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246036B1 - 대전 방지 특성 및 내마모성이 우수한 광경화형 아크릴계 피복조성물 - Google Patents

대전 방지 특성 및 내마모성이 우수한 광경화형 아크릴계 피복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46036B1
KR100246036B1 KR1019970062233A KR19970062233A KR100246036B1 KR 100246036 B1 KR100246036 B1 KR 100246036B1 KR 1019970062233 A KR1019970062233 A KR 1019970062233A KR 19970062233 A KR19970062233 A KR 19970062233A KR 100246036 B1 KR100246036 B1 KR 1002460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coating composition
oxide doped
monom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Lifetim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622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41619A (ko
Inventor
유승우
박정옥
남동진
박장우
Original Assignee
성재갑
주식회사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재갑, 주식회사엘지화학 filed Critical 성재갑
Priority to KR10199700622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46036B1/ko
Publication of KR199900416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416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460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46036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Lifetim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33/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9D1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the oxygen atom being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9D133/08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crylic acid es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82NANOTECHNOLOGY
    • B82YSPECIFIC USES OR APPLICATIONS OF NANOSTRUCTURES; MEASUREMENT OR ANALYSIS OF NANOSTRUCTURES; 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 B82Y40/00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05Alcohols; Metal alcohol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07Aldehydes; Keto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16Nitro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17Amines; Quaternary ammonium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56Organo-metallic compounds, i.e.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 metal-to-carbon bond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83/00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a linkage containing silicon with or without sulfur, nitrogen, oxygen or carbon only;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83/04Polysilox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89/00Compositions of protein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4/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based on organic non-macromolecular compounds having at least one polymerisable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 ;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monomer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f groups C09D183/00 - C09D183/16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0Additives non-macromolecular
