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251120B1 - 사무자동화기기의 용지 자동급지장치 - Google Patents

사무자동화기기의 용지 자동급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51120B1
KR100251120B1 KR1019970057856A KR19970057856A KR100251120B1 KR 100251120 B1 KR100251120 B1 KR 100251120B1 KR 1019970057856 A KR1019970057856 A KR 1019970057856A KR 19970057856 A KR19970057856 A KR 19970057856A KR 100251120 B1 KR100251120 B1 KR 1002511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per
plate
knock
resistance plate
gea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578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38204A (ko
Inventor
장흥규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700578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51120B1/ko
Priority to DE69813451T priority patent/DE69813451T2/de
Priority to EP98309038A priority patent/EP0915044B1/en
Priority to JP10313648A priority patent/JPH11217132A/ja
Priority to US09/185,738 priority patent/US6059282A/en
Publication of KR199900382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82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511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51120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00Separating articles from piles
    • B65H3/46Supplementary devices or measures to assist separation or prevent double feed
    • B65H3/56Elements, e.g. scrapers, fingers, needles, brushes, acting on separated article or on edge of the pi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heets, Magazines, And S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용지 적재량의 변화에 따른 저항판 각도의 가변 장치를 통하여 용지 진입 각도와 분리 저항판의 각도를 동일하게 유지하기 위한 사무자동화기기의 용지 자동급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용지의 적재량에 관계없이 용지 진입 각도를 일정하게 유지시키기 위한 가변 저항판과, 상기 가변 저항판의 일측에는 힝거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부채꼴 모양의 기어와, 녹업플레이트의 사출시 형성된 래크기어와, 상기 래크기어의 구동에 따라 상기 부체채꼴 모양의 기어를 회전시키는 아이들 기어로 구성된 저항판 가변장치부를 부가함으로써, 메임 프레임과 분리 저항판이 분리된 상태가 되어 다양한 용지 특성에 맞는 급지 구조이므로 용지의 적재량에 관계없이 일정한 급지 분리특성을 얻으므로 높은 신뢰성의 급지 기능을 구현하고, 용지의 적재 용량을 극대화하여 최대 적재 용량을 높여서 용지 교환의 회수를 줄이고 편리성을 증대되고, 아울러 메인 프레임에 관계없이 급지 기능의 최적 설계가 가능하며 금형 수리및 개조가 가능한 효과를 가진다.

Description

사무자동화기기의 용지 자동급지장치
본 발명은 가변 저항판 방식의 용지 자동급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용지 적재량의 변화에 따른 저항판 각도의 가변 장치를 통하여 용지 진입 각도와 분리 저항판의 각도를 동일하게 유지하므로서 급지 신뢰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가변 저항판 분리방식을 채용한 사무자동화기기의 용지 자동급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무자동화 기기는 컴퓨터에서 작성된 데이터나 문자 또는 그래픽을 프린팅을 하기 위한 용지위에 문자의 형태로 출력하여 문서화하기 위한 출력장치인 프린터와, 원고 또는 이미지 형태의 데이터를 그대로 다량의 원고에 형성시키기 위한 기기인 복사기와, 원고를 원거리의 사람에게 필요한 데이터를 바로 볼 수 있도록 전송하기 위한 유용한 기기 팩시밀리(Facsimile)등 많은 기기가 있다.
이와 같은 각종 사무자동화기기중에서 유저에 의해 컴퓨터에서 작성된 데이터나 파일을 문서화하기 위해서는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여러 종류의 각종 프린터를 이용하여 인쇄하고 있지만 본 발명에서는, 헤드 카트리지에 저장된 잉크에 열을 가하면 카트리지 내의 압력이 상승하고 비누 거품처럼 기포(Bubble)가 발생하게 되는데 이때 발생된 기포(Bubble)를 노즐을 통하여 분사시켜 글자를 구성하여 인쇄 용지에 부착시킴으로서 인쇄가 되는 잉크젯 프린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이러한 잉크젯 프린터에 사용되는 노즐의 개수는 일반적으로 64개를 사용하고 있으며, 그림의 해상도는 통상적으로 300∼1200 DPI(Dot Per Inch) 정도이고, 설치하는 카트리지의 종류에 따라서 모노나 컬러(Color)로 인쇄를 하게 된다.
