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246214B1 - 전기장치를위한 별도의 케이싱을 용이하게 연결하는 연결장치 - Google Patents

전기장치를위한 별도의 케이싱을 용이하게 연결하는 연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46214B1
KR100246214B1 KR1019920021546A KR920021546A KR100246214B1 KR 100246214 B1 KR100246214 B1 KR 100246214B1 KR 1019920021546 A KR1019920021546 A KR 1019920021546A KR 920021546 A KR920021546 A KR 920021546A KR 100246214 B1 KR100246214 B1 KR 1002462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dge
casing
link
fixed
coupling memb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215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11656A (ko
Inventor
가즈요시 기가
Original Assignee
이데이 노부유끼
소니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데이 노부유끼, 소니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이데이 노부유끼
Publication of KR9300116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116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462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46214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1Housing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30Side-by-side or stacked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두 개의 분리되는 케이싱들을 착탈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장치는, 제1케이싱에 미끄럼가능하게 이동결합하는 제1이동결합부재와, 제2케이싱에 고정되는 제2고정결합부재와, 그리고 제1결합부재에 작동가능하게 연결되는 링크조립체를 포함한다. 액츄에이터 핸들은 링크조립체에 작동식으로 연결된다. 액츄에이터 핸들이 한방향으로 동작할 때, 제1결합부재는 링크조립체를 지나 제2결합부재로 이동하여 제2결합부재와 결합된다. 액츄에이터 핸들이 다른 방향으로 작동하면, 제1결합부재는 제2결합부재와 떨어진 링크조립체를 경과하여 이동하여 제2결합부재와 분리된다.

Description

전기장치를위한 별도의 케이싱을 용이하게 연결하는 연결장치
제1도는본 발명에 의한 연결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장치되어 있는 어댑터와 비디오카메라의 사시도.
제2도는 연결장치의 확대사시도.
제3도는 연결장치의 본체부의 분해도.
제4도는 어댑터와 비디오카메라의 연결동작에 대한 초기상태를 보여주는 비디오카메라와 어댑터의 부분 파쇄된 측면도.
제5도는 연결동작이 완료된 상태를 보여주는 비디오카메라와 어댑터의 부분 파쇄된 측면도.
제6도는 연결장치가 분리상태에 있는, 비디오카메라의 부분파쇄된 배면도.
제7도는 연결장치가 연결된 비디오카메라의 케이싱의 부분파쇄된 배면도.
본 발명은 휴대용 비디오카메라와 그의 어댑터와 같은 전기장치를 위한 두 개의 별도의 케이싱을 착탈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예로써 방송분야에서 사용되는 많은 휴대용 비디오카메라는 그의 어댑터와 착탈 가능하게 연결된다. 비디오카메라와 어댑터를 연결하기 위하여는, 연결장치를 사용한다. 일본 실용신안공보 제63-9907호에서는 어댑터와 비디오를 착탈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장치에 대한 예가 공개되어 있다. 이 연결장치는, 비디오카메라에 고정되는 스트라이크판과, 어댑터에 고정되는 래치를 포함한다. 래치는, 스트라이크판에 형성된 기밀홈과 결합하는 웨지가 형성된다. 이 연결장치로, 비디오카메라와 어댑터는, 비디오카메라와 어댑터에 각각 설치된 커넥터를 통해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그러나 이 연결장치는 잠금수단을 가지고 있지 않기 때문에, 험하게 사용하거나 또는 전쟁, 재난구역과 같은 극한 환경조건하에서는 비디오카메라에서 어댑터가 쉽게 분리되어 버리는 수가 있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조임부재 예로서 잠금수단으로 이용되는 스크류 등을 포함하는 연결장치가 제안되었다. 그러나 이 조임부재는 특정공구로만 다루어야 하므로 비디오카메라와 어댑터의 분리동작과 연결동작에 있어 매우 번거롭다.
