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248805B1 - 반도체 소자의 금속배선 형성방법 - Google Patents

반도체 소자의 금속배선 형성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48805B1
KR100248805B1 KR1019960076283A KR19960076283A KR100248805B1 KR 100248805 B1 KR100248805 B1 KR 100248805B1 KR 1019960076283 A KR1019960076283 A KR 1019960076283A KR 19960076283 A KR19960076283 A KR 19960076283A KR 100248805 B1 KR100248805 B1 KR 1002488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ming
semiconductor device
lower metal
contact
via hol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762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57013A (ko
Inventor
남기원
이영철
김광철
Original Assignee
김영환
현대전자산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환, 현대전자산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영환
Priority to KR10199600762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48805B1/ko
Publication of KR199800570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570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488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48805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0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or of parts thereof; Manufacture of integrated circuit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1Manufacture of specific parts of devices defined in group H01L21/70
    • H01L21/768Applying interconnections to be used for carrying current between separate components within a device comprising conductors and dielectrics
    • H01L21/76801Applying interconnections to be used for carrying current between separate components within a device comprising conductors and dielectrics characterised by the formation and the after-treatment of the dielectrics, e.g. smoothing
    • H01L21/76802Applying interconnections to be used for carrying current between separate components within a device comprising conductors and dielectrics characterised by the formation and the after-treatment of the dielectrics, e.g. smoothing by forming openings in dielectrics
    • H01L21/76805Applying interconnections to be used for carrying current between separate components within a device comprising conductors and dielectrics characterised by the formation and the after-treatment of the dielectrics, e.g. smoothing by forming openings in dielectrics the opening being a via or contact hole penetrating the underlying conduct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0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or of parts thereof; Manufacture of integrated circuit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1Manufacture of specific parts of devices defined in group H01L21/70
    • H01L21/768Applying interconnections to be used for carrying current between separate components within a device comprising conductors and dielectrics
    • H01L21/76838Applying interconnections to be used for carrying current between separate components within a device comprising conductors and dielectrics characterised by the formation and the after-treatment of the conduc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Internal Circuitry In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Devices (AREA)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반도체 장치 제조방법
2.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반도체 장치의 고집적화와 더불어 비아홀의 크기는 점차 줄고 있으며, 이에 따라 비아 콘택의 접촉 저항이 높아진다. 이러한, 접촉 저항의 증가는 반도체 장치의 동작 속도 등의 특성을 저하시키는 요인이 되는 문제점이 있었음.
3.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본 발명은 하부 금속 배선 상에 콘택되는 비아홀을 형성한 후, 소정 두께만큼 식각하여 상부 금속막과 하부 금속막의 접촉 면적을 증가시킴으로써 접촉 저항을 감소시키는 반도체 장치의 비아 콘택 형성 방법을 제공하고자 함.
4. 발명의 중요한 용도
반도체 장치의 비아 콘택 형성에 이용됨.

Description

반도체 장치의 비아 콘택 형성방법반도체 소자의 금속배선 형성방법{A method for forming metal wire in semiconductor device}
본 발명은 반도체 장치의 금속 배선 간의 전기적 연결을 위한 비아 콘택(via contact) 형성방법에 관한 것이다.
반도체 장치의 고집적화와 더불어 비아홀의 크기는 점차 줄어가고 있다. 이에 따라, 비아 콘택의 접촉 저항이 높아지게 된다. 즉, 비아홀 크기의 감소에 따라 금속 배선 간의 접촉 면적이 줄어들고, 접촉 저항 역시 증가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접촉 저항의 증가는 반도체 장치의 동작 속도 등의 특성을 저하시키는 요인이 된다.
본 발명은 비아홀 크기의 변화 없이 하부 금속막의 접촉 면적을 증가시킴으로써 접촉 저항을 감소시키는 반도체 장치의 비아 콘택 형성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a 내지 도 1d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장치의 비아 콘택 형성 공정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하부층 11 : 하부 금속막
11a : 하부 금속 배선 12 : 포토레지스트 패턴
13 : 층간 절연막 14 : 상부 금속막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반도체 기판 상에 형성된 소정의 하부층 상부에 하부 금속막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하부 금속막 상부에 비아홀 형성 부위의 단면이 凹 형상인 포토레지스트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포토레지스트 패턴을 식각 장벽으로 하여 상기 하부 금속막을 식각함으로써 비아홀 형성부위의 단면이 凹 형상인 하부 금속 배선을 형성하는 단계, 전체구조 상부에 층간 절연막을 형성하고, 상기 비아홀 형성 부위에 비아홀을 형성하는 단계 및 전체구조 상부에 상기 하부 금속 배선에 콘택되는 상부 금속막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하, 첨부된 도면 도 1a 내지 도 1d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상술한다.
먼저,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리콘 기판 상에 형성된 소정의 하부층(10) 상부에 하부 금속막(11)을 형성하고, 그 상부에 포토레지스트를 도포하고, 금속 배선 형성을 위한 포토레지스트 패턴(12)을 비아 콘택이 형성될 부위에서 그 단면의 중앙부가 오목한 凹 형상으로 형성한다. 이때, 포토레지스트 패턴(12)의 형상은 노광 및 현상시의 부분별 차이에 의해 그 중앙부의 포토레지스트가 완전히 제거되지 않고 남음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비아 콘택이 형성될 부위 이외의 영역에서는 점선과 같이 정상적인 패턴으로 형성된다.
다음으로,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한 포토레지스트 패턴(12)을 식각장벽으로 하여 하부 금속막(11)을 선택적 식각한다. 이때, 형성되는 하부 금속 배선(11a)은 상기한 포토레지스트 패턴(12)와 같은 형상으로 형성된다. 즉, 비아 콘택이 형성될 부위에서 그 단면의 중앙부가 凹 형상으로, 그 나머지 부분에서는 점선과 같이 정상적인 패턴으로 형성된다. 이때, 하부 금속 배선(11a) 중앙부의 부분식각된 깊이는 약 500Å 내지 약 200Å 정도이다.
이어서,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구조 상부에 층간 졀연막(13)을 증착하고, 전체구조 상부에 포토레지스트를 형성하고, 비아홀 형성을 위한 포토레지스트 패턴을 형성한 다음, 습식 및 건식 식각을 실시하여 미리 예정된 부위에 콘택홀을 형성한다.
끝으로, 도 1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구조 상부에 상부 금속막(14)을 증착함으로써 이층 구조의 금속 배선 및 비아 콘택 형성을 완료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을 실시하면 비아홀의 크기를 줄이지 않고, 접촉 면적을 늘임으로써 비아 콘택의 접촉 저항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비아홀의 크기를 줄이지 않고, 접촉 면적을 늘임으로써 비아 콘택의 접촉 저항을 감소시키게 되어, 반도체 장치의 고집적화에 기여하는 효과가 있으며, 반도체 장치 자체의 동작 특성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

