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246741B1 - 에스컬레이터및이동보도의핸드레일장력조절장치 - Google Patents

에스컬레이터및이동보도의핸드레일장력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46741B1
KR100246741B1 KR1019970041074A KR19970041074A KR100246741B1 KR 100246741 B1 KR100246741 B1 KR 100246741B1 KR 1019970041074 A KR1019970041074 A KR 1019970041074A KR 19970041074 A KR19970041074 A KR 19970041074A KR 100246741 B1 KR100246741 B1 KR 1002467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nsion
handrail
plate
fixing
fixed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410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17983A (ko
Inventor
이정우
Original Assignee
이종수
엘지산전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종수, 엘지산전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종수
Priority to KR10199700410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46741B1/ko
Publication of KR199900179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79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467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46741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3/00Component parts of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3/16Means allowing tensioning of the endless member
    • B66B23/20Means allowing tensioning of the endless member for handrails

Landscapes

  • Escalators And Moving Walkwa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에스컬레이터 및 이동보도 내에 설치된 핸드레일의 장력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한 자동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 종래의 핸드레일 장력조절장치는 정기적인 보수관리가 이루지는 기간(예컨데, 통상 1년) 사이의 점진적인 장력변화에는 대처하지 못하여 장력을 항상 일정하게 유지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던 바, 본 발명은 주변 환경 또는 장기간 사용 등의 원인에 의해 핸드레일이 변형되어 이완되는 경우에도 그 변형길이 만큼의 장력변화에 대처하여 상기 핸드레일을 적정한 장력상태로 유지시켜 주므로써 상기 핸드레일과 풀리 간에 미끄러짐 없이 동력이 정확히 전달되고, 핸드레일 및 스텝의 진행속도가 일치되어 탑승자의 안전성이 보장되며, 기기 전체 수명의 연장 및 보수관리의 편리성 등을 도모할 수 있도록 된 에스컬레이터 및 이동보도의 핸드레일 장력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에스컬레이터 및 이동보도의 핸드레일 장력조절장치{HANDRAIL TENSION ADJUSTER FOR ESCALATOR AND MOVING WALK}
본 발명은 에스컬레이터 및 이동보도 내에 설치된 핸드레일의 장력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한 자동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주변 환경 또는 장기간 사용 등의 원인에 의해 핸드레일이 변형되어 이완되는 경우에도 그 변형길이 만큼의 장력변화에 대처하여 상기 핸드레일을 적정한 장력상태로 유지시켜 주므로써 핸드레일풀리와 핸드레일 간에 미끄러짐 없이 동력이 정확히 전달되고, 핸드레일 및 스텝의 진행속도가 일치되어 탑승자의 안전성이 보장되며, 기기 전체 수명의 연장 및 보수관리의 편리성 등을 도모할 수 있도록 된 에스컬레이터 및 이동보도의 핸드레일 장력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에스컬레이터 및 이동보도(이하, 에스컬레이터로 총칭함)는 지하철, 백화점 및 오피스텔 등과 같이 사람의 출입이 잦은 중·대형 건물에 설치되어 단시간 내에 많은 사람을 이동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도 1에 도시한 바와같이, 기기 전체를 지지하기 위한 메인프레임(1)과, 승객을 보호하여 안내하기 위한 핸드레일유닛(10)과, 승객을 수용하여 이송하기 위한 스텝유닛(20)과, 상기 핸드레일유닛(10) 및 스텝유닛(20)을 구동시켜주기 위한 구동부(30)로 구성된다.