    • C09D7/61Additives non-macromolecular inorganic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0Additives non-macromolecular
    • C09D7/63Additives non-macromolecular organic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5Additives macromolecular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6Additives characterised by particle size
    • C09D7/67Particle size smaller than 100 nm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6Additives characterised by particle size
    • C09D7/68Particle size between 100-1000 nm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0Oxides; Hydroxides
    • C08K3/22Oxides; Hydroxides of metals
    • C08K2003/2231Oxides; Hydroxides of metals of ti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Nanotech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전도성 미립자, 아크릴레이트계 올리고머, 관능성 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 방향족 케톤류의 광중합 개시제 및 상용화(相溶化)제와 몇 가지 첨가제로 이루어진 조성물을, 특정 조건에서, 일정한 두께 범위를 갖는 가교 경화 피막으로 형성시킴으로서 우수성 물성을 얻었다. 본 발명은 (가)전도성 미립자 졸 10∼50 중량부, (나)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10∼20 중량부, (다) 관능성 아크릴레이트 모너머 20∼80 중량부, (라) 방향족 케톤류 광중합 개시제 0.1∼10 중량부, (마) 폴리실록산계의 상용화제 0.1∼5 중량부, (바) 티타늄계 밀착성 증진제 1∼10 중량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경화형 피복 조성물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대전 방지 특성 및 내마모성이 우수한 광경화형 아크릴계 피복 조성물
본 발명은 피도체에 도포하고 자외선을 조사하여 피도체의 표면층에 대전 방지 특성을 갖게하는 내마모성 경화 피막을 형성하는 아크릴계 피복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합성 유기 중합체로 만든 플라스틱 성형품은 유리 및 금속 제품에 대한 대용물로서 가볍고 내파열성이 뛰어나며, 값이 싸고 성형 가공이 용이하다는 등의 여러 가지 우수한 이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간판, 디스플레이 등의 장식적 용도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특히 투명 플라스틱은 기차, 택시 및 비행기와 같은 공공 운송 수단에 사용되고 있으며, 대형 빌딩에 사용되는 투명판에도 적용되고 있다. 최근 관심의 대상이 되고 있는 고속 전철의 방음벽 재질로서 이러한 투명 플라스틱의 적용이 검토되고 있는 점은 주목할만 하다.
현재 여러 가지 우수한 특성을 갖는 많은 플라스틱 성형품이 상업적으로 개발되어 있으나 플라스틱은 본질적으로 전기 부도체로서 마찰 등에 의해 쉽게 대전되어 대기중의 분진 등을 흡착하게 되면 외관상의 심미감이 저하된다. 또한 플라스틱의 이러한 특성은 광투과율을 저하시킴으로써 상품 가치에 손상을 입힐 수 있다. 따라서 특히 정전기에 민감한 전기, 전자 재료 제조 업체나 병원 등에서는 대전 방지 특성이 부여된 투명 플라스틱을 유리 대용으로 사용할 경우, 정전기로 인한 문제점을 줄일 수 있다.
