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47009B1 - Digital cellular telephone capable of recognizing a vioce and method for recognizing the voice - Google Patents
Digital cellular telephone capable of recognizing a vioce and method for recognizing the voic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247009B1 KR100247009B1 KR1019970033961A KR19970033961A KR100247009B1 KR 100247009 B1 KR100247009 B1 KR 100247009B1 KR 1019970033961 A KR1019970033961 A KR 1019970033961A KR 19970033961 A KR19970033961 A KR 19970033961A KR 100247009 B1 KR100247009 B1 KR 10024700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voice
- function
- mode
- function mode
- registration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41—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using relative motion of the body parts to change the operational status of the telephone set, e.g. switching on/off, answering incoming call
- H04M1/0245—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using relative motion of the body parts to change the operational status of the telephone set, e.g. switching on/off, answering incoming call using open/close detection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74—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with voice recognition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디지털 휴대용 전화기의 기능모드 음성 등록 방법에 있어서, 대기상태에서 플립 온/오프를 검사하여 플립 온을 감지하면 음성인식모드로 전환하는 제1과정과, 상기 음성인식모드로의 전환 후 기능모드 음성등록을 선택하는 제2과정과, 상기 기능모드 음성등록이 선택되면, 소정의 기능키를 입력한 다음 상기 기능키에 대응하는 기능을 말하는 음성을 제1차 입력하여 처리함과 동시에 상기 제1차 입력 음성을 재생하는 제3과정과, 상기 제1차 음성의 재생후 상기 기능키에 대응하는 기능을 말하는 음성을 제2차 입력하는 제4과정과, 상기 제1 및 제2차 입력 음성의 특성을 검출하여 상호 비교하고, 그 유사 여부를 검사하여 유사하면 상기 기능키에 대응하는 기능모드에 상기 음성을 등록하는 제5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A method of registering a function mode voice of a digital portable telephone, comprising: a first process of checking flip on / off in a standby state and switching to a voice recognition mode upon detecting a flip on; and registering a function mode voice after switching to the voice recognition mode And a second process of selecting a function mode, and if the function mode voice registration is selected, inputs a predetermined function key and then processes and inputs a voice that speaks a function corresponding to the function key. A third process of reproducing a voice, a fourth process of secondly inputting a voice that speaks a function corresponding to the function key after reproducing the first voice, and characteristics of the first and second input voices And a fifth step of registering the voice in a function mode corresponding to the function key if detected and compared with each other, and checking the similarity.
Description
본 발명은 디지털 휴대용 전화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음성으로 기능모드를 등록 및 인식하는 디지털 휴대용 전화기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gital portable telephone, and more particularly, to a digital portable telephone for registering and recognizing a function mode by voice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휴대용 전화기는 그 특성상 자동차를 운전한다거나 다른 작업을 하고 있는 동안에 전화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측면에서 볼 때 기존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수단인 키패드를 사용한 여러 가지 조작이나 다이얼링 등은 불편함이나 위험의 소지가 있다. 