상기 스텝유닛(20)은 승객이 탑승하기 위한 발판이 되는 다수의 스텝(21)과, 이들 각 스텝(21)의 좌우양측 상,하부에 각각 결합된 스텝전륜롤러 및 스텝후륜롤러와, 이 스텝전륜롤러 및 스텝후륜롤러를 각각 안내해주는 상,하부가이드레일과, 각 스텝(21)에 연결되어 연속적으로 이송시켜주는 스텝체인(24)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구동부(30)는 구동원인 모우터(31)와, 이 모우터(31)의 회전속도를 조절하여주는 감속기(32)와, 이 감속기(32)의 축과 평행하게 설치되고 상기 스텝체인(24)이 결합되는 구동축(33)과, 상기 감속기(32)의 축으로부터 발생되는 구동력을 구동축(33)에 전달해주는 구동체인(34)과, 상기 구동축(33)에 고정되어 상기 구동체인(34)과 결합되는 구동스프라킷(35)과, 상기 구동축(33)에 고정되어 상기 스텝전륜롤러와 맞물리는 구동터미널기어(36)와, 상기 상,하부가이드레일에 연결되어 상기 스텝(21)의 곡부 통과시 그 스텝후륜롤러를 안내해주는 터미널레일(37)로 구성되어 있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40은 구동부(30)에 대응하는 종동부를 의미하며, 43은 종동축, 45는 종동스프라킷, 46은 종동터미널기어, 47은 종동부 터미널레일을 각각 나타낸 것이다.
상기 에스컬레이터는 상기 구동부(30)의 모우터(31)에 의해 발생되는 구동력이 감속기(32)로 전달되고, 이 감속기(32)에 의해 감속된 회전력은 그 축에 결합된 스프라킷과 구동체인(34) 및 구동스프라킷(35)을 통해 구동축(33)으로 전달되며, 이 구동축(33)이 회전함에 따라 구동터미널기어(36)가 스텝체인(24)의 스텝전륜롤러와 맞물려 회전하게 되면서 스텝(21)을 구동시켜 주게 되므로써, 상기 스텝(21)은 구동터미널기어(36)와 종동터미널기어(46) 사이를 순환하도록 되어 있다.
한편, 상기 핸드레일유닛(10)은 사람이 스텝(21) 위에 탑승한 후 안전하게 오르내릴 수 있도록 탑승자가 파지하게 되는 손잡이로서 그 구조는 도 2 내지 도 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정 궤도를 따라 오차없이 순환할 수 있도록 철심을 내장한 고무재의 핸드레일(11)과, 상기 구동터미널기어(36)와 함께 상기 구동축(33)에 결합되어 핸드레일(11)을 구동시켜주는 풀리(12)와, 상기 메인프레임(1)의 소정위치로부터 핸드레일(11)에 일정 압력을 가하여 장력을 조절하기 위한 장력조절장치(T) 및 상기 핸드레일(11)이 적정한 장력으로 원활히 순환될 수 있도록 지지하기 위한 복수개의 가이드롤러장치(R)로 각각 구성되고, 상기 핸드레일유닛(10)은 스텝(21)의 좌우 양단에 각각 설치되며, 탑승자의 안전을 고려해 볼 때 상기 핸드레일(11)은 그 진행속도가 상기 스텝(21)의 진행속도와 반드시 일치하여야만 한다.
상기 가이드롤러장치(R)는 메인프레임(1)에 고정되어 좌우로 체결구멍(152a)을 형성한 브래킷(152)과, 상기 브래킷(152)의 체결구멍(152a)에 각각 보울트(154)로 체결하여 고정할 수 있도록 된 롤러 설치판(153)과, 이 롤러 설치판(153)에 배열 고정된 지지롤러(150)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장력조절장치(T)는 메인프레임(1)에 입설되어 상하방향으로 다수의 장력조절구멍(162a)을 형성한 한쌍의 브래킷(162)과, 상기 양 브래킷(162)의 각각 대응하는 어느 한쌍의 장력조절구멍(162a)에 양단부를 각각 보울트(164)로 체결하여 고정할 수 있도록 된 롤러 설치판(163)과, 이 롤러 설치판(163)에 원호상으로 배열 고정된 복수개의 가압롤러(160)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장력조절구멍(162a)은 대략 200 내지 400mm 정도의 상하 위치이동이 가능하도록 배열되어 있다.