뿐만 아니라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또는 액정 표시 장치 등에 사용되는 전면 패널은 영상 기기 가동 중 표면의 대전 현상으로 인하여 주변의 먼지 같은 이물질이 쉽게 달라 붙으며 이로 인하여 화질의 저하가 발생한다. 그리고 시청자가 인체를 전면 패널에 접촉시킬 때 전기 쇼트로 인하여 불쾌감을 느끼게 되며, 때때로 이러한 정전기는 기기내의 IC 회로 손상이나 오동작을 유발하기도 한다. 이상과 같은 문제들은 본 발명에서 제공되는 조성물을 이용하여 투명한 전도성 피복막을 패널상에 형성시키면 대전된 전하가 소멸됨으로써 해결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대전 방지 피복막을 플라스틱 성형물에 입히는 방법으로는 몇 가지 예를 들 수 있다. 첫째, 금속 또는 무기 산화물로 구성된 전도성 피막을 기판의 표면에 CVD(Chemical Vapor Deposition)법, PVD(Phisycal Vapor Deposition)법, 진공 증착법, 스퍼터링과 같은 방법을 사용하여 대전 방지 피복막을 형성시키는 방법이 있다. 이러한 건식 공정은 주로 배치식 방법(Batchwise Method)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생산성이 낮으며, 기판의 표면적이나 모양이 진공 장비의 크기에 의하여 제약을 받는다는 단점이 있다.
둘째, 산화인듐(In2O3)이나 산화주석(SnO2) 등의 전도성 미립자 또는 금속 미분발 등을 스프레이하여 전도성 피막을 형성시키는 방법이 있다. 그러나 이 방법을 통하여 만들어진 전도성 피막은 그 두께가 균일하지 못하고 스프레이 도중 발생하는 기포에 의하여 대전방지 피막에 구멍이 생기는 현상이 있으며, 기판과 코팅면 사이의 접착력이 떨어져 시간이 지남에 따라 대전 방지 효과가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셋째, 최근 대한민국 공개 특허 공보 96-2743에는 ATO(Antimony doped Tin Oxide)나 ITO(Indium doped Tin Oxide)같이 전도성이 우수한 나노미터 크기의 미립자와, 유기 실리콘 화합물 또는 이들의 부분 가수분해 물질을 매트릭스 물질로 사용하여 피복액을 만든 후 기재에 도포하여 전도성 및 내화학성 등이 우수한 전도성 피막을 형성하는 방식이 소개된 바 있다. 그러나 이러한 피막도 그 두께가 수천 Å에 불과하여 플라스틱 성형품이 필요로하는 내찰상성을 부여하기 힘들다.
넷째, 대한민국 공개 특허 공보 91-3737, 91-2646, 94-6193, 95-8653 등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플라스틱을 성형할 때 일정량의 계면활성제를 섞어 넣어 대전 방지 특성을 부여하는 방법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으로 필요한 대전방지 특성을 얻기 위해서는 계면활성제의 양을 증가시켜야 되고, 그 양이 늘어나게 되면 플라스틱 본래의 물리적 성질들이 저하된다. 또한 플라스틱 성형품 자체의 내찰상성이 떨어지며 얻어진 대전방지 특성이 마찰 등에 의해 쉽게 사라지는 경향이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이상과같은 선행기술 방법들의 단점을 개선하고, 반 영구적인 대전 방지 특성을 부여할 수 있으며, 우수한 내마모성을 갖는 피막 형성용 광경화형 조성물을 만들고자 하였다. 본 발명에서 개발된 광경화형 조성물로 각종 플라스틱 성형물을 도포한 후 경화시키게 되면 플라스틱 성형품 본래의 물리적인 성질을 유지 또는 향상시키면서, 양호하고 내구성 있는 대전방지 특성을 갖게 된다.
이와 같은 광경화성 조성물은 물성 개선을 위해 하기와 같은 성분을 함유함을 특징으로 한다.
(1) 전도성 미립자:
본 발명에서 개발된 투명 전도성 피막 형성용 조성물의 전도성을 나타나게 하는 성분으로 ATO(Antimony doped Tin Oxide), ITO(Indium doped Tin Oxide), AZO(Antimony doped Zinc Oxide)와 같이 전도성이 우수한 금속 산화물의 미분말이 사용되었다. 상기의 조성물 내에 분산된 금속 미립자의 입자 직경은 5 nm 내지 400 nm 사이의 크기를 가지며, 바람직하게는 평균 입자 직경이 80 nm 이하이고 전체 입자의 60% 이상이 100 nm 이내의 입자 직경을 가지는 분포를 이루고 있다. 이렇게 작은 크기를 갖는 입자들은 빛의 산란을 유발시키지 않아 피막의 투명성을 유지시켜 준다. 본 발명에서 개발된 투명 전도성 피막 형성용 조성물에는 널리 알려진 ATO나 ITO, AZO 등과 같은 전도성 미립자가 사용되었다. ATO와 ITO전도성 미립자는 일본 Mistubish Metal Chemicsl Co.에서 생산되는 제품을 30%의 고형분으로 물 또는 메탄올에 분산된 졸상태로 구매하여 사용하였다.
