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248765B1 - 공기조화기의운전제어장치및그운전제어방법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의운전제어장치및그운전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48765B1
KR100248765B1 KR1019970048316A KR19970048316A KR100248765B1 KR 100248765 B1 KR100248765 B1 KR 100248765B1 KR 1019970048316 A KR1019970048316 A KR 1019970048316A KR 19970048316 A KR19970048316 A KR 19970048316A KR 100248765 B1 KR100248765 B1 KR 1002487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 direction
air conditioner
indoor
direction control
fan moto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483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26262A (ko
Inventor
최광수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700483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48765B1/ko
Publication of KR199900262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62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487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48765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7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F24F11/72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 F24F11/74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for controlling air flow rate or air velocit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62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 or by internal processing, e.g. using fuzzy logic, adaptive control or estimation of values
    • F24F11/63Electronic processing
    • F24F11/65Electronic processing for selecting an operating mod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7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F24F11/72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 F24F11/79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for controlling the direction of the supplied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10Tempera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uzzy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의 운전제어장치 및 그 운전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실내온도를 감지하는 실내온도감지수단와, 상하풍향조절날개의 개방단계를 감지하는 개방단계감지수단, 실내팬모터의 회전속도를 감지하는 속도감지수단 및, 상기 실내온도감지수단과 개방단계감지수단 및 속도감지수단의 출력을 받아 이슬이 맺힐 조건이 되면 토출 풍량을 한 단계 증가시켜서 냉방운전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냉방운전시 상하풍향조절날개 및 토출구 주변에 이슬이 맺힐 조건이 되면 풍량을 한 단계 증가시켜 상기 상하풍향조절날개 및 토출구 주변에 이슬이 맺히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공기조화기의 운전제어장치 및 그 운전제어방법{OPERATION CONTROL APPARATUS FOR AIR CONDITIONER AND OPER ATION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의 운전제어장치 및 그 운전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는 냉방운전시 상하풍향조절날개 및 토출구 주변에 이슬이 맺히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공기조화기의 운전제어장치 및 그 운전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는 실내의 뜨거운 공기를 차갑게 하여 실내로 공급하는 냉방장치와, 실내의 차가운 공기를 따뜻하게 하여 실내로 공급하는 난방장치가 있다.
또한, 상기의 냉방기능과 난방기능를 겸한 냉난방장치도 있으며, 오염된 실내공기를 청정시키는 청정기능도 포함되어지는 상황이다.
도 1에는 상기한 공기조화기들중에 냉난방 기능을 하는 냉난방장치(통상적으로 "에어콘"이라 한다.)의 실내 유닛(이하, 실내기라 한다.)이 도시되어 있으며, 상기 냉난방장치는 도시하지 않은 실외 유닛(이하, 실외기라 한다.)을 포함함은 물론이다.
도 1에 도시된 종래의 에어콘의 실내기(10)는, 실내공기를 흡입하도록 전면 상부에 형성된 흡입구(11)와, 상기 흡입구(11)를 통하여 흡입되는 실내공기중에 부유하는 이물질등을 깨끗하게 필터링하도록 흡입구(11)의 후측에 장착된 공기필터(12)와, 흡입된 공기가 다시 실내로 토출되도록 전면 하부에 형성된 토출구(13)와, 상기 토출구(13)를 통하여 토출되는 공기를 상하 및 좌우 방향으로 풍향조절하도록 토출구(13)에 장착된 풍향조절날개(14)와, 상기 흡입구(11)를 통하여 상기 토출구(13)로 토출되는 실내공기의 흐름을 안내하도록 내부에 장착된 덕트(15)와, 상기 흡입구(11)의 후측에 장착되어 상기 흡입구(11)를 통해 흡입된 공기를 열교환하는 실내열교환기(16)와, 상기 흡입구(11)를 통하여 실내공기를 흡입함과 동시에 상기 실내열교환기(16)에 의해 열교환된 공기를 상기 토출구(13)를 통하여 실내로 토출하도록 상기 실내열교환기(16)의 후측 하부에 장착된 실내팬모터(18)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공기조화기에서 냉방운전이 시작되면 미도시된 제어수단이 실내팬모터(18)을 구동시키고, 이와 같이 실내팬모터(18)가 구동됨에 따라 흡입구(11)를 통해 실내공기가 실내기(10)내로 흡입되기 시작한다.
