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45242B1 - An optical pick-up device of dual focus - Google Patents
An optical pick-up device of dual focu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245242B1 KR100245242B1 KR1019970006531A KR19970006531A KR100245242B1 KR 100245242 B1 KR100245242 B1 KR 100245242B1 KR 1019970006531 A KR1019970006531 A KR 1019970006531A KR 19970006531 A KR19970006531 A KR 19970006531A KR 100245242 B1 KR100245242 B1 KR 10024524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rism
- predetermined
- hologram element
- incident
- disk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12—Heads, e.g. forming of the optical beam spot or modulation of the optical beam
- G11B7/135—Means for guiding the beam from the source to the record carrier or from the record carrier to the detector
- G11B7/1372—Lenses
- G11B7/1374—Objective lenses
-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12—Heads, e.g. forming of the optical beam spot or modulation of the optical beam
- G11B7/125—Optical beam sources therefor, e.g. laser control circuitry specially adapted for optical storage devices; Modulators, e.g. means for controlling the size or intensity of optical spots or optical traces
- G11B7/127—Lasers; Multiple laser arrays
-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12—Heads, e.g. forming of the optical beam spot or modulation of the optical beam
- G11B7/135—Means for guiding the beam from the source to the record carrier or from the record carrier to the detector
- G11B7/1353—Diffractive elements, e.g. holograms or gratings
-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12—Heads, e.g. forming of the optical beam spot or modulation of the optical beam
- G11B7/135—Means for guiding the beam from the source to the record carrier or from the record carrier to the detector
- G11B7/1356—Double or multiple prisms, i.e. having two or more prisms in cooperation
-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12—Heads, e.g. forming of the optical beam spot or modulation of the optical beam
- G11B7/135—Means for guiding the beam from the source to the record carrier or from the record carrier to the detector
- G11B7/1362—Mirrors
-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12—Heads, e.g. forming of the optical beam spot or modulation of the optical beam
- G11B7/135—Means for guiding the beam from the source to the record carrier or from the record carrier to the detector
- G11B7/1372—Lenses
- G11B7/1376—Collimator lens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Optical Recording Or Reproduction (AREA)
- Optical Hea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듀얼 포커스 광픽업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프리즘과 하프리즘의 사면이 결합되며 그 경사면에 PBS코팅면이 형성된 입방체프리즘과, 상프리즘에 일정거리를 두고 상부에 설치되어 그 일측으로 빔을 조사하는 제 1홀로그램소자와, 하프리즘에 일정거리를 두고 설치되어 그 측면으로 빔을 조사하는 제 2홀로그램소자와, 상프리즘의 타측에 일정거리를 두고 소정의 기울기를 갖는 반사미러와, 이 반사미러의 상면에 일정거리를 두고 설치되어 디스크의 종류에 따라 입사빔을 소정의 빔사이즈로 집광하는 축섭동 방식의 트윈대물렌즈를 구비함으로써 최적의 구조로 설계하여 광픽업장치를 경박단소화함은 물론 저렴한 가격으로 DVD용 디스크 및 DAD용 디스크의 광정보를 읽을 수 있는 듀얼포커스 광픽업장치를 설계할수 있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ual focus optical pick-up apparatus, and the prism and the prism slopes are coupled to each other, and a PBS coating surface is formed on the inclined surface, and the prism is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upper prism to irradiate a beam to one side thereof. A first hologram element, a second hologram element provid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to the haprism and irradiating a beam to the side thereof, a reflection mirror having a predetermined inclination at a predetermined distance on the other side of the upper prism, and the reflecting mirror It is installed at a certain distance on the upper surface of the disk and has an axial perturbation twin objective lens for condensing the incident beam to a predetermined beam size according to the type of disk. It is possible to design a dual focus optical pickup device that can read optical information of DVD discs and DAD discs at a low price.
