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244167B1 - 차량잠금래치 - Google Patents

차량잠금래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44167B1
KR100244167B1 KR1019970019883A KR19970019883A KR100244167B1 KR 100244167 B1 KR100244167 B1 KR 100244167B1 KR 1019970019883 A KR1019970019883 A KR 1019970019883A KR 19970019883 A KR19970019883 A KR 19970019883A KR 100244167 B1 KR100244167 B1 KR 1002441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ver
wheel
locking
latch
lock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198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74117A (ko
Inventor
로이드 워커 로저스 쥬니어
에루이드 데이비드 카터
죠셉 마이클 죤슨
마이클 안토니오 시아바그리아
Original Assignee
덴턴 마이클 죤
제너럴 모터즈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덴턴 마이클 죤, 제너럴 모터즈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덴턴 마이클 죤
Publication of KR9700741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741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441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44167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5/00Details of vehicle locks not provided for in groups E05B77/00 - E05B83/00
    • E05B85/20Bolts or detents
    • E05B85/24Bolts rotating about an axi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02Power-actuated 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actuators used
    • E05B81/04Electrical
    • E05B81/06Electrical using rotary mot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12Power-actuated 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the function or purpose of the powered actuators
    • E05B81/16Power-actuated 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the function or purpose of the powered actuators operating on locking elements for locking or unlocking a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24Power-actuated 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actuator or the power transmission
    • E05B81/32Details of the actuator transmission
    • E05B81/34Details of the actuator transmission of geared transmiss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24Power-actuated 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actuator or the power transmission
    • E05B81/32Details of the actuator transmission
    • E05B81/42Cams
    • E05B81/44Cams in the form of groov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54Electrical circuits
    • E05B81/90Manual override in case of power failur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5/00Details of vehicle locks not provided for in groups E05B77/00 - E05B83/00
    • E05B85/02Lock casing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92/00Closure fasteners
    • Y10S292/23Vehicle door latch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2/00Closure fasteners
    • Y10T292/08Bolts
    • Y10T292/1043Swinging
    • Y10T292/1044Multiple head
    • Y10T292/1045Operating means
    • Y10T292/1047Closur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2/00Closure fasteners
    • Y10T292/08Bolts
    • Y10T292/1043Swinging
    • Y10T292/1075Operating means
    • Y10T292/1082Motor

Landscapes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제1축을 따라 회전하도록 선택적으로 가역적으로 동력을 받는 제1휠; 제1휠과 동축을 이루며 제1휠을 향한 제1면을 갖는 제2휠; 회전중심이 상기 제1축과 전체적으로 합쳐있는 휠중 하나상에 형성되고, 서로서로 간격을 두고 떨어져 있는 제1 및 제2 끝단과 상부에 호형 요홈이 형성된 다른 휠상에 연결된 핀을 갖는 최소하나의 호형 요홈;을 포함하며, 상기 핀은 상기 요홈의 끝단 사이에 상기 요홈에 의해 그사이에 이동할수 있으며, 상기 제2휠은 상기 제1면과 반대되는 제2면상에 캠 프로파일을 포함하며, 그 캠 프로파일은 수동 작동되는 잠금 레버의 스터드를 잡고 있으며, 제1 원형방향으로 상기 제2휠이 회전됨에 따라 상기 수동 작동되는 잠금 레버로 하여금 상기 잠금레버를 잠금위치로 피봇 이동시키게 하며, 상기 제1 원형 방향에 반대인 제2 원형방향으로 상기 제2휠을 회전시킴으로서 상기 수동 작동되는 잠금레버로 하여금 상기 잠금레버를 걸림해제위치로 피봇이동시키게 하며, 상기 수동 작동되는 잠금레버는 상기 제1휠을 실질적으로 이동시키지 않고 상기 잠금위치나 걸림해제위치사이에서 이동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잠금래치.
본 발명은 차량잠금래치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히는 동력식으로 작동되는 라체트형 차량 잠금래치(ratchet type vehicle closure latch)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많은 차량에는 전기모터로 작동되는 동력 작동식 잠금래치가 제공되어 있다. 이 잠금 래치는 차량 전기시스템에 의해 동력을 전달받기 때문에 전기시스템에 문제가 생기면 차량 내부로부터 도어를 열 수 있는 여러 가지 종류의 메카니즘이 제공되어야 한다.
따라서, 차량은 동력작동에 의해서 앞서 잠겨진 잠금 래치를 여는데 사용될 수 있으며 수동으로 작동되는 잠금 레버를 갖는다.
이같이 수동으로 작동되는 잠금레버는 가능한 한 조작자가 손쉽게 작동할 수 있는 것이 요구되는 것이다.
제1도는 걸림 및 잠금 해제된 상태에 있는 수동 차량잠금래치를 실선으로 보여주는 일부절개 정면도.
제2도는 제1도의 2-2선 단면도로서, 잠금 위치에서 중간 레버가 가상선으로 도시된 단면도.
제3도는 제2도의 3-3선 배면도로서, 걸림 및 잠금 해제된 상태가 실선으로 도시되어 있으며, 여러 가지 부품들 역시 걸림 해제 또는 잠금위치에서 가상선으로 도시된 배면도.
제4도는 제1도의 4-4선 일부단면도로서 여러 가지 부품들이 걸림 해제 또는 잠금 위치에서 가상선으로 도시된 단면도.
제5도는 걸림 해제 및 잠금해제 상태에서 차량 잠금래치를 도시한 일부 절개 정면도.
제6도는 차량 잠금래치와 그것이 장착되는 도어부분에 대한 분해사시도.
제7도는 사출 성형된 잠금래치 라체트(ratchet)의 확대 정면도.
제8도는 본 발명에 의한 잠금 래치용 동력 엑튜에이터의 확대 단면도로서, 잠금래치의 다른 부위들은 제1도 내지 제7도에 도시된 것들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것을 도시한 확대 단면도.
제9도는 제8도에 도시된 엑튜에이터의 사시도.
제10도는 기어휠과 캠휠 및 본 발명에 따라 수동 작동되는 내부 잠금레버의 분해사시도.
제1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캠 휠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측면도.
제12도는 제8도와 같은 도면으로서, 잠금 위치에서 잠금 레버상의 스터드가 그 잠금 레버가 걸림 해제된 위치에 있을 때, 스터드의 위치보다 방사상으로 더욱 전진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차량잠금래치(vehicle closure latch)
12 : 하우징(housing) 36 : 라체트 스터드(ratchet stud)
42 : 라체트(ratchet) 126 : 잠금레버(locking lever)
150 : 내부작동레버(inside operating lever)
172 : 내부잠금레버(inside locking lever)
본 발명은 작동하는데 힘이 아주 적게 드는, 수동 "오버라이드(override)" 혹은 잠금레버를 갖는 동력식 도어 잠금래치를 제공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본 발명의 엑튜에이터는 전기 작동되는 웜기어(wor m gear)를 제공한다. 웜기어는 기어휠을 구동시킨다. 그리고 기어휠은 핀 및 요홈 로스트 모션 배열(pin and slot lost motion arrangement)을 통해 캠 휠을 구동시킨다. 캠 휠은 회전시 잠금 및 해제위치 사이에서 수동으로 작동하는 잠금레버를 이동시키는 프로파일(profile)을 갖는다.
상기 캠휠과 상기 기어휠 사이의 로스트 모션 배열로 인해 상기 수동잠금레버는 전기모터의 운전없이도 자유롭게 작동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도면에 따라서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제1,2 및 6도에는 차량잠금 래치(10)가 전방측면(14)측으로 개방된 단일 성형 플라스틱 하우징부재(12)를 갖추고 있다. 상기 하우징(12)은 상대적으로 얇고, 절개된 외주벽(16)을 포함하여 오목한 베이스 벽(18)을 갖는 공간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12)은 상기 외주벽(16)의 내측으로 단지 다소 오목하게 형성된 다수의 동일 평면의 단턱부(Shelf Portions)(20)를 갖는다. 금속 커버플레이트 또는 프레임부재(26)가 상기 벽부(16)내에 장착되고, 상기 단턱부(20)에 안착되어 하우징(12)의 전방측면(14)를 폐쇄시킨다. 상기 프레임(26)은 제6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으로 오목한 상부 모서리부(28), 외측으로 돌출한 중심부(30) 및, 한쌍의 측방 태브(32), (33)를 갖추고 있다. 라체트 스터드(36)는 그머리 단부가 지지되는 확장된 표면을 제공하는 상기 프레임(26)의 돌출된 중심부(30)내에 수용된다. 상기 스터드(36)의 일부분은 상기 하우징(12)에 일체로 부착된 얇은 플라스틱 슬리브(37) 내에 위치되어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벽(18)을 관통하는 구멍(40)내에 위치된다. 상기 얇은 플라스틱 슬리브는 조립을 용이하게 하며, 사용 중에는 파쇄되어 상기 스터드(36)와 회전가능한 잠금래치 라체트(42)사이에서 슬리브 베어링(38)을 제공하는 것이다.
