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251375B1 - 물품이송적재장치 - Google Patents

물품이송적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51375B1
KR100251375B1 KR1019950005577A KR19950005577A KR100251375B1 KR 100251375 B1 KR100251375 B1 KR 100251375B1 KR 1019950005577 A KR1019950005577 A KR 1019950005577A KR 19950005577 A KR19950005577 A KR 19950005577A KR 100251375 B1 KR100251375 B1 KR 1002513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ticle
pallet
suction
swinging arm
goods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055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31827A (ko
Inventor
마수다쥰이치
Original Assignee
무라타쥰이치
무라타 기카이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무라타쥰이치, 무라타 기카이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무라타쥰이치
Publication of KR9500318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318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513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51375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57/00Stacking of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12Platforms; Forks; Other load supporting or gripping members
    • B66F9/18Load gripping or retaining means
    • B66F9/181Load gripping or retaining means by suction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00Storing articles, individually or in orderly arrangement, in warehouses or magazines
    • B65G1/02Storage devices
    • B65G1/04Storage devices mechanical
    • B65G1/0407Storage devices mechanical using stacker cr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00Storing articles, individually or in orderly arrangement, in warehouses or magazines
    • B65G1/02Storage devices
    • B65G1/04Storage devices mechanical
    • B65G1/0407Storage devices mechanical using stacker cranes
    • B65G1/0435Storage devices mechanical using stacker cranes with pulling or pushing means on either stacking crane or stacking are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Floor-to-roof stacking devices, e.g. "stacker cranes", "retrie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Warehouses Or Storage Devices (AREA)
  • Specific Conveyance Elements (AREA)
  • Manipulator (AREA)
  • Stacking Of Articles And Auxiliary Devices (AREA)

Abstract

물품수납효율을 높일 수 있는 물품이송적재장치를 제공하다.
흡인흡착반(64)을 물품(W)에 밀어 닿게 하여 흡인·흡착한 후, 제1요동아암 (36) 및 제2요동아암(27)의 접어갬 또는 그것과 동시에 전후동체(29)의 이동을 실시함과 아울러, 컨베이어펠릿(23)을 물품(W)의 끌어들이는 방향으로 구동하므로서, 컨베이어팰릿(23) 위로 물품(W)을 얹을 수 있다.

Description

물품이송적재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표시하는 중간을 생략한 간략한 평면도.
제2도는, 제1도의 Ⅱ-Ⅱ선에 따르는 중간을 생략한 확대측면도.
제3도는, 제1도의 A부분확대도.
제4도는, 제3도의 Ⅳ-Ⅳ선 확대단면도.
제5도는, 제4도의 Ⅴ-Ⅴ선 확대단면도.
제6도는, 제3도의 Ⅵ-Ⅵ선에 따르는 확대측면도.
제7도는, 제3도의 B부분의 확대단면도.
제8도는, 제7도의 Ⅷ-Ⅷ선에 따르는 측면도.
제9도는, 제7도의 Ⅸ-Ⅸ선에 따르는 배면도.
제10도는, 제7도의 Ⅹ-Ⅹ선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3 : 컨베이어팰릿 27 : 스플라인축
29 : 전후동체 36 : 제1요동아암
37 : 제2요동아암 42 : 물품유지기
43 : 기초틀 64 : 흡인흡착반
본 발명은 자동창고의 스태커크레인의 승강대 등에 설치되는 물품이송적재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이 종류의 물품이송적재장치로서는 아래와 같은 것이 알려져 있다. 즉, 승강대(팰릿)에, 슬라이드포오크가 전후방향으로 접동가능하게 설치된 것이 알려져 있다.
상기한 슬라이드포오크는 물품의 아래쪽으로의 돌출·승강대의 상승에 의한 물품의 들어올림·승강대측으로 옮겨 들어가는 작동을 실시하여 물품을 승강대로 끌어들이며, 상기한 것과 반대의 작동에 의하여 물품수납선반 등에 물품을 내릴 수 있다.
상기한 종래의 물품이송적재장치에는 아래와 같은 결점이 있었다.
