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51727B1 - How to show the cause of a call failure on next-generation digital cordless phones - Google Patents
How to show the cause of a call failure on next-generation digital cordless phone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251727B1 KR100251727B1 KR1019970069981A KR19970069981A KR100251727B1 KR 100251727 B1 KR100251727 B1 KR 100251727B1 KR 1019970069981 A KR1019970069981 A KR 1019970069981A KR 19970069981 A KR19970069981 A KR 19970069981A KR 100251727 B1 KR100251727 B1 KR 10025172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ctive mode
- call
- cause
- displaying
- predetermined tim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8—Management of setup rejection or failure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10—Scheduling measurement reports ; Arrangements for measurement report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9—Connection re-establish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end.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belongs
차세대 디지탈 무선전화기의 통화 실패 원인 표시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displaying the cause of call failure in a next generation digital wireless telephone.
나.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I. The technical problem that the invention is trying to solve
통화 불가능 원인을 액정표시장치를 통해 표시하는 차세대 디지탈 무선전화기의 링크상태 표시방법을 제공함에 있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link state display method of a next-generation digital wireless telephone that displays a cause of communication failure through a liquid crystal display.
다.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All. Summary of Solution of the Invention
차세대 디지탈 무선전화기에 있어서, 통화키가 입력되면 링크가 형성되는지를 검사하는 제 1과정과, 상기 제 1과정에서 링크 형성에 실패하면 제 2링크상태 메시지를 표시하고 액티브 모드로 설정하는 제 2과정과, 상기 액티브 모드가 설정되면 상기 액티브 모드 유지 시간이 제 1일정시간을 초과하는지를 검사하는 제 3과정과, 상기 액티브 모드 유지 시간이 제 1일정시간을 초과하면 스탠-바이 모드로 설정한 다음, 액티브 모드 유지 시간이 제 2일정시간을 초과하는지를 검사하는 제 4과정과, 상기 액티브 모드 유지 시간이 제 2일정시간을 초과하면 제 1통화 실패 원인 메시지를 표시하고, 초과하지 않으면 제 2통화 실패 원인 메시지를 표시하는 제 5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next generation digital radiotelephone, a first step of checking whether a link is established when a call key is input, and a second step of displaying a second link status message and setting the active mode if the link is not formed in the first step. And, if the active mode is set, a third step of checking whether the active mode holding time exceeds a first predetermined time, and if the active mode holding time exceeds a first predetermined time, and set to the standby mode, A fourth step of checking whether the active mode holding time exceeds the second predetermined time; and if the active mode holding time exceeds the second predetermined time, displaying a first call failure cause message; otherwise, causing the second call failure. And a fifth process of displaying a message.
라. 발명의 중요한 용도la. Important uses of the invention
차세대 디지탈 무선전화기에 이용한다.We use for next-generation digital cordless telephone.
Description
본 발명은 차세대 디지탈 무선전화기의 에러(Error) 표시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통화 실패 시 통화 실패 원인을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LCD)에 표시하는 통화 실패 원인 표시방법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현재 통신기술이 발전하면서 가정용 무선 전화기의 통화거리가 확장되어 실내뿐 아니라 실외에서도 일정 거리 내에서 사용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이동통신기술의 발전으로 차세대 디지털 무선전화기(2nd Generation Cordless Telephone: 이하 "CT2"라 한다)가 등장하게 되었다. CT2는 발신전용 통신단말기로서, 텔레포인트(Telepoint)라 불리우는 일반 공중전화망(Public Base Station) 또는 무선전화기의 본체에 상기 텔레포인트를 부가한 가정용 기지국(Home Base Station)을 이용하여 통신을 한다. CT2 단말기의 통화 범위는 상기 텔레포인트가 설치된 곳의 반경 200미터이고, 채널 수는 하나의 텔레포인트에 대해 40개의 채널(Channel)을 갖는다. 그러므로 CT2 단말기가 상기 통화 범위를 벗어나거나 다른 CT2 단말기에 의해 상기 채널이 점유되면 CT2 단말기는 통화를 할 수 없다. 이러한 경우 CT2 단말기는 액정표시장치에 특정 메시지(예: "NO SERVICE")만을 출력하고, 그 통화 실패 원인이 무엇인지는 표시하지 않는다.With the development of current communication technology, the call distance of home cordless telephones has been extended to be used within a certain distance as well as indoors. Also, with the development of mobile communication technology, next generation digital cordless telephones (hereinafter referred to as "CT2") have emerged. The CT2 is a transmission-only communication terminal, which communicates using a public base station called a telepoint or a home base station in which the telepoint is added to a main body of a radio telephone. The call range of the CT2 terminal is 200 meters in the radius where the telepoint is installed, and the number of channels has 40 channels for one telepoint. Therefore, if the CT2 terminal is out of the call range or the channel is occupied by another CT2 terminal, the CT2 terminal cannot make a call. In this case, the CT2 terminal outputs only a specific message (eg, "NO SERVICE") to the liquid crystal display, and does not indicate what is causing the call failure.