상기 흡입구(11)를 통해 흡입된 실내공기에 부유하는 먼지 등의 이물질은 공기필터(17)를 통과하면서 제거되고, 상기 공기필터(17)에 의해 먼지등의 이물질이 제거된 실내공기는 실내열교환기(16)를 통과하면서 실내열교환기(16)내에 흐르는 냉매의 증발잠열에 의해 열교환되어 차거워진다.
그리고, 상기 실내열교환기(16)에서 열교환되어 차거워진 공기는 덕트(15)에 의해 하부로 안내되어 토출구(13)를 통해 실내로 토출되는데, 상기 토출구(13)를 통해 토출되는 냉풍은 풍향조절날개(14)의 풍향각도에 따라 상하 또는 좌우로 풍향이 조절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공기조화기가 냉방운전을 수행하게 되면 실내기로부터 배출되는 차거운 공기가 실내의 더운 공기와 만나서 상하풍향조절날개 및 토출구 주변에 이슬이 맺히는데, 이와 같이 이슬이 맺힘에 따라 공기조화기의 외관이 더러워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저온에서 실내팬 풍량을 작게하고 상하풍향조절날개가 최소로 열린 상태로 냉방운전을 수행할 경우에 상하풍향조절날개 및 토출구 주변에 이슬이 맺히기 쉽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냉방운전시 상하풍향조절날개 및 토출구 주변에 이슬이 맺히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공기조화기의 운전제어장치 및 그 운전제어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운전제어장치는, 상하풍향조절날개 및 좌우풍향조절날개의 각도를 조절하여 토출 기류의 방향을 제어하고, 실내팬모터의 회전속도를 조절하여 토출 기류의 풍량을 제어하는 공기조화기의 운전제어장치에 있어서,
실내온도를 감지하는 실내온도감지수단와, 상기 상하풍향조절날개의 개방단계를 감지하는 개방단계감지수단, 상기 실내팬모터의 회전속도를 감지하는 속도감지수단, 상기 실내온도감지수단과 개방단계감지수단 및 속도감지수단의 출력을 받아 이슬이 맺힐 조건이되면 토출 풍량을 한 단계 증가시켜서 냉방운전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운전제어방법은, 상하풍향조절날개 및 좌우풍향조절날개의 각도를 조절하여 토출 기류의 방향을 제어하고, 실내팬모터의 회전속도를 조절하여 토출 기류의 풍량을 제어하는 공기조화기의 운전제어방법에 있어서,
공기조화기의 운전시작신호가 입력되었는가를 판단하는 단계와, 공기조화기의 운전시작신호가 입력되었으면 공기조하기의 운전 조건을 설정하는 단계, 설정된 운전 조건이 냉방 운전인가를 판단하여 냉방 운전이 아니면 선택된 운전 조건에 따라 공기조화기를 운전시키는 단계, 설정된 운전 조건이 냉방 운전이면 공기조화기를 정상적으로 냉방운전시키는 단계, 상기 상하풍향조절날개 및 토출구 주변에 이슬이 맺힐 조건이 되었는가를 판단하는 판단단계 및, 상기 상하풍향조절날개 및 토출구 주변에 이슬이 맺힐 조건이 되면 설정 풍량보다 한 단계 증가시킨 풍량으로 실내팬모터을 회전시키면서 냉방운전을 수행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종래의 1실시예에 의한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운전제어장치의 블록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운전제어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실내기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운전제어방법의 순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전원수단 102 : 운전조작수단
104 : 제어수단 106 : 실내온도감지수단
108 : 실내열교환기온도감지수단 110 : 압축기구동수단
111 : 압축기 120 : 풍향조절수단
122 : 실내팬구동수단 124 : 표시수단
126 : 개방단계감지수단 128 : 속도감지수단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운전제어장치의 블록구성도로서,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운전제어장치는, 공기조화기의 운전제어장치는, 전원수단(100)과, 운전조작수단(102), 제어수단(104), 실내온도감지수단(106), 실내열교환기온도감지수단(108), 압축기구동수단(110), 풍향조절수단(120), 실내팬모터구동수단(122), 표시수단(124), 개방단계감지수단(126) 및, 속도감지수단(128)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전원수단(100)은 도시되지 않은 교류전원단으로부터 공급되는 상용교류전압을 공기조화기의 동작에 필요한 소정의 직류전압으로 변환하여 출력하고, 상기 운전조작수단(102)은 사용자가 원하는 공기조화기의 운전모드(자동, 냉방, 제습, 송풍, 난방)와 운전의 시작/정지, 설정온도, 토출공기의 설정풍량 및 설정풍향을 입력한다.