도면에 나타내지는 않았으나 상기 각 롤러(150)(160)의 중심부에는 원활한 회전을 위한 베어링이 각각 삽입 설치되어 있으며, 도면중 미설명 부호 153a 및 163a는 각 롤러 설치판(153)(163)의 좌우 양쪽에 수직 형성된 장공을 나타낸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핸드레일유닛(10)의 구성에 있어서, 상기 메인프레임(1)의 설치상의 오차와, 곡부 형성에 따른 핸드레일(11) 자체길이에 대한 산정오차가 발생하게 되는 등의 여러 가지 원인에 의하여 상기 핸드레일(11)은 초기 설치시에도 일정한 장력을 유지하기 위한 길이 보정이 불가피하다. 또한 설치 후 장기간 사용시에 핸드레일(11) 자체가 노후되거나, 온도 및 습도와 같은 기후조건과, 설치장소에 따른 직사광선의 영향 등, 환경적 원인에 의하여 상기 핸드레일(11)이 변형되어 이완될 수 있으므로 정기적으로 점검하여 그 변형된 길이 만큼의 장력변화에 대한 길이 보정을 실시하여야 한다.
상기 핸드레일(11)은 상기 구동터미널기어(36)가 스텝(21)을 회전시킴과 동시에 동일한 구동축(33) 상에 결합된 풀리(12)가 회전하면서 순환되며, 상기 핸드레일(11)의 순환 과정에서 설치 초기에 비해 장력이 부족한 경우에는 상기 장력조절장치(T)의 가압롤러(160)가 핸드레일(11)의 내측으로 일정 압력을 가할 수 있을 때까지 상기 롤러 설치판(163)을 이동하여 브래킷(162) 상에 보울트(164)로 고정하므로써 적정한 장력을 유지할 수 있게 되고, 상기 핸드레일(11)의 외측에서는 가이드롤러장치(R)의 지지롤러(150)가 핸드레일(11)을 받쳐 주게 되므로써 상기 핸드레일(11)의 원활한 작동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장력조절장치(T)에 의해 일정 장력을 유지하여 상기 핸드레일(11)과 풀리(12) 간의 미끄러짐을 방지하므로써 상기 핸드레일(11)이 스텝(21)의 진행과 같은 속도로 움직일 수 있게 되며, 상기의 각 롤러(150)(160)에 삽입 설치된 베어링들의 수명을 연장시켜 주어 파손에 의한 소음도 줄어들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핸드레일 장력조절장치(T)는 정기적인 보수관리가 이루지는 기간(예컨데, 통상 1년) 사이의 점진적인 장력변화에는 대처하지 못하여 장력을 항상 일정하게 유지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에스컬레이터의 설치 초기와 보수 초기에는 장력이 정상적으로 유지되지만, 시간이 흐를수록 핸드레일(11)의 장력이 점진적으로 약해져 상기 핸드레일(11)과 풀리(12) 간의 마찰력이 저하되므로써 동력 전달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게 되고, 따라서 핸드레일(11)과 스텝(또는 팰리트) 간에 속도 차이가 발생하여 승객의 안전성에 문제가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문제점은 특히 에스컬레이터가 옥외형이거나, 또는 자체길이가 긴 경우에 더욱 심화되어 나타나게 된다.
이점을 감안하여 설치 초기와 보수시 필요 이상으로 핸드레일(11)의 장력을 설정하므로써 상기 핸드레일(11) 자체의 수명을 단축시키게 되고, 이는 보수관리에 따른 시간적 경제적 손실과 함께 시스템 운영상의 큰 문제점이 아닐 수 없었다.