상술한 바와 같이 CT2 단말기 사용자가 급한 용무로 통화를 할 필요가 있을 시에 다른 CT2 단말기 사용자의 통화가 끝나기를 기다렸다가 재통화를 시도하거나, 아니면 기지국이 있는 곳으로 CT2 단말기 사용자가 이동하여 재통화를 시도해야 할 지 판단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CT2 terminal user needs to make a call for urgent business, wait for the other CT2 terminal user's call to finish and try to re-call, or the CT2 terminal user moves to the base station where the call is made. There is a problem that you can not determine whether to try.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차세대 디지탈 무선전화기에서 통화가 형성되지 않는 원인을 표시하는 디지탈 무선전화기에서 통화 실패 원인 표시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Accordingly,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for displaying the cause of a call failure in a digital radiotelephone displaying the cause of a call not being formed in a next generation digital radiotelephone.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차세대 디지탈 무선전화기에 있어서, 통화키가 입력되면 링크가 형성되는지를 검사하는 제 1과정과, 상기 제 1과정에서 링크 형성에 실패하면 제 2링크상태 메시지를 표시하고 액티브 모드로 설정하는 제 2과정과, 상기 액티브 모드가 설정되면 상기 액티브 모드 유지 시간이 제 1일정시간을 초과하는지를 검사하는 제 3과정과, 상기 액티브 모드 유지 시간이 제 1일정시간을 초과하면 스탠-바이 모드로 설정한 다음, 액티브 모드 유지 시간이 제 2일정시간을 초과하는지를 검사하는 제 4과정과, 상기 액티브 모드 유지 시간이 제 2일정시간을 초과하면 제 1통화 실패 원인 메시지를 표시하고, 초과하지 않으면 제 2통화 실패 원인 메시지를 표시하는 제 5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first step of checking whether a link is formed when a call key is input, and a second link status message if the link is failed in the first step. A second process of displaying and setting an active mode; a third process of checking whether the active mode holding time exceeds a first predetermined time when the active mode is set; and the active mode holding time is a first predetermined time. Setting the standby mode to the standby mode, and then checking whether the active mode holding time exceeds the second schedule time, and if the active mode holding time exceeds the second schedule time, the first call failure cause message And if it is not exceeded, a fifth step of displaying the second call failure cause message.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차세대 디지탈 무선전화기의 블록 구성도.1 is a block diagram of a next generation digital radiotelephone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세대 디지탈 무선전화기에서 링크상태 표시방법을 나타낸 흐름도.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link state display method in a next generation digital wireless teleph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First, i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the components of each drawing,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ame reference numerals have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much as possible even if displayed on different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function or configura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차세대 디지탈 무선전화기의 블록 구성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of a next generation digital radiotelephone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이하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제어부(10)는 전반적인 동작을 총괄하며, 원칩 마이크로프로세서(One Chip Microprocessor)로 구현할 수 있다. 메모리(11)는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소정의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롬(ROM)과 상기 프로그램 수행 중에 발생하는 데이터를 일시 저장하는 램(RAM)을 가진다. 특히, 상기 메모리(11)는 제 1, 2 일정시간과, 통화 실패 원인을 나타내는 문자를 저장하고 있다. 키입력부(13)는 다수의 숫자키와 기능키를 구비하고 상기 키들에 대한 키데이터를 발생한다. 표시부(12)는 상기 키입력부(13)로부터 입력된 키데이터를 표시하고, 동작상태 및 다수의 정보를 아이콘으로 표시한다. 무선주파수부(이하 "RF부"라 한다)는 CT2안테나를 통해 송수신되는 무선신호를 필터링하고 변복조한다. 음성처리부(14)는 마이크(15)를 통해 입력되는 음성신호를 처리하고 상기 RF부(20)와 무선호출부(20)로부터 수신된 신호들을 처리하여 스피커(15)와 부저(16)을 통해 음성 및 부저음을 송출한다.Hereinafter, referring to FIG. 1, the
