 의하여 힘이 가해져 있으며, 코일 스프링(9)의 한 쪽단은 브레이크 페달(61) 및 프레임(62) 중 어느 한 쪽에 연결되어 있으며, 한 쪽의 수용실형성체는, 브레이크 페달(61) 및 프레임(62) 중 다른 쪽에 연결되어 있고, 브레이크 페달(61)의 발놀림 행정에서는, 다른 쪽의 수용실형성체에 대하여 코일 스프링(9)이 상대적으로 공회전하고, 브레이크 페달(61)의 초기위치로의 복귀행정에서는, 다른 쪽의 수용실형성체에 코일 스프링(9)이 고마찰저항을 가지고 접촉되도록, 코일 스프링(9)의 감김방향이 설정되어 있는 자동차용 발놀림 파킹 브레이크.
  5. 프레임(62)과, 이 프레임(62)에 회전운동이 자유롭게 부착된 브레이크 페달(61)과, 프레임(62)에 고정설치된 한 쪽의 수용실형성체와, 이 수용실형성체와의 사이에서 점성유체 수용실(5)을 형성하고, 또 이 수용실형성체에 대하여 회전이 자유롭게 배치된 다른 쪽의 수용실형성체와, 점성유체 수용실(5)에 배치된 점성유체(10)와, 한 쪽이 브레이크 페달(61)에 연결되어 있고, 브레이크 페달(61)의 발놀림 행정에서는, 다른 쪽의 수용실형성체에 대하여 공회전하고, 브레이크 페달(61)의 초기위치로의 복귀행정에서는, 다른 쪽의 수용실형성체에 고마찰저항을 가지고 접촉되도록, 감김방향이 설정되어 다른 쪽의 수용실형성체에 배치된 제 1 코일스프링(9)과, 한 쪽단이 프레임(62)에 연결되어 있고, 브레이크 페달(61)의 발놀림 행정에서는, 브레이크 페달(61)에 느슨하게 접촉하고, 브레이크페달(61)의 초기위치로의 복귀행정에서는, 브레이크 페달(61)에 고마찰 저항을 가지고 접촉하도록 감김방향이 설정되어 브레이크 페달(61)에 배치된 제 2 코일 스프링(112)과, 탄성력에 의하여 브레이크 페달(61)을 초기위치로 복귀시키도록 프레임(62) 및 브레이크 페달(61) 사이에 팽팽하게 설치된 복귀스프링(73)과, 제 2 코일 스프링의 브레이크 페달(61)로의 고마찰저항을 가진 접촉을 해제하는 해제장치(114)를 구비하는 자동차용 발놀림 파킹 브레이크.
  6. 제 5 항에 있어서, 프레임(62)은, 축부(201)를 구비하고 있고, 한 쪽의 수용실형성체는 이 축부(201)의 외주면이고, 다른 쪽의 수용실형성체는 이 축부의 외주면에 장착된 통체(204)이며, 축부(201)의 외주면과 통체(204)의 내주면과의 사이에 점성유체 수용실(5)이 형성되어 있고, 제 1 코일 스프링은 통체(204)의 외주면에 감아 붙여져 있는 자동차용 발놀림 파킹 브레이크.
  7. 제 5 항에 있어서, 프레임(62)은, 통형상의 축부(121)를 구비하고 있고, 한 쪽의 수용실형성체는 이 축부(121)의 내주면이고, 다른 쪽의 수용실형성체는 이 축부(121)의 내주면에 장착된 통체(212)이며, 축부(121)의 내주면과 통체(212)의 외주면과의 사이에 점성유체 수용실(5)이 형성되어 있고, 제 1 코일 스프링은 통체(212)의 내주면에 감아 붙여져 있는 자동차용 발놀림 파킹 브레이크.
  8. 제 5 항에 있어서, 프레임(62)은, 축부를 구비하고 있고, 한 쪽의 수용실형성체는 이 축부(121)의 외주면에 장착된 내통(7)이며, 다른 쪽의 수용실형성체는 이 내통(7)의 외주면에 장착된 외통이며, 내통(7)의 외주면과 외통의 내주면 사이에 점성유체 수용실(5)이 형성되어 있고, 제 1 코일 스프링은 외통의 외주면에 감아 붙여져 있는 자동차용 발놀림 파킹 브레이크.
  9. 제 5 항에 있어서, 프레임(62)은, 축부를 구비하고 있고, 한 쪽의 수용실형성체는 이 축부의 내주면에 장착된 외통이며, 다른 쪽의 수용실형성체는 이 외통의 내주면에 장착된 내통이며, 외통의 내주면과 내통의 외주면 사이에 점성유체 수용실(5)이 형성되어 있고, 제 1 코일 스프링은 내통의 내주면에 감아 붙여져 있는 자동차용 발놀림 파킹 브레이크.
