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245048B1 - 보강토 구조물 - Google Patents

보강토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45048B1
KR100245048B1 KR1019940031610A KR19940031610A KR100245048B1 KR 100245048 B1 KR100245048 B1 KR 100245048B1 KR 1019940031610 A KR1019940031610 A KR 1019940031610A KR 19940031610 A KR19940031610 A KR 19940031610A KR 100245048 B1 KR100245048 B1 KR 1002450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reinforcement
reinforcement earth
plates
connecting plat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316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18082A (ko
Inventor
김종천
Original Assignee
김종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천 filed Critical 김종천
Priority to KR10199400316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45048B1/ko
Priority to PCT/KR1995/000157 priority patent/WO1996017133A1/ja
Priority to AU39954/95A priority patent/AU3995495A/en
Publication of KR9600180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80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450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45048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 E02D17/202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with flexible securing mea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it Excavations, Shoring, Fill Or Stabilisation Of Slo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강토 구조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보강토 구조물은 기본판과 접속판을 연결끈으로 체결하고, 또한 조립식으로 형성하므로서, 절첩 및 조립이 가능하여 이송과 사용이 편리한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의 보강토 구조물은 전체적으로 다수의 셀들을 구성하므로서, 연약지반강화용은 물론 옹벽 등의 전면벽을 축조하는데 사용될 뿐만아니라 다양한 용도로 사용 되어질 수 있는 다목적 구조물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보강토 구조물
제1도는 종래 기술에 의한 전면 옹벽을 도시한 보강토 구조물의 사시도.
제2도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보강토 구조물의 사시도.
제3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보강토 구조물의 사시도.
제4도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보강토 구조물의 사시도.
제5도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보강토 구조물의 평면도.
제6도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보강토 구조물의 평면도.
제7도는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보강토 구조물의 부분품을 나타낸 정면도.
제8도는 제7도의 부분품들을 결합한 제6실시예의 보강토 구조물에 대한 사시 도.
제9도는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따른 보강토 구조물의 사시도.
제10도는 본 발명의 제8실시예에 따른 보강토 구조물의 부분품을 나타낸 사시 도.
제11도는 제10도의 부분품들을 결합한 상태의 제8실시예에 대한 평면도.
제12도는 본 발명의 제9실시예에 따른 보강토 투조물의 사시도.
제13도는 본 발명의 보강토 구조물의 시공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제14도는 제13도의 다른 실시에에 대한 평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기본판 102 : 접속판
104 : 연결끈 201 : 단위판재
205 : 제1연결끈 207 : 제2연결끈
304 : 확장판 306 : 연결끈
402 : 결합홈 404 : 결합공
510 : 기본판상부재 520 : 전면접속판
530 : 중간접속판
본 발명은 보강토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접철이 가능하고 조립이 가능한 셀 형태의 보강토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연약지반을 강화하는 데 있어서, 또는 옹벽이나 댐 등의 전면 벽을 축조하는데 있어서 다양한 방법의 보강토 구조물이 이용되고 있다. 우선, 연약지반을 강화하는데 이용되는 보강토 구조물의 일례가 일본 특허 공개 공보 소 58-106020호에 기재되어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보강토 구조물은 합성수지 또는 금속판넬 등을 이용한 적어도 둘 이상의 기본 판재들을 일정 간격을 두고 접착하여 구성된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종래의 보강토 구조물은 설치할 때 흙과 같은 채움재를 넣기 위하여 공간이 형성되도록 벌려야 하는 데, 복원력이 작용하므로서 벌리기가 힘들뿐 아니라 시공에도 많은 어려움이 있었다.
또한, 옹벽 등의 전면 벽을 형성하는데 이용되는 종래의 보강토 구조물은 제1도에 도시되어 있다 . 제1a도는 프랑스의 기술자 헨리비달에 의해 개발된 공법으로, 내측면으로 보강재연결고리(10)를 돌출시켜 구비한 다수의 콘크리트판들(20)을 조립하고, 보강재연결고리(10)에 보강관들(30)을 결합하여 내측면에 흙 등의 채움재를 쌓는 방법으로 시공된다.