Description
본 발명은 듀얼 포커스 광픽업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상프리즘과 하프리즘의 경사면이 결합되고, 그 경사면에 PBS코팅면이 형성된 입방체프리즘과 이 입방체프리즘의 일측에 설치된 반사미러를 통해 각각의 홀로그램소자에서 방사되는 빔의 경로를 결정함으로써, 광픽업장치의 경박단소화를 달성할 수 있도록 한 듀얼 포커스 광픽업장치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기록된 정보를 픽업하는 장치로서, 과거에는 디스크 면의 정보를 접촉 침을 이용한 기계적인 변화량으로 검출하는 방식 및 디스크에 파인 홈의 정전 용량의 변화로 정보를 검출하는 방식 등이 사용되었다. 그러나 현재에는 대물렌즈, 빔스플리터, 회절격자, 레이저 다이오드, 광검출기 등의 개개부품이 조립된 광픽업장치를 사용하여 스포트 사이즈 직경이 1.6μm인 디지탈 오디오 디스크(DAD) 또는 스포트 사이즈의 직경이 0.8μm인 디지탈 비디오 디스크(DVD)에 기록된 정보를 전기신호로 재생시키는 방식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As a device for picking up recorded information, in the past, a method of detecting information on a disk surface by a mechanical change amount using a contact needle, a method of detecting information by a change in capacitance of a groove grooved in a disk, and the like have been used. However, digital audio discs (DADs) with a spot size of 1.6 μm or 0.8 spot diameters are now used with optical pickup devices in which individual parts such as objective lenses, beam splitters, diffraction gratings, laser diodes, and photodetectors are assembled. Background Art A method of reproducing information recorded on a digital video disc (DVD) having a μm as an electric signal is widely used.
또한 최근에는 디지탈 오디오 디스크(DAD)와 디지탈 비디오 디스크(DVD)에 기록된 정보를 하나의 플레이어에 의해 재생할 수 있는 듀얼 포커스 방식의 픽업 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이중 종래의 모델 하나를 도 1에 도시한다.In recent years, a dual focus pickup device capable of reproducing information recorded on a digital audio disc (DAD) and a digital video disc (DVD) by one player has been developed. One conventional model is shown in FIG. 1.
이 듀얼 포커스 광픽업장치는, 일정파장의 레이저 빔을 방사하는 레이저 다이오드(51)와, 이 레이저 다이오드(51)의 일측에 설치되어 입사되는 빔을 0차광 및 ±1차광으로 분리하는 회절격자(52)와, 이 회절격자(52)에 소정간격을 두고 일정 기울기를 갖고 설치되어 입사광을 일정한 비에 따라 입사빔을 반사 및 투과시키는 빔스플리터(53)와, 이 빔스플리터(53)의 상측에 일정거리를 두고 설치되어 입사되는 빔의 직선성을 유지시켜 주는 콜리메이트렌즈(54)와, 이 콜리메이트렌즈(54)의 상측에 일정거리를 두고 홀로그램광학렌즈(56)와 대물렌즈(57)가 일체로 되어 입사 빔을 상이한 빔 사이즈로 기판의 두께가 0.6mm인 디지탈 비디오 디스크(이하 제 1디스크라함:58) 및 1.2mm인 디지털 오디오 디스크(이하 제 2디스크라함 : 59)에 포커싱시키는 듀얼 포커스렌즈(55)로 이루어진다.The dual focus optical pickup apparatus includes a