또한, 핸드레일(11)을 지지해주는 상기 가이드롤러장치(R)에 있어서는 상기의 핸드레일(11)이 점진적으로 처짐에 따라 지지롤러(150) 내의 베어링에 설계값 이상의 하중이 부하되므로써 상기 각 베어링의 수명이 단축되고, 결국 베어링의 마모에 의한 소음이 발생된다는 또 다른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이와 같은 여러 가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핸드레일의 장력 상태에 따라 적정한 압력으로 핸드레일을 가압하여 일정한 장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자체 조절되는 에스컬레이터 및 이동보도의 핸드레일 장력조절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각각의 핸드레일 지지롤러에 삽입 설치된 베어링에 항상 일정 하중이 부하되도록 하므로써 베어링의 수명을 연장함과 아울러, 베어링의 마모에 따른 소음을 제거하기 위한 에스컬레이터 및 이동보도의 핸드레일 장력조절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자체적으로 일정 장력을 유지하여 에스컬레이터의 정기적인 보수처리 기간을 장기화하므로써 잦은 보수관리시에 발생하는 인력과 소요시간 및 경제적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는 에스컬레이터 및 이동보도의 핸드레일 장력조절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에스컬레이터의 내외부 구조를 나타낸 부분절개 사시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핸드레일의 주변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에스컬레이터의 측면도,
도 3a 및 도 3b는 종래 기술에 따른 핸드레일 장력조절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정면도 및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핸드레일 장력조절장치의 장착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도 5a와 도 5b 및 도 5c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핸드레일 장력조절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정면도와 평면도 및 측면도,
도 6a와 도 6b 및 도 6c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핸드레일 장력조절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정면도와 평면도 및 확대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R ; 가이드롤러장치 T ; 장력조절장치
1 ; 메인프레임 10 ; 핸드레일유닛
11 ; 핸드레일 12 ; 풀리
20 ; 스텝유닛 21 ; 스텝
24 ; 스텝체인 30 ; 구동부
31 ; 모우터 32 ; 감속기
33 ; 구동축 34 ; 구동체인
35 ; 구동스프라킷 36 ; 구동터미널기어
37 ; 터미널레일 40 ; 종동부
43 ; 종동축 45 ; 종동스프라킷
46 ; 종동터미널기어 47 ; 종동부 터미널레일
50 ; 지지롤러 52, 62 ; 브래킷
53, 63 ; 롤러 설치판 60 ; 가압롤러
60a ; 상부 가압롤러 60b ; 하부 가압롤러
61 ; 베어링 62b, 66f, 67b ; 보울트 체결구멍
63a, 66e ; 장공 63b ; 롤러고정 보울트
64 ; 보울트 65 ; 텐션스프링
65a, 66a, 68a ; 스프링시트 66 ; 고정판
66b ; 초기장력조절 보울트 66c ; 연결봉
66d ; 스프링장력조절 보울트 67 ; 고정브래킷
