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245486B1 - 디스크 패키지 - Google Patents

디스크 패키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45486B1
KR100245486B1 KR1019970048886A KR19970048886A KR100245486B1 KR 100245486 B1 KR100245486 B1 KR 100245486B1 KR 1019970048886 A KR1019970048886 A KR 1019970048886A KR 19970048886 A KR19970048886 A KR 19970048886A KR 100245486 B1 KR100245486 B1 KR 1002454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k
tray
case
lock
pack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488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24983A (ko
Inventor
다쓰마로 야마시따
겐지 아베
Original Assignee
가타오카 마사타카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타오카 마사타카,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가타오카 마사타카
Publication of KR199800249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249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454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454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7/00Guid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3/00Record carriers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Accessories, e.g. 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co-operation with the recording or reproducing apparatus ; Intermediate medium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ir manufacture
    • G11B23/02Containers; Storing means both adapted to cooperate with the recording or reproducing means
    • G11B23/03Containers for flat record carriers
    • G11B23/032Containers for flat record carriers for rigid discs
    • G11B23/0323Containers for flat record carriers for rigid discs for disc-pack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3/00Record carriers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Accessories, e.g. 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co-operation with the recording or reproducing apparatus ; Intermediate medium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ir manufacture
    • G11B23/02Containers; Storing means both adapted to cooperate with the recording or reproducing means
    • G11B23/03Containers for flat record carriers
    • G11B23/0301Details
    • G11B23/031Indicating means, e.g. sticker, bar code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7/00Guid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 G11B17/22Guid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from random access magazine of disc records
    • G11B17/30Guid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from random access magazine of disc records wherein the playing unit is moved according to the location of the selected record

Landscapes

  • Automatic Disk Changers (AREA)
  • Feeding And Guiding Record Carriers (AREA)

Abstract

종래의 디스크 장치는, 디스크를 단체 (單體)로 장진하는 것 또는 동일한 종류의 디스크를 복수 매 장진하는 것이 주(主) 이며, 상이한 디스크를 함께 장진하는 것은 없으며, 또 RAM 계 디스크 등과 같이 이물질에 약한 것을 확실히 보호할 수 없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구체적 수단으로서,
디스크 장치에 장진되는 디스크 패키지에 복수의 트레이가 설치되어, 각 트레이에는 종별이 상이한 디스크가 놓여진다. 패키지 내에는 모든 트레이를 로크하는 제 1 로크 기구가 설치되며, 이 로크 기구는 수동 조작에 의해 로크 해제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 제 2 로크 기구 (L2) 에서는 RAM 계 디스크 등이 놓여진 트레이 (Ta) 만을 로크할 수 있게 되어 있고, RAM 계 디스크 등이 빼내어지지 않도록 되어 있다. 단, 상기 트레이 (Ta) 의 걸림부 (51) 를 변형시키면 트레이 (Ta) 가 빼내기 가능해진다.

Description

디스크 패키지
본 발명은 퍼스널 컴퓨터 또는 오디오 장치 등에 설치된 디스크 장치에 장진되는 것으로, CD, CD-ROM, DVD, PD 등의 종별이 상이한 디스크가 혼재하여 수납되는 디스크 패키지에 관한것이다.
광디스크 미디어로서는 여러 가지의 것이 제안되어 있다. 피트 변조 방식의 것으로 CD (Compact Disk), CD-ROM (CD Read Only Memory) 및, 1 회만의 기록이 가능한 CD-R (CD·Rewritable) 이 있다. 상변화형의 기록/재생이 가능한 것으로는 PD (Power Disk), 광자기 방식의 기록/재생이 가능한 것으로 MO (Magneto·Optical Memory), HS (Hyper Strage) 가 있다. 또 오디오나 비디오 그리고 컴퓨터 데이터용의 대용량 디스크로서 비트 변조 방식의 DVD-ROM (Digital Versatile Disk), 상변화형의 기록/재생이 가능한 DVD-RAM (DVD·Random Access Memory) 이 있다. 또 오디오용이나 컴퓨터용의 소형 디스크로서 광자기 방식으로 기록/재생이 가능한 MD (Mini Disk) 가 있다.
상기 디스크를 구동하는 디스크 장치로는, 상기 어느 한 디스크가 1 매 장진되는 방식인 것, 또는 예를 들면 CD 체인저 등과 같이 동종의 디스크가 복수 매 장진되어 이 디스크 중의 어느 하나가 선택되어 구동되는 것이 있다.
또한, 최근에는 CD 와 DVD 의 쌍방을 구동 가능한 디스크 구동 수단을 갖고, CD 와 DVD 의 쌍방의 장진에 대응할 수 있는 디스크 장치도 제안되고 있다.
그러나 종류가 상이한 디스크에 대응할 수 있는 디스크 장치로서는, CD 또는 DVD 를 개별적으로 1 매씩 장진하는 것이 주 (主) 이며, 종별이 상이한 디스크를 동시에 장진할 수 있는 것은 고려되지 않았다. 특히 CD 또는 CD-ROM 과 DVD-RAM 의 조합, 혹은 DVD-ROM 과 DVD-RAM 의 조합과 같이, 재생 전용 디스크와 기록 가능한 디스크의 쌍방을 동일 디스크 장치에 동시에 장진할 수 있도록 한다는 조합은 생각되지 않았다. 금후의 광 디스크 미디어 이용의 다양성, 즉 컴퓨터 소프트의 다양화와, 요구되는 데이터의 대용량화를 고려하면, 종별이 상이한 디스크를 동시에 장진 할 수 있도록 한 디스크 장치의 출현이 요망된다.
여기에서, 종래의 CD 체인저에서는 매거진 내로 인출이 자유로운 복수의 트레이가 설치되어 각각의 트레이에 디스크가 올려지고, 디스크 장치 내에 매거진이 장진되면 매거진내의 어느 한 트레이가 선택되어 인출되는 것이 있다. 그러나 종래의 것은, 디스크 장치로부터 매거진이 빼내어진 상태에서, 매거진 내의 트레이가 탈락하지 않도록 각 트레이를 스프링 등으로 가볍게 유지하고 있을 뿐이라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매거진을 손으로 잡고 있을 때에 매거진에 충격이 가해지면, 내부에 있는 트레이가 부지간에 케이스 밖으로 튀어 나오고, 또한 트레이로부터 디스크가 낙하하는 문제가 일어나기 쉽게 된다.
또 CD 나 VD-ROM 또는 DVD-ROM 등의 재생 전용 디스크의 경우는, 광 헤드가 대향하는 판독면에 손가락 등이 닿아도 판독 정밀도에 지장을 초래하는 일이 적지만, DVD-RAM 이나 PD 등의 기록 가능한 디스크에서는, 디스크 표면의 조그만 이물질이 신호 기록에 영향을 준다. 따라서 기록 가능한 디스크는 재생 전용의 디스크보다도 신중하게 다룰 필요가 있다. 그러나 종래의 디스크 장치에서는, 기록 가능한 디스크의 보호를 고려한 것은 없었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요망에 대응할 수 있는 것으로서, 종별이 상이한 디스크가 동일 케이스 내에 수납되도록 함과 동시에, 장치 본체로부터 빼내었을 때에 케이스 내에서 매거진이 놓여진 트레이가 확실히 로크되고, 또 RAM 계 디스크 등의 소정 디스크가 놓여진 트레이만은 손으로 빼낼 수 없게 하여, RAM 계 디스크 등의 보호가 가능하도록 한 디스크 패키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디스크 장치의 평단면도.
도 2 는 도 1 에 나타내는 디스크 장치의 종단면도.
도 3 은 디스크 장치에 장진되는 디스크 패키지의 평단면도.
도 4 는 도 3 에 나타내는 디스크 패키지의 종단면도.
도 5 는 디스크 패키지의 저면도.
도 6 은 디스크 패키지의 케이스에 설치된 식별 수단 및 이것에 액세스하는 검출 수단을 나타내는 것으로서, (A) 는 도 5 의 Ⅵ-Ⅵ 선의 확대 단면도, (B) 는 그 회로도.
도 7 은 디스크 패키지 내의 각각의 트레이에 설치된 식별 수단 및 이것에 액세스하는 검출 수단을 나타내는 것으로서, (A) 는 부분 사시도, (B) 는 부분 평면도.
도 8 은 디스크 패키지에 설치된 제 1 로크 기구를 나타내는 부분 평단면도.
도 9 는 도 8 의 종단면도.
도 10 은 디스크 패키지에 설치된 제 2 로크 기구를 나타내는 부분 분해 사시도.