그리고 상기 빔스플리터(53)의 일측 하면에는 듀얼 포커스렌즈(55)를 통해 입사되는 제 1디스크(58) 및 제 2디스크(59)상에 기록된 광 정보를 이용해 비점수차를 발생시키는 비점수차발생렌즈(60)가 설치되고, 이 비점수차발생렌즈(60)와 일정거리를 두고 하부에는 입사되는 광 정보의 빔을 일정레벨의 전기적인 신호로 검출하는 광검출기(61)가 설치되어 있다.In addition, astigmatism is generated at one side surface of the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종래의 듀얼 포커스 광픽업장치의 동작을 살펴본다.The operation of the conventional dual focus optical pickup device having such a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먼저 레이저다이오드(51)에서 소정의 발진 파장을 갖는 레이저 빔은 방사되며, 이 방사된 레이저 빔은 회절격자(52)로 경유함에 따라 0차광 및 ±1차광으로 분리되어 빔스플리터(53)로 입사되는 된다. 여기서 0차광 및 ±1차광으로 분리하는 것은 트랙킹 에러를 검출하기 위함이다. 즉, 0차광 및 ±1차광으로 분리된 빔은 상기 빔스플리터(53)로 입사되어 소정의 반사율 및 투과율에 의해 반사 및 투과되고 이중 소정의 비율로 반사된 빔은 콜리메이트렌즈(54)를 경유함으로서 빔의 직선성이 유지된 채 듀얼포커스렌즈(55)로 입사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이 듀얼 포커스렌즈(55)를 통해 입사되는 빔은 디스크에 따른 빔 사이즈가 결정되어 제 1디스크(58) 및 제 2디스크(59)에 각각 조사되는 것이다.First, a laser beam having a predetermined oscillation wavelength is emitted from the
즉, 듀얼포커스렌즈(55)로 일정한 직선성을 유지한 채 입사되는 빔은 홀로그램광학렌즈(56)를 경유함에 따라 0차광 및 ±1차광으로 분리되고, 이 분리된 광은 상이한 개구수(NA=0.6,NA=0.45)로 대물렌즈(57)를 통해 집광되어 기판 두께가 0.6mm인 제 1디스크(58)와 1.2mm인 제 2디스크(59)상에 각각 조사된다. 그러면 상기 대물렌즈(57)에 의해 수 ㎛ 정도의 에어리 형태로 집광된 빔은 제 1디스크(58)의 피트(58a) 및 제 2디스크(59)의 피트(59a)인 신호면에 조사되며, 이 조사된 빔은 디스크에 기록된 데이터가 없는 즉, 피트(58a,59a)가 없는 곳에서는 거의 그대로 대물렌즈(57)로 반사된다. 그리고 피트(58a,59a)가 있는 곳에서는 광이 피트(58a,59a)에 의해 회절되어 그 일부의 빔은 대물렌즈(57)의 범위 밖으로 나가게 되고, 이로 인해 결국 상기 대물렌즈(57)로는 일부만의 빔이 재차 입사된다.That is, the beam incident while maintaining constant linearity with the
그러므로 이 대물렌즈(57)로 입사되는 광 정보의 빔은 광량차이가 발생되어 콜레메이트렌즈(54)를 경유해 빔스플리터(53)로 입사된다. 그러면 이 빔스플리터(53)로 입사된 광 정보의 빔 중에 그 일부 빔만이 투과하여 비점수차발생렌즈(60)를 경유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이 비점수차발생렌즈(60)를 경유하는 빔은 포커싱에러를 검출하기 위해 빔이 비점수차가 발생되어 그 하면에 설치된 광검출기(61)로 최종적으로 입사되는 것이다.Therefore, the beam of light information incident on the
한편, 이와 같은 종래의 듀얼포커스 광픽업장치는 각각의 별도의 광학부품이 독립적으로 설치되어 조립성이 떨어지고, 듀얼 포커스렌즈는 제작상의 어려운 면이 있어서 레이저다이오드, 광검출기 및 회절격자가 일체로 설치된 홀로그램소자를 이용하며, 축섭동 방식에 의해 디지탈 오디오 디스크 및 디지탈 비디오 디스크에 각각 대응되는 대물렌즈가 광경로 상으로 회동하도록 한 듀얼포커스 광픽업장치를 설계한다.On the other hand, in the conventional dual focus optical pickup device, each of the separate optical components are installed independently, the assembly is inferior, and the dual focus lens has a difficult surface in manufacturing, so that the laser diode, the photodetector, and the diffraction grating are integrally installed. By using a hologram element, a dual focus optical pickup device is designed in which an objective lens corresponding to a digital audio disc and a digital video disc rotates on an optical path by an axial perturbation method.
이러한 듀얼포커스 광픽업장치를 도 2에 도시한다.This dual focus optical pickup apparatus is shown in FIG.