68 ; 가압판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메인프레임 상에 설치되는 복수개의 브래킷과, 상기 브래킷에 적정 간격을 두고 고정 설치되고 상하방향으로 장공을 형성한 고정판과, 상기 브래킷 및 고정판을 임의의 간격으로 조절하여 상호 고정 체결하기 위한 복수개의 초기장력조절 보울트와, 핸드레일의 양쪽면에 접촉되는 복수개의 상,하부 가압롤러와, 상기 상,하부 가압롤러를 고정하기 위한 롤러 설치판과, 상기 고정판 및 그 상부에 위치한 롤러 설치판을 상호 연결하기 위한 연결봉과, 상기 연결봉에 삽입되어 고정판 및 롤러설치판 사이를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텐션스프링과, 상기 텐션스프링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연결봉에 나사결합되는 스프링장력조절 보울트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에스컬레이터 및 이동보도의 핸드레일 장력조절장치가 제공된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4 내지 도 5c는 본 발명에 따른 에스컬레이터 및 이동보도의 핸드레일 장력조절장치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고, 도 6a 내지 도 6c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도 4는 일실시예에 따른 핸드레일 장력조절장치의 장착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도 5a와 도 5b 및 도 5c는 상기 실시예에 따른 핸드레일 장력조절장치의 정면도와 평면도 및 측면도, 도 6a와 도 6b 및 도 6c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핸드레일 장력조절장치의 정면도와 평면도 및 확대도를 각각 나타낸 것이며, 상기 각 실시예에 있어서 동일 기능을 갖는 각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핸드레일유닛(10)은 도 2에 도시된 종래의 에스컬레이터에서와 같이, 일정 궤도를 따라 오차없이 순환할 수 있도록 철심을 내장한 고무재의 핸드레일(11)과, 상기 구동터미널기어(36)와 함께 상기 구동축(33)에 결합되어 핸드레일(11)을 구동시켜주는 풀리(12)와, 상기 메인프레임(1)의 소정위치로부터 핸드레일(11)에 일정 압력을 가하여 장력을 조절하기 위한 장력조절장치(T) 및 상기 핸드레일(11)이 적정한 장력으로 원활히 순환될 수 있도록 지지하기 위한 복수개의 가이드롤러장치(R)로 각각 구성되며, 상기 핸드레일(11)은 상기 구동터미널기어(36)가 스텝(21)을 회전시킴과 동시에 동일한 구동축(33) 상에 결합된 풀리(12)가 회전하면서 순환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가이드롤러장치(R)도 종래의 구조와 같이, 메인프레임(1)에 고정되는 브래킷(52)과, 상기 브래킷(52)에 각각 보울트로 체결하여 고정할 수 있도록 된 롤러 설치판(53)과, 이 롤러 설치판(53)에 배열 고정된 지지롤러(50)로 구성되며, 상기 가이드롤러장치(R)는 상기 장력조절장치(T)의 양단부에 위치하여 이 장력조절장치(T)의 가압에 반대되는 방향으로 상기 지지롤러(50)가 핸드레일(11)을 받쳐 주게 되므로써 상기 핸드레일(11)의 원활한 작동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에스컬레이터 및 이동보도에 장착된 핸드레일 장력조절장치(T)의 기본 구성은 메인프레임 (1)상에 설치되는 복수의 브래킷(52)(62)과, 상기 브래킷(52)(62)의 각 선단에 다수개씩 배치되어 핸드레일(11)을 사이에 두고 그 양쪽면에서 상호 교호되는 지지롤러(50) 및 가압롤러(60)와, 이 들중 어느 한쪽에 위치한 가압롤러(60)들을 고정하기 위한 롤러 설치판(63)을 별도로 구비하여 그 해당 브래킷(62)으로부터 상하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이 롤러 설치판(63)을 탄력적으로 지지하여 상기 핸드레일(11)의 장력변화에 따라 일정량의 장력이 보상될 수 있도록 고정된 텐션스프링(65)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의 구성을 구체화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장력조절장치(T)는 도 4 내지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프레임(1) 상에 설치되는 브래킷(62)과, 이 브래킷(62)에 적정 간격을 두고 고정 설치되고 상하방향으로 장공(66e)을 형성한 고정판(66)과, 상기 브래킷(62) 및 고정판(66)을 임의 간격으로 