따라서 다른 장치와 함께 장치를 용이하고 견고하게 착탈시킬 수 있는 연결장치가 요구되어 왔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장치상호간에 용이하고 견고하게 착탈가능한 연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제1케이싱과 제2케이싱을 착탈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장치를 제공하는 것으로서, 제1케이싱에 설치되는 제1 및 제2웨지와, 제2케이싱에 고정되는 제3웨지와, 제2케이싱에 슬라이드가능하게 장치된 제4웨지와, 제1 및 제2케이싱이 그들의 결합위치에 있을 때, 적어도 상호평행한 상태에 놓이는 제2 및 제4웨지와, 제2케이싱에서 제4웨지를 구동하는 수단과, 그리고 제4웨지가 제1케이싱의 제2웨지와 결합하는 잠금위치에서 제4웨지를 잠그는 수단을 포함한다.
제1도 내지 제7도에서 본 발명에 의한 연결장치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나타내었다. 연결장치는 비디오카메라와 그에 사용되는 어댑터를 착탈가능하게 연결하도록 되어있다. 제1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비디오카메라는 그 내부의 부하 내장장치 등(도시생략)을 수용하는 상자형 케이싱(21)을 포함한다. 어댑터는 제2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그 위 좌측벽에 신호입출력 플러그(54)와 연결되는 소켓을 갖는 상자형 케이싱(21)을 포함한다. 케이싱(21)은 격자(23)로 이루어지는 노브형의 상부벽을 가지며 전면벽에는 촬상렌즈(22)가 설치된다. 케이싱(21)의 후방벽은 그의 상부에 고정되는 상부웨지(33)를 갖는다.
제2도에 잘 나타내어진 바와같이, 상부웨지(33)는 후방벽에 측방향으로 신장하며 후방쪽으로 상승하는 경사로 이루어지는 경사상면(33a)을 갖는다. “U”형의 홈(34)은 상부웨지(33)의 상부의 개략 중간에 형성된다. 경사상면(33a)은 어댑터의 케이싱(53) 전면벽에 고정되는 상부웨지(60)의 경사하면(60a)과 결합한다. 경사하면(60a)은 앞쪽으로 내려가는 경사를 갖는다.
상부웨지(60)는 제2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직사각형 상부오목홈(56)에 놓이며 그를 따라 측방향으로 신장한다. 노치(60b)는 상부웨지(60)의 아래 중간부에 형성된다. 노치(60b)에 돌출하도록 놓이는 핀(61)은 케이싱(53)의 전면벽의 오목홈(56)에 고정된다. 핀(61)은 비디오카메라의 케이싱(21)에서 웨지(33)의 홈(34)에 착탈가능하게 끼워진다.
제2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커넥터(63)는 어댑터의 케이싱(53)의 전면벽 하단에 고정된다. 커넥터(63)는 비디오카메라의 케이싱(21)의 후방벽의 하단에 형성되는 오목소켓(30)속으로 착탈가능하게 끼워진다. 제2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커넥터(63)의 좌우측에는 한쌍의 핀(64)이 놓인다. 핀(64)은 케이싱(21)의 후방벽에 오목소켓(30)의 양쪽에 형성되는 해당구멍(29)에 삽입된다.
제2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직사각형 하부오목홈(57)은 커넥터(63)에서 위쪽으로 떨어져서 어댑터의 케이싱(53)의 전면벽에 형성된다. 오목홈(57)에 고정되는 하부웨지(62)는 상부웨지(60)와 거의 평행하게 신장한다. 하부웨지(62)는 앞쪽으로 상승하는 경사로 이루어지는 경사상면(62a)을 갖는다.
비디오카메라의 케이싱(21)의 후방벽은 제2도에 2점쇄선으로 나타낸 바와같이 그의 중심부에 직사각형 개구(24)를 갖는다. 직사각형 개구(24)는, 제6도와 제7도에 도시한 후방벽에 수직으로 형성하는 홈(31)을 통해 직사각형의 상부오목홈(26)으로 통한다. 지지판(35)은 후방벽의 전면에서 직사각형 개구(24) 속으로 끼워져 직사각형 개구(24)의 거의 전체면적을 커버한다. 지지판(35)에는 하부 및 상부홈(37, 38)과, 그리고 제3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하부홈(37)에 형성된 직사각형의 중앙개구(130)가 형성되어 있다. 하부홈(37)은 상부홈(38)보다 더 큰 가로폭을 갖는다. 제2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하부홈(37) 속으로 직사각형의 미끄럼판(80)이 끼워진다. 미끄럼판(80)은 그의 상부에는 노치(150)를 가지고, 제3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노치(150)에서 아래쪽으로 간격진 그의 후면에는 웨지(46)를 갖는다. 웨지(46)는 후방으로 하향하는 경사로 이루어지는 경사하면(46a)을 갖는다. 경사하면(46a)은 어댑터의 케이싱(53)에 하부웨지(62)의 경사상면(62a)과 해체가능하게 결합한다.
