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251001B1 - 컴퓨터 망을 이용한 전화 착/발신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컴퓨터 망을 이용한 전화 착/발신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51001B1
KR100251001B1 KR1019970039886A KR19970039886A KR100251001B1 KR 100251001 B1 KR100251001 B1 KR 100251001B1 KR 1019970039886 A KR1019970039886 A KR 1019970039886A KR 19970039886 A KR19970039886 A KR 19970039886A KR 100251001 B1 KR100251001 B1 KR 1002510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twork
information
telephone
call
compu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398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17107A (ko
Inventor
정만상
신석현
Original Assignee
이계철
한국전기통신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계철, 한국전기통신공사 filed Critical 이계철
Priority to KR10199700398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51001B1/ko
Publication of KR199900171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71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510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510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7/00Arrangements for interconnection between switching centres
    • H04M7/0024Services and arrangements where telephone services are combined with data services
    • H04M7/0033Notification or handling of incoming calls by a comput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42136Administration or customisation of services
    • H04M3/42153Administration or customisation of services by subscriber
    • H04M3/42161Administration or customisation of services by subscriber via computer interfa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7/00Arrangements for interconnection between switching centres
    • H04M7/0012Details of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s [API] for telephone networks; Arrangements which combine a telephonic communication equipment and a computer, i.e. computer telephony integration [CPI]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7/00Type of exchange or network, i.e. telephonic medium, in which the telephonic communication takes place
    • H04M2207/12Type of exchange or network, i.e. telephonic medium, in which the telephonic communication takes place intelligent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컴퓨터 망을 이용한 착/발신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컴퓨터 망에서의 단말과 서버간의 정보 검색 기능을 이용하여 착신 전화번호 또는 음성정보 서비스 전화번호를 선택한 뒤, 전화망에 있는 사용자가 원하는 통화 상태 착신자 또는 음성 정보 착신자와 온라인으로 전화 호 연결/접속을 할 수 있도록 하므로써, 컴퓨터 통신 기술과 전화망의 지능형 제어기술의 상호 결합을 통하여 상호 이용의 편리성과 상호 연동을 통한 망의 이용 효율성을 향상시키는 점에서 경제성 및 유용성을 수반하는 기술이다.

Description

컴퓨터 망을 이용한 전화 착/발신 제어방법
본 발명은 컴퓨터 망을 이용한 착/발신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컴퓨터 망에서의 단말과 서버간의 정보 검색 기능을 이용하여 착신 전화번호 또는 음성정보 서비스 전화번호를 선택한 뒤 전화망에 있는 사용자가 원하는 통화 상태 착신자 또는 음성 정보 착신자와 온라인으로 전화 호 연결/접속을 할 게 한 기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크게 컴퓨터 통신 기술과 전화망에서의 호 제어 또는 지능형 제어기술 분야로서 현재 상호간에 통합과 상호 연동을 위한 시도가 주로 전화망 내의 지능망 기술과 컴퓨터 망내에서의 이동형 제어 등 각각 독자적인 기술로서만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즉, 전화망에서 컴퓨터 기술을 이용한 지능망 제어 기술 또는 컴퓨터와 전화의 통합(Computer Telephone Integration : CTI) 기술이 있으며, 이는 전화망 자체의 제어 기술에 해당하고, 컴퓨터 통신 기술에서는 단순한 단말과 서버간의 정보 체공과 검색기술, 그리고 인터넷 전화와 같이 컴퓨터 망을 통한 음성 정보의 실시간 전달 기술 등이 주요 기술에 해당한다.
본 발명은 상기에 기술한 바와 같은 종래 요구사항을 감안하여, 컴퓨터 망과 전화망의 상호 연동/통합을 위한 구체적인 제어 절차로서 컴퓨터 망에서 전화망으로의 호 연결을 가능케 하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즉, 컴퓨터 망의 이용자가 자신의 단말을 이용하여 서버 노드에 있는 데이타 베이스나 하이퍼텍스트 상의 전화번호 정보를 검색한 뒤 착신을 원하는 선택된 전화번호와 자신의 전화번호를 전화망의 호 제어 관련 장치로 전송하도록 하여, 전화망의 교환기 호 제어 또는 지능망 제어 기능 블럭이 발착신 번호 정보를 이용하여 전화 연결을 제공해 주도록 하는 것이다.