도 11 (A), (B) 는 제 2 로크 기구와 RAM 계 디스크가 놓여진 트레이의 관계를 상태 별로 나타내는 부분 확대 평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A : 케이스체 B : 장진 영역
C : 디스크 구동 영역 D : 디스크
E : 디스크 구동 수단 E1 : 구동 베이스
L1 : 제 1 로크 기구 L2 : 제 2 로크 기구
P : 디스크 패키지 T : 트레이
T 7 : 후크 T8 : 걸림 돌기
Ta : RAM 계 디스크용 트레이 To : ROM 계 디스크용 트레이
1 : 케이스 1a : 개구부
3a, 3c : 가이드 홈 4a, 4b : 로크 홈
5 : 안내 돌기 10 : 선택 이동 베이스
11 : 턴 테이블 12 : 스핀들 모터
13 : 광 헤드 13a : 대물 렌즈
18 : 인출 레버 (인출 수단) 20 : 케이스에 설치되는 식별 수단
21 : 점퍼카드 22a, 22b, 22c, 22d : 식별 구멍
23 : 검출 수단 24a, 24b, 24c, 24d : 검출 핀
30 : 트레이에 설치되는 식별 수단
31 : 식별 구멍 32 : 검출 수단
33 : 포토리플렉터 34 : 반사 시트
41 : 로크 축 41b : 소경축 (로크 해제 조작부)
42 : 로크 돌기 43 : 비틀림 코일 스프링
45 : 로크 해제 레버 51 : 돌출부
51a : 걸림면 52 : 변형 가능한 박육부 (薄肉部)
53 : 분리 가능한 박육부 54 : 구멍
56 : 로크부재 56a : 로크부
56b : 비(非)로크부 58 : 로크 해제 부재
본 발명의 디스크 패키지는, 장치 본체에 장진 가능한 케이스와, 2 종류 이상의 종별이 상이한 복수 매의 디스크가 각각 올려 지며, 또 개별적으로 케이스 밖으로 인출 가능하게 상기 케이스 내에 수납된 복수의 트레이와, 상기 복수의 트레이 중의 소정 디스크가 놓여지는 트레이에만 형성된 걸림부와, 케이스 내의 모든 트레이를 로크하는 제 1 로크 기구와, 장치 본체로부터 빼내어진 상태에서 상기 제 1 로크 기구의 로크를 해제할 수 있는 로크 해제 조작부와, 상기 걸림부와 걸려서 소정의 디스크가 놓여진 트레이만을 로크하고 그밖의 트레이는 로크하지 않는 제 2 로크 기구를 갖고, 상기 걸림부는 케이스 밖으로부터의 조작에 의해 제 2 로크 기구에 걸리지 않은 상태로 변형 가능하게 되며, 또 상기 제 1 로크 기구와 제 2 로크 기구는, 모두 장치 본체측에 장진된 시점에서 로크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에서, 상기 걸림부가 형성된 트레이에 올려 놓여지는 것은 기록 가능한 디스크이고, 이 걸림부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트레이에 올려 놓여지는 디스크를 재생 전용 디스크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디스크 패키지는, CD 와 DVD-RAM, CD-ROM 과 DVD-RAM 등과 같이, 적어도 2 종류 이상의 디스크가 케이스 내의 미리 정해진 위치에 수납된 상태로 사용되고, 바람직하게는 미리 정해진 위치에 디스크가 수납된 패키지로서 시장에 제공된다. 혹은, 상기 제 1 과 제 2 로크 기구를 갖는 케이스 및 트레이로 이루어지고 디스크가 수납되어 있지 않는 것이 시판되어 각 트레이에 대해 유저가 디스크를 올려 놓는 경우도 있다. 본 발명의 디스크 패키지는 이처럼 케이스와 트레이만의 조합인 것도 포함된다.
하나의 패키지 내의 디스크 데이터의 조합은, 컴퓨터용 오퍼레이션 시스템과 복수 종류의 어플리케이션 소프트의 조합, 음악 데이터와 영상 데이터의 조합, 각종 게임 소프트의 조합, 백과사전 등에 상당하는 각종 자료가 기록된 것의 조합 등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동일한 패키지 내에 재생 전용 디스크 (ROM 계 디스크) 와 기록 가능한 디스크 (RAM 계 디스크) 가 혼재된 것이 된다. 이 ROM 과 RAM 이 혼재된 패키지에서는, 시판 소프트와 스스로가 편집 등을 한 데이터 또는 소프트의 쌍방을 사용 가능한 개인 라이브러리형 기억장치로서 사용 가능해 진다.
본 발명의 디스크 패키지에서는, 먼저 케이스 내에 수납된 모든 트레이를 빼낼 수 없게 확실히 고정 로크하는 제 1 로크 기구가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디스크 패키지가 디스크 장치로부터 빼내어졌을 때, 케이스에 충격을 주어도 내부의 트레이가 갑자기 튀어나오는 일이 없어, 모든 디스크를 보호할 수 있다.
디스크 패키지가 디스크 장치로부터 빼내져 있는 상태에서, 로크 해제 조작부를 조작하여 상기 제 1 로크 기구에 의한 로크를 해제하면, 각 트레이가 인출 가능해지는데, 이 때 제 2 로크 기구에 의해 소정의 디스크가 올려진 트레이는 빼내어지지 않게 해 둔다. 빼내기 불가능한 트레이에 올려진 소정의 디스크는, 예를 들면 컴퓨터 소프트인 경우에는 교환할 필요가 없는 오퍼레이션 시스템이나 기본 프로그램이 격납된 디스크이며, 빼내기 가능한 트레이에 올려진 디스크는 어플리케이션 소프트가 격납된 디스크 등이다. 이렇게 구성하면, 잘못해서 오퍼레이션 시스템이나 기본 프로그램이 교환되어 컴퓨터의 시동이 불가능해지거나 하는 등의 문제가 없어진다. 또는 빼내기 불가능한 트레이에 RAM 계 디스크를 올려 놓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구성함으로써 RAM 계 디스크에 손이 닿아 디스크 표면을 더럽히는 등의 문제가 없어진다.
또 본 발명에서는 빼내기 불가능한 트레이에 걸림부가 설치되어, 이 걸림부가 제 2 로크 기구와 걸리게 하고, 또 이 걸림부를 변형시켰을 때, 이 트레이를 케이스 밖으로 빼내기 가능하게 하고 있다. 그럼으로써 필요에 따라 본래는 빼내기 불가능하게 해야 하는 디스크를 케이스 밖으로 빼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걸림부를 변형시킨 트레이는 제 2 로크 기구에 의한 로크가 불가능해지기 때문에 계속해서 이 트레이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이 트레이에 ROM 계 디스크 등과 같이 교환을 상정한 디스크를 올려둔다.
또 제 2 로크 기구에 의해 로크되는 트레이와 로크되지 않은 트레이 형상의 상이로 인해, 장치 본체측에서 트레이의 식별을 할 수 있도록 해 두면, 장치 본체측에서 트레이의 종별을 용이하게 판별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면 소정의 디스크가 올려진 트레이에 형성된 상기 걸림부에 장치 본체 내측으로부터 검출 가능한 식별 수단이 설치되어 있다. 이 식별 수단은 예를 들면 반사면이며 장치 본체측으로부터 이 반사면의 유무를 검지함으로써 트레이의 식별이 가능해진다.
또 제 2 로크 기구는 케이스의 작은 구멍에 노출시키는 등 하여 용이하게 로크 해제 조작할 수 없도록 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럼으로써 디스크 패키지가 디스크 장치로부터 빼내어져 있을 때 빼내기를 금지하고 있는 트레이가 잘못하여 꺼내지는 일이 없어진다.
또 본 발명의 디스크 패키지가 장진되는 디스크 장치는 상기 디스크 패키지가 장진되었을 때에 상기 제 1 로크 기구와 제 2 로크 기구의 로크를 해제하는 로크 해제 부재와, 로크 해제된 트레이의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케이스로부터 꺼내는 꺼내기 수단과, 꺼내진 디스크를 구동하는 디스크 구동수단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제 2 로크 기구에 걸렸는지 아닌지의 트레이 형상의 상이를 장치 본체측으로부터 검지하여 기록 가능한 디스크가 올려져 있는 트레이와, 재생 전용 디스크가 올려져 있는 트레이와의 식별을 행하는 검출 수단이 설치되어 있는 것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 은 디스크 패키지가 장진되는 디스크 장치의 일례를 나타내는 평단면도, 도 2 는 도 1 의 종단면도, 도 3 은 디스크 패키지의 평단면도, 도 4 는 도 3 의 디스크 패키지의 종단면도, 도 5 는 디스크 패키지의 저면도이다. 또 도 6 이하는 디스크 패키지 및 디스크 장치의 세부를 개별로 나타내는 것이다.