지지판(35)의 상부홈(39)에 형성되는 “T”형의 노치(39)는 제3도에 잘 나타낸 바와 같이 그의 중심상단에서 아래쪽으로 신장한다. 나사홀더베이스판(40)은 지지판(35)의 전방측에서 노치(39)로 끼워지고 한편 “L”형핀설치부(43)는 노치(39)의 후방측에 끼워진다. 나사홀더베이스판(40)은 그의 상단에서 후방으로 돌출하는 나사홀더(41)와 일체로 형성되어 판면이 “L”형을 이룬다. 조정나사(42)는 나사홀더(41)를 관통하여 체결되어 그의 하단이 제2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L”형핀설치부(43)의 후방돌출부 상면과 접촉한다. 조정나사(42)의 상단은 케이싱(21)의 후방벽 오목홈(26)속으로 들어간다.
제3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L”형핀설치부(43)는 노치(39)의 하단에 고정되는 압축코일스프링(45)과 연결되는 하단을 갖는다. 압축코일스프링(45)은 항상 조정나사(42)에 대히 상측으로 핀설치부(43)를 가압한다. 노치(39)에서의 핀설치부(43)의 수직위치는 조정나사(42)의 수직변위조절에 의해 이루어진다. 제3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핀설치부(43)는, 나사홀더베이스판(40)에 형성되는 타원형의 안내구멍(40a)을 통해 전방으로 신장하는 핀(43a)을 갖는다.
핀설치부(43)를 통해 안내구멍(40a)으로 삽입되는 핀(44)은 제3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제1링크아암(48)의 한단부에 고정된다. 제1링크아암(48)은 제2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지지판(35)의 하부홈(37)으로 신장하여 제1링크아암(48)의 다른하단이 미끄럼판(80)의 노치(150)에 위치한다. 그러나 미끄럼판(80)이 그의 최상부위치에 이동할 때 그것으로 인해 방해되지는 않는다. 제1링크아암(48)은 핀설치부(43)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제1링크아암(48)의 다른하단은 그곳에 고정된 핀(49)을 통해 제2링크아암(50)의 한단부에 연결된다. 제2링크아암(50)의 타단은, 웨지(46)의 전방측에 형성된 오목홈(46b)에서 앞쪽으로 돌출하는 핀(100)에 의해 미끄럼판(80)의 전면에 연결된다.
제3링크아암(51)은 후방벽의 내면을 따라 측방향으로 신장하여 그의 한단부가 제2링크아암(50)의 전방측에의 핀(49)과 연결되며, 핀(49)은 제1, 제2, 그리고 제3링크아암(48, 50, 51)의 회전축과 연결점 두가지의 역할을 한다. 제3링크아암(51)의 한단부는 또한 복귀스프링(66)의 한단부와 연결되고 그의 타단은 제3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지지판(35)에 고정된다. 복귀스프링(66)은 도면에 도시한 바와같이 연결점 왼쪽으로 힘을 가한다. 제3링크아암(51)의 타단은 핀을 통해 제4링크아암(52)의 한단부와 연결된다. 제4링크아암(52)의 다른 단부는 그의 타단에서 후방으로 돌출하는 보스를 가지며 보스는 지지판(35)의 링베어링(36)속으로 회전가능하게 삽입된다. 링베어링(36)은 지지판(35)의 오른쪽에서 바깥쪽으로 돌출하고 제3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지자판(35)의 후면에서 뒤쪽으로 돌출한다. 링베어링(36)은 제6도 및 제7도에 이점쇄신으로 나타낸 바와같이 케이싱(21)의 후방벽을 관통하여 형성하는 구멍(27)속으로 끼워진다. 구멍(27)은 후방벽의 후면에 형성되고 제2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직사각형 개구(24)의 우측에 위치하는 삼각형 오목홈(25)과 소통한다. 이들 링크아암(48, 50, 51, 52)은 웨지(46)와 동작가능하게 체결되는 링크 조립체(47)를 구성한다.