제1, 6 및 7도에는 상기 라체트(42)가 상기 스터드(36)와 슬리브 베어링(38)을 수용하는 구멍(44)을 형성한 금속 기판(46)을 갖추어 상기 라체트(42)가 여하한 금속간의 마찰 없이도 스터드(36)상에서 회전하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일체형 플라스틱 슬리브(37)는 2가지의 중요 기능을 갖는 바, 이는 조립중에 라체트(42)를 위치설정하고, 사용중에 상기 라체트(42)가 회전되면 라체트(42)와 스터드(36)사이에서 금속간의 마찰을 발생시키지 않는 것이다.
제7도에서 도시된 상기 금속기판(46)은 St. Louis, Mo의 Monsanto Company 제품인 Santoprene과 같은 상대적으로 견고하고 강한 열가소성 플라스틱 재료로 이루어진 커버(48)내에 사출 성형된다. 상기 플라스틱 커버(48)는 제5, 6 및 7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라체트(42)의 회전을 방해하지 않도록 상기 구멍(44) 또는 상기 라체트(42)의 구멍(44)에 인접한 기판(46)의 면을 덮지 않는다.
그리고, 상기 플라스틱 커버(48)는 1차 걸림치차(56)의 외주면을 덮지 않음으로서 상기 라체트(42)가 제1도 및 제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위치에 있는 경우, 상기 1차 걸림치차(56)와 포울(Pawl)(60)사이에서 금속간의 접촉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 플라스틱 커버(48)는 기판(46)의 1차 걸림치차를 제외한 외주부를 덮고 있다. 상기 커버(48)는 스트라이커 치차(51)의 전방측에 대경부(thick portion)를 갖추며, 이는 상기 차량의 도어가 이하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닫치는 경우, 스트라이커의 최초 결합을 완충시키기 위한 일체형 범퍼(53)를 제공하도록 긴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플라스틱 커버(48)는 상기 라체트가 제1도 및 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걸림위치에 있는 경우, 상기 스트라이커에 결합하는 라체트(42)의 키퍼부(57)를 덮는 또 다른 완충재(55)를 갖는다. 그리고, 상기 플라스틱 커버(48)는 도어가 닫치어서 상기 포올(60)이 2차 걸림치차(80)에 걸리는 경우, 정숙한 작동을 위하여 상기 키퍼부(57)와 1차 걸림치차(56)의 정점부사이에서 기판(46)의 외주부를 덮는 또 다른 완충재(59)를 갖는다.
또한, 상기 플라스틱 커버(48)는 1차 걸림치차(56)와 스트라이커 치차(51) 사이에서 큰 현(Chord)형상 영역(61)을 갖추어 금속기판(46)의 크기와 무게를 감소시키고, 일체형 핀(43)을 위한 베이스를 제공한다.
제2도에는 오목한 베이스 벽(18)내의 요홈(50)이 코일 압축스프링(52)을 감싸고 있다. 제1도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라체트(42)의 소음차단 플라스틱 커버(4 8)와 일체로 성형된 핀(43)이 상기 코일압축 스프링(52)의 일단부에 접촉한다. 상기 스프링(52)의 타단부는 상기 요홈(50)의 단부벽에 지지되어 상기 포올(60)이 분리되는 경우, 상기 스프링(52)이 상기 라체트(42)를 제1도에서 실선으로 도시된 걸림위치로 부터 중간 걸림위치(미도시)를 거쳐서 제1도에서 점선으로 도시되고 제5도에서는 실선으로 도시된 걸림 해제위치로 향하여 시계방향으로 편향 지지된다. 상기 1차 걸림치차(56)는 하우징(12)의 숄더부(58)에 접촉하여 상기 걸림해제위치에서 상기 라체트 (42)를 정지시킨다.
제2도 및 6도에서는 포올(60)이 피봇가능하게 포올 스터드(62)에 장착되어 제1도에서 실선으로 도시된 결합위치와 제1도에서 점선으로 도시된 걸림 해제위치사이에서 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하우징(12)의 단턱부(20)중의 하나내에 형성된 요홈(68)은 제2코일 압축스프링(70)을 감싼다. 상기 포올(60)의 숄더부(72)는 상기 코일 압축스프링(70)의 일단부를 지지한다. 상기 스프링(70)의 타단부는 제1도 및 제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요홈(68)의 단부벽을 지지하여 포올(60)이 결합위치로 향하도록 반시계 방향으로 지지한다. 상기 포올(60)은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라체트(42)의 1차 걸림치차(56)에 결합하는 포올치차(76)를 갖추어 상기 라체트(42)가 완전 잠금위치에 걸리도록 하는 것이다. 비록, 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상기 포올치차(76)는 라체트(42)의 2차 걸림치차(80)에도 결합가능하여 상기 라체트(42)가 스트라이커(188)를 헐거운 상태로 유지하는 중간 걸림위치에서 회전하도록 하는 것이다.
제2도 및 3도에서는, 하우징(12)이 서로 평행을 유지하는 일련의 후방 베이스벽부(84), (86) 및 (90)을 갖는 후방측면(82)를 포함한다. 금속후방 플레이트(92)가 외측후방 베이스벽부(90)를 지지하고, 제6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오목부(94) 및 (96)를 포함한다.
그리고, 제2도 및 제6도에서, 비금속 또는 플라스틱 포올 해제레버(100)가 포올 스터드(62)상에서, 그리고 후방베이스 벽부(84)와 포올 스터드(62)의 리브(102)사이에서 동축으로 피봇 고정된다. 제1도에서, 상기 포올 해제레버(100)는 상기 하우징(12 )내의 긴구멍(106)을 통하여 연장하고, 상기 포올(60)의 노치(108)에 의해서 수용되는 측방 태브(104)를 갖추어 상기 포올 해제레버(100)를 포올(60)에 결합시킨다. 제3도와 6도에서는 포올 해제레버(100)의 편심 저부(Offset Foot)(110)가 비금속 또는 플라스틱 성형의 중간레버(116)의 일체형 귀부(ear)(111)에 결합 가능하다.
제2도 및 제3도에서는 상기 중간레버(116)의 일체형 귀부(111)가 걸림해제 레버(120)의 선형이동용 긴구멍(118)내에 활주 가능하도록 끼워지는 핀(112)을 갖는다. 상기 중간레버(116)의 하단(122)은, 상기 잠금레버(126)의 구멍내에서 편향지지되는 상기 중간레버(116)의 양갈래로 갈라진 돌기(123)지점에서 잠금레버(126)의 제1단부(124)에 피봇 가능하게 장착되어 정숙한 요동방지(antirattle)회전작동을 이루게 된다.
제3도 및 6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중간레버(116)는 일측으로 상기 잠금레버(126)와 걸림해제 레버(120)사이에 위치되며, 타측으로 하우징(12)의 후방베이스 벽부(86)사이에 위치된다. 상기 중간레버(116)의 일체형 핑거부(fingers)(128)는 상기 후방 베이스벽부(86)를 지지하여 상기 중간레버(116)를 잠금레버(126)와 걸림해제 레버(120)에 대하여 밀착지지하고 덜거럭 거림을 방지한다. 상기 중간레버(116)는 제2도 및 제3도에서 실선으로 도시된 걸림 해제위치와 점선으로 도시된 잠금위치 사이에서 상기 잠금레버(126)와 함께 이동한다.