한편, 제1b도는 영국에서 개발된 것으로서, 육각형의 단위부재들(40)을 서로 밀착시켜 적층한다. 또 적층할 때 견고성을 유지하기 위하여 단위부재들(40)을 관통하는 연결봉들(50)로 단위부재들(40)을 체결한다. 아울러, 연결봉들(50)에 보강끈들(60)을 연결하여 내측면에 흙등의 채움재를 쌓는 방법으로 시공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의 보강토 구조물은 보강끈들(60)이 인발되는 문제점이 있고, 따라서 구조적으로 취약하여 일정 이상의 높이 이상은 적층이 어려운 문제점들이 있다.
따라서, 본 발평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제문제점들을 해소하고, 연약지 반강화용은 물론 옹벽 등의 전면벽시공에 동시에 이용할 수 있는 다목적의 보강토 구조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접철이 가능하고 조립이 가능한 셀 형태의 보강토 구조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설치가 용이하고, 안정성이 우수하며, 따라서 높은 옹벽 등을 시공할 수 있는 보강토 구조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위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보강토 구조물에 있어서, 제1연결끈이 관통할 수 있는 제1구멍을 형성하고 있는 적어도 둘 이상의 기본판, 제1연결끈이 관통할 수 있는 제2구멍을 형성하고, 상기 기본판들 사이에 조정간격으로 배열되는 접속판 및 상기 기본판의 제1구멍들과 상기 접속판의 제2구멍들을 관통하여 기본판과 접속판을 결합하는 제1 연결끈을 포함하는 보강토 구조물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은 보강토 구조물에 있어서, 유연성물질로 구성되고, 소정간격마다 서로 접합되어 있는 적어도 둘 이상의 기본판들 및 상기 기본판들 사이와 접합부들 사이에 형성된 공간내에 설치되고, 인장력에 의해 기본판들을 길이방향에서 측면으로 확장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확장부재들을 포함하는 보강토 구조물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은 보강토 구조물에 있어서, 긴 판상으로 형성되고 길이방향의 일측단부에 소정간격을 두고 형성된 제1결합홈들을 구비한 적어도 둘 이상의 기본판들 및 상기 기본판들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대략 직교하는 방향으로 제1결합홈에 체결되는 제1접속판을 포함하는 보강토 구조물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은 보강토 구조물에 있어서, 소정의 두께를 갖고 길게 연장되며, 길이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양면에 형성된 결합홈들을 갖는 적어도 둘 이상의 기본판상부재 및 양단부에 상기 결합홈에 체결되는 체결부를 일체로 형성하고, 이 체결부를 서로 마주보는 상기 기본판상 부재의 결합홈들에 체결하는 접속판상부재를 포함하는 보강토 구조물에 있다.
이하에서, 본 발명에서 여러 가지 실시예들을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제2도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보강토 구조물의 사시도이다. 이 실시예에 따른 보강토 구조무은 적어도 둘 이상의 기본판들(100)과, 다수개의 접속판들(102) 및 기본판들(100)과 접속판들(102)을 상호 연결하는 연결끈들(104)을 구비하고 있다. 기본판(100)과 접속판(102)에는 연결끈(104)이 관통할 수 있는 다수의 관통공들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연결끈(104)이 기본판(100) 및 접속판(102)의 관통공들을 도시한 바와 같이 관통하므로, 기본판(100)과 접속판(102)을 상호 결합한다. 그러므로 셀 형태의 보강토 구조물이 형성된다. 여기서, 접속판(102)은 시공목적상 기본판들(100)과 접속판들(102)이 형성하는 공간부의 크기를 서로 달리하도록 구성하여도 좋다.
위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보강토 구조물은 연결끈(104)을 느슨하게 유지하므로서, 접속판들(102)을 회전시켜 부피를 줄인 상태로 운반이 가능하고, 현장시공시에는 연결끈(104)을 당김으로서 도시한 바와 같은 형상으로 전개시킬 수가 있기 때무에, 시공에 편리한 이점을 제공함은 물론 견고성도 함께 증강되는 효과가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밞여의 보강토 구조물은 셀 형태를 유지하므로, 필요에 따라 선택한 격자로 배수로 등으로 활용할 수가 있는 등 다양한 이점을 제공한다.