그리고, 상기 실내온도감지수단(106)은 상기 운전조작수단(102)에 의해 사용자가 설정한 온도로 실내온도를 제어하여 공기조화기의 운전을 수행하도록 흡입구를 통해 흡입되는 실내공기의 온도를 감지하여 상기 제어수단(104)으로 입력하도록 되어 있고, 실내열교환기온도감지수단(108)은 공기조화기의 운전시에 변화하는 실내열교환기의 배관온도 즉, 상기 실내열교환기를 통과하는 냉매온도를 감지한다.
그리고, 상기 압축기구동수단(110)은 상기 제어수단(104)으로부터 출력되는 제어신호를 받아서 압축기(111)를 구동제어하고, 상기 풍향조절수단(120)은 상기 제어수단(104)의 제어에 의해 풍향조절날개(14)의 각도를 조절하여 토출공기의 방향을 상하 및 좌우조절하며, 상기 실내팬모터구동수단(122)은 상기 운전조작수단(102)에 의해 선택된 풍량에 따라 열교환된 공기(냉풍, 온풍)를 실내로 송풍하도록 상기 제어수단(104)으로부터 출력되는 제어신호를 입력받아 실내팬모터(18)의 회전 속도를 제어하여 구동시킨다.
또한, 상기 표시수단(124)은 상기 제어수단(104)의 제어에 따라 상기 운전조작수단(102)에 의해 입력된 운전선택모드(자동, 냉방, 제습, 송풍, 난방)와 설정온도 및 실내온도등을 표시한다.
그리고, 상기 개방단계감지수단(126)은 상하풍향조절날개의 개방단계를 감지하여 상기 제어수단(104)으로 입력하고, 상기 속도감지수단(128)은 실내팬모터(18)의 회전속도를 감지하여 상기 제어수단(104)으로 입력한다.
즉, 상기 개방단계감지수단(126)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풍향조절날개(14)중 상하풍향조절날개(14-1)의 개방단계를 감지하여 상기 제어수단(104)으로 입력하는데, 상기 상하풍향조절날개(14-1)는 다단계로 각도가 변화하여 토출되는 풍향을 상하로 조절하며, 상기 상하풍향조절날개(14-1)의 각도가 변화하는 단계는 0단계에서 6단계로서, 0단계는 토출구(13)를 완전히 개방한 상태이며, 6단계는 토출구(13)를 완전히 닫은 상태이다.
그리고, 상기 제어수단(104)은 상기 전원수단(100)으로부터 출력되는 직류전압을 인가받아 공기조화기를 초기화시킴은 물론, 운전조작수단(102)에 의해 입력된 운전선택신호 및 운전시작/운전정지신호에 따라 공기조화기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마이크로컴퓨터로서, 상기 실내온도감지수단(106)과 개방단계감지수단(126) 및 속도감지수단(128)의 출력을 받아 상하풍향조절날개 및 토출구 주변에 이슬이 맺핼 조건이 되면 토출 풍량을 한 단계 증가시켜서 냉방운전을 수행하도록 공기조화기를 제어한다.