조절하여 상호 고정 체결하기 위한 복수개의 초기장력조절 보울트(66b)와, 상기 장공(66e)에 삽입 고정되는 보울트(64)와, 핸드레일(11)의 양쪽면에 접촉되는 복수개의 상,하부 가압롤러(60a) (60b)와, 이 상,하부 가압롤러(60a)(60b)를 고정하기 위한 롤러 설치판(63)과, 상기 고정판(66) 및 그 상부에 위치한 롤러설치판(63)을 상호 연결하기 위한 연결봉(66c)과, 이 연결봉(66c)에 삽입되어 상기 고정판(66) 및 롤러 설치판(63) 사이를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텐션스프링(65)과, 이 텐션스프링(65)을 안착시켜주는 스프링시트(65a)(66a)와, 상기 텐션스프링(65)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연결봉(66c)에 나사결합되는 스프링장력조절 보울트(66d)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롤러 설치판(63)에는 상기 상,하부 가압롤러(60a)(60b)의 축이 되는 롤러고정 보울트(63b)가 체결되고, 이 롤러고정 보울트(63b)와 가압롤러(60)사이에는 원활한 회전을 위한 베어링(61)이 각각 삽입 설치되며, 상기 상부 가압롤러(60a)의 롤러고정 보울트(63b)가 체결되는 상기 롤러 설치판(63)에는 핸드레일(11)을 삽입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하기 위한 장공(63a)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일실시예에 따른 장력조절장치(T)는 롤러 설치판(63) 상부의 롤러고정 보울트(63b)를 느슨하게 풀고, 장공(63a)을 따라 들어 올려 상,하부 가압롤러(60a)(60b) 사이를 넓힌 후, 그 사이에 핸드레일(11)을 설치하며, 삽입된 핸드레일(11)의 양쪽면에 상기 가압롤러(60)를 밀착시켜 고정한다. 그 다음에는 상기 핸드레일(11)이 일정 장력을 유지할 수 있을 때까지 고정판(66)을 상방향으로 밀어올려 초기장력조절 보울트(66b) 및 보울트(64)를 체결 고정하고, 설치 후에 발생하는 미세한 장력 오차는 스프링장력조절 보울트(66d)를 조작하여 상기 텐션스프링(65)의 탄성을 적절히 가감 조절하므로써 일정 장력을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장력조절장치(T)를 적용하는 경우에는, 상기 가이드롤러장치(R)가 핸드레일(11)의 내측면으로부터 외측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배치하면 되며, 장기간 사용하였을 때에도 텐션스프링(65)의 가압력이 항상 핸드레일(11)에 작용하게 되어, 상기 핸드레일(11)이 다소 늘어나게 되더라도 그 변형량 만큼의 탄성이 지속적으로 작용하여 보상이 이루어지므로써, 잦은 정기 점검없이 일정한 장력을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다만, 본 발명의 장력조절장치(T)는 상기한 바와 같은 조작 과정에 의거하여 간헐적인 점검만 수행하면 된다.
한편, 도 6a 내지 도 6b는 상기의 장력조절장치(T)와는 다른 또 하나의 구성을 제시하고 있다.
즉,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장력조절장치(T)는 메인프레임(1) 상에 설치되어 상하방향으로 복수개의 보울트 체결구멍(62b)을 형성한 좌우 한쌍의 브래킷(62) 및 그 사이에 입설된 고정브래킷(67)과, 이 고정브래킷(67)의 보울트 체결구멍(67b)에 고정되는 고정판(66)과, 이 고정판(66)의 하부에 이격되어 배치된 가압판(68)과, 상기 고정판(66) 및 가압판(68) 사이에 설치된 텐션스프링(65)과, 고정판(66) 및 가압판(68)을 연결함과 아울러 상기 텐션스프링(65)의 장력을 조절하기 위한 스프링장력조절 보울트(66d)와, 상기 고정판(66)의 하단부에 고정되고 그 양단부에는 양 브래킷(62)의 대응하는 보울트 체결구멍(62b)과 중첩되는 상하이동 안내용의 장공(63a)이 수직 형성된 롤러 설치판(63)과, 이 롤러 설치판(63)에 원호상으로 배열 고정된 복수개의 가압롤러(60)로 구성된 것이다.
상기 스프링장력조절 보울트(66d)의 상,하단부에는 상기 텐션스프링(65)을 안착시켜주기 위한 스프링시트(66a)(68a)가 상기 고정판(66) 및 가압판(68)에 각각 고정되어 있다.