위와 같은 구성의 보강토 구조물에 흙 등의 채움재를 다수의 격자에 투입하므로서 지반강화용으로 이용될 수도 있음은 물론 상방향으로 중첩하여 적층하므로서 옹벽 등의 전면 벽을 형성할 수도 있다.
제3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보강토 구조물의 사시도이다. 이 실시예는 제2도의 실시예와 근본적으로 동일하다. 다만,제2도의 접속판(102)을 상하로 소정간격(d)을 유지하면서 상접속판(102A) 및 하접속판 (102B)으로 구분하여 결합한 것이 다르다. 이와 같이 간격(d)을 유지하는 이유는 수직으로부터 받게 되는 충격이나 하중을 흡수하여 분산하기 위한 것이다. 그 외의 작용 및 효과는 제2도의 실시예와 동일한 것이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제4도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보강토 구조물의 사시도이다. 이 실시예의 보강토 구조물은 다수의 단위판재들(201)과, 서로 대향하는 단위판재들(201) 사이에서 대략 직교하는 방향으로 설치되는 다수의 접속판들 (203)과, 단위판재들(201)을 체결하는 제1연결끈(205), 및 단위판재들(201)과 접속판들(203)을 체결하기 위한 제2연결끈(207)으로 구성된다. 도면으로분 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단위판재들(201)에는 제1연결끈(205) 및 제2연결끈(207)이 관통할 수 있는 구멍들이 형성되어 있고, 접속판들(203)에는 제2연결끈(207)이 관통할 수 있는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실시예는 지면이 굴곡되어져 있는 지반이나, 경사면, 암반지역, 기타 평탄작업이 어려운 현장 등에 적용하기에 편리한 이점을 갖는다. 그 외의 이점 및 작용·효과에 대해서는 앞서 설명한 제1 및 제2실시예와 같으므로 중복설명은 생략한다.
제5도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보강토 구조물의 평면도이다. 이 실시예의 보강토 구조물은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고 판상으로 형성된 다수의 기본판들(302)을 구비하고 있다. 기본판들(302)은 수지나 금속 등의 재질로 구성되며, 서로 인접하는 기본판들(302)은 수지나 금속 등의 재질로 구성되며, 서로 인접하는 긴본판들(302)과 길이 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어 서로 접합되어 있다. 따라서 기본판들(302)의 길이 방향에서 대략 수직 방향으로 잡아당기면 제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은 형상으로 댜수의 공간부를 형성하게 된다.
이 기보판들(302)의 공간부에는 다수의 확장 부재들이 배치딘다. 이 확장 부재는 공간부에 하나씩 배열되는 확장판(304)과, 이 확장판(304)을 기본판(302)에 체결하는 연결끈(306)으로 구성된다. 도면으로부터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연결끈(306)은 기본판들(302)의 측면에 형성된 구멍들(미도시)과 착장판들(304)에 형성된 구멍들(미도시)을 관통하여, 확장판들(304)을 기본판들(302)에 체결한다.
따라서, 운반시에는 연결끈(306)을 느슨하게 하므로서 기본판들의 탄성력에 의해 확장판들(304)이 대략 90°회전하여 기본판들이 밀착되므로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다. 뿐만아니라, 현장에 시공할때는 연결끈(306)을 양단부에서 인장하므로, 도시한 바와 같은 형상으로 본 발명의 보강토 구조물을 시설할 수가 있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흙 등의 채움재를 투입하므로 시공을 완성한다. 그 외의 작용·효과는 앞서 설명한 실시예들과 대동소이함을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제6도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보강토 구조물의 평면도이다. 이 실시예의 구성은 근본적으로 제5도의 실시예와 동일하다. 다만, 제5도의 실시예에 있는 확장판들을 사용하지 않고, 기본판들(302)의 접합부들 사이에 소정의 길이를 갖도록 양단부가 접합부에 고정된 연결끈(308)을 구성하고 있다. 이 연결끈은 절첩될 수 있는 유연성 물질로 구성되어져야 함은 당연하다. 따라서, 운반 및 시공이 편리함은 제5도의 실시예와 같은 효과를 갖는다.