상기 포올 해제레버(100)의 회전은 잠금 메카니즘의 일부인 중간레버(116)의 위치와, 걸림해제 메카니즘의 일부인 걸림해제 레버(120)의 회전에 의존한다. 상기 걸림해제 메카니즘은 상기 잠금 메카니즘의 설명에 앞서서 보다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제2도 및 6도에서는 긴 구멍(118)이 중간레버(116)의 일체형 핀(112)을 수용하고 있는 걸림해제 레버(120)가 상기 포올 스터드(62)의 숄더부(130)와 비금속 플라스틱으로 성형된 외부조작레버(132)사이에서 포올 스터드(62)상에 피봇 장착되어 있다. 코일 비틀림 스프링(134)은 상기 리브(102)와 숄더부(130)사이에서 판넬(panel) 스터드(62)를 감싸고,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해제 레버(120)의 상부 모서리( 140)를 지지하는 다리부(136)를 갖는다. 상기 코일 비틀림 스프링(134)의 타단부는 하우징(12)의 만곡부(ramp)를 지지하여 상기 비틀림 스프링(134)이 걸림해제 레버 (120)를 제3도에 도시된 정지위치로 편향지지하는 것이다. 상기에서 제3도는 후측면도이지만 제1도, 5도 및 6도는 전방측면도인 것이다. 결과적으로, 스프링(134)은 걸림해제 레버(120)를 제1, 5 및 6도내에서 반시계 방향으로 편향 지지한다.
제3도 및 제6도에는 상기 포올 스터드(62)상에서 피봇 가능하게 장착되고, 후방플레이트 부재(92)와 걸림해제 레버(120) 사이에 위치된 외부조작레버(132)가 걸림해제 레버(120)의 측방 태브(146)상에 안착되어 있다. 제3도에는, 외측도어 핸들(미도시)이 상기 외부조작레버(132)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켜 잠금래치(10)를 해제시킨다. 상기 외부조작레버(132)는 상기 걸림해제 레버(120)를 동시에 반시계방향으로 그 정지위치에서 제3도에서 점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은 각각의 걸림해제 위치로 회전시킨다. 이러한 상태가 해제되면, 상기 외부조작레버(132)는 비틀림 스프링(134)의 편향 지지력을 전달하는 걸림해제 레버(120)의 측방 태브(146)에 의하여 그 정지위치로 복귀된다. 제3도 및 6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방플레이트(92)의 측방 태브(148)는 상기 외부조작레버(132)와 걸림해제 레버(120)의 시계방향운동을 제한한다.
제3,4 및 6도에서는 비금속 플라스틱으로 성형된 내부조작레버(150)가 비틀림 스프링(134)의 편향 지지력에 대항하여 걸림해제 위치로 걸림해제 레버(120)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내측조작레버(150)는 (152)지점에서 후방플레이 트(92)의 측방플랜지(154)측으로 피봇 회전되고, 상기 걸림해제 레버(120)의 다리부 (158)의 하부측의 다리부(156)를 갖는다. 상기 내부조작레버(150)는 내부조작핸들(미도시)에 연결되어 회전된다. 상기 레버(150)가 제4도 및 제6도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면, 이는 걸림해제 레버(120)를 제3도에 도시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킨다(제6도에 도시된 시계방향).
상기에서는 잠금해제 메카니즘의 조작레버가 설명되었고, 이하에서는 잠금 메카니즘이 설명될 것이다. 제1도 및 제2도에서, 상기 잠금레버(126)는 하우징(12)의 일부분과 후방플레이트(92)사이의 지점(162)에서 상기 잠금레버(126)의 피봇구멍으로 장착되는 하우징(12)의 일체형 돌기와, 후방플레이트(92)내의 피봇구멍(127)으로 장착되는 잠금레버(126)의 스터드에 의해서 피봇가능하게 장착된다. 상기 잠금레버(126)는 제2도에 도시된 후방플레이트(92)의 제1요홈(168) 또는 제2요홈(170)의 어느 쪽에라도 편향 지지되어 결합되는 숄더부(166)를 갖는 편향가능한 일체형 웨브(162)를 갖추어 상기 잠금레버(126)를 제1도에서 실선으로 도시된 잠금해제 위치 또는 점선으로 도시된 잠금위치중의 어느쪽으로도 회전시키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편향가능한 웨브(162)는 잠금위치 또는 잠금해제 위치 모두에서 상기 잠금레버(126)의 명확한 위치를 설정하는 잠금메카니즘의 촉감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웨브(162)는 상기 숄더부( 166)를 제2도에 도시된 잠금레버(126)의 중심부에 연결하는 간격이 형성된 U형부분에 의해서 편향 가능하도록 제작되는 것이다.
상기 잠금레버(126)의 제1단부는 로드 또는 그 밖의 적절한 수단에 의해서 외측키 실린더에 연결되는 개구부를 갖추어 상기 잠금 및 잠금해제 위치사이에서 잠금레버(126)를 이동시킨다.
제1도 및 제4도에는 비금속의 플라스틱으로 성형된 내부잠금레버(172)가 피봇점(173)에서 후방플레이트 부재(92)의 측방플랜지(154)에 피봇 가능하도록 장착되어 있다. 상기 내부잠금레버(172)는 선형으로 이동가능한 슬라이드 버튼과도 같은 내측 잠금작동기에 종래와 같이 연결된다. 상기 내부잠금레버(172)는 잠금레버(126)의 제2단부(178)에서 테이퍼형 개구부(176)내에 수용된 다리부(174)를 갖추어 상기 내부잠금레버(172)의 이동이 잠금레버(126)를 상기와 일치하는 잠금 및 잠금해제 위치사이에서 이동시키는 것이다. 상기 내부잠금레버(172)는 내부조작레버(150)와 동일하여 제작비용을 절감한다.
상기에서 설명한 걸림해제 메카니즘과 잠금메카니즘에 관련하여, 이하에서는 이들 사이의 상관관계를 설명한다. 제2도 및 제3도에서는 상기 잠금레버(126)와 중간레버(116)가 잠금 해제위치에 잇을 경우, 그것에 의해서 상기 중간레버(116)의 일체형 핀(112)은 걸림해제 레버(120)내의 선형이동용 긴 구멍(118)의 하단부(180)에서 판넬 레버(100)의 저부(110)에 결합하기 위하여 일치된 상태로 위치된다.
결과적으로, 걸림해제 레버(120)가 외부조작레버(132) 또는 내부조작레버(150)에 의해서 정지위치로 부터 제3도에서 점선으로 도시된 걸림 해제 위치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는 경우, 상기 중간레버(116)의 일체형 핀(112)은 상기 판넬해제레버(100)를 회전시키는 패널 해제레버(100)의 저부(110)에 접촉하며, 동시에 상기 판넬(60)을 제1도에서 점선으로 도시된 걸림 해제위치로 회전시킨다. 이는 후방플레이트(92)를 도어의 개방도중에 스프링(52) 및 또는 스트라이커에 의해서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는 라체트(42)의 1차 걸림치차(56)로 부터 제5도에 도시된 걸림 해제 위치로 분리시킨다. 스프링(70)은 걸림해제 레버(120)가 해제되는 때, 상기 포올(60)을 걸림위치로 복귀시킨다.
이러한 걸림해제 이동동안에, 상기 중간레버(116)는 상기 하단부(122)를 잠금레버(126)에 피봇으로 연결하는 2갈래의 돌기(123)를 중심으로 회전한다.
상기 잠금레버와 중간레버(116)가 제1도 및 제2도에서 점선으로 도시된 잠금위치에 잇는 경우, 상기 중간레버(116)의 일체형 핀(112)은 걸림해제 레버(120)의 선형이동 긴 구멍(118)의 상단부(182)에 위치된다. 결과적으로, 상기 걸림해제 레버(120)가 외부조작레버(132) 또는 내부조작레버(150)에 의해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는 때에, 상기 중간레버(116)의 일체형 귀부(111)는 포올해제 레버(100)의 긴구멍(184)으로 이동하는 저부(110)를 놓치게 되어 포올 해제레버(100)와 포올레버(60)는 잠금해제 위치로 회전되지 못하고, 상기 포올치차(76)는 라체트(42)의 1차 걸림치차(56)에 결합된 상태로 유지된다.