제1도는 본 발명에 의한 컴퓨터 망을 이용한 전화 착/발신 제어방법을 적용하기 위한 일반적인 통신망 블럭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교환기 호/지능망 제어 기능부
2 : 컴퓨터 망 단말 및 전화번호 관련 데이타베이스부
3 : 교환기/지능망 운용 기능부 4 : 안내 기능부
5 : 통신망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방법은 컴퓨터 단말과 연결되는 데이타 베이스 내에 전화 가입자들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과정과; 상기 저장된 정보를 이용해 컴퓨터 단말 사용자가 입력한 착신자 측 전화번호에 대한 정보와 발신자 측의 정보를 검색하는 과정과; 상기 검색된 정보를 통해 발신자 측이 가입된 교환기에 각 정보를 전달하는 과정과; 상기 정보를 입력받은 교환기 측을 통해 착신자 측과 전화망을 통한 접속을 실행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컴퓨터 망을 이용하여 전화망 연결을 통한 전화 접속을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 및 특징들,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 발명에 의해 제시된 컴퓨터 망을 이용한 전화 착/발신 제어방법을 적용하는 일반적인 통신망 블럭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교환기능과 호 제어 기능을 포함하는 블럭으로 수신번호에 대한 정보 송/수신, 분석, 호 라우팅 및 전환 기능을 수행하는 교환기 호/지능망 제어기능부(1)와; 전화 가입자에 대한 번호 정보를 저장하며, 이용자가 자신의 컴퓨터 망 단말을 통하여 전화번호 데이타 베이스를 검색해 원하는 착신 전화번호를 선택하면 이를 상기 교환기 호/지능망 제어기능부(1)로 전송하는 컴퓨터 망 단말 및 전화번호 관련 데이타베이스부(2)와; 교환기 또는 지능망 서비스 노드 전체를 운용관리 하는 교환기/지능망 운용기능부(3)와; 사용자에게 음성을 이용한 음성 지시메세지(Voice Prompt)를 통하여 원하는 옵션을 선택하게 하는 안내기능부(4); 및 상기 교환기 호/지능망 제어기능부(1)에 연결되어 송/수신을 행하는 전기통신망, 전화망, 무선망 등의 통신망(5)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교환기/지능망 운용기능부(3)는 서비스 가입자의 프로화일에 대한 등록/갱신/삭제를 담당하고, 서비스 이용에 대한 과금 상황을 관리한다.
그리고 상기 통신망(5)에는 전화, 팩스, 무선전화 및 무선호출기 등의 통신 단말기가 연결되며, 데이타 베이스부(2)에는 전화 가입자에 대한 정보가 저장되어 있고 이 정보는 기존의 컴퓨터 망에 구축된 전자 번호부, 하이퍼텍스트 상의 전화번호, 상호, 이름, 주소 정보 등을 이용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전화 착/발신 제어방법을 설명하면, 사용자가 컴퓨터 망 단말 및 전화번호 관련 데이타베이스부(2)의 컴퓨터 단말기를 이용해 전화를 접속하고 싶은 상대방 즉 착신자 측의 전화번호를 입력하면, 이 전화번호는 데이타 베이스 내에서 착신자의 교환기 및 주소 등의 정보와, 현재 단말기를 사용하는 발신자측의 전화번호와 주소 등의 정보를 검색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검색된 정보는 전화망 제어 노드가 수용하는 번호 체계(내선번호, 시내/외 번호, 국제전화 번호 등)에 맞도록 변환되어 교환기 호/지능망 제어기능부(1)로 전달된다.