제7도는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보강토 구조물의 부분품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제7a도는 기본판(401)을, 제7b도는 제1접속판 (403)을, 제7c도는 제2접속판(405)을 각각 도시하고 있다. 기본판(401)은 긴 판상으로 형성되고, 길이 방향을 따라 일측 단부상에 소정간격을 두고 형성된 제1결합홈(402)들을 구비하고 있다. 뿐만아니라, 기본판(401)은 제1결합홈(402)과 하방향의 일직선상으로 소정간격을 두고 제2결합공(404)을 형성하고 있다. 제1접속판(403)은 기본판(401)의 제1결합홈(402)과 결합하는 제2결합홈(406)을 형성하고 있다. 이 제1접속판(403)은 기본관 (401)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대략 직교하는 방향으로 결합된다. 제2접속판 (405)은 기본판(401)의 제2결합공(404)에 삽입될 수 있는 판상부재이다.
제8도는 제7도의 부분품들을 결합한 제6실시예에 따른 보강토 구조물의 사시도 이다. 앞서 제7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기본판들(401)의 제1결합홈들(402)에 제1접속판(403)의 제2결합홈(406)을 마주보게 결합하고, 아울러 기본판(401)의 제2결합공(404)에 제2접속판(405)을 삽입하여 체결된다. 이때, 제1접속판(403)과 제2접속판(405)의 마주 보는 단부들 사이에는 소정간격(1) 이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수직으로부터 받게 되는 충격이나 하중을 흡수하여 분산하기 위한 것이다. 그 이외의 작용·효과는 앞서 설명한 실시예들과 유사하므로 상세한 설 명은 생략한다.
제9도는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따른 보강토 구조물의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의 보강토 구조물은 제8도의 실시예와 근본적으로 유사하다. 다만, 제2접속판을 제거하고, 기본판에 다수의 판통공(408)을 형성한 것이 특징이다. 제2접속판을 제거하므로서, 별도의 배수공간을 설치하지 않더라도 기본판(401)의 제2결합공(404)을 배수로로 이용할 구가 있다. 기본판(401)에 다수의 관통공(408)을 형성한 이유는 세면 등의 채움재를 충진하면 양단을 고정하므로서 견고성을 향상시킬 수가 있다.
제10도는 본 발명의 제8실시예에 따른 보강토 구조물의 부분품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제10a도는 소정의 두께를 갖고 길게 연장되는 기본 판상부재(510)를 도시하고 있다. 이 기본판상부재(510)는 길이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양면에 형성된 결합홈들(511)을 구비하고 있다. 제10b도는 보강토 구조물의 전면에 설치하기 위한 전면접속판(520)을 도시하고 있다. 이 전면접속판(520)의 양단부에는 기본판상부재(510)의 결합홈들(511)에 결합하기 위한 체결부(521)가 형성되어 있다. 제10c도는 기본판상부재(510)사이에서 셀구조의 공간들을 형성하기 위하여 체결되는 중간접속판(530)이다. 이 중간접속판(530)은 양 단부에 기본판상부재(510)의 결합홈들(511)에 체결되는 체결부(531)를 형성하고 있다.
제11도는 제10도의 부분품들을 결합한 상태의 제8실시예에 대한 평면도이다. 이 실시예에 따른 보강토 구조물은 두꺼운 철근콘크리트나 금속판 또는 기타 강성의 재질을 사용하고, 여러 겹으로 적층하므로서 구조물의 전면 벽으로 사용하기에 적합하다. 이 구조물의 조립 및 용도는 설명을 생략하여도 앞서 설명한 내용으로부터 충분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아울러, 이 실시예의 보강토 구조물을 해양이나 수로 등에서 시공할 때 구조물을 적층하여 기본판상부재(510)의 상단에 교통로를 설치하면 독립된 각각의 셀 내부에 채움재를 현장에서 타설할 수가 있다. 또한, 이 실시예의 구조물은 결합 구조가 아니고 일체로 형성하여도 좋다.