첫째로, 물품수납선반과의 사이에서 물품의 수수를 실시할 때, 슬라이드포오크를 돌출시킨 상태에서 승강대를 승강시켜야 했으므로, 물품수납선반에 수납된 물품과 그 위의 물품수납선반과의 사이로 슬라이드포오크의 승강을 위한 공간을 형성해야 하고 그 공간이 낭비공간으로 되고, 그 결과 각 물품수납선반마다 형성되는 공간부분만큼 물품수납효율이 저하한다고 하는 결점이 있었다.
둘째로, 물품수납선반에 슬라이드포오크의 통과간극이 필요했기 때문에, 물품수납선반 한장의 판으로는 종래의 물품이송적재장치를 사용할 수 없다고 하는 결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결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아래와 같은 수단을 채용하였다.
본 발명은 반송방향을 전후방향으로 향한 컨베이어를 보유하는 팰릿과 팰릿의 위쪽에 있어서 전후움직일 수 있도록 설치된 물품유지기 등을 보유하며, 물품유지기가 팰릿의 위쪽으로부터 물러나와 피할 수 있도록 이루어져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아래와 같은 작용을 한다.
물품유지기에 의하여 물품을 유지한 후, 물품유지기를 퇴입시킴과 아울러, 팰릿의 컨베이어를 물품을 끌어들이는 방향으로 구동하므로서 순조롭게 팰릿 위에 물품을 얹을 수 있고, 한편 물품유지기로서 팰릿의 물품을 밀어냄과 아울러, 팰릿을 물품을 밀어내는 방향으로 구동하므로서 순조롭게 팰릿에서 물품수납선반 등으로 물품을 내릴 수 있다. 또, 끌어내리는 방향과는 반대방향으로 물품을 밀어내는 경우에는, 팰릿의 위쪽에서 물품유지기를 물품에 간섭하지 않는 위치로 물러나게 함으로써 물품을 바꿔서 잡기 쉽게 실시할 수 있다.
[실시예]
아래에서 본 발명을 도면에 표시한 실시예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앞은 제1도 하측을 뒤는 제1도 상측을 말하며 왼쪽은 제1도 좌측을 오른쪽은 제1도 우측을 말한다.
스태커크레인통로(12)를 뚫도록 하여 전후 한쌍의 랙장치(1)가 바닥면에 세워 설치되어 있다.
상기한 랙장치(1)는 소정간격에서 좌우로 늘어서는 앞쪽의 다수의 지주(2)와, 이들 앞쪽의 지주(2)의 뒤쪽으로 그것과의 사이로 소정간격을 두고 늘어서는 뒤쪽의 지주(2)와, 이들 지주(2)에 높이방향에 소정간격으로 설치된 수평판형상인 물품수납선반 (3)등을 보유하고 있다.
상기한 전후의 랙장치(1)의 물품수납선반(3)의 출입구(6)는 서로 대향하고 있다.
물품(w)은 일반적으로는 스태커크레인통로(12)측의 수직면이 일치 또는 대략 일치하게 되도록 하여, 물품수납선반(3)에 수납된 것이다.
상기한 랙장치(1)의 좌측쪽에는 반송방향을 좌우방향으로 향한 입출고로울러컨베이어(8)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한 입출고 로울러컨베이어(8)의 랙장치(1)측으로 입출고로울러컨베이어 (8)에 의하여 랙장치(1)측으로 반송되어 온 물품(w)과 맞닿는 스토퍼(9)가 리니어솔레노이드 등의 작동장치(10)에 의하여, 좌우로 움직일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다.
이들 스토퍼(9)는 입출고로울러컨베이어(8)에서 물품(w)을 받아들이는 위치로 정지한 후술의 스태커크레인(16)의 컨베이어팰릿(23)의 좌우방향중심과 입출고로울러컨베이어(8) 위의 물품(w)의 좌우방향중심이 일치하도록 물품(w)의 크기(좌우폭의 크기)에 대응하여 좌우 움직이도록 이루어져 있다. 또한, 도시는 생략했지만, 입출고로울러컨베이어(8)의 소요부에 물품(w)의 좌우폭을 검지하는 폭검지기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한 스태커크레인통로(12)에 상하 한쌍의 가이드레일(14)이 긴쪽방향을 좌우방향으로 향하도록 배치되며, 이들 가이드레일(14)에 스태커크레인(16)이 좌우 움직일 수 있게 안내되도록 이루어져 있고, 이 스태커크레인(16)은 주행대차(17)와 이 주행대차(17)에 설치된 좌우 한쌍의 마스트(18)에 승강가능하게 이루어진 승강대(19)와, 이 승강대(19)에 설치되어 있는 후에 상술한 좌우 한쌍의 물품이송적재장치(22)등을 보유하고 있다.