상기 RF부(20)를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RF부(20)는 송수신 분리부(24)와, 송신부(21)와, 주파수 합성부(22)와 수신부(23)로 이루어진다. 상기 주파수 합성부(22)는 상기 제어부(10)의 제어를 받아 상기 송신부(21) 및 수신부(23)의 송수신 채널을 지정하기 위한 주파수를 발생한다. 상기 송수신 분리부(24)는 CT2 안테나(25)를 통해 송신할 신호와 상기 안테나(25)를 통해 상기 수신부(23)로 수신되는 신호를 분리한다. 수신부(23)는 상기 송수신분리부(24)에서 분리된 무선신호를 필터링과 저잡음 증폭하여 주파수 변환한 후 상기 신호처리부(14)로 출력한다. 특히, 상기 수신부(23)는 윈도우(Window)를 통해 수신전계강도(Recciver Signal Strength Indicator: RSSI) 레벨을 측정한다. 송신부(21)는 신호처리부(14)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주파수 변환하여 무선신호의 형태로 송수신분리부(24)로 출력한다.The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세대 디지탈 무선전화기에서 통화 실패 원인 표시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displaying a cause of a call failure in a next generation digital wireless telephon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전술한 바와 같이 통화 실패 원인이 기지국이 통달거리 내에 있지 않기 때문인지(Out Of Area), 다른 CT2 단말기가 채널을 점유하고 있기 때문인지(Busy or Channel Occupied)를 표시하기 위해서는, 우선 CT2 단말기의 수신 모드가 인에이블(Enable)된 상태여야 한다.As described above, in order to indicate whether the cause of the call failure is because the base station is not within the communication range (Out Of Area) or because another CT2 terminal occupies the channel (Busy or Channel Occupied), the reception of the CT2 terminal is first performed. The mode must be enabled.
수신 모드가 인에이블인 상태인 201단계에서 제어부(10)는 키입력부(13)로부터 통화키가 입력되는지를 검사한다. 이때 키입력부(13)로부터 통화키가 입력되면 제어부(10)는 공지된 CT2 통신규약에 따라 멀티플렉스(이하 "MUX"라 함)3 신호 패턴을 기지국으로 송신한다. 상기 MUX3 신호 패턴은 신호채널과 동기채널로 구성되고, 채널(링크) 요구 데이터를 포함한다. 상기 MUX3 신호 패턴을 송신하고 난 후에 제어부(10)는 203단계로 진행하고, 상기 MUX3 신호 패턴에 응답하여 가정용 기지국 혹은 공중용 기지국으로부터 MUX2 신호 패턴의 수신여부를 검사하여 링크(Link)가 형성되는지를 검사한다. 상기 MUX2 신호 패턴은 상기 MUX3 신호 패턴과 같이 신호채널과 동기채널을 가지고 채널 허가 데이터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203단계에서 MUX2 신호 패턴이 수신되어 통화가 형성되면 제어부(10)는 205단계로 진행하고 제 1링크상태 메시지(예: "SPEACH" 또는 "통화")를 표시부(14)에 표시한다. 상기 제 1링크상태 메시지가 표시되면 제어부(10)는 207단계에서 RF부(20)에 전원을 공급하는 액티브(Active:) 모드로 설정하여 통화를 개시한다.In
반면, 기지국으로부터 MUX2 신호 패턴이 수신되지 않아 통화가 형성되지 않으면 제어부(10)는 제 2링크상태 메시지(예: "NO SERVICE")를 표시부(14)에 표시한다. 상기 제 2링크상태 메시지가 표시되면 제어부(10)는 211단계에서 액티브 모드로 설정하고, 213단계로 진행하여 제 1일정시간을 초과하는지를 검사한다. 상기 제 1일정시간은 상기 액티브 모드를 유지하는 시간으로 통상적으로 30sec이고, 상기 제 1일정시간 동안 수신모드를 인에이블(Enable)한다. 상기 213단계에서 제 1일정시간을 초과하면 제어부(10)는 215단계에서 CT2 단말기를 스탠-바이(Stand-By) 모드로 설정한다. 상기 스탠-바이 모드는 키입력부(13)로부터 임의 키가 입력될 때까지 유지되며, 슬립(Sleep) 모드와 액티브 모드를 반복하는 모드이다. 상기 스탠-바이 모드에서 액티브 모드는 제 2일정시간 동안 유지되며, 상기 제 2일정시간은 통상적으로 150ms 동안 유지된다. 상기 슬립 모드는 1200ms 동안 유지되며, 수신전계강도(RSSI)를 측정하기 위한 수신부(23)에만 전원을 공급하고 송신모드를 디스에이블(Disable)하는 모드이다. 그러므로 상기 스탠-바이 모드는 액티브 모드 150ms와 슬립 모드 1200ms가 반복되는 것이다. 즉, 150ms 동안은 채널 스캐닝을 하여 수신전계강도를 검출한다. 그러나 제어부(10)가 요구한 채널이 다른 CT2 단말기에 의해 사용되고 있으면 상기 액티브 모드 유지 시간은 150ms를 초과한다. 따라서 본 발명을 실행하기 위해 제어부(10)는 217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채널 스캐닝 시간 간격을 체크하여 액티브 모드 유지 시간이 150ms를 초과하는지를 검사한다. 상기 217단계에서 액티브 모드 유지 시간이 150ms를 초과하지 않으면 제어부(10)는 221단계로 진행하여 통화 제 2통화 실패 원인 메시지(예: Out Of Area)를 표시한다. 그러나 액티브 모드 유지 시간이 150ms를 초과하면 제어부(10)는 219단계로 진행하여 제 1통화 실패 원인 메시지(예: Busy 또는 Channel Occupied)를 표시한다.On the other hand, if a call is not established because the MUX2 signal pattern is not received from the base station, the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통화 실패 원인을 액정표시장치에 표시해 주므로써 사용자는 통화 실패에 대해 빠르게 대처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displays the cause of the call failure on the LCD so that the user can quickly cope with the call failure.
Claims (4)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970069981A KR100251727B1 (en) | 1997-12-17 | 1997-12-17 | How to show the cause of a call failure on next-generation digital cordless phone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970069981A KR100251727B1 (en) | 1997-12-17 | 1997-12-17 | How to show the cause of a call failure on next-generation digital cordless phones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9990050797A KR19990050797A (en) | 1999-07-05 |