(2)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일반적으로 올리고머는 광경화성 조성물의 주성분을 이루는 것으로서, 최종 경화 피복물의 성능을 결정지어 주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올리고머는 에폭시 아크릴레이트, 폴리에테르 아크릴레이트, 폴리에스테르 아크릴레이트 및 우레탄 변성 아크릴레이트가 있으며, 각각의 특성과 용도에 맞게 오리고머를 선택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의 올리고머가 전 조성물 100 중량부중 10∼20 중량부가 사용되며, 10 중량부 이하로 사용될 경우에는 얻어진 경화 피복의 고무상 탄상이 너무 약해지며 균열이 생기는 반면, 20 중량 이상 사용할 때에는 경화 속도가 늦어지며 내마모성 및 내마찰성에서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
(3) 아크릴레이트 모너머:
본 발명의 피복 조성물을 제조할 때 사용되는 관능성 아크릴레이트 모노머는 분자 중에 3 개 이상의 아크릴로일옥시기 또는 메타크릴로옥시기를 함유하는 다관능성 모노머(a), 1 분자 중에 2 개의 아크릴로일옥시기 또는 메타크릴옥시기를 함유하는 2 관능성 모노머(b), 1 분자 중에 1 개의 아크릴로일 또는 메타클릴로일옥시기를 함유하는 단관능성 모너머(c)를 포함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관능성 아크릴레이트 모너머 중에 다관능성 모너머(a)의 함량이 10∼90 중량부, 1 관능성 모너머(b)의 함량이 10∼70 중량부, 단관능성 모너머(c)의 함량이 10∼90 중량부가 되어야 적절한 내마모성 및 피도체와의 밀착성을 유지할 수 있다. 상기의 관능성 아크릴레이트 모너머의 함량은 전 조성물 중량부 20∼80 중량부가 적당하며, 20 중량부 이하가 사용될 경우 얻어진 피복 조성물의 점성도가 너무 높아 코팅성이 떨어지며, 80 중량부 이상이 사용될 경우 경화 속도가 늦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4) 광중합 개시제:
본 발명의 피복 조성물을 자외선에 노출시켜 쉽게 경화시킬 목적으로 광중합 개시제를 참가하는데, 이러한 광중합 개시제의 구체적인 예로는 1-히드록시시클로헥실페닐케톤, 벤질디메틸케탈, 히드록시디메틸아세토페논, 벤조인. 벤조인메틸에테르, 벤조인에틸에테르, 벤조인이소프로필에테르, 벤조인부틸에테르, 벤질, 벤조페논, 2-히드록시-2-메틸 프로피오페논, 2,2-디에톡시아세토페논, 안트라퀴논, 클로로안트라퀴논, 에틸안트라퀴논, 부틸안트라퀴논, 2-클로로티오크산톤, 알파-클로로메틸나프탈렌, 안트라센 등을 예시 할 수 있으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상기와 같은 광중합 개시제를 피라-디메틸아미노벤조페논, 트리에틸아민, 알킬모노폴린 등과 같은 아민과 일정량 배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광중합 개시제의 비율은 바람직하게는본 발명의 피복 조성물 총 100 중량부당 0.1∼10 중량부 사용된다.
(5) 밀착성 증진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밀착성 증진제는 티타늄이소프록포사이드와 아세틸아세토네이트 각각 10 중량부를 30 분간 상온 반응시킨후 메타크릴옥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20 중량부를 가해 50 ℃에서 1 시간 반응시켜서 제조한다. 위의 반응물을 상온으로 냉각시킨후 메탄올 60 중량부를 가해 안정한 용액을 만든다. 상기의 용액을 밀착성 증진제로 이용할 경우 폴리카보네이트, 폴리부타다디엔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과 같이 경화 피복체와의 부착이 어려운 기재에 뚜렷한 효과를 나타낸다.
(6) 기타 본 발명에 사용된 전도성 미립자와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및 모너머와의 상용성을 증가시켜 주는 상용화제로서, 폴리실록산계 첨가제를 사용한다. 상용화제가 결여되어 있을 경우 상기의 전도성 미립자는 극히 제한된 종류의 아크릴레이트 화합물, 즉 -OH 관능기를 갖고 있는 HEA(Hydroxy Ethyl Acrylate), 2-(Hydroxy Propyl Acrylate), PETA(PentaEritritol TriAcrylate) 등에 대해서만 상용성을 갖게된다. 상용성이 충분해야 미립자의 분산 상태를 잘 유지시켜 조성물의 저장 안정성을 개선시키며, 피막 형성시 상분리에 의한 피막의 균열을 방지하고, 전도성 미립자의 밀집성을 증가시켜 표면 저항을 낮추어 주게된다. 따라서 상용화제가 결여된 조성물은 대전방지 특성, 피막 형성성 및 저장 안정성이 좋지 않게되어 피막 형성 조성물로서의 가치가 제한 된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본 발명에 사용하는 피복 조성물에는 필요에 따라 적당한 양의 용매, 레벨링제, 슬리핑제, 중합 억제제 등의 첨가제를 전 조성물 중량당 5 중량부 이하의 범위에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과 같은 성분들을 특정 조성비로 사용하여 제조한 광경화형 피복 조성물로 수지의 성형품에 도포한 후 자외선을 이용하여 경화 시켰을 때 대전방지 특성, 내마모성, 내수성, 내용제성, 표면 평활성 및 기재 밀착성이 극히 우수한 피복막을 얻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전도성 미립자, 아크릴레이트계 올리고머, 관능성 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 방향족 케톤류의 광중합 개시제 및 상용화제와 몇 가지 첨가제로 이루어진 조성물을 특정 조건에서 일정한 두께 범위를 갖는 가교 경화 피막으로 형성시킴으로서 상기 서술한 우수한 물성을 얻었다. 