상기한 물품이송적재장치(22) 각각은 승강대(19)에 반송방향을 전후방향으로 향하도록 설치된 구동벨트컨베이어 등으로 구성되는 컨베이어팰릿(23)과 이 컨베이어팰릿(23)의 위쪽에 있어서 다음에 상술하는 수단에 의하여 전후움직일 수 있고 또한, 컨베이어팰릿(23) 위의 물품(w)과 충돌·간섭하지 않는 위쪽위치로 물러나 피할 수 있게 이루어져 있는 물품유지기(42)등을 보유하고 있다.
다음은 물품유지기(42)를 전후 움직이게 하는 수단 및 물품유지기(42)를 상하 움직이게 하는 수단 등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상기한 승강대(19)의 컨베이어팰릿(23)의 측쪽으로 스플라인축(27)이 축심을 전후방향으로 향하도록 하여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이 스플라인축(27)은 리니어솔레노이드 등을 함유하는 작동장치(28)에 의하여 회전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한 스플라인축(27)에는 전후동체(29)가 스플라인축(27)과는 상대회전하는 일이 없고, 전후 움직일 수 있게 끼워져 있다. 이 전후동체(29)에는 스플라인축(27)의 중심을 중심으로 하는 원호형상돌벽(30)이 형성되고 이 원호형상돌벽(30)을 끼워두는 한쌍의 끼움로울더(32)를 보유하는 접동체(31)가 승강대(19)에 전후 접동가능하게 설치되어있고, 이 접동체(31)가 정역회전가능한 모터·엔드레스체인등을 함유하는 공지의 작동장치(33)에 의하여 전후 움직일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와같은 구성에 의하여, 접동체(31)를 전후 움직이도록 하므로서 전후동체 (29)를 전후움직일 수 있게 할 수 있다. 한편, 접동체(31)의 끼움로울러(32)에 전후동체(29)의 원호형상돌벽(30)이 끼워진 구성으로 되어 있으므로, 접동체(31)의 구속을 받지 않고 전후동체(29)는 스플라인축(27)과 함께 회전할 수 있다.
상기한 전후동체(29)에 자유단이 컨베이어팰릿(23)의 좌우방향 중앙위쪽으로 위치하도록 하여 지지아암(35)이 설치되고, 이 지지아암(35)에 제1요동아암(36)이 수평요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이 제1요동아암(36)의 자유단에 제2요동아암(37)이 수평요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이 제2요동아암(37)이 자유단에 회전축(40)을 아래로 향한 모터(39)가 회전축(40)의 축심과 동일한 축심을 중심으로 수평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모터(39)의 회전축(40)으로 물품유지기(42)가 부착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모터(39)의 회전축(40)을 회전시키므로서, 물품유지기(42)를 수평회전시켜서 물품유지기(42)의 방향을 변경할 수 있다.