상기에서 설명된 조작레버들 또는 걸림해제 메카니즘 및 잠금메카니즘과 그 상호작용에 관련하여, 이하에서는 도어래치(10)와 스트라이커(188)의 상호관련에 관하여 설명한다. 제2도 및 제6도에는, 스트라이커(188)가 차량 필러(Pillar)와 같은 차량의 보디 구조물에 장착시키기 위한 한 쌍의 구멍(192)을 갖는 장착플레이트부(190)를 포함하는 단일 압형(Stamping)방식으로 형성된다.
제1도에는, 스트라이커(188)의 직사각형 단면을 갖는 스트라이커 루프부(1 94)가 외측 다리부(198)와 내측 다리부(196)를 갖추고 있다. 상기 외측 다리부(198)는 도어래치(10)가 걸림위치에 있는 경우, 도어래치(10)의 라체트(42) 목부(200)내에 위치된다.
제1도 및 6도에는, 도어래치(10)의 하우징(12)이 상기 베이스 벽(18)으로 부터 후방벽(204)으로 내측으로 연장하는 깊은 요홈(202)을 갖는다. 상기 요홈(202)의 내측단부는 후방으로 휘어져서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방벽(204)을 통하여 긴구멍에 상호작용하는 스프링 암(208)을 형성한다. 대칭형의 탄성중합체(elastomer) 범퍼(206)가 상기 요홈(202)의 내측단부로 측방으로 삽입되고, 상기 대칭형 탄성중합체 범퍼(206)의 하단부는 내측에서 탄성압입 결합되며 스프링 암(208)에 의해서 고정유지된다. 상기 요홈(202)은 플라스틱 하우징(12)내에서 목부(210)를 형성하여 스트라이커(188)를 수용한다. 상기 프레임(26)은 프레임(26)이 부착되는 경우, 하우징(12)의 목부(210)에 일치하는 물고기 입(fishmouth)형 긴구멍(212)을 갖는다. 상기 프레임(26)의 측방 태브(32)와 (33)는 제1, 5 및 6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목부(210)에 연통하는 하우징(12)의 긴구멍으로 돌출한다. 이러한 태브들은 라체트 스터드(36)와 플라스틱 하우징(12) 자체들이 서로 고정되지 못하는 경우에 상기 플라스틱 하우징(12)내에서 라체트(42)를 지지한다.
제2도에는 도어래치(10)가 라체트 스터드(36)와 포올 스터드(62)에 의해서 서로 고정되어 하나의 조립된 도어래치로 되어 있으며, 상기 라체트 스터드(36)와 포올 스터드(62)의 단부들은 후방플레이트(92)의 요홈부(94)와 (96)에서 각각 납작한 단부들을 갖고 있다. 상기 라체트 스터드(36)는 상기 플라스틱 하우징(12)의 프레임(26)과 후방플레이트(92)를 서로 고정하여 상기 하우징(12)의 베이스벽(18)과 금속프레임(26)사이에서 라체트(42)를 피봇으로 지지한다. 양단부에서 납작한 상기 포올 스터드(62)는 정렬부재(26), (12) 및 (92)를 보조하고, 상기 포올(60), 포올 해제레버(100), 잠금해제레버(120) 및, 외부조작레버(132)를 피봇으로 위치시키고, 코일 비틀림스프링(134)을 수반하고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잠금레버(1 26)는 지점(160)에서 피봇으로 장착되고, 하우징(12)과 후방플레이트 (92)사이에 배치된다. 상기 내부조작레버(150)와 내부잠금레버(172)는 후방플레이트 (92)의 측방플랜지(154)상에 피봇으로 장착된다.
제2도 및 6도에는 조립된 잠금래치(10)가 차량도어(220)상에 장착되어 있고, 이는 상기 프레임(26)이 회전도어(220)의 자유단부벽(221)의 내측면에 접하는 상태이다. 상기 금속프레임(26)의 오목한 모서리부(28)와 돌출된 중심부(30)는 라체트(3 0)의 머리부와 포올(62)의 납작머리부를 각각 수용한다. 상기 도어(220)의 단부벽(221)과 내측 판넬(223)은 상기 플라스틱 하우징(12)의 목부(210)와 프레임(26)의 물고기 입형 긴 구멍(212)에 정렬되는 개구부(222)를 형성하는 긴 구멍들을 갖는다.
상기 잠금래치(10)는 프레임(26)내의 구멍(232)과 (234) 및 하우징(12)내의 구멍(228)과 (230)들을 통하여 단부벽(221)내의 개구부(236) 및 (238)들로 삽입되고, 후방플레이트(92)내의 나사구멍(224) 및 (226)내로 나사 결합되는 한쌍의 볼트(240) 및 (242)에 의해서 도어(220)상에 부착된다. 그리고, 상기 볼트(240) 및 (242)들은 상기 잠금래치(10)가 단부벽(221)에 대하여 헐거운 상태로 장착되는 경우, 상기 잠금래치(10)의 부품들을 서로 고정시키는 부가적인 고정구 기능을 제공하는 것이다.
볼트(240)들은 포올(60)의 포올치차(76)가 라체트(42)의 치차(56)와 (80)중의 어느 하나에 접촉하고 상기 하우징(12)과 프레임(26)사이에서 상기 결합된 치차를 사이에 위치시키는 지점에 근접하여 상기 잠금래치(10)를 관통하여 연장함으로서 상기 결합된 치차가 동일평면상에 유지되고, 서로를 어긋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볼트(240), 라체트 스터드(36)와 포올 스터드(62)는 상기 하우징(21)과 프레임(36)사이에서 라체트(42)와 포올(60)의 결합된 치차들을 수용하는 가상의 삼각형을 형성함으로서 상기 결합된 치차들이 서로 어긋나서 지나치지 않도록 보장하는 것이다.
볼트(242)는 상기 라체트(42)가 제1도에서 도시된 바와 같은 걸림위치에 있는 경우, 상기 라체트(42)가 스트라이커(188)에 접촉하는 지점에 근접하여 도어래치 (10)를 통하여 연장한다. 상기 라체트 스터드(36)는 상기 목부(210)의 반대측과 걸려진 스트라이커 다리부(196)상에서 동일거리 떨어진 지점에 위치된다. 상기 볼트(242)와 라체트 스터드(36)는 잠금래치(10)를 서로 지지하고, 하우징(12)과 프레임(26)사이에서 라체트(42)를 위치시키며 상기 라체트(42)가 상기 스트라이커(188)의 결합된 다리부(196)에 인접하는 목부(210)의 양측상에서 측방향 이동에 대항하여 고정되도록 하는 것이다. 결과적으로, 스트라이커(188)의 매우 강한 걸림결합이 얻어질 수 있는 것이다.
상기 프레임(26)의 측방태브(32)는, 만일 상기 스트라이커(188)가 잠금래치 (10)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일치하지 않고, 필요한 부분보다 낮게 상기 목부(210)에 초기 결합된다면, 상기 하우징(12)을 보호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에서 설명한바와 같이, 상기 목부(210)의 양측에 위치된 측방태브(32) 및 (33)들이 라체트(42)의 내측에 위치되어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트라이커(188)에 의해서 플라스틱 하우징으로 부터 인출될수 없도록 함으로서 잠금래치(10)의 전체 강도를 증가시킨다. 그리고, 상기 플라스틱 하우징(12)의 목부(210)와 커버 프레임(26)의 물고기입형 긴구멍(212)들은 상기 차량 잠금래치(10)가 직사각형단면의 루프부로 특정되는 스트라이커(188)와 함께 사용되도록 설계되는 때에는 상대적으로 좁게 형성되어야 함을 알아야 한다. 이러한 상대적으로 좁은 물고기입형 긴구멍은, 상기 중심부(30)내의 구멍과 물고기 입형 긴 구멍(212)사이의 금속 프레임(26)의 최소두께가, 원형단면의 스트라이커 루프부와 함께 사용되어 동일한 작동효과를 갖는 구조에 비교하여 증가되기 때문에, 상기 도어래치(10)의 전체강도를 더욱 향상시키는 것이다.
상기 스트라이커는 1993. 11. 23일에 MacPhail-Fausey 등에게 허여되고, 본 발명의 양수인에게 양도된 미국특허 제5,263,752호의 주제이다.