제3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액츄에이터핸들(65)은 제4링크아암(52)의 보스에 고정되어 제4링크아암(52)과 함께 링베어링(36)에서 회전가능하다. 액츄에이터핸들(65)은 그의 전면에 캠홈(65a)을 형성한다. 캠홈(65a)은, 후방벽의 오목홈(25)에 형성되어 있는 작은구멍(28) 속으로 설치되어 스토퍼(32)를 수용하도록 되어 있다. 스토퍼(32)는 편기수단(도시생략)에 의해 바깥쪽으로 항상 힘을 받아 제6도 및 제7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작은구멍(28)에서 돌출한다.
제6도 및 제7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상부커버판(67)은 지지판(35)에 고정되어 지지판(35) 상의 전체 상부홈(38)을 커버한다. 상부커버판(67)에는 나사홀더(41)의 후단이 끼워지는 노치(67a)가 형성되어 있다. 하부커버판(68)은 지지판(35)에 고정되어 미끄럼판(80)의 한 부분을 커버한다. 하부커버판(68)은 노치(68a)를 형성하여 미끄럼판(80)에 고정되는 웨지(46)의 이동이 방해되지 않도록 한다. 그리하여 웨지(46)를 갖는 미끄럼판(80)은, 제2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하부커버판(68)과 간섭함없이 하부홈(37)의 좌우측 모서리를 따라 상하로 미끄럼가능하다.
어댑터를 갖춘 비디오카메라의 연결동작은 다음과 같다. 먼저, 두 개의 케이싱(21, 53)의 상부가 상호대향하여, 핀(61)이 제4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홈(34)에 삽입된다. 그리하여 케이싱(21)과 (53)의 하부가 서로 대향되어, 제5도와 같이 핀(64)은 구멍(29)에 삽입된다.
도면으로부터 알 수 있듯이, 액츄에이터핸들(65)의 자유단부와 스토퍼(32)는 케이싱(21)과(53)이 서로 면접촉으로 될 때 조작자가 이용할 수 있음을 확실히 알 수 있다.
이때, 액츄에이터핸들(65)은 링베어링(36)에서 제6도의 화살표 A로 표시된 것과 같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움직인다. 액츄에이터핸들(65)이 시계방향으로 더욱 회전하면 스토퍼(32)가 스프링의 밖으로 향하는 편기력에 대항하여 구멍(28)에 압축된다. 액츄에이터핸들(65)이 제7도에 도시된 장소에 위치하고 있을 때, 액츄에이터핸들(65)은 그 위치에서 잠겨진다. 왜냐하면, 스토퍼(32)가 구멍(28)에서 다시 돌출하기 때문에, 액츄에이터핸들(65)의 시계반대방향으로의 회전이 방지된다. 액츄에이터핸들(65)의 시계방향으로의 회전은 제4링크아암(52)이 링베어링(36)의 주위를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한다.
그리고 제3링크아암(51)가 연결핀(49)은 왼쪽으로의 편기력에 대항하여 제1 내지 제3링크아암이 제6도와 같이 오른쪽으로 이동하도록 한다. 제3링크아암(51)의 오른쪽방향 움직임은 제1링크아암(48)이 제6도의 화살표 C로 표시된 것과 같이 시계반대방향으로 핀(44) 주위를 회전하도록 한다.
제1링크아암(48)의 시계반대방향의 회전은 제2링크아암(50)이 시계방향으로 미끄럼판(80) 상의 핀(100) 주위를 회전하도록 한다. 따라서 제2링크아암(50)에 연결된 미끄럼판(80)은 제6도의 화살표 E로 표시된 바와같이 아래쪽으로 이동한다. 즉 미끄럼판(80) 상에 고정된 웨지(46)는 그의 제1위치로부터 아래방향으로 이동하여 어댑터 케이싱(53)의 하부웨지(62)가까이로 전진한다. 웨지(46)는 제2위치에 즉, 그의 가장하부위치에 위치해 있다. 여기에서 제1링크아암(48)이 제2링크아암(50)과 함께 수직으로 배열된다. 이 상태에서 웨지(46)의 경사하면(46a)은 하부 웨지(62)의 경사상면(62a)에 완전히 결합된다. 제1링크아암(48)의 회전은 제1링크아암(48)의 미끄럼판(80)의 노치(150)의 오른쪽 단면(152)에 접촉할 때까지 계속된다. 그에따라 제1, 제2링크아암(48)과 (50)은 제7도에서와 같이 수직배열을 벗어난다.