이 도면에 도시된 듀얼포커스 광픽업 장치는, 디지털 오디오 디스크용인 제 1홀로그램소자(70)와, 이 제 1홀로그램소자(70)와 일정거리를 두고 상측에 상프리즘(74)과 하프리즘(73)의 각 사면을 통해 일체로 형성되고 그 사면이 PBS코팅면(72)인 입방체프리즘(71)과, 이 입방체프리즘(71)과 일정거리를 두고 상프리즘(74)의 일측면에 설치되어 빔의 직선성을 유지시켜주는 콜리메이트렌즈(80)와, 이 콜리메이트렌즈(80)의 일측에 일정거리를 두고 설치된 디지털 오디오 디스크용인 제 2홀로그램소자(81)와, 입방체프리즘(71)의 상측에 일정거리를 두고 설치되어 선택된 디스크의 종류에 따라 광경로로 회동하는 축섭동 방식의 대물렌즈(75,76)로 이루어진다.The dual focus optical pickup device shown in this figure has a
한편, 이와 같은 구조를 갖는 종래의 듀얼 광픽업장치는, 제 1홀로그램소자(70)에서 발진되는 소정의 빔이 이상광선(S파)으로 편광되고, 또한 상기 제 2홀로그램소자(81)에서 발진되는 소정의 빔이 정상광선(P파)으로 편광되면, 입방체프리즘(71)의 PBS코팅면(72)을 통해 각 홀로그램소자(70,81)에서 방사된 빔은 상이한 빔 경로를 갖게 된다. 그러므로 상이한 빔 경로에 따라 선택된 디스크에 대응하는 대물렌즈(75,76)는 소정의 빔 사이즈로 입사빔을 집광하고, 이 집광된 빔에 의해 제 1디스크(77) 및 제 2디스크(78)에서 읽혀진 각각의 광 정보의 신호는 제 1홀로그램소자(70) 및 제 2홀로그램소자(81)의 광검출기로 입사되며, 이 광정보는 일정한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되는 것이다.On the other hand, in the conventional dual optical pickup device having such a structure, a predetermined beam oscillated by the
그러나 이와 같은 구성으로 듀얼포커스 장치는 각 광학부품, 즉 레이저 다이오드, 광 검출기 및 회절격자가 일체로 설치되어 조립에 따른 부품수는 감소되었으나, 광픽업장치의 특성상 빔 경로에 따른 부품 소자간의 일정거리가 필요하여 개별 부품간의 설치의 제한을 받게됨으로써 소형화하기에 많은 어려움이 있으며, 또한 최근에 들어 차량에 장착되는 광픽업장치는 그 설치 특성상 더욱더 설치공간이 제한되어 제작상에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the dual focus device is integrated with each optical component, that is, a laser diode, a photo detector, and a diffraction grating, so that the number of components due to assembly is reduced. There is a lot of difficulties in miniaturization by being limited to the installation between the individual parts, and in recent years, the optical pickup device mounted on the vehicle has a lot of problems in the manufacturing because the installation space is further limited due to its installation characteristics.
이에 본 발명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상프리즘과 하프리즘의 사면이 결합되고, 그 사면에 PBS코팅면이 형성된 입방체프리즘과 이 입방체프리즘의 일측에 입사빔의 경로를 대물렌즈로 향하게 하는 반사미러를 설치함으로써, 광픽업장치의 조립 및 조정향상은 물론 경박단소화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한 듀얼포커스 광픽업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conventional problems, the slope of the upper prism and the lower prism is coupled, the cubic prism formed with a PBS coating surface on the slope and the objective beam path of the incident beam on one side of the cube prism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dual focus optical pickup apparatus capable of contributing to the assembly and adjustment of the optical pickup apparatus as well as to the reduction in light weight and shortness of the optical pickup apparatus.
도 1은 종래의 듀얼 포커스 광픽업장치의 구성도.1 is a block diagram of a conventional dual focus optical pickup device.