제1도 및 제5도에서는 도어(220)가 닫힌 상태로 있기 때문에, 상기 스트라이커 (188)의 외측다리부(196)는 목부(210)로 들어가서 라체트(42)의 범퍼(5 3)에 결합하고, 라체트(42)를 제5도에 도시된 걸림해제 위치에서 제1도에 도시된 걸림위치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상기 스트라이커(188)는 탄성중합체 범퍼(206)에 의해서 걸림위치에 정지된다. 이러한 걸림동작동안, 포올치차(76)는 라체트(42)의 2차 걸림치차(80)와 1차 걸림치차(56)에 라체트 결합한 후에, 상기 압축스프링(70)의 편향지지력하에서 1차 걸림치차(56)의 후방측면에 결합되는 것이다.
이러한 동작은 제7도에 도시된 라체트(42)의 소음타단 커버(48)에 의해서 정숙하게 이루어진다. 최초로 상기 스트라이커는 금속기판(46)을 고립시키고, 긴구멍으로 인하여 상기 라체트(42)에 결합하는 스트라이커(188)의 에너지와 소음을 흡수하도록 변형되는 범퍼(53)에 접촉한다. 그리고, 2차적으로 상기 커버(48)의 외주부(59)는 포올치차(76)가 1차 걸림치차(56) 넘어의 위치로 라체트(42)상에서 라체트 결합하는 경우, 포올(60)의 대부분의 에너지와 소음을 흡수한다. 또한, 3차적으로 상기 걸려진 다리부(196)는 탄성중합체 범퍼(206)에 의해서 정지되고, 라체트(42)의 키퍼부(57)의 완충재(55)에 의해서 고정된다. 이는 도어가 닫치는 경우, 스트라이커의 에너지와 소음을 흡수한다.
제2도에는 스트라이커(188)에 의한 라체트(42)의 최초결합과 회전이 라체트 (42)의 두께에 걸쳐서 전체적으로 균일한 얇은 플라스틱슬리브(37)상에 부하를 발생시킨다. 상기 하우징(12)의 베이스 벽(18)에 일체적으로 부착된 얇은 플라스틱 슬리브(37)는 사용중에 상기 슬리브의 모서리부와 베이스 벽부에서 응력상승을 초래하는 반경을 갖는 것이다. 상기 스트라이커의 부하와 응력상승의 조합력은 모서리가 조각나게 하여 상기 얇은 플라스틱 슬리브(37)가 하우징(12)의 베이스 벽(18)으로 부터 사용중에 깨져 분리되도록 함으로서 금속 라체트 스터드(36)와 라체트(42)의 금속 구멍사이에서 플라스틱 슬리브 베어링(38)을 제공하여 소음기로서의 역할을 하는 것이다.
도어를 열기 위하여 상기 잠금래치(10)를 해제시키는 동작은 포올치차(76)를 1차 걸림치차(56)로 부터 분리시켜 스트라이커(188)를 라체트(42)의 목부(200)로 부터 해제시킴으로서 달성되고 상기 코일압축스프링(52)이 상기 라체트(42)를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걸림해제 위치로 복귀시키게 되는 것이다. 상기 도어 밀봉력은 상기 스트라이커(188)의 래치분리를 보조한다.
상기 잠금래치(10)를 잠금위치에 고정하는데 필요한 라체트(42), 포올(60) 및 이와 연관된 스터드 및 스프링들을 제외한 부분에서, 광범위한 비금속 또는 플라스틱 재료의 사용으로 이하여, 상기 라체트(42)의 플라스틱 커버와 파단 슬리브 베어링(38)은 금속간의 접촉을 최소화하여 잠금래치의 매우 정숙한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어떠한 윤활작용도 불필요하게 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중간레버(116)의 일체형 핑거부 (128)와 상기 잠금레버(126)의 내측 웨브(162)들은 이러한 부품의 진동과 소음을 감소시키고, 정숙한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참조도면에서 도시된 래치는 차량의 탑승자측면에서 사용되는 우측 손용 잠금래치이다. 차량의 운전자측을 위한 좌측 손용 잠금래치는 동일하게 작동하지만, 상기 래치들은 서로 대칭되는 형상을 갖게 되는 것이다. 결과적으로, 상기 래치의 일부분들은 그들이 우측 손용이나 좌측 손용의 잠금래치로 사용될 수 있도록 설계됨으로서 제작비용을 줄일 수 있는 것이다. 예를 들면, 상기 포올(60)과 외부조작레버(132)는 손의 방향과는 무관하고, 부품들 뒤집어 사용하므로서 우측손이나 좌측손용 잠금래치상에 장착 가능한 것이다. 상기 라체트(42)의 금속기판도 손의 방향과는 무관하며, 핀(43)이 상기 커버의 일측에 부가되는 사출성형품으로 되기전에, 각각의 잠금래치내에서 사용가능한 것이다. 상기 직각을 이루는 탄성중합체 범퍼(206)는 다수의 평면을 중심으로 대칭을 이루어 상기 범퍼(206)가 우측손용 래치를 위하여 일방향으로 사용가능하고, 또는 좌측손용 래치를 위하여 90°회전될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내부조작레버(150)와 내부잠금레버(172)는 서로 동일한 구성을 갖추어 더욱 제작비용을 절감시키는 것이다.
제8도 내지 제10도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엑튜에이터(307)을 갖는 잠금래치는 가역전기모터(310)에 의해 동력을 받는다.
상기 모터는 그 외표면을 따라 기어치차(360)을 갖는 제1 혹은 기어휠(318)과 맞물리는 웜기어(312)를 구동한다.
기어 휠(318)은 2개의 대향된 호형 요홈(320)을 갖는다.
상기 호형 요홈(320)은 2개의 끝단(324) 및 (322)를 갖는다.
기어휠(318)은 제1축(362)주위를 회전한다.
상기 제1축은 또한 상기 호형 요홈(320)의 반경중심과 함께 겹쳐있다.
상기 기어휠(318)의 함몰부내에 장착된 것은 제2 혹은 캠 휠(326)이다. 캠휠(326)은 상기 제1축(362)과 겹치는 회전축을 갖는다.
기어휠을 향하고 있는 캠휠의 제1면(330)상에서, 상기 캠휠은 2개의 기하학적으로 돌출된 핀(332)을 갖는다. 이들 핀은 기어휠의 호형 요홈(320)내에 삽입되어 있으며, 호형 요홈의 끝단(322)와 (324)사이를 움직이게 되어 있다.
반대측의 제2면(328)상에서, 상기 캠휠(326)은 프로파일 캠표면(364)를 갖는다. 프로파일 캠표면(364)는 기하학적으로 반복되는 주곡선통로(366)과 중곡선통로(368)를 갖는다.
상기 프로파일 캠표면(364)에는 중공스터드(336)이 삽입된다.
스터드(336)은 내부잠금 레버(372)의 일단과 연결되어 있다.
내부잠금레버(372)는 앞서 기술되었으며 제6도, 1 및 제4도에 도시된 내부 잠금레버(172)의 기능과 비슷한 기능을 갖는다.
제8도 내지 10도에 주어진 실시예에서, 스터드(336)은 내부 잠금레버(372)에 제공된 관통공 내에 맞물린 소켓내로 연결로드(도시되지 않음)가 삽입되도록 중공으로 만들어져 있다.
도시되지 않은 상기 연결로드는 내부 잠금조작자와 작동 가능하도록 연결된다.
제1도 내지 7도에 기술된 잠금래치는 새로운 배판(backing plate)(392)으로 변형된다.
배판(392)은 이에 고정 연결된 연장구(394)를 갖는다.
연장구(394)는 피봇 핀(338)을 통해 내부 잠금레버(372)의 피봇 탑재를 할 수 있게 하는 플랜지부(398)를 갖는다.
제8도는 잠금해제 위치에서는 실선으로, 그리고 잠금위치에서는 가상선으로 잠금레버(126)의 위치를 예시하는 것으로서 제4도와 비슷하다.
부가적으로, 상기 내부잠금 레버(372)가 잠금해제 위치에서 실선으로 도시되어 있으며, 여기서 스터드(336)은 상기 잠금레버가 잠금(혹은 가상선)위치에 있을 때보다 잠금해제 위치에서 제1축(362)을 중심으로 하여 방사상방향 외측으로 보다 멀리이동되어 있다.
그러나 필요하다면, 상기 기어휠(318)과 캠휠(326)을 상기 잠금해제 위치(스터드(336)의)가 방사상으로 보다 내측에 있도록 액튜에이터(306)에서 가장 잘보이는 바와 같이 (제12도), 좌측으로 변위시킬 수도 있다.