상기한 제1요동아암(36), 제2요동아암(37) 및 모터(39)(물품유지기42)는, 공지의 요동제어장치에 의하여 제1요동아암(36)이 소정각도(θ) 요동하면, 이 제1요동아암(36)에 대하여 제2요동아암(37)이 역방향으로 2θ요동하며, 제2요동아암(37)에 대하여 그것과는 역방향으로 θ만큼 모터(39)(물품유지기(42))가 회전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제1요동아암(36) 및 제2요동아암(37)이 겹친상태에서 물품유지기(42)가 앞 또는 뒤를 향하도록 회전축(40)의 회전위치가 조절되어 있다. 따라서, 회전축(40)을 회전시키는 일없이 그 상태에서 유지해 있어도 물품유지기(42)는 제1요동아암(36) 및 제2요동아암(37)의 요동에 관계없이 항상 상기의 결정된 일정방향을 향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한 모터(39)의 회전축(40)에는 물품유지기(42)의 기초틀(43)이 고정되며 이 기초틀(43)에 축심을 상하방향으로 향하는 중심축(44)을 통하여 좌우방향으로 긴수평요동부재(45)가 그 좌우방향 중앙에 있어서 수평요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이 수평요동부재(45)는 한쌍의 스프링(46)에 의하여, 그 방향을 바꾸는 힘이 작용하지 않게 되면 중립위치로 자동복귀하도록 되어 있다. 또, 그 중립위치의 상태에서, 수평요동부재 (45)는 잠금장치(47)에 의하여 잠겨 있다. 잠금장치(47)는 리니어솔레노이드 등으로 구성된 작동장치(48)에 의하여 작동시켜지는 기초틀(43)에 수평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이루어진 잠금핀(49)과, 이 잠금핀(49)이 끼워지는 수평요동부재(45)의 오목한 곳(50)등을 보유하고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수평요동부재(45)에 그 방향을 바꾸는 힘이 작용하지 않게 된 상태에서 지금까지를 옮겨들어갔던 잠금핀(49)을 오목한 곳(50)으로 끼우게 하므로서, 수평요동부재(45)를 수평요동하지 않도록 잠글 수 있다. 한편, 오목한 곳(50)에서 잠금핀(49)을 뽑아내므로서, 수평요동부재(45)를 수평요동가능한 상태로 할 수 있다.
상기한 수평요동부재(45)의 좌우부에는 좌우 한쌍의 상하동부재(53)가 축심을 상하방향으로 향한 접동축(54)에 의하여 상하 움직일 수 있게 설치되며, 이들 상하동부재(53)와 수평요동부재(45)와의 사이에는 상하동부재(53)를 지지하는 스프링(55)이 삽입되어 있고, 이들 스프링(55)은 상태에 있어서 상하동부지(53)가 상하 어느 방향에도 이동가능한 상태에서 상하동부재(53)를 지지하고 있다.
상기한 상하동부재(53)에는 축심을 좌우방향으로 향한 핀(57)에 의하여 흡착반케이스(58)가 상하방향으로 요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한 수평요동부재(45)의 상하부에는 흡착반케이스(58)를 수평요동부재(45)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힘을 가하는 부세기(59)가 설치되어 있고, 이 부세기(59)의 스프링(60)에 의하여 흡착반케이스(58)측으로 힘을 받아 돌출한 돌기(61)가 흡착반케이스(58)와 맞닿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흡착반케이스(58)에 힘이 작용하지 않는 상태에서는 흡착반케이스(58)는 수직상태를 유지하고 흡착반케이스(58)를 상하로 요동시키는 외력이 작용하면, 돌기(61)가 스프링(60)의 힘에 반항하여 옮겨 들어가므로, 그 외력에 따라서 흡착반케이스(58)는 상하 어느 곳으로 요동한다.
상기한 흡착반케이스(58)의 수평요동부재(45)와 반대측의 측벽으로 소요개의 개구(63)가 형성되며 흡착반케이스(58)내로 수납된 흡인흡착반(64)이 상기한 개구 (63)를 통하여 외부로 돌출하여 있다. 또한, 공지되듯이 흡인흡착반(64)은 급기장치(도시생략)에 접속되어 있다.
상기한 흡착반케이스(58)의 개구(63)를 보유하는 벽은 물품(W)을 밀때에 푸셔의 작용을 이루고 흡인흡착반(64)에 부담이 작용하지 않도록 하는작용을 보유한다.
상기한 흡인흡착반(64)의 선단부는 감압도전고무 등의 물품(w)을 검지하는 구조를 보유하고 있고 흡인흡착반(64)에 물품(W)이 맞닿는 것을 알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다음에 실시예의 작용을 설명한다.
흡인흡착반(64)을 물품(W)에 밀어 닿게 하여 흡인·흡착한 후, 제1요동아암 (36) 및 제2요동아암(37)의 접어갬 또는 그것과 동시에 전후동체(29)의 이동을 실시함과 아울러, 이 인입속도와 대략 동기시켜서 컨베이어팰릿(23)을 물품(W)의 인입방향으로 구동하므로서 컨베이어팰릿(23)과 물품(W)의 마찰을 저감시킬 수 있고 순조롭게 컨베이어팰릿(23) 위로 물품(W)을 얹을 수 있다.