제12도는 본 발명의 제9실시예에 따른 보강토 구조물의 사시도이다. 이 실시예의 구조물은 제10도의 보강토 구조물을 여러개 적층한 구조를 도시하고 있다. 따라서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하여는 제10도와 동일한 부호를 사용한다. 도면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구조물의 적층을 견고하게 하기 위하여 기본판상부재(510)에는 판상부재를 상·하로 관통하는 수용홈(540)이 다수개 형성되어져 있다. 따라서, 구조물을 적층시 수용홈(540)을 관통하여 결합봉(550)이 체결된다. 뿐만 아니라, 기본판상부재(510), 전면접속판(520) 및 중간접속판(530)에는 관통홈들(560)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이 실시예의 구조물로서 전면벽을 굴곡있게 적층하여 해수면에 설치하면, 구조물의 안정성이 향상됨은 물론 차단의 효과가 있다. 뿐만 아니라, 다수개 형성된 관통홈들(560)로 인하여 다양한 형태의 배수 공간을 만들어 줌으로써 전면판 내부 일정 거리까지 해수의 유입을 유도하여 해수압을 줄일 수 있다. 따라서, 구조물의 내구성을 향상시킴은 물론 안정성이 높은 효과도 있다.
제13도는 본 발명에 따른 보강토 구조물의 시공 형태에 대한 일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면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기본판(710)과 접속판(720)의 길이를 임의로 조정함으로써 시공을 다양한 방법으로 할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보강토 구조물은 벽면이 형성되어 있음으로 거푸집의 설치나 철거 공정을 생략할 수도 있다.
제14도는 제13도 실시예의 다른 실시예에 관한 것이다. 이 실시예에서는 가로부재(810) 및 세로부재(820)를 일체로 구성하고 있다. 도면은 평면도로 도시되어 있으나, 가로부재(810) 및 세로부재(820)의 높이는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아울러, 이들 가로부재(810) 및 세로부재(820)에는 서로 양단이 관통되는 구멍들(미도시)이 형성되어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보강토 구조물은 지반보강, 사면안정, 댐, 제방 등에 이용됨은 물론 다음의 시공예들에 기재된 바와 같은 다양한 분야에 이용되어질 수 있다.
(시공예 1)
본 발명을 연약지반 특히 초연약지반 개량공사의 배수로에 설치하면, 접지압을 횡적으로 분산시킴으로써 트래피커빌리티를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고, 연약지반에 일어나는 부등침하를 예방할 수가 있다. 또한, 지반의 안정 효과를 극대화시키는 셀 구조에 의하여 매트 층의 두께와 과다한 성토를 줄일 수가 있다.
(시공예 2)
연약지반의 교통로 확보나 구조물 축조시의 기초 지반 강화 또는 폐기물이나 쓰레기 매립장의 침출수 방지를 위한 차수막 설치시, 종전의 주입식에 의한 고화처리방법과 달리 보강틀 설치후 교반기에서 약액과 채움재를 균일하게 고화처리한 다음 펌프나 장비를 이용하여 셀 내부로 포설하면, 벽면에 형성된 공간을 통하여 고화토가 상호 견고하게 부착된다.
또한, 구조물의 일정부위(셀)를 선택하여 통기성과 배수가 가능한 입상 골재를 고화토와 구분하여 포설하면, 광범위한 지역의 차단막 형성으로 인한 환경파괴 문제가 해결된다. 또한, 구조물에 의한 지지력의 향상으로 고화처리층의 두께를 줄일 수 있고 부등침하를 방지하며 경제성 및 시공성과 품질이 향상되며, 고화처리에 의한 환경 파괴 문제에도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다.