상기 체결레버를 제8도에서 가상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은 잠금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하여는, 상기 모터(310)를 구동시켜 기어휠(318)이 (316)방향(제8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시계 반대방향)으로 이동하게 할 것이다.
캠휠(326)은 상기 호형 요홈(320)의 끝단(324)가 핀(332)와 접촉할 때까지 정지상태로 있을 것이다.
핀(332)이 접촉된 후, 상기 캠 휠(326)은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하여 스터드(336)으로 하여금 좌측상부의 주곡선 통로(366)을 따라 이동하게 함으로서 상기 잠금레버가 제8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시계방향으로 피봇 핀(338)주위를 선회하게 할 것이다.
캠휠(326)의 이동이 완료되면, 스터드(336)은 거의 수직면(350)을 타격하여 모터(310)을 움직이지 못하게 한다. 그후 동작이 완료된다.
상기 내부 잠금레버(372)와 잠금레버(126)을 가상선으로 나타낸 잠금위치에서 실선으로 나타낸 잠금해제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상기 제1기어(318)은 (314) 방향으로 (제8도에서의 시계방향)으로 회전될 것이다.
기어 휠(318)은 상기 호형 요홈(320)의 끝단(322)이 핀(332)와 접촉할 때 까지는 이동하지 않기 때문에 캠휠(326)을 시계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캠휠(326)이 시계방향으로 이동시, 스터드(336)은 그 스터드가 정지면(stal lsurface)(352)를 타격할 때까지 하부좌측 4분면의 주곡선 통로(366)로 이동하게 될 것이다.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자명한 바와같이, 잠금해제의 실선이나, 잠김 가상선 위치중 어느 위치에서는, 상기 내부 잠금레버(372)는 상기 종 곡선통로(3 68)내에서 양단위치사이를 자유롭게 선회될 수 있다.
필요하면, 사이 모터(310)은 역회전 구동 불능(non-back drivable)모터일수 있다.
만일 상기 내부 잠금레버(372)가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잠금래치를 해제하기 위하여 잠금위치(가상선으로 표시됨)에 있다면, 상기 캠휠(326)은 상기 스터드(336)가 상기 정지면(352)상에 정지할 때까지 시계방향으로 회전되어야 한다.
따라서, 상기 모터(310) 작동중지는 스터드(336)을 위치(370)에서 상기 주곡선 통로(366)의 중앙점에 위치시킬 것이다.
이같은 작동중지의 경우 상기 내부잠금레버(372)는 제8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간단히 시계 반대방향으로 회전되어 캠휠(326)을 상기 호형 요홈내에서 핀(332)를 끝단(322)으로 부터 당기는 방향(314)로 회전시키기 때문에 내부 잠금레버(372)를 사용하여 여전히 해제상태로 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캠휠(326)은 핀 및 상기 기어휠(318)과 캠 휠(326)사이의 요홈 배열에 기인하여 상기 기어휠(318)을 이동시키지 않고 이동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핀(332)은 상기 호형 요홈(320)의 끝단(324)로부터 이동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내부 잠금레버(372)를 잠금위치(실선)으로부터 잠금해제위치까지 이동시킬때 모터(310)가 작동 정지되는 경우, 상기 잠금래치를 다시 잠그기 위한 변형시나리오가 이루어질 수 있다.
제11도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는 변형 캠휠(380)을 갖는 액튜에이터가 제공된다.
이 캠휠(380)은 방사상 방향의 내부 정지면(384)을 갖는 캠 프로파일 중앙부재 (382)를 갖는다.
캠휠(380)은 또한 방사상 방향의 외표면(386)를 갖는다.
잠금해제위치에서 잠금위치로 가도록 액튜에이터(308)을 이용하여, 상기 캠휠(380)은 방향(316)(제1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계반대 방향)으로 회전되어 스터드가 정지면(384)를 타격할 때까지 스터드(336)가 통로(388)을 통해 방사상 방향으로 내측으로 힘을 받는다.
잠금해제위치에서 잠금위치로 이동하기 위하여, 상기 캠휠(380)을 반대방향으로 간단히 회전될 것이다.
이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자에게 명확한 바와같이, 중앙부재(382)의 절반만을 제공함으로써 전체 캠 프로파일을 단순화시킬 수 있다. 그러나 이는 캠휠(380)을 적절한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모터(310)으로 하여금 기어휠(318)을 보다 따라서, 상기 캠휠(326)은 핀 및 상기 기어휠(318)과 캠 휠(326)사이의 요홈 배열에 기이하여 상기 기어휠(318)을 이동시키지 않고 이동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핀(332)은 상기 호형 요홈(320)의 끝단(324)로부터 이동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내부 잠금레버(372)를 잠금위치(실선)으로부터 잠금해제위치까지 이동시킬때 모터(310)가 작동 정지되는 경우, 상기 잠금래치를 다시 잠그기 위한 변형시나리오가 이루어질 수 있다.
제11도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는 변형 캠휠(380)을 갖는 액튜에이터가 제공된다.
이 캠휠(380)은 방사상 방향의 내부 정지면(384)을 갖는 캠 프로파일 중앙부재(382)를 갖는다.
캠휠(380)은 또한 방사상 방향의 외표면(386)를 갖는다.
잠금해제위치에서 잠금위치로 가도록 액튜에이터(308)을 이용하여, 상기 캠휠(380)은 방향(316)(제1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계반대 방향)으로 회전되어 스터드가 정지면(384)를 타격할 때까지 스터드(336)가 통로(388)을 통해 방사상 방향으로 내측으로 힘을 받는다.
잠금해제위치에서 잠금위치로 이동하기 위하여, 상기 캠휠(380)을 반대방향으로 간단히 회전될 것이다.
이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자에게 명확한 바와같이, 중앙부재(382)의 절반만을 제공함으로써 전체 캠 프로파일을 단순화시킬 수 잇다. 그러나 이는 캠휠(380)을 적절한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모터(310)으로 하여금 기어휠(318)을 보다 긴 각 길이 만큼 회전시키게 할 것이다.
다시 제8도를 참조하면, 만일 부위(378)을 따라 상기 종 곡선통로(368)을 통해 내부 잠금레버를 중간에 위치시키도록 상기 내부 잠금 레버를 부적절하게 위치시킨다면, 내부 잠금레버(372)가 끝단(각)위치 중 하나로 이동될 때까지 모터(310)는 이동될 수 없을 것이다.
다시 제11도를 참조하면 액튜에이터(308), 만일 내부 잠금레버(372)가 이동하여 스터드(336)을 위치(374)에 위치시키면, 캠휠(380)은 여전히 시계방향 또는 시계반대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캠휠(380)이 상기 스터드를 상기 곡선통로(388)의 입구(396)이나 (398)에 위치시키기 위해 그 지점까지 이동한 후, 상기 액튜에이터(308)은 재배열되고 앞서 기술한 바와 같이 계속 동작할 것이다.
상기 캠휠(380)과 상기 기어휠(318)사이의 요홈 및 핀 배열은 상기 캠휠(3 36)과 기어휠(318) 사이에서 기술된 바와 같다.
다시 제12도를 참조하면, 다른 바람직한 액튜에이터(308)가 도시되어 있는바, 이는 내부 잠금레버(372)의 잠겨진 가상선 위치에서 스터드(336)가 제1축을 중심으로 하여 방사상 방향 외측으로 보다 멀리 떨어져 위치되어 있다.
이 배열은 모터(310)상의 출력 토크의 근접 판독(close reading)이 요구되는 적용처에 보다 적합한 것으로 밝혀졌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도시되지 않은, 제11도에서와 유사한 캠을 사용할 수 있는바 이에 따르면 정지면(384)을 사용하여 해제위치보다 잠금위치를 설정할 수가 있다.
제8도 내지 12도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모터와 내부 잠금레버사이에 아무런 클럿치나 스프링기구가 필요로 하지 않는다. 따라서, 스프링의 압축에 기인한 에너지 손실이 없기 때문에 모터(310)의 크기를 최소화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모터 및 내부 잠금레버(372)사이의 복잡한 클럿치기구에 소요되는 비용을 줄일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내부 잠금레버(372)는 전력이나 모터가 작동되지 않을 때는 항상 작동하여 잠금레버(126)을 이동시킬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단지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으로서 결코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닌 것이다.