(디스크 패키지의 개요)
도 1 과 도 2 에 나타내는 디스크 장치는, 케이스체 (A) 의 평면 형상이 직사각형이고, 케이스체 (A) 의 내부에는 디스크 패키지 (P) 의 장진 영역 (B) 과 디스크 구동 영역 (C) 이 설치되며, 디스크 구동 영역 (C) 에는 디스크 패키지 (P) 내로부터 꺼내진 디스크 (D) 를 구동하는 디스크 구동 수단 (E) 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디스크 패키지 (P) 는 디스크 장치의 케이스체 (A) 내에 대하여 직사각형의 길이 방향의 전방으로부터 도 1 과 도 2 의 X 방향으로 장진된다.
상기 디스크 패키지 (P) 는 직경이 12 ㎝ 인 디스크 및 직경이 8 ㎝ 인 디스크를 복수 매 수납 가능하다. 또 재생 전용의 ROM 계 디스크와 기록이 가능한 RAM 계 디스크의 쌍방이 혼재하여 수납된다. ROM 계 디스크는 CD 나 DVD-ROM 등이고, RAM 계 디스크는 PD 나 DVD-RAM 등이다. 또 직경이 8 ㎝ 인 디스크는 싱글 CD 등이다.
디스크 패키지 (P) 는 합성수지제의 케이스 (1) 를 가지고 있다. 이 케이스 (1) 에는 도 3 과 도 4 의 도시 좌측에 개구부 (1a) 가 형성되며, 이 개구부 (1a) 가 트레이 (T) 및 디스크 (D) 의 인출구로 된다.
케이스 (1) 내부에는 복수 매의 트레이 (T) 가 인출이 자유롭게 수납되어 있다. 도면의 예에서는 케이스 (1) 내에 5 매의 트레이 (T) 를 수납할 수 있다. 케이스 (1) 의 좌측판 (1b) 과 우측판 (1c) 의 내면에는 복수의 수평리브 (도시하지 않음) 가 돌출 형성되어 있고, 각 트레이 (T) 의 좌우 양측 가장자리부가 상기 수평리브의 사이에서 가이드되고 각 트레이 (T) 는 X 방향으로 슬라이딩이 자유롭게 되어 있다.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트레이 (T) 의 일방의 측 가장자리부 (도시 하측의 측 가장자리부) 에서는, 도시의 우단 (右端 )에 규제 돌기 (T1) 가, 도시의 좌단에 규제 돌기 (T2) 가 돌출 형성되고, 케이스 (1) 의 좌측 판 (1b) 의 내면에는 상기 양 규제 돌기 (T1 과 T2) 의 사이에 위치하는 스토퍼 돌기 (1d) 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각 트레이 (T) 의 도시 우측의 가장자리에는 유지 돌기 (T3) 가 일체로 돌출 형성되어 있으며, 케이스 (1) 의 도시 우측의 전면 판 (1e) 의 내측에는 개개의 트레이 (T) 의 유지 돌기 (T3) 를 유지하는 판스프링 (2) 이 설치되어 있다.
도 3 에서 실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트레이 (T) 가 케이스 (1) 의 내부에 수납되어 있는 상태에서, 트레이 (T) 의 유지 돌기 (T3) 가 판스프링 (2) 으로 유지되고 각 트레이 (T) 가 개구부 (1a) 로부터 튀어나오지 않도록 유지되며, 또 흔들림이 방지된다. 상기 트레이 (T) 를 상기 개구부 (1a) 로부터 도시 좌측방향으로 당기면, 유지 돌기 (T3) 가 판스프링 (2) 으로부터 빠져 트레이 (T) 를 개구부 (1a) 로부터 빼낼 수 있다. 트레이 (T) 가 소정 길이만큼 당겨지면, 트레이 (T) 의 측가장자리부에 형성된 규제 돌기 (T1) 가 케이스 (1) 의 상기 스토퍼 돌기 (1d) 에 닿아, 그 위치가 트레이 (T) 가 가장 많이 꺼내어진 위치로 된다.
도 3 에서는, 케이스 (1) 로부터 가장 많이 꺼내진 상태의 트레이 (T) 를 쇄선으로 나타내고, 도 4 에서는 위로부터 4 단째의 트레이 (T) 가 꺼내진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또 케이스 (1) 내로부터 트레이 (T) 를 강제적으로 꺼내면, 규제 돌기 (T1) 가 형성되어 있는 부분이 탄성변형되어, 규제 돌기 (T1) 가 스토퍼 돌기 (1d) 를 타넘어 트레이 (T) 를 케이스 (1) 의 외방으로 꺼낼 수 있다.
도 3 에 나타내는 각 트레이 (T) 의 상면에는, 직경이 12 ㎝ 인 디스크를 올려 놓을 수 있는 오목부 (T4) 가 형성되고, 이 오목부 (T4) 의 중심부에는 디스크 (D) 의 중심구멍이 하방으로 노출할 수 있는 반원구멍 (T5) 이 관통하여 형성되어 있다. 또 트레이 (T) 의 도시 좌측의 부분은 상기 반원구멍 (T5) 으로부터 연속한 원호형의 결손부 (T6) 가 형성되어 있다. 트레이 (T) 가 도 3 에서 쇄선으로 나타내는 위치까지 꺼내지면, 꺼내진 트레이 (T) 의 상기 오목부 (T4) 내에 설치되어 있는 디스크 (D) 의 가장자리부가 그 위에 위치하는 트레이 (T) 의 상기 결손부 (T6) 의 외측에 위치한다. 따라서 트레이 (T) 가 도 3 에서 쇄선으로 나타내는 위치까지 꺼내진 상태에서 그 위의 디스크 (D) 를 트레이 (T) 로부터 조금 들어올려서 회전구동시켜도 디스크 (D) 가 그 위에 위치하는 트레이 (T) 와 닿는 일이 없다. 즉, 이 예에서는 트레이 (T) 는 디스크 (D) 의 중심구멍이 케이스 (1) 의 밖으로 나간 위치까지 꺼내져, 이 트레이 (T) 상의 디스크 (D) 는 그 일부가 케이스 (1) 내에 위치한 상태에서 회전구동 가능해진다.
또 직경이 8 ㎝ 인 소경 (小徑) 디스크를 사용할 때에는, 소경의 디스크 전용 트레이 (T) 가 케이스 (1) 내의 어느 한 단에 수납된다. 이 트레이는 그 상면에 형성된 오목부 (T4) 의 직경이 8 ㎝ 인 디스크에 대응하는 크기로 되어 있고, 그 이외의 구조는 12 ㎝ 의 디스크용 트레이와 동일하다.
또한, 각 트레이 (T) 의 도시 좌측의 측방에는, 장치 본체측으로부터 트레이 (T) 에 대하여 인출력을 주기 위한 후크 (T7) 가 설치되어 있다.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디스크 패키지 (P) 의 케이스 (1) 의 저판 (1f) 에는, X 방향으로 신장하는 가이드 홈 (3a) 이 형성되어 있고, 도 1 및 도 2 에 나타내는 디스크 장치의 장진 영역 (B) 의 저부에는 상기 가이드 홈 (3a) 이 거의 간극이 없이 슬라이딩하는 안내 돌기 (5) 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장진 영역 (B) 에 대하여 디스크 패키지 (P) 가 X 방향으로 삽입되면, 저판 (1f) 에 형성된 가이드 홈 (3a) 이 안내 돌기 (5) 에 끼워 맞춰지고, 가이드 홈 (3a) 이 안내 돌기 (5) 를 슬라이딩한다. 그리고 X 방향으로 연장된 가이드 홈 (3a) 의 종단 (3b) 이 안내 돌기 (5) 와 맞닿은 시점에서 디스크 패키지 (P) 의 삽입 장진이 완료한다. 이 때, 케이스체 (A) 의 장진 영역 (B) 에 설치된 도시하지 않은 로크부재가 상기 가이드 홈 (3a) 에 형성된 로크 홈 (4a) 에 감합, 디스크 패키지 (P) 가 로크된다.
도 1 에 나타내는 디스크 장치는 디스크 패키지 (P) 가 X 방향으로부터 장진되는 것이지만, 디스크 장치로서는 디스크 패키지 (P) 를 Y 방향으로부터 장진하도록 구성할 수 있고, 이 경우도 동일한 디스크 패키지 (P) 를 사용할 수 있다. 즉,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케이스 (1) 의 저판 (1f) 에는 Y 방향으로 신장하는 가이드 홈 (3a) 이 형성되어 있고, 이 가이드 홈 (3a) 의 도중 부분에 로크 홈 (4b) 이 형성되어 있다. 디스크 패키지 (P) 가 Y 방향으로 장진되는 경우에는, Y 방향으로 신장하는 가이드 홈 (3a) 이 장진 영역 (B) 에 설치된 안내 돌기 (5) 를 슬라이딩하게 된다.