(시공예 3)
본 발명의 보강토 구조물에 배수 공간을 설치하여 폐기물이나 쓰레기 매립장 등의 하단에 설치하면, 매립장에서 생기게 되는 침출수 등을 한 곳 으로 유도할 수 있게 되며, 매립을 적층시킴으로 인하여 지반이 받는 압력 을 분산 수용함으로써 매립층을 높일 수 있게 되고, 특히 연약한 지반 등인 경우 매립 하중에 의한 지반 거동이나 부등침하를 예방할 수 있게 되고 립장의 전면에 셀구조의 전면판으로 시공하여 종래에 일어나는 매립하중에 의한 밀림으로 생기는 전면판의 변형을 예방할 수 있다.
(시공예 4)
본 발명의 보강토 구조물을 건축물의 바닥면이나 교량의 상판에 설치하면, 구조물이 받는 통과 하중이나 진동에 의한 접지압을 채움재에 의하여 극적으로 분산 수용함으로서 구조물의 수명을 연장시키고 유지 및 보수비용 을 줄일 수 있게 된다
(시공예 5)
본 발명의 보강토 구조물을 제방이나 옹벽, 댐 또는 도로나 철도 등의 노반에 사용하면 종래의 전면판의 설치시에 생기는 미끄럼이나 지지력 파손 문제와 시공 높이의 제한을 안정된 셀 구조에 의해 극복할 수 있다 또한, 전면판의 경사면을 수직이나 또는 수직에 가깜게 설치할 수 있음으로 토지의 이용율을 높이고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전면판에 형성된 일정 셀의 벽면에 배수공간을 형성하고 이 곳의 채움재를 모래나 자갈을 사용하여 구조물 내부에 배수로가 형성되어 완벽한 배수를 이루게 된다.
특히 도로나 철도등에서 본 발명의 구조물을 설치하면 향상된 지반 안정에 의하여 노반의 성토를 절반으로 줄일 수 있고 제방이나 옹벽, 댐 등의 구조물에서는 지반 안정과 지지력의 향상으로 댐의 두께를 줄일 수 있게 되며 일정부분씩을 나누어 개,보수가 가능한 특징이 있다.
(시공예 6)
본 발명을 지하철이나 터널 또는 갱도 등의 지하구조물에 시공하여 배수로를 형성하면, 구조물이 받는 수압을 해소하고 토압을 경감할 수 있다.
(시공예 7)
교량의 교각이나 격납고 또는 엄폐호나 차단막 등의 구조물을 시공시 본 발명의 구조물을 이용하여 내부에 철근배근후 콘크리트를 타설하면 보강 틀의 벽면이 거푸집의 역할을 함으로 설치나 제거할 필요가 없으며, 또한 보다 강한 구조를 이루어 안정성 있는 구조물을 축조할 수 있게 된다.
(시공예 8)
상기 지오셀 전면판을 호안이나 방파제 또는 안벽이나 기타 수로 구조물에 적용하면 안정된 전면판의 셀 구조와 벽면에 설치된 배수 공간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것에 의하여 해수의 차단과 통과를 자유로이 조정함으로써 방파제나 방조제 또는 기타 수로 구조물의 물막이 공사를 용이하게 하며 또한 구조물의 안정을 기할 수 있고, 특히 전면판의 구조를 굴곡 등의 변형을 주어 파도의 차단막이 되게하여 태풍이나 해일 등에 의한 피해를 줄일 수 있게 된다.
방파제방조제 등을 설치할 때 본 발명의 물막이나 파도차단 장치를 활용하면, 종래와 같이 파도나 해수의 압력을 줄이기 위해서 투기하는 골재나 구조물의 낭비를 줄이게 되고 또한 파도차단장치 구조물의 상부를 교통로나 낚시터등으로 활용할 수 있게 되는 특징을 갖는 복합용도의 구조물을 적은 비용으로 신속하게 시공할 수 있게 된다
(시공예 9)
도로의 중앙 분리대에 본 발명을 적용하면, 분리대 기능이외에 셀 공간을 이용하여 화단 겸용의 복합 용도로 활용할 수 있으며, 개보수나 설치 철거가 용이하며, 특히 견고한 구조와 외벽의 변형을 자유롭게 할 수 있어 중앙분리대의 기능이 향상된다.
