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46477B1 - Handsfree device with wireless earset - Google Patents
Handsfree device with wireless earset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246477B1 KR100246477B1 KR1019970031782A KR19970031782A KR100246477B1 KR 100246477 B1 KR100246477 B1 KR 100246477B1 KR 1019970031782 A KR1019970031782 A KR 1019970031782A KR 19970031782 A KR19970031782 A KR 19970031782A KR 100246477 B1 KR100246477 B1 KR 10024647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ands
- vehicle
- signal
- output amplifier
- free devic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 H04M1/6033—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for providing handsfree use or a loudspeaker mode in telephone sets
- H04M1/6041—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 H04M1/6058—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involving the use of a headset accessory device connected to the portable telephone
- H04M1/6066—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involving the use of a headset accessory device connected to the portable telephone including a wireless connection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77—Arrangements for enabling portable transceivers to be used in a fixed position, e.g. cradles or booster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 H04M1/6033—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for providing handsfree use or a loudspeaker mode in telephone sets
- H04M1/6041—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 H04M1/6075—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adapted for handsfree use in a vehicle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에서 휴대폰이나 휴대 정보 단말기를 사용하여 발신, 착신, 통화 등을 행할 때 손을 사용치 않도록 해주는 무선 이어세트를 사용한 핸즈프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ands-free device using a wireless ear set that prevents hands from being used when making a call, receiving a call, or making a call using a mobile phone or a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in a vehicle.
본 발명의 핸즈프리 장치는 차량내에 부착되는 유도코일, 및 상기 입출력 증폭기를 유도코일에 접속하기 위한 멀티플렉서를 포함하는 모국장치와; 모국장치에 무선으로 접속되는 이어세트 또는 모국장치와 함께 사용하기 위한 리모콘을 구비한다.A hands fre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mother station apparatus including an induction coil attached to a vehicle, and a multiplexer for connecting the input / output amplifier to the induction coil; And a remote control for use with an ear set or a mother station connected wirelessly to the mother station.
본 발명에 의하면, 하울링 현상을 방지함은 물론 착발신 처리가 간편하여 사용자가 차량의 운전시 안전운전에 방해받지 않게 된다. 또한 스피커 소리로 인해 동승자가 방해받지 않고 비밀 유지가 가능해지며, 저렴한 비용으로 핸즈프리 장치가 제공될 수 있도록 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well as preventing the howling phenomenon, the incoming and outgoing processing is easy so that the user is not disturbed in the safe driving of the vehicle. The sound of the speakers also keeps passengers undisturbed and allows hands-free devices to be provided at low cost.
Description
본 발명은 차량에서 휴대 전화기나 휴대 정보 단말기(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를 사용하여 발신, 착신, 통화 등을 행할 때 손을 사용치 않도록 해주는 핸즈프리(Hand-free)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무선 이어세트(Ear Set)를 사용하는 핸즈프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ands-free device that prevents hands from being used when making a call, receiving a call, or making a call using a cellular phone or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in a vehicle, and in particular, a wireless ear A hands-free device using an Ear Set.
최근들어, 휴대폰의 보급이 급격히 증가됨에 따라 차량에서 휴대폰을 사용하는 경우 또한 매우 많아지게 되었다. 이와 더불어 휴대 정보 단말기 관련 제품의 개발이 활발해지면서 이동중 전화를 사용하는 경우가 더욱 많아지고 있다. 차량으로 이동중에 운전자가 이러한 휴대폰을 사용하여 전화를 걸거나 휴대 정보 단말기를 사용하고자 할 경우 안전 운전에 장애가 되지 않도록 이들 휴대폰이나 휴대 정보 단말기에는 핸즈프리 기능이 제공되고 있는 추세이다.In recent years, as the popularity of mobile phones has increased rapidly, the use of mobile phones in vehicles has also increased. In addition, as the development of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related products has become more active, more and more people use mobile phones. When a driver makes a phone call or uses a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while traveling to a vehicle, the hands-free function is provided in these mobile phones or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s so as not to interfere with safe driving.