즉, 상기 제어수단(104)은, 실내온도가 소정온도 이하인 상태에서 공기조하기가 냉방운전시 실내팬모터(18)의 회전속도가 소정속도 이하임과 동시에 상하풍향조절날개(14-1)의 개방단계가 토출구(13)가 최소로 개방된 상태에 해당하는 단계인 경우에 이슬 맺힘 조건으로 판단하여 토출 풍량을 한 단계 증가시켜서 냉방운전을 수행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공기조화기의 운전제어장치 및 그 운전제어방법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운전제어방법의 순서도로서, 도 4에서 S는 단계(step)를 표시한다.
먼저, 공기조화기에 전원이 인가되면, 전원수단(100)에서는 도시되지 않은 교류전원단으로부터 공급되는 상용교류전압을 상기 공기조화기의 구동에 필요한 소정의 직류전압으로 변환하여 각 구동회로 및 제어수단(104)에 출력한다.
상기와 같이 전원수단(100)으로부터 출력되는 직류전압이 제어수단(104)으로 인가되면 상기 제어수단(104)은 공기조화기를 초기화시킨다.(S1)
그리고, 사용자가 운전조작수단(102)을 조작하여 운전시작신호를 제어수단(104)으로 입력하고, 이어서 공기조화기의 운전 조건(운전모드, 설정온도, 설정풍량등)을 설정하기 위해 운전 선택 신호를 제어수단(104)으로 입력한다.(S2, S3)
즉, 운전조작수단(102)으로부터 운전시작신호가 입력되었는지를 판별하여, 운전시작신호가 입력되지 않은 경우에는 공기조화기를 운전대기상태로 유지하는 것이다.
그리고, 운전조작수단(102)으로부터 운전시작신호가 입력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운전조작수단(102)을 조작하여 운전 조건을 설정하기 위해 운전 선택 신호를 제어수단(104)으로 입력하여 공기조화기의 운전 조건을 설정한다.
이어서, 제어수단(104)은 상기 운전조작수단(102)으로부터 입력된 운전 조건이 냉방운전인가를 판별하여, 냉방운전이 아닌 경우에는 설정된 운전 조건에 따라 공기조화기를 운전한다.(S4, S5)
그리고, 상기 단계(S4)의 판별 결과, 냉방운전인 경우에 상기 제어수단(104)은 정상적인 냉방운전을 수행하도록 공기조화기를 제어하고, 이어서 냉방운전이 해제되었는가를 판단하여 해제되었으면 종료한다.(S6, S7)
한편, 상기 단계(S7)의 판별 결과, 냉방운전이 해제되지 않았으면 상기 제어수단(104)은 정상적인 냉방운전을 수행하면서 실내온도감지수단(106)의 출력을 받아 실내온도가 소정온도(25℃) 이하인가를 판단하여 소정온도(25℃) 이하가 아니면 정상적인 냉방운전을 수행하도록 공기조화기를 제어한다.(S8)
그리고, 실내온도가 소정온도(25℃) 이하인 경우에 상기 제어수단(104)은 속도감지수단(128)의 출력을 받아 실내팬모터(18)의 회전속도가 소정속도(800RPM) 이하인가를 판단하여 소정속도(800RPM) 이하가 아니면 정상적인 냉방운전을 수행하도록 공기조화기를 제어한다.(S9)
그리고, 실내팬모터(18)의 회전속도가 소정속도(800RPM) 이하인 경우에 상기 제어수단(104)은 상기 개방단계감지수단(126)의 출력을 받아 상하풍향조절날개(14-1)의 개방단계가 토출구(13)가 최소로 개방된 상태에 해당하는 제5단계 이상인가를 판단하여 제5단계 이상이 아니면 정상적인 냉방운전을 수행하도록 공기조화기를 제어한다.(S10)
반면에, 상기 상하풍향조절날개(14-1)의 개방단계가 제5단계 이상인 경우에는 상기 제어수단(104)은 실내팬구동수단(122)을 제어하여 상기 실내팬모터(18)의 회전속도를 한 단계 증가시킨 상태로 냉방운전을 수행한다.