이와 같은 일반적인 프린터(1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인쇄를 하기 위한 용지8(P)를 공급하는 용지 자동급지장치부(20)와, 상기 용지 자동급지장치부(20)로부터 용지(P)를 급지 받아 이송되도록 하는 이송장치부(30)와, 상기 이송장치부(30)에 의해 이송되는 용지(P)에 인쇄되도록 하는 인쇄장치부(40)와 상기 인쇄장치부(40)에서 인쇄된 용지(P)는 용지 받힘대인 베이스프레임(50)위를 지나 배출시키는 용지 배출장치부(60)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모든 장치부는 기기의 몸체(10)안에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프린터의 동작 과정을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먼저 유저(User)에 의해 용지(P)가 용지 자동급지장치부(20)의 녹업플레이(21) 상단에 적재되면 우측에 고정된 우측 가이드(23)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좌측 가이드(22)를 이용하여 좌, 우로 이동하며 적재된 용지의 사이즈에 맞게 조정을 하게 된다.
이와 같이 적재된 용지의 사이즈에 따라 조정이 되면 유저가 컴퓨터에서 작성된 데이터를 인쇄하기 위하여 인쇄 명령을 내리게 되면, 용지를 스토킹하기 위한 녹업 스프링(23)의 탄력에 의해 용지가 스토킹되면 픽업 로울러(28)에 의하여 픽업된 후 낱장으로 이송 장치부(30)로 공급되어 인쇄를 위한 이송을 하게 된다.
또한, 이송 장치부(30)에 이송된 용지는 피드 로울러(31)와 프릭션 로울러(32)의 회전하는 압압력에 의해 인쇄 장치부(40)로 이송되게 된다.
상기 이송 장치부(30)로부터 용지가 공급되면, 캐리지 구동모터(45)가 구동을 하게 되고 상기 구동모터(45)에 연결된 풀리(46)가 구동하게 된다. 따라서 벨트(44)가 좌, 우로 구동함에 따라, 이탈 방지용 가이드레일(46)에 고정되어 캐리지샤프트(43)를 따라 좌, 우로 슬라이딩(Sliding)하며 카트리지(42)에 부착된 노즐(42a)을 통해 이송 장치부(30)에서 이송된 용지(P)위에 잉크를 분사하여 인쇄가 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헤드 카트리지(42)에 장착된 노즐(42a)에 의해 인쇄된 용지(P)는 베이스프레임(50) 위에서 용지(P)에 한 줄씩 인쇄되면서 점차적으로 이동하는 상태가 되며 인쇄된 용지(P)가 용지 배출부(60)에 도달하게 되면 배지 로울러(61)와 스타-휠(Star-Wheel)(62) 사이를 통과하여 용지(P)가 배지되는 배지 동작이 수행된다.
즉, 잉크젯 프린터의 인쇄 과정은 용지 급지 장치부(20)에 용지가 적재되면 인쇄 명령에 따라 이송 장치부로 이송되어 인쇄 장치부는 제어된 인쇄 명령에 따라 인쇄된 용지를 배지 장치부를 거쳐 배지되면 일련의 과정이 종료되는데, 이때 인쇄를 하기 위한 용지를 피딩하기 위한 시스템이 종래에는 일반적으로 CLAW 분리 방식과 저항판 분리 방식, 마찰패드(Pad) 분리방식, 로울러 역회전 분리 방식으로 구분되어 있다.
이러한 자동 분리 방식은 제품의 가격 및 신뢰성, 공간적인 면적, 용지의 특성에 따라 생산시 선정하게 되는데 프린터와 같은 사무자동화기기에서는 A4와 같은 일반적인 복사지, OHP 용지, 엽서, 편지봉투와 같은 여러 종류의 특수한 용지를 사용하기 때문에 CLAW 분리 방식과 저항판 분리 방식을 혼용하여 채용하고 있다.
즉, 저항판 분리 방식의 용지의 진입 각도와 저항판의 마찰력의 차이를 이용하는 방법으로, 최상단에 놓여진 용지의 진입 각도와 저항판의 진입 각도는 아주 중요한 기능을 가지며 급지의 신뢰성을 좌우하는 요소가 된다.
이러한 저항판을 이용한 분리 방식을 이용하여 급지하는 자동급지 장치부(20)의 구조를 도 3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메임 프레임(21)의 좌측 상단에 용지를 분리하기 위한 분리 저항판(25)이 일체로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용지(P) 사용에 따른 용지 적재량 차이로 발생하는 용지의 진입각도 변화량을 흡수하지 못하게 되어 있다.