음성 다이얼링의 구현으로 다소간 편리해진 점도 있으나, 통상적인 휴대용 전화기에 부가된 음성인식기능은 전화번호를 미리 등록해두고 다이얼링하는 기능만을 음성으로 처리하므로 여전히 개선의 여지는 남아 있다.Mobile phones often use their phones while driving a car or doing other tasks. In this respect, various operations or dialing using the keypad, which is an existing user interface means, may be inconvenient or dangerous. Although the voice dialing is somewhat convenient, the voice recognition function added to the conventional portable phone still leaves room for improvement because only the phone dialing function is registered as a voice.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음성으로써 기능모드를 인식할 수 있는 디지털 휴대용 전화기 및 그 인식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igital portable telephone capable of recognizing a function mode as a voice and a recogni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디지털 휴대용 전화기가 음성으로써 기능모드를 인식할 수 있도록 각 기능모드에 대응하는 음성을 등록하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for registering a voice corresponding to each function mode so that the digital portable telephone can recognize the function mode as voice.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디지털 휴대용 전화기의 기능모드 음성 등록 방법에 있어서, 대기상태에서 플립 온/오프를 검사하여 플립 온을 감지하면 음성인식모드로 전환하는 제1과정과, 상기 음성인식모드로의 전환후 기능모드 음성등록을 선택하는 제2과정과, 상기 기능모드 음성등록이 선택되면, 소정의 기능키를 입력한 다음 상기 기능키에 대응하는 기능을 말하는 음성을 제1차 입력하여 처리함과 동시에 상기 제1차 입력 음성을 재생하는 제3과정과, 상기 제1차 음성의 재생후 상기 기능키에 대응하는 기능을 말하는 음성을 제2차 입력하는 제4과정과, 상기 제1 및 제2차 입력 음성의 특성을 검출하여 상호 비교하고, 그 유사 여부를 검사하여 유사하면 상기 기능키에 대응하는 기능모드에 상기 음성을 등록하는 제5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In accordance with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function mode voice registration method of a digital portable telephone, comprising: a first process of checking a flip on / off in a standby state and switching to a voice recognition mode when detecting a flip on; A second process of selecting a function mode voice registration after switching to the recognition mode; and if the function mode voice registration is selected, input a predetermined function key and then input a voice that speaks a function corresponding to the function key; A third process of reproducing the first input voice and a second process of inputting a second voice that speaks a function corresponding to the function key after reproducing the first voice; And a fifth process of detect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first and second input voices, comparing them with each other, and checking the similarity and registering the voices in a function mode corresponding to the function key if similar. And a gong.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음성인식기능을 갖는 디지털 휴대용 전화기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1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digital portable telephone having a voice recognition function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메모리의 구성도2 is a block diagram of a memor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음성인식기능을 갖는 디지털 휴대용 전화기의 전체 동작 과정들을 나타낸 흐름도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digital portable telephone having a voice recognition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기능모드 음성 등록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function mode voice registration method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기능모드 음성 인식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function mode speech recogni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하기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회로의 구성 소자 등과 같은 많은 특정(特定) 사항들이 나타나고 있는데,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이러한 특정 사항들 없이도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음은 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하다 