(디스크 장치의 구조)
도 1 과 도 2 에 나타내는 디스크 장치의 케이스체 (A) 내의 디스크 구동 영역 (C) 내에는 선택 이동 베이스 (10) 가 설치되어 있다. 케이스체 (A) 내에는 승강 구동기구가 설치되고, 이 승강 구동기구의 구동력에 의해 선택 이동 베이스 (10) 가 트레이 (T) 의 늘어선 방향 (Z 방향) 으로 승강 이동한다. 이 Z 방향으로의 승강 이동 위치를 제어함으로써, 장진된 디스크 패키지 (P) 내의 어느 한 트레이가 선택된다.
이 선택 이동 베이스 (10) 상에 상기 디스크 구동 수단 (E) 이 탑재되어 있다. 이 디스크 구동 수단 (E) 은 구동 베이스 (E1) 상에 디스크 (D) 의 중심구멍 부분을 보유하는 턴 테이블 (11) 과 이 턴 테이블 (11) 을 회전 구동하는 스핀들 모터 (12) 를 갖고 있다. 또 디스크 (D) 의 반경 방향으로 신장하는 가이드 축 (14) 과 이 가이드 축 (14) 과 평행하게 신장하는 구동 스크류 축 (15) 이 설치되어 광 헤드 (13) 의 축받이부 (13b) 가 상기 가이드 축 (14) 에 슬라이딩 자유롭게 지지되고, 광 헤드 (13) 의 암나사부 (13c) 가 구동 스크류 축 (15) 에 나사 결합되어 있다. 광 헤드 (13) 내에는 레이저 다이오드 등의 발광 소자, 디스크로부터의 반사광을 검출하는 수광 소자, 빔 스플리터 등의 광학 소자가 수납되고, 대물 렌즈 (13a) 가 디스크 (D) 의 기록면에 대향하여 설치되어 있다.
상기 광 헤드 (13) 는 CD 나 DVD 와 같이 종별이 상이한 디스크 (D) 의 판독이 가능하게 되어 있는데, 예를 들면 대물 렌즈 (13a) 는 두 개의 초점이 상이한 것이 전환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디스크 구동 수단 (E) 에서는 구동 베이스 (E1) 상에 슬랫 모터 (16) 가 탑재되고, 그 동력이 기어군 (17) 에 의해 상기 구동 스크류 축 (15) 에 전달된다. 이 구동 스크류 축 (15) 의 회전력에 의해 광 헤드 (13) 가 디스크 (D) 의 반경 방향으로 이동한다.
도 1 에 나타내는 디스크 장치는 재생 전용기이지만, 기록을 행하는 것인 경우에는 기록이 가능한 디스크 구동 수단 (E) 이 설치된다. 예를 들면 기록 가능한 디스크 (D) 가 광자기 기록방식인 경우에는 대물 렌즈 (13a) 의 상방에서 디스크 (D) 를 사이에 두고 자기 헤드가 대향한다.
상기 디스크 구동 수단 (E) 을 탑재한 선택 이동 베이스 (10) 는 Z 방향으로 승강 이동하고, 그 승강 이동 위치에 의해 디스크 패키지 (P) 내의 트레이 (T) 가 선택되지만, 다시 선택 이동 베이스 (10) 가 선택한 트레이 (T) 의 전방에 정지한 상태에서 선택 이동 베이스 (10) 상의 상기 구동 베이스 (E1) 가 도 2 에서 실선으로 나타낸 수평 자세와, 파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경사방향으로 회전운동한 자세의 사이에서 회전 구동된다. 도 2 에서는, 선택 이동 베이스 (10) 가 밑으로부터 2 단째의 트레이 (T) 를 선택할 수 있는 위치에 정지하고 있지만, 트레이 (T) 가 꺼내지기 전에 구동 베이스 (E1) 가 파선 상태로 경사하고, 트레이 (T) 가 꺼내진 후에 구동 베이스 (E1) 가 수평 자세로 복귀, 턴 테이블 (11) 이 디스크 (D) 의 중심구멍에 끼워 맞춰진다. 이 때 디스크 (D) 는 트레이 (T) 로부터 약간 들어올려져 상기 턴 테이블 (11) 과 도시하지 않은 클램프 부재로 디스크 (D) 가 클램프되어 회전 구동된다.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선택 이동 베이스 (10) 의 측방에는 인출 수단으로 인출 레버 (18) 가 설치되어 있다. 이 인출 레버 (18) 는 선택 이동 베이스 (10) 와 함께 Z 방향으로 승강 이동하고, 선택 이동 베이스 (10) 에 탑재된 인출 구동 기구에 의해 도시 좌방향으로 구동된다. 선택 이동 베이스 (10) 가 케이스체 (A) 내에서 가장 하방으로 이동하고 있을 때에는 상기 인출 레버 (18) 가 각 트레이의 후크 (T7) 로부터 떨어져 있으나, 선택 이동 베이스 (10) 가 어느 하나의 트레이 (T) 를 선택하는 위치로 상승하면, 인출 레버 (18) 에 형성된 오목부 (18a) 가 선택된 트레이 (T) 의 후크 (T7) 에 끼워맞춤 가능하게 된다. 예를 들면 도 2 에서는 선택 이동 베이스 (10) 가 밑으로부터 2 단째의 트레이 (T) 를 선택 가능한 위치에서 정지하고 있지만, 이 때 인출 레버 (18) 의 오목부 (18a) 는 밑에서부터 2 단째의 트레이 (T) 의 후크 (T7) 에 결합할 수 있는 위치로 이동한다. 이 상태에서 인출 레버 (18) 가 도시의 좌방향으로 구동되면 인출 레버 (18) 에 의해 선택된 트레이 (T) 가 디스크 구동 수단 (E) 내로 꺼내진다.
(디스크 종별의 식별 수단)
상기 디스크 패키지 (P) 내에는 적어도 2 종류 이상의 종별의 상이가 있는 디스크가 수납되는데, 이 디스크의 종별을 식별하는 식별 수단은 디스크 패키지 (P) 측에 설치되어 있다.
먼저 트레이 (T) 는 합성수지 재료로 형성되어 있으나, 트레이 (T) 전체가 착색되어 있고, 게다가 그 위에 놓여지는 디스크의 종별에 따라서 트레이 (T) 가 색 분할되어 있다. 예를 들면 CD 가 올려지는 트레이 (T) 의 색은 「회색」, DVD-ROM 이 올려지는 트레이 (T) 의 색은 「청색」, PD 가 올려지는 트레이 (T) 의 색은 「적색」, DVD-RAM 이 올려지는 트레이 (T) 의 색은 「녹색」등이다. 이 색 분할에 의해 RAM 계의 디스크나 ROM 계의 디스크의 상이를 육안으로 식별할 수 있음과 동시에, 또한 각각의 디스크의 기록 방식의 상이도 육안으로 식별할 수 있게 되어 있다. 혹은 색 분할을 RAM 계 디스크가 올려진 트레이와 ROM 계 디스크가 올려진 트레이의 2 색만으로 해도 된다.
도 3 에 나타내는 디스크 패키지 (P) 에서는, 케이스 (1) 의 개구부 (1a) 측으로부터의 육안으로 각 트레이 (T) 의 색 분할을 인식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 케이스 (1) 의 도시 우측이 되는 면, 즉 장진된 상태에서 디스크 장치의 전방으로부터 보이는 전면판 (1e) 에 창 (1g) 이 개구하고, 이 창 (1g) 에는 투명한 패널이 끼워넣어져 있다. 따라서 디스크 패키지 (P) 가 디스크 장치에 장진된 상태에서, 전방으로부터 전면판 (1e) 에 설치된 창 (1g) 을 보면, 케이스 (1) 내부의 트레이 (T) 의 색 분할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다.
또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디스크 패키지 (P) 의 케이스 (1) 의 저판 (1f) 에는 내부에 수납되어 있는 디스크의 종별을 나타내는 식별 수단 (20) 이 설치되어 있다.
도 6 (A) 는 이 식별 수단 (20) 을 나타내는 도 5 의 Ⅵ-Ⅵ 선의 확대 단면도, 도 6 (B) 는 그 회로도이다.
식별 수단 (20) 은 케이스 (1) 의 저판 (1f) 의 두께가 두꺼운 내부에 매설된 점퍼카드 (21) 와 이 점퍼카드 (21) 로 연이어 통하도록 열리거나 닫히는 4 개의 식별 구멍 (22a, 22b, 22c, 22d) 을 갖고 있다. 장치 본체의 케이스체 (A) 의 장진 영역 (B) 내에는, 상기 식별 수단 (20) 에 액세스하는 검출 수단 (23) 이 설치되어 있고, 이 검출 수단 (23) 은 상기 각 식별구멍 (22a, 22b, 22c, 22d) 에 대응하는 4 개의 검출 핀 (24a, 24b, 24c, 24d) 을 가지고 있다. 디스크 패키지 (P) 가 장진 영역 (B) 내에 장진되면, 각 감출 핀 (24a, 24b, 24c, 24d) 이 케이스 (1) 의 각 식별 구멍 (22a, 22b, 22c, 22d) 에 대응하는 부분에 스프링력으로 탄성 가압된다.