즉, 용지 받힘대인 녹업플레이트(22)의 상단에 적재된 용지가 모두 픽업 된 후 새로운 용지를 최대로 적재하거나 용지를 교환하게 되면 녹업플레이트(22)는 하방으로 눌리게 되고 만적된 최상단의 용지 진입 각도는 D 방향으로 향하게 된다.
이후, 용지를 계속하여 사용하게 되면, 적재된 용지는 점점 낮아지게 되고 녹업플레이트(22)는 녹업스프링(23)의 탄력에 의하여 상단으로 상승하게 되어 용지의 진입 각도가 C 방향으로 변하게 된다.
따라서, 결국 α 각 만큼의 용지 진입각도 편차가 발생된다.
이러한 용지의 진입각도 편차량(α=θ1 - θ2)은 고정된 저항판에 대하여 용지의 분리 특성을 변화시켜 급지시 용지의 신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저항판(25)의 분리 구조가 메임 프레임(21)과 일체로 되어 있기 때문에 용지의 진입 각도를 흡수하지 못하여 용지 분리 특성이 달라저 급지시 겹장으로 급지되는 중송(Multi-Feeding), 용지 걸림(Jam), 급지가 되지 않는 논-피딩(Non-Feeding)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저항판(25)의 구조가 메임프레임(21)과 일체로 되어 있기 때문에 다양한 용지 특성에 맞는 독립된 저항판의 구조 설계가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저항판의 최적 조건을 만든는 과정에서 립(Rib)과 같은 형상을 추가하고 변경하게 되는데 금형의 수정 작업에 여러가지 제약이 많기 때문에 금형 수정이 불가능 하여 반복된 수정 작업으로 금형 수명이 단축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일반적인 일체식으로 고정된 저항판의 분리 구조를 가변식 저항판 분리 구조로 개선하여 용지 적재량 변화에 따른 용지 진입 각도 편차량 만큼 저항판이 자동적으로 회전 가변되도록 함으로서 용지의 적재량에 관계없이 항상 일정한 급지 분리 특성을 구현하여 저항판 분리 구조에 있어서 최적의 신뢰성을 확보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 다른 목적은, 프레임에서 독립된 저항판을 구성하여 다양한 용지 특성에 맞는 저항판을 구비하여 메인프레임에 영향을 주지않는 조건에서 여러가지의 최적 조건을 취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구현하기 위하여, 힝거를 중심으로 적재된 용지의 소모되는 용지량에 따라 상, 하로 구동하는 녹업플레이트와, 상기 녹업플레이트를 중심으로 상부에는 인쇄 신호에 따라 녹업플레이트에 적재된 용지를 픽업하는 반원형의 픽업로울러와, 하단부에는 픽업 로울러가 용지를 픽업시 녹업플레이트와의 접촉 소음을 방지하고 원활한 구동을 하기위한 녹업스프링이 메임프레임의 일측에 고정되어 장착된 구조로 된 용지 자동급지장치에 일측에 용지의 적재량에 관계없이 용지 진입 각도와 마찰각도를 일정하게 유지시키기 위한 저항판 가변장치부가 부가된 특징이 있다.
또한, 상기 저항판 가변장치부는 용지 진입각도와 마찰각도를 일정하게 유지시키기 위한 가변 저항판과, 상기 가변 저항판의 일측에 부가되어 힝거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부채꼴 모양의 기어와, 녹업플레이트의 사출시 형성된 래크기어와, 녹업플레이트에 부가된 래크 기어의 구동에 따라 구동되어 부채꼴 모양의 기어를 회전시키는 아이들 기어로 구성된 또 다른 특징이 있다.
도 1은 종래에 일반적으로 사용중인 잉크젯프린터의 전체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 고,
도 2는 도 1에 따른 동작도를 나타낸 우측면도이고,
도 3은 도 1에 따른 저항판 분리방식을 이용한 급지시 발생하는 문제점을 나타낸 우측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우측면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5 내지 도 6은 도 4에 따른 동작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면의주요부호에대한부호의설명>
21 : 메인프레임 22 : 녹업플레이트
251 : 분리저항판 252 : 힝거축
253 : 기어 254 : 아이들기어
255 : 래크기어
이하,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용지 자동급지장치의 우측면도를 나타낸 것으로, 용지 자동급지장치부(20)에 용지(P)가 적재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도 5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용지 자동자동급지장치부(20)의 구동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먼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용지 자동급지장치부(20)의 일측에는 용지(P)의 적재량에 관계없이 용지 진입 각도를 일정하게 유지시키기 위한 가변 저항판(251)과, 상기 가변 저항판(251)의 일측에는 힝거축(252)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부채꼴 모양의 기어(253)와, 녹업플레이트(22)의 사출시 형성된 래크기어(255)와, 상기 래크기어(255)의 구동에 따라 상기 부채꼴 모양의 기어(253)를 회전시키는 아이들 기어(254)로 구성된 저항판 가변장치부(250)가 부가된 특징이 있다.