또한, 물품(W)을 흡인흡착반(64)에 의하여 흡착할 때 잠금장치(47)의 잠금핀 (49)은 오목한 곳(50)에서 빠져나오고 있으므로 수평요동부재(45)(흡인흡착반(64))를 물품(W)의 측면으로 맞추어서 흡인흡착반(64)에 의하여 확실하게 물품(W)의 측면을 흡착할 수 있다.
또, 제1요동아암(36) 및 제2요동아암(37)의 접어 개는 동자거에 가하여 전후동체(29)를 이동시키므로서, 예컨대 물품수납선반(3)의 깊숙한 쪽으로 수납되어 있는 물품(W)이라도 쉽게 흡착하여 끌어 넣을 수 있다.
한편, 제1요동아암(36) 및 제2요아암(37)의 신장 또는 그것과 동시에 전후동체 (29)의 이동을 실시함과 아울러, 이 밀어내는 속도와 대략 동기시켜서 컨베이어팰릿 (23)을 물품(W)의 밀어내는 방향으로 구동하므로서, 컨베이어팰릿(23)과 물품(W)의 마찰을 저감시킬 수 있고, 순조롭게 컨베이어팰릿(23)으로부터 물품(W)을 끌어 넣은 측의 물품수납선반(3) 등으로 물품을 내릴 수 있다. 또한, 물품(W)을 밀어낼때에 잠금핀(49)을 오목한 곳(50)으로 끼워서 수평요동부재(45)(흡착반케이스(58))가 좌우로 수평요동하지 않도록 하므로, 물품(W)이 좌우로 요동하지 않도록 하여 물품(W)을 순조롬게 밀어낼 수 있다.
또, 제1요동아암(36) 및 제2요동아암(37)의 늘어나는 동작에 가하여 전후동체 (29)를 이동시키므로서, 예컨대 물품수납선반(3)의 깊숙한 쪽으로 물품(W)을 밀어낼 수 있고, 비교적 작은 물품(W)을 물품수납선반(3)의 안쪽방향으로 복수 줄지어서 수납할 수도 있게 된다.
물품(W)을 컨베이어팰릿(23)으로 끌어넣은 방향과 반대측으로 밀어내는 경우는, 일단, 제1요동아암(36)과 제2요동아암(37)을 겹친 상태로 한 후, 물품유지기(42)를 위으로 요동시켜(스플라인축(27)을 회전시켜), 그 후 모터(39)를 작동시켜서 물품유지기(42)의 방향을 반대로 하고, 그 후 전후동체(29)를 반대측으로 이동시켜, 그 후 물품(W)을 끌어넣을때에 흡인흡착반(64)에 흡착된 측면과 반대측면으로 흡인흡착반 (64)이 대향하도록 물품유지기(42)를 내린다. 그때에, 큰 물품(W)의 경우, 물품(W)이 방해되어서 물품유지기(42)가 내리지 못하게 되는 일이 있지만, 그와 같은 경우, 컨베이어팰릿(23)을 구동하여 물품(W)을 물품유지기(42)와 충돌·간섭하지 않는 위치까지 반송해주면 좋다. 상기한 조작에 의하여, 물품유지기(42)를 마치 물품(W)을 밀어내는 방향에서 끌어 넣는 것 같은 상태로 할 수 있는 것이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 후는, 상기한 바와 같이 작동하므로서, 물품(W)을 컨베이어팰릿(23)으로 끌어넣은 방향과 반대측으로 밀어낼 수 있다.
상기한 실시예는 아래와 같은 이점을 보유하고 있다.
(1) 물품(W)을 흡인흡착반(64)에 의하여 흡인하므로 물품(W)에 유지되는 손상 등이 만들어지기 어렵다.
(2) 흡인흡착반(64)이 수평요동·상하동·상하요동의 자유도를 보유하고 있으므로, 물품(W)의 방향 등에 오차가 있어도 확실하게 물품(W)을 흡인·흡착할 수 있다.
(3) 제1요동아암(36) 및 제2요동아암(37)에 의하여 물품유지기(42)를 승강대 (19)로부터 앞쪽 및 뒤쪽으로 크게 돌출시킬 수 있으므로, 승강대(19)로부터 떨어진 물품(W)을 컨베이어팰릿(23)으로 끌어 넣을 수 있으며, 또 반대로 승강대(19)로부터 떨어진 위치로 물품(W)을 밀어낼 수 있다.