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First of all, i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the components of each drawing,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ame reference numerals have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much as possible even if displayed on different drawings. Also,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many specific details such as components of specific circuits are shown, which are provided to help a more general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acticed without these specific details. It is self-evident to those of ordinary knowledge in Esau.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function or configura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음성인식기능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음성 자체를 입력하고, 그 입력된 음성신호로부터 주파수 특성과 같은 여러 가지 특징(feature)을 추출하는 신호처리를 수행한다.In order to perform the voice recognition function, the voice itself is input and signal processing for extracting various features such as frequency characteristics from the input voice signal is performed.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음성인식기능을 갖는 디지털 휴대용 전화기의 구성을 나타낸 것으로, RF(radio frequency)부와 DTMF(dual tone multu frequency)부 등 본 발명의 요지와 직접적인 관련이 없는 부분에 대해서는 도시 및 설명을 생략한다.1 illustrates a configuration of a digital portable telephone having a voice recognition function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For the parts not directly related to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such as an RF (radio frequency) unit and a dual tone multu frequency (DTMF) unit, FIG. Illustration and description are omitted.
마이크 30을 통해 입력된 아날로그 형태의 음성신호는 아날로그/디지털(analog to digital: 이하 A/D라 함.)변환부 20을 거쳐 디지털 형태의 펄스코드변조(Pulse Code Modulation: 이하 PCM이라 함.)신호로 변환된다. 상기 PCM신호는 음성부호화기 45에 전달되고, 상기 음성부호화기(vocoder) 45는 상기 PCM신호를 압축하여 패킷(packet)데이터를 출력한다. 상기 음성부호화기 45로는 예를 들어 CDMA방식 디지털 휴대용 전화기인 경우 8Kbps QCELP(Qualcomm Code Excited Linear Predictive coding), GSM방식 디지털 휴대용 전화기인 경우 RPE-LTP(Regular Pulse Excitation with Long Term Prediction)방식의 것을 사용할 수 있다.The analog voice signal input through the
상기 음성부호화기 45에서 출력되는 패킷데이터는 디지털 휴대용 전화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총괄적으로 제어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 50으로 전달된다. 제1메모리 60은 비휘발성메모리[예: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이이피롬(EEPROM)]로서, 디지털 휴대용 전화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총괄적으로 제어하는 프로그램 및 초기 서비스 데이터를 저장한다. 제2메모리 80은 램(RAM)으로서, 디지털 휴대용 전화기의 동작에 따른 각종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저장한다. 음성인식부 85는 임의의 음성에 대한 특성 데이터를 출력한다. 상기 특성데이터는 초당 20바이트(byte)로 이루어지며, 주파수 특성, 신호의 크기, 크기 변화의 함수 등이다. 상기 음성인식부 85는 하드웨어적 혹은 소프트웨어적으로 구현할 수 있다. 상기 음성인식부 85가 소프트웨어적으로 구현된 것이면, 도시된 바와 같이 별도로 부가되지 않고 디지털 휴대용 전화기가 이미 구비하고 있던 상기 제1메모리 60에 저장될 수도 있다.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 50는 공지의 디지털 휴대용 전화기의 동작을 제어함과 아울러 다음과 같은 음성인식제어 동작을 한다. 우선, 음성부호화기 45에서 출력되는 패킷데이터를 상기 음성인식부 85로 전달한다. 또한 상기 음성인식부 85에서 출력되는 특성데이터 인덱스 및 그 차이값에 따른 인식의 결과로서 소정의 동작(예: 다이얼링)이 이루어지도록 제어한다. 또한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 50는 사용자의 음성이 상기 음성부호화기 45에서 패킷데이터화 한 후 제1메모리 60의 특정 영역에 저장되면 그 영역의 어드레스를 상기 음성부호화기 45로부터 전달받아 기억해둔다. 그리고 사용자에게 상기 음성의 인식 완료를 알릴 때 제1메모리 60의 상기 어드레스로부터 해당 패킷데이터를 읽어내어 사용한다. 이렇게 읽혀진 음성데이터를 이해 및 설명의 편의상, 이하 재생(playback)음성데이터라 한다. 상기 음성부호화기 45는 상기 재생데이터를 PCM신호로 변환하여 디지털/아날로그(digital to analog: 이하 D/A라 함.)변환부 75로 전달한다. 상기 D/A변환부 75로 입력된 PCM신호는 아날로그 형태로 변환된 다음, 스피커 80을 통해 증폭되어 가청음으로 출력된다. 상기와 같이 재생음성데이터를 사용하지 않고, 음성 인식 완료를 알리는 안내메시지를 별도로 만들어 저장해놓을 수도 있다. 핸즈프리킷 연결부 500은 공지의 핸즈프리킷과 단말기의 연결 및 그때 핸즈프리킷 마이크를 통해서 입력된 음성을 상기 A/D변환부 20을 통해 디지털화 하여 음성부호화기 45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The packet data output from the