상기 검출 핀 중의 1 개 (24a) 는 그랜드핀 (접지전위의 핀) 이고, 이 검출 핀 (24a) 과 다른 검출 핀 (24b, 24c, 24d) 이 도통하는지 아닌지에 따라 식별 검지가 가능해진다. 먼저, 상기 그랜드핀인 검출 핀 (24a) 은, 식별구멍 (22a) 내에 들어가 점퍼카드 (21) 에 반드시 도통하도록 되어 있으나, 다른 식별 구멍 (22b, 22c, 22d) 은 그 전달 정보에 따라서 개구되어 있거나 닫혀있다. 예를 들면 식별 구멍 (22b) 이 개구되어 있다면 검출핀 (24b) 이 점퍼 카드 (21) 에 접촉하고, 검출 핀 (24a 와 24b) 이 도통한다. 이 상태를 「1」이라고 한다면, 식별 구멍 (22b) 이 닫혀 있으면 검출핀 (24a 와 24b) 이 도통하지 않는 「0 」이다. 그랜드핀용의 식별 구멍 이외의 식별 구멍은 전부 3 개소이므로, 상기 식별 수단 (20) 에 대하여 케이스체 (A) 측 (장치 본체측) 으로부터 액세스하는 검출 수단 (23) 에 의해 3 비트 (8 가지) 의 식별 정보를 얻을 수 있다.
상기 3 비트의 식별 정보에 의해, 예를 들면 디스크 패키지 (P) 내의 어느 단에 수납되어 있는 디스크 (D) 가 RAM 계의 디스크이고 어느 것이 ROM 계 디스크인가 장치 본체측에서 인식할 수 있다. 또 5 매의 디스크의 종별 조합도 장치 본체측에서 인식할 수 있다. 또 상기 식별 구멍의 수를 늘림으로써 더 많은 식별정보를 장치 본체측에서 얻을 수 있다.
또 상기의 수 비트의 식별 정보를 부여하는 식별 수단 (20) 은 점퍼카드 (21) 를 사용하는 것에 한하지 않으며, 예를 들어 케이스 (1) 의 외면에 복수 개의 반사 시트를 설치하고, 장치 본체에는 그 반사면에 빛을 주고 또 반사광을 검출하는 포토리플렉트가 설치되어 상기 반사 시트가 설치되어 있는지 아닌지, 즉 소정 비트의 식별 위치에서 빛이 반사되는지 안되는지에 의해 디스크 패키지 (P) 내의 디스크의 식별 정보를 부여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는 식별 수단 (20) 으로서, 케이스 (1) 에 IC 카드 등의 기억 소자가 매설되어 있고, 케이스체 (A) 측의 접점에 의해 IC 카드 등에 액세스할 수 있도록 해도 된다. IC 카드 등을 사용하면, 케이스 (1) 측에서 보유할 수 있는 정보량이 많아지고, 케이스 (1) 내에 수납되어 있는 디스크의 종별 정보뿐만 아니라, 각 디스크에 기록되어 있는 정보의 목차나 그 외의 TOC 데이터 혹은 그와 유사한 정보를 장치 본체측으로 부여하는 것도 가능해진다.
또 도 7 의 예에서는 케이스 (1) 내에 수납된 각각의 트레이 (T) 에 개별의 식별 수단 (30) 이 설치되어 있다. 도 7 (A) 은 각 트레이 (T) 에 설치된 식별 수단 및 장치측에 설치된 검출 수단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7 (B) 는 그 평면도이다.
상기 식별 수단 (30) 은 각각의 트레이 (T) 의 후크 (T7) 의 부분에 설치되어 있다. 이 식별 수단 (30) 에서는 개개의 트레이 (T) 의 후크 (T7) 에 2 비트의 식별 구멍 (31) 이 설치되어 있다. 또 상기 선택 이동 베이스 (10) 에 탑재된 인출 레버 (18) 에 장치 본체측의 검출 수단 (32) 이 설치되어 있다. 이 검출 수단 (32) 은 오목부 (18a) 를 사이에 둔 일방의 내면에 설치된 2 개의 포토리플렉터 (33) 와, 타방의 내면에 설치된 반사 시트 (반사면) (34) 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식별 구멍 (31) 은 개구하거나 또는 닫혀 있는가에 의해 식별 정보를 부여하는 것이고, 식별 구멍 (31) 이 열려 있을 때는 포토리플렉터 (33) 로부터 발해진 검지 광이 식별 구멍 (31) 내를 통과하고 반사 시트 (34) 에서 반사되어 포토리플렉터 (33) 에서 검지된다. 즉 식별 구멍 (31) 이 열려 있는지 아닌지에 의해 「1」「0」 의 정보를 줄 수 있다. 도면의 예에서는 각 트레이 (T) 에 2 개의 식별 구멍 (31) 을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1 개의 트레이 (T) 가 2 비트의 정보를 가지게 된다. 이 2 비트의 정보에 의해 그 트레이 (T) 에 올려져 있는 디스크의 식별, 예를 들면 그 트레이 (T) 에 올려져 있는 것이 ROM 계 디스크인지 RAM 계 디스크인지의 식별, 또 어떠한 기록 방식의 디스크인지의 식별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 7 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장치 본체측으로부터 상기 식별 수단 (30) 으로 액세스하는 검출 수단 (32) 이 인출 레버 (18) 에 설치되며, 이 인출 레버 (18) 는 선택 이동 베이스 (10) 와 함께 도 2 에 나타내는 Z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따라서 케이스체 (A) 에 디스크 패키지 (P) 가 장진된 직후에 선택 이동 베이스 (10) 를 Z 방향으로 이동시켜, 인출 베이스 (18) 에 설치된 검출 수단 (32) 을 각각의 트레이 (T) 에 설치된 식별 수단 (30) 에 순서대로 대향시킬 수 있다. 즉, 디스크 장치측에서는 선택 이동 베이스 (10) 의 상승 이동 위치를 검출할 수 있는 수단이 설치되어, 검출 수단 (32) 이 어느 트레이 (T) 의 식별 수단 (30) 에 대향하고 있는지 인식할 수 있다. 이 인식과, 검출 수단 (32) 이 검출하는 2 비트의 정보에 의해 디스크 패키지 (P) 가 장진된 직후에 디스크 패키지 (P) 내의 개개의 디스크의 식별 정보를 디스크 장치측에서 얻을 수 있다.
또한 각 트레이 (T) 에 설치되는 식별 수단 (30) 은, 식별 구멍 (31) 의 유무를 검지하는 것에 한하지 않고, 예를 들면 트레이 (T) 의 어느 한 위치에 반사 시트의 부착부가 설치되고, 선택 이동 베이스 (10) 에 상기 반사 시트로 대면 가능한 포토리플렉터가 설치되며, 트레이 (T) 에 상기 반사 시트가 부착되어 있는지 아닌지를 검지함으로써 디스크의 식별 정보를 부여하는 것이어도 된다. 또는 트레이 (T) 에 설치된 식별 돌기의 유무가 선택 이동 베이스 (10) 에 설치된 스위치에 의해 검출되는지 아닌지로부터 식별 정보를 부여하는 것이어도 된다.
또, 도 5 에 나타내는 케이스 (1) 에 설치되는 식별 수단 (20) 과, 개개의 트레이 (T) 에 설치되는 식별 수단 (30) 의 어느 일방만을 설치해도 되고, 그 쌍방을 사용해도 된다.