즉 본 발명은 (가)전도성 미립자 졸 10∼50 중량부, (나)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10∼20 중량부, (다) 관능성 아크릴레이트 모너머 20∼80 중량부, (라) 방향족 케톤류 광중합 개시제 0.1∼10 중량부, (마) 폴리실록산계의 상용화제 0.1∼5 중량부, 및 (바) 티타늄계 밀착성 증진제 1∼10 중량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경화형 피복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피복 조성물은 특정 유기 용제와 혼합하여 사용하기도 하는데, 이 경우 조성물 자체의 점도를 일정 수준이하로 낮추어 주기 때문에 플라스틱 성형품의 표면에 실제 도포시킬 때의 도포 작업성, 균일한 피막 형성성 및 표면 평활성 등에 매우 좋은 효과를 부여한다. 뿐만 아니라 가교 경화 피막의 기재에 대한 밀착성을 증대시키는 작용도 갖고 있다. 그러나 혼합 유기 용제를 잘못 선택하였을 경우 오히려 역효과를 가져올 우려가 있다. 상기 용제의 혼합량은 그 사용 목적에 따라 다를 수 있으나 피막 조성물 10∼90 중량부에 대해 90∼10 중량부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내마모성 플라스틱 성형품의 제조에 사용하는 합성 수지 성형품 기재로는 각종 열가소성 및 열경화성 플라스틱 성형품, 예를 들어 ABS, PMMA, PC, PVC 수지 등으로부터 제조한 시트, 필름 및 사출 성형품 등에 사용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피막 조성은 플로우(flowing), 스프레이(spraying), 딥(dipping), 스핀(spinning) 등의 통상적 방법으로 도포 시킬 수 있다. 각각 장단점이 있으며, 플라스틱 성형품의 외부 형태 내지는 사용 용도에 따라 적절히 선택한다. 예를 들어 플라스틱 성형품의 일부에 대전 방지 및 내마모성이 필요한 경우에는 플로우 도포법이 좋고, 표면이 복잡한 성형품에는 스프레이가 좋으며, 표면이 비교적 평탄하고 대칭형인 경우에는 스핀 도포법이, 성형품인 경우에는 딥 도포 방법이 좋다.
합성 수지 성형품의 표면에 형성되어 가교 경화 피막의 두께가 1 μm 미만일 때는 대전방지 특성 및 내마모성이 떨어지고, 30 μm 이상인 경우에는 피막의 미경화가 발생되거나 균열이 생기기 때문에 성형품 자체의 강도가 떨어지는 단점을 초래한다.
본 발명에 사용하는 피복 조성물은 25 ℃에서의 점도를 100 cps 이하로 조절한 경우 내마모성, 표면 평활성, 막 두께의 균일성, 가소성, 내구성, 내수성, 내열성, 내용제성, 기질과의 밀착성 등이 우수하다. 또한 표면에 가교 경화 피막을 형성시킨 후에 적당히 가열하면서 구부리거나 절단하거나 구멍을 뚫거나 절삭하거나 하는 등의 후가공이 가능하며, 이와 같은 처리 후에 사용할 때는 극심한 악조건에 처하는 수가 있으므로 각각 내성을 갖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경우에는 경화 피막 자체의 가소성 및 기질 수지와의 밀착성 등의 특성이 우선 우수해야 하지만 그 다음으로는 경화 피막의 두께 조절 문제가 있다. 즉 두께는 가능한 한 얇은 것이 좋으나 지나치게 얇은 경우에는 대전방지 특성 및 내마모성이 저하되는 결점이 있으므로, 가교 경화 피막의 두께가 5∼20 μm의 범위에 있도록 함이 좋다. 도포된 피막의 가교 경화를 위해서 수은 등의 광원에서 나오는 자외선을 조사하며, 자외선을 조사하는 조건에서는 통상 질소, 탄산가스 등의 불활성 가스를 유지함이 좋지만, 본 발명의 조성물을 사용함으로써 조사 조건 중 산소 함유량이 높은 경우에도 가교 경화 피막을 충분히 형성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해서 제조된 가교 경화 피막을 갖는 합성 수지 성형물은 대전방지 특성, 표면 평활성, 외관, 표면 경도, 내마모성, 내찰상성 및 피도체와의 밀착성이 매우 우수하다. 또한 표면에 형성된 피막이 투명하고 가혹한 조건에서도 피막의 박리, 균열 등이 없으므로 방음벽용 투명시트, 시계용 렌즈, 조명기구 커버, 디스플레이 패널 등에 매우 유용하다.