도 2는 종래의 다른 듀얼 포커스 광픽업장치의 구성도.2 is a block diagram of another conventional dual focus optical pickup device.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듀얼 포커스 광픽업장치의 구성도.3 is a block diagram of a dual focus optical pickup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포커스 에러의 검출을 설명하는 도면.4 illustrates detection of a focus err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the drawings
1 : 제 1홀로그램소자 2 : 콜리메이트렌즈1: first hologram element 2: collimated lens
3 : 입방체프리즘 4 : PBS코팅면3: cubic prism 4: PBS coated surface
5 : 상프리즘 6 : 하프리즘5: Prism 6: Harprism
7 : 제 2홀로그램소자 8 : 반사미러7: second hologram element 8: mirror reflection
9 : DAD용대물렌즈 10 : DAD용대물렌즈9: objective lens for DAD 10: objective lens for DAD
11: 제 1디스크 12 : 제 2디스크11: first disk 12: second disk
이와 같은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은, 일정한 파장의 빔을 방사 및 수광하는 광학소자를 일체로 갖는 제 1홀로그램소자; 상기 제 1홀로그램소자에 일정거리를 두고 하부에 설치되어 입사빔의 직선성을 유지시켜 주는 콜리메이트렌즈; 상기 콜리메이트렌즈의 하부에 일정거리를 두고 상프리즘과 하프리즘의 경사면이 결합되어 상기 경사면에 PBS코팅면이 형성된 입방체프리즘; 상기 하프리즘의 일측에 일정거리를 두고 설치되어 그 일측으로 소정 파장의 빔을 방사 및 수광하는 광학소자를 일체로 갖는 제 2홀로그램소자; 상기 상프리즘의 일측에 일정거리를 두고 소정의 기울기로 설치된 반사미러; 및 상기 반사미러의 상부에 일정거리를 두고 설치되어 디스크의 종류에 따라 입사빔을 소정의 빔사이즈로 집광하는 축섭동 방식의 트윈대물렌즈;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first hologram element having an integrated optical element for emitting and receiving a beam of a predetermined wavelength; A collimated lens disposed below the first hologram element at a predetermined distance to maintain linearity of the incident beam; A cubic prism having a PBS coating surface formed on the inclined surface by combining the inclined surfaces of the upper prism and the lower prism with a predetermined distance under the collimated lens; A second hologram element which is provided at one side of the haprism at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integrally has an optical element that emits and receives a beam of a predetermined wavelength toward one side thereof; A reflection mirror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slope with a predetermined distance on one side of the upper prism; And an axial perturbation twin objective lens install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reflective mirror at a predetermined distance to focus the incident beam at a predetermined beam size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disk.
이하에서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듀얼 포커스 광픽업장치를 도 3에 도시한다.3 illustrates a dual focus optical pickup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 광픽업 장치는, 일정한 파장의 빔을 방사 및 수광하는 광학소자를 일체로 갖는 제 1홀로그램소자(1)와, 이 제 1홀로그램소자(1)에 일정거리를 두고 하부에 설치되어 입사빔의 직진성을 유지시켜주는 콜리메이트렌즈(2)와, 이 콜리메이트렌즈(2)의 하부에 일정거리를 두고 상프리즘(5)과 하프리즘(6)의 각 경사면이 결합되어 입방체를 이루는 입방체프리즘(3)과, 하프리즘(6)의 일측에 일정거리를 두고 설치되어 그 하프리즘(6)의 일측면으로 빔을 방사 및 수광하는 제 2홀로그램소자(7)와, 상기 상프리즘(5)의 일측에 일정거리를 두고 소정의 기울기로 설치된 반사미러(8)와, 이 반사미러(8)의 상부에 일정거리를 두고 설치되어 디스크(11,12)의 종류에 따라 광경로로 회동하는 축섭동 방식의 트윈대물렌즈(9,10)로 이루어진다.The optical pickup device is provided with a
그리고 상프리즘(5)과 하프리즘(6)의 사면이 결합된 입방체프리즘(3)의 사면은 입사빔에 따라 반사 및 투과하는 PBS코팅면(4)이 형성된다. 또한 제 1홀로그램소자(1)의 레이저다이오드에서는 정상광선(P파)으로 편광된 빔을 방사하며, 제 2홀로그램소자(7)의 레이저다이오드에서는 이상광선(S파)로 편광된 빔을 방사한다.In addition, the slopes of the
그리고 트윈대물렌즈(9,10)는 선택된 디스크에 해당하는 대물렌즈가 광경로로 회동하는 것으로, 이를 보통 축섭동 방식의 액츄에이터에 설치된다. 즉, 이 축섭동 방식은 DAD용 및 DAD용의 대물렌즈를 하나의 렌즈홀더에 탑재하고, 렌즈홀더가 축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디스크의 종류에 적합한 대물렌즈가 광경로에 위치하는 방식이다.In addition, the twin
한편,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동작을 살펴본다.On the other hand, looks at the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de of such a configuration.