제1도는 이러한 종래 기술에 따른 핸즈프리 기능의 한 예를 나타낸 것이다. 제1도를 살펴보면, 상대방으로부터 걸려온 전화를 받아 통화를 할 경우 사용자의 말소리는 차량에 부착되어 있는 마이크(10)를 통해 입력되어 마이크용 입력증폭기(16)에 의해 증폭된 다음 차량에 설치된 접속장치(12)로 입력되어 상대방에게 전달된다. 반대로 상대방의 말소리는 접속장치(12), 스피커 구동을 위한 출력 증폭기(14) 및 차량에 설치된 스피커(18)를 차례로 통과하여 사용자에게 전달된다. 이 예에서는, 스피커(18)로부터 발생된 소리가 마이크(10)로 직접 유입되므로 이른바 하울링(hawling) 현상이 발생될 소지가 있다. 따라서 이러한 하울링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장치가 추가되어 설비비용의 상승이 초래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차량의 소음 등으로 인해 전화 당사자간에 의사 소통에 지장이 있을 뿐더러 동승한 사람에게 방해가 되며 비밀 유지도 어렵게 된다. 더우기 착신 및 발신 처리를 위해 휴대폰이나 휴대 정보 단말기의 자판을 직접 접촉하여야 하므로 운전시 위험을 초래할 수 있다.1 shows an example of such a hands-free function according to the prior art. Referring to FIG. 1, when a call is received from a counterpart, the user's speech is input through the
제2도는 종래 기술에 따른 핸즈프리 기능의 다른 예를 나타낸다. 이 예에서는 유선 이어세트를 사용하고 있다. 제1도의 경우와 유사하지만 사용자의 귀와 입에 근접한 이어세트의 이어폰(22) 및 마이크(24)를 사용하는 점이 다르다. 이예의 경우 제1도에 도시한 바의 예에서 발생되는 상술한 문제점이 다소 해소되기는 하나 이어세트를 연결하는 신호선이 운전자의 움직임에 방해가 될뿐더러 이어세트를 벗는 것이 매우 번거롭기 때문에 사용을 꺼리게 된다. 또한 착신 및 발신의 경우 제1도의 예와 동일한 위험이 초래될 수 있다.2 shows another example of a hands free function according to the prior art. This example uses a wired earset. Similar to the case of FIG. 1, except that the
이러한 이유로 첫째, 안전 운전에 방해가 되지 않고 둘째, 착신 및 발신 처리가 용이하며 셋째, 동승한 사람에게 방해를 주지않으며 비밀 유지가 가능하고 넷째 저렴한 비용으로 구현될 수 있는 새로운 핸즈프리 장치에 대한 요구가 점증되고 있다.For this reason, firstly, there is a need for a new hands-free device that does not interfere with safe driving, secondly, is easy to handle incoming and outgoing calls, thirdly, does not disturb passengers, can be kept secret, and can be implemented at low cost. It is increasing.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바의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하울링 현상을 방지함과 아울러 착발신 처리가 용이하여 안전운전에 방해가 되지 않는 핸즈프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hands-free device that prevents howling phenomenon and facilitates incoming / outgoing processing and does not interfere with safe driving.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외부로 통화내용이 새나가지 않아 동승자에게 불쾌감을 주지않고 또 비밀 유지가 가능한 무선 이어세트를 사용한 핸즈프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hands-free device using a wireless earset which does not leak out to the outside and does not cause discomfort to the passenger and can be kept secret.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단순한 전화 기능 이외에 휴대 정보 단말기의 사용시 필요로 하는 여러가지 복합 기능을 차량내에서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핸즈프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It is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hands-free device for easily carrying out various complex functions required in using a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in a vehicle in addition to a simple telephone function.