즉, 실내온도가 소정온도(25℃) 이하인 상태에서 냉방운전시 실내팬모터(18)의 회전속도가 소정속도(800RPM) 이하임과 동시에 상하풍향조절날개(14-1)의 개방단계가 토출구(13)가 최소로 개방된 상태에 해당하는 제5단계 이상인 경우에 상기 상하풍향조절날개(14-1) 및 토출구(13) 주변에 이슬 맺힐 조건으로 판단하여 풍량을 한 단계 증가시켜 실내팬모터(18)를 구동시킴으로써, 이슬이 맺히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냉방운전시 상하풍향조절날개 및 토출구 주변에 이슬이 맺히는 조건이 되면 풍량을 한 단계 증가시켜 상기 상하풍향조절날개 및 토출구 주변에 이슬이 맺히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정정) 상하풍향조절날개 및 좌우풍향조절날개의 각도를 조절하여 토출 기류의 방향을 제어하고, 실내팬모터의 회전속도를 조절하여 토출 기류의 풍량을 제어하는 공기조화기의 운전제어장치에 있어서,
    실내온도를 감지하는 실내온도감지수단과,
    상기 상하풍향조절날개의 개방단계를 감지하는 개방단계감지수단과,
    상기 실내팬모터의 회전속도를 감지하는 속도감지수단과,
    상기 실내온도감지수단과 개방단계감지수단 및 속도감지수단의 출력을 받아 실내온도와 상하풍향조절날개의 개방단계 및 실내팬모터의 회전속도를 판별하고 판별된 실내온도와 상하풍향조절날개의 개방단계 및 실내팬모터의 회전속도를 각기 미리 설정된 값과 비교하여 그 비교결과에 의해 상기 상하풍향조절날개 및 토출구 주변에 이슬이 맺힐 조건인가를 판단하며 판단결과 이슬이 맺힐 조건이면 토출 풍량을 한 단계 증가시켜서 냉방운전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운전제어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실내온도가 소정온도 이하인 상태에서 냉방운전시 실내팬모터의 회전속도가 소정속도 이하임과 동시에 상하풍향조절날개의 개방단계가 토출구가 최소로 개방된 상태에 해당하는 단계인 경우에 이슬 맺힘 조건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운전제어장치.
  3. (정정) 상하풍향조절날개 및 좌우풍향조절날개의 각도를 조절하여 토출 기류의 방향을 제어하고, 실내팬모터의 회전속도를 조절하여 토출 기류의 풍량을 제어하는 공기조화기의 운전제어방법에 있어서,
    공기조화기의 운전시작신호가 입력되었는가를 판단하는 단계와,
    공기조화기의 운전시작신호가 입력되었으면 공기조화기의 운전 조건을 설정하는 단계,
    설정된 운전 조건이 냉방 운전인가를 판단하여 냉방 운전이 아니면 선택된 운전 조건에 따라 공기조화기를 운전시키는 단계,
    설정된 운전 조건이 냉방 운전이면 공기조화기를 정상적으로 냉방운전시키는 단계,
    설정된 운전 조건이 냉방운전조건인 경우 실내온도와 상하풍향조절날개의 개방단계 및 실내팬모터의 회전속도를 감지하는 단계와,
    상기 감지된 실내온도와 상하풍향조절날개의 개방단계 및 실내팬모터의 회전속도를 각기 미리 설정된 값과 비교하여 그 비교결과에 의해 이슬이 맺힐 조건을 판단하는 판단단계 및,
    상기 상하풍향조절날개 및 토출구 주변에 이슬이 맺힐 조건이 되면 설정 풍량보다 한 단계 증가시킨 풍량으로 실내팬모터를 회전시키면서 냉방운전을 수행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운전제어방법.