또, 케이스 (1) 에 설치된 식별 수단 (20) 및/또는 트레이 (T) 에 설치된 식별 수단 (30) 과, 광 헤드 (13) 에 의해 디스크 (D) 의 TOC 데이터를 판독, 또는 트랙 피치를 검출하는 등 하여 얻은 디스크의 식별 정보를 겸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케이스 및/또는 트레이로부터의 디스크의 식별 정보와, 광헤드 (13) 에 의해 디스크에 직접 액세스한 식별 정보를 병용함으로써 디스크 종별의 인식 정밀도를 높일 수 있고, 예를 들면 ROM 계 디스크가 잘못하여 RAM 계 디스크로 판별되어 ROM 계 디스크의 기록면에 기록용 레이저 파워가 부여되어 기록 정보를 파괴하는 등의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트레이 (T) 의 상기 후크 (T7) 의 내측부분에는 라이트 프로텍트부 (Pr) 가 설치되어 있다. 이 라이트 프로텍트부 (Pr) 는 RAM 계 디스크가 올려지는 트레이에만 설치되고, 이 트레이의 일부가 얇게 형성된 것이다. 기록 동작이 가능한 디스크 장치의 경우, 트레이 (T) 가 디스크 구동 수단 (E) 에서 구동 가능한 위치까지 꺼내지면, 라이트 프로텍트부 (Pr) 에 검출부가 대향한다. 이 검출부는 라이트 프로텍트부 (Pr) 의 일방에 대향하는 발광 소자와 타방에 대향하는 수광 소자로 구성된다. 라이트 프로텍트부 (Pr) 가 박육부 (薄肉部) 그대로일 때에는 상기 발광 소자로부터의 빛이 차단되어 수광 소자가 빛을 검지하지 않아 RAM 계의 디스크에 기입 가능하다고 판단된다. 라이트 프로텍트부 (Pr) 의 박육부를 파손시켜 구멍을 관통시키면 상기 검지광이 투과하고 RAM 계 디스크라도 기록동작을 행할 수 없는 것이라고 판단된다.
이렇게 디스크가 올려진 트레이를 사용하여 트레이 상의 디스크가 기록 가능한 것인지 기록해서는 안되는 것인지의 식별이 가능해 진다.
(디스크 패키지의 로크 기구)
도면에 나타내는 디스크 패키지 (P) 에서는 디스크 장치로부터 빼내어진 상태에서, 모든 트레이 (T) 가 부지간에 돌출하는 것을 방지하는 제 1 로크 기구 (L1) 와, 상기 제 1 로크 기구 (L1) 에 의한 로크가 해제된 상태에서 RAM 계 디스크를 탑재한 트레이 (T) 만의 빠짐을 방지하는 제 2 로크 기구 (L2) 가 설치되어 있다. 특히 RAM 계 디스크가 탑재된 트레이의 빠짐이 방지되므로써 디스크 패키지 (P) 가 디스크 장치로부터 빼내어져 있는 상태에서 RAM 계 디스크가 갑자기 꺼내어져 디스크의 기록면을 더럽히거나 손상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8 은 제 1 로크 기구 (L1) 를 나타내는 디스크 패키지 (P) 의 부분 평단면도, 도 9 는 도 8 과 동일한 부분을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디스크 패키지 (P) 의 케이스 (1) 내에는 로크 축 (41) 이 설치되어 있다. 로크 축 (41) 의 하단에 일체로 형성된 소경축 (41a) 은 케이스 (1) 의 저판 (1f) 에 삽통되고, 로크 축 (41) 의 상단에 일체로 형성된 소경축 (41a) 은 케이스 (1) 의 상면 (1h) 에 형성된 오목부 (1i) 에 삽입 통과 하고 있다. 그 결과, 로크 축 (41) 은 회전운동 자유롭게, 또한 도 9 에 나타내는 위치로부터 Z 축 방향의 하방으로 슬라이딩 자유롭게 되어 있다. 도 9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단측의 소경축 (41a) 의 가장자리에는 비틀림 코일 스프링 (43) 이 설치되고, 이 비틀림 코일 스프링 (43) 의 탄력성에 의해 로크 축 (41) 은 도 8 의 평단면도에서 반시계 방향으로 힘이 가해짐과 동시에 이 비틀림 코일 스프링 (43) 에 의해 로크 축 (41) 은 도 9 에서 도시 상방을 향하여 힘이 가해 지게 된다. 그 결과, 로크 축 (41) 의 상단에 설치된 소경축 (41a) 은 케이스 (1) 의 상면 (1h) 의 오목부 (1i) 내에서 상방으로 돌출, 이 소경축 (41a) 이 로크 해제 조작부로서 기능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로크 축 (41) 에는 일정한 간격으로 일체로 형성된 5 개의 로크 돌기 (로크부) (42) 가 설치되어 있다. 한편, 케이스 (1) 내에 수납되는 모든 트레이 (T) 에는 상기 로크 돌기 (42) 에 대응하는 걸림 돌기 (T8) 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또 로크 축 (41) 에는 케이스 (1) 의 내방으로 돌출하는 피 누름 돌기 (44) 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도 3 및 도 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케이스 (1) 의 내부에서 저판 (1f) 의 내측에는 제 1 로크 기구 (L1) 의 로크를 해제하는 로크 해제부재로서 로크 해제 레버 (45) 가 설치되어 있다. 이 로크 해제 레버 (45) 는 저판 (1f) 의 내면에 설치된 지지 핀 (46) 에 의해 회전운동이 자유롭게 지지되어 있고, 또 로크 해제 레버 (45) 는 도시하지 않은 스프링 부재에 의해 도 3 과 도 8 에서 시계 방향으로 힘이 가해지게 되어 있다. 로크 해제 레버 (45) 의 단부에는 누름부 (48) 가 설치되어, 이 누름부 (48) 가 상기 로크 축 (41) 에 설치된 피 누름 돌기 (44) 에 대향하고 있다.
또 상기 로크 해제 레버 (45) 의 중복부 (中腹部) 에는 돌부 (47) 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돌부 (47) 는 케이스 (1) 의 저판 (1f) 에 형성된, X 방향을 따라 신장하는 상기 가이드 홈 (3a) 및 Y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이드 홈 (3a) 의 쌍방의 종단 (3b) 내로 조금 돌출해 있다.
디스크 패키지 (P) 가 디스크 장치에 장진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는, 비틀림 코일 스프링 (43) 에 의해 도 9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로크 축 (41) 이 Z 축의 상방으로 이동하며 또한 도 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로크 축 (41) 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운동되고 있다. 이 상태에서는 로크 축 (41) 으로부터 일체로 연장되는 상기 각 로크 돌기 (42) 가 케이스 (1) 내의 모든 트레이 (T) 에 설치된 걸림 돌기 (T8) 에 결합, 모든 트레이 (T) 가 케이스 (1) 로부터 돌출하지 않도록 로크된다.
디스크 패키지 (P) 가 케이스체 (A) 의 장진 영역 (B) 내로 X 방향으로부터 삽입되면, 도 5 에 나타내는 가이드 홈 (3a) 이 케이스체 (A) 내에 설치된 안내 돌기 (5) 를 슬라이딩하고, 디스크 패키지 (P) 가 장진 영역 (B) 내에 완전히 삽입되어 도시하지 않는 로크 기구가 로크 홈 (3a) 에 결합하고, 케이스 (1) 가 로크된 시점에서 상기 안내 돌기 (5) 가 가이드 홈 (3a) 의 종단 (3b) 에 이르러, 돌부 (47) 가 밀린다. 디스크 패키지 (P) 가 디스크 장치에 대하여 Y 방향으로부터 장진되는 경우도 동일하며, 가이드 홈 (3c) 의 종단 (3b) 에 이른 안내 돌기 (5) 에 의해 돌부 (47) 가 가압된다.
안내 돌기 (5) 에 의해 돌부 (47) 가 가압되면, 도 3 과 도 8 에서 로크 해제 레버 (45) 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운동한다 (도 5 의 저면에서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운동한다). 이 때 로크 해제 레버 (45) 의 단부에 일체로 설치된 누름부 (48) 에 의해 피 누름 돌기 (44) 가 밀려, 로크 축 (41) 이 도 8 에서 시계 방향으로 회전운동하고, 각 로크 돌기 (42) 가 각각의 트레이 (T) 의 걸림 돌기 (T8) 에서 빠진다.
즉, 디스크 패키지 (P) 가 디스크 장치로부터 빼내어져 있을 때에는 각 로크 돌기 (42) 에 의해 모든 트레이 (T) 가 로크되어 있고, 모든 트레이 (T) 가 갑자기 튀어나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 디스크 패키지 (P) 가 케이스체 (A) 의 장진 영역 (B) 에 장진된 시점에서, 제 1 로크 기구 (L1) 에서의 모든 트레이 (T) 에 대한 로크가 해제된다.
또 디스크 패키지 (P) 가 디스크 장치로부터 빼내어져 있는 상태에서, 케이스 (1) 의 상면 (1h) 의 오목부 (1i) 내에 돌출해 있는 소경축 (41b), 즉 로크 해제 조작부를 손으로 누르면, 로크 축 (41) 은 비틀림 코일 스프링 (43) 의 탄성력에 대항하여 Z 축 방향의 하방으로 슬라이딩한다. 이 때, 로크 축 (41) 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각 로크 돌기 (42) 는 각각 트레이 (T) 와 트레이 (T) 의 사이로 이동하고, 각 로크 돌기 (42) 가 모든 트레이 (T) 의 걸림 돌기 (T8) 에서 빠져 제 1 로크 기구 (L1) 에서의 모든 트레이 (T) 에 대한 로크가 해제된다.