키입력부 55는 각종 모드의 설정을 위한 키, 다이얼링을 위한 숫자키 및 그리고 기능모드음성등록키 등과 같은 다수의 키를 가진다. 비퍼(beeper) 90은 소정 작업의 시작을 알리는 비프음을 발생한다. 플립(flip)상태감지부 95는 플립(도시하지 않음.)의 온/오프 상태를 감지하여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 50으로 하여금 음성인식모드로의 진입 개시 여부를 판단하게 한다.The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1메모리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제어프로그램, 특성 데이터, 재생음성데이터, 전화번호, 안내메시지를 저장하는 영역 및 예비영역으로 구성된다. 참조부호 ADD는 마이크로프로세서 50에서 각 경우에 적절하게 발생하는 어드레스를 나타낸다.2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first memor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consists of a control program, characteristic data, reproducing voice data, telephone number, an area for storing a guide message, and a spare area. Reference numeral ADD denotes an address appropriately occurring in each case in the
상기 특성데이터영역에는 각 기능모드(예: 도움말, 추가, 삭제, …)를 등록할 때 입력한 음성의 특성데이터들이 저장되어 있고, 상기 재생음성데이터영역에는 사용자가 각 기능모드를 음성으로 인식시킬 때 확인용으로 재생할 음성들이 예시한 바와 같이 저장되어 있으며, 이 저장은 상기 등록을 하는 단계에서 이미 이루어진 것이다.The characteristic data area stores characteristic data of a voice input when registering each function mode (eg, help, add, delete, ...), and the user can recognize each function mode as a voice in the playback voice data area. The voices to be played back for confirmation are stored as illustrated, and this storage has already been made in the registration step.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음성인식기능을 갖는 디지털 휴대용 전화기의 전체 동작 과정들을 나타낸 흐름도이다.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digital portable telephone having a voice recognition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사용자가 대기상태인 디지털 휴대용 전화기의 플립을 열면 마이크로프로세서 50은 110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120단계에서 음성인식모드로 진입한다. 그리고 130단계에서 소정 키 혹은 음성의 입력을 검사한다. 이때 소정 키 혹은 음성의 입력이 감지되지 않으면 140단계로 진행하여 소정 시간(예: 5초)이 경과되었는지 검사한다. 상기 검사 결과 해당 시간이 경과되지 않았으면 상기 130단계로 되돌아가고, 경과되었으면 상기 110단계로 되돌아간다.When the user opens the flip of the standby digital portable phone, the
상기 130단계에서 소정 키 혹은 음성의 입력을 감지한 경우 160단계에서 기능모드 음성등록을 위한 키인지 검사하여 기능모드음성등록키라고 판단되면 170단계로 진행하여 후술하는 도 4와 같이 기능모드 음성등록루틴을 실행한다. 반면에 기능모드음성등록키가 아니면 180단계에서 등록모드를 위한 키인지 검사하여 등록키라고 판단되면 190단계로 진행하여 등록루틴을 실행한다. 이 등록루틴은 이름을 등록하는 것을 일 예로 들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이름을 음성으로 등록하고 그 이름에 대응되게 전화번호를 저장해둠으로써 음성인식기능을 이용한 음성 다이얼링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In
상기 180단계에서 등록키가 아니면 200단계로 진행하여 인식루틴을 실행한 다음, 210단계에서 그 인식된 기능을 처리하는 루틴을 수행한다. 상기 인식 및 그 처리루틴의 예를 들면, 음성 다이얼링을 위해 사용자가 전화를 걸고 싶은 사람의 이름을 말하면 이 이름을 인식하고 대응되는 전화번호를 찾아 다이얼링을 하는 것이다.If it is not the registration key in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기능모드 음성등록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사용자가 등록할 기능모드에 해당하는 기능키, 예를 들어 'F1'키를 입력하면 마이크로프로세서 50은 310단계에서 이를 감지한다. 그리고 320단계에서 기능모드 음성등록 시작을 알리는 비프음을 발생하도록 비퍼를 제어한다. 이후 사용자가 마이크 30으로 소정의 기능모드를 말하면, 예를 들어 "도움말"이라고 말하면 해당하는 음성은 A/D변환부 20을 거쳐 PCM신호의 형태로 음성부호화기 45에 전달되고, 상기 음성부호화기 45는 상기 PCM신호를 부호화하여 패킷데이터를 발생한다. 마이크로프로세서 50은 330단계에서 상기 음성부호화기 45로부터 상기 패킷데이터가 수신되는지 검사함으로써 이러한 음성 입력을 인식하고, 340단계에서 그 입력 음성을 재생하도록 제어한다. 즉 해당 음성에 대응하는 재생음성데이터를 제1메모리 60로부터 읽어 음성부호화기 45로 전달한다. 이렇게 되면 상기 음성부호화기 45는 상기 재생음성데이터를 처리하여 D/A변환부 75로 전달하게 되고, 상기 D/A변환부 75는 이를 아날로그 형태로 변환하여 스피커 80을 통해 가청 상태("도움말")로 출력한다. 