아래에서 변형예 등에 대하여 설명한다.
(1) 흡인흡착반(64)과 바꿔서, 물품유지기(42)에 물품(W)을 좌우로부터 끼워두는 좌우 한쌍의 상호근접이격가능한 끼움편을 설치하도록 해도 좋다.
(2) 제1요동아암(36) 및 제2요동아암(37)을 없애고, 모터(39)의 케이싱본체를 지지아암(35)으로 직접 부착하도록 해도 좋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아래와 같은 효과를 성취하는 것이다.
① 청구 제1항의 발명에 의하면, 컨베이어를 보유하는 팰릿과 물품유지기와의 협동에 의하여 팰릿 위의 물품을 전후 어느 방향에도 순조롭게 반출할 수 있는 것이므로, 종래에 필요했던 물품수납선반에 수납된 물품과 그 위의 물품수납선반과의 사이의 슬라이드포오크의 승강하기 위한 공간을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그 부분만큼 물품수납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 물품수납선반에 슬라이드포오크의 통과간격을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본 발명의 물품이송적재장치는 1장판의 물품수납선반에 대해서도 사용할 수 있다. 또, 끌어들이는 방향과는 반대방향으로 물품을 밀어내는 경우에는 팰릿의 위쪽에서 물품유지기를 물품에 간섭하지 않는 위치로 물러나 피하게 하므로서 물품을 바꿔서 잡는 것을 쉽게 실시할 수 있다.
② 청구 제2항의 발명에 의하면, 물품의 측면을 흡착하여, 물품을 팰릿으로 쉽게 끌어들일 수 있다.
③ 청구 제3항의 발명에 의하면, 스플라인축의 회전에 의하여 물품유지기를 위측으로 요동시키므로서 물품유지기를 쉽게 팰릿의 위쪽으로부터 물러나 피할 수 있다.

Claims (2)

  1. 반송방향을 전후방향으로 향한 컨베이어를 보유하는 팰릿(23)과 팰릿(23)의 위쪽에 있어서 전후 움직일 수 있게 설치된 물품유지기(42)등을 보유하고, 물품유지기 (42)가 팰릿의 위쪽으로부터 물러나 피할 수 있게 되어 있으며, 상기한 팰릿의 좌우측쪽에 있어서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축심을 전후방향으로 향한 스플라인축(27)과, 스플라인축(27)으로 전후 움직일 수 있게 끼워진 전후동체(29)와, 전후동체(29)의 지지아암에 수평요동가능하게 설치된 제1요동아암(36)과, 제1요동아암(36)의 자유단으로 수평요동가능하게 설치된 제2요동아암(37)과, 제2요동아암(37)의 자유단으로 수평선회가능하게 설치된 물품유지기(42)와, 제1요동아암(36)의 요동으로 연이어 움직여 제2요동아암(37) 및 물품유지기(42)를 소정의 방향으로 하기 위한 요동제어장치 등을 보유하는 물품이송적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물품유지기(42)가 수평선회가능한 기초틀(43)과 기초틀(43)에 설치된 복수의 흡인흡착반(64)을 보유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이송적재장치.
KR1019950005577A 1994-05-17 1995-03-17 물품이송적재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10025137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128121A JP2762928B2 (ja) 1994-05-17 1994-05-17 物品移載装置
JP94-128121 1994-05-1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31827A KR950031827A (ko) 1995-12-20
KR100251375B1 true KR100251375B1 (ko) 2000-04-15

Family

ID=149769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05577A Expired - Fee Related KR100251375B1 (ko) 1994-05-17 1995-03-17 물품이송적재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5558483A (ko)
JP (1) JP2762928B2 (ko)
KR (1) KR100251375B1 (ko)
CN (1) CN1114283A (ko)
DE (1) DE19517804C2 (ko)
FR (1) FR2720058A1 (ko)
TW (1) TW26348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46642B2 (ja) * 1994-05-16 2002-01-15 特種製紙株式会社 段積みしたシート状包装体の自動ピッキング方法及び装置
DE19639049B4 (de) * 1996-09-24 2004-07-22 Quelle Ag Rechnergesteuerte Kommissioniervorrichtung zum Kommissionieren von Softgood-Artikeln
US6224313B1 (en) * 1997-04-01 2001-05-01 Murata Kikai Kabushiki Kaisha Automatic warehouse
US6183191B1 (en) * 1997-04-11 2001-02-06 Siemens Electrocom, L.P. Method and system for sorting flat articles
US6625953B1 (en) 1999-12-02 2003-09-30 Ibp, Inc. Item handler for sorting and packing
US6409451B1 (en) 2000-04-13 2002-06-25 Ibp, Inc. Item handler and method for flow through storage
ITBO20010701A1 (it) * 2001-11-20 2003-05-20 Swisslong Italia S P A Sistema per lo stoccaggio ed il recupero automatico di oggetti , e dispositivo di trasferimento impiegato nel sistema .