(시공예 10)
가스나 유류 또는 기타 관수로 매설시에 본 발명을 적용하면 지반의 변형에 대응이 용이하고, 기초 지반의 강화를 위하여 사용하는 모래 대신 현지토를 사용할 수가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시공예들 외에도 본 발명에 따른 보강토 구조물의 적용범위는 다양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뿐만아니라,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외에도 이하에서 기재될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의 다앙한 실시예들에 대한 변형도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1)

  1. 보강토 구조물에 있어서, 제1연결끈이 관통할 수 있는 제1구멍을 형성하고 있는 적오ㄷ 2이상의 기본판, 제1연결끈이 관통할 수 있는 제2구멍을 형성하고, 상기 기본판들 사이에 소정간격으로 배열되는 접속판 및 상기 기본판의 제1구멍들과 상기 접속판의 제2구멍들을 관통하여 기본판과 접속판을 결합하는 제1연결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토 구조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판은 소정간격을 유지하면서 상하로 이중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토 구조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기본판들 사이에 상기 접속판을 다수개 결합할 수 있도록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토 구조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본판은 제2연결끈이 관통할 수 있는 제3구멍을 형성하고, 대략 중앙부에서 하나의 접속판을 결합할 수 있도록 분리된 다수의 단위판재들과 상기 단위판재들을 제3구멍을 통하여 체결하는 제2연결끈을 포함하고 있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토 구조물.
  5. 보강토 구조물에 있어서, 긴 판상으로 형성되고 길이방향의 일측단부에 소정간격을 두고 형성된 제1결합홈과 제2결합홈들을 구비한 적어도 2이상의 기본판들, 상기 기본판들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대략 직교하는 방향으로 제1결합홈에 체결되는 제1접속판, 및 상기 제1접속판의 하단부와 소정간격 이격하여 상기 제2결합홈에 삽입 고정되는 제2접속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토 구조물.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기본판 및/또는 접속판에는 관통공들이 형성되어 잇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토 구조물.
  7. 보강토 구조물에 있어서, 서로 교차하는 가로부재와 세로부재들로 구성되어 다수의 격자구조를 가지면서, 상기 부재들은 높이를 선택저긍로 조절할 수 있으며, 상기 다수의 격자구조들을 서로 다른 채움채로 채워질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토 구조물.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부재들에는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토 구조물.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구조물은 소정의 격자와 상기 부재들에 형성된 구멍으로 연결되는 배수로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토 구조물.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구조물은 물의 흐름을 조절하는데 사용하기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토 구조물.
  11. 상기 물의 흐름은 상기 구조물의 구멍을 개폐함에 의하여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토 구조물.