따라서, 상기 본 발명의 기술에 따라서 이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그 변형이 가능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라 아주 적은 노력으로 수동 작동되는 잠금레버를 쉽게 조작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9)

  1. 잠겨진 상태 및 잠겨지지 않은 상태를 갖고, 앞서의 잠겨진 상태로부터 잠겨지지 않은 상태로 변경시키기 위하 걸림해제레버(unlatching lever)(120)를 갖고, 잠금상태를 해제하기 위하여 래치레버를 따라 걸림해제위치를 갖는 잠금레버(locking lever)(126)를 갖고, 상기 잠금레버(126)는 상기 걸림해제레버(120)가 상기 잠금래치가 해제되는 것을 방지하는 잠금위치를 가지며, 상기 잠금레버(126)가 상기 잠금 및 해제위치사이를 선택적으로 이동하도록 하기 위한 수동 작동식 잠금레버(372)를 포함하며, 상기 수동작동식 잠금레버(372)는 이에 연결된 스터드(336)를 갖는 차량잠금래치에 있어서, 상기 잠금레버(126)가 상기 잠금 및 해제위치사이를 이동하도록 하는 동력엑튜에이터(307)를 포함하며, 상기 엑튜에이터(307)는, 제1축(362)을 따라 회전되도록 동력을 선택적으로 가역적으로 전달받는 제1휠(318)을 갖추고, 상기 제1휠(318)과 동축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1휠(318)을 향하는 제1면(330)을 갖는 제2휠(326)을 갖추며, 상기 휠(318)(236)중 어느 하나에 형성되고, 그 회전중심이 전체적으로 상기 제1축(362)과 일치되며, 서로 간격을 이루면서 떨어져 있는 제1 및 제2 끝단(322)(324)을 갖는 호형 요홈(320)을 갖추고, 상기 요홈(320)은 나머지 휠상에서 돌출 연결되는 핀(332)을 갖추고, 상기 핀(332)은 상기 요홈(320)의 끝단(322 )(324)들사이에서 요홈(320)에 의해 그 사이에서 삽입되어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는 한편, 상기 제2휠(326)은 제1면(330)의 반대측 제2면(328)상에 캠 프로파일(364)을 포함하고, 상기 캠 프로파일(364)은 상기 수동으로 작동되는 잠금레버(372)의 스터드(336)를 내측에 수용하며, 상기 수동으로 작동되는 잠금레버(372)는 상기 제1휠(318)을 본질적으로 이동시키지 않고 상기 잠금 및 잠금해제 위치사이를 이동될 수 있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잠금래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핀(332)은 상기 제2휠(326)의 제1면(330)에 연결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잠금래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휠중 어느 하나의 휠(318)에는 2개의 호형 요홈(320)이 있으며 다른 휠(326)상에는 2개의 핀(332)이 연결되며, 각각의 핀(332)은 상기 각 요홈(320)중 하나의 내부에 삽입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잠금래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캠 프로파일(364)은 상기 잠금래치가 액튜에이터(307)에 의해 잠겨질 때, 상기 제1휠(318)의 회전을 정지시키는 정지위치(stall position)를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잠금래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캠 프로파일(364)은 상기 액튜에이터(307)가 상기 잠금레버(372)를 걸림해제위치로 이동시킬 때 상기 제1휠(318)을 정지시키는 위치를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잠금 래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레버(372)를 잠금위치로 부터 걸림해제위치로 그리고 걸림해제위치에서 잠금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해 공통의 곡선 통로가 이용되며, 상기 캠 프로파일(364)은 상기 스터드(336)가 캠 프로파일(364)내의 중간위치에 있으면 스스로 정렬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잠금래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휠(318)의 치차(360) 표면과 맞물리는 웜기어(312)에 연결된 모터(310)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잠금래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레버 스터드(336)는, 상기 잠금레버(372)가 잠금해제위치에 있을 때의 위치보다, 제1축(362)에 대하여 방사상방향으로 상기 제1축(36 2)에 보다 가깝게 위치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장금래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레버 스터드(336)는, 상기 잠금레버(372)가 잠금해제위치에 있을 때의 위치가 잠금위치에 있을 때의 위치보다, 상기 제1축(362)에 대하여 방사상방향으로 제1축(362)으로부터 보다 멀리 위치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잠금장치.
KR1019970019883A 1996-05-21 1997-05-21 차량잠금래치 Expired - Fee Related KR10024416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8/652,016 1996-05-21
US08/652,016 US5649726A (en) 1996-05-21 1996-05-21 Vehicle closure latch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74117A KR970074117A (ko) 1997-12-10
KR100244167B1 true KR100244167B1 (ko) 2000-02-01

Family

ID=246151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19883A Expired - Fee Related KR100244167B1 (ko) 1996-05-21 1997-05-21 차량잠금래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5649726A (ko)
EP (1) EP0808979B1 (ko)
KR (1) KR100244167B1 (ko)
DE (1) DE69713836D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44408A (ja) * 1995-11-17 1997-06-03 Mitsui Mining & Smelting Co Ltd 車両ロック装置における盗難防止装置
BR9807162A (pt) 1997-02-04 2000-03-14 Atoma Int Corp Dispositivo e sistema mecanicamente operado de travamento de porta de veìculo
US5909918A (en) * 1997-06-27 1999-06-08 General Motors Corporation Valet block out for deck lid latch
DE19739340A1 (de) * 1997-09-09 1999-03-18 Mannesmann Vdo Ag Elektrisch betätigbares Schloß
DE19747211C2 (de) * 1997-10-25 2000-02-17 Bosch Gmbh Robert Kleine motorische Antriebseinrichtung für ein bewegliches Funktionselement in einem Kraftfahrzeug
US6168215B1 (en) * 1997-12-24 2001-01-02 Kabushiki Kaisha Honda Lock Door lock device for vehicle
US6019402A (en) * 1998-07-21 2000-02-01 General Motors Corporation Vehicle door latch with double lock
GB2342385B (en) * 1998-10-10 2002-06-12 Meritor Light Vehicle Sys Ltd Vehicle door latch actuator
AU7263900A (en) * 1999-09-13 2001-04-17 Atoma International Corp. A powered vehicle door latch and actuator therefor
JP2001173290A (ja) * 1999-12-21 2001-06-26 Mitsui Mining & Smelting Co Ltd アクチュエータユニット
DE10006765B4 (de) * 2000-02-15 2005-05-19 Brose Schließsysteme GmbH & Co.KG Kraftfahrzeug-Türschloß mit kompaktem Aufbau
USD442907S1 (en) 2000-03-01 2001-05-29 Art Technologies, Inc. Automobile door striker
JP3758929B2 (ja) * 2000-03-17 2006-03-22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自動車用ドアロック装置
US6945574B2 (en) * 2000-03-17 2005-09-20 Aisin Seiki Kabushiki Kaisha Door lock system for vehicle
US6409238B1 (en) 2000-04-26 2002-06-25 Illinois Tool Works Inc. Anti-rattle structure for door handle
GB0019017D0 (en) * 2000-08-04 2000-09-27 Meritor Light Vehicle Sys Ltd Actuator
GB0029058D0 (en) * 2000-11-29 2001-01-10 Meritor Light Vehicle Sys Ltd Actuator
US6733052B2 (en) * 2000-12-14 2004-05-11 Delphi Technologies, Inc. Power operated vehicle door latch
US6557911B2 (en) * 2001-01-23 2003-05-06 Kiekert Ag Power-open motor-vehicle door latch
FR2821108B1 (fr) 2001-02-22 2003-08-15 Valeo Securite Habitacle Serrure d'ouvrant de vehicule automobile a maneton debrayable
US6629711B1 (en) * 2001-03-01 2003-10-07 Tri/Mark Corporation Universal actuator assembly for a door latch
US6719333B2 (en) * 2001-04-25 2004-04-13 Delphi Technologies, Inc. Vehicle door latch with power operated release mechanism
DE10125093A1 (de) * 2001-05-23 2002-12-12 Siemens Ag Antriebseinrichtung
DE10131978A1 (de) * 2001-07-02 2003-01-30 Witte Velbert Gmbh & Co Kg Drehfallenverschluss
GB2388629A (en) * 2002-05-17 2003-11-19 Meritor Light Vehicle Sys Ltd Power actuator assembly
DE10247843A1 (de) * 2002-10-14 2004-04-22 Brose Schließsysteme GmbH & Co.KG Kraftfahrzeug-Türschloss
JP2004190306A (ja) * 2002-12-10 2004-07-08 Mitsui Mining & Smelting Co Ltd 自動車部品用アクチュエータ
JP2004244993A (ja) 2003-02-17 2004-09-02 Aisin Seiki Co Ltd ドアロック装置
GB2398826B (en) * 2003-02-28 2006-02-01 Pbt Electrically controllable latch mechanism
FR2852347A1 (fr) * 2003-03-11 2004-09-17 Valeo Securite Habitacle Serrure renforcee pour ouvrant de vehicule automobile
GB2412405B (en) * 2004-03-24 2006-11-01 Arvinmeritor Light Vehicle Sys Latch
FR2877973A1 (fr) * 2004-11-12 2006-05-19 Arvinmeritor Light Vehicle Sys Pene de serrure
FR2877969B1 (fr) * 2004-11-12 2007-02-23 Arvinmeritor Light Vehicle Sys Serrure de vehicule automobile
US8622443B2 (en) * 2004-12-09 2014-01-07 Magna Closures Inc. Lost motion cam actuating device
CA2602422A1 (en) * 2005-03-23 2006-09-28 Magna Closures Inc. Global side door latch
EP1724424B1 (en) * 2005-05-16 2009-10-07 Intier Automotive Closures S.p.A. Vehicle door lock
JP4845519B2 (ja) * 2006-01-25 2011-12-28 三井金属アクト株式会社 ドアロック装置およびドアロック装置の組み立て方法
JP4754413B2 (ja) * 2006-06-01 2011-08-24 三井金属アクト株式会社 アクチュエータユニット
US20100072761A1 (en) * 2008-02-04 2010-03-25 Kris Tomaszewski Global Side Door Latch
ES2351747B1 (es) * 2008-09-16 2011-12-05 Tubsa Automocion, S.L. Cerradura motorizada de pestillo giratorio.