이때 미끄럼판(80)은 웨지(46)가 제2위치보다 조금 위의 제3위치에 위치하도록 약간 위쪽으로 이동한다. 제3위치에서 웨지(46)는 대응 하부웨지(62)와 여전히 충분히 결합된다.
제3위치에 위치해 있을 때, 웨지(46)는 상기에 나타낸 것처럼 액츄에이터핸들(65)과 링크조합체(47)의 잠금에 의해 잠겨진다. 웨지(46)가 결합된 하부웨지(62)로부터의 상향작용력에 의해 상부로 이동하려고 할 때 제1 및 제2링크아암(48, 50)의 연결핀(49)이 더욱 오른쪽 방향으로 힘을 받기 때문에 웨지(46)를 제3위치에서 잠그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제1과 제2링크아암(48, 50)이 왼쪽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더구나, 웨지(46)가 제2에서 제3위치로 이동했을 때 덜거덕거리는 소위 클릭필링(Clicking feeling)이 제1과 제2링크아암(48, 50)의 연결핀(49)에 가해지는 힘의 역방향으로 발생한다.
어댑터로부터 비디오카메라의 분리동작은 결합동작의 반대순서로 수행된다. 액츄에이터핸들(65)은 제7도와 같이 잠금위치에 머물러 있을 때, 스토퍼(32)는 조작자에 의해 수동적으로 눌러내려진다.
액츄에이터핸들(65)은 제7도에 화살표 B로 나타낸 것처럼 시계반대방향으로 링베어링(36)의 주위를 회전한다. 액츄에이터핸들(65)이 제6도에서처럼 풀림자리에 위치할 때가지 액츄에이터핸들(65)의 시계반대방향의 회전은 제4링크아암(52)이 링베어링(36)의 주위를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한다. 이때, 제3링크아암(51)은 제7도에서와 같이 왼쪽방향으로 힘을 받는다.
따라서, 제1링크아암(48)은 제7도에 화살표 D로 표시된 것같이 시계방향으로 핀(44) 주위를 회전한다. 제1링크아암(48)의 시계방향 위치는 제2링크아암(50)이 미끄럼판(80) 상의 핀(100) 주위를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한다. 제2링크아암(50)에 연결된 미끄럼판(80)은 제7도에 화살표 F로 표시된 것과 같이 위쪽방향으로 움직인다. 그러므로, 미끄럼판(80)의 웨지(46)는 연결된 하부웨지(62)로부터 분리된다. 따라서, 두 개의 케이싱은 핀(64)이 구멍(29)으로부터 제거되고 그리고 핀(61)이 홈(34)으로부터 제거되므로써 분리된다.
상기로부터 알 수 있듯이 연결/분리동작은, 링크조립체(47)에 의해 해당웨지(62)와 미끄럼판(80) 상의 웨지(46)의 결합동작으로써 쉽게 이루어진다.
또한, 웨지(46)와 (62)의 연결은 액츄에이터핸들(65)을 스토퍼(32)에 의해 잠금으로써 견고히 이루어진다.
더욱이, 비교적 장기간 사용으로 인해 웨지(46)와 (62)의 결합이 헐거워진 경우에, 웨지(46)는 조절나사(42)의 조절에 의해 대응웨지(62)와 확실하게 결합해줄 수 있다.