다시 설명하면, 용지의 적재량에 관계없이 용지 진입 각도를 일정하게 유지시키기 위한 가변 저항판(251)이 부가되어 있고, 상기 가변 저항판(251)의 일측에는 힝거축(252)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부채꼴 모양의 기어(253)가 좌, 우로 회전하는 각도에 따라 상기 가변 저항판(251)을 미세하게 회전시키는 구조로 되어 있다.
한편, 용지 자동급지 장치부는 힝거(29)를 중심으로 적재된 용지(P)의 소모되는 용지량에 따라 상, 하로 구동하는 녹업플레이트(22)와, 상기 녹업플레이트를 중심으로 상부에는 인쇄 신호에 따라 녹업플레이트(22)에 적재된 용지를 픽업하는 반원형의 픽업로울러(26)가 부가되어 있다.
또한, 상기 녹업플레이트(22)의 하단부에는 픽업 로울러(26)가 용지를 픽업시 녹업플레이트(22)와의 접촉 소음을 방지하고 원활한 구동을 하기위한 녹업스프링(24)이 메임프레임(21)의 일측에 고정되어 장착된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 녹업스프링(24)의 좌측부에는 녹업플레이트(22)의 사출시 형성된 래크기어(255)가 부가되어 있고, 상기 래크 기어(255)는 녹업플레이트(22)가 상, 하로 구동시 같이 구동하게 되어 있으며, 이 때 아이들 기어(254)를 시계 반대방향(CCW) 또는 시계방향(CW)으로 회전하게 된다.
즉, 상기 아이들 기어(254)는 녹업플레이트(22)에 부가된 래크 기어(255)의 구동에 따라 구동되어 부채꼴 모양의 기어(253)를 회전시키게 되고, 따라서, 가변 저항판(251)이 미세하게 회전하는 구조이다.
이와 같은 구조에 따른 동작 과정을 첨부된 도면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상세히 살펴보면, 도시한 바와 같이, 용지 자동 급지 장치부(20)에 용지를 최대한 적재하면 녹업플레이트(22)가 하방으로 눌러지면서 하부에 설치된 녹업스프링(24)이 압축된다.
또한, 녹업플레이트(22)가 하방으로 눌러지면서 녹업플레이트(22)에 부가되어 같이 구동하는 래크 기어(255)가 하방으로 내려가면서 래크 기어(255)가 아이들 기어(254)를 시계 방향(CW)으로 회전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아이들 기어(254)가 래크 기어(255)에 의해 시계 방향(CW)으로 회전을 하게 되면 상기 아이들기어(254)와 접속되어 가변저항판(251)의 일측에 설치된 부채꼴 모양의 기어(253)가 힝거축(252)을 중심으로 가변 저항판(251)이 미세하게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도 5에서와 같이 용지(P)와 가변 저항판(251) 사이에는 B의 각도가 만들어진다.
이후, 유저(User)의 인쇄 신호에 따라 컴퓨터에서 작성된 데이터를 인쇄를 하기 위하여 프린터에 인쇄 명령을 내리게 된다.
이와 같이 인쇄 명령을 받은 프린터는 픽업로울러(26)에 의하여 용지가 계속 픽업되고 따라서 적재된 용지의 높이가 점점 낮아지면서 복원하려는 녹업스프링(24)의 복원력으로 인해 용지를 적재하고 있는 녹업플레이트(22)가 점차적으로 상승하게 된다.
또한, 픽업로울러(26)의 픽업량에 따라 녹업플레이트(22)가 점차적으로 상승하면서 녹업플레이트(22)에 부가된 래크기어(255)가 함께 상승하게 된다.
이때, 상기 녹업플레이트(22)에 부가된 래크기어(255)가 아이들기어(254)를 시계반대(CCW) 방향으로 회전시킴에 따라 부채꼴 모양의 기어(253)가 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도 6에서와 같이 가변 저항판(251)이 미세하게 회전되어 A의 각도를 만들게 된다.