US20100127511A1 (en) * 2008-11-26 2010-05-27 Francisco Javier Vasquez Vehicle door latch having a power lock-unlock mechanism
US20100127512A1 (en) * 2008-11-26 2010-05-27 Inteva Products Llp Vehicle door latch
US7959205B2 (en) * 2009-04-08 2011-06-14 Austem Co., Ltd. Latch assembly for vehicle seat
JP4963720B2 (ja) * 2009-12-21 2012-06-27 三井金属アクト株式会社 車両用ドアラッチ装置におけるアクチュエータ
JP5282913B2 (ja) * 2010-05-26 2013-09-04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車両用ドアロック装置
DE102012207443A1 (de) * 2012-05-04 2013-11-07 Kiekert Ag Schloss für eine Klappe oder Tür
WO2015123640A2 (en) * 2014-02-15 2015-08-20 Inteva Products Llc. Actuator for vehicle latch and vehicle latch with actuator
GR1008999B (el) * 2014-04-15 2017-03-30 Αλεξανδρος Ιωαννη Μπαρους Επιπροσθετη κλειδαρια
JP6364650B2 (ja) * 2014-08-05 2018-08-01 三井金属アクト株式会社 ドアラッチ用アクチュエータ
DE102014114260B4 (de) * 2014-10-01 2022-12-01 Kiekert Aktiengesellschaft Kraftfahrzeugtürschloss
KR101821243B1 (ko) * 2015-12-28 2018-01-24 주식회사 우보테크 차량용 도어 래치 시스템
KR101808548B1 (ko) 2015-12-28 2017-12-13 주식회사 우보테크 차량용 도어 래치 시스템
DE102017123622A1 (de) * 2017-10-11 2019-04-11 Kiekert Ag Kraftfahrzeugschloss, insbesondere Heckklappenschloss
US11280121B2 (en) * 2018-03-05 2022-03-22 Magna Closures Inc. Crash unlock for side door latch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1131405B (it) * 1979-03-24 1986-06-25 Kiekert Soehne Arn Dispositivo di chiusura a comando centralizzato per porte di veicoli a motore
JPH0211625Y2 (ko) * 1981-05-09 1990-03-27
US4518181A (en) * 1982-05-28 1985-05-21 Mitsui Kinzoku Kogyo Kabushiki Kaisha Locking device
FR2567949B1 (fr) * 1984-07-20 1986-12-26 Peugeot Aciers Et Outillage Dispositif de commande de l'ouverture d'une serrure de portiere de vehicule automobile
GB2172753B (en) * 1985-03-21 1989-01-05 Delco Prod Overseas Lockable electrically-operable actuator
US4756563A (en) * 1986-08-11 1988-07-12 General Motors Corporation Vehicle door latch
US4763936A (en) * 1986-10-20 1988-08-16 General Motors Corporation Power operated door latch
DE3902776A1 (de) * 1988-08-13 1990-02-15 Kiekert Gmbh Co Kg Kraftfahrzeugtuerverschluss mit zentralverriegelungsantrieb und diebstahlsicherung
GB2227049B (en) * 1989-01-17 1993-05-12 Rockwell Automotive Body Co Vehicle door locking system
JPH0384181A (ja) * 1989-08-28 1991-04-09 Nippondenso Co Ltd ドアロック駆動装置
US5066054A (en) * 1989-11-22 1991-11-19 Kiekert Gmbh & Kommanditgesellschaft Motor-vehicle door latch with antitheft feature
JP2616598B2 (ja) * 1991-05-14 1997-06-04 三菱電機株式会社 モータ式アクチュエータ
JPH0533542A (ja) * 1991-08-01 1993-02-09 Mitsui Mining & Smelting Co Ltd アクチユエータ用モータホルダ
GB2262769B (en) * 1991-12-24 1994-09-21 Ohi Seisakusho Co Ltd Antitheft type power door lock system
US5348357A (en) * 1992-12-24 1994-09-20 General Motors Corporation Vehicle closure latch having plastic coated ratchet
US5308128A (en) * 1993-02-03 1994-05-03 General Motors Corporation Vehicle door latch
DE4307523B4 (de) * 1993-03-10 2004-05-27 Kiekert Ag Kraftfahrzeugtürverschluß mit Zentralverriegelungsantrieb
JP3069488B2 (ja) * 1994-02-26 2000-07-24 三井金属鉱業株式会社 車両ドアロック装置用のアクチュエータユニッ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808979A3 (en) 1998-03-18
EP0808979B1 (en) 2002-07-10
KR970074117A (ko) 1997-12-10
US5649726A (en) 1997-07-22
EP0808979A2 (en) 1997-11-26
DE69713836D1 (de) 2002-08-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44167B1 (ko) 차량잠금래치
KR100209446B1 (ko) 차량잠금래치
JP3580846B2 (ja) 車両閉鎖部材ラッチ
US5308128A (en) Vehicle door latch
US5328219A (en) Vehicle closure latch
US4926707A (en) Actuator for automotive door locking device
JPH04261983A (ja) 補助モータを備えた錠装置
KR20010012676A (ko) 도어 메카니즘
JPH067188Y2 (ja) 自動車用ドアハンドル
JP4171089B2 (ja) 錠装置
US20220251886A1 (en) Door latch device and actuator
JP2004100401A (ja) 錠前のラッチ用ストッパー機構
JP7377064B2 (ja) ドアラッチ装置
JP4331857B2 (ja) 車両用ドアロック装置
JPS60452Y2 (ja) 自動車用ドアハンドル装置
JP4331855B2 (ja) 車両用ドアロック装置
KR970003085B1 (ko) 차량잠금래치(latch) 및 그에 사용되는 라체트(ratchet)
JP3358980B2 (ja) 車両用ドアロック装置
JP3640590B2 (ja) 車両用ドアロック装置
JP3311293B2 (ja) 車両用ドアロック装置
JPH08333937A (ja) 複数の回動レバーの支持構造
JP3310941B2 (ja) 車両用ロック装置
JP3270009B2 (ja) 車両用ドアロック装置
JPH11182113A (ja) 車両用ドアロック装置
JP4362753B2 (ja) ドアクローザ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7052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70521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199903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90827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9112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1999112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2112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3112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112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1229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1110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1106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1106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091010