Claims (2)

  1. 제1케이싱과 제2케이싱을 착탈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케이싱에 위치하는 제1 및 제2웨지와; 상기 제2케이싱에 고정되는 제3웨지와; 상기 제2케이싱에 미끄럼가능하게 설치되는 제4웨지와; 상기 제1 및 제2케이싱이 그들의 결합위치에 있을 때 상호 평행한 상기한 제2 및 제4웨지와, 상기 제2케이싱 상의 상기 제4웨지를 구동하는 수단과; 그리고 상기 제4웨지가 상기 제1케이싱의 상기한 제2웨지와 결합하는 잠금 위치에서 제4웨지를 잠그는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4웨지 구동수단은 상기 제4웨지와 작동가능하게 연결되는 링크조립체로서, 상기 링크조립체는, 상기 제2케이싱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링크와, 한단부에서 상기 제1링크와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제4웨지와 연결되는 제2링크와, 한단부는 상기 제1링크와 제2링크의 연결부분과 연결되고 또한 이 한단부는 제2케이싱에 한단이 고정된 스프링과 연결되고, 타단은 제4링크의 한단부와 연결되는 제3링크와, 한단은 제3링크와 연결되고 타단은 제2케이싱에 형성된 베어링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제4링크를 포함하여, 상기 제1 및 제2케이싱이 상호결합하여 상기 링크조립체가 한 방향으로 동작할 때, 상기 제4웨지는 상기 제4웨지가 상기 제2웨지에서 가장 멀리 떨어진 위치에 있는 제1위치에서, 상기 제4웨지가 결합할 상기 제2웨지에 가장 가까이 위치하는 제2위치를 지나, 상기 제4웨지가 상기 제2웨지와 결합한 채로 상기 제1 및 제2위치 사이에 놓이는 제3위치 속으로 이동하며, 상기 잠금수단은, 한단이 상기 제4링크의 타단과 연결되며, 상기 제4웨지가 제3위치에 있을 때 스토퍼에 의해 동작이 규제되는 조작핸들을 포함하는 연결장치.
  2. 제1 및 제2웨지를 갖는 제1케이싱과 제2케이싱을 연결하는 링크조립체를 포함하며 제2케이싱에 설치되는 연결장치는, 상기 제2케이싱에 고정되는 제3웨지와; 상기 제2케이싱에 미끄럼가능하게 위치하는 제4웨지와; 상기 제1 및 제2케이싱이 그들의 결합 위치에 있을 때 상호 평행한 상기한 제2 및 제4웨지와, 상기 제2케이싱 상의 상기 제4웨지를 구동하는 수단과; 그리고 상기 제4웨지가 상기 제1케이싱의 상기한 제2웨지와 결합하는 잠금위치에서 제4웨지를 잠그는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링크조립체는, 상기 제2케이싱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링크와, 한단부에서 상기 제1링크와 연결되고 타단은 제4웨지와 연결되는 제2링크와, 한단부는 상기 제1링크와 제2링크의 연결부분과 연결되고 또한 이 한단부는 제2케이싱에 한단이 고정된 스프링과 연결되고 타단은 제4링크의 한단부와 연결되는 제3링크와, 한단은 제3링크와 연결되고 타단은 제2케이싱에 형성된 베어링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제4링크를 포함하여, 상기 제1 및 제2케이싱이 상호결합하여 상기 링크조립체가 한 방향으로 동작할 때, 상기 제4웨지는 상기 제4웨지가 상기제2웨지에서 가장 멀리 떨어진 위치에 있는 제1위치에서, 상기 제4웨지가 결합할 상기 제2웨지에 가장 가까이 위치하는 제2위치를 지나, 상기 제4웨지가 상기 제2웨지와 결합한 채로 상기 제1 및 제2 위치사이에 놓이는 제3위치 속으로 이동하며, 상기 잠금수단은, 한단이 상기 제4링크의 타단과 연결되며, 상기 제4웨지가 제3위치에 있을 때 스토퍼에 의해 동작이 규제되는 조작핸들을 포함하는 연결장치.