ITBO20010702A1 (it) * 2001-11-20 2003-05-20 Swisslong Italia S P A Sistema per la singolarizzazione ed il trasferimento di oggetti , e dispositivo di trasferimento impiegato nel sistema .
DE20206257U1 (de) * 2002-04-19 2002-07-04 Otto-Versand (GmbH & Co), 22179 Hamburg Vorrichtung zum Einsortieren, Lagern und Aussortieren von Gütern
EP1513747B1 (en) * 2002-05-13 2009-08-12 Bakvertisi Limited Apparatus for transporting containers
AU2003231430B8 (en) * 2002-05-13 2009-07-30 Bakvertisi Limited Apparatus for transporting containers
ATE326408T1 (de) * 2002-10-11 2006-06-15 Horstmann Gmbh & Co Kg Vorrichtung für die übernahme und den transport von paletten
JP4573105B2 (ja) * 2004-12-10 2010-11-04 株式会社ダイフク 物品搬送装置
DE102004063588A1 (de) * 2004-12-30 2006-07-13 Siemens Ag Regalbediengerät und Hochregallager mit einem solchen Regalbediengerät
DE102005009361A1 (de) * 2005-03-01 2006-09-07 Jungheinrich Aktiengesellschaft Flurförderzeug
CN100345694C (zh) * 2005-11-03 2007-10-31 上海交通大学 汽车尾气三元净化器生产线自动上下料刻字机构
JP4849331B2 (ja) * 2006-11-14 2012-01-11 株式会社ダイフク 物品搬送設備
JP4378656B2 (ja) * 2007-03-07 2009-12-09 株式会社ダイフク 物品搬送設備
FR2925831B1 (fr) * 2007-12-28 2012-09-07 Valco Siege avec dossier reglable en profondeur.
US8490802B2 (en) * 2008-05-22 2013-07-23 Murata Machinery, Ltd. Overhead conveying vehicle
JP5267668B2 (ja) * 2009-07-02 2013-08-21 村田機械株式会社 移載装置
CN102774647B (zh) * 2011-05-12 2016-06-08 北京北方微电子基地设备工艺研究中心有限责任公司 电池片传输装置
DE102011084551A1 (de) * 2011-10-14 2013-04-18 Krones Aktiengesellschaft Regalbediengerät und Kommissionierlager
CN103803456A (zh) * 2014-02-14 2014-05-21 奇瑞重工股份有限公司 一种应用于挖掘机制造工艺的专用转运装置
JP6729491B2 (ja) * 2017-05-25 2020-07-22 株式会社ダイフク 物品移載装置
CN107840059B (zh) * 2017-11-30 2023-11-28 上海诺力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双向仓储自动取料机
FR3076546B1 (fr) * 2018-01-10 2020-05-08 Colib Systeme d'entreposage et distribution de marchandises
CN109969725B (zh) * 2019-04-17 2024-03-19 淄博双马新材料科技股份有限公司 塞棒自动生产系统
JP7179680B2 (ja) * 2019-05-27 2022-11-29 株式会社メイキコウ 荷下ろし装置
CN110615222B (zh) * 2019-10-14 2021-06-25 国网山东省电力公司潍坊供电公司 一种多功能可调节货架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62329A (ja) * 1989-11-20 1991-07-12 Sanyo Electric Co Ltd 鋼板素材取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750804A (en) * 1969-03-07 1973-08-07 Triax Co Load handling mechanism and automatic storage system
US3782564A (en) * 1971-09-27 1974-01-01 Conco Inc Product picking stacker crane system
GB1418131A (en) * 1972-02-19 1975-12-17 Nakashima S Automatic package bag feeding device for use with an automatic charging device
US3820667A (en) * 1972-12-12 1974-06-28 Materials Management Syst Inc Article handling machine
JPS5391275A (en) * 1977-01-21 1978-08-10 Daifuku Co Ltd Pull-in conveyer
JPS54159964A (en) * 1978-06-06 1979-12-18 Shiroyama Kogyo Kk Articulated arm type manipulator
JPS5682190A (en) * 1979-11-30 1981-07-04 Hitachi Ltd Prefabricated robot
US4492504A (en) * 1981-12-07 1985-01-08 Bell & Howell Company Materials handling system
DE3247158A1 (de) * 1981-12-24 1983-07-14 J. Sandt Ag, 6780 Pirmasens Regal mit wenigstens einem regalbediengeraet
JPS61116964A (ja) * 1984-11-09 1986-06-04 Toshiba Corp 駆動装置
US4619575A (en) * 1985-01-28 1986-10-28 Mid-West Conveyor Company, Inc. Apparatus for storage and retrieval of thin trays and sheets
US5380139A (en) * 1986-06-30 1995-01-10 Kone Oy Load handling method and system
FI81069B (fi) * 1986-06-30 1990-05-31 Kone Oy Lastbehandlingsanordning.