제1도는 종래의 핸즈프리 장치의 구성의 일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1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n example of the configuration of a conventional hands-free device.
제2도는 종래의 핸즈프리 장치의 구성의 다른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2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nother example of the configuration of a conventional hands-free device.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핸즈프리 장치 중 모국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3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mother station apparatus among hands free apparatus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제4도는 본 발명에 따른 핸즈프리 장치에서의 이어세트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4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n ear set configuration in a hands-fre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제5도는 본 발명에 따른 핸즈프리 장치에 사용하기 위한 리모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5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remote controller for use in a hands-fre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30 : 휴대폰 12,32 : 접속장치10,30
14,34 : 출력증폭기 16,36 : 입력증폭기14,34:
18 : 스피커 20 : 마이크18: speaker 20: microphone
38 : 멀티플렉서 40 : 유도코일38: multiplexer 40: induction coil
50 : 이어세트 52 : 수신코일50: ear set 52: receiving coil
54 : 송신코일 56 : 입력증폭기54: Transmission coil 56: Input amplifier
58 : 출력증폭기 60 : 이어폰58: output amplifier 60: earphone
62 : 마이크 70 : 리모콘62: microphone 70: remote control
72 : 송신코일 74 : 출력증폭기72: transmitting coil 74: output amplifier
76 : 신호발생기 78 : 키패드76: signal generator 78: keypad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한 특징에 의하면, 차량에 의한 이동중에 착발신시 사용자로 하여금 손을 사용치 않도록 해주는 휴대폰용 핸즈프리 장치는 전화 통화를 위한 휴대폰, 상기 차량에 설치되어 상기 휴대폰과의 접속을 위한 접속장치, 상기 접속장치에 연결되어 신호의 송수신을 지원하기 위한 출력 증폭기 및 입력 증폭기, 상기 차량내에 부착되는 유도코일, 및 상기 입출력 증폭기를 유도코일에 접속하기 위한 멀티플렉서를 포함하는 모국장치와; 상기 모국장치에 무선으로 접속되는 이어세트를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이어세트는 수신코일 및 송신코일과, 이 수신코일 및 송신코일에 각각 접속되는 입력증폭기 및 출력증폭기와, 입력증폭기에 접속된 이어폰과, 출력증폭기에 접속된 마이크를 구비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hands-free device for a mobile phone that allows a user to not use his / her hand when making an incoming / outgoing call while moving by a vehicle is a mobile phone for a telephone call, installed in the vehicle and the mobile phone; A mother station including a connection device for connection of a signal, an output amplifier and an input amplifier connected to the connection device to support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a signal, an induction coil attached to the vehicle, and a multiplexer for connecting the input / output amplifier to an induction coil. An apparatus; And an ear set wirelessly connected to the mother station apparatus. The ear set includes a receiving coil and a transmitting coil, an input amplifier and an output amplifier connected to the receiving coil and the transmitting coil, respectively, an earphone connected to the input amplifier, and a microphone connected to the output amplifier.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휴대폰용 핸즈프리 장치는 전화통화를 위한 휴대폰, 상기 차량에 설치되어 상기 휴대폰과의 접속을 위한 접속장치, 상기 접속장치에 연결되어 신호의 송수신을 지원하기 위한 출력 증폭기 및 입력 증폭기, 상기 차량내에 부착되는 유도코일, 및 상기 입출력 증폭기를 유도코일에 접속하기 위한 멀티플렉서를 포함하는 모국장치와; 상기 모국장치와 함께 사용하기 위한 리모콘을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리모콘은 키패드, 키패트에 연결되어 키패드의 위치값에 따라 일정한 신호를 생성해 내는 신호발생기, 상기 신호를 증폭하기 위한 출력증폭기 및 신호를 모국장치로 송신하기 위한 송신코일을 구비한다.According to another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ands-free device for a mobile phone is a mobile phone for a