  10. 제 6 항 내지 제 9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브레이크 페달(61)은 프레임(62)의 축부와 동심한 통부를 구비하고 있고, 이 통부의 내주면 또는 외주면에 제 2 코일 스프링이 감아 붙여져 있는 자동차용 발놀림 파킹 브레이크.
  11. 제 6 항 내지 제 9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브레이크 페달(61)은 프레임(62)의 축부와 동심한 원기둥부를 구비하고 있고, 이 원기둥부의 외주면에 제 2 코일 스프링이 감아 붙여져 있는 자동차용 발놀림 파킹 브레이크.
  12. 제 5 항 내지 제 9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해제장치(114)는, 회전운동되는 것에 의하여 한 쪽단(163)이 제 2 코일 스프링(112)의 다른쪽단(164)에 걸어맞춤하여 제 2 코일 스프링(112)의 직경을 확대 또는 축소시키고, 제 2 코일 스프링(112)의 브레이크 페달(61)로의 고마찰저항을 가진 접촉을 해제하도록, 프레임(62)에 회전운동이 자유롭게 부착된 해제레버(162)와, 이 해제레버(162)의 한 쪽단의 제 2 코일 스프링(112)의 다른 쪽단으로의 걸어맞춤을 해제하도록, 해제레버(162)를 탄성력에 의하여 탄발하는 스프링을 구비하고 있는 자동차용 발놀림 파킹 브레이크.
  13. 제 12 항에 있어서, 해제레버(162)의 다른 쪽단은, 스프링의 탄성력에 저항하여 이 해재레버(162)를 회전운동시키는 해제 케이블(169)을 연결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는 자동차용 발놀림 파킹 브레이크.
  14. 축부를 가지는 프레임(62)과, 프레임(62)의 축부와 동심으로 프레임(62)의 축부의 외측에 배치된 통부를 가지고 있으며, 프레임(62)의 축부에 회전이 자유롭게 부착된 브레이크 페달(61)과, 프레임(62)의 축부에 고정하여 설치된 한 쪽의 수용실 형성체와, 이 수용실 형성체와의 사이에서 점성유체 수용실(5)을 형성하며, 또 이 점성유체 수용실(5)에 회전이 자유롭게 외측에 장치된 다른 쪽의 수용실 형성체와, 점성유체 수용실(5)에 배치된 점성유체(10)와, 한 쪽단이 브레이크 페달(61)의 통부에 연결되어 있고, 브레이크 페달(61)의 발놀림 행정에서는, 다른 쪽의 수용실형성체에 대하여 공회전하고, 브레이크 페달(61)의 초기위치로의 복귀행정에서는, 다른 쪽의 수용실형성체에 고마찰저항을 가지고 접촉되도록, 감김방향이 설정되어 다른 쪽의 수용실형성체의 외주에 감겨진 코일 스프링과, 탄성력에 의하여 브레이크 페달(61)을 초기위치로 복귀시키도록, 프레임(62) 및 브레이크 페달(61) 사이에 팽팽히 설치된 복귀 스프링(73)을 구비하고 있으며, 브레이크 페달(61)의 통부의 자유단(314)과 다른 쪽의 수용실형성체와의 사이에는, 이 통부의 자유단과 다른 쪽의 수용실형성체와의 간격(H)을 유지하는 간격유지수단(315)을 가지고 있는 자동차용 발놀림 파킹 브레이크.
  15. 제 14 항에 있어서, 간격유지수단(315)은 다른 쪽의 수용실형성체에 일체적으로 형성된 돌기인 자동차용 발놀림 파킹 브레이크.
