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251738B1 - 광전송장치에 있어서 광선로 증폭기의 비트 에러율 개선회로 - Google Patents

광전송장치에 있어서 광선로 증폭기의 비트 에러율 개선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51738B1
KR100251738B1 KR1019970076026A KR19970076026A KR100251738B1 KR 100251738 B1 KR100251738 B1 KR 100251738B1 KR 1019970076026 A KR1019970076026 A KR 1019970076026A KR 19970076026 A KR19970076026 A KR 19970076026A KR 100251738 B1 KR100251738 B1 KR 1002517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tical
amplifier
dbm
division multiplexer
wavelength divis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760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56050A (ko
Inventor
윤지현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700760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51738B1/ko
Publication of KR199900560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560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517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51738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0Transmission systems employing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waves, e.g.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or employing corpuscular radiation, e.g. quantum communication
    • H04B10/29Repeaters
    • H04B10/291Repeaters in which processing or amplification is carried out without conversion of the main signal from optical for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0Transmission systems employing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waves, e.g.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or employing corpuscular radiation, e.g. quantum communication
    • H04B10/07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testing transmission systems; Arrangements for fault measurement of transmission systems
    • H04B10/075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testing transmission systems; Arrangements for fault measurement of transmission systems using an in-service signal
    • H04B10/079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testing transmission systems; Arrangements for fault measurement of transmission systems using an in-service signal using measurements of the data signal
    • H04B10/0795Performance monitoring; Measurement of transmission parameters
    • H04B10/07955Monitoring or measuring pow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14/00Optical multiplex systems
    • H04J14/02Wavelength-division multiplex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Optical Communication Syste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앞단 출력에서 나오는 광세기를 -10dBm ~ -18dBm(KT SPEC)범위의 광세기가 입력하더라도 -18dBm일 때의 광출력 0dBm 이하로 맞춰주기 위해 앞단에 외장 포토다이오드를 장착하고 뒷단과 같은 APC회로를 구성하여 일정한 광세기를 갖는 APC를 동작시키므로 SPM현상을 제거하고 이로인해 광수신감도를 증가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Description