  4. (정정)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단계는, 실내온도가 소정온도 이하인 조건을 만족하는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실내팬모터의 회전속도가 소정속도 이하인 조건을 만족하는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상하풍향조절날개의 개방단계가 토출구가 최소로 개방된 상태인 조건을 만족하는가를 판단하는 단계로 이루어져, 상기 각 단계의 조건이 모두 만족되면 상기 상하풍향조절날개 및 토출구 주변에 이슬이 맺힐 조건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운전제어방법.
KR1019970048316A 1997-09-23 1997-09-23 공기조화기의운전제어장치및그운전제어방법 Expired - Fee Related KR1002487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48316A KR100248765B1 (ko) 1997-09-23 1997-09-23 공기조화기의운전제어장치및그운전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48316A KR100248765B1 (ko) 1997-09-23 1997-09-23 공기조화기의운전제어장치및그운전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6262A KR19990026262A (ko) 1999-04-15
KR100248765B1 true KR100248765B1 (ko) 2000-04-01

Family

ID=195215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48316A Expired - Fee Related KR100248765B1 (ko) 1997-09-23 1997-09-23 공기조화기의운전제어장치및그운전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4876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8994B1 (ko) * 2000-10-10 2003-12-06 엘지전자 주식회사 멀티 에어컨의 냉방 운전 실내팬 제어방법
CN115307279B (zh) * 2022-08-12 2025-06-06 广东欧科空调制冷有限公司 一种机柜空调防凝露控制方法、装置及机柜空调
CN115325671A (zh) * 2022-08-29 2022-11-11 青岛海尔空调器有限总公司 空调及其制冷控制方法
KR20250014435A (ko) * 2023-07-20 2025-02-03 코웨이 주식회사 공기청정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6262A (ko) 1999-04-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9137376A1 (zh) 壁挂式空调及其自清洁控制方法
WO2019137377A1 (zh) 壁挂式空调及其自清洁控制方法
JPH1047731A (ja) 空気調和機の吐出気流制御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KR100248760B1 (ko) 공기조화기의 난방제어방법
JP2901148B2 (ja) 空気調和機の吐出気流制御装置及びその方法
JP3073482B2 (ja) 空気調和機の運転制御装置およびその方法
KR100248765B1 (ko) 공기조화기의운전제어장치및그운전제어방법
KR100345006B1 (ko) 공기조화기의 이슬맺힘 방지장치 및 그 방법
KR100231048B1 (ko) 공기조화기의 제습운전 제어방법
KR19980033782A (ko) 공기조화기의 토출기류 제어장치 및 그 방법
KR100239548B1 (ko) 공기조화기의 토출기류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0244334B1 (ko) 공기조화기의풍량제어방법
KR100225649B1 (ko) 공기조화기의 터보 운전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0248770B1 (ko) 공기조화기의풍량제어방법
KR100248771B1 (ko) 공기조화기의풍량제어방법
JPH0436535A (ja) 空気調和機の室内ファン運転方法
KR100231049B1 (ko) 공기조화기의 제어장치 및 그 방법
KR19990026263A (ko) 공기조화기의 난방 운전제어방법
KR100248769B1 (ko) 공기조화기의풍량제어방법
KR100248768B1 (ko) 공기조화기의풍량제어방법
KR100244315B1 (ko) 공기조화기의 난방제어장치 및 그 방법
KR100239542B1 (ko) 공기조화기의 터보 운전 제어방법
KR100225651B1 (ko) 공기조화기의 운전제어장치 및 그 운전제어방법
KR100248776B1 (ko) 공기조화기의운전제어방법
KR100197735B1 (ko) 공기조화기의 토출기류 제어장치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70923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70923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199907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91123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9122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1999122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2112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3112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112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1129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1129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1129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