telephone call, a connection device installed in the vehicle for connection with the mobile phone, and an output amplifier connected to the connection device to support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signals. And a mother station apparatus including an input amplifier, an induction coil attached to the vehicle, and a multiplexer for connecting the input / output amplifier to the induction coil; It is provided with a remote controller for use with the mother station apparatus. The remote controller includes a keypad, a signal generator connected to a keypad to generate a constant signal according to the position value of the keypad, an output amplifier for amplifying the signal, and a transmission coil for transmitting the signal to the mother station.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차량에 의한 이동중에 사용할 경우 사용자로 하여금 손을 사용치 않도록 해주는 휴대 정보 단말기용 핸즈프리 장치는 휴대 정보 단말기, 상기 차량에 설치되어 상기 휴대 정보 단말기와의 접속을 위한 접속장치, 상기 접속장치에 연결되어 신호의 송수신을 지원하기 위한 출력 증폭기 및 입력 증폭기, 상기 차량내에 부착되는 유도코일, 및 상기 입출력 증폭기를 유도코일에 접속하기 위한 멀티플렉서를 포함하는 모국장치와; 상기 모국장치에 무선으로 접속되는 이어세트를 구비한다. 상기 이어세트는 수신코일 및 송신코일과, 이 수신코일 및 송신코일에 각각 접속되는 입력증폭기 및 출력증폭기와, 입력증폭기에 접속된 이어폰과, 출력증폭기에 접속된 마이크를 구비한다.According to still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hands-free device for a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that prevents a user from using his or her hand when using it while moving by a vehicle is a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which is installed in the vehicle for connection with the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A mother device comprising a connection device, an output amplifier and an input amplifier connected to the connection device to support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signals, an induction coil attached to the vehicle, and a multiplexer for connecting the input / output amplifier to the induction coil; And an ear set wirelessly connected to the mother station apparatus. The ear set includes a receiving coil and a transmitting coil, an input amplifier and an output amplifier connected to the receiving coil and the transmitting coil, respectively, an earphone connected to the input amplifier, and a microphone connected to the output amplifier.
본 발명의 또다른 특징에 의하면, 휴대 정보 단말기용 핸즈프리 장치는 휴대 정보 단말기, 상기 차량에 설치되어 상기 휴대 정보 단말기와의 접속을 위한 접속장치, 상기 접속장치에 연결되어 신호의 송수신을 지원하기 위한 출력증폭기 및 입력증폭기, 상기 차량내에 부착되는 유도코일, 및 상기 입출력증폭기를 유도코일에 접속하기 위한 멀티플렉서를 포함하는 모국장치와; 상기 모국장치와 함께 사용하기 위한 리모콘을 구비한다. 상기 리모콘은 키패드, 키패트에 연결되어 키패드의 위치값에 따라 일정한 신호를 생성해내는 신호발생기, 상기 신호를 증폭하기 위한 출력증폭기 및 신호를 모국장치로 송신하기 위한 송신코일을 구비한다.According to still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hands-free device for a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includes a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a connection device installed in the vehicle for connection with the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and connected to the connection device to support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signals. A mother station apparatus including an output amplifier and an input amplifier, an induction coil attached to the vehicle, and a multiplexer for connecting the input / output amplifier to the induction coil; It is provided with a remote controller for use with the mother station apparatus. The remote controller includes a keypad, a signal generator connected to a keypad to generate a constant signal according to the position value of the keypad, an output amplifier for amplifying the signal, and a transmission coil for transmitting the signal to the mother station.