상기 번호를 기존의 실시간 메세지 통신 기능을 이용하여 수신한 제어 기능부(1)에서는 상기 입력받은 전화번호를 분석하여 발신자가 가입되어 있는 교환기를 검색한다.
그런다음 상기 발신자 교환기 측(다른 교환기도 가능함)으로 착신자 측과 호 연결을 시도하도록 하는 메세지를 전송하도록 하는 명령을 내린다.
상기 명령을 받은 발신자측 교환기에서는 호 연결을 시도하며, 발/착신 각각에게 호 진행 중인 신호를 전송한다.
발/착신자는 호 진행 신호를 받은 뒤 자신들의 전화 단말에서 후크/오프(Hook/Off) 신호를 전화망 측으로 각자 입력하므로써 연결이 설정되며, 연결이 설정된 순간부터 발신자측 교환기를 과금을 계산하기 시작한다.
모든 통화가 완료되고 나면 실행되는 호 해제 절차는 통상의 전화 호 해제 절차와 동일하다.
한편, 상기 교환기 호/지능망 제어기능부(1)에서는 상기 기능이 제대로 수행되었는지의 결과 여부를 컴퓨터 망 단말 및 전화번호 관련 데이타 베이스부(2)로 통보한다.
이러한 과정을 반복 수행하면서 도중 사용자에 대한 정보가 수정될 경우에는 다음과 같은 과정을 거친다.
운용 기능부(3)를 통한 사용자 정보의 갱신 및 수정 요구가 입력되면 기존에 데이타 베이스부(2)에 저장되어 있던 가입자에 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고, 이 데이타 중 수정할 데이타가 존재하면 데이타 수정을 입력받는다. 이어 상기 수정된 데이타는 다시 데이타 베이스부(2)에 갱신된다.
그리고 운용 기능부(3)에서 데이타 베이스부(2)로 사용자 정보 등록/갱신/삭제 등의 사용자 정보를 조회하면, 데이타 베이스부(2)에서는 요구에 대응하는 사용자 정보를 전송한다.
또한, 교환기/지능망 운용기능부(3)는 제어 기능부(1)로 부터 전화 연결에 대한 호 정보 및 과금정보가 입력되면 이를 관리한다.
또한, 안내 기능부(4)는 제어 기능부(1)에서 안내이용에 관한 제어신호가 입력되면 이에 맞는 안내방송을 한다.
예를 들면 착신자가 부재 중일 경우 메세지를 남기라는 안내방송 등이 있다.
또한 통신망(5)에서 어떠한 호 정보 및 트래픽 정보가 입력되면, 제어 기능부(1)에서는 이에 대한 호, 망제어 번호 정보를 출력한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컴퓨터 망에서의 이용자가 전화 연결을 원하는 상대방의 전화번호와 관련된 정보를 컴퓨터 망에서 이미 구축된 데이타 베이스나 하이퍼텍스트 상에어서의 전화번호 관련 데이타를 이용하여 검색한 후, 상대방의 착신번호를 전화망에서의 지능망 제어시스템으로 전송하여 전화망의 호 연결 절차에 의해 전화 연결을 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본 발명은 컴퓨터 망의 서버들에서 전화망의 지능망 제어 장치 등 호 제어가 가능한 서브 시스템과 기존의 실시간 메시지 통신 시스템으로 상호 접속하는 인터페이스 장치 내에서의 상호 제어 모듈에 적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컴퓨터 단말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컴퓨터 망을 통한 전화망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므로써, 컴퓨터 통신 기술과 전화망의 지능형 제어기술의 상호 결합을 통하여 상호 이용의 편리성과 상호 연동을 통한 망의 이용 효율성을 향상시키는 점에서 경제성 및 유용성을 수반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은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며,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등이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등은 이하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Claims (2)

  1. 컴퓨터 망을 이용하여 전화망 연결을 통한 전화 접속을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컴퓨터 단말과 연결되는 데이타 베이스 내에 전화 가입자들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과정과; 상기 저장된 정보를 이용해 컴퓨터 단말 사용자가 입력한 착신자 측 전화번호에 대한 정보와 발신자 측의 정보를 검색하는 과정과; 상기 검색된 정보를 통해 발신자 측이 가입된 교환기에 각 정보를 전달하는 과정과; 상기 정보를 입력받은 교환기 측을 통해 착신자 측과 전화망을 통한 접속을 실행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망을 이용한 착/발신 제어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데이타 베이스 내 정보를 기존의 컴퓨터 망에 구축된 하이퍼텍스트 상의 정보 또는 전자 번호부와 접속을 하여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망을 이용한 착/발신 제어방법.