KR1019920021546A 1991-11-18 1992-11-17 전기장치를위한 별도의 케이싱을 용이하게 연결하는 연결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10024621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30191791 1991-11-18
JP91-301917 1991-11-1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11656A KR930011656A (ko) 1993-06-24
KR100246214B1 true KR100246214B1 (ko) 2000-03-15

Family

ID=179026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21546A Expired - Fee Related KR100246214B1 (ko) 1991-11-18 1992-11-17 전기장치를위한 별도의 케이싱을 용이하게 연결하는 연결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5306174A (ko)
KR (1) KR10024621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46142B1 (ko) * 1994-12-19 1998-09-15 이헌조 착탈식 캠코더
US5601445A (en) * 1995-03-13 1997-02-11 Imed Corporation Electrical and structural interconnector
US5667399A (en) * 1995-10-13 1997-09-16 Apple Computer,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modular component system for efficient addition of peripheral components
EP0776070B1 (en) * 1995-11-24 2003-04-16 Victor Company Of Japan, Limited Connecting apparatus
JP3731245B2 (ja) 1996-04-04 2006-01-05 ソニー株式会社 コネクタ切換装置及び該装置を用いるビデオカメラ
IT249370Y1 (it) * 2000-02-22 2003-04-14 Tekno System Srl Contenitore per telecamere di impianti di ispezione e controllo a circuito chiuso con protezione delle connessioni dei cavi di collegamento.
US6495931B2 (en) * 2001-01-10 2002-12-17 California Acrylic Industries Modular controller housing for water pool apparatus
US8525925B2 (en) * 2008-12-29 2013-09-03 Red.Com, Inc. Modular digital camera
US20130048631A1 (en) * 2010-02-25 2013-02-28 Demain Technology Pty Ltd Power tool storage and package system
US10301845B2 (en) * 2013-05-14 2019-05-28 Asustek Computer Inc. Electronic system with locking function by electronically controlled
WO2016112014A1 (en) * 2015-01-05 2016-07-14 Mizco International Inc. Alignment apparatus and a method for manufacturng thereof
US9948029B1 (en) * 2015-09-24 2018-04-17 Daplie, Inc. Peripheral device coupling
US10690158B2 (en) * 2016-09-13 2020-06-23 Watchfire Signs, Llc Technologies for interlocking structures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728664A (en) * 1971-12-21 1973-04-17 Repco Inc Battery latching mechanism
JPS59195723A (ja) * 1983-04-08 1984-11-06 ガビラン・コンピユ−タ・コ−ポレ−シヨン 相互接続装置
US4718858A (en) * 1986-06-16 1988-01-12 Western Digital Corporation Mechanical interconnect system for electronic units enclosed in stackable housings
US4840574A (en) * 1987-11-10 1989-06-20 European Atomic Energy Community (Euratom) Multiconnector
US5148353A (en) * 1990-06-29 1992-09-15 Digital Equipment Corporation Mounting system for installation of communication boxes having a convex bottom post and a rigid top post
DE4032801C2 (de) * 1990-10-16 1993-10-14 Triumph Adler Ag Steckverbindungsanordnung zur mechanischen und elektrischen Steckverbindung von elektronischen Geräteeinheit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11656A (ko) 1993-06-24
US5306174A (en) 1994-04-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46214B1 (ko) 전기장치를위한 별도의 케이싱을 용이하게 연결하는 연결장치
US5711682A (en) Electrical connector requiring low insertion force
EP0432803B1 (en) Function expanding apparatus for compact electronic device
US5263871A (en) Device for interconnecting connectors
JP3468451B2 (ja) コネクタ嵌合構造
US7430115B2 (en) Apparatus for mounting removably a disk drive in an electronic device
US6120309A (en) Electrical connector
US6866533B2 (en) Cable connector assembly having pull tab
US20090291584A1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improved latching machanism
EP0838882B1 (en) Printed circuit board connector fitting structure
CA2419335A1 (en) Connector position assurance device and latch
NL1024850C2 (nl) Connectorsysteem met verbeterde ontkoppel-functionaliteit.
EP0776070B1 (en) Connecting apparatus
EP0933836A3 (en) Connector with coupling assist mechanism
EP0944122A1 (en) Removal/attachment device for use with compact electronic device
US7322840B2 (en) Package with locking mechanism and optical transceiver
US6059596A (en) Zero insertion force socket
JP2002353666A (ja) 電子機器及び電子機器の基板挿抜装置
EP1182673A2 (en) Switch device
GB2396489A (en) Switched electric socket
US5797762A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a cam actuator for a plurality of contacts
US6257916B1 (en) Device for locking two mating connectors
JP3395218B2 (ja) 筐体の着脱装置
US7503500B2 (en) Card connector with anti-mismating device
GB2138221A (en) Interlock connector for computer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R17-X000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7-oth-X000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021205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021205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