다음에는 본 발명을 좀 더 상세히 설명하기 위해 실시예를 열거하였으나,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으로만 이해되어져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가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하기 표 1에 표시한 피복 조성물을 제조하여 10 cm × 10 cm 크기의 PC 수지 시편에 스프레이 도포시킨 후, 50 ℃로 유지되어 있는 오븐에서 1 분간 방치하여 기포 및 잔류 용제를 제거시킨다. 300 W/inch의 고압수은 등을 5 초간 조사시켜 성형판의 표면에 가교 경화 피막을 형성시켰으며 피막의 물성을 측정하여 표 1에 나타내었다. 이 경우 사용된 전도성 미립자는 일본 Nissan Chemical Co.에서 제조한 AZO(메탄올 분산, 고형분 30 wt%)이고 상분리 방지를 위한 상용화제로서 Tego(Goldschumidt 社 제품)을 첨가하였다. 또한 밀착성 증진제로서 상기의 티타늄 반응물을 사용하여 다른 물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우수한 부착력을 구현할 수 있었다.
실시예에서 나타낸 물성 측정은 다음과 같은 방법을 취했다.
(1) 내마모성
표면강도 측정 : JIS K5651-1966에 준한 연필 경도
(2) 표면 저항
Hiresta-IP(MCP-HT260 Yuka Denshi Co., Ltd. 제품)을 사용한 500V 인가 시의 측정값
(3) 광투과도
UV Spectrometer 를 사용하여 측정한 200 nm∼800 nm 파장 영역의 빛에 대한 투과도 평균값
(4) 내찰상성 : #000 스틸울에 의한 찰상 시험(10Kg 하중, 5회 왕복)
○ : 표면 손상이 없음
△ : 표면 손상이 약간 있음
× : 표면 손상이 많음
(5) 밀착성 : 가교 경화 피막에 대한 크로스 커트 셀로테이프 (Cross Cut Cellotape) 박리시험
즉 피막에 1mm 간격으로 기질에 달하는 피막 절단선을 가로 세로 각각 11매 넣어서 1mm2의 눈수를 100개 만들어 그 위에 셀로테이프를 붙이고 급격히 떼어 낸다. 이 조작을 3회 반복 실시한다.
○ : 가교 경화 피막의 박리가 없음
△ : 박리눈 수가 1-50 인 경우
× : 박리눈수가 51-100 인 경우
(6) 내수성 및 내용제성 : 일정 크기의 플라스틱 성형품 기재에 가교 경화 피막을 형성시킨 후 40 ℃의 물, 에틸알콜, 아이소프로필알콜, 5% 염수에 각각 침지시킨다. 48 시간 경과 후 관찰한다.
○ : 박리 및 크랙이 전혀 없음
△ : 약간의 크랙이 발생
× : 박리 및 크랙이 많이 발생
(7) 표면 평활성 : 경화된 후의 피막 평활성 정도를 외관으로 관찰
○ : 표면이 경면(鏡面)에 준할 정도로 대단히 양호
△ : 표면에 약간 흐트러짐이 있다.
× : 표면에 주름이 많이 있다.
비교예 1
경화 피복체의 매트릭스로서 전도성 미립자와 상용성이 있는 PETA, 3-HEA 만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와 같은 방법으로 도포시키고 경화시킨후 물성을 측정하였다. 이 경우 피복 형성은 잘 되었으나 내마모성을 부여하는 다관능성 아크릴레이트의 부재로 내마모 및 내찰상성이 떨어짐을 알 수 있었다.
비교예 2
상용화제를 첨가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와 같은 방법으로 도포시키고 경화시킨후 물성을 측정하였다. 이 경우 전도성 미립자와 아크릴레이트와의 상용성이 현저히 떨어져 피복 형성시 상분리 현상에 의한 막균열 현상이 관찰되었다.
비교예 3
밀착성 증진제로 티타늄 반응물을 첨가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에서와 같은 방법으로 도포시키고 경화시킨후 물성을 측정하였다. 이 경우 PC에 대한 피복체의 부착성이 현저히 떨어졌으며 내용제성도 좋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비교예 4
전도성 미립자와 상용성이 있는 PETA 및 2-HEA를 사용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와 같은 방법으로 도포시키고 경화시킨후 물성을 측정하였다. 다른 물성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광투과도가 실시예보다 떨어졌다.
실시예 및 비교예의 조성비
화 합 물 실시예 조 성 비 (중 량 부)
비 교 예
1 2 3 4
전도성 미립자 AZO 30 30 30 30 30
아크릴레이트올리고머 EB-1259 10 10 10 10
육관능성 모노머 디펜타에리트리톨헥사아크릴레이트 30 30 30 30
삼관능성 모노머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아크릴레이트 15 55 15 15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아크릴레이트 15 15 15 35
단관능성 모노머 2-히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 10 25 10 10
광중합 개세제 1-히드록시시클로헥실페닐케톤 5 5 5 5 5
부착성 증진제 티타늄 반응물 5 5 5 5
상 용 화 제 Tego-400 0.2 0.2 0.2 0.2
메 탄 올 80 80 80 80 80
실시예와 비교예의 물성 측정 결과
실 시 예 비 교 예
1 2 3 4
피막 형성성 ×
표면 경도 6H 4H 6H 6H 6H
표면 저항 (Ω/v) 3 × 108 5 × 108 N/A 8 × 108 3 × 108
내 찰 상 성 ×
밀 착 성 ×
표면 평활성 ×
내 수 성
내 용 제 성
광 투 과 도(%) >90 >90 <50 >90 <85