이어서 다시 350단계에서 사용자가 말하는 소정의 기능모드 관련 음성(본 가정에 따르면 "도움말")을 입력하고, 360단계에서 상기 두 입력 음성이 유사한지 여부를 검사한다. 이때 만일 유효하면 상기 기능키를 등록한다. 이렇게 되면, 사용자는 기존 도움말의 기능키인 'F1'을 입력하는 대신에 "도움말"이라고 말만하면 된다. 반면에 상기 두 음성이 전혀 무관한 것이라면 380단계에서 에러메시지를 출력하고 310단계로 되돌아간다.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function mode voice registra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user inputs a function key corresponding to a function mode to be registered, for example, an 'F1' key, the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기능모드 음성 인식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function mode speech recogni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사용자가 원하는 기능모드를 말하기에 앞서 대기상태인 디지털 휴대용 전화기의 플립을 열면 마이크로프로세서 50은 410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음성인식모드로 진입한다. 그리고 420단계에서 시작을 알리는 비프음을 발생하도록 비퍼를 제어한다. 이후 사용자가 원하는 기능모드를 말하면 430단계에서 이를 감지한다. 이때 기능모드의 음성 입력이 예를 들어 5초가 지나도록 없으면 전술한 도 3의 130단계 ∼ 150단계가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If the user opens the flip of the standby digital portable phone before speaking the desired function mode, the
예를 들어 사용자가 "도움말"이라고 말했다고 가정한다. 이 음성데이터는 음성부호화기 45로 전달될 것인 바, 마이크로프로세서 50은 상기 사용자의 음성 "도움말"에 대응하여 음성부호화기 45에서 패킷데이터가 전달되는지 검사한다. 상기 검사결과 전달되는 패킷데이터가 있으면 이를 음성인식부 85로 전달한다. 상기 음성인식부 85로부터 유사한 특성데이터 인덱스와 차이값이 입력되는지 검사한다. 상기 유사한 특성데이터 인덱스는 이미 등록되어 있는 특성데이터중 현재의 입력 음성과 유사한 특성데이터가 가지는 메모리내에서의 인덱스를 의미하며, 상기 차이값은 그 두 특성데이터의 차이에 해당하는 값이다. 유사한 특성데이터 인덱스와 차이값이 입력되면 상기 차이값이 미리 정한 임계치보다 작은지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판단결과 임계치보다 작으면 해당 인식이 올바른 것으로 판단하고 440단계로 진행하여 해당 특성데이터 인덱스에 대응하는 재생음성데이터를 제1메모리 60로부터 읽어 음성부호화기 45로 전달한다. 이렇게 되면 상기 음성부호화기 45는 상기 재생음성데이터를 처리하여 D/A변환부 75로 전달하게 되고, 상기 D/A변환부 75는 이를 아날로그 형태로 변환하여 스피커 80을 통해 가청 상태로 출력한다. 이어서 450단계로 진행하여 상기와 마찬가지로 제1메모리 60으로부터 원하는 기능인지 묻는 음성안내메시지(예: 원하는 기능입니까?)를 읽어 음성부호화기 45로 전달함으로써 사용자의 의사를 다시 한번 확인한다. 상기 음성안내메시지 대신에 표시기(액정표시장치)상에 문자를 나타내도 무방하다. 이에 응답하여 사용자가 마이크 30으로 "예"라고 음성으로 응답을 하게 되면 이 음성은 A/D변환부 20을 거쳐 PCM신호의 형태로 음성부호화기 45에 전달되고, 상기 음성부호화기 45는 상기 PCM신호를 부호화하여 패킷데이터를 발생한다. 공지의 방법대로 키에 의한 인식을 해도 된다. 단, 상기와 같이 모든 절차를 음성인식기능을 사용하여 실행시키고자 한다면, "예" 혹은 "아니오" 등과 같은 긍정 혹은 부정의 음성을 미리 등록시켜두어야 한다.For example, suppose the user said "help". This voice data will be delivered to the
460단계에서 마이크로프로세서 50은 사용자의 응답이 긍정 혹은 부정중 어느 것인지 검사한 결과, 긍정 응답을 감지한 경우 470단계에서 해당 기능 처리 루틴을 실행한다. 본 가정에 따르면, 표시기에 실제로 도움말이 표시된다. 만일 "도움말"이 아니라 특정 이름을 음성으로 입력했다면, 상기 해당 기능 처리 루틴은 그 이름에 대응되게 미리 저장해둔 전화번호를 찾아서 다이얼링 해주는 동작이 된다.In
반면에 상기 460단계에서 긍정 응답을 감지하지 못한 경우에는 480단계로 진행하여 제1메모리 60의 특성데이터영역에 등록된 기능모드들 중 그 다음 기능모드, 본 가정에 따르면 "추가"에 해당하는 재생음성데이터를 재생한다. 그리고 490단계에서 소정 횟수 이상 450단계∼480단계를 반복 수행했는지 검사하고, 소정 횟수 이상 반복한 것으로 판명되면 401단계로 되돌아간다.On the other hand, if the positive response is not detected in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 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Meanwhile,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pecific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but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but should be defined not only by the scope of the following claims, but also by the equivalents of the claims.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음성으로 기능모드를 인식시킬 수 있어 사용자는 일일이 키 조작을 하지 않아도 되므로 편리하고 운전이나 기타 다른 작업의 병행시 손이 자유로워 그만큼 위험인자를 줄이거나 작업 효율을 높이는 장점이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can recognize the function mode by voice, so that the user does not need to operate keys one by one, and the hand is free when driving or other tasks in parallel. There is this.