도 10 은 상기 제 2 로크 기구 (L2) 의 구조를 나타내는 부분 분해 사시도, 도 11 (A) (B) 는 제 2 로크 기구 (L2) 와 RAM 계 디스크가 올려지는 트레이의 관계를 나타내는 상태별 확대 평면도이다.
제 2 로크 기구 (L2) 는 RAM 계 디스크가 올려지는 트레이 (T) 만을 로크하는 것이다. 여기서, 도 10 에서는 RAM 계 디스크가 올려지는 트레이를 부호 (Ta) 로 나타내고, ROM 계 디스크가 올려지는 트레이를 부호 (To) 로 나타낸다.
RAM 계 디스크용의 트레이 (Ta) 의 X 방향에 대하여 우측이 되는 측연부에는 돌출부 (51) 가 형성되어 있다. 이 돌출부 (51) 의 내측에는 구멍 (54) 이 개구하고 있고, 상기 돌출부 (51) 는 트레이 (Ta) 의 본체부분에 대하여 변형 가능한 박육부 (52) 및 분리 가능한 박육부 (53) 를 통하여 접합된 상태로 되어 있다. 그리고 돌출부 (51) 의 X 방향측의 단면이 걸림면 (51a) 으로 되어 있다. 상기 돌출부 (51) 와 걸림면 (51a) 으로 제 2 로크 기구 (L2) 에 걸리는 걸림부가 구성되어 있다.
한편, ROM 계 디스크용 트레이 (To) 에서는, 상기 돌출부 (51) 가 형성되어 있지 않고, 트레이 (To) 의 우측 측가장자리부 (55) 는 직선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디스크 패키지 (P) 의 케이스 (1) 의 저판 (1f) 과 상면 (1h) 의 사이에서, 또 우측판 (1c) 의 육후면 (肉厚面) 내에는, 로크부재 (56) 가 Z 방향 (상하 방향) 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또한, 도 10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로크부재 (56) 의 상단은 스프링 (57) 에 의해 하방향으로 가압되어 있으며, 이 스프링 (57) 의 탄성력에 의해 로크부재 (56) 는 Z 축 방향의 하방으로 이동되고 있다.
로크부재 (56) 에는 로크부 (56a) 와 비 로크부 (56b) 가 Z 방향으로 번갈아 형성되어 있다. 상기 비 로크부 (56b) 는 간헐적으로 홈을 형성함으로써 설치되어 있다. 또, 로크부 (56b) 의 Z 방향으로의 배열 피치는 트레이 (T) 의 배열 피치와 일치한다.
디스크 패키지 (P) 가 디스크 장치로부터 빼내어져 있는 상태에서는, 로크부재 (56) 가 도시 하방으로 힘을 받아 이동하기 때문에, 로크부 (56a) 가 RAM 계 디스크용의 트레이 (Ta) 의 걸림면 (51a) 에 대하여 X 방향으로 대향하고, 로크부 (56a) 와 걸림면 (51a) 이 걸리게 되어 있다. 또 디스크 패키지 (P) 가 디스크 장치의 장진 영역 (B) 에 장진되면, 케이스 (1) 의 저판 (1f) 에 나타나 있는 상기 로크부재 (56) 의 저면 (56c) (도 5 참조) 이 케이스체 (A) 내에 설치된 로크 해제 부재 (58) (도 10 참조) 에 의해 밀려, 로크부재 (56) 가 Z 축의 상방으로 조금 이동하여 비로크부 (56b) 가 RAM 계 디스크용의 트레이 (Ta) 의 걸림면 (51a) 의 전방으로 대향한다.
상기 로크 해제 부재 (58) 는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면적이 작은 로크부재 (56) 의 저면 (56c) 에 맞닿아 이것을 케이스 (1) 내에 밀어 넣는 것이 가능한 것이고, 로크 해재 부재 (58) 는 판스프링 (58a) 에 의해 상기 밀어 넣는 방향으로 힘을 받고 있다. 또는, 로크 해제 부재 (58) 는 기계적인 동력에 의해 상기 밀어넣는 방향으로 구동되게 되어 있다.
이렇게 제 2 로크 기구 (L2) 에서는, 디스크 패키지 (P) 가 디스크 장치의 외부로 빼내어져 있을 때에는, 로크부재 (56) 의 로크부 (56a) 가 RAM 계 디스크가 올려져 있는 트레이 (Ta) 의 걸림면 (51a) 의 전방에 걸려지고, 트레이 (Ta) 가 케이스 (1) 로부터 빼내어지지 않도록 로크된다. 단, ROM 계 디스크가 올려진 트레이 (To) 에는 돌출부 (51) 가 설치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이 트레이 (To) 는 제 2 로크 기구 (L2) 에 의해 로크되어 있지 않다. 또 디스크 패키지 (P) 가 케이스체 (A) 의 장진 영역 (B) 내에 완전히 장진되었을 때에는 장진 영역 (B) 에 설치된 로크 해재 부재 (58) 에 의해 로크부재 (56) 가 도시 상방으로 밀려, 로크부재 (56) 의 비 로크부 (56b) 가 걸림면 (51a) 에 대향하고, RAM 계 디스크를 올려 놓은 트레이 (Ta) 의 로크가 해제된다.
이상으로부터 디스크 패키지 (P) 가 디스크 장치에 장진된 상태에서는 제 1 로크 기구 (L1) 와 제 2 로크 기구 (L2) 의 쌍방의 로크가 해제되어, 모든 트레이를 디스크 구동 수단 (E) 내로 꺼내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디스크 패키지 (P) 가 디스크 장치로부터 빼내어져 있을 때에는 제 1 로크 기구 (L1) 에 의해 모든 트레이가 로크되고, 제 2 로크 기구 (L2) 에 의해 RAM 계 디스크가 올려진 트레이 (Ta) 만이 로크된 상태가 된다. 따라서 도 9 에 나타내는 로크 축 (41) 의 상단의 소경축 (41b) 을 손가락으로 밀어, 제 1 로크 기구 (L1) 에서의 로크를 해제하면, 제 2 로크 기구 (L2) 에 의해 로크되어 있지 않은 ROM 계 디스크를 올려 놓은 트레이 (To) 만을 케이스 밖으로 빼어낼 수 있고, 디스크 (D) 의 교환 등이 가능해진다. 다만 RAM 계 디스크가 올려진 트레이 (Ta) 는 케이스 (1) 의 외부로 빼낼 수 없게 되어 있으므로, RAM 계 디스크의 기록면이 손 등으로 더럽혀질 염려가 없어지며, RAM 계 디스크를 확실히 보호할 수 있게 된다.
또 제 1 로크 기구 (L1) 에서는 소경축 (41b) 이 케이스 (1) 의 상면 (1h) 으로부터 돌출해 있어, 이것을 손가락으로 누르는 것이 가능하지만, 제 2 로크 기구 (L2) 의 로크부재 (56) 는 단면이 작은 것이고, 케이스 (1) 의 저판 (1f) 에 설치된 작은 구멍 (1k) 으로부터 노출하고 있는 로크부재 (56) 의 저면 (56c) (도 5 참조) 은 아주 작아지게 되어 있다. 따라서 디스크 패키지 (P) 가 디스크 장치로부터 빼내어진 상태에서는, 손가락으로 상기 저면 (56c) 을 누르는 것이 곤란하고 제 2 로크 기구 (L2) 의 로크를 수동으로 용이하게 해제할 수 없게 되어 있다.
또,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디스크 패키지 (P) 의 우측판 (1c) 에는, 복수의 슬릿 (1j) 이 개구하고 있고, RAM 계 디스크가 올려진 트레이 (Ta) 의 돌출부 (51) 가 이 슬릿 (1j) 에 노출하고 있다. 따라서 디스크 패키지 (P) 가 디스크 장치로부터 빼내어진 상태에서, 상기 슬릿 (1j) 에 마이너스 드라이버의 선단 등의 공구를 삽입하여 트레이 (Ta) 의 측연부의 돌출부 (51) 를 밀면, 박육부 (53) 가 분단되고 또 박육부 (52) 가 변형하여 돌출부 (51) 가 구멍 (54) 내로 들어간다. 도 11 (A) (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구멍 (54) 의 X 방향의 전내면 (54a) 은 도시 우측이 후방 (반 X 방향) 을 향하는 경사 걸림면을 이루고 있고, 구멍 (54) 내에 변형한 돌출부 (51) 는 도 11 (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면 (54a) 에 대하여 (가)부에서 걸린다. 따라서 돌출부 (51) 는 구멍 (54) 내에 확실히 함몰하여 다시 측방으로 돌출하는 일이 없다.