Claims (1)

  1. 반도체 기판 상에 형성된 소정의 하부층 상부에 하부 금속막을 형성하는 제1단계;
    상기 하부 금속막 상부에 비아홀 형성 부위의 단면이 凹 형상인 포토레지스트 패턴을 형성하는 제2 단계;
    상기 포토레지스트 패턴을 식각 장벽으로 하여 상기 하부 금속막을 식각함으로써 비아홀 형성 부위의 단면이 凹 형상인 하부 금속 배선을 형성하는 제3 단계;
    상기 제3 단계를 마친 전체구조 상부에 층간 절연막을 형성하는 제4 단계;
    상기 비아홀 형성 부위의 상기 층간 절연막을 선택 식각하여 비아홀을 형성하는 제5 단계; 및
KR1019960076283A 1996-12-30 1996-12-30 반도체 소자의 금속배선 형성방법 Expired - Fee Related KR1002488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76283A KR100248805B1 (ko) 1996-12-30 1996-12-30 반도체 소자의 금속배선 형성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76283A KR100248805B1 (ko) 1996-12-30 1996-12-30 반도체 소자의 금속배선 형성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7013A KR19980057013A (ko) 1998-09-25
KR100248805B1 true KR100248805B1 (ko) 2000-03-15

Family

ID=194921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76283A Expired - Fee Related KR100248805B1 (ko) 1996-12-30 1996-12-30 반도체 소자의 금속배선 형성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48805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09905A (ja) * 1991-10-15 1993-04-30 Fujitsu Ltd 半導体装置とその製造方法
JPH0621235A (ja) * 1992-07-01 1994-01-28 Nec Corp 半導体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09905A (ja) * 1991-10-15 1993-04-30 Fujitsu Ltd 半導体装置とその製造方法
JPH0621235A (ja) * 1992-07-01 1994-01-28 Nec Corp 半導体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7013A (ko) 1998-09-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48805B1 (ko) 반도체 소자의 금속배선 형성방법
KR100299521B1 (ko) 반도체 소자의 배선 형성방법
KR100278274B1 (ko) 반도체장치의스택콘택형성방법
KR100365746B1 (ko) 콘택저항개선을위한반도체소자제조방법
US6284645B1 (en) Controlling improvement of critical dimension of dual damasceue process using spin-on-glass process
KR100395907B1 (ko) 반도체소자의 배선 형성방법
KR100226252B1 (ko) 반도체 소자 및 그의 제조방법
KR19990057892A (ko) 반도체 소자의 콘택 형성 방법
KR100360152B1 (ko) 배선 형성 방법
KR100265828B1 (ko) 반도체소자 제조방법
KR100366612B1 (ko) 평탄화된필드절연막을갖는반도체장치의제조방법
KR100290466B1 (ko) 반도체소자의 제조방법
KR100447982B1 (ko) 반도체소자의금속배선형성방법
KR100414951B1 (ko) 반도체소자의플러그형성방법
KR100223756B1 (ko) 반도체 장치의 금속 콘택방법
KR0137980B1 (ko) 텅스텐 플러그 제조방법
KR20020094961A (ko) 반도체 소자의 콘택 형성방법
KR20030002942A (ko) 반도체 소자의 금속 배선 형성 방법
KR100230735B1 (ko)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
KR19990018380A (ko) 반도체 장치의 금속 배선 형성 방법
KR20000041077A (ko) 반도체 장치의 배선 형성 방법
KR19980054749A (ko) 콘택 저항을 감소시키기 위한 반도체 메모리 장치
KR20030053969A (ko) 반도체 소자의 금속 배선 형성 방법
KR19990055175A (ko) 반도체 소자의 금속 배선 형성 방법
KR19990046867A (ko) 반도체 소자의 금속 배선 형성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6123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61230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1999052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9092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9122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1999122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2112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3111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111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1116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1122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1120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1125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126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1126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111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