KR1019970039886A 1997-08-21 1997-08-21 컴퓨터 망을 이용한 전화 착/발신 제어방법 KR1002510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39886A KR100251001B1 (ko) 1997-08-21 1997-08-21 컴퓨터 망을 이용한 전화 착/발신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39886A KR100251001B1 (ko) 1997-08-21 1997-08-21 컴퓨터 망을 이용한 전화 착/발신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7107A KR19990017107A (ko) 1999-03-15
KR100251001B1 true KR100251001B1 (ko) 2000-04-15

Family

ID=195180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39886A KR100251001B1 (ko) 1997-08-21 1997-08-21 컴퓨터 망을 이용한 전화 착/발신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5100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035792B2 (ja) * 1997-10-31 2008-01-23 ソニー株式会社 通信端末装置及び通信制御方法
KR100371917B1 (ko) * 1999-08-16 2003-02-14 주식회사 아이커뮤넷 컴퓨터-전화(ct) 호 서버 시스템과 그 서비스 방법
KR100681896B1 (ko) * 2003-07-21 2007-02-12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호 연결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7107A (ko) 1999-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142185B2 (ja) 通信ネットワーク上での通信方法
JP3034783B2 (ja) 情報転送方法、呼処理方法、情報転送装置およびインテリジェント端末
US706202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outing calls based on the identification of the calling party or calling line
JP3940078B2 (ja) 電話呼出のip接続からの遠隔自動転送のための方法およびシステム
JP2007129730A (ja) 通信網装置および方法
EP1238507A1 (en) A method of supplying information to a user of a mobile station
CN101227631A (zh) 一种集团用户的通信方法及其系统
JP3776537B2 (ja) 計算機網から電話への着信方法,接続装置,発信装置および電話端末
JPH11284735A (ja) 発呼者制御サービスを提供する電気通信システム
US7321767B2 (en) Switching system connecting a radio communication terminal via a LAN line to a public switched network or a leased line
KR100251001B1 (ko) 컴퓨터 망을 이용한 전화 착/발신 제어방법
US6188758B1 (en) Method and device in telecommunications network
AU2886600A (en) Method of establishing a connection
JPH1070765A (ja) 電話番号の自動制御システムおよび自動制御方法
CN100581193C (zh) 一种企业总机系统及其实现企业总机的方法
JPH08289019A (ja) 電気通信接続の方法及びその装置
EP0909079A2 (en) Method for providing remote emulation of the functionality of a private exchange
KR100619894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정보 자동 갱신 방법
CN100531260C (zh) 一种电话号码查询系统及电话号码查询和转接方法
KR100305774B1 (ko) 개인종합통신(upt)망서비스에서의가입자위치자동등록방법
US20070116229A1 (en) Method for forwarding a call to a call number that is assigned to the originally dialed number by means of a directory system
WO2004028172A1 (fr) Mandataire pour appels adresses a des abonnes itinerants et procede d'appel d'abonnes itinerants
KR100684645B1 (ko) 원격 대리조작을 위한 에이전트를 구비하는 이동통신단말및 에이전트를 이용한 이동통신단말의 원격 대리조작 방법
JP2007082163A (ja) 電話交換装置及び電話交換装置の着信制御方法
KR100674335B1 (ko) 지능망에서 통화자간 자동연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7082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70821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9102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0011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0011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3010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3123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122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0102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1228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107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113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105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105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