도 11 (B) 의 상태에서는 돌출부 (51) 선단의 걸림면 (51a) 이 로크부재 (56) 의 로크부 (56a) 에 닿지 않게 하기 위해 제 2 로크 기구 (L2) 에 의한 RAM 계 디스크가 올려진 트레이 (T) 에 대한 로크가 해제된다. 따라서 디스크 패키지 (P) 가 디스크 장치의 외부로 빼내어진 상태에서 소경축 (41b) 을 밀어서 제 1 로크 기구 (L1) 에 의한 로크를 해제하면, 도 11 (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돌출부 (51) 가 함몰 상태가 되어 트레이를 케이스 (1) 의 밖으로 빼낼 수 있고, RAM 계 디스크를 트레이로부터 제거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일단 돌출부 (51) 를 함몰시킨 트레이 (Ta) 는 돌출부 (51) 가 원래 상태로 복원되는 일이 없으므로 그 후는 RAM 계 디스크용 트레이 (Ta) 로 사용할 수 없게 되고, 이 트레이를 그 후에도 사용할 경우에는 ROM 계 디스크를 올려 놓아 ROM 계 디스크용 트레이로서만 사용된다.
또 상기 RAM 계 디스크용 트레이 (Ta) 의 돌출부 (51) 를 사용하여 트레이의 종별 (트레이에 올려져 있는 디스크가 RAM 계인지 아닌지의 종별) 을 검지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돌출부 (51) 의 측면에 반사 시트 (61) 를 부착해두고, 케이스체 (A) 내에는 디스크 패키지 (P) 가 장진되었을 때에 케이스 (1) 의 우측판 (1c) 에 형성된 슬릿 (1j) 의 각각에 대향하는 포토리플렉터 (62) 를 검출수단으로 하여 설치해 둔다.
디스크 패키지 (P) 가 케이스체 (A) 에 장진되었을 때에 어느 한 포토리플렉터 (62) 로부터의 빛이 반사 시트 (61) 에 의한 반사광을 검출하면 그 위치에 RAM 계 디스크가 올려진 트레이 (Ta) 가 존재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 도 11 (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돌출부 (51) 를 함몰시켜 RAM 계 디스크용의 트레이 (Ta) 로서 사용될 수 없게 된 경우에는 반사 시트 (61) 를 벗겨내어 그 후는 RAM 계 디스크용의 트레이로 사용하거나, 또는 도 11 (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돌출부 (51) 가 함몰했을 때에 그 표면의 반사 시트 (61) 로부터의 반사광이 포토리플렉터 (62) 에서 수광할 수 없도록 포토리플렉터 (62) 의 배치 각도 등을 설정하면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디스크 패키지에서는 RAM 계 디스크나 ROM 계 디스크 등과 같이 적어도 2 종 이상의 디스크가 혼재하여 수납되어 있으므로, 이 디스크 패키지를 대용량의 기억 매체로서 사용할 수 있고, 또 RAM 계 디스크를 혼재시킴으로써 개인적인 라이브러리의 기억 매체로서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디스크 패키지가 디스크 장치로부터 빼내어져 있는 상태에서 모든 트레이가 로크 되기 때문에, 잘못하여 케이스 내로부터 트레이 및 디스크가 탈락하는 일이 없다. 또한 디스크 장치로부터 빼내어진 상태의 디스크 패키지에서 소정의 디스크만은 빼내어지지 않도록 해둠으로써, 잘못하여 기본적인 디스크를 교환해버리는 일이나 RAM 계 디스크를 빼내어 더럽히는 일 등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상기 소정의 디스크가 올려진 트레이의 걸림부를 변형함으로써 본래는 빼내기 불가능한 트레이를 필요에 따라 꺼내기가 가능해진다.

Claims (3)

  1. 장치 본체에 장진 가능한 케이스와, 2 종류 이상의 종별이 상이한 복수 매의 디스크가 각각 올려진 것이며 또 개개로 케이스 밖으로 인출 가능하게 상기 케이스 내에 수납된 복수의 트레이와, 상기 복수의 트레이 중의 소정 디스크가 올려지는 트레이에만 형성된 걸림부와, 케이스 내의 모든 트레이를 로크하는 제 1 로크 기구와, 장치 본체로부터 빼내어진 상태에서 상기 제 1 로크 기구의 로크를 해제할 수 있는 로크 해제 조작부와, 상기 걸림부와 걸려서 소정의 디스크가 올려진 트레이만을 로크하고 다른 트레이는 로크하지 않는 제 2 로크 기구를 갖고, 상기 걸림부는 케이스 밖으로부터의 조작에 의해 제 2 로크 기구에 걸리지 않은 상태로 변형 가능하게 되며, 또 상기 제 1 로크 기구와 제 2 로크 기구는, 모두 장치 본체측에 장진된 시점에서 로크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패키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가 형성된 트레이에 올려지는 것은 기록 가능한 디스크이고, 이 걸림부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트레이에 올려지는 디스크가 재생 전용 디스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패키지.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에 장치 본체 내측으로부터 검출 가능한 식별 수단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패키지.
KR1019970048886A 1996-09-25 1997-09-25 디스크 패키지 KR10024548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5289096A JP3264839B2 (ja) 1996-09-25 1996-09-25 ディスクパッケージ
JP96-252890 1996-09-2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4983A KR19980024983A (ko) 1998-07-06
KR100245486B1 true KR100245486B1 (ko) 2000-02-15

Family

ID=172435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48886A KR100245486B1 (ko) 1996-09-25 1997-09-25 디스크 패키지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5959949A (ko)
EP (1) EP0833333B1 (ko)
JP (1) JP3264839B2 (ko)
KR (1) KR100245486B1 (ko)
DE (1) DE69705006T2 (ko)
TW (1) TW33882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02766B2 (ja) * 1998-06-03 2004-03-02 パイオニア株式会社 ディスク再生装置
JP3667140B2 (ja) * 1999-03-04 2005-07-06 パイオニア株式会社 ディスクチェンジャ装置
TWI272579B (en) * 2004-12-17 2007-02-01 Lite On It Corp Disk changer and tray locking apparatus thereof
JP4758810B2 (ja) * 2006-04-24 2011-08-31 嘉作 鎌田 締付け固定具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168107A3 (en) * 1984-07-11 1988-01-13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Magazine for a plurality of disc-shaped information carriers contained in holders and combination of a disc-player with such a magazine
US4800554A (en) * 1986-10-01 1989-01-24 Victor Company Of Japan, Limited Disk magazine
JPH0787002B2 (ja) * 1990-02-09 1995-09-20 パイオニア株式会社 複数ディスク収納プレーヤ
US5136563A (en) * 1990-02-16 1992-08-04 Pioneer Electronic Corporation Magazine holder in a CD player
US5481512A (en) * 1992-06-30 1996-01-02 Victor Company Of Japan, Ltd. Separable magazine for accommodating discs and a disc player
KR0175335B1 (ko) * 1992-08-28 1999-04-15 구쯔사와 겐다로오 디스크 선택식 플레이어
JP3386850B2 (ja) * 1993-06-30 2003-03-17 クラリオン株式会社 ディスクマガジン
EP0709840A3 (en) * 1994-10-25 1997-05-02 Sony Electronics Inc Locking a cartridge magazine in a cartridge storage device
US5537268A (en) * 1994-11-14 1996-07-16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 Corporation Multi-function locking mechanism for a multi-celled data cassette magazine
JP2956511B2 (ja) * 1995-02-08 1999-10-04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媒体自動交換装置とそのマガジン
US5638347A (en) * 1995-06-06 1997-06-10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Disk cartridge storage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4983A (ko) 1998-07-06
EP0833333B1 (en) 2001-05-30
DE69705006T2 (de) 2001-09-13
DE69705006D1 (de) 2001-07-05
EP0833333A1 (en) 1998-04-01
JPH10106200A (ja) 1998-04-24
TW338827B (en) 1998-08-21
JP3264839B2 (ja) 2002-03-11
US5959949A (en) 1999-09-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79086B1 (ko) 디스크패키지
KR100290937B1 (ko) 디스크장치
KR100264069B1 (ko) 디스크 장치
KR100259992B1 (ko) 디스크 패키지
KR20020080394A (ko) 광 디스크용 용기와, 상기 용기를 위한 트레이 및 매거진타입의 플레이어
KR100269985B1 (ko) 디스크 판별방법
KR100278872B1 (ko) 디스크패키지
KR100245486B1 (ko) 디스크 패키지
EP1443513B1 (en) Cartridge for containing recording medium
KR100269991B1 (ko) 기록매체의 식별장치
JPH10106205A (ja) 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
JPH10106211A (ja) 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70925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70925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90916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9113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1999113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2110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2122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825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0825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