상기 가압롤러(60)는 일정 곡률을 갖는 원호상으로 배치 고정하므로써 하중을 고루 분산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장력조절장치(T)에 있어서 상기 핸드레일(11)을 적정 장력으로 설치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핸드레일(11)의 내측면에 가압롤러(60)가 밀접할 수 있도록 배치한 후, 상기 핸드레일(11)이 필요한 장력을 유지할 수 있는 정도로 상기 브래킷(62) 및 고정브래킷(67)에 형성된 대응하는 각 해당 보울트 체결구멍(62b)(67b)에 상기 롤러 설치판(63)의 장공(63a) 및 고정판(66)의 보울트 체결구멍(66f)을 일치시켜 보울트(64)로 체결하게 되며, 이러한 설치과정을 통해 메인프레임(1)의 오차 및 핸드레일(11) 자체의 산정오차 등을 보상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미세한 장력 오차는 스프링장력조절 보울트(66d)를 조작하여 상기 텐션스프링(65)의 탄성을 적절히 가감 조절하므로써 일정 장력을 유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설치공정에 의해 상기 텐션스프링(65)은 고정판(66)을 지지점으로 하여 가압판(68)에 탄성력을 가하게 되고, 보울트 체결구멍(62b)에 체결된 보울트(64)를 고정 기준점으로 하여 상기 롤러 설치판(63)의 장공(63a)이 그 형성방향을 따라 슬라이딩되면서 상기 텐션스프링(65)의 가압에 의한 가압롤러(60)의 이동을 안내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장력조절장치(T)를 적용하는 경우에는, 상기 가이드롤러장치(R)가 핸드레일(11)의 외측면으로부터 내측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배치하면 되며, 장기간 사용하였을 때에도 텐션스프링(65)의 가압력이 항상 핸드레일(11)에 작용하게 되어, 상기 핸드레일(11)이 다소 늘어나게 되더라도 그 변형량 만큼의 탄성이 지속적으로 작용하여 보상이 이루어지므로써, 잦은 정기 점검없이 일정한 장력을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및 작용에 의해 기대할 수 있는 본 발명의 효과는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에스컬레이터 및 이동보도의 핸드레일 장력조절장치는 탄성을 갖는 텐션스프링(65)이 구비되어 있어 장력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으므로 핸드레일(11)의 노후화, 온도 및 습도와 같은 기후조건 및 설치장소에 따른 직사광선의 영향 등에 의한 핸드레일(11)의 늘어짐을 자체적으로 보상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정기적인 점검시 마다 핸드레일(11)의 장력조절을 하지 않아도 되므로 인력의 낭비를 막을 수 있어 원가절감이 가능하고, 핸드레일(11)이 항상 적정한 장력을 유지하며 순환되므로 자체의 수명이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핸드레일(11)에 일정 장력이 유지되므로써 각 곡부 및 가이드롤러장치(R) 등에 장착된 롤러(50)(60) 내부의 베어링에도 과도한 부하가 걸리지 않게 되어 상기 베어링의 수명이 연장됨은 물론, 상기 베어링의 마모 및 파손에 의한 소음도 현저히 줄일 수 있게 된다.
따라서, 핸드레일(11)과 이 핸드레일(11)을 구동시켜주는 풀리(12)의 접촉면 간에는 미끄러짐 없이 구동력이 전달되므로써 핸드레일(11)과 스텝(21)이 동일한 속도로 회전되어 탑승객의 안전성을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메인프레임 상에 설치되는 복수개의 브래킷과, 상기 브래킷에 적정 간격을 두고 고정 설치되고 상하방향으로 장공을 형성한 고정판과, 상기 브래킷 및 고정판을 임의의 간격으로 조절하여 상호 고정 체결하기 위한 복수개의 초기장력조절 보울트와, 핸드레일의 양쪽면에 접촉되는 복수개의 상,하부 가압롤러와, 상기 상,하부 가압롤러를 고정하기 위한 롤러 설치판과, 상기 고정판 및 그 상부에 위치한 롤러 설치판을 상호 연결하기 위한 연결봉과, 상기 연결봉에 삽입되어 고정판 및 롤러설치판 사이를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텐션스프링과, 상기 텐션스프링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연결봉에 나사결합되는 스프링장력조절 보울트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에스컬레이터 및 이동보도의 핸드레일 장력조절장치.