CA1317897C (en) * 1987-07-14 1993-05-18 Henricus J. J. Bouwens Apparatus for the transport of carriers from and to a positioning device and selection device for use in such an apparatus
DE3917485A1 (de) * 1989-05-30 1990-12-06 Man Ghh Logistics Vorrichtung zum stapeln bzw. entnehmen von gegenstaenden
DE3917486A1 (de) * 1989-05-30 1990-12-06 Man Ghh Logistics Vorrichtung zum stapeln bzw. entnehmen von gegenstaenden in bzw. aus hochregallagern
US5222856A (en) * 1990-06-05 1993-06-29 Murata Kikai Kabushiki Kaisha Can conveying system
JPH0472911U (ko) * 1990-11-07 1992-06-26
JPH0597210A (ja) * 1991-10-01 1993-04-20 Murata Mach Ltd 移送装置
US5421685A (en) * 1992-01-10 1995-06-06 Stanley-Vidmar, Inc. Vacuum-type gripping apparatus
JPH05294410A (ja) * 1992-04-21 1993-11-09 Daifuku Co Ltd 荷保管設備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62329A (ja) * 1989-11-20 1991-07-12 Sanyo Electric Co Ltd 鋼板素材取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762928B2 (ja) 1998-06-11
DE19517804C2 (de) 1996-05-30
CN1114283A (zh) 1996-01-03
KR950031827A (ko) 1995-12-20
US5558483A (en) 1996-09-24
DE19517804A1 (de) 1995-11-23
FR2720058A1 (fr) 1995-11-24
JPH07309408A (ja) 1995-11-28
TW263482B (ko) 1995-1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51375B1 (ko) 물품이송적재장치
US5899659A (en) Depalletizer collector belt assembly
US5788461A (en) Automatic depalletizer
JP3864803B2 (ja) 格納設備
JPS6040483Y2 (ja) タ−ンテ−ブル付トラバ−サ
JPH06321316A (ja) 搬送システム
EP2208694B1 (en) An apparatus for transferring a container
JP3407783B2 (ja) 物品保管設備
JP2514979Y2 (ja) コンテナ昇降装置
JPH09124109A (ja) 物品移載装置
JP3835189B2 (ja) 物品供給設備
JP2580959B2 (ja) 物品移載装置
CN219905796U (zh) 一种ald自动化上下料机用输送机构
JP2580958B2 (ja) 物品移載装置
CN218087206U (zh) 仓储系统和货架组件
JPH09226911A (ja) フォーク式スタッカークレーン
JPH08198437A (ja) 物品供給装置
CN214355702U (zh) 一种传送装置及车辆
JPH08192917A (ja) 段積装置
JPS6253415B2 (ko)
JP2000335709A (ja) 自動倉庫用の荷台装置
KR920006571Y1 (ko) 벽돌자동적재기의 벽돌전복방지장치
JPH052499Y2 (ko)
JPH0542970Y2 (ko)
JPS6339493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50317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71009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19950317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1999082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91207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0011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0011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0310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