결국, A와 B는 일정한 각도를 유지하면서 용지의 적재된 적재량에 따라 자동적으로 가변저항판(251)의 각도가 보정되므로 적재된 용지량에 관계없이 용지의 진입각도와 저항판 마찰각도의 분리특성이 일정하게 유지되어 급지 분리의 신뢰성이 향상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메임 프레임과 독립된 분리 저항판이므로 다양한 용지 특성에 맞는 급지 구조이므로 용지의 적재량에 관계없이 일정한 급지 분리특성을 얻으므로 높은 신뢰성의 급지 기능을 구현한다.
또한, 용지의 적재 용량을 극대화하여 최대 적재 용량을 높여서 용지 교환의 회수를 줄이고 편리성을 증대되고, 아울러 메인 프레임에 관계없이 급지 기능의 최적 설계가 가능하며 금형 수리및 개조가 가능한 효과를 가진다.

Claims (5)

  1. 힝거를 중심으로 적재된 용지의 소모되는 용지량에 따라 상, 하로 구동하는 녹업플레이트와, 상기 녹업플레이트를 중심으로 상부에는 인쇄 신호에 따라 녹업플레이트에 적재된 용지를 픽업하는 반원형의 픽업로울러와, 하단부에는 픽업 로울러가 용지를 픽업시 녹업플레이트와의 접촉 소음을 방지하고 원활한 구동을 하기위한 녹업스프링이 메임프레임의 일측에 고정되어 장착된 용지 자동공급장치에 있어서;
    상기 녹업스프링의 좌측부에는 저항판의 용지 진입각도와 마찰각도를 일정하게 유지시키기 위한 저항판 가변장치부가 부가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무자동화기기의 용지 자동급지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저항판 가변장치부는 용지의 적재량에 관계없이 용지 진입 각도를 일정하게 유지시키기 위한 가변 저항판과, 상기 가변 저항판의 일측에는 힝거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부채꼴 모양의 기어와, 녹업플레이트의 사출시 형성된 래크기어와, 상기 래크기어의 구동에 따라 상기 부체채꼴 모양의 기어를 회전시키는 아이들 기어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무자동화기기의 용지 자동급지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아이들 기어는 녹업플레이트에 부가된 래크 기어의 구동에 따라 구동되어 부채꼴 모양의 기어를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무자동화기기의 용지 자동급지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 저항판은 부채꼴 모양의 기어가 좌, 우로 회전하는 각도에 따라 상기 가변 저항판을 미세하게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무자동화기기의 용지 자동급지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래크 기어는 녹업플레이트가 상, 하로 구동시 같이 구동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무자동화기기의 용지 자동급지장치.
KR1019970057856A 1997-11-04 1997-11-04 사무자동화기기의 용지 자동급지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1002511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57856A KR100251120B1 (ko) 1997-11-04 1997-11-04 사무자동화기기의 용지 자동급지장치
DE69813451T DE69813451T2 (de) 1997-11-04 1998-11-04 Rückhalteplatte in einer Bogenzuführeinrichtung
EP98309038A EP0915044B1 (en) 1997-11-04 1998-11-04 Resistance plate in a sheet feed device
JP10313648A JPH11217132A (ja) 1997-11-04 1998-11-04 自動給紙装置
US09/185,738 US6059282A (en) 1997-11-04 1998-11-04 Auto sheet feed device for office automation system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57856A KR100251120B1 (ko) 1997-11-04 1997-11-04 사무자동화기기의 용지 자동급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8204A KR19990038204A (ko) 1999-06-05
KR100251120B1 true KR100251120B1 (ko) 2000-04-15

Family

ID=195240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57856A Expired - Fee Related KR100251120B1 (ko) 1997-11-04 1997-11-04 사무자동화기기의 용지 자동급지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6059282A (ko)
EP (1) EP0915044B1 (ko)
JP (1) JPH11217132A (ko)
KR (1) KR100251120B1 (ko)
DE (1) DE69813451T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357586B2 (en) 2005-04-14 2008-04-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a paper feeding cassett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200606B2 (ja) * 1999-09-01 2008-12-24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給紙装置
US6457707B1 (en) * 2000-11-22 2002-10-01 Hewlett-Packard Co. Automatic document feeder
JP3856116B2 (ja) * 2001-12-20 2006-12-13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シート供給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画像形成装置
KR100449023B1 (ko) * 2002-08-28 2004-09-18 삼성전자주식회사 화상형성기기의 급지 장치
JP4027185B2 (ja) * 2002-08-30 2007-12-26 キヤノン株式会社 記録装置
JP4275544B2 (ja) * 2004-02-13 2009-06-10 株式会社沖データ 給紙装置および該給紙装置を備えた記録装置
KR100831323B1 (ko) * 2004-10-02 2008-05-22 삼성전자주식회사 용지픽업유닛 및 이를 갖는 화상형성장치
JP4529816B2 (ja) * 2005-06-27 2010-08-25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KR101085931B1 (ko) * 2005-06-28 2011-11-23 삼성전자주식회사 녹업 플레이트의 상승 제동 장치
KR101123723B1 (ko) * 2005-09-02 2012-03-15 삼성전자주식회사 화상형성기기의 급지장치
JP2007290794A (ja) * 2006-04-21 2007-11-08 Noritsu Koki Co Ltd シート搬送装置
CN106185392A (zh) * 2015-04-30 2016-12-07 北京鑫万佳科技发展有限公司 进票(纸)压力自动调节装置
US10625962B2 (en) * 2018-07-18 2020-04-21 Lexmark International, Inc. Variable separation pads based on lift height, and methods to rotate or curve the pads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74843A (ja) * 1986-09-19 1988-04-05 Hitachi Ltd 給紙装置
DE69010527T2 (de) * 1989-03-08 1994-11-10 Canon Kk Bogenzuführvorrichtung.