Claims (7)

  1. a) 안티몬이 도핑된 산화주석, 인듐이 도핑된 산화 주석, 및 안티몬이 도핑된 산화아민을 함유하는 전도성 미립자 10∼50 중량부;
    b)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10∼20 중량부;
    c) 3 관능성, 2관능성, 및 단 관능성 아크릴레이트 모노머 혼합물 20∼80 중 량부;
    d) 방향족 케톤류 광중합 개시제 0.1∼10 중량부; 및
    e) 밀착성 증진제 1∼10 중량부
    를 포함하는, 25 ℃에서의 점도가 100 cps 이하인 대전 방지 특성 및 내 마모성이 개선된 자외선경화형 아크릴계 피복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전도성 미립자의 평균 입자 직경이 5 내지 400 nm이고, 입자의 60% 이상이 10 nm 이하인 자외선 경화형 피복 조형물.
  3. 제 1항에 있어서,
    아크릴레이트 모노머중 다관능성 모노머: 이관능성 모노머: 단관능성 모노머의 함량비가 10∼90 : 10∼70 : 10∼90인 자외선 경화형 피복 조성물.
  4. 제 1항에 있어서,
    광중합 개시제가 파라-디메틸 아미노 벤조페놀, 트리에틸 아민, 또는 알킬 모노폴린을 추가로 포함하는 자외선 경화형 피복조성물.
  5. 제 1항에 있어서,
    밀착성 증진제가 티타늄이소프록포사이드와 아세틸아세토네이트의 부분 가수 분해물과 메타크릴옥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의 반응물인 자외선 경화형 피복 조성물.
  6. 제 1항에 있어서,
    상용화제로서 폴리실록산계 화합물 0.1∼5 중량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자외선 경화형 피복 조성물.
  7. a) 평균입자 직경이 5 내지 400 nm이고, 전체입자 60% 이상이 10 nm이하인 안티몬이 도핑된 산화 주석, 인듐이 도핑된 산화 주석, 및 안티몬이 도핑 된 산화 아연을 함유하는 전도성 미립자 10∼50 중량부;
    b)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10∼20 중량부;
    c) 다관능성 모노머: 이관능성 모너머: 단관는성 모노머의 함량비가 10∼90 : 10∼70 : 10∼90인 관능성 아크릴레이트 모노머 혼합 20∼80 중량부;
    d) 파라-디메틸 아미노 벤조페놀, 트리에틸 아민, 또는 알킬 모노폴린을 포함 하는 방향족 케톤류 광중합 개시제 1∼10 중량부; 및
    e) 티타늄이소프록포사이드와 아세틸아세토네이트의 부분 가수 분해물과 메 타크릴옥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의 반응물을 포함하는 밀착성 증진제 1 ∼10 중량부
    를 포함하는, 25 ℃에서의 점도가 100 cps 이하인, 대전 방지 특성 및 내마모성이 개선된 자외선 경화형 아크릴계 피복 조성물.
KR1019970062233A 1997-11-22 1997-11-22 대전 방지 특성 및 내마모성이 우수한 광경화형 아크릴계 피복조성물 Expired - Lifetime KR1002460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62233A KR100246036B1 (ko) 1997-11-22 1997-11-22 대전 방지 특성 및 내마모성이 우수한 광경화형 아크릴계 피복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62233A KR100246036B1 (ko) 1997-11-22 1997-11-22 대전 방지 특성 및 내마모성이 우수한 광경화형 아크릴계 피복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41619A KR19990041619A (ko) 1999-06-15
KR100246036B1 true KR100246036B1 (ko) 2000-04-01