KR1019940031610A 1994-11-29 1994-11-29 보강토 구조물 Expired - Fee Related KR1002450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31610A KR100245048B1 (ko) 1994-11-29 1994-11-29 보강토 구조물
PCT/KR1995/000157 WO1996017133A1 (fr) 1994-11-29 1995-11-29 Structure de renforcement de sol
AU39954/95A AU3995495A (en) 1994-11-29 1995-11-29 Reinforced soil structur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31610A KR100245048B1 (ko) 1994-11-29 1994-11-29 보강토 구조물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13510A Division KR100256993B1 (ko) 1998-04-15 1998-04-15 보강토 구조물을 판넬 및 내부골조로 이용하는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8082A KR960018082A (ko) 1996-06-17
KR100245048B1 true KR100245048B1 (ko) 2000-02-15

Family

ID=193993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31610A Expired - Fee Related KR100245048B1 (ko) 1994-11-29 1994-11-29 보강토 구조물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0245048B1 (ko)
AU (1) AU3995495A (ko)
WO (1) WO1996017133A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75151B1 (ko) * 2000-02-28 2003-03-08 학교법인 인하학원 폐타이어 트레드부를 이용한 지반보강공법
KR100794802B1 (ko) * 2007-07-11 2008-01-21 양창수 호안 구조물용 조립판
KR101813745B1 (ko) * 2014-04-01 2017-12-29 임종덕 옹벽축조용 블록
KR20180097863A (ko) * 2017-02-24 2018-09-03 박지배 보강토옹벽 보강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63487A (ko) * 2000-07-12 2000-11-06 이희만 박판 강재 조립형 토류시설
JP5041574B2 (ja) * 2006-01-13 2012-10-03 テレ・アルメ・インターナショナル・エス・エー・エス 土構造物
KR20070103245A (ko) * 2006-04-18 2007-10-23 주식회사 케이.씨 리버텍 식물 성장이 불가능한 콘크리트 호안부에 대한 직접 식생녹화방법
US12251618B2 (en) * 2021-08-19 2025-03-18 Playcore Wisconsin, Inc. Topographical playground structures, a structural framework thereof, and a method of making the topographical structures
CN118686118B (zh) * 2024-08-29 2025-02-25 山东省水利科学研究院 一种减少边坡水土流失的护坡结构及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65810B2 (ja) * 1986-08-22 1994-08-24 建設省土木研究所長 法面安定工法
JP2866225B2 (ja) * 1991-07-05 1999-03-08 前田工繊株式会社 地盤補強工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75151B1 (ko) * 2000-02-28 2003-03-08 학교법인 인하학원 폐타이어 트레드부를 이용한 지반보강공법
KR100794802B1 (ko) * 2007-07-11 2008-01-21 양창수 호안 구조물용 조립판
KR101813745B1 (ko) * 2014-04-01 2017-12-29 임종덕 옹벽축조용 블록
KR20180097863A (ko) * 2017-02-24 2018-09-03 박지배 보강토옹벽 보강장치
KR102085723B1 (ko) * 2017-02-24 2020-03-06 오병화 보강토옹벽 보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3995495A (en) 1996-06-19
WO1996017133A1 (fr) 1996-06-06
KR960018082A (ko) 1996-06-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97736A (en) Seawalls and shoreline reinforcement systems
CA2975237C (en) A retaining wall method of precast block to prevent landslide
US9644334B2 (en) Methods of and systems for controlling water flow, breaking water waves and reducing surface erosion along rivers, streams, waterways and coastal regions
KR100971004B1 (ko) 벽체를 이루는 패널과 강성 벽체구조를 이용한 보강토 옹벽
TW454057B (en) Reinforced frame structure
KR100245048B1 (ko) 보강토 구조물
US8215869B2 (en) Reinforced soil arch
CN114086505A (zh) 一种水利工程用河道护坡结构及铺设施工方法
KR100256993B1 (ko) 보강토 구조물을 판넬 및 내부골조로 이용하는 방법
CN209816577U (zh) 一种滨海软土地基傍河路堤的拓宽结构
KR101020217B1 (ko) 앵커를 이용한 암석 축조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100448442B1 (ko) 볼트접합강재를 구비한 옹벽보강재
KR200245925Y1 (ko) 낙석방지터널 설치구조
CN222525296U (zh) 一种防洪体系结构
KR200327422Y1 (ko) 하천제방 보호용 법면블록
CN221052662U (zh) 一种复合式面板多级加筋土挡墙
CN222120093U (zh) 一种抗洪堤坝护岸结构
CN118958073B (zh) 一种利于管线检修的加筋土路基
CN221029898U (zh) 一种应用于河道的组合护岸桩
CN222206472U (zh) 一种包裹式加筋土挡墙结构
CN217811147U (zh) 充砂管袋铺筑结合双层锁扣钢管桩防渗排水系统
KR100707723B1 (ko) 하천 제방 차수막 부재 시공 방법
KR200410820Y1 (ko) 하천 옹벽기초 세굴방지구조
CN118166705A (zh) 一种抗洪堤坝护岸施工方法
KR200245924Y1 (ko) 낙석방지터널 설치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4112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41129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1997121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199811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9042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9112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1999112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0308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