JPH0539136A (ja) * 1991-08-01 1993-02-19 Seiko Epson Corp 自動給紙装置
JPH07267389A (ja) * 1994-03-30 1995-10-17 Tec Corp 給紙装置
US5918873A (en) * 1995-03-30 1999-07-06 Canon Kabushiki Kaisha Sheet supplying apparatus which regulates tip end of sheet by first and second abutment means
JPH09175681A (ja) * 1995-12-26 1997-07-08 Brother Ind Ltd 用紙搬送装置
EP0781720B1 (en) * 1995-12-26 2000-05-24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Sheet feeder having improved sheet separation regardless of rigidity and size of sheet
JP3474069B2 (ja) * 1996-01-12 2003-12-08 株式会社リコー 給紙装置
JP3363685B2 (ja) * 1996-01-25 2003-01-08 キヤノン株式会社 シート材給送装置及び記録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357586B2 (en) 2005-04-14 2008-04-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a paper feeding cassett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9813451D1 (de) 2003-05-22
EP0915044A2 (en) 1999-05-12
EP0915044B1 (en) 2003-04-16
US6059282A (en) 2000-05-09
EP0915044A3 (en) 2000-02-23
KR19990038204A (ko) 1999-06-05
JPH11217132A (ja) 1999-08-10
DE69813451T2 (de) 2004-0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51120B1 (ko) 사무자동화기기의 용지 자동급지장치
KR100504032B1 (ko) 공기 완충식 댐퍼를 이용한 잉크젯 프린터의 자동급지장치
US20080284803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KR100238585B1 (ko) 잉크젯 프린터의 픽업로울러 절환장치
JP3648831B2 (ja) 給紙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印刷装置
JP3680412B2 (ja) 給紙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印刷装置
KR100561478B1 (ko) 2 가지 방식의 용지 픽업 시스템
US6074053A (en) Printer with reduced ejected printed paper area
KR200158791Y1 (ko) 화상형성장치의 용지픽업장치
KR200158792Y1 (ko) 용지 공급이 원활한 잉크젯 프린터
KR100251121B1 (ko) 사무자동화 기기의 용지 자동공급장치
JP4446322B2 (ja) 給紙装置及びそれを使用した画像形成装置
KR200165112Y1 (ko) 잉크젯 프린터의 인쇄시 용지 휨에 의한 잼 방지 장치
KR19990038203A (ko) 잉크젯 프린터의 용지 정렬장치
KR200176022Y1 (ko) 프린터의 배출장치
KR200162395Y1 (ko) 분할된 배지롤러 축을 가진 잉크젯프린터
KR100218000B1 (ko) Dc모터를 이용한 잉크젯 프린터의 급지 에러 방지 장치
KR19990017826U (ko) 사무자동화기기의 겹장이송 방지장치
KR19990028268U (ko) 용지 공급이 원활한 잉크젯 프린터
KR200168711Y1 (ko) 화상형성 장치의 용지 급지 장치
KR200158790Y1 (ko) 잉크젯 프린터의 인쇄 용지 안내 장치
JP2004216590A (ja) 記録装置
KR19990026400U (ko) 잉크헤드 높이 조절장치
JP2005280922A (ja) 媒体給送装置及び記録装置
JP2004217350A (ja) 媒体供給装置及び記録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71104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71104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9121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0011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0011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2123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3123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122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1227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1227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1227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