먼저, 듀얼 포커스용 플레이어에 DVD인 제 1디스크(11)를 장착하면 미도시된 대물렌즈액츄에이터가 작동하여 렌즈홀더가 축을 중심으로 회동함에 따라, 제 1디스크(11)를 재생하기 위한 DVD용대물렌즈(10)가 광경로에 위치하게 된다. 즉, DVD용대물렌즈(10)가 광경로로 회동된 상태에서 제 1홀로그램소자(1)에서 정상광선(P파)로 편광된 레이저 빔이 방사되고, 이 레이저 빔은 콜리메이트렌즈(2)를 경유함에 따라 직선성이 유지되어 입방체프리즘(3)의 상프리즘(5)을 통해 PBS코팅면(4)으로 입사된다. 이때 이 PBS코팅면(4)은 입사되는 빔의 편광상태에 따라 투과 및 반사를 하는데, 즉 정상광선(P파)으로 편광된 빔은 PBS코팅면(4)으로 입사되면 그 면에 의해 소정의 각으로 반사되고, 이상광선(S파)으로 편광된 빔이 입사되면 그대로 투과된다.First, when the
그러므로 PBS코팅면(4)으로 입사된 정상광선(P파)의 레이저 빔은 소정의 각으로 반사되어 DVD용대물렌즈(10)의 일측 하단에 설치된 반사미러(8)로 조사된다. 그러면 반사미러(8)로 조사된 빔은 일정한 각으로 상부로 반사되고, 반사된 레이저 빔은 소정의 개구수(NA=0.6)를 갖는 DVD용대물렌즈(10)로 입사된다. 이때 이 DVD용대물렌즈(10)로 입사된 빔은 소정의 사이즈를 갖는 빔으로 집광되어 그 기판 두께가 0.6mm인 제 1디스크(11)상에 초점이 맺혀 디스크에 기록된 정보를 읽게 된다.Therefore, the laser beam of the normal light (P wave) incident on the PBS coating surface 4 is reflected at a predetermined angle and irradiated to the reflection mirror 8 provided at one lower end of the
즉, DVD용대물렌즈(10)에 의해 소정의 에어리 형태로 집광된 빔은 제 1디스크(11)에의 피트(11a)인 신호면에 조사되며, 이 신호면에 조사된 레이저 빔은 데이터가 기록된 피트(11a)가 없는 곳에서는 거의 그대로 돌아오게 되나, 피트(11a)가 있는 곳에서는 레이저 빔이 피트(11a)에 의해 회절되어 일정량의 빔은 DVD용대물렌즈(10)의 범위 밖으로 나가게 된다. 그러므로 제 1디스크(11)의 피트(11a)에 기록된 정보는 일정한 광으로 반사되어 DVD용대물렌즈(10)로 재차 입사되는 것이다.That is, the beam focused by the
한편, 이 DVD용대물렌즈(10)로 재차 입사된 광 정보의 빔은 반사미러(8)로 조사되고, 이 반사미러(8)로 조사된 광 정보의 빔은 소정의 각으로 빔의 경로가 변경되어 상프리즘(5)의 일측면을 경유해 그 사면에 형성된 PBS코팅면(4)에 입사된다. 이 PBS코팅면(4)으로 입사된 광정보의 빔은 정상광선(P파)의 형태이므로 PBS코팅면(4)에서 소정의 각으로 반사되어 콜리메이트렌즈(2)를 경유해 제 1홀로그램소자(1)내의 광검출기로 입사된다.On the other hand, the beam of light information incident again to the
한편, 이와 같은 듀얼 포커스용 플레이어에 DAD인 제 2디스크(12)가 장착되면 미도시된 대물렌즈액츄에이터가 작동하여 렌즈홀더가 축을 중심으로 회동함에 따라, 제 2디스크(12)를 재생하기 위한 DAD용대물렌즈(9)가 광경로로 회동하게 된다. 이때 제 2홀로그램소자(7)의 레이저다이오드에서는 소정의 발진파장(760nm)을 갖고 이상광선(S파)으로 편광된 빔을 방사되는데, 이상광선(S파)의 형태인 레이저 빔은 하프리즘(6)을 일측면을 경유해 PBS코팅면(4)으로 입사된다. 이때 이 PBS코팅면(4)은 이상광선으로 편광된 빔은 그대로 투과시키으로 결국 제 1홀로그램소자(7)의 레이저다이오드에서 방사된 빔은 PBS코팅면(4)을 투과해 상프리즘(5)을 통해 그 상프리즘(5)의 일측에 일정거리를 두고 소정의 두께를 갖는 반사미러(8)로 입사된다. 그러면 이 반사미러(8)에서는 입사된 레이저 빔이 그 반사미러(8)의 상측에 일정거리를 두고 설치된 DAD용대물렌즈(9)로 입사되도록 소정의 각으로 빔 경로가 변경된다. 즉, DAD용대물렌즈(9)로 입사된 빔은 소정의 사이즈를 갖는 빔으로 집광되어 그 기판 두께가 1.2mm인 제 2디스크(12)상에 초점이 맺혀 디스크에 기록된 정보를 읽게 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즉, 이 DAD용대물렌즈(9)에 의해 소정의 에어리 형태로 집광된 빔은 제 2디스크(12)의 피트(12a)인 신호면에 조사되고, 이 신호면에 조사된 레이저 빔은 데이터가 기록된 피트(12a)가 없는 곳에서는 거의 그대로 돌아오게 되나, 피트(12a)가 있는 곳에서는 레이저 빔이 피트(12a)에 의해 회절되어 일정량의 빔은 DAD용대물렌즈(9)의 범위 밖으로 나가게 된다. 그러므로 제 2디스크(12)의 피트(12a)에 기록된 정보는 일정한 광으로 반사되어 DAD용대물렌즈(9)로 재차 입사되는 것이다.That is, the beam collected by the DAD