  2. 메인프레임 상에 설치되어 상하방향으로 복수개의 보울트 체결구멍을 형성한 좌우 한쌍의 브래킷 및 그 사이에 설치되는 고정브래킷과, 상기 고정브래킷의 보울트 체결구멍에 고정되는 고정판과, 상기 고정판의 하부에 이격되어 배치된 가압판과, 상기 고정판 및 가압판 사이에 설치된 텐션스프링과, 상기 고정판 및 가압판을 연결함과 아울러 텐션스프링의 장력을 조절하기 위한 스프링장력조절 보울트와, 상기 고정판의 하단부에 고정되고 그 양단부에는 양 브래킷의 대응하는 보울트 체결구멍과 중첩되는 상하이동 안내용의 장공이 수직 형성된 롤러 설치판과, 상기 롤러 설치판에 원호상으로 배열 고정된 복수개의 가압롤러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에스컬레이터 및 이동보도의 핸드레일 장력조절장치.
KR1019970041074A 1997-08-26 1997-08-26 에스컬레이터및이동보도의핸드레일장력조절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1002467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41074A KR100246741B1 (ko) 1997-08-26 1997-08-26 에스컬레이터및이동보도의핸드레일장력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41074A KR100246741B1 (ko) 1997-08-26 1997-08-26 에스컬레이터및이동보도의핸드레일장력조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7983A KR19990017983A (ko) 1999-03-15
KR100246741B1 true KR100246741B1 (ko) 2000-04-01

Family

ID=195186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41074A Expired - Fee Related KR100246741B1 (ko) 1997-08-26 1997-08-26 에스컬레이터및이동보도의핸드레일장력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4674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7810B1 (ko) * 2000-10-04 2010-01-20 오티스 엘리베이터 컴파니 승객 이송기 시스템 및 승객 이송기의 핸드레일의 길이를자동 조절하는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19941B1 (ko) * 1999-06-08 2002-01-09 장병우 승객수송시스템의 핸드레일 장력조절장치
CN108930373B (zh) * 2018-09-30 2024-08-27 上海电力学院 一种楼梯扶手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7810B1 (ko) * 2000-10-04 2010-01-20 오티스 엘리베이터 컴파니 승객 이송기 시스템 및 승객 이송기의 핸드레일의 길이를자동 조절하는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7983A (ko) 1999-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45698B1 (en) Simplified roller guide
US7731009B2 (en) Arrangement in the drive machinery of a travelator, method for changing the drive belt of the handrail belt of the handrail of a travelator, and support element of the handrail belt of the handrail of a travelator
JPH05208789A (ja) 手摺り駆動装置
KR100246741B1 (ko) 에스컬레이터및이동보도의핸드레일장력조절장치
CA1218026A (en) Transportation apparatus having a moving handrail
EP0580425B1 (en) Tension adjusting device for escalator or moving walkway handrails
EP0647585A1 (en) Escalator step chain support apparatus
US3926296A (en) Passenger conveyor system
US6460679B1 (en) Automatically adjusting escalator handrail system
KR100257308B1 (ko) 이동보도의 스텝체인롤러 이상소음 방지장치
JP7547787B2 (ja) 乗客コンベア
KR100686661B1 (ko) 에스컬레이터 및 이동보도의 곡률 조절 가능한 핸드레일길이보상장치
KR100341347B1 (ko) 에스컬레이터의 스텝체인 주행 조정장치
JPS6143820Y2 (ko)
KR200152579Y1 (ko) 에스컬레이터 및 이동보도용 핸드레일 구동체인의장력조절장치
EP4375226B1 (en) An automatic transport device with a first and a second tensioning device
KR200178816Y1 (ko) 에스컬레이터의 스텝 주행장치
JP2004155558A (ja) 乗客コンベアの移動手摺り駆動装置および移動手摺り駆動装置の調整方法
JP4322374B2 (ja) マンコンベアのガイドレール支持装置
KR19990050208A (ko) 이동보도의 핸드레일 텐션장치
KR100358495B1 (ko) 이동보도의 레일길이 보상장치
KR19990050207A (ko) 이동보도의 종동 스프로킷 휠의 텐션장치
KR100319941B1 (ko) 승객수송시스템의 핸드레일 장력조절장치
KR100375067B1 (ko) 승객 수송장비의 진동 저감장치
JPS6218615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70826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70826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199905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91106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9120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1999120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2091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3092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924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0924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