KR1019920019089A 1991-10-29 1992-10-17 자동차용 발놀림 파킹 브레이크 및 이것에 사용되는 일방향 댐퍼 Expired - Fee Related KR10025197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3311983A JPH05229411A (ja) 1991-10-29 1991-10-29 一方向ダンパ及びこれを用いた自動車用足踏みパーキングブレーキ
JP91-311983 1991-10-29
JP4117948A JPH05286425A (ja) 1992-04-09 1992-04-09 自動車用足踏みパーキングブレーキ
JP92-117948 1992-04-09
JP25751392A JP3163780B2 (ja) 1992-09-01 1992-09-01 自動車用足踏みパーキングブレーキ
JP92-257513 1992-09-0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7740A KR930007740A (ko) 1993-05-20
KR100251977B1 true KR100251977B1 (ko) 2000-04-15

Family

ID=273134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19089A Expired - Fee Related KR100251977B1 (ko) 1991-10-29 1992-10-17 자동차용 발놀림 파킹 브레이크 및 이것에 사용되는 일방향 댐퍼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5335563A (ko)
EP (1) EP0540298B1 (ko)
KR (1) KR100251977B1 (ko)
DE (1) DE69213651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070A (ja) * 1993-06-16 1995-01-06 Honda Motor Co Ltd パーキングブレーキ装置
US5533420A (en) * 1994-05-20 1996-07-09 Dura Automotive Holding, Inc. Parking brake system including an internal clutch spring
US5546828A (en) * 1995-01-13 1996-08-20 Atoma International Inc. Parking brake
DE19514541C2 (de) * 1995-04-20 1998-01-15 Daimler Benz Ag Gaspedal mit Reibkörper
US5697260A (en) * 1995-08-09 1997-12-16 Teleflex Incorporated Electronic adjustable pedal assembly
US5722302A (en) 1995-08-09 1998-03-03 Teleflex, Inc. Adjustable pedal assembly
US5819593A (en) * 1995-08-09 1998-10-13 Comcorp Technologies, Inc. Electronic adjustable pedal assembly
US6289763B1 (en) 1995-08-09 2001-09-18 Teleflex Incorporated Electronic adjustable pedal assembly
KR200145221Y1 (ko) * 1996-07-30 1999-06-15 윤종용 로봇 회전관절 스토퍼
US6085384A (en) * 1999-04-08 2000-07-11 Illinois Tool Works Inc. One-way hinge damper
US6553863B1 (en) 1999-04-21 2003-04-29 Atoma International Corp. Accelerator pedal
US6209418B1 (en) 1999-08-26 2001-04-03 Teleflex Incorporated Mechanical kickdown for electronic throttle control pedal assembly
JP3900767B2 (ja) * 1999-12-22 2007-04-04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自動車のペダル装置
DE10007743A1 (de) * 2000-02-19 2001-08-23 Mannesmann Vdo Ag Pedal
FR2815004B1 (fr) * 2000-10-11 2003-01-10 Bosch Gmbh Robert Frein a main de vehicule automobile
JP4524771B2 (ja) 2001-01-26 2010-08-18 株式会社ニフコ 回転ダンパおよびアシストグリップ装置
DE60227862D1 (de) * 2001-02-14 2008-09-11 Oiles Industry Co Ltd Dämpfer und Kraftfahrzeugsitz mit einem solchen Dämpfer
JP3926580B2 (ja) * 2001-04-25 2007-06-06 株式会社パイオラックス 開閉装置
DE20109710U1 (de) * 2001-06-09 2001-08-30 Edscha AG, 42855 Remscheid Vorrichtung zur Betätigung von Feststellbremsen für Kraftfahrzeuge
JP2003130111A (ja) * 2001-10-23 2003-05-08 Tok Bearing Co Ltd 回転速度制御装置
DE602004017301D1 (de) * 2003-05-12 2008-12-04 Oiles Industry Co Ltd Dämpfer für autositz und autositzmechanismus mit dem dämpfer
US7051614B2 (en) * 2003-11-25 2006-05-30 Intier Automotive Closures Inc. Quiet apply push to release parking brake pedal
DE102004058332A1 (de) * 2004-12-02 2006-06-08 Zf Friedrichshafen Ag Parksperre für ein Kraftfahrzeug
US7757832B2 (en) 2004-12-02 2010-07-20 Zf Friedrichshafen Ag Parking lock for a motor vehicle
US7753181B2 (en) 2005-01-31 2010-07-13 Illinois Tool Works Inc. Damper having silicone impregnated and silicone containing components
US20090101455A1 (en) * 2007-07-31 2009-04-23 Dura Global Technologies, Inc. Self-adjusting torsion lock parking brake
US20090126154A1 (en) * 2007-11-21 2009-05-21 Cheng Uei Precision Industry Co., Ltd. Hinge apparatus