한편, 이 DAD용대물렌즈(9)로 재차 입사된 광 정보의 빔은 반사미러(8)로 조사되고, 이 반사미러(8)로 조사된 광 정보의 빔은 소정의 각으로 빔의 경로가 변경되어 상프리즘(5)의 일측면을 경유해 사면에 형성된 PBS코팅면(4)에 입사된다. PBS코팅면(4)으로 입사된 광정보의 빔은 이상광선(S파)의 형태이므로, 그 PBS코팅면(4)을 그대로 투과해 하프리즘(6)의 일측에 설치된 제 2홀로그램소자(7)의 광검출기로 입사된다.On the other hand, the beam of light information incident again on the DAD
여기서 이 제 1홀로그램소자(1) 및 제 2홀로그램소자(7)내의 4분할된 광검출기로 입사된 광 정보와 함께 포커싱에러, 트래킹에러를 검출하기 위해 빔의 일정 광량을 회절시켜 에러를 검출하고 있는데, 즉 본 발명에서 트랙킹에러는 원 빔법을 이용하여 에러를 검출하며 또한 포컬트 법을 이용하여 포커스 에러를 검출한다. 즉, 회절된 광 정보의 빔은 보통의 4분할된 각 홀로그램소자(1,7)의 광검출기 영역으로 수광되는데, 이때 포커스가 광검출기의 뒷쪽에 맺힐 경우에는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은 빔의 형상이 광검출기의 각 영역에 조사된다. 그리고 포커스가 광검출기의 정확히 맺힐 경우에는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은 빔의 형상이 광검출기의 각 영역에 조사된다. 또한 포커스가 광검출기의 앞쪽에 맺힐 경우에는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은 빔형상으로 광검출기의 각 영역에 조사된다.In order to detect a focusing error and a tracking error together with the light information incident to the quadrant photodetector in the
이때 광검출기의 각 영역은 D1,D2,D3,D4로 구분하며 포커스에러 검출신호는 아래와 같은 수학식으로 나타낼 수 있다.In this case, each region of the photodetector is divided into D1, D2, D3, and D4, and the focus error detection signal may be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equation.
그러므로 각 홀로그램소자(1,7)의 광검출기 영역에 조사되는 빔을 후단에 설치된 차동증폭기(도시안됨)에서 광량의 차이를 이용함으로써, 에러는 검출되고 이 에러는 미도시된 제어장치에 의해 보정된다.Therefore, by using the difference in the amount of light in the differential amplifier (not shown) provided at the rear end of the beam irradiated to the photodetector regions of each
또한, 본 발명에서 트래킹 에러는 원빔법을 이용하여 검출하고 있다. 즉, 디스크(11,12)의 피트(11a,12a)에 조사되는 빔이 피트(11a,12a)의 좌우측으로 벗어나면, 그에 따른 트래킹에러 검출영역에 조사되는 광량의 차이가 나타나는데, 이때 이 광량의 차이를 이용해 에러를 보정하는 것이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tracking error is detected by using the one-beam method. That is, when the beam irradiated to the
또한, 각 홀로그램소자(1,7)의 광검출기의 조사되는 광정보의 빔은 아래와 같은 수학식으로 표시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beam of light information irradiated by the photodetectors of each hologram element (1,7) can be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equation.