Family

ID=195253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62233A Expired - Lifetime KR100246036B1 (ko) 1997-11-22 1997-11-22 대전 방지 특성 및 내마모성이 우수한 광경화형 아크릴계 피복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4603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73207B1 (ko) * 1999-04-20 2003-02-25 주식회사 엘지화학 광경화형 대전방지 및 내마모성 코팅 조성물
KR100383086B1 (ko) * 1998-09-08 2003-08-21 주식회사 엘지화학 대전방지특성및피도체와의부착력이우수한자외선경화형피복조성물
EP2080792A2 (en) 2008-01-17 2009-07-22 Chae-Ho Kim Water soluble photo-curable antistatic composition with improved wear resistance and high transparency, and conductive hard tile flooring material coated with the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6206B1 (ko) * 1999-12-30 2007-01-09 주식회사 케이씨씨 무용제 에폭시 대전방지용 바닥재 피막조성물
KR100813953B1 (ko) * 2002-04-22 2008-03-14 삼성전자주식회사 대전방지성을 갖는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
KR100579007B1 (ko) * 2003-08-13 2006-05-12 주식회사 루밴틱스 대전 방지 특성을 가진 광섬유 코팅용 광경화형 고분자수지 조성물
KR101493359B1 (ko) * 2012-04-25 2015-02-16 주식회사 하이퍼엠 자외선 경화형 도료와 이를 이용한 멤브레인 데코시트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83086B1 (ko) * 1998-09-08 2003-08-21 주식회사 엘지화학 대전방지특성및피도체와의부착력이우수한자외선경화형피복조성물
KR100373207B1 (ko) * 1999-04-20 2003-02-25 주식회사 엘지화학 광경화형 대전방지 및 내마모성 코팅 조성물
EP2080792A2 (en) 2008-01-17 2009-07-22 Chae-Ho Kim Water soluble photo-curable antistatic composition with improved wear resistance and high transparency, and conductive hard tile flooring material coated with the same
DE102008019623A1 (de) 2008-01-17 2009-07-23 Kim, Chae-Ho, Gwacheon Wasserlösliche Photohärtbare antistatische Zusammensetzung mit verbesserter Verschleissfestigkeit und hoher Transparenz und leitfähiges hartes Fussbodenplattenmaterial, das mit demselben beschichtet is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41619A (ko) 1999-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640911B (zh) 硬涂膜
TWI534001B (zh) 硬塗膜
WO2003097724A1 (fr) Film de protection pour surface d'afficheur
CN103804969A (zh) 活性能量射线固化性组合物、其固化物及具有其固化涂膜的物品
KR20080061703A (ko) 하드코팅용 조성물
KR20050074585A (ko) 디스플레이 소자용 광학 필름
JP2002067238A (ja) 放射線硬化型樹脂組成物の硬化皮膜を有するフィルム
JP2017206699A (ja) ハードコーティング組成物及びこれを用いたハードコーティングフィルム
JP2010260905A (ja) 光硬化性組成物
JP7024729B2 (ja) 活性エネルギー線硬化型樹脂組成物及び積層フィルム
JP2009287017A (ja) 活性エネルギー線硬化性樹脂組成物、硬化物及び物品
JP2000080169A (ja) 活性エネルギ―線硬化性被覆組成物
KR100246036B1 (ko) 대전 방지 특성 및 내마모성이 우수한 광경화형 아크릴계 피복조성물
JP2003306619A (ja) ハードコート剤用感光性樹脂組成物及びその硬化皮膜を有するフィルム
TW201323205A (zh) 光學膜、包括其的背光單元和包括其的光學顯示設備
JP2001113648A (ja) 放射線硬化型樹脂組成物の硬化皮膜を有するフィルム
CN100495302C (zh) 笔输入装置用表面材料和笔输入装置
KR100383086B1 (ko) 대전방지특성및피도체와의부착력이우수한자외선경화형피복조성물
JP2001113649A (ja) 放射線硬化型樹脂組成物の硬化皮膜を有するフィルム
JP3066159B2 (ja) ハードコート形成用組成物
CN107400389A (zh) 硬涂层组合物及使用硬涂层组合物的硬涂膜
JP2015113415A (ja) 硬化性樹脂組成物、及び該組成物の硬化物が積層された積層体
KR100373207B1 (ko) 광경화형 대전방지 및 내마모성 코팅 조성물
WO2003055950A1 (fr) Composition de revetement et film a revetement dur antistatique
KR100400525B1 (ko) 내마모성이우수한광경화성아크릴계피복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71122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71122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199907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9102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9120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1999120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2112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3091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101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0928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0921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1017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1017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1019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929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1007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11

Year of fee payment: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1011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18

Year of fee payment: 1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1018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17

Year of fee payment: 1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1017

Start annual number: 16

End annual number: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3

Year of fee payment: 1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923

Start annual number: 17

End annual number: 1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8

Year of fee payment: 1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928

Start annual number: 18

End annual number: 18

EXPY Expiration of term
PC1801 Expiration of term

Termination date: 20180522

Termination category: Expiration of du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