Claims (5)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970033961A KR100247009B1 (en) | 1997-07-21 | 1997-07-21 | Digital cellular telephone capable of recognizing a vioce and method for recognizing the voic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970033961A KR100247009B1 (en) | 1997-07-21 | 1997-07-21 | Digital cellular telephone capable of recognizing a vioce and method for recognizing the voic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9990011023A KR19990011023A (en) | 1999-02-18 |
KR100247009B1 true KR100247009B1 (en) | 2000-10-02 |
Family
ID=195151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970033961A Expired - Fee Related KR100247009B1 (en) | 1997-07-21 | 1997-07-21 | Digital cellular telephone capable of recognizing a vioce and method for recognizing the voic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247009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0015109A (en) * | 2001-08-13 | 2003-02-20 | 주식회사 로코스텍 | The multi-nozzle of solder ball attach equipment and the attach method of solder ball for BGA package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640345B1 (en) * | 1997-12-29 | 2007-01-31 | 삼성전자주식회사 | Voice guidance on the phone with voice recognition |
KR19990061548A (en) * | 1997-12-31 | 1999-07-26 | 서평원 | Communication method and apparatus of voice recognitio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KR100399883B1 (en) * | 1999-04-23 | 2003-09-29 | 이수성 | Voice cognition system for a cellular phone including voice cognition processor |
KR100345537B1 (en) * | 1999-07-27 | 2002-07-26 | 삼성전자 주식회사 | Transmitting/receiving voice and key tone level control method for cellular phone |
KR100339339B1 (en) * | 1999-10-28 | 2002-06-03 | 서평원 | Voice Recognition Function Operating Method in Telephone |
KR100617711B1 (en) * | 2004-06-25 | 2006-08-28 | 삼성전자주식회사 | Voice recognition driving method in mobile terminal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4864622A (en) * | 1986-10-31 | 1989-09-05 | Sanyo Electric Co., Ltd. | Voice recognizing telephone |
-
1997
- 1997-07-21 KR KR1019970033961A patent/KR100247009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4864622A (en) * | 1986-10-31 | 1989-09-05 | Sanyo Electric Co., Ltd. | Voice recognizing telephone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0015109A (en) * | 2001-08-13 | 2003-02-20 | 주식회사 로코스텍 | The multi-nozzle of solder ball attach equipment and the attach method of solder ball for BGA packag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9990011023A (en) | 1999-02-1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232873B1 (en) | Portable telephone with memory for voice recognition processing | |
KR100277105B1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rmining speech recognition data | |
KR100241901B1 (en) | How to manage registered entries for handset and handsfree common voice recognizer | |
JP2004248248A (en) | User-programmable voice dialing for mobile handset | |
KR100247009B1 (en) | Digital cellular telephone capable of recognizing a vioce and method for recognizing the voice | |
KR100264852B1 (en) | Apparatus for recognizing a voice in a digital cellular telephone and method thereof | |
JP2003152856A (en) | Communication terminal, communication method, and its program | |
KR100467593B1 (en) | Voice recognition key input wireless terminal, method for using voice in place of key input in wireless terminal, and recording medium therefore | |
KR100291002B1 (en) | Method for communication control regist ration and recognition by speech in digital hand phone | |
KR100251714B1 (en) | Apparatus for dialing and reprducing the registered voice in digital porable telephone having voice recognition function | |
KR100260752B1 (en) | Portable telephone being possible for voice registration and recognition every each group, and control method therefor | |
KR20000018942A (en) | Telephone book searching method in digital mobile phones recognizing voices | |
JPH09127975A (en) | Speaker recognition system and information control method | |
KR19990011026A (en) | Voice registration and deletion method of digital portable telephone with voice recognition | |
KR950009425B1 (en) | The phonetic dialing phone | |
JP2002290536A (en) | Method of registering telephone number at portable terminal | |
KR20010003647A (en) | Method for anouncing input telephon number in digital portable telephone | |
JPH0276353A (en) | Voice dialer | |
KR19990085916A (en) | Voice memo device and method of voice recognition phone | |
HK1035250B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voice registration entries of voice recognition apparatus for use in both handset and hands-free kit | |
JPH0235855A (en) | Mobile station device | |
JPH04347900A (en) | Telephone device | |
JPS63204854A (en) | How to register dialing information in a voice dialing devic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70721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70721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1999072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91027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9120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1999121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2112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3112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41123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51118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61117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71109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81107 Year of fee payment: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81107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