이와 같이 상기 각 홀로그램소자(1,7)의 광검출기에 조사된 빔의 형상으로부터 디스크에 대한 광픽업장치의 위치정확도, 즉 포커싱 및 트래킹 에러 신호가 발생되고, 그 신호에 응답하여 미도시된 제어장치가 대물렌즈의 액츄에이터의 코일에 전류를 인가하여 보정함으로써 광픽업장치가 안정적으로 동작하게 된다.In this way, the positional accuracy of the optical pickup device with respect to the disc, i.e., focusing and tracking error signals, is generated from the shape of the beam irradiated to the photodetectors of the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상프리즘과 하프리즘의 사면이 체결된 입방체프리즘과 이 입방체프리즘의 사면에 형성된 PBS코팅면과 이 PBS코팅면에 의해 반사 및 투과하는 빔을 각각 방사 및 수광하는 홀로그램소자와, 트윈대물렌즈의 일측 하면에 설치된 반사미러를 구비함으로써, 최적의 구조로 설계하여 광픽업장치를 경박단소화함은 물론 저렴한 가격으로 DVD용 디스크 및 DAD용 디스크의 광정보를 읽을 수 있는 듀얼포커스 광픽업장치를 설계할 수 있는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holographic element for radiating and receiving a cubic prism in which the upper prism and the lower prism are fastened, a PBS coated surface formed on the slope of the cube prism, and a beam reflected and transmitted by the PBS coated surface, respectively; The dual-focus optical fiber is equipped with a reflecting mirror installed on one lower surface of the twin objective lens, so that the optical pickup device can be designed in an optimum structure, and the optical pickup device can be read at low cost. The pickup device can be designed.
Claims (2)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970006531A KR100245242B1 (en) | 1997-02-28 | 1997-02-28 | An optical pick-up device of dual focu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970006531A KR100245242B1 (en) | 1997-02-28 | 1997-02-28 | An optical pick-up device of dual focus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9980069460A KR19980069460A (en) | 1998-10-26 |
KR100245242B1 true KR100245242B1 (en) | 2000-02-15 |
Family
ID=194983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970006531A Expired - Fee Related KR100245242B1 (en) | 1997-02-28 | 1997-02-28 | An optical pick-up device of dual focus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245242B1 (en) |
-
1997
- 1997-02-28 KR KR1019970006531A patent/KR100245242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9980069460A (en) | 1998-10-2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H09180238A (en) | Optical pickup system | |
KR100245242B1 (en) | An optical pick-up device of dual focus | |
KR0155092B1 (en) | Optical pick up system | |
KR100197942B1 (en) | Dual Focus Optical Pickup | |
US5691970A (en) | Optical pickup for high-density recording/reproducing | |
KR100245241B1 (en) | Dual optical pick-up device | |
KR19980086173A (en) | Dual Optical Pickup | |
KR20000003530A (en) | Optical pick-up apparatus having dual focus exclusive multi curvature lense | |
KR0167930B1 (en) | Subminiature dual focus optical pick-up device | |
KR19990049998A (en) | Light Control LCD Dual Focus Optical Pickup Device | |
KR100194341B1 (en) | Dual Focus Optical Pick-Up Unit | |
KR0175814B1 (en) | An optical pick-up device | |
KR100211819B1 (en) | An optical pick up device | |
KR0181817B1 (en) | Dual Focus Optical Pick-Up Unit | |
KR0137247B1 (en) | OPTICAL PICK-UP DEVICE OF COMPACT DISC PLAYER | |
KR100272086B1 (en) | Dual Focus Optical Pickup Device | |
KR20000003531A (en) | Optical pick-up apparatus having dual focus exclusive multi curvature lense | |
US20030043724A1 (en) | Optical pickup apparatus having beam splitter on which hologram is formed and method of compensating for deviation between optical axes using the optical pickup apparatus | |
KR19990018478A (en) | Slim optical pickup using total reflection prism | |
JPH09128771A (en) | Optical head | |
JP2000076690A (en) | Optical head device | |
KR980011155A (en) | Optical pick-up device | |
KR19980029874A (en) | Optical pick-up device | |
KR20000001578U (en) | Dual Focus Optical Pickup Unit with Reflective Plate | |
KR19990050025A (en) | Optical pick-up devic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
|
R17-X000 |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7-oth-X000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4-asn-PN2301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31029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041127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041127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