상기 목적외에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잇점들은 첨부한 도면을 참조한 실시예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명백하게 드러나게 될 것이다.Other object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other than the above objects will become apparent from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s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제3도 내지 제4도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FIGS. 3 to 4 attached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핸즈프리 장치중 핸즈프리 모국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제3도를 살펴보면, 상기 핸즈프리 모국장치는 휴대폰 또는 휴대 정보 단말기(30)와, 차량에 설치되어 휴대폰 또는 휴대 정보 단말기를 놓아두기 위한 접속장치(32)와, 송수신을 지원하기 위한 출력증폭기(34) 및 입력증폭기(38)와, 차량내에 부착된 유도코일(40)과, 입출력증폭기(34,38)를 유도코일에 접속하기 위한 멀티플렉서(38)을 구비한다. 제4도는 제3도의 모국장치에 무선으로 접속되는 핸즈프리 이어세트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제4도를 살펴보면, 상기 이어세트(50)는 수신코일(52) 및 송신코일(54)과, 이 수신코일(52) 및 송신코일(54)에 각각 접속되는 입력증폭기(56) 및 출력증폭기(58)와, 입력증폭기(56)에 접속된 이어폰(60)과, 출력증폭기(58)에 접속된 마이크(62)를 구비한다. 여기서, 수신코일(52), 입력증폭기(56) 및 이어폰(60)은 수신부를 이루고 송신코일(54), 출력증폭기(58) 및 마이크(62)는 송신부를 이룬다.3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hands-free mother device of the hands-fre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3, the hands-free mother station apparatus includes a mobile phone or a
이와같은 구성으로 된 본 발명의 핸즈프리 장치에 있어서, 제4도에 도시한 바의 모국장치에서는 상대방으로부터 오는 음성신호가 출력증폭기(34)에 의해 증폭되고 멀티플렉서(38)를 통해 유도코일(40)에 유입되어서 전기장신호로 변환된다. 이어서 이 신호는 사용자가 착용하고 있는 제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은 이어세트(50)의 수신부에 의해 수신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신호는 수신코일(52)에 유도되고 그 유도된 신호는 입력증폭기(56)을 거치면서 증폭된 다음 이어폰(56)으로 재생된다.In the hands-fre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such a configuration, in the mother station apparatus shown in FIG. 4, the audio signal from the other party is amplified by the
한편, 이와는 역으로 사용자의 말소리는 이어세트(50)의 송신부에 의해 송신된다. 구체적으로, 제4도의 마이크(62)로 입력되어 출력증폭기(58)에 의해 증폭되고 송신코일(54)에 의해 전기장 신호로 변환된다. 이 신호는 제3도에 도시한 모국장치내의 유도코일(40)에 유입되어 멀티플렉서(38) 및 입력증폭기(36)를 상대방에게로 송신된다. 여기서, 멀티플렉서(38)는 송신 및 수신 신호가 흐르는 경로를 일정시간 간격으로 조정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멀티플렉서(38)는 음성신호 대의 주파수를 충분히 전달할 수 있도록 음성신호의 주파수에 비해 충분히 높은 주기로 조정되어야 한다.On the other hand, on the contrary, the user's speech is transmitted by the transmitter of the ear set 50. Specifically, it is input to the
제5도는 본 발명에 따른 핸즈프리 장치와 사용하기 위한 리모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통상 사용자가 전화를 거는 경우나 걸려온 전화를 받는 경우에는 상기 리모콘을 사용하게 된다. 제4도를 살펴보면, 상기 리모콘(70)은 키패드(78), 키패드(78)에 연결되어 키패드(78)의 위치값에 따라 일정한 신호를 생성해내는 신호발생기(76), 출력증폭기(74) 및 송신코일(72)을 구비한다.5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remote controller for use with the hands-fre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general, when the user makes a call or receives an incoming call, the remote controller is used. Referring to FIG. 4, the
이와같은 구성의 리모콘에서는, 키패드(78)로부터 사용자가 누른 키의 위치에 따라 일정한 주파수의 신호가 신호발생기(76)에 의해 발생되어 출력증폭기(74)에 의해 증폭된 다음 송신 코일(72)를 통해 제3도의 모국장치로 전달된다. 이같은 신호는 일례로서 DTMF등의 톤(tone) 신호로 구현될 수 있으며, 제3도의 접속장치(32)나 휴대폰(30)에서 다이얼링이나 착신을 위한 키신호로 사용된다.In the remote controller having such a configuration, a signal of a constant frequency is generated by the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스피커에서 나온 소리가 마이크로 직접 입력됨으로 인한 하울링 현상을 방지함은 물론 착발신 처리가 간편하여 사용자가 차량의 운전시 안전운전에 방해받지 않게 된다. 또한 스피커로부터 외부로 소리가 새나가지 않으므로 동승자를 방해하지 않을뿐더러 통화상의 비밀 유지가 가능해지며, 저렴한 비용으로 핸즈프리 장치가 제공될 수 있도록 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sound from the speaker is not directly prevented from the howling phenomenon due to the direct input of the microphone, as well as the incoming and outgoing processing is easy so that the user is not disturbed in safe driving when driving the vehicle. In addition, the sound does not leak from the speaker to the outside, so it does not disturb the passenger and enables confidentiality of the call, thereby providing a hands-free device at a low cost.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실시예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 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정하여져야만 한다.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contents described in the embodiments, but should be defined by the claims.