광전송장치에 있어서 광선로 증폭기의 비트 에러율 개선회로
본 발명은 광전송장치에 있어서 광선로 증폭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현장에 응용시 자치위상변조(SPM;Self Phase Modulation)에 의한 비트 에러 레이트(BER)의 나쁜 영향을 분산보상광선로(DCF)의 앞단에 외장 포토다이오드(Photo Diode)로 APC(Auto Power Control)를 작동시켜 자체위상변조(SPM)에 의한 비트 에러 레이트의 나쁜 영향을 제거하는 회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송시스템에 사용된 광선로 증폭선단(EDF)는 도 1의 예와 같이 입력단(IN)으로부터 파장 분할 다중화기(WDM1)을 연결하고, 상기 파장 분할 다중화기(WDM)로부터 탭카플러(TAP1)를 연결하여 상기 탭카플러(TAP1)에서 포토다이오드(PD1)을 통해 손실을 모니터링하며, 상기 탭카플러(TAP1)로부터 아이솔레이타(ISO1)을 연결하고, 상기 아이솔레이타(ISO1)로부터 파장 분할 다중화기(WDM2)를 연결하며, 상기 파장 분할 다중화기(WDM2)에는 증폭을 위한 펌핑 발광다이오드(PLD1)를 연결하고, 상기 파장 분할 다중화기(WDM2)로부터 광선로 증폭선단(EDF)를 통해 아이솔레이션필터(ISOF)를 연결하며, 상기 아이솔레이션필터(ISOF)로부터 분산 보상 증폭선단(DCF)을 연결하고, 상기 분산 보상 증폭선단(DCF)으로부터 아이솔레이터(ISO2)를 연결하며, 상기 아이솔레이터(ISO2)로부터 파장 분할 다중화기(WDM3)를 연결하고, 상기 파장 분할 다중화기(WDM3)로부터 광선로 증폭선단(EDF)를 연결함과 동시에 펌핑 발광다이오드(PLD2)를 연결하며, 상기 광선로 증폭선단(EDF)로부터 아이솔레이터(ISO3)를 통해 탭카플러(TAP2)를 연결하고 상기 탭카플러(TAP2)에는 출력유지용 포토다이오드(PD2)를 연결하며 상기 탭카플러(TAP2)에는 파장 분할 다중화기(WDM4)를 연결한다. 상기 포토다이오드(PD1, PD2) 펌핑 발광다이오드(PLD1, 2)는 광모듈제어보드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광선로 증폭기의 입력세기는 -18dBm에서 NF가 최적이 되게 설계되어져 있다. 그러나 선로 특성상 실제 입력세기는 -10~ -18dBm 사이의 광세기가 들어오기 때문에 -18dBm보다 높은 광세기가 들어온다면 OSNR이 좋아지기 때문에 NF가 조금 나빠져도 괜찮다.그런데 일단 -18dBm 보다 더 센 광이 들어오면 앞단은 자동 전력 제어(APC)가 작동하지 않기 때문에 앞단 출력은 0dBm이상으로 분산 보상 증폭선단(DCF)에 입력되게 된다. 이런 경우 전체 광스펙트럼에서 SPM현상이 나타나 전송루프상의 광수신기에서 비트 에러 레이트가 나빠지는 현상이 생긴다. 따라서 장거리 전송을 하는 10G TDM이나 WDM 시스템에서 이런 광선로상의 문제는 전체 시스템의 수신감도에 나쁜 영향을 주게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앞단 출력에서 나오는 광세기를 -10dBm ~ -18dBm(KT SPEC)범위의 광세기가 입력하더라도 -18dBm일 때의 광출력 0dBm 이하로 맞춰주기 위해 앞단에 외장 포토다이오드를 장착하고 뒷단과 같은 APC회로를 구성하여 일정한 광세기를 갖는 APC를 동작시켜 SPM현상을 제거하고 이로인해 광수신감도를 증가시키는 회로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종래의 광선로증폭기의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선로증폭기의 회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이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하기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내려진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또는 칩설계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선로 증폭기의 시스템도로서
도 1의 아이솔레이션필터(ISOF)로부터 분산 보상 증폭선단(DCF1)의 사이에 메인패스를 위해 탭(TAP2)을 연결하며, 상기 탭(TAP2)에 외장 발광다이오드(PD2)를 연결하여 상기 분산 보상 증폭선단(DCF1)의 전단의 APC를 작동시켜 -10dBm의 높은 입력의 광세기가 있더라도 0dBm을 유지 하도록 한다. 즉, 본 발명은 상기 광선로 증폭기의 광부분의 메인 패스에서 APC회로에 연결하기 위해서 1:99 탭(TAP2)카플러를 사용하여 포토다이오드(PD2)의 광학부에 연결하고, 상기 포토다이오드(PD2)의 전기적 부분을 광 모듈 제어부(101)에 연결함으로써 APC를 작동시킨다. 이 때 사용된 APC회로는 뒷단의 포토다이오드(PD3)의 APC회로와 일치하며, -10dBm ~ -18dBm범위의 광세기가 입력되여도 상기 분산 보상 증폭선단(DCF)의 입력 광세기는 0dBm으로 맞춰질 수가 있었다. 따라서 분산 보상 증폭선단(DCF)의 입력광세기의 0dBm이 넘기 때문에 나타나는 SPM에 의한 광수신감도의 악영향을 제거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구체적 일 실시예를 도 2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도 2에서 나타낸 것과 같이 일반적으로 광전송 시스템의 광선로 증폭선단(EDF)는 실제 선로 사이에 위치하여 광전송시스템에서 발생한 전기적인 데이터를 광신호로 전환한 다음 광송신기로 송신을 해주게 된다. 광전력 증폭기에서 일단 증폭된 광신호는 분산 등의 여러 가지 손실을 가지고 있는 SMF(Single Mode Fiber)를 타고 전송해 가게 된다. 보통 320Km를 전송하기 위해서는 광송신기와 광전력증폭기, 80Km마다 놓이는 광선로 증폭기 3 세트, 그리고 광송신기의 레벨정도로 광을 다시 조절해주는 광전치증폭기, 광수신기로 구성된다.
그런데 일반적으로 SMF는 분산에 의한 손실이 많기 때문에 이를 보상하기 위해서 광선로 증폭기와 광전치증폭기 안에 분산 보상 증폭선단(DCF)를 사용하게 되고,상기 분산 보상 증폭선단(DCF)의 입력은 일반적으로 0dBm이하가 되는데, 0dBm이하가 될 경우 SPM현상이 나타나지 않는다. 그러나 기존의 광선로증폭기는 더블 펌핑형태로 앞단과 뒷단이 개별적으로 동작하며, APC는 뒷단에 위치하고, 광선로증폭기의 총출력의 APC만 관여하게 설계 되어져 있다. 따라서 -18dBm이상의 광일때는 분산 보상 증폭선단(DCF)의 입력 광세기가 0dBm이하의 세기가 들어가게 되지만 APC가 되지 않는 앞단에 -18dBm이상의 광세기가 입력된다면 분산 보상 증폭선단(DCF)의 입력광세기는 0dBm 이상이 될 것이다. 이런 현상으로 인해 SPM현상이 나타나며 광수신기의 수신감도의 저하를 가져온다. 결과적으로 전체 광전송시스템의 수신감도 또한 영향을 미친다.그래서, 선로특성상 들어오는 입력광세기가 -10dBm 정도의 높은 광세기라도 분산 보상 증폭선단(DCF)의 입력단에서는 항상 0dBm을 맞춰주는게 필요하며, 광폭기의 메인 패스상에 탭(TAP)커플러와 외장 포토다이오드(PD2)를 사용하여 이를 해결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구성된 광선로증폭기는 -10 ~ -18dBm 범위의 입력광세기에서 앞단 APC가 동작하며, 높은 입력광세기에서도 OSNR의 증가를 가져올 뿐, 광수신감도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이는 높은 입력광세기가 들어와도 앞단 펌핑에 사용되는 980nm의 펌프발광다이오드(PLD2)가 APC회로의 동작으로 0dBm을 맞추기 위해 -18dBm일 때보다 LD 전류를 줄였기 때문이며, 이 때 NF는 앞단이 APC회로가 작동하기 때문에 약간의 EDF길이를 줄임으로써 전체적인 NF를 줄일 수 있었으며, 실험상 -10dBm이상의 입력광세기가 입사되어지더라도 APC는 동작함을 확인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앞단 출력에서 나오는 광세기를 -10dBm ~ -18dBm(KT SPEC)범위의 광세기가 입력하더라도 -18dBm일 때의 광출력 0dBm 이하로 맞춰주기 위해 앞단에 외장 포토다이오드를 장착하고 뒷단과 같은 APC회로를 구성하여 일정한 광세기를 갖는 APC를 동작시키므로 SPM현상을 제거하고 이로인해 광수신감도를 증가시키는 장점이 있으며, 또한, 고속 대용량의 다채널 전송방식인 WDM 전송시스템의 광선로증폭기에서도 이런 방법을 응용한다면 LD 안정화회로를 통해 송신되는 광을 좀더 안정된 상태로 광을 전송시킬 수 있으며, 광수신감도와 OSNR을 증가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1)