US9144586B2 (en) 2010-04-07 2015-09-29 Incube Labs, Llc Method for treating glucose related disorders using stem cell-derived gastro-intestinal cells
AT512300B1 (de) * 2012-01-25 2013-07-15 Fulterer Gmbh Vorrichtung zur dämpfung der bewegung eines beweglich gelagerten bauteils
SI2807320T1 (en) 2012-01-25 2018-06-29 Fulterer Ag & Co Kg Extracting device for at least two extractive furniture parts
AT512306B1 (de) * 2012-01-25 2013-07-15 Fulterer Gmbh Vorrichtung zur dämpfung der bewegung eines beweglich gelagerten bauteils
AT512415B1 (de) 2012-03-20 2013-08-15 Fulterer Gmbh Zuziehvorrichtung für ein beweglich gelagertes Möbelteil
DE112020002307T5 (de) 2019-05-09 2022-02-17 Cts Corporation Fahrzeugbremspedal mit pedalwiderstandsbaugruppe und kraft-/positionssensor
EP4277814A1 (en) 2021-01-13 2023-11-22 CTS Corporation A vehicle pedal resistance and dampener assembly
US12090980B2 (en) 2022-09-06 2024-09-17 Cts Corporation Brake pedal emulator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80021A (ja) * 1984-02-28 1985-09-13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スイツチ
JPS6154961A (ja) * 1984-08-27 1986-03-19 Fuji Kagakushi Kogyo Co Ltd 熱溶融転写記録方法
JPS62216847A (ja) * 1986-03-18 1987-09-24 Nhk Spring Co Ltd フツトブレ−キ
JPS63106161A (ja) * 1986-05-17 1988-05-11 Nhk Spring Co Ltd 足踏み式駐車ブレ−キ
JPS63134866A (ja) * 1986-11-25 1988-06-07 Seiji Mine 遠心力による推力発生装置
DE3816976A1 (de) * 1987-05-29 1988-12-15 Aisin Seiki Parkbremse mit fussbetaetigung
JPH0790756B2 (ja) * 1987-06-08 1995-10-04 日本発条株式会社 足踏み式駐車ブレーキ
JP2537676B2 (ja) * 1988-12-29 1996-09-25 日本発条株式会社 足踏み式パ―キングブレ―キ
JPH03161814A (ja) * 1989-11-20 1991-07-11 Nhk Spring Co Ltd 回転ロック装置
JP2852962B2 (ja) * 1990-06-05 1999-02-03 日本発条株式会社 足踏み式駐車ブレーキ
JP2779692B2 (ja) * 1990-06-19 1998-07-23 日本発条株式会社 足踏み式パーキングブレーキ
JPH04232157A (ja) * 1990-12-28 1992-08-20 Nhk Spring Co Ltd 足踏み式駐車ブレーキ
JPH04232155A (ja) * 1990-12-28 1992-08-20 Nhk Spring Co Ltd 足踏み式駐車ブレーキ
JPH04232156A (ja) * 1990-12-28 1992-08-20 Nhk Spring Co Ltd 足踏み式駐車ブレーキ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5335563A (en) 1994-08-09
DE69213651D1 (de) 1996-10-17
EP0540298B1 (en) 1996-09-11
EP0540298A1 (en) 1993-05-05
KR930007740A (ko) 1993-05-20
DE69213651T2 (de) 1997-04-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51977B1 (ko) 자동차용 발놀림 파킹 브레이크 및 이것에 사용되는 일방향 댐퍼
JP5148475B2 (ja) 再設置特徴付きテンショナ
US6467130B2 (en) Damping structure for rotating member and assist grip including the damping structure
JP5587896B2 (ja) ベルトテンショナーのクラッチ式ダンパー
JP4508641B2 (ja) テンショナ
US4813915A (en) Tensioning device for belts and the like, in particular on motor vehicle engines
KR20040053193A (ko) 텐셔너
US4773516A (en) Novel clutch lever support means
JP2009068644A (ja) スプリング装置およびアクセルペダル装置
KR19990067665A (ko) 마모 보상 장치를 구비한 자동차용 마찰 클러치
EP0657319B1 (en) Accelerator pedal arrangement
JPH066309Y2 (ja) シ−トダンパ−
JP2001260697A (ja) ペダル
US4301897A (en) Slack adjuster
JP2003184968A (ja) テンショナー
JPH0118921Y2 (ko)
KR100407566B1 (ko) 회전체의 제동구조
JP3163780B2 (ja) 自動車用足踏みパーキングブレーキ
JP4742397B2 (ja) 自動車のペダル装置及びこれに用いられるダンパ
JP3238261B2 (ja) オートテンショナ
JP3807180B2 (ja) 自動車のペダル装置
JPS5929159Y2 (ja) ブレ−キギャップ調整用組立体
JPH0741955Y2 (ja) オートテンショナ
CN221162078U (zh) 作动器、悬架总成及车辆
JPH0130669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R17-X000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7-oth-X000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106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040116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040116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