KR100251727B1 true KR100251727B1 (en) | 2000-04-15 |
Family
ID=195276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970069981A Expired - Fee Related KR100251727B1 (en) | 1997-12-17 | 1997-12-17 | How to show the cause of a call failure on next-generation digital cordless phones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251727B1 (en) |
-
1997
- 1997-12-17 KR KR1019970069981A patent/KR100251727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9990050797A (en) | 1999-07-0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910004423B1 (en) | Cordless telephone system | |
JP3022546B1 (en) |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 |
KR100228911B1 (en) | Intercom method between mobile devices in time division wireless telephone | |
US20010017532A1 (en) | Battery changing method during call processing in wireless telephone set | |
JP3270926B2 (en) |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mobile communication device | |
KR100251727B1 (en) | How to show the cause of a call failure on next-generation digital cordless phones | |
JP3169935B2 (en) | Call restriction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 |
KR20060036316A (en) | How to handle cordless phone group calls in a keyphone system | |
JP3034594B2 (en) | Mobile communication system | |
JP2885695B2 (en) | Mobile communication system | |
JPH0332122A (en) | Transmission output contro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quipment | |
KR19990003244A (en) | Memory Sharing Method of Next-Generation Digital Cordless Phone with Integrated Wireless Pager | |
JPH06284081A (en) | Radio telephone set | |
JPS63296419A (en) | Intermittent reception period switching control system | |
KR100242430B1 (en) | Automatic Base Station Scanning Method in Next Generation Digital Cordless Phones | |
KR100263173B1 (en) | Method for controlling ring modes according to received message of wireless phone which has a pager | |
KR20000015296A (en) | Method of displaying communication failing reason in second generation cordless telephone | |
KR100996084B1 (en) | Communication connection method between a portable terminal and a Bluetooth access point equipped with a Bluetooth module to minimize current consumption | |
KR100267863B1 (en) | Method for confirming voice message in digital radio telephone having pager | |
JP3094595U (en) | Mobile phone | |
JPH0364133A (en) | Portable radio telephone terminal equipment | |
KR100632212B1 (en) | How to Display Current Consumption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
KR19990000277A (en) | How to alert me on my phone | |
JP2001061177A (en) | Wireless phone | |
KR100291474B1 (en) | Method for automatically setting link in accordance with registration mode in ct-2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71217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71217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91209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0011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00011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2121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3122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41223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51219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61220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80102 Year of fee payment: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80102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