  1. 파장 분할 다중화기(WDM1), 탭 커플러(TAP1), 포토다이오드(PD1), 아이솔레이타(ISO1), 파장 분할 다중화기(WDM2), 펌핑 발광다이오드(PLD1), 광선로증폭선단(EDF), 아이솔레이션필터(ISOF), 분산보상증폭선단(DCF), 아이솔레이터(ISO2), 파장분할다중화기(WDM3), 광선로증폭선단(EDF), 펌핑발광다이오드(PLD2), 광선로증폭선단(EDF), 아이솔레이터(ISO3), 탭카플러(TAP2), 출력유지용포토다이오드(PD2), 파장 분할 다중화기(WDM4)를 구비한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아이솔레이션필터(ISOF)로부터 상기 분산 보상 증폭선단(DCF1)의 사이에 메인패스를 위해 탭(TAP2)을 연결하며, 상기 탭(TAP2)에 외장 발광다이오드(PD2)를 연결하여 상기 분산 보상 증폭선단(DCF1)의 전단의 APC를 작동시켜 -10dBm의 높은 입력의 광세기가 있더라도 0dBm을 유지 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광전송장치에 있어서 광선로 증폭기의 비트 에러율 개선회로.
KR1019970076026A 1997-12-29 1997-12-29 광전송장치에 있어서 광선로 증폭기의 비트 에러율 개선회로 Expired - Fee Related KR1002517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76026A KR100251738B1 (ko) 1997-12-29 1997-12-29 광전송장치에 있어서 광선로 증폭기의 비트 에러율 개선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76026A KR100251738B1 (ko) 1997-12-29 1997-12-29 광전송장치에 있어서 광선로 증폭기의 비트 에러율 개선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56050A KR19990056050A (ko) 1999-07-15
KR100251738B1 true KR100251738B1 (ko) 2000-04-15

Family

ID=195291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76026A Expired - Fee Related KR100251738B1 (ko) 1997-12-29 1997-12-29 광전송장치에 있어서 광선로 증폭기의 비트 에러율 개선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51738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56050A (ko) 1999-07-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03711A (en) In-line optical amplifier
KR100210969B1 (ko) 광통신 시스템 및 광 증폭기
US6449074B1 (en) Optical transmission device and optical communication system
US6111688A (en) Optical amplifier and system including the same
US7224517B2 (en) Multi-wavelength light amplifier
US7038841B2 (en) Fiber amplifi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20070258722A1 (en) Optical receiver
JP3652804B2 (ja) 光伝送装置
US7864411B2 (en) Optical amplifier, optical amplifier controller and control method of the same
US20040114213A1 (en) Optical repeater having independently controllable amplification factors
US5847856A (en) Optical power monitor device, optical amplifier, and optical transmitter
JP3790240B2 (ja) 長波長光ファイバ増幅器
KR100251738B1 (ko) 광전송장치에 있어서 광선로 증폭기의 비트 에러율 개선회로
JP2694803B2 (ja) 光半導体レーザ装置の波長安定化方式
US20030234973A1 (en) Method and device for optical fiber transmission using raman amplification
KR101892196B1 (ko) 소형화된 광섬유 증폭기
JPH05316045A (ja) 光出力装置
US20070047067A1 (en) Optical amplifier
KR20030044110A (ko) 1단 구조의 광 전치 증폭기
JP3923060B2 (ja) 光増幅器
JPH07190887A (ja) 光増幅器の光出力自動低下回路
JP2001060917A (ja) 波長多重光送信装置および光増幅器
JPH03191625A (ja) 光受信器
KR20030097031A (ko) 광전송 손실을 보상하는 기능을 갖는 광송수신 모듈
GB2326520A (en) Erbium doped fibre amplifi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7122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71229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91215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0011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0011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2121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3122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1223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1219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1220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102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102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