Claims (14)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970031782A KR100246477B1 (en) | 1997-07-09 | 1997-07-09 | Handsfree device with wireless earset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970031782A KR100246477B1 (en) | 1997-07-09 | 1997-07-09 | Handsfree device with wireless earset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9990009383A KR19990009383A (en) | 1999-02-05 |
KR100246477B1 true KR100246477B1 (en) | 2000-03-15 |
Family
ID=195138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970031782A KR100246477B1 (en) | 1997-07-09 | 1997-07-09 | Handsfree device with wireless earset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246477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00066047A (en) * | 1999-04-13 | 2000-11-15 | 빌양 | Communication system for telephone |
KR200194750Y1 (en) * | 2000-03-29 | 2000-09-01 | 원테크정보기술주식회사 | Wireless sending and receiving device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
1997
- 1997-07-09 KR KR1019970031782A patent/KR100246477B1/en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9990009383A (en) | 1999-02-0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030026429A (en) | Speaker module connectable to an ear-jack and conversation method thereby | |
US20020061103A1 (en) |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 |
KR100246477B1 (en) | Handsfree device with wireless earset | |
KR200194772Y1 (en) | Cellular phone wireless earphone | |
KR200293071Y1 (en) | Hand phone case for moving character | |
JPH03198436A (en) | Radio telephone system | |
JPH04127644A (en) | Headset for telephone terminal equipment | |
KR100619799B1 (en) | Earphone-microphone device that can adjust the call volum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
KR940017282A (en) | Keypad-detachable mobile phone and its calling method | |
KR200284735Y1 (en) | Ear phone mic for mobile phone | |
KR950011081B1 (en) | Hand-Free Calling Device for Cordless Phone Handheld Device | |
KR100820549B1 (en) | Call device using Bluetooth | |
JPH09247249A (en) | Mobile phone | |
KR20020086224A (en) | A wireless handsfree unit and the method of communication via the handsfree unit | |
JPH03262239A (en) | Cordless telephone system | |
JPS63272254A (en) | Telephone system | |
KR20010001018A (en) | Remote controll handset of mobile telephone | |
JPH066285A (en) | Portable telephone set | |
JPH04216216A (en) | Speech volume optimization circuit for telephone equipment | |
KR200225634Y1 (en) | Hand free apparatus by wireless and wire | |
KR200252094Y1 (en) | hands free phone | |
KR200226248Y1 (en) | Wireless Handfree | |
JPH11187112A (en) | Equipment and method for communication | |
JPH01128647A (en) | Hand-free telephone system | |
KR20030090298A (en) | Device for a hands free of wireless ear mike and telephonic communication using the sam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70709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70709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90928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9120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1999120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2092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3100